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536B1 - Clean automatic vegetable processing apparatus and - Google Patents
Clean automatic vegetable processing apparatus a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5536B1 KR102225536B1 KR1020180164580A KR20180164580A KR102225536B1 KR 102225536 B1 KR102225536 B1 KR 102225536B1 KR 1020180164580 A KR1020180164580 A KR 1020180164580A KR 20180164580 A KR20180164580 A KR 20180164580A KR 102225536 B1 KR102225536 B1 KR 1022255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unit
- vegetables
- cooling
- water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무청, 배무채 등의 채소를 자동으로 데치고, 세척하고, 채소를 냉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온도를 충분히 낮추는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는 채소를 데치는 보일링부(Boiling Part), 상기 보일링부가 데친 상기 채소를 세척하는 세척부(Cleaning Part) 및 상기 세척부가 세척한 상기 채소를 냉각시키는 냉각부(Cooling Part)를 포함하고, 냉각부는 물을 냉각시키는 물 냉각부(Water Cooling Part), 상기 세척부가 세척한 상기 채소가 투입되며, 상기 물 냉각부가 냉각시킨 물이 채워지는 냉각 수조부(Cooling Water Tank Part) 및 상기 냉각 수조부의 입구(Entry)에서 출구(Exit)를 향하는 물의 흐름을 생성하는 흐름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vegetable automatic process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vegetable automatic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boiling, washing, and freezing vegetables such as radish and pear radish.
The automatic clean vegetabl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iling part for boiling vegetables, a cleaning part for washing the vegetables boiled by the boiling part, and a cooling part for cooling the vegetables washed by the washing part ( Cooling Part), and the cooling unit is a water cooling unit that cools water, the vegetables washed by the washing unit are introduced, and the cooling water tank is filled with water cooled by the water cooling unit. Part) and a flow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flow of water from the entrance (Entry) of the cooling water tank to the exit (Exit).
Description
본 발명은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vegetable automatic processing apparatus.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무청, 배무채 등의 채소를 자동으로 데치고, 세척하고, 채소를 냉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온도를 충분히 낮추는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vegetable automatic processing apparatus that automatically boils vegetables such as radish and pear radish, and lowers the temperature sufficiently to facilitate washing and freezing vegetables.
우리나라는 자연환경과 사회 경제적 영향으로 오랜 시간 식물성 식품인 김치 및 나물류의 이용이 발달하였다. 특히 제철에 나는 채소류를 말려 두었다 겨울철 식품재료로 이용하였는데, 대표적인 건조채소 식품으로는 무청 시래기 및 배추(잎) 시래기가 있다.In Korea, the use of vegetable foods such as kimchi and vegetables has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due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social and economic influences. In particular, I dried vegetables in season and used them as food ingredients in winter. Representative dried vegetable foods include radish siraegi and cabbage (leaf) siraegi.
시래기는 다량의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는 건조채소로 엽록소(Chlorophyll)가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당질의 함량이 낮고, 비타민 B1, B2, C, 나이아신, 단백질, 지질(脂質), 철분 및 칼슘이 높고 섬유질이 풍부하여 최근에는 성인병 예방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Siraegi is a dried vegetabl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vitamins, has a large amount of chlorophyll, has a low sugar content, is high in vitamins B1, B2, C, niacin, protein, lipids, iron and calcium, and is high in fiber. It is known to be good for prevention of adult diseases in recent years because of its abundance.
특히, 무청에는 전분 분해효소인 디아스타제(Diastase)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전분을 많이 섭취하는 한국 사람들에게는 소화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In particular, radish contains a starch-degrading enzyme called Diastase, so it can have a good effect on digestion for Koreans who consume a lot of starch.
하지만 시래기 제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비위생적인 측면이 많이 존재할 수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However, manufacturing Shiraegi takes a long time and there may be many unsanitary aspects, so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시래기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971313호(문헌 1)(시래기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에어(Air)와 온수를 이용하여 시래기를 세척하고, 이후 냉동과 해동을 거쳐 시래기를 건조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iraegi, in Registration Patent No. 10-0971313 (Document 1) (Siraegi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 technique of washing siraegi using air and hot water, and then drying siraegi through freezing and thawing. I am posting the configuration.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냉동 및 해동 이후에 채소를 다시 건조함으로써 시래기의 제조에 오랜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technique h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manufacture Shiraegi by drying the vegetables again after freezing and thawing.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09-0018335호(문헌 2)(즉석식 시래기 제조방법)에서는 무청과 배추를 데친 이후에 황국균을 접종한 누룩을 뿌리고 혼합하여 숙성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As another prior art,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9-0018335 (Document 2) (method for making ready-made siraegi) disclos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radish and Chinese cabbage are boiled, followed by sprinkling yeast inoculated with Hwangguk bacterium, mixing, and aging.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서도 시래기의 제조에 상대적으로 오랜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in such a technique,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to manufacture the siraegi.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357927호(문헌 3)(인스탄트 씨레기(우거지)의 제조방법)와 등록특허 제10-1255042호(문헌 4)(배무채 시래기의 제조방법 및 조리방법)에서도 시래기의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적 구성은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의 종래 기술들은 많은 양의 시래기를 투입하는 경우에는 시래기가 정상적으로 삶아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세척과정도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s other conventional techniques, Registration Patent No. 10-0357927 (Document 3) (Method of manufacturing Instant Seedling (woogeoji)) and Registration Patent No. 10-1255042 (Document 4) (Manufacturing Method and Cooking Method of Pear Radish Siraegi) Also disclosed i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iraegi, but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a problem in that when a large amount of siraegi is injec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iraegi may not be boiled normally, and the washing process is not sufficient.
본 발명은 자동으로 채소(시래기)를 데치고, 데친 채소를 세척하고, 세척한 채소의 온도를 충분히 낮추는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clean vegetable processing apparatus that automatically boils vegetables (Siraegi), cleans the boiled vegetables, and sufficiently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washed vegetables.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는 채소를 데치는 보일링부(Boiling Part), 상기 보일링부가 데친 상기 채소를 세척하는 세척부(Cleaning Part) 및 상기 세척부가 세척한 상기 채소를 냉각시키는 냉각부(Cooling Part)를 포함하고, 냉각부는 물을 냉각시키는 물 냉각부(Water Cooling Part), 상기 세척부가 세척한 상기 채소가 투입되며, 상기 물 냉각부가 냉각시킨 물이 채워지는 냉각 수조부(Cooling Water Tank Part) 및 상기 냉각 수조부의 입구(Entry)에서 출구(Exit)를 향하는 물의 흐름을 생성하는 흐름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clean vegetabl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iling part for boiling vegetables, a cleaning part for washing the vegetables boiled by the boiling part, and a cooling part for cooling the vegetables washed by the washing part ( Cooling Part), and the cooling unit is a water cooling unit that cools water, the vegetables washed by the washing unit are injected, and the cooling water tank is filled with water cooled by the water cooling unit. Part) and a flow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flow of water from the entrance (Entry) of the cooling water tank to the exit (Exit).
또한, 상기 냉각 수조부를 덮는 덮개부(Covering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ing part (Covering Part) covering the cooling water tank.
또한, 상기 냉각 수조부의 물을 정수하는 정수부(Water Cleaning Part) 및 상기 정수부가 정수한 물을 상기 물 냉각부로 공급하는 물순환부(Water Circulation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 cleaning part for purifying water from the cooling water tank and a water circulation part for supplying water purified by the purifying unit to the water cooling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냉각부가 냉각시킨 상기 채소를 급속 냉동시키는 급속 냉동부(Quick Freezing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quick freezing part (Quick Freezing Part) for rapidly freezing the vegetables cooled by the cool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는 자동으로 채소(시래기)를 데치고, 낮은 온도의 냉수로 데친 채소를 세척하고, 세척한 채소를 더 낮은 온도의 냉수로 냉각시킴으로써, 빠른 시간에 대량의 채소를 처리할 수 있으며, 채소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automatic clean vegetabl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boils vegetables (Siraegi), cleans the boiled vegetables with cold water at a low temperature, and cools the washed vegetables with cold water at a lower temperature, so that a large amount of vegetables can be quickly obtained. It can be processed an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quality of vegetables from deteriora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는 채소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clean vegetabl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uniform quality of vegetab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보일링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23은 세척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9는 냉각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급속 냉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클린 채소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lean vegetable automat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boiling unit.
11 to 23 are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a cleaning unit.
24 to 29 are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a cooling unit.
30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quick freezing unit.
