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40286B1 -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 Google Patents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286B1
KR102240286B1 KR1020210001616A KR20210001616A KR102240286B1 KR 102240286 B1 KR102240286 B1 KR 102240286B1 KR 1020210001616 A KR1020210001616 A KR 1020210001616A KR 20210001616 A KR20210001616 A KR 20210001616A KR 102240286 B1 KR102240286 B1 KR 102240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angle
rotor
shaft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김진용
Original Assignee
김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영 filed Critical 김주영
Priority to KR1020210001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2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5/00Arrangements for making or setting sta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8/00Haymakers with tines moving with respect to the machine
    • A01D78/08Haymakers with tines moving with respect to the machine with tine-carrying rotary heads or wheels
    • A01D78/14Haymakers with tines moving with respect to the machine with tine-carrying rotary heads or wheels the tin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초 대상의 수분율 등의 작업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제어캠의 각도 및 높이를 쉽게 조절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을 조절하고 로터 지지휠의 운동각을 작업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 집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전 집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트랙터의 장착되는 주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의 후단부의 양측에 직교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보조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보조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주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단부에 타인스프링이 설치되는 복수의 집초암과; 상기 로터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집초암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캠과; 상기 로터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터를 지지하는 로터 지지휠;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보조프레임에 각각 위치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하측에 상기 로터가 배치되는 로터고정캡과; 상기 고정브라켓 및 상기 로터고정캡에 회전결합되고, 상기 제어캠이 고정설치되는 각도조절 중공축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외주면에 각도조절 기어가 형성되는 각도조절 기어부와, 상기 각도조절 기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각도조절 핸들이 구비되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어캠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부의 각도조절 기어부에 일부 치합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Rotary raker}
본 발명은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초 대상의 수분율 등의 작업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제어캠의 각도 및 높이를 쉽게 조절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을 조절하고 로터 지지휠의 운동각을 작업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 집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전 집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초기는 추수가 끝난 뒤 파종시 논에 남아 있은 짚 등을 치우거나 모으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집초기는 트랙터 등의 이동 작업차의 후방에 장착되어 이동 작업차가 논에서 이동할 때 후방에 있는 짚을 치우거나 모으는 장치로서, 논 등에 흩어져 있는 짚을 치우거나 모으기 위하여 다수개의 갈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집초 암을 회전시켜 집초 암에 설치되어 있는 갈고리 형상의 타인스프링을 회전시키면서 논에 흩어져 있는 짚을 치우거나 모으는 장치이다. 집초기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0001 내지 0003 등이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0001은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집초장치의 캠 박스 내부에 장착되어 제어 캠의 트랙을 따라 이동하면서 집초 작업시 캠플로와 샤프트의 강도가 약한 부분인 고정암이 파손되면 캠플로와 샤프트를 구성하는 몸체를 캠 박스의 경사캠 하우징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한 다음, 고정암을 교체할 수 있어, 부품 교체 시간이 짧아 고장 수리가 용이하며, 또한 집초기의 집초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집초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2는 집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로터의 상부에는 베벨기어가 일체화되게 결합되며, 상기 베벨기어에는 구동피니언이 치합되고, 상기 베벨기어의 상부에는 지지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로터 및 지지커버의 중심부에는 로터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기구는 로터 및 지지커버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중공관체와, 상기 중공관체의 중공부에 설치된 제1높이조절봉과, 상기 중공관체의 중공부에 배치되어 제1높이조절봉과 상대적인 나사운동하는 조절너트와, 상기 조절너트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제2높이조절봉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관체는 제1높이조절봉과 조절너트의 상대적인 나사운동에 의해 상하이동하고, 상기 중공관체의 상부 외주면이 상기 지지커버의 상부 내주면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중공관체의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로터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03의 반전 집초기는 다수의 집초암이 장착되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로터박스와, 경사면을 갖는 폐궤도 형상의 캠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박스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로터박스의 회전시 상기 집초암의 회전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어캠과, 상기 로터박스 및 제어캠을 관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제어캠과 일체로 회전하는 수직샤프트와, 상기 수직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제어캠의 경사면 위치를 변경하는 반전제어부 및 상기 로터박스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샤프트의 끝단이 장착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제어캠의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고, 제어캠을 미세하게 회전시키더라도 바퀴부가 바라보는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내지 0003의 집초기는 집초암의 높이 및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높이 및 각도조절 구조가 복잡하고, 높이 및 각도조절 후 충격에 의해 높이 및 각도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가 있다.
