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6588B1 - 솔잎액 소독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해 재배된 콩나물 - Google Patents

솔잎액 소독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해 재배된 콩나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588B1
KR102236588B1 KR1020200172543A KR20200172543A KR102236588B1 KR 102236588 B1 KR102236588 B1 KR 102236588B1 KR 1020200172543 A KR1020200172543 A KR 1020200172543A KR 20200172543 A KR20200172543 A KR 20200172543A KR 102236588 B1 KR102236588 B1 KR 102236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sprouts
cultivation
weight
sprouts
par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담에프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담에프엔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담에프엔비
Priority to KR102020017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58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40Fabaceae, e.g. beans or pea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23L3/347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잎액 소독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해 재배된 콩나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및 솔잎 추출물을 물에 희석시켜 포함하는 희석액을 이용하여 콩나물 재배실 및 재배용기를 주기적으로 소독함으로써 콩나물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생산된 콩나물의 식감을 향상시키며, 콩나물의 재배 과정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짓무름, 부패 등의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콩나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솔잎액 소독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해 재배된 콩나물{SOYBEAN SPROUTS CULTIVATION METHOD USING PINE NEEDLES FLUID AND SOYBEAN SPROUTS GROWN THROUGH THE METHOD}
본 발명은 솔잎액 소독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해 재배된 콩나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및 솔잎 추출물을 물에 희석시켜 포함하는 희석액을 이용하여 콩나물 재배실 및 재배용기를 주기적으로 소독함으로써 콩나물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생산된 콩나물의 식감을 향상시키며, 콩나물의 재배 과정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짓무름, 부패 등의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콩나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나물은 우리나라 가정의 기초 식재료 중 하나로써 각 가정은 물론 음식점이나 학교, 기업 등의 단체급식 등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음식재료이다.
콩나물은 콩나물 콩(대두)를 발아시켜 싹을 틔운 새싹채로류로서, 재배기간이 짧고 영양성과 기능성이 우수하여 연간 50만 톤 이상 재배 되고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콩나물을 이용한 음식은 한국인들에게 가장 보편적이고, 대중적인 식품으로서 영양이 풍부하고, 신선한 채소로서 비닐하우스가 보급되기 이전에 겨울철 신선채소로서는 유일하였다.
통상적인 콩나물의 재배방법은, 콩나물 콩을 물에 담가 불린 후 재배통에 콩을 나누어 담아 봄, 여름에는 평균 22℃, 겨울은 25℃의 기온에 싹이 나오게 발아를 시킨다. 물은 어느정도 온도가 일정한 지하수가 적당하며 물의 평균온도는 15℃를 유지하여 하루에 6 내지 7 회를 자동 살수하는 방법으로 하고, 봄, 여름은 7 일 정도, 겨울은 8 일 정도를 키워 지하수로 세척하고 약간의 건조를 통하여 압축 포장되어 유통한다.
이러한 콩나물은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영양분이 많은 것이 우수한 상품성을 가지는 것이지만, 재래식의 콩나물 생산 방법은 물만 살수하다 보니 콩나물의 줄기가 가늘게 자라고 잔뿌리가 많아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들이 많기에 수율이 높지 않고, 또는 식감이 질겨 상품성이 낮으며, 짓무르거나 쉽게 썩는 부패병이 만연하여 대량생산에 따른 생장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생장촉진제나 화학비료를 사용하여 재배하게 되는데, 이는 식생활에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생기는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경제적 부의 축적과 식생활의 향상의 결과 식품의 안정성과 품질에 대한 소비인식에 대한 변화로 인해 양적인 면보다는 위생과 안전을 고려하는 질적인 면을 중시하게 되었고, 나아가 고품질의 기능성 농산물을 선호하는 국민의식이 고조되고 있다.
또한, 콩나물 재배에서의 문제점은 생산자 측면에서 보면 생산업체의 경우 각종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콩나물을 생산하려는 의지와 양심이 다소 부족하며, 낙후된 시설과 생산업체의 영세성으로 인한 비위생적인 생산 형태가 문제가 되고 있다. 소비자의 측면에서는 콩나물의 가격은 무조건 저렴해야 하며, 값싸고 양 많은 콩나물만 구입하고자 하는 일부 소비자들의 잘못된 구매 태도가 문제점으로 인식된다.
