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8845B1 -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845B1
KR102238845B1 KR1020200016326A KR20200016326A KR102238845B1 KR 102238845 B1 KR102238845 B1 KR 102238845B1 KR 1020200016326 A KR1020200016326 A KR 1020200016326A KR 20200016326 A KR20200016326 A KR 20200016326A KR 102238845 B1 KR102238845 B1 KR 102238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otor
disposed
engin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8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motors or the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4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assembly or relative disposition of components
    • B60K6/405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1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covers or lids for gear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motors or the generators
    • B60K2006/26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motors or the generators the motor or generator are used as clutch, e.g. between engine and drive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엔진과 변속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하우징과,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엔진의 크랭크축과 연결되는 제1모터와,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제1모터와 축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는 제2모터와, 제1모터와 제2모터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부가 제1모터에 결합되는 토션댐퍼와, 제2모터에 설치되고, 제2모터와 토션댐퍼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의 모터와 토션댐퍼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자동변속기, 모터, 엔진 및 ISG(Integrated Startor & Generator)가 일렬로 배열되는 레이아웃을 갖는다. 엔진과 모터를 이용한 량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모터를 사용하여 차량의 초기 출발을 도모하고 차량이 일정속도를 갖게 되면 제너레이터, 즉 ISG가 엔진을 시동하여 엔진의 출력과 모터의 출력을 동시에 이용하게 된다.
한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서 사용되는 모터는 전기 주행을 초기 엔진이 구동되지 않을 때 차량 전기 주행을 위해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모터가 1개로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이 복수개로 배치된다. 일예로,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서 2개의 모터가 배치되는 경우, 제1모터는 엔진 시동을 위해 구동되고, 제2모터는 차량 전기 주행을 위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엔진 구동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토션댐퍼가 모터와 엔진 사이에 배치되므로,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전장이 길어지고, 토션댐퍼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중량물이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20791호(2009.02.27. 공개, 발명의 명칭 :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모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전장을 보다 축소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엔진과 변속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의 크랭크축과 연결되는 제1모터;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1모터와 축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는 제2모터;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부가 상기 제1모터에 결합되는 토션댐퍼; 및 상기 제2모터에 설치되고, 상기 제2모터와 상기 토션댐퍼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하우징은, 상기 제1모터가 결합되는 제1모터하우징; 및 상기 제2모터가 결합되고, 일측부가 상기 제1모터하우징과 연결되며, 타측부가 상기 변속기의 케이스와 연결되는 제2모터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모터하우징은, 상기 제2모터하우징, 상기 엔진과 결합되고, 상기 제1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내장가능한 제1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커버부; 상기 제1커버부 중 상기 제1공간부와 접하는 내측단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의 스테이터가 고정설치되는 제1스테이터지지부; 상기 제1스테이터지지부에서 상기 제1공간부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엔진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1내벽부; 상기 제1내벽부 상에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의 로터를 지지하는 제1로터지지부; 및 상기 제1내벽부의 중앙부 상에 상기 제1모터의 로터와 상기 엔진의 크랭크축간의 연결을 위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1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모터하우징은, 상기 변속기, 상기 제1모터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제2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내장가능한 제2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커버부; 상기 제2커버부 중 상기 제2공간부와 접하는 내측단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모터의 스테이터가 고정설치되는 제2스테이터지지부; 상기 제2커버부 상에 상기 제2공간부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변속기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내벽부; 및 상기 제2내벽부의 중앙부 상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인풋샤프트 서포트가 상기 제2공간부로 인입가능한 통로를 이루는 제2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풋샤프트 서포트는, 상기 변속기에 결합되고, 상기 제2커버부에 의해 커버링되며, 상기 제2내벽부와 마주하는 변속기결합부; 상기 변속기결합부에서 상기 변속기의 입력축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내향연장부; 상기 내향연장부 상에 제2공간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개방부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모터의 로터를 지지하는 제2로터지지부; 및 상기 내향연장부의 중앙부 상에 상기 변속기의 입력축과 상기 제2모터의 로터간의 연결을 위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3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모터는, 상기 모터하우징에 고정설치되는 제1스테이터; 및 상기 제1스테이터와 동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로터는, 상기 모터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회전지지부; 상기 제1회전지지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엔진의 크랭크축과 결합되는 엔진축결합부; 상기 제1회전지지부에서 상기 제1스테이터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자성체설치부; 상기 제2모터를 향하는 상기 제1연장부의 일측부와 상기 제1자성체설치부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토션댐퍼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댐퍼수용부; 상기 제1연장부 또는 상기 제1회전지지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토션댐퍼가 고정결합되는 댐퍼결합부; 및 상기 제1자성체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스테이터와의 전자기적 반응에 의해 회전력이 작용하는 제1전자기반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로터는, 