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32170B1 -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및 안경 - Google Patents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및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170B1
KR102232170B1 KR1020167021224A KR20167021224A KR102232170B1 KR 102232170 B1 KR102232170 B1 KR 102232170B1 KR 1020167021224 A KR1020167021224 A KR 1020167021224A KR 20167021224 A KR20167021224 A KR 20167021224A KR 102232170 B1 KR102232170 B1 KR 102232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index
layer
less
index layer
opt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459A (ko
Inventor
히로토시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카이 옵티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17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1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1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 G02B5/282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reflecting for infrared and transparent for visible light, e.g. heat reflectors, laser 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4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spectral characteristics for purposes other than sun-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7Interference 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가시 영역의 반사 방지 성능이 보다 높고, 근적외선광의 투과율이 보다 낮으며, 비용이 보다 저렴하여, 내구성이 보다 높은 광학 제품 등을 제공한다.
광학 제품에 있어서,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번갈아 적층한 7층 구조의 광학 다층막을 기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가지고, 상기 저굴절률층은, SiO2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굴절률층은, 파장 500㎚의 광에 대한 굴절률이 2.145 이상인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기체에 가장 가까운 층을 1층째로 하여, 상기 저굴절률층인 5층째의 물리 막 두께는, 145㎚ 이상 165㎚ 이하이고, 4층째 내지 6층째의 광학 막 두께(λ=500㎚)의 총 합계가, 1.3λ 이상 1.5λ 이하가 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및 안경{OPTICAL PRODUCT, GLASSES LENS AND GLASSES}
본 발명은, 근적외선 반사 기능을 갖는 안경 렌즈(선글라스 렌즈를 포함함)를 비롯한 광학 제품, 및 당해 안경 렌즈를 이용한 안경(선글라스를 포함함)에 관한 것이다.
근적외선을 컷하는 필터로서, 하기 특허 문헌 1, 2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필터는, 촬상 소자용의 필터, 혹은 카메라나 뮤직 플레이어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나 자동차용 유리 등에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체(基體)의 양면에 대하여, 실리카(SiO2, 이산화규소)와 티타니아(TiO2, 이산화 티탄)를 번갈아 각 면 20층 합계 40층 적층한 유전체 다층막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9-258362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100084호 공보
특허 문헌 1, 2의 것으로는, 근적외선을 컷할 수 있지만, 유전체 다층막의 층수가 40층이 되어, 고비용이 된다.
또한, 20층 이상이 되면, 유전체 다층막의 막 두께가 두꺼워져, 막 응력이나 성막 중의 복사열의 영향에 의해,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기체에 대한 밀착성이 비교적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기체가 변형될 우려가 있어, 내구성이 비교적 뒤떨어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 2의 것으로는, 가시 영역(예를 들면 400~780㎚(나노미터), 혹은 400~800㎚)에 있어서의 투과율(반사 방지성)을 보다 더 양호하게 할 여지가 있다.
특히, 안경 렌즈에 있어서는, 가시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 성능이 요구된다.
또한, 안경 렌즈에 있어서는, 자외선이나 청색광의 컷에 비해, 근적외선의 컷이 논의되어 오지는 않았지만, 다음의 이유로, 근적외선의 컷을 행한 것이 좋은 것이다. 즉, 눈의 수정체의 약70%(퍼센트)는 물인데, 물은 근적외선을 잘 흡수하여(물의 근적외선 흡수 계수가 높다), 온도 상승을 비롯해 눈에 악영향을 조금씩 미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안질환 중 하나인 백내장은, 근적외선에 의해 고온이 된 수정체를 자외선이나 청색광선이 통과함으로써 진행하는 것일 가능성이 있다. 근적외선은, 예를 들면 800~2000㎚의 파장 영역의 광이며, 자외선이나 가시광선과 마찬가지로 태양으로부터 방사되어, 지상에 내리 쬐고 있다. 근적외선은, 자외선이나 청색광선보다 파장이 비교적 길고, 그 만큼 지상으로의 도달량이 비교적 적어지지만, 그래도 가시 영역에 가까운 근적외선은, 자외선보다 약간 감소된(동등량이라고 말해도 지장이 없을 정도의) 양, 지상에 도달하고 있다.
