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8571B1 -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 - Google Patents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571B1
KR102228571B1 KR1020170018235A KR20170018235A KR102228571B1 KR 102228571 B1 KR102228571 B1 KR 102228571B1 KR 1020170018235 A KR1020170018235 A KR 1020170018235A KR 20170018235 A KR20170018235 A KR 20170018235A KR 102228571 B1 KR102228571 B1 KR 102228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tetrazine
cyclooctene
drug delivery
delivery formulation
trea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2497A (ko
KR102228571B9 (ko
Inventor
김문석
허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폴리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폴리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폴리머
Priority to KR1020170018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571B1/ko
Priority to US16/484,870 priority patent/US11337929B2/en
Priority to PCT/KR2018/001719 priority patent/WO2018147660A1/ko
Priority to JP2019543230A priority patent/JP6893369B2/ja
Priority to EP18751180.3A priority patent/EP3581175B1/en
Publication of KR2018009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571B1/ko
Publication of KR10222857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571B9/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lactide-co-glycol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6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skin, bone, milk, cotton fibre, eggshell, oxgall or 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2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6Polysaccharides, e.g. gums, alginate; Cyclodextrin
    • A61K9/5042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phthalate or acetate succinate esters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89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와 약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 및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은 약물 주입 초반의 과도한 방출 없이 일정한 속도로 서서히 방출되어 혈중 약물 농도를 장시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항정신제 또는 항우울제 약물 투약 시 문제점이었던 약물의 과도한 초기 방출을 방지하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여러 번 투약할 필요 없이 한 번 투약으로 원하는 방출 거동을 지속적으로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물전달 제형의 제조방법은 종래 방법에 비해 간단한 공정으로서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의 제조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Drug delivery system for treatment of psychosis or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본 발명은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와 약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 및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신질환 또는 정신병은 넓은 뜻으로 정신기능에 이상을 나타내어 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병적 상태를 말하지만, 좁은 뜻으로는 선천성인 정신이상, 즉 정신지체나 인격의 변질을 일으킨 정신병질이나 심인반응(노이로제) 등을 제외한 나머지의 병적 정신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정신분열증, 정신분열형 장애, 분열정동 장애, 양극성 장애, 비양극성 조증, 뚜렛(Tourette) 증후군, 순환성 장애, 급속 주기, 초일 주기, 인격 장애, 과다 행동을 갖거나 갖지 않는 주의력 장애, 망상 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 공유 정신병적 장애, 일반적 약물 조건에 의한 정신병적 장애, 파킨슨병과 관련한 정신병적 장애, 물질-유도성 정신병적 장애 또는 달리 특정되지 않은 정신병적 장애, 범불안 장애와 같은 불안 장애, 공황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충동 조절 장애, 공포 장애 및 해리 상태를 포함한다.
우울증 또는 우울장애는 정신질환의 일종으로 의욕 저하와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을 말한다. 우울증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병하고, 그 증상이 다양한 만큼 항우울제로 사용되는 약제는 우울증, 조울증, 공황 장애, 강박성 장애, 섭식 장애, 기타 특정 불면증, 만성 동통 등의 증상을 완화 또는 치료하는 목적으로 투여된다.
신경계는 편의상 뇌와 척수를 포함하는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와 신경절들로 구성된 말초신경으로 분류되며, 이중 중추신경계는 신경정보들을 모아 통합, 조정하는 중앙처리장치에 해당한다. 중추신경계 질환은 이러한 뇌 또는 척수에 발생하는 질병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뇌종양(신경교종), 뇌경색, 고혈압성뇌출혈, 뇌좌상, 뇌동정맥기형, 뇌농양, 뇌염, 수두증, 간질, 뇌진탕, 뇌성마비, 치매, 척수종양, 척수동정맥기형, 척수 경색 등이 있다.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이란 기존 의약품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능 및 효과를 극대화시켜 필요한 양의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제형을 말한다. 특히,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를 위한 약물의 치료 효능은 일반적으로 치료에 효과적인 수준의 약물 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절한 양을 투여했는지 여부에 크게 좌우된다. 한 번에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의 약물이 투여된 경우 투여량 의존적인 부작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약물 투여와 투여 사이에 약물 농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투약 효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환자가 약물에 적응하는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서방형 약물 방출 시스템으로 약물 치료를 진행하게 되면 투약 빈도를 줄이고, 약물에 대한 환자의 순응을 향상시키고, 부작용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지연된 기간 동안 약물의 치료적 혈중 혹은 조직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현재까지 항정신제, 항우울제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 약물의 서방형 제형은 개발된 바가 없어, 효과적인 약물 전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절실하다.
마이크로캡슐은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크기를 가지는 캡슐을 말하며, 캡슐 벽과 그 캡슐에 내재된 심물질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캡슐은 얇은 합성 또는 천연 고분자 막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캡슐 벽의 화학적 구조, 두께 및 마이크로캡슐의 입자 크기에 따라 심물질의 방출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심물질로는 용매, 향료, 의약품 등을 포함하여 그 종류가 다양하고 심물질의 용도에 따라 의약 분야, 식품 분야, 화장품 분야 등의 응용 및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캡슐이 의약품에 적용될 경우, 대부분 일정한 약물 방출 속도를 가지기 어렵거나 비교적 단시간 내 약물이 방출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 시키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생체 적합성, 생분해성 등의 특징을 가지는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 전달용 마이크로캡슐의 제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 전달용 마이크로캡슐의 대표적인 제조 방법으로는 상분리법, 용매 추출법, 용매 증발법, 분무 건조법 들이 있으며, 제조 방법에 따라 입자의 크기, 약물의 방출 특성, 약물의 봉입률 등 마이크로캡슐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제조법이 선택되어야 한다.
마이크로캡슐 제형은 일정한 약물 방출 속도를 가지기 어렵거나 약물이 초기에 방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약물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 후에 이를 중심핵으로 하여 다른 생분해성 고분자로 유동층 입자 코팅법을 이용하여 코팅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약물이 봉입된 중심핵이 다른 생분해성 고분자로 코팅되기 때문에 봉입된 약물이 초기에 방출되는 비율이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에 사용되는 장비인 유동층 입자 코팅기는 현재 상업적으로나 기술적으로 고가의 약물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실제 제품화를 위한 생산 공정에서도 2단계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여야 하는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약물의 초기 방출을 억제하고 지속적인 약물 방출 및 약물의 방출 속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경제적인 새로운 제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분해성 고분자와 항정신제, 항우울제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하이드로젤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약물전달 제형을 포함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조성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물전달 제형을 통해 마이크로캡슐에서 초반에 과량 방출되던 약물을 하이드로젤에 의해 단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초반의 약물 과량 방출을 억제하고 일정한 속도로 약물 방출을 조절하여 혈중 약물 농도를 장시간 일정하게 유지시켜 치료 효과를 극대화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생분해성 고분자에 항정신제 또는 항우울제가 함유된 마이크로캡슐 및 제1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과 제2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이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에 아리피프라졸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 및 methyltetrazine-PEG4-NHS ester와 trans-cyclooctene-NHS ester또는 methyltetrazine-PEG4-NHS amine과 trans-cyclooctene-NHS amine이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에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 및 제1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과 제2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이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에 도네페질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 및 methyltetrazine-PEG4-NHS ester와 trans-cyclooctene-NHS ester 또는 methyltetrazine-PEG4-NHS amine과 trans-cyclooctene-NHS amine이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분자량 10,000 ~ 200,000 g/mol인 생분해성 고분자와 항정신제 또는 항우울제를 용매에 녹여서 약물 분산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약물 분산체 용액을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 또는 실린지에 주입시키는 단계, (c) 상기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 또는 실린지로부터 약물 분산체 용액을 분사시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d) 하이드로젤 용액에 제1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과 제2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을 첨가하여 가교 반응을 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약물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을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겔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분자량 10,000 ~ 200,000 g/mol인 생분해성 고분자와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를 용매에 녹여서 약물 분산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약물 분산체 용액을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 또는 실린지에 주입시키는 단계, (c) 상기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 또는 실린지로부터 약물 분산체 용액을 분사시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d) 하이드로젤 용액에 제1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과 제2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을 첨가하여 가교 반응을 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약물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을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겔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은 약물 주입 초반의 과도한 방출 없이 일정한 속도로 서서히 방출되어 혈중 약물 농도를 장시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항정신제, 항우울제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 투약 시 문제점이었던 약물의 과도한 초기 방출을 방지하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여러 번 투약할 필요 없이 한 번 투약으로 원하는 방출 거동을 지속적으로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물전달 제형의 제조방법은 종래 방법에 비해 간단한 공정으로서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의 제조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전달 제형을 주입하는 방법 및 약물 방출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용매를 달리하여 제조된 무수 아리피프라졸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의 1H-NMR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용매를 달리하여 제조된 무수 아리피프라졸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의 입자 크기, 광학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용액의 온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무수 아리피프라졸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의 1H-NMR 분석 결과이다.
