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9025B1 -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025B1
KR102229025B1 KR1020190087898A KR20190087898A KR102229025B1 KR 102229025 B1 KR102229025 B1 KR 102229025B1 KR 1020190087898 A KR1020190087898 A KR 1020190087898A KR 20190087898 A KR20190087898 A KR 20190087898A KR 102229025 B1 KR102229025 B1 KR 102229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kit
viscosity measurement
blood viscosity
small blo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234A (ko
Inventor
이동환
이의호
이의윤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7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025B1/ko
Priority to PCT/KR2020/008802 priority patent/WO2021015447A1/ko
Priority to JP2022503805A priority patent/JP7298007B2/ja
Priority to EP20843829.1A priority patent/EP3974803A4/en
Priority to US17/628,441 priority patent/US20220257123A1/en
Priority to CN202080052351.0A priority patent/CN114144653B/zh
Publication of KR20210010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0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11/02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 G01N11/04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through a restricted passage, e.g. tube, aper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028Determining haemodynamic paramet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ardiac contractility or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 A61B5/02035Determining blood viscos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01L2300/088Channel loo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2011/006Determining flow properties indirectly by measuring other parameters of th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ard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c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혈액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에 있어서, 키트 몸체; 상기 키트 몸체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혈액이 주입될 수 있는 양측 혈액관 및 상기 양측 혈액관의 하측과 연결되는 미세 채널을 포함하여, 하나의 양측 혈액관으로 혈액이 주입되면, 상기 미세 채널을 통해 다른 하나의 양측 혈액관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수용하여 보관하고, 자동으로 상기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공급할 수 있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Small Blood Viscosity Measurement Kit and Its Cartridge}
본 발명은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기존의 혈액점도 측정에 활용되었던 혈액점도측정 장치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구조를 소형화 및 일체화하여 제작 공정이 단순하고 제작 비용이 저렴하며 혈액 점도 측정을 위한 자동화 장비에 사용이 용이한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혈액의 점도는 혈관 내 혈액의 유동에 의한 유동저항을 나타내는 물성치이며, 구체적으로 전혈점도와 혈장점도로 나눌 수 있다. 혈액점도의 비정상적인 증가는, 혈관 내벽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및 유동 저항의 증가를 일으켜 급성 심혈관 질환 및 미세혈관 질환의 발병 위험을 현저히 높이게 된다. 또한, 혈장점도는 체내의 염증상태를 진단하는데 활용될 뿐만 아니라, 전혈점도를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다.
전혈점도는 심장의 수축기 및 이완기에 따라 계속적으로 점도가 변화하는 유동 특성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전혈 안에 있는 적혈구와 혈장단백질들의 상호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해 혈액이 빠른 속도로 흐를 때(전단율이 높을 때)에는 점도가 낮아지고, 반대로 혈액이 느린 속도로 흐를 때(전단율이 낮을 때)에는 점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동 특성을 보이는 유체를 비뉴턴성 유체라고 부르며, 혈액의 비뉴턴성 유동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체 전단율 (예: 1 ~ 1,000 s^-1)에 대한 전혈점도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상용화되어 임상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혈액점도 측정 방법으로는 U자형 2중 수직관/단일 모세관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기술이 대표적이다.
해당 기술에 대하여 간략히 요약하자면, 좌우 두 수직관에 혈액을 서로 다른 높이로 채우고, 중력에 의해 혈액의 높이가 자연적으로 맞춰지는 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혈액 점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U자형 2중 수직관/단일 모세관 점도계는 일회용 U자형 튜브를 사용하여 세척이 필요 없어 임상에서 활용하기가 용이하며 감염의 우려가 없으며, 1~1000 s^-1 전단율 영역에 대한 점도 측정이 가능하고, 전혈점도 및 혈장점도 측정이 가능하다.