상기 엔진을 향하는 상기 제1연장부의 타측부와 상기 제1자성체설치부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의 레졸버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1레졸버수용부; 및 상기 제1연장부 상에 상기 엔진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의 레졸버가 설치되는 제2레졸버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모터는, 상기 모터하우징에 고정설치되는 제2스테이터; 및 상기 제2스테이터와 동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로터는, 상기 변속기에 결합된 인풋샤프트 서포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회전지지부; 상기 제2회전지지부에서 상기 제2스테이터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경부에 상기 클러치가 설치되는 제2자성체설치부; 상기 제1모터를 향하는 상기 제2연장부의 일측부와 상기 제2자성체설치부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가 배치되는 클러치수용부; 및 상기 제2자성체설치부의 외경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스테이터와의 전자기적 반응에 의해 회전력이 작용하는 제2전자기반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션댐퍼는, 상기 제1모터의 로터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모터의 로터 상에 형성된 댐퍼수용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1댐퍼부; 및 상기 제1댐퍼부와 연결되고, 상기 댐퍼수용부의 외부에서 상기 클러치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2댐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션댐퍼는,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 사이의 이격간격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션댐퍼는, 스프링부재; 상기 스프링부재를 지지하는 스프링가이드; 및 상기 스프링가이드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의 로터에 고정결합되는 로터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션댐퍼는, 상기 스프링가이드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터고정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모터의 로터와 접하는 로터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터고정부는, 상기 제1모터의 로터와 반경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단부가 상기 제1모터의 로터와 용접되어 형성되고, 상기 로터접촉부는, 상기 로터고정부보다 회전중심축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제1모터의 로터와 반경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모터의 로터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토션댐퍼를 제1모터와 제2모터의 사이에 배치하고, 토션댐퍼의 일측부를 제1모터에 결합하며, 제2모터와 토션댐퍼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를 제2모터에 설치함으로써, 2개의 모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전장을 보다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션댐퍼를 제1모터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토션댐퍼를 제1모터와 제2모터의 사이에 안정되게 지지가능하므로, 제1모터와 제2모터의 사이에 격벽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격벽의 두께에 해당되는 만큼 전장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고, 토션댐퍼의 적어도 일부를 제1모터와 반경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함으로써, 토션댐퍼의 축방향 너비보다 근접하게 제1모터와 제2모터를 배치할 수 있어 전장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1)는 모터하우징(10), 제1모터(20), 제2모터(30), 토션댐퍼(40), 클러치(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1)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서는, 도 1 상에 도시된 회전중심축(C)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중심축(C)과 나란한 방향(좌우방향)을 축방향, 회전중심축(C)과 직교되는 방향(상하방향)을 반경방향이라 한다. 또한, 축방향 중 엔진(2)을 향하는 방향(우측방향)을 역축방향이라 하고, 변속기(3)를 향하는 방향(좌측방향)을 정축방향이라 한다. 또한, 반경방향 중 회전중심축(C)을 향하는 방향(아래방향)을 반경방향 내측 또는 역반경방향이라 하고, 회전중심축(C)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윗방향)을 반경방향 외측 또는 정반경방향이라 한다.
모터하우징(10)은 제1모터(20), 제2모터(30), 토션댐퍼(40), 클러치(50)를 내장하여 차체(미도시)와 결합된다. 모터하우징(10)은 엔진(2)과 변속기(3)의 사이에 배치되고, 엔진의 케이스(2a), 변속기의 케이스(3a)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하우징(10)은 제1모터하우징(11)과 제2모터하우징(12)을 포함한다. 제1모터하우징(11)의 내부에는 제1공간부(S1)가 형성되고, 제2모터하우징(12)의 내부에는 제2공간부(S2)가 형성된다. 제1모터하우징(11)과 제2모터하우징(12)은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접하게 배치되고, 모터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공간부(S1)와 제2공간부(S2)를 합한 만큼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제1공간부(S1)와 제2공간부(S2)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지 않고 하나의 연통된 공간부를 형성한다.
제1모터하우징(11)은 양단부가 엔진(2), 제2모터하우징(12)과 각각 접한 상태로 상호 연결되고, 제2모터하우징(12)은 양단부가 제1모터하우징(11), 변속기(3)와 각각 접한 상태로 상호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1)는 엔진의 케이스(2a), 제1모터하우징(11), 제2모터하우징(12), 변속기의 케이스(3a)가 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상태로 상호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제1모터(20)는 제1모터하우징(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엔진(2)의 크랭크축(2b)과 연결된다. 제2모터(30)는 제2모터하우징(12)의 내부에 제1모터(20)와 축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변속기(3)의 입력축(3b)과 연결된다. 제1모터(20)는 엔진(2)의 시동을 위해 구동될 수 있고, 제2모터(30)는 차량의 주행을 위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모터(20)는 제1스테이터(21), 제1로터(22), 제1레졸버(23)를 포함한다. 제1스테이터(21)는 제1모터(20)의 고정자로서, 제1모터하우징(11)에 고정설치된다. 제1로터(22)는 제1모터(20)의 회전자로서, 제1스테이터(21)의 반경방향 내측에, 다른 표현으로는 제1스테이터(21)와 동축 상에 배치되고, 제1모터하우징(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레졸버(23)는 고정자인 제1레졸버스테이터(24)와, 회전자인 제1레졸버로터(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모터(30)는 제2스테이터(31), 제2로터(32), 제2레졸버(33)를 포함한다. 제2스테이터(31)는 제2모터(30)의 고정자로서, 제2모터하우징(12)에 고정설치된다. 제2로터(32)는 제2모터(30)의 회전자로서, 제2스테이터(31)와 동축 상에 배치되고, 제2모터하우징(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레졸버(33)는 고정자인 제2레졸버스테이터(34)와, 회전자인 제2레졸버로터(35)를 포함한다.
토션댐퍼(40)는 제1모터(20)의 제1로터(22)와 제2모터(30)의 제2로터(32)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부가 제1모터(20)의 제1로터(22)에 결합, 고정된다. 클러치(50)는 제2모터(30)의 제2로터(32) 상에 설치되고, 제2모터(30)의 제2로터(32)와 토션댐퍼(40)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제2로터(32)와 토션댐퍼(40)가 상호 연결되게 클러치(50)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엔진(2)과 제1로터(22)의 회전력은 토션댐퍼(40)와 클러치(50), 제2로터(32)를 거쳐 입력축(3b)에 전달될 수 있다. 제2로터(32)와 토션댐퍼(40)간의 연결이 해제되게 클러치(50)를 작동시킨 상태에서는, 제2로터(32)의 회전력만을 이용해 입력축(3b)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모터하우징(11)은 제1커버부(111), 제1스테이터지지부(112), 제1내벽부(113), 제1로터지지부(114), 제1개방부(115), 제1레졸버설치부(116)를 포함한다.
