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40035B1 - Clasp for orthodontic instruments that are easy to attach and detach - Google Patents

Clasp for orthodontic instruments that are easy to attach and deta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035B1
KR102240035B1 KR1020210008523A KR20210008523A KR102240035B1 KR 102240035 B1 KR102240035 B1 KR 102240035B1 KR 1020210008523 A KR1020210008523 A KR 1020210008523A KR 20210008523 A KR20210008523 A KR 20210008523A KR 102240035 B1 KR102240035 B1 KR 102240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ection
clasp
loop
handle
exten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주열
Original Assignee
김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열 filed Critical 김주열
Priority to KR1020210008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0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03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가 개시되며, 상기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는, 직선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환자의 구강에 적용시에는, 치아의 외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절곡 변형 가능한 선부(11); 상기 선부(11)의 일단에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환자의 구강에 적용시에는, 인접 치아들의 접촉점 하부에 접촉 가능한 메인 루프(12); 및 상기 메인 루프(12)의 말단에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치과 교정기구를 탈착하는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손잡이 루프(13)를 포함한다.A clasp for an orthodontic appliance is disclosed, and the clasp for an orthodontic appliance is elongated along a straight line, and when applied to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a line part 11 bent and deformable to at least partially surround the external shape of the tooth; The main loop 12 is formed to form a ring shape at one end of the line part 11, and when applied 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contactable below the contact points of adjacent teeth; And a handle loop 13 formed to form a ring shape at an end of the main loop 12, and performing a handle function of detach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Description

탈장착이 용이한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Clasp for orthodontic instruments that are easy to attach and detach}Clasp for orthodontic instruments that are easy to attach and detach}

본 발명은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탈착식 치과 교정기구에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교정기구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해주는 구조를 포함한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sp for a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asp for a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including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in a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and in particular,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광범위한 치료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치과 교정기구가 알려져 있다. 탈착식 치과 교정기구는 치아에 탈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서, 식사 또는 외부 모임 등을 위해, 환자가 구강 내에서 분리할 수 있고, 식사나 모임이 끝난 후에는 입안에 다시 장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탈착식 치과 교정기구는 환자의 치아, 입천장 및 설측에 적합한 수지 덩어리(바람직하게는 아크릴을 수지 덩어리)를 베이스로 한다. 이러한 기구는 환자의 치아와 연조직의 인상을 통해 치과 기공소에서 제작된다.Various types of orthodontic instruments are known to provide a wide range of therapeutic functions. The removable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teeth, and is configured so that a patient can separate it in the oral cavity for a meal or an outside meeting, and can be mounted back in the mouth after a meal or meeting is over. In general, a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is based on a resin lump (preferably acrylic resin lump) suitable for a patient's teeth, palate and lingual side. These instruments are manufactured in dental laboratories through impressions of the patient's teeth and soft tissues.

또한, 위와 같은 탈착식 치과 교정기구를 치아들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금속 재질의 볼 클래스프(ball clasp)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볼 클래스프(2)는 대략 0.7 mm 직경의 선부(21)와 그 선부(21)의 일단부에 선부(21)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 볼부(22)를 포함한다. 볼 클래스프(2)는 큰 유지력이 필요없는 치과 교정 기구에 주로 사용된다. 직선 형태의 선부(21)는 절곡되어 치아의 외형에 상응하게 밀착되고, 볼부(22)는 인접 치아의 접촉점 하방에 접촉한다. In addition, as a means for holding the detachable orthodontic appliance as described above on the teeth, a ball clasp made of a metal material as shown in FIG. 1 may be used. As shown in Fig. 1, the ball clasp 2 includes a line portion 21 having a diameter of approximately 0.7 mm, and a ball portion 22 formed at one end of the line portion 21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ine portion 21. do. The ball clasp 2 is mainly used for orthodontic instruments that do not require a large holding force. The straight line portion 21 is bent and adhere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hape of the tooth, and the bowl portion 22 contacts below the contact point of the adjacent tooth.

