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069B1 - Dry wall structure for bathroom - Google Patents
Dry wall structure for bathro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0069B1 KR102250069B1 KR1020190108157A KR20190108157A KR102250069B1 KR 102250069 B1 KR102250069 B1 KR 102250069B1 KR 1020190108157 A KR1020190108157 A KR 1020190108157A KR 20190108157 A KR20190108157 A KR 20190108157A KR 102250069 B1 KR102250069 B1 KR 1022500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proof
- bathroom
- runner
- drywall
- fl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1 urethane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5—Expansion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all or ceil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 벽체 시공시, 욕실 바닥 외측의 실내 측 골조 슬래브 상면에 방수턱 없이 직접 건식 벽체를 설치함으로써, 종래 방수턱 손상으로 인한 하자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시공성 및 방수 품질 확보가 가능한 욕실 건식 벽체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욕실 건식 벽체 구조는 골조 슬래브에서 하부로 단차지는 욕실 바닥 외측의 골조 슬래브 상면에 직접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측벽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부로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욕실 측 측벽은 욕실 바닥 마감보다 높게 형성되고, 실내 측 측벽은 욕실 측 측벽보다 낮게 형성되는 방수형 런너; 상기 방수형 런너의 내부에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터드; 상기 스터드의 양측에 결합되는 경량 벽 패널; 상기 욕실 바닥과 욕실 측 경량 벽 패널의 전면 하부 일정 높이까지 시공되는 방수층; 및 욕실 바닥 단차면을 덮도록 상기 방수형 런너의 욕실 측 측벽 전면에 구비되는 제1방수실란트; 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structing a bathroom wall, by installing a drywall directly without a waterproof sil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door frame slab outside the bathroom floor,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defects caused by damage to the conventional waterproof sill, and to secure excellent workability and waterproof quality. It's about the bathroom drywall construction.
The bathroom dry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slab outside the bathroom floor stepped from the frame slab to the lower side, and consists of a pair of sidewalls and a floor connecting the lower sidewalls, and among the pair of sidewalls, the bathroom The side wall is formed higher than the bathroom floor finish, the indoor side wall is a waterproof runner formed lower than the bathroom side wall; A stu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waterproof runner; Lightweight wall panel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uds; A waterproof layer construc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below the bathroom floor and the front of the bathroom-side lightweight wall panel; And a first waterproof sealant provided on the front sidewall of the bathroom side of the waterproof runner to cover the stepped surface of the bathroom floor. It consists of
Description
본 발명은 욕실 벽체 시공시, 욕실 바닥 외측의 실내 측 골조 슬래브 상면에 방수턱 없이 직접 건식 벽체를 설치함으로써, 종래 방수턱 손상으로 인한 하자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시공성 및 방수 품질 확보가 가능한 욕실 건식 벽체 구조에 대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structing a bathroom wall, by directly installing a drywall without a waterproof sil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door frame slab outside the bathroom floor,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defects caused by damage to the conventional waterproof sill, and secure excellent workability and waterproof quality. It's about the bathroom drywall construction.
욕실은 다량의 물을 사용하는 공간으로 종래에는 주로 방수 처리가 용이한 RC벽이나 조적벽으로 시공되어 왔다.The bathroom is a space that uses a large amount of water, and in the past, it has been mainly constructed as an RC wall or a masonry wall that is easy to waterproof.
그러나 이를 위한 습식 공사는 동절기 공기 지연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고,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공사비 증가, 균질한 품질 확보의 어려움 등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wet construction for this has a problem that causes delay in winter season, and has several disadvantages such as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due to an increase in labor costs, and difficulty in securing a homogeneous quality.
이에 최근에는 습식 공사를 대신하여 건식 벽체로 욕실 벽체를 시공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re is a trend of increasing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bathroom walls are constructed with drywall instead of wet construction.