제1커버부(111)는 제1모터(20)를 커버하는 장치부로, 제2모터하우징(12)과 엔진(2)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커버부(111)의 축방향 일단부는 엔진의 케이스(2a)와 접하고, 축방향 타단부는 제2모터하우징(12)의 제2커버부(121)와 접한다. 제1커버부(111)의 내부에는 제1모터(20)의 적어도 일부를 내장가능한 제1공간부(S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1공간부(S1)는 제1커버부(111)의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의미한다. 제1커버부(111)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엔진의 케이스(2a), 제2커버부(121)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스테이터지지부(112)는 제1커버부(111) 중 제1공간부(S1)와 접하는 내측단부 상에 형성되고, 제1모터(20)의 제1스테이터(21)가 고정설치된다. 제1내벽부(113)는 제1커버부(111) 또는 제1스테이터지지부(112) 중 엔진(2)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일단부에서 제1공간부(S1)측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내벽부(113)는 엔진(2)과 축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로터지지부(114)는 제1내벽부(113)의 역반경방향 단부 상에 축방향(정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로터지지부(114)는 제1공간부(S1), 제2공간부(S2)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로터지지부(114)는 베어링(도면부호 미표기)를 매개로 하여 제1로터(2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개방부(115)는 제1내벽부(113) 중 회전중심축(C)이 위치되는 중앙부 상에 제1로터(22)와 엔진(2)의 크랭크축(2b)간의 연결을 위해 축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엔진(2)의 크랭크축(2b)은 제1개방부(115)를 통해 제1공간부(S1)로, 다른 표현으로는 모터하우징(10)의 내부로 인입되고, 제1로터(22)의 엔진축결합부(222)와 스플라인 결합된다.
제1레졸버설치부(116)는 제1내벽부(113) 상에 제1로터(22)를 향해 축방향(정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레졸버설치부(116)에는 제1모터(20)의 제1레졸버(23)가,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레졸버(23)의 고정자인 제1레졸버스테이터(24)가 설치된다. 제1레졸버설치부(116)는 제1스테이터지지부(112)와 제1로터지지부(114)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제1모터하우징(11)에 의하면, 제1로터(22)와 엔진(2)의 크랭크축(2b) 간의 결합부와 제1로터지지부(114), 제1레졸버(23)는 동일한 반경방향 연장선(제1반경연장선(L1)) 상에 위치된다. 이때, 제1반경연장선(L1) 상에는 회전중심축(C)으로부터 정반경방향으로 크랭크축(2b), 엔진축결합부(222), 제1로터지지부(114), 제2레졸버설치부(229), 제1레졸버(23), 제1레졸버설치부(116)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모터하우징(12)은 제2커버부(121), 제2스테이터지지부(122), 제2내벽부(123), 제2개방부(124)를 포함한다.
제2커버부(121)는 제2모터(30)를 커버하는 장치부로, 변속기(3)와 제1모터하우징(11)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커버부(121)의 축방향 일단부는 제1커버부(111)와 접하고, 축방향 타단부는 변속기의 케이스(3a)와 접한다. 제2커버부(121)의 내부에는 제2모터(30)의 적어도 일부를 내장가능한 제2공간부(S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2공간부(S2)는 제2커버부(121)의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의미한다. 제2커버부(121)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변속기의 케이스(3a), 제1커버부(11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스테이터지지부(122)는 제2커버부(121) 중 제2공간부(S2)와 접하는 내측단부 상에 형성되고, 제2모터(30)의 제2스테이터(31)가 고정설치된다. 제2내벽부(123)는 제2커버부(121) 중 변속기(3)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타단부에서 제2공간부(S2)측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내벽부(123)는 변속기(3)와 축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개방부(124)는 제2내벽부(123) 중 회전중심축(C)이 위치되는 중앙부 상에 축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인풋샤프트 서포트(60)의 제2로터지지부(63)와 제3레졸버설치부(65)는 제2개방부(124)를 통해 제2공간부(S2)로 인입되고, 제2공간부(S2) 상에서 제2로터(32)와 제2레졸버(33)를 각각 지지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풋샤프트 서포트(60)는 변속기결합부(61), 내향연장부(62), 제2로터지지부(63), 제3개방부(64), 제3레졸버설치부(65), 제2레졸버수용부(66)를 포함한다.
변속기결합부(61)는 변속기(3) 중 모터하우징(10)와 결합되는 축방향 일단부에 결합된다. 변속기결합부(61)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 의해 변속기의 케이스(3a)에 결합된다. 인풋샤프트 서포트(60)는 변속기의 케이스(3a)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모터하우징(12)에 의해 커버링된다.
제2모터하우징(12)의 제2커버부(121)는 변속기결합부(61) 보다 확장된 반경방향 너비를 가지고 변속기의 케이스(3a)와 결합되고, 변속기결합부(61)는 제2커버부(121)에 의해 커버링된다. 변속기결합부(61)는 변속기(3)와 제2모터하우징(12)의 제2내벽부(123) 사이에 배치되고, 제2내벽부(123)와 축방향으로 마주한다.
내향연장부(62)는 변속기결합부(61)에서 변속기(3)의 입력축(3b)측으로, 즉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변속기(3)의 개방단부(도면부호 미표기)를 커버링한다. 변속기(3)의 입력축(3b)은 회전중심축(C) 상에 위치된다.
제2로터지지부(63)는 내향연장부(62)의 역반경방향 단부 상에 제2공간부(S2)측(역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로터지지부(63)는 제2개방부(124)를 통해 제2공간부(S2)로 인입되어 제2공간부(S2) 상에 배치된다. 제2로터지지부(63)는 베어링(도면부호 미표기)를 매개로 하여 제2모터(30)의 제2로터(3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제3개방부(64)는 내향연장부(62)의 중앙부 상에 변속기(3)의 입력축(3b)과 제2모터(30)의 제2로터(32)간의 연결을 위해 축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변속기(3)의 입력축(3b)은 제3개방부(64)를 통해 제2공간부(S2)로 인입되고, 제2로터(32)의 제2회전지지부(321)와 연결된다. 변속기(3)의 입력축(3b)은 제2회전지지부(321)와 결합된 상태에서 베어링(도면부호 미표기)를 매개로 하여 제2로터지지부(6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3레졸버설치부(65)는 내향연장부(62) 상에 제2공간부(S2)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개방부(124)를 통해 제2공간부(S2)로 인입되어 제2공간부(S2) 상에 배치된다. 제3레졸버설치부(65) 상에는 제2모터(30)의 제2레졸버(33)가,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레졸버(33)의 고정자인 제2레졸버스테이터(34)가 설치된다.
