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3390B1 -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390B1
KR102223390B1 KR1020180120289A KR20180120289A KR102223390B1 KR 102223390 B1 KR102223390 B1 KR 102223390B1 KR 1020180120289 A KR1020180120289 A KR 1020180120289A KR 20180120289 A KR20180120289 A KR 20180120289A KR 102223390 B1 KR102223390 B1 KR 102223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tary fiber
bread
water
insoluble
soluble diet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153A (ko
Inventor
박규완
박태현
윤충호
Original Assignee
박규완
박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완, 박태현 filed Critical 박규완
Publication of KR20200016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3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06Products with modified nutritive value, e.g. with modified starch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04Products made from materials other than rye or wheat flour
    • A21D13/045Products made from materials other than rye or wheat flour from leguminous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04Products made from materials other than rye or wheat flour
    • A21D13/047Products made from materials other than rye or wheat flour from cereals other than rye or wheat,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1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before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8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4Anim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6Baking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분쇄한 곡물 분말에 적용하고, 떡갈비, 견과류, 건조 과일류, 건조 채소류, 건조 해산물 등을 함유시켜 시각적, 미각적 및 영양상으로 향상된 빵이나 케이크 등의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식이섬유, 곡물 분말, 죽염을 혼합하여 반죽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마련된 반죽을 빵틀에 패닝한 후 오븐기에서 굽어 빵류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빵류의 식음시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에 의해 포만감을 유지시켜 다이어트 식품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Bread with dietary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noodl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죽순 등에서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하고 불용성 식이섬유를 효소 가수분해하여 160 메시 내지 240 메시로 분쇄한 곡물 분말에 적용하고, 떡갈비, 견과류, 건조 과일류, 건조 채소류, 건조 해산물 등을 함유시켜 시각적, 미각적 및 영양상으로 향상된 빵이나 케이크 등의 빵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빵류는 곡분을 주원료로 하여 이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을 부가하여 제조되는 식빵, 케이크, 빵, 도넛 등을 말한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호성이 다양해지고 고급화되면서, 조리가 간편하고 미각에 대한 기호도가 높은 가공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 빵류는 식생활의 서구화 내지 편리한 식생활 추구경향으로 변모되면서 밥을 대신하는 대용식으로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빵은 밀가루를 주원료로 하여 소금, 설탕, 버터, 효모 따위를 섞어 반죽한 후에 굽거나 찐 음식으로, 기호에 따라 과실로 만든 잼이나 마멀레이드 종류를 함께 곁들여 먹기도 한다.
한편, 식이섬유(Dietary fiber)는 인간의 소화관에서 분비되는 효소에 의해 소화될 수 없는 섬유상 물질을 총칭하며, 대부분 식물에 의해 만들어진 비전분계 물질로 구성된다. 가장 중요한 식이섬유로 거론되는 것이 셀룰로오스(cellulose),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 펙틴(pectin), 검류(gums), 리그닌(lignin) 등의 식물성 다당류와 키틴(chitin), 키토산(chitosan)과 같은 동물성 급원의 난소화성 다당류까지 포함한다.
상기 식이섬유는 식품산업에서 젤리 등의 디저트 제품, 캔디 등의 기호식품, 잼 등의 보조식품을 비롯하여 음료, 유제품, 정장성 유제품 등에 기능성 재료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능성 화장품, 건강보조식품 및 의약용 전구체 등으로의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다.
이와 같은 식이섬유는 물에 녹는 정도에 따라서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로 분류되며,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는 그 이화학적 성질과 화학적 조성이 매우 다르고, 용도 또한 크게 다르다. 일례로 수용성 식이섬유는 분자량이 비교적 작고 수용성인 올리고당으로, 기능성 음료와 정장제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불용성 식이섬유는 주로 분변과 메트릭스를 형성하여 분변량 증가, 설사 개선 등의 정장작용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수용성 식이섬유는 장내 유용 균총 증식, 지질대사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식이섬유의 주요 공급원은 미나리, 당근, 파슬리 등의 녹황색 채소 및 사과, 배 등의 과일류와 건 미역, 건 다시마, 김 등의 해조류와 과거부터 주식으로 사용하여 온 곡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곡물들의 식물 세포벽 및 세포 내용물에 포함되어 있는 식물성의 난소화성 성분을 조섬유라 칭해왔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쌀, 옥수수와 같은 곡류 및 두류의 껍질이 불용성 식이섬유 성분인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정장작용에 효과가 높은 우수한 식이섬유 소재가 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전통 식품 중 하나인 콩은 일반적으로 양질의 단백질과 지질의 급원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된장, 간장 등의 발효식품 및 두부, 콩나물, 콩가루 등의 비발효 식품까지 그 용도가 다양하게 사용되어 온 식품재료로서 식이섬유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한편, 죽순은 대나무의 지하경에서 돋아나는 어리고 연한 싹을 지칭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죽순은 변비예방, 숙취해소, 청혈작용, 이뇨작용, 스트레스, 불면증, 비만증 그리고 고혈압예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 기능성이 다양하여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죽순의 영양적 가치를 살펴보면 단백질 함량은 같은 경엽체류에 속하는 양파의 네 배, 양배추의 두 배 정도로 풍부하며, 칼슘, 철분, 인과 같은 무기질, 비타민 A, B군도 다른 경엽채류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건조물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을 때 죽순은 53.9~71.6%의 식이 섬유소 함량을 가진다고 보고되었으며, 이는 양배추의 24.7%, 시금치 22.5% 그리고 아스파라거스 49%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다.