종래 건식 벽체 공법은 골조 타설시 슬래브(1) 상부에 방수턱(11)을 일체로 형성한 후, 방수턱(11) 상부에 런너(30)와 스터드(40)를 시공하고 경량 벽 패널(50)을 부착하여 시공한다(도 1, 공개특허 제10-2004-0064414호 등).In the conventional drywall construction method, a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보통 양생 1~2일 차 내외에 방수턱(11) 부분의 거푸집을 탈형하는 과정에서 방수턱(11)에 손상이 자주 발생한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technique, damage to the
또한, 골조 방수턱의 오시공으로 인해 방수턱의 위치가 벽체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방수턱을 할석하여야 한다. 이 경우 번거로운 작업이 추가되어 공기가 지연될 수 있고, 방수턱의 손상이 불가피하다.In addition, if the location of the waterproof jaw does not coincide with the location of the wall due to the incorrect construction of the frame waterproof jaw, the waterproof jaw must be allocated. In this case, cumbersome work may be added, delaying the air, and damage to the waterproof jaw is inevitable.
뿐만 아니라 타카로 런너를 방수턱에 고정할 때 방수턱에 파손이 발생하여 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In addition, when the Takaro runner is fixed to the waterproof jaw, damage occurs in the waterproof jaw and repair work is often required.
위와 같이, 여러 가지 이유로 방수턱이 손상될 경우, 방수 품질을 확보하기 어려운 곤란함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proof jaw is damaged for various reasons, it is difficult to secure waterproof qualit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욕실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에 있어 시공성이 우수하고, 방수 품질 확보에 유리한 욕실 건식 벽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hroom drywall structure that has excellent workability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bathroom wall and is advantageous in securing waterproof quality.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골조 슬래브에서 하부로 단차지는 욕실 바닥 외측의 골조 슬래브 상면에 직접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측벽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부로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욕실 측 측벽은 욕실 바닥 마감보다 높게 형성되고, 실내 측 측벽은 욕실 측 측벽보다 낮게 형성되는 방수형 런너; 상기 방수형 런너의 내부에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터드; 상기 스터드의 양측에 결합되는 경량 벽 패널; 상기 욕실 바닥과 욕실 측 경량 벽 패널의 전면 하부 일정 높이까지 시공되는 방수층; 및 욕실 바닥 단차면을 덮도록 상기 방수형 런너의 욕실 측 측벽 전면에 구비되는 제1방수실란트;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식 벽체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s to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slab outside the bathroom floor stepped from the frame slab to the bottom, and consists of a pair of sidewalls and a bottom connecting the lower sidewalls, of the pair of sidewalls The bathroom side wall is formed higher than the bathroom floor finish, the indoor side wall is a waterproof runner formed lower than the bathroom side wall; A stu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waterproof runner; Lightweight wall panel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uds; A waterproof layer construc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below the bathroom floor and the front of the bathroom-side lightweight wall panel; And a first waterproof sealant provided on the front sidewall of the bathroom side of the waterproof runner to cover the stepped surface of the bathroom floor. It provides a bathroom dry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방수형 런너의 실내 측 측벽 하부에는 제2방수실란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식 벽체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bathroom dry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waterproof sealant is provided under the indoor sidewall of the waterproof runner.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방수형 런너의 실내 측 측벽 하부에는 내측으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방수실란트는 상기 홈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식 벽체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bathroom dry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is formed inwardly under an indoor sidewall of the waterproof runner, and the second waterproof sealant is provided in the groov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방수형 런너는 바닥부가 폐쇄된 제1런너모듈과 바닥부에 배관인출공이 형성된 제2런너모듈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식 벽체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bathroom dry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proof runner is configured by combining a first runner module with a bottom portion closed and a second runner module having a pipe lead-out hole on the bottom portion. .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방수형 런너는 바닥부에 복수의 배관인출공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식 벽체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bathroom dry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proof runner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pipe lead-out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욕실 벽체 시공시, 욕실 바닥 외측의 실내 측 골조 슬래브 상면에 방수턱 없이 직접 건식 벽체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수턱을 시공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편리하고, 방수턱 손상으로 인한 하자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First, when constructing the bathroom wall, it is possible to directly install the drywal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slab on the indoor side outside the bathroom floor without a waterproof sill. 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construct a waterproof sill, so construction is convenient, and defects caused by damage to the sill can be prevented at the source, so that waterproofing performance can be secured.
