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46905B1 -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905B1
KR102246905B1 KR1020160061368A KR20160061368A KR102246905B1 KR 102246905 B1 KR102246905 B1 KR 102246905B1 KR 1020160061368 A KR1020160061368 A KR 1020160061368A KR 20160061368 A KR20160061368 A KR 20160061368A KR 102246905 B1 KR102246905 B1 KR 10224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driving
received
electrod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3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7490A (en
Inventor
박성수
강병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271,70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79661B2/en
Publication of KR20170037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4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90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좌표 측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좌표 측정 장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채널 전극부,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채널 전극부에 제공하는 구동부, 복수의 전극 중 일부로부터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신 신호의 수신과 함께 복수의 전극 중 다른 일부로부터 좌표 표시 장치에서 송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수신된 제1 수신 신호 및 제2 수신 신호를 기초로 손 및 좌표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is disclosed.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channel electrod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 driving unit that generates a driving signal and provides a driving signal to the channel electrode unit, and receives a first received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from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second received signal correspon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from another part of the electrode, and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hand and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first and second received signals. It includes a processor to determine.

Description

좌표 측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좌표 측정 시스템{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Coordinate measuring device and coordinate measuring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좌표 측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좌표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 터치 및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함께 측정 가능한 좌표 측정 장치 및 좌표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and a coordinate measu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and a coordinate measuring system capable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a user's hand touch and a stylus pen together.

최근에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의 보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내장되는 접촉 위치 측정 장치에 대한 기술의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는 주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의 특정 좌표를 지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좌표를 지정함으로써 스마트폰에 특정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Recently, the spread of smart phones or tablet PCs is actively progressing,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a built-in contact position measuring device is also actively progressing. A smartphone or tablet PC is mainly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and a user can designate specific coordinates of the touch screen u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That is, the user can input a specific signal to the smartphone by designating specific coordinates of the touch screen.

한편, 종래의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손 터치만을 감지하거나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만을 감지하였으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손 터치와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을 모두 인식할 수 있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Meanwhile, a conventional touch screen detects only a user's hand touch or a stylus pen's touch, but recently, a method capable of recognizing both a user's hand touch and a stylus pen touch has been adopted.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손 터치의 감지와 스타일러스 펜의 감지를 교번적으로 수행하는 것이어서, 실질적으로 손 터치와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을 함께 감지하는 것은 아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method alternately detects the hand touch and the stylus pen, the hand touch and the contact between the stylus pen are not actually detected together.

본 개시는 사용자의 손 터치 및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함께 측정 가능한 좌표 측정 장치 및 좌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and a coordinate measuring system capable of measuring a user's hand touch and a position of a stylus pen together.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채널 전극부,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채널 전극부에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일부로부터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신 신호의 수신과 함께 상기 복수의 전극 중 다른 일부로부터 좌표 표시 장치에서 송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1 수신 신호 및 상기 제2 수신 신호를 기초로 손 및 좌표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A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hannel electrod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 driving unit generating a driving signal and providing the channel electrode unit, and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from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second received signal correspon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from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ogether with the reception of the first received signal, and the received first and second received signals And a processor that determines a location of at least one of a hand and a coordinat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hand and coordinate display device.

이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수신 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채널 전극부에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may generate a driving signal having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reception signal and provide the driving signal to the channel electrode unit.

한편, 상기 채널 전극부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극 그룹,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전극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1 수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전극 그룹을 구동하는 동안 상기 제2 전극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hannel electrode unit includes a first electrode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electrode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 electrode group may be included, and the receiver may receive the second received signal from the second electrode group while the driver drives the first electrode group to generate the first received signal.

한편, 상기 채널 전극부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극 그룹,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전극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구동부가 제1 수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전극 그룹 중 일부를 구동하는 동안 상기 제1 전극 그룹 중 나머지 일부로부터 상기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hannel electrode unit includes a first electrode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electrode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cluding an electrode group, wherein the receiving unit may receive the second received signal from the remaining part of the first electrode group while the driving unit drives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group to generate the first received signal. have.

이 경우, 상기 제1 수신 신호와 상기 제2 수신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received signal and the second received signal may be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한편, 상기 수신부는 제1 수신 신호 및 제2 수신 신호를 복수의 채널 단위로 병렬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전극에서 상기 제1 수신 신호 및 상기 제2 수신 신호가 함께 수신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first received signal and the second received signal in parallel in a plurality of channel units, and the processor, the receiving unit so that the first received signal and the second received signal are received together from different electrodes. Can be controlled.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극 교차점에서 각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커패시턴스에 기초하여 상기 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수신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좌표 표시 장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calculates a capacitance between each electrode at a plurality of electrode intersections using the first received signal,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hand based on the calculated capacitance, and the ratio between the received second received signals The posi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may be determined based on.

한편, 상기 구동부는 제1 수신 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1 구동 신호 및 정전 용량 결합을 통하여 상기 좌표 측정 장치로 접근한 좌표 표시 장치의 신호 생성을 위한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Meanwhile, the driving unit generates a second driving signal for generating a signal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approaching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through a combination of a first driving signal for generating a first received signal and a capacitance, and the first driving The signal and the second driving signal may be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이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구동 신호 각각을 서로 다른 전극에 함께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may provide each of the first driving signal and the second driving signal to different electrodes together.

한편,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신호 주파수의 고차 조화파(higher-order harmonics)가 필터링된 신호일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driving signal may be a signal obtained by filtering higher-order harmonics of a signal frequency.

한편, 상기 수신부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1 수신 신호의 수신 중에 상기 좌표 표시 장치에서 송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ceiving unit receives a firs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 first receiving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and a second receiv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while receiving the first receiving signal. It may include a second receiver.

이 경우,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된 제2 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제2 수신 신호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reception unit amplifies and outputs the received second reception signal, an ADC unit that converts the amplified second reception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 second reception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It may include a signal processor for extracting a preset frequency component from the signal.

한편,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수신 신호에서 기설정된 대역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링된 제2 수신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필터링된 제2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필압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receiving unit includes a filter unit that filters a preset band from the received second received signal, a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the magnitude of the filtered second received signal, and a frequency of the filtered second received signal. It may include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pen pressure information using the band.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전방식으로 손의 접촉위치를 감지하며, 접촉 위치 측정을 위한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좌표 표시 장치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는 좌표 측정 장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채널 전극부,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채널 전극부에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채널 전극부 내의 전극들로부터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신 신호와 함께 상기 좌표 표시 장치로부터 발생한 상기 전기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1 수신 신호 및 상기 제2 수신 신호를 기초로 손 또는 좌표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상기 구동부는,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1 구동 신호 및 상기 터치 감지 장치의 상기 전기 신호의 발생을 위한 여기(Excitation) 신호인 제2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제1 구동 신호 및 상기 제2 구동 신호 각각을 서로 다른 전극에 함께 인가한다. Meanwhile,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for sensing a contact position of a coordinate display device that senses a contact position of a hand by an electrostatic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for measuring the contact posi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together with a channel electrode unit that generates a driving signal and provides a driving signal to the channel electrode unit, and a first received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from electrodes in the channel electrode unit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second received signal corresponding to,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determine a position of at least one of a hand or a coordinat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first received signal and the second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er, The driving unit generates a first driving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capacitance and a second driving signal that is an excitation signal for generating the electric signal of the touch sensing device, and the first driving signal and Each of the second driving signals is applied together to different electrodes.

이 경우, 상기 제1 구동 신호 및 제2 구동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driving signal and the second driving signal may be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한편, 상기 구동부는 전극별로 서로 다른 디지털 코드의 제1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riving unit may provide first driving signals of different digital codes for each electrode.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좌표 측정 장치, 및, 상기 좌표 측정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좌표 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좌표 측정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극 중 교차하는 두 전극 간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좌표 표시 장치는, 상기 구동 신호가 감지되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a coordinate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coordinate display device that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at least one electrode of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and the coordinate The measuring device generates a driving signal to detect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wo electrodes intersecting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d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may generate a response signal for a preset time when the driving signal is detected. .

이 경우, 상기 응답 신호와 상기 구동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sponse signal and the driving signal may be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한편, 상기 좌표 표시 장치는 상기 구동 신호의 감지가 종료된 이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may generate a response signal for a preset time after detection of the driving signal is terminated.

한편,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응답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며,상기 제1 신호 수신부 및 제2 신호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상이한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1 수신 신호와 상기 제2 수신 신호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a first signal receiving unit receiving a first receiving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and a second signal receiving unit receiving a second receiving signal for detecting the response signal, wherein the first signal The reception unit and the second signal reception unit may receive the first reception signal and the second reception signal together from different electrodes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표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좌표 측정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좌표 측정 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수신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4의 제1 수신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4의 제2 수신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2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6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 내지 19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패시브 방식의 좌표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20의 좌표 표시 장치가 좌표 측정 장치에 접촉한 경우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제1 실시 예의 액티브 방식의 좌표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제2 실시 예의 액티브 방식의 좌표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4 내지 도 27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 내지 도 3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좌표 표시 장치 및 좌표 측정 장치의 다양한 구동 방식에 따른 파형도,
도 32 내지 도 34는 제6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좌표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3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ordinate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of FIG. 1;
3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diagram of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of FIG. 1;
4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receiving unit of FIG. 2;
5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9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irst receiver of FIG. 4;
10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econd receiver of FIG. 4;
11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3 to 1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17 to 1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20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passive coordinate display device;
FIG. 21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diagram when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of FIG. 20 contacts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22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n active coordinat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3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n active coordinat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24 to 2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28 to 31 are waveform diagrams according to various driving methods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and the coordinate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2 to 3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3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coordinates of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3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oordinat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표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ordinate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좌표 측정 시스템(300)은 좌표 측정 장치(100) 및 좌표 표시 장치(200)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coordinate measurement system 300 may include a coordinate measurement device 100 and a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좌표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10)(구체적으로, 좌표 측정 장치에 접촉한 손가락)의 위치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좌표 측정 장치(100)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일부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다른 전극에서 구동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신호를 측정하여 좌표 측정 장치(100) 상의 사용자의 손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user's hand 10 (specifically, a finger in contact with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Specifically,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the user's hand on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is applied by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some electrodes and measuring a first receive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ignal from another electrode. You can determine the location.

그리고 좌표 측정 장치(100)는 손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 중에 좌표 표시 장치(200)의 위치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좌표 측정 장치(100)는 좌표 표시 장치(200)의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여 좌표 측정 장치(100) 상의 좌표 표시 장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dur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hand. Specifically,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on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100 by receiving a second receive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of the coordinate display apparatus 200.