즉, 죽순에는 각종 유리 아미노산 및 다양한 무기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유리 아미노산 중 세린, 아르기닌, 알라닌, 로이신, 티로신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죽순에는 불용성 및 수용성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보건복지부의 식품의 영양성분 DB구축사업자료(2005년, 보건복지부, 정책-보건의료-2005-103)에 의하면, 죽순 생것에는 불용성 및 수용성 식이섬유를 합한 총 식이섬유 함량이 생것 기준으로 4중량%(건조물 기준으로 41.03%)라고 보고되어 있으며, 농촌진흥청 발간자료(식품 성분표 DB, 2011)에 의하면, 죽순의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죽순 생것 100g 중 4g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 죽순 분해 발효미생물은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식품이나 죽순의 존재하는 미생물을 소재로 이용하고 분리하고자 하는 미생물은 섬유소 분해능(amylase)과 단백질의 분해능(protease)을 동시에 갖는 균주로서 죽순에서 생육이 왕성하고, 소화흡수가 잘되고 비타민이나 기능성 올리고당 등 우리 몸에 유익한 발효물질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저열량 식품을 구현하기 위해 식이 섬유소를 탄수화물의 대체 재료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음에도, 식이 섬유소가 근본적으로 불편한 식감을 유발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식이 섬유소를 식품 제조 원료로서 적극 활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빵류의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란, 당분 및 소금을 혼합하여 중탕하는 중탕단계, 상기 중탕 혼합물을 휘핑하는 휘핑단계 및 상기 휘핑혼합물에 160~240 메시로 분쇄된 보리 분말,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및 우유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계란의 함량은 상기 분쇄된 보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0 내지 300 중량부이고, 상기 당분의 함량은 100 내지 150중량부이고, 상기 소금의 함량은 0.6 내지 1.0중량부이고, 상기 우유의 함량은 30 내지 40중량부이며, 상기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함량은 0.004~0.5 중량부인 보릿가루를 이용한 빵류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반죽 베이스를 제조하는 제1단계, 표고버섯, 죽순, 톳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반죽 베이스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0.2중량부를 첨가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반죽을 발효하는 제4단계, 무화과와 알로에를 깨끗하게 수세하는 제5단계, 상기 수세한 무화과를 절단하는 제6단계, 상기 절단한 무화과에 조청을 투입하고 끓여서 무화과 잼 베이스를 제조하는 제7단계, 상기 무화과 잼 베이스에 상기 알로에를 첨가 및 혼합하여 무화과 잼을 제조하는 제8단계, 상기 발효한 반죽물을 분할하여 상기 무화과 잼을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제9단계, 상기 성형물을 오븐에 투입하여 구워서 빵을 제조하는 제 10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빵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a) 죽순을 삶아 표피를 제거하고, 그 표피가 제거된 죽순을 소금물에 침지시킨 후 압력을 가하여 죽순의 물기를 제거하고 세절하여 염장 죽순을 준비하는 단계, (b) 분쇄된 돼지고기에 마늘 분쇄물, 대파 분쇄물 및 당근 분쇄물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반죽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c) 생강, 울금 및 수삼에 정종을 첨가하여 1차 분쇄하고, 상기 1차 분쇄 결과물에 함초자염 및 국 간장을 혼합하여 2차 분쇄하며, 상기 2차 분쇄 결과물에 설탕, 쌀엿 조청, 후추 및 댓잎 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에 계란 및 정종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양념 소스를 준비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b)의 반죽재료 및 상기 단계 (c)의 양념 소스를 혼합하여 1차 반죽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에 상기 단계 (a)의 염장 죽순을 첨가하고 2차 반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죽순 떡갈비의 제조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7911호(2011.05.24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33005호(2018.04.0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4251호(2013.09.26 등록)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보릿가루를 이용하면서도 유화제나 안정제와 같은 특수한 첨가물이나 추가공정 없이 빵류를 제조할 수 있지만, 식이섬유의 함유량이 미비하여 다이어트 식품으로서 한계가 있었다.
또 상기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당 함량은 낮추고 항 비만 및 항 당뇨의 기능성을 가진 빵을 개발하였지만, 죽순에 함유된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를 효율적인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염장 죽순을 사용하여 떡갈비를 제조하지만, 이 특허문헌 3에서도 죽순에 함유된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를 효율적인 사용할 수 없고, 빵류에 적용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다이어트 식품으로서의 문제점 및 시각적, 미각적 및 영양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식감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죽순, 콩 껍질 등에 함유된 다량의 기능성 식이섬유를 저렴한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다량으로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이어트 식품으로서 특별한 주의 사항 없이 천연 식이섬유를 곡물 분말에 사용하여 식용할 수 있는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 추출물을 사용하고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의 배합 비율을 한정하여 분쇄된 곡물류에서 식품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떡갈비, 견과류, 건조 과일류, 건조 채소류, 건조 해산물 등을 곡물 분말에 함유시켜 영양 성분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죽순에 함유된 비교적 고가인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을 증폭하여 곡물 분말에 사용할 수 있는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의 제조 방법은 (a) 식이섬유, 곡물 분말, 죽염을 혼합하여 반죽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마련된 반죽을 빵틀에 패닝한 후 오븐기에서 굽어 빵류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식이 섬유는 (a1) 죽순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 (a2) 상기 단계 (a1)에서 마련된 죽순 분말에서 수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하는 단계, (a3) 상기 단계 (a1)에서 마련된 죽순 분말에서 불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하는 단계에 의해 마련되고, 상기 식이 섬유는 상기 단계 (a2)에서 마련된 수용성 식이섬유와 상기 단계 (a3)에서 마련된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는 중량비로서 4: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와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는 상기 분쇄된 곡물류 100 중량부에 대해 3~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죽염은 상기 곡물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0.6~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물 분말은 밀, 쌀, 보리, 조, 수수, 율무, 