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4708B1 -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708B1
KR102234708B1 KR1020140101243A KR20140101243A KR102234708B1 KR 102234708 B1 KR102234708 B1 KR 102234708B1 KR 1020140101243 A KR1020140101243 A KR 1020140101243A KR 20140101243 A KR20140101243 A KR 20140101243A KR 102234708 B1 KR102234708 B1 KR 102234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ly
scroll
oil
supply groove
bea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539A (ko
Inventor
이강욱
김태경
김철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708B1/ko
Priority to US14/591,735 priority patent/US9816505B2/en
Priority to CN201510187640.2A priority patent/CN105370570B/zh
Publication of KR2016001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70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3Lubricant distribution through a hollow driving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8Means for improving or restricting lubricant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60Shafts
    • F04C2240/603Shafts with internal channels for fluid distribution, e.g. hollow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는, 베어링부의 외주면으로 급유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그 급유구멍과 연통되는 급유홈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경우 급유홈의 양단 중에서 압축실과 인접되는 단부를 막음에 따라 압축실에서 압축되는 고압의 냉매가 급유홈을 통해 급유구멍으로 유입되어 급유구멍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일이 급유구멍을 통해 베어링부의 외주면으로 원활하게 공급되어 베어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 급유구멍 또는 급유홈이 급유 필요 구간을 피해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오일이 급유 필요 구간으로 신속하게 공급되어 베어링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롤 압축기{compressor}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축의 편심부가 선회스크롤의 선회랩과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롤 압축기는 다른 종류의 압축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를 얻을 수 있으면서 냉매의 흡입,압축,토출 행정이 부드럽게 이어져 안정적인 토오크를 얻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공조장치 등에서 냉매압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크롤 압축기의 거동 특성은 고정스크롤의 고정랩과 선회스크롤의 선회랩의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고정랩과 선회랩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가공이 용이한 인볼류트 곡선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인볼류트 곡선은 임의의 반경을 갖는 기초원의 주위에 감겨있는 실을 풀어낼 때 실의 단부가 그리는 궤적에 해당되는 곡선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볼류트 곡선을 이용하는 경우 랩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어 용적변화율도 일정하게 되므로, 충분한 정도의 압축비를 얻기 위해서는 랩의 권수를 늘려야 한다. 하지만, 랩의 권수가 늘어나면 그만큼 압축기의 크기도 함께 커지게 된다.
한편, 상기 선회스크롤은 통상적으로는 원판 형태로 경판이 형성되고, 상기 경판의 일측면에 상술한 선회랩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회랩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경판의 타측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보스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스부에는 상기 전동부의 회전자에 결합되는 회전축이 편심지게 결합되어 상기 선회스크롤을 선회구동시킨다. 이러한 형태는 경판의 거의 전 면적에 걸쳐서 선회랩을 형성할 수 있어, 동일한 압축비를 얻기 위한 경판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는 선회랩과 보스부가 축방향으로 이격됨에 따라 압축시 냉매의 반발력이 작용되는 작용점과 상기 반발력을 상쇄하기 위한 반력이 작용되는 작용점이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이로 인해 압축기의 구동시 반발력과 반력이 서로 우력으로 작용하면서 상기 선회스크롤이 기울어져 진동이나 소음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특허등록된 스크롤 압축기(등록번호 : 10-1059880호)와 같이, 회전축과 선회스크롤이 결합되는 지점이 선회랩과 동일 평면에 형성되는 형태의 스크롤 압축기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형태의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의 반발력이 작용하는 작용점과 그 반발력에 대한 반력의 작용점이 동일한 높이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선회스크롤이 기울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의 편심부가 선회스크롤의 선회랩과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부가 전동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는 물론 상기 압축부가 전동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도 알려져 있다.