또한, 탈착식 치과 교정기구를 치아들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루프 클래스프(3)가 이용될 수 있다. 루프 클래스프(3)는 도 1에 도시된 볼 클래스프(2)와 마찬가지로 대략에 0.7 mm 단면 직경의 선부(31)를 포함하며, 볼 스크래프(2)의 볼부(22)를 대신하여 와이어 일단을 고리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된 루프(32)를 포함한다. 또한, 모이어 클래스프(moyer clasp) 또한 공지되어 있는데, 모이어 클래스프는 루프 클래스프의 루프에 레진을 도포하여 볼 형태로 형성한 것이다.In addition, a roof clasp 3 as shown in FIG. 2 may be used as a means for holding th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on the teeth. Like the ball clasp 2 shown in FIG. 1, the roof clasp 3 includes a wire portion 31 having a cross-sectional diameter of approximately 0.7 mm, and replaces the ball portion 22 of the ball scrap 2 with a wire. It includes a loop 32 formed by bending one end into a ring shape. In addition, a moyer clasp is also known, which is formed in a ball shape by coating a resin on the loop of the roof clasp.

그러나, 종래에는 볼 클래스프 및 루프 클래스프 등이 구강 내에 시적되었을 때, 환자에 의한 착탈이 어려워, 불편함을 소호하는 경우가 많았다.However, conventionally, when a ball clasp, a loop clasp, or the like is attempted in the oral cavity, it is difficult for a patient to attach or detach it, thereby reducing discomfort in many cases.

미국특허공개 US2008/0057457A1(2008년 3월 6일 등록)US Patent Publication US2008/0057457A1 (registered on March 6, 2008)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잡이 루프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탈장착이 용이한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asp for a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that is easily detachable by integrally providing a handle loop.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clasp)는, 직선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환자의 구강에 적용시에는, 치아의 외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절곡 변형되는 선부(11); 상기 선부(11)의 일단에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환자의 구강에 적용시에는, 외부 측면이 인접 치아들의 접촉점 하부에 접촉되는 메인 루프(12); 및 상기 메인 루프(12)의 말단에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치과 교정기구를 탈착하는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손잡이 루프(13)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루프(12)는, 상기 선부(11)가 끝나는 제1 변곡부(P1)로부터 80~100도의 각도로 절곡된 후 상향 연장된 상향 연장부(121)와, 상기 상향 연장부(121)가 끝나는 제2 변곡부(P2)로부터 시작하여 원호 형태로 연장된 후 제3 변곡부(P3)에서 끝나는 제1 아치부(122)와, 상기 제3 변곡부(P3)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변곡부(P1)와 인접한 제4 변곡부(P4)까지 하향 연장된 하향 연장부(123)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루프(13)는 상기 제4 변곡부(P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 연장부(131)와, 상기 전방 연장부(131)가 끝나는 제5 변곡부(P5)로부터 시작하여 원호 형태로 연장된 후 제6 변곡부(P6)에서 끝나는 제2 아치부(132)와, 상기 제6 변곡부(P6)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4 변곡부(P4)와 인접한 말단(134)까지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 연장부(13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변곡부(P1)와 상기 손잡이 루프(13)의 말단(134)을 이은 직선 상에 상기 제4 변곡부(P4)가 위치하고, 상기 메인 루프(12)의 외부 측면의 측면이 인접 치아들의 접촉점 하부에 접촉될 때, 상기 손잡이 루프(13O의 고리 형상은 상측을 향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손잡이 루프(13)의 말단(134)과 상기 제4 변곡부(P4)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4 변곡부(P4)와 상기 제1 변곡부(P1)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전방 연장부(131)는 상기 선부(11)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축선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A clasp for a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e part 11 that extends long along a straight line and is bent and deformed so as to at least partially surround the outer shape of the tooth when applied 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A main loop 12 formed to form a ring shape at one end of the line part 11, and when applied to the patient's oral cavity, the outer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contact points of adjacent teeth; And a handle loop 13 formed to form a ring shape at an end of the main loop 12 to perform a handle function for detaching orthodontic appliances, wherein the main loop 12 includes the front part 11 ) From the end of the first inflection portion (P1) at an angle of 80 to 100 degrees and then extending upwardly extending from the upwardly extending portion 121, and starting from the second inflection portion (P2) where the upwardly extending portion 121 ends After extending in an arc shape, a first arch portion 122 that ends at the third inflection portion P3, and a fourth inflection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inflection portion P1 starting from the third inflection portion P3 ( It includes a downwardly extending portion 123 extending downward to P4), and the handle loop 13 includes a front extending portion 131 extending forward from the fourth inflection portion P4, and the front extending portion 131 ) Starts from the fifth inflection part P5 and extends in an arc shape and ends at the sixth inflection part P6, and the second arch part 132 ends at the sixth inflection part P6. 4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inflection part P1 and the end 134 of the handle loop 13 including a rear extension part 133 extending rearward to an end 134 adjacent to the inflection part P4 When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is positioned on the top, and when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side of the main loop 12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contact points of adjacent teeth, the annular shape of the handle loop 13O faces upw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distance between the end 134 of the handle loop 13 and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is great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and the first inflection part P1. It is large, and the front extension part 131 at least partially coincides with a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line part 11.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는, 치과 교정기구 착탈을 용이하게 하도록 손가락으로 집을 수 있는 손잡이 루프를 인접 치아 접촉점 하방에 접촉되는 메인 루프의 말단에 구비함으로써, 환자 또는 의사에 의한 치과 교정기구 탈부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The clasp for a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loop that can be picked up with a finger so as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t the end of the main loop that is in contact below the adjacent tooth contact point.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의 3D 이미지이고,
도 6은 전술한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가 치과 교정기구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B"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lasp for a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A" of Figure 3,
5 is a 3D image of a clasp for a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aforementioned clasp for orthodontic appliances is applied to a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lasp for a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B" of FIG. 7.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only in a representative embodiment by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only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being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not excluded but other components are further includ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asp for a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of FIG. 3.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1)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료로 형성된 것으로서, 직선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선부(11)와, 상기 선부(11)의 일단에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 메인 루프(12)와, 상기 메인 루프(12)의 말단에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 손잡이 루프(13)를 포함한다.3 and 4, the clasp 1 for a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and includes a line portion 11 extending elongated in a linear direction and , And a main loop 12 bent to form an annular shape at one end of the line part 11, and a handle loop 13 bent to form an annular shape at an end of the main loop 12.