안경 렌즈에 대하여, 근적외선으로부터의 보호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특허 문헌 1, 2의 다층막을 렌즈 기체에 실시한다고 하면, 비용이 맞지 않고, 내구성이 만족되지 않으며, 가시 영역의 반사 방지성이 충분하지 않아 시인성에 만족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청구항 1, 4, 5에 기재된 발명은, 가시 영역의 반사 방지 성능이 보다 높고, 근적외선광의 투과율이 보다 낮으며, 비용이 보다 저렴하고, 내구성이 보다 높은 광학 제품, 안경 렌즈,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광학 제품에 있어서, (1)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번갈아 적층한 7층 구조의 광학 다층막을 기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가지고, (2) 상기 저굴절률층은, SiO2(실리카, 이산화규소)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3) 상기 고굴절률층은, 파장 500㎚의 광에 대한 굴절률이 2.145 이상인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4) 상기 기체에 가장 가까운 층을 1층째로 하여, 상기 저굴절률층인 5층째의 물리 막 두께는, 145㎚ 이상 165㎚ 이하이며, (5) 4층째 내지 6층째의 광학 막 두께(λ=500㎚)의 총 합계가, 1.3λ 이상 1.5λ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 다층막은 또한 (6) 파장 800㎚ 이상 1500㎚ 이하의 파장 영역의 광과 관련된 편면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35% 이상이며, (7) 파장 1000㎚의 광과 관련된 편면에 대한 반사율이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 다층막은 또한 (8) 시감도 반사율이 2% 이하라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 다층막은 또한 (8) 시감도 반사율이 2% 이하라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안경 렌즈에 있어서, 상기 발명의 광학 제품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안경에 있어서, 상기 발명의 안경 렌즈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분한 근적외선에 대한 보호 성능을 가지면서, 가시 영역의 반사 방지 성능이 충분히 높고, 비용이 저렴하며, 내구성도 충분한 광학 제품, 안경 렌즈,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 1~3과 관련된, 가시 영역 내지 근적외 영역과 관련된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3과 관련된, 가시 영역과 관련된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4~6과 관련된, 가시 영역 내지 근적외 영역과 관련된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4~6과 관련된, 가시 영역과 관련된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7~9와 관련된, 가시 영역 내지 근적외 영역과 관련된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7~9와 관련된, 가시 영역과 관련된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10~12와 관련된, 가시 영역 내지 근적외 영역과 관련된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10~12와 관련된, 가시 영역과 관련된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 1~2와 관련된, 가시 영역 내지 근적외 영역과 관련된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비교예 1~2와 관련된, 가시 영역과 관련된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비교예 3~4와 관련된, 가시 영역 내지 근적외 영역과 관련된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비교예 3~4와 관련된, 가시 영역과 관련된 분광 반사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 형태의 예에 대해, 적절히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는, 이하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련된 안경 렌즈에서는, 기체의 편면 혹은 양면에 대하여, 광학 다층막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체는 어떠한 재질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투광성을 가진다. 기체의 재료(기재)로서,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티오우레탄 수지, 에피설파이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4-메틸펜텐-1 수지,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굴절률이 높고 (특히 안경 렌즈용으로서) 바람직한 것으로서, 에피설파이드기와 폴리티올 및/또는 함황 폴리올을 부가 중합하여 얻어지는 에피설파이드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광학 다층막은, 하기의 조건을 만족시킨다. 또한, 광학 다층막은, 양면에 형성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어느 막도 하기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더 바람직하게는 어느 막도 동일한 적층 구조가 되도록 한다.
우선, 광학 다층막은,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번갈아 적층한 7층 구조이다. 가장 기체측의 층(기체에 가장 가까운 층)을 1층째로 하면, 홀수층째가 저굴절률층이며, 짝수층째가 고굴절률층이다.
이어서, 저굴절률층은, 실리카(이산화규소, SiO2)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고굴절률층은, 파장 500㎚의 광에 대한 굴절률이 2.145 이상인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은, 일반의 박막에 있어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재질 외, 증착 시의 진공도나 단위 시간당 산소 가스 공급량이나 각종 어시스트의 유무나 성막 속도 등의 성막 조건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재질의 차이에 의한 굴절률의 차이에 비해, 성막 조건에 의한 굴절률의 차이는 비교적 작고, 성막 조건에 의한 굴절률 변화는 비교적 미량에 그치며, 성막 조건에 의해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은 미조정된다.
또한, 5층째(저굴절률층)의 물리 막 두께는, 145㎚ 이상 165㎚ 이하이다.
추가하여, 4층째(고굴절률층), 5층째(저굴절률층), 및 6층째(고굴절률층)의 광학 막 두께(λ=500㎚)의 총 합계가 1.3λ 이상 1.5λ 이하이다.
