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4259B1 - A catheter for inserted into arm artery so as to be inserted in same direction as blood flow direction and to be easily supported and us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catheter for inserted into arm artery so as to be inserted in same direction as blood flow direction and to be easily supported and us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259B1
KR102224259B1 KR1020190004620A KR20190004620A KR102224259B1 KR 102224259 B1 KR102224259 B1 KR 102224259B1 KR 1020190004620 A KR1020190004620 A KR 1020190004620A KR 20190004620 A KR20190004620 A KR 20190004620A KR 102224259 B1 KR102224259 B1 KR 10222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balloon
artery
aortic
blood f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6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8075A (en
Inventor
박의준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4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259B1/en
Publication of KR20200088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0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25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36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1Means for forcing inflation fluid into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7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radio-opaque markers in the region of the ballo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로서,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로서, 복강 출혈을 막기 위해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는 카테터 바디; 상기 카테터 바디의 선단 부위에 부착되어, 복강 출혈을 막기 위해 하행 대동맥의 위치에서 폐쇄를 위해 팽창되는 대동맥 폐쇄 풍선(AOB); 및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이 부착된 상기 카테터 바디의 반대쪽 후단에 배치되어,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 방법에 따르면, 대동맥 폐쇄 풍선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를 구비하는 카테터를 구성하되, 카테터의 카테터 바디가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을 따라 팔의 동맥으로 삽입된 후 하행 대동맥의 위치에서 대동맥 폐쇄 풍선이 팽창되어 대동맥이 차단되고, 카테터 바디의 반대쪽 후단에 배치되는 손잡이부를 통해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술로 동맥을 차단하는 방법에 비해 동맥 차단에 걸리는 시간 단축과 함께 환자에게 가해지는 부가적인 혈관 손상을 줄여줌은 물론, 혈류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대동맥 폐쇄 풍선이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 방법에 따르면,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 시술되는 카테터를 제공함으로써, 높은 압력과 두꺼운 재질의 풍선이 필요하지 않고, 풍선이 부착되는 카테터의 크기를 기존의 AOB에 비해 작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잠재적인 정상혈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to an artery of an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to be easily supported. A catheter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comprising: a catheter body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n aortic obstruction balloon (AOB)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body and inflated for closure at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nd a handle portion disposed at a rear end opposite to the catheter body to which the aortic obstruction balloon is attached,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the hand.
According to the catheter for preventing abdominal bleeding by being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a catheter having a catheter body attached with an aortic closure balloon is constructed. However, after the catheter body of the catheter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the aortic closure balloon is inflated at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to block the aorta, and the aorta is blocked. By configuring it so that it can be held and supported easily, compared to the method of blocking the artery by surgery, the time taken to block the artery is shortened, and additional blood vessel damage to the patient is reduced. As i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dislodg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is provid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potential damage to normal blood vessels as it is possible to make the catheter to which the balloon is attached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existing AOB, without the need for a balloon made of a high pressure and thick material.

Description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 방법{A CATHETER FOR INSERTED INTO ARM ARTERY SO AS TO BE INSERTED IN SAME DIRECTION AS BLOOD FLOW DIRECTION AND TO BE EASILY SUPPORTED AND USE METHOD THEREOF}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and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that it can be easily supported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nd its usage method {A CATHETER FOR INSERTED INTO ARM ARTERY SO AS TO BE INSERTED IN SAME DIRECTION AS BLOOD FLOW DIRECTION AND TO BE EASILY SUPPORTED AND US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for preventing abdominal bleeding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theter for preventing abdominal bleeding by being inserted into an artery of an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

현재의 의료기술은 외과적 치료에서 환자에게 침습도가 낮은 방향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혈관 내 치료(endovascular treatment)는 최근 시술의 범위가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는데, 이는 경험의 축적과 함께 장비 및 기구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었다.
Current medical technology is rapidly advancing from surgical treatment to low invasiveness to patients. Among them, endovascular treatment is rapidly expanding the scope of the procedure recently, which is accompanied by accumulation of experience and equipment. And because the development of the mechanism is being made, it has become possible.

이러한 혈관 내 치료에는 여러 가지 기구가 사용되는데, 그 중 하나가 목표하는 혈관을 찾아 들어가는 카테터(Catheter)이다. 의료 현장에서는 혈관 주사용 카테터, 관상동맥 확장용 카테터, 요도 삽입용 카테터, 복강경 수술용 카테터 등이 다양한 신체부위의 시술에 사용되고 있다. 즉, 카테터는 관 모양 기구의 일반적 명칭의 하나로서, 체강 또는 내강이 있는 장기 내로 삽입하기 위한 튜브형의 장치를 의미한다. 카테터는 체강이나 각종 기관 내의 저류물의 배출, 세정용 관류액의 흡인, 중심정맥압 등의 측정, 약물이나 조영제의 체내 주입 등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과 크기 및 형태로 구성되고 있다.
Various devices are used for such intravascular treatment, one of which is a catheter that finds and enters a target blood vessel. In the medical field, a catheter for vascular injection, a catheter for coronary artery expansion, a catheter for urethral insertion, and a catheter for laparoscopic surgery are used in various body parts. That is, a catheter is one of the general names of tubular devices, and refers to a tubular device for insertion into a body cavity or an organ with a lumen. The catheter is used for discharge of reservoirs in body cavities or various organs, aspiration of irrigation fluid for cleaning, measurement of central venous pressure, and injection of drugs or contrast agents into the body, and is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sizes, and shapes according to these uses. Has become.

도 1은 동맥의 혈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맥의 벽은 세 층으로 이루어지는데, 가장 안쪽부터 내막, 중막, 그리고 가장 바깥의 외막으로 구성되며, 동맥의 굵기는 직경이 2~3㎝인 대동맥에서부터 수밀리미터 이하까지 다양하다. 내막은 혈관 안쪽을 흐르는 혈액과 접촉하는 얇은 내피세포가 이루는 한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탄성판(internal elastic lamina)에 의해 중막과 구분된다. 중막은 밀집된 평활근세포층들과 탄력섬유 및 콜라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 막 중 두께가 가장 두껍다. 외막은 주로 섬유결체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큰 동맥들의 외막에는 혈관 자체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존재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ood vessel structure of an artery. As shown in Figure 1, the wall of the artery is composed of three layers, from the innermost to the inner membrane, the middle membrane, and the outermost membrane, and the thickness of the artery is several millimeters or less from the aorta with a diameter of 2 to 3 cm. It varies from to. The inner membrane is composed of a single layer made up of thin endothelial cells in contact with blood flowing inside the blood vessel, and is separated from the middle membrane by an internal elastic lamina. The median membrane is composed of dense smooth muscle cell layers, elastic fibers and collagen, and is the thickest of the three membranes. The outer membrane is mainly composed of fibrous connective tissue. In the outer membrane of the large arteries, there are blood vessels that supply blood to the blood vessel itself.