상기 상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와 하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회전축이 선회스크롤의 선회랩과 중첩되는 높이까지 삽입됨에 따라 동일 경판 대비 선회랩을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동일 경판 대비 압축비를 높이기 위해서는 회전축과 선회스크롤이 결합되는 부위의 베어링 면적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도 높은 베어링 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회전축과 선회스크롤이 결합되는 부위의 베어링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오일이 원활하게 공급되어야 하고, 이는 압축기의 신뢰성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의 경우에는 저유공간과 압축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 오일을 공급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압축기의 운전속도에 따라 오일공급량의 편차가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반면, 하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의 경우에는 저유공간과 압축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 상대적으로는 균일한 오일공급이 가능하지만 구조적으로 오일 공급이 어려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의 편심부가 선회스크롤의 선회랩과 동일 평면에 형성되는 형태의 스크롤 압축기는 선회스크롤에 의해 압축되는 부위와 급유되는 부위가 분리되지 못하고 상기 회전축의 편심부가 선회스크롤의 경판을 관통하여 회전축 결합부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압축실에서 누설되는 고압의 냉매가 편심부와 회전축 결합부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일유로에 연결되는 급유구멍이 편심부의 외주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압축실에서 누설되는 고압의 냉매가 급유구멍을 막아 오일유로의 오일이 편심부와 회전축 결합부 사이로 빠져나오지 못하면서 오일 공급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스크롤 압축기의 경우에는 그 특성상 축중심에서 편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할 때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대략 90도 되는 지점에서 가스력에 의한 반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편심부의 편심방향에서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대략 90도 되는 지점에서부터 180도 되는 지점까지가 오일 압력 분포가 가장 높은 구간, 즉 오일 공급이 필요한 급유 필요 구간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급유구멍의 출구 또는 급유홈이 상기 급유 필요 구간으로부터 멀리 위치하게 되면 오일이 신속하게 급유 필요 구간으로 이동하지 못하여 결국 베어링 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유구멍이 급유 필요 구간 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급유 필요 구간의 압력이 높아 오일이 잘 빠져나오지 못하면서 오히려 오일 공급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축의 편심부와 선회스크롤의 회전축 결합부 사이로 고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편심부와 상기 회전축 결합부 사이로 오일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유구멍 또는 급유홈의 위치가 급유 필요 구간으로 오일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전동부; 상기 전동부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스크롤의 고정랩에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하도록 선회랩이 구비되며,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스크롤; 상기 선회스크롤에 결합되고, 상기 선회스크롤에 편심 결합되는 편심부를 구비하며, 상기 편심부가 상기 선회랩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편심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급유홈이 형성되고, 상기 급유홈의 축방향 양단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단부는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유홈은 상기 고정스크롤측 단부가 막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유홈은 상기 선회스크롤의 선회랩 축방향 끝단에 인접한 단부가 막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1 베어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스크롤에 지지되는 제2 베어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편심부가 상기 제1 베어링부와 제2 베어링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급유홈은 상기 제2 베어링부쪽 단부가 막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은 내부에 오일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편심부에는 상기 오일유로에서 상기 급유홈으로 연통되는 급유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유구멍은 상기 회전축의 축중심으로부터 상기 편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0도 ~ 90도 범위 또는 180도 ~ 270도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유홈은 상기 회전축의 축중심으로부터 상기 편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0도 ~ 90도 범위 또는 180도 ~ 270도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전동부; 상기 전동부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스크롤의 고정랩에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하도록 선회랩이 구비되며,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스크롤; 상기 선회스크롤에 결합되고, 상기 선회스크롤에 편심 결합되는 편심부를 구비하며, 상기 편심부가 상기 선회랩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편심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급유홈이 형성되고, 상기 급유홈은 상기 편심부에 결합되는 차단부재에 의해 축방향 일측이 막힌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심부의 외주면에는 환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홈에 상기 차단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급유홈의 축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고정스크롤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오일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편심부에는 상기 오일유로에서 상기 급유홈으로 연통되는 급유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유구멍은 상기 회전축의 축중심으로부터 상기 편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0도 ~ 90도 범위 또는 180도 ~ 270도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유홈은 상기 회전축의 축중심으로부터 상기 편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0도 ~ 90도 범위 또는 180도 ~ 270도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1 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제1 스크롤 사이에서 선회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스크롤; 상기 제2 스크롤에 편심 결합되고, 