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44517B1 -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517B1
KR102244517B1 KR1020200140361A KR20200140361A KR102244517B1 KR 102244517 B1 KR102244517 B1 KR 102244517B1 KR 1020200140361 A KR1020200140361 A KR 1020200140361A KR 20200140361 A KR20200140361 A KR 20200140361A KR 102244517 B1 KR102244517 B1 KR 102244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hollow tube
distance sensor
container
volu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호
Original Assignee
한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호 filed Critical 한상호
Priority to KR1020200140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517B1/ko
Priority to US17/130,259 priority patent/US1185004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5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61B5/208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adapted to determine urine quantity, e.g. flow,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rsing (AREA)
  • Hemat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는, 소변줄이 연결되고, 상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소변용기; 삽입홀에 중력방향으로 삽입되는 중공튜브; 중공튜브 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소변에 뜨는 부력을 형성하는 부체(floating body); 및 부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중공튜브의 상부에 구비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고, 거리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소변용기 내의 소변의 부피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변을 담은 용기의 기울어짐, 폴리카테터의 무게, 그리고 간호인력의 직접 확인 여부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정확한 소변량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소변량 변화 및 이에 근거한 위급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AUTOMATIC APPARATUS FOR URINE MEASUREMENT AND AUTOMATIC SYSTEM FOR URINE MEASUREMENT}
본 발명은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속적으로 정확한 소변량을 자동으로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 체액 균형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요건으로 수분균형에 대한 사정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환자의 경우 이러한 체액균형이 깨질 경우 울혈성 심부전이나 폐부종, 섬망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하여 돌이킬 수 없는 심각한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체액 균형 상태를 사정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즉, 혈청, 소변의 삼투질 농도, 혈청 나트륨 농축도 및 나트륨이뇨 펩티드(natriuretic peptide) 등의 임상검사, 그리고 피부탄력이나 갈증, 점막 습도등의 주관적인 관찰방법, 마지막으로 체중, 섭취량과 배설량(intake & output, I&O), 배변 횟수 등의 객관적이고 비침습적인 사정 방법이 있다.
예전에는 소변량을 측정하기 위해 전용 채뇨백(Urine bag)을 환자에게 장착하고, 채뇨백에 든 소변을 매시간마다 비커에 옮겨 눈금으로 측정하였으나, 최근에는 부피표시용 눈금이 인쇄된 채뇨백을 사용하여, 소변을 매시간마다 비커에 옮겨 담는 수고를 없앨 수 있었다.
그러나 채뇨백이 기울어지는 경우, 정확한 수치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간호인력이 육안으로 측정하는 방식이므로 주기적인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변량 변화에 근거한 위급상황을 바로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810075호(이하 '선행문헌')는 소변량 측정센서를 사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의 소변량 측정센서는 배출되는 소변이 수용되는 수집용기가 걸리는 용기설치부재, 용기설치부재에 접속된 수집용기 내의 소변 하중의 크기에 비례하여 일정한 전기 신호를 출력시키는 로드셀을 포함한다.
선행문헌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로드셀이 소변의 하중에 해당되는 전기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환자 보호자나 담당 의료인이 일일이 수용용기를 확인하거나 체크리스트를 작성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소변량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소변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밀도가 변화한다. 따라서 선행문헌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변 무게를 부피로 정확하게 환산해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로드셀에 걸리는 하중이 수집용기에 연결된 폴리카테터(Foley Catheter)의 무게를 일부 포함할 수밖에 없다. 로드셀이 폴리카테터의 무게를 측정하지 않게 하려면, 폴리카테터의 무게가 로드셀지지부재에 온전히 실리도록 설치해야하는데 이는 사실상 어렵다.