옥수수, 메밀, 콩의 분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단계 (a1)에서 죽순 분말은 죽순과 죽순껍질을 동결 건조한 후 100mesh 크기로 분쇄하여 냉장된 분말이고, 상기 (a2)에서 마련된 수용성 식이섬유와 상기 단계 (a3)에서 마련된 불용성 식이섬유는 각각 물과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상층액에서 수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하고, 하층에서 불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는 아라바나아제(arab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글루카나아제(glucan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아밀라아제(amylase) 및 자일란아제(Xylanas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효소에 의한 효소 분해물이고, 상기 효소 분해물은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이 증폭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빵류의 제조 방법은 (a) 밀, 쌀, 보리, 조, 수수, 율무, 옥수수, 메밀, 콩의 분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곡물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 (b)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의 갈빗살을 사용한 떡갈비를 마련하는 단계, (c) 식용 가능한 견과류, 건조 과일류, 씨앗류, 건조 채소류, 건조 해산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료를 마련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a)에서 마련된 곡물 분말, 상기 단계 (b)에서 마련된 떡갈비, 상기 단계 (c)에서 마련된 재료에 죽염을 첨가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에서 마련된 반죽을 빵틀에 패닝한 후 오븐기에서 굽어 빵류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떡갈비는 굽기 과정을 거쳐 수분 및 기름이 제거된 후 6~8㎜의 크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빵류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견과류는 아몬드 분태와 호두 분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물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떡갈비 5 내지 10 중량부, 상기 아몬드 분태 2 내지 5 중량부, 상기 호두 분태 2 내지 5 중량부, 상기 죽염 0.6~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단계 (a)에서 마련된 곡물 분말에는 수용성 식이섬유 및 불용성 식이섬유가 포함되고,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와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는 상기 곡물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3~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는 중량비로서 4:1의 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와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는 각각 물과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상층액에서 수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하고, 하층에서 불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빵류는 상술한 빵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빵류의 식음시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에 의해 포만감을 유지시켜 다이어트 식품에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떡갈비, 식용 가능한 견과류, 건조 과일류, 씨앗류, 건조 채소류, 건조 해산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빵류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빵에서의 영양 성분을 균형있게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죽순에 함유된 비교적 고가인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을 증폭하여 곡물 분말에 사용하므로, 불용성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천연 식품인 불용성 식이섬유를 분쇄된 곡물류에 사용하므로, 빵류가 대장에 도달하는 속도와 식이섬유의 팽윤 시간이 일치하여 변비를 치유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빵에 떡갈비를 함유시키므로, 떡갈비 특유의 맛을 느낄 수 있고, 오도독 오도독한 식감과 풍미가 우수하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어린이, 성인, 노약자에게 식사 대용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보리 분말을 이용한 케이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불용성 식이섬유 및 수용성 식이섬유와 함께 떡갈비, 견과류, 건조 과일류, 건조 채소류, 건조 해산물 등을 함유한 식빵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빵류"는 곡물 분말로서, 예를 들어 밀, 쌀, 보리, 조, 수수, 율무, 옥수수, 메밀, 콩의 분말을 이용하여 갈릭브레드, 도넛, 머핀, 베이글, 바게트, 번, 샌드위치, 식빵, 찐빵, 크루아상, 토스트, 흑빵, 파이버브레드, 햄버거빵, 핫도그 빵, 피자파이 빵, 찐빵, 이스트 도넛, 야채 빵, 케이크 등과 같이 제조된 빵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로서 죽순 분말에서 추출한 것을 사용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식이섬유를 함유한 고구마, 사과, 콩비지, 아마씨, 양배추, 카카오닙스, 팽이버섯, 미역, 셀러리, 귀리, 호밀, 우엉 등의 식품 등에서 추출한 천연 식이섬유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용어 "떡갈비"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특허 등록 번호 10-0894510, 10-0920445, 10-1019463, 10-1181801, 10-1337445, 10-1420387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마련된 떡갈비의 갈빗살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견과류"는 딱딱한 껍데기와 마른 껍질 속에 식용 가능한 씨앗 속살만 들어가 있는 나무 열매의 부류로서, 아몬드, 땅콩, 밤, 호두, 잣, 은행나무 열매, 피스타치오, 헤이즐럿, 캐슈넛, 피칸 등을 의미하고, "건조 과일류"는 식용 가능한 과실로서, 사과, 배, 귤, 오렌지, 딸기, 복숭아, 살구, 매실 등을 세절하고 건조하여 마련된 것을 의미하며, "씨앗류"는 식용 가능한 곡식이나 채소 따위의 씨로서, 해바라기씨, 참깨씨, 들깨씨, 옥수수, 콩, 팥, 녹두 등을 의미하며, "건조 채소류"는 식용 가능한 식물의 잎, 뿌리, 씨앗, 줄기 등에서 얻는 영양가 있는 식품으로서, 배추, 양배추, 시금치, 쑥갓, 양파, 파, 아스파라거스, 죽순, 셀러리, 당근, 감자, 고구마, 호박, 오이, 토마토 등을 세절하고 건조하여 마련된 것을 의미하고, "건조 해산물"은 전복, 해삼, 새우, 홍합, 오징어, 낙지, 문어, 꽃게살, 바지락, 굴 등을 건조하고 세절하여 마련된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죽순은 식용 가능한 것으로서, 왕대속(Phyllostachys)에 속하는 죽순대(Phyllostachys. pubescen), 오죽(Phyllostachys. nigra), 솜대(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왕대(Phyllostachys. bambusoides), 해장죽속(Arundinaria)에 속하는 해장죽(Arundinaria. simonii), 조릿대속(Sasa)에 속하는 고려조릿대(Sasa. coreana), 섬조릿대(Sasa. kurilensis),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sis), 이대속(Pseudosasa)에 속하는 이대(Pseudosasa. japonica), 자주이대(Pseudosasa. japonica var. purpurascens) 중의 어느 하나의 죽순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죽염은 엷은 회색을 띠고 있으며, 삶은 계란의 노른자 맛이 약간 나는 가공염으로서, 죽염의 제조 원료는 천일염, 대나무, 소나무, 진흙으로 천일염을 고온에서 특수 가공 처리하여 사용한다. 특히, 천일염 중에 군자염을 3년 넘게 자란 대나무를 잘라 만든 대통에 넣고 붉은 황토로 입구를 막은 다음 쇠로 만든 가마에서 소나무 장작불(1000℃ 이상)로 아홉 번 구워 만든 죽염을 구죽염이라 한다.
