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7117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117B1
KR102237117B1 KR1020140115101A KR20140115101A KR102237117B1 KR 102237117 B1 KR102237117 B1 KR 102237117B1 KR 1020140115101 A KR1020140115101 A KR 1020140115101A KR 20140115101 A KR20140115101 A KR 20140115101A KR 102237117 B1 KR102237117 B1 KR 102237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ubstrate
display device
emitting display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7525A (ko
Inventor
문정우
김준엽
김경호
정진구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117B1/ko
Priority to US14/662,875 priority patent/US9564611B2/en
Publication of KR2016002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1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투과율을 증가시키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소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제1 기판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는 발광 구조물, 투과 영역에 배치되는 광투과 부재 및 발광 구조물 및 광투과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며, 광투과 부재와 기판들 사이의 계면들에서 광이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높아질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광투과 부재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는 경량 및 박형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음극선관 표시 장치를 대체하는 표시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액정 표시 장치와 유기 발광 표시(OLED) 장치가 있다. 이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박막에 음극과 양극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여기자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되는 현상을 이용한다.
최근 투과 영역과 화소 영역을 구비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를 투과시킬 수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투과 영역 상에 위치하는 구조물들(예를 들어, 하부 기판, 절연층, 상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반 사이 질소가 포함된 공간)에 따라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투과율이 결정되고, 상기 투과율이 높을 경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투과 영역 상에 위치하는 구조물들이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상기 선명도를 증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과 영역에 광투과 부재를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목적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소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는 발광 구조물,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되는 광투과 부재 및 상기 발광 구조물 및 상기 광투과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광투과 부재와 상기 기판들 사이의 계면들에서 광이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부재는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과 접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상기 광투과 부재 및 상기 제2 기판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상기 광투과 부재 및 상기 제2 기판의 굴절률은 1.4 내지 1.6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부재는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아크릴, 폴리아미드 또는 실록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은 무알칼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부재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제1 광투과 층 및 제2 광투과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투과 층 및 상기 제2 광투과 층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투과 층 및 상기 제2 광투과 층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투과 층 상에 상기 제2 광투과 층이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투과 층과 상기 제2 광투과 층 사이의 계면에서 광이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상기 제1 광투과 층, 상기 제2 광투과 층 및 상기 제2 기판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조물은 반도체 소자, 복수의 절연층, 화소 정의막, 제1 전극, 발광층,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부재는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투과 부재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의 저면 상에 배치되는 컬러 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는 상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화소 정의막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에서 상기 발광 구조물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투명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는 상기 광투과 부재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는 상기 광투과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투과 영역에 광투과 부재를 구비하여 투과 영역의 투과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의 제조 방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소 영역 및 투과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영역에는 복수의 화소들(10, 20, 30)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투과 영역에는 투과창(40)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화소(10)는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고, 다른 화소(20)는 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또 다른 화소(30)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투과창(40)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화소들(10, 20, 30) 및 투과창(40)을 둘러싸는 부분(예를 들어, 데드 스페이스)에는 배선들(데이터 전극, 스캔 전극, 전원 전극 등)과 절연층(예를 들어, 화소 정의막, 보호층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기판(50), 발광 구조물(70), 제2 기판(7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투과 영역(II)은 전술한 투과창(40)에 해당될 수 있다. 발광 구조물(70)은 화소 영역(I)에 위치할 수 있고, 발광 구조물(70)은 액티브층(55), 게이트 전극(57), 소스 전극(59) 및 드레인 전극(61)을 포함하는 구동 트랜지스터(63), 제1 절연층(65), 게이트 절연층(67), 제2 절연층(69), 애노드 전극(71), 화소 정의막(73), 발광층(75), 그리고 캐소드 전극(77)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절연층(65), 게이트 절연층(67), 제2 절연층(69) 및 캐소드 전극(77)은 화소 영역(I)으로부터 투과 영역(II)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투과 영역(II)에는 제1 기판(50), 제1 절연층(65), 게이트 절연층(67), 제2 절연층(69), 캐소드 전극(77) 및 제2 기판(79)이 배치될 수 있으며, 질소를 함유하는 공간(81)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캐소드 전극(77)과 제2 기판(79) 사이의 공간(81)에 질소가 포함되는 것은, 질소를 함유하는 봉지 공정(encapsulation process)의 결과이다.