도 5 는 용액의 온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무수 아리피프라졸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의 입자 크기, 광학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용액의 용매를 달리하여 제조된 아리피프라졸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의 1H-NMR 분석 결과이다.
도 7 은 용매를 달리하여 제조된 아리피프라졸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의 입자 크기, 광학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용액의 온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아리피프라졸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의 1H-NMR 분석 결과이다.
도 9는 용액의 온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아리피프라졸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의 입자 크기, 광학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용액의 용매를 달리하여 제조된 도네페질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의 1H-NMR 분석 결과이다.
도 11은 용액의 용매를 달리하여 제조된 도네페질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의 광학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이미지이다.
도 13은 하이드로젤 내의 마이크로캡슐의 SEM 이미지이다.
도 14는 무수 아리피프라졸의 약물 방출 결과이다.
도 15는 아리피프라졸의 약물 방출 결과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이 함유된 하이드로젤의 주사제형의 이미지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의 하이드로젤 주사제형을 쥐의 피하에 주입한 이미지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의 초기 방출 제어 및 단계적 방출을 위한 약물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과도한 초기 방출 또는 시간 경과에 따는 방출량의 급격한 감소 또는 증가 등을 극복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약물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 후, 이를 하이드로젤과 혼합하여 하이드로젤에 의해 2차적으로 약물 방출량 및 속도가 조절되는 약물전달 제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신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은 생분해성 고분자에 항정신제 또는 항우울제가 함유된 마이크로캡슐 및 제1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과 제2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이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은 생분해성 고분자에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 및 제1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과 제2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이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신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의 제조방법은 (a) 분자량 10,000 ~ 200,000 g/mol인 생분해성 고분자와 항정신제 또는 항우울제를 용매에 녹여서 약물 분산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약물 분산체 용액을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 또는 실린지에 주입시키는 단계, (c) 상기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 또는 실린지로부터 약물 분산체 용액을 분사시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d) 하이드로젤 용액에 제1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과 제2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을 첨가하여 가교 반응을 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약물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을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겔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제의 제조방법은 (a) 분자량 10,000 ~ 200,000 g/mol인 생분해성 고분자와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를 용매에 녹여서 약물 분산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약물 분산체 용액을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 또는 실린지에 주입시키는 단계, (c) 상기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 또는 실린지로부터 약물 분산체 용액을 분사시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d) 하이드로젤 용액에 제1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과 제2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을 첨가하여 가교 반응을 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약물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을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겔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는 마이크로캡슐을 둘러싸고 있는 외벽물질(shell)로 사용되며,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종류 및 조성에 따라 약물 방출 속도가 1차적으로 제어된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내부에 심물질(core)로서 항정신제, 항우울제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이 봉입되어 마이크로캡슐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생체에 적합하며, 생분해 특성을 가지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를 마이크로캡슐의 벽으로 사용하며, 상기 고분자의 종류 및 조합에 따라 약물 방출량 및 속도를 1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ethyleneglycol, PEG), 카프로락톤(Caprolactone, CL), 글라이콜라이드(Glycolide, GA), 락타이드(Lactide, LA),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알킬카보네이트(Polyalkylcarbonate), 폴리아미노산(Polyamino acid), 폴리하이드록시부티르산(Polyhydroxybutyric acid), 폴리오르토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플루로닉(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Pluronic),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 PLA), 폴리글라이콜라이드(Polyglycolide, PGA)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와 이의 성형중합체인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글루코스(Polylactide-co-glycolide-glucose, PLGA-glucose),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co-폴리락타이드) (MPEG-(PCL-co-PLLA) 등의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합성 고분자를 비롯하여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알긴, 알긴산(alginic acid), 알지네이트(alginate), 하이알루론산(hyaluronic acid), 폴리펩티드, 단백질, 젤라틴, 카세인, 키틴 유도체, 키토산(chitosan), 소장점막하조직 등과 같은 천연 고분자를 포함한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바람직하게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종류 및 조합에 따라 약물 방출량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는 폴리락타이드(PLA)와 폴리글라이콜라이드(PGA)의 성분 비율에 따라 인체 내에서 분해되는 속도가 좌우되며, 이것으로 약물 방출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생분해성 고분자를 약물 방출을 조절하기 위한 매트릭스로 이용하면 약물 방출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자량의 따라 약물 방출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10,000 ~ 200,000 g/mol의 분자량, 바람직하게는 30,000 ~ 90,000 g/mole의 분자량을 갖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저분자량의 고분자를 이용할수록 약물 방출이 지나치게 빠르며, 분자량이 클수록 방출이 지나치게 느리다. 따라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고 그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방출 제어에 있어서 적절한 분자량의 고분자를 선택하여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중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는 미국 식품의약청(FDA)으로부터 인체에 사용 가능한 무독성 생분해성 고분자로 승인되어 인체 내의 조직 재생을 위한 소재, 약물전달용 담체 또는 수술용 봉합사로 오랫동안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고, 그 생체적합성이 이미 증명된 바 있다.