이에, 중국산 뿐만 아니라 미국산 등의 수입산이 증가함과 동시에 국내산은 면역력 하락, 병충해, 자연재해 등으로 인하여 경쟁력이 하락하고, 시설과 인건비가 상승하는 시점에서 매출대비 이익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콩나물의 생장을 촉진하고, 병해충을 예방할 수 있으며, 식감이 우수하고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콩나물의 재배관리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7-00145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솔잎을 깨끗이 세척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뒤, 이를 콩나물 재배실, 재배용기, 및 콩나물 콩에 반복 분무하여 주기적으로 소독함으로써, 콩나물의 생산성을 증대시켜 수익률을 높여주고, 특히, 지하수의 수온이 상승하는 혹서기와 기타 콩나물 재배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는 짓무름, 부패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콩나물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콩나물 콩을 선별한 후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콩나물 콩을 물에 10 분 내지 6 시간 동안 침지시켜 불리는 단계; 상기 불린 콩나물 콩을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에 침지한 뒤 상기 액상 조성물을 반복 분무하여 발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아한 콩나물 콩을 재배실의 재배용기에 넣고 상기 액상 조성물을 1 시간 내지 4 시간 간격으로 반복 분무하여 3 일 내지 7 일 동안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콩나물 재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배하는 단계는, 상기 콩나물 콩, 재배용기, 및 재배실에 물과 솔잎 추출물을 혼합한 희석액을 1 일 1 회 간격으로 반복 분무하여 소독하는 단계; 및 상기 희석액을 분무한 후 재배실을 환기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콩나물 재배방법은, 콩나물 콩을 선별한 후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콩나물 콩을 물에 10 분 내지 6 시간 동안 침지시켜 불리는 단계; 상기 불린 콩나물 콩을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에 침지한 뒤 상기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반복 분무하여 발아시키는 단계; 상기 발아한 콩나물 콩을 재배실의 재배용기에 넣고 상기 액상 조성물을 1 시간 내지 4 시간 간격으로 반복 분무하여 3 일 내지 7 일 동안 재배하는 단계; 상기 재배하는 단계 중 상기 콩나물 콩, 재배용기, 및 재배실에 물과 솔잎 추출물을 혼합한 희석액을 1 일 1 회 간격으로 반복 분무하여 소독하는 단계; 및 상기 희석액을 분무한 후 재배실을 환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독하는 단계는, 상기 재배실의 통풍을 차단한 후 상기 희석액을 1 분 내지 60 분 동안 분무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무해한 솔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콩나물 재배실 및 재배용기를 주기적으로 소독함으로써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하여 콩나물의 짓무름과 부패를 방지하고, 콩나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된 공간에서 콩나물 재배에 도움이 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충분히 증대시킴으로써 콩나물의 갈변 현상을 완화시키고, 아삭한 식감을 증대시키며, 그에 따라 재배되는 콩나물의 상품성이 향상되어 재배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콩나물 재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콩나물 재배용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콩나물 콩을 선별한 후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콩나물 콩을 물에 10 분 내지 6 시간 동안 침지시켜 불리는 단계; 상기 불린 콩나물 콩을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에 침지한 뒤 상기 액상 조성물을 반복 분무하여 발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아한 콩나물 콩을 재배실의 재배용기에 넣고 상기 액상 조성물을 1 시간 내지 4 시간 간격으로 반복 분무하여 3 일 내지 7 일 동안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콩나물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무해한 솔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콩나물을 재배함으로써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하여 콩나물의 짓무름과 부패를 방지하고, 콩나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충분히 증대시킴으로써 재배되는 콩나물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을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콩나물 재배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콩나물의 원료가 되는 콩나물 콩 중, 건강한 콩나물 콩들만을 선별하여 지하수를 이용하여 1 회 내지 2 회 세척한 뒤 물기를 제거한다. 이 때, 재배에 사용되는 상기 콩나물 콩은 통상적인 재배 콩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수확 후 8 개월 이내의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한 콩나물 콩을 물에 침지시켜 불림으로써 상기 콩나물 콩의 발아를 촉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한 콩나물 콩을 물에 침지하여 불리는 시간은 약 10 분 내지 약 6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침지하여 불리는 시간이 약 10 분 미만일 경우 콩나물 콩의 발아 속도가 저하될 수 있고, 약 6 시간을 초과할 경우 콩나물 콩이 지나치게 불려져 추후 재배되는 콩나물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콩나물 콩을 물에 침지하여 불리는 시간은 약 30 분 내지 약 1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불린 콩나물 콩을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에 침지한 뒤 상기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반복 분무하여 발아시킨다. 