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52068B1 - ThMn12형 자성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ThMn12형 자성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068B1
KR102252068B1 KR1020180152933A KR20180152933A KR102252068B1 KR 102252068 B1 KR102252068 B1 KR 102252068B1 KR 1020180152933 A KR1020180152933 A KR 1020180152933A KR 20180152933 A KR20180152933 A KR 20180152933A KR 102252068 B1 KR102252068 B1 KR 10225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mn
type magnetic
manufacturing
present
magnetic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958A (ko
Inventor
최철진
박지훈
임정태
정국채
Original Assignee
한국재료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재료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재료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52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06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0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053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H01F1/055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 H01F1/059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and Va elements, e.g. Sm2Fe17N2
    • H01F1/0593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and Va elements, e.g. Sm2Fe17N2 of tetragonal ThMn12-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2Making non-ferrous alloys by mel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1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 C22C2202/02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hMn12형 자성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성체는 보자력이 우수하고 잔류 자화도가 높은 자기적 특성이 개선된 자성체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ThMn12형 자성체 및 그 제조방법 {ThMn12 TYPE MAGNETIC SUBSTANCE AND FABRICATION THEREOF}
본 발명은 보자력 및 잔류자화도가 뛰어난 ThMn12형 자성체 및 그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영구자석은 전자장치, 정보 통신, 의료, 공작 기계 분야, 산업용 자동차용 모터 등 광범위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보급 증가, 산업분야에서의 에너지 절약 및 발전 효율 향상에 대한 요구로 인하여 특성이 뛰어난 영구자석 개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고성능 자석으로서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Nd-Fe-B계 자석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구동 모터용 자석에 사용되고 있다.
구동 모터의 경우, 모터의 소형화, 및 고출력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영구자석 재료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Nd-Fe-B계 자석을 초과하는 성능을 가지는 재료 중 하나로 ThMn12형 결정 구조를 가지는 희토류-철계 자성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희토류 원소로서 Nd를 포함한 ThMn12형 결정 구조를 가지는 질화 자성체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희토류 원소로서 Sm을 포함한 ThMn12형 결정 구조를 가지는 자성체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여전히 보자력 및 잔류 자화도와 같은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희토류자석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자력 및 잔류 자화도와 같은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ThMn12형 자성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 식1의 조성을 갖는 ThMn12형 자성체가 제공된다:
[식 1]
(Sm1-xLaxZr0.1)a(Fe(1-y)Coy)bTic
식 중
0.1 ≤ x ≤ 0.4, y = 0.2, 0.5 ≤ a ≤ 1.5, 5.0 ≤ b ≤ 18, 0.5 ≤ c ≤ 1.5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료 분말을 혼합한 다음 용융하는 단계;
상기 용융물을 용융 스피닝하여 합금 리본을 얻는 단계;
상기 합금 리본을 냉간 압연한 다음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된 결과물을 수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ThMn12형 자성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ThMn12형 자성체는 우수한 보자력 및 잔류 자화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른 ThMn12형 자성체의 XRD 패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른 자성체의 295K에서의 자기 이력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른 자성체의 포화자화도 및 잔류자화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른 자성체의 보자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른 자성체의 최대 에너지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ThMn12형 자성체와,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ThMn12형 자성체는 하기 식 1의 조성을 갖는다:
[식 1]
(Sm1-xLaxZr0.1)a(Fe(1-y)Coy)bTic
식 중
0.1 ≤ x ≤ 0.4, y = 0.2, 0.5 ≤ a ≤ 1.5, 5.0 ≤ b ≤ 18, 0.5 ≤ c ≤ 1.5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x가 0.1 내지 0.4이고, 구체적으로 0.3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ThMn12형 자성체는 식 (Sm0.6La0.3Zr0.1)(Fe0.8Co0.2)11Ti인 ThMn12형 자성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성 화합물은 상기 식 1에 의해 표시되고 ThMn12형 결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ThMn12형 결정 구조는 정방정이며, XRD 측정 결과에 있어서 2θ의 값은 각각, 29.801, 36.554, 42.082, 42.368, 43.219°(±0.5°)인 피크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ThMn12형 자성체는 식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미량의 불순물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ThMn12형 자성체는 상기 식 1의 조성을 가짐으로써 다른 조성의 ThMn12형 자성체에 비하여 우수한 보자력 및 잔류 자화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3500 Oe 내지 3600 Oe, 예를 들어 3539 Oe의 보자력, 95emu/g 내지 100emu/g, 예를 들어 99.2emu/g의 잔류 자화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ThMn12형 자성체의 제조방법은 원료 분말을 혼합한 다음 용융하는 단계; 상기 용융물을 용융 스피닝하여 합금 리본을 얻는 단계; 상기 합금 리본을 냉간 압연한 다음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된 결과물을 수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원료 분말을 혼합하는 경우 가능한 한 고순도의 원료 분말을 사용하는것이 원하는 자기적 성질을 갖는 자성체를 얻는데 유리할 수 있다.