도 2는 동맥 출혈, 정맥 출혈, 및 모세혈관 출혈을 비교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혈은 동맥출혈, 정맥출혈 및 모세혈관출혈로 나누어지며, 정맥출혈과 모세혈관출혈은 출혈압이 낮으므로 가벼운 압박을 짧은 시간 가하면 자연히 지혈되지만, 동맥출혈의 경우 출혈양과 압력이 커서 압박만으로 지혈시키기 어렵다.
FIG. 2 is a diagram for comparing arterial bleeding, venous bleeding, and capillary bleeding. As shown in Figure 2, bleeding is divided into arterial hemorrhage, venous hemorrhage, and capillary hemorrhage, and because venous hemorrhage and capillary hemorrhage have low bleeding pressure, hemostasis naturally occurs when light pressure is applied for a short time. It is difficult to stop bleeding with only pressure due to high overpressure.

즉, 외상, 대동맥류파열, 출산 후 지속 출혈, 내장동맥파열 등으로 발생하는 대량 복강 내 동맥출혈은 출혈성 쇼크를 유발하며, 심한 경우 환자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즉각적인 치료를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출혈부위를 확인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출혈부위를 직접 치료하는데 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며, 개복 수술을 하는 도중 복강 내의 압력이 감소하면서 혈압이 급격하게 감소하거나, 출혈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출혈부위로 접근조차 하지 못한 상태에서 환자가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더욱이, 혈관손상부위에 다량의 출혈이 있는 경우, 정확한 출혈부위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출혈부위를 찾아서 치료하는데 까지 혈액의 손실이 많으며, 수술적인 접근이 어렵게 된다.
In other words, mass intraperitoneal bleeding caused by trauma, aortic aneurysm rupture, continuous bleeding after childbirth, and visceral artery rupture causes hemorrhagic shock, and in severe cases, it can lead to patient death, requiring immediate treatment.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check and treat the bleeding area, but it takes a long time to directly treat the bleeding area, and during open surgery, the pressure in the abdominal cavity decreases and the blood pressure decreases rapidly, or the bleeding increases further, resulting in bleeding. Patients may die without even access to the site. Moreover,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bleeding in the vascular injury sit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bleeding site, so blood loss is large until the bleeding site is found and treated, and surgical access is difficult.

이와 같이, 과거에는 출혈이 많은 상황에서 가슴을 절개하여 출혈부위의 상부의 동맥근원이 되는 하행대동맥을 겸자하여 출혈을 억제하고, 심장 및 뇌 손상을 방지한 이후에 출혈부위를 찾아 치료를 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복강 내에서 복강동맥 상부의 대동맥을 찾아 겸자하여 출혈을 억제한 후 출혈부위에 대한 수술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수술 방법은 가슴을 절개하여 하행대동맥을 겸자하거나 복강 내 대동맥을 겸자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며, 환자에게 전해지는 부가적인 손상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ast,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a lot of bleeding, the chest is incised and the descending aorta, which is the source of the artery at the upper part of the bleeding area, is clamped to suppress bleeding. Or, after finding the aorta above the abdominal cavity in the abdominal cavity and using forceps to suppress bleeding, surgery was performed on the bleeding site. This surgical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incise the chest to clamp the descending aorta or to clamp the aorta in the abdominal cavity, and additional damage to the patient is large.

이에 근래에는 혈관 내 중재시술법이 도입되어, 대퇴동맥을 천자하여 와이어를 하행대동맥으로 삽입 후 이를 통하여 대동맥을 폐쇄하는 풍선을 삽입하여 급성출혈을 억제한 다음 직접 출혈부위를 수술하는 방법(endovascular balloon occlusion of the aorta)이 선호되며, 과거의 수술적 대동맥 차단의 방법에 비해 대동맥 차단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환자에게 가해지는 부가적인 손상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완동맥이나 경동맥을 통해 대동맥 폐쇄 풍선(aortic occlusion balloon: AOB)을 삽입하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하나 대부분의 경우, 현재의 기구는 직경이 너무 굵기 때문에 대퇴동맥을 통하여 시술을 하는 것이 표준적으로 권고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대부분 대퇴동맥을 천자하여 AOB를 시행하게 된다.
In recent years, an intravascular intervention method has been introduced. After puncturing the femoral artery, inserting a wire into the descending aorta, inserting a balloon that closes the aorta through it, suppressing acute bleeding, and then directly operating the bleeding site (endovascular balloon occlusion). of the aorta) is preferred, and it is considered as a method that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to block the aorta and reduce the degree of additional damage to the patient compared to the previous surgical aortic block method. In some cases, an aortic occlusion balloon (AOB) is inserted through the brachial or carotid artery, but in most cases, the current instrument is too large in diameter, so it is standard to perform the procedure through the femoral artery. It is highly recommended, and accordingly, most of the femoral arteries are punctured to perform AOB.