이 때, 상기 발아는 콩나물 콩으로부터 약 0.1 내지 약 0.5 mm의 싹이 나올 때까지 수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의 온도는 약 10℃ 내지 약 25℃의 온도 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액상 조성물의 온도가 약 10℃ 미만일 경우 상기 콩나물 콩의 발아에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생산성이 하락할 수 있으며, 약 25℃를 초과할 경우 발아가 저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상 조성물의 온도는 약 14℃ 내지 약 20℃의 온도 범위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솔잎 추출물은, 소나무로부터 솔잎을 채취하여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 상기 세척 및 건조된 솔잎을 분쇄하여 솔잎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솔잎 분말 중량의 약 10 배 내지 약 500 배의 용매를 가하고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솔잎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 및 건조된 솔잎을 분쇄하여 솔잎 분말을 제조하는 것은 상기 솔잎을 일정한 크기로 분말화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볼밀, 그라인더, 믹서, 커터, 해머밀,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솔잎은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되어 있는 침엽상록수인 소나무의 잎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솔잎은 상쾌한 향취를 지니며, 테르펜류 및 탄닌을 약리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항균 및 방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콩나물 재배방법은 상기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이용함에 따라,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하여 콩나물의 짓무름과 부패를 방지하고, 콩나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솔잎 분말에 용매를 가하고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솔잎에 포함된 약리 성분이 상기 용매에 용해되어 나올 수 있는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약 100℃ 내지 약 18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열수 추출이 약 100℃ 미만으로 수행될 경우, 상기 솔잎에 포함된 약리 성분이 상기 용매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180℃를 초과하여 수행될 경우 상기 용매에 불쾌한 향이 포함되거나 열수 추출이 충분히 일어나기 이전에 용매가 모두 기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은 상기 용매를 가한 최초 부피의 약 50%가 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약 1 시간 내지 약 24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상기 솔잎에 포함된 약리 성분을 용해시키기 위한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증류수, 에탄올,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산성을 나타내어 상기 추출 후 수득되는 솔잎 추출물의 성분 변이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용매 전체 100 중량부 대비 약 5 내지 약 10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유기산이 약 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성분 변이가 발생할 수 있고, 약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pH의 급격한 변화로 추출 수율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아세트산(acetic acid), 부티르산(buty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옥살산(oxal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락트산(lact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옥살산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용매 전체 100 중량부 대비 증류수 약 40 내지 약 80 중량부, 에탄올 약 10 내지 약 30 중량부, 및 유기산 약 5 내지 약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증류수, 에탄올, 및 유기산이 상기 서술한 중량부 미만 또는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추출 수율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솔잎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약 0.1 μm 내지 약 2.0 μm의 사이즈를 갖는 필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을 통해 수득된 솔잎 추출물은,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 내지 약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솔잎 추출물이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대비 약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솔잎 추출물을 포함함에 따라 발휘되는 항균 및 방부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콩나물의 생장을 방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은, 전체 액상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80 중량부의 증류수 및 약 1 내지 약 20 중량부의 솔잎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콩에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분무하는 것은 약 1 시간 내지 약 4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분무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분무가 약 1 시간 미만의 간격으로 분무될 경우 습도가 과하게 증가하여 콩나물 콩이 짓무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 4 시간을 초과하는 간격으로 분무될 경우 발아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하락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반복 분무는 약 1 시간 내지 약 4 시간 간격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 