제2로터지지부(63)와 제3레졸버설치부(65)는 반경방향으로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2로터지지부(63)와 제3레졸버설치부(65)의 사이에는 제2레졸버수용부(66)가 중공되게 형성된다. 제2레졸버수용부(66) 상에는 제2모터(30)의 제2레졸버(33)와 제2로터(32)의 제4레졸버설치부(326)가 배치된다. 제2로터(32)의 제4레졸버설치부(326)에는 제2레졸버(33)의 회전자인 제2레졸버로터(35)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제2모터하우징(12)과 인풋샤프트 서포트(60)에 의하면, 제2로터(32)와 변속기(3)의 입력축(3b)간의 결합부와 제2로터지지부(63), 제2레졸버(33)는 동일한 반경방향 연장선(제5반경연장선(L5)) 상에 위치된다. 이때, 제5반경연장선(L5) 상에는 회전중심축(C)으로부터 정반경방향으로 입력축(3b), 제2회전지지부(321), 제2로터지지부(63), 제4레졸버설치부(326), 제2레졸버(33), 제3레졸버설치부(65)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로터(22)는 제1회전지지부(221), 엔진축결합부(222), 제1연장부(223), 제1자성체설치부(224), 댐퍼수용부(225), 댐퍼결합부(226), 제1전자기반응부(227), 제1레졸버수용부(228), 제2레졸버설치부(229)를 포함한다.
제1회전지지부(221)는 제1모터하우징(11)의 제1로터지지부(1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로터지지부(114)는 정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1회전지지부(221)는 제1로터지지부(114)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제1로터지지부(114)와 반경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로터지지부(114)와 제1회전지지부(221)의 사이에는 베어링(도면부호 미표기)이 개재된다. 제1회전지지부(221)는 베어링에 의해 제1로터지지부(11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엔진축결합부(222)는 제1회전지지부(221) 상에 엔진(2)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엔진(2)의 크랭크축(2b)과 결합된다. 엔진축결합부(222)는 제1개방부(115)를 통해 제1공간부(S1)로 인입된 크랭크축(2b)과 스플라인 결합된다. 엔진축결합부(222)에 의해, 제1모터(20)와 엔진(2)간의 동력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장부(223)는 제1회전지지부(221)에서 제1스테이터(21)측으로, 즉 반경방향 외측(정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연장부(223)는 제1회전지지부(221)의 정축방향 단부에서 정반경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역축방향으로 그 연장방향이 전환된 후 다시 정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연장부(223)의 연장방향이 역축방향으로 전환되어 연장되는 부분을 확장단턱부(도면부호 미표기)라 한다.
제1자성체설치부(224)는 제1연장부(223)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댐퍼수용부(225)는 제2모터(30)를 향하는 제1연장부(223)의 일측부와 제1자성체설치부(224)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제1연장부(223)가 상기와 같이 그 연장방향이 역축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절곡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즉 확장단턱부를 가짐에 따라 댐퍼수용부(225)의 너비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댐퍼수용부(225)에는 토션댐퍼(40)의 적어도 일부가, 보다 구체적으로 토션댐퍼(40)이 제1댐퍼부(41)가 수용된다.
댐퍼결합부(226)는 제1연장부(223) 또는 제1회전지지부(221) 상에 형성되고, 토션댐퍼(40)가 고정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결합부(226)는 제1연장부(223) 중 댐퍼수용부(225)와 접하는 부분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확장단턱부 상에 형성된다. 토션댐퍼(40)는 댐퍼결합부(226) 상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 고정된다.
제1전자기반응부(227)는 제1로터(22)의 회전자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부로, 제1자성체설치부(224) 상에 제1스테이터(21)와 마주하게 설치된다. 제1전자기반응부(227)는 영구자석 등의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스테이터(21)와의 전자기적 반응에 의해 회전력이 작용하게 된다. 제1전자기반응부(227)에 작용하는 회전력에 의해 제1로터(22)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레졸버수용부(228)는 엔진(2)을 향하는 제1연장부(223)의 타측부와 제1자성체설치부(224)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제1레졸버수용부(228)에는 제1레졸버(23)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제2레졸버설치부(229)는 제1연장부(223) 상에 엔진(2)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레졸버(23)의 제1레졸버로터(25)가 설치된다. 제2레졸버설치부(229)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레졸버로터(25)는 제1레졸버수용부(228) 상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제1로터(22)에 의하면, 토션댐퍼(40)의 제1댐퍼부(41)와 제1연장부(223)는 동일한 반경방향 연장선(제2반경연장선(L2)) 상에 위치된다. 다른 표현으로, 토션댐퍼(40)는 제1로터(22)와 제2로터(32)의 사이에 배치됨에 있어서 제1로터(22)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제1로터(22)와 반경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이때, 제2반경연장선(L2) 상에는 회전중심축(C)으로부터 정반경방향으로 제1회전지지부(221)의 정축방향 단부, 제1연장부(223), 댐퍼수용부(225) 및 토션댐퍼(40)의 제1댐퍼부(41), 제1자성체설치부(224)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로터(32)는 제2회전지지부(321), 제2연장부(322), 제2자성체설치부(323), 클러치수용부(324), 제2전자기반응부(325), 제4레졸버설치부(326)를 포함한다.
