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2351B1 -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기구 - Google Patents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351B1
KR102232351B1 KR1020207015237A KR20207015237A KR102232351B1 KR 102232351 B1 KR102232351 B1 KR 102232351B1 KR 1020207015237 A KR1020207015237 A KR 1020207015237A KR 20207015237 A KR20207015237 A KR 20207015237A KR 102232351 B1 KR102232351 B1 KR 102232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plunger
actuator
plunger holder
drug deliv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271A (ko
Inventor
오스카 알렉산더슨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filed Critical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63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3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61M5/281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using emptying means to expel or eject media, e.g. pistons, deformation of the ampoule, or telescoping of the ampoule
    • A61M5/282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using emptying means to expel or eject media, e.g. pistons, deformation of the ampoule, or telescoping of the ampoule by compression of deformable ampoule or carpule w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61M2005/3267Biased sleeves where the needle is uncovered by insertion of the needle into a patient's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약물 전달 장치(1)를 위한 투여 메커니즘(9)에 있어서, 선형적으로 변위가능한 약물 전달 부재 커버(7)와, 액추에이터 슬리브(11)와, 액추에이터 슬리브(11)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13)로서,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는 액추에이터 슬리브(11)를 초기 위치로부터 원위방향으로 변위된 위치로 축방향으로 변위시켜서, 액추에이터(13)에 대해 액추에이터 슬리브(11)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액추에이터(13)와, 안내 구조체를 갖고, 액추에이터(13)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회전자(25)와, 이 회전자(25)에 의해 수용되어 회전자(25)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플런저 홀더(21)로서, 회전자(25) 및 플런저 홀더(21)는 근위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플런저 홀더(21)와, 액추에이터 슬리브(11)의 초기 위치에서 플런저 홀더(21)에 의해 수용되어 플런저 홀더(21)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근위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되는 플런저 로드(23)를 포함하며, 액추에이터(13)는 액추에이터 슬리브(11)의 초기 위치에서 플런저 홀더(21)와 맞물려서, 플런저 홀더(21)가 액추에이터(13)에 대해 근위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액추에이터(13)는 원위방향으로 변위된 위치를 향한 액추에이터 슬리브(11)의 변위에 의해 플런저 홀더(21)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어서, 액추에이터(13)에 대한 플런저 홀더(21), 플런저 로드(23) 및 회전자(25)의 근위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13)는 회전자(25)의 안내 구조체와 맞물리고, 플런저 홀더(21)에 대해 회전자(25)를 회전시켜서, 플런저 로드(23)를 플런저 홀더(21)로부터 해제시키도록 구성되는, 투여 메커니즘(9)에 관련된다.

Description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기구{ADMINISTRATION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의료 장치에 관련된다. 특히, 본 개시는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메커니즘, 및 투여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에 관련된다.
자기-주사기(auto-injector)와 같은 약물 전달 장치는 자동-침투 메커니즘, 즉 근위방향으로(proximally) 이동되어, 약물 전달 장치가 활성화될 때, 약물 용기 및 약물 전달 부재를 전방으로 움직이게 하는 스프링-긴장 장치(spring-tensed arrangement)를 가질 수 있다. 약물 전달 장치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기 위해, 약물 전달 부재는 바람직하지 않게 전방으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미국 제 2008/015520 A1 호는 활성제 용기 래칭(active agent container latching)을 갖는 자기-주사기를 개시한다. 자기-주사기는 기다란 케이싱을 가지며, 여기서 주사 바늘(injection needle)에 연결된 활성제 용기가 스프링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래칭 텅(latching tongue)은, 활성제 용기를 수용하는 슬라이딩 슬리브(sliding sleeve) 상에 배열된 플랜지와 맞닿음으로써, 활성제 용기가 케이싱에 대해 조기에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자기-주사기가 사람의 피부 상에 배치될 때, 바늘 보호 관이 케이싱 내로 이동되어, 래칭 텅을 플랜지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바늘 움직임을 위한 이동 경로를 마련한다.
미국 제 2008/015520 A1 호에 따르면, 바늘은 적용 표면에 침투할 수 있을 정도로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바늘 보호 관의 이러한 후방-이동에 의해 약물 방출이 개시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장치의 원위 단부(distal end)에 있는 트리거링 링(triggering ring)을 밀치는 것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피스톤 로드의 전방 움직임을 개시하고, 활성제 용기를 더욱 전방으로 움직이게 한다. 따라서, 약물 투여는 2-단계 사용자 상호작용 절차를 필요로 한다.