U자형 2중 수직관/단일 모세관 점도계는 하기와 같은 단점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1) U자형 2중 수직관/단일 모세관 튜브를 제작하는데 10종 이상의 많은 부품이 요구되며 각 부품별 전체 수동 조립 공정이 필요하여,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제작 단가가 비싸다.
2) 인체와 유사한 36.5℃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튜브 예열 및 온도 유지를 위해 밀폐형 구조로 이루어져, U튜브 내 혈액샘플 이동 상황 모니터링이 불가능하여 측정 중 에러 인지가 불가능하다.
3) U자형 2중 수직관/단일 모세관 튜브 크기가 커서 측정 전 체온과 유사한 36.5℃까지 예열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4) 전혈점도 측정을 위해서 3.0 mL의 많은 양의 전혈이 필요하여 채혈 부담이 크다.
5) U자형 2중 수직관/단일 모세관 튜브의 크기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여 자동화 된 검사기에 적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가 개선된 혈액점도측정 키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기존의 혈액점도 측정에 활용되었던 혈액점도측정 장치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구조를 소형화 및 일체화하여 제작 공정이 단순하고 제작 비용이 저렴하며 혈액 점도 측정을 위한 자동화 장비에 사용이 용이한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는 혈액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에 있어서, 키트 몸체; 상기 키트 몸체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혈액이 주입될 수 있는 양측 혈액관 및 상기 양측 혈액관의 하측과 연결되는 미세 채널을 포함하여, 하나의 양측 혈액관으로 혈액이 주입되면, 상기 미세 채널을 통해 다른 하나의 양측 혈액관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세 채널은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되,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 채널은 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1 굴곡부 및 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2 굴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굴곡부와 제2 굴곡부가 좌우방향으로 교번되는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는 상기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의 총 개수, 상기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의 폭, 상기 미세 채널의 간격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미세 채널의 유동 저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 채널은 하면이 개방되게 상기 키트 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양측 혈액관은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는 상기 카트 몸체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미세 채널, 양측 혈액관의 개방된 하측을 밀폐하는 미세 채널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채널 커버는 상기 미세 채널 및 양측 혈액관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미세 채널 및 양측 혈액관에 삽입되는 밀폐돌기 및 상기 키트 몸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돌기의 높이는 상기 미세 채널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트 몸체는 바닥면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결합홈 및 상기 제1 결합홈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면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1 결합돌기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혈액 주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 혈액관 상측에 삽입되는 주입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액 주입홀은 상단에서 하측으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주입홀 및 하단에서 상측으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협하광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주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주입홀보다 상기 하부 주입홀의 직경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수용하여 보관하고, 자동으로 상기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공급할 수 있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다수의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가 수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 본체; 상기 카트리지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 및 상기 카트리지 본체 타측에 설치되어 하나의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상기 카트리지 본체 외부로 내보낼 수 있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는 기존의 혈액점도 측정에 활용되었던 혈액점도측정 장치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구조를 소형화 및 일체화하여 제작 공정이 단순하고 별도의 조립 공정이 필요없으며, 이에 제작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내부가 투명하게 보이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혈액샘플 이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외부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키트의 크기가 소형화되어 단 시간내 36.5℃까지 빠르게 예열 가능하며, 혈액점도 측정을 위한 샘플 요구량이 1.0mL이하로 감소되어 채혈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혈액 점도 측정을 위한 자동화 장비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의 (a) 및 (b)는 도 2의 키트 본체에 형성된 미세 채널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및 저면도.