이와 같은 죽염의 조성은 천일염과 비슷하나 금속 원소 중 K, Ca, Fe, Zn, Mn의 함량이 높아져 있고, 중금속 원소는 검출되지 않으며 pH는 10.0 부근으로서 알칼리성을 띠고 있는 물질이다. 죽염은 예로부터 위장을 튼튼히 하고, 강한 해독작용을 하며, 백혈구를 증강시키고, 병균을 살균하고, 정혈작용, 소염작용과 해열작용을 하고, 산성체질을 약알칼리성 체질로 개선시키며, 악취를 제거하고, 식욕을 촉진시키는 등 여러 가지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전해져 왔으며, 최근에는 이와 관련하여 위염, 위궤양, 소화기 계통의 질환에 대한 효과와 외상치료, 해독작용에 대한 효과가 보고되었다. 또한, 죽염을 혼합한 양치액이 구강 내 연쇄상 구균의 수를 감소시키고, 치은염의 증상을 완화시킨다는 실험 결과가 발표되는 등 죽염의 약리작용을 과학적으로 확인,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최근 하버드 의대 Dana-Farber 암 연구 센터에서 죽염의 항암 효과를 보고하여 이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증가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의 제조 방법에 관한 일 예를 도 2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를 제조하기 위해 일 예로서 죽순 분말을 마련한다(S10). 즉 본 발명에서는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를 제조하기 위해 일 예로서 죽순 분말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식이섬유를 함유한 고구마, 사과, 콩비지, 아마씨, 양배추, 카카오닙스, 팽이버섯, 미역, 셀러리, 귀리, 호밀, 우엉 등의 식품 등에서 추출한 천연 식이섬유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사용되는 죽순 분말을 준비하기 위한 죽순으로서는 죽순대(Phyllostachys. pubescen), 오죽(Phyllostachys. nigra), 솜대(Sinoarundinaria nigra, S), 왕대(Phyllostachys. bambusoides), 해장죽(Arundinaria. simonii), 고려조릿대(Sasa. coreana), 섬조릿대(Sasa. kurilensis),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sis), 이대(Pseudosasa. japonica), 자주이대(Pseudosasa. japonica var. purpurascens) 중의 어느 하나의 죽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서, 2015년 6월 담양군에서 채취한 솜대를 100℃ 이상에서 1시간 정도 통째로 삶은 후 찬물에 담가 죽순과 껍질을 분리한 후 각각 -80℃에서 급속 냉동시켜 보관하였다. 냉동된 죽순과 죽순껍질은 동결 건조한 후 100mesh 크기로 균일하게 분쇄하여 냉장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시료의 분석은 3회 반복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또 전처리 단계로서, 죽순 및 죽순껍질 식이섬유는 각각 물과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즉 수득한 솜대 시료 100g에 증류수를 넣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1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여기서 상측액(supernatant)인 수용성 식이섬유(시료 2)를 제외한, 불용성 섬유인 펠렛형 죽순 식이섬유(시료 1)를 얻었다.
이후, 펠렛형 죽순 식이섬유(시료 1)에 3배의 에탄올을 가하여 25℃에서 2시간 두고, 다시 상층액인 수용성 식이섬유(시료 4)를 추출하고(S20), 상기 시료 4를 제외한 불용성의 펠렛형 죽순 식이섬유(시료 3)를 얻었다.
상술한 식이섬유 추출에 따른 추출 단계별 죽순 식이섬유 분석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죽순의 식이섬유(수용성 식이섬유 + 불용성 식이섬유)의 양은 공전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추출 단계
총 식이섬유(g/건조 중량 100g)
죽순 죽순껍질
시료 1 1.76±0.43 1.84±0.45
시료 2 32.98±2.35 54.24±2.45
시료 3 30.50±2.20 49.28±2.25
시료 4 2.44±0.75 4.64±0.76
이와 같이 단계별 과정을 거쳐 얻어진 죽순 식이섬유의 분획을 모아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가장 높은 시료 3에서 얻어진 시료를 사용하여 죽순의 효소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3의 불용성 식이섬유에 대해 아라바나아제(arab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글루카나아제(glucan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아밀라아제(amylase) 및 자일란아제(Xylanas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효소를 적용하여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이 증폭된 효소 분해물을 얻었다(S30).구체적인 죽순 효소 가수분해물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시료 3에 따라 얻은 죽순분말의 불용성 식이섬유 분획을 이용하여 효소분해를 실시하였다. 즉 pH 5.0인 50mM 아세트산 완충 용액(sodium acetatebuffer) 300㎖에 분획 10g을 가한 후 50℃ 진탕 배양기에서 180 rpm으로 1시간 동안 팽창시켰다.
그 후 야채 등의 분해시 수율 증가를 위해 사용하는 다성분 효소 복합체로서 0.5% Viscozyme(상품명), 식물성 원료 분해를 위해 사용되는 섬유소 분해효소로서 0.5% Celluclast(상품명), 말티톨(Maltose Syrup)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Fungal Alpha-amylase로서 0.5% Fungamyl(상품명)을 인가하여 같은 온도에서 180 rpm으로 0, 3, 6, 12, 24시간 동안 효소분해하였다.