투과 영역(II)에 위치한 상기 구조물들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투과 영역(II)을 통해 외광이 투과될 경우, 상기 외광은 굴절될 수 있고, 투과율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외광의 굴절을 감소하기 위해 제1 절연층(65), 게이트 절연층(67), 제2 절연층(69) 및 캐소드 전극(77)을 제1 기판(50) 상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판(50)과 제2 기판(79)의 굴절률은 동일할 수 있지만, 제1 및 제2 기판들(50, 79)과 공간(81)의 굴절률은 다르기 때문에 투과율은 여전히 감소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제1 기판(110), 발광 구조물(200), 광투과 부재(230), 제2 기판(2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구조물(200)은 화소 영역(I)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투과 부재(230)는 투과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영역(I)에서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고, 투과 영역(II)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가 투과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투과 영역(II)을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투명한 재질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110)은 유리, 석영, 합성 석영(synthetic quartz), 불화칼슘(CaF2) 및 불소 도핑 석영(F-doped quartz), 소다라임(sodalime), 무알칼리(non-alkal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기판(110)은 상기 무알칼리 글래스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기판(110)의 굴절률은 대략 1.5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대략 1.4 내지 대략 1.6인 투명한 재질의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광투과 부재(230) 및 제2 기판(27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가 화소 영역(II) 및 투과 영역(II)을 구비함에 따라, 기판(110)도 화소 영역(I)과 투과 영역(II)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투과 영역(II)은 투과창에 해당될 수 있다.
발광 구조물(200)은 제1 기판(110)의 화소 영역(I)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구조물(200)은 구동 트랜지스터(160), 제1 절연층(170), 게이트 절연층(180), 제2 절연층(190), 제1 전극(210), 화소 정의막(220), 발광층(240), 제2 전극(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160)는 액티브층(120), 게이트 전극(130), 소스 전극(140) 및 드레인 전극(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층(120)은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액티브층(120)은 산화물 반도체, 무기물 반도체(예를 들어, 아몰퍼스 실리콘(amorphous silicon), 폴리 실리콘(poly silicon)) 또는 유기물 반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120) 상에는 제1 절연층(1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70)은 액티브층(12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절연층(170)은 기판(110)의 투과 영역(II)에 배치되지 않는다. 제1 절연층(170)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30)은 제1 절연층(170) 중에서 하부에 액티브층(120)이 위치하는 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3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30)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180)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80)은 게이트 전극(13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게이트 절연층(180)은 투과 영역(II)에 배치되지 않는다. 게이트 절연층(180)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80) 상에는 소스 전극(140) 및 드레인 전극(150)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140)은 제1 절연층(170) 및 게이트 절연층(180)의 일부를 관통하여 액티브층(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드레인 전극(150)은 제1 절연층(170) 및 게이트 절연층(180)의 일부를 관통하여 액티브층(12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140) 및 드레인 전극(150)은 각기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소스 전극(140) 및 드레인 전극(150) 상에는 제2 절연층(19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90)은 소스 전극(140) 및 드레인 전극(15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절연층(190)은 투과 영역(II)에 배치되지 않는다. 제2 절연층(190)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10)은 제2 절연층(1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210)은 제2 절연층(190)의 일부를 관통하여 소스 전극(140)과 접속될 수 있다. 제1 전극(21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220)은 제2 절연층(190)의 일부 및 제1 전극(210)의 일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220)은 제1 전극(210)의 양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220)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전극(210) 상에 발광층(240)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240)은 상이한 색광들(즉,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등)을 방출시킬 수 있는 발광 물질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발광층(240)은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등과 같은 상이한 색광들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광 물질들이 적층되어 백색광을 발광할 수도 있다. 제2 전극(250)은 화소 정의막(220) 및 발광층(2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250)은 화소 정의막(220) 및 발광층(24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250)은 투과 영역(II)에 배치되지 않는다.