한편, 좌표 표시 장치(200)가 패시브 방식으로 동작하는 장치인 경우, 즉 자체적인 전원을 구비하지 않는 장치인 경우, 좌표 측정 장치(100)는 복수의 전극 중 일부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구동 신호를 정전 용량 결합을 통하여 좌표 측정 장치로 접근한 좌표 표시 장치(200)의 공진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is a device that operates in a passive manner, that is, a device that does not have its own power,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applies a driving signal to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 The driv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resonance circuit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approaching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through capacitive coupling.

이러한 좌표 측정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좌표 측정 장치(10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이거나,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PMP, MP3 player 등과 같은 전자 장치일 수 있다.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Here,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may be a touch pad, a touch screen, or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laptop,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MP, or an MP3 player having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좌표 표시 장치(200)는 좌표 측정 장치(1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좌표 표시 장치(200)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좌표 표시 장치(200)는 자체적인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액티브 방식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에서 제공되는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패시브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일 수도 있다. 좌표 표시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may transmit a signal to at least one electrode in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tylus pe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may be an active method that operates using its own power source as well as a passive type stylus pen that operates using a driving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3.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시스템(300)은 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신 신호와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수신 신호를 동시 또는 함께 수신하여 빠른 속도로 손의 위치 및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함께 측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ordinate measuring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receives the first received signal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hand and the second received signal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at the same time or at a high speed. The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can be measured together.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좌표 측정 장치(100)에 하나의 좌표 표시 장치(200)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하나의 좌표 측정 장치(100)에 복수의 좌표 표시 장치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좌표 측정 장치(100)는 복수의 좌표 표시 장치 각각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description of FIG. 1, it is illustrated that on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but in implementation, a plurality of coordinate display devices may be connected to on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In this case,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may detect the posi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ordinate display devices.

도 2는 도 1의 좌표 측정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좌표 측정 장치(100)는 채널 전극부(110), 구동부(130), 수신부(140) 및 프로세서(15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channel electrode unit 110, a driving unit 130, a receiving unit 140, and a processor 150.

채널 전극부(110)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채널 전극부(11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전극부(110)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들과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전극부(1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극의 형태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channel electrode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Specifically, the channel electrode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arranged in a matrix form. For example, the channel electrode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shape and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cluded in the channel electrode unit 1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구동부(130)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채널 전극부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30)는 손 터치 감지를 위한 제1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채널 전극부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동 신호는 200 내지 300kHz의 구동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30 generates a driving signal and provides it to the channel electrode unit.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130 may generate a first driving signal for sensing a hand touch and provide it to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s of the channel electrode unit. Here, the first driving signal may have a driving frequency of 200 to 300 kHz.

한편, 보다 빠른 손 감지 동작을 위하여 복수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데, 동일한 구동 신호가 복수의 전극에 제공되는 경우, 구동 신호에 따라 수신된 응답 신호가 어떠한 전극에서 인가된 구동 신호에 의한 것인지 구분하기 불가능하다. 따라서, 구동부(130)는 복수의 전극에 서로 다른 제1 구동 신호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30)는 복수의 전극에 서로 다른 디지털 코드를 갖는 제1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코드는 이진값을 갖는 펄스 신호일 수 있다. Meanwhile, a driving signal may be provided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 a faster hand detection operation. When the same driving signal is provided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a response signal received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is a driving signal applied from a certain electrode. It is impossible to tell if it is due to.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130 may provide different first driving signals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ogether.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130 may provide first driving signals having different digital codes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Here, the digital code may be a pulse signal having a binary value.

한편, 구동부(130)는 정전 용량 결합을 통하여 좌표 측정 장치로 접근한 좌표 표시 장치(200)의 공진 회로로 전달하기 위한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표 표시 장치(200)가 패시브 방식으로 동작하는 스타일러스 펜인 경우, 구동부(130)는 채널 전극부(110) 내의 전극들에 대해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 신호를 정전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을 통하여 좌표 측정 장치(100)로 접근한 물체의 공진 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riving unit 130 may generate a second driving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resonance circuit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that has approached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through capacitive coupling. Specifically, when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is a stylus pen operating in a passive manner, the driving unit 130 a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s in the channel electrode unit 110, thereby capacitive coupling the driving signal. ) Can be transmitted to the resonance circuit of the object approached to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이때, 구동부(130)는 좌표 표시 장치(200)에 보다 많은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채널 전극부(110) 내의 전극들에 대해서 복수의 전극 단위로 동일한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구동 신호는 제1 구동 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대략 500khz 내지 2Mhz의 구동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130 may apply the same second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s in the channel electrode unit 110 in units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in order to transfer more energy to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Here, the second driving signal is a signal having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driving signal and may have a driving frequency of approximately 500 kHz to 2 MHz.

예를 들어, 구동부(130)는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복수의 전극 모두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하거나,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 모두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하거나,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 중 인접한 전극 몇 개에만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하거나, 상호 교차하는 두 개의 전극에 동일한 구동 신호를 일괄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가 방식은 일 예에 불과하며, 2개 이상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함께 일괄적으로 인가하는 형태라면 상술한 예시 이외의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130 collectively applies the same driving signal to all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 units of a preset period, or collectively applies the same driving signal to all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or The same driving signal may be collectively applied to only a few adjacent electrodes amo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rranged in the direction, or the same driving signal may be collectively applied to two electrode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Such an application method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implemented in a manner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xample if the driving signal is collectively applied to two or more electrodes.

한편, 상술한 제2 구동 신호는 신호 주파수(또는 공진 주파수)의 고차 조화파(higher-order harmonics)가 필터링된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에서는 주파수에 따른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규격으로 불필요한 노이즈의 발생을 규제하고 있다. 그런데 고차 조화파를 필터링하면 고주파수 노이즈를 감소시키므로 EMI 측면에서 유리하다.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second driving signal may be a signal obtained by filtering higher-order harmonics of a signal frequency (or resonance frequency). Specifically, in electronic devices, generation of unnecessary noise is regulated in accordance with an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 standard according to frequency. However, filtering high-order harmonics reduces high-frequency noise,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MI.

수신부(140)는 복수의 전극 중 일부로부터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신 신호의 수신과 함께 복수의 전극 중 다른 일부로부터 좌표 표시 장치에서 송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140)는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전극 중 일부로부터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전극 중 다른 일부로부터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40)는 구체적인 수신 동작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The receiver 140 receives a first received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from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d receives a second received signal correspon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from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 In more detail, the receiver 140 may receive a first reception signal from some of the electrodes to which the first driving signal is not applied, and may receive a second reception signal from another part of the electrodes to which the first driving signal is not applied. The receiv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for a specific receiving operation.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제1 수신 신호 및 제2 수신 신호를 기초로 손 및 좌표 표시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전극 중 일부에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도록 구동부(130)를 제어하고, 제1 구동 신호의 인가된 상태에서 나머지 전극 중 일부에서 제1 수신 신호와 다른 일부에서 제2 수신 신호가 함께 수신되도록 수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50 determines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hand and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based on the received first and second received signals. Specifically, the processor 150 controls the driving unit 130 to apply the first driving signal to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some of the remaining electrodes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received signal. The receiver 14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second received signal is received together.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제1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전극 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교차점에서 각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를 계산하고, 계산된 커패시턴스에 기초하여 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50 may calculate a capacitance between the electrodes at a plurality of electrode intersection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s using the first received signal, and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hand based on the calculated capacitance.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전극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제2 수신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좌표 표시 장치(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되어, 제1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전극이 배치되고, 제1 방향에 수직된 제2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전극이 배치된 경우, 프로세서(150)는 제1 전극들에서 수신된 제2 수신 신호 간의 비율로부터 좌표 표시 장치(200)의 제2 방향 접촉 위치를 판단하고, 제2 전극들에서 수신된 제2 수신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좌표 표시 장치(200)의 제1 방향 접촉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50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based on a ratio between the second received signals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configured in a matrix form,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re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processor 150 ) Determines the contact position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from the ratio between the second recep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electrodes, and displays the coordinates based on the ratio between the second recep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second electrodes The contact position of the device 200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determined.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제2 수신 신호의 공진 주파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 표시 장치(200)의 접촉 압력을 감지하거나, 수신된 제2 수신 신호의 공진 주파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 표시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processor 150 detects a contact pressure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based on a change i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ceived second received signal, or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based on a change i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ceived second received signal. ) Operation mode can be detect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100)는 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신 신호와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수신 신호를 함께 수신하여 빠른 속도로 손의 위치 및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함께 측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the first received signal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hand and the second received signal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at a high speed, and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can be measured together.

이상에서는 좌표 측정 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좌표 측정 장치(100)는 상술한 구성 이외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표 측정 장치(10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좌표 측정 장치(100)가 스마트폰, PMP 등의 장치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저장부, 통신 구성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Although only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is a touch screen, a display configur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and when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is a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a PMP, a display, a storage unit, and a communication configuration It may further include such as.

도 3은 도 1의 좌표 측정 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diagram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of FIG. 1.

도 3을 참조하면, 좌표 측정 장치(100)는 채널 전극부(110), 구동부(130), 수신부(140), 프로세서(150) 및 연결부(16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channel electrode unit 110, a driving unit 130, a receiving unit 140, a processor 150, and a connection unit 160.

채널 전극부(110)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전극부(110)는 상호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전극 그룹(111, 112, 113, 114, 115, 116) 및 제2 전극 그룹(121, 122, 123, 124, 125, 12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hannel electrode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channel electrode unit 110 includes first electrode groups 111, 112, 113, 114, 115, 116 and second electrode groups 121, 122, which are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123, 124, 125, 126).

제1 전극 그룹(111, 112, 113, 114, 115, 116)은 제1 방향(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전극(111, 112, 113, 114, 115, 1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 그룹(111, 112, 113, 114, 115, 116) 내의 복수의 제1 전극(111, 112, 113, 114, 115, 116) 각각은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할 때, 제1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용 전극일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groups 111, 112, 113, 114, 115, and 116 may include first electrodes 111, 112, 113, 114, 115, 116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Here, the first electrode is a transparent electrode and may be made of an indium tin oxide (ITO) material. Whe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111, 112, 113, 114, 115, and 116 in the first electrode group 111, 112, 113, 114, 115, 116 detects the position of the finger, the first It may be a transmission electrode for transmitting a driving signal.

제2 전극 그룹(121, 122, 123, 124, 125, 126)은 제2 방향(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전극(121, 122, 123, 124, 125, 12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극 그룹(121, 122, 123, 124, 125, 126) 내의 제2 전극(121, 122, 123, 124, 125, 126) 각각은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할 때, 제1 전극에서 입력된 제1 구동 신호에 의하여 야기되는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용 전극일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group 121, 122, 123, 124, 125, 126 may include second electrodes 121, 122, 123, 124, 125, 126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Here, the second electrode is a transparent electrode and may be made of an indium tin oxide (ITO) material. Each of the second electrodes 121, 122, 123, 124, 125, 126 in the second electrode group 121, 122, 123, 124, 125, 126 detects the position of the finger, It may be a reception electrode for receiving a first reception signal caused by the input first driving signal.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전극 그룹 각각에 6개의 전극만이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7개 이상 또는 5개 이하의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는 전극 그룹 내의 전극의 형상이 단순한 직사각형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각 전극의 형상은 보다 복잡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illustrated example, it is shown that only six electrodes are included in each of the electrode groups, but when implemented, it may be implemented with 7 or more or 5 or less electrode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hape of the electrode in the electrode group is shown in a simple rectangular shape, but in implementation, the shape of each electrode may be implemented in a more complex shape.

