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859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 연결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 연결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1859B1 KR102231859B1 KR1020140115529A KR20140115529A KR102231859B1 KR 102231859 B1 KR102231859 B1 KR 102231859B1 KR 1020140115529 A KR1020140115529 A KR 1020140115529A KR 20140115529 A KR20140115529 A KR 20140115529A KR 102231859 B1 KR102231859 B1 KR 1022318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station
- low
- delay
- service
- latenc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08 change requ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24 pain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6—De-registration or detach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구성요소들 간에 수립되는 인터페이스 및 베어러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인터넷 서버와 저지연 기지국 서버가 이용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저지연 단말이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부터 저지연 서비스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저지연 기지국과 레거시 기지국이 배치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저지연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절차의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저지연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절차의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저지연 기지국이 서비스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핸드오버 절차의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이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할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이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할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절차의 예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이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저지연 기지국이며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가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는 서비스일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이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저지연 기지국이며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가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는 서비스일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절차의 예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이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저지연 기지국이며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가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는 서비스가 아닐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이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저지연 기지국이며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가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는 서비스가 아닐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절차의 예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이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저지연 기지국이며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가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는 서비스가 아닐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저지연 단말의 내부 동작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이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기지국이며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가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는 서비스가 아닐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a 및 1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이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기지국이며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가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는 서비스가 아닐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절차의 예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7은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이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기지국이며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가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는 서비스일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a 및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제공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이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기지국이며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가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는 서비스일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절차의 예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일반 컨텍스트 - UE_ID, 타겟 셀/BS ID, - UE 보안 컨텍스트, UE AMBR - (LTE) 무선 베어러 ID, 무선 베어러 레벨 QoS |
저지연 컨텍스트 - T_UE_ID - UE 저지연 보안 컨텍스트, - F1 베어러 ID, - F1 레벨 QoS, - F2 베어러 ID, - 등록된 서비스 이름, - 세션 정보, - 가입 데이터 (저지연 서비스 이름, 저지연 서비스 QoS) |
Claims (38)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지연 (low latency) 계층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 상기 타겟 기지국과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간에 제 1 베어러를 재 수립하기 위한 제 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베어러의 재 수립을 수락함을 지시하는 제 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 1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가 소스 기지국으로 제공한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와 관련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 1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ID (identification), 상기 소스 기지국의 ID, 상기 타겟 기지국의 ID 및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간에 수립되어 있는 베어러의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이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고, 인터넷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 경우,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과 상기 소스 기지국간에 제 2 베어러를 수립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 상기 제 2 베어러의 수립을 수락함을 지시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제 2 베어러를 통하여,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부터 상기 소스 기지국이 제공받은 서비스와 관련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는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는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이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고, 인터넷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 경우,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와 관련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는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지 않는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이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고,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 경우,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과 상기 소스 기지국간에 제 2 베어러를 수립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 상기 제 2 베어러의 수립의 수락을 지시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제 2 베어러를 통하여,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부터 상기 소스 기지국이 제공받은 서비스와 관련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는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는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이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고,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 경우,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공된 서비스와 관련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는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지 않는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제1 컨텍스트(context)와 관련된 정보 또는 제2 컨텍스트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컨텍스트와 관련된 정보는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와 관련된 제 3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이용되고,