이와 같은 대퇴동맥을 통해 삽입되는 AOB는 혈류의 방향에 역행하여 풍선을 삽입하기 때문에 혈압이 낮은 상태에서 풍선이 고정되더라도 환자가 회복되어 혈압이 상승하는 경우 대동맥 혈류에 밀려 빠지는 이탈의 문제가 있고, 대동맥류파열과 같이 손상부 대동맥이 상당히 확장되어 있으며, 손상부를 넘어 정상적인 대동맥으로 와이어 선택이 까다로워 시술 시간이 지체될 수 있으며, 혈압과 혈류의 흐름을 이겨내고 풍선이 혈류를 차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강한 압력과 재질의 풍선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정상 혈관의 손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커지고, 대퇴동맥과 장골동맥은 흔히 혈관질환이 동반되어 좁아지거나 막혀있을 수 있으며, 상당히 꼬불꼬불(tortous)해서 10 Fr 이상의 굵은 시스(sheath)를 삽입할 수 없거나 또는 굵은 시스의 삽입에 따른 혈관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2334호(발명의 명칭: 혈관 접근용 카테터 및 그 제조 방법)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된 바 있다.Since the AOB inserted through the femoral artery is reversed to the direction of blood flow and inserts the balloon, even if the balloon is fixed in a state of low blood pressure, there is a problem of disengagement due to being pushed into the aortic blood flow when the patient recovers and blood pressure rises. Like aortic aneurysm rupture, the injured aorta is significantly expanded, and it is difficult to select a wire from the injured part to the normal aorta, which can delay the procedure. Since it is necessary to use a balloon made of material, the possibility of causing damage to normal blood vessels increases, and the femoral and iliac arteries may be narrowed or blocked due to vascular disease. ) Cannot be inserted 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blood vessel damage may occur due to the insertion of a thick sheath.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22334 (name of the invention: a catheter for accessing blood vessel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has been disclosed as a prior art document.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대동맥 폐쇄 풍선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를 구비하는 카테터를 구성하되, 카테터의 카테터 바디가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을 따라 팔의 동맥으로 삽입된 후 하행 대동맥의 위치에서 대동맥 폐쇄 풍선이 팽창되어 대동맥이 차단되고, 카테터 바디의 반대쪽 후단에 배치되는 손잡이부를 통해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술로 동맥을 차단하는 방법에 비해 동맥 차단에 걸리는 시간 단축과 함께 환자에게 가해지는 부가적인 혈관 손상을 줄여줌은 물론, 혈류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대동맥 폐쇄 풍선이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methods, and constitutes a catheter having a catheter body to which an aortic obstruction balloon is attached, but the catheter body of the catheter is armed along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is inflated at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orta to block the aorta, and it is configured to be easily supported by hand through a handle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catheter body, thereby blocking the artery surgically. Compared to the method, it reduces the time taken to block the artery, reduces additional blood vessel damage to the patient, and effectively prevents the aortic obstruction balloon from being dislodg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be easily supported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 시술되는 카테터를 제공함으로써, 높은 압력과 두꺼운 재질의 풍선이 필요하지 않고, 풍선이 부착되는 카테터의 크기를 기존의 AOB에 비해 작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잠재적인 정상혈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so that a balloon made of a high pressure and thick material is not required, and the size of the catheter to which the balloon is attached can be made smaller than that of the existing AOB.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potential damage to normal blood vessels according to the blood flow direction.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는,A catheter for preventing abdominal bleeding by being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로서,As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be easily supported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로서, 복강 출혈을 막기 위해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는 카테터 바디;A flexible tube having an elongated shape, comprising: a catheter body inserted into an artery of an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상기 카테터 바디의 선단 부위에 부착되어, 복강 출혈을 막기 위해 하행 대동맥의 위치에서 폐쇄를 위해 팽창되는 대동맥 폐쇄 풍선(AOB); 및An aortic obstruction balloon (AOB)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body and inflated for closure at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nd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이 부착된 상기 카테터 바디의 반대쪽 후단에 배치되어,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The aortic obstruction balloon is disposed at the opposite rear end of the catheter body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is attached, and includes a handle portion to be easily supported by hand.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는,Preferably, the catheter body,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이 부착된 반대편의 타단으로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의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부풀어 오를 수 있도록 조영제가 투입되는 조영제 삽입부; 및A contrast agent insertion unit into which a contrast agent is injec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so that the aortic closure balloon expands from a contracted state to an expanded state; And

상기 카테터 바디의 선단 부위가 하행 대동맥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catheter body may include a wire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 wire for guiding the distal portion of the catheter body to be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is insert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는,More preferably, the catheter body,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의 팽창으로 인한 대동맥의 폐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대조 조영제가 투입되는 대동맥 폐쇄 확인 삽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ortic closure confirmation insertion unit into which a control contrast agent is injected so that the aortic closure stat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can be check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는,More preferably, the catheter body,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의 선단이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이 팽창되어 대동맥이 폐쇄되면, 대동맥 폐쇄 풍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클립(locking clip)을 상기 와이어 삽입부에 삽입되는 시스(sheath)의 바깥쪽 끝에 체결 고정시킬 수 있다.
When the aortic closure balloon is inflated and the aorta is closed while the tip of the catheter body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is attached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 locking clip is provided to prevent the aortic closure balloon from disengaging. It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outer end of the sheath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는,Preferably, the catheter body,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사선 불 투과성 팁 마커를 더 형성할 수 있다.
A radiopaque tip marker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may be further fo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는,Preferably, the catheter body,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 상에 길이를 나타내는 눈금자가 더 표시될 수 있다.
A ruler indicating the length may be further displayed on the flexible tube of the elongated shape.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는,Preferably, the catheter body,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이 부착된 선단의 직경이 7 Fr(French size) 이하일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tip to which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is attached may be 7 Fr (French size) or less.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은,Preferably,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상기 하행 대동맥의 위치에서 폐쇄를 위한 팽창 시, 원형 또는 역 원추형의 팽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descending aorta is inflated for closure at the location of the descending aorta, i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inverted conical inflation shap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은,More preferably,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우레탄 소재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It may be composed of a material made of urethane material.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은,Even more preferably,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상기 우레탄 소재 이외에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및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urethane material, it may be made of any one of polyeth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nylon, and polyurethan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이용 방법은,The method of using a catheter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by being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이용 방법으로서,As a method of using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be easily supported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1) 대동맥 폐쇄 풍선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가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는 단계;(1) inserting the catheter body to which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is attach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2) 상기 단계 (1)에서 삽입된 카테터 바디가 하행 대동맥의 위치로 이동되는 단계; 및(2) moving the catheter body inserted in step (1) to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And