둘째, 욕실 바닥과 욕실 측 경량 벽 패널의 전면 일부 높이까지 방수층을 시공하여 1차 방수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방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Second, by constructing a waterproof layer up to the height of the bathroom floor and the front part of the lightweight wall panel on the bathroom side to form the primary waterproof line, excellent waterproof quality can be secured.
나아가 방수층 하부의 외곽과 욕실 측 경량 벽 패널의 하단이 만나는 모서리에 방수테이프를 부착하여 2차 방수라인을 형성하거나 방수형 런너의 욕실 측 측벽 전면에 욕실 바닥 단차면을 덮도록 제1방수실란트를 시공하여 3차 방수라인을 형성하는 경우, 방수 품질 확보에 더욱 유리하다. Furthermore, a waterproof tape is attached to the corner where the outer edge of the lower part of the waterproof layer meets the lower part of the bathroom-side lightweight wall panel to form a secondary waterproof line, or a first waterproof sealant is applied to the front of the bathroom side wall of the waterproof runner to cover the stepped surface of the bathroom floor. When the third waterproof line is formed by construction, it is more advantageous to secure waterproof quality.
도 1은 종래 욕실 건식 벽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욕실 건식 벽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제1, 2방수실란트가 구비된 본 발명 욕실 건식 벽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방수형 런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수형 런너와 제2방수실란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제2런너모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제1런너모듈과 제2런너모듈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제1런너모듈과 제2런너모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연속 타공형 방수형 런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연속 타공형 방수형 런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athroom drywall structur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bathroom drywall structure.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athroom dry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waterproof sealants.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proof runner.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proof runner shown in FIG. 4 and a second waterproof sealant.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cond runner modul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runner module and a second runner modul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first runner module and a second runner module.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inuous perforated waterproof runner.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ontinuous perforated waterproof runner.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2는 본 발명 욕실 건식 벽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throom dry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욕실 건식 벽체 구조는 골조 슬래브(1)에서 하부로 단차지는 욕실 바닥(2) 외측의 골조 슬래브(1) 상면에 직접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측벽(31, 32)과 상기 측벽(31, 32)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부(33)로 구성되는 방수형 런너(3); 상기 방수형 런너(3)의 내부에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터드(4); 상기 스터드(4)의 양측에 결합되는 경량 벽 패널(5a, 5b); 및 상기 욕실 바닥(2)과 욕실 측 경량 벽 패널(5a)의 전면 하부 일정 높이까지 시공되는 방수층(6);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3, etc., the bathroom dry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은 시공성 및 방수 품질이 우수한 욕실 건식 벽체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hroom drywall structure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waterproof quality.