본 발명의 약물전달 제형에 사용하는 약물은 항정신제, 항우울제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물이면 종류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에 상기 약물을 혼입시켜 약물 봉입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방부제, 보존제 및 부형제 등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입 과정은 단일축 초음파 분무법[B. S. Kim, J. M. Oh, K. S. Kim et al, Biomaterials, 30, 902 (2009); B. S. Kim, J. M. Oh, H. Hyun et al, MOLECULAR PHARMACEUTICS, 6, 353 (2009)] 또는 실린지를 이용한 마이크로캡슐 제조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일축 초음파 분무법을 통하여 중심핵 부분과 중심핵 부분이 코팅되는 바깥쪽 부분의 조성이 다르게 이루어진 이중 구조의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이크로캡슐 내의 약물함량은 60 ~ 70 %로 정도로 우수한 약물 봉입률을 나타내고 초반 방출량 또한 억제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방법만을 통해서는 여전히 초반에 일부 약물이 과다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는 동시에 지속적으로 방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을 추가적으로 하이드로젤과 혼합하여 약물 전달 제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내 주입형 하이드로젤은 외과적인 수술 없이 사용이 가능한 지능형 하이드로젤로서, 일반적으로 주입형 하이드로젤의 경우 체외에서는 유체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주사기를 사용하여 이식이 가능하고, 체내 주입 후에는 젤화가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의 체내 주입형 하이드로젤은 히알루론산(hyalurinic acid),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poly(N-isopropylacrylamide)),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β-glycerophosphate), 플루로닉(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Pluronic),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폴리카프로락톤(MPEG-PCL),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CMC),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와 폴리에틸렌이민(PEI)의 혼합물, 알긴, 알긴산(alginic acid), 알지네이트(alginate), 폴리펩티드, 단백질, 젤라틴, 카세인, 키틴 유도체, 키토산(chitosan) 및 소장점막하 조직 등과 같은 합성 및 천연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를 인산완충용액 등에 넣어 하이드로젤로 제조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제조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젤은 제1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과 제2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이 가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화학 작용기와 제2화학 작용기는 하이드로겔 내에서 화학 반응을 일으키어 가교 결합되며, 이는 하이드로젤이 효과적인 약물전달 지지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젤 내부에 약물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은 고르게 분산되고,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의 약물전달 제형을 생체 내 주입하였을 때 제형으로부터 오랜 시간 동안 약물이 방출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은 amino-PEG4-alkyne, alkyne-PEG5-acid, alkyne-PEG-amine, oxiranylamine, 2-oxiranyl-ethylamine, acrylamide, acrylic acid, acryloyl chloride, methyltetrazine-amine, methyltetrazine-PEG4-amine, methyltetrazine-propylamine, tetrazine-PEG5-NHS ester, methyltetrazine-PEG4-NHS ester, methyltetrazine-PEG4-NHS amine, methyltetrazine-silfo-NHS ester, methyltetrazine-PEG4-acid, methyltetrazine-PEG12-NHS ester, methyltetrazine-NHS ester, methyltetrazine-acid 및 tetrazine-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상기 제2 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은 azide-PEG4-amine, 3-amino-1-propanethiol, 11-mercaptoundecanoic acid, Amino-methanethiol, thiol PEG amine, ethylene diamine, PEG diamine, (S)-3-amino-2-(hydroxymethyl)propionic acid, amino-acetic acid, trans- cyclooctene-amine, trans-cyclooctene-NHS ester, trans-cyclooctene-NHS amine, trans cyclooctene-PEG-NHS ester 및 trans cyclooctene-PEG4-acid)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이드로젤과 제1 및 제2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은 1 : 400 내지 1 : 600 몰 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가 1 : 400 미만이면 약물전달 제형의 기계적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지며, 1 : 6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나친 가교도에 의해 약물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의 이동 및 약물 방출이 제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과 제2화학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이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젤의 생체 고분자 농도는 1 내지 30 wt%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농도가 1 중량% 미만인 경우 약물전달 제형의 피하 주입 시 겔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지나치게 점도가 높아져 약물전달 제형으로서 바람직하지 않은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물전달 제형은 아세트산, 증류수, 또는 완충용액의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용액은 2-(n-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4-(4,6-Dimethoxy-1,3,5-tiazin-2-yl)-4-methylmorpholinium chloride 및 Phosphate buffer sali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전달 제형은 주사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항정신제로서 아리피프라졸을 함유하는 약물전달 제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생분해성 고분자에 아리피프라졸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 및 methyltetrazine-PEG4-NHS ester와 trans-cyclooctene-NHS ester또는 methyltetrazine-PEG4-NHS amine과 trans-cyclooctene-NHS amine이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로서 도네페질을 함유하는 약물전달 제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생분해성 고분자에 도네페질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 및 methyltetrazine-PEG4-NHS ester와 trans-cyclooctene-NHS ester또는 methyltetrazine-PEG4-NHS amine과 trans-cyclooctene-NHS amine이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무수 아리피프라졸 (anhydrous aripiprazole )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용매 조건)
1-1. 메틸렌클로라이드(MC)를 용매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
분자량이 33,000 g/mol인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 poly(lactic-co-glycolic acid))를 메틸렌클로라이드(MC, Methylene chloride)에 3 중량%가 되게 녹이고, 무수 아리피프라졸을 2 중량%로 녹여 균일한 약물 분산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주사기에 넣은 후, 상온에서 4 ㎖/min의 유속으로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에 흘려주었다. 0.5 중량% 수용액인 폴리비닐알콜(PVA, polyvinyl alcohol) 수용액 250 ㎖을 준비하고, 상기 약물 분산체 용액을 60 Hz의 진동 주파로 분사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에 분산시켜 마이크로캡슐을 형성시켰다. 이를 2시간 동안 상온에서 700 rpm으로 교반하여 안정화 시킨 후, 생성된 마이크로캡슐에 증류수를 가하여 4 ~ 5회 세척하고 동결 건조하여 무수 아리피프라졸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을 얻었다.
1-2. 클로로포름(Chloroform)를 용매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용매로서 메틸렌클로라이드(MC) 대신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수 아리피프라졸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1-3. 에틸아세테이트( EA )를 용매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용매로서 메틸렌클로라이드(MC) 대신 에틸아세테이드(EA, Ethyl acetat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수 아리피프라졸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1-4. 마이크로캡슐의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1 내지 1-3에서 약물 분산체 용액의 용매를 달리하여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을 1H-NMR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각각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에 무수 아리피프라졸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또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10 mg을 각각 증류수에 부유시킨 후 Zeta potential & Particle size analyzer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캡슐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고,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확인하였다. 오차범위를 고려하여 3회 반복 측정한 입자 크기 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마이크로캡슐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도 3에 나타내었다.
