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6427B1 -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 - Google Patents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427B1
KR101396427B1 KR1020130057723A KR20130057723A KR101396427B1 KR 101396427 B1 KR101396427 B1 KR 101396427B1 KR 1020130057723 A KR1020130057723 A KR 1020130057723A KR 20130057723 A KR20130057723 A KR 20130057723A KR 101396427 B1 KR101396427 B1 KR 101396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fixed
shaft
control cam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환
Original Assignee
위캔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캔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캔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7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4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5/00Arrangements for making or setting sta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2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집초장치의 캠 박스 내부에 장착되어 제어 캠의 트랙을 따라 이동하면서 집초 작업시 캠플로와 샤프트의 강도가 약한 부분인 고정암이 파손되면 캠플로와 샤프트를 구성하는 몸체를 캠 박스의 경사캠 하우징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한 다음, 고정암을 교체할 수 있어, 부품 교체 시간이 짧아 고장 수리가 용이하였으며, 또한 집초기의 집초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집초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Rote assembly gathering hay device for a rake}
본 발명은 트랙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집초장치의 캠 박스 내부에 장착된 제어 캠의 트랙을 따라 캠플로와 샤프트의 이동시 고정암이 파손되면 고정암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초기는 추수가 끝난 뒤 파종시 논에 남아 있은 짚 등을 치우거나 모으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집초기는 트랙터 등의 이동 작업차의 후방에 장착되어 이동 작업차가 논에서 이동할 때 이동 작업차의 후방에 있는 짚을 치우거나 모으는 장치로서, 논에 흩어져 있는 짚을 치우거나 모으기 위하여 다수개의 타인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집초암을 유압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시켜 집초 암에 설치되어 있는 타인 스프링을 회전시키면서 논에 흩어져 있는 짚을 치우거나 모으는 회전식 집초기가 개발된바 있다.
이러한 집초기에 대하여 국내에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999-36481호, 등록특허공보 제285286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0880689호 등에 의하여 개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집초기는 이동 작업차의 후방에 장착되는 것이므로 작업자(운전자)가 집초 작업이 원활하게 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시로 뒤를 돌아보아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고, 또한 작업 범위가 이동 작업차가 전진할 때 집초기가 설치된 위치만을 집초할 수 있어 다양하고 광범위한 작업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집초기는 짚을 모으기 위해 제어캠의 트랙을 따라 회전하는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가 부러지는 등 파손을 입을 경우, 로터암 어셈블리가 장착된 집초장치를 구성하는 캠 박스, 베벨기어, 수직샤프트 및 제어 캠 등의 구성품을 분리한 다음, 파손된 집초장치를 교체해야 함에 따라 부품의 교체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초장치의 캠 박스 내부에 장착된 제어 캠의 트랙을 따라 캠플로와 샤프트의 이동시 취약 부분인 고정암이 파손되면 교체작업 용이하도록 구성한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볏짚의 집초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집초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트랙터의 후방에 장착되고, 트랙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프레임; 캠 박스 내부 중앙 영역에 위치된 고정샤프트에 축 고정되고, 캠 트랙이 형성된 제어 캠과, 캠 박스에 결합되어 제어 캠의 캠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캠플로와 샤프트와, 캠플로와 샤프트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에 타인 스프링이 결합된 집초 암으로 이루어진 집초장치와; 상기 캠 박스의 상부 커버에 체결 고정되고, 고정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중공축과, 중공축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베벨기어가 축설되고,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된 기어박스와,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기어박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베벨기어에 치합 되는 기어가 구비된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회전전달장치로 구성되는 로터 어셈블리; 및 상기 로터 어셈블리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로터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동시에 