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144B1 - 인공 지능 심층 학습 타겟 탐지 및 속도 퍼텐셜 필드 알고리즘 기반 장애물 회피 및 자율 주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공 지능 심층 학습 타겟 탐지 및 속도 퍼텐셜 필드 알고리즘 기반 장애물 회피 및 자율 주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0144B1 KR102230144B1 KR1020200055141A KR20200055141A KR102230144B1 KR 102230144 B1 KR102230144 B1 KR 102230144B1 KR 1020200055141 A KR1020200055141 A KR 1020200055141A KR 20200055141 A KR20200055141 A KR 20200055141A KR 102230144 B1 KR102230144 B1 KR 1022301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bot
- autonomous driving
- values
- information
- potential fiel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0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846 repe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074 Equus as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07 loc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76 p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25J9/166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1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 accordance with safety or protection criteria, e.g. avoiding hazardous area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05B11/36—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with provision for obtain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e.g.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 G05B11/38—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with provision for obtain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e.g.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for obtaining a proportional characteristic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3—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speed control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텐셜 필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 포텐셜 필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포텐셜 필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로봇의 이동 방향에 관한 제1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2차원 공간에 생성된 포텐셜 필드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을 생성하는 자율 주행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 광선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포텐셜 필드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일반적인 포텐셜 알고리즘에 의한 자율 주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례 이득(proportional gain)에 대한 에러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고, 충돌을 회피하는 알고리즘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환경에서의 자율 주행 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hardware architecture)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텐셜 필드를 이용하여 자율 주행하는 방법을 위한 소프트웨어 구조(software architecture)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장치에 내장된 운영 체제(OS)에 따른 통신 셋업(communication setup)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장치의 블록도.
2005: 통신 버스
2010: 비전 센서
2030: 거리 센서
2050: 프로세서
2070: 통신 인터페이스
2090: 메모리
Claims (20)
- 주행 영상에서 객체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복수의 각도들에 대응하여 센싱되는 거리 값들 및 상기 각도들에 기초하여 제1 조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제2단계;
상기 주행 영상에서 상기 객체가 인식된 위치에 따른 오류와 PID 제어의 비례 이득(proportional gain)에 기초하여 제2 조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객체의 인식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조향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조향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각도들에 대응하여 상기 거리 값들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거리 값들과 상기 복수의 각도들의 코사인 값들에 기초하여 제1 축의 값들의 합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거리 값들과 상기 복수의 각도들의 사인 값들에 기초하여 제2 축의 값들의 합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축의 값들의 합과 상기 제2 축의 값들의 합 사이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향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객체가 인식되지 않았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조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3단계는 상기 객체가 인식되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2 조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인,