원료 분말의 사용량은 상기 식 1의 조성을 갖기 위한 화학양론적 비율로 사용할 수 있으나, Sm의 경우 다른 원소들에 비해 끓는 점이 낮으므로, 원래의 화학량론적 비율에 따른 양보다 170% 이상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혼합된 원료 분말을 용융하는 단계에서 용융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자성체 제조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면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플라즈마 아크 용융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용융하는 단계는 2200K 내지 2300K, 예를 들어 2273K의 온도에서 불활성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용융하는 단계는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예를 들어 30분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용융물을 용융 스피닝하여 합금 리본을 얻는 단계는 1800K 내지 1900K, 예를 들어 1873K의 온도에서 2500rpm 내지 3500rpm의 속도, 예를 들어 3000rpm의 속도로 용융 스피닝하여 길이가 약 1 ㎛ 인 합금 리본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합금 리본을 냉간 압연하는 단계는 합금 리본을 분말 상태로 분쇄한 다음 720MPa 내지 760MPa, 예를 들어 749MPa의 하중 하에서 280K 내지 300K의 온도, 예를 들어 295K의 온도에서 냉간 압연할 수 있다.
냉간 압연 후 진공하에 있는 석영관에 넣어 밀봉한 다음 열처리, 예를 들어 1000K 내지 1200K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구체적으로 1123K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할 수 있다. 열처리 한 후에 결과물을 수냉하여 ThMn12형 자성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냉간 압연을 통하여 두께가 1mm 내지 5mm, 예를 들어 3mm 인 합금 기판을 얻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ThMn12형 자성체는 자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전기자동차용 모터 등 다양한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 표 1의 순도 및 입경의 금속 재료들을 원료로 사용하였으며, 구입처는 태원과학이었다.
원소명 순도(%) 입자 크기(mm)
Sm 99.9 1~6
La 99.9 1~3
Zr 99.5 1~4
Fe 99.99 5~15
Co 99.95 3
Ti 99.9 10
실시예 1(식 1에서 x가 0.1인 경우)
상기 표 1의 금속 재료들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함량으로 혼합하였다.
금속 원료 혼합물을 아르곤 플라즈마 아크 용융 장치(제조사명:LEYBOLD, 모델명:LK6/45)의 수냉 구리 도가니에 넣고,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2273K에서 30분 동안 용융하였다. 그런 다음 용융 스피닝 장치(제조사명:와이엔아이테크) 를 사용하여 1873K의 온도에서 3000rpm(39.27m/s)의 회전속도로 용용 스피닝하여 길이가 1 ㎛인 합금 리본을 얻었다.