도 4는 도 2의 미세 채널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의 (a) 및 (b)는 도 2의 주입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를 도시한 투영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의 배출부의 작동에 따른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의 (a) 및 (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의 배출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의 (a) 및 (b)는 도 2의 키트 본체에 형성된 미세 채널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및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미세 채널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6의 (a) 및 (b)는 도 2의 주입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는 키트 몸체(10), 양측 혈액관(11), 미세 채널(12), 미세 채널 커버(13) 및 주입 커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키트 몸체(1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혈액이 흘러갈 수 있도록 양측 혈액관(11) 및 미세 채널(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가 투명하게 보이는 구조로 이루어져 혈액이 양측 혈액관(11), 미세 채널(12)에서 이동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혈액점도 측정 중 에러 인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키트 몸체(10)는 약 폭 60mm X 높이 70mm 이내로 형성되어 크기가 소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혈액점도 시 필요한 혈액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혈액 주입 시 인체와 유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키트를 36.5℃로 예열하는 것이 필요한데 예열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키트 몸체(10)는 미세 채널 커버(13)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결합홈(100) 및 제2 결합홈(1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홈(100)은 키트 몸체(10) 바닥면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제1 결합돌기(1310)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결합홈(101)은 제1 결합홈(100)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전측과 후측으로 지그재그되게 다수개가 형성되어 제2 결합돌기(1311)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홈(101)은 제1 굴곡부(120)와 제1 굴곡부(120)간의 사이, 제2 굴곡부(121)와 제2 굴곡부(121)간의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홈(101)은 상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양측 혈액관(11)은 키트 몸체(10)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혈액이 주입될 수 있다. 여기서, 양측 혈액관(11)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키트 몸체(10) 상면과 수직되게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키트 몸체(10) 상단 양측에서 중앙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양측 혈액관(11)은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미세 채널 커버(13)에 의해 개방된 하측이 밀폐될 수 있다. 이에 양측 혈액관(11)으로 주입된 혈액이 외부로 빠지지 않고 미세 채널(12)로 흐를 수 있다.
또한, 양측 혈액관(11)은 상단에 주입 커버(14)가 삽입될 수 있는 커버삽입홈(11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삽입홈(110)은 양측 혈액관(11) 상단에 양측 혈액관(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주입 커버(14)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주입 커버(14)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양측 혈액관(11)은 미세 채널(12)에 의해 하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하나의 양측 혈액관(11)으로 혈액이 주입되면, 미세 채널(12)을 통해 다른 하나의 양측 혈액관(11)으로 공급될 수 있다.
미세 채널(12)은 두 양측 혈액관(11)의 하측과 각각 연결되어 두 양측 혈액관(11)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미세 채널(12)은 두 양측 혈액관(11)을 연결시키고 혈액이 유동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되,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미세 채널(12)이 직선으로 형성될 경우, 적합한 유동 저항을 생성할 수 없는 한계로 각 양측 혈액관(11)에서의 혈액 높이가 동일해질 때 혈액에 flutuation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미세 채널(12)을 굴곡지게 형성하여 원하는 크기로 유동 저항을 자유롭게 형성하고 이에 flutuation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미세 채널(12)은 도 3과 같이, 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1 굴곡부(120) 및 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2 굴곡부(121)를 포함하되, 제1 굴곡부(120)와 제2 굴곡부(121)가 좌우방향으로 교번되어 파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굴곡부(120) 및 제2 굴곡부(121)는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U'자 형, 반원형, 'ㄷ'자 형, 'V'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세 채널(12)이 형성됨으로써, 유동의 flutuation을 최소화하고, 미세 채널(12)의 유동 저항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각 양측 수직관()에서의 혈액 높이가 동일해 질 때 원하는 유속으로 혈액 높이가 맞춰질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점도를 측정하는 혈액의 양이 적을 때는 유동 저항을 낮춰 유동 속도를 증가시키고, 반대로 혈액의 양이 많을 때는 유동 저항을 높여 유동 속도를 감소시켜서 항상 일정한 유동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일정한 혈액 점도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세 채널(12)의 유동 저항에 대한 조절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기존에는 유동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채널의 크기를 작게하거나, 채널 내부의 거칠기를 더 거칠게 하는 것으로 유동 저항을 조절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들로는 원하는 크기로 유동 저항을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미세 채널(12)이 형성됨으로써,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의 총 개수,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의 폭(W), 미세 채널의 간격(L)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것으로 미세 채널(12)의 유동 저항을 원하는 바에 맞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의 총 개수를 늘려 유동 저항을 증가시키거나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의 총 개수를 줄여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유동 속도를 느리거나 빠르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미세 채널(12)의 크기(D)는 최소 0.8mm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혈액은 물과 같은 혈장 성분에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이 섞여 있어, 0.8mm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이 미세 채널(12)의 중앙에만 모이게 되어 세포들에 의한 마찰저항이 무시되어 정확한 혈액점도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세 채널(12)은 키트 몸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미세 채널(12)의 개방된 하측은 미세 채널 커버(13)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는 굴곡지게 형성된 미세 채널(12)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고, 미세 채널(12)이 미세 채널 커버(13)의 분리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여 사용 후에 세척 및 소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폐기 처분 시에도 혈액을 용이하게 씻어낸 후 버릴 수 있어 청결할 수 있다.