본 발명 욕실 건식 벽체 구조는 골조 슬래브(1)에서 하부로 단차지는 욕실 바닥(2) 외측의 골조 슬래브(1) 상면에 직접 설치된다. The bathroom dry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slab 1 outside the
본 발명 욕실 건식 벽체 구조는 방수형 런너(3), 스터드(4), 경량 벽 패널(5a, 5b) 및 방수층(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bathroom drywall structure comprises a
상기 방수형 런너(3)는 한 쌍의 측벽(31, 32)과 상기 측벽(31, 32)의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부(33)로 구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ㄷ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방수형 런너(3)는 바닥부(33)를 타정못 등을 이용하여 골조 슬래브(1)에 고정할 수 있다.The
상기 방수형 런너(3)에는 스터드(4)의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스터드(4) 및 방수형 런너(3)의 양측면에는 경량 벽 패널(5a, 5b)이 설치된다. The lower end of the
이때, 욕실 측에 면하는 경량 벽 패널(5a)의 하부는 내수합판(51)을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a water
이 경우 후술할 방수층(6)은 내수합판(51)의 높이까지 연장하여 시공하고, 방수층(6)의 상단에는 방수테이프(7)를 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본 발명에서는 욕실 바닥(2) 외측의 실내 측 골조 슬래브(1) 상부에 방수턱을 설치하고 방수턱 상부에 건식 벽체를 시공하는 기존 건식 벽체 구조와는 달리, 방수턱 없이 직접 골조 슬래브(1) 상부에 건식 벽체를 설치하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existing drywall structure in which a waterproof sill is installed on the indoor frame slab 1 outside the
아울러 방수턱 손상으로 인한 하자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방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defects caused by damage to the waterproof chin and secure waterproof quality.
여기에서 실내는 욕실 외부의 거실 또는 침실 등을 의미한다. Here, the interior refers to a living room or a bedroom outside the bathroom.
상기 방수층(6)은 욕실 바닥(2)과 욕실 측 경량 벽 패널(5a)의 전면 하부 일정 높이까지 시공된다.The
즉, 욕실 바닥(2)에는 욕실 측 경량 벽 패널(5a)의 전면 일부 높이까지 연장되도록 방수층(6)을 시공하여 1차 방수라인을 형성한다.That is, the first waterproof line is formed on the
상기 방수층(6)은 우레탄 도막 방수, 시트 방수 등일 수 있다.The
상기 방수층(6) 하부의 외곽과 욕실 측 경량 벽 패널(5a)의 하단이 만나는 모서리에는 방수테이프(7)를 부착하여 2차 방수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A
도 2,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형 런너(3)의 욕실 측 측벽(31)은 욕실 바닥 마감(21)보다 높게 형성되고, 실내 측 측벽(32)은 욕실 측 측벽(31)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2, 3, etc., the
상기 방수형 런너(3)의 욕실 측 측벽(31)을 욕실 바닥 마감(21) 레벨보다 높이가 높도록 상부로 연장 형성하면 내부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이때, 상기 방수형 런너(3)의 실내 측 측벽(32)은 높이를 높일 경우 방수형 런너(3) 내부에 스터드(4)를 삽입하기 곤란하다.At this time, when the height of the
왜냐하면, 스터드(4)는 간격이 좁아 스터드(4)를 세워서 방수형 런너(3)의 내부로 삽입하여야 하는데, 실내 측 측벽(32)의 높이가 높으면 스터드(4)를 삽입하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Because the
그러므로 상기 방수형 런너(3)의 실내 측 측벽(32)의 높이는 욕실 측 측벽(3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다. Therefore, the height of the
도 3은 제1, 2방수실란트가 구비된 본 발명 욕실 건식 벽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throom drywall structu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waterproof sealant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형 런너(3)의 욕실 측 측벽(31) 전면에는 욕실 바닥(2) 단차면을 덮도록 제1방수실란트(8a)가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 first
건식 벽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방수형 런너(3)와 골조 슬래브(1) 바닥과의 접합부, 즉 욕실 바닥(2) 단차면과 방수형 런너(3)의 욕실 측 측벽(31) 전면에는 제1방수실란트(8a)를 시공하여 3차 방수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The joint between the waterproof runner (3)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drywall and the frame slab (1) floor, that is, the bathroom floor (2) stepped surface and the bathroom side wall (31) of the waterproof runner (3). It is possible to form a third waterproof line by applying a waterproof sealant (8a).