제2회전지지부(321)는 변속기(3)에 결합된 인풋샤프트 서포트(60)의 제2로터지지부(6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로터지지부(63)는 역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2회전지지부(321)는 제2로터지지부(63)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제2로터지지부(63)와 반경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로터지지부(63)와 제2회전지지부(321)의 사이에는 베어링(도면부호 미표기)이 개재된다. 제2회전지지부(321)는 베어링에 의해 제2로터지지부(6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연장부(322)는 제2회전지지부(321)에서 제2스테이터(31)측으로, 즉 반경방향 외측(정반경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연장부(322)는 제2회전지지부(321)의 축방향 중간부에서 정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2자성체설치부(323)는 제2연장부(322)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자성체설치부(323)의 외경부에는 제2전가기반응부(325)가 설치되고, 제2자성체설치부(323)의 내경부에는 클러치(50)가 설치된다.
클러치수용부(324)는 제1모터(20)를 향하는 제2연장부(322)의 일측부와 제2자성체설치부(323)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클러치수용부(324)에는 클러치(50)의 적어도 일부가,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50)의 마찰플레이트(51), 마찰디스크(52), 피스톤(53)과 허브(54)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제2전자기반응부(325)는 제2로터(32)의 회전자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부로, 제2자성체설치부(323) 상에 제2스테이터(31)와 마주하게 설치된다. 제2전자기반응부(325)는 영구자석 등의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2스테이터(31)와의 전자기적 반응에 의해 회전력이 작용하게 된다. 제2전자기반응부(325)에 작용하는 회전력에 의해 제2로터(32)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4레졸버설치부(326)는 제2연장부(322) 상에 인풋샤프트 서포트(60)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레졸버(33)의 제2레졸버로터(35)가 설치된다. 제4레졸버설치부(326)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레졸버로터(35)는 제2레졸버수용부(66) 상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제2로터(32)에 의하면, 클러치(50)와 제2회전지지부(321), 제2자성체설치부(323)는 동일한 반경방향 연장선(제4반경연장선(L4)) 상에 위치된다. 다른 표현으로, 클러치(50)는 제2로터(32)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제2로터(32)와 반경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이때, 제4반경연장선(L4) 상에는 회전중심축(C)으로부터 정반경방향으로 입력축(3b), 제2회전지지부(321), 클러치(50) 및 클러치수용부(324), 제2자성체설치부(323)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션댐퍼(40)는 제1댐퍼부(41)와 제2댐퍼부(42)를 포함한다.
제1댐퍼부(41)는 제1로터(22)에 고정결합되고, 제1로터(22) 상에 형성된 댐퍼수용부(225)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제2댐퍼부(42)는 제1댐퍼부(41)와 연결되고, 댐퍼수용부(225)의 외부에서 클러치(50)와 스플라인 결합된다. 제1댐퍼부(41)와 제2댐퍼부(42)는 각각 제1로터(22)와 클러치(50)간의 동력 전달 시 진동을 흡수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호 연결된다.
토션댐퍼(40)는 제1로터(22)와 제2로터(32) 사이의 이격간격(d3)보다 확장된 축방향 너비(d4)를 가지고, 제1로터(22)와 제2로터(32)의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된다. 제1로터(22)와 제2로터(32) 사이의 이격간격(d3) 상에는 격벽이 배치되지 않는다. 제1로터(22)와 제2로터(32) 사이의 이격간격(d3)은 제1스테이터(21)와 제2스테이터(31)의 코일권취량, 절연거리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제1댐퍼부(41)는 제2댐퍼부(42)의 역축방향측에 위치되어 제1로터(22)에 고정결합되고, 제2댐퍼부(42)는 제1댐퍼부(41)의 정축방향측에 위치되어 클러치(50)의 허브(54)와 스플라인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댐퍼부(41)는 스프링부재(43), 스프링가이드(44), 로터고정부(45), 로터접촉부(46)를 포함한다.
스프링가이드(44)는 탄성력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부재(43)를 탄성변형 가능하게 지지한다. 스프링가이드(44)는 환형으로 배치되는 스프링부재(43)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는 원판부재와, 스프링부재(43)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는 가이드부재 등 스프링부재(43)를 지지하는 구성을 포괄하여 의미한다.
로터고정부(45)는 스프링가이드(44) 중 제1로터(22)의 댐퍼결합부(226)와 반경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단부에 형성되고, 용접에 의해 제1로터(22)의 댐퍼결합부(226)에 고정결합된다. 로터고정부(45)는 댐퍼수용부(225) 상에서 댐퍼결합부(226)에 고정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댐퍼부(41)는 스프링가이드(44)와 스프링부재(43)를 포함한 적어도 일부가 댐퍼수용부(225) 상에 수용되게 배치된다.
로터접촉부(46)는 스프링가이드(44)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로터고정부(45)와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제1로터(22)와 접한다. 로터접촉부(46)는 로터고정부(45)보다 회전중심축(C)에 근접한 위치에, 제1로터(22)의 제1회전지지부(221)의 정축방향 단부와 반경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1로터(22)의 제1회전지지부(221)의 둘레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접한다.