즉, 선행문헌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정확한 소변량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즉, 정확한 소변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간호인력이 확인해야 하며, 소변량 변화에 근거한 위급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810075호 (등록일: 2008.02.27)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을 담은 용기의 기울어짐, 폴리카테터의 무게, 그리고 간호인력의 직접 확인 여부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정확한 소변량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소변량 변화 및 이에 근거한 위급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변줄이 연결되고, 상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소변용기; 상기 삽입홀에 중력방향으로 삽입되는 중공튜브; 상기 중공튜브 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소변에 뜨는 부력을 형성하는 부체(floating body); 및 상기 부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상기 중공튜브의 상부에 구비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상기 소변용기 내의 소변의 부피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중공튜브 내에 소변이 유입되도록 상기 중공튜브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공튜브의 상부에 상기 삽입홀의 둘레에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변용기가 밀폐되도록, 상기 접착부의 상면은 상기 거리센서의 하부 둘레에 접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변용기의 측면은 접히고 펴지며, 상기 중공튜브의 하부에 상기 소변용기의 내부 저면에 접착되는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변용기의 측면이 펴진 상태가 상기 중공튜브의 강성에 의해 유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변용기는 상면과 하면이 평행한 입체도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튜브는 상기 소변용기의 상면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1 중공튜브와 제2 중공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소변용기의 상면과 하면이 평행한 상태가 상기 제1 중공튜브 및 상기 제2 중공튜브의 강성에 의해 유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상기 거리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소변의 부피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소변용기는 상면과 하면이 평행한 입체도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거리센서는 제1 거리센서와 제2 거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용기가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상기 제2 거리센서의 측정값 평균이 소변의 부피와 일치하도록,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상기 제2 거리센서는 상기 소변용기의 상면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상기 제2 거리센서의 측정값 평균을 연산하여 소변의 부피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리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소변용기 내의 소변의 부피를 측정하고, 출력장치가 소변의 부피를 출력함으로써, 소변을 담은 용기의 기울어짐, 폴리카테터의 무게, 그리고 간호인력의 직접 확인 여부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정확한 소변량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소변량 변화 및 이에 근거한 위급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변용기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출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은, 소변을 담은 용기의 기울어짐, 폴리카테터의 무게, 그리고 간호인력의 직접 확인 여부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정확한 소변량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소변량 변화 및 이에 근거한 위급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변용기(100)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출력장치(2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하를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는 지속적으로 정확한 소변량을 자동으로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며, 소변용기(100), 중공튜브(200), 부체(300) 및 거리센서(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용기(100)는 내부에 환자의 소변을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내부 소변의 상태, 색깔이 쉽게 확인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변용기(100)는 비닐(vinyl),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소변용기(100)는 상면(110), 측면(120) 및 하면(130)을 포함한다. 소변용기(100)는 (펴졌을 때) 상면(110)과 하면(130)이 평행한 입체도형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소변용기(100)는 직육면체, 정육면체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직육면체 형태의 소변용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원통 형태의 소변용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용기(100)의 측면(120)은 접히고 펴질 수 있다. 소변용기(100)의 측면(120)에 접음선(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접음선(122)은 소변용기(100)의 측면(120)이 접히고 펴지는 경계선을 의미한다.
접음선(122)은 소변용기(100) 제조시 기계 또는 작업자가 소변용기(100)를 접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접음선(122)은 소변용기(100) 제조시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소변용기(100)의 측면(120)에 접음선(122) 형태로 열 또는 힘을 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은 열 또는 힘에 의해 탄성 변형(elastic deformation) 및 소성 변형(plastic deformation)하는 재료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용기(100)를 접으면, 접힌 부분이 부분적으로 소성 변형됨으로써, 접음선(122)을 영구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소변용기(100)는 접힌 상태에서 제작이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소변용기(100)는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병원에 운반되거나 보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용기(100)의 상면(110)에 구멍(111), 배출구(112), 삽입홀(114) 및 점착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11)은 소변줄(T)이 삽입되는 개구를 의미한다. 소변줄(T)은 구멍(111)을 통해 소변용기(100)에 연결된다. 소변줄(T)은 폴리카테터(Foley Catheter)에 연결된 의료용 튜브를 의미할 수 있다.