미세 채널 커버(13)는 키트 몸체(10)의 하부에 장착되어 미세 채널(12), 양측 혈액관(12)의 개방된 하측을 밀폐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 채널 커버(13)는 도 4와 같이, 밀폐돌기(130) 및 결합돌기(131)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돌기(130)는 미세 채널(12) 및 양측 혈액관(11)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미세 채널(12) 및 양측 혈액관(11)에 하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밀폐돌기(130)는 높이가 미세 채널(12)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결합 시, 도 5와 같이, 이격 공간이 있도록 함으로써, 양측 혈액관(11)에 주입된 혈액이 미세 채널(12)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한다.
결합돌기(131)는 키트 몸체(10)의 제1 결합홈(100) 및 제2 결합홈(10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돌기(131)는 제1 결합돌기(1310) 및 제2 결합돌기(1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310)는 미세 채널 커버(13)의 상면에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키트 몸체(10)의 제1 결합홈(100)에 삽입되어 키트 몸체(10)와 미세 채널 커버(13)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311)는 미세 채널 커버(13)와 키트 몸체(10)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결합돌기(1310)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전측과 후측으로 지그재그되게 다수개가 형성되어 제2 결합홈(10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돌기(1311)는 상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결합홈(101)에 제2 결합돌기(1311)가 삽입됨에 따라 결합력은 향상되면서, 분리 시 미세 채널 커버(13)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주입 커버(14)는 양측 혈액관(11) 상측에 형성된 커버삽입홈(110)에 삽입되어, 파이펫으로 양측 혈액관(11)에 혈액 주입할 경우 외부 공기가 혈액과 같이 주입되지 않도록 하여 혈액에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혈액에 생긴 기포에 의해 혈액의 유동이 방해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주입 커버(14)는 혈액 주입홀(140) 및 마찰돌기(14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혈액 주입홀(140)은 주입 커버(14)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부 주입홀(1400) 및 하부 주입홀(14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주입홀(1400)는 주입 커버(14) 상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파이펫으로 혈액 주입 시 파이펫의 경사진 구조와 상부 주입홀(1400)가 정확하게 일치되어, 파이펫과 상부 주입홀(1400)가 밀착된 상태로 혈액이 주입될 수 있어 외부 공기가 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주입홀(1401)는 주입 커버(14) 하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단에서 상단으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협하광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주입홀(1401)는 상부 주입홀(1400)과 바로 연결될 수 있으나, 중간 주입홀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중간 주입홀은 상단부터 하단까지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하부 주입홀(1401)와 상부 주입홀(1400)를 연결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파이펫의 경사진 구조 끝 부분까지 밀착되게 하여 외부 공기 유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주입홀(1401)는 상부 주입홀(1400)보다 하부 주입홀(1401)의 직경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주입홀(1401)이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파이펫을 통한 혈액 주입 시 만약 외부 공기가 조음이라도 함께 유입된다면, 그 유입된 공기가 혈액을 따라 미세 채널(12)로 들어가지 않고 하부 주입홀(1401)에 머무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혈액에 기포가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찰돌기(141)는 주입 커버(14)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주입 커버(14)가 커버삽입홈(110)에 삽입될 시 마찰에 의해 고정이 더 견고하게 되고 외부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를 다수개 보관할 수 있고, 보관하고 있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2)에 대해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를 도시한 투영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2)는 카트리지 본체(20), 이동부(21) 및 배출부(22a)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카트리지 본체(20)는 내부에 다수의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를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가 빈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20)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가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배출홀(200)을 포함하고, 내부에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가 채워질 수 있도록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홀(200)은 카트리지 본체(20) 타측 상면에 형성되어, 카트리지 본체(20) 내부에 있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를 배출할 수 있다.