상기의 내용을 고려하여, 본 개시의 일반적인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적어도 완화시키는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 1 태양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메커니즘에 있어서, 선형적으로 변위가능한 약물 전달 부재 커버와, 액추에이터 슬리브(actuator sleeve)와, 액추에이터 슬리브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로서, 약물 전달 부재 커버는 액추에이터 슬리브를 초기 위치로부터 원위방향으로 변위된 위치로 축방향으로 변위시켜서, 액추에이터에 대해 액추에이터 슬리브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액추에이터와, 안내 구조체를 갖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회전자와, 이 회전자에 의해 수용되어 회전자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플런저 홀더(plunger holder)로서, 회전자 및 플런저 홀더는 근위방향으로 편향(bias)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플런저 홀더와, 액추에이터 슬리브의 초기 위치에서 플런저 홀더에 의해 수용되어 플런저 홀더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근위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되는 플런저 로드(plunger rod)를 포함하며, 액추에이터는 액추에이터 슬리브의 초기 위치에서 플런저 홀더와 맞물려서, 플런저 홀더가 액추에이터에 대해 근위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액추에이터는 원위방향으로 변위된 위치를 향한 액추에이터 슬리브의 변위에 의해 플런저 홀더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어서, 액추에이터에 대한 플런저 홀더, 플런저 로드 및 회전자의 근위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는 회전자의 안내 구조체와 맞물리고, 플런저 홀더에 대해 회전자를 회전시켜서, 플런저 로드를 플런저 홀더로부터 해제시키도록 구성되는, 투여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투여 메커니즘은 단일 사용자 상호작용에 의해, 즉 약물 전달 부재 커버를 후방으로, 즉 원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침투 및 약물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근위방향으로 편향된 플런저 홀더를 액추에이터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시키고, 플런저 홀더가 근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그것은 결국 액추에이터가 회전자를 회전시켜서 근위방향으로 편향된 플런저 로드를 해제시키도록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는 액추에이터 슬리브의 초기 위치에서 플런저 홀더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런저 홀더는 반경방향 표면을 구비한 반경방향 힐(heel)을 갖고, 초기 위치에서, 액추에이터 슬리브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을 반경방향 표면에 기대도록 반경방향 내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경방향 표면은 액추에이터 슬리브의 초기 위치에서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에 대해 원위에 배열되어서, 플런저 홀더의 근위방향 변위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전달 부재 커버는, 액추에이터 슬리브가 원위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 있을 때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이 약물 전달 부재 커버 아래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구부러지게 하기 위해, 액추에이터 슬리브가 갖는 것보다 큰, 서로 반대편에 있는 내측 표면 사이의 거리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 구조체는 회전자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되고, 축방향 홈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근위 부분 및 경사진 홈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인접한 원위 부분을 포함하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은 액추에이터 슬리브가 원위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 있을 때 축방향 홈 부분 및 경사진 홈 부분 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런저 로드는 반경방향 개구를 갖고, 플런저 홀더는 반경방향 개구 내에 수용되어서 플런저 로드가 플런저 홀더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탭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자의 회전 전 위치(pre-rotation position)에서, 회전자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탭을 반경방향 개구 내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자는 회전자의 회전 후 위치(post-rotation position)에서 플런저 홀더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탭과 정렬되어서, 플런저 로드를 플런저 홀더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윈도우(window)를 갖는다.
일 실시예는 플런저 홀더 및 회전자를 근위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제 1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는 플런저 로드를 근위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는 약물 전달 부재 커버를 근위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제 3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 2 태양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및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 1 태양에 따른 투여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약물 전달 부재 커버는 하우징에 대해 연장된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선형적으로 변위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약물 전달 부재 커버는 연장된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이동될 때, 액추에이터 슬리브를 초기 위치로부터 원위방향으로 변위된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 슬리브 및 플런저 홀더는 하우징에 대해 회전 로킹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전달 부재 커버는 반경방향 돌출부를 갖고, 하우징은 약물 전달 부재 커버가 그것의 후퇴된 위치로부터 해제될 때 반경방향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반경방향 개구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 사용된 모든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기술 분야에서의 그것의 보통의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요소, 장치, 구성요소, 수단 등에 대한 모든 언급은, 명백하게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그 요소, 장치, 구성요소, 수단 등의 적어도 하나의 사례를 언급하는 것으로 개방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개념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약물 전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약물 전달 장치의 투여 메커니즘의 예의 사시도,
도 3은 약물 전달 부재 커버가 제거되어 약물 용기 홀더를 노출한 상태로 도 2의 투여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2의 투여 메커니즘의 소정 구성요소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2의 투여 메커니즘의 추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투여 메커니즘의 플런저 홀더 및 플런저 로드의 종방향 단면이며, 단면은 도 8의 종방향 단면에 직각임,
도 9a 내지 도 9e는 상이한 작동 단계에 있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종방향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개념이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완전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가 완전하고 완벽하며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를 당업자에게 완전히 전달하도록 예로서 제공된다.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근위 단부(proximal end)"는, 투여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사용될 때, 약물 투여 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장착될 때 약물 투여 장치의 근위 단부에 가장 가까운 투여 메커니즘의 그 단부를 지칭한다. 따라서,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단부는 약물 방출 동안 주사 부위 쪽을 향할 그 단부이다. 투여 메커니즘의 임의의 구성요소를 지칭할 때 동일한 고려 사항이 또한 적용된다. "원위 단부"는 근위 단부에 대해 반대편 단부이다. "근위 방향(proximal direction)" 및 동등하게, "근위방향으로(proximally)"는 캡 조립체의 중심축을 따라 원위 단부로부터 근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원위 방향" 또는 "원위방향으로"는 "근위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 1a는 투여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의 예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이 문맥에서 투여 메커니즘은, 약물 전달 장치가 활성화될 때, 약물 용기 및 약물 전달 부재를 전방으로 또는 근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메커니즘(기구) 또는 장치이다.