상기 선부(11)는 환자의 인접 치아들 사이에서 치아의 외형을 감싸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루프(12)는 서로 이웃하는 인접 치아들의 접촉점 하방에 접촉한다. 상기 메인 루프(12)에는 수지가 도포되어 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루프(13)는, 상기 메인 루프(12)와 일체로 연결된 부분으로서, 교정기구용 클래스프(1)의 원재료인 와이어가 절곡되어 구강에 적용된 상태에서 그 교정기구의 용이한 분리를 위해 손잡이 기능을 수행한다. 반대로, 환자가 교정기구를 구강에 장착할 때에도 손잡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line part 11 may be bent to surround the outer shape of the tooth between adjacent teeth of the patient. In addition, the main loop 12 is in contact below the contact points of adjacent teeth adjacent to each other. Resin may be applied to the main roof 12 to form a ball shape. In addition, the handle loop 13 is a part connected integrally with the main loop 12, and the wire, which is the raw material of the clasp 1 for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bent and applied to the oral cavity, allowing easy separation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handle. Conversely, the handle function can be performed even when the patient mounts the orthodontic appliance in the mouth.

이때, 상기 메인 루프(12)는 상기 선부(11)가 끝나는 제1 변곡부(P1)로부터 약 80~100도의 각도로 절곡된 후 직선 또는 완만한 곡선 형태로 상향 연장된 상향 연장부(121)와, 상기 상향 연장부(121)가 끝나는 제2 변곡부(P2)로부터 시작하여 일정 곡률 반경의 원호 형태, 활 형태 또는 C 형태로 연장된 후 제3 변곡부(P3)에서 끝나는 제1 아치부(122)와, 상기 제3 변곡부(P3)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변곡부(P1)와 인접한 제4 변곡부(P4)까지 연장된 하향 연장부(12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향 연장부(121)와 상기 하향 연장부(123)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변곡부(P2)와 상기 제3 변곡부(P3) 사이에서 가장 크고 아래를 향할수록 작아져서 상기 제1 변곡부(P1)와 상기 제4 변곡부(P4) 사이에서 가장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ain roof 12 is bent at an angle of about 80 to 100 degrees from the first inflection part P1 where the line part 11 ends, and then the upwardly extending part 121 extended upward in a straight line or a gentle curve shape. Wow, a first arch portion that starts from the second inflection portion P2 where the upward extension portion 121 ends and extends in an arc shape, a bow shape, or a 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nd ends at the third inflection portion P3. 122 and a downwardly extending portion 123 extending from the third inflection portion P3 to a fourth inflection portion P4 adjacent to the first inflection portion P1.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upwardly extending part 121 and the downwardly extending part 123 is largest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inflections P2 and P3 and decreases toward the bottom, so that the firs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smallest between the inflection portion P1 and the fourth inflection portion P4.