2 시간 내지 약 3 시간 간격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10 중량부의 오이즙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오이는 4월에서 7월에 채취할 있는 박목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오이즙은 상기 오이를 통째로 갈아낸 뒤 건더기를 면포 등을 통해 분리해 제거한 맑은 액기스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이즙은 알코올 성분의 일종인 노다디에놀 및 노다니엔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노다디에놀 및 노다니엔알을 포함함에 따라 상쾌한 향취를 나타내어 상기 콩나물 재배에 사용될 경우 콩 비린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이즙은 칼슘 및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을 풍부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어 콩나물 재배에 사용될 경우 콩나물의 아삭한 식감을 증대시키고, 재배된 콩나물의 칼슘 및 아미노산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이즙은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5 내지 약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오이즙이 약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 오이즙을 포함함에 따라 예측되는 약리 효과가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중량 대비 효과가 저하되어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3 중량부의 프락토올리고당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프락토올리고당은 전이효소(invertase, β-fructofuranosidase)를 사용하여 설탕에 과당을 전이시켜 만들거나, 이눌린(inulin)을 이눌리네이즈(inulinase)로 부분 가수분해하여 만든 원료로서, 케토오스(kestose), 니스토오스(nystose), 프루토프라노시스토스(fructofuranosylnystose)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락토올리고당은 물에 잘 용해되며, 유해균의 성장 및 증식을 억제하고 칼슘 흡수를 도와주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상 조성물의 추가 성분으로서 프락토올리고당을 추가 포함할 경우, 유해균의 성장 및 증식을 억제하여 콩나물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칼슘의 흡수를 도와 재배된 콩나물의 칼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락토올리고당은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프락토올리고당이 약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함에 따라 발휘되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약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5 중량부의 바나나 농축액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나나는 대표적인 옐로우 푸드(yellow food)로서, 항산화 성분인 베타카로틴 및 카테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나나 농축액은 베타카로틴 및 카테킨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바나나 농축액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이용하여 재배되는 콩나물의 베타카로틴 및 카테킨 함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베타카로틴은 체내에서 비타민 A로 전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면역체계를 강화시킬 수 있고, 상기 카테킨은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체내에서 발생한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지방의 축적을 억제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나나 농축액이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대비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바나나 농축액을 포함함에 따른 약리적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5 중량부의 폴리라이신(polylysine)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폴리라이신은 아미노산인 라이신(lysine)의 중합체로서, ε-아미노기를 보호하는 N-카르복시 아미노산 무수물의 중합, 탈리에 의해 합성되거나 자연속에서 미생물의 호기 배양에 의해 발견된다. 상기 폴리라이신은 상기 ε-아미노기가 pH 11 이상의 정하전일 때에는 α-나선구조를, pH 11 이하에서는 불규칙구조를, 그리고 pH 11에서는 β-구조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라이신은 구체적으로 입실론 폴리-L-라이신(ε-Poly-L-lysine)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입실론 폴리-L-라이신은 미국 및 일본에서 수년 전부터 식품에 사용하는 보존제(food preservatives)로 사용되는 등 사람에게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로서, 박테리아의 발효로 생성되는 필수아미노산인 L-라이신(L-lysine)의 폴리펩티드(polypeptide)이며, 라이신 상호간의 알파-카르복실기(α-carboxyl group)와 입실론-아미노기(ε-amino group)가 펩타이드 결합(peptide bonding)으로 연결된 약 3,000 내지 약 10,000 달톤의 선형 고분자(liner polymer)를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이 상기 입실론 폴리-L-라이신을 구성 성분으로서 포함할 경우, 자연 유래 성분이므로 콩나물에 성장에 피해를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라이신은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약,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유해균 증식 억제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약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생산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하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아한 콩나물 콩을 재배실의 재배용기에 넣고 상기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반복 분무하여 약 3 일 내지 약 7 일 동안 재배한다. 