오일유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베어링부; 상기 제1 스크롤에 결합되는 제2 베어링부; 및 상기 제1 베어링부와 제2 베어링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베어링부에 편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2 스크롤의 랩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편심 결합되는 제3 베어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베어링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일유로와 연통되는 급유홈이 형성되며, 상기 급유홈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제3 베어링부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유홈의 프레임측 단부는 상기 제3 베어링부의 일측 모서리까지 형성되고, 상기 급유홈의 제1 스크롤측 단부는 상기 제3 베어링부의 타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유홈은 상기 제2 스크롤의 랩 축방향 끝단에 인접한 단부가 막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유홈은 상기 회전축의 축중심에서 상기 제3 베어링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0도 ~ 90도 범위 또는 180도 ~ 270도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전동부; 상기 전동부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전동부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랩을 구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프레임과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고정랩에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하도록 선회랩이 구비되며,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스크롤; 및 내부에 오일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선회스크롤에 편심 결합되는 편심부를 구비하고, 상기 편심부가 상기 선회랩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편심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일유로와 연통되는 급유홈이 형성되고, 상기 급유홈의 축방향 양단 중에서 상기 선회스크롤의 선회랩 축방향 끝단측에 인접한 단부가 막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유홈은 상기 회전축의 축중심으로부터 상기 편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0도 ~ 90도 범위 또는 180도 ~ 270도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는, 상기 베어링부의 외주면으로 급유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그 급유구멍과 연통되는 급유홈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급유홈의 양단 중에서 압축실과 인접되는 단부를 개방하지 않고 막음에 따라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되는 고압의 냉매가 급유홈을 통해 급유구멍으로 유입되어 급유구멍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일이 급유구멍을 통해 베어링부의 외주면으로 원활하게 공급되어 베어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 상기 급유구멍 또는 급유홈이 급유 필요 구간을 피해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오일이 급유 필요 구간으로 신속하게 공급되어 베어링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서 압축부를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서 회전축을 일측 및 타측에서 각각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서 제3 급유홈의 규격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서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 사이에서 주 가스력(FM)과 급유 필요 구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횡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급유구멍의 적정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서 급유홈의 형상에 따른 급유성능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 8은 급유홈의 양단이 열린 구조, 도 9는 급유홈의 하단이 막힌 구조에서의 급유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10은 도 1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서 편심부에 급유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를 보인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에서 편심부에 차단부재를 결합하여 급유홈의 일단을 차단한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하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싱(1)의 내부공간(1a)에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부(2)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부(2)의 하측에는 그 전동부(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은 밀폐용기를 이루는 원통 쉘(11)과, 상기 원통 쉘(11)의 상부를 덮어 함께 밀폐용기를 이루는 상부 쉘(12)과, 상기 원통 쉘(11)의 하부를 덮어 함께 밀폐용기를 이루는 동시에 저유공간(1b)을 형성하는 하부 쉘(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통 쉘(110)의 측면으로 냉매 흡입관(15)이 관통하여 상기 압축부(3)의 흡입실에 직접 연통되고, 상기 상부 쉘(12)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싱(1)의 내부공간(1a)과 연통되는 냉매 토출관(1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매 토출관(16)은 압축부(3)에서 케이싱(1)의 내부공간(1a)으로 토출되는 압축된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에 해당되며, 토출되는 냉매에 혼입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세퍼레이터(미도시)가 상기 냉매 토출관(16)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의 상부에는 전동부(2)를 이루는 고정자(21)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21)의 내부에는 그 고정자(21)와 함께 전동부(2)를 이루며 상기 고정자(21)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21)는 그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슬롯(미부호)이 형성되어 코일(25)이 권선되며, 그 외주면에는 디컷(D-cut) 모양으로 절단되어 원통 쉘(1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냉매 또는 오일이 통과하도록 통로(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21)의 하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압축부(3)를 이루는 메인프레임(31)이 케이싱(1)의 하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저면에는 후술할 회전축(5)에 편심 결합된 선회스크롤(이하, 제2 스크롤과 혼용함)(33)을 사이에 두고 고정스크롤(이하, 제1 스크롤과 혼용함)(32)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33)은 상기 메인프레임(31)과 고정스크롤(32)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33)은 선회운동을 하면서 상기 고정스크롤(32)과 함께 흡입실, 중간압실, 토출실로 이루어진 두 개 한 쌍의 압축실(S1)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스크롤(32)은 메인프레임(3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31)은 