3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clean vegetable processing metho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automatically processing clean vegeta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can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and/or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said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to or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document,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re provided for a more complete descrip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and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docu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lean vegetable automat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1A)는 보일링부(Boiling Part, 10), 세척부(Cleaning Part, 20) 및 냉각부(Colling Part, 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utomatic clean
보일링부(10)는 온수를 이용하여 채소를 데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채소에 대해 무청 및 배추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채소는 시래기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채소로서 배무채를 이용할 수 있다.The boiling
아울러, 본 발명에서 채소는 말리지 않은 상태이거나 말린 상태의 무청, 배추, 취나물 및 고사리 등의 나물류, 청경채, 고구마 줄기 등 다양할 수 있다.In addition, vegetables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 such as undried or dried radish, Chinese cabbage, vegetables such as chinchonamul and bracken, bok choy, and sweet potato stalks.
이처럼, 본 발명에서 채소는 시래기 상태의 채소일 수 있고, 시래기 상태가 아니지만 시래기로 만들 수 있는 채소일 수도 있다.As such, the vegetables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egetables in a state of shiraegi, and may be vegetables that are not in a state of shiraegi but can be made from shiraegi.
세척부(20)는 보일링부(10)가 냉수를 이용하여 데친 채소를 세척할 수 있다.The
세척부(20)가 채소의 세척에 이용하는 물(냉수)의 온도는 보일링부(10)가 채소의 데침에 이용하는 물(온수)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water (cold water) used by the
냉각부(30)는 세척부(20)가 세척한 채소를 냉수를 이용하여 냉각시킬 수 있다.The
냉각부(30)가 채소의 냉각에 사용하는 냉수의 온도는 세척부(20)가 채소의 세척에 사용하는 냉수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used by th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일링부(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도 2 내지 도 10은 보일링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2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boiling unit.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may be omitted.
도 2를 살펴보면, 보일링부(10)는 제 1 컨베이어부(First Conveyer Part, 100), 제 2 컨베이어부(Second Conveyer Part, 110), 샤워부(Shower Part, 170), 제 1 수조부(First Water Tank Part, 150), 제 1 환기부(First Ventilation Part, 120) 및 제 2 환기부(Second Ventilation Part,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보일링부(10)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Housing, 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boiling
하우징(140)은 제 1 수조부(150)에 담긴 온수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제 1 수조부(150)를 덮을 수 있다.The
제 1 수조부(150)는 보일링부(10)의 입구(Entry, EN)와 출구(Exit, EX)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이러한 제 1 수조부(150)는 채소를 데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높은 온도의 물, 즉 온수가 담길 수 있다.The
아울러, 제 1 수조부(150)에는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가 지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 1 컨베이어부(100)는 작업자 혹은 다른 장치에 의해 채소가 놓이고, 놓인 채소를 이송할 수 있다.The
보일링부(10)의 입구(EN) 측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에 채소가 놓일 수 있다. 보일링부(10)의 입구는 채소를 투입하는 투입구라고 볼 수 있다.Vegetables may be placed on the
아울러, 보일링부(10)의 출구(EX) 측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로부터 데쳐진 채소가 배출될 수 있다. 보일링부(10)의 출구는 데쳐진 채소가 배출되는 배출구라고 볼 수 있다.In addition, vegetables boiled from the
제 2 컨베이어부(110)는 제 1 컨베이어부(100)에 대응되며, 제 1 컨베이어부(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제 2 컨베이어부(110)는 제 1 컨베이어부(100)에 놓인 채소가 효과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The
아울러, 제 2 컨베이어부(110)는 제 1 수조부(150) 내에서 채소가 온수에 충분히 잠길 수 있도록 채소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제 2 컨베이어부(110)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수조부(150) 내에서 온수에 잠길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제 1 환기부(120)는 보일링부(10)의 입구(EN)에서 제 1 수조부(150)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환기부(120)는 보일링부(10)의 입구(EN) 측에서 제 1 수조부(150)의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1 환기관(121)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 2 환기부(130)는 보일링부(10)의 출구(EX)에서 제 1 수조부(150)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환기부(130)는 보일링부(10)의 출구(EX) 측에서 제 1 수조부(150)의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환기관(131)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샤워부(170)는 보일링부(10)의 출구(EX)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The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의 관계를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도 3에서는 제 1 컨베이어부(100)의 회전 방향과 제 2 컨베이어부(110)의 회전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In FIG. 3,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도 3을 살펴보면, 보일링부(10)의 입구(EN)와 출구(EX)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는 충분한 간격(d1, d3)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일링부(10)의 입구(EN)에서는 채소의 투입이 용이하고, 보일링부(10)의 출구(EX)에서는 채소의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아울러, 보일링부(10)의 입구(EN) 및 출구(EX)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는 제 2 컨베이어부(110)보다 소정 길이(L1, L2) 만큼 더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채소의 투입과 배출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보일링부(10)의 제 1 수조부(150)에서는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가 충분히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the first
이에 따라, 제 1 수조부(150)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의 벨트부(BT)와 제 2 컨베이어부(110)의 벨트부(BT) 사이의 간격(d2)은 보일링부(10)의 입구(EN) 및 출구(EX)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의 벨트부(BT)와 제 2 컨베이어부(110)의 벨트부(BT) 사이의 간격(d1, d3)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2 컨베이어부(100, 110)의 벨트부(BT)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ly, the distance d2 between the belt part BT of the
도 4의 (A) 및 (B)를 살펴보면,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는 각각 채소가 놓이는 벨트부(Belt Part, BT) 및 벨트부(BT)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체인부(Chain Part, CH)를 포함할 수 있다.Looking at (A) and (B) of Figure 4, the
여기서, 벨트부(BT)는 채소의 효과적인 데침을 위해 투수가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부(BT)는 망사 타입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belt part BT may have a form in which a pitcher is possible for effective blanching of vegetables. For example, the belt part BT may have a mesh type.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일링부(10)는 제 1, 2 컨베이어부(100, 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구동부(Conveyer Dri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boiling
컨베이어 구동부(미도시)가 공급하는 동력은 제 1 컨베이어부(100) 및/또는 제 2 컨베이어부(110)의 체인부(CH)에 공급될 수 있다.Power supplied by the conveyor driving unit (not shown) may be supplied to the chain unit CH of the
그러면, 체인부(CH)에 의해 제 1 컨베이어부(100) 및/또는 제 2 컨베이어부(110)가 구동될 수 있다.Then, the
도 4의 (B)를 살펴보면, 제 1 컨베이어부(100)는 벨트부(BT)에 배치되며, 벨트부(BT)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PT)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the
이러한 돌출부(PT)는 제 1 컨베이어부(100)의 벨트부(BT) 상에서 채소가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This protrusion PT may help to easily transport vegetables on the belt part BT of the
돌출부(PT)는 그 단면이 알파벳 대문자 '엘'(L)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protrusion PT may have a cross-section in the form of an alphabetic capital letter'L' (L).
이러한 돌출부(PT)는 칸막이, 블레이드(Blade) 등으로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These protrusions PT may be referred to as partitions, blades, or the like.
도 5에는, 제 1 컨베이어부(100)를 실제 구현한 일례의 일부가 개시되어 있다.In FIG. 5, a part of an example of an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도 5를 살펴보면, 제 1 컨베이어부(100)의 벨트부(BT), 체인부(CH) 및 돌출부(PT)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belt part BT, the chain part CH, and the protrusion PT of the
도 6에는 보일링부(10)의 입구(EN) 측에서의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가 개시되어 있다.In FIG. 6, the
도 6을 살펴보면, 보일링부(10)의 입구(EN) 측에서 제 1 수조부(150)로 갈수록 제 1 컨베이어부(100)의 벨트부(BT)와 제 2 컨베이어부(110)의 벨트부(BT)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belt part BT of the
도 7을 살펴보면, 보일링부(10)는 하우징(140) 내에서 제 2 컨베이어부(110)가 처지지 않도록 제 2 컨베이어부(110)를 지지하는 컨베이어 지지부(Conveyer Supporter, 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boiling
컨베이어 지지부(160)는 하우징(140)에 설치될 수 있다.The
도 7에서는 컨베이어 지지부(160)가 보일링부(10)의 입구(EN) 측에 배치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컨베이어 지지부(160)는 보일링부(10)의 출구(EX) 및/또는 제 1 수조부(150)에 더 설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In FIG. 7, a case where the
도 8을 살펴보면, 보일링부(10)는 출구(EX)에서 제 1 컨베이어부(100)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샤워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boiling
샤워부(170)는 샤워관(171) 및 샤워노즐(172)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 9에는 샤워부(170)가 제 1 컨베이어부(100)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경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10과 같이, 보일링부(10)는 온수배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10, the boiling
온수배출부(180)는 제 1 수조부(15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온수배출부(180)는 제 1 수조부(150)의 하부와 제 1 컨베이어부(1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hot
배출구 뚜껑(181)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n outlet lid (181).