구동부(130)는 기결정된 시점에 채널 전극부(110)에 제1 구동 신호 및/또는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구동부(13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앞서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The driving unit 130 applies a first driving signal and/or a second driving signal to the channel electrode unit 110 at a predetermined time. Since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30 has been described above in FIG. 2, a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수신부(140)는 서로 다른 전극에서 제1 수신 신호 및 제2 수신 신호를 함께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140)는 제2 전극 각각으로부터 제1 수신 신호를 복수의 채널 단위(도시된 예에서는 3개)로 병렬 수신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으로부터 제2 수신 신호를 복수의 채널 단위로 병렬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4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receiving unit 140 receives a first reception signal and a second reception signal together from different electrodes. Specifically, the receiving unit 140 receives a first received signal from each of the second electrodes in a plurality of channel units (three in the illustrated example) in parallel, and receives a plurality of second received signals from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Parallel reception is possible in units of channels. A detailed operation of the receiv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그리고 수신부(140)는 수신된 제1 수신 신호 및 제2 수신 신호에 대해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140)는 각 수신 신호를 증폭기를 이용하여 증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140 may perform various signal processing on the received first and second received signals. For example, the receiving unit 140 may amplify each received signal using an amplifier. Such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

연결부(160)는 채널 전극부(110) 내의 전극 각각을 선택적으로 구동부(130) 또는 수신부(140)에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60)의 동작은 후술할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각 구동부(130) 및 수신부(140)의 제어에 의해서도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60)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unit 160 may selectively connect each of the electrodes in the channel electrode unit 110 to the driving unit 130 or the receiving unit 140.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160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5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also be operated by the control of each driving unit 130 and the receiving unit 140. The connection unit 160 may be implemented using a plurality of switch elements.

프로세서(150)는 손의 감지 및 좌표 표시 장치(200)의 위치가 함께 측정될 수 있도록 손의 감지에 대응되는 제1 수신 신호와 좌표 표시 장치(200)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가 함께 측정될 수 있도록 구동부(130) 및 수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50)는 CPU, Microprocessor, ASI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rocessor 150 measures the first receive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of the hand and the second receive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together so that the detection of the hand and the posi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can be measured togeth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iving unit 130 and the receiving unit 140 to be able to be. The processor 150 may be implemented as a CPU, a microprocessor, or an ASIC.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1시간 구간에서 제1 전극의 제1 서브 그룹(111, 112, 113)에 제1 구동 신호(구체적으로 각 제1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디지털 코드는 다른 값을 가짐)가 인가되도록 구동부(130)를 제어하고,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중에 제2 전극의 일부(121,122,123)에서 제1 수신 신호의 수신과 함께 제1 전극의 제2 서브 그룹(114, 115, 116)에서 제2 수신 신호가 수신되도록 수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50 provides a first driving signal to the first subgroups 111, 112, 113 of the first electrode in the first time period (specifically, the digital code of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each first electrode is The driving unit 130 is controlled so that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and while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the second subgroup 114 of the first electrode receives the first reception signal at some portions 121, 122, 123 of the second electrode. The receiver 14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second received signal is received at 115 and 116.

이후에 프로세서(150)는 제2시간 구간에서 제1 서브 그룹(111, 112, 113)에 제1 구동 신호가 계속하여 인가되도록 구동부(130)를 제어하고,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중에 제2 전극의 다른 일부(124, 125, 126)에서 제1 수신 신호의 수신과 함께 제2 전극의 일부(121, 122, 123)에서 제2 수신 신호가 수신되도록 수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processor 150 controls the driving unit 130 so that the first driving signal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first subgroups 111, 112, and 113 in the second time period, and the second driving signal is applied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first driving signal. The receiving unit 140 may be controlled so that a second received signal is received from a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121, 122, 123) together with the reception of the first received signal from another part of the electrode (124, 125, 126).

이후에 프로세서(150)는 제3시간 구간에서 제1 전극의 제2 서브 그룹(114, 115, 116)에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도록 구동부(130)를 제어하고,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중에 제2 전극의 일부(121,122,123)에서 제1 수신 신호의 수신과 함께 제2 전극의 다른 일부(124, 125, 126)에서 제2 수신 신호가 수신되도록 수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processor 150 controls the driving unit 130 so that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ubgroups 114, 115, and 116 of the first electrode in the third time period, and during application of the first driving signal. The receiving unit 140 may be controlled to receive the first received signal from some of the second electrodes 121, 122, 123 and receive the second received signal from the other parts 124, 125, and 126 of the second electrode.

이후에 프로세서(150)는 제4시간 구간에서 제2 서브 그룹(114, 115, 116)에 제1 구동 신호가 계속하여 인가되도록 구동부(130)를 제어하고,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중에 제2 전극의 다른 일부(124, 125, 126)에서 제1 수신 신호의 수신과 함께 제1 전극의 제1 서브 그룹(111, 112, 113)에서 제2 수신 신호가 수신되도록 수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cessor 150 controls the driving unit 130 so that the first driving signal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econd subgroups 114, 115, and 116 in the fourth time period, and the second driving signal is applied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first driving signal. Control the receiving unit 140 so that the second receiving signal is received in the first subgroup 111, 112, 113 of the first electrode together with the first receiving signal in the other part of the electrode (124, 125, 126). I can.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손 위치 감지에 필요한 제1 수신 신호와 좌표 표시 장치의 위치 감지에 필요한 모든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rough such an operation, a first reception signal required for hand position detection and a second reception signal received from all electrodes required for position detec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may be received.

그리고 제2 전극 모두에 대한 제1 수신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50)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교차점에서의 커패시턴스를 계산하고, 프로세서(150)는 계산된 커패시턴스에 기초하여 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And when the first received signals for all of the second electrodes are received, the processor 150 calculates the capacitance at a plurality of electrode intersection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processor 150 calculates the calculated capacitance. Based on the hand position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1 내지 제4시간 구간에서 제2 전극 각각에서 수신된 제1 수신 신호의 변화에 기초하여 커패시턴스를 계산하고, 계산된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가장 큰 제1 전극(114)에 대응되는 Y 좌표를 손의 Y 좌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1 수신 신호의 변화에 기초하여 커패시턴스를 계산하고, 계산된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가장 큰 제2 전극(125)에 대응되는 X 좌표를 손의 X 좌표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50 calculates the capacitance based on a change in the first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each of the second electrodes in the first to fourth time intervals, and the first electrode having the largest change in the calculated capacitance ( The Y coordinate corresponding to 114) can be determined as the Y coordinate of the hand, and the capacitance is calculated based on the change in the first received signal, and the X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ectrode 125 having the largest change in the calculated capacitance The coordinates can be determined as the X coordinate of the hand.

그리고 모든 전극에 대한 제2 수신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50)는 제1 전극(111, 112, 113, 114, 115, 116)에서 수신된 제2 수신 신호 간의 비율 및 제2 전극(121, 122, 123, 124, 125, 126)에서 수신된 제2 수신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좌표 표시 장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And when the second reception signals for all the electrodes are received, the processor 150 determines the ratio between the second recep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electrodes 111, 112, 113, 114, 115, and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1, The posi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ratio between the second received signals received at 122, 123, 124, 125, and 126.

예를 들어, 제1 전극(113)의 제2 수신 신호의 크기가 다른 제1 전극(111, 112, 114, 115, 116)의 제2 수신 신호의 크기보다 크고, 제2 전극(123)의 응답 신호의 크기가 다른 제2 전극(121, 122, 124, 125, 126)의 제2 수신 신호의 크기보다 크다면, 프로세서(150)는 제1 전극(112, 113, 114)에서 수신된 제2 수신 신호 간의 비율로부터 좌표 표시 장치(200)의 제2 방향 접촉 위치를 판단하고, 제2 전극(122, 123, 124)에서 수신된 제2 수신 신호 간의 비율로부터 좌표 표시 장치(200)의 제1 방향 접촉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ize of the second received signal of the first electrode 113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received signal of the other first electrodes 111, 112, 114, 115, 116, and If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signal is larger than the magnitude of the second received signal of the other second electrodes 121, 122, 124, 125, 126, the processor 150 2 The second direction contact posi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is determined from the ratio between the received signals, and the second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is determined from the ratio between the second received signals received from the second electrodes 122, 123, and 124. One-way contact position can be determined.

한편, 도 3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매트릭스 형태 이외의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of FIG. 3, it has been described that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disposed in a matrix form, but may be disposed in a form other than a matrix form at the time of implementation.

도 4는 도 2의 수신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ceiver of FIG. 2.

도 4를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제1 수신부(141) 및 제2 수신부(145)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receiving unit 140 includes a first receiving unit 141 and a second receiving unit 145.

제1 수신부(141)는 손 감지를 위한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신부(141)는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으로부터 제1 수신 신호를 복수의 채널 단위로 병렬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부(141)는 교번적으로 제2 전극의 일부(121, 122, 123)와 제2 전극의 다른 일부(124, 125, 126)로부터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1 수신부(141)는 교번적으로 제2 전극의 일부(121, 123, 125)와 제2 전극의 다른 일부(122, 124, 126)로부터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신부(14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first receiver 141 receives a first reception signal for hand detection. Specifically, the first reception unit 141 may receive a first reception signal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in parallel in units of a plurality of channels. For example,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may alternately receive a first reception signal from a portion 121, 122, 123 of the second electrode and another portion 124, 125, 126 of the second electrode. . Alternatively, the first receiver 141 may alternately receive a first reception signal from a portion 121, 123, 125 of the second electrode and another portion 122, 124, 126 of the second electrode.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receiver 141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

제2 수신부(145)는 좌표 표시 장치(100)의 감지를 위한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2 수신부(145)는 복수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으로부터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수신부(145)는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며, 제1 수신부(141)가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전극에 대해서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수신부(145)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second reception unit 145 receives a second reception signal for detection by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100. Specifically, the second reception unit 145 may receive a second reception signal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n this case, the second receiving unit 145 is not applied with the first driving signal, and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may receive a second receiving signal for an electrode that does not receive the first receiving signal.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cond receiver 145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0.

