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41002B1 -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002B1
KR102241002B1 KR1020190116718A KR20190116718A KR102241002B1 KR 102241002 B1 KR102241002 B1 KR 102241002B1 KR 1020190116718 A KR1020190116718 A KR 1020190116718A KR 20190116718 A KR20190116718 A KR 20190116718A KR 102241002 B1 KR102241002 B1 KR 10224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bodily fluid
body fluid
cas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5928A (ko
Inventor
홍광대
송승준
정상훈
김재영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6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002B1/ko
Priority to PCT/KR2020/003616 priority patent/WO2021060635A1/ko
Priority to US17/762,631 priority patent/US12268505B2/en
Publication of KR20210035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0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61B5/208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adapted to determine urine quantity, e.g. flow,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007
    • A61M1/0019
    • A61M1/0025
    • A61M1/00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0Containers for suction drainage, adapted to be used with an external suction source
    • A61M1/63Containers for suction drainage, adapted to be used with an external suction source with means for emptying the suction container, e.g. by interrupting suction
    • A61M1/631Emptying the suction container without interrupting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9Drainage containers not being adapted for subjection to vacuum, e.g.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3Suction drainage systems comprising sensors or indicators for physical val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61M1/777Determination of loss or gain of body fluids due to suction-irrigation, e.g. during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2Determining colour of tissue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1Assessing renal or kidney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3Using a bio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61M2205/3389Continuous leve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강성 재질로 구현되며, 체액 측정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측정 케이스; 상기 측정 케이스의 입구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체액을 상기 측정 케이스의 체액 측정 공간으로 전달하는 배액관; 상기 측정 케이스의 윗면에 수평 배치되어, 상기 체액 측정 공간에 수집된 체액의 수위를 각각 측정 및 통보하는 다수의 수위 센서; 및 상기 체액 수위들을 수신 및 분석하여 체액 수위 차이로부터 측정 케이스 기울기를 유추하고, 상기 측정 케이스 기울기와 상기 체액 수위들을 함께 고려하여 체액 배출량을 산출 및 통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measure the amount of body fluid drainage}
본 발명은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액 배출량을 자동으로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시간 마취가 요구되거나 혈역학적 불안정한 상황을 야기할 수 있는 수술실, 내외과계 중환자실, 외과계열 중요 수술 전,후에는 환자의 체내 수분량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의료인은 환자 수술 전에 환자에게 금식하도록 지시한 후 환자에게 투입되는 총 물의 양과 소변으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서로 비교하여 두 물의 양이 서로 일치할 때 수술을 진행한다. 만약 두 물의 양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의료인은 수술을 진행하지 않는다.
이에 종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체내 수분양의 집중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에게 요도를 통해 방광에 요도 카테터(foley catheter)(1)를 거치하고, 체외로 연결되며, 비닐 재질로 구현된 소변 수집부(urine collector)(2)를 통해 소변 배출량을 측정하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소변 배출량 측정 장치는 매시간 간호사가 소변 수집부에 고인 소변량을 측정하고, 레버를 돌려 채집통으로 소변을 내리는 작업을 수동으로 반복해야 한다. 이는 간호사의 업무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측정 시각을 제대로 못 지킬 경우 부정확할 수 있으며, 환자 입장에서는 매시간 간호사의 처치에 의해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소변 수집부(2)가 눈금이 그려진 비닐 재질로 구현되어, 소변 수집부(2)를 수직 방향으로 바로 세운 후에야 정확한 소변 배출량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허등록번호 제10-1016371호(등록일자 : 2011.02.14)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환자 자세에 따라 장치가 여러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항상 정확한 체액 배출량을 측정 및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단위 시간당 체액 배출량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강성 재질로 구현되며, 체액 측정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측정 케이스; 상기 측정 케이스의 