이때, 상기 손잡이 루프(13)의 형성을 위해, 상기 제4 변곡부(P4)가 상기 제1 변곡부(P1)보다 전방으로 나와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4 변곡부(P4)와 상기 제1 변곡부(P1) 사이의 갭은 상기 제4 변곡부(P4)가 상기 제1 변곡부(P1)에 비해 미세하게 전방으로 나와 있는 것으로 인해 형성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form the handle loop 13, it is preferable that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protrudes forward than the first inflection part P1, and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and the fourth The gap between the first inflection parts P1 is formed by the fact that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protrudes slightly forward compared to the first inflection part P1.

기존 루프 클래스프의 경우, 제1 변곡부, 상향 연장부, 제2 변곡부 및 하향 연장부를 포함하는 루프가 본원발명의 메인 루프(12)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기존 루프 클래스프의 경우에는, 하향 연장부의 말단에서 끝나며, 그 말단이 제1 변곡부와 인접해 위치한다.In the case of the existing roof clasp, a loop including a first inflection part, an upward extension part, a second inflection part, and a downward extension part functions similar to the main loop 12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roof clasp, it ends at the end of the downward extension, and the end is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inflection part.

한편, 상기 손잡이 루프(13)는 상기 제4 변곡부(P4)로부터 직선 또는 완만한 곡선 형태를 가지고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 연장부(131)와, 상기 전방 연장부(131)가 끝나는 제5 변곡부(P5)로부터 시작하여 일정 곡률 반경의 원호 형태, 활 형태 또는 C 형태로 연장된 후 제6 변곡부(P6)에서 끝나는 제2 아치부(132)와, 상기 제6 변곡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4 변곡부(P4)와 인접한 말단(134)까지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 연장부(133)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handle loop 13 has a straight or smooth curve shape from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and a front extension part 131 extending forward, and a fifth inflection at which the front extension part 131 ends. A second arch portion 132 starting from the portion P5 and extending in an arc shape, a bow shape, or a C shape of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nd ending at the sixth inflection portion P6, and starting from the sixth inflection portion, the It consists of a rear extension portion 133 extending rearward to the fourth inflection portion P4 and an adjacent end portion 134.

이때, 상기 전방 연장부(131)와 상기 후방 연장부(133)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5 변곡부(P5)와 상기 제6 변곡부(P6) 사이에서 가장 크고 후방을 향할수록 작아져서 상기 제4 변곡부(P4)와 상기 손잡이 루프(13)의 말단(134) 사이에서 가장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xtension part 131 and the rear extension part 133 is the largest between the fifth inflection part P5 and the sixth inflection part P6 and decreases toward the rea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smallest between the inflection part P4 and the end 134 of the handle loop 13.

이때, 상기 손잡이 루프(13)는 클래스프(1) 또는 이를 포함하는 교정기구를 환자가 용이하게 탈착하는 기능만을 수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족하며, 따라서, 손잡이 루프(13)의 말단(134)이 제4 변곡부(P4)와 거의 만나는 정도로 가까울 필요는 없다. 오히려, 손잡이 루프(13)의 말단(134)이 제4 변곡부(P4)와 과도하게 인접한 경우, 이 사이에 구강 내 이물질이 끼고 잘 빠져나오지 않아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불필요한 재료 낭비만을 초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andle loop 13 suffices to grant only the function of easil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lasp 1 or the correc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thus, the end 134 of the handle loop 13 It is not necessary to be close enough to almost meet this fourth inflection part P4. Rather, when the end 134 of the handle loop 13 is excessively adjacent to the fourth inflection portion P4, a foreign substance in the oral cavity is pinched therebetween, which may cause a problem. Furthermore, it can only lead to unnecessary waste of material.