약물 전달 장치(1)는 근위 단부(3a) 및 원위 단부(3b)를 갖는 하우징(3)과, 하우징(3) 내부에 수용된 약물 전달 부재를 보호하도록 구성된 캡(5)을 갖는다. 도 3b는 캡(5)이 제거된 상태의 약물 전달 장치(1)를 도시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하우징(3)에 대해 하우징(3) 내부에서 선형적으로 변위가능한 기다란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를 또한 갖는다.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는 근위 방향으로 편향되고 하우징(3)에 대해 초기 연장된 위치로부터 이동가능한데, 이 위치에서 약물 전달 부재 커버(7)의 근위 부분이 도 1b에 도시된 하우징(3)의 근위 단부(3a)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연장된다. 후퇴된 위치를 향한 움직임의 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된다. 근위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으로 인해,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는 원위방향 힘이 제거될 때 근위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변위되어서, 다시 하우징(3)에 대해 연장된 위치를 달성한다. 하나의 변형에 따르면,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는 후퇴된 위치로부터 해제된 후에 최종 연장된 위치에 도달할 때 하우징(3)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는 최종 연장된 위치에 보유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또한 투여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도 2에서, 하우징(3)은 장착된 상태의 투여 메커니즘(9)의 예를 노출시키도록 제거되었다. 투여 메커니즘(9)은 약물 전달 부재 커버(7), 액추에이터 슬리브(11), 및 액추에이터 슬리브(11)에 의해 수용되는 액추에이터(13)를 포함한다. 장착된 상태에서, 약물 전달 부재 커버(7)의 원위 단부는 액추에이터 슬리브(11)와 정렬되고, 액추에이터 슬리브(11)에 대해 근위에 배열된다. 약물 전달 부재 커버(7)의 원위방향 변위는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 슬리브(11)를 원위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액추에이터 슬리브(11) 및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는 근위 방향으로 편향된다. 투여 메커니즘(9)은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 슬리브(11)에 대해 원위에 배열된 탄성 부재(15), 예를 들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3)는 하나의 변형에 따르면 탄성 부재(15)를 지지하는 원위 플랜지(1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약물 전달 부재 커버(7)의 원위방향 변위는 액추에이터 슬리브(11)를 원위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탄성 부재(15)를 압축한다.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는 이에 따라 탄성 부재(15)에 의해 하우징(3)에 대해 그것의 연장된 위치를 향해 가압된다.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는 하우징(3)에 대해 회전 로킹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하우징(3)의 내측 표면 상에 제공된 대응하는 구조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약물 전달 부재 커버(7)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된 구조체(7a)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액추에이터 슬리브(11)는 하우징(3)에 대해 회전 로킹되도록 구성된다. 액추에이터 슬리브(11)는 이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그것의 외측 표면 상에 배열되고, 하우징(3)의 내측 표면 상에 제공된 대응하는 안내 구조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안내 구조체(11b)를 가질 수 있다.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는 하나의 변형에 따르면 약물 전달 부재 커버(7)가 후퇴된 위치로부터 연장된 위치를 향해 복귀할 때 하우징(3)과 맞물려서 최종 연장된 위치에서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 로킹되도록 구성된 방사상 돌출부(7b) 또는 래치(latch)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상 돌출부(7b)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고 반경방향으로 가요성일 수 있어서, 그것이 하우징(3)의 내측 표면의 리세스(recess) 또는 개구 내로 활주하여서 이들 두 구성요소를 상호로킹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예에 도시된 바늘(19)과 같은 약물 전달 부재를 구비한 약물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근위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약물 용기 홀더(17)를 노출시키도록 약물 전달 부재 커버(7)가 제거된 상태의 도 2의 장치를 도시한다.