KR 10-1396427 B1 (2014.05.12) KR 10-1584526 B1 (2016.01.06) KR 10-1915907 B1 (2018.10.31)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집초 대상의 수분율 등의 작업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제어캠의 각도 및 높이를 쉽게 조절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을 조절하고 로터 지지휠의 운동각을 작업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 집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전 집초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랙터의 장착되는 주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의 후단부의 양측에 직교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보조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보조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주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단부에 타인스프링이 설치되는 복수의 집초암과; 상기 로터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집초암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캠과; 상기 로터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터를 지지하는 로터 지지휠;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보조프레임에 각각 위치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하측에 상기 로터가 배치되는 로터고정캡과;
상기 고정브라켓 및 상기 로터고정캡에 회전결합되고, 상기 제어캠이 고정설치되는 각도조절 중공축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외주면에 각도조절 기어가 형성되는 각도조절 기어부와, 상기 각도조절 기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각도조절 핸들이 구비되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어캠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부의 각도조절 기어부에 일부 치합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를 제공한다.
상기 상기 위치고정부는 일측면에 상기 각도조절 기어부에 일부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는 장방형 형상의 스토퍼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스토퍼가 수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회전방지부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회전방지부의 고정홈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부가 상기 각도조절중공축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중공축 내에 나사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로터 지지휠이 설치되는 높이조절축과, 상기 높이조절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핸들을 포함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각도조절중공축의 하부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의 회전방지키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키홈에 상기 각도조절중공축의 회전방지키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중공축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하부에 제1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상부 고정부와, 하부에 상기 높이조절축이 위치고정된 상태로 회전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상부 고정부의 제1 플랜지부에 체결고정되는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하부 고정부와, 상기 하부 고정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로터 지지휠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휠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휠지지부의 지지프레임의 단부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축공과, 상기 축공의 전측에 형성되는 전측 핀고정공과, 상기 축공의 후측에 형성되는 후측 핀고정공이 구비되고,
상기 로터 지지휠이 캐스터 각으로 회전결합되는 휠연결부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축공에 삽입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가 안착되고 전측에 핀공이 형성되며 후측에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핀슬릿이 형성되는 안착판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 핀고정공을 관통해 상기 안착판의 핀공에 삽입고정되거나,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측 핀고정공을 관통해 상기 안착판의 핀슬릿에 삽입고정되는 휠 운동각 조절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휠 운동각 조절핀의 상부에는 일측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고정편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고정편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축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를 상기 지지축의 상부에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기 보조프레임을 감싼 상태로 슬라이드결합되는 관체 구조의 슬라이드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결합부의 상부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각각 상기 보조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축결합되는 리드스크류를 포함하는 좌우폭 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슬라이드결합부의 상부 모서리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 내에 삽입되고 하단부에 상기 보조프레임의 상부 모서리에 면접촉하는 홈이 형성되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재질의 보조팁과,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보조팁을 상기 보조프레임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좌우폭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는 집초 대상의 수분율 등의 작업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제어캠의 각도 및 높이를 쉽게 조절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을 조절하고 로터 지지휠의 운동각을 작업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 집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반전 집초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보조프레임과 고정브라켓의 결합구조의 정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고정브라켓과 로터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B-B선에 따른 종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로터 지지휠이 장착된 휠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휠연결부와 지지프레임이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C-C선에 따른 종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12는 휠 운동각 조절핀이 핀슬릿에 삽입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트랙터의 장착되는 주프레임(10)과; 상기 주프레임(10)의 후단부의 양측에 직교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보조프레임(20)과; 상기 한쌍의 보조프레임(20)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30)와; 상기 로터(30)의 주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단부에 타인스프링(410)이 설치되는 복수의 집초암(40)과; 상기 로터(3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집초암(40)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캠(50)과; 상기 로터(3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터(30)를 지지하는 로터 지지휠(6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로터(30), 상기 복수의 집초암(40) 및 상기 제어캠(50)의 구조 및 작용은 종래의 집초기의 로터, 집초암 및 제어캠의 구조 및 작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반전 집초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보조프레임과 고정브라켓의 결합구조의 정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상기 한쌍의 보조프레임(20)에 상기 로터(30) 등을 고정설치하기 위한 고정브라켓(21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10)은 상기 한쌍의 보조프레임(20)의 양단부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나, 도 1 및 도 2와 같이 슬라이드결합부(220)에 의해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20)는 상기 보조프레임(20)을 감싼 상태로 슬라이드결합되는 관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20)의 내부공간의 상부면에는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20)가 상기 보조프레임(20) 상에 원활히 이동되고, 이동시 상기 보조프레임(20)과 마찰에 의해 상기 보조프레임(20)의 표면에 형성된 도막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판(221) 등이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미끄럼판(221)은 상기 보조프레임(20)보다 강도가 약하면서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20)는 좌우폭 조절부(230)에 의해 상기 보조프레임(20)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집초 작업폭이 조절된다.