입구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체액을 상기 측정 케이스의 체액 측정 공간으로 전달하는 배액관; 상기 측정 케이스의 윗면에 수평 배치되어, 상기 체액 측정 공간에 수집된 체액의 수위를 각각 측정 및 통보하는 다수의 수위 센서; 및 상기 체액 수위들을 수신 및 분석하여 체액 수위 차이로부터 측정 케이스 기울기를 유추하고, 상기 측정 케이스 기울기와 상기 체액 수위들을 함께 고려하여 체액 배출량을 산출 및 통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다수의 수위 센서를 동작 활성화시켜 체액 수위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상기 다수의 수위 센서가 동작 활성화되는 동안 상기 측정 케이스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입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 케이스의 출구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측정 케이스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체액을 일시 수집하는 수집통; 및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측정 케이스의 출구를 개방시키는 출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체액 배출량이 기 설정 값 이상이면, 상기 출구 밸브를 강제 개방시키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측정 케이스의 출구를 통해 체액이 배출되는 동안 상기 입구 밸브를 강제 폐쇄시키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는 체액 색상을 측정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체액 색상을 기반으로 이상 징후 발생을 확인 및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 만 아니라 상기 제어 장치, 상기 다수의 수위 센서, 상기 입구 밸브 및 상기 출구 밸브 중 적어도 하나는 IoT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기 설정된 외부 장치에 체액 배출량 측정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체 체액에 수집 및 측정되는 측정 케이스를 강성 재질로 구현한 후, 측정 케이스에 다수의 센서를 분산 배치함으로써, 환자 자세에 따라 장치가 여러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항상 동일한 체액 배출량을 산출 및 통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환자는 체액 배출량 측정 동작과 상관없이 원하는 자세를 마음대로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위 시간당 체액 배출량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3자의 수동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체액 배출량 측정 동작과 관련된 의료진 업무 강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뿐 아니라 IoT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장치 설치 및 이용이 보다 편해지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의료진 단말, 보호자 단말, 의료 기관 서버 등과 같은 외부 장치에도 측정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변량 측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측정 케이스 기울기에 따른 체액 수위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100)는 측정 케이스(110), 배액관(120), 다수의 수위 센서(131,132), 제어 장치(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정 케이스(110)는 강성 재질로 구현되어 일정 형상을 유지한다. 그리고 내부에 마련된 체액 측정 공간(111), 채액 수집 공간이 연결된 입구(112)를 구비하도록 한다.
배액관(120)는 측정 케이스의 입구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체액을 측정 케이스(110)의 체액 측정 공간(111)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은 소변 뿐 아니라 위 내용물, 담즙, 복수와 같은 인체내 체액 모두의 배출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배액관은 방광이 삽입되는 배뇨 카테터, 코와 식도를 위에 삽입되는 코위삽관, 피부를 통해 간속으로 삽입되는 담즙 배액관, 피부를 통해 복부에 삽입되는 복수 배액관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수의 수위 센서(131,132)는 측정 케이스(110)의 윗면에 수평 배치되어, 체액 측정 공간에 수집된 체액의 수위를 각각 측정 및 통보한다. 이는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수직 조사한 후 이의 반사파를 수신 및 분석하여, 체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구현방식으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수위 센서(131,132)는 측정 케이스의 윗면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동일한 측정 케이스 밑면과의 수직 거리(d11=d21), 그리고 서로 동일한 측정 케이스 입구와의 수평 거리(d12=d22)를 가지도록 배치되도록 한다.
제어 장치(140)는 평균 체액 수위와 체약 배출량간 상관관계에 대한 정보를 사전 획득 및 저장하도록 한다. 그리고 다수의 수위 센서(131,132)를 통해 측정된 다수 지점에서의 체액 수위값을 모두 합산한 후 평균하여, 평균 체액 수위를 산출하고. 이를 기 설정된 체액 수위와 체약 배출량간 상관관계에 따라 체액 배출량으로 환산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도 4는 측정 케이스 기울기에 따른 체액 수위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측정 케이스 기울기에 비례하여 체액 수위 차이가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다수 지점에서의 체액 수위값(d11,d21)을 모두 합산한 후 평균하면(d1=(d11+d21)/2), 그 값(d1)은 동일 체액 배출량을 측정 케이스 직립시킨 후 측정할 때의 체액 수위값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측정 케이스 직립 상태에서의 체액 수위값 각각에 대응되는 체약 배출량은 체액 측정 공간(111)의 형상,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평균 체액 수위와 체약 배출량간 상관관계에 대한 정보를 사전 획득 및 저장한 후, 이를 기반으로 평균 체액 수위에 대응되는 체약 배출량을 최종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측정 케이스의 다양한 기울기에 상관없이 항상 정확한 체액 배출량을 산출 및 통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의료진 또는 보호자의 별도 개입없이도 체액 배출량 측정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100)는 측정 케이스(110), 배액관(120), 다수의 수위 센서(131,132), 제어 장치(140) 이외에 측정 케이스의 