그 외주면이 상기 원통 쉘(11)의 내주면에 열박음되거나 용접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중심에는 제1 베어링부를 이루는 회전축(5)의 메인 베어링부(5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 축수구멍(311)이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스크롤(32)과 선회스크롤(33)과 함께 공간을 형성하여 그 공간의 압력에 의해 상기 선회스크롤(33)을 지지하도록 배압실(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스크롤(32)은 경판부(321)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판부(321)의 상면에는 후술할 선회랩(33)과 맞물려 압축실(S1)을 이루는 고정랩(3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랩(322)의 일측에는 냉매 흡입관(15)과 연결되는 흡입구(323)가 형성되고, 상기 경판부(321)에는 상기 토출실과 연통되어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구(3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24)가 하부 쉘(13)을 향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고정스크롤(32)의 저면에는 토출되는 냉매를 수용하여 후술할 냉매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토출커버(3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커버(34)는 냉매의 토출유로(미부호)와 저유공간(1b)을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스크롤(32)의 저면에 밀봉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커버(34)는 그 내부공간이 상기 토출구(324)를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스크롤(32)과 메인프레임(31)을 관통하여 압축실(S1)에서 토출커버(34)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된 냉매를 케이싱(1)의 상측 내부공간(1a)으로 안내하는 냉매유로(PG)의 입구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커버(34)에는 제2 베어링부를 이루는 후술할 회전축(5)의 서브 베어링부(52)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1)의 저유공간(1b)에 잠기는 오일피더(6)가 관통하도록 관통구멍(3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스크롤(32)의 경판부(321) 중심부에는 후술할 회전축(5)의 서브 베어링부(52)가 관통 결합되는 제2 축수구멍(325)이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축수구멍(325)의 내주면에는 상기 서브 베어링부(52)의 하단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스러스트 베어링부(32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33)은 경판부(331)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판부(331)의 저면에는 고정랩(322)과 맞물려 압축실을 이루는 선회랩(3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판부(331)의 중심부에는 후술할 회전축(5)의 편심부(53)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부(333)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결합부(333)의 외주부는 상기 선회랩(332)과 연결되어 압축과정에서 상기 고정랩(322)과 함께 압축실(S1)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랩(322)과 선회랩(332)은 인볼류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 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 결합부(333)에는 후술할 회전축(5)의 편심부(53)가 삽입되어, 그 편심부(53)가 상기 선회랩(332) 또는 고정랩(322)과 압축기의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압축시에는 냉매의 반발력이 상기 고정랩(322)과 선회랩(332)에 가해지게 되고, 이에 대한 반력으로서 회전축 결합부(333)와 편심부(53) 사이에 압축력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5)의 편심부(53)가 선회스크롤(33)의 경판부(331)를 관통하여, 선회랩(332)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경우 냉매의 반발력과 압축력이 경판부를 기준으로 하여 동일 평면에 가해지면서 서로 상쇄된다. 이로 인해서, 압축력과 반발력의 작용에 의한 선회스크롤(33)의 기울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5)은 그 상부는 회전자(22)의 중심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반면 하부는 압축부(3)에 결합되어 반경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축(5)은 전동부(2)의 회전력을 압축부(3)의 선회스크롤(33)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축(5)에 편심 결합된 선회스크롤(33)이 고정스크롤(32)에 대해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5)의 하반부에는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제1 축수구멍(311)에 삽입되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도록 메인 베어링부(51)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베어링부(51)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스크롤(32)의 제2 축수구멍(325)에 삽입되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서브 베어링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베어링부(51)와 서브 베어링부(52)의 사이에는 상기 선회스크롤(33)의 회전축 결합부(333)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편심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베어링부(51)와 서브 베어링부(52)는 동일 축중심을 가지도록 동축 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편심부(53)는 메인 베어링부(51) 또는 서브 베어링부(52)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편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베어링부(52)는 메인 베어링부(51)에 대해 편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편심부(53)는 그 외경이 상기 메인 베어링부(51)의 외경보다는 작게, 상기 서브 베어링부(52)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야 상기 회전축(5)을 각각의 축수구멍(311)(325)과 회전축 결합부(333)를 통과하여 결합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편심부(53)가 회전축(5)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베어링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베어링부(52)의 외경이 편심부(53)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지 않고도 회전축(5)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의 내부에는 상기 각 베어링부와 편심부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유로(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유로(5a)는 압축부(3)가 전동부(2)보다 하측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5)의 하단에서 대략 고정자(21)의 하단이나 중간 높이, 또는 상기 메인 베어링부(31)의 상단보다는 높은 높이까지 홈파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의 하단, 즉 상기 서브 베어링부(52)의 하단에는 상기 저유공간(1b)에 채워진 오일을 펌핑하기 위한 오일피더(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오일피더(6)는 회전축(5)의 