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44208B1 -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208B1
KR102244208B1 KR1020200109988A KR20200109988A KR102244208B1 KR 102244208 B1 KR102244208 B1 KR 102244208B1 KR 1020200109988 A KR1020200109988 A KR 1020200109988A KR 20200109988 A KR20200109988 A KR 20200109988A KR 102244208 B1 KR102244208 B1 KR 102244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photoluminescent
drying
paint
adhesive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명
한정무
Original Assignee
이정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명 filed Critical 이정명
Priority to KR1020200109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20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27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by lamination or by fusion of the coatings o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81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522Multiple coatings, for one of the coatings of which at least one alternative is describ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2Coating or impregnation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83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광 도료 및 UV 프린팅을 이용하여 타일에 축광 기능을 부여한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축광 타일 제조방법은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접착성 수지 상면에 축광 도료를 도포하는 제 3단계; 상기 축광 도료를 도포한 타일을 열처리하는 제 4단계; 상기 열처리한 타일에 UV프린팅을 실시한 후 건조하는 제 5단계; 상기 UV프린팅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광 타일 시공방법은 축광 타일 뒷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하는 제 A단계; 기재의 바탕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 B단계;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기재의 바탕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한 축광 타일의 뒷면을 부착하는 제 C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축광 타일은,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접착성 수지 상면에 축광 도료를 도포하는 제 3단계; 상기 축광 도료를 도포한 타일을 열처리하는 제 4단계; 상기 열처리한 타일에 UV프린팅을 실시한 후 건조하는 제 5단계; 상기 UV프린팅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xial light tile}
본 발명은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광 도료 및 UV 프린팅을 이용하여 타일에 축광 기능을 부여한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일은 바닥·벽 등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하여 만든 평판상(平板狀)의 점토질 소성제품로, 타일은 여러 가지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 시공도 간단할 뿐 아니라 시공후에 균열을 일으키거나 변색하는 일이 거의 없고 특히 내구성이 있으므로 구조물의 표면을 피복 보호하는 데 가장 좋은 재료이다.
타일의 쓰임이 증가됨에 따라 현재는 타일 표면에 색을 입히거나 그림 등을 넣어 미가 수려한 건축재료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어두운 곳에서는 타일의 디자인을 비롯한 패턴, 글자, 모양 등이 보이지 않아 사람들의 시인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 단지 벽으로서 존재하게 되고 타일이 부착된 면에서 세균, 곰팡이 등이 증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건물 내벽에는 비상상황 발생 시 대피로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비상구를 비롯한 유도대피로 표지판을 필수로 설치해야 하는 데, 이러한 표지판에 LED를 접목하거나 축광기능을 접목하여 야간에도 대피로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제품은 플라스틱 또는 시트지로 화재에 약하며 정전이나 연기에 시인성이 약해지거나 소멸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석재에 축광을 접목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러한 시도는 축광의 지속시간이 짧고 축광 부분이 탈락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7429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축광 도료 및 UV 프린팅을 이용하여 주목성이 향상된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항균 물질을 포함하여 항균 기능을 갖는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축광 타일 제조방법은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접착성 수지 상면에 축광 도료를 도포하는 제 3단계; 상기 축광 도료를 도포한 타일을 열처리하는 제 4단계; 상기 열처리한 타일에 UV프린팅을 실시한 후 건조하는 제 5단계; 상기 UV프린팅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광 타일 시공방법은 축광 타일 뒷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하는 제 A단계; 기재의 바탕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 B단계;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기재의 바탕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한 축광 타일의 뒷면을 부착하는 제 C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축광 타일은,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접착성 수지 상면에 축광 도료를 도포하는 제 3단계; 상기 축광 도료를 도포한 타일을 