이상에서 설명한 보일링부(10)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Looking at the function of the boiling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가 보일링부(10)의 입구(EN)에 채소를 투입할 수 있다.A user or other device may put vegetables into the inlet EN of the boiling
제 1 컨베이어부(100)와 제 2 컨베이어부(110)가 구동되면서, 투입된 채소는 제 1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입구(EN)에서 제 1 수조부(150)로 이송될 수 있다.As the
그러면, 채소가 제 1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 1 수조부(150)에 채워진 온수에 의해 데쳐질 수 있다.Then, the vegetables may be boiled by the hot water filled in the
이처럼, 채소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데쳐짐에 따라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대량의 채소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In this way, as vegetables are boiled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ported,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ss can be reduced, and a large amount of vegetables can be easily processed.
제 1 수조부(150)에서 데쳐진 채소는 제 1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보일링부(10)의 출구(EX)로 이송될 수 있다.Vegetables boiled in the
이후, 샤워부(170)는 보일링부(10)의 출구(EX)로 이송된 채소에 냉수를 분사하여 데쳐진 채소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Thereafter, the
이러한 과정을 통해 채소의 데침 과정을 완성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process of blanching vegetables can be completed.
이후, 배출구 뚜껑(181)을 열어(Open) 제 1 수조부(150)에 담긴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이후에 새로운 온수를 제 1 수조부(150)에 채울 수 있다.Thereafter, th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세척부(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도 11 내지 도 23은 세척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11 to 23 are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a cleaning unit.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도 11을 살펴보면, 세척부(20)는 제 2 수조부(Second Water Tank Part, 200), 제 1 물분출부(First Water Jet Part, 210), 정수부(Water Cleaning Part, 240), 물순환부(Water Circulation Part, 250) 및 제 3 컨베이어부(Third Conveyer Part, 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아울러, 세척부(20)는 보조 샤워부(Auxiliary Shower Part, 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 2 수조부(200)에는 냉수가 채워질 수 있다. 아울러, 제 2 수조부(200)에는 보일링부(10)에서 데쳐진 채소가 투입될 수 있다.Cold water may be filled in the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지는 물(냉수)의 온도는 제 1 수조부(150)에 채워지는 물(온수)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water (cold water) filled in the second
제 2 수조부(200)에 냉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데쳐진 채소가 투입되면, 투입된 채소는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로부터 출구(EX)까지 이동하면서 세척되고, 이물질이 제거되며, 품온이 어느 정도 하강할 수 있다.When the boiled vegetables are put into the
정수부(240)는 제 2 수조부(200)의 물을 정수할 수 있다.The
물순환부(250)는 정수부(240)가 정수한 물의 적어도 일부를 제 2 수조부(200)로 공급할 수 있다.The
제 3 컨베이어부(220)는 세척부(20)에서 세척된 채소를 외부로 운송할 수 있다.The
제 1 물분출부(210)는 제 2 수조부(200) 내에서 입구(EN)에서 출구(EX)로의 물의 흐름을 만들어 낼 수 있다.The first
이를 위해, 제 1 물분출부(210)는 제 2 수조부(200)의 상부에서 채소가 투입되는 입구(EN)로부터 출구(EX)를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물을 분출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도 12를 살펴보면, 제 1 물분출부(210)는 물파이프(Water Pipe, 211)와 적어도 하나의 노즐(Nozzle, 21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first
물파이프(211)는 제 2 수조부(200)의 상부에서 제 2 수조부(200)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The
노즐(212)은 물파이프(211)에 설치되며, 물을 분출할 수 있다.The
제 1 물분출부(210)는 비스듬히 물을 분출하기 위해, 도 13과 같이, 노즐(212)은 물파이프(211)에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자세하게는, 제 2 수조부(200)의 바닥면(BS)에 수직하는 직선(PL)과 노즐(212)의 연장선(JL) 사이의 각도(θ1)는 예각일 수 있다. 아울러, 노즐(212)의 연장선(JL)은 제 2 수조부(200)의 바닥면(BS)과 교차할 수 있다.In detail, the angle θ1 between the straight line PL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BS of the
도 14에는 제 1 물분출부(210)가 비스듬한 각도로 물을 분출하는 경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1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도 15를 살펴보면, 제 2 수조부(200)의 바닥면(BS)은 제 1 부분(BS1), 제 2 부분(BS2) 및 제 3 부분(BS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bottom surface BS of the
제 1 부분(BS1)은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에 대응되고, 제 3 부분(BS3)은 제 2 수조부(200)의 출구(EX)측에 대응되고, 제 2 부분(BS1)의 제 1 부분(BS1)과 제 3 부분(BS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part BS1 corresponds to the inlet EN side of the
제 1 부분(BS1)은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으로 갈수록 하부로 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art BS1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that goes downward toward the inlet EN of the
이에 따라, 제 2 수조부(200)는 물을 담는 공간의 크기가 입구(EN) 측으로 갈수록 증가하여 많은 양의 채소를 한꺼번에 투입하더라도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에 투입된 채소를 출구(EX)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size of the space containing water increases toward the inlet EN, so that the
제 2 부분(BS2)은 제 1 부분(BS1) 및 제 3 부분(BS3)에 비해 돌출되어 더 높은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겨우, 제 2 수조부(20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제 2 부분(BS2)에서는 물의 깊이가 제 1 부분(BS1) 및 제 3 부분(BS3)에 비해 더 낮을 수 있다.The second portion BS2 may protrude compared to the first portion BS1 and the third portion BS3 and may be positioned at a higher portion. In this case, in a state where water is filled in the
이에 따라, 제 1 물분출부(210)가 분출하는 물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으로부터 출구(EX)측으로 향하는 물의 흐름이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 flow of water from the inlet EN side to the outlet EX side of the
도 16을 살펴보면,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에는 제 2 물분출부(Second Water Jet Part, 201)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a second
제 2 물분출부(201)는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의 벽에서 출구(EX)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측으로부터 출구(EX)측으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보조 샤워부(230)는 세척부(20)의 출구(EX)에서 제 3 컨베이어부(220)를 향해 물을 분출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세척부(20)의 출구(EX)에서 세척된 채소가 배출되기 전에 추가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vegetables washed at the outlet EX of the
이러한 보조 샤워부(230)는, 도 17의 경우와 같이, 보조 물파이프(Auxiliary Water Pipe, 231)와 보조 물파이프(231)에 설치되는 보조 노즐(Auxiliary Nozzle, 232)을 포함할 수 있다.As in the case of FIG. 17, the
보조 노즐(232)은 제 3 컨베이어부(220)의 벨트부(BT)를 향할 수 있다.The
도 18에는 보조 샤워부(230)를 구현한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18 illustrates an example of implementing the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정수부(240)와 물순환부(250)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적어도 하나의 정수부(240)는 제 2 수조부(2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정수부(240)는 1차 정수망(242), 1차 정수공간(241), 2차 정수망(243) 및 회수관(244)을 포함할 수 있다.The
1차 정수망(242)은 제 2 수조부(200)의 벽(Wall)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정수망(242)은 다수의 1차 정수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imary
1차 정수망(242)은 손잡이(2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손잡이(245)를 이용하여 1차 정수망(242)을 손쉽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The primary
1차 정수망(242)을 통과하여 1차적으로 정수된 물은 1차 정수공간(241)에 모일 수 있다.Water that has been primarily purified through the primary
2차 정수망(243)은 1차 정수공간(241)의 하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2차 정수 홀(H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ary
1차 정수공간(241)에 모인 물은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홀 또는 파이프를 통해 2차 정수망(243)에 공급되고, 2차 정수망(243)에 의해 2차적으로 정수될 수 있다.Water collected in the primary
2차 정수망(243)에 의해 정수된 물은 회수관(244)을 통해 물순환부(250)로 공급될 수 있다.Water purified by the secondary
물순환부(250)는 회수관(244)을 통해 회수된 물을 다시 제 2 수조부(200)로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순환부(250)는 회수관(244)을 통해 회수된 물을 다시 제 2 수조부(200)의 입구(EN)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세척부(20)에서 소요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water required by the
물순환부(250)는 소정의 펌프(Pump)일 수 있다.The
도 20에는 정수부(240)를 구현한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20 illustrates an example of implementing the
이상에서 설명한 세척부(20)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Looking at the function of the
세척부(20)의 입구(EN) 측에 보일링부(10)에 의해 데쳐진 채소가 투입되면, 세척부(20)는 제 1 물분출부(210)를 이용하여 세척부(20)의 입구(EN)에서 출구(EX)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만들어낼 수 있다.When vegetables boiled by the boiling
그러면, 투입된 채소는 입구(EN)로부터 출구(EX)까지 이동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세척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진 물(냉수)에 의해 채소의 온도는 충분히 낮아질 수 있다.Then, the introduced vegetables are removed from foreign substances while moving from the inlet EN to the outlet EX, and can be washed.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ble may be sufficiently lowered by the water (cold water) filled in the
이후, 세척되고, 온도가 낮아진 채소는 제 3 컨베이어부(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reafter, the vegetables that have been washed and whose temperature has been lowere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무청, 배추 등의 채소를 자동으로 데치고, 세척할 수 있다.Vegetables such as radish and Chinese cabbage can be automatically boiled and washed through the method described above.