상기의 광학 다층막은, 적합하게는 진공 증착법이나 스퍼터법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고굴절률층의 재료의 예로서, 이산화티탄(티타니아, TiO2), 이산화지르코늄(지르코니아, ZrO2), 이산화탄탈(TaO2), 이산화니오브(NbO2), 이산화하프늄(HfO2),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학 다층막과 기체의 사이, 및/또는 광학 다층막의 표면에, 하드 코트막이나 발수막 등의 별종(別種)의 막을 부가해도 되고, 광학 다층막을 양면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부가하는 별종의 막의 종류를 서로 변경하거나, 막의 유무를 서로 변경하거나 해도 된다.
광학 다층막과 기체의 사이에 부가하는 막으로서, 하드 코트막을 채용하는 경우, 하드 코트막은, 적합하게는 기체의 표면에 하드 코트액을 균일하게 바름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하드 코트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무기 산화물 미립자를 포함하는 오르가노실록산계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오르가노실록산계 수지는, 알콕시실란을 가수분해하여 축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르가노실록산계 수지의 구체예로서,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실리케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이들 알콕시실란의 가수 분해 축합물은, 당해 알콕시실란 화합물 혹은 그들의 조합을, 염산 등의 산성 수용액으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제조된다.
한편, 무기 산화물 미립자의 재질의 구체예로서, 산화아연, 이산화규소(실리카 미립자),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티타니아 미립자), 산화지르코늄(지르코니아 미립자), 산화주석, 산화베릴륨, 산화안티몬, 산화텅스텐, 산화세륨의 각 졸을 단독으로 혹은 어느 2종 이상을 혼정화(混晶化)한 것을 들 수 있다. 무기 산화물 미립자의 직경은, 하드 코트막의 투명성 확보의 관점에서, 1㎚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 50㎚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 산화물 미립자의 배합량(농도)은, 하드 코트막에 있어서의 경도나 강인성의 적절한 정도로의 확보라는 관점으로부터, 하드 코트막의 전성분 중 4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하여, 하드 코트액에는, 경화 촉매로서 아세틸아세톤 금속염, 및/또는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 금속염 등을 부가할 수 있고, 또한 기체에 대한 밀착성 확보나 형성의 용이화, 원하는 (반)투명색의 부여 등의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착색제, 용매 등을 첨가할 수 있다.
하드 코트막의 물리 막 두께는, 0.5㎛(마이크로미터) 이상 4.0㎛ 이하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 막 두께 범위의 하한에 대해서는, 이것보다 얇으면 충분한 경도를 얻기 어려운 점으로부터 정해진다. 한편, 상한에 대해서는, 이것보다 두껍게 하면 크랙이나 무름의 발생 등, 물성에 관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점으로부터 정해진다.
또한, 하드 코트막과 기체 표면의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부가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의 재질로서,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 수지, 유기 규소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의 광학 다층막을 가지는 광학 제품은, 7층의 광학 다층막을 가지므로, 20층 정도의 광학 다층막에 비해, 형성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응력이나 복사열에 의해 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시키거나, 기체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켜 박리나 기체의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시키거나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광학 제품은, 가시 영역(예를 들면 400㎚ 이상 800㎚ 이하, 450㎚ 이상 800㎚ 이하, 또는 450㎚ 이상 750㎚ 이하 등)에 있어서 투과율이 높아, 반사 방지 성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파장 450㎚ 이상 750㎚ 이하의 파장 영역의 광과 관련된 최대 반사율이, 4% 이하가 된다. 또한, 시감도 반사율이 2% 이하가 된다.
게다가, 상기의 광학 제품은, 근적외 영역의 파장의 광의 투과율이 낮고, 근적외선을 반사하여 컷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광의 컷은, 광을 완전하게 차단하는 경우(투과율 0%)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투과율(예를 들면 90% 또는 80%) 이하(바꿔 말하면 반사율 10% 이상 또는 20% 이상)로 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의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는, 파장 800㎚ 이상 1500㎚ 이하의 파장 영역의 광과 관련된 기재 편면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35% 이상이 되고, 또한, 파장 1000㎚의 광의 기재 편면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50% 이상이 된다.
또한, 상기의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 상기의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가시 영역에 있어서 약간 반사되는 (미량의) 반사광의 색에 대해, 녹색을 비롯한 각종의 색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광학 제품에 있어서, 적합하게는 기체는 안경 렌즈 기체이며, 광학 제품은 안경 렌즈이다. 또한, 당해 안경 렌즈를 이용하여, 가시 영역의 광의 반사를 방지하면서 근적외선을 컷하는 안경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4]
이어서,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본 발명에 속하지 않는 비교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로 동일한 복수의 안경 렌즈 기체에 대하여, 각 안경 렌즈 기체의 양면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종류의 중간막이나 광학 다층막을 형성하여, 안경 렌즈와 관련된 실시예 1~12, 비교예 1~4를 제조했다.