열처리하는 제 4단계; 상기 열처리한 타일에 UV프린팅을 실시한 후 건조하는 제 5단계; 상기 UV프린팅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은 시인성 및 주목성이 향상된 축광 타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일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의 디자인을 부가할 수 있어 사진, 그림, 글 등 다양한 이미지의 표현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항균 물질을 포함하여 균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 타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 타일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 타일(주간, 야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 타일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는 상기 제시된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을 도면과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 타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 타일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 1단계(S10)에서는 타일 형상을 제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단계(S10)에서는 재료를 분쇄하는 제 1-1단계(S11), 상기 분쇄한 재료를 건조하는 제 1-2단계(S12), 상기 건조한 재료를 타일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1-3단계(S13), 상기 타일을 소성하는 제 1-4단계(S14)를 포함한다.
제 1-1단계(S11)에서는 재료를 분쇄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타일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는 점토, 도석, 장석, 규석, 석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이를 분쇄하여 성형에 적합한 크기로 제조한다.
제 1-2단계(S12)에서는 상기 분쇄한 재료를 건조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쇄한 재료를 습식상태에서 건식상태로 건조 및 저장한다.
제 1-3단계(S13)에서는 상기 건조한 재료를 타일 형상으로 성형한다.
제 1-4단계(S14)에서는 상기 타일을 소성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성형한 타일을 소성하여 타일로서의 적합한 물성을 갖도록 한다.
하기에서 설명할 축광 기능을 부여하는 대상은 상기 제조한 타일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타일, 유리, 목재, 석재 등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 2단계(S20)에서는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하도층으로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한다.
상기 접착성 수지는 타일 표면에 축광도료를 접착하기 위하여 도포되며, 상기 접착성 수지는 우레탄 계열의 수지이고, 투명 또는 백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성 수지는 항균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항균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균 물질은 키토산을 포함한다.
상기 키토산은 갑각류의 껍질에 함유된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얻어낸 물질로, 천연 양이온 고분자 물질이다.
상기 키토산의 제조는 껍질 분쇄 단계, HCl, NaOH를 이용하여 칼슘, 회분, 단백질 제거 단계, 탈아세틸화반은 단계를 거쳐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키토산은 항균 및 항곰팡이 작용으로 오염성을 감소시키며,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중금속 이온 흡착 제거가 가능하다.
상기 키토산의 탈아세틸화는 우수한 항균 작용을 위하여 95% 이상이 적합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의 경우 20,000 내지 350,000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토산을 항균 물질로 포함 시 입자 크기가 1 내지 50㎛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 물질에 포함되는 키토산의 입자 크기가 1㎛ 미만일 경우 과도하게 작은 입자로 인해 균일한 혼합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50㎛를 초과할 경우 하기에서 축광 도료 도포 시 평탄한 도포가 어렵거나 UV프린팅 시 원하는 이미지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토산은 균일한 혼합 및 도포를 고려하여 분말이 아닌 액상의 형태로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항균 물질에는 항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살진균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균 물질은 접착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 물질이 1중량부 미만일 경우 항균 작용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200℃에서 40 내지 6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온도가 200℃ 미만일 경우 건조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질 수 있거나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200℃를 초과할 경우 도료 내 성분의 변질 또는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3단계(S30)에서는 상기 접착성 수지 상면에 축광 도료를 도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성 수지 상면에 중도층으로 축광 도료를 도포한다.
상기 축광 도료는 베이스 수지와 축광 안료인 스트론튬알루마트을 포함한다.