트랙터 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로터지지장치로 이루어진 집초기에 있어서, 상기 캠 박스의 외주연에 외측으로 동일 경사각을 유지하고, 캠 박스 내부와 연통되게 결합공이 형성된 다수의 경사캠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캠 하우징의 결합공에 다수의 캠플로와 샤프트가 각각 체결부재로써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어, 제어 캠의 캠 트랙을 따라 이동에 따른 파손시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집초장치의 캠 박스 내부에 장착되어 제어 캠의 트랙을 따라 이동하면서 집초 작업시 캠플로와 샤프트의 강도가 약한 부분인 고정암이 파손되면, 캠플로와 샤프트를 구성하는 몸체를, 캠 박스의 경사캠 하우징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결합공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한 다음, 고정암을 교체할 수 있어, 부품 교체 시간이 짧아 고장 수리가 용이하였으며, 또한 집초기의 집초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집초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단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A"부분에 대한 확대 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에 대한 제어캠 각도조절장치에 따른 구성도.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제어갬 각도조절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
도 11a,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지지장치의 충격완충수단에 대한 동작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초기는 트랙터(1) 후방 영역에 장착되어 트랙터(1)의 동력이 전달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후방 영역에 장착되어 트랙터(1)의 동력을 전달받아 볏짚을 집초하기 위한 로터 어셈블리(20)와; 로터 어셈블리(20)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로터 어셈블리(20)를 지지하는 동시에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로터지지장치(80)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터 어셈블리(20)는 하부 및 상부에 하부커버(22a)와 상부커버(22b)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캠 박스(22)와, 캠 박스(22)의 외주연에 동일 경사각을 유지하여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와 연통되게 결합공(23a)이 형성된 경사캠 하우징(23)과, 캠 박스(22)의 내부 중앙 영역에 위치된 고정샤프트(50) 외주연에 축설되고, 하부커버(22a)에 베어링(24b)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상부 외주연에 캠 트랙(24a)이 형성된 제어 캠(24)과, 경사캠 하우징(23)의 결합공(23a)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체결부재(48)로써 고정되고, 제어 캠(24)의 캠 트랙(24a)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캠플로와 샤프트(40)와, 캠플로와 샤프트(40)의 외측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외주연에 다수의 타인 스프링(25)이 결합된 집초 암(26)으로 이루어진 집초장치(27)와; 캠 박스(22)의 상부 커버(22b)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고, 중앙 영역에 위치된 고정샤프트(50) 외주연에 베어링(30a)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중공축(30)과, 프레임(10)의 후방 영역에 장착되고, 중공축(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베벨기어(32)가 축설되며, 하부가 하부커버(34a)로써 마감된 기어박스(34)와, 트랙터(1)의 동력을 전달받아 기어박스(34)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베벨기어(32)에 치합되도록 기어(36)가 구비된 회전축(37)으로 이루어진 회전전달장치(38)로 구성되어 집초장치(27)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캠플로와 샤프트(40)는 경사캠 하우징(23)의 결합공(23a)에 결합되고, 중앙 영역에 조립통공(42a)이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 경사캠 하우징(23)의 외측면에 일치되는 체결플랜지(41)가 구비된 몸체(42)와; 몸체(42)의 조립통공(42a)에 축 고정된 캠샤프트(43)와, 캠샤프트(43) 내측 단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 단부에 제어 캠(24)의 캠 트랙(24a)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44)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고정암(45)과; 캠샤프트(43)의 외측에 결합되고, 체결플랜지(41) 외측면에 고정되며, 단부에 집초 암(26)이 구비된 중간 연결대(46)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재(48)는 경사캠 하우징(23)의 외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공(48a)과; 경사캠 하우징(23)의 나사공(48a)과 대응되게 체결플랜지(41)에 형성된 통공(48b)과; 통공(48b)과 나사공(48a)을 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49)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캠(24)의 하부와 고정샤프트(50) 외주연에는 볏짚의 집초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 캠(24)의 회동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캠 각도조절장치(6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캠 각도조절장치(60)는 제어 캠(24) 하부 영역의 고정샤프트(50)에 결합되어 고정볼트(61)로써 