상기 좌우폭 조절부(230)는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20)의 상부에 구비된 이송너트(231)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보조프레임(20)의 좌우측에 각각 축결합되는 리드스크류(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우폭 조절부(230)에는 상기 리드스크류(232)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232)를 회전시키는 핸들(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핸들(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리드스크류(23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20)가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브라켓(210)에 설치된 상기 로터(30), 복수의 집초암(40) 등이 함께 외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집초 작업폭이 확장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을 이용하여 상기 리드스크류(23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20)가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브라켓(210)에 설치된 상기 로터(30), 복수의 집초암(40) 등이 함께 내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집초 작업폭이 좁아진다.
한편, 집초기 등을 이용한 집초 작업 또는 집초기의 이동시 상기 보조프레임(20)과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20)의 유격에 의해 상기 보조프레임(20) 또는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20)를 상기 보조프레임(20)에 견고한 상태로 고정하는 좌우폭 고정부(222)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좌우폭 고정부(222)는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20)의 상부 모서리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공(222a)과, 상기 체결공(222a)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20)를 상기 보조프레임(20)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볼트(22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공(222a)과 연통되는 보조관체(222c)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관체(222c)의 내주면에 나사선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볼트(222b)를 상기 보조관체(222c)의 나사선에 나사결합시키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체결공(222a) 내에 삽입되고 하단부에 상기 보조프레임(20)의 상부 모서리에 면접촉하는 홈이 형성되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재질의 보조팁(222d)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보조팁(222d)은 상기 고정볼트의 조임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보조팁(222d)의 홈이 상기 보조프레임(20)의 상부 모서리에 밀착되고, 이에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20)가 상기 보조프레임(20)에 견고히 고정되므로, 집초작업 또는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20) 또는 상기 보조프레임(20)의 표면이 파소될 우려가 없다.
한편, 상기 보조프레임(20)은 집초기의 이동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주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 상기 주프레임(10)과 상기 보조프레임(20) 사이에 실린더(240) 등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도 6은 고정브라켓과 로터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B-B선에 따른 종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상기 고정브라켓(210)의 하부에는 하측에 상기 로터(30)가 배치되는 로터고정캡(710)이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집초 대상의 수분율 등의 작업환경에 따라 상기 제어캠(50)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720) 및 위치고정부(730)가 구비된다.
상기 각도조절부(720)는 상기 고정브라켓(210) 및 상기 로터고정캡(710)에 회전결합되고 상기 제어캠(50)이 고정설치되는 각도조절 중공축(721)과, 상기 고정브라켓(2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외주면에 각도조절 기어(722a)가 형성되는 각도조절 기어부(722)와, 상기 각도조절 기어부(722)의 일측에 설치되는 각도조절 핸들(723)이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도조절 기어부(722)의 각도조절 핸들(723)을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이 일정각도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에 고정설치된 상기 제어캠(50) 또한 일정각도 회전된다.