폴리카테터는 공기 또는 액체로 팽창시킬 수 있는 소구에 의하여 방광 내에 유치되는 카테터이다. 환자의 소변은 폴리카테터와 소변줄(T)을 통해 소변용기(100)에 유입될 수 있다. 폴리카테터는 의료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11)의 둘레에 점착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점착부(115)는 점착성을 가지는 점착층을 의미한다. 점착부(115)는 구멍(111)의 둘레에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부(115)는 고리 형태의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변용기(100) 미사용시 점착층은 보호시트로 보호될 수 있다.
소변줄(T)에 구멍(111)의 둘레에 접착되는 접착부(TA)가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TA)는 소변줄(T)의 둘레에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TA)의 저면에 점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소변용기(100) 미사용시 점착층은 보호시트로 보호될 수 있다.
소변줄(T)이 구멍(111)에 삽입되면서 접착부(TA)의 저면은 점착부(115)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부(TA)의 저면은 점착부(115)와 강력한 접착력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수로 소변용기(100)가 뒤집히더라도 구멍(111)을 통한 소변의 누출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구멍(111)을 통한 기화된 소변의 누출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12)는 소변용기(100)에 담긴 소변이 배출되는 개구를 의미한다. 배출구(112)는 뚜껑(11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배출구(112)의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뚜껑(113)의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뚜껑(113)은 회전하여 배출구(112)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114)은 중공튜브(200)가 삽입되는 개구를 의미한다. 삽입홀(114)은 2 이상일 수 있다. 삽입홀(114)은 거리센서(400)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거리센서(400)는 2 이상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2개의 거리센서(400)를 갖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삽입홀(114)은 제1 삽입홀(114A) 및 제2 삽입홀(114B)을 포함한다. 제1 삽입홀(114A)과 제2 삽입홀(114B)은 소변용기(100)의 상면(110)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태의 소변용기(100)의 경우, 제1 삽입홀(114A)과 제2 삽입홀(114B)은 소변용기(100) 상면(110)의 서로 반대되는 코너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삽입홀(114A) 및 제2 삽입홀(114B)의 둘레에 각각 점착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점착부(115)는 점착성을 가지는 점착층을 의미한다.
점착부(115)는 제1 삽입홀(114A) 및 제2 삽입홀(114B)의 둘레에 각각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부(115)는 고리 형태의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변용기(100) 미사용시 점착층은 보호시트로 보호될 수 있다.
소변용기(100)의 측면(120)에 눈금(121)과 숫자가 형성될 수 있다. 눈금(121)과 숫자는 소변용기(100)에 담긴 소변의 부피를 표시할 수 있다. 간호인력은 눈금(121)과 숫자를 통해 소변용기(100)에 담긴 소변의 부피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중공튜브(200)는 삽입홀(114)에 중력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중공튜브(200)는 세로방향으로 긴 빨대(straw)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2개의 거리센서(400)를 갖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중공튜브(200)는 거리센서(400)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다. 중공튜브(200)는 제1 중공튜브(210) 및 제2 중공튜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공튜브(210)와 제2 중공튜브(220)는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3개의 거리센서(400)를 갖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중공튜브는 제1 중공튜브(210), 제2 중공튜브(220) 및 제3 중공튜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4개의 거리센서(400)를 갖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중공튜브는 제1 중공튜브(210), 제2 중공튜브(220), 제3 중공튜브(230) 및 제4 중공튜브(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공튜브(210)는 제1 삽입홀(114A)에 중력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중공튜브(220)는 제2 삽입홀(114B)에 중력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공튜브(210)와 제2 중공튜브(220)는 소변용기(100)의 상면(110)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공튜브(210) 및 제2 중공튜브(220)에 각각 하나 이상의 관통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01)은 소변용기(100)에 담긴 소변이 중공튜브(200) 내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201)은 세로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통홀(201)은 중공튜브(20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공튜브(210) 및 제2 중공튜브(220)의 상부에 각각 접착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202)는 중공튜브(200)의 둘레에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202)의 상면 및 저면에 각각 점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202)의 저면은 삽입홀(114)의 둘레에 접착될 수 있다. 소변용기(100) 미사용시 점착층은 보호시트로 보호될 수 있다.