상기 재배실은 통상적으로 콩나물의 재배에 이용되는 통풍이 용이한 암실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배용기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상기 재배용기는 통상적인 콩나물 재배에 사용되는 용기로서, 하단에는 구멍이 뚫려 있지 않고, 그 대신 배수구가 구비되어 물이 고여있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콩나물 콩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구멍을 다수 포함하는 메쉬망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아한 콩나물 콩은 더 이상 상기 액상 조성물에 침지되지 않고 상기 재배용기의 메쉬망 상에 배치된 뒤, 상기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반복 분무하여 재배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복 분무는 약 1 시간 내지 약 4 시간 간격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분무가 약 1 시간 미만의 간격으로 분무될 경우 습도가 과하게 증가하여 콩나물 콩이 짓무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 4 시간을 초과하는 간격으로 분무될 경우 콩나물의 생장성이 저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 2 시간 내지 약 3 시간 간격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배하는 단계는, 상기 콩나물 콩, 재배용기, 및 재배실에 물과 솔잎 추출물을 혼합한 희석액을 1 일 1 회 간격으로 반복 분무하여 소독하는 단계; 및 상기 희석액을 분무한 후 재배실을 환기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아한 콩나물 콩을 재배용기에 넣고 상기 액상 조성물을 약 1 시간 내지 약 4 시간 간격으로 반복 분무하여 재배하는 중, 1 일 1 회 간격으로 상기 재배실의 통풍을 차단한 후 물과 솔잎 추출물을 혼합한 희석액을 상기 콩나물 콩, 재배용기, 및 재배실에 분무하여 소독하고, 이를 환기하는 단계가 추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희석액은, 상기 물과 솔잎 추출물을 약 1 : 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희석액은, 약 50 내지 약 80 중량부의 증류수 및 약 1 내지 약 20 중량부의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상기 액상 조성물과 달리, 솔잎 추출물을 고농도로 포함함으로써 소독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재배실에서 콩나물 재배에 도움이 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고농도로 유지시켜 콩나물의 갈변 현상을 완화시키고, 짓무름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 재배되는 콩나물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희석액에서 상기 물과 솔잎 추출물의 중량비가 상기 서술된 바와 상이할 경우, 희석액에 의한 소독 효과가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희석액을 상기 콩나물 콩, 재배용기, 및 재배실에 분무하는 단계는 상기 재배실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평소 측정량의 약 2 배 이상, 예를 들어, 약 1,300 ppm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1,300 ppm 내지 약 2,000 ppm이 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1 분 내지 약 60 분 동안 분무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희석액을 분무하는 시간이 약 1 분 미만일 경우 재배실의 이산화탄소가 고농도로 유지되지 않아 콩나물의 생장 촉진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60 분을 초과할 경우 오히려 콩나물의 생장이 저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희석액을 분무하는 시간은 약 1 분 내지 약 60 분, 바람직하게는 약 20 분 내지 약 30 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무는 상기 액상 조성물 및 희석액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분무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재배용기를 상기 세척하고 소독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배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재배용기를 고압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소량의 식물성 소독제를 이용하여 소독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솔잎 추출물 제조]
먼저, 소나무(적송)의 솔잎 부분만을 채취하여 흐르는 물에 이물질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한다. 건조한 솔잎은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분말화하고, 용매 전체 100 중량부 기준 80 중량부의 증류수, 15 중량부의 에탄올, 및 5 중량부의 옥살산을 포함하는 용매를 상기 솔잎 분말 중량의 200 배로 가하여 160℃에서 최초 부피의 50% 될 때까지 12 시간 가량 가열하여 열수 추출을 진행하였다. 상기 추출 후 추출물은 0.75 μm 사이즈의 필터를 이용하여 고형물을 분리하여 여과하고, 이를 상온에서 냉각하고 1 주일 동안 숙성시켜 솔잎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경남 진주시에서 수득된 콩나물 콩(대두)를 준비하여 흐르는 지하수에 세척한 뒤 물기를 제거하고, 지하수에 1 시간 동안 침지하여 불려주었다. 불린 콩나물 콩은 하기 표 1의 구성성분과 같이 혼합한 15℃의 액상 조성물에 침지한 뒤, 콩나물 콩으로부터 0.5 mm의 싹이 나올 때까지 동일한 조성의 액상 조성물을 2 시간 간격으로 반복 분무하였다.
콩나물 콩으로부터 0.5 mm 이상의 싹이 발아하면 상기 발아한 콩나물 콩을 액상 조성물로부터 건져낸 뒤, 재배용기의 메쉬망 상에 일렬로 배치하여 통풍이 잘되는 어두운 재배실에 두어 상기 동일한 조성의 액상 조성물을 2 시간 간격으로 반복 분무하여 5 일 동안 재배하였다. 재배하는 도중, 물(증류수)와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솔잎 추출물을 1 : 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된 희석액을 1 일 1 회 간격으로 상기 재배실의 통풍을 차단하고 상기 콩나물 콩, 재배용기, 및 재배실 곳곳에 20 분 동안 분무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고농도로 유지하였으며, 분무 후 다시 통풍을 유지하여 환기하는 작업을 5 일 동안 총 5 회 반복하였다. 5 일 후, 재배된 콩나물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하여 수득하였고, 수득된 콩나물들을 각각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으로 명명하였다.