이에 따라 상기 골조 슬래브(1)의 단부에 별도의 방수턱을 돌출 형성하지 않더라도 실내 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even if a separate waterproof protrusion is not formed at the end of the
상기 방수형 런너(3)의 실내 측 측벽(32) 하부에는 제2방수실란트(8b)가 구비될 수 있다. A second
상기 제1방수실란트(8a)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실내 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내 측인 방수형 런너(3)의 실내 측 측벽(32) 하부에 제2방수실란트(8b)를 시공할 수 있다. Even if damage to the first
상기 제1, 2 방수실란트(8a, 8b)는 우레탄 실란트로 구성 가능하다. The first and second
도 4는 방수형 런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수형 런너와 제2방수실란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proof runner,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proof runner shown in FIG. 4 and a second waterproof sealant.
도 4,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형 런너(3)의 실내 측 측벽(32) 하부에는 내측으로 홈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방수실란트(8b)는 상기 홈부(34)에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4 and 5, a
상기 방수형 런너(3)의 욕실 측 측벽(31) 전면은 골조 슬래브(1)의 단차면과 일치하므로 방수실란트의 부착이 용이하다. 그러나 방수형 런너(3)의 실내 측 측벽(32) 전면은 골조 슬래브(1)의 바닥면에 접하므로, 방수실란트의 부착 면적 확보가 어려워 방수실란트에 의한 방수 품질 담보에 어려움이 있다.Since the front side of the
따라서 상기 방수형 런너(3)의 실내 측 측벽(32) 하부에 방수형 런너(3)의 내측으로 절곡된 홈부(34)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34) 내부에 제2방수실란트(8b)를 채워넣어 방수 성능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도록 구성 가능하다.Accordingly, a
도 6은 제2런너모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제1런너모듈과 제2런너모듈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8은 제1런너모듈과 제2런너모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cond runner modul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runner module and a second runner module,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runner module and a second runner module.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형 런너(3)는 바닥부(33)가 폐쇄된 제1런너모듈(3a)과 바닥부(33)에 배관인출공(331)이 형성된 제2런너모듈(3b)을 조합하여 구성 가능하다. 6 to 8, the
일반적으로 건식 벽체 내부에는 골조 슬래브(1)에서 인출되는 전기 배관 등 다수의 배관(9)들이 설치된다.In general, a plurality of
종래에는 골조 슬래브(1)에 매입된 배관(9)을 건식 벽체 내부로 인출하기 위해 현장에서 런너를 천공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Conventionally, since a runner is drilled at the site in order to withdraw the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수형 런너(3)를 일반형인 제1런너모듈(3a)과 배관인출공(331)이 형성된 제2런너모듈(3b)로 모듈화하여 구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따라 배관 인출 구간과 아닌 구간을 나누고, 배관(9)이 없는 구간에는 별도의 배관인출공이 없는 일반형의 제1런너모듈(3a)을 설치하고, 배관(9)의 인출이 필요한 부분에서만 배관인출공(331)이 형성된 제2런너모듈(3b)을 설치하도록 조합함으로써,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pipe lead-out section and the non-pipe section are divided, and in the section where the pipe (9) does not exist, a general type first runner module (3a) without a separate pipe lead hole is installed, and the pipe is drawn out only from the part where the pipe (9) needs to be drawn out. By combining to install the
이때,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인출부의 양측에 일반형인 제1런너모듈(3a)을 먼저 설치한 후, 제2런너모듈(3b)을 이웃하는 제1런너모듈(3a)의 사이에 양단이 각각 제1런너모듈(3a)과 일정 길이 겹쳐지도록 설치하여 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7 and 8, after first installing the
상기 제1런너모듈(3a)은 배관(9)의 인출 위치에 따라 현장에서 그라인더나 함석가위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 가능하다.The