투여 메커니즘(9)은 또한 액추에이터(13)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플런저 홀더(21)를 포함한다. 플런저 홀더(21)는 약물 용기 내부에 배열된 약물 용기에 기대도록 구성된 근위 플랜지(21a)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 홀더(21)의 근위방향 변위는 약물 용기 및 약물 용기 홀더(17)를 근위 방향으로 가압하여, 자동-침투 기능을 제공한다.
플런저 홀더(21)는 또한 약물 용기 홀더(17)의 대응하는 개구(17a)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힐(21b)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 홀더(21)와 약물 용기 홀더(17)는 서로 축방향으로 상호로킹되어, 플런저 홀더(21)의 원위 방향으로의 축방향 변위가 또한 약물 용기 홀더(17)의 대응하는 원위방향 변위를 유발한다.
도 4는 약물 용기 홀더(17)가 제거된 상태의 투여 메커니즘(9)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투여 메커니즘(9)은 플런저 홀더(21) 내에 배열된 기다란 플런저 로드(23), 및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회전자를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에, 액추에이터 슬리브(11), 액추에이터(13), 회전자, 플런저 홀더(21) 및 플런저 로드(23)는 열거된 순서로 동심으로 배열되며, 이때 액추에이터 슬리브(11)는 반경방향 최외측에 배열되고 플런저 로드(23)는 반경방향 최내측에 배열된다.
도 5는 액추에이터(13)를 노출시키는, 액추에이터 슬리브(11)를 갖지 않는 투여 메커니즘(9)을 도시한다. 액추에이터 슬리브(11)와 액추에이터(13)는 서로에 대해 회전 로킹된다. 액추에이터 슬리브(11)가 하우징(3)에 대해 회전 로킹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액추에이터(13)가 또한 하우징(3)에 대해 회전 로킹된다. 그러나 액추에이터 슬리브(11)와 액추에이터(13)는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액추에이터(13)는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 슬리브(11)의 대응하는 홈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축방향 리브(rib)(1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들 구성요소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면서 상대 축방향 변위가 제공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3)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인 래치를 갖는다. 이러한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은 액추에이터 슬리브(11)가 그것의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액추에이터 슬리브(11)의 내측 표면에 의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액추에이터 슬리브(11)의 내측 표면은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에 기대어,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부분(13b)은 약물 전달 부재 커버(7)의 초기 연장된 위치에서 플런저 홀더(21)의 반경방향 표면에 기댄다.
도 6에서, 플런저 홀더(21) 주위에 배열된 회전자(25)를 노출시키고 플런저 홀더(21)의 근위 부분을 보여주기 위해 액추에이터(13)가 제거되었다. 플런저 홀더(21)는 반경방향 표면(21d)을 갖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힐(21c), 본 예에 따르면 플랜지를 갖는다.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은 약물 전달 부재 커버(7)의 초기 연장된 위치에서 이 반경방향 표면(21d)에 기댄다. 반경방향 표면(21d)은 약물 전달 부재 커버(7)의 초기 연장된 위치에서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에 대해 원위에 배열된다. 또한, 플런저 홀더(21)는 액추에이터 내부에 배열된 다른 탄성 부재(27)에 의해 근위방향으로 편향된다.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이 반경방향 표면(21)에 기대는 한, 즉 액추에이터 슬리브(11)가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이 반경방향 외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 반경방향 표면(21d)은 플런저 홀더(21)가 편향로 인해 근위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자(25)는 반경방향 힐(21c) 또는 플랜지의 원위 표면에 기대며, 이는 회전자(25)가 플런저 홀더(21)에 대해 근위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자(25)가 또한 근위방향으로 편향된다. 특히, 회전자(25)는 탄성 부재(27)에 의해 근위방향으로 편향된다.
회전자(25)는 그것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된 안내 구조체(25a)를 갖는다. 안내 구조체(25a)는 축방향 홈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근위 부분(25) 및 경사진 홈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인접한 근위 부분(25b)을 포함한다. 경사진 홈 부분은, 회전자(25)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고 축방향 홈 부분과 평행한 평면에 대해 경사진다. 안내 구조체(25a), 특히 축방향 홈 부분 및 경사진 홈 부분은, 반경방향 외향 구부러짐으로 인해 플런저 홀더(21)를 해제했을 때, 안내 구조체(25a)의 근위 부분(25b) 내로 활주할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을 수용하도록 치수설정된다. 회전자(25)가 탄성 부재(27)에 의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부분(13b)은 경사진 홈 부분에 도달하여, 회전자(25)가 회전하게 할 것이다.