광투과 부재(230)는 제1 기판(110)의 투과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광투과 부재(230)는 제1 기판(110)의 화소 영역(I)에 위치하는 발광 구조물(200)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광투과 부재(230)는 투명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투과 부재(230)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아크릴(acrylic), 폴리아미드(polyamide), 실록산(siloxa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투과 부재(230)는 상기 투명한 실록산, 상기 투명한 아크릴, 상기 투명한 폴리이미드로 구성될 수 있고, 광투과 부재(230)의 굴절률은 대략 1.5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대략 1.4 내지 대략 1.6인 투명한 물질의 투명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27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투명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투과 영역(II)에서 제1 기판(110), 광투과 부재(230) 및 제2 기판(270)을 통해 외광(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광투과 부재(230)는 제1 기판(110)과 접촉되는 제1 접촉면 및 제2 기판(270)과 접촉되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광투과 부재(230)의 제1 접촉면에 있어서, 제1 기판(110)과 광투과 부재(23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제1 기판(110)을 투과한 외광이 상기 제1 접촉면에서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즉, 광투과 부재(230)와 제1 기판(110) 사이의 계면에서 상기 외광이 굴절되지 않는다). 또한, 광투과 부재(230)의 제2 접촉면에 있어서, 광투과 부재(230)와 제2 기판(27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상기 제1 접촉면을 통과한 상기 외광이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즉, 광투과 부재(230)와 제2 기판(270) 사이의 계면에서 상기 외광이 굴절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외광은 광의 굴절 없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투과 영역(II)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투과 영역(II)에서 화소 영역(I)으로부터 연장된 절연층들(예를 들어, 제1 절연층(170), 게이트 절연층(180), 제2 절연층(190)) 및 제2 전극(250)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외광이 반사될 수 있는 층간 계면들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투과 부재(230)와 제1 및 제2 기판들(110, 270) 사이의 계면들에서 광이 굴절되지 않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투과율이 증가될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높아질 수 있다.
제2 기판(270)은 발광 구조물(200) 및 광투과 부재(2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270)은 광투과 부재(230)의 제2 접촉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기판(270)은 실질적으로 제1 기판(110)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판(270)은 유리, 석영, 합성 석영, 불화칼슘 및 불소 도핑 석영, 소다 라임, 무알칼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기판(270)은 상기 무알칼리 글래스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기판(270)의 굴절률은 대략 1.5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대략 1.4 내지 대략 1.6인 투명한 재질의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기판(110) 및 광투과 부재(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투과 영역(II)에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제1 기판(110), 광투과 부재(230) 및 제2 기판(2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광이 투과 영역(II)에서 굴절되지 않기 때문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투과율이 증가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투과 영역(II)에서 화소 영역(I)으로부터 연장된 절연층들 및 제2 전극(250)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외광이 반사될 수 있는 층간 계면들이 감소될 수 있고, 투과 영역(II)에 광투과 부재(230)만 존재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투과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높아질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기판(310)의 화소 영역(I)에 액티브층(3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310)은 투명한 재질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310)은 유리, 석영, 합성 석영, 불화칼슘 및 불소 도핑 석영, 소다라임, 무알칼리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기판(310)은 상기 무알칼리 글래스로 제공될 수 있고, 제1 기판(310)의 굴절률은 대략 1.5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대략 1.4 내지 대략 1.6인 투명한 재질의 기판이 제공될 수 있다. 액티브층(320)은 산화물 반도체, 무기물 반도체 또는 유기물 반도체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370)은 제1 기판(310)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절연층(370)은 액티브층(32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으로부터 투과 영역(II)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연층(370)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330)은 제1 절연층(370) 중에서 하부에 액티브층(320) 이 위치하는 부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33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380)은 제1 절연층(370) 상에 형성될 수 있고, 게이트 전극(33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으로부터 투과 영역(II)까지 연장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380)이 제1 절연층(370) 상에 형성된 후, 제1 절연층(370) 및 게이트 절연층(380)의 일부를 관통하여 액티브층(3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콘택홀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절연층(370) 및 게이트 절연층(380)의 타부를 관통하여 액티브층(32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콘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층(380)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소스 전극(340)은 상기 제1 콘택홀을 채우고, 상기 제1 콘택홀 내로 연장되어 액티브층(320)의 일측과 접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350)은 상기 제2 콘택홀을 채우고, 상기 제2 콘택홀 내로 연장되어 액티브층(320)의 타측과 접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전극(340) 및 드레인 전극(350)은 각기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스 전극(340), 드레인 전극(350), 게이트 전극(330) 및 액티브층(320)을 포함하는 구동 트랜지스터(360)가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전극(340) 및 드레인 전극(350) 상에는 제2 절연층(39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층(390)은 소스 전극(340) 및 드레인 전극(35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으로부터 투과 영역(II)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층(390)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380) 상에 제2 절연층(390)이 형성된 후, 제2 절연층(390)의 일부를 관통하여 소스 전극(34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3 콘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제1 전극(410)은 제2 절연층(39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410)은 상기 제3 콘택홀을 통하여 소스 전극(340)과 접속될 수 있다. 제1 전극(41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420)은 제2 절연층(390)의 일부 및 제1 전극(410)의 일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420)은 제1 전극(410)의 양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420)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제1 기판(310)의 투과 영역(II)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370), 게이트 절연층(380) 및 제2 절연층(390)이 제거될 수 있다. 즉, 투과 영역(II)에는 상기 절연층들이 위치하지 않는다.