도 9는 연속 타공형 방수형 런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연속 타공형 방수형 런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inuous perforated waterproof runner,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tinuous perforated waterproof runner.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형 런너(3)는 바닥부(33)에 복수의 배관인출공(331)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배관(9)의 수가 많은 구간에서는 바닥부(33)가 폐쇄된 폐쇄형의 제1런너모듈(3a)과 바닥부(33)에 배관인출공(331)이 형성된 타공형의 제2런너모듈(3b)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시공이 복잡할 수 있다.In the section with a large number of
따라서 이러한 경우 복수의 배관인출공(331)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타공 형성된 연속 타공형 방수형 런너(3)를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use a continuous perforated
이때, 복수의 배관(9)이 집중적으로 배치된 구간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이 배관인출공(331)들 사이 바닥부(33)를 현장 상황에 맞게 현장에서 절단하여 연통시켜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1: 골조 슬래브 2: 욕실 바닥
21: 욕실 바닥 마감 3: 방수형 런너
3a: 제1런너모듈 3b: 제2런너모듈
31: 욕실 측 측벽 32: 실내 측 측벽
33: 바닥부 331: 배관인출공
34: 홈부 4: 스터드
5a, 5b: 경량 벽 패널 51: 내수합판
6: 방수층 7: 방수테이프
8a: 제1방수실란트 8b: 제2방수실란트
9: 배관1: frame slab 2: bathroom floor
21: bathroom floor finish 3: waterproof runner
3a:
31: bathroom side wall 32: interior side wall
33: bottom part 331: pipe lead-out hole
34: groove 4: stud
5a, 5b: lightweight wall panel 51: water-resistant plywood
6: waterproof layer 7: waterproof tape
8a: first
9: piping
Claims (7)
상기 방수형 런너(3)의 내부에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터드(4);
상기 스터드(4)의 양측에 결합되는 경량 벽 패널(5a, 5b);
상기 욕실 바닥(2)과 욕실 측 경량 벽 패널(5a)의 전면 하부 일정 높이까지 시공되는 방수층(6); 및
욕실 바닥(2) 단차면을 덮도록 상기 방수형 런너(3)의 욕실 측 측벽(31) 전면에 구비되는 제1방수실란트(8a);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식 벽체 구조.
It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slab (1) outside the bathroom floor (2), which is stepped from the frame slab (1) to the bottom, and connects the pair of side walls (31, 32) and the lower part of the side walls (31, 32). Consisting of a bottom portion 33, the bathroom side wall 31 of the pair of side walls 31 and 32 is formed higher than the bathroom floor finish 21, and the indoor side wall 32 is the bathroom side side wall 31 ) A waterproof runner 3 formed lower than that;
A stud 4 having a lower en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aterproof runner 3;
Lightweight wall panels (5a, 5b)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ud (4);
A waterproof layer 6 construc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below the front of the bathroom floor 2 and the bathroom-side lightweight wall panel 5a; And
A first waterproof sealant (8a)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bathroom side wall (31) of the waterproof runner (3) to cover the stepped surface of the bathroom floor (2); Bathroom dry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방수형 런너(3)의 실내 측 측벽(32) 하부에는 제2방수실란트(8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식 벽체 구조.
In claim 1,
A bathroom dry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waterproof sealant (8b) is provided under the indoor sidewall (32) of the waterproof runner (3).
상기 방수형 런너(3)의 실내 측 측벽(32) 하부에는 내측으로 홈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방수실란트(8b)는 상기 홈부(34)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식 벽체 구조.
In claim 4,
A bathroom drywall,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34 is formed inwardly under the indoor sidewall 32 of the waterproof runner 3, and the second waterproof sealant 8b is provided in the groove 34 rescue.
상기 방수형 런너(3)는 바닥부(33)가 폐쇄된 제1런너모듈(3a)과 바닥부(33)에 배관인출공(331)이 형성된 제2런너모듈(3b)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식 벽체 구조.