도어는 카트리지 본체(20) 일측에 형성되어 카트리지 본체(20)가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를 카트리지 본체(20)에 용이하게 채울 수 있다.
이동부(21)는 카트리지 본체(20)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를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부(21)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 등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로 형성될 경우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에 탄성력을 주어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가 빠져나감에 따라 공간이 형성되면 탄성력에 의해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가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실린더로 구비될 경우 인출에 의해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를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배출부(22a)는 카트리지 본체(20) 타측에 설치되어 제일 타측끝에 위치한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를 카트리지 본체(20)가 빠질 수 있도록 외부로 내보낼 수 있다.
배출부(22a)는 승강판(220a) 및 승강실린더(221a)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판(220a)은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승강실린더(221a)에 의해 승하강 될 수 있고, 승강함에 따라 상측에 올려져 있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2)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이동부(21) 및 배출부(22a)를 각각 제어하여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가 카트리지 본체(20) 밖으로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배출부(22a)에 설치되어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를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배출부(22a) 상측에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동부(21) 및 배출부(22a)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2)는 제1 실시예와 다른 형태로 배출부(22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22b)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2)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배출부(22b)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배출부(22b)는 카트리지 본체(20) 내부에서 정면에서 하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가 이동부(21)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되면 배출부(22b)의 경사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가 배출홀(200)로 배출될 수 있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의 배출부의 작동에 따른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2)는 제1 실시예와 다른 형태로 배출부(22c)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22c)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2)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배출부(22c)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배출부(22c)는 전자석(220c), 가이드부(221c) 및 자석판(222c)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220c)은 카트리지 본체(20) 하면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전기가 흐르면 자기화되고 전기가 끊기면 자기화되지 않은 원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이에 전자석(220c)은 자기화되면 상측에 설치된 자석판(222c)을 상측으로 밀어낼 수 있고, 자기화되지 않으면 자석판(222c)도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221c)는 카트리지 본체(20) 타측 양측면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자석판(222c)이 가이드부(221c)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가이드부(221c)에 자석판(222c)의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부(221c)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자석판(222c)은 전자석(220c) 상측에 설치되고 양단에 가이드부(221c)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석판(222c)은 자기화된 전자석(220c)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나 상측에 위치하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자기화되지 않고 원상태로 전자석(220c)이 돌아가면 하측으로 다시 내려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의 (a) 및 (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의 배출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2)는 제1 실시예와 다른 형태로 배출부(22d)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22d), 배출홀(200)의 위치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2)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배출부(22d) 및 배출홀(20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배출홀(200)은 카트리지 본체(20) 타측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이동부(21)에 의해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가 타측으로 밀려나면 최타측끝단에 위치하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는 배출홀(200)로 바로 빠질 수 있다.
배출부(22d)는 가이드판(220d) 및 받침판(221d)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판(220d)은 카트리지 본체(20) 하면 양측에 하측으로 수직되게 형성되되, 배출홀(200)이 형성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판(220d)은 상면에서 바라볼 때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출홀(200)로 빠져나오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가 가이드판(220d)을 따라 내려올 수 있다.