한편, 정수부(240)에 의해 정수된 물의 적어도 일부를 재사용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하여 버리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possible to discharge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purified by the
예를 들면, 1차 정수망(242) 또는 2차 정수망(243)을 통과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imary
또는, 도 21의 경우와 같이, 1차 정수망(242)의 높이를 소정 높이(Z1)만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1차 정수망(242)에서 1차 정수 홀(H1)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21, the height of the primary
이러한 경우,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진 물에서 거품, 찌꺼기 등의 부유물질 등이 1차 정수공간(241)으로 흘러 들어올 수 있다.In this case, floating substances such as bubbles and debris may flow into the first
아울러, 1차 정수공간(241)으로 유입된 부유물질 등은 배출관(244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suspended mat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이처럼, 1차 정수공간(241)으로 유입된 부유물질 등을 외부로 배출하면 그 만큼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진 물이 깨끗해질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floating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first
도 22를 살펴보면, 정수부(240)는 제 1 정수부(240a)와 제 2 정수부(240b)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the
제 1 정수부(240a)는 도 21에서 설명한 것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The
제 2 정수부(240b)는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진 물을 정수하고, 물순환부(250)는 제 2 수조부(200)가 정수한 물을 다시 제 2 수조부(200)로 공급하여 재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제 2 정수부(240b)는, 도 23과 같이, 제 2 수조부(200)의 출구(EX)측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아울러, 물순환부(250)는 제 2 정수부(240b)가 정수한 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제 2 정수부(240b)는 정수망(248), 취수공간(246a), 취수부(249) 및 정수공간(246b)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정수망(248)은 다수의 정수 홀(H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수망(248)은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취수공간(246a)과 정수공간(246b)은 정수그릇(246) 내에 마련될 수 있다.The
아울러, 취수공간(246a)과 정수공간(246b)은 정수그릇(246) 내에서 정수망(248)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수그릇(246)에 레일(247)이 형성되고, 정수망(248)은 레일(246)에 삽입되어 취수공간(246a)과 정수공간(246b)을 구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취수공간(246a)과 제 2 수조부(200)는 취수통로(249)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제 2 수조부(200)에 담긴 물은 취수통로(249)를 통해 취수공간(246a)으로 유입될 수 있다.Water contained in the
취수공간(246a)으로 유입되는 물을 어느 정도 정수하기 위해 취수통로(249)에 또 다른 정수망(미도시)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t may be possible to install another water purification network (not shown) in the
취수공간(246a)으로 유입된 물은 정수망(248)을 통해 정수되어 정수공간(246b)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Water flowing into the
정수공간(246b)에 모인 물은 회수관(244)을 통해 물순환부(250)로 공급될 수 있다.Water collected in the purified
물순환부(250)는 회수관(244)을 통해 회수된 물을 제 2 물분출부(201)로 공급하거나, 보조 샤워부(230)로 공급하거나, 제 1 물분출부(210)로 공급할 수 있다. 또는, 물순환부(250)는 제 2 정수부(240b)가 정수한 물을 제 2 수조부(200)로 직접 공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The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세척부(20)에서 소요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water required by th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냉각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ol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4 내지 도 30은 냉각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24 to 30 are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a cooling unit.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도 24를 살펴보면, 냉각부(30)는 물 냉각부(Water Cooling Part, 330), 냉각 수조부(Cooling Water Tank Part, 300) 및 흐름 생성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4, the cooling
물 냉각부(330)는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The
냉각 수조부(300)는 세척부(20)가 세척한 채소가 투입되며 냉수가 채워질 수 있다.In the cooling
냉각 수조부(300)에 채워지는 물(냉수)의 온도는 제 2 수조부(200)에 채워지는 물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water (cold water) filled in the cooling
냉각 수조부(300)에는 물 냉각부(330)가 냉각시킨 물이 채워지는 것이 가능하다.The cooling
냉각 수조부(300)에 냉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세척부(200)에 의해 세척된 채소가 투입되면, 투입된 채소는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로부터 출구(EX)까지 이동하면서 품온이 충분히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잔존하는 이물질이 제거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vegetables washed by the
세척과정에서 채소가 충분히 세척되었기 때문에 냉각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세척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보다 더 짧은 것이 가능하다.Since the vegetables are sufficiently wash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the time required for the cooling process may be short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the washing process.
이를 위해, 냉각부(30)의 냉각 수조부(300)의 길이(S1)는 세척부(20)의 제 2 수조부(200)의 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To this end, the length S1 of the cooling
흐름 생성부(310)는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try)에서 출구(Exit)를 향하는 물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The
냉각부(30)는 정수부(Water Cleaning Part, 340), 물순환부(Water Circulation Part, 350) 및 제 4 컨베이어부(Fourth Conveyer Part, 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정수부(340)는 냉각 수조부(300)의 물을 정수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부(340)는 냉각 정수부(340)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각 정수부(340)를 '정수부(340)'로 칭한다.The
물순환부(350)는 정수부(340)가 정수한 물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 수조부(300)로 공급할 수 있다. 물순환부(350)는 냉각 물순환부(350)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각 물순환부(350)를 '물순환부(350)'라고 칭한다.The
제 4 컨베이어부(320)는 냉각부(30)에서 냉각된 채소를 외부로 운송할 수 있다.The
물 냉각부(33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물 냉각부(330)는 물순환부(35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The
이를 위해, 정수부(340)가 정수한 물은 제 1 공급관(331)을 통해 물순환부(35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면, 물순환부(350)는 제 1 공급관(331)을 통해 공급받은 정수된 물을 물 냉각부(330)로 공급할 수 있다.To this end, water purified by the
외부로부터 물이 제 2 공급관(332)을 통해 물 냉각부(330)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from the outside to the
물 냉각부(330)부는 물순환부(35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된 물 및/또는 제 2 공급관(332)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The
물 냉각부(330)가 냉각시킨 물은 제 3 공급관(333)을 통해 냉각부(30)로 공급될 수 있다.Water cooled by the
예를 들면, 물 냉각부(330)가 냉각시킨 물은 제 3 공급관(333)을 통해 냉각 수조부(300)로 공급되거나, 흐름 생성부(310)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water cooled by the
냉각부(30)의 냉각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도 25의 경우와 같이, 냉각부(30)는 냉각 수조부(300)를 덮는 덮개부(Covering Part, 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cooling effect of the cooling
덮개부(360)는 냉각 수조부(300)에 채워진 냉수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ver part 360 may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filled in the cooling
냉각 수조부(300)에 덮개부(360)가 설치된 상태에서 세척된 채소를 입구(EN) 측에 보다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해 입구(EN)가 기울어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 측의 벽(EW)의 상부는 하부보다 더 연장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360 is installed in the cooling
도 26을 살펴보면, 흐름 생성부(310)는 흐름 생성부(310)는 냉각 수조부(300) 내에서 입구(EN)에서 출구(EX)로의 물의 흐름을 만들어 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6, the
이를 위해, 흐름 생성부(310)는 제 3 물분출부(311)와 제 4 물분출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제 3 물분출부(311)는 냉각 수조부(300)의 상부에서 채소가 투입되는 입구(EN)로부터 출구(EX)를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물을 분출할 수 있다.The third
이를 위해, 제 3 물분출부(311)는 물파이프(311a)와 적어도 하나의 노즐(311b)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third
물파이프(311a)는 냉각 수조부(300)의 상부에서 냉각 수조부(300)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The
노즐(311b)은 물파이프(311a)에 설치되며, 물을 분출할 수 있다.The
제 3 물분출부(311)에서 비스듬히 물을 분출하기 위해 노즐(311b)은 물파이프(311a)에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도 12 내지 도 13을 통해 충분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여기서는, 흐름 생성부(310)가 제 3 물분출부(311) 및 제 4 물분출부(312)를 함께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흐름 생성부(310)는 제 3 물분출부(311) 또는 제 4 물분출부(312)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Here, a case where the