체결 고정된 원통형의 하부고정하우징(62)과; 하부고정하우징(62)의 상부에 용착 고정되고, 등간격으로 다수의 회동장공(63a)이 형성된 하부고정플레이트(63)와; 하부고정플레이트(63) 상부에 안착되고, 가장자리에 회동장공(63a)과 일치되게 통공(64a)이 형성된 간격유지플레이트(64)와; 간격유지플레이트(64) 상부에 안착 고정되고, 통공(64a)과 일치되게 통공(65a)이 형성된 상부회동플레이트(65)와; 상부회동플레이트(65) 상부에 고정되고, 제어 캠(24) 하부에 결합되어 고정볼트(66)로써 체결 고정된 원통형의 상부회동하우징(67)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 상부회동플레이트(65)와 간격유지플레이트(64)의 통공(65a)(64a) 및 하부고정플레이트(63)의 회동장공(63a)을 통하여 회동볼트(68) 및 너트(69)가 체결되고, 이 회동볼트(68)가 회동장공(63a)을 따라 회동하게 되어 원하는 제어 캠(24)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때, 하부고정플레이트(63)의 외주연에는 제어 캠(24)의 각도 조절에 대한 기준점이 되는 기준표시부(70)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회동플레이트(65)의 외주연에는 기준표시부(70)와 대응되게 이동표시부(7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로터지지장치(80)는 지면에 닿게 되는 후방바퀴(81)와 전방바퀴(8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방수평바(83) 및 전방수평바(84)와; 후방수평바(83)와 전방수평바(84)를 연결하는 상부받침판(85)과; 상부받침판(85) 상부에 수직으로 체결 고정되고, 고정샤프트(5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이동하우징(86)과; 기어박스(34) 상부와 이동하우징(86) 사이에 구비되어 후방바퀴(81) 및 전방바퀴(82)에서 발생 되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충격완충수단(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격완충수단(90)은 기어박스(34) 상부에 수직으로 체결 고정되고, 유압라인(91)으로써 내부에 유압이 발생되는 유압실린더(92)와; 유압실린더(92)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93)과; 피스톤(93) 하부에 연결되고, 고정샤프트(50)에 관통 형성된 수직이동공(52)에 결합되며, 하단이 이동하우징(86)을 통과하여 결합되고, 연결핀(97)으로써 고정된 로드(94)와; 유압실린더(92) 상부에 장착되어 유압라인(91)의 유압을 축압하기 위한 완충부재(100)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샤프트(50)는 상단이 유압실린더(92)의 하부에 고정너트(53)으로써 체결 고정되고, 하부 영역이 이동하우징(86)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 영역이 기어박스(34) 내부의 중공축(30), 중앙 영역이 제어 캠(24) 및 제어캠 각도조절장치(60)의 하부고정하우징(62)에 체결 고정되고, 중앙 영역에 수직이동공(52)이 관통 형성되어 로드(94)가 결합 된다.
상기 완충부재(100)는 유압실린더(92)의 상부에 연통되게 장착되고, 고압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금속용기(110)와; 금속용기(110) 내부에 상하로 구분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장착된 다이아프램(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압실린더(92) 상부와 금속용기(110) 하부 사이에는 유입구(111)가 연통되게 구비되어, 유압실린더(92) 내부의 유압이 금속용기(1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다이아프램(120)으로 구분된 금속용기(110) 내부의 상측에는 고압의 질소가스가 충진되어 유압이 유입되기 전의 초기에 다이아프램(120)이 유입구(111)를 막는 상태로 위치한다. 따라서 후방바퀴(81) 및 전방바퀴(82)가 논밭에 형성된 요철부를 타고 넘게 되면, 유압실린더(92) 내부로 유압이 유입되어, 유압구(111) 쪽으로 유입됨에 따라, 다이아프램(120)을 밀어올리면서 유압이 축압되어 금속용기(110)의 내부에 들어있는 고압의 질소가스에 의해 축압된 유압이 압력을 유지하면서 축압 됨에 따라 충격이 흡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트랙터(1) 후방 영역에 집초기를 구성하는 프레임(10)을 장착한 상태에서 논이나 밭에 있는 짚을 치우거나 모으기 위하여 운전자가 트랙터(1)를 조작하면, 트랙터(1)의 동력이 프레임(10)에 장착된 중간미션장치(미도시)와 조인트(미도시)를 통하여 회전축(37)으로 전달하게 됨에 따라 기어박스(34) 내부의 기어(36)가 회전하게 되고, 이 기어(36)에 치합되고, 중공축(3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베벨기어(32)가 베어링(30a)의 회전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샤프트(50)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중공축(30)이 회전하게 되고, 중공축(30)과 분리 가능하게 상부 커버(22b)로써 체결 고정된 캠 박스(22)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캠 박스(22)의 경사캠 하우징(23)에 형성된 결합공(23a)에 체결부재(48)로써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캠플로와 샤프트(40)를 구성하는 고정암(45)의 롤러(44)가 제어 캠(24)의 캠 트랙(24a)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캠플로와 샤프트(40)의 중간 연결대(46)에 구비된 집초 암(26)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타측 외주연의 타인 스프링(25)이 지면과 수직으로 이루어지면 지면에 놓인 짚을 수집하여 회전방향으로 포집하다가 타인 스프링(25)이 다시 수평을 놓이게 되면 포집된 짚을 더 이상 끌고 가지 않기 때문에 타인 스프링(25)이 수평으로 올려지는 자리에 짚이 쌓이게 되어 집초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집초 작업을 위하여 제어 캠(24)의 캠 트랙(24a)을 따라 캠플로와 샤프트(40)를 구성하는 롤러(44)가 이동하다가 고정암(45)이 부러지는 등 파손이 발생 되면,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체결부재(48)의 체결력을 해제하여 캠플로와 샤프트(40)를 경사캠 하우징(23)에 형성된 결합공(23a)으로부터 분리하여 교체 작업을 하게 된다.