상기 위치고정부(730)는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의 회전에 의해 각도조절된 상기 제어캠(5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브라켓(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부(720)에 의해 상기 제어캠(50)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부(720)의 각도조절 기어부(722)에 일부 치합되어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 위치고정부(730)는 일측면에 상기 각도조절 기어부(722)에 일부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는 장방형 형상의 스토퍼(731)와, 상기 고정브라켓(210)에 고정설치되어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스토퍼(731)가 수용되는 고정홈(732a)이 형성되는 회전방지부(732)와, 상기 스토퍼(731)를 상기 회전방지부(732)의 고정홈(732a)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재(733)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어캠(50)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731)의 기어치를 상기 각도조절 기어부(722)의 각도조절 기어(722a)에 치합시킨 상태로 상기 스토퍼(731)를 상기 회전방지부(732)의 고정홈에 삽입한 후 상기 고정부재(733)를 이용하여 상기 스토퍼(731)를 상기 고정브라켓(210)에 고정함으로서, 상기 각도조절 기어부(722) 및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은 위치고정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10)에는 상기 회전방지부(732)의 고정홈 내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731)에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733)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상태로 상기 고정브라켓(210)의 체결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회전방지부(732)의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스토퍼(731)를 상기 고정브라켓(210)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캠(50)의 각도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브라켓(210)으로부터 고정해제하여 상기 스토퍼(731)를 상기 회전방지부(732)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각도조절 핸들(723)을 이용하여 상기 각도조절 기어부(722)를 일정각도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 및 상기 제어캠(50)이 일정각도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720) 및 상기 위치고정부(730)에 의해 작업자가 집초 대상의 수분율 등의 작업 환경에 따라 상기 제어캠(50)의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그 위치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집초대상의 종류 및 노면 상태 등의 작업환경에 따라 상기 로터(30)와 상기 로터 지지휠(6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집초암(4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740)가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높이조절부(740)는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 내에 나사결합되는 높이조절축(741)과, 상기 높이조절축(741)을 회전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핸들(7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축(741)은 상부가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 내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축(741)의 하부에는 상기 로터 지지휠(60)이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핸들(742)은 상기 높이조절축(741)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핸들(74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높이조절축(741)이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을 따라 하측으로 하강하고, 이에 상기 로터(30)와 상기 로터 지지휠(60)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상기 로터(30) 주변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집초암(40)의 높이가 높아진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핸들(742)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높이조절축(741)이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을 따라 상측으로 상승하고, 이에 상기 복수의 집초암(40)의 높이가 낮아진다.
상기 높이조절부(740)에 의해 높이조절된 상기 복수의 집초암(40)의 높이를 견고히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높이조절축(741)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몸체(743a)와, 상기 너트몸체(743a)에 구비되는 핸들바(743b)를 포함한 높이조절 고정부(743)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높이조절부(740)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집초암(40)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 고정부(743)를 조임방향으로 강하게 회전시키면 상기 높이조절 고정부(743)의 너트몸체(743a)가 상기 높이조절축(741)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의 상단부에 밀착고정되고, 이에 상기 높이조절축(741)은 위치가 고정된다.
도 9는 로터 지지휠이 장착된 휠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상기 로터 지지휠(60)은 상기 높이조절축(741) 및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에 휠지지부(80)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상기 휠지지부(80)는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에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고정부(810)와, 상부가 상기 상부 고정부(810)에 고정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높이조절축(741)이 위치고정된 상태로 회전결합되는 하부 고정부(820)와, 상기 하부 고정부(820)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로터 지지휠(60)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8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의 하부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의 회전방지키(721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부(810)의 수직방향의 축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의 회전방지키(721a)가 삽입되는 키홈(811)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고정부(810)는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에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부(81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고정부(820)의 상부가 플랜지결합하기 위한 제1 플랜지부(812)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고정부(820)는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721)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상기 높이조절축(741)의 하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822a)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중앙에 상기 높이조절축(741)의 하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공(822b)이 형성된 몸체(821)와, 상기 몸체(821)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고정부(820)의 제1 플랜지부(812)와 플랜지결합하는 제2플랜지부(8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축(741)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고정부(820) 몸체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고정링(744)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부(820) 몸체의 관통공(822b)을 관통한 상기 높이조절축(741)의 하단부에는 이탈방지부(745)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부(745)는 높이조절축(741)의 하단부에 형성된 핀공에 삽입되는 고정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집초기의 주행 중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축(741)의 하부와 상기 하부 고정부(8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높이조절축(741)의 고정링(744)과 상기 하부 고정부(820)의 바닥면 사이에 고무재질의 충격흡수부(746)가 개재되는 것이 좋다.
도 10은 휠연결부와 지지프레임이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C-C선에 따른 종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12는 휠 운동각 조절핀이 핀슬릿에 삽입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830)은 상기 로터 지지휠(60)의 개수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 지지휠(60)이 도 1 등과 같이 3개로 구성되는 경우 'T'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 지지휠(60)은 상기 지지프레임(830)에 캐스터 각으로 회전결합되는 휠연결부(840)에 의해 축고정된다. 상기 지지프레임(830)의 단부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축공(831)이 형성되고, 상기 휠연결부(840)의 단부에 지지축(84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830)의 축공(831)에 삽입되어 축결합된다.