상기 제2 컨텍스트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와 관련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제1 컨텍스트(context)와 관련된 정보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컨텍스트와 관련된 정보는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와 관련된 제 3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타겟 기지국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handover command message)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 및
저지연 (low latency) 계층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 상기 타겟 기지국과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간에 재 수립된 제 1 베어러을 통해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가 소스 기지국으로 제공한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와 관련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베어러는 단말 ID (identification), 상기 소스 기지국의 ID, 상기 타겟 기지국의 ID 및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간에 베어러의 ID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재 수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이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타겟 기지국간에 수립된 제 2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가 상기 소스 기지국이 제공받은 서비스와 관련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는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는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이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인터넷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가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지 않는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겟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저지연 (low latency) 계층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간의 통신하이 이루어지는 저지연 기지국 서버에 상기 타겟 기지국과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간에 제 1 베어러를 재 수립하기 위한 제 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베어러의 재 수립을 수락함을 지시하는 제 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가 소스 기지국으로 제공한 온고잉 서비스와 관련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ID (identification), 상기 소스 기지국의 ID, 상기 타겟 기지국의 ID 및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간에 베어러의 ID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이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고, 인터넷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 경우,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과 상기 소스 기지국간에 제 2 베어러를 수립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 상기 제 2 베어러의 수립을 수락함을 지시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베어러를 통하여,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부터 상기 소스 기지국이 제공받은 서비스와 관련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가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는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이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고, 인터넷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 경우,
상기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와 관련된 제 2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는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지 않는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이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고,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 경우,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기지국과 상기 소스 기지국간에 제 2 베어러를 수립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 상기 제 2 베어러의 수립의 수락을 지시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베어러를 통하여,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부터 상기 소스 기지국이 제공받은 서비스와 관련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는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는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기지국으로부터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와 관련된 제 3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1 컨텍스트(context)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컨텍스트와 관련된 정보는 저장 장치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이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고,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을 경우,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와 관련된 제 2 데이터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가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지 않는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제1 컨텍스트(context)와 관련된 정보 또는 제2 컨텍스트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들을 저장장치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컨텍스트와 관련된 정보는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와 관련된 제 3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이용되고,
상기 제2 컨텍스트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와 관련된 제 2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타겟 기지국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handover command message)를 수신하고,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저지연 (low latency) 계층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저지연 기지국 서버로 상기 타겟 기지국과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간에 재 수립된 제 1 베어러을 통해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가 소스 기지국으로 제공한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와 관련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베어러는 단말 ID (identification), 상기 소스 기지국의 ID, 상기 타겟 기지국의 ID 및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간에 베어러의 ID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재 수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이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타겟 기지국간에 수립된 제 2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저지연 기지국 서버가 상기 소스 기지국이 제공받은 서비스와 관련된 제 2 데이터를 수신함을 더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는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는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이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인터넷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제 2 데이터를 수신함을 더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고잉 저지연 서비스가 세션 연속성이 요구되지 않는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5529A KR102231859B1 (ko) | 2014-09-01 | 2014-09-0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 연결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
PCT/KR2015/008996 WO2016036056A1 (ko) | 2014-09-01 | 2015-08-27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 연결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
US15/508,075 US10149210B2 (en) | 2014-09-01 | 2015-08-27 | Device and method for maintaining service connection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5529A KR102231859B1 (ko) | 2014-09-01 | 2014-09-0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 연결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6503A KR20160026503A (ko) | 2016-03-09 |
KR102231859B1 true KR102231859B1 (ko) | 2021-03-26 |
Family
ID=5544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5529A Active KR102231859B1 (ko) | 2014-09-01 | 2014-09-0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 연결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149210B2 (ko) |
KR (1) | KR102231859B1 (ko) |
WO (1) | WO201603605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52595B1 (ko) * | 2016-09-19 | 2025-01-08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스트리밍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스트리밍 서버 |
WO2018086551A1 (en) * | 2016-11-09 | 2018-05-17 | Mediatek Inc. | Enhanced multimedia call control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
CN108617013B (zh) * | 2017-01-06 | 2021-12-07 |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用于无线网络系统之间的数据传送控制的方法及设备 |
US10609546B2 (en) * | 2018-08-08 | 2020-03-31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Unified radio access network (RAN)/multi-access edge computing (MEC) platform |