자율 주행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객체가 인식되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조향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조향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조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가 인식되지 않았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조향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주행 영상에서 상기 객체가 인식된 위치가 상기 주행 영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왼쪽 영역 혹은 오른쪽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행 영상에서 상기 객체가 인식된 위치가 속한 영역의 반대 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지점과 상기 주행 영상의 중심 지점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오류와 상기 비례 이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조향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속도 파라미터를 변경하지 않고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율 주행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인식된 객체가 정지 사인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객체가 정지 사인에 해당한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조향 파라미터와 속도 파라미터를 0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방법. - 작업장 내 로봇의 현재 위치, 상기 로봇의 목표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포텐셜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포텐셜 필드에 기초하여, 상기 로봇의 이동 방향에 관한 제1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거리 센서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주변 장애물의 인식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의 이동 방향에 관한 제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로봇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주행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각도들에 대응하여 거리 값들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거리 값들과 상기 복수의 각도들의 코사인 값들에 기초하여 제1 축의 값들의 합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거리 값들과 상기 복수의 각도들의 사인 값들에 기초하여 제2 축의 값들의 합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축의 값들의 합과 상기 제2 축의 값들의 합 사이의 비율에 기초하여 제1 조향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텐셜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의 현재 위치 및 상기 로봇의 목표 위치에 기초하여 흡인 포텐셜 필드(attractive potential field)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반발 포텐셜 필드(repulsive potential field)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흡인 포텐셜 필드 및 상기 반발 포텐셜 필드를 혼합함으로써 상기 포텐셜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텐셜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의 목표 위치를 음전하로 모델링하고, 상기 장애물을 양전하로 모델링하며, 상기 로봇을 양전하로 모델링 함으로써 상기 포텐셜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정보는
기 학습된 신경망을 이용하여 생성되며, 상기 거리 센서에 의하여 센싱된 영상 내 상기 주변 장애물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각각은
상기 로봇이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방향 후보들의 점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이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방향 후보들 중 상기 포텐셜 필드 상의 포텐셜 값이 낮은 후보일수록 더 큰 점수를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이 상기 현재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방향 후보들 중 상기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회피하는 후보일수록 더 큰 점수를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를 위한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정보를 위한 제2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를 가중 합산함으로써, 상기 로봇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로봇을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로봇이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로봇의 현재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율 주행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의 현재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이 상기 목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1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로봇의 현재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방법. -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로봇의 주행 영상을 촬영하는 비전 센서;
상기 로봇과 주변 객체와의 거리를 센싱하는 거리 센서; 및
상기 주행 영상에서 객체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각도들에 대응하여 센싱되는 거리 값들 및 상기 각도들에 기초하여 제1 조향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상기 주행 영상에서 상기 객체가 인식된 위치에 따른 오류와 PID 제어의 비례 이득(proportional gain)에 기초하여 제2 조향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객체의 인식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조향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조향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향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각도들에 대응하여 상기 거리 값들을 센싱하고, 상기 거리 값들과 상기 복수의 각도들의 코사인 값들에 기초하여 제1 축의 값들의 합을 계산하고, 상기 거리 값들과 상기 복수의 각도들의 사인 값들에 기초하여 제2 축의 값들의 합을 계산하며, 상기 제1 축의 값들의 합과 상기 제2 축의 값들의 합 사이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향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자율 주행 장치. - 작업장 내 로봇의 현재 위치, 상기 로봇의 목표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비전 센서;