In claim 1,
The waterproof runner 3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first runner module 3a in which the bottom 33 is closed and a second runner module 3b in which a pipe withdrawal hole 331 is formed in the bottom 33. Bathroom dry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방수형 런너(3)는 바닥부(33)에 복수의 배관인출공(331)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건식 벽체 구조.In claim 1,
The waterproof runner (3) is a bathroom dry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pipe lead-out holes (331)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bottom portion (3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8157A KR102250069B1 (en) | 2019-09-02 | 2019-09-02 | Dry wall structure for bathroo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8157A KR102250069B1 (en) | 2019-09-02 | 2019-09-02 | Dry wall structure for bathroo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6830A KR20210026830A (en) | 2021-03-10 |
KR102250069B1 true KR102250069B1 (en) | 2021-05-07 |
Family
ID=7514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8157A Active KR102250069B1 (en) | 2019-09-02 | 2019-09-02 | Dry wall structure for bathroo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006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8797A (en) * | 2022-01-11 | 2023-07-19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Waterproof sil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O348490B1 (en) * | 2023-12-12 | 2025-02-10 | Bernt Magnusson | Sealing sleeve and method for sealing in wet room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6975B1 (en) * | 2015-03-10 | 2015-07-22 | 정일테크 (주) | Drainage piping of cellular concrete lay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1876385B1 (en) * | 2017-10-13 | 2018-07-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Inside Wall Structure for Long-life Hous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64414A (en) * | 2003-01-13 | 2004-07-19 | 대림산업 주식회사 | The Dry Wall to Improve Water Resistance and Water Proofing |
KR20140010842A (en) * | 2012-07-16 | 2014-01-27 | 유한회사 신화세라믹 | Non-bearing wall block and non-bearing wall sturucture |
KR101847992B1 (en) * | 2016-03-23 | 2018-04-11 | 주식회사 지에스코 | Waterproof protec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2019
- 2019-09-02 KR KR1020190108157A patent/KR10225006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6975B1 (en) * | 2015-03-10 | 2015-07-22 | 정일테크 (주) | Drainage piping of cellular concrete lay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1876385B1 (en) * | 2017-10-13 | 2018-07-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Inside Wall Structure for Long-life Hous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8797A (en) * | 2022-01-11 | 2023-07-19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Waterproof sill |
KR102732543B1 (en) * | 2022-01-11 | 2024-11-20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Waterproof sil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6830A (en) | 2021-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50069B1 (en) | Dry wall structure for bathroom | |
CN113550515A (en) | Assembly type wall surface system with plug-in wall top closing-up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 |
CN106436983A (en) | Assembled exterior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206233410U (en) | Assembly type external wall heat structure | |
JP2009243122A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sash | |
JP3408625B2 (en) | Waterproof structure around inner gutter and inner gutter on roof or balcony | |
CN211735839U (en) | A prefabricated building exterior wall panel drainage structure | |
CN207988175U (en) | A kind of assembled architecture outer wall waterproof construction | |
CN207633641U (en) | It is a kind of can Buried pipe assembled cold bending thin wall steel reversed beam | |
JP2000038813A (en) | Waterproof structure for gutter on roof floor | |
CN214194982U (en) | Box type house wall plate | |
CN215803489U (en) | Integral mounting structure for bathroom construction | |
KR102732543B1 (en) | Waterproof sill | |
JP3861160B2 (en) | Joint structure of outer wall | |
CN215889088U (en) | Plug-in type waterproof flush joint section bar | |
CN219952291U (en) | Waterproof and drainage node at roof of continuous glass curtain wall | |
KR102416529B1 (en) | Finishing material for buildings | |
CN220620877U (en) | Assembly type decoration | |
CN218911843U (en) | Assembled building outer wall waterproof structure for building | |
CN213653861U (en) | Light gauge steel wallboard and wall body | |
JP7391636B2 (en) | Exterior wall panels with gaskets and gaskets | |
KR101252808B1 (en) | Waterproof system | |
KR102015653B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steel waterproof panel | |
US20060254155A1 (en) | Deck with drainage | |
JPH0227075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10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