도 5 내지 도 8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 예는 액티브 방식으로 동작하는 스타일러스 펜과 손의 위치를 함께 측정하는 경우의 동작이다. 5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pecifically, the first embodiment is an operation when a stylus pen operating in an active manner and a position of a hand are measured together.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전극 그룹(111, 112, 113, 114, 115, 116)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 단위로 복수의 서브 그룹으로 구분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전극 그룹(111, 112, 113, 114, 115, 116)은 제1 서브 그룹(111, 112, 113)과 제2 서브 그룹(114, 115, 116)으로 구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electrode groups 111, 112, 113, 114, 115, and 116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groups in units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that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rst electrode groups 111, 112, 113, 114, 115, and 116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ubgroup 111, 112, 113 and a second subgroup 114, 115, 116. .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부(130)는 제1 전극 그룹의 제1 서브 그룹(111, 112, 113)에 제1 구동 신호(Tx Signal)(구체적으로 각 제1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디지털 코드는 다른 값을 가짐)를 인가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driving unit 130 provides a first driving signal (Tx Signal) to the first subgroups 111, 112, 113 of the first electrode group (specifically, the digital code of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each first electrode). Has different values).

그리고 제1 수신부(141)는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상태에서, 제2 전극 그룹의 일부(121,122,123)에서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may receive the first receiving signal from some of the second electrode groups 121, 122, and 123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동시에 제2 수신부(145)는 제1 전극의 제2 서브 그룹(114, 115, 116) 및 제2 전극의 일부(124, 125, 126)로부터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second receiver 145 may receive a second reception signal from the second subgroups 114, 115, 116 of the first electrode and some of the second electrodes 124, 125, 126.

도 6을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제1 서브 그룹(111, 112, 113)에 제1 구동 신호가 계속하여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driver 130 may continuously apply a first driving signal to the first subgroups 111, 112, and 113.

그리고 제1 수신부(141)는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중에 제2 전극의 다른 일부(124, 125, 126)로부터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may receive the first receiving signal from the other portions 124, 125, and 126 of the second electrode while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그리고 제2 수신부(145)는 제2 전극의 일부(121, 122, 123)에서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receiving unit 145 may receive a second received signal from some of the second electrodes 121, 122, and 123.

도 7을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제1 전극의 제2 서브 그룹(114, 115, 116)에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driver 130 may apply a first driving signal to the second subgroups 114, 115, and 116 of the first electrode.

그리고 제1 수신부(141)는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중에 제2 전극의 일부(121,122,123)로부터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may receive the first receiving signal from some of the second electrodes 121, 122, and 123 while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그리고 제2 수신부(145)는 제2 전극의 다른 일부(124, 125, 126)와 제1 전극의 제1 서브 그룹(111, 112, 113)에서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receiver 145 may receive the second reception signal from the other portions 124, 125, 126 of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subgroups 111, 112, and 113 of the first electrode.

도 8을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제1 전극의 제2 서브 그룹(114, 115, 116)에 제1 구동 신호를 계속하여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driver 130 may continuously apply the first driving signal to the second subgroups 114, 115, and 116 of the first electrode.

그리고 제1 수신부(141)는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중에 제2 전극의 다른 일부(124, 125, 126)로부터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may receive the first receiving signal from the other portions 124, 125, and 126 of the second electrode while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그리고 제2 수신부(145)는 제2 전극의 일부(121, 122, 123)에서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receiving unit 145 may receive a second received signal from some of the second electrodes 121, 122, and 123.

상술한 도 5 내지 도 8과 같은 동작을 통하여 제1 수신부(141)는 제2 전극 각각에 대한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수신부(145)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에 대한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rough the same operation as in FIGS. 5 to 8 described above,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may receive a first receiving signal for each of the second electrodes,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145 may be configured with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respectively. A second received signal for may be received.

한편, 이상에서는 서브 그룹이 미리 구분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서브 그룹은 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이전 감지 과정에서 응답 신호가 가장 크게 수신된 전극(예를 들어, 113)과 해당 전극(113)과 기설정된 간격 내의 전극(예를 들어, 112, 114)을 구동 신호가 함께 입력될 서브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그룹의 결정은 좌표 표시 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소요되는 하나의 시간 사이클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subgroups are divided in advance, the subgroups may be dynamically changed during implementa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150 includes an electrode (for example, 113) and an electrode (for example, 112, 114) within a preset interval with the corresponding electrode 113 and the electrode (for example, 113) that received the largest response signal in the previous sensing process. It can be determined as a subgroup to which the driving signals are to be input together. The determination of the subgroup may be performed in units of one time cycle requir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또한, 이상에서는 각 서브 그룹 내의 전극들은 연속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각 서브 그룹은 상호 교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그룹(111, 113, 115)과 제2 서브 그룹(112, 114, 116)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that the electrodes in each subgroup are disposed in succession, each subgroup may be disposed intersecting each other in implementation. For example, it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ubgroup 111, 113, 115 and a second subgroup 112, 114, 116.

도 9는 도 4의 제1 수신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receiver of FIG. 4.

도 9를 참조하면, 제1 수신부(141)는 복조부(146), 적분기(147), ADC부(148)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may include a demodulation unit 146, an integrator 147, and an ADC unit 148.

복조부(146)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제1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30)는 신호 대 잡음 비의 향상을 위해서 특정의 주파수나 패턴으로 변조된 제1 구동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복조부(146)는 제1 수신 신호의 복조를 위한 정보를 프로세서(150) 또는 구동부(13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The demodulator 146 may demodulate and output the first received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electrode. In this case, the driver 130 may generate a first driving signal modulated with a specific frequency or pattern in order to improve the signal-to-noise ratio. In addition, the demodulation unit 146 may receive information for demodulation of the first received signal from the processor 150 or the driving unit 130.

적분기(147)는 복조부(146)에서 출력된 신호를 축적할 수 있다. 이러한 축적 과정을 거치면 제1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주파 노이즈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The integrator 147 may accumulate a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46. Through this accumulation process, a high-frequency noise component included in the first received signal may be removed.

ADC부(148)는 적분기(147)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50)에 전달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50)는 전달된 정보를 기반으로 손가락이 터치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The ADC unit 148 may convert the signal output from the integrator 147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processor 150, and the processor 150 may determine the position where the finger was touched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

한편, 도 9에서는 제1 수신부(141)가 복조부(146), 적분기(147), ADC부(148) 각각 하나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구현시에 제1 수신부(141)는 제1 수신부(141)가 동시 처리할 전극 개수만큼의 복수의 복조부, 적분기, ADC부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FIG. 9,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is illustrated as including only one of the demodulation unit 146, the integrator 147, and the ADC unit 148. The receiving unit 141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modulators, integrators, and ADCs as many as the number of electrodes to be processed simultaneously.

도 10은 도 4의 제2 수신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econd receiver of FIG. 4.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수신부(145)는 증폭부(142), ADC부(143), 신호 처리부(또는 DSP)(144)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second receiving unit 145 may include an amplifying unit 142, an ADC unit 143,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or DSP) 144.

증폭부(142)는 각 전극에서 전달되는 제2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The amplification unit 142 amplifies and outputs the second received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electrode.

ADC부(143)는 증폭된 제2 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The ADC unit 143 converts the amplified second received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신호 처리부(144)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제2 수신 신호로부터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등의 방법을 통해서 수신된 신호의 크기 및 주파수 성분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신호의 크기 및 주파수 성분 등을 이용하여 프로세서(150)는 좌표 표시 장치(200)의 접촉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좌표표시 장치(200)의 접촉 압력에 따라서 제2 수신 신호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경우, 좌표 표시 장치(200)의 접촉 압력도 판단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or 144 may extract a magnitude and a frequency component of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second received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 method such as Fourier Transform. The processor 150 may determine the contact posi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by using the magnitude and frequency component of the extracted signal, and the second received signal may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contact pressure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When the frequency changes, the contact pressure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may also be determined.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원하는 신호뿐만 아니라, 노이즈도 함께 수신된다. 이러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신호 처리부(144)를 이용하여 제2 수신 신호의 주파수 영역에 대응되는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ode receives not only a desired signal, but also noise. In order to effectively control such noise,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frequency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domain of the second received signal may be extracted using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4.

이와 같이 제2 수신부(145)는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바, 응답 신호의 수신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receiver 145 can remove the noise component by extracting only the preset frequency component,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response signal can be improved.

한편, 도 10에서는 제2 수신부(145)가 증폭부(142), ADC부(143), 신호 처리부(또는 DSP)(144) 각각 하나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구현시에 제2 수신부(145)는 제2 수신부(145)가 동시 처리할 전극 개수만큼의 복수의 증폭부, 복수의 ADC, 복수의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FIG. 10, the second receiving unit 145 is shown to include only one each of the amplifying unit 142, the ADC unit 143,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or DSP) 144, but in implementation, the second receiving unit 145 The second receiver 145 may include a plurality of amplification units, a plurality of ADCs, and a plurality of signal processing units as many as the number of electrodes to be simultaneously processed by the second receiver 145.

한편, 입력되는 노이즈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상술한 증폭부(142)의 앞/뒤 또는 내부에 별도의 아날로그 필터(analog filter)를 추가하여 노이즈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the input noise is large, a separate analog filter may be added to the front/rear or inside of the amplifying unit 142 described above to reduce the size of the noise.

도 11 내지 도 12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2 실시 예는 글로벌 스캔 과정에서 액티브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과 손의 위치를 함께 측정하는 경우의 동작이다. 구체적으로, 좌표 측정 장치(100)는 펜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글로벌 스캔 과정과 기존의 펜의 위치 근처를 스캔하는 로컬 스캔의 두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로컬 스캔의 단계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 중 일부 과정이 생략되어 적용될 수 있다. 11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ere, the second embodiment is an operation when the active type stylus pen and the position of the hand are measured together in the global scanning process. Specifically,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100 may be divided into two steps: a global scan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en is in contact, and a local scan for scanning a location near the existing pen. In the local scan step,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and applied.

도 11을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제1 전극의 제1 서브 그룹(111, 112, 113)에 제1 구동 신호(Tx Signal)(구체적으로 각 제1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디지털 코드는 다른 값을 가짐)를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driver 130 includes a first driving signal (Tx Signal) (specifically, a digital code of a driving signal applied to each first electrode) to the first subgroups 111, 112, and 113 of the first electrode. Has different values).

그리고 제1 수신부(141)는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상태에서, 제2 전극의 전부(121,122,123, 124, 125, 126)에서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ception unit 141 may receive the first reception signal from all of the second electrodes 121, 122, 123, 124, 125, and 126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동시에 제2 수신부(145)는 제1 전극의 제2 서브 그룹(114, 115, 116)으로부터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second receiver 145 may receive a second received signal from the second subgroups 114, 115, and 116 of the first electrode.

도 12를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제2 서브 그룹(114, 115, 116)에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driver 130 may apply a first driving signal to the second subgroups 114, 115, and 116.