따라서, 상기 손잡이 루프(13)의 말단(134)과 상기 제4 변곡부(P4)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4 변곡부(P4)와 상기 제1 변곡부(P1)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손잡이 루프(13)의 말단(134)과 상기 제4 변곡부(P4)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4 변곡부(P4)와 상기 제1 변곡부(P1) 사이의 거리의 3배 이상으로 큰 것이 유리하다. 이때, 상기 제1 변곡부(P1)와 상기 손잡이 루프(13)의 말단(134)을 이은 가상의 직선 상에 상기 제4 변곡부(P4)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환자가 손가락으로 손잡이 루프(13)를 들어올릴 때 그 들어올리는 힘이 메인 루프(12)와 선부(11)를 연결하는 제1 변곡부(P1)에 가장 잘 전달되게 하여, 쉽게 교정기구용 클래스프(1)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134 of the handle loop 13 and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and the first inflection part P1. . Fur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134 of the handle loop 13 and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is three times the distance between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and the first inflection part P1 It is advantageous to be larger than tha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is positioned on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inflection part P1 and the end 134 of the handle loop 13, which is performed by the patient with a finger. When lifting the roof (13), the lifting force is best transmitted to the first inflection part (P1) connecting the main roof (12) and the line part (11), so that the clasp (1) for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Allows you to do it.

상기 상향 연장부(121)의 길이와 상기 전방 연장부(131)의 길이는 거의 같은 것이 바람직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하향 연장부(123)의 길이와 상기 후방 연장부(133)의 길이도 거의 같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아치부(122)의 곡률 반경과 상기 제2 아치부(132)의 곡률 반경도 거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upward extension part 121 and the length of the front extension part 131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similarly, the length of the downward extension part 123 and the length of the rear extension part 133 are substantially the sa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arch portion 122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arch portion 132 are also substantially the same.

전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메인 루프(12)는 상기 선부(11) 및 상기 손잡이 루프(13)에 대하여 대략 80도 내지 100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90도 세워진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루프(13)의 전방 연장부(131)는 상기 선부(11)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축선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main roof 12 may be present in a form erected by approximately 80 to 100 degrees, most preferabl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ront part 11 and the handle loop 13. In addition, the front extension part 131 of the handle loop 13 may at least partially coincide with a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line part 11.

도 5는 전술한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의 3D 이미지이며, 도 6은 전술한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가 치과 교정기구에 적용된 예를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손잡이 루프가 환자의 손가락으로 쉽게 들어올릴 수 있는 상태, 즉, 거의 수평인 상태로 환자의 구강 내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5 is a 3D image of the clasp for orthodontic appliance described above, and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lasp for orthodontic appliance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Referring to Fig. 6, it is well shown that the handle loop can be easily lifted by the patient's finger, that is, it can be placed in the patient's oral cavity in a nearly horizontal stat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asp for a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B" of FIG. 7.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1)는, 직선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선부(11)와, 상기 선부(11)의 일단에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 메인 루프(12)와, 상기 메인 루프(12)의 하단에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 손잡이 루프(13)를 포함한다.7 and 8, the clasp 1 for a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bent so as to form a ring shape at one end of the line 11 and the line 11 extending elongated in a linear direction. It includes a formed main roof 12 and a handle loop 13 bent to form a ring 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roof 12.

상기 선부(11)는 인접 치아들 사이에서 치아의 외형을 감싸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루프(12)는 서로 이웃하는 인접 치아들의 접촉점 하방에 접촉한다. 상기 메인 루프(12)에는 수지가 도포되어 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루프(13)는 상기 메인 루프(12)와 일체로 연결된 부분으로서 교정기구용 클래스프(1)의 선부(11)가 절곡되어 구강에 적용된 상태에서 그 교정기구의 용이한 분리를 위해 손잡이 기능을 수행한다.The line part 11 may be bent between adjacent teeth to surround the outer shape of the tooth. In addition, the main loop 12 is in contact below the contact points of adjacent teeth adjacent to each other. Resin may be applied to the main roof 12 to form a ball shape. In addition, the handle loop 13 is a part connected integrally with the main loop 12,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rt 11 of the clasp 1 for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bent and applied to the oral cavity, for easy separation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It performs the function of a handle.