입구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입구 밸브(150)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40)는 기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1시간, 8시간, 24시간)로 다수의 수위 센서(131,132)를 동작 활성화시켜 체액 수위 측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체액 수위 측정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입구 밸브(150)를 통해 측정 케이스의 입구를 폐쇄시킴으로써, 새로운 체액의 유입을 일시 차단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측정 케이스(110)는 입구(111) 뿐 아니라 출구(1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배액관(120), 다수의 수위 센서(131,132), 제어 장치(140) 및 입구 밸브(150) 이외에 측정 케이스(110)의 출구(113)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측정 케이스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일시 수집하는 수집통(160), 그리고 제어 장치(140)의 제어하에 기 설정된 주기로 측정 케이스(110)의 출구(113)를 개방시키는 출구 밸브(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이때의 제어 장치(140)는 측정 케이스(110)에 수집된 체액을 배출하는 동안 입구 밸브(150)를 폐쇄시킴으로써, 새로이 유입된 체액이 측정 과정없이 막바로 배출될 가능성을 사전 차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측정 케이스(110)를 통해 일정 시간 단위로 체액 배출량을 반복적으로 측정하되, 측정 완료된 체액은 수집통(160)와 같은 별도 장치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의료진 또는 보호자의 별도 개입없이 체액 배출량 측정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장치 관리 및 유지에 소요되는 노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뿐 만 아니라, 상기의 설명에서는 측정 케이스(110)에 하나의 배액관(120)이 결합되는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필요한 경우 다수의 배액관(120)이 동시 결합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당연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측정 케이스(110)는 체액 색상을 센싱 및 통보하는 이미지 센서(180)를 더 구비하며, 이때의 제어 장치(140)는 이상 징후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를 사전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미지 센서(180)의 체액 색상을 분석함으로써, 이상 징후 발생을 확인 및 통보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혈뇨 상태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를 사전 저장하고, 이미지 센서(180)가 이에 해당하는 체액 색상을 센싱하는 경우에는 이상 징후 발생을 통보하는 알람 신호를 즉각적으로 발생 및 출력하도록 한다. 즉, 체액 색상 기반으로 환자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의료진에 자동으로 통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어 장치(140), 다수의 수위 센서(131,132), 입구 밸브(150), 출구 밸브(170) 중 적어도 하나는 IoT 통신 모듈을 추가 구비하고, 이를 통해 IoT 통신 기반으로 각종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어 장치(140)는 IoT 통신 모듈을 통해 의료진 단말, 보호자 단말, 의료 기관 서버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고, 외부 장치에 현재의 체액 배출량을 실시간 통보할 수도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9)

  1. 강성 재질로 구현되며, 체액 측정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측정 케이스;
    상기 측정 케이스의 입구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체액을 상기 측정 케이스의 체액 측정 공간으로 전달하는 배액관;
    상기 측정 케이스의 윗면에 수평 배치되어, 상기 체액 측정 공간에 수집된 체액의 수위를 각각 측정 및 통보하는 다수의 수위 센서;
    상기 체액 수위들을 수신 및 분석하여 체액 수위 차이로부터 측정 케이스 기울기를 유추하고, 상기 측정 케이스 기울기와 상기 체액 수위들을 함께 고려하여 체액 배출량을 산출 및 통보하는 제어 장치; 및
    체액 색상을 측정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체액 색상을 기반으로 이상 징후 발생을 확인 및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다수의 수위 센서를 동작 활성화시켜 체액 수위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상기 다수의 수위 센서가 동작 활성화되는 동안 상기 측정 케이스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입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케이스의 출구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측정 케이스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체액을 일시 수집하는 수집통; 및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측정 케이스의 출구를 개방시키는 출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체액 배출량이 기 설정 값 이상이면, 상기 출구 밸브를 강제 개방시키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측정 케이스의 출구를 통해 체액이 배출되는 동안 상기 입구 밸브를 강제 폐쇄시키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 상기 다수의 수위 센서, 상기 입구 밸브 및 상기 출구 밸브 중 적어도 하나는 IoT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기 설정된 외부 장치에 체액 배출량 측정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KR1020190116718A 2019-09-23 2019-09-23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Active KR102241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18A KR102241002B1 (ko) 2019-09-23 2019-09-23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PCT/KR2020/003616 WO2021060635A1 (ko) 2019-09-23 2020-03-17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US17/762,631 US12268505B2 (en) 2019-09-23 2020-03-17 Device for measuring bodily fluid drainage amou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18A KR102241002B1 (ko) 2019-09-23 2019-09-23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928A KR20210035928A (ko) 2021-04-02
