[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55258B1 - 테이프 피더 - Google Patents

테이프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258B1
KR102255258B1 KR1020150032512A KR20150032512A KR102255258B1 KR 102255258 B1 KR102255258 B1 KR 102255258B1 KR 1020150032512 A KR1020150032512 A KR 1020150032512A KR 20150032512 A KR20150032512 A KR 20150032512A KR 102255258 B1 KR102255258 B1 KR 102255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craper
tip
protrusion
compon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430A (ko
Inventor
세이치 미야하라
키요모리 니시무라
나오토 고게쯔
키미유키 야마사키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49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2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품을 지지하는 캐리어 테이프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부착된 커버 테이프를 가지는 부품 공급용 테이프를 테이프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에 배치된 스크레이퍼에 의해 상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키는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 중 상기 스크레이퍼 직전의 부분에,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가지는 탄성 부재가 배치된 테이프 피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이프 피더{A tape feeder}
본 발명은, 부품을 지지하고 있는 부품 공급용 테이프(이하, 단순히 「테이프」라고도 함)를 테이프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부품을 부품 실장 장치의 픽업 위치에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이다.
부품 실장 장치에서 이송 탑재 헤드의 노즐의 픽업 위치에 부품(전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테이프 피더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부품을 지지하는 부품 공급용 테이프를 공급 릴로부터 꺼내고 부품의 실장 타이밍에 동기시켜 피치 이송하여 노즐의 픽업 위치에 공급하는 것이다.
부품 공급용 테이프는, 부품을 보유하고 지지하는 캐리어 테이프와, 부품의 보호와 탈락 방지를 위해 그 부품을 덮도록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에 부착된 커버 테이프로 이루어지고, 커버 테이프는 픽업 위치에 보내지기 바로 전에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때문에, 종래 일반적인 테이프 피더는, 그 테이프 이송 경로의 도중에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 등으로 이루어지는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를 가진다(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156220호 참조). 이러한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에 의해 테이프 이송 중에 연속적으로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킬 수 있다.
그러나 테이프를 자동 세팅하는 경우 등의 새로운 테이프를 테이프 피더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에 의해서는 새로운 테이프의 선단 부분에서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키는 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특히 테이프의 선단은 테이프 절단시의 영향 등에 의해,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처지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캐리어 테이프(T1)와 커버 테이프(T2)의 계면 위치가 스크레이퍼(11)의 높이 위치에 맞지 않기 때문에, 커버 테이프의 박리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게 된다.
이 점에 관해,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156220호에서는 커버 테이프의 박리 개시 위치에서 테이프를 하방으로부터 가이드하는 하방 가이드 부재를 레버 부재에 의해 하면측으로부터 밀어 올리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테이프를 하방으로부터 밀어 올리는 것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프 선단의 처짐을 교정하는 것은 어렵고 여전히 커버 테이프의 박리 실패가 일어나고 그 박리 성공률은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에서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킬 때 박리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테이프 피더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품을 지지하는 캐리어 테이프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부착된 커버 테이프를 가지는 부품 공급용 테이프를 테이프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에 배치된 스크레이퍼에 의해 상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키는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 중 상기 스크레이퍼 직전의 부분에,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가지는 탄성 부재가 배치된 테이프 피더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이 상기 돌기에 부딪침으로써,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하면측에 탄성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이 만약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져 있었다고 해도, 그 선단 부분이 돌기에 의해 탄성적으로 밀어 올려져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에서의 상기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커버 테이프의 계면 위치가 상기 스크레이퍼의 높이 위치에 맞도록 교정되기 때문에 박리 성공률이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는,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를 따라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 직전 부분부터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의 하류측에 걸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돌기의 최고점이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의 하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돌기의 최고점이 상기 스크레이퍼 직전에 있으면,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에서 상기 커버 테이프의 박리가 종료된 후에도 상기 스크레이퍼 직전에서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가 최고점 위치까지 밀어 올려진다. 그렇다면, 상기 스크레이퍼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 상의 부품과 접촉하여 간섭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상기 돌기의 최고점을 상기 스크레이퍼의 하류측으로 하면,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에서 상기 커버 테이프의 박리가 종료된 후에 상기 스크레이퍼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 상의 부품과 접촉하여 간섭하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의 부분 중 상기 스크레이퍼 직전 부분의 상방에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전체 폭에 걸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부를 설치하면, 상기 스크레이퍼 직전에서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이 상기 돌기에 부딪쳤을 때에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이 밀어 올려지기 쉬워지므로 박리 성공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테이프 피더는,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에서 캐리어 테이프에서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킬 때 박리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박리 실패에 의한 테이프 피더의 동작 정지 빈도를 저감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이 처진 경우에 부품 공급용 테이프와 스크레이퍼의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테이프 피더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의 스크레이퍼 근방을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 단면에 의한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제1 판스프링 부재 및 제2 판스프링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테이프 피더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는, 가늘고 긴 상자형의 테이프 피더 본체(1) 안에, 이하에 설명하는 각 요소가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고, 부품을 지지하고 있는 테이프(T)를 피치 이송함으로써 부품을 부품 실장 장치의 픽업 위치(P)에 공급한다.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테이프(T)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정피치)로 부품이 지지되어 있다.