상기 메인 루프(12)는 상기 선부(11)가 끝나는 제1 변곡부(P1)로부터 약 80~100도, 바람직하게는 약 90도의 각도로 절곡된 후 직선 또는 완만한 곡선 형태로 상향 연장된 상향 연장부(121)와, 상기 상향 연장부(121)가 끝나는 제2 변곡부(P2)로부터 시작하여 일정 곡률 반경의 원호 형태, 활 형태 또는 C 형태로 연장된 후 제3 변곡부(P3)에서 끝나는 제1 아치부(122)와, 상기 제3 변곡부(P3)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변곡부(P1)와 인접한 제4 변곡부(P4)까지 연장된 하향 연장부(12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향 연장부(121)와 상기 하향 연장부(123)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변곡부(P2)와 상기 제3 변곡부(P3) 사이에서 가장 크고 아래를 향할수록 작아져서 상기 제1 변곡부(P1)와 상기 제4 변곡부(P4) 사이는 밀착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변곡부(P1)와 상기 제4 변곡부(P4) 사이에 솔더부(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솔더부(15)에 의해, 상기 제1 변곡부(P1)와 상기 제4 변곡부(P4) 사이의 미세 틈이 없어지고, 더 나아가서는, 그 미세 틈이 벌어지지 않는다. 이는 구강 내 이물이 끼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The main roof 12 is bent at an angle of about 80 to 100 degrees, preferably about 90 degrees from the first inflection part P1 where the line part 11 ends, and then extends upward in a straight line or a gentle curve. Starting from the extension part 121 and the second inflection part P2 where the upwardly extending part 121 ends, it extends in an arc shape, a bow shape, or a C shape with a certain radius of curvature, and then at the third inflection part P3. The first arch portion 122 ends, and a downwardly extending portion 123 extending from the third inflection portion P3 to a fourth inflection portion P4 adjacent to the first inflection portion P1.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upwardly extending part 121 and the downwardly extending part 123 is largest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inflections P2 and P3 and decreases toward the bottom, so that the first The inflection part P1 and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Further, a solder portion 15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inflection portion P1 and the fourth inflection portion P4, and by the solder portion 15, the first inflection portion P1 The fine gap between the and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disappears, and furthermore, the fine gap does not open. This can completely block foreign objects from getting stuck in the oral cavity.

이때, 상기 손잡이 루프(13)의 형성을 위해, 상기 제4 변곡부(P4)가 상기 제1 변곡부(P1)로부터 전방으로 나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제4 변곡부(P4)는 상기 제1 변곡부(P1)와의 사이에 갭 없이 미세하게 전방으로 나와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form the handle loop 13, it is preferable that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protrudes forward from the first inflection part P1, furthermore,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May come out finely forward without a gap between the first inflection portion P1 and the first inflection portion P1.

한편, 상기 손잡이 루프(13)는 상기 제4 변곡부(P4)로부터 직선 또는 완만한 곡선 형태를 가지고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 연장부(131)와, 상기 전방 연장부(131)가 끝나는 제5 변곡부(P5)로부터 시작하여 일정 곡률 반경의 원호 형태, 활 형태 또는 C 형태로 연장된 후 제6 변곡부(P6)에서 끝나는 제2 아치부(132)와, 상기 제6 변곡부(P6)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4 변곡부(P4)와 인접한 말단까지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 연장부(13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방 연장부(131)와 상기 후방 연장부(133)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5 변곡부(P5)와 상기 제6 변곡부(P6) 사이에서 가장 크고 후방을 향할수록 작아져서 상기 제4 변곡부(P4)와 상기 손잡이 루프(13)의 말단(134) 사이에서 가장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loop 13 has a straight or smooth curve shape from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and a front extension part 131 extending forward, and a fifth inflection at which the front extension part 131 ends. The second arch portion 132 that starts from the portion P5 and extends in an arc shape, a bow shape, or a C shape of a certain radius of curvature and ends at the sixth inflection portion P6, and the sixth inflection portion P6. Starting with the fourth inflection portion P4, a rear extension portion 133 extending rearwardly to an end adjacent to the fourth inflection portion P4 is formed.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xtension part 131 and the rear extension part 133 is the largest between the fifth inflection part P5 and the sixth inflection part P6 and decreases toward the rea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smallest between the inflection part P4 and the end 134 of the handle loop 13.