구성성분
(액상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증류수 85.00 77.00 75.50
솔잎 추출물 15.00 13.50 13.50
오이즙 - 6.50 6.50
프락토올리고당 - 1.25 1.25
바나나 농축액 - 1.75 1.75
폴리라이신 - - 1.50
[비교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콩나물 콩을 준비하여 세척하고, 이를 지하수에 1 시간 동안 침지하여 불려주었다. 불린 콩나물은 다시 세척한 뒤 새로운 지하수에 침지한 뒤, 콩나물 콩으로부터 0.5 mm의 싹이 나올 때까지 지하수를 2 시간 간격으로 반복 분무하였다. 콩나물 콩이 발아하면 이를 건져낸 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재배용기에 배치하여 통풍이 잘되는 어두운 재배실에 둔 뒤 지하수를 2 시간 간격으로 반복 분무하여 5 일 동안 재배하였다. 5 일 후, 재배된 콩나물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하여 수득하였고, 수득된 콩나물을 비교예로 명명하였다.
[실험예 1: 콩나물의 발아율 비교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 따른 콩나물 콩의 발아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처음 준비하여 선별된 콩나물 콩에 대한 발아된 콩나물 콩의 개수를 측정한 뒤 이를 백분율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발아율(%) 88.6 93.4 97.4 74.8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배방법의 경우 비교예의 재배방법과 비교하여 더욱 향상된 콩나물 콩 발아율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콩나물의 성장률 비교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재배된 콩나물의 성장률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측정 항목은 재배된 콩나물 각각의 잔뿌리수, 몸통 길이, 및 성상을 육안으로 관찰 및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결과값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잔뿌리수(개) 몸통 길이(cm) 성상
실시예 1 3.1 9.5 깨끗하고 곧게 성장함(약해 없음)
실시예 2 1.1 12.9 깨끗하고 곧게 성장함(약해 없음)
실시예 3 0 17.4 깨끗하고 곧게 성장함(약해 없음)
비교예 7.2 6.8 휘는 형상
부패와 악취 있음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배방법에 따라 재배된 콩나물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깨끗하고 곧게 성장하였고, 잔뿌리가 적고 길이가 긴 상품성이 뛰어난 모습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중요 무기물 성분 비교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재배된 콩나물들 각각의 나트륨, 칼슘, 칼륨, 마그네슘, 인, 철, 아연, 구리, 망간 등의 중요 무기물 성분 함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단위: ppm).
구분 Na Ca K Mg P Fe Zn Cu Mn
실시예 1 52 169 98 355 48 0.52 0.58 0.27 0.38
실시예 2 65 172 126 376 62 0.64 0.69 0.34 0.52
실시예 3 67 193 130 386 65 0.69 0.73 0.56 0.58
비교예 3 158 26 20 54 0.30 0.25 0.17 0.28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배방법에 따라 재배된 콩나물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월등히 높은 미네랄 함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콩나물 콩을 선별한 후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콩나물 콩을 물에 10 분 내지 6 시간 동안 침지하여 불리는 단계;
    상기 불린 콩나물 콩을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10℃ 내지 25℃의 온도 범위의 액상 조성물에 침지한 뒤 상기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반복 분무하여 발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아한 콩나물 콩을 재배실의 재배용기에 넣고 상기 액상 조성물을 1 시간 내지 4 시간 간격으로 반복 분무하여 3 일 내지 7 일 동안 재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액상 조성물은, 상기 액상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증류수 50 내지 80 중량부, 솔잎 추출물 1 내지 20 중량부, 오이즙 5 내지 10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0.01 내지 3 중량부, 및 바나나 농축액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아한 콩나물 콩을 재배하는 단계는,
    상기 재배하는 중에 상기 재배실의 통풍을 차단한 후 상기 콩나물 콩, 재배용기, 및 재배실에 물과 솔잎 추출물을 1 : 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희석액을 1 일 1 회 간격으로 상기 재배실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300 ppm 내지 2,000 ppm이 될 때까지 1 분 내지 60 분 동안 반복 분무하여 소독하는 단계; 및