스프링가이드(44)는 로터고정부(45)에 의해 제1로터(22)에 고정결합됨과 동시에, 로터고정부(45)와 로터접촉부(46)에 해당되는 2개소에 반경방향으로 접하여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로터접촉부(46)보다 정축방향측에 위치되는 제2댐퍼부(42)는 일부가 제2로터(32)의 클러치수용부(324)에 수용된 상태로 클러치(50)의 허브(54)와 스플라인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션댐퍼(40)는 제1댐퍼부(41)와 제2댐퍼부(42)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개시하고자 한 것이지, 이로써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션댐퍼(40)는 제1로터(22)와 클러치(50)간의 동력 전달 시 진동을 흡수가능하다면 공지기술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토션댐퍼(40)는 제1로터(22)에 축방향 일측부가 고정된 상태로 제1로터(22)와 제2로터(32)의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제2로터(32)에 설치된 클러치(50)의 허브(54)와 스플라인 결합된다. 이때 토션댐퍼(40)의 축방향 일측부는 제1로터(22)의 댐퍼수용부(225)에 수용되며, 토션댐퍼(40)의 축방향 타측부는 제1로터(22)와 제2로터(32) 사이의 이격간격(d3)에 따라 제2로터(32)의 클러치수용부(324)에 수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토션댐퍼(40)에 의하면, 클러치(50)와 토션댐퍼(40), 제2로터(32)는 동일한 반경방향 연장선(제3반경연장선(L3))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토션댐퍼(40)는 제2로터(32)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제2로터(32)와 반경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반경연장선(L3) 상에는 회전중심축(C)으로부터 정반경방향으로 클러치(50)의 허브(54), 토션댐퍼(40)의 제2댐퍼부(42), 제2로터(32)의 제2자성체설치부(323)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치(50)는 마찰플레이트(51), 마찰디스크(52), 허브(54)를 포함한다.
마찰플레이트(51)는 제2로터(32)의 제2자성체설치부(323)의 내경부 상에 복수개가 축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마찰디스크(52)는 복수개의 마찰플레이트(51)의 사이에 배치되고, 피스톤(53) 가압 시 마찰플레이트(51)와 마찰접촉된다. 허브(54)는 복수개의 마찰디스크(52)를 지지하고, 역축방향 단부가 토션댐퍼(40)의 제2댐퍼부(42)와 스플라인 결합된다. 마찰플레이트(51)와 마찰디스크(52)가 마찰접촉된 상태에서 허브(54)측의 회전력이 마찰플레이트(51)와 마찰디스크(52)를 통해 제2로터(3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1)에 의하면, 모터하우징(10) 중 엔진(2)과 접하는 축방향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측으로 제1반경연장선(L1), 제2반경연장선(L2), 제3반경연장선(L3), 제4반경연장선(L4), 제5반경연장선(L5)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1)는 제1반경연장선(L1)으로부터 제5반경연장선(L5)까지에 달하는 축방향 전장을 가진다.
제1반경연장선(L1) 상에는 회전중심축(C)으로부터 정반경방향으로 크랭크축(2b), 엔진축결합부(222), 제1로터지지부(114), 제2레졸버설치부(229), 제1레졸버(23), 제1레졸버설치부(116)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제2반경연장선(L2) 상에는 회전중심축(C)으로부터 정반경방향으로 제1회전지지부(221)의 정축방향 단부, 제1연장부(223), 댐퍼수용부(225) 및 토션댐퍼(40)의 제1댐퍼부(41), 제1자성체설치부(224)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또한, 제3반경연장선(L3) 상에는 회전중심축(C)으로부터 정반경방향으로 클러치(50)의 허브(54), 토션댐퍼(40)의 제2댐퍼부(42), 제2로터(32)의 제2자성체설치부(323)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제4반경연장선(L4) 상에는 회전중심축(C)으로부터 정반경방향으로 입력축(3b), 제2회전지지부(321), 클러치(50) 및 클러치수용부(324), 제2자성체설치부(323)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제5반경연장선(L5) 상에는 회전중심축(C)으로부터 정반경방향으로 입력축(3b), 제2회전지지부(321), 제2로터지지부(63), 제4레졸버설치부(326), 제2레졸버(33), 제3레졸버설치부(65)가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1)에 의하면, 토션댐퍼(40)를 제1모터(20)와 제2모터(30)의 사이에 배치하고, 토션댐퍼(40)의 일측부를 제1모터(20)에 결합하며, 제2모터(30)와 토션댐퍼(4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50)를 제2모터(30)에 설치함으로써, 2개의 모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1)에 있어서 전장을 보다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션댐퍼(40)를 제1모터(20)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토션댐퍼(40)를 제1모터(20)와 제2모터(30)의 사이에 안정되게 지지가능하므로, 제1모터(20)와 제2모터(30)의 사이에 격벽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격벽의 두께에 해당되는 만큼 전장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고, 토션댐퍼(40)의 적어도 일부를 제1모터(20)와 반경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함으로써, 토션댐퍼(40)의 축방향 너비보다 근접하게 제1모터(20)와 제2모터(30)를 배치할 수 있어 전장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2 : 엔진
2a : 엔진의 케이스 2b : 크랭크축
3 : 변속기 3a : 변속기의 케이스
3b : 입력축 10 : 모터하우징
11 : 제1모터하우징 12 : 제2모터하우징
20 : 제1모터 21 : 제1스테이터
22 : 제1로터 30 : 제2모터
31 : 제2스테이터 32 : 제2로터
40 : 토션댐퍼 41 : 제1댐퍼부
42 : 제2댐퍼부 43 : 스프링부재
44 : 스프링가이드 45 : 로터고정부
46 : 로터접촉부 50 : 클러치
51 : 마찰플레이트 52 : 마찰디스크
53 : 피스톤 54 : 허브
60 : 인풋샤프트 서포트 61 : 변속기결합부
62 : 내향연장부 63 : 제2로터지지부
64 : 제3개방부 65 : 제3레졸버설치부
66 : 제2레졸버수용부 111 : 제1커버부
112 : 제1스테이터지지부 113 : 제1내벽부
114 : 제1로터지지부 115 : 제1개방부
116 : 제1레졸버설치부 121 : 제2커버부
122 : 제2스테이터지지부 123 : 제2내벽부
124 : 제2개방부 221 : 제1회전지지부
222 : 엔진축결합부 223 : 제1연장부
224 : 제1자성체설치부 225 : 댐퍼수용부
226 : 댐퍼결합부 227 : 제1전자기반응부
228 : 제1레졸버수용부 229 : 제2레졸버설치부
321 : 제2회전지지부 322 : 제2연장부
323 : 제2자성체설치부 324 : 클러치수용부
325 : 제2전자기반응부 326 : 제4레졸버설치부
S1 : 제1공간부 S2 : 제2공간부

Claims (12)

  1. 엔진과 변속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의 크랭크축과 연결되는 제1모터;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1모터와 축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는 제2모터;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부가 상기 제1모터에 결합되는 토션댐퍼; 및
    상기 제2모터에 설치되고, 상기 제2모터와 상기 토션댐퍼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하우징은,
    상기 제1모터가 결합되는 제1모터하우징; 및
    상기 제2모터가 결합되고, 일측부가 상기 제1모터하우징과 연결되며, 타측부가 상기 변속기의 케이스와 연결되는 제2모터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모터하우징은,
    상기 제2모터하우징, 상기 엔진과 결합되고, 상기 제1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내장가능한 제1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커버부;
    상기 제1커버부 중 상기 제1공간부와 접하는 내측단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의 스테이터가 고정설치되는 제1스테이터지지부;
    상기 제1스테이터지지부에서 상기 제1공간부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엔진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1내벽부;
    상기 제1내벽부 상에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의 로터를 지지하는 제1로터지지부; 및
    상기 제1내벽부의 중앙부 상에 상기 제1모터의 로터와 상기 엔진의 크랭크축간의 연결을 위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1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2. 삭제
  3. 삭제
  4. 엔진과 변속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의 크랭크축과 연결되는 제1모터;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1모터와 축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는 제2모터;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부가 상기 제1모터에 결합되는 토션댐퍼; 및