중공튜브(200)가 삽입홀(114)에 삽입되면서 접착부(202)의 저면은 점착부(115)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부(202)의 저면은 점착부(115)와 강력한 접착력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공튜브(200)의 외면과 삽입홀(114) 사이를 통한 소변의 누출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중공튜브(200)의 외면과 삽입홀(114) 사이를 통한 기화된 소변의 누출이 차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튜브(200)의 하부에 소변용기(100)의 내부 저면에 접착되는 부착부(20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공튜브(210) 및 제2 중공튜브(220)의 하단은 각각 막힌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중공튜브(210) 및 제2 중공튜브(220)의 하단면에 부착부(20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203)는 점착성을 가지는 점착층을 의미한다. 부착부(203)는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변용기(100) 미사용시 부착부(203)는 보호시트로 보호될 수 있다.
중공튜브(200)가 삽입홀(114)에 삽입되면서 접착부(202)의 저면은 점착부(115)에 부착된다. 그리고 중공튜브(200) 하단의 부착부(203)는 소변용기(100)의 내부 저면에 접착된다. 따라서, 소변용기(100)를 기준으로 중공튜브(200)의 유동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변용기(100)는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병원에 운반되거나 보관될 수 있다.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의 사용시 소변용기(100)는 상면(110)과 하면(130)이 평행한 입체도형 형태를 형성하도록 펴지게 된다.
소변용기(100)는 펴지는 과정에서 소성 변형 및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펴진 소변용기(100)에 다시 접혀지는 힘(탄성 회복력)이 작용하게 된다.
중공튜브(200)는 소변용기(100)의 다시 접혀지는 힘에 대항하는 강성을 형성하게 된다. 일 예로, 중공튜브(200)는 소변용기(100)보다 두꺼운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중공튜브(200)는 소변용기(100)보다 강성이 높은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소변용기(100)의 측면(120)이 펴진 상태가 제1 중공튜브(210) 및 제2 중공튜브(220)의 강성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소변용기(100)의 상면(110)과 하면(130)이 평행한 상태가 제1 중공튜브(210) 및 제2 중공튜브(220)의 강성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소변용기(100)의 내부 공간은 중공튜브(200)의 강성에 의해 일정한 체적을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소변용기(100)의 측면(120)에 있는 눈금(121)과 숫자는 소변용기(100)에 담긴 소변의 부피를 정확하게 지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체(300;floating body)는 중공튜브(200) 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부체(300)는 소변에 뜨는 부력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부체(300)는 스티로폼, 플라스틱 등 소변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2개의 거리센서(400)를 갖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부체(300)는 거리센서(400)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다. 부체(300)는 제1 부체(310) 및 제2 부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체(310)는 제1 중공튜브(210) 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 부체(320)는 제2 중공튜브(220) 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도 8은 3개의 거리센서(400)를 갖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부체(300)는 제1 부체(310) 및 제2 부체(320) 및 제3 부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4개의 거리센서(400)를 갖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부체(300)는 제1 부체(310) 및 제2 부체(320), 제3 부체 및 제4 부체(34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체(3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부체(300)는 구체, 원판 또는 다면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구형의 부체(3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용기(100) 내부에 소변이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부체(310) 및 제2 부체(320)는 중공튜브(200) 내에서 최하단에 위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용기(100) 내부에 소변이 유입되면, 제1 부체(310) 및 제2 부체(320)는 중공튜브(200) 내에서 소변의 수면상에 부유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센서(400)는 부체(3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중공튜브(200)의 상부에 구비된다.
거리센서(400;distant sensor)는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로 구비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방식으로 부체(3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즉, 초음파방식은 피측정물에 지향성이 날카로운 초음파를 송신하여 피측정물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아는 방식이다. 수신센서(402)는 압전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거리센서(400)는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공튜브(200)의 상부에 접착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202)는 중공튜브(200)의 둘레에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202)의 상면 및 저면에 각각 점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소변용기(100) 미사용시 점착층은 보호시트로 보호될 수 있다.