MC Chloroform EA
입자크기( μm ) 91.09±2.89 84.06±5.90 71.59±2.35
상기 용매를 달리한 제조방법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무수 아리피프라졸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의 수율과 캡슐화 효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1 내지 1-3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수율은 마이크로캡슐 전체의 무게를 측정하여 넣어준 양과 비교하였으며, 마이크로캡슐의 캡슐화 효율은 [캡슐화 효율 = (얻어진 아리피프라졸 캡슐의 약물 함유량/이론상의 아리피프라졸 캡슐의 약물 함유량)Х100]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얻어진 아리피프라졸의 캡슐의 약물 함유량'은 기준 물질이 첨가된 마이크로캡슐을 DMSO에 녹인 후 1H-NMR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로부터 PLGA 면적값 피크(δ= 4.8 ~ 4 ppm, 5 ~ 5.4 ppm)와 무수 아리피프라졸 면적값 피크(δ= 7.1 ppm)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또 다른 방법으로 마이크로 캡슐 10 mg을 취하여 이동상에 녹여 여과한 후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Agilent-1200,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PLC의 측정 조건은 컬럼 C18(5 ㎛, 4.6 × 250 mm I.D.)(Thermo Scientific)을 사용하였고, 254 nm의 파장에서 검출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무수 황산 나트륨 수용액 : 아세토니트릴 : 메탄올 : 아세트산 = 56 : 33 : 11 : 1 (v/v), 유속은 1 ㎖/min, 주입 부피는 100 ㎕, 컬럼 온도는 25℃에서 측정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의 수율과 캡슐화 효율 및 캡슐 10 mg 내의 약물의 양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율( % ) 캡슐화 효율( % ) 캡슐 10 mg
약물의 양(mg)
MC 88 65.0 2.6
Chloroform 86 52.5 2.1
EA 81 35.0 1.4
상기 실시예 1-1 내지 1-3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용매로 사용한 마이크로캡슐의 수율, 캡슐화 효율 및 캡슐 내 약물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비교적 균일한 크기의 마이크로캡슐이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무수 아리피프라졸 (anhydrous aripiprazole )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온도 조건)
2-1. 상온에서 마이크로캡슐 제조
분자량이 33,000 g/mol인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를 메틸렌클로라이드(MC)에 3 중량%가 되게 녹이고, 무수 아리피프라졸을 2 중량%로 녹여 균일한 약물 분산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주사기에 넣은 후, 상온에서 4 ㎖/min의 유속으로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에 흘려주었다. 0.5 중량% 수용액인 폴리비닐알콜(PVA) 수용액 250 ㎖을 준비하고, 상기 약물 분산체 용액을 60 Hz의 진동 주파로 분사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에 분산시켜 마이크로캡슐을 형성시켰다. 이를 2시간 동안 상온에서 700 rpm으로 교반하여 안정화 시킨 후, 생성된 마이크로캡슐에 증류수를 가하여 4 ~ 5회 세척하고 동결 건조하여 무수 아리피프라졸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을 얻었다.
2-2. 30℃에서 마이크로캡슐 제조
상기 실시예 2-1에서 약물 분산체 용액을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에 주입하는 온도를 3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수 아리피프라졸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2-3. 35℃에서 마이크로캡슐 제조
상기 실시예 2-1에서 약물 분산체 용액을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에 주입하는 온도를 3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수 아리피프라졸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2-4. 40℃에서 마이크로캡슐 제조
상기 실시예 2-1에서 약물 분산체 용액을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에 주입하는 온도를 4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수 아리피프라졸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2-5. 마이크로캡슐의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2-1 내지 2-4에서 약물 분산체 용액의 온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을 1H-NMR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각각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에 무수 아리피프라졸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또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10 mg을 각각 증류수에 부유시킨 후 Zeta potential & Particle size analyzer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캡슐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고,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확인하였다. 오차범위를 고려하여 3회 반복 측정한 입자 크기 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도 5에 나타내었다.
25℃ 30℃ 35℃ 40℃
입자크기( μm ) 91.09±2.89 38.51±6.83 17.16±4.21 15.65±2.38
약물 분산체 용액의 온도를 달리한 제조방법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무수 아리피프라졸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의 수율과 캡슐화 효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1 내지 2-4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수율은 마이크로캡슐 전체의 무게를 측정하여 넣어준 양과 비교하였으며, 마이크로캡슐의 캡슐화 효율은 [캡슐화 효율 = (얻어진 아리피프라졸 캡슐의 약물 함유량/이론상의 아리피프라졸 캡슐의 약물 함유량)Х100]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얻어진 아리피프라졸 캡슐의 약물 함유량'은 기준 물질이 첨가된 마이크로캡슐을 DMSO에 녹인 후 1H-NMR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로부터 PLGA 면적값 피크(δ= 4.8 ~ 4 ppm, 5 ~ 5.4 ppm)와 무수 아리피프라졸 면적값 피크(δ= 7.1 ppm)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또 다른 방법으로 마이크로 캡슐 10 mg을 취하여 이동상에 녹여 여과한 후 HPLC(Agilent-1200,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PLC의 측정 조건은 컬럼 C18(5 ㎛, 4.6 × 250 mm I.D.)(Thermo Scientific)을 사용하였고, 254 nm의 파장에서 검출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무수 황산 나트륨 수용액 : 아세토니트릴 : 메탄올 : 아세트산 = 56 : 33 : 11 : 1 (v/v), 유속은 1 ㎖/min, 주입 부피는 100 ㎕, 컬럼 온도는 25℃에서 측정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의 수율과 캡슐화 효율 및 캡슐 10 mg 내의 약물의 양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율( % ) 캡슐화 효율( % ) 캡슐 10 mg
약물의 양(mg)
25℃ 88 65.0 2.6
30℃ 87 55.0 2.2
35℃ 89 60.0 2.4
40℃ 75 57.5 2.3
상기 실시예 2-1 내지 2-4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25℃에서 제조한 마이크로캡슐의 수율, 캡슐화 효율 및 캡슐 내 약물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비교적 균일한 크기의 마이크로캡슐이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아리피프라졸 ( monohydrate aripiprazole )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용매 조건)
3-1. 메틸렌클로라이드(MC)를 용매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
분자량이 33,000 g/mol인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를 메틸렌클로라이드(MC)에 3 중량%가 되게 녹이고, 아리피프라졸을 2 중량%로 녹여 균일한 약물 분산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주사기에 넣은 후, 상온에서 4 ㎖/min의 유속으로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에 흘려주었다. 0.5 중량% 수용액인 폴리비닐알콜(PVA) 수용액 250 ㎖을 준비하고, 상기 약물 분산체 용액을 60 Hz의 진동 주파로 분사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에 분산시켜 마이크로캡슐을 형성시켰다. 이를 2시간 동안 상온에서 700 rpm으로 교반하여 안정화 시킨 후, 생성된 마이크로캡슐에 증류수를 가하여 4 ~ 5회 세척하고 동결 건조하여 아리피프라졸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을 얻었다.
3-2.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를 용매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
상기 실시예 3-1의 용매로서 메틸렌클로라이드(MC) 대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리피프라졸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3-3. 에틸아세테이트( EA )를 용매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
상기 실시예 3-1의 용매로서 메틸렌클로라이드(MC) 대신 에틸아세테이트(E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리피프라졸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3-4. 마이크로캡슐의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3-1 내지 3-3에서 약물 분산체 용액의 용매를 달리하여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을 1H-NMR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각각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에 아리피프라졸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또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10 mg을 각각 증류수에 부유시킨 후 Zeta potential & Particle size analyzer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캡슐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고,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확인하였다. 오차범위를 고려하여 3회 반복 측정한 입자 크기 값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으며,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도 7에 나타내었다.