그리고 제1 수신부(141)는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상태에서, 제2 전극의 전부(121,122,123, 124, 125, 126)에서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ception unit 141 may receive the first reception signal from all of the second electrodes 121, 122, 123, 124, 125, and 126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동시에 제2 수신부(145)는 제1 전극의 제1 서브 그룹(111, 112, 113)으로부터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second receiver 145 may receive a second received signal from the first subgroups 111, 112, and 113 of the first electrode.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하여 프로세서(150)는 손의 위치를 판단하고, 좌표 표시 장치의 접촉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rough such an operation, the processor 150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hand and determine whether there is contact with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도 13 내지 도 16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3 실시 예는 제2 수신부(145)가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제2 수신 신호를 함께 수신하는 실시 예이다. 13 to 1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ere, the third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receiver 145 receives the second reception signal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gether.

도 13을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제1 전극의 제1 서브 그룹(111, 112, 113)에 제1 구동 신호(Tx Signal)(구체적으로 각 제1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디지털 코드는 다른 값을 가짐)를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driver 130 includes a first driving signal (Tx Signal) (specifically, a digital code of a driving signal applied to each first electrode) to the first subgroups 111, 112, and 113 of the first electrode. Has different values).

그리고 제1 수신부(141)는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상태에서, 제2 전극의 일부(121,122,123)에서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may receive the first receiving signal from some of the second electrodes 121, 122, and 123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동시에 제2 수신부(145)는 제1 전극의 제2 서브 그룹(114, 115, 116)과 제2 전극의 다른 일부(124, 125, 126)으로부터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second receiver 145 may receive a second reception signal from the second subgroups 114, 115, and 116 of the first electrode and other portions 124, 125, and 126 of the second electrode.

도 14를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제1 서브 그룹(111, 112, 113)에 제1 구동 신호가 계속하여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the driver 130 may continuously apply a first driving signal to the first subgroups 111, 112, and 113.

그리고 제1 수신부(141)는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중에 제2 전극의 다른 일부(124, 125, 126)로부터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may receive the first receiving signal from the other portions 124, 125, and 126 of the second electrode while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그리고 제2 수신부(145)는 제2 전극의 일부(121, 122, 123)에서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receiving unit 145 may receive a second received signal from some of the second electrodes 121, 122, and 123.

도 15을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제1 전극의 제2 서브 그룹(114, 115, 116)에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driver 130 may apply a first driving signal to the second subgroups 114, 115, and 116 of the first electrode.

그리고 제1 수신부(141)는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중에 제2 전극의 일부(121,122,123)로부터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may receive the first receiving signal from some of the second electrodes 121, 122, and 123 while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그리고 제2 수신부(145)는 제2 전극의 다른 일부(124, 125, 126) 및 제1 서브 그룹(111, 112, 113)에서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receiver 145 may receive the second reception signal from the other portions 124, 125, 126 of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subgroups 111, 112, and 113.

도 16을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제1 전극의 제2 서브 그룹(114, 115, 116)에 제1 구동 신호를 계속하여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driver 130 may continuously apply the first driving signal to the second subgroups 114, 115, and 116 of the first electrode.

그리고 제1 수신부(141)는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중에 제2 전극의 다른 일부(124, 125, 126)로부터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may receive the first receiving signal from the other portions 124, 125, and 126 of the second electrode while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그리고 제2 수신부(145)는 제2 전극의 다른 일부(121, 122, 123)로부터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reception unit 145 may receive a second reception signal from the other portions 121, 122, and 123 of the second electrode.

상술한 도 13 내지 도 16과 같은 동작을 통하여 제1 수신부(141)는 제1 전극 각각에 대한 제2 전극 모두의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수신부(145)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에 대한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13 through 16 described above,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may receive the first receiving signals of all of the second electrodes for each of the first electrodes,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145 may be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reception signal for each of the second electrodes.

도 17 내지 19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4 실시 예는 패시브 방식으로 동작하는 스타일러스 펜과 손의 위치를 함께 측정하는 경우의 동작이다. 그리고 제4 실시예에서는 좌표 측정 장치(100)가 손의 위치 및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이전 감지를 통하여 알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17 to 1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Specifically, the fourth embodiment is an operation when a stylus pen operating in a passive manner and a position of a hand are measured together. In addi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100 knows the position of the hand and the position of the stylus through previous detection.

도 17을 참조하면, 패시브 방식으로 동작하는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받기 위해서는 선행적으로 전극에 구동 신호의 전달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구동부(130)는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전극(111, 112, 113, 124,125, 126)에 인가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6개의 전극에만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모든 전극에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으며, 모든 제1 전극에만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하거나 모든 제2 전극에만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7, in order to receive a response signal from a stylus pen operating in a passive manner, it is necessary to transmit a driving signal to an electrode in advance.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130 generates a second driving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112, 113, 124, 125 and 126.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shown that the second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only six electrodes.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the second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to all electrodes, and the second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only to all the first electrodes, or to all the second electrodes. The second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only to the electrode.

제2 구동 신호의 인가 과정에서 제1 수신부(141) 및 제2 수신부(145)는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second driving signal,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145 do not receive the signal.

한편, 패시브 방식의 좌표 표시 장치의 여기를 위한 제2 구동 신호와 캐피시턴스 센싱을 위한 제1 구동 신호는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Meanwhil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second driving signal for excitation of the passive coordinate display device and the first driving signal for capacitance sensing have different driving frequencies to minimize signal interference.

또한, 공진형 패시브 펜의 경우에는 터치 패널로부터 에너지를 수신하여 펜이 발생시키는 신호는 공진 신호로서 정현파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좌표 측정 장치에서는 전송된 제2 구동 신호 중 공진 주파수 근처의 주파수를 가진 신호만이 펜의 공진 회로를 여기 시키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resonant passive pen, a signal generated by the pen by receiving energy from the touch panel has a characteristic of being a sine wave as a resonant signal. Accordingly, in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only a signal having a frequency near the resonance frequency among the transmitted second driving signals excites the resonance circuit of the pen.

따라서, 제2 구동 신호(즉, 펜 여기 신호)는 공진 주파수의 고차 조화파(higher order harmonics)가 제거된 신호인 것이 효율적이다. Therefore, it is effective that the second driving signal (ie, the pen excitation signal) is a signal from which higher order harmonics of the resonance frequency have been removed.

한편, 전자 기기에서는 주파수에 따른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규격으로 불필요한 노이즈의 발생을 규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차 조화파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고주파 노이즈를 감소시키므로 EMI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On the other hand, in electronic devices, generation of unnecessary noise is regulated by a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tandard according to frequency. In the case of removing the high-order harmonic wav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MI as it reduces high-frequency noise.

패시브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여기하기 위한 제2 구동 신호의 주파수는 보통 수 M 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게 되지만, 구동 신호에 고차항(higher order term)들이 많이 존재하게 되면 EMI 규격이 정의하고 있는 30MHz 이상의 주파수에서도 필요 이상의 노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로우 패스 필터를 적용하면 이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frequency of the second drive signal to excite the passive stylus pen is usually used a frequency of several M Hz or less, but if there are many higher order terms in the drive signal, the EMI standard defines 30 MHz.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ore noise than necessary may be generated even at a higher frequency, and the occurrence of such a problem can be prevented by applying a low pass filter.

도 18을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이전에 감지된 손의 위치에 따라 손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1 전극의 일부(113, 114, 115)에만 제1 구동 신호(Tx Signal)(구체적으로 각 제1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디지털 코드는 다른 값을 가짐)를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the driving unit 130 provides a first driving signal (Tx Signal) (specifically, only a portion 113, 114, 115) of the first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hand according to the previously sensed position of the hand. Digital codes of driving signals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electrodes may have different values).

그리고 제1 수신부(141)는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상태에서, 제2 전극의 일부(121,122,123)에서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may receive the first receiving signal from some of the second electrodes 121, 122, and 123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동시에 제2 수신부(145)는 제2 전극의 다른 일부(124, 125, 126)로부터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second receiving unit 145 may receive a second receiving signal from the other portions 124, 125, and 126 of the second electrode.

도 19를 참조하면, 제2 수신부(145)는 제1 전극의 일부(111, 112, 113)에서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the second reception unit 145 may receive a second reception signal from some of the first electrodes 111, 112, and 113.

이와 같이 제4 실시 예의 경우 제2 구동 신호의 인가 동작을 제외하고 2개의 구분 동작만으로 손의 위치 및 좌표 표시 장치의 위치를 빠르게 측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hand and the posi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can be quickly measured with only two separate operations except for the application of the second driving signal.

도 20은 패시브 방식의 좌표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0 is a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passive coordinate display device.

도 20을 참조하면, 좌표 표시 장치(200)는 전도성 팁(210), 공진 회로부(220), 접지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좌표 표시 장치(200)는 예를 들어 펜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may include a conductive tip 210, a resonance circuit part 220, and a ground part 230.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in the shape of a pen, for example.

전도성 팁(210)(또는 송신 전극)은 좌표 측정 장치(100) 내의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형성한다. 이러한 전도성 팁(210)은 예를 들어 금속성 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팁(210)은 비전도성 물질 내부에 존재하거나 또는 전도성 팁(2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시에 필기 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전도성 팁(210)이 외부와 직접적인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tip 210 (or the transmission electrode) forms a capacitance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The conductive tip 210 may be formed of a metallic tip, for example. In addition, the conductive tip 210 may exist inside a non-conductive material or a part of the conductive tip 2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onductive tip 210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portion preventing direct contact with the outside in order to soften the feeling of writing during use.

공진 회로부(220)는 전도성 팁에 연결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병렬 연결 회로를 포함한다. The resonance circuit unit 220 includes a parallel connection circuit composed of an inductor and a capacitor connected to a conductive tip.

그리고 공진 회로부(220)는 좌표 측정 장치(1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전도성 팁 간의 커패시티브 커플링을 통하여 공진을 위한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진 회로부(220)는 좌표 측정 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신호에 공진할 수 있다. 그리고 공진 회로부(220)는 구동 신호의 입력이 중단된 이후에도 기설정된 시간 동안 더 공진에 의한 공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회로부(220)는 공진 회로부(220)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사인파형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onance circuit unit 220 may receive energy for resonance through a capacitive coupling between at least one electrode in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and a conductive tip. Specifically, the resonance circuit unit 220 may resonate with a driving signal input from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100. In addition, the resonance circuit unit 220 may further output a resonance signal due to resonance for a preset time even after the input of the driving signal is stopped. For example, the resonant circuit unit 220 may output a sinusoidal signal having a resonant frequency of the resonant circuit unit 220.

그리고 공진 회로부(220)는 전도성 팁의 접촉 압력에 따라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가변하여 공진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onant circuit unit 220 may change a resonant frequency by varying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or the inductance of the inductor according to the contact pressure of the conductive tip.