거리센서(400)의 하부에 초음파 발진부(401)와 수신센서(40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거리센서(400)의 저면에 고리 형태의 접착면(403)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면(403)은 초음파 발진부(401) 및 수신센서(40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초음파 발진부(401)와 수신센서(402)가 중공튜브(200)의 상측 개구에 삽입되면서 접착면(403)은 접착부(202)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접착부(202)의 상면에 있는 점착층은 접착면(403)과 강력한 접착력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접착부(202)의 상면은 거리센서(400)의 하부 둘레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실수로 소변용기(100)가 뒤집히더라도 중공튜브(200)를 통한 소변의 누출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중공튜브(200)를 통한 기화된 소변의 누출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2개의 거리센서(400)를 갖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센서(400)는 제1 거리센서(410)와 제2 거리센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리센서(410)의 초음파 발진부(401) 및 수신센서(402)는 제1 중공튜브(210)의 상측 개구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거리센서(410)는 제1 부체(31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제2 거리센서(420)의 초음파 발진부(401) 및 수신센서(402)는 제2 중공튜브(220)의 상측 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거리센서(420)는 제2 부체(32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의 소변용기(100)의 경우, 거리센서(400)들은 소변용기(100) 상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사잇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3개의 거리센서(400)가 구비된 경우, 거리센서(400)들은 소변용기(100) 상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120도의 사잇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4개의 거리센서(400)를 갖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4개의 거리센서(400)가 구비된 경우, 거리센서(400)들은 소변용기(100) 상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90도의 사잇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직육면체 형태의 소변용기(100)의 경우, 거리센서(400)들은 소변용기(100) 상면(110)의 각 코너 부위마다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1)은 상술한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 및 출력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력장치(20)는 거리센서(400)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소변의 부피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출력장치(20)에 환자 모니터링 프로그램 또는 의료진용 어플이 설치될 수 있다. 출력장치(20)는 PC, 휴대형 태블릿(tablet) 및 스마트폰(smart phone)을 포함할 수 있다. PC 및 휴대형 태블릿은 간호사실 등에 구비될 수 있다.
거리센서(400)의 측정값들은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또는 사설 서버(private server)에 자동 전송되어 저장된 뒤 PC, 휴대형 태블릿 및 스마트폰에 무선 전송(다운로드)될 수 있다.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10)는 와이파이(WiFi) 등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에 의해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또는 사설 서버(private server)에 거리센서(400)의 측정값들을 무선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는 각종 자료를 PC나 스마트폰 등 내부 저장공간이 아닌 외부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한 뒤 다운로드받는 서비스 방식이다. 의료진은 스마트폰이나 PC등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환자 모니터링 정보 등 다양한 의료정보를 편리하게 저장, 관리 및 이용할 수 있다.
PC에는 거리센서(400)의 측정값을 통해 소변용기(100) 내의 소변의 부피를 연산하고 화면에 출력하는 환자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휴대형 태블릿 및 스마트폰에는 거리센서(400)의 측정값을 통해 소변용기(100) 내의 소변의 부피를 연산하고 화면에 출력하는 의료진용 어플이 설치될 수 있다. 도 5의 우측에는 어플이 실행된 스마트폰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은 소변용기(100) 내의 소변의 부피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은 시간을 x축으로 하고, 소변용기(100) 내의 소변의 부피를 y축으로 하는 그래프를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중공튜브(200)는 소변용기(100)의 상면(110)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제1 거리센서(410)와 제2 거리센서(420)는 소변용기(100)의 상면(110)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제1 거리센서(410)와 제2 거리센서(420)는 소변용기(100)의 상면(110)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제1 부체(310)와 제2 부체(32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소변용기(100)가 기울어지는 경우, 제1 거리센서(410)와 제2 거리센서(420)는 소변용기(100)의 상면(110) 중심의 높이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높이에 구비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거리센서(410)가 소변용기(100)의 상면(110) 중심의 높이보다 높은 만큼, 제2 거리센서(420)가 소변용기(100)의 상면(110) 중심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소변용기(100)가 기울어지더라도 제1 거리센서(410)의 측정값과 제2 거리센서(420)의 측정값의 평균은 소변의 부피와 일치하게 된다.