도 7에서, 플런저 홀더(21)를 노출시키기 위해 회전자(25)는 플런저 홀더(21)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되었다. 플런저 로드(2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탄성 부재(29)에 의해 근위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된다. 이 탄성 부재(29)는 중공 플런저 로드(23)의 내부에 배열된다. 플런저 홀더(21)는 플런저 로드(23)가 근위 방향으로 축방향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초기에 플런저 로드(23)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여기에, 하나의 변형에 따르면, 플런저 홀더(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23)의 대응하는 반경방향 개구(들)(23a)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탭(들)(21e)을 갖는다. 회전자(25)의 내측 표면은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탭(21e)이 반경방향 외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그것이 플런저 로드(23)의 반경방향 개구(23a)와 맞물리게 하도록 구성된다.
회전자(25)는 하나의 변형에 따르면 윈도우(25d), 즉 회전자가 회전될 때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탭(21e)과 정렬되도록 구성된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탭(21e)은 이에 의해 탄성 부재(29)에 의해 제공되는 근위 지향력의 결과로서 반경방향으로 구부러지게 될 것이다. 플런저 로드(23)는 이에 의해 플런저 홀더(21)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어, 약물 방출이 개시될 수 있도록 그것이 근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 9a는 초기 상태에 있는 약물 전달 장치(1)의 종방향 단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캡(5)은 약물 전달 장치(1)의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도록 하우징(3)에 대해 근위에 위치된다. 이 위치에서, 다수의 컴포넌트가 근위 방향으로 편향된다. 특히, 제 1 탄성 부재로 지칭되는 탄성 부재(27)는 플런저 홀더(21) 및 회전자(25)를 근위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 2 탄성 부재로 지칭되는 탄성 부재(29)는 플런저 로드(23)를 근위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제 3 탄성 부재로 지칭되는 탄성 부재(15)는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를 근위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예에 따르면, 각각의 탄성 부재(15, 27, 29)는 스프링이다.
예시적인 약물 전달 장치(1)는 약물 용기(37), 바늘(19)의 형태의 약물 전달 부재, 및 약물 전달 부재 실드(medicament delivery member shield)(33), 즉 바늘 실드를 수용한다. 캡(5)은 캡(5)이 제거될 때 약물 전달 부재 실드(33)를 제거하기 위한 약물 전달 부재 실드 제거기(35)를 구비한다.
이제 도 9b를 참조하면, 약물 전달 장치(1)는 다시 초기 위치에 있지만, 캡(5)이 제거되었다. 이에 따라 약물 전달 부재 실드(33)는 약물 전달 부재 실드 제거기(35)에 의해 제거되었다.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는 하우징(3)의 근위 단부(3a)로부터 연장되며, 연장된 위치에 배열된다. 또한, 액추에이터 슬리브(11)는 그것의 초기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약물 전달 장치(1)는 주사를 위한 준비가 되어 있으며, 활성화는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를 원위방향으로 하우징(3) 내로 완전히 밀어 넣음으로써 개시되며, 그 방향은 화살표로 표시된다.
도 9b에 도시된 약물 전달 부재 커버(7)의 초기 연장된 위치에서, 반경방향 돌출부(7b)가 하우징(3) 내의 개구(3c)에 대해 원위에 배열된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개구(3c)는 사용자가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를 그것의 후퇴된 위치로부터 해제한 후에 제 3 탄성 부재(15)가 전개될 때 반경방향 돌출부(7b)를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도 9c에서,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는 원위방향으로 하우징(3) 내로 밀어 넣어졌다. 따라서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는 화살표(A)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하우징(3) 내부에서 선형적으로 이동되었다. 약물 전달 부재 커버(7)의 원위 단부(7c)는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 슬리브(11)의 도면 부호 11b의 근위 단부를 향하고 그것과 접촉하게 되며,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 슬리브(11)를 원위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액추에이터 슬리브(11)는 약물 전달 부재 커버(7)의 대응하는 내경(d1)보다 작은 내경(d2), 즉 액추에이터(13)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이 반경방향 외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서로 반대편에 있는 내측 표면 사이의 거리를 갖는다. 