냉각 수조부(300)의 바닥면(BS)은 제 1 부분(BS1), 제 2 부분(BS2) 및 제 3 부분(BS3)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BS of the cooling
제 1 부분(BS1)은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측에 대응되고, 제 3 부분(BS3)은 냉각 수조부(300)의 출구(EX)측에 대응되고, 제 2 부분(BS1)은 제 1 부분(BS1)과 제 3 부분(BS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part BS1 corresponds to the inlet EN side of the cooling
제 1 부분(BS1)은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측으로 갈수록 하부로 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art BS1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that goes downward toward the inlet EN of the cooling
제 1 부분(BS1), 제 2 부분(BS2) 및 제 3 부분(BS3)에 대해서는 앞선 도 15 및 도 16을 통해 충분히 설명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part BS1, the second part BS2, and the third part BS3 can be sufficient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above,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제 4 물분출부(312)는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측의 벽(EW)에 형성될 수 있다.The fourth
제 4 물분출부(312)는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측의 벽(EW)에서 출구(EX)를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측으로부터 출구(EX)측으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The fourth
도 27을 살펴보면, 냉각부(30)는 냉각기(Cooler, 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the cooling
냉각기(370)는 냉각 수조부(3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oler 370 may be installed in the cooling
냉각 수조부(300)에 냉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냉각기(370)는 냉수에 적어도 일부가 잠길 수 있다.While the cooling
이러한 냉각기(370)는 냉각 수조부(300)에 채워진 냉수의 온도를 빼앗아 냉수의 온도를 충분히 낮출 수 있다.The cooler 370 may sufficiently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by taking away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filled in the cooling
도 28의 (A)를 살펴보면, 냉각 수조부(300)의 바닥면(BS)은 바닥홀(H4)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28, the bottom surface BS of the cooling
냉각 수조부(300)에 채워진 물은 바닥홀(H4)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Water filled in the cooling
아울러, 도 28의 (A) 및 (B)와 같이 냉각 수조부(300)의 바닥면(BS) 중 제 2 부분(BS2)의 하부에 냉각기(370)가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8A and 28B, the cooler 370 may be positioned under the second part BS2 of the bottom surface BS of the cooling
다르게 표현하면, 냉각 수조부(300)의 바닥의 벽(BW)과 제 2 부분(BS2) 사이의 공간에 냉각기(370)가 위치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oler 370 may be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wall BW of the bottom of the cooling
이러한 경우, 냉각 수조부(300)에 채워진 물이 바닥홀(H4)을 통해 이동하면서 냉각기(370)에 의해 충분히 냉각될 수 있다. 아울러, 냉각기(370)가 제 2 부분(BS2)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채소가 냉각기(370)에 걸리는 것을 충분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filled in the cooling
도 29를 살펴보면, 적어도 하나의 정수부(340)는 냉각 수조부(3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9, at least one
정수부(340)는 냉각 수조부(300)에 채워진 물을 정수하고, 정수부(340)가 정수한 물은 물순환부(350)에 의해 물 냉각부(330)로 공급될 수 있다.The
정수부(340)는 냉 정수그릇(Cold Water Cleaning Container, 346), 제 1 냉 정수공간(First Cold Water Cleaning Room, 346b), 제 2 냉 정수공간(Second Cold Water Cleaning Room, 346c), 냉 취수공간(Cold Water Intake Room, 346a), 1차 냉 정수망(348a) 및 2차 냉 정수망(348b)을 포함할 수 있다.The
냉각 수조부(300)에 물이 채워지면, 냉각 수조부(300)의 측벽(Side Wall)에 형성된 냉 취수통로(349)를 통해 냉각 수조부(300)의 물이 냉 정수그릇(346)의 냉 취수공간(346a)으로 유입될 수 있다.When water is filled in the cooling
냉 취수공간(346a)으로 유입된 물은 1차 냉 정수망(348a)과 2차 냉 정수망(348b)을 통해 정수되어 제 1 냉 정수공간(346b)을 거쳐 제 2 냉 정수공간(346c)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water flowing into the cold
제 2 냉 정수공간(346c)으로 유입된 정수된 물을 제 2 냉 정수공간(346c)에 형성된 배수통로(349b)를 통해 물순환부(350)로 공급될 수 있다.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cold
물을 정수하기 위해, 1차 냉 정수망(348a)은 1차 냉 정수홀(H5)을 포함하고, 2차 냉 정수망(348b)은 2차 냉 정수홀(H6)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urify water, the first cooling
효과적인 정수를 위해, 1차 냉 정수홀(H5)의 크기는 2차 냉 정수홀(H6)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For effective water purification, the size of the first cooling water hole H5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cooling water purification hole H6.
제 1 냉 정수공간(346b), 제 2 냉 정수공간(346c) 및 냉 취수공간(346a)은 냉 정수그릇(346) 내에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cold
아울러, 제 1 냉 정수공간(346b), 제 2 냉 정수공간(346c) 및 냉 취수공간(346a)은 냉 정수그릇(346) 내에서 1차 냉 정수망(348a)과 2차 냉 정수망(348b)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ld
이를 위해, 냉 정수그릇(346)에 제 1 레일(347a)과 제 2 레일(347b)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1차 냉 정수망(348a)은 제 1 레일(346a)에 삽입되어 냉 취수공간(346a)과 제 1 냉 정수공간(346b)을 구획할 수 있다.The first cooling and
2차 냉 정수망(348b)은 제 2 레일(346b)에 삽입되어 제 1 냉 정수공간(346b)과 제 2 냉 정수공간(346c)을 구획할 수 있다.The secondary cooling and
이러한 과정을 통해 냉각부(30)에서 소요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water required by the cooling
위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데쳐지고, 세척되고, 냉각된 채소를 급속 냉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It is possible to rapidly freeze blanched, washed and cooled vegetables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For thi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30은 급속 냉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30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quick freezing unit.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도 30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1A)는 보일링부(10), 세척부(20) 및 냉각부(30) 이외에 급속 냉동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0, the automatic clean
급속 냉동부(40)는 냉각부(30)가 냉각시킨 채소를 영하의 충분히 낮은 온도에서 급속 냉동시킬 수 있다.The rapid freezing
아울러, 데친 채소의 세척 후 냉각부(30)에 의한 냉각을 거친 이후에 채소를 급속 냉동시키면 급속 냉동의 효율도 향상될 뿐 아니라, 냉동이 빠르게 진행됨으로써 채소의 본연의 식감, 맛 등의 저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히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vegetables are rapidly frozen after cooling by the cooling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냉각부(30)에 의해 냉각된 채소를 급속 냉동부(40)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t may be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conveyor unit for transporting the vegetables cooled by the cooling
이상에서 설명한 클린 채소 가공 장치(1A)를 이용한 클린 채소 가공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A clean vegetabl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clean
도 31은 클린 채소 가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3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clean vegetable processing method. Hereinafter, descriptions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도 31을 살펴보면, 채소를 보일링부(10)의 입구(EN)에 투입(S10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1, vegetables may be put into the inlet EN of the boiling part 10 (S100).
보일링부(10)에 투입된 채소는 제 1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제 1 수조부(150)로 이송될 수 있다.Vegetables put into the boiling
여기서, 제 1 수조부(150)에는 채소를 데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은 온도를 갖는 온수가 채워질 수 있다.Here, the
이에 따라, 투입된 채소는 온수에서 데쳐질 수 있다(S200).Accordingly, the injected vegetables may be boiled in hot water (S200).
채소를 데치는데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채소가 충분히 데쳐지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채소를 데치는데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채소의 익힘의 정도가 과도하여 채소가 과도하게 물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채소는 60~90℃의 온수에서 데쳐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채소는 70~80℃의 온수에서 데쳐질 수 있다.If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used to blanch vegetables is too low, the vegetables may not be sufficiently blanched. On the other h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used to blanch vegetables is excessively high, the degree of cooking of the vegetables may be excessive, and problems such as excessive softening of the vegetables may occur. In consideration of this, it may be preferable that vegetables are blanched in hot water of 60 to 90°C, and more preferably, vegetables may be blanched in hot water of 70 to 80°C.