오일유로(5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오일공급관(61)과, 상기 오일공급관(61)의 내부에 삽입되어 오일을 흡상하도록 프로펠러와 같은 오일흡상부재(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오일공급관(61)은 상기 토출커버(34)의 관통구멍(341)을 통과하여 저유공간(1b)에 잠기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베어링부와 편심부, 또는 상기 각 베어링부의 사이에는 상기 오일유로를 통해 흡상되는 오일이 각 베어링부와 편심부의 외주면으로 공급되도록 급유구멍 및/또는 급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 베어링부(51)의 하측에는 상기 메인 베어링부(51)와 편심부(53) 사이를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키는 제1 소경부(5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소경부(54)에는 상기 오일유로(5a)에서 제1 소경부(54)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제1 급유구멍(55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베어링부(5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급유구멍(551)을 통해 제1 소경부(54)로 공급되는 오일이 상기 메인 베어링부(51)의 외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흐르도록 제1 급유홈(552)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급유홈(552)을 따라 메인 베어링부(51)의 상단으로 흐르는 오일은 메인프레임(31)의 제1 축수구멍이 구비된 제1 축수부(312)를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상면으로 흘러내린 후 오일통로(PO)를 통해 저유공간(1b)으로 회수된다. 하지만, 상기 제1 급유구멍은 후술할 제3 급유구멍과 제3 급유홈을 통해 상기 제1 소경부로 오일이 유입되므로 상기 제1 급유구멍을 생략하고 상기 제3 급유구멍과 제3 급유홈을 통해 제1 소경부로 유입되는 오일을 제1 급유홈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베어링부(52)의 상측에는 오일유로(5a)와 연통되는 제2 급유구멍(553)이 외주면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서브 베어링부(53)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급유구멍(553)이 연통되는 제2 급유홈(554)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급유홈(554)의 상단은 서브 베어링부(52)와 편심부(53) 사이의 제2 소경부(55)에 연통되고, 상기 제2 급유홈(554)의 하단은 상기 서브 베어링부(52)의 하단, 즉 회전축(5)의 하단에 구비되어 토출커버(34)의 관통구멍(341) 주변에 지지되는 축방향 플레이트(57)에 구비된 연통홈(555)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홈(555)은 축방향 플레이트(57)의 저면에 반경방향으로 연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급유구멍(553)의 위치 및 상기 제2 급유홈(554)의 형상은 나선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편심부(53)에는 오일유로(5a)에서 상기 편심부(53)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제3 급유구멍(556)이 형성되고, 상기 편심부(53)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3 급유구멍(556)에 연통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홈파기 된 제3 급유홈(55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급유구멍(556)은 도면에서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축(5)의 회전방향에 대해 순방향으로 경사지거나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급유홈(557)은 도면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지거나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3 급유홈은 도면에서와 같이 그 일단은 제1 소경부에 연통되도록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양쪽이 다 막힌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소경부 또는 메인 베어링부에는 반드시 제1 급유구멍이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편심부(53)는 제3 베어링부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편심부(53)가 선회랩(332)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축중심에 대해 편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편심부(53)의 베어링면적은 압력비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최적화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급유구멍(556)과 제3 급유홈(557)은 다른 급유구멍이나 급유홈에 비해 오일이 신속하면서도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위치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압축기의 신뢰성 측면이나 효율 측면에서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급유구멍(556)의 위치가 상기 급유 필요 구간에 가장 인접한 위치, 즉 도 7에서와 같이 회전축(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주 가스력(FM)이 작용되는 가압방향을 양의 가로방향 좌표축으로 할 때, 상기 급유구멍(556)은 1/4분면 또는 3/4분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스크롤 압축기에서 회전축이 축중심(O)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주 가스력(FM)이 작용되는 가압방향은 축중심으로부터 편심부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회전방향쪽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오일압력선도는 축중심으로부터 편심부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회전방향쪽의 90도 ~ 180도 범위내에서 크게 형성되면서 급유 필요 구간을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 급유 필요 구간에 급유구멍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급유 필요 구간내 압력이 오일유로(5a)의 압력에 비해 높아 오일유로 내 오일이 상기 편심부(53)의 밖으로 배출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급유구멍(556)의 출구는 가급적이면 이 급유 필요 구간은 피해 형성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3 급유구멍(556)의 출구가 급유 필요 구간으로부터 너무 멀리, 즉 도면의 2/4분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3 급유구멍(556)을 통해 편심부(53)의 밖으로 배출되는 오일이 급유 필요 구간으로 이동하는데 시간이 지체되어 그만큼 베어링 성능이 저하되면서 마모가 발생되거나 마찰손실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급유구멍(556)은 급유 필요 구간에는 속하지 않으면서 가까운 1/4분면 또는 3/4분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회전축의 축중심과 편심부(53)의 편심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한다면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0도 ~ 90도 범위 또는 180도 ~ 270도 범위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3 급유홈이 제3 급유구멍과 연통되는 예를 중심으로 살펴봄에 따라 제3 급유구멍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이나, 상기 제3 급유홈이 제3 급유구멍과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경우, 특히 제3 급유홈만 편심부위 외주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3 급유홈의 위치는 전술한 제3 급유구멍의 위치와 대동소이할 수 있다.