(3) 상기 단계 (2)를 통해 하행 대동맥의 위치로 이동된 카테터 바디에 부착된 대동맥 폐쇄 풍선에 조영제가 투입되어 팽창됨에 따라 하행 대동맥이 폐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3)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losing the descending aorta as the contrast agent is injected into the aortic closure balloon attached to the catheter body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through step (2) and infla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는,Preferably, the catheter body,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이 부착된 반대편의 타단으로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의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부풀어 오를 수 있도록 조영제가 투입되는 조영제 삽입부; 및A contrast agent insertion unit into which a contrast agent is injec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so that the aortic closure balloon expands from a contracted state to an expanded state; And

상기 카테터 바디의 선단 부위가 하행 대동맥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catheter body may include a wire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 wire for guiding the distal portion of the catheter body to be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is insert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는,More preferably, the catheter body,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의 팽창으로 인한 대동맥의 폐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대조 조영제가 투입되는 대동맥 폐쇄 확인 삽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ortic closure confirmation insertion unit into which a control contrast agent is injected so that the aortic closure stat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can be check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는,More preferably, the catheter body,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의 선단이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이 팽창되어 대동맥이 폐쇄되면, 대동맥 폐쇄 풍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클립(locking clip)을 상기 와이어 삽입부에 삽입되는 시스(sheath)의 바깥쪽 끝에 체결 고정시킬 수 있다.
When the aortic closure balloon is inflated and the aorta is closed while the tip of the catheter body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is attached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 locking clip is provided to prevent the aortic closure balloon from disengaging. It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outer end of the sheath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는,Preferably, the catheter body,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사선 불 투과성 팁 마커를 더 형성할 수 있다.
A radiopaque tip marker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may be further fo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는,Preferably, the catheter body,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 상에 길이를 나타내는 눈금자가 더 표시될 수 있다.
A ruler indicating the length may be further displayed on the flexible tube of the elongated shape.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 바디는,Preferably, the catheter body,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이 부착된 선단의 직경이 7 Fr(French size) 이하일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tip to which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is attached may be 7 Fr (French size) or less.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은,Preferably,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상기 하행 대동맥의 위치에서 폐쇄를 위한 팽창 시, 원형 또는 역 원추형의 팽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descending aorta is inflated for closure at the location of the descending aorta, i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inverted conical inflation shap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은,More preferably,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우레탄 소재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It may be composed of a material made of urethane material.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은,Even more preferably,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상기 우레탄 소재 이외에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및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urethane material, it may be made of any one of polyeth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nylon, and polyurethane.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 방법에 따르면, 대동맥 폐쇄 풍선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를 구비하는 카테터를 구성하되, 카테터의 카테터 바디가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을 따라 팔의 동맥으로 삽입된 후 하행 대동맥의 위치에서 대동맥 폐쇄 풍선이 팽창되어 대동맥이 차단되고, 카테터 바디의 반대쪽 후단에 배치되는 손잡이부를 통해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술로 동맥을 차단하는 방법에 비해 동맥 차단에 걸리는 시간 단축과 함께 환자에게 가해지는 부가적인 혈관 손상을 줄여줌은 물론, 혈류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대동맥 폐쇄 풍선이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atheter for preventing abdominal bleeding by being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a catheter having a catheter body attached with an aortic closure balloon is constructed. However, after the catheter body of the catheter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the aortic closure balloon is inflated at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to block the aorta, and the aorta is blocked. By configuring it so that it can be held and supported easily, compared to the method of blocking the artery by surgery, the time taken to block the artery is shortened, and additional blood vessel damage to the patient is reduced. As i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dislodging.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 방법에 따르면,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 시술되는 카테터를 제공함으로써, 높은 압력과 두꺼운 재질의 풍선이 필요하지 않고, 풍선이 부착되는 카테터의 크기를 기존의 AOB에 비해 작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잠재적인 정상혈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is provid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potential damage to normal blood vessels as it is possible to make the catheter to which the balloon is attached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existing AOB, without the need for a balloon made of a high pressure and thick material.

도 1은 동맥의 혈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동맥 출혈, 정맥 출혈, 및 모세혈관 출혈을 비교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카테터 바디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대동맥 폐쇄 풍선에 조영제를 주입하기 전의 수축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대동맥 폐쇄 풍선에 조영제를 주입한 후의 팽창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외부에 눈금자 및 잠금 클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카테터 바디의 루멘 단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가 동맥 혈관에 삽입된 고정 지지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이용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ood vessel structure of an artery.
Fig. 2 is a diagram for comparing arterial bleeding, venous bleeding, and capillary bleeding.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unctional block.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theter body of the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to be easily suppo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unctional block.
5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stricted state before injecting a contrast agent into the aortic closure balloon of the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drawing.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flated state after injecting a contrast agent into the aortic closure balloon of the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drawing.
8 is a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uler and a locking clip on the outside of the catheter that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umen cross section of the catheter body of the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an artery of an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is fixedly supported in the arterial blood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a method of using a catheter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by being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directly connected', but also'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Includes. In addition, "including" certain component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카테터 바디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대동맥 폐쇄 풍선에 조영제를 주입하기 전의 수축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대동맥 폐쇄 풍선에 조영제를 주입한 후의 팽창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외부에 눈금자 및 잠금 클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카테터 바디의 루멘 단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가 동맥 혈관에 삽입된 고정 지지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10)는, 카테터 바디(100), 대동맥 폐쇄 풍선(200); 및 손잡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theter body of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as a functional block,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and FIG. 6 is a blood flow direction and a blood flow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stricted state before the contrast agent is injected into the aortic closure balloon of the catheter that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that i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is easily supported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It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flated state after injecting a contrast agent into the aortic obstruction balloon of the catheter that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that i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s easily supported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uler and a locking clip on the outside of the catheter that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umen cross section of a catheter body of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to an artery of an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from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s easily suppo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arterial blood vessel and is fixedly supported. 3 to 10, the catheter 10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the catheter body 100, aortic occlusion balloon 200;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300.