온수의 온도는 채소의 종류, 사이즈(두께 등), 양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hot water can be set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variables such as the type, size (thickness, etc.) of vegetables, and quantity.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1 수조부(150)에 채워지는 온수의 온도는 60~9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수조부(150)에 채워지는 온수의 온도는 70~80℃일 수 있다.From another viewpoint,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filled in the
또한, 온수에서 채소를 데치는 시간이 과도하면 채소가 과도하게 길면 물러져 조직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온수에서 채소를 데치는 시간이 과도하면 짧으면 채소가 충분히 데쳐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온수에서 채소를 데치는 시간은 10초~5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온수에서 채소를 데치는 시간은 30초~3분일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time to boil vegetables in hot water is excessive,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texture may occur if the vegetables are excessively long. On the other hand, if the time to blanch vegetables in hot water is too short, the vegetables may not be sufficiently blanched. In consideration of this,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time for boiling vegetables in hot water is 10 seconds to 5 minutes. More preferably, the time for boiling vegetables in hot water may be 30 seconds to 3 minutes.
채소를 데치는 시간은 채소의 종류, 사이즈(두께 등), 양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time to boil vegetables can be set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variables such as the type, size (thickness, etc.), and quantity of vegetables.
채소를 온수에 데치는 시간은 제 1 컨베이어부(100)의 속도와 관련이 있다. 자세하게는, 채소를 데치는 시간은 제 1 컨베이어부(100)가 제 1 수조부(150)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제 1 컨베이어부(100)가 제 1 수조부(150)를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0초~5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초~3분일 수 있다.The time for boiling vegetables in hot water is related to the speed of the
또한, 온수에서 데친 채소를 물로 씻는 샤워단계(S300)를 거칠 수 있다. 샤워과정은 앞선 설명한 샤워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 shower step (S300) of washing vegetables poached in hot water with water may be performed. The shower process may be performed by the previously described
이와 같이, 온수로 데친 채소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물로 샤워하게 되면 데친 채소의 가공이 용이해질 수 있다.In this way, if the vegetables boiled with hot water are showered with water of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processing of the vegetables can be facilitated.
샤워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데침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온수)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water used in the shower process may be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water (hot water) used in the blanching process.
샤워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데쳐진 채소의 온도를 충분히 낮추지 못하여 이후의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숙성과정(S400)에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반면에, 샤워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데쳐진 채소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져서 식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샤워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0~3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25℃일 수 있다.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used in the shower process is excessively high, the temperature of the boiled vegetables cannot be sufficiently lowered, resulting in lower workability or a problem in the aging process (S400). On the other h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used in the shower process is excessively low, the temperature of the boiled vegetables decreases sharply and the texture may deteriorate.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temperature of water used in the shower process may be preferably 0 to 30°C, more preferably 5 to 25°C.
채소의 종류, 채소의 데침에 사용하는 온수의 온도, 채소의 데침에 소요되는 시간, 채소의 데침 이후 숙성단계(S400)가 시작되기까지 대기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요인에 따라 샤워단계(S300)는 생략될 수 있다.The shower step (S300)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types of vegetables,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used for blanching vegetables, the time required for blanching vegetables, and the waiting time until the ripening step (S400) starts after the vegetables are blanched Can be omitted.
데침 단계(S200) 이후에 데쳐진 채소를 숙성(S400)시킬 수 있다. 숙성단계는 고온의 온수에서 데쳐진 채소를 일정시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 두어 숙성시킴으로써 통상의 시래기와 유사한 색상을 갖도록 갈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getables that have been boiled after the boil-off step (S200) may be aged (S400). The aging step may include a process of browning the vegetables boiled in hot hot water to have a color similar to that of ordinary siraegi by placing them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데쳐진 채소의 온도, 채소의 종류, 사이즈, 양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샤워단계(S300)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It may be possible to omit the shower step (S300) in consideration of variables such as the temperature of the boiled vegetables, the type, size, and amount of vegetables.
데쳐진 채소의 숙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채소의 숙성은 밀봉된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밀봉은 외부의 공기 및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완벽히 차단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부의 공기 및/또는 수분이 어느 정도 침투하는 것을 용인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n order to more effectively perform the ripening of the boiled vegetables, it may be desirable to perform the ripening of the vegetables in a sealed state. Here, the sealing may mean a state that is completely blocked so that external air and moisture cannot penetrate, and may mean a state that allows the penetration of external air and/or moisture to some extent.
예를 들면, 덮개가 있는 용기에 데쳐진 채소를 담고, 용기의 덮개를 덮은 상태를 밀봉이라고 볼 수 있다. 또는, 비닐 봉투에 데쳐진 채소를 담고, 비닐 봉투의 입구를 묶는 정도를 밀봉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또는, 용기에 데쳐진 채소를 담고, 용기를 비닐로 덮은 상태를 밀봉이라고 볼 수도 있다.For example, a container with a lid contains boiled vegetables, and the lid of the container is closed as a seal. Alternatively, the degree of sealing the poached vegetables in a plastic bag and tying the opening of the plastic bag may be regarded as sealing.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see the state where the vegetables are boiled in a container and the container is covered with plastic is sealed.
숙성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적정시간 동안 채소를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데쳐진 채소의 숙성 시간이 과도하게 길면 채소가 물러지고, 식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데쳐진 채소의 숙성 시간이 과도하게 짧으면 채소가 충분히 숙성되지 않아 채소의 색감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데친 채소를 숙성시키는 시간은 30분~4시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시간~3시간일 수 있다.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effect of ripening, it may be desirable to ripen the vegetables for an appropriate time. If the ripening time of boiled vegetables is excessively long, problems such as softening of vegetables and deterioration of texture may occur. On the other hand, if the ripening time of the boiled vegetables is excessively short, the vegetables are not sufficiently aged, and the color of the vegetables may be deteriorated.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time for ripening the poached vegetables may preferably be 30 minutes to 4 hours, more preferably 1 hour to 3 hours.
이러한 숙성단계(S400)를 거치면 무청 등의 채소를 오랜시간 말리는 과정을 생략하여도 충분한 맛, 식감, 색감을 갖는 시래기의 제조가 가능하다.Through this aging step (S400), even if the process of drying vegetables such as radish for a long time is omitte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Siraegi having sufficient taste, texture, and color.
예를 들면, 말리는 과정(건조과정)을 거치지 않은 생무청을 데치고, 데친 생무청을 30분~4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3시간 동안 충분히 높은 온도로 밀봉된 상태에서 숙성하게 되면, 생무청을 수일에 걸쳐 건조한 것과 유사한 맛, 식감, 색감을 갖는 시래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f the raw radish that has not gone through the drying process (drying process) is boiled, and the boiled raw radish is aged in a sealed state at a sufficiently high temperature for 30 minutes to 4 hours, preferably 1 hour to 3 hours, It is possible to prepare siraegi having a taste, texture, and color similar to that of drying radish over several days.
이에 따라, 숙성단계(S400)를 이용하면 다량의 시래기를 짧은 시간 내에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ly, it may be possible to manufacture a large amount of Siraegi within a short time by using the aging step (S400).
생무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숙성과정(S400)에서 충분히 높은 온도가 필요하므로, 샤워단계(S300)는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raw radish, since a sufficiently high temperature is required in the aging process (S400),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shower step (S300) is omitted.
숙성단계(S400) 이후에, 숙성시킨 채소를 세척부(20)에 투입하여 세척할 수 있다(S500).After the aging step (S400), the aged vegetables may be put into the
세척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데침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온수)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water used in the washing process may be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water (hot water) used in the blanching process.
예를 들면, 세척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0~30℃, 바람직하게는 5~25℃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water used in the washing process may be 0 to 30°C, preferably 5 to 25°C.
세척과정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다.The cleaning proces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이후, 세척한 채소를 냉각(S600)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냉각과정은 냉각부(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reafter, the washed vegetables may be cooled (S600). This cool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the cooling
냉각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세척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water used in the cooling process may be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water used in the washing process.
예를 들면, 세척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4~15℃, 바람직하게는 0~10℃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water used in the washing process may be -4 to 15°C, preferably 0 to 10°C.
세척과정에서 채소가 충분히 세척되었기 때문에 냉각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세척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보다 더 짧은 것이 가능하다.Since the vegetables are sufficiently wash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the time required for the cooling process may be short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the washing process.
이를 위해, 냉각부(30)의 냉각 수조부(300)에서 물의 속도를 제 2 수조부(200)에서 물의 속도보다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는, 흐름 생성부(310)의 물 분출량, 분출속도 등의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peed of water in the cooling
이후, 냉각시킨 채소를 탈수할 수 있다(S700). 예를 들면, 냉각시킨 채소를 탈수기에 투입하여 탈수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cooled vegetables may be dehydrated (S700). For example, cooled vegetables can be added to a dehydrator to dehydrate.
탈수단계(S700)는 냉각단계(S600) 이후 세척된 채소의 수분량, 세척된 채소의 보관상태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생략될 수 있다.The dehydration step (S700) may be omitted in consideration of variables such as the amount of moisture in the vegetables washed after the cooling step (S600) and the storage state of the washed vegetables.