상기 로봇과 주변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거리 센서; 및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포텐셜 필드를 생성하고, 상기 포텐셜 필드에 기초하여 상기 로봇의 이동 방향에 관한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주변 장애물의 인식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의 이동 방향에 관한 제2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로봇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주행 경로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각도들에 대응하여 거리 값들을 센싱하고, 상기 거리 값들과 상기 복수의 각도들의 코사인 값들에 기초하여 제1 축의 값들의 합을 계산하고, 상기 거리 값들과 상기 복수의 각도들의 사인 값들에 기초하여 제2 축의 값들의 합을 계산하며, 상기 제1 축의 값들의 합과 상기 제2 축의 값들의 합 사이의 비율에 기초하여 제1 조향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자율 주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92025 | 2019-07-29 | ||
KR1020190092025 | 2019-07-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4065A KR20210014065A (ko) | 2021-02-08 |
KR102230144B1 true KR102230144B1 (ko) | 2021-03-22 |
Family
ID=7456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5141A Active KR102230144B1 (ko) | 2019-07-29 | 2020-05-08 | 인공 지능 심층 학습 타겟 탐지 및 속도 퍼텐셜 필드 알고리즘 기반 장애물 회피 및 자율 주행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0144B1 (ko)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0613B1 (ko) | 2021-05-14 | 2021-10-12 | 주식회사 인피닉 | 연속된 2d 이미지에서 객체 추적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10611B1 (ko) | 2021-06-17 | 2021-10-13 | 주식회사 인피닉 | 2d 경로 추론을 통한 동일 객체 추적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10609B1 (ko) | 2021-05-14 | 2021-10-13 | 주식회사 인피닉 | 3d 데이터를 이용한 2d 이미지의 전처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10612B1 (ko) | 2021-06-17 | 2021-10-13 | 주식회사 인피닉 | 라이다 점군에서 특정된 객체 정보를 이용한 2d 이미지 객체 예측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13940B1 (ko) | 2021-05-14 | 2021-10-18 | 주식회사 인피닉 | 연속된 3d 데이터에서 객체 추적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13918B1 (ko) | 2021-05-14 | 2021-10-18 | 주식회사 인피닉 | 3d 데이터와 2d 이미지의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13938B1 (ko) | 2021-06-17 | 2021-10-18 | 주식회사 인피닉 | 3d 경로 추론을 통한 동일 객체 추적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13944B1 (ko) | 2021-05-14 | 2021-10-18 | 주식회사 인피닉 | 화각의 경계를 넘어가는 객체 추적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43054B1 (ko) | 2021-06-17 | 2021-12-24 | 주식회사 인피닉 | 3d 데이터 어노테이션 결과물의 대체 및 확대 적용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43042B1 (ko) | 2021-05-14 | 2021-12-24 | 주식회사 인피닉 | 연속된 3d 데이터에서 객체 품질 향상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43052B1 (ko) | 2021-06-17 | 2021-12-24 | 주식회사 인피닉 |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2d 이미지에서의 객체의 이동 경로를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43051B1 (ko) | 2021-06-17 | 2021-12-24 | 주식회사 인피닉 | 라이다 점군으로부터 카메라 이미지의 바운딩 박스를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43053B1 (ko) | 2021-06-17 | 2021-12-24 | 주식회사 인피닉 | 라이다 점군의 3d 바운딩 박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43041B1 (ko) | 2021-05-14 | 2021-12-24 | 주식회사 인피닉 | 3d 데이터에서 객체 자동 특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20230149736A (ko) | 2022-04-19 | 2023-10-27 | 주식회사 인피닉 | 객체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613162B1 (ko) | 2023-04-25 | 2023-12-13 | 주식회사 인피닉 | 3d 점군 데이터의 어노테이션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337430B (zh) * | 2022-08-11 | 2024-06-07 | 深圳市隆瑞科技有限公司 | 一种喷雾小车的控制方法和装置 |
CN116512237B (zh) * | 2022-11-28 | 2023-09-19 | 广东建石科技有限公司 | 工业机器人视觉伺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7093005B (zh) * | 2023-10-16 | 2024-01-30 | 华东交通大学 | 一种智能汽车自主避障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7689B1 (ko) * | 2017-11-24 | 2019-04-11 | (주)유프랜드 | 작업자 추종형 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된 이동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126642B2 (en) * | 2008-10-24 | 2012-02-28 | Gray & Company, Inc. | Control and systems for autonomously driven vehicles |
KR101338246B1 (ko) * | 2012-02-16 | 2013-12-0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동로봇의 충돌방지 시스템 및 방법 |
KR102049863B1 (ko) * | 2017-12-26 | 2020-01-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
2020