카테터 바디(100)는,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로서, 복강 출혈을 막기 위해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는 카테터 튜브의 구성이다. 이러한 카테터 바디(100)는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반대편의 타단으로 대동맥 폐쇄 풍선(200)의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부풀어 오를 수 있도록 조영제가 투입되는 조영제 삽입부(110)와, 카테터 바디(100)의 선단 부위가 하행 대동맥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카테터 바디(100)는 인체에 무해한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atheter body 100 is a flexible tube having an elongated shape, and is a configuration of a catheter tube inserted into an artery of an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This catheter body 100 is the other end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inflated from the contracted state to expand the contrast agent to be injected into the contrast medium insertion unit 110, the cathet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ire insertion portion 120 into which a wire for guiding the distal portion of the body 100 to be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is inserted. Here, the catheter body 100 may be made of any one of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which are thermoplastic resins harmless to the human body.

조영제 삽입부(110)는 폐동맥 폐쇄 풍선(200)에 조영제를 주입 또는 제거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조영제는 혈관이 잘 보이도록 X선 흡수차를 인위적으로 크게 하여 영상의 대조도를 크게 하는 약품으로서 요오드 함유 조영제, 황산바륨, 공기, 가스 및 탄산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상기의 물질로 조영제에 이용되는 물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와이어 삽입부(120)는 카테터 바디(100)의 유도를 위한 와이어가 삽입되어 대동맥의 혈관을 막기 위한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를 원하는 위치까지 유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ast agent insertion unit 110 can inject or remove the contrast agent into the pulmonary artery occlusion balloon 200, and the contrast agent used at this time is a drug that increases the contrast of the image by artificially increasing the X-ray absorption difference so that the blood vessels can be clearly seen. As the iodine-containing contrast agent, barium sulfate, air, gas, and carbon dioxide gas may be at least one, bu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used in the contrast agent. In addition, the wire insertion unit 120 is inserted into a wire for induction of the catheter body 100 so that the catheter body 100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to block blood vessels in the aorta can be guided to a desired position. can do.

또한, 카테터 바디(100)는 대동맥 폐쇄 풍선(200)의 팽창으로 인한 대동맥의 폐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대조 조영제가 투입되는 대동맥 폐쇄 확인 삽입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카테터 바디(100)는 내부 루멘으로 조영제 삽입부(110)와 연결되는 조영제 루멘, 와이어 삽입부(120)와 연결되는 와이어 루멘, 대동맥 폐쇄 확인 삽입부(130)와 연결되는 대동맥 폐쇄 확인 루멘으로 구성되는 트리플 루멘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대동맥 폐쇄 확인 삽입부(130)의 제거 시에는 듀얼 루멘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대동맥 폐쇄 확인 삽입부(130) 동맥 혈압을 모니터링 하는 루멘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atheter body 10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ortic closure confirmation insertion unit 130 into which a control contrast agent is injected so that the aortic closure stat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can be checked. Here, the catheter body 100 is an internal lumen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rast agent insertion unit 110, a wire lumen connected to the wire insertion unit 120, and the aortic closure confirmation lumen connected to the aortic closure confirmation insertion unit 130. It may be formed as a triple lumen consisting of, but may also be formed as a dual lumen when the aortic occlusion confirmation insertion unit 130 is removed. Here, the aortic occlusion confirmation insertion unit 130 may be used as a lumen for monitoring arterial blood pressure.

또한, 카테터 바디(100)는 도 4 및 도 8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의 선단이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팽창되어 대동맥이 폐쇄되면, 대동맥 폐쇄 풍선(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클립(locking clip)(140)을 와이어 삽입부(120)에 삽입되는 시스(sheath)의 바깥쪽 끝에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theter body 100, as shown in Figs. 4 and 8, respec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tip of the catheter body 100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the aortic closure balloon When (200) is inflated and the aorta is closed, a locking clip (140) for preventing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from being dislodged is inserted at the outer end of the sheath to be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unit (120). It may be configured to be fastened and fixed.

또한, 카테터 바디(100)는 도 5 내지 도 7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대동맥 폐쇄 풍선(2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사선 불 투과성 팁 마커(15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사선 불 투과성 팁 마커(radiopaque tip maker)(150)는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위치에 적어도 1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theter body 100 may further form a radiopaque tip marker 150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as shown in FIGS. 5 to 7, respectively. Such a radiopaque tip marker 150 may be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or more at a location where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또한, 카테터 바디(100)는 도 5 및 도 8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 상에 길이를 나타내는 눈금자(16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눈금자(160)는 카테터 바디(100)의 튜브 상에 표시하되, 대동맥 폐쇄 풍선(200)으로부터의 길이를 마킹(marking)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눈금자(160)는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의 선단이 얼마나 삽입되었는지를 시술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atheter body 100 may further display a ruler 160 indicating a length on a flexible tube having an elongated shape, as shown in FIGS. 5 and 8, respectively. This ruler 160 is displayed on the tube of the catheter body 100, but allows the length from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to be marked. That is, the ruler 160 functions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know how much the tip of the catheter body 100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is inserted.

또한, 카테터 바디(100)는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선단의 직경이 7 Fr(French size)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렌치 사이즈는 심장용, 혈관용, 요도용, 기관용 등 다양한 카테터 튜브의 크기 단위 중 하나이며, 1Fr+1/3㎜이다. 이와 같이, 카테터 바디(100)는 7 Fr 이하로 제작될 수 있어, 정상혈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팔의 동맥으로 혈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높은 압력에 의해 혈관을 막기 위한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 클립(140)을 더 포함함으로써 높은 압력에 의해 혈관을 막기 위한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가 이탈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catheter body 100 may have a diameter of a tip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attached to a diameter of 7 Fr (French size) or less. Here, the French size is one of the size units of various catheter tubes such as heart, blood vessel, urethra, and trachea, and is 1Fr+1/3mm. In this way, the catheter body 100 can be made of 7 Fr or less, so that damage to normal blood vessels can be prevented, and since it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the aorta for blocking blood vessels by high press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theter body 100 to which the closed balloon 200 is attached from being separated. In addition, by further including the locking clip 140, it is possible to double prevent the catheter body 100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to block the blood vessel from being separated by high pressure.