받침판(221d)은 가이드판(220d) 하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이드판(220d)을 따라 내려오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를 떨어지지 않도록 바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면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를 하측으로 잡아당기는 것으로 받침판(221d)이 회동되어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1)가 빠져나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는 기존의 혈액점도 측정에 활용되었던 혈액점도측정 장치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구조를 소형화 및 일체화하여 제작 공정이 단순하고 별도의 조립 공정이 필요없으며, 이에 제작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내부가 투명하게 보이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혈액샘플 이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외부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키트의 크기가 소형화되어 단 시간내 36.5℃까지 빠르게 예열 가능하며, 혈액점도 측정을 위한 샘플 요구량이 1.0mL이하로 감소되어 채혈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혈액 점도 측정을 위한 자동화 장비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를 제1 내지 제4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10: 키트 몸체
100: 제1 결합홈
101: 제2 결합홈
11: 양측 혈액관
110: 커버삽입홈
12: 미세 채널
120: 제1 굴곡부
121: 제2 굴곡부
13: 미세 채널 커버
130: 밀폐돌기
131: 결합돌기
1310: 제1 결합돌기
1311: 제2 결합돌기
14: 주입 커버
140: 혈액 주입홀
1400: 상부 주입홀
1401: 하부 주입홀
141: 마찰돌기
2: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
20: 카트리지 본체
200: 배출홀
21: 이동부
22a, b, c, d: 배출부
220a: 승강판
221a: 승강실린더
220c: 전자석
221c: 가이드부
222c: 자석판
220d: 가이드판
221d: 받침판

Claims (9)

  1. 혈액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에 있어서,
    키트 몸체;
    상기 키트 몸체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혈액이 주입될 수 있는 양측 혈액관 및
    상기 양측 혈액관의 하측과 연결되는 미세 채널을 포함하여,
    하나의 양측 혈액관으로 혈액이 주입되면, 상기 미세 채널을 통해 다른 하나의 양측 혈액관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미세 채널은,
    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1 굴곡부 및
    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2 굴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굴곡부와 제2 굴곡부가 좌우방향으로 교번되는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의 총 개수, 상기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의 폭, 상기 미세 채널의 간격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미세 채널의 유동 저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채널은,
    하면이 개방되게 상기 키트 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양측 혈액관은,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는,
    상기 키트 몸체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미세 채널, 양측 혈액관의 개방된 하측을 밀폐하는 미세 채널 커버를 더 포함하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혈액 주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 혈액관 상측에 삽입되는 주입 커버를 포함하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주입홀은,
    상단에서 하측으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주입홀 및
    하단에서 상측으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협하광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주입홀을 포함하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8. 다수의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수용하여 보관하고, 자동으로 상기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는,
    키트 몸체;
    상기 키트 몸체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혈액이 주입될 수 있는 양측 혈액관 및
    상기 양측 혈액관의 하측과 연결되는 미세 채널을 포함하여,
    하나의 양측 혈액관으로 혈액이 주입되면, 상기 미세 채널을 통해 다른 하나의 양측 혈액관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미세 채널은,
    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1 굴곡부 및
    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2 굴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굴곡부와 제2 굴곡부가 좌우방향으로 교번되는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의 총 개수, 상기 제1 굴곡부 및 제2 굴곡부의 폭, 상기 미세 채널의 간격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미세 채널의 유동 저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내부에 다수의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가 수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 본체;
    상기 카트리지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 및
    상기 카트리지 본체 타측에 설치되어 하나의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를 상기 카트리지 본체 외부로 내보낼 수 있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카트리지.