효소반응 종료는 90℃에서 5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켰다. 이후 효소분해산물은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제조된 분말은 4℃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한편, 죽순껍질 효소 가수분해물의 제조도 죽순분말 대신에 상기 방법에 따라 얻은 죽순껍질 분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효소분해물의 효소분해시간에 따른 총 식이섬유의 양을 표 1과 같은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효소분해시간(h)
총 식이섬유(g/건조 중량 100g)(증가율, %)
죽순 죽순껍질
0 26.78±2.35(100) 45.14±4.22(100)
3 30.64±2.87(114) 49.32±2.74(109)
6 34.44±2.86(129) 54.57±3.25(121)
12 37.74±2.23(141) 58.33±2.68(129)
24 38.70±2.62(145) 62.04±2.42(137)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료 3에 따른 효소 분해물은 24시간 발효 후, 죽순의 경우는 145% 증가하였고, 죽순껍질의 경우 137% 증가하여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이 증폭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단계 S20에서 마련된 수용성 식이섬유, 상기 단계 S30에서 마련된 불용성 식이섬유, 곡물 분말, 계란, 당분, 죽염 및 우유를 혼합하여 반죽을 형성한다(S40).
상기 곡물 분말은 밀, 쌀, 보리, 조, 수수, 율무, 옥수수, 메밀, 콩의 분말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 분말일 수 있다.
상기 계란의 함량은 상기 곡물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0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당분의 함량은 10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죽염의 함량은 0.6 내지 1.0중량부 포함하며, 우유의 함량은 10 내지 20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계란, 당분 및 우유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아니고, 제조하고자 하는 빵의 종류에 따라 계란 또는 당분을 생략할 수도 있고, 상술한 떡갈비, 견과류, 건조 과일류, 건조 채소류, 건조 해산물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40에서는 상기 계란, 당분, 죽염 및 우유에 대해 중탕 처리를 실행하고, 이 중탕 처리와 함께 휘핑(Whipping)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휘핑은 저속휘핑, 고속휘핑, 중속휘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속 휘핑은 상기 계란, 당분, 죽염 및 우유의 1차 혼합물의 원활한 혼합과 적당한 거품 발생을 위해 400 내지 600rpm에서 1분 내지 5분 동안 실시하고, 고속 휘핑은 저속 휘핑에서 발생한 거품이 적당히 공기를 함유하면서 부풀어 오르도록 1100 내지 1500rpm에서 5분 내지 15분 동안 실시하여 기포력을 상승시키고, 중속휘핑은 발생한 거품의 크기를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860 내지 1060rpm에서 4 내지 14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40에서의 반죽은 상술한 바와 같이 휘핑된 혼합물에 상기 단계 S20에서 마련된 수용성 식이섬유, 상기 단계 S30에서 마련된 불용성 식이섬유 및 곡물 분말을 첨가하여 실행된다. 또 곡물 분말의 첨가시 제조될 빵의 종류에 따라 우유를 첨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계 S40에서의 반죽 형성시,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는 중량비로서 4:1의 비율로 혼합되며, 이 수용성 식이섬유와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는 상기 곡물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3~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중량부를 포함한다.
불용성 식이섬유는 물에 녹지 않고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불용성 식이섬유를 섭취하는 경우, 인체의 대장까지 진행하여 수분을 흡수하므로, 소화기관에서 수분을 흡수해 대변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등 대장에서 기능을 발휘해 장을 자극한다. 이로 인해 장운동이 활발해지므로, 변비 치료에 탁월하다. 그러나 불용성 식이섬유를 너무 많이 섭취하면 칼슘, 철분, 아연 등의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한다.
또한, 수용성 식이섬유는 물에 잘 녹는 식이섬유로서, 소화기관 내에서 물과 결합해 젤처럼 부드럽고 끈적거리는 형태로 되고, 불용성 식이섬유에 비해 수분을 체내에 더 많이 흡수시키며, 장운동 역시 더 활발하게 촉진시키고 변을 부드럽게 만들어줘 위장관을 쉽게 미끄러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장운동의 최적화를 위해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는 중량비로서 4: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며, 곡물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6 중량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죽염은 상기 곡물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0.6~1.0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죽염의 함유량이 0.6 중량부 미만이면 죽염의 효능을 발휘하기 곤란하며, 죽염의 함유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빵류 자체가 과도하게 짜게 될 염려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빵류를 제작하는 상기 단계 S40의 반죽 단계에서 떡갈비, 견과류, 건조 과일류, 건조 채소류, 건조 해산물 등의 함유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불용성 식이섬유 및 수용성 식이섬유와 함께 떡갈비, 견과류, 건조 과일류, 건조 채소류, 건조 해산물 등을 함유한 식빵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빵류의 하나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빵을 예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식빵에 함유되는 재료로서 떡갈비를 마련한다. 상기 떡갈비는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의 갈빗살을 사용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돼지고기와 쇠고기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떡갈비는 쇠고기의 갈빗살 또는 돼지고기의 갈빗살의 생육에 양념을 부가하고 가열한 후 6~8㎜의 크기로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절단 크기는 식빵의 제조 과정에서 곡물 분말과의 원활한 혼합으로 섭취 시 최적의 씹힘성, 식감, 질감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떡갈비의 크기가 6㎜ 미만의 크기로 절단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식빵의 섭취시 씹힘성, 질감이 저하되고, 8㎜를 초과한 크기로 절단할 경우에는 곡물 분말과의 혼합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치우치게 되어 제조된 식빵의 섭취시 색감, 질감 및 식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분쇄기(chopper)를 이용하여 쇠고기의 갈빗살 또는 돼지고기의 갈빗살의 생육을 6~8㎜의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떡갈비는 굽기 과정을 거쳐 떡갈비에 함유된 수분 및 기름을 제거하여 빵류의 제조 시 결착력이 향상된다.