KR102466899B1 (ko) * | 2018-08-17 | 2022-11-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20042977A1 (zh) * | 2018-08-29 | 2020-03-05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ui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
US11917724B2 (en) * | 2019-06-26 | 2024-02-27 | EMC IP Holding Company LLC | Location based application migration for enhancing lightweight IoT device applications |
WO2021071325A1 (ko) | 2019-10-11 | 2021-04-1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 e2 인터페이스를 통한 서비스 가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CN114788365B (zh) * | 2019-10-11 | 2024-08-13 | 三星电子株式会社 | 在无线电接入网通信系统中经由e2接口进行服务订阅的设备和方法 |
WO2022106019A1 (en) * | 2020-11-20 | 2022-05-27 | Nokia Technologies Oy | Mobility support for extended reality application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CN113099497B (zh) * | 2021-03-30 | 2022-09-02 |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 一种网络切换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93023B1 (en) * | 1998-05-08 | 2002-05-21 | Fujitsu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acknowledging receipt of messages within a packet based communication network |
US6879832B1 (en) * | 1999-02-26 | 2005-04-12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and entities in a radio access network |
US20030193924A1 (en) * | 1999-09-10 | 2003-10-16 | Stephan Gehring |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centralized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anagement |
FI110352B (fi) * | 2000-02-24 | 2002-12-31 | Nokia Corp | Menetelmä ja järjestely yhteyksien uudelleenmuodostamisen optimoimiseksi solukkoradiojärjestelmässä, joka tukee reaaliaikaista ja ei-reaaliaikaista tiedonsiirtoa |
US7417968B2 (en) | 2002-12-06 | 2008-08-26 | Motorol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hard handoffs in CDMA systems |
EP1809010A4 (en) * | 2004-11-02 | 2010-01-27 | Fujitsu Ltd | COMMUNICATION FORWARD PROCEDURE, COMMUNICATION FORWARD PROGRAM AND COMMUNICATION FORWARDING DEVICE |
CN101248629A (zh) * | 2005-08-24 | 2008-08-20 |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 保留的承载 |
WO2007052916A1 (en) * | 2005-10-31 | 2007-05-10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WO2008133476A1 (en) * | 2007-04-30 | 2008-11-06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procedures for radio bearer setup |
US20100080116A1 (en) * | 2008-09-29 | 2010-04-01 | Qualcomm Incorporated | Re-establishing a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with a non-prepared base station |
KR101174059B1 (ko) * | 2008-12-19 | 2012-08-1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E―mbms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
US9955352B2 (en) * | 2009-02-17 | 2018-04-24 | Lookout,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addressing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that are lost or stolen but not yet reported as such |
JP5893554B2 (ja) * | 2010-04-14 | 2016-03-23 | シャープ株式会社 | 位置管理装置、パケットデータネットワークゲートウェイ装置、移動局装置及び位置管理装置の通信方法 |
EP2569916B1 (en) * | 2010-05-09 | 2016-01-20 | Citrix System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on of classes of service to network connections corresponding to virtual channels |
EP2421321B1 (en) * | 2010-08-16 | 2017-12-27 | BlackBerry Limited | Methods and mobile station for reestablishing a connection by way of NAS procedures |
CN103210683A (zh) * | 2010-11-11 | 2013-07-17 | 高通股份有限公司 | 用于改进电路交换回退性能的系统和方法 |
KR20120122335A (ko) * | 2011-04-28 | 2012-11-07 | 주식회사 팬택 | Mbms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KR20120123914A (ko) * | 2011-05-02 | 2012-11-12 | 주식회사 팬택 | Mbms 서비스의 연속성을 위한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
WO2013028026A2 (en) * | 2011-08-24 | 2013-02-28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associated with mtc device trigger function |
US9648490B2 (en) * | 2012-03-01 | 2017-05-09 | Qualcomm Incorporated | Context-aware mobile computing for automatic environment detection and re-establishment |
US9686654B2 (en) * | 2012-06-29 | 2017-06-20 | Alcatel Lucent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 or multicast service to obstructed user equipment |
ES2441140B1 (es) | 2012-07-30 | 2015-03-10 | Vodafone Espana Sau | Metodo, entidad de red y equipo de usuario para entregar informacion a una red de acceso de radio. |
KR101983034B1 (ko) | 2012-09-05 | 2019-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터넷을 통한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장치 |
KR102141621B1 (ko) * | 2013-11-05 | 2020-08-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재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US9210956B2 (en) * | 2013-11-11 | 2015-12-15 | Toni K. Bolt | Electromagnetic field reduction brassiere |
US10080163B2 (en) * | 2014-07-15 | 2018-09-18 | T-Mobile Usa, Inc. | Telecommunication network pre-establishment service interruption response |
US20170238149A1 (en) * | 2014-08-08 | 2017-08-17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Network sharing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
-
2014
- 2014-09-01 KR KR1020140115529A patent/KR102231859B1/ko active Active
-
2015
- 2015-08-27 WO PCT/KR2015/008996 patent/WO201603605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8-27 US US15/508,075 patent/US10149210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70245180A1 (en) | 2017-08-24 |
KR20160026503A (ko) | 2016-03-09 |
US10149210B2 (en) | 2018-12-04 |
WO2016036056A1 (ko) | 2016-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1859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 연결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 |
US2023026253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quality of service | |
US10492116B2 (en) | Traffic offload via local network | |
US8687592B2 (en) | Method for switching session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 |
US10219143B2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mobile terminal | |
JP5514908B2 (ja) | ステータス依存型移動体サービス用通信システム及び装置 | |
US8504055B2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load balanc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157185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계층을 통해 서비스 연결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
US20190364495A1 (en) | Access to a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Network Slicing Based on Pre-Configured Access Category | |
US11683723B2 (en) | Methods and system for offloading data traffic | |
US20140335830A1 (en) | Method for attaching e-utran a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 |
CN113613293A (zh) | 用于在wtru中所使用的方法及wtru | |
KR20180125151A (ko) | 무선 네트워크들에서의 서비스 품질 (QoS) 관리 | |
KR101899002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 전송 방법 | |
US986086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ffloading data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9860792B2 (en) | Network device for supporting gateway chang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JP2013141106A (ja) | 通信ノード | |
KR20130023971A (ko) |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 |
KR101598598B1 (ko) |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기지국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30023970A (ko) |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 |
KR102209748B1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앵커링 방법 및 장치 | |
KR20160092388A (ko) | 이동형 소형셀에서 로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9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