또한, 공진 회로부(2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가변하여 공진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onance circuit unit 220 may change the resonance frequency by varying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or the inductance of the inductor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도 21은 도 20의 좌표 표시 장치가 좌표 측정 장치에 접촉한 경우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diagram when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of FIG. 20 contacts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도 21을 참조하면, 패시브 방식의 좌표 표시 장치(200)는 좌표 측정 장치(100)의 채널 전극(821)의 전압 변화에 따라 전도성 팁(210)과 채널 전극(821) 간의 커패시턴스 커플링(830)을 통해서 공진을 위한 에너지를 수신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21, the passiv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includes a capacitance coupling 830 between the conductive tip 210 and the channel electrode 821 according to a voltage change of the channel electrode 821 of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 To receive energy for resonance.

좌표 표시 장치(200) 내의 공진 회로부(220)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로 간단히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펜 팁(210)이 좌표 측정 장치(100)를 누르는 압력에 따라 공진 회로부(220)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가 변화하게 하면, 필압에 따라 펜의 공진 주파수가 변화하게 구현할 수 있다. 공진 주파수의 변화는 좌표 측정 장치의 제2 수신부(145)에서 수신된 제2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하여 좌표 표시 장치의 접촉 필압을 측정할 수 있다. The resonant circuit unit 220 in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can be simply composed of an inductor and a capacitor. When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of the resonant circuit unit 22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pen tip 210 pressing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pe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pen. The change in the resonance frequency may measure the frequency of the second reception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receiver 145 of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to measure the contact pen pressure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한편, 공진 회로부(220)의 일 단은 접지부(230)에 연결되게 되며, 접지부(230)는 보통 좌표 표시 장치의 외부 케이스를 통해서 사용자의 손과 연결되게 된다.Meanwhile, one end of the resonance circuit unit 220 is connected to the ground unit 230, and the ground unit 230 is usually connected to the user's hand through an outer case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도 22는 제1 실시 예의 액티브 방식의 좌표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ctive coordinat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2를 참조하면, 좌표 표시 장치(200')는 전도성 팁(210), 회로부(240), 전원부(25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좌표 표시 장치(200')는 예를 들어 펜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2,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 may include a conductive tip 210, a circuit unit 240, and a power supply unit 250.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 may be implemented in the shape of a pen, for example.

전도성 팁(210)은 좌표 측정 장치(100) 내의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형성한다. 이러한 전도성 팁(210)은 예를 들어 금속성 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팁(210)은 비전도성 물질 내부에 존재하거나 또는 전도성 팁(2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시에 필기 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전도성 팁(210)이 외부와 직접적인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tip 210 forms a capacitance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in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The conductive tip 210 may be formed of a metallic tip, for example. In addition, the conductive tip 210 may exist inside a non-conductive material or a part of the conductive tip 2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onductive tip 210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portion preventing direct contact with the outside in order to soften the feeling of writing during use.

그리고 전도성 팁(210)은 좌표 측정 장치(100)로부터 트리거 신호(또는 여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트리거 신호는 기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제1 구동 신호와 같은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ductive tip 210 may receive a trigger signal (or an excitation signal) from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Here, the trigger signal is a signal having a preset frequency and may have the same frequency as the first driving signal.

회로부(240)는 기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전도성 팁(21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회로부(240)는 전원부(250)에서 제공된 전원에 따라 내부의 소자에서 생성된 특정 주파수의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회로부(240)는 생성된 응답 신호를 전도성 팁(2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신호는 좌표 측정 장치(100)에 좌표 표시 장치(200)의 접촉 위치 측정을 위한 전기 신호가 된다. The circuit unit 240 generates a response signal having a preset frequency and provides it to the conductive tip 210. Specifically, the circuit unit 240 may generate a response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generated by an internal element according to the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50. In addition, the circuit unit 240 may provide the generated response signal to the conductive tip 210. Here, the response signal becomes an electric signal for measuring the contact posi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to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그리고 회로부(240)는 전도성 팁(210)에서의 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필압에 따라 응답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그리고 회로부(240)는 좌표 표시 장치의 동작 모드를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전도성 팁(210)에 제공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ircuit unit 240 may sense the pen pressure at the conductive tip 210 and change the frequency of the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the sensed pen pressure. In addition, the circuit unit 240 may detect an operation mode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generate a response signal having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operation mode, and provide it to the conductive tip 210.

그리고 회로부(240)는 전도성 팁(210)으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감지되면, 응답 신호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생성할 수 있다. 만약 기설정된 시간 내에 트리거 신호가 다시 감지되지 않으면, 회로부(240)는 응답 신호의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그리고 회로부(240)는 좌표 표시 장치(200')가 절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좌표 표시 장치(2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trigger signal is detected from the conductive tip 210, the circuit unit 240 may generate a response signal for a preset time. If the trigger signal is not detected again within a preset time, the circuit unit 240 may stop generating the response signal. In addition, the circuit unit 240 may control each component in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 so that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 maintains a power saving state.

전원부(250)는 회로부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provide power to a circuit unit.

도 23은 제2 실시 예의 액티브 방식의 좌표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3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ctive coordinat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23을 참조하면, 좌표 표시 장치(200")는 송신 전극(210), 수신 전극(260), 회로부(240'), 전원부(25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좌표 표시 장치(200")는 예를 들어 펜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3,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 may include a transmission electrode 210, a reception electrode 260, a circuit unit 240 ′, and a power supply unit 250. Such a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 May be implemented in the shape of a pen, for example.

송신 전극(210)(또는 전도성 팁)은 좌표 측정 장치(100) 내의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형성한다. 이러한 송신 전극(210)은 예를 들어 금속성 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전극(210)은 비전도성 물질 내부에 존재하거나 또는 송신 전극(2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시에 필기 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송신 전극(210)이 외부와 직접적인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electrode 210 (or the conductive tip) forms a capacitance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The transmission electrode 21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lic tip.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electrode 210 may exist inside a non-conductive material or a part of the transmission electrode 2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in order to soften the writing feeling during use, the transmission electrode 210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portion preventing direct contact with the outside.

그리고 수신 전극(260)은 좌표 측정 장치(100) 내의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형성한다. 그리고 수신 전극(260)은 좌표 측정 장치(100)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electrode 260 forms a capacitance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in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In addition, the receiving electrode 260 may receive a trigger signal from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회로부(240)는 기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전도성 팁(21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회로부(240)는 전원부(250)에서 제공된 전원에 따라 내부의 소자에서 생성된 특정 주파수의 응답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회로부(240)는 생성된 응답 신호를 전도성 팁(21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circuit unit 240 generates a response signal having a preset frequency and provides it to the conductive tip 210. Specifically, the circuit unit 240 may generate a response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generated by an internal element according to the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50. In addition, the circuit unit 240 may provide the generated response signal to the conductive tip 210.

그리고 회로부(240)는 전도성 팁(210)에서의 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필압에 따라 응답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그리고 회로부(240)는 좌표 표시 장치의 동작 모드를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전도성 팁(210)에 제공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ircuit unit 240 may sense the pen pressure at the conductive tip 210 and change the frequency of the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the sensed pen pressure. In addition, the circuit unit 240 may detect an operation mode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generate a response signal having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operation mode, and provide it to the conductive tip 210.

그리고 회로부(240)는 수신 전극(260)으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감지되면, 응답 신호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생성할 수 있다. 만약 기설정된 시간 내에 트리거 신호가 다시 감지되지 않으면, 회로부(240)는 응답 신호의 생성을 중단하거나 응답 신호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로부(240)는 좌표 표시 장치(200")가 절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좌표 표시 장치(2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trigger signal is detected from the receiving electrode 260, the circuit unit 240 may generate a response signal for a preset time. If the trigger signal is not detected again within a preset time, the circuit unit 240 may stop generating the response signal or reduce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signal. In addition, the circuit unit 240 may control each component in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so that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maintains a power saving state.

전원부(250)는 회로부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50 may provide power to a circuit unit.

도 24 내지 도 25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5 실시 예는 액티브 방식의 좌표 표시 장치를 웨이크업 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로 제1 구동 신호를 이용하는 실시예이다. 24 to 2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Specifically, the fifth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driving signal is used as a trigger signal for waking up the active coordinate display device.

도 24를 참조하면, 구동부(130, 미도시)는 제1 전극의 제1 서브 그룹(111, 112, 113)에 제1 구동 신호(Tx Signal)(구체적으로 각 제1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디지털 코드는 다른 값을 가짐)를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4, the driver 130 (not shown) includes a first driving signal (Tx Signal) (specifically, a driving signal applied to each first electrode) to the first subgroups 111, 112, and 113 of the first electrode. The digital code of has different values).

그리고 제1 수신부(141)는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상태에서, 제2 전극의 전부(121,122,123,124,125,126)에서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ception unit 141 may receive the first reception signal from all of the second electrodes 121, 122, 123, 124, 125 and 126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이때, 제1 구동 신호는 트리거 신호로 이용되는바, 좌표 표시 장치(200)는 제1 구동 신호를 감지하여 응답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driving signal is used as a trigger signal,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generates a response signal by detecting the first driving signal.

이에 따라 도 25를 참조하면, 좌표 표시 장치(200)에서 생성된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는, 제2 수신부(145)에서 수신되게 된다.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25, the second recep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signal generated by the coordinate display apparatus 200 is received by the second reception unit 145.

도 26 내지 도 27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6 실시 예는 액티브 방식의 좌표 표시 장치를 웨이크업 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이용하는 실시예이다. 26 to 2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Specifically, the sixth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a trigger signal for waking up an active coordinate display device is used.

도 26을 참조하면, 구동부(130, 미도시)는 제1 전극의 제2 서브 그룹(114, 115, 116)에 제1 구동 신호(Tx Signal)(구체적으로 각 제1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디지털 코드는 다른 값을 가짐)를 인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6, the driver 130 (not shown) includes a first driving signal (Tx Signal) (specifically, a driving signal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electrodes) to the second subgroups 114, 115, and 116 of the first electrode. The digital code of has different values).

그리고 구동부(130)는 액티브 방식의 좌표 표시 장치의 여기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제1 전극의 제1 서브 그룹(111, 112, 113)에 인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er 130 may apply a trigger signal for excitation of the active coordinate display device to the first subgroups 111, 112, and 113 of the first electrode.

그리고 제1 수신부(141)는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상태에서, 제2 전극의 전부(121,122,123,124,125,126)에서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ception unit 141 may receive the first reception signal from all of the second electrodes 121, 122, 123, 124, 125 and 126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트리거 신호를 감지한, 좌표 표시 장치(200)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Upon detecting the trigger signal,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generates a response signal.