출력장치(20)는 제1 거리센서(410)의 측정값과 제2 거리센서(420)의 측정값의 평균을 연산하여 소변의 부피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1)은 소변용기(100)가 기울어지더라도 출력장치(20)에 소변의 정확한 부피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리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소변용기 내의 소변의 부피를 측정하고, 출력장치가 소변의 부피를 출력함으로써, 소변을 담은 용기의 기울어짐, 폴리카테터의 무게, 그리고 간호인력의 직접 확인 여부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정확한 소변량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소변량 변화 및 이에 근거한 위급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
10,10',10" :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100 : 소변용기 200 : 중공튜브
110 : 상면 210 : 제1 중공튜브
111 : 구멍 220 : 제2 중공튜브
112 : 배출구 201 : 관통홀
113 : 뚜껑 202 : 접착부
114 : 삽입홀 203 : 부착부
114A : 제1 삽입홀 300 : 부체
114B : 제2 삽입홀 310 : 제1 부체
115 : 점착부 320 : 제2 부체
120 : 측면 400 : 거리센서
121 : 눈금 410 : 제1 거리센서
122 : 접음선 420 : 제2 거리센서
130 : 하면 401 : 발진부
T : 소변줄 402 : 수신센서
TA : 접착부 403 : 접착면
20 : 출력장치

Claims (7)

  1. 소변줄이 연결되고, 상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소변용기;
    상기 삽입홀에 중력방향으로 삽입되는 중공튜브;
    상기 중공튜브 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소변에 뜨는 부력을 형성하는 부체(floating body); 및
    상기 부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상기 중공튜브의 상부에 구비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상기 소변용기 내의 소변의 부피를 측정하며,
    상기 중공튜브의 상부에 상기 삽입홀의 둘레에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변용기가 밀폐되도록, 상기 접착부의 상면은 상기 거리센서의 하부 둘레에 접착되며,
    상기 소변용기의 측면은 접히고 펴지며,
    상기 중공튜브의 하부에 상기 소변용기의 내부 저면에 접착되는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변용기의 측면이 펴진 상태가 상기 중공튜브의 강성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튜브 내에 소변이 유입되도록 상기 중공튜브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용기는 상면과 하면이 평행한 입체도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튜브는 상기 소변용기의 상면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 제1 중공튜브와 제2 중공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소변용기의 상면과 하면이 평행한 상태가 상기 제1 중공튜브 및 상기 제2 중공튜브의 강성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6. 제1항의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상기 거리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소변의 부피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소변용기는 상면과 하면이 평행한 입체도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거리센서는 제1 거리센서와 제2 거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용기가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상기 제2 거리센서의 측정값 평균이 소변의 부피와 일치하도록,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상기 제2 거리센서는 상기 소변용기의 상면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상기 제2 거리센서의 측정값 평균을 연산하여 소변의 부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
  7. 삭제
KR1020200140361A 2020-10-27 2020-10-27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 Active KR102244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361A KR102244517B1 (ko) 2020-10-27 2020-10-27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
US17/130,259 US11850049B2 (en) 2020-10-27 2020-12-22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ing urine volume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measuring urine volu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361A KR102244517B1 (ko) 2020-10-27 2020-10-27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517B1 true KR102244517B1 (ko) 2021-04-23

Family

ID=7573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361A Active KR102244517B1 (ko) 2020-10-27 2020-10-27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50049B2 (ko)
KR (1) KR1022445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3393A (zh) * 2021-10-11 2022-01-07 刘红燕 肾内科用集尿装置
KR20230029152A (ko) *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휴고다이나믹스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KR20240111945A (ko) 2023-01-11 2024-07-18 주식회사 테크디알 휴대용 소변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변량 측정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614A (ko) * 1998-04-07 1999-11-05 윤종용 용기내에 저수된 액체의 저수 레벨 측정장치
KR20000056603A (ko) * 1999-02-24 2000-09-15 윤종용 용기내에 저수된 잉크의 저수레벨 검출장치