여기에, 액추에이터 슬리브(11)가 약물 전달 부재 커버(7)에 의해 원위방향으로 충분히 멀리 변위되었을 때,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을 둘러싸거나 그것과 축방향으로 정렬될 것이다. 약물 전달 부재 커버(7)의 더 큰 내경(d2) 때문에, 반경방향 화살표에 의해 상징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은 그것이 근위방향으로 편향된 플런저 홀더(21), 특히 그것의 반경방향 힐(21c)에 의해 가압되고 있을 때 반경방향 외향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경방향 힐(21c) 또는 플랜지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 또는 부분(13b) -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원주 방향으로 약 180도에 분포된 2개의 그러한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 아래를 통과하도록 허용된다. 플런저 홀더(21)는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13)와의 축방향 상호로킹으로부터 해제되고, 제 1 탄성 부재(27)에 의해 가해지는 근위방향 힘으로 인해 근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제 도 9d를 참조하면, 플런저 홀더(21) 및 회전자(25)가 근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반경방향 힐(21c) 또는 플랜지가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을 근위 방향으로 지나가도록 허용되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은 안내 구조체(25a) 내로 이동되며, 그것의 원위 부분(25c)이 도 9d에서 보인다. 따라서 회전자(25) 및 플런저 홀더(21)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이 안내 구조체(25a) 내에서 근위 부분으로부터 원위 부분(25c) 내로 이동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플런저 홀더(21)는 약물 용기(37)를 근위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왜냐하면 플런저 홀더(21)의 근위 플랜지(21a)가 약물 용기(37)의 원위 플랜지(37a)에 기대기 때문이다. 하우징(3)에 대한 약물 용기(37) 및 바늘(19)의 근위방향 움직임이 화살표(B)에 의해 예시된다.
안내 구조체(25a)의 근위 부분(25b)의 축방향 길이는, 플런저 홀더(21)가 근위방향으로 이동되는 양을, 그리고 이에 따라, 약물 방출이 개시될 수 있기 전에 약물 용기(37)가 근위방향으로 이동되는 양을 결정한다. 축방향 길이는 특히 약물 전달 장치(1)의 특정 응용에 의존할 수 있다. 본 예에 따르면, 약물 용기(37)는 바늘(19)이 하우징(3)의 근위 단부(3a)를 완전히 넘어서 연장되도록 근위방향으로 이동되는 정도로 근위방향으로 이동된다.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부분(13b)이 원위 부분(25c) 내로 이동할 때, 회전자(25)가 회전되는데, 왜냐하면 액추에이터(13)가 하우징(3)에 대해 회전 로킹되기 때문이다. 회전자가 회전될 때, 윈도우(25d)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탭(21e)과 정렬된다.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탭(21e)은 이에 의해 탄성 부재(29)에 의해 제공되는 근위 지향력의 결과로서 반경방향으로 구부러지게 될 것이다.
플런저 로드(23)는 이에 의해 플런저 홀더(21)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되어, 그것이 탄성 부재(29)에 의해 근위방향으로 것의 결과로서 그것이 근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플런저 홀더(21)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될 때, 플런저 로드(23)는 약물 용기(37) 내에 배열된 플런저(38)를 근위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약물의 전체 용량(dose)이 바늘(19)을 통해 방출될 때까지 그것을 근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9e는 탄성 부재(15)의 전개가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를 화살표(C)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근위 방향으로 최종 연장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약물 전달 부재 커버(7)가 해제되었을 때의 약물 전달 장치(1)를 도시한다. 따라서 약물 전달 장치 커버(7)는 반경방향 돌출부(7b)가 하우징(3)의 개구(3c)와 맞물릴 때까지 근위방향으로 이동된다.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는 이에 의해 하우징(3)과 상호로킹될 것이며, 이에 따라 후속하여 후퇴된 위치를 향해 원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사용된 바늘(19)은 이에 따라 약물 전달 부재 커버(7)에 의해 덮여, 사용된 약물 전달 장치(1)를 취급하는 누군가가 그것에 의해 찔리지 않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투여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자기-주사기인 약물 전달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약물 전달 장치는 일회용, 단일-사용 타입의 것일 수 있거나, 그것은 다수의 용량이 투여될 수 있게 하는 타입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은 주로 몇 개의 예에 관하여 전술되었다. 그러나,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 내에서 위에 개시된 것 이외의 실시예가 동등하게 가능하다.