상기 얻은 합금 리본을 마노 유발을 사용하여 분쇄하여 평균 입경이 75㎛인 합금 분말을 얻었다. 상기 합금 분말을 유압프레스 (제조사명:CARVER, 모델명:#3925)를 사용하여 6톤(749MPa)의 하중으로 295K에서 냉간 압연하여 3mm 두께의 합금 기판을 얻었다. 그런 다음 얻은 합금 기판을 진공 하(10-2 torr)에서 석영 튜브에 넣고 밀봉하였다. 1123K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 한 다음 물로 ??칭하여 자성체를 얻었다.
실시예 2 (x가 0.3인 경우), 실시예 3(x가 0.4인 경우) 및 비교예 1(x가 0인경우), 비교예 2(x가 0.5인 경우), 및 비교예 3(x가 0.7인 경우)
상기 표 1의 금속 재료들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함량으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성체를 얻었다.
Sm(g) La(g) Zr(g) Fe(g) Co(g) Ti(g) Total(g)
실시예 1 2.4375 0.1656 0.1087 5.8579 1.5455 0.5706 10.6858
실시예 2 1.8281 0.4967 0.1087 5.8579 1.5455 0.5706 10.4076
실시예 3 1.5234 0.6623 0.1087 5.8579 1.5455 0.5706 10.2685
비교예 1 3.0469 - - 5.8579 1.5455 0.5706 11.0209
비교예 2 1.2188 0.8279 0.1087 5.8579 1.5455 0.5706 10.1294
비교예 3 0.6094 1.1591 0.1087 5.8579 1.5455 0.5706 9.851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자성체의 X선 회절 분석 XRD 분석(측정 장비: D/MAX-2500V/PO, Rigaku; 측정 조건: Cu-Kα ray) 을 수행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른 ThMn12형 자성체의 XRD 패턴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XRD 분석 결과, 각각 29.9°, 33.1°, 36.7°, 37.5°, 42.2°, 42.5°, 43.3°, 44.9°, 47.5° 및 48.4°의 2θ 값에서, 각각 (211), (311), (301), (002), (400), (321), (202), (330), (411), 및 (222) 결정 면의 회절 피크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자성체가 모두 정방정 ThMn12 형 자성체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라 얻은 자성체의 자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상기 자기적 특성은 보자력, 잔류자화도, 포화자화도 및 최대 에너지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자성체의 자기이력곡선은 2T의 자기장하에서 300K의 온도에서 Lakeshore사의 VSM 장비로 측정하였다.
포화자화도
Ms(emu/g)
잔류자화도
Mr(emu/g)
보자력
Hci(Oe)
최대 에너지적
(BH)max(MGOe)
실시예 1 106.01 48.39 1944 1.77
실시예 2 99.21 62.2 3538.7 4.65
실시예 3 114.25 36.66 1932.4 1.00
비교예 1 115.73 22.5 803.73 0.33
비교예 2 116.15 24.4 1051.5 0.40
비교예 3 143.81 8.46 162.6 0.03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자성체의 295 K 에서의 자기 이력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자성체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자성체보다 보자력이 높고 최대 에너지적의 크기가 큼을 알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른 자성체의 포화자화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른 자성체의 잔류자화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른 자성체의 보자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른 자성체의 최대 에너지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자성체는 비교예 1의 자성체에 비해 잔류자화도가 최대 약 176% 증가하였고, 보자력은 최대 약 340% 증가하였으며, 최대 에너지적은 최대 약 1309%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8)

  1. 하기 식 1의 조성을 갖는 ThMn12형 자성체:
    [식 1]
    (Sm1-xLaxZr0.1)a(Fe(1-y)Coy)bTic
    식 중
    0.1 ≤ x ≤ 0.4, y = 0.2, 0.5 ≤ a ≤ 1.5, 5.0 ≤ b ≤ 18, 0.5 ≤ c ≤ 1.5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x가 0.3인 ThMn12형 자성체.
  3. 제1항에 있어서,
    식 (Sm0.6La0.3Zr0.1)(Fe0.8Co0.2)11Ti인 ThMn12형 자성체.