1............................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
11...........................선부
12...........................메인 루프
13...........................손잡이 루프
1............................dental orthodontic instrument clasp
11...........................ship
12...........................Main loop
13...........................handle loop

Claims (3)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clasp)에 있어서,
직선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환자의 구강에 적용시에는, 치아의 외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절곡 변형되는 선부(11);
상기 선부(11)의 일단에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환자의 구강에 적용시에는, 외부 측면이 인접 치아들의 접촉점 하부에 접촉되는 메인 루프(12); 및
상기 메인 루프(12)의 말단에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치과 교정기구를 탈착하는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손잡이 루프(13)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루프(12)는, 상기 선부(11)가 끝나는 제1 변곡부(P1)로부터 80~100도의 각도로 절곡된 후 상향 연장된 상향 연장부(121)와, 상기 상향 연장부(121)가 끝나는 제2 변곡부(P2)로부터 시작하여 원호 형태로 연장된 후 제3 변곡부(P3)에서 끝나는 제1 아치부(122)와, 상기 제3 변곡부(P3)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변곡부(P1)와 인접한 제4 변곡부(P4)까지 하향 연장된 하향 연장부(123)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루프(13)는 상기 제4 변곡부(P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 연장부(131)와, 상기 전방 연장부(131)가 끝나는 제5 변곡부(P5)로부터 시작하여 원호 형태로 연장된 후 제6 변곡부(P6)에서 끝나는 제2 아치부(132)와, 상기 제6 변곡부(P6)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4 변곡부(P4)와 인접한 말단(134)까지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 연장부(13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변곡부(P1)와 상기 손잡이 루프(13)의 말단(134)을 이은 직선 상에 상기 제4 변곡부(P4)가 위치하고, 상기 메인 루프(12)의 외부 측면의 측면이 인접 치아들의 접촉점 하부에 접촉될 때, 상기 손잡이 루프(13O의 고리 형상은 상측을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
In a clasp for orthodontic appliances,
A line part 11 that extends long along a straight line and is bent and deformed to at least partially surround the outer shape of the tooth when applied to the patient's oral cavity;
A main loop 12 formed to form a ring shape at one end of the line part 11, and when applied to the patient's oral cavity, the outer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contact points of adjacent teeth; And
It is formed to form a ring shape at the end of the main loop 12, and includes a handle loop 13, which performs a handle function of detach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The main roof 12 includes an upwardly extending portion 121 extending upward after being bent at an angle of 80 to 100 degrees from the first inflection portion P1 where the line portion 11 ends, and the upwardly extending portion 121 The first arch portion 122 that starts from the second inflection portion P2 and ends at the third inflection portion P3 and ends in the third inflection portion P3, and the first arch portion 122 starts from the second inflection portion P2 and ends at the third inflection portion P3. Includes a downward extension 123 extending downward to a fourth inflection portion P4 adjacent to the inflection portion P1, and the handle loop 13 extends forwardly extending forward from the fourth inflection portion P4 A second arch portion 132 that starts from the fifth inflection portion P5 where the front extension portion 131 ends and extends in an arc shape and ends at the sixth inflection portion P6, the And a rear extension part 133 extending rearwardly from the sixth inflection part P6 to the end 134 adjacent to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and the first inflection part P1 and the handle When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is located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end 134 of the loop 13 and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side of the main loop 12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contact points of adjacent teeth, the handle loop (The clasp for dental orthodontic instru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shape of 13O faces upwar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루프(13)의 말단(134)과 상기 제4 변곡부(P4)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4 변곡부(P4)와 상기 제1 변곡부(P1)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전방 연장부(131)는 상기 선부(11)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축선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134 of the handle loop 13 and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ourth inflection part P4 and the first inflection part P1. , The front extension part 131 is a clasp for orthodontic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partially coincide with a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line part (11).
KR1020210008523A 2021-01-21 2021-01-21 Clasp for orthodontic instruments that are easy to attach and detach Active KR1022400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523A KR102240035B1 (en) 2021-01-21 2021-01-21 Clasp for orthodontic instruments that are easy to attach and deta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523A KR102240035B1 (en) 2021-01-21 2021-01-21 Clasp for orthodontic instruments that are easy to attach and deta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035B1 true KR102240035B1 (en) 2021-04-13