또,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제3 급유홈(557)은 상기 제3 급유구멍(556)이 편심부(53)의 외주면으로 관통 형성됨에 따라 상기 오일유로(5a)의 오일이 제3 급유구멍(556)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 급유홈(557)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축 결합부(333)의 밖으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급유홈(557)이 편심부(5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상기 제3 급유홈(557)의 상단은 편심부(53)의 상단 모서리를 홈파기 형태로 개방하여 제1 소경부(54)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반면 상기 제3 급유홈(557)의 하단은 편심부(53)의 하단 모서리, 즉 선회랩의 축방향 끝단에 인접한 단부를 남겨 제3 급유홈(557)의 하단을 막아 상기 제2 소경부(55)와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3 급유홈(557)의 축방향 길이(L1)는 상기 편심부(53)의 축방향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3 급유구멍(556)이 제3 급유홈(557)의 상단이 개방되어 그 개방된 제3 급유홈(557)의 상단을 통해 상기 선회스크롤(33)의 배면에 형성되는 중간압 영역과 연통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압을 이루는 오일유로(5a)의 오일이 제3 급유구멍(556)과 제3 급유홈(557)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제3 급유홈(557)의 하단은 막힌 구조가 됨에 따라 상기 제3 급유홈(557)의 오일이 서브 베어링부 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오일유로(5a)의 오일이 제3 급유구멍(556)을 통해 제3 급유홈(557)으로 원활하게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3 급유홈(557)의 하단이 개방되는 경우에는 제3 급유홈(557)에 담긴 오일이 자중에 의해 흘러내려 편심부(53)를 효과적으로 윤활하지 못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압축실(S1)에서 누설되는 고압의 냉매가 상기 제3 급유홈(557)을 통해 제3 급유구멍(556)쪽으로 이동하여 그 제2 급유구멍(556)을 막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제3 급유구멍(556)의 내외측 압력차가 발생하지 않거나 오히려 바깥쪽 압력이 높아 오일유로(5a)의 오일이 제3 급유홈(557)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될 수 있었다. 하지만,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압축실(S1)에 대향되는 제3 급유홈(557)의 하단을 막게 되면 상기 제3 급유홈(557)의 오일이 서브 베어링부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압축실(S1)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가 제3 급유홈(556)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오일유로(5a)의 오일이 제3 급유구멍(556)을 통해 제3 급유홈(557)으로 원활하게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 급유홈은 제3 급유구멍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나, 도 10에서와 같이 제3 급유구멍을 삭제하고 제3 급유홈(557)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소경부(54)에 형성되는 제1 급유구멍(551)을 통해 빠져나오는 오일의 일부가 제3 급유홈(557)으로 흘러들어 편심부(53)와 회전축 결합부(333) 사이의 베어링면을 윤활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급유홈을 형성할 때, 상기 선회랩의 축방향 끝단에 인접한 단부는 남겨 일종의 차단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었으나, 본 실시예는 별도의 차단부재를 편심부에 삽입하여 상기 급유홈의 하단을 막아 상기 차단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에서 편심부에 차단부재를 결합하여 급유홈의 일단을 차단한 일례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편심부(53)의 일단, 즉 선회랩의 끝단에 인접한 단부(이하, 고정스크롤측 단부)에는 환형 홈(558)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홈(558)에서 타단까지 급유홈(557)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형 홈(558)에 환형으로 된 차단부재(55)를 압입하여 상기 급유홈(557)의 고정스크롤측 단부를 차단하여 일종의 차단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55)의 두께는 상기 환형 홈(558)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얇게 형성되어야 베어링 성능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55)의 두께는 그 차단부재(55)의 외주면이 상기 급유홈(557)의 바닥보다는 높게 위치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어야 급유홈(557)의 고정스크롤측 단부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환형 뿐만 아니라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급유홈에 접착되거나 또는 나사머리가 차단부재 역할을 하도록 나사 체결되는 등 급유홈의 일단을 차단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압축부가 전동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에서의 오일 공급 구조를 보인 것이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일 공급 구조를 압축부가 전동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부 압축식 스크롤 압축기는, 도 12에서와 같이 케이싱(1) 내부의 하측에는 전동부(2)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부(2)의 상측에는 압축부(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3)는 고정랩(352)을 가지는 프레임(35)이 상기 케이싱(1)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35)의 상면에 플레이트(36)가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35)과 플레이트(36) 사이에는 상기 고정랩(352)에 맞물려 두 개 한 쌍의 압축실(S1)을 형성하도록 선회랩(372)을 가지는 선회스크롤(37)이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회스크롤(37)에는 상기 전동부(2)의 회전자에 결합된 회전축(5)의 편심부(53)가 편심 결합되도록 회전축 결합부(3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결합부(373)는 상기 편심부(53)가 압축실(S1)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에는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오일유로(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유로(5a)는 회전축(5)의 하단에서 소정의 높이, 즉 편심부(53)의 중간 위치까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부(53)에는 상기 오일유로(5a)에서 편심부(53)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급유구멍(53a)이 형성되고, 상기 편심부(53)의 외주면에는 급유구멍(53a)이 연통되는 급유홈(53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유홈(53b)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급유홈(53b)의 