안경 렌즈 기체는, 티오우레탄계 수지제이고, 도수가 S-2.00인 구면 렌즈 기체이며, 굴절률은 1.60이고, 아베수는 41로서, 안경 렌즈로서 표준적인 크기의 원형의 것으로 했다.
또한, 중간막은, 하드 코트액의 도포에 의해 형성한 하드 코트막으로 했다.
하드 코트액은, 다음과 같이 제조했다.
우선, 용기 중에 메탄올 206g(그램), 메탄올 분산 티타니아계 졸(닛키촉매 화성주식회사제(製), 고형분 30%) 300g,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60g,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0g, 테트라에톡시실란 60g을 적하하고, 그 혼합액 중에 0.01N(규정도)의 염산 수용액을 적하, 교반하여 가수 분해를 행했다.
이어서, 플로우 조정제 0.5g 및 촉매 1.0g을 추가하여,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하드 코트액은, 안경 렌즈 기재의 각 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도포했다.
즉, 스핀코트법에 의해 하드 코트액을 균일하게 널리 퍼지게 하여, 120℃의 환경에 1.5시간 방치함으로써, 하드 코트액을 가열 경화시켰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하드 코트막은, 모두 물리 막 두께가 2.5㎛가 되었다.
또한, 광학 다층막은, 동일한 안경 렌즈 기체에 있어서는 양면 모두 동일한 막 구조를 가지고 있고, 모두 저굴절률층(이산화규소)과 고굴절률층을 번갈아 증착한 7층 구조의 광학 다층막이다. 실시예 1~12, 비교예 1~4에서는, 저굴절률층이나 고굴절률층 중 적어도 어느 막 두께나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재질이나 성막법)이 서로 상이하다.
실시예 1~12, 비교예 1~4의 광학 다층막은, 모두 진공 증착법에 의해 형성했다.
홀수층째(1, 3, 5, 7층째)는 저굴절률층이고, 이산화규소에 의해 형성되며, 짝수층째(2, 4, 6층째)는 고굴절률층이고, 이산화규소보다 굴절률이 큰 고굴절 재료로 형성된다.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은, 기본적으로는 선택하는 재료에 따라 정해지지만, 성막 레이트(막을 형성하는 속도)나 성막 시 압력, 이온 어시스트 처리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1~4, 7~10에서는, 고굴절률층의 재료로서 이산화티탄을 선택하고, 성막 시 압력 및 이온 어시스트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서로 굴절률이 상이한 것으로 되어 있다. 성막 시 압력은, 증착 챔버 내의 진공도나, 산소 가스 및/또는 아르곤 가스를 조금 도입한 경우의 단위 시간당의 도입량 등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이온 어시스트 조건은, 산소 가스 및/또는 아르곤 가스 중의 산소 분자나 아르곤 분자를 이온 총 등에 의해 산소 이온이나 아르곤 이온으로 하는 경우의, 이온 총의 작동 패턴(온 오프의 양태)이나 전압, 혹은 각종 가스의 도입량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실시예 5, 6, 11, 12나 비교예 1~4에서는, 고굴절률층의 재료로서 이산화지르코늄을 선택하고, 이산화티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막 시 압력 및 이온 어시스트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서로 굴절률이 상이한 것으로 되어 있다.
실시예 1~12, 비교예 1~4에서는, 가시 영역에 있어서 반사 방지 기능을 가지지만, 그래도 약간(최대 3% 이하 정도의 반사율로) 반사광이 존재한다. 실시예 1~6이나 비교예 1, 2에서는, 그 반사광의 색이 녹색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실시예 7~12나 비교예 3, 4에서는, 그 반사광의 색이 청색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음의 [표 1]~[표 12]에 있어서 실시예 1~12와 관련된 광학 다층막의 각 층의 굴절률이나 막 두께 등을 나타내고, [표 13]~[표 16]에 있어서 비교예 1~4와 관련된 광학 다층막의 각 층의 굴절률이나 막 두께 등을 나타낸다.