KR1020190087898A 2019-07-19 2019-07-19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 Active KR10222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898A KR102229025B1 (ko) 2019-07-19 2019-07-19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
PCT/KR2020/008802 WO2021015447A1 (ko) 2019-07-19 2020-07-06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
JP2022503805A JP7298007B2 (ja) 2019-07-19 2020-07-06 小型血液粘度測定キット及びそのカートリッジ
EP20843829.1A EP3974803A4 (en) 2019-07-19 2020-07-06 COMPACT BLOOD VISCOSITY MEASUREMENT KIT AND CASSETTE THEREOF
US17/628,441 US20220257123A1 (en) 2019-07-19 2020-07-06 Small blood viscosity measurement kit and cartridge therefor
CN202080052351.0A CN114144653B (zh) 2019-07-19 2020-07-06 小型血液粘度测量试剂盒及其卡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898A KR102229025B1 (ko) 2019-07-19 2019-07-19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234A KR20210010234A (ko) 2021-01-27
KR102229025B1 true KR102229025B1 (ko) 2021-03-17

Family

ID=74193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898A Active KR102229025B1 (ko) 2019-07-19 2019-07-19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57123A1 (ko)
EP (1) EP3974803A4 (ko)
JP (1) JP7298007B2 (ko)
KR (1) KR102229025B1 (ko)
CN (1) CN114144653B (ko)
WO (1) WO20210154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4021B1 (ko) * 2021-08-30 2025-02-11 (주) 레올로지솔루션즈 신뢰성이 향상된 회전식 레오미터 및 혈액 점도의 측정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752B1 (ko) * 2013-01-16 2014-03-1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유체 유닛, 미세 유체 디스크, 디스크형 미세 유체 시스템, 및 생화학 검사 방법
KR101476923B1 (ko) * 2013-08-28 2014-12-26 김보곤 혈액점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액점도측정방법
KR101701334B1 (ko) 2015-11-24 2017-02-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포터블 혈액점도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9685B2 (ja) * 1987-04-17 1995-12-20 東洋紡績株式会社 細管式粘度計
US5008081A (en) * 1988-10-11 1991-04-16 Kd Group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elt indexing
JP2903273B2 (ja) * 1992-04-20 1999-06-0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乾式分析フィルム片の搬送方法及びカートリッジ
US5534224A (en) * 1993-07-16 1996-07-09 Fuji Photo Film Co., Ltd. Chemical analysis film cartridge
US5629209A (en) * 1995-10-19 1997-05-13 Braun, Sr.; Walter J.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viscosity changes in fluids
US6322525B1 (en) * 1997-08-28 2001-11-27 Visco Technologies, Inc. Method of analyzing data from a circulating blood viscometer for determining absolute and effective blood viscosity
US6402703B1 (en) 1997-08-28 2002-06-11 Visco Technologies, Inc. Dual riser/single capillary viscometer
US20020155033A1 (en) * 2000-10-06 2002-10-24 Protasis Corporation Fluid Separate conduit cartridge
AU2002248149A1 (en) * 2000-11-16 2002-08-12 Fluidigm Corporation Microfluidic devices for introducing and dispensing fluids from microfluidic systems
JP3803078B2 (ja) * 2002-09-20 2006-08-02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血液分析装置及び血漿分離方法
US7059176B2 (en) * 2003-06-18 2006-06-13 Integrated Sensing Systems, Inc. Resonant tube viscosity sensing device
EP1687626A4 (en) * 2003-06-23 2009-11-25 Sewon Meditech Inc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CAPACITY OF BLOOD CELLS
DE10360814A1 (de) * 2003-12-23 2005-07-28 Dade Behring Marburg Gmbh Kartusche zur Funktionskontrolle einer Vorrichtung für die Untersuchung der Blutplättchenfunktion, Verfahren zur Funktionskontrolle und Verwendung einer Testflüssigkeit