Claims (8)

  1. 약물 전달 장치(1)를 위한 투여 기구(9)에 있어서,
    안내 구조체(25a)를 갖고, 회전 전 위치(pre-rotation position)와 회전 후 위치(post-rotation position)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자(25),
    상기 회전자(25)에 의해 수용되어 상기 회전자(25)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플런저 홀더(plunger holder)(21)로서, 상기 회전자(25) 및 상기 플런저 홀더(21)는 근위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플런저 홀더(21),
    상기 회전 전 위치에서 상기 플런저 홀더(21)에 의해 수용되어 상기 플런저 홀더(21)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근위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되는 플런저 로드(plunger rod)(23), 및
    상기 회전자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회전자(25)의 안내 구조체(25a)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13)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자(25) 및 상기 플런저 홀더(21)는 상기 약물 전달 장치(1)의 하우징(3)에 대해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회전자에 대한 상기 액추에이터(13)의 축방향 이동은 상기 회전 전 위치로부터 상기 회전 후 위치로 상기 회전자(25)를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플런저 로드(23)를 상기 플런저 홀더(21)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시키는
    투여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13)는 연장 부분(13b)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 부분(13b)은 상기 회전자(25) 및 상기 플런저 홀더(21)가 근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안내 구조체(25a) 내에서 상기 안내 구조체(25a)의 근위 부분으로부터 인접한 원위 부분으로 이동되는
    투여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구조체(25a)는 상기 회전자(25)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근위 부분(25b)은 축방향 홈 부분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원위 부분(25c)은 경사진 홈 부분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연장 부분(13b)은 상기 축방향 홈 부분 및 상기 경사진 홈 부분 내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장 부분(13b)이 상기 경사진 홈 부분에 도달할 때, 상기 회전자(25)는 회전하도록 강제되는
    투여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홀더(21) 및 상기 회전자(25)를 근위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제 1 탄성 부재(27)를 포함하는
    투여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23)를 근위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제 2 탄성 부재(29)를 포함하는
    투여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23)는 반경방향 개구(23a)를 갖고, 상기 플런저 홀더(21)는 상기 반경방향 개구(23a) 내에 수용되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23)가 상기 플런저 홀더(21)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탭(21e)을 갖는
    투여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25)의 회전 전 위치에서, 상기 회전자(25)는 상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탭(21e)을 상기 반경방향 개구(23a) 내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투여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25)는 상기 회전자(25)의 회전 후 위치에서 상기 플런저 홀더(21)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탭(21e)과 정렬되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23)를 상기 플런저 홀더(21)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윈도우(window)(25d)를 갖는
    투여 기구.
KR1020207015237A 2016-05-18 2017-03-29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기구 Active KR102232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650673-5 2016-05-18
SE1650673 2016-05-18
PCT/EP2017/057401 WO2017198383A1 (en) 2016-05-18 2017-03-29 Administration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165A Division KR102118819B1 (ko) 2016-05-18 2017-03-29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메커니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271A KR20200063271A (ko) 2020-06-04
KR102232351B1 true KR102232351B1 (ko) 2021-03-29

Family

ID=584485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165A Active KR102118819B1 (ko) 2016-05-18 2017-03-29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메커니즘
KR1020207015237A Active KR102232351B1 (ko) 2016-05-18 2017-03-29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165A Active KR102118819B1 (ko) 2016-05-18 2017-03-29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메커니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33686B2 (ko)
EP (1) EP3458128B1 (ko)
KR (2) KR102118819B1 (ko)
CN (1) CN109152883B (ko)
CA (1) CA3024577C (ko)
DK (1) DK3458128T3 (ko)
TW (1) TWI655011B (ko)
WO (1) WO2017198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5926S1 (en) * 2017-03-02 2020-02-18 Harmony Bioscience Inc. Portable substance container with applicator
WO2019185335A1 (en) * 2018-03-26 2019-10-03 Shl Medical Ag Medicament container holder
JP7209839B2 (ja) * 2018-12-12 2023-01-20 エスエイチエル・メディカル・アーゲー 作動防止キャップアセンブリ
EP4058102A1 (en) * 2019-11-11 2022-09-21 SHL Medical AG Medicament delivery device
EP4021537A1 (en) * 2019-11-19 2022-07-06 E3D A.C.A.L Emergency automatic injection device
EP4065196A1 (en) * 2019-11-27 2022-10-05 SHL Medical AG A cover assembly
KR20220087528A (ko) * 2019-11-27 2022-06-24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약물 전달 장치용 구동 조립체
US20220387730A1 (en) * 2019-12-09 2022-12-08 Shl Medical Ag Assembly, cassette and medicament delivery device
GB2593137B (en) * 2019-12-20 2022-06-01 Owen Mumford Ltd Syringe apparatus
KR102793382B1 (ko) * 2020-06-30 2025-04-11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약물 전달 장치
CN116113458A (zh) * 2020-08-07 2023-05-12 赛诺菲 用于药物递送装置的驱动组件
GB202105845D0 (en) 2021-04-23 2021-06-09 Future Injection Tech Limited Injection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7006A1 (en) 2006-12-13 2008-06-19 Shl Medical Ab Auto-Injector
WO2011123024A1 (en) 2010-03-31 2011-10-06 Shl Group Ab Medicament delivery device comprising feedback signalling means
WO2013016832A1 (de) 2011-08-04 2013-02-07 Tecpharma Licensing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injektionsvorrichtungen
JP2014502878A (ja) 2010-12-21 2014-02-06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自動注射器
US20140257193A1 (en) 2011-08-31 2014-09-11 Shl Group Ab Inj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6421A5 (de) 2003-12-18 2007-06-15 Tecpharma Licensing Ag Autoinjektor mit Arretierung des Wirkstoffbehälters.