이때 집초작업하기 위한 노면상태에 따라 상기 로터 지지휠(60)을 직진운동,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회전운동, 360°회전운동 등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지지프레임(830)의 축공(831) 전측에 형성되는 전측 핀고정공(832)과, 상기 지지프레임(830)의 축공 후측에 형성되는 후측 핀고정공(833)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휠연결부(840)의 지지축(841)의 하부에 상기 지지프레임(830)의 하부가 안착되고 전측에 핀공(842a)이 형성되고 후측에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핀슬릿(842b)이 형성되는 안착판(84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830)의 전측 핀고정공(832)을 관통해 상기 안착판(842)의 핀공(842a)에 삽입고정되거나, 상기 지지프레임(830)의 후측 핀고정공(833)을 관통해 상기 안착판(842)의 핀슬릿(842b)에 삽입고정되는 휠 운동각 조절핀(850)이 구비된다.
상기 휠 운동각 조절핀(850)을 도 9 및 도 11과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830)의 전측 핀고정공(832)을 관통해 상기 안착판(842)의 핀공(842a)에 삽입고정하면, 상기 휠연결부(840)가 상기 지지프레임(830)에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로터 지지휠(60)이 직진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휠 운동각 조절핀(850)을 도 12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830)의 후측 핀고정공(833)을 관통해 상기 안착판(842)의 핀슬릿(842b)에 삽입고정하면, 상기 휠연결부(840)가 상기 핀슬릿(842b)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운동을 함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휠 운동각 조절핀(850)을 상기 지지프레임(830)의 전측 핀고정공(832) 및 후측 핀고정공(833)으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휠연결부(840)가 상기 지지프레임(830)에 자유롭게 회전됨에 따라 상기 로터 지지휠(60)이 360°회전한다.
나아가, 상기 로터 지지휠(6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휠 운동각 조절핀(850)이 상기 지지프레임(830)의 전측 핀고정공(832) 또는 후측 핀고정공(833) 등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휠 운동각 조절핀(850)의 상부에 일측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상기 지지축(841)이 삽입되는 관통구(851a)가 형성된 고정편(85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841)의 상단부와 상기 휠 운동각 조절핀(850)의 고정편(851)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86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지지축(841)의 상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860)의 상부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고정핀 등의 위치고정부재(87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860)는 압축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860)에 의해 상기 휠 운동각 조절핀(850)의 고정편(851)이 하측으로 탄성지지됨으로서, 상기 휠 운동각 조절핀(850)이 상기 지지프레임(830)의 전측 핀고정공(832) 또는 후측 핀고정공(833) 등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축(841)의 상단부가 상측으로 탄성지지됨에 따라, 상기 로터 지지휠(60) 및 휠연결부(840)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집초 작업을 할 수 있고, 충격에 의한 집초기의 파손 등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10: 주프레임,
20: 보조프레임,
30: 로터,
40: 집초암,
50: 제어캠,
60: 로터 지지휠

Claims (8)

  1. 트랙터의 장착되는 주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의 후단부의 양측에 직교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보조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보조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주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단부에 타인스프링이 설치되는 복수의 집초암과; 상기 로터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집초암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캠과; 상기 로터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터를 지지하는 로터 지지휠;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보조프레임에 각각 위치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하측에 상기 로터가 배치되는 로터고정캡과;
    상기 고정브라켓 및 상기 로터고정캡에 회전결합되고, 상기 제어캠이 고정설치되는 각도조절 중공축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각도조절 중공축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외주면에 각도조절 기어가 형성되는 각도조절 기어부와, 상기 각도조절 기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각도조절 핸들이 구비되는 각도조절부와;
    일측면에 상기 각도조절 기어부에 일부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되는 장방형 형상의 스토퍼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스토퍼가 수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회전방지부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회전방지부의 고정홈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어캠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스토퍼의 기어치가 상기 각도조절부의 각도조절 기어부에 일부 치합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가 상기 각도조절중공축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중공축 내에 나사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로터 지지휠이 설치되는 높이조절축과, 상기 높이조절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핸들을 포함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중공축의 하부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의 회전방지키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키홈에 상기 각도조절중공축의 회전방지키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중공축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하부에 제1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상부 고정부와, 하부에 상기 높이조절축이 위치고정된 상태로 회전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상부 고정부의 제1 플랜지부에 체결고정되는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하부 고정부와, 상기 하부 고정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로터 지지휠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휠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휠지지부의 지지프레임의 단부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축공과, 상기 축공의 전측에 형성되는 전측 핀고정공과, 상기 축공의 후측에 형성되는 후측 핀고정공이 구비되고,