MC THF EA
입자크기( μm ) 80.67±3.97 7.31±0.49 12.56±3.91
용매를 달리한 제조방법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리피프라졸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의 수율과 캡슐화 효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1 내지 3-3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수율은 마이크로캡슐 전체의 무게를 측정하여 넣어준 양과 비교하였으며, 마이크로캡슐의 캡슐화 효율은 [캡슐화 효율 = (얻어진 아리피프라졸 캡슐의 약물 함유량/이론상의 아리피프라졸 캡슐의 약물 함유량)Х100]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얻어진 아리피프라졸 캡슐의 약물 함유량'는 기준 물질이 첨가된 마이크로캡슐을 DMSO에 녹인 후 1H-NMR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로부터 PLGA 면적값 피크(δ= 4.8 ~ 4 ppm, 5 ~ 5.4 ppm)와 무수 아리피프라졸 면적값 피크(δ= 7.1 ppm)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또 다른 방법으로 마이크로 캡슐 10 mg을 취하여 이동상에 녹여 여과한 후 HPLC(Agilent-1200,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PLC의 측정 조건은 컬럼 C18(5 ㎛, 4.6 × 250 mm I.D.)(Thermo Scientific)을 사용하였고, 254 nm의 파장에서 검출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무수 황산 나트륨 수용액 : 아세토니트릴 : 메탄올 : 아세트산 = 56 : 33 : 11 : 1 (v/v), 유속은 1 ㎖/min, 주입 부피는 100 ㎕, 컬럼 온도는 25℃에서 측정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의 수율과 캡슐화 효율 및 캡슐 10 mg 내의 약물의 양은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수율( % ) 캡슐화 효율( % ) 캡슐 10 mg
약물의 양(mg)
MC 88 90.0 3.6
THF 49 80.0 3.2
EA 84 62.5 2.5
상기 실시예 3-1 내지 3-3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용매로 사용한 마이크로캡슐의 수율, 캡슐화 효율 및 캡슐 내 약물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비교적 균일한 크기의 마이크로캡슐이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아리피프라졸 ( monohydrate aripiprazole )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온도 조건)
4-1. 상온에서 마이크로캡슐 제조
분자량이 33,000 g/mol인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를 메틸렌클로라이드(MC)에 3 중량%가 되게 녹이고, 아리피프라졸을 2 중량%로 녹여 균일한 약물 분산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주사기에 넣은 후, 상온에서 4 ㎖/min의 유속으로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에 흘려주었다. 0.5 중량% 수용액인 폴리비닐알콜(PVA) 수용액 250 ㎖을 준비하고, 상기 약물 분산체 용액을 60 Hz의 진동 주파로 분사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에 분산시켜 마이크로캡슐을 형성시켰다. 이를 2시간 동안 상온에서 700 rpm으로 교반하여 안정화 시킨 후, 생성된 마이크로캡슐에 증류수를 가하여 4 ~ 5회 세척하고 동결 건조하여 아리피프라졸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을 얻었다.
4-2. 30℃에서 마이크로캡슐 제조
상기 실시예 4-1에서 약물 분산체 용액을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에 주입하는 온도를 3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리피프라졸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4-3. 35℃에서 마이크로캡슐 제조
상기 실시예 4-1에서 약물 분산체 용액을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에 주입하는 온도를 3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리피프라졸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4-4. 40℃에서 마이크로캡슐 제조
상기 실시예 4-1에서 약물 분산체 용액을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에 주입하는 온도를 4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리피프라졸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4-5. 마이크로캡슐의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4-1 내지 4-4에서 약물 분산체 용액의 온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을 1H-NMR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각각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에 아리피프라졸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8).
또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10 mg을 각각 증류수에 부유시킨 후 Zeta potential & Particle size analyzer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캡슐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고,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확인하였다. 오차범위를 고려하여 3회 반복 측정한 입자 크기 값을 하기 표 7에 나타내었으며,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도 9에 나타내었다.
25℃ 30℃ 35℃ 40℃
입자크기( μm ) 80.67±3.97 65.66±4.69 57.31±11.93 30.68±1.77
약물 분산체 용액의 온도를 달리한 제조방법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리피프라졸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의 수율과 캡슐화 효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4-1 내지 4-4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수율은 마이크로캡슐 전체의 무게를 측정하여 넣어준 양과 비교하였으며, 마이크로캡슐의 캡슐화 효율은 [캡슐화 효율 = (얻어진 아리피프라졸 캡슐의 약물 함유량/이론상의 아리피프라졸 캡슐의 약물 함유량)Х100]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얻어진 아리피프라졸 캡슐의 약물 함유량'는 기준 물질이 첨가된 마이크로캡슐을 DMSO에 녹인 후 1H-NMR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로부터 PLGA 면적값 피크(δ= 4.8 ~ 4 ppm, 5 ~ 5.4 ppm)와 무수 아리피프라졸 면적값 피크(δ= 7.1 ppm)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또 다른 방법으로 마이크로 캡슐 10 mg을 취하여 이동상에 녹여 여과한 후 HPLC(Agilent-1200,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PLC의 측정 조건은 컬럼 C18(5 ㎛, 4.6 × 250 mm I.D.)(Thermo Scientific)을 사용하였고, 254 nm의 파장에서 검출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무수 황산 나트륨 수용액 : 아세토니트릴 : 메탄올 : 아세트산 = 56 : 33 : 11 : 1 (v/v), 유속은 1 ㎖/min, 주입 부피는 100 ㎕, 컬럼 온도는 25℃에서 측정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의 수율과 캡슐화 효율 및 캡슐 10 mg 내의 약물의 양은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수율( % ) 캡슐화 효율( % ) 캡슐 10 mg
약물의 양(mg)
25℃ 88 90.0 3.6
30℃ 73 87.5 3.5
35℃ 76 90.0 3.6
40℃ 71 92.5 3.7
상기 실시예 4-1 내지 4-4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25℃에서 제조한 마이크로캡슐의 수율이 가장 높고, 40℃에서 제조한 마이크로캡슐의 캡슐화 효율이 가장 높았으며, 캡슐 내 약물 함유량은 온도 조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실시예 5. 도네페질( d onepezil base )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5-1. 메틸렌클로라이드(MC)와 에틸아세테이트( EA )를 용매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
분자량이 33,000 g/mol인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를 에틸아세테이트(EA)에 3 중량%가 되게 녹이고, 도네페질을 메틸렌클로라이드(MC)에 2 중량%로 녹여 균일한 약물 분산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주사기에 넣은 후, 상온에서 4 ㎖/min의 유속으로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에 흘려주었다. 0.5 중량% 수용액인 폴리비닐알콜(PVA) 수용액 250 ㎖을 준비하고, 상기 약물 분산체 용액을 60 Hz의 진동 주파로 분사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에 분산시켜 마이크로캡슐을 형성시켰다. 이를 2시간 동안 상온에서 700 rpm으로 교반하여 안정화 시킨 후, 생성된 마이크로캡슐에 증류수를 가하여 4 ~ 5회 세척하고 동결 건조하여 도네페질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을 얻었다.
5-2. 메틸렌클로라이드(MC)를 용매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
상기 실시예 5-1의 PLGA를 녹이는 용매로서 에틸아세테이트(EA) 대신 메틸렌클로라이드(MC)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네페질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5-3. 클로로포름(chloroform)과 에틸아세테이트( EA )를 용매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
분자량이 33,000 g/mol인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를 에틸아세테이트(EA)에 3 중량%가 되게 녹이고, 도네페질을 클로로포름에 2 중량%로 녹여 균일한 약물 분산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주사기에 넣은 후, 상온에서 4 ㎖/min의 유속으로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에 흘려주었다. 0.5 중량% 수용액인 폴리비닐알콜(PVA) 수용액 250 ㎖을 준비하고, 상기 약물 분산체 용액을 60 Hz의 진동 주파로 분사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에 분산시켜 마이크로캡슐을 형성시켰다. 이를 2시간 동안 상온에서 700 rpm으로 교반하여 안정화 시킨 후, 생성된 마이크로캡슐에 증류수를 가하여 4 ~ 5회 세척하고 동결 건조하여 도네페질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을 얻었다.
5-4.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용매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제조
상기 실시예 5-4의 PLGA를 녹이는 용매로서 에틸아세테이트(EA) 대신 클로로포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3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네페질을 봉입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5-1 내지 5-4에서 사용한 용매를 하기 표9에 나타내었다.