  4. 원료 분말을 혼합한 다음 용융하여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융물을 용융 스피닝하여 합금 리본을 얻는 단계;
    상기 합금 리본을 냉간 압연한 다음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된 결과물을 수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ThMn12형 자성체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하여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플라즈마 아크 용융법으로 수행되는 ThMn12형 자성체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하여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2200K 내지 2300K의 온도에서 불활성 분위기 수행되는 ThMn12형 자성체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 압연하는 단계는 720MPa 내지 760MPa의 하중에서 진행하는 ThMn12형 자성체의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1000K 내지 1200K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ThMn12형 자성체의 제조방법.
KR1020180152933A 2018-11-30 2018-11-30 ThMn12형 자성체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2252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933A KR102252068B1 (ko) 2018-11-30 2018-11-30 ThMn12형 자성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933A KR102252068B1 (ko) 2018-11-30 2018-11-30 ThMn12형 자성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958A KR20200065958A (ko) 2020-06-09
KR102252068B1 true KR102252068B1 (ko) 2021-05-17

Family

ID=7108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933A Active KR102252068B1 (ko) 2018-11-30 2018-11-30 ThMn12형 자성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0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499A (ko) 2019-12-09 2021-06-17 한국재료연구원 ThMn12형 벌크 자성체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ThMn12형 벌크 자성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497A (ko) * 2022-08-31 2024-03-07 한국재료연구원 Fe계 영구자석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Fe계 영구자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483B1 (ko) * 2015-04-29 2016-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적 안정성이 향상된 MnBi계 소결자석 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2017057471A (ja) * 2015-09-17 2017-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磁性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9409B2 (en) * 2003-02-06 2005-12-27 Magnequench, Inc. Highly quenchable Fe-based rare earth materials for ferrite replac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483B1 (ko) * 2015-04-29 2016-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적 안정성이 향상된 MnBi계 소결자석 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2017057471A (ja) * 2015-09-17 2017-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磁性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499A (ko) 2019-12-09 2021-06-17 한국재료연구원 ThMn12형 벌크 자성체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ThMn12형 벌크 자성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958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0270B2 (ja) 磁性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モータ
US4814139A (en) Permanent magnet having good thermal st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291249B1 (en) Manganese bismuth-based sintered magnet having improved thermal stabil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EP3046119B1 (en) Permanent magnet, motor, and power generator
JP4371188B2 (ja) 高比電気抵抗性希土類磁石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21218A (ja) 希土類永久磁石の製造方法
KR102252068B1 (ko) ThMn12형 자성체 및 그 제조방법
JP7244476B2 (ja) 希土類異方性ボンド磁性粉の作製方法
JPH01219143A (ja) 焼結永久磁石材料とその製造方法
US11798715B2 (en) Mn—Bi—Sb-based magnetic sub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WO2004003245A1 (ja) ボンド磁石用合金、等方性磁石粉末および異方性磁石粉末と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ボンド磁石
WO2017191790A1 (ja) 希土類永久磁石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07203A (ja) 希土類永久磁石の製造方法
JPS6077960A (ja) 永久磁石材料の製造方法
KR20210072499A (ko) ThMn12형 벌크 자성체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ThMn12형 벌크 자성체
JPH04241402A (ja) 永久磁石の製造方法
JPH06207204A (ja) 希土類永久磁石の製造方法
JP3768553B2 (ja) 硬質磁性材料および永久磁石
JP3386552B2 (ja) 磁性材料
KR900006533B1 (ko) 이방성 자성분말과 이의 자석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6123C (zh) 高性能稀土永磁合金及其制造方法
JPH045739B2 (ko)
KR102727379B1 (ko) Fe계 영구자석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Fe계 영구자석
JPH045738B2 (ko)
WO2022124344A1 (ja) 永久磁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1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1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