EP2040073A1 (en) 2007-09-20 2009-03-25 Iline Microsystems, S.L. Microfluidic device and method for fluid clotting time determination
JP5097658B2 (ja) 2008-09-17 2012-12-12 アークレイ株式会社 流量センサの調整方法
CN101603968B (zh) * 2009-07-14 2011-12-21 重庆天海医疗设备有限公司 血流变测量的封闭式自动检测装置
US8499618B2 (en) * 2009-09-25 2013-08-06 Bio-Visco Inc. Device for automatically measuring viscosity of liquid
KR100958447B1 (ko) 2009-11-16 2010-05-18 (주)바이오비스코 자동 점도측정장치
WO2016201163A1 (en) * 2015-06-10 2016-12-15 Texas Tech University System Microfluidic devices and methods for bioassays
KR101363812B1 (ko) * 2011-12-27 2014-02-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액의 이동도를 이용한 지혈기능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N204314180U (zh) * 2014-11-03 2015-05-06 绍兴新兴盛仪器有限公司 一种牵引式混凝土泵送性能试验仪
KR101732576B1 (ko) * 2015-06-25 2017-05-08 나노비즈 주식회사 듀얼시린지 타입 일회용 혈액점도측정키트 어셈블리
CN205049439U (zh) * 2015-10-09 2016-02-24 陕西省石油化工研究设计院 一种多功能可拆卸便携式粘度计
CN106645768A (zh) * 2015-10-28 2017-05-10 韩国帕克特生物科技有限公司 水平流动方式的试剂盒自动移送装置
US11865243B2 (en) * 2016-08-30 2024-01-09 Nxstage Medical, Inc. Parameter monitoring in medical treatment systems
CN107159329A (zh) * 2017-05-22 2017-09-15 天津微纳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样品检测的芯片及其封装方法
JP6948914B2 (ja) * 2017-10-30 2021-10-13 アークレイ株式会社 分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752B1 (ko) * 2013-01-16 2014-03-1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유체 유닛, 미세 유체 디스크, 디스크형 미세 유체 시스템, 및 생화학 검사 방법
KR101476923B1 (ko) * 2013-08-28 2014-12-26 김보곤 혈액점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액점도측정방법
KR101701334B1 (ko) 2015-11-24 2017-02-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포터블 혈액점도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5447A1 (ko) 2021-01-28
CN114144653B (zh) 2024-09-17
EP3974803A4 (en) 2023-08-02
KR20210010234A (ko) 2021-01-27
JP2022541577A (ja) 2022-09-26
JP7298007B2 (ja) 2023-06-26
CN114144653A (zh) 2022-03-04
US20220257123A1 (en) 2022-08-18
EP3974803A1 (en)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2039C (en) Cartridge for dispensing a fluid
JP6360568B2 (ja) 迅速な試料取り込みのためのカートリッジ
US20200323473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gravity-enhanced microfluidic collection, handling and transferring of fluids
CN101971004B (zh) 用于测量粘度的移液管系统和方法
EP2050498A1 (en) Fluid handling device for analysis of fluid samples
WO2006107262A1 (en) Apparatus for filling a sample volume defining device
JP7371850B2 (ja) 粘度測定装置、表面張力測定装置、粘度測定方法および表面張力測定方法
KR102229025B1 (ko)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
CN102124350A (zh) 分析装置及分析方法
CN112147356B (zh) 定量取液机构与微流控装置
KR101314797B1 (ko) 혈액의 산소공급능력지수 자동측정장치
KR102410659B1 (ko)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점도측정모듈
BR112015025651B1 (pt) Processo e sistema de teste para encher bocais de sistema dispensador
EP0796659A2 (en) Pipette for collecting and dispensing material samples
JP3886440B2 (ja) 試料分析装置とそれに用いる液体吸引管
KR20240036549A (ko) 소변 검사용 키트
CN1900716B (zh) 试样分析器及其组件
CN208026743U (zh) 清洗液桶组件以及免疫分析仪
CN208809161U (zh) 模块化组合式医用半自动引流计量装置
TWI650555B (zh) 微量取樣裝置
CN219400220U (zh) 可视化微量移液保存管
CA2305899A1 (en) Fixed volume liq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liquids
JP6694945B2 (ja) マイクロサンプリング装置
CN119384252A (zh) 用于液体流的初始体积的快速捕获的液体取样器
CN118356993A (zh) 一种耐腐蚀的便携式数字化移液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