- 2020-05-08 KR KR1020200055141A patent/KR10223014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7689B1 (ko) * | 2017-11-24 | 2019-04-11 | (주)유프랜드 | 작업자 추종형 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된 이동장치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3944B1 (ko) | 2021-05-14 | 2021-10-18 | 주식회사 인피닉 | 화각의 경계를 넘어가는 객체 추적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43041B1 (ko) | 2021-05-14 | 2021-12-24 | 주식회사 인피닉 | 3d 데이터에서 객체 자동 특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10609B1 (ko) | 2021-05-14 | 2021-10-13 | 주식회사 인피닉 | 3d 데이터를 이용한 2d 이미지의 전처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43042B1 (ko) | 2021-05-14 | 2021-12-24 | 주식회사 인피닉 | 연속된 3d 데이터에서 객체 품질 향상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13940B1 (ko) | 2021-05-14 | 2021-10-18 | 주식회사 인피닉 | 연속된 3d 데이터에서 객체 추적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13918B1 (ko) | 2021-05-14 | 2021-10-18 | 주식회사 인피닉 | 3d 데이터와 2d 이미지의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10613B1 (ko) | 2021-05-14 | 2021-10-12 | 주식회사 인피닉 | 연속된 2d 이미지에서 객체 추적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43054B1 (ko) | 2021-06-17 | 2021-12-24 | 주식회사 인피닉 | 3d 데이터 어노테이션 결과물의 대체 및 확대 적용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13938B1 (ko) | 2021-06-17 | 2021-10-18 | 주식회사 인피닉 | 3d 경로 추론을 통한 동일 객체 추적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10612B1 (ko) | 2021-06-17 | 2021-10-13 | 주식회사 인피닉 | 라이다 점군에서 특정된 객체 정보를 이용한 2d 이미지 객체 예측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43052B1 (ko) | 2021-06-17 | 2021-12-24 | 주식회사 인피닉 |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2d 이미지에서의 객체의 이동 경로를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43051B1 (ko) | 2021-06-17 | 2021-12-24 | 주식회사 인피닉 | 라이다 점군으로부터 카메라 이미지의 바운딩 박스를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43053B1 (ko) | 2021-06-17 | 2021-12-24 | 주식회사 인피닉 | 라이다 점군의 3d 바운딩 박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10611B1 (ko) | 2021-06-17 | 2021-10-13 | 주식회사 인피닉 | 2d 경로 추론을 통한 동일 객체 추적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20230149736A (ko) | 2022-04-19 | 2023-10-27 | 주식회사 인피닉 | 객체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613162B1 (ko) | 2023-04-25 | 2023-12-13 | 주식회사 인피닉 | 3d 점군 데이터의 어노테이션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4065A (ko) | 2021-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0144B1 (ko) | 인공 지능 심층 학습 타겟 탐지 및 속도 퍼텐셜 필드 알고리즘 기반 장애물 회피 및 자율 주행 방법 및 장치 | |
CN113168184B (zh) | 地形感知步伐计划系统 | |
Harapanahalli et al. | Autonomous Navigation of mobile robots in factory environment | |
Matthies et al. | Stereo vision-based obstacle avoidance for micro air vehicles using disparity space | |
Vanneste et al. | 3DVFH+: Real-time three-dimensional obstacle avoidance using an Octomap | |
CN108475059A (zh) | 自主视觉导航 | |
González-Sieira et al. | Autonomous navigation for UAVs managing motion and sensing uncertainty | |
JP7130062B2 (ja) | 経路決定方法 | |
Dobrevski et al. | Dynamic adaptive dynamic window approach | |
Smith et al. | Real-time egocentric navigation using 3d sensing | |
Irfan et al. | Vision-based guidance and navigation for autonomous mav in indoor environment | |
Santos et al. | Navigation stack for robots working in steep slope vineyard | |
Sheikh et al. | Stereo vision-based optimal path planning with stochastic maps for mobile robot navigation | |
Muravyev et al. | Enhancing exploration algorithms for navigation with visual SLAM | |
Wu et al. | Real-time three-dimensional smooth path planning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in completely unknown cluttered environments | |
Wang et al. | Whole‐body motion planning and tracking of a mobile robot with a gimbal RGB‐D camera for outdoor 3D exploration | |
Abdulov et al. | Visual odometry approaches to autonomous navigation for multicopter model in virtual indoor environment | |
Piccinelli et al. | Hybrid motion planner integrating global voronoi diagrams and local velocity obstacle method | |
CN115690343A (zh) | 一种基于视觉跟随的机器人激光雷达扫描建图方法 | |
Akmandor et al. | Reactive navigation framework for mobile robots by heuristically evaluated pre-sampled trajectories | |
Akmandor et al. | A 3d reactive navigation algorithm for mobile robots by using tentacle-based sampling | |
Tsardoulias et al. | Cost-based target selection techniques towards full space exploration and coverage for USAR applications in a priori unknown environments | |
Sanchez-Rodriguez et al. | Onboard plane-wise 3D mapping using super-pixels and stereo vision for autonomous flight of a hexacopter | |
Stasse | SLAM and vision-based humanoid navigation | |
Tran-Ngoc et al. | Gait-Adaptive Navigation and Human Searching in field with Cyborg Inse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5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