Figure 112016075337129-pct00001
Figure 112016075337129-pct00002
Figure 112016075337129-pct00003
Figure 112016075337129-pct00004
Figure 112016075337129-pct00005
Figure 112016075337129-pct00006
Figure 112016075337129-pct00007
Figure 112016075337129-pct00008
Figure 112016075337129-pct00009
Figure 112016075337129-pct00010
Figure 112016075337129-pct00011
Figure 112016075337129-pct00012
Figure 112016075337129-pct00013
Figure 112016075337129-pct00014
Figure 112016075337129-pct00015
Figure 112016075337129-pct00016
[가시 영역 내지 근적외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 분포]
실시예 1~12, 비교예 1~4에 있어서의, 가시 영역 내지 근적외 영역과 관련된 분광 반사율 분포를 도 1, 3, 5, 7, 9, 11에 나타내고, 가시 영역과 관련된 분광 반사율 분포를 도 2, 4, 6, 8, 10, 12에 나타낸다.
실시예 1~3에 대해서는 도 1, 2에, 실시예 4~6에 대해서는 도 3, 4에, 실시예 7~9에 대해서는 도 5, 6에, 실시예 10~12에 대해서는 도 7, 8에, 비교예 1, 2에 대해서는 도 9, 10에, 비교예 3, 4에 대해서는 도 11, 12에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 나타난 반사율 분포에 있어서도, 이하에 설명하는 가시 영역에서의 반사 방지 성능이나 근적외 영역에서의 컷 성능을 알 수 있다.
[가시 영역에서의 반사 방지성]
다음의 [표 17]에 있어서, 실시예 1~6, 비교예 1~2의 반사광에 있어서의 반사색, CIE 표색계에 있어서의 x값과 y값, 및 시감도 반사율을 나타내고, [표 18]에 있어서, 실시예 7~12, 비교예 3~4의 반사광에 있어서의 반사색, CIE 표색계에 있어서의 x값과 y값, 및 시감도 반사율을 나타낸다.
동(同)표의 반사색이나 x값과 y값에 의하면, 실시예 1~6이나 비교예 1, 2에서는 반사색이 녹색이 되고, 실시예 7~12나 비교예 3, 4에서는 반사색이 청색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동표의 시감도 반사율에 의하면, 어느 예에 있어서도, 시감도 반사율이 1.2% 이하로 되어 있고, 도 1~12의 반사율 분포와 적절히 맞춰 보면, 가시 영역에 있어서 반사 방지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감도 반사율은 2% 이하이면, 시인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충분한 반사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Figure 112016075337129-pct00017
Figure 112016075337129-pct00018
[근적외선의 컷트 성]
다음의 [표 19]에 있어서, 실시예 1~6, 비교예 1~2의 근적외 영역(파장 800㎚ 이상 1500㎚ 이하)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및 파장 1000㎚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나타내고, [표 20]에 있어서, 실시예 7~12, 비교예 3~4의 근적외 영역(파장 800㎚ 이상 1500㎚ 이하)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및 파장 1000㎚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나타낸다.
동표나 도 1~12에 의하면, 비교예 1~4에서는 근적외 영역의 평균 반사율이 30% 전후이고 최대여도 31.92%(비교예 3)인 것에 비해, 실시예 1~12에서는, 최저인 반사율이어도 35.27%(실시예 10)로서 모두 35% 이상으로 되어 있어, 실시예 1~12에 있어서 충분한 근적외선의 컷 성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6075337129-pct00019
Figure 112016075337129-pct00020
비교예 1에서는, 5층째의 물리 막 두께(154.84㎚)가 145㎚ 이상 165㎚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고, 또한 4~6층째의 광학 막 두께의 총 합계(1.323λ)가 1.3λ 이상 1.5λ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지만, 고굴절률층의 굴절률(2.1071)이 2.145 미만이기 때문에, 파장 800㎚ 이상 1500㎚ 이하의 파장 영역의 광과 관련된 평균 반사율 (31.88%)이 35% 미만이 되고, 또한, 파장 1000㎚의 광의 반사율(46.88%)이 50% 미만이 되어, 근적외선의 컷 성능이 비교적 뒤떨어진다.