도 4f를 참조하면, 광투과 부재(430)는 제1 기판(310)의 투과 영역(II)에 형성될 수 있다. 광투과 부재(430)의 저면은 제1 기판(310)과 접촉될 수 있다. 광투과 부재(430)는 투명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투과 부재(430)는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아크릴, 폴리아미드, 실록산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투과 부재(430)는 상기 투명한 실록산, 상기 투명한 아크릴, 상기 투명한 폴리이미드로 형성될 수 있고, 광투과 부재(430)의 굴절률은 대략 1.5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대략 1.4 내지 대략 1.6인 투명한 물질의 투명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g를 참조하면, 제1 전극(410) 상에 발광층(440)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440)은 상이한 색광들을 방출시킬 수 있는 발광 물질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발광층(440)은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등과 같은 상이한 색광들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광 물질들이 적층되어 백색광을 발광할 수도 있다. 제2 전극(450)은 화소 정의막(420) 및 발광층(44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450)은 화소 정의막(420) 및 발광층(44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450)은 투과 영역(II)에 배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전극(45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절연층(370), 구동 트랜지스터(360), 게이트 절연층(380), 제2 절연층(390), 제1 전극(410), 화소 정의막(420), 발광층(440) 및 제2 전극(450)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물(50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470)은 발광 구조물(500) 및 광투과 부재(4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470)은 광투과 부재(430)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기판(470)은 실질적으로 제1 기판(310)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판(470)은 유리, 석영, 합성 석영, 불화칼슘 및 불소 도핑 석영, 소다 라임, 무알칼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기판(470)은 상기 무알칼리 글래스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기판(470)의 굴절률은 대략 1.5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대략 1.4 내지 대략 1.6인 투명한 재질의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기판(310) 및 광투과 부재(4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투과 영역(II)에서 제1 기판(310), 광투과 부재(430) 및 제2 기판(470)을 통해 외광이 투과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광투과 부재(430)는 제1 기판(310)과 접촉되는 상기 저면 및 제2 기판(470)과 접촉되는 상기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광투과 부재(430)의 저면에 있어서, 제1 기판(310)과 광투과 부재(43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제1 기판(310)을 투과한 외광이 상기 저면에서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광투과 부재(430)의 상면에 있어서, 광투과 부재(430)와 제2 기판(47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상기 상면을 통과한 상기 외광이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외광은 광의 굴절 없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투과 영역(II)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투과 영역(II)에서 화소 영역(I)으로부터 연장된 절연층들(예를 들어, 제1 절연층(370), 게이트 절연층(380), 제2 절연층(390)) 및 제2 전극(450)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외광이 반사될 수 있는 층간 계면들이 감소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예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블랙 매트릭스(680) 및 컬러 필터(690)를 제외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제1 기판(510), 발광 구조물(600), 광투과 부재(630), 제2 기판(670), 블랙 매트릭스(680), 컬러 필터(6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구조물(600)은 구동 트랜지스터(560), 제1 절연층(570), 게이트 절연층(580), 제2 절연층(590), 제1 전극(610), 화소 정의막(620), 발광층(640), 제2 전극(6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560)는 액티브층(520), 게이트 전극(530), 소스 전극(540) 및 드레인 전극(5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구조물(600)은 화소 영역(I)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투과 부재(630)는 투과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영역(I)에서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고, 투과 영역(II)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6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가 투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투과 영역(II)을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680) 및 컬러 필터(690)는 제2 기판(670)의 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680)는 화소 정의막(620)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컬러 필터(690)는 발광층(64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 매트릭스(680)는 흑색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680)로 사용될 수 있는 흑색 물질은 카본 블랙(carbon black), 페닐렌 블랙(phenylene black), 아닐린 블랙(aniline black), 시아닌 블랙(cyanine black), 니그로신산 블랙(nigrosine acid black) 및 블랙 수지(black res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컬러 필터(690)는 발광층(640)으로부터 생성된 광의 색과 동일한 색을 갖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640)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광은 투과 특성이 우수한 컬러 필터(690)를 통과하게 되면 색 재현율이 증가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680)는 