KR102241002B1 true KR102241002B1 (ko) 2021-04-20

Family

ID=7516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718A Active KR102241002B1 (ko) 2019-09-23 2019-09-23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2268505B2 (ko)
KR (1) KR102241002B1 (ko)
WO (1) WO2021060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517B1 (ko) * 2020-10-27 2021-04-23 한상호 소변량 자동 측정 장치 및 소변량 자동 측정 시스템
KR102588662B1 (ko) * 2021-07-06 2023-10-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관 카테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87107A (en) * 1972-02-25 1975-03-12 Pharma Plast Australia Pty Ltd Body-fluid collecting apparatus
DE602005010458D1 (de) * 2005-12-09 2008-11-27 Unomedical As Vorrichtung zur Volumenmessung einer Flüssigkeit in einem Gefäß
GB0706382D0 (en) * 2007-04-02 2007-05-09 Huntleigh Technology Plc Fluid level sensor
NL2001691C2 (nl) * 2008-06-16 2009-12-17 Iq & Invest N V Meetinrichting, urologisch instrument en opvanginrichting.
JP5356838B2 (ja) * 2009-01-20 2013-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収尿装置
KR101016371B1 (ko) 2009-02-16 2011-02-18 김상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SE534493C2 (sv) * 2009-06-23 2011-09-06 Observe Medical Aps Anordning och metod för mätning av urinproduktionen hos patienter bärande urinkateter
US10617805B2 (en) * 2014-03-20 2020-04-14 Exploramed Nc7, Inc. Fluid measuring reservoir for breast pumps
US20150362351A1 (en) * 2014-06-12 2015-12-17 Jay Joshi Fluid output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WO2017112728A1 (en) * 2015-12-23 2017-06-29 Baylor College Of Medicine Autonomous continuous bladder irrigation devices, colorimeters, and methods of monitoring bladder pressure
EP3299043A1 (de) * 2016-09-22 2018-03-28 Medela Holding AG Brusthaubeneinheit
KR101858027B1 (ko) * 2016-09-30 2018-05-15 (주)에프에스알엔티 소변량 적외선계측 기반 스마트 유린백
KR102158347B1 (ko) * 2017-11-27 2020-09-21 김도헌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0635A1 (ko) 2021-04-01
KR20210035928A (ko) 2021-04-02
US12268505B2 (en) 2025-04-08
US20220354402A1 (en)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879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uiding medical care based on sensor data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
Chapple et al. Urodynamics Made Easy E-Book
US12214117B2 (en) Automated urinary output monitoring system
US202300409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ltrasonically Monitoring Urine Output
JP7086848B2 (ja) 体液の排出及び解析のための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KR102241002B1 (ko)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US20240293015A1 (en) Endoscopic scope device with a sensor
CN109288530B (zh) 一种无线尿量监测仪及其系统
CN114007502A (zh) 用于预测和检测术后并发症的系统、方法和设备
JP2021515618A (ja) 胸部ドレナージ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
Johnston et al. The Whitaker test
CN201469284U (zh) 一种尿液测量装置
US11179421B2 (en) Reducing uncomfortable side effects of abdominal distension in patients treated in hydrocolonic preparation units
US20220023351A1 (en) Non-invasive sampling of inner-colonic microbiome
CN111494728A (zh) 一种肾输尿管造瘘尿液分流监测系统
KR20210036643A (ko)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US20210379116A1 (en) Effluent samples from the large intestine, including the acending part, and related diagnosis and treatment
Zaylaa et al. Urine analysis device from research to design
CN114209894B (zh) 智能外引流监测装置
RU2311120C2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функциональной патологии илеоцекального отдела кишечника
Arshad et al. Integrated systems for urine flow measurement: a critical review
Mao et al. Quantitative evaluation of upper urinary tract pump function in pigs with acute unilateral lower ureteral obstruction by 640-slice dynamic volume CT
US6773406B2 (en) Non-invasive surrogate bladder pressure indication system
KR20230032543A (ko)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장치
CN118576793A (zh) 一种用于患者排尿测量、收集和处理的智能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