Family

ID=7548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523A Active KR102240035B1 (en) 2021-01-21 2021-01-21 Clasp for orthodontic instruments that are easy to attach and deta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035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3530A (en) * 1979-05-17 1981-06-16 Broussard Garfford J Orthodontic appliance and clasp therefor
US5607300A (en) * 1995-11-14 1997-03-04 Tepper; Harry W. Removable resilient orthodontic retainer
US20030194676A1 (en) * 2002-04-10 2003-10-16 Graham Neil John Lingual archwire forming appliance
US20040009449A1 (en) * 2002-07-09 2004-01-15 James Mah Removable expansion appliance
KR200357433Y1 (en) * 2004-04-28 2004-07-23 김중한 Apparatus for uprighting a molar
KR200359408Y1 (en) * 2004-05-10 2004-08-21 김중한 An auxiliarg tool for straightening teeth
US20080057457A1 (en) 2006-08-30 2008-03-06 Inman Donal P Clasp for removable dental appliances
KR20090077945A (en) * 2006-10-10 2009-07-16 오름코 코포레이션 Orthodontic Retraction Arch and Spring
WO2010046879A1 (en) * 2008-10-22 2010-04-29 Paul William Griffiths Dental retainer having improved joint
US20130122444A1 (en) * 2009-10-22 2013-05-16 Paul William Griffiths Dental Retainer Having Improved Joint With Labial Bow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3530A (en) * 1979-05-17 1981-06-16 Broussard Garfford J Orthodontic appliance and clasp therefor
US5607300A (en) * 1995-11-14 1997-03-04 Tepper; Harry W. Removable resilient orthodontic retainer
US20030194676A1 (en) * 2002-04-10 2003-10-16 Graham Neil John Lingual archwire forming appliance
US20040009449A1 (en) * 2002-07-09 2004-01-15 James Mah Removable expansion appliance
KR200357433Y1 (en) * 2004-04-28 2004-07-23 김중한 Apparatus for uprighting a molar
KR200359408Y1 (en) * 2004-05-10 2004-08-21 김중한 An auxiliarg tool for straightening teeth
US20080057457A1 (en) 2006-08-30 2008-03-06 Inman Donal P Clasp for removable dental appliances
KR20090077945A (en) * 2006-10-10 2009-07-16 오름코 코포레이션 Orthodontic Retraction Arch and Spring
WO2010046879A1 (en) * 2008-10-22 2010-04-29 Paul William Griffiths Dental retainer having improved joint
US20130122444A1 (en) * 2009-10-22 2013-05-16 Paul William Griffiths Dental Retainer Having Improved Joint With Labial B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3306B2 (en) Dental prosthesis removal tool
CN209661832U (en) A kind of bonded multipurpose draw hook
CN110840589A (en) Method for enhancing the retention force of invisible appliance and invisible appliance
CN106659547A (en) Molar appliance for an orthodontic brace
KR102209274B1 (en) Lab analog for an implant and model of work including the same
KR102240035B1 (en) Clasp for orthodontic instruments that are easy to attach and detach
KR101894039B1 (en)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CN210494277U (en) Multifunctional adhesive type orthodontic draw hook
CN215535175U (en) Auxiliary device for remote and medium movement of molar
CN106377327B (en) Invisible tongue side buckle silica gel sleeve for orthodontics
KR102250006B1 (en) Apparatus for posterior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EP1175874A3 (en) Palatal facial bow
KR200448938Y1 (en) Dental forceps
CN107411830B (en) Movable correction device for overall mesial movement molar
CN222955538U (en) Long arm accessory mounting system
CN112914758B (en) A horizontal high impacted central incisor traction device
KR101768565B1 (en) Orthodontic bracket
CN216318095U (en) Bracket-free invisible orthodontic tooth socket convenient to take
CN115770114B (en) Three-way traction hook for tooth correction
CN220459435U (en) Correction device and correction system
CN211067106U (en) Preformed oral external arch for tooth jaw correction
CN223041629U (en) Orthodontic hook
CN222708421U (en) Orthodontic accessory and invisible correction device
CN219940827U (en) Full-mouth rubber barrier for orthodontics
CN219538520U (en) A double-arm traction hook for orthodon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