이에 따라 도 27을 참조하면, 좌표 표시 장치(200)에서 생성된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는, 제2 수신부(145)에서 수신되게 된다.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27, the second recep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signal generated by the coordinate display apparatus 200 is received by the second reception unit 145.

한편, 도 26에서 제1 수신부(141)에는 좌표 표시 장치(200)의 여기를 위한 트리거 신호에 대한 응답도 함께 유입되게 된다. 이때, 트리거 신호와 제1 구동 신호의 구동 주파수를 서로 상이하게 하면, 트리거 신호가 제1 수신 신호에 주는 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Meanwhile, in FIG. 26, a response to a trigger signal for excita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is also introduced into the first receiver 141. In this case, if the driving frequencies of the trigger signal and the first driving sign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influence of the trigger signal on the first received signal can be reduced.

또 다른 실시예로는 커패시턴스 센싱을 위한 제1 구동 신호를 하다마드 코드(Hmadamard code)와 같은 디지털 코드로 인코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코딩을 이용한다면, 제1 수신부(141)에서 트리거 신호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driving signal for sensing capacitance may be encoded into a digital code such as a Hmadamard code. If such encoding is used, the influence of the trigger signal may be removed by the first receiver 141.

도 28 내지 도 3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좌표 표시 장치 및 좌표 측정 장치의 다양한 구동 방식에 따른 파형도이다.28 to 31 are waveform diagrams according to various driving methods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and the coordinate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8을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액티브 방식의 여기를 위한 트리거 신호를 채널 전극에 인가한다(A. Capacitive Sensing 구동 신호)Referring to FIG. 28, the driver 130 applies an active trigger signal for excitation to the channel electrode (A. Capacitive Sensing driving signal).

좌표 표시 장치(200')는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일정 기간 (T1) 동안 응답 신호를 발생시킨다(C. Pen 신호).When the trigger signal is received,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generates a response sign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T1) (C. Pen signal).

이와 같은 응답 신호의 발생에 따라 제2 수신부(145)는 좌표 표시 장치(200')에서 생성된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D. Pen 신호 수신부에서의 수신 신호In response to the generation of such a response signal, the second reception unit 145 may receive a second recep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signal generated by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 (D. A reception signal from the Pen signal reception unit).

한편, 좌표 측정 장치(100)는 좌표 표시 장치(200)가 있는 경우, 트리거 신호 인가 이후에 일정 기간 (T1) 동안 응답 신호가 수신될 것을 알고 있으므로, 제2 수신부(145)를 통해서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is present,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knows that the response signal will be received for a certain period (T1) after the trigger signal is applied. A corresponding second received signal may be received.

도 29를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커패시턴스 센싱을 위한 제1 구동 신호를 채널 전극에 인가한다(A. Capacitive Sensing 구동 신호)Referring to FIG. 29, the driver 130 applies a first driving signal for sensing capacitance to the channel electrode (A. Capacitive Sensing driving signal).

제1 수신부(141)는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된 채널 전극과 교차하는 전극으로부터 커패시턴스 센싱을 위한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B. Capacitive Sensing 수신 신호).The first reception unit 141 receives a first reception signal for sensing capacitance from an electrode crossing the channel electrode to which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B. Capacitive Sensing reception signal).

좌표 표시 장치(200')는 커패시턴스 센싱을 위한 제1 구동 신호의 제공이 완료되면, 일정 기간 (T1) 동안 응답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C. 펜 신호). 즉, 구동부(130)는 별도의 트리거 신호 대신에 제1 구동 신호를 트리거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provision of the first driving signal for sensing capacitance is completed,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 may generate a response sign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T1) (C. pen signal). That is, the driver 130 may use the first driving signal as a trigger signal instead of a separate trigger signal.

이와 같은 실시 예의 경우, 좌표 측정 장치(100)는 좌표 표시 장치의 여기를 위한 별도의 구동 신호가 필요 없는바, 회로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such an embodiment, since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100 does not need a separate driving signal for excita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the circuit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한편, 좌표 표시 장치(200')는 좌표 측정 장치(100)의 여기 신호(ex 트리거 신호 또는 제1 구동 신호)에 따라서 응답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응답 신호가 발생되는 시간과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이 겹치게 되면 커패시턴스 센싱의 감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 generates a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an excitation signal (ex trigger signal or a first driving signal) of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00, and the time at which the response signal is generated and the first driving signal are applied. If the sections overlap, the sensitivity of capacitance sensing may be deteriora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0, 도 31을 참조하면, 좌표 표시 장치에서 생성되는 응답 신호의 주파수를 커패시턴스 센싱에 이용되는 제1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다르게 하면, 응답 신호의 발생 구간과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이 겹쳐지는 경우라도 커패시턴스 센싱의 감도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ferring to FIGS. 30 and 31, when the frequency of the response signal generated by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of the first driving signal used for capacitance sensing, the generation period of the response signal and the first Even when the section in which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overlaps, a decrease in sensitivity of capacitance sensing can be reduced.

또 다른 실시 예로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다마드 코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there may be a method of using the Hadamard code as described above.

도 32 내지 도 34는 제6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2 to 3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커패시턴스 센싱을 위한 제1 구동 신호를 일정기간 (T1) 동안 채널 전극에 인가한다(A. Capacitive Sensing 구동 신호).Referring to FIGS. 32 and 33, the driver 130 applies a first driving signal for sensing capacitance to the channel electrode for a predetermined period T1 (A. Capacitive Sensing driving signal).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1 수신부(141)는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된 제1 전극과 교차하는 제2 전극(121, 122, 123)으로부터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B. Capacitive Sensing 수신 신호). When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receives the first reception signal from the second electrodes 121, 122, and 123 crossing the first electrode to which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B. Capacitive Sensing received signal).

한편, 좌표 표시 장치(200')는 제1 구동 신호에 의하여 여기되어 일정 시간 동안 응답 신호를 발생시킨다(C. 펜 신호). Meanwhile,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 is excited by the first driving signal to generate a response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C. pen signal).

한편, 제2 수신부(145)는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를 기설정된 시간(T3 구간)동안 제2 전극(124, 125, 126)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reception unit 145 may receive the second recep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signal during a preset time period (T3 period).

도 32 및 도 34를 참조하면, 제2 수신부(145)는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를 기설정된 시간(T4 구간) 동안 제1 전극(111, 112, 113)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2 and 34, the second receiving unit 145 may receive a second receive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first electrodes 111, 112, and 113 for a preset time period (T4 period).

도 3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좌표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3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coordinates of a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5를 참조하면, 채널 전극부 내의 복수의 전극 중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전극에 대해 복수의 전극 단위로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S3510). 여기서 제1 구동 신호는 후술할 좌표 표시 장치(200)에서 수신되는 응답 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디지털 코드를 갖는다. 즉, 서로 다른 디지털 코드를 갖는 구동 신호가 복수의 제1 전극에 인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5, a first driving signal is applied in units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to a first electrode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mong a plurality of electrodes in the channel electrode unit (S3510). Here, the first driving signal is a signal of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has a digital code. That is, driving signals having different digital codes may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한편, 좌표 표시 장치(200)가 패시브 방식으로 동작하는 스타일러스 펜인 경우, 채널 전극 내의 복수의 전극들에 대해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제2 구동 신호는 제1 구동 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며, 복수의 전극에 함께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 신호는 제1 구동 신호의 인가 전에 선행적으로 인가될 수도 있으며, 제1 구동 신호의 인가와 동시에 인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의 제1 서브 그룹에는 제1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제2 서브 그룹에는 제2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is a stylus pen operating in a passive manner, a second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to a plurality of electrodes in the channel electrode. In this case, the second driving signal has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driving signal, and may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ogether. 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prior to application of the first driving signal, or may be applied simultaneously with the application of the first driving signal. For example, a first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to a first subgroup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to a second subgroup.

그리고 복수의 전극 중 일부로부터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신 신호의 수신과 함께 복수의 전극 중 다른 일부로부터 좌표 표시 장치에서 송신된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520).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2 전극 각각으로부터 제1 수신 신호를 복수의 채널 단위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제1 수신 신호에 대한 증폭 및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recep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may be received from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ogether with reception of a first reception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from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 S3520). Specifically, a first reception signal may be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in units of a plurality of channel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mplify the received first received signal and perform various signal processing.

그리고 복수의 제1 전극 및 복수의 제2 전극 중 제1 수신 신호를 수신 또는 제1 구동 신호의 인가에 이용되는 않는 전극으로부터 제2 수신 신호를 복수의 채널 단위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제2 수신 신호에 대한 필터링 및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received signal may be received in units of a plurality of channels from an electrode that is not used for receiving a first received signal or applying a first driving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In addition, filtering and various signal processing may be performed on the received second received signal.

그리고 수신된 제1 수신 신호 및 제2 수신 신호를 기초로 손 및 좌표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판단한다(S3530). 구체적으로, 제1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전극과 제2 전극 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 교차점에서 각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를 계산하고, 계산된 커패시턴스에 기초하여 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Further,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hand and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ed first and second received signals (S3530). Specifically, a capacitance between each electrode may be calculated at a plurality of electrode intersection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using the first received signal, and the position of the hand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alculated capacitance.

그리고 제1 전극에서 수신된 제2 수신 신호 간의 비율 및 제2 전극에서 수신된 제2 수신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좌표 표시 장치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ratio between the second recep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recep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second electrode.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좌표 측정 방법은 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신 신호와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수신 신호를 함께 수신하여 빠른 속도로 손의 위치 및 스타일러스 펜의 위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좌표 측정 장치의 좌표 측정 방법은 수신 신호에 대해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바, 응답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35와 같은 좌표 측정 방법은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좌표 측정 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좌표 측정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ordinate measuring method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the first received signal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hand and the second received signal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at a high speed. And the position of the stylus pen can be measur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since the coordinate measuring method of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performs various signal processing on a received signal, reception sensitivity for a response signal may be improved. The coordinate measuring method as shown in FIG. 35 may be executed on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having the configuration of FIG. 2, and may be executed on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having other configurations.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좌표 측정 장치는 도 2의 프로세서(150)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executable in the processor 150 of FIG. 2, and the program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The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and memory.

도 3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oordinat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6을 참조하면, 좌표 표시 장치(200)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절전 모드와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모드를 갖는다. Referring to FIG. 36,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has a power saving mode that does not generate a response signal and an operation mode that generates a response signal.

절전 모드인 좌표 표시 장치(200)에서 구동 신호를 감지한다(S3610). 여기서 구동 신호는 좌표 측정 장치(100)에서 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 구동 신호일 수 있다.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in the power saving mode detects a driving signal (S3610). Here, the driving signal may be a first driving signal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hand in the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100.