상기 유로퓸(europium) 이온을 활성화시킨 스트론튬알루마트(SrAl2O4 : Eu, Dy)는 잔광 휘도, 잔광 시간 등이 황화아연계 안료의 10배 이상인 특징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 수지로는 우레탄 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축광 안료는 전체 축광 도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35 내지 40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광 안료가 35중량부 미만일 경우 휘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4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축광 도료의 도포 두께는 0.05 내지 0.1mm가 바람직하다. 상기 축광 도료의 도포 두께가 0.05mm 미만일 경우 축광 기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수 있으며, 0.1mm를 초과할 경우 작업성이 나빠지고 접착성 및 물성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4단계(S40)에서는 상기 축광 도료를 도포한 타일을 열처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광 도료를 도포한 타일을 전처리 공정으로 열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열처리는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으로, 하기에서 실시될 UV 프린팅의 이미지 생성이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열처리는 200℃에서 50 내지 6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처리 온도가 200℃ 미만일 경우 열처리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질 수 있거나 충분한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200℃를 초과할 경우 도료 내 성분의 변질 또는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5단계(S50)에서는 상기 열처리한 타일에 UV프린팅을 실시한 후 건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처리한 타일에 UV프린터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이미지의 UV프린팅을 실시한 후 건조한다.
상기 축광 도료 상면에 UV프린팅을 실시하는 데, 이는 일반 도료에 비하여 축광 도료가 자외선에 대한 반응성이 높아 디자인 생성이 뛰어나게 표현되기 때문이다.
상기 디자인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도 3과 같이 글, 그림, 사진 등 다양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또한, 다수 개의 타일에 각 이미지를 형성하여 모자이크 형태로 조합해 하나의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UV프린팅은 UV전용 잉크를 사용하여 보다 빠른 경화를 통해 작업 속도를 감소,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UV프린팅 수행 전 바탕색을 마련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축광 도료를 도포한 후 실시되는 UV프린팅의 경우 축광 도료 자체만으로도 UV프린팅을 통해 생성되는 이미지의 색감 표현이 충분하게 표현되나, 보다 색 표현을 뛰어나게 나타내고 싶은 경우 흰색 잉크를 도포하여 바탕색을 마련할 수 있다.
반면, 흰색의 잉크를 도포한 후 UV프린팅이 실시되므로 축광의 효과가 일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적용 가능하다.
또한, 타일의 일부에만 바탕색을 도포하거나, 바탕색을 두께를 조절(이중 도포하거나 두껍게 도포)하여 색 표현을 이미지 내에서 조절 가능할 수 있으며, 축광도료 도포 시 두께를 다르게 조절하여 축광 표현을 이미지 내에서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상온 건조(20±5℃)를 실시하며, 5 내지 15분간 실시한다. 상기 건조가 5분 미만일 경우 경화 및 안정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15분을 초과할 경우 UV프린팅의 경화는 빠르게 진행되므로 이미 경화가 완료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해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6단계(S60)에서는 상기 UV프린팅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UV프린팅된 타일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용 코팅제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건조한다.
상기 UV프린팅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함으로써, 디자인 층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축광 도료의 오염이 방지된다.
상기 보호용 코팅제는 내후성이 강한 투명의 우레탄 계열 코팅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 시 코팅 두께는 0.05 내지 0.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 두께가 0.05mm 미만일 경우 디자인의 보호 기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수 있으며, 0.1mm를 초과할 경우 디자인을 표현하는 색채, 표현력 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100℃에서 60분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온도가 100℃ 미만일 경우 건조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질 수 있거나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100℃를 초과할 경우 디자인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타일의 축광 색은 안료 및 디자인 색에 따라 yellow green, blue green, orange, pink, light yellow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 타일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 A단계(SA)에서는 축광 타일 뒷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축광 타일의 뒷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한다.
상기 방습 페인트는 습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축광 타일이 부착되는 기재의 바탕면(콘크리트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습기, 물 등으로 인한 오염을 줄인다.
특히, 축광 타일에 침투하여 인쇄 및 코팅된 디자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제 B단계(SB)에서는 기재의 바탕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구체적으로, 타일이 부착될 기재의 바탕면에 타일의 접착을 위한 접착제를 도포한다.
다음으로, 제 C단계(SC)에서는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기재의 바탕면에 축광 타일의 뒷면을 부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기재의 바탕면에 방습 페인트가 도포된 타일의 뒷면을 부착하여 타일의 시공을 수행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축광 타일 제조방법에 있어서, 접착성 수지의 키토산을 포함한 항균 물질에 대한 세균 감소율 효과를 나타낸다.