    상기 제2모터에 설치되고, 상기 제2모터와 상기 토션댐퍼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하우징은,
    상기 제1모터가 결합되는 제1모터하우징; 및
    상기 제2모터가 결합되고, 일측부가 상기 제1모터하우징과 연결되며, 타측부가 상기 변속기의 케이스와 연결되는 제2모터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모터하우징은,
    상기 변속기, 상기 제1모터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제2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내장가능한 제2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커버부;
    상기 제2커버부 중 상기 제2공간부와 접하는 내측단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모터의 스테이터가 고정설치되는 제2스테이터지지부;
    상기 제2커버부 상에 상기 제2공간부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변속기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내벽부; 및
    상기 제2내벽부의 중앙부 상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인풋샤프트 서포트가 상기 제2공간부로 인입가능한 통로를 이루는 제2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풋샤프트 서포트는,
    상기 변속기에 결합되고, 상기 제2커버부에 의해 커버링되며, 상기 제2내벽부와 마주하는 변속기결합부;
    상기 변속기결합부에서 상기 변속기의 입력축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내향연장부;
    상기 내향연장부 상에 제2공간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개방부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모터의 로터를 지지하는 제2로터지지부; 및
    상기 내향연장부의 중앙부 상에 상기 변속기의 입력축과 상기 제2모터의 로터간의 연결을 위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3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6. 엔진과 변속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의 크랭크축과 연결되는 제1모터;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1모터와 축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는 제2모터;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부가 상기 제1모터에 결합되는 토션댐퍼; 및
    상기 제2모터에 설치되고, 상기 제2모터와 상기 토션댐퍼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는,
    상기 모터하우징에 고정설치되는 제1스테이터; 및
    상기 제1스테이터와 동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로터는,
    상기 모터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회전지지부;
    상기 제1회전지지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엔진의 크랭크축과 결합되는 엔진축결합부;
    상기 제1회전지지부에서 상기 제1스테이터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자성체설치부;
    상기 제2모터를 향하는 상기 제1연장부의 일측부와 상기 제1자성체설치부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토션댐퍼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댐퍼수용부;
    상기 제1연장부 또는 상기 제1회전지지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토션댐퍼가 고정결합되는 댐퍼결합부; 및
    상기 제1자성체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스테이터와의 전자기적 반응에 의해 회전력이 작용하는 제1전자기반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터는,
    상기 엔진을 향하는 상기 제1연장부의 타측부와 상기 제1자성체설치부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의 레졸버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1레졸버수용부; 및
    상기 제1연장부 상에 상기 엔진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의 레졸버가 설치되는 제2레졸버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8. 엔진과 변속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의 크랭크축과 연결되는 제1모터;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1모터와 축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는 제2모터;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부가 상기 제1모터에 결합되는 토션댐퍼; 및
    상기 제2모터에 설치되고, 상기 제2모터와 상기 토션댐퍼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모터는,
    상기 모터하우징에 고정설치되는 제2스테이터; 및
    상기 제2스테이터와 동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로터는,
    상기 변속기에 결합된 인풋샤프트 서포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회전지지부;
    상기 제2회전지지부에서 상기 제2스테이터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경부에 상기 클러치가 설치되는 제2자성체설치부;
    상기 제1모터를 향하는 상기 제2연장부의 일측부와 상기 제2자성체설치부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가 배치되는 클러치수용부; 및
    상기 제2자성체설치부의 외경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스테이터와의 전자기적 반응에 의해 회전력이 작용하는 제2전자기반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9. 엔진과 변속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의 크랭크축과 연결되는 제1모터;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1모터와 축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는 제2모터;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부가 상기 제1모터에 결합되는 토션댐퍼; 및
    상기 제2모터에 설치되고, 상기 제2모터와 상기 토션댐퍼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댐퍼는,
    상기 제1모터의 로터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모터의 로터 상에 형성된 댐퍼수용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1댐퍼부; 및
    상기 제1댐퍼부와 연결되고, 상기 댐퍼수용부의 외부에서 상기 클러치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2댐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10. 엔진과 변속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의 크랭크축과 연결되는 제1모터;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1모터와 축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는 제2모터;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부가 상기 제1모터에 결합되는 토션댐퍼; 및
    상기 제2모터에 설치되고, 상기 제2모터와 상기 토션댐퍼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댐퍼는,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 사이의 이격간격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11. 엔진과 변속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의 크랭크축과 연결되는 제1모터;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1모터와 축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고, 변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는 제2모터;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부가 상기 제1모터에 결합되는 토션댐퍼; 및
    상기 제2모터에 설치되고, 상기 제2모터와 상기 토션댐퍼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댐퍼는,
    스프링부재;
    상기 스프링부재를 지지하는 스프링가이드; 및
    상기 스프링가이드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모터의 로터에 고정결합되는 로터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댐퍼는,
    상기 스프링가이드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터고정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모터의 로터와 접하는 로터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터고정부는, 상기 제1모터의 로터와 반경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단부가 상기 제1모터의 로터와 용접되어 형성되고,