    상기 로터 지지휠이 캐스터 각으로 회전결합되는 휠연결부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축공에 삽입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가 안착되고 전측에 핀공이 형성되며 후측에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핀슬릿이 형성되는 안착판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 핀고정공을 관통해 상기 안착판의 핀공에 삽입고정되거나,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측 핀고정공을 관통해 상기 안착판의 핀슬릿에 삽입고정되는 휠 운동각 조절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휠 운동각 조절핀의 상부에는 일측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고정편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고정편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축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를 상기 지지축의 상부에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기 보조프레임을 감싼 상태로 슬라이드결합되는 관체 구조의 슬라이드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결합부의 상부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각각 상기 보조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축결합되는 리드스크류를 포함하는 좌우폭 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결합부의 상부 모서리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 내에 삽입되고 하단부에 상기 보조프레임의 상부 모서리에 면접촉하는 홈이 형성되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재질의 보조팁과,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보조팁을 상기 보조프레임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좌우폭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8. 삭제
KR1020210001616A 2021-01-06 2021-01-06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Active KR102240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616A KR102240286B1 (ko) 2021-01-06 2021-01-06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616A KR102240286B1 (ko) 2021-01-06 2021-01-06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286B1 true KR102240286B1 (ko) 2021-04-13

Family

ID=7548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616A Active KR102240286B1 (ko) 2021-01-06 2021-01-06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2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662B1 (ko) * 2022-04-25 2022-09-29 김주영 집초용 반전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688U (ko) * 1997-01-21 1998-10-15 임경석 집초반전기
KR101396427B1 (ko) 2013-05-22 2014-05-20 위캔글로벌 주식회사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
KR101584526B1 (ko) 2013-12-26 2016-01-18 주식회사 그린맥스 높이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집초장치
KR101733226B1 (ko) * 2016-07-12 2017-05-08 이승우 지지장치가 구비된 반전 집초기
KR101915907B1 (ko) 2017-08-22 2018-11-06 주식회사 삼원농기계 반전 집초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688U (ko) * 1997-01-21 1998-10-15 임경석 집초반전기
KR101396427B1 (ko) 2013-05-22 2014-05-20 위캔글로벌 주식회사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
KR101584526B1 (ko) 2013-12-26 2016-01-18 주식회사 그린맥스 높이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집초장치
KR101733226B1 (ko) * 2016-07-12 2017-05-08 이승우 지지장치가 구비된 반전 집초기
KR101915907B1 (ko) 2017-08-22 2018-11-06 주식회사 삼원농기계 반전 집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662B1 (ko) * 2022-04-25 2022-09-29 김주영 집초용 반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286B1 (ko)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EP3119560B1 (de) Handwerkzeug mit einem aussengehäuse und einem innengehäuse
KR101021965B1 (ko) 예초기용 보호커버 및 이에 적용되는 베어링 유니트
US8522657B2 (en) Slide-type cutting machine
US20070022614A1 (en) Protective shield for a free-cutting tool
EP2268786A2 (de) Inkubator mit schüttelvorrichtung
AU2019200604A1 (en) Lawn mower robot
DE112017005134T5 (de) Tischschneidvorrichtung
US6540031B1 (en) Small-sized tiller
JP3088629B2 (ja) 植付機における代掻き用ローターの駆動機構
EP0976314A1 (en) Adjustment mechanism
AU2019200603B2 (en) Lawn mower robot
US20240188500A1 (en) Footrest for outdoor power equipment
US20150204415A1 (en) Vibration isolation assembly for concrete saws
KR101396427B1 (ko)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
US20170099770A1 (en) Mower with shock absorbers
US20190200544A1 (en) Stump Grinder with Cutting Wheel Moving and Stabilizing Assembly
CN1906997B (zh) 草坪维护设备
KR101803699B1 (ko) 태양추적 집광장치용 각도조절장치
JPS63181919A (ja) ジヤイロ式刈入機
KR102047527B1 (ko) 작업용 이동의자
KR101623846B1 (ko)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CN210253475U (zh) 吸尘装置
KR102218183B1 (ko) 잔디깍기 로봇
JP3494290B2 (ja) 自走型草刈機の刈刃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