TWI574707B (zh) * 2006-01-30 2017-03-21 海波泰克公司 注射裝置及注射活塞
EP2468333A1 (en) 2010-12-21 2012-06-27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JP2014526297A (ja) * 2011-09-09 2014-10-06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独立した針挿入による自動注射器
WO2013169804A1 (en) * 2012-05-07 2013-11-14 Antares Pharma, Inc. Needle assisted jet injection device having reduced trigger force
EP2854901B1 (fr) * 2012-05-25 2019-10-02 Aptar France SAS Autoinjecteur avec un retardateur ayant un train épicycloidal pour retarder la retraction de l'aiguille
JP6257601B2 (ja) * 2012-05-31 2018-01-10 ケアベイ・ヨーロッパ・リミテッドCarebay Europe Limited 薬剤送達装置
CN104470562B (zh) * 2012-07-19 2017-04-12 泰尔茂株式会社 液体投放器具
EP2879735B1 (en) * 2012-07-30 2019-11-20 UCB Biopharma SPRL Auto-injector
US9987436B2 (en) * 2012-12-21 2018-06-05 Carebay Europe Ltd Medicament delivery device
AU2014241449A1 (en) * 2013-03-14 2015-08-13 Eli Lilly And Company Delay mechanism suitable for compact automatic injection device
PL3038674T3 (pl) * 2013-08-29 2020-07-13 Shl Medical Ag Urządzenie do dostarczania leku
FR3019749B1 (fr) * 2014-04-11 2016-05-13 Aptar France Sas Autoinjecteur
TWM539354U (zh) * 2016-09-05 2017-04-11 Jing Yi Biotechnology Co Ltd 具有雙針座結合回縮式安全注射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7006A1 (en) 2006-12-13 2008-06-19 Shl Medical Ab Auto-Injector
WO2011123024A1 (en) 2010-03-31 2011-10-06 Shl Group Ab Medicament delivery device comprising feedback signalling means
JP2014502878A (ja) 2010-12-21 2014-02-06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自動注射器
WO2013016832A1 (de) 2011-08-04 2013-02-07 Tecpharma Licensing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injektionsvorrichtungen
US20140257193A1 (en) 2011-08-31 2014-09-11 Shl Group Ab Inj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271A (ko) 2020-06-04
CA3024577A1 (en) 2017-11-23
TWI655011B (zh) 2019-04-01
CN109152883B (zh) 2020-12-01
CN109152883A (zh) 2019-01-04
US20190192776A1 (en) 2019-06-27
US11033686B2 (en) 2021-06-15
KR20180135003A (ko) 2018-12-19
EP3458128B1 (en) 2020-07-01
KR102118819B1 (ko) 2020-06-04
TW201740988A (zh) 2017-12-01
DK3458128T3 (da) 2020-08-24
WO2017198383A1 (en) 2017-11-23
EP3458128A1 (en) 2019-03-27
CA3024577C (en)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351B1 (ko)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기구
KR102399468B1 (ko) 약물 전달 장치용 투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JP5492989B2 (ja) 注射装置
US11087640B2 (en) Medicament delivery training device
CN101868272B (zh) 具有可由安全护套解除作用的容器保持装置的自动注射器
CN110325234B (zh) 医疗输送装置的安全组件
US11623045B2 (en) Drive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TWI630936B (zh) 驅動機構和藥物輸送裝置
TWI649106B (zh) 用於藥物輸送裝置的施用機構
KR20180111984A (ko) 감쇄기를 구비한 2 몸체 주사기 캐리어 조립체
TW201722493A (zh) 藥物輸送裝置
GB2541915A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s
US10357612B2 (en) Plunger segments drive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KR20210091764A (ko) 활성화 방지 캡 조립체
JP2019535411A (ja) 長期保管に適合した薬剤送達装置
KR20240055839A (ko)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JP4616835B2 (ja) 医療用製品注射装置
JP7609986B2 (ja) 薬物送達デバイス用のアセンブリ
US20220203030A1 (en) Drive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0052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7033165

Filing date: 20181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