즉, 캠플로와 샤프트(40)의 중간 연결대(46)로부터 타인 스프링(25)이 결합된 집초 암(26)을 분리한 다음, 체결부재(48)를 구성하는 체결볼트(49)의 체결력을 해제한 후, 경사캠 하우징(23)에 형성된 결합공(23a)으로부터 캠플로와 샤프트(40)의 몸체(42)를 분리하고, 새로운 롤러(44) 및 고정암(45)을 교체한 다음 다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도 7참조)
한편,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집초기의 제어캠 각도조절장치(60)를 회동시켜 집초 암(26)의 타인 스프링(25)으로써 집초되는 집초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부회동플레이트(65)와 간격유지플레이트(64)의 통공(65a)(64a) 및 하부고정플레이트(63)의 회동장공(63a)을 통하여 체결된 회동볼트(68)로부터 너트(69)의 체결력을 느슨하게 해제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 캠(24)의 하부에 결합되어 고정볼트(66)로써 체결 고정된 상부회동하우징(67)을 적절한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부회동하우징(67)과 제어 캠(24)이 베어링(24b)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어 캠(24)의 캠 트랙(24a)이 캠플로와 샤프트(40)를 구성하는 고정암(45)의 롤러(4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하는 방향으로 하부고정플레이트(63)의 회동장공(63a)을 따라 회동볼트(68)가 회동하게 되어 원하는 제어 캠(24)의 각도가 조절되고, 제어 캠(24)의 조절 각도는 회동장공(63a)의 크기 만큼 이동하여 조절된다.
이와 같은 제어 캠(24)의 각도 조절은 하부고정플레이트(63)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기준표시부(70)를 기준점으로 하여, 상부회동플레이트(65) 외주연에 형성된 이동표시부(72)의 이동위치로서 판단하게 된다. 즉, 도 10a에서와 같이 기준표시부(70)와 이동표시부(72)가 완전히 일치된 위치에서는 기준표시부(70)의 우측 영역으로 집초위치가 설정되고, 도 10b에서와 같이 기준표시부(70)의 우측으로 이동표시부(72)가 이동된 위치에서는 이동된 만큼 우측 영역으로 집초위치가 설정된다.
이와 같이 트랙터(1)에 견인되어 집초작업을 하면서 논바닥의 이동시 후방바퀴(81) 및 전방바퀴(82)가 논바닥에 형성된 요철부를 타고 넘으면, 로터지지장치(80)의 후방바퀴(81) 및 전방바퀴(82)에 의해 지지되고, 충격완충수단(90)에 의해 후방바퀴(81) 및 전방바퀴(82)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됨과 동시에 충격이 완충 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11a, 도 11b에서와 같이 후방바퀴(81) 및 전방바퀴(82)가 논바닥에 형성된 요철부를 타고 넘으면, 이 충격에 의해 유압라인(91)을 통하여 유압실린더(92) 내부로 유압이 유입되어, 유압실린더(92)에 내부의 피스톤(93)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샤프트(50)의 수직 이동공(52)에 결합된 로드(94)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로드(94)의 하부와 연결핀(97)으로써 연결된 이동하우징(86)이 고정샤프트(50)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하우징(86) 하부의 후방수평바(83)와 전방수평바(84)에 설치된 후방바퀴(81) 및 전방바퀴(82)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후방바퀴(81) 및 전방바퀴(82)가 요철부를 타고 넘게 된다.(도 11b참조)
이와 동시에 유압실린더(92)의 상부에 장착된 완충부재(100)를 구성하는 유입구(111)를 통해 유압실린더(92)의 유압이 금속용기(110) 내부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유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된 유압에 의해, 금속용기(110) 내부에 장착되고, 유압이 유입되기 전 초기에 유입구(111)를 막는 상태로 위치된 다이아프램(120)이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면서 내부의 고압 질소가스에 의해 유압이 압력을 유지하면서 축압 되어 충격이 완충 된다.