PLGA Donepezil base
실시예 5-1 Ethyl acetate(EA) Methyl chloride(MC)
실시예 5-2 Methyl chloride(MC) Methyl chloride(MC)
실시예 5-3 Ethyl acetate(EA) Chloroform
실시예 5-4 Chloroform Chloroform
5-5. 마이크로캡슐의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5-1 내지 5-4에서 약물 분산체 용액의 용매를 달리하여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을 1H-NMR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각각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에 도네페질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0).
또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확인하였다.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약물 분산체 용액의 용매를 달리한 제조방법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도네페질이 봉입된 마이크로캡슐의 수율과 약물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5-1 내지 5-4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수율은 마이크로캡슐 전체의 무게를 측정하여 넣어준 양과 비교하였으며 마이크로캡슐의 캡슐화 효율은 [캡슐화 효율 = (얻어진 도네페질 캡슐의 약물 함유량/이론상의 도네페질 캡슐의 약물 함유량)Х100]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얻어진 도네페질 캡슐의 약물 함유량'는 기준 물질이 첨가된 마이크로캡슐을 아세톤에 녹인 후 1H-NMR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로부터 PLGA 면적값 피크(δ= 5 ~ 5.4 ppm, 4.8 ~ 4 ppm)와 도네페질 면적값 피크(δ= 7.1 ppm)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실시예 1-4에서 나타낸 HPLC에 의해 측정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의 수율과 캡슐화 효율 및 캡슐 10 mg 내의 약물의 양은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수율( % ) 캡슐화 효율( % ) 캡슐 10 mg
약물의 양(mg)
실시예 5-1 60.8 88.0 2.2
실시예 5-2 86.5 60.0 1.5
실시예 5-3 70.2 16.0 0.4
실시예 5-4 53.6 52.0 1.3
상기 실시예 5-1 내지 5-4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PLGA 제조 시 에틸 아세테이트(EA)를 사용하고 약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MC)에 녹여서 제조한 마이크로캡슐의 캡슐화 효율 및 약물 함유량이 가장 높았다.
실시예 6. 가교 소장점막하 조직 하이드로젤의 제조
전체 용액의 총 중량에 대하여 소장점막하 조직 파우더 1 중량%, 펩신 0.1 중량% 및 아세트산 3 중량%를 투입하고 48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킨 후 전체 용액의 pH가 7.4가 되도록 1 N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투입하여 소장점막하 조직 용액을 제조하였고, 그 후 3 ~ 4일 동안 동결건조 시켜서 분말 형태로 만들었다.
상기 제조된 소장점막하 조직 동결건조 분말을 20 중량%의 농도로 인산완충용액(PBS, pH 7.4)에 용해시킨 후 methyltetrazine-PEG4-NHS-ester(TET)와 trans-cyclooctene-PEG4-NHS-ester(CO)를 각각 몰비가 1 : 500이 되도록 투입하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그 다음 이를 48시간 동안 투석하여 동결건조한 후 인산완충용액(PBS, pH 7.4)에 용해시켜 가교시킨 소장점막하 조직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가교 히알루론산젤의 제조
히알루론산 1 중량%를 3차 증류수에 투입하고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여 히알루론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히알루론산 용액에 100 mM의 2-(N-morpholino)ethanesulfonic aicd 97.6 mg 및 2.5 M의 4-(4,6-dimethoxy-1,3,5-triazine-2yl)-4-methylmorpholinium chloride 3.5 g을 투입한 후, methyltetrazine-PEG4-NHS-amine(TET)와 trans-cyclooctene-PEG4-NHS-amine(CO)를 각각 몰비가 1 : 500이 되도록 투입하고, 72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그 다음 이를 72시간 동안 투석하여 동결건조한 후 인산완충용액(PBS. pH 7.4)에 용해시켜 가교시킨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6 및 실시예 7에서 제조한 가교 하이드로젤의 모습을 도 1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In vitro 무수 아리피프라졸 방출량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을 25 mg씩 정량하여 상기 실시예 6 및 7에서 제조한 가교 하이드로겔 1 ㎖에 각각 분산시킨 후 5 ㎖짜리 바이알(vial)에 넣어서 무수 아리피프라졸 약물전달 제형을 제조하였다. 상기 약물전달 제형의 SEM 이미지를 통해 하이드로젤에 분산된 마이크로캡슐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3).
상기 소장점막하 조직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무수 아리피프라졸 약물전달 제형의 바이알에 PBS를 4 ㎖ 첨가한 후 37℃, 100 rpm 조건에서 정해진 시간마다 0.5 ㎖의 PBS를 취하고, 새로운 PBS를 동일량 첨가하면서 시간별로 샘플링하였다. 대조군으로 실시예 1-1의 마이크로캡슐(APZ-cap alone)을 사용하였고, 각각의 마이크로캡슐로부터 무수 아리피프라졸의 방출량은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조건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캡슐화 효율 측정 조건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In vitro 무수 아리피프라졸 방출량 측정 결과는 도 14 나타내었다.
그 결과, 마이크로캡슐 단독 제형은 약물이 단시간에 과량 방출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소장점막하 조직 하이드로젤에 분산시킨 마이크로캡슐의 경우 약물이 천천히 오랫동안 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9. In vitro 아리피프라졸 방출량 측정
상기 실시예 3 및 4에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을 25 mg씩 정량하여 상기 실시예 6 및 7에서 제조한 가교 하이드로겔 1 ㎖에 각각 분산시킨 후 5 ㎖짜리 바이알(vial)에 넣어서 아리피프라졸 약물전달 제형을 제조하였다.
상기 소장점막하 조직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아리피프라졸 약물전달 제형의 바이알에 PBS를 4 ㎖ 첨가한 후 37℃, 100 rpm 조건에서 정해진 시간마다 0.5 ㎖의 PBS를 취하고, 새로운 PBS를 동일량 첨가하면서 시간별로 샘플링하였다. 대조군으로 실시예 3-1의 마이크로캡슐(APZ(M)-cap alone)을 사용하였고, 각각의 마이크로캡슐로부터 아리피프라졸의 방출량은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조건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캡슐화 효율 측정 조건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In vitro 아리피프라졸 방출량 측정 결과는 도 15 나타내었다.
그 결과, 소장점막하 조직 하이드로젤에 분산시킨 마이크로캡슐의 경우 마이크로캡슐 단독 제형에 비하여 약물이 천천히 오랫동안 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0. 과립 단독군 주사제형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아리피프라졸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과 5 중량% 디-만니톨 (D-mannitol), 2 중량%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0.1 % 트윈 80 (Tween 80)을 증류수에 균일 분산시켜 1㎖ 실린지에 넣어 주사제형으로 제조하였다(도 16). 제조 즉시 모델 마우스의 피하에 주입하여 겔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11. 하이드로젤에 마이크로캡슐이 분산된 주사제형 제조
상기 실시예 6 및 7에서 제조한 하이드로젤 1 ㎖에 상기 실시예 1내지 4에서 제조한 아리피프라졸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을 균일 분산시킨 후 1 ㎖ 실린지에 넣어 주사제형으로 제조하였다(도 16). 제조 즉시 모델 마우스의 피하에 주입하여 겔을 형성시켰다(도 17).