즉, 본 발명자는 지방이 제거되고 잔 칼집 내기로 마련된 떡갈비를 식빵에 함유시키기 위해 조리 전의 떡갈비가 반죽에 함유되도록 시도하였지만, 식빵의 제조 후 떡갈비에 함유된 양념 부분의 수분 등에 의해 정상적인 식빵의 색상을 유지할 수 없었다. 또 조리 전의 떡갈비가 식빵에 전체적으로 함유되어 떡갈비의 함유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으며, 떡갈비 고유의 식감을 유지할 수도 없었다. 이에 관해 본 발명자가 양념의 배합 비율의 가감, 건조 양념의 사용 등을 시도하였지만,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자가 식빵에 떡갈비를 함유하게 하기 위한 무수한 반복실험 결과, 양념이 함유된 떡갈비에 관해 통상의 떡갈비와 같은 조리, 즉 떡갈비의 굽기 과정을 거쳐 식빵용 반죽에 함유시킨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식빵에서 시각적으로 떡갈비의 부분을 인식할 수 있으며, 떡갈비 특유의 식감, 즉 오도독 오도독한 떡갈비 고유의 식감을 유지할 수 있었다. 상기 떡갈비의 굽기 과정은 쇠고기의 갈빗살 또는 돼지고기의 갈빗살에 따라 굽기 온도가 상이하며, 쇠고기의 갈빗살 또는 돼지고기의 갈빗살의 양에 따라 변경 가능하므로, 특정 온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쇠고기의 갈빗살 또는 돼지고기의 갈빗살을 먹을 수 있을 정도로 굽는 과정이면 충분하다.
상기 떡갈비는 본 발명에 따른 식빵의 곡물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떡갈비 5 내지 10 중량부로 마련되며, 상기 떡갈비가 5 중량부 미만이면 본 발명에 따른 식빵에서 떡갈비의 맛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떡갈비에 의해 식빵의 색감이 어둡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양념은 본 출원인이 운영하는 담양 소재의 "덕인관"의 떡갈비 양념으로서 정제수, 천일염, 탈지 대두, 고과당, L-글루탐산나트륨(향미 증진제), 소맥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양념은 통상의 떡갈비에서 양념의 함유율이 100%인 것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상기 식빵에 함유된 떡갈비는 양념의 함유율이 150% 되도록 마련한다. 이와 같이 통상의 양념의 1.5배로 마련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식빵의 섭취시 떡갈비의 식감을 강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빵에 함유되는 소금(나트륨)의 함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빵에 함유되는 재료로서 식용 가능한 견과류, 건조 과일류, 씨앗류, 건조 채소류, 건조 해산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마련한다.
상기 견과류는 아몬드, 땅콩, 밤, 호두, 잣, 은행나무 열매, 피스타치오, 헤이즐럿, 캐슈넛, 피칸 등을 적용할 수 있지만, 영양 성분 및 식음자의 호감도 등을 고려하여 구운 아몬드 또는 호두를 적용하며, 견과류를 1~2㎜ 정도의 두께로 슬라이스(slice) 한 분태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빵에서는 종래의 분말 상태의 견과류의 사용과 달리 분태 상태의 견과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식빵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유지하여 색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 과일류는 사과, 배, 귤, 오렌지, 딸기, 복숭아, 살구, 매실 등을 세절하고 건조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영양 성분 및 식음자의 호감도 등을 고려하여 사과 또는 귤을 적용하며, 건조 과일류를 1~2㎜ 정도의 두께로 슬라이스 (slice)한 분태를 사용한다.
상기 씨앗류는 해바라기씨, 참깨씨, 들깨씨, 옥수수, 콩, 팥, 녹두 등을 적용할 수 있지만, 영양 성분 및 식음자의 호감도 등을 고려하여 해바라기씨 또는 들깨씨를 적용하며, 씨앗 형태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채소류는 배추, 양배추, 시금치, 쑥갓, 양파, 파, 아스파라거스, 죽순, 셀러리, 당근, 감자, 고구마, 호박, 오이, 토마토 등을 세절하고 건조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영양 성분 및 식음자의 호감도 등을 고려하여 시금치 또는 토마토를 적용하며, 건조 채소류를 1~2㎜ 정도의 두께로 슬라이스(slice) 한 분태를 사용한다.
또 상기 건조 해산물로서는 전복, 해삼, 새우, 홍합, 오징어, 낙지, 문어, 꽃게살, 바지락, 굴 등을 건조하고 세절하여 마련된 것을 적용하며, 1~2㎜ 정도의 두께로 슬라이스 (slice)한 분태를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견과류, 건조 과일류, 씨앗류, 건조 채소류, 건조 해산물에 관해서는 떡갈비를 함유한 식빵에 전체적으로 함유되게 마련될 수 있지만, 식음자의 취향 등을 고려하여 견과류, 건조 과일류, 씨앗류, 건조 채소류, 건조 해산물 중의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을 함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서 식빵 내에 아몬드 분태와 호두 분태가 내장되도록 마련된다.
아몬드(Almond)는 편도(扁桃)라고도 하는 장미과의 낙엽교목으로 매화나무나 복숭아나무와 가까운 식물로서, 맛에 따라 감편도와 고편도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것은 맛이 달고 향기로운 감편도 이다. 이와 같은 아몬드는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고 비타민 E가 풍부하여 피부 미용에도 좋으며 철분이나 칼슘도 풍부해 건강에 유익한 견과류이다.
호두는 가래나무과의 낙엽교목인 호두나무(Juglans sinensis)의 열매로서, 호두에는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며 두뇌 건강과 피부에 좋은 식재료이다.