하단, 즉 선회랩(572)의 축방향 끝단에 인접한 단부는 그 급유홈(53b)으로 빠져나온 오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압축실(S1)로부터 고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막힌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급유홈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편심부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유구멍(53a) 또는 급유홈(53b)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축중심에서 편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할 때,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0도 ~ 90도 사이 또는 180도 ~ 270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급유구멍의 위치 및 급유홈의 형상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3 급유구멍의 위치 및 제3 급유홈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른 작용 효과도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 : 케이싱 1a : 케이싱의 내부공간
2 : 전동부 21 : 고정자
22 : 회전자 3 : 압축부
31 : 메인프레임 311 : 제1 축수구멍
32 : 고정스크롤 322 : 고정랩
33 : 선회스크롤 332 : 선회랩
333 : 회전축 결합부 5 : 회전축
51 : 메인 베어링부 52 : 서브 베어링부
53 : 편심부 53a : 급유구멍
55 : 차단부재 551 : 제1 급유구멍]
552 : 제2 급유홈 553 : 제2 급유구멍
554 : 제2 급유홈 556 : 제3 급유구멍
557 : 제3 급유홈 558 : 환형 홈
S1 : 압축실

Claims (19)

  1.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전동부;
    상기 전동부의 하측에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고정랩이 상기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며, 중앙부에 토출구가 구비되는 고정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고정스크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스크롤의 고정랩에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하도록 선회랩이 상기 고정스크롤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되며, 중앙부에 회전축 결합부가 구비되어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스크롤;
    상기 선회스크롤의 회전축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선회스크롤에 편심 결합되는 편심부를 구비하며, 상기 편심부가 상기 선회랩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고, 오일유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1 베어링부;
    상기 토출구가 구비된 상기 고정스크롤에 지지되는 제2 베어링부;
    상기 제1 베어링부와 상기 편심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소경부; 및
    상기 편심부와 상기 제2 베어링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소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편심부의 외주면에는 급유홈이 형성되고, 상기 급유홈의 축방향 양단 중에서 상기 제1 베어링부에 대응하는 일단은 개구되어 상기 제1 소경부와 연통되며, 상기 급유홈의 축방향 양단 중에서 상기 제2 베어링부에 대응하는 타단은 차단되어 상기 제2 소경부와의 사이가 막히도록 차단부가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급유홈의 타단이 상기 편심부의 외주면에 의해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급유홈의 타단이 상기 편심부에 삽입되는 차단부재에 의해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부의 외주면에는 환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홈에 상기 차단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크롤 압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급유홈의 축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고정스크롤측 단부에 결합되는 스크롤 압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오일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편심부에는 상기 오일유로에서 상기 급유홈으로 연통되는 급유구멍이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구멍은 상기 회전축의 축중심으로부터 상기 편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0도 ~ 90도 범위 또는 180도 ~ 270도 범위 내에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홈은 상기 회전축의 축중심으로부터 상기 편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0도 ~ 90도 범위 또는 180도 ~ 270도 범위 내에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홈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편심부의 외주면을 이루는 제3 베어링부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홈의 프레임측 단부는 상기 제3 베어링부의 일측 모서리까지 형성되고, 상기 급유홈의 제1 스크롤측 단부는 상기 제3 베어링부의 타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40101243A 2014-08-06 2014-08-06 스크롤 압축기 Active KR102234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43A KR102234708B1 (ko) 2014-08-06 2014-08-06 스크롤 압축기
US14/591,735 US9816505B2 (en) 2014-08-06 2015-01-07 Scroll compressor with shaft eccentric lubrication
CN201510187640.2A CN105370570B (zh) 2014-08-06 2015-04-20 涡旋式压缩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43A KR102234708B1 (ko) 2014-08-06 2014-08-06 스크롤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539A KR20160017539A (ko) 2016-02-16
KR102234708B1 true KR102234708B1 (ko) 2021-04-01

Family

ID=5526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243A Active KR102234708B1 (ko) 2014-08-06 2014-08-06 스크롤 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16505B2 (ko)
KR (1) KR102234708B1 (ko)
CN (1) CN1053705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09400B1 (en) * 2015-06-11 2023-06-07 Guangdong Meizhi Compressor Co., Ltd. Crankshaft for rotary compressor and rotary compressor having same