비교예 2에서는, 5층째의 물리 막 두께(155.40㎚)가 145㎚ 이상 165㎚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지만, 4~6층째의 광학 막 두께의 총 합계(1.279λ)가 1.3λ 이상 1.5λ 이하의 범위 외로 되어 있고, 고굴절률층의 굴절률(2.0577)이 2.145 미만이기 때문에, 파장 800㎚ 이상 1500㎚ 이하의 파장 영역의 광과 관련된 평균 반사율(29.12%)이 35% 미만이 되고, 또한, 파장 1000㎚의 광의 반사율(44.31%)이 50% 미만이 되어, 근적외선의 컷 성능이 비교적 뒤떨어진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6에서는, 모두 5층째의 물리 막 두께가 145㎚ 이상 165㎚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고, 또한 4~6층째의 광학 막 두께의 총 합계가 1.3λ 이상 1.5λ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고, 또한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이 2.145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파장 800㎚ 이상 1500㎚ 이하의 파장 영역의 광과 관련된 평균 반사율이 35% 이상이 되고, 또한, 파장 1000㎚의 광의 반사율이 50% 이상이 되어, 근적외선의 컷 성능이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비교예 3에서는, 5층째의 물리 막 두께(145.11㎚)가 145㎚ 이상 165㎚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고, 또한 4~6층째의 광학 막 두께의 총 합계(1.394λ)가 1.3λ 이상 1.5λ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지만, 고굴절률층의 굴절률(2.1071)이 2.145 미만이기 때문에, 파장 800㎚ 이상 1500㎚ 이하의 파장 영역의 광과 관련된 평균 반사율(31.92%)이 35% 미만이 되고, 또한, 파장 1000㎚의 광의 반사율(47.65%)이 50% 미만이 되어, 근적외선의 컷 성능이 비교적 뒤떨어진다.
비교예 4에서는, 5층째의 물리 막 두께(147.51㎚)가 145㎚ 이상 165㎚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고, 4~6층째의 광학 막 두께의 총 합계(1.412λ)가 1.3λ 이상 1.5λ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지만, 고굴절률층의 굴절률(2.0577)이 2.145 미만이기 때문에, 파장 800㎚ 이상 1500㎚ 이하의 파장 영역의 광과 관련된 평균 반사율(30.17%)이 35% 미만이 되고, 또한, 파장 1000㎚의 광의 반사율(44.86%)이 50% 미만이 되어, 근적외선의 컷 성능이 비교적 뒤떨어진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7~12에서는, 모두 5층째의 물리 막 두께가 145㎚ 이상 165㎚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고, 또한 4~6층째의 광학 막 두께의 총 합계가 1.3λ 이상 1.5λ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으며, 또한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이 2.145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파장 800㎚ 이상 1500㎚ 이하의 파장 영역의 광과 관련된 편면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35% 이상이 되고, 또한, 파장 1000㎚의 광의 편면에 대한 반사율이 50% 이상이 되어, 근적외선의 컷 성능이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5층째의 물리 막 두께가 145㎚ 미만이면 근적외선의 컷율이 비교적 불충분해지고, 165㎚를 넘으면 가시 영역의 반사 방지성의 부여를 포함하여 설계가 어렵게 되며, 재료나 형성 등의 비용이 늘어난다. 4~6층째의 광학 막 두께의 총 합계의 하한이나 상한에 대해서도, 5층째의 물리 막 두께와 동일하다.
[정리 등]
실시예 1~12와 같이,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번갈아 적층한 7층 구조의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 저굴절률층에 실리카(이산화규소, SiO2)를 이용하고, 고굴절률층에 파장 500㎚의 광에 대한 굴절률이 2.145 이상인 재료를 이용하며, 5층째 (저굴절률층)의 물리 막 두께를 145㎚ 이상 165㎚ 이하로 하고, 4~6층째(고굴절률층)의 광학 막 두께(λ=500㎚)의 총 합계가 1.3λ 이상 1.5λ 이하로 하면, 형성이 용이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비용을 저렴화할 수 있으며, 가시 영역에 있어서 충분한 반사 방지 성능을 가지고, 근적외 영역에 있어서 충분한 컷 성능을 가지는 안경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 1~6과 같이, 반사색을 (매우 연한)녹색으로 하거나, 실시예 7~12와 같이, 반사색을 (매우 연한)청색으로 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광학 다층막에 있어서의 층 구조의 조건을 충족시키면서, 반사색을 다른 색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12의 안경 렌즈를 이용하여, 가시 영역의 반사 방지성과 근적외선의 컷트를 양립한 안경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12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창문용 필름(건물이나 차량 등)이나 카메라 렌즈용 필터 등의 광학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6)

  1. 하기의 각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는 광학 다층막을 기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대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제품.
    (1)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번갈아 적층한 7층 구조이다.
    (2) 상기 저굴절률층은, SiO2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3) 상기 고굴절률층은, 파장 500㎚의 광에 대한 굴절률이 2.145 이상인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4) 상기 기체에 가장 가까운 층을 1층째로 하여, 상기 저굴절률층인 5층째의 물리 막 두께는, 145㎚ 이상 165㎚ 이하이다.
    (5) 4층째 내지 6층째의 광학 막 두께(λ=500㎚)의 총 합계가, 1.3λ 이상 1.5λ 이하이다.