한편, 이와 같이 후방바퀴(81) 및 전방바퀴(82)가 논바닥에 형성된 요철부를 타고 넘고 나면, 유압실린더(92) 내부로 유압이 유압라인(91)을 통하여 유출되어, 유압실린더(92)에 내부의 피스톤(93)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샤프트(50)의 수직 이동공(52)에 결합된 로드(94)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로드(94)의 하부와 연결핀(97)으로써 연결된 이동하우징(86)이 고정샤프트(5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하우징(86) 하부의 후방수평바(83)와 전방수평바(84)에 설치된 후방바퀴(81) 및 전방바퀴(82)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금속용기(110)의 상방으로 밀려간 다이아프램(120)이 하방으로 내려오게 되면서 유입구(111)를 막은 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유압실린더(92) 내부의 유압이 유압라인(91)을 따라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피스톤(93)과 로드(94)의 하방으로 이동을 유지시키게 된다.(도 11a참조) 따라서 전진하는 트랙터에 견인되어 계속적으로 집초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1 : 트랙터 10 : 프레임
20 : 로터 어셈블리 22 : 캠 박스
23 : 경사캠 하우징 23a : 결합공
24 : 제어 캠 24a : 캠 트랙
40 : 캠플로와 샤프트 41 : 체결플랜지
42 : 몸체 43 : 캠샤프트
44 : 롤러 45 : 고정암
46 : 중간 연결대 48 : 체결부재
50 : 고정샤프트 60 : 제어캠 각도조절장치
61,66 : 고정볼트 62 : 하부고정하우징
63 : 하부고정플레이트 63a : 회동장공
64 : 간격유지플레이트 64a,65a : 통공
65 : 상부회동플레이트 68 : 회동볼트
69 : 너트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트랙터(1)의 후방에 장착되고, 트랙터(1)의 동력이 전달되는 프레임(10);
    캠 박스(22) 내부 중앙 영역에 위치된 고정샤프트(50)에 축 고정되고, 캠 트랙(24a)이 형성된 제어 캠(24)과, 캠 박스(22)에 결합되어 제어 캠(24)의 캠 트랙(24a)을 따라 이동하는 캠플로와 샤프트(40)와, 캠플로와 샤프트(4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에 타인 스프링(25)이 결합된 집초 암(26)으로 이루어진 집초장치(27)와; 상기 캠 박스(22)의 상부 커버(22b)에 체결 고정되고, 고정샤프트(50)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중공축(30)과, 중공축(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베벨기어(32)가 축설되고, 상기 프레임(10)의 후방 영역에 장착된 기어박스(34)와, 트랙터(1)의 동력을 전달받아 베벨기어(32)에 치합되는 기어(36)가 구비된 회전축(37)으로 이루어진 회전전달장치(38)로 구성된 로터 어셈블리(20); 및
    상기 로터 어셈블리(20)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로터 어셈블리(20)를 지지하는 동시에 트랙터 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로터지지장치(80)로 구성되고,
    상기 캠 박스(22)의 외주연에 외측으로 동일 경사각을 유지하고, 캠 박스(22) 내부와 연통되게 결합공(23a)이 형성된 다수의 경사캠 하우징(23)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캠 하우징(23)의 결합공(23a)에 다수의 캠플로와 샤프트(40)가 각각 체결부재(48)로써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어, 상기 제어 캠(24)의 캠 트랙(24a)을 따라 이동시 파손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캠플로와 샤프트(40)는
    상기 경사캠 하우징(23)의 결합공(23a)에 결합되고, 중앙 영역에 조립통공(42a)이 형성되며, 외측 단부에 경사캠 하우징(23)의 외측면에 일치되어 상기 체결부재(48)로써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플랜지(41)가 구비된 몸체(42)와;
    상기 몸체(42)의 조립통공(42a)에 축 고정된 캠샤프트(43)와;
    상기 캠샤프트(43) 내측 단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 단부에 제어 캠(24)의 캠 트랙(24a)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44)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고정암(45)과;
    상기 캠샤프트(43)의 외측에 결합되고, 체결플랜지(41) 외측면에 고정되며,단부에 집초 암(26)이 구비된 중간 연결대(46)로 구성되는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캠(24)의 하부와 고정샤프트(50)의 하부 외주연에 구비되어 집초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 캠(24)의 회동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캠 각도조절장치(60)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캠 각도조절장치(60)는
    상기 제어 캠(24) 하부 영역의 고정샤프트(50)에 결합되어 고정볼트(61)로써 체결 고정된 원통형의 하부고정하우징(62)과;
    상기 하부고정하우징(62)의 상부에 용착 고정되고, 다수의 회동장공(63a)이 형성된 하부고정플레이트(63)와;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63) 상부에 안착되고, 가장자리에 회동장공(63a)과 일치되게 통공(64a)이 형성된 간격유지플레이트(64)와;
    상기 간격유지플레이트(64)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통공(64a)과 일치되게 통공(65a)이 형성된 상부회동플레이트(65)와;
    상기 상부회동플레이트(65) 상부에 고정되고, 제어 캠(24) 하부에 결합되어 고정볼트(66)로써 체결 고정된 원통형의 상부회동하우징(67)과;