대동맥 폐쇄 풍선(200)은, 카테터 바디(100)의 선단 부위에 부착되어, 복강 출혈을 막기 위해 하행 대동맥의 위치에서 폐쇄를 위해 팽창되는 대동맥 폐쇄를 위한 벌룬(balloon)의 구성이다. 이러한 대동맥 폐쇄 풍선(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행 대동맥의 위치에서 폐쇄를 위한 팽창 시, 원형 또는 역 원추형의 팽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 configuration of a balloon for aortic closure that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catheter body 100 and inflates for closure at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s shown in FIG. 7,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inverted conical inflation shape when inflated for closure at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또한, 대동맥 폐쇄 풍선(200)은 우레탄 소재의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우레탄 소재 이외에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및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대동맥 폐쇄 풍선(200)은 혈관의 성형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혈관 벽에 잘 들어맞고, 주입되는 조영제에 따라 크기의 변화가 생길 수 있어야 한다. 일례로서, 컴프리언스(compliance)가 좋은 재질, 주입하는 양에 따라 풍선의 직경이 정해질 수 있으며, 10㏄의 조형제는 2㎝ 직경, 15cc의 조형제는 2.5㎝ 직경, 20㏄의 조형제는 3㎝의 직경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대동맥 폐쇄 풍선(200)은 시술 전 목표하는 부위의 대동맥 크기를 측정하여 과도한 풍선확장 및 이로 인한 정상혈관의 손상을 막을 수 있도록 직경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of a urethane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any one of polyeth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nylon, and polyurethane in addition to the urethane material. have. Since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200 is not intended to shape a blood vessel, it must fit well on the wall of the blood vessel and change in size depending on the contrast medium to be injected. As an example, the diameter of the balloon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good compliance and the amount to be injected, and the 10cc molding material is 2cm in diameter, the 15cc molding material is 2.5cm in diameter, and the 20cc molding material is 3cm. It can be made to have a diameter of. That is,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may be adjusted in diameter to prevent excessive balloon expansion and damage to normal blood vessels by measuring the size of the aorta at the target site before the procedure.

손잡이부(300)는,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의 반대쪽 후단에 배치되어,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의 구성이다. 이러한 손잡이부(300)는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가 혈류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카테터 바디(100)의 후단 부분에서 잡고 있기만 해도 훨씬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즉, 기존의 대퇴부 동맥 쪽으로 진입하는 방식의 경우 혈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혈류의 압력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후단 부분을 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고정 지지되기가 매우 어려웠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The handle part 300 is a structure of a support that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pposite to the catheter body 100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and is easily supported by hand. Since the handle part 300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blood flow in the catheter body 100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it can be supported much more easily by holding it at the rear end of the catheter body 100.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ethod of entering the femoral artery,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must be push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blood flow so that the posterior end portion is not pushed by the pressure of the blood flow, so it is very difficult to be fixed and supported. You will be able to.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대동맥 폐쇄 풍선에 조영제를 주입하기 전의 수축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대동맥 폐쇄 풍선에 조영제를 주입한 후의 팽창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동맥 폐쇄 풍선(200)은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얇은 재질의 구성으로, 기존의 AOB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a)는 폐동맥 폐쇄 풍선(200)이 조영제의 주입에 따라 원형으로 팽창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7의 (b)는 폐동맥 폐쇄 풍선(200)이 조영제의 주입에 따라 역 원추형으로 팽창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6 shows a state of contraction before injecting a contrast agent into an aortic closure balloon of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of the inflation state after injecting a contrast agent into the aortic closure balloon of the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shown in FIG. 6, the pulmonary artery occlusion balloon 200 is made of a thin material capable of withstanding high pressure, and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AOB. 7(a) shows a shape in which the pulmonary artery occlusion balloon 200 is inflated in a circular shape according to the injection of the contrast agent, and FIG. 7(b) shows the pulmonary artery occlusion balloon 200 in an inverted cone shape according to the injection of the contrast agent. It shows an expanded shap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외부에 눈금자 및 잠금 클립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자(160)는 대동맥의 혈관을 막기 위한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가 얼마나 삽입되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잠금 클립(locking clip)(140)은 대동맥 폐쇄 풍선(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 삽입부(120)에 삽입되는 시스(sheath)의 바깥쪽 끝에 체결 고정됨으로써, 높은 압력에 의해서도 혈관을 막기 위한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8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ruler and a locking clip on the outside of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ruler 160 makes it easy to check how much the catheter body 100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for blocking blood vessels in the aorta is inserted, and a locking clip ( 14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outer end of the sheath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unit 120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so that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for blocking blood vessels even by high pressure The attached catheter body 1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카테터 바디의 내부 루멘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가 동맥 혈관에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즉,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는 팔의 동맥(상완동맥 또는 액와동맥)에 삽입될 수 있으며, 팔의 동맥에 삽입되어 혈류의 흐름을 막을 수 있다. 이때, 팔의 혈관은 대퇴혈관에 비해 직경이 작기 때문에 혈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기구의 크기가 축소되어야 함에 따라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로 이루어지는 카테더(10)는 7 Fr 이하의 직경으로 제작될 수 있어 혈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9 show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inner lumen of the catheter body of the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theter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nd is inserted into the arterial blood vessel and fixedly supported. That is, the catheter body 100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may be inserted into an artery (brachial artery or axillary artery) of an arm, and may be inserted into an artery of an arm to block blood flow. At this time, the catheter 10 made of the catheter body 100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as the size of all instruments must be reduced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blood vessels because the blood vessels of the arm are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femoral vessels. ) Can be manufactured with a diameter of 7 Fr or less to prevent damage to blood vessels.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이용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의 이용 방법은, 카테터 바디가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는 단계(S110), 카테터 바디가 하행 대동맥의 위치로 이동되는 단계(S120), 및 대동맥 폐쇄 풍선이 팽창되어 하행 대동맥이 폐쇄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method of using a catheter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by being inserted into an artery of an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the method of using a catheter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by being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heter body is an artery of the arm It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the step of being inserted (S110), the step of moving the catheter body to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S120), and the step of closing the descending aorta by inflating the aortic closure balloon (S130).