차광막으로써 기능하고, 외광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랙 매트릭스(680) 및 컬러 필터(690)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외광 반사가 감소되고, 색 재현율이 증가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높아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예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700)는 제1 광투과 층(830) 및 제2 광투과 층(890)을 제외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600)는 제1 기판(710), 발광 구조물(800), 제2 기판(870), 제1 광투과 층(830), 제2 광투과 층(8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구조물(800)은 구동 트랜지스터(760), 제1 절연층(770), 게이트 절연층(780), 제2 절연층(790), 제1 전극(810), 화소 정의막(820), 발광층(840), 제2 전극(8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760)는 액티브층(720), 게이트 전극(730), 소스 전극(740) 및 드레인 전극(7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700)는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구조물(800)은 화소 영역(I)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광투과 층(830) 및 제2 광투과 층(890)은 투과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영역(I)에서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고, 투과 영역(II)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7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가 투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700)는 투과 영역(II)을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광투과 층(830)은 제1 기판(710)의 투과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투과 층(830)은 제1 기판(710)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광투과 층(890)은 제1 광투과 층(8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투과 층(890)은 제2 기판(870)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광투과 층(830) 및 제2 광투과 층(890)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광투과 층들(830, 890)은 각기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아크릴, 폴리아미드, 실록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및 제2 광투과 층들(830, 890)은 각기 상기 투명한 실록산, 상기 투명한 아크릴, 상기 투명한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투과 층(830) 및 제2 광투과 층(890)이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제1 및 제2 광투과 층들(830, 89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광투과 층들(830, 890)의 굴절률은 각기 대략 1.5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대략 1.4 내지 대략 1.6인 투명한 물질의 투명 부재들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투과 층(830)과 제2 광투과 층(890)이 동일한 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제1 광투과 층(830)과 제2 광투과 층(890) 사이의 계면에서 광이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기판(710), 제1 광투과 층(830), 제2 광투과 층(890), 제2 기판(870)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외광은 광의 굴절 없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700)의 투과 영역(II)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투과 영역(II)에서 화소 영역(I)으로부터 연장된 절연층들 및 제2 전극(850)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외광이 반사될 수 있는 층간 계면들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7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높아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예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900)는 투명 부재(1030)를 제외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900)는 제1 기판(910), 발광 구조물(1000), 제2 기판(1070), 투명 부재(10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구조물(1000)은 구동 트랜지스터(960), 제1 절연층(970), 게이트 절연층(980), 제2 절연층(990), 제1 전극(1010), 화소 정의막(1020), 발광층(1040), 제2 전극(10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960)는 액티브층(920), 게이트 전극(930), 소스 전극(940) 및 드레인 전극(9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900)는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구조물(1000)은 화소 영역(I)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투명 부재(1030)는 투과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영역(I)에서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고, 투과 영역(II)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9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가 투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900)는 투과 영역(II)을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투명 부재(1030)는 제1 기판(910)의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소 영역(I)에서, 투명 부재(1030)는 발광 구조물(1000)과 제2 기판(1070)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투과 영역(II)에서, 투명 부재(1030)는 제1 기판(910)과 제2 기판(107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화소 영역(I)에서 투명 부재(1030)는 발광 구조물(1000)의 상면 및 제2 기판(1070)의 저면과 접촉될 수 있고, 투과 영역(II)에서 투명 부재(1030)는 제1 기판(910)의 상면 및 제2 기판(1070)의 저면과 접촉될 수 있다. 투명 부재(1030)는 저점도를 갖는 투명 유기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부재(1030)는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아크릴, 폴리아미드, 실록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기판(910) 상에 발광 구조물(1000)이 배치된 후, 투명 부재(1030)가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에 채워질 수 있다. 