시험항목

시험방법
시험결과
시험환경
초기농도
(CFU/mL)
24시간 후 농도
(CFU/mL)
세균감소율
(%)
항균실험
대장균

KCL-FIR-
1003 : 2018
2.1x10^5 <10 99.9

37.5±
항균실험
-녹농균
2.4x10^5 <10 99.9
항균실험
-황색포도상구균
3.0x10^5 <10 99.9
상기 항균 물질의 경우 타일이 적용되는 바닥, 벽 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에 대해 항균 작용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1단계
S20.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 2단계
S30. 상기 접착성 수지 상면에 축광 도료를 도포하는 제 3단계
S40. 상기 축광 도료를 도포한 타일을 열처리하는 제 4단계
S50. 상기 열처리한 타일에 UV프린팅을 실시한 후 건조하는 제 5단계
S60. 상기 UV프린팅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6단계
SA. 축광 타일 뒷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하는 제 A단계
SB. 기재의 바탕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 B단계
SC.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기재의 바탕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한 축광 타일의 뒷면을 부착하는 제 C단계

Claims (5)

  1.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접착성 수지 상면에 축광 도료를 도포하는 제 3단계;
    상기 축광 도료를 도포한 타일을 열처리하는 제 4단계;
    상기 열처리한 타일에 UV프린팅을 실시한 후 건조하는 제 5단계;
    상기 UV프린팅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단계의 타일 형상의 제조는,
    재료를 분쇄하는 제 1-1단계;
    상기 분쇄한 재료를 건조하는 제 1-2단계;
    상기 건조한 재료를 타일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1-3단계;
    상기 타일을 소성하는 제 1-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단계에서의 접착성 수지는,
    우레탄 수지로 항균 물질인 키토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단계에서의 축광 도료의 도포 두께는 0.1 내지 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타일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접착성 수지와 항균 물질의 혼합은,
    상기 접착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항균 물질 1 내지 2중량부를 혼합하며,
    상기 키토산의 입자는 1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타일 제조방법
  4. 삭제
  5. 축광 타일 뒷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하는 제 A단계;
    기재의 바탕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 B단계;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기재의 바탕면에 방습 페인트를 도포한 축광 타일의 뒷면을 부착하는 제 C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축광 타일은,
    타일 형상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제조한 타일 표면에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접착성 수지 상면에 축광 도료를 0.1 내지 0.5mm 두께로 도포하는 제 3단계;
    상기 축광 도료를 도포한 타일을 열처리하는 제 4단계;
    상기 열처리한 타일에 UV프린팅을 실시한 후 건조하는 제 5단계;
    상기 UV프린팅된 타일의 상면을 보호용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되,
    재료를 분쇄하는 제 1-1단계;
    상기 분쇄한 재료를 건조하는 제 1-2단계;
    상기 건조한 재료를 타일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1-3단계;
    상기 타일을 소성하는 제 1-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단계에서의 접착성 수지는 항균 물질로 키토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성 수지와 항균 물질의 혼합은,
    상기 접착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항균 물질 1 내지 2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 타일 시공방법
KR1020200109988A 2020-08-31 2020-08-31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2244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988A KR102244208B1 (ko) 2020-08-31 2020-08-31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988A KR102244208B1 (ko) 2020-08-31 2020-08-31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208B1 true KR102244208B1 (ko) 2021-04-26

Family

ID=7573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988A Expired - Fee Related KR102244208B1 (ko) 2020-08-31 2020-08-31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292A (ko) 2022-03-23 2023-10-05 (주)메리엘커머스 비상유도 야광타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923Y1 (ko) * 2004-07-22 2004-10-28 주식회사 글로얀 축광 그림타일
KR20040093434A (ko) * 2003-04-28 2004-11-05 주식회사 서울세라믹스 축광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1923A (ko) * 2004-04-20 2005-10-25 이석원 축광 아트타일의 제조방법
KR200457429Y1 (ko) 2011-05-03 2011-12-20 박동수 안전유도표지판
KR20140021531A (ko) * 2010-12-28 2014-02-20 유에스지 인테리어스, 엘엘씨 키토산을 이용한 차음성 건축재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434A (ko) * 2003-04-28 2004-11-05 주식회사 서울세라믹스 축광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1923A (ko) * 2004-04-20 2005-10-25 이석원 축광 아트타일의 제조방법
KR200365923Y1 (ko) * 2004-07-22 2004-10-28 주식회사 글로얀 축광 그림타일
KR20140021531A (ko) * 2010-12-28 2014-02-20 유에스지 인테리어스, 엘엘씨 키토산을 이용한 차음성 건축재료
KR200457429Y1 (ko) 2011-05-03 2011-12-20 박동수 안전유도표지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292A (ko) 2022-03-23 2023-10-05 (주)메리엘커머스 비상유도 야광타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87913A (zh) 耐用的高性能纤维水泥产品及其制备方法
ES2264376B2 (es) Revestimiento mural de vidrio.
KR102244208B1 (ko)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CN108753280A (zh) 一种合成纸
CN107873001B (zh) 用于矿物合成表面覆盖物的元件
JP5459968B2 (ja) 積層体
JP6012323B2 (ja) 装飾材
KR101602551B1 (ko) 석재 착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착색된 칼라 샌드의 제조방법
JP5072583B2 (ja) 積層体
CN105620165A (zh) 一种瓷板画制作工艺
JP2009101607A (ja) 化粧材の製造方法
KR200485012Y1 (ko) 입체 벽화용 그림 타일
CN1712126A (zh) 蓄能光催化材料
KR102376364B1 (ko) 세라믹 축광 타일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65923Y1 (ko) 축광 그림타일
KR100445703B1 (ko) 야광 장식 타일
CN104339967B (zh) 一种防火防水防晒的艺术装饰画
KR101873185B1 (ko) 축광을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5987B1 (ko) 벽화용 그림 타일 제작방법
WO1995000330A1 (fr) Plateau de liege decoratif et procede de realisation de ce plateau
JP3201687U (ja) 積層体
JP6456740B2 (ja) 積層体
JPH09278491A (ja) 有色樹脂被覆ガラス骨材とその製造法
CN2844292Y (zh) 一种夜光石膏天花板
KR101674183B1 (ko) 점토벽돌에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전사시킬 수 있는 전사지를 이용한 점토벽돌의 제조 방법 및 그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