상기 실시예 10 및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주사제형을 모델 마우스의 피하에 주입하였을 때, 피하에 약물 함유 마이크로캡슐이 분산된 겔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입된 겔로부터 4주 이상 약물이 서서히 방출되어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Claims (30)

  1. 테트라진을 포함하는 물질과 사이클로옥텐을 포함하는 물질이 가교 결합된 소장점막하 조직 또는 히알루론산(hyalurinic acid) 하이드로겔; 및
    상기 하이드로겔에 분산되고, 생분해성 고분자에 항정신제 또는 항우울제가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와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ethyleneglycol, PEG), 카프로락톤(Caprolactone, CL), 글라이콜라이드(Glycolide, GA) 및 락타이드(Lactide, LA)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10,000 ~ 200,000 g/mol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방부제, 보존제 및 부형제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진을 포함하는 물질은 methyltetrazine-amine, methyltetrazine-PEG4-amine, methyltetrazine-propylamine, tetrazine-PEG5-NHS ester, methyltetrazine-PEG4-NHS ester, methyltetrazine-PEG4-NHS amine, methyltetrazine-silfo-NHS ester, methyltetrazine-PEG4-acid, methyltetrazine-PEG12-NHS ester, methyltetrazine-NHS ester, methyltetrazine-acid 및 tetrazine-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상기 사이클로옥텐을 포함하는 물질은 trans-cyclooctene-amine, trans-cyclooctene-NHS ester, trans-cyclooctene-NHS amine, trans- cyclooctene-PEG-NHS ester 및 trans-cyclooctene-PEG4-acid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 제형은 주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신질환은 정신분열증, 양극성 장애, 비양극성 조증, 뚜렛 증후군, 순환성 장애, 급속 주기, 초일 주기, 인격 장애, 주의력 장애, 망상 장애, 정신병적 장애, 파킨슨병과 관련한 정신병적 장애, 불안 장애, 공황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충동 조절 장애, 공포 장애, 해리 상태 및 우울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9. methyltetrazine-PEG4-NHS ester와 trans-cyclooctene-NHS ester 또는 methyltetrazine-PEG4-NHS amine과 trans-cyclooctene-NHS amine이 가교 결합된 소장점막하 조직 또는 히알루론산(hyalurinic acid) 하이드로겔; 및
    상기 하이드로겔에 분산되고, 생분해성 고분자에 아리피프라졸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10. 테트라진을 포함하는 물질과 사이클로옥텐을 포함하는 물질이 가교 결합된 소장점막하 조직 또는 히알루론산(hyalurinic acid) 하이드로겔; 및
    상기 하이드로겔에 분산되고, 생분해성 고분자에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와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ethyleneglycol, PEG), 카프로락톤(Caprolactone, CL), 글라이콜라이드(Glycolide, GA) 및 락타이드(Lactide, LA)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10,000 ~ 200,000 g/mol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방부제, 보존제 및 부형제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진을 포함하는 물질은 methyltetrazine-amine, methyltetrazine-PEG4-amine, methyltetrazine-propylamine, tetrazine-PEG5-NHS ester, methyltetrazine-PEG4-NHS ester, methyltetrazine-PEG4-NHS amine, methyltetrazine-silfo-NHS ester, methyltetrazine-PEG4-acid, methyltetrazine-PEG12-NHS ester, methyltetrazine-NHS ester, methyltetrazine-acid 및 tetrazine-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상기 사이클로옥텐을 포함하는 물질은 trans- cyclooctene-amine, trans-cyclooctene-NHS ester, trans-cyclooctene-NHS amine, trans-cyclooctene-PEG-NHS ester 및 trans-cyclooctene-PEG4-acid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 제형은 주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추신경계 질환은 뇌종양, 뇌경색, 고혈압성뇌출혈, 뇌좌상, 뇌동정맥기형, 뇌농양, 뇌염, 수두증, 간질, 뇌진탕, 뇌성마비, 치매, 척수종양, 척수동정맥기형 및 척수경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18. methyltetrazine-PEG4-NHS ester와 trans-cyclooctene-NHS ester 또는 methyltetrazine-PEG4-NHS amine과 trans-cyclooctene-NHS amine이 가교 결합된 소장점막하 조직 또는 히알루론산(hyalurinic acid) 하이드로겔; 및
    상기 하이드로겔에 분산되고, 생분해성 고분자에 도네페질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19. (a) 분자량 10,000 ~ 200,000 g/mol인 생분해성 고분자와 항정신제 또는 항우울제를 용매에 녹여서 약물 분산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약물 분산체 용액을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 또는 실린지에 주입시키는 단계;
    (c) 상기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 또는 실린지로부터 약물 분산체 용액을 분사시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d) 소장점막하 조직 또는 히알루론산(hyalurinic acid) 용액에 테트라진을 포함하는 물질과 사이클로옥텐을 포함하는 물질을 첨가하여 가교 반응을 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약물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을 가교 결합된 소장점막하 조직 또는 히알루론산(hyalurinic acid) 하이드로겔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와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ethyleneglycol, PEG), 카프로락톤(Caprolactone, CL), 글라이콜라이드(Glycolide, GA) 및 락타이드(Lactide, LA)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의 제조방법.
  21. 삭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진을 포함하는 물질은 methyltetrazine-amine, methyltetrazine-PEG4-amine, methyltetrazine-propylamine, tetrazine-PEG5-NHS ester, methyltetrazine-PEG4-NHS ester, methyltetrazine-PEG4-NHS amine, methyltetrazine-silfo-NHS ester, methyltetrazine-PEG4-acid, methyltetrazine-PEG12-NHS ester, methyltetrazine-NHS ester, methyltetrazine-acid 및 tetrazine-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상기 사이클로옥텐을 포함하는 물질은 trans-cyclooctene-amine, trans-cyclooctene-NHS ester, trans-cyclooctene-NHS amine, trans- cyclooctene-PEG-NHS ester 및 trans-cyclooctene-PEG4-acid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의 제조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메틸렌클로라이드(MC, Methylene chlor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의 제조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약물 분산체 용액은 20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의 제조방법.
  25. (a) 분자량 10,000 ~ 200,000 g/mol인 생분해성 고분자와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를 용매에 녹여서 약물 분산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약물 분산체 용액을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 또는 실린지에 주입시키는 단계;
    (c) 상기 단일축 초음파 분사기 또는 실린지로부터 약물 분산체 용액을 분사시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d) 소장점막하 조직 또는 히알루론산(hyalurinic acid) 용액에 테트라진을 포함하는 물질과 사이클로옥텐을 포함하는 물질을 첨가하여 가교 반응을 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약물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을 가교 결합된 소장점막하 조직 또는 히알루론산(hyalurinic acid) 하이드로겔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의 제조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co-글라이콜라이드(PLGA)와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ethyleneglycol, PEG), 카프로락톤(Caprolactone, CL), 글라이콜라이드(Glycolide, GA) 및 락타이드(Lactide, LA)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의 제조방법.
  27. 삭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진을 포함하는 물질은 methyltetrazine-amine, methyltetrazine-PEG4-amine, methyltetrazine-propylamine, tetrazine-PEG5-NHS ester, methyltetrazine-PEG4-NHS ester, methyltetrazine-PEG4-NHS amine, methyltetrazine-silfo-NHS ester, methyltetrazine-PEG4-acid, methyltetrazine-PEG12-NHS ester, methyltetrazine-NHS ester, methyltetrazine-acid 및 tetrazine-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상기 사이클로옥텐을 포함하는 물질은 trans-cyclooctene-amine, trans-cyclooctene-NHS ester, trans-cyclooctene-NHS amine, trans-cyclooctene-PEG-NHS ester 및 trans-cyclooctene-PEG4-acid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의 제조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메틸렌클로라이드(MC, Methylene chlor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의 제조방법.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약물 분산체 용액은 20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의 제조방법.