테이프 피더 본체(1)에는, 상부에 위치한 픽업 위치(P)로 연결되는 테이프 이송 경로(2)가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T)는 테이프 이송 경로(2)의 테이프 도입부(2a)로부터 도입되어 테이프 이송 경로(2)를 따라 이송되는데,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테이프(T)가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로켓(3)은 제2 스프로켓(6)에 비하여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스프로켓(6)은 제1 스프로켓(3)에 비하여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테이프 이송 경로(2)의 하류단 측에는 제1 스프로켓(3)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스프로켓(3)의 이빨은 테이프(T)에 정피치로 형성된 테이프 이송용 구멍부(미도시)에 맞물리고, 제1 스프로켓(3)이 피치 회전함으로써 테이프를 피치 이송시킨다.
제1 스프로켓(3)은 복수의 중간 기어(4)에 의해 제1 모터(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며, 제1 모터(5)의 구동에 의해 제1 스프로켓(3)이 회전한다. 제1 스프로켓(3)의 설치 위치는 부품의 픽업 위치(P)와 근접하게 된다.
제1 스프로켓(3)의 상류측에 제2 스프로켓(6)이 배치되고, 제2 스프로켓(6)의 상류측에 제3 스프로켓(7)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스프로켓(6) 및 제3 스프로켓(7) 각각의 이빨은 테이프(T)에 정피치로 형성된 테이프 이송용 구멍부에 맞물리고, 제2 스프로켓(6) 및 제3 스프로켓(7)이 회전함으로써, 테이프(T)가 테이프 이송 경로(2)를 따라 이송된다.
제2 스프로켓(6) 및 제3 스프로켓(7)은, 복수의 중간 기어(4)를 통해 각각 제2 모터(8) 및 제3 모터(9)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들 제1 모터(5), 제2 모터(8) 및 제3 모터(9)의 구동은 제어부(10)가 제어한다. 제1 모터(5), 제2 모터(8) 및 제3 모터(9)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엔코더가 장착된 서보 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의 스크레이퍼 근방을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 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3의 A-A 단면에 의한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테이프 이송 경로(2) 중 제1 스프로켓(3)과 제2 스프로켓(6) 사이의 이송 경로에는 스크레이퍼(1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크레이퍼(11)에 의해 테이프 이송 경로(2)를 따라 이동하는 테이프(T)의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킨다.