상기 아몬드 분태와 호두 분태는 곡물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각각 2 내지 5 중량부가 마련된다. 상술한 분태가 2 중량부 미만이면 식빵에 함유된 아몬드 또는 호두의 상태를 인식하기가 곤란하며, 아몬드 분태와 호두 분태가 각각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식빵 고유의 식감을 저하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반죽 형성 과정에서 죽염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박테리아의 성장과 차후의 부패를 저해하며, 수분 유지 및 연화도를 증대하여 고기의 겔 강도를 시키며, 죽염 특유의 효과인 위염, 위궤양, 소화기계통의 약리 작용에 대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물 분말과 떡갈비 등의 재료와의 결착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40에서의 반죽에 대해서는 통상의 빵의 제조 과정과 같이 발효 과정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단계 S40에서 마련된 반죽을 제조할 빵의 종류에 따른 용기, 굽는 온도 등을 설정, 예를 들어 빵틀에 70%의 양으로 패닝한 후 오븐기에서 170 내지 180℃의 온도에서 10~30분 동안 굽는 것에 의해 빵류를 제작하였다(S50).
본 발명에 따른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에 대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먼저,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만을 함유한 식빵에 대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광주광역시 및 담양군에 거주하는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의 각각 10명의 panel 요원을 5명씩 나누어 본 발명에 따른 식빵과 통상의 식빵 50g을 각각 1인분으로 하여 시식하게 한 다음, 2시간 후 포만감에 대하여 5점 만점의 채점법에 의해 평균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하기 표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빵과 비교 예의 식빵에 관한 포만감에 대해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의 각각 10명의 평균치(소수점 이하 반올림)를 나타낸 결과이다.
비교 예의 식빵 본 발명의 식빵
10대 0 4
20대 0 4
30대 0.5 4.5
40대 0.5 4.5
50대 1 5
60대 1 5
상기 표 3의 결과에 의하면 비교 예의 식빵에 대해 10대 및 20대는 포만감을 거의 느끼지 못하였지만, 수용성 식이섬유와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가 6 중량부 함유된 본 발명의 식빵에 대해서는 높은 포만감을 느꼈다. 이러한 결과는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에서도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는 다이어트 식품으로 충분히 적용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빵을 식음한 패널들에게 다음날 배변의 상태에 대해 문의한 바, 배변의 상태가 원활하다는 회답을 받았다.
본 발명에 따른 빵류는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를 함유하여 장운동 역시 활발하게 촉진시키고 변을 부드럽게 만들어줘 위장관을 쉽게 미끄러지도록 하여 변비를 예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떡갈비를 함유한 식빵에 대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떡갈비를 함유한 식빵에 대해서도 광주광역시 및 담양군에 거주하는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의 각각 10명의 panel 요원을 구성하여 상술한 비교 예의 식빵에 대한 색감(color), 풍미(flavor),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성(overall acceptability)에 대하여 5점 만점의 채점법에 의해 평균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이때 색감, 풍미, 식감, 전체적인 기호성에서 5점은 가장 우수한 상태를 나타낸다.
하기 표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빵과 비교 예의 식빵에 관한 색감에 대해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의 각각 10명의 평균치(소수점 이하 반올림)를 나타낸 결과이다.
비교 예의 식빵 본 발명의 식빵
10대 4 5
20대 4 5
30대 5 4.5
40대 5 4.5
50대 5 4
60대 5 4
상기 표 4의 결과에 의하면 비교 예의 식빵은 그 외형이 통상의 식빵과 동일하여 높은 결과가 나왔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식빵의 색감이 비교 예의 식빵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지만, 10대 및 20대에서 색감의 평가는 비교 예와의 차별화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기 표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빵과 비교 예의 식빵에 관한 풍미(음식의 고상한 맛)에 대해 상술한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의 각각 10명의 평균치(소수점 이하 반올림)를 나타낸 결과이다.
비교 예의 식빵 본 발명의 식빵
10대 3 4
20대 3 4
30대 3 4
40대 4 4.5
50대 4 5
60대 4 5
상기 표 5의 결과에 의하면 비교 예의 식빵의 평가는 통상의 식빵에서 느끼는 풍미로서 유사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식빵의 풍미는 통상의 식빵과 떡갈비 맛이 어우러져 40대 내지 60대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하기 표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빵과 비교 예의 식빵에 관한 식감(사람이 음식을 먹으며 입 안에 느끼는 감촉)에 대해 상술한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의 각각 10명의 평균치(소수점 이하 반올림)를 나타낸 결과이다.
비교 예의 식빵 본 발명의 식빵
10대 4 5
20대 4 5
30대 4 5
40대 4 5
50대 4 5
60대 4 4.5
상기 표 6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식빵과 떡갈비가 동시에 씹히므로 식감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식빵의 식감은 떡갈비, 아몬드 분태 및 호두 분태 등의 맛에 의해 비교 예의 식빵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단 60대에서는 떡갈비, 아몬드 분태 및 호두 분태의 씹는 맛에 의해 10대 내지 50대에 비해 다소 저하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하기 표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빵과 비교 예의 식빵에 관한 전체적인 기호성에 대해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의 각각 10명의 평균치(소수점 이하 반올림)를 나타낸 결과이다.