EP1795875A1 (en) * 2005-12-09 2007-06-13 Unomedical A/S An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of liquid in a vessel
KR100810075B1 (ko) 2006-06-21 2008-03-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량 측정센서를 사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10105920A (ko) * 2010-03-22 2011-09-28 주식회사 아이베이 체액 수집용기 및 그 체액 수집용기가 포함된 체액 배출장치
KR20140064894A (ko) * 2011-08-22 2014-05-28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절첩 패턴을 갖는 실질적으로 단단한 접이식 용기
KR20180036022A (ko) * 2016-09-30 2018-04-09 (주)에프에스알엔티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3976B1 (da) * 1998-09-25 2002-03-18 Maersk Medical As Apparat til måling af strømningen af en væske, specielt urin, fra en patient
WO2015192108A1 (en) * 2014-06-12 2015-12-17 Kostov Konstanti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irregular liquid flow rates
US11707594B2 (en) * 2019-09-11 2023-07-25 GE Precision Healthcare LLC Systems and method for an optical anesthetic agent level sensor
KR102241002B1 (ko) * 2019-09-23 2021-04-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614A (ko) * 1998-04-07 1999-11-05 윤종용 용기내에 저수된 액체의 저수 레벨 측정장치
KR20000056603A (ko) * 1999-02-24 2000-09-15 윤종용 용기내에 저수된 잉크의 저수레벨 검출장치
EP1795875A1 (en) * 2005-12-09 2007-06-13 Unomedical A/S An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of liquid in a vessel
KR100810075B1 (ko) 2006-06-21 2008-03-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량 측정센서를 사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10105920A (ko) * 2010-03-22 2011-09-28 주식회사 아이베이 체액 수집용기 및 그 체액 수집용기가 포함된 체액 배출장치
KR20140064894A (ko) * 2011-08-22 2014-05-28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절첩 패턴을 갖는 실질적으로 단단한 접이식 용기
KR20180036022A (ko) * 2016-09-30 2018-04-09 (주)에프에스알엔티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152A (ko) *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휴고다이나믹스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KR102737409B1 (ko) * 2021-08-24 2024-12-03 주식회사 휴고다이나믹스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CN113893393A (zh) * 2021-10-11 2022-01-07 刘红燕 肾内科用集尿装置
CN113893393B (zh) * 2021-10-11 2024-04-26 刘红燕 肾内科用集尿装置
KR20240111945A (ko) 2023-01-11 2024-07-18 주식회사 테크디알 휴대용 소변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변량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50049B2 (en) 2023-12-26
US20220125361A1 (en)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517B1 (ko)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
RU25395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мочи
EP1972251B1 (en) Capsule container and administration method using the same
ES2539226T3 (es) Un sistema dispensador de medicamentos
US8094014B2 (en) Packaging comprising integrated sensor
US8813551B2 (en) Device that accurately measures physiological fluid flow
JP2022515345A (ja) ストーマ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2214117B2 (en) Automated urinary output monitoring system
CA2999067C (en) Vaginal ring sensor
US11351087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content of a container and method therefor
Sun et al. Fecobionics: A novel bionics device for studying defecation
CN105435337A (zh) 一种液体参数检测方法及系统
CN105204476A (zh) 一种多功能智能药箱
US20230018531A1 (en) Uroflow measurement device implementing load cell based weight measurement using rigid support passing through spacer within flexible diaphragm of housing
US9993168B2 (en) Implantable pressure monitor
CN205030666U (zh) 一种多功能智能药箱
JP2022158743A (ja) 家畜の反芻胃内でのメタンガスを測定するための生体情報カプセル及び測定方法
CN101669812B (zh) 浮起量合格与否判断系统以及浮起量合格与否判断方法
US10895490B2 (en) Hydrogen peroxide reservoir assembly including a float position sensor for determining liquid level
KR102737409B1 (ko)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CN209377743U (zh) 一种机器人手术导航的柔性无创定位装置
CN110680359A (zh) 一种手腕骨密度仪
CN206630593U (zh) 一种便携式医疗检验装置
Milani et al. Magnetic sensing system for monitoring the volume of an artificial bladder
JP7642864B2 (ja) 少なくとも1つの流体検出器を有する排液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