    (6) 파장 800㎚ 이상 1500㎚ 이하의 파장 영역의 광과 관련된 편면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35% 이상이다.
    (7) 파장 1000㎚의 광과 관련된 편면에 대한 반사율이 50% 이상이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다층막은 하기의 조건을 더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제품.
    (8) 시감도 반사율이 2% 이하이다.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광학 제품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6. 제 5 항에 기재된 안경 렌즈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1020167021224A 2014-02-04 2015-01-28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및 안경 Active KR102232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9631A JP6451057B2 (ja) 2014-02-04 2014-02-04 可視域反射防止近赤外域透過抑制光学製品並びに眼鏡レンズ及び眼鏡
JPJP-P-2014-019631 2014-02-04
PCT/JP2015/052346 WO2015119016A1 (ja) 2014-02-04 2015-01-28 光学製品並びに眼鏡レンズ及び眼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459A KR20160117459A (ko) 2016-10-10
KR102232170B1 true KR102232170B1 (ko) 2021-03-26

Family

ID=5377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224A Active KR102232170B1 (ko) 2014-02-04 2015-01-28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및 안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31349B2 (ko)
EP (1) EP3088921B1 (ko)
JP (1) JP6451057B2 (ko)
KR (1) KR102232170B1 (ko)
CN (1) CN106415330B (ko)
ES (1) ES2791198T3 (ko)
WO (1) WO20151190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2919B (zh) * 2014-08-15 2016-07-21 萬能光學科技有限公司 一種可有效阻隔藍光和紅外光之光學鏡片真空蒸鍍方法
EP3242150B1 (en) * 2016-05-04 2019-01-02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article comprising an antireflective coating with a high reflection in the near infrared region (nir)
JP2018031975A (ja) 2016-08-26 2018-03-01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並びに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及び眼鏡
CN109804422B (zh) 2016-10-11 2021-11-02 东海光学株式会社 眼球运动测量装置和眼球运动分析系统
DE102016120122C5 (de) * 2016-10-21 2020-03-12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Brillenglas mit Beschichtun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rillenglases sowie computerimplementiertes oder experimentelles Verfahren zur Auslegung eines Brillenglases
TWM553424U (zh) * 2017-05-09 2017-12-21 Onelensolution Optical Tech Sdn Bhd 光學鏡片
CN110997464B (zh) * 2017-08-14 2023-03-31 日产自动车株式会社 具有反射控制层的移动体
CN108107602A (zh) * 2017-12-15 2018-06-01 江苏黄金屋光学眼镜股份有限公司 一种眼镜片超硬涂层
EP3528037B1 (en) * 2018-02-15 2025-04-09 Essilor International Ophthalmic tinted glass
EP3627194A1 (en) * 2018-09-20 2020-03-25 Essilor International An optical device with reduced reflection in deep red, near infrared and visible ranges
WO2020067409A1 (ja) * 2018-09-28 2020-04-02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
CN113167926B (zh) * 2018-11-19 2023-10-20 依视路国际公司 具有反射镜涂层和用于改善耐磨性的多层系统的光学镜片
DE102020105576A1 (de) * 2019-03-01 2020-09-03 Wetzlich Optik-Präzision GmbH Brillenglas mit infrarotabsorbierender Beschichtung
CN109917497A (zh) * 2019-05-08 2019-06-21 河南达人视界眼镜有限公司 一种阿贝数45的高清镜片
JP2023182009A (ja) * 2019-09-30 2023-12-26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
KR102243076B1 (ko) * 2020-10-07 2021-04-21 최준석 시력 보정 패턴이 적용된 렌즈 및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6599A (en) 1982-05-20 1985-12-03 Nippon Soken, Inc. Heat reflection film
WO1997048992A1 (en) 1996-06-17 1997-12-24 Yazaki Corporation Plastic articles having multi-layer antireflection coatings, and sol-gel process for depositing such coatings
JP2001281409A (ja) * 2000-03-30 2001-10-10 Olympus Optical Co Ltd 反射防止膜付きレンズ及び内視鏡
JP2005292204A (ja) * 2004-03-31 2005-10-20 Hoya Corp プラスチック製ミラーコートレンズ
JP2006126233A (ja) 2004-10-26 2006-05-18 Seiko Epson Corp 反射防止膜付き眼鏡レンズ
US20080273556A1 (en) 2007-05-01 2008-11-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EP2275843A1 (en) 2008-04-30 2011-01-19 Hoya Corporation Optical device and antireflection film