비교 예의 식빵 본 발명의 식빵
10대 3 5
20대 3 5
30대 3 5
40대 3 5
50대 3 5
60대 3 5
상기 표 7의 결과에 의하면 비교 예의 식빵에 대해 통상적인 기호도로서 어느 제품에 특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식빵은 떡갈비, 아몬드 분태 및 호두 분태 등의 함유에 의해 비교 예의 식빵에 비해 전 세대에 거쳐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빵류의 식음시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에 의해 포만감을 유지시켜 다이어트 식품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a)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 곡물 분말, 죽염을 혼합하여 반죽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마련된 반죽을 빵틀에 패닝한 후 오븐기에서 구워 빵류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는 각각
    (a1) 죽순 분말을 마련하는 단계,
    (a2) 상기 단계 (a1)에서 마련된 죽순 분말에서 증류수를 넣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1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층액에서 제1 수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하는 단계,
    (a3) 상기 단계 (a2)에서 추출된 제1 수용성 식이섬유를 제외한 펠렛형 제1 불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하는 단계,
    (a4) 상기 단계 (a3)에서 추출된 펠렛형 제1 불용성 식이섬유에 3배의 에탄올을 가하여 25℃에서 2시간 두고, 다시 상층액에서 제2 수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하는 단계,
    (a5) 상기 단계 (a4)에서 추출된 제2 수용성 식이섬유를 제외한 펠렛형 제2 불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하는 단계에 의해 마련되고,
    상기 단계 (a)에서의 수용성 식이섬유는 상기 제1 수용성 식이섬유 및 제2 수용성 식이섬유이고,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는 제2 불용성 식이섬유이며,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는 중량비로서 4:1의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는 상기 곡물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3~1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죽염은 상기 곡물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0.6~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물 분말은 밀, 쌀, 보리, 조, 수수, 율무, 옥수수, 메밀, 콩의 분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단계 (a1)에서 죽순 분말은 죽순과 죽순껍질을 동결 건조한 후 100mesh 크기로 분쇄하여 냉장된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의 제조 방법.
  5. 제3항에서,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는 아라바나아제(arab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글루카나아제(glucan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아밀라아제(amylase) 및 자일란아제(Xylanas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효소에 의한 효소 분해물이고,
    상기 효소 분해물은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이 증폭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의 제조 방법.
  6. 제3항에서,
    상기 단계 (a)에서의 반죽은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의 갈빗살을 사용한 떡갈비와 식용 가능한 견과류, 건조 과일류, 씨앗류, 건조 채소류, 건조 해산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떡갈비는 상기 반죽 시 결착력이 향상되도록, 굽기 과정을 거쳐 수분 및 기름이 감소된 후 6~8㎜의 크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류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제1항 또는 제6항의 빵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류.
KR1020180120289A 2018-08-06 2018-10-10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 Active KR102223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039 2018-08-06
KR20180091039 2018-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153A KR20200016153A (ko) 2020-02-14
KR102223390B1 true KR102223390B1 (ko) 2021-03-05

Family

ID=6951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289A Active KR102223390B1 (ko) 2018-08-06 2018-10-10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5970A1 (ko) * 2021-04-08 2022-10-13 박유범 대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한 빵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110B1 (ko) 2020-03-16 2021-04-14 서정홍 스콘 및 그 제조방법
KR102699426B1 (ko) * 2021-07-06 2024-09-03 이윤호 김치 식빵 및 그 제조방법
KR102363877B1 (ko) * 2021-07-29 2022-02-16 이혜령 에그타르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30B1 (ko) * 2013-05-30 2013-12-0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흑맥 함유 빵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빵
CN105410949A (zh) * 2015-12-24 2016-03-23 福建农林大学 一种从笋下脚料中提取制备笋膳食纤维的方法
JP2018064500A (ja) * 2016-10-19 2018-04-26 株式会社Adeka パン生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911B1 (ko) 2007-08-17 2011-05-30 김영문 보리를 이용한 빵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9320A (ko) * 2010-03-31 2011-10-06 박철환 떡갈비 쌀 빵 제조 방법
KR101314251B1 (ko) 2011-11-23 2013-10-08 농업회사법인 일오삼식품 주식회사 죽순 떡갈비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죽순 떡갈비
KR20170000159A (ko) * 2015-06-23 2017-01-0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첨가한 현미 식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19301A (ko) * 2016-08-16 2018-02-26 최영형 죽순 식이섬유 추출방법
KR20180033005A (ko) 2016-09-23 2018-04-02 박명희 기능성 빵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30B1 (ko) * 2013-05-30 2013-12-0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흑맥 함유 빵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빵
CN105410949A (zh) * 2015-12-24 2016-03-23 福建农林大学 一种从笋下脚料中提取制备笋膳食纤维的方法
JP2018064500A (ja) * 2016-10-19 2018-04-26 株式会社Adeka パン生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5970A1 (ko) * 2021-04-08 2022-10-13 박유범 대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한 빵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153A (ko)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642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한 어묵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3390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38670A (ko) 고구마를 이용한 제빵용 발효액종과 이를 이용한 고구마 팥빵의 제조방법
KR102129077B1 (ko) 커틀릿 및 그 제조 방법
KR101402079B1 (ko) 블루베리 호두 찐빵의 제조방법
KR102604235B1 (ko) 옥수수 피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2702A (ko) 떡갈비를 함유한 가래떡 및 그 제조방법
KR102561208B1 (ko) 미트페이퍼 또는 패티로 활용가능한 닭가슴살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5379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한 면류 및 그 제조 방법
KR101766288B1 (ko) 사과현미국수와 그 제조방법
KR20160045387A (ko) 누룽지 분말을 함유하는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기완자
KR102284533B1 (ko) 치즈 고로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즈 고로케
KR102498054B1 (ko) 홍미를 이용한 기능성 피자 도우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피자 도우
KR101955824B1 (ko) 떡갈비를 함유한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8826A (ko) 참죽나무와 가죽나무의 추출물 및 분말 제조방법과 이를 첨가하는 식품조성물
KR102464983B1 (ko) 다이어트용 면 및 그 제조방법
KR102300693B1 (ko)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늘빵
KR102308287B1 (ko) 혼합 성형육 및 그 제조방법
KR102144017B1 (ko) 김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3462A (ko) 장어뼈가 포함된 개암 죽의 제조방법
KR102486159B1 (ko) 감귤 비트 두부 바게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615465B1 (ko) 글루텐 프리 밀키트
KR20160080878A (ko) 고구마와 팥앙금이 포함된 떡소를 가진 찹쌀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찹쌀떡
KR102486176B1 (ko) 마농 두부 바게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829367B1 (ko) 매운 김치가 들어간 만두소를 이용한 만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3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2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6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0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5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210225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1020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00825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0012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