이후, 탈수시킨 채소 혹은 냉각시킨 채소를 -20~-40℃의 온도에서 급속냉동시킬 수 있다(S800).Thereafter, the dehydrated or cooled vegetables can be rapidly frozen at a temperature of -20 to -40°C (S800).
채소를 급속냉동시키기 전에 채소를 진공포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세척한 채소를 비닐팩 등을 이용하여 진공 포장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vacuum-pack vegetables before quick freezing them. For example, washed vegetables can be vacuum-packed using a plastic pack or the like.
이후, 진공포장한 채소를 -20~-40℃의 온도에서 급속 동결할 수 있다.After that, vacuum-packed vegetables can be rapidly frozen at a temperature of -20 to -40°C.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채소를 데치고, 데친 채소를 세척하고, 세척한 채소를 냉각시키고, 냉각시킨 채소를 급속냉동할 수 있다.You can blanch vegetables, wash poached vegetables, cool washed vegetables, and quickly freeze cooled vegetables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specific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데친 채소의 숙성시간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채소를 처리하고, 처리한 채소를 검사하였다.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according to the ripening time of the boiled vegetables, the vegetables were treated in the following way, and the treated vegetables were examined.
우선, 처리할 채소로 무청과 배추(잎)을 선택하였다.First, radish and Chinese cabbage (leaves) were selected as vegetables to be treated.
채소를 앞선 도 2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보일링부(10)를 이용하여 채소를 85℃의 온수로 40초 동안 데쳤다.Vegetables were boiled in hot water at 85° C. for 40 seconds using the boiling
이후, 표 1에서와 같은 조건(숙성시간 0시간, 1시간, 3시간, 8시간)으로 데친 채소를 숙성시켰다.Thereafter, the vegetables boiled were ag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able 1 (
이후, 숙성시킨 채소를 세척부(20)를 이용하여 숙성시킨 채소를 15℃의 냉수로 세척하였다.Thereafter, the aged vegetables were washed with cold water at 15°C using the
세척한 채소를 다수의 검사관(사용자)들이 각자 색, 맛, 식감 등이 항목에 따라 검사하여 최저 0점부터 최고 10점까지 부여하였다.A number of inspectors (users) inspected the washed vegetables according to their color, taste, texture, etc., and assigned from the lowest 0 points to the highest 10 points.
다수의 검사관들의 점수를 평균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Results were derived by averaging scores of multiple inspectors.
무청
배추(잎)
Chinese cabbage (leaves)
표 1를 살펴보면,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숙성시간이 0시간, 즉 숙성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색 항목에 대한 평가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able 1,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both radish and Chinese cabbage (leaf), the maturation time is 0 hours, that is, the evaluation of the color item is very low when not ripening.
이는, 숙성을 하지 않음으로써 채소가 충분히 갈변되지 않아서 채소의 색이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is may mean that the color of the vegetable is not sufficiently satisfactory because the vegetable is not sufficiently browned by not ripening.
또한,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 숙성시간이 8시간인 경우에는 맛과 식감 항목에 대한 평가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both radish and Chinese cabbage (leaf), it can be seen that the evaluation of taste and texture items is very low when the maturation time is 8 hours.
이는, 숙성이 과도하게 채소가 과도하게 물러짐으로써 맛과 식감이 저하돈 것으로 볼 수 있다.This can be seen as a decrease in taste and texture due to excessive ripening of vegetables.
반면에,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숙성시간이 1시간인 경우 및 3시간인 경우에 색, 맛, 식감 항목에서 평가점수가 충분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both radish and Chinese cabbage (leaf), it can be seen that the evaluation score is sufficiently high in the terms of color, taste, and texture when the maturation time is 1 hour and 3 hours.
[실시예 2][Example 2]
데친 채소에 대한 냉수샤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채소를 처리하고, 처리한 채소를 검사하였다.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cold water shower on the boiled vegetables, the vegetables were treated in the following manner, and the treated vegetables were examined.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데치는 과정을 실시하였다.The process of blanching vegetable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이후, 표 2에서와 같이, 일부 채소에 대해 냉수샤워를 실시하고, 나머지 채소에 대해 냉수샤워를 실시하지 않았다.Thereafter, as shown in Table 2, a cold water shower was performed on some vegetables, and a cold water shower was not performed on the remaining vegetables.
냉수 샤워는 앞서 설명한 샤워부(170)를 이용하여 15℃의 냉수를 데친 채소에 분사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The cold water shower was performed by spraying cold water at 15° C. onto the boiled vegetables using the
이후, 모든 채소에 대해 30분 동안 숙성을 실시하였다.Thereafter, all vegetables were aged for 30 minutes.
이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세척하고, 평가하였다.Thereafter, vegetables were washed and evalua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표 2를 살펴보면,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데친 채소에 대해 냉수샤워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에 맛과 식감 항목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able 2,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both radish and Chinese cabbage (leaves), evaluation of taste and texture items was relatively low when the boiled vegetables were not showered with cold water.
이는, 채소를 데친 이후에 냉수샤워를 실시하지 않아 채소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상태에서 숙성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점이라고 볼 수 있다.This can be seen as a problem that occurred because the vegetables went through the aging process while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bles was excessively high because the cold water shower was not performed after the vegetables were boiled.
반면에,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데친 채소에 대해 냉수샤워를 실시한 경우에 색, 맛, 식감 항목에서 평가점수가 충분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both radish and Chinese cabbage (leaf), it can be seen that the evaluation score is sufficiently high in terms of color, taste, and texture when the boiled vegetables were showered with cold water.
[실시예 3][Example 3]
데친 채소에 대한 숙성과정에서의 조건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채소를 처리하고, 처리한 채소를 검사하였다.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condition on the ripening process of the boiled vegetables, the vegetables were treated in the following way, and the treated vegetables were examined.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데치는 과정을 실시하였다.The process of blanching vegetable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이후, 표 3에서와 같이, 일부 채소에 대해 개방된 상태에서 숙성과정을 실시하고, 나머지 채소에 대해서는 밀봉된 상태에서 숙성과정을 실시하였다.Thereafter, as shown in Table 3, some vegetables were subjected to the aging process in an open state, and the remaining vegetables were subjected to the aging process in a sealed state.
여기서, 개방상태는 용기에 데친 채소를 담고, 용기의 덮개를 덮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open state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boiled vegetables are contained in the container and the lid of the container is not covered.
밀봉상태는 용기에 데친 채소를 담고, 용기를 비닐을 이용하여 덮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The sealed state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boiled vegetables are contained in a container, and the container is covered with plastic.
숙성시간은 모든 채소에 대해 3.5시간이었다.The maturation time was 3.5 hours for all vegetables.
이후,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세척하고, 평가하였다.Thereafter, vegetables were washed and evalua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s 1 and 2.
표 3을 살펴보면,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개방된 상태에서 숙성과정을 실시한 경우에 색 항목에서 평가가 낮음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able 3,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both radish and Chinese cabbage (leaves), evaluation is low in terms of color when the ripening process is performed in an open state.
이는, 숙성과정에서 채소의 온기 및 수분이 과도하게 유출되어 숙성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This can be considered to be due to insufficient aging due to excessive heat and water leakage of vegetables during the aging process.
반면에, 무청 및 배추(잎) 모두의 경우에 밀봉된 상태에서 숙성과정을 실시한 경우에 색, 맛, 식감 항목에서 평가점수가 충분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both radish and Chinese cabbage (leaf), it can be seen that the evaluation score is sufficiently high in terms of color, taste, and texture when the aging process is carried out in a sealed state.
[실시예 4][Example 4]
데친 채소에 대한 냉각과정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채소를 처리하고, 처리한 채소를 검사하였다.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cooling process on the boiled vegetables, the vegetables were treated in the following way, and the treated vegetables were examined.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데치는 과정을 실시하였다.The process of blanching vegetable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이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채소를 세척하였다.Thereafter, vegetables were wash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이후, 표 4에서와 같이, 일부 채소에 대해 냉각처리를 하고, 나머지 채소에 대해서는 냉각처리를 생략하였다.Thereafter, as shown in Table 4, cooling treatment was performed for some vegetables, and cooling treatment was omitted for the remaining vegetables.
냉각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는 대략 4℃이고, 냉각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대략 30초이다.The temperature of water used in the cooling process is about 4℃,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cooling process is about 30 seconds.
이후, 냉각처리한 채소 및 냉각시키지 않은 채소 모두를 -25℃의 온도에서 급속냉동시키고, 하루(24시간) 동안 유지하였다.Thereafter, both the cooled vegetables and the non-cooled vegetables were rapidly frozen at a temperature of -25°C, and maintained for one day (24 hours).