KR1020170018235A 2017-02-09 2017-02-09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 Active KR102228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235A KR102228571B1 (ko) 2017-02-09 2017-02-09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
US16/484,870 US11337929B2 (en) 2017-02-09 2018-02-08 Drug delivery formulation for treating mental illness or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
PCT/KR2018/001719 WO2018147660A1 (ko) 2017-02-09 2018-02-08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
JP2019543230A JP6893369B2 (ja) 2017-02-09 2018-02-08 精神疾患または中枢神経系疾患治療用薬物伝達剤形
EP18751180.3A EP3581175B1 (en) 2017-02-09 2018-02-08 Drug drug delivery formulation for treating mental illness or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235A KR102228571B1 (ko) 2017-02-09 2017-02-09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497A KR20180092497A (ko) 2018-08-20
KR102228571B1 true KR102228571B1 (ko) 2021-03-16
KR102228571B9 KR102228571B9 (ko) 2023-02-23

Family

ID=63106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235A Active KR102228571B1 (ko) 2017-02-09 2017-02-09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37929B2 (ko)
EP (1) EP3581175B1 (ko)
JP (1) JP6893369B2 (ko)
KR (1) KR102228571B1 (ko)
WO (1) WO20181476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737A (ko) * 2021-08-09 2023-02-16 주식회사 메디폴리머 주사용 사전-제형 및 이를 이용한 도네페질 초기방출 억제형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6879B2 (en) 2016-02-09 2022-02-15 Tulai Therapeutics, Inc. Methods, agents, and devices for local neuromodulation of autonomic nerves
US11154547B2 (en) 2016-06-29 2021-10-26 Tulavi Therapeutics, Inc. Treatment of sepsis and related inflammatory conditions by local neuromodulation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CA3105343A1 (en) 2018-07-02 2020-01-09 Corinne Bright Methods and devices for in situ formed nerve cap
US20210315587A1 (en) 2018-07-02 2021-10-14 Tulavi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in situ formed nerve cap with rapid release
KR102272756B1 (ko) 2018-09-11 2021-07-05 주식회사 메디폴리머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9100B1 (ko) * 2020-10-29 2023-11-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히알루론산 분해효소 저해제가 도입된 가교결합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WO2022212562A1 (en) * 2021-03-30 2022-10-06 Tulavi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ablation of nerv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7897B2 (en) * 1994-05-04 2004-07-27 Innapharma, Inc. Therapeutic uses of tri-, tetra-, penta-, and polypeptides
US6113947A (en) * 1997-06-13 2000-09-05 Genentech, Inc. Controlled release microencapsulated NGF formulation
JP4636883B2 (ja) * 2002-11-21 2011-02-23 中外製薬株式会社 薬物徐放担体
EP1576952A1 (en) 2004-03-18 2005-09-21 OctoPlus Technologies B.V. Hydrogel microspheres with improved release profile
JP2008517927A (ja) * 2004-10-21 2008-05-29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アイオワ リサーチ ファンデーション insitu制御放出薬剤送達システム
US9205046B2 (en) * 2005-04-25 2015-12-08 The Governing Council Of The University Of Toronto Enhanced stability of inverse thermal gelling composite hydrogels
KR20100083118A (ko) * 2010-07-02 2010-07-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
GB201101429D0 (en) * 2011-01-27 2011-03-16 Biocompatibles Uk Ltd Drug delivery system
BR112013033466A8 (pt) * 2011-06-27 2018-03-06 Cristal Delivery B V uso de um sistema de liberação controlada e sistema de liberação controlada
CN105611914B (zh) * 2013-06-19 2020-09-08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局部递送治疗剂的化学构造物
CN106999270B (zh) * 2014-09-09 2021-01-01 华盛顿大学 官能化的两性离子和混合电荷聚合物、相关的水凝胶及它们的使用方法
KR20160046570A (ko) * 2014-10-21 2016-04-2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염증성 또는 통증성 질환 치료를 위한 복합 약물 전달 제형 및 이것의 제조방법
CN107735110B (zh) * 2015-04-07 2021-11-26 纪念斯隆-凯特琳癌症中心 纳米粒子免疫偶联物
US11077169B2 (en) * 2015-07-22 2021-08-03 Temple University-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Soy-derived bioactive peptides for use i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ound healing,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737A (ko) * 2021-08-09 2023-02-16 주식회사 메디폴리머 주사용 사전-제형 및 이를 이용한 도네페질 초기방출 억제형 키트
WO2023018069A1 (ko) * 2021-08-09 2023-02-16 주식회사 메디폴리머 주사용 사전-제형 및 이를 이용한 도네페질 초기방출 억제형 키트
KR102652905B1 (ko) * 2021-08-09 2024-04-01 주식회사 메디폴리머 주사용 사전-제형 및 이를 이용한 도네페질 초기방출 억제형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74476A1 (en) 2019-12-12
KR20180092497A (ko) 2018-08-20
WO2018147660A1 (ko) 2018-08-16
KR102228571B9 (ko) 2023-02-23
JP6893369B2 (ja) 2021-06-23
EP3581175A4 (en) 2020-12-23
EP3581175B1 (en) 2023-12-13
EP3581175A1 (en) 2019-12-18
JP2020507574A (ja) 2020-03-12
US11337929B2 (en)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571B1 (ko)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
US11576862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paring a silk microsphere
KR101331136B1 (ko) 약물의 초기 과다 방출 제어를 위한 약물전달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
US8940311B2 (en) In situ controlle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
JP5675803B2 (ja) ミクロスフェア薬物担体、調製方法、組成物及びその使用
CN102885783B (zh) 一种纳米药物微球
EP3865156B1 (en) Sustained-release injection formulation comprising conjugate of poly-l-lactic acid filler and hyaluronic acid filler and bioactive material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3405773B (zh) 一种可生物降解的温敏性原位水凝胶的制备与应用
WO2018137631A1 (zh) 水难溶或微溶性药物缓释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885784B (zh) 纳米颗粒混悬液包油-油包纳米药物制备微球的方法
Wang et al. Injectable carrier for zero-order release of salmon calcitonin
KR102272756B1 (ko)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21576A (ko)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조성물, 미용 조성물, 의료 용품 및 미용 용품
Snežana et al. Polymeric matrix systems for drug delivery
CN110101865B (zh) 一种包含有地佐辛药物缓释制剂及其制备方法
KR20160046570A (ko) 염증성 또는 통증성 질환 치료를 위한 복합 약물 전달 제형 및 이것의 제조방법
CN101816780A (zh) 一种可注射的载骨生长因子微球及其制备方法
CN116898813B (zh) 用于药物长效缓释的微球、载药微球、载药微球的制备方法及应用
Vijayakumar et al. Drug carriers, polymers as: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evaluation
CN115590810B (zh) 分段式可溶性微针溶液、应用和可溶性微针及其制造方法
JPS6097918A (ja) インタ−フエロン持続性製剤
Kim et al. Implantable delivery systems
Chakraborty et al. Silk fibroin: A smart biomaterial for long term and targeted nanotherapeu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6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5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30217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3022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