스크레이퍼(11)는 상면 가이드 부재(12)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 가이드 부재(12)는 테이프 피더 본체(1)에 대해 지지 핀(13)을 통해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면 가이드 부재(12)는 지지 핀(13)의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테이프 피더 본체(1)에 대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핀(13)은, 테이프 피더 본체(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지지 핀(13)은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면 가이드 부재(12)는 테이프 피더 본체(1)에 대해 하방으로 바이어스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면 가이드 부재(12)는, 테이프 피더 본체(1)에 일체적 또는 고정적으로 설치된 하면 가이드 부재(14)와 함께, 테이프 이송 경로(2)의 일부를 형성한다. 즉, 상면 가이드 부재(12)는 테이프 이송 경로(2) 중 적어도 스크레이퍼(11)의 상류측에 위치한 부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가이드 부재(12)는 테이프(T)의 폭방향 양측의 상면을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면(12a)을 가지며, 하면 가이드 부재(14)는 테이프(T)의 폭방향 양측의 하면을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면(14a)을 가진다. 즉, 상면 가이드 부재(12)의 상부 가이드면(12a)과 하면 가이드 부재(14)의 하부 가이드면(14a)은 테이프 이송 경로(2)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면 가이드 부재(14)에 있어서 테이프(T)의 폭방향 양측의 하면을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면(14a)은 테이프(T)의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들 폭방향 양측의 하부 가이드면(14a, 14a)의 사이에는, 테이프(T)의 캐리어 테이프(T1)에 지지되어 있는 부품(미도시)이 통과 가능한 공간(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14b)은, 테이프(T)가 지지할 수 있는 최대 부품이 통과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는데, 이 공간(14b)을 이용하여 제1 판스프링 부재(15) 및 제2 판스프링 부재(16)가 조립되어 배치된다.
도 6에서는 설명을 위해, 제1 판스프링 부재(15) 및 제2 판스프링 부재(16)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스프링 부재(15)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테이프 피더 본체(1)에 고정되고, 상변(15a)이 테이프 이송 경로(2)의 하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제1 판스프링 부재(15)는 탄성 부재로서, 그 상변(15a)은, 테이프 이송 경로(2)를 따라 이송되는 테이프(T)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판스프링 부재(16)는 탄성 부재로서 제1 판스프링 부재(15)의 길이방향 절반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그 선단측에 수직으로 돌출된 돌기(16a)를 가진다.
이러한 돌기(16a)는 제1 판스프링 부재(15)의 상변(15a)에 형성된 슬릿(15b)에 끼워짐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스프링 부재(15)와 제2 판스프링 부재(16)가 조합된 상태로 테이프 피더 본체(1)에 장착된다. 즉, 제2 판스프링 부재(16)의 일단은 제1 판스프링 부재(15)의 일단과 함께 테이프 피더 본체(1)에 고정된다. 한편, 제2 판스프링 부재(16)의 선단측(돌기(16a)측)은 자유단 상태로 구성되며, 탄성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제2 판스프링 부재(16)의 돌기(16a)와 스크레이퍼(11)의 위치 관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즉, 돌기(16a)는 테이프 이송 경로(2)를 따라 스크레이퍼(11)의 선단(11a) 직전 부분부터 스크레이퍼(11) 선단(11a)의 하류측에 걸쳐 위치하며, 아울러 돌기(16a)는 테이프 이송 경로(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돌기(16a)의 최고점(16a-1)은 스크레이퍼(11)의 선단(11a)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테이프 이송 경로(2)에 이송되어 온 테이프(T)의 선단이 스크레이퍼(11) 직전에서 돌기(16a)에 부딪치면, 돌기(16a)는 그 테이프(T)의 선단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서 그 테이프(T)의 하면 쪽에 탄성적으로 진입한다. 이에 의해, 테이프(T)의 선단 부분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져 있었다고 해도, 테이프(T)의 선단 부분이 돌기(16a)에 의해 탄성적으로 밀어 올려져 테이프(T)의 선단 부분에서의 캐리어 테이프(T1)와 커버 테이프(T2)의 계면 위치가 스크레이퍼(11)의 높이 위치에 맞게 되어 박리 성공률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16a)의 최고점(16a-1)은 스크레이퍼(11)의 선단(11a)으로부터 하류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테이프(T)의 선단 부분에서 커버 테이프(T2)의 박리가 종료된 후에 테이프 이송 경로(2)의 부분 중 스크레이퍼(11) 직전 부분에서 테이프(T)가 과잉으로 밀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T)의 선단 부분에서 커버 테이프(T2)의 박리가 종료된 후에 스크레이퍼(11)가 캐리어 테이프(T1) 상의 부품과 접촉하여 간섭하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이송 경로(2)의 부분 중 스크레이퍼(11) 직전 부분의 상방에 테이프(T)의 전체 폭에 걸치는 개구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구부(2a)가 있으면, 스크레이퍼(11) 직전에서 테이프(T)의 선단이 돌기(16a)에 부딪쳤을 때에 그 테이프(T)의 선단 부분이 밀어 올려지기 쉬워지므로 박리 성공률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은 테이프 피더의 제조 및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1: 테이프 피더 본체 2: 테이프 이송 경로