단계 S110에서는,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가 팔의 동맥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카테터 바디(100)는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로서, 복강 출혈을 막기 위해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는 카테터 튜브의 구성으로,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반대편의 타단으로 대동맥 폐쇄 풍선(200)의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부풀어 오를 수 있도록 조영제가 투입되는 조영제 삽입부(110)와, 카테터 바디(100)의 선단 부위가 하행 대동맥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부(120)를 포함하고, 대동맥 폐쇄 풍선(200)의 팽창으로 인한 대동맥의 폐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대조 조영제가 투입되는 대동맥 폐쇄 확인 삽입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In step S110, the catheter body 100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Here, the catheter body 100 is a flexible tube having an elongated shape, and is a configuration of a catheter tube that is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nd the aorta is closed at the other end of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A contrast agent insertion unit 110 into which a contrast agent is injected so that the balloon 200 expands from a contracted state to an expanded state, and a wire for inducing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body 100 to be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ire insertion unit 120 to be inserted, and further include an aortic occlusion confirmation insertion unit 130 into which a control contrast agent is injected so that the aortic closure stat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can be checked. have.

단계 S120에서는,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가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는 단계 S110의 이후, 삽입된 카테터 바디(100)가 하행 대동맥의 위치로 이동된다.
In step S120, after step S110 in which the catheter body 100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the inserted catheter body 100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단계 S130에서는, 카테터 바디(100)가 하행 대동맥의 위치로 이동되는 단계 S120의 이후, 하행 대동맥의 위치로 이동된 카테터 바디(100)에 부착된 대동맥 폐쇄 풍선(200)에 조영제가 투입되어 팽창되고, 하행 대동맥이 폐쇄된다. 여기서, 대동맥 폐쇄 풍선(200)의 팽창으로 하행 대동맥이 폐쇄되면, 대동맥 폐쇄 풍선(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클립(locking clip)(140)을 와이어 삽입부(120)에 삽입되는 시스(sheath)의 바깥쪽 끝에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잠금 클립(140)은 대동맥 폐쇄 풍선(200)의 팽창과 함께 카테터 바디(100)가 이탈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In step S130, after step S120 in which the catheter body 100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a contrast agent is injected and inflated into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attached to the catheter body 100 that has been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 The descending aorta is closed. Here, when the descending aorta is clos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a locking clip 140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unit 120. The outer end of the sheath) is fastened. The locking clip 140 serves to double prevent the catheter body 100 from being dislodged together with the expansion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이와 같이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를 구비하는 카테터(10)를 이용하여 복강 출혈을 막은 후에는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의 반대쪽 후단에 배치되는 손잡이부(300)를 손으로 잡고 있는 것만으로도 카테터(10)가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 후에 손상부위의 복원을 위한 수술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각각의 단계들과 구체적 구성 및 기능들은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앞서 충분히 설명되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fter the abdominal bleeding is prevented using the catheter 10 having the catheter body 100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to the opposite rear end of the catheter body 100. The catheter 10 can be easily supported simply by holding the handle portion 300 to be disposed with the hand. After such a process, surgery for restoration of the damaged area can be performed. Each of these steps and detailed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have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0, and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 방법은, 대동맥 폐쇄 풍선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를 구비하는 카테터를 구성하되, 카테터의 카테터 바디가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을 따라 팔의 동맥으로 삽입된 후 하행 대동맥의 위치에서 대동맥 폐쇄 풍선이 팽창되어 대동맥이 차단되고, 카테터 바디의 반대쪽 후단에 배치되는 손잡이부를 통해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술로 동맥을 차단하는 방법에 비해 동맥 차단에 걸리는 시간 단축과 함께 환자에게 가해지는 부가적인 혈관 손상을 줄여줌은 물론, 혈류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대동맥 폐쇄 풍선이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 시술되는 카테터를 제공함으로써, 높은 압력과 두꺼운 재질의 풍선이 필요하지 않고, 풍선이 부착되는 카테터의 크기를 기존의 AOB에 비해 작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잠재적인 정상혈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atheter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to be easily suppo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using the catheter include a catheter body with an aortic closure balloon attached. Construct a catheter having, but after the catheter body of the catheter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along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the aortic closure balloon is inflated at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blocking the aorta, and placing it at the rear end of the opposite side of the catheter body. It is configured to be easily supported by hand through the handle part, which reduces the time it takes to block the artery compared to the method of blocking the artery by surgery, and reduces additional blood vessel damage to the patient, as well as the direction of blood flow and As i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aortic obstruction balloon from being separated. In particular, by providing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 balloon made of a high pressure and thick material is not required, As it is possible to make the catheter to which the balloon is attached smaller than that of the existing AOB, it is possible to prevent potential damage to normal blood vessels.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modified or applied in various way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100: 카테터 바디
110: 조영제 삽입부
120: 와이어 삽입부
130: 대동맥 폐쇄 확인 삽입부
140: 잠금 클립
150: 방사선 불 투과성 팁 마커
160: 눈금자
200: 대동맥 폐쇄 풍선(AOB)
S110: 카테터 바디가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는 단계
S120: 카테터 바디가 하행 대동맥의 위치로 이동되는 단계
S130: 대동맥 폐쇄 풍선이 팽창되어 하행 대동맥이 폐쇄되는 단계
10: A catheter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100: catheter body
110: contrast agent insertion unit
120: wire insert
130: aortic obstruction confirmation insertion unit
140: locking clip
150: radiopaque tip marker
160: ruler
200: aortic obstruction balloon (AOB)
S110: Step of inserting the catheter body into the artery of the arm
S120: Step of moving the catheter body to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S130: step in which the aortic occlusion balloon is inflated to close the descending aorta