이후, 급속냉동시킨 채소를 상온에서 해동시켜 평가하였다.Thereafter, the quick-frozen vegetables were thawed at room temperature and evaluated.
표 4를 살펴보면, 무청 및 배추(잎) 모두에서 채소를 세척한 이후 냉각처리를 생략하는 경우에 맛, 식감 항목에서 평가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데쳐진 채소를 세척 이후에 채소의 온도가 충분히 낮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급속냉동되었기 때문이라고 예측된다.Looking at Table 4, it can be seen that the evaluation in terms of taste and texture is low in the case of omitting cooling treatment after washing vegetables from both radish and cabbage (leaf). This is predicted to be because the boiled vegetables were quickly frozen in a stat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bles was not sufficiently lowered after washing.
반면에, 무청 및 배추(잎) 모두에서 채소를 세척한 이후 냉각 과정을 거치고 급속냉동은 시킨 경우에는 색, 맛, 식감 항목에서 평가점수가 충분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evaluation score is sufficiently high in terms of color, taste, and texture when vegetables are washed and then cooled and then rapidly frozen in both radish and cabbage (leaf).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d above,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상기 보일링부가 데친 상기 채소를 세척하는 세척부(Cleaning Part); 및
상기 세척부가 세척한 상기 채소를 냉각시키는 냉각부(Cool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물을 냉각시키는 물 냉각부;
상기 세척부가 세척한 채소가 투입되며 상기 물 냉각부가 냉각한 냉수가 채워지며, 냉각 수조부(300)에 채워지는 물(냉수)의 온도는 상기 세척부의 수조부에 채워지는 물의 온도보다 더 낮으며, 냉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세척부에 의해 세척된 채소가 투입되면, 투입된 채소는 입구(EN)로부터 출구(EX)까지 이동하면서 품온이 하강하며, 자체의 길이(S1)는 상기 세척부의 수조부의 길이보다 더 짧도록 구성되는 냉각 수조부; 및
상기 냉각 수조부의 입구(Entry)에서 출구(Exit)를 향하는 물의 흐름을 생성하는 흐름 생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물 냉각부는,
물순환부; 제 1 공급관; 제 2 공급관; 및 물순환부; 를 포함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키거나 상기 물순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세척부에 구비된 정수부가 정수한 물이 제 1 공급관을 통해 상기 물순환부로 공급되면, 상기 물순환부는 상기 제 1 공급관을 통해 공급받은 정수된 물을 상기 물 냉각부로 공급하며, 외부로부터 물이 상기 제 2 공급관을 통해 상기 물 냉각부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물 냉각부는, 상기 물순환부로부터 공급받은 정수된 물 및 상기 제 2 공급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냉각시키며,
상기 물 냉각부가 냉각시킨 물은 제 3 공급관을 통해 상기 냉각 수조부로 공급되거나, 상기 흐름 생성부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냉각 수조부를 덮는 덮개부(Covering Part);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 수조부에 상기 덮개부가 설치된 상태에서 세척된 채소를 입구(EN) 측에 보다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해 입구(EN)가 기울어진 상태로 냉각 수조부(300)의 입구(EN) 측의 벽(EW)의 상부는 하부보다 더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 채소 자동 가공 장치.A boiling part for blanching vegetables;
A cleaning part for washing the vegetables boiled by the boiling part; And
A cooling part for cooling the vegetables washed by the washing part;
Including,
The cooling unit,
A water cooling unit for cooling water;
Vegetables washed by the washing unit are added, and the cold water cooled by the water cooling unit is fill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cold water) filled in the cooling water tank 300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of the washing unit , When vegetables washed by the washing unit are put in a state filled with cold water, the product temperature decreases while moving from the inlet (EN) to the outlet (EX), and its length (S1) is the water tank of the washing unit. Cooling water tank configured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And
A flow generator for generating a flow of water from an entry to an exit of the cooling water tank; Including,
The water cooling unit,
Water circulation unit; First supply pipe; A second supply pipe; And a water circulation unit; By including, it is possible to cool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cool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circulation unit,
When water purified by a water pur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washing unit is supplied to the water circulation unit through a first supply pipe, the water circulation unit supplies purifi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to the water cooling unit, and water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be supplied to the water cooling unit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The water cooling unit cools at least one of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circulation unit and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The water cooled by the water cooling unit may be supplied to the cooling water tank through a third supply pipe or may be supplied to the flow generation unit,
The cooling unit may include a covering part covering the cooling water tank; It further comprises, in order to more easily put the vegetables washed in the state where the cover is installed in the cooling water tank to the inlet EN side, the inlet of the cooling water tank 300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EN is inclined ( An automatic processing device for clean vegetab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art of the wall (EW) on the EN) side is formed in an extended shape than the lower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4580A KR102225536B1 (en) | 2018-12-18 | 2018-12-18 | Clean automatic vegetable processing apparatus 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4580A KR102225536B1 (en) | 2018-12-18 | 2018-12-18 | Clean automatic vegetable processing apparatus an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5668A KR20200075668A (en) | 2020-06-26 |
KR102225536B1 true KR102225536B1 (en) | 2021-03-08 |
Family
ID=71136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4580A Active KR102225536B1 (en) | 2018-12-18 | 2018-12-18 | Clean automatic vegetable processing apparatus a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553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6308B1 (en) * | 2021-02-02 | 2023-12-21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성그린팩토리 | Blanching apparatus for vegetable |
KR102657714B1 (en) * | 2023-08-17 | 2024-04-15 | 박유홍 | Pork processing methods with improved washing process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1989B1 (en) * | 2007-10-31 | 2008-06-27 | 주식회사 태정금속 | Processing method of seeds and processing equipment of seeds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7927B1 (en) | 2000-03-08 | 2002-10-25 | 박성도 | The method for preparing instant of Cireki |
KR100901254B1 (en) | 2007-08-17 | 2009-06-08 | 오재열 | How to prepare instant siraegi |
KR100971313B1 (en) | 2009-12-01 | 2010-07-20 | 새싹종합식품(주) | Dried radish green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by |
KR101255042B1 (en) | 2012-07-05 | 2013-04-30 | 주식회사 디미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iregi using xbrassicoraphanus and cooking method thereof |
JP6000055B2 (en) * | 2012-10-16 | 2016-09-28 | 日本無線株式会社 | Intermittent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
KR20170074351A (en) * | 2015-12-22 | 2017-06-30 | 주식회사 한국캐비치 | Process for Blanching of Napa Cabbage and Radish Leaves |
-
2018
- 2018-12-18 KR KR1020180164580A patent/KR1022255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1989B1 (en) * | 2007-10-31 | 2008-06-27 | 주식회사 태정금속 | Processing method of seeds and processing equipment of seed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5668A (en) | 2020-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21625A (en) | Process for preparing low oil potato chips | |
KR102225536B1 (en) | Clean automatic vegetable processing apparatus and | |
CN103947741B (en) | Heat thermostability preservation device and method after Fruit | |
CN105053164A (en) | Method for preparing dried edible mushrooms | |
CN106923246A (en) |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peeled shrimp | |
KR102616308B1 (en) | Blanching apparatus for vegetable | |
CN109007899A (en) | A kind of refreshing bamboo shoots automatic assembly line | |
CN113180178A (en) | Continuous cooking and freezing production line and food processing method | |
CN207136169U (en) | A kind of device for mango cleaning | |
KR102313349B1 (en) | System for crab washing | |
CN109479951A (en) | Day lily fluidized quick-freezing apparatus | |
CN109497128A (en) | Day lily quick-freezing fresh-keeping system | |
CN108065426B (en) | A dehydrated vegetable processing device for dehydration with hot nitrogen | |
CN115777770B (en) | A method for improving the drying quality and functional factors of fruits and vegetables by low-temperature freeze-thaw combined with integrated immersion freeze-drying | |
KR102131541B1 (en) |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egetable processing information | |
KR20200075661A (en) | Clean automatic vegetabl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
CN212813955U (en) | Atomizing cooling device | |
US7678401B2 (en) | Blanching vegetables | |
KR101698037B1 (en) | Drying System of Wild Greens and Vagetables | |
CN104431847A (en) | Air bubble washing, blanching, selecting and conveying all-in-one machine | |
CN210445522U (en) | Day lily water-cooling heat dissipation equipment | |
JP4633602B2 (en) | Raw material koji processing method in koji shochu production | |
CN111670949A (en) | Corn cob quick-freezing production lin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
KR20220111494A (en) | Washing and cooling apparatus for vegetables | |
CN111887292A (en) | A kind of primary processing and storage method of big ball cap mushroo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3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7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2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1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7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