US20130176615A1 (en) 2012-01-10 2013-07-11 Nalux Co., Ltd. Multi-layered optica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3700A (en) * 1990-08-10 1993-02-02 Viratec Thin Films, Inc. Solar control properties in low emissivity coatings
JP2724260B2 (ja) * 1991-10-17 1998-03-09 ホーヤ株式会社 反射防止膜を有する光学部材
EP0928977A4 (en) * 1997-05-16 2000-01-05 Hoya Kabushiki Kaisha PLASTIC OPTICAL COMPONENT WITH A REFLECTION-PREVENTING FILM AND MECHANISM FOR THE SAME-SHAPED FILM THICKNESS PRODUCTION OF THIS FILM
CN1439900A (zh) * 2001-12-24 2003-09-03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激光防护膜及其制作方法
WO2004079278A1 (en) * 2003-03-06 2004-09-16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Glazing
CN1808184A (zh) * 2005-01-19 2006-07-26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防反射膜、光学元件和光发送接收模块
JP2006301489A (ja) * 2005-04-25 2006-11-02 Nidec Copal Corp 近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
JP5509616B2 (ja) * 2008-02-28 2014-06-04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反射防止膜、光学部品、交換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2009258362A (ja) 2008-04-16 2009-11-05 Jsr Corp 近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ー
JP5489669B2 (ja) 2008-11-28 2014-05-14 Jsr株式会社 近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ーおよび近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ーを用いた装置
JP5588135B2 (ja) * 2009-08-10 2014-09-10 ホーヤ レンズ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フィリピン インク 光学物品の製造方法
JP5586017B2 (ja) * 2010-08-20 2014-09-10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及び眼鏡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5893271B2 (ja) * 2011-06-10 2016-03-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反射防止膜、光学系、及び光学機器
US9201172B2 (en) * 2012-09-14 2015-12-01 Ricoh Imaging Company, Ltd. Anti-reflection coating, optical member having it, and optical equipment comprising such optical memb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6599A (en) 1982-05-20 1985-12-03 Nippon Soken, Inc. Heat reflection film
WO1997048992A1 (en) 1996-06-17 1997-12-24 Yazaki Corporation Plastic articles having multi-layer antireflection coatings, and sol-gel process for depositing such coatings
JP2001281409A (ja) * 2000-03-30 2001-10-10 Olympus Optical Co Ltd 反射防止膜付きレンズ及び内視鏡
JP2005292204A (ja) * 2004-03-31 2005-10-20 Hoya Corp プラスチック製ミラーコートレンズ
JP2006126233A (ja) 2004-10-26 2006-05-18 Seiko Epson Corp 反射防止膜付き眼鏡レンズ
US20080273556A1 (en) 2007-05-01 2008-11-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EP2275843A1 (en) 2008-04-30 2011-01-19 Hoya Corporation Optical device and antireflection film
US20130176615A1 (en) 2012-01-10 2013-07-11 Nalux Co., Ltd. Multi-layered optica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88921B1 (en) 2020-03-11
JP2015148643A (ja) 2015-08-20
US20160306194A1 (en) 2016-10-20
EP3088921A1 (en) 2016-11-02
WO2015119016A1 (ja) 2015-08-13
CN106415330B (zh) 2018-02-23
EP3088921A4 (en) 2017-08-30
KR20160117459A (ko) 2016-10-10
US10031349B2 (en) 2018-07-24
JP6451057B2 (ja) 2019-01-16
CN106415330A (zh) 2017-02-15
ES2791198T3 (es)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170B1 (ko)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및 안경
JP7547412B2 (ja) 紫外領域及び可視領域の両方において低い反射性を持つ反射防止膜を有する光学部品
EP3118658B1 (en) Mirror-coated lens
CN107111000B (zh) 包括在紫外区域具有高反射率的干涉涂层的光学物品
JP6275781B2 (ja) 耐擦傷性反射防止層付き光学レンズ
US11668957B2 (en) Optical product, plastic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KR102241953B1 (ko) 광학 제품 및 안경 렌즈 및 안경
WO2019009127A1 (ja) プラスチック光学製品並びに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及び眼鏡
EP2881763B1 (en) Optical product and plastic eyeglass lens
KR102550032B1 (ko) 플라스틱 안경 렌즈 및 안경
WO2017002965A1 (ja) 光学製品並びにプラスチックレンズ及び眼鏡
KR102752481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KR20230091899A (ko) 플라스틱 광학 제품 및 플라스틱 안경 렌즈
HK1181855A1 (en) Optical product and plastic eyeglass lens
HK1181855B (en) Optical product and plastic eyeglass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0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