3: 제1 스프로켓 6: 제2 스프로켓
7: 제3 스프로켓 11: 스크레이퍼
12: 상면 가이드 부재 12a: 상부 가이드면
14: 하면 가이드 부재 14a: 하부 가이드면
15: 제1 판스프링 부재 16: 제2 판스프링 부재
16a: 돌기

Claims (4)

  1. 부품을 지지하는 캐리어 테이프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부착된 커버 테이프를 가지는 부품 공급용 테이프를 테이프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에 배치된 스크레이퍼에 의해 상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키는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판스프링 부재; 및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 중 상기 스크레이퍼 직전의 부분에,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슬릿에 끼워지는 돌기를 가지는 제2 판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테이프 피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이 상기 돌기에 부딪침으로써,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하면측에 탄성적으로 진입하는 테이프 피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를 따라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 직전 부분부터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의 하류측에 걸쳐 위치하며, 상기 돌기의 최고점이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테이프 피더.
  4. 삭제
KR1020150032512A 2014-10-27 2015-03-09 테이프 피더 Active KR102255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18576A JP6498907B2 (ja) 2014-10-27 2014-10-27 テープフィーダ
JPJP-P-2014-218576 2014-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430A KR20160049430A (ko) 2016-05-09
KR102255258B1 true KR102255258B1 (ko) 2021-05-24

Family

ID=5597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512A Active KR102255258B1 (ko) 2014-10-27 2015-03-09 테이프 피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98907B2 (ko)
KR (1) KR1022552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9973B2 (ja) * 2016-09-09 2020-12-16 株式会社Fuji フィーダ
CN112514549B (zh) * 2018-08-02 2022-11-22 株式会社富士 带式供料器
DE112020004881T5 (de) * 2019-10-11 2022-06-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Komponentenzuführungsvorrichtung und Abdeckungsband-Ablöseverfahr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2569A (ja) * 2010-04-02 2011-11-04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
JP2014154691A (ja) * 2013-02-08 2014-08-25 Panasonic Corp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2569A (ja) * 2010-04-02 2011-11-04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
JP2014154691A (ja) * 2013-02-08 2014-08-25 Panasonic Corp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98907B2 (ja) 2019-04-10
JP2016086097A (ja) 2016-05-19
KR20160049430A (ko)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1600B1 (en) Component feeder
EP2741597B1 (en) Jam prevention mechanism
KR102255258B1 (ko) 테이프 피더
US10426069B2 (en) Feeder
US10375868B2 (en) Tape feeder
US10939601B2 (en) Component mounting line
JP7019861B2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キャリアテープの装填方法
CN107211565B (zh) 安装管理装置
JP4852386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表面実装機
JP6320001B2 (ja) テープ先端処理治具
JP6707626B2 (ja) 部品供給装置
KR101744609B1 (ko)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실장 장치
KR102255259B1 (ko) 테이프 피더
JP6735633B2 (ja) テープサプライヤ
CN110741745A (zh) 电子元件安装机
CN105101832A (zh) 止部安装装置
US11974402B2 (en) Component supply device
KR20170108652A (ko) 라벨공급장치
JP2017135208A (ja) テープ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装置
KR20250020540A (ko)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JP6301731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JP7074942B2 (ja) キャリアテープの調整方法
EP3429327A1 (en) Part extracting method
JP6427762B2 (ja) テープフィーダ
JP2017135207A (ja) テープ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4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3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