Claims (20)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10)로서,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로서, 복강 출혈을 막기 위해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는 카테터 바디(100);
상기 카테터 바디(100)의 선단 부위에 부착되어, 복강 출혈을 막기 위해 하행 대동맥의 위치에서 폐쇄를 위해 팽창되는 대동맥 폐쇄 풍선(AOB)(200); 및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상기 카테터 바디(100)의 반대쪽 후단에 배치되어,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카테터 바디(100)는,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반대편의 타단으로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200)의 수축 상태에서 팽창 상태로 부풀어 오를 수 있도록 조영제가 투입되는 조영제 삽입부(110)와, 상기 카테터 바디(100)의 선단 부위가 하행 대동맥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부(12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카테터 바디(100)는,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200)의 팽창으로 인한 대동맥의 폐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대조 조영제가 투입되는 대동맥 폐쇄 확인 삽입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카테터 바디(100)는,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카테터 바디(100)의 선단이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팽창되어 대동맥이 폐쇄되면, 대동맥 폐쇄 풍선(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클립(locking clip)(140)을 상기 와이어 삽입부(120)에 삽입되는 시스(sheath)의 바깥쪽 끝에 체결 고정시키고,
상기 카테터 바디(100)는,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2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사선 불 투과성 팁 마커(150)를 더 형성하되, 방사선 불 투과성 팁 마커(150)는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위치에 적어도 1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As a catheter 10 that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be easily supported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s a flexible tube having an elongated shape, the catheter body 100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n aortic obstruction balloon (AOB) 200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body 100 and inflated for closure at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And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disposed at the opposite rear end of the catheter body 100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and includes a handle part 300 to be easily supported by the hand,
The catheter body 100,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opposite side to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inflated from the contracted state to inflate to the expansion state, a contrast agent insertion unit 110 into which a contrast agent is injected, and the catheter body 100 And a wire insertion unit 120 into which a wire for inducing the tip of the to be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is inserted,
The catheter body 100,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ortic closure confirmation insertion unit 130 into which a control contrast agent is injected so that the aorta is clos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balloon 200,
The catheter body 100,
When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inflated and the aorta is closed while the tip of the catheter body 100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A locking clip 140 for preventing separation is fastened and fixed at the outer end of the sheath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unit 120,
The catheter body 100,
To further form a radiopaque tip marker 150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the radiopaque tip marker 150 is at least 1 or more at the location where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A catheter configured to be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and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to be easily supported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바디(100)는,
가늘고 긴 형상의 유연성을 갖는 튜브 상에 길이를 나타내는 눈금자(160)가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theter body 100,
A catheter that is inserted into an artery of the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blood flow, characterized in that a ruler 160 indicating the length is further displayed on the flexible tube having an elongated shape and preventing abdominal blee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바디(100)는,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200)이 부착된 선단의 직경이 7 Fr(French size)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theter body 100,
A catheter for preventing abdominal bleeding by being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tip to which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s attached is 7 Fr (French size)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200)은,
상기 하행 대동맥의 위치에서 폐쇄를 위한 팽창 시, 원형 또는 역 원추형의 팽창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The catheter for preventing abdominal bleeding by being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when inflating for closure at the position of the descending aort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200)은,
우레탄 소재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A catheter that is made of a material made of a urethane material, and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and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동맥 폐쇄 풍선(200)은,
상기 우레탄 소재 이외에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및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ortic closure balloon (200),
In addition to the urethane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y one of polyeth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nylon, and polyurethane, and is inserted into the artery of the arm so as to be easily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lood flow direction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Blocking cathe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04620A 2019-01-14 2019-01-14 A catheter for inserted into arm artery so as to be inserted in same direction as blood flow direction and to be easily supported and use method thereof Active KR102224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20A KR102224259B1 (en) 2019-01-14 2019-01-14 A catheter for inserted into arm artery so as to be inserted in same direction as blood flow direction and to be easily supported and us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20A KR102224259B1 (en) 2019-01-14 2019-01-14 A catheter for inserted into arm artery so as to be inserted in same direction as blood flow direction and to be easily supported and us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75A KR20200088075A (en) 2020-07-22
KR102224259B1 true KR102224259B1 (en) 2021-03-08

Family

ID=7189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620A Active KR102224259B1 (en) 2019-01-14 2019-01-14 A catheter for inserted into arm artery so as to be inserted in same direction as blood flow direction and to be easily supported and us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2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71962B2 (en) 2015-07-13 2024-12-24 Biotronik Ag Mechanically actuated and functionally integratable catheter system for treating vascular and non-vascular disease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125A (en) * 2002-04-25 2005-08-04 メドトロニ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a medical electrical lead into the venous system
JP2018519956A (en) * 2015-07-13 2018-07-26 シーティーアイ バスキュラー アーゲーCTI Vascular AG Hydraulically and functionally integratable catheter system for the treatment of vascular and non-vascular diseas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633U (en) * 2010-07-16 2012-01-30 이치영 Balloon guiding cathe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125A (en) * 2002-04-25 2005-08-04 メドトロニ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a medical electrical lead into the venous system
JP2018519956A (en) * 2015-07-13 2018-07-26 シーティーアイ バスキュラー アーゲーCTI Vascular AG Hydraulically and functionally integratable catheter system for the treatment of vascular and non-vascular diseas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순환기 제28권 제1호, 1998, 55p~61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71962B2 (en) 2015-07-13 2024-12-24 Biotronik Ag Mechanically actuated and functionally integratable catheter system for treating vascular and non-vascular diseases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75A (en)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4791T3 (en) WOUND TREATMENT DEVICE.
US10124153B2 (en) Balloon catheter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717925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body tissues and bodily fluid vessels
JP2656689B2 (en) Wound coagulation device
KR100818903B1 (en) Medical device with braid and coil
ES2254237T3 (en) ADJUSTABLE IMPLANTABLE GENITOURINARY DEVICE.
US9242081B2 (en) Positionable valvuloplasty catheter
JP6933733B2 (en) Introducer for uterine tamponade assembly and how to use it
US202102902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w profile occlusion balloon catheter
US6017359A (en) Vascular sealing apparatus
ES2387053T3 (en) System to locate and close a tissue puncture
US20070032703A1 (en) Radially expansive surgical instruments for tissue retraction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H0833715A (en) Catheter with baloon to plug aneurism or blood vessel
WO1994027505A1 (en) Vascular sealing device
US20090192452A1 (en) Blood flow blocking catheter
BR102012008908A2 (en) GUIDE OF INTERNAL LUMINES NOT CIRCULAR WITH VARIABLE ASSISTED SUPPORT.
US20060116635A1 (en) Arterial closure device
US20120059337A1 (en) Catheter with asymmetric or collapsible-expandable cross-section
JP2011527197A (en) Device for occluding an atrial septal defect
US6238404B1 (en) Multipurpose medical device
KR102201657B1 (en) A catheter inserted into artery of arm to prevent abdominal bleeding having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and use method thereof
JP200550164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a hole in a body vessel
KR102224259B1 (en) A catheter for inserted into arm artery so as to be inserted in same direction as blood flow direction and to be easily supported and use method thereof
US20170080180A1 (en) Catheter with asymmetric cross-section
JP2007229499A (en) Extension type balloon cath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