구동 신호가 감지되면, 기설정된 공진 주파수를 갖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신호를 전도성 팁을 통하여 방출한다(S3620). 즉, 좌표 표시 장치(200)는 구동 신호를 감지하면, 절전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응답 신호의 주파수는 전도성 팁의 접촉 압력 및 모드 상태(예를 들어, 필기 모드, 지우개 모드)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When the driving signal is detected, a response signal having a preset resonance frequency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response signal is emitted through the conductive tip (S3620). That is, when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detects a driving signal,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200 may switch from the power saving mode to the operation mode. The frequency of the response signal generated here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contact pressure of the conductive tip and the mode state (eg, a writing mode, an eraser mode).

그리고 구동 신호의 수신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좌표 표시 장치(100)는 절전 모드로 전환한다. 즉, 상술한 응답 신호의 생성 및 방출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응답 신호의 크기를 감소시켜서 전력 소모를 절감하는 방법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a preset time elapses after receiving the driving signal,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100 switches to the power saving mode. That is, the operation of generating and emitting the response signal described above can be stoppe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reducing the size of the response signal.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좌표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응답 신호의 턴온 및 턴 오프가 구동 신호의 감지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는바 액티브 방식으로 동작하는 좌표 표시 장치의 전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36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22 또는 도 23의 좌표 표시 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좌표 표시 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urn-on and turn-off of the response signal ar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whether the driving signal is detected, so that power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operating in the active method can be saved do. The control method as shown in FIG. 36 may be executed on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of FIG. 22 or 23, and may also be executed on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having other configurations.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좌표 표시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executable in a coordinate display device, and the program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The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and memory.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disclosure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disclosure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 좌표 측정 장치 110: 채널 전극부
130: 구동부 140: 수신부
150: 프로세서 200: 좌표 표시 장치
210: 전도성 팁 220: 공진 회로부
230: 회로부 240: 접지부
250: 전원부 300: 좌표 측정 시스템
100: coordinate measuring device 110: channel electrode unit
130: driving unit 140: receiving unit
150: processor 200: coordinate display device
210: conductive tip 220: resonant circuit
230: circuit part 240: ground part
250: power unit 300: coordinate measuring system

Claims (20)

좌표 측정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채널 전극부;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채널 전극부에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일부로부터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신 신호의 수신과 함께 상기 복수의 전극 중 다른 일부로부터 좌표 표시 장치에서 송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1 수신 신호 및 상기 제2 수신 신호를 기초로 손 및 좌표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제1 수신 신호 및 제2 수신 신호를 복수의 채널 단위로 병렬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전극에서 상기 제1 수신 신호 및 상기 제2 수신 신호가 함께 수신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좌표 측정 장치.
In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A channel electrod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 driving unit generating a driving signal and providing a driving signal to the channel electrode unit;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received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from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second received signal correspon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from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processor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t least one of a hand and a coordinat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first received signal and the second received signal; and
The receiving unit,
Parallel reception of the first received signal and the second received signal in units of a plurality of channels,
The processor,
Coordinate measu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receiving unit to receive the first and second received signals from different electrodes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수신 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채널 전극부에 제공하는 좌표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having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received signal and providing it to the channel electrod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전극부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극 그룹;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전극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1 수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전극 그룹을 구동하는 동안, 상기 제2 전극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좌표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nnel electrode part,
A first electrode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nd
Including; a second electrode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receiver, while the driver drives the first electrode group to generate the first received signal,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to receive the second received signal from the second electrode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전극부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극 그룹;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전극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구동부가 제1 수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전극 그룹 중 일부를 구동하는 동안 상기 제1 전극 그룹 중 나머지 일부로부터 상기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좌표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nnel electrode part,
A first electrode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nd
Including; a second electrode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econd received signal from the remaining part of the first electrode group while the driving unit drives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group to generate a first receiving sig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신호와 상기 제2 수신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인 좌표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received signal and the second received signal is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that is a signal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극 교차점에서 각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커패시턴스에 기초하여 상기 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수신 신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좌표 표시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좌표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Calculate a capacitance between each electrode at a plurality of electrode intersections using the first received signal,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hand based on the calculated capacitance,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tha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based on a ratio between the received second received sig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1 수신 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1 구동 신호 및 정전 용량 결합을 통하여 상기 좌표 측정 장치로 접근한 좌표 표시 장치의 신호 생성을 위한 제2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인 좌표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A first driving signal for generating a first received signal and a second driving signal for generating a signal of a coordinate display device approaching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are generated through a combination of capacitance,
The first driving signal and the second driving signal are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구동 신호 각각을 서로 다른 전극에 함께 제공하는 좌표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driving unit,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that provides each of the first driving signal and the second driving signal to different electrodes togeth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신호 주파수의 고차 조화파(higher-order harmonics)가 필터링된 신호인 좌표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driving signal is a signal obtained by filtering higher-order harmonics of a signal frequenc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1 수신 신호의 수신 중에 상기 좌표 표시 장치에서 송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를 포함하는 좌표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unit,
A first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received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And
And a second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second received signal correspon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during reception of the first received sig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된 제2 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제2 수신 신호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receiver,
An amplification unit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received second received signal;
An ADC unit converting the amplified second received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that extracts a preset frequency component from the second received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수신 신호에서 기설정된 대역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링된 제2 수신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필터링된 제2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필압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좌표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receiver,
A filter unit filtering a preset band from the received second received signal;
A measuring unit measuring the size of the filtered second received signal; And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he pen pressure information by us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filtered second received signal.
정전방식으로 손의 접촉위치를 감지하며, 접촉 위치 측정을 위한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좌표 표시 장치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는 좌표 측정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채널 전극부;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채널 전극부에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채널 전극부 내의 전극들로부터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신 신호와 함께 상기 좌표 표시 장치로부터 발생한 상기 전기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1 수신 신호 및 상기 제2 수신 신호를 기초로 손 또는 좌표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1 구동 신호 및 상기 좌표 표시 장치의 상기 전기 신호의 발생을 위한 여기(Excitation) 신호인 제2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제1 구동 신호 및 상기 제2 구동 신호 각각을 서로 다른 전극에 함께 인가하는 좌표 측정 장치.
In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for sensing the contact position of the hand by electrostatic method and detecting the contact position of a coordinate display device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for measuring the contact position
A channel electrod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 driving unit generating a driving signal and providing a driving signal to the channel electrode unit;
A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cond receiv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signal generated from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together with a first receiving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from electrodes in the channel electrode unit; And
And a processor that determines a position of at least one of a hand or a coordinat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first received signal and the second received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The driving unit,
Generates a first driving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capacitance and a second driving signal that is an excitation signal for generating the electric signal of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and the first driving signal and the second driving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that applies each signal to different electrodes togeth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신호 및 제2 구동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인 좌표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driving signal and the second driving signal are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극별로 서로 다른 디지털 코드의 제1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좌표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driving unit,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that provides first driving signals of different digital codes for each electrode.
좌표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좌표 측정 장치; 및
상기 좌표 측정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좌표 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좌표 측정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극 중 교차하는 두 전극 간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좌표 표시 장치는, 상기 구동 신호가 감지되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좌표 측정 장치는,
상기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신 신호와 함께 상기 응답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수신 신호를 복수의 채널 단위로 병렬 수신하고, 상기 함께 수신된 제1 수신 신호 및 상기 제2 수신 신호를 기초로 손 및 좌표 표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판단하는 좌표 측정 시스템.
In the coordinate measuring system,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Including; a coordinate display device for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to at least one electrode of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generates a driving signal to detect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wo electrodes intersecting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generates a response signal for a preset time when the driving signal is detected,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A first received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and a second received signal for detecting the response signal are received in parallel in a unit of a plurality of channels, and the first received signal and the second received signal received together A coordinate measurement system that determines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a hand and a coordinat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hand and coordinate display devi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와 상기 구동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인 좌표 측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The response signal and the driving signal are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표시 장치는,
상기 구동 신호의 감지가 종료된 이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좌표 측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A coordinate measuring system for generating a response signal for a preset time after detection of the driving signal is terminate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표시 장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응답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 수신부 및 제2 신호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상이한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1 수신 신호와 상기 제2 수신 신호를 함께 수신하는 좌표 측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ordinate display device,
A first signal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received signal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And
Including; a second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econd received signal for detecting the response signal,
The first signal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signal receiving unit,
A coordinate measuring system for receiving the first received signal and the second received signal together from a different electrode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KR1020160061368A 2015-09-25 2016-05-19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Active KR102246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71,707 US10379661B2 (en) 2015-09-25 2016-09-21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nd coordinate measuring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32891P 2015-09-25 2015-09-25
US62/232,891 2015-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490A KR20170037490A (en) 2017-04-04
KR102246905B1 true KR102246905B1 (en) 2021-04-30

Family

ID=5858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368A Active KR102246905B1 (en) 2015-09-25 2016-05-19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9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863A (en) * 2019-08-13 2021-02-23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2094374A2 (en) * 2020-10-31 2022-05-05 Tactual Labs Co. Flourish tax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6936A (en) 2004-11-23 2006-06-08 Microsoft Corp Input method for reducing accidental touch-sensitive device activation
JP2008152640A (en) * 2006-12-19 2008-07-03 Sony Corp Coordinate input device and coordinate inpu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017B1 (en) * 2012-05-11 2020-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rs which measures input position of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KR102004329B1 (en) * 2012-05-11 2019-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rs which measures input position of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6936A (en) 2004-11-23 2006-06-08 Microsoft Corp Input method for reducing accidental touch-sensitive device activation
JP2008152640A (en) * 2006-12-19 2008-07-03 Sony Corp Coordinate input device and coordinate inpu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490A (en)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9661B2 (en)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nd coordinate measuring system having the same
US10649554B2 (en) Pen for capacitive touch systems
TWI510999B (en) Touch input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ouch using the same
EP2959365B1 (en) Stylus for a digitizer system
KR101441396B1 (en) Input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ouch Using the Same
Shin et al. A 55dB SNR with 240Hz frame scan rate mutual capacitor 30× 24 touch-screen panel read-out IC using code-division multiple sensing technique
KR102764364B1 (en) Touch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CN102087565B (en) Stylus applied to touch panel module and method for actively transmitting signal thereof
KR20160025440A (en) Touch penel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CN105814520B (en) Activation pen with improved interference performance
CN106843539B (en) Wireless passive handwriting input system
KR102034052B1 (en) Touch input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ouch using the same
KR102246905B1 (en) Coordinate indica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indica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200045286A (en) Touch device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KR20160025284A (en) Coordinates measurement devices, coordinates measurement systems and methods of measuring coordinates
KR102153915B1 (en) Touch Screen Display Device with Input System
KR102081108B1 (en) Detecting Touch of Input System and Touch Controller for the Same
KR102414225B1 (en) Touch device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KR20170072373A (en) Pressure sensitive poin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ing frequency filtering
CN204129654U (en) Semi-active magnetic capacitance indu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5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