KR102483241B1 (ko) 2016-04-26 2022-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102338126B1 (ko) * 2017-04-12 2021-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20180136282A (ko) * 2017-06-14 2018-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 및 차압 급유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KR101974272B1 (ko) * 2017-06-21 2019-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유로 구조가 구비되는 압축기
KR102396559B1 (ko) 2017-06-22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러스트면 윤활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KR102330187B1 (ko) * 2017-06-22 2021-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파이럴 오일 그루브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KR102440273B1 (ko) 2017-06-23 2022-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출 성능을 개선한 압축기
KR101988719B1 (ko) * 2017-07-04 2019-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편심부 하면에 오일 그루브가 구비된 압축기
KR102409675B1 (ko) 2017-07-10 2022-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출 구조를 개선한 압축기
KR102383135B1 (ko) * 2017-07-24 2022-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 급유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CN109519372B (zh) * 2017-09-19 2024-01-23 谷轮环境科技(苏州)有限公司 单向轴承组件、油刹车装置、涡旋压缩机
KR101983051B1 (ko) * 2018-01-04 201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KR101983495B1 (ko) * 2018-01-30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편심부 급유를 위한 그루브가 구비된 로터리 압축기
KR102031851B1 (ko) * 2018-04-13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KR102478905B1 (ko) * 2018-07-18 2022-12-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EP3604735A3 (en) * 2018-08-03 2020-05-27 Lg Electronics Inc. Motor-operated compressor
KR102124491B1 (ko) * 2018-10-30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KR102372174B1 (ko) * 2020-06-05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US20240318652A1 (en) * 2023-03-20 2024-09-2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Drive assemblies and compressors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47470B1 (de) * 1991-12-16 1995-08-23 AGINFOR AG für industrielle Forschung Verdrängermaschine nach dem Spiralprinzip
JPH06336986A (ja) * 1993-05-28 1994-12-06 Hitachi Ltd スクロール圧縮機の給油機構
JPH07286586A (ja) 1994-04-20 1995-10-31 Daikin Ind Ltd スクロール型流体装置
JPH07332264A (ja) 1994-06-03 1995-12-22 Hitachi Ltd 軸貫通スクロ−ル圧縮機
JP3124437B2 (ja) 1994-06-09 2001-0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9126168A (ja) * 1995-11-01 1997-05-13 Toshiba Corp 流体機械
JP3279236B2 (ja) 1997-11-26 2002-04-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3731068B2 (ja) * 2002-06-05 2006-01-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回転式圧縮機
CN1715671A (zh) 2004-06-28 2006-01-0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螺旋压缩机供油结构
ES2817951T3 (es) * 2004-12-22 2021-04-08 Mitsubishi Electric Corp Compresor de espiral
CN100467871C (zh) 2005-02-04 2009-03-11 Lg电子株式会社 卧式绕动叶片压缩机
CN101749246A (zh) 2009-12-29 2010-06-23 美的集团有限公司 涡旋压缩机的驱动轴主轴颈部回油机构
KR101059880B1 (ko) 2011-03-09 2011-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WO2012144067A1 (ja) 2011-04-22 2012-10-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クロール圧縮機
FR3006387B1 (fr) * 2013-05-31 2016-02-19 Danfoss Commercial Compressors Compresseur a spirale
FR3021075B1 (fr) * 2014-05-16 2019-06-14 Danfoss Commercial Compressors Compresseur a spira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70570A (zh) 2016-03-02
CN105370570B (zh) 2017-11-17
US9816505B2 (en) 2017-11-14
US20160040673A1 (en) 2016-02-11
KR20160017539A (ko)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708B1 (ko) 스크롤 압축기
US10202978B2 (en) Scroll compressor
US20230100611A1 (en) Scroll compressor with recesses and protrusions
KR102226457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2639609B1 (ko) 스크롤 압축기
US11248608B2 (en) Compressor having centrifugation and differential pressure structure for oil supplying
KR102483241B1 (ko) 스크롤 압축기
US11047386B2 (en) Scroll compressor with bypass portions
US11015596B2 (en) Scroll compressor sealing
KR102565824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2182170B1 (ko) 스크롤 압축기
KR20190005590A (ko) 냉매의 토출 유로와 오일 회수 유로를 분리한 압축기
US8961159B2 (en) Scroll compressor
KR20210007507A (ko) 압축기
US11927191B2 (en) Scroll compressor and air conditioner having same
KR102507073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1964961B1 (ko) 점차적 유로 면적 변화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KR20190000687A (ko) 윤활 성능을 개선한 압축기
KR102330187B1 (ko) 스파이럴 오일 그루브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US20190309749A1 (en) Motor operated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7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8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