투명 부재(1030)가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에 배치된 후, 제2 기판(10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1070)이 배치된 후, 투명 부재(1030)는 저점도를 갖기 때문에 경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즉,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에 형성된 투명 부재(10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부재(1030)의 굴절률은 대략 1.5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대략 1.4 내지 대략 1.6인 투명한 물질의 투명 부재들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910), 투명 부재(1030) 및 제2 기판(107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투과 영역(II)에서 제1 기판(910)과 투명 부재(1030) 사이의 계면 및 투명 부재(1030)와 제2 기판(1070) 사이의 계면에서 외광이 굴절되지 않을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11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910)의 화소 영역(I)에 투명 부재(1030)가 배치됨으로써, 투명 부재(1030)는 보호 구조물(100)을 수분의 침투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예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100)는 투과 영역(II)에 배치된 절연층들을 제외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100)는 제1 기판(1110), 발광 구조물(1200), 제2 기판(1270), 광투과 부재(1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구조물(1200)은 구동 트랜지스터(1160), 제1 절연층(1170), 게이트 절연층(1180), 제2 절연층(1190), 제1 전극(1210), 화소 정의막(1220), 발광층(1240), 제2 전극(1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1160)는 액티브층(1120), 게이트 전극(1130), 소스 전극(1140) 및 드레인 전극(1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100)는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구조물(1200)은 화소 영역(I)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투과 부재(1230)는 투과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영역(I)에서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고, 투과 영역(II)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11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가 투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1100)는 투과 영역(II)을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기판(1110) 상에 제1 절연층(11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70)은 액티브층(112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70) 상에 게이트 절연층(1180)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180)은 게이트 전극(113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180) 상에 제2 절연층(119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190)은 소스 전극(1140) 및 드레인 전극(1150)을 커버하며 화소 영역(I) 및 투과 영역(II)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70), 게이트 절연층(1180) 및 제2 절연층(1190)은 각기 무기 재료 또는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 재료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AlOx), 알루미늄 질화물(AlNx), 티타늄 산화물(TiOx), 아연 산화물(ZnO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기 재료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acrylate monomer), 페닐아세틸렌(phenylacetylene), 디아민(diamine), 디안하이드라이드(dianhydride), 실록산(siloxane), 실란(silane), 파릴렌(parylene), 올레핀계 고분자(polyethylene,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플루오르수지(fluororesin), 폴리실록산(polysiloxa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절연층(1170), 게이트 절연층(1180) 및 제2 절연층(1190)이 광투과 부재(123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유사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광투과 부재(1230)는 투과 영역(II)에서 제2 절연층(11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투과 부재(1230)의 저면은 제2 절연층(1190)과 접촉될 수 있고, 광투과 부재(1230)의 상면은 제2 기판(1270)과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투과 부재(1230)는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아크릴, 폴리아미드, 실록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투과 부재(1230)는 상기 투명한 실록산, 상기 투명한 아크릴, 상기 투명한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투과 부재(1230)의 굴절률은 각기 대략 1.5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굴절률이 대략 1.4 내지 대략 1.6인 투명한 물질의 투명 부재들로 형성될 수 있다. 광투과 부재(1230) 및 상기 절연층들(예를 들어, 제1 절연층(1170), 게이트 절연층(1180) 및 제2 절연층(1190))이 동일한 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층간 계면들에서 광이 굴절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광투과 부재(1230) 및 상기 절연층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외광은 광의 굴절 없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100)의 투과 영역(II)을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110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사물 또는 이미지의 선명도는 높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박용 및 항공기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휴대용 통신 장치들, 전시용 또는 정보 전달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의료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등과 같은 수많은 디스플레이 기기들에 적용 가능하다.