    상기 로터접촉부는, 상기 로터고정부보다 회전중심축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제1모터의 로터와 반경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모터의 로터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KR1020200016326A 2020-02-11 2020-02-11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Active KR102238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326A KR102238845B1 (ko) 2020-02-11 2020-02-11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326A KR102238845B1 (ko) 2020-02-11 2020-02-11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845B1 true KR102238845B1 (ko) 2021-04-12

Family

ID=7543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326A Active KR102238845B1 (ko) 2020-02-11 2020-02-11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84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8492A1 (de) 2021-11-05 2023-05-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triebsstrangvorrichtung mit zwei elektromotoren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 der antriebsstrangvorrichtung
DE102021128900A1 (de) 2021-11-05 2023-05-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triebsstrangvorrichtung
KR20230071638A (ko)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하이브리드 구동 모듈
KR20230077464A (ko)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토셔널 댐퍼 및 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구동 모듈
KR20230077454A (ko)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토셔널 댐퍼 및 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구동 모듈
KR20230100319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토셔널 댐퍼 및 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구동 모듈
KR20230122838A (ko) 2022-02-15 2023-08-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DE112022004755T5 (de) 2021-10-06 2024-07-25 Hyundai Transys Inc. Getriebe
KR20250086226A (ko) 2023-12-06 2025-06-13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KR102836565B1 (ko) * 2023-05-03 2025-07-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2887B2 (en) * 2001-11-03 2005-03-08 Daimler Chrysler Ag Hybrid drive
JP2007015441A (ja) * 2005-07-05 2007-01-25 Aisin Aw Co Ltd ハイブリッド車用駆動装置
KR20090020791A (ko) * 2007-08-24 2009-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KR20130065392A (ko) * 2011-12-09 2013-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2887B2 (en) * 2001-11-03 2005-03-08 Daimler Chrysler Ag Hybrid drive
JP2007015441A (ja) * 2005-07-05 2007-01-25 Aisin Aw Co Ltd ハイブリッド車用駆動装置
KR20090020791A (ko) * 2007-08-24 2009-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KR20130065392A (ko) * 2011-12-09 2013-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22004755T5 (de) 2021-10-06 2024-07-25 Hyundai Transys Inc. Getriebe
DE102021128900A1 (de) 2021-11-05 2023-05-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triebsstrangvorrichtung
DE102021128898A1 (de) 2021-11-05 2023-05-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triebsstrang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bau einer Antriebsstrangvorrichtung
WO2023078492A1 (de) 2021-11-05 2023-05-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triebsstrangvorrichtung mit zwei elektromotoren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 der antriebsstrangvorrichtung
KR102662786B1 (ko) * 2021-11-16 2024-05-03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하이브리드 구동 모듈
KR20230071638A (ko)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하이브리드 구동 모듈
WO2023090697A1 (ko) * 2021-11-16 2023-05-25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하이브리드 구동 모듈
DE112022005656T5 (de) 2021-11-25 2024-09-12 Valeo Kapec Co., Ltd. Torsionsdämpfer und hybridantriebsmodul mit diesem dämpfer
KR20230077454A (ko)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토셔널 댐퍼 및 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구동 모듈
DE112022005633T5 (de) 2021-11-25 2024-09-12 Valeo Kapec Co., Ltd. Torsionsdämpfer und hybridantriebsmodul mit diesem
KR20230077464A (ko)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토셔널 댐퍼 및 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구동 모듈
US12259018B2 (en) 2021-11-25 2025-03-25 Valeo Kapec Co., Ltd. Torsional damper and hybrid drive module comprising same
KR20230100319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토셔널 댐퍼 및 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구동 모듈
KR20230122838A (ko) 2022-02-15 2023-08-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US12358363B2 (en) 2022-02-15 2025-07-15 Hyundai Transys Inc.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KR102836565B1 (ko) * 2023-05-03 2025-07-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장치
KR20250086226A (ko) 2023-12-06 2025-06-13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884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US6862887B2 (en) Hybrid drive
JP4941778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5661743B2 (ja) トーショナルバイブレーションダンパを備えるツインクラッチ
CN103687739B (zh) 转矩传递装置
US9140348B2 (en) Hydrodynamic coupling arrangement, in particular a torque converter
JP5607954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動力伝達装置
KR10096908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US7975571B2 (en) Hybrid drive device
US20070007059A1 (en) Hybrid vehicle drive device
JP5605710B2 (ja) 動力伝達装置
CN106415056A (zh) 用于混合动力车辆的转矩传递设备
CN104619539A (zh) 混合动力驱动装置
JP2009515115A (ja) 8気筒エンジンを備える自動車パワートレーン
JP2004166490A (ja) 特に自動車用の駆動系統
US6302253B1 (en) Torque transmission unit
US11745577B2 (en) Torque converter
US20050087420A1 (en) Powertrain
US11433756B2 (en) Drive device
JP4709760B2 (ja) 多機能手段を備える自動車用の摩擦クラッチ
US11831221B2 (en) Drive device
JP3598696B2 (ja) 直結クラッチ付流体伝動装置
CN110360300A (zh) 皮带盘去耦器以及具有相应的皮带盘去耦器的辅助设备驱动器和驱动发动机
KR10229276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JP5027744B2 (ja) 動力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