    상기 상부회동플레이트(65)와 간격유지플레이트(64)의 통공(65a)(64a) 및 하부고정플레이트(63)의 회동장공(63a)을 통하여 체결 고정된 회동볼트(68) 및 너트(6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63) 외주연에는 제어 캠(24)의 각도 조절에 대한 기준점이 되는 기준표시부(7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회동플레이트(65) 외주연에는 기준표시부(70)와 대응되게 이동표시부(7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
KR1020130057723A 2013-05-22 2013-05-22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 Active KR101396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723A KR101396427B1 (ko) 2013-05-22 2013-05-22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723A KR101396427B1 (ko) 2013-05-22 2013-05-22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427B1 true KR101396427B1 (ko) 2014-05-20

Family

ID=50894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723A Active KR101396427B1 (ko) 2013-05-22 2013-05-22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4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846B1 (ko) * 2016-03-16 2016-06-07 박정규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KR102240286B1 (ko) 2021-01-06 2021-04-13 김주영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1133A (en) 1995-01-28 1998-08-11 Maschinenfabriken Bernard Krone Gmbh Rotary rake for a hay making machine
JPH1132558A (ja) * 1997-07-16 1999-02-09 Star Noki Kk 集草機
KR100285286B1 (ko) 1999-03-30 2001-03-15 임경석 집초기
KR100880689B1 (ko) * 2007-07-25 2009-01-29 주식회사 삼원농기계 내장형 캠트랙의 반전집초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1133A (en) 1995-01-28 1998-08-11 Maschinenfabriken Bernard Krone Gmbh Rotary rake for a hay making machine
JPH1132558A (ja) * 1997-07-16 1999-02-09 Star Noki Kk 集草機
KR100285286B1 (ko) 1999-03-30 2001-03-15 임경석 집초기
KR100880689B1 (ko) * 2007-07-25 2009-01-29 주식회사 삼원농기계 내장형 캠트랙의 반전집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846B1 (ko) * 2016-03-16 2016-06-07 박정규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KR102240286B1 (ko) 2021-01-06 2021-04-13 김주영 집초효율이 향상된 반전 집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3062A (en) Mowing machine
BE1019041A3 (fr) Machine de recolte autotractee avec un dispositif de tamisage deplacable dans une position de maintenance.
EP2988587B1 (en) Harvesting machine header connection
CN102781216B (zh) 一种安装在拖拉机上的摘棉机
KR101396427B1 (ko)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
CN105638607A (zh) 一种激光灭虫机
CN103974611A (zh) 秸秆收割装置
KR101348291B1 (ko) 트랙터용 진동형 농산물 수확기
JP4537897B2 (ja) 草刈機
CN113412725A (zh) 一种高茎作物秸秆粉碎割台及自走式秸秆粉碎集捆机
CN206851403U (zh) 收获机
CN103931363B (zh) 农业干草收集器
WO2019030596A1 (en) HOLLOW FRUIT HARVESTING MACHINE HAVING A ROTARY BRUSH-SHAPED SUSPENSION MOUNTED ON ARTICULATED ARMS
GB2126067A (en) A mowing machine
DE102004031514B3 (de) Querpendeleinrichtung für Vorsatzgeräte an Landmaschinen
NL8104683A (nl) Cirkelhooier.
KR101386061B1 (ko) 집초기용 바퀴 완충 및 높이조절장치
CN208863192U (zh) 一种青贮机抛送回转装置
JP5763311B2 (ja) 草刈機
JP2009207503A (ja) 田植機
JP5593099B2 (ja) 農作業機
KR101869244B1 (ko) 회동방지장치가 병렬로 구비된 반전 집초기
JP6901760B2 (ja) 農作業機
JP2010124730A5 (ko)
CN101999276A (zh) 收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2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8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2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0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1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2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0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