100, 500, 700, 900, 11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0, 310, 510, 710, 910, 1110: 제1 기판
120, 320, 520, 720, 920, 1120: 액티브층
130, 330, 530, 730, 930, 1130: 게이트 전극
140, 340, 540, 740, 940, 1140: 소스 전극
150, 350,550, 750, 950, 1150: 드레인 전극
160, 360, 560, 760, 960, 1160: 구동 트랜지스터
170, 370, 570, 770, 970, 1170: 제1 절연층
180, 380, 580, 780, 980, 1180: 게이트 절연층
190, 390, 590, 790, 990, 1190: 제2 절연층
200, 500, 600, 800, 1000, 1200: 발광 구조물
210, 410, 610, 810, 1010, 1210: 제1 전극
220, 420, 620, 820, 1020, 1220: 화소 정의막
230, 430, 630, 1230: 광투과 부재
240, 440, 640, 840, 1040, 1240: 발광층
250, 450, 650, 850, 1050, 1250: 제2 전극
270, 470, 670, 870, 1070, 1270: 제2 기판
680: 블랙 매트릭스 690: 컬러 필터
830: 제1 광투과 층 890: 제2 광투과 층
1030: 투명 부재

Claims (20)

  1. 화소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는 발광 구조물;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되는 광투과 부재; 및
    상기 발광 구조물 및 상기 광투과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광투과 부재와 상기 기판들 사이의 계면들에서 광이 굴절되지 않고, 상기 광투과 부재는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상기 광투과 부재 및 상기 제2 기판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상기 광투과 부재 및 상기 제2 기판의 굴절률은 1.4 내지 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부재는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아크릴, 폴리아미드 또는 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은 무알칼리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부재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제1 광투과 층 및 제2 광투과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투과 층 및 상기 제2 광투과 층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투과 층 및 상기 제2 광투과 층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투과 층 상에 상기 제2 광투과 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투과 층과 상기 제2 광투과 층 사이의 계면에서 광이 굴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상기 제1 광투과 층, 상기 제2 광투과 층 및 상기 제2 기판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조물은 반도체 소자, 복수의 절연층, 화소 정의막, 제1 전극, 발광층,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부재는 상기 투과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투과 부재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의 저면 상에 배치되는 컬러 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는 상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화소 정의막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에서 상기 발광 구조물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투명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는 상기 광투과 부재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는 상기 광투과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40115101A 2014-09-01 2014-09-0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ctive KR102237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101A KR102237117B1 (ko) 2014-09-01 2014-09-0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662,875 US9564611B2 (en) 2014-09-01 2015-03-1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101A KR102237117B1 (ko) 2014-09-01 2014-09-0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525A KR20160027525A (ko) 2016-03-10
KR102237117B1 true KR102237117B1 (ko) 2021-04-08

Family

ID=5540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101A Active KR102237117B1 (ko) 2014-09-01 2014-09-0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64611B2 (ko)
KR (1) KR102237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622B1 (ko) * 2015-09-17 2022-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및 투명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5742329A (zh) * 2016-03-07 2016-07-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和显示装置
KR102631260B1 (ko) * 2016-04-08 2024-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604993B1 (ko) * 2016-05-17 2023-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10060738A (ko) 2019-11-18 2021-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756808B1 (ko) * 2019-12-27 2025-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5609A (ja) * 2005-01-31 2006-09-0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67B1 (ko) 2008-07-01 2013-01-11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색보상 확산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9757B1 (ko) 2009-03-20 2013-1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투명oled 조명장치
US20100237374A1 (en) 2009-03-20 2010-09-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KR20110101980A (ko) 2010-03-10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0590A (ko) 2010-04-01 2011-10-0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93195B1 (ko) * 2010-07-02 201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275810B1 (ko) 2012-01-20 2013-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223727B1 (ko) 2012-03-29 2013-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43925B1 (ko) 2012-04-06 2013-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22051B1 (ko) 2012-05-24 2018-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구비한 투명 표시장치
KR102010789B1 (ko) * 2012-12-27 2019-10-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5609A (ja) * 2005-01-31 2006-09-0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64611B2 (en) 2017-02-07
US20160064692A1 (en) 2016-03-03
KR20160027525A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9626B1 (ko)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6650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4282715B (zh) 有机发光二极管(oled)显示器及其制造方法
KR10223711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3968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7212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7611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326152B1 (ko) 표시장치
US10629667B2 (en)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first light-shielding layer having first opening and second light-shielding layer having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KR20170052455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982073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52447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1037997B2 (en) Display apparatus
KR20170001844A (ko) 표시 장치
KR20160148102A (ko) 표시 장치
TW201413940A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KR20200101571A (ko) 표시 장치
KR20160096783A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47567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2025003155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706999B1 (ko)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표시장치
KR10232748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CN221466581U (zh) 显示装置
KR20250106780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20129435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9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