    상기 희석액을 분무한 후 재배실을 환기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00172543A 2020-12-10 2020-12-10 솔잎액 소독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해 재배된 콩나물 Expired - Fee Related KR102236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543A KR102236588B1 (ko) 2020-12-10 2020-12-10 솔잎액 소독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해 재배된 콩나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543A KR102236588B1 (ko) 2020-12-10 2020-12-10 솔잎액 소독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해 재배된 콩나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588B1 true KR102236588B1 (ko) 2021-04-06

Family

ID=75472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543A Expired - Fee Related KR102236588B1 (ko) 2020-12-10 2020-12-10 솔잎액 소독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해 재배된 콩나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5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549A (ko) 1995-09-14 1997-04-28 한성수 유기게르마늄(Ge-132) 콩나물 재배방법
KR19990064727A (ko) * 1999-05-04 1999-08-05 김영표 쑥즙, 어성초즙, 솔잎즙을 희석한 물을 재배수로 사용하여 무공해 한방 콩나물 및 숙주나물을 생산하는 방법
KR20110007299A (ko) * 2009-07-16 2011-01-24 신혜남 폴리페놀 성분이 함유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KR20150042022A (ko) * 2013-10-10 2015-04-20 김성인 솔잎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549A (ko) 1995-09-14 1997-04-28 한성수 유기게르마늄(Ge-132) 콩나물 재배방법
KR19990064727A (ko) * 1999-05-04 1999-08-05 김영표 쑥즙, 어성초즙, 솔잎즙을 희석한 물을 재배수로 사용하여 무공해 한방 콩나물 및 숙주나물을 생산하는 방법
KR20110007299A (ko) * 2009-07-16 2011-01-24 신혜남 폴리페놀 성분이 함유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KR20150042022A (ko) * 2013-10-10 2015-04-20 김성인 솔잎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621B1 (ko) 300가지 산야초를 이용한 산야초 효소의 제조방법
KR102044686B1 (ko) 머드 및 솔잎의 유효성분을 함유한 새싹 보리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새싹 보리
Thuong et al. Effects of growing substrates and seed density on yield and quality of radish (Raphanus sativus) microgreens
Soomro et al.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A review of economic potential, industrial valorization, nutritional and health significance
KR20130084551A (ko) 세리사이트가 함유된 비료를 이용하여 사과, 배 또는 감귤을 재배하는 방법
KR101065484B1 (ko) 작물재배용 양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831131B1 (ko) 갈변 방지용 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과일 또는 채소 재배 방법
KR100907037B1 (ko) 녹차성분을 함유하는 영지버섯 또는 표고버섯 균사체의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JPH11103678A (ja) 硝酸態窒素濃度低下剤
KR100678559B1 (ko)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KR20060047555A (ko) 셀레늄을 함유하는 과수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셀레늄을함유하는 과수의 재배방법
KR101258275B1 (ko) 흑마늘 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재배된 흑마늘 콩나물
KR102236588B1 (ko) 솔잎액 소독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해 재배된 콩나물
KR20030018963A (ko) 과채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식물유래의 천연항균제 및그 제조방법
EP1121852A1 (en) Methods of enhancing vitality of plants, trees, and crops with stevia
CN102907490A (zh) 一种纯天然绿色草莓保鲜剂及其制备方法
CN100417343C (zh) 核酸果蔬营养素产品及制造方法
KR101242098B1 (ko) 시금치의 친환경 노균병 방제제 및 이를 이용한 시금치의 친환경 재배방법
Swain et al. Post harvest processing and value addition in coconut, arecanut and spices in Islands
KR100893975B1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유기셀레늄 함유 쌀의 제조 방법
KR20210141898A (ko) 새싹보리 분말의 제조방법
KR102576621B1 (ko) 식물 생장 촉진용 액상비료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80698B1 (ko) 산마늘의 재배방법
KR102619763B1 (ko) 홍화꽃과 쌀을 이용한 차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식품 조성물
KR102252664B1 (ko) 인삼 및 황기가 첨가된 면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