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2449B1 - 탭이 내장된 데이터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탭이 내장된 데이터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449B1
KR102222449B1 KR1020150023584A KR20150023584A KR102222449B1 KR 102222449 B1 KR102222449 B1 KR 102222449B1 KR 1020150023584 A KR1020150023584 A KR 1020150023584A KR 20150023584 A KR20150023584 A KR 20150023584A KR 102222449 B1 KR102222449 B1 KR 102222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ap
reference voltage
sampler
path cont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0722A (ko
Inventor
임현욱
최성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3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449B1/ko
Priority to US14/979,784 priority patent/US9787505B2/en
Publication of KR2016010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4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H04L25/03248Arrangements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aratus
    • H04L25/03254Operation with other circuitry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267Operation with other circuitry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with decision feedback equal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 H04L25/03019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 H04L25/03057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with a recursiv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2Arrangements for coupling to multiple lines, e.g.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821Inter-carrier interference cancellation [IC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기는, 복수의 샘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샘플러는, 제 1 기준 전압과 제 2 기준 전압을 포함한 값과 입력 전압 간의 차이를 감지 증폭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샘플러는, 상기 제 2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제 2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동작 경로가 서로 다르게 제어되며, 상기 샘플러에서, 상기 제 1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제 1 데이터는 현재 데이터의 직전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제 1 데이터보다 과거 데이터일 수 있다..

Description

탭이 내장된 데이터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Tap Embedded Data Receiver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데이터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수신기의 결정 피드백 이퀄라이저(Decision Feedback Equalizer)에 관한 것이다.
고속 시스템에서의 칩 간(chip-to-chip) 데이터 전송률은 입출력 회로의 데이터 대역폭에 의해 제한을 받기보다는 전송 채널의 데이터 대역폭에 제한을 받는 경우가 높아졌다. 이러한 칩 간 데이터 전송 속도가 고속화되면서 채널을 통과한 신호는 단위 간격, 예컨대 UI(Unit Interval) 내에, 복수의 신호의 중첩 현상 등으로 인한 신호의 왜곡 현상이 발생되었다.
그리하여, 수신기 측에서 이러한 신호 왜곡 현상을 방지하도록 신호의 간섭 영향을 상쇄하거나 보상하는 다양한 솔루션 개발의 요구가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탭이 내장된 이퀄라이저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기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기는, 복수의 샘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샘플러는, 제 1 기준 전압과 제 2 기준 전압을 포함한 값과 입력 전압 간의 차이를 감지 증폭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샘플러는, 상기 제 2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제 2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동작 경로가 서로 다르게 제어되며, 상기 샘플러에서, 상기 제 1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제 1 데이터는 현재 데이터의 직전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제 1 데이터보다 과거 데이터일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샘플러는, 상기 제 1 기준 전압과 상기 제 2 기준 전압의 차를 수신하는 제 1 트랜지스터 쌍, 상기 입력 신호의 차를 수신하는 제 2 트랜지스터 쌍 및 상기 제 1 기준 전압과 상기 제 2 기준 전압의 차를 수신하는 제 3 트랜지스터 쌍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쌍과 상기 제 2 트랜지스터 쌍이 서로 교번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샘플러는, 상기 각 트랜지스터 쌍의 비교 동작 결과를 감지하는 증폭기 및 래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증폭부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및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래치부는 SR 래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기는, 하프 레이트 수신 방식을 지원하는 복수의 샘플러를 포함하고, 짝수번째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 1 경로 제어부 및 홀수번째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 2 경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경로 제어부 각각은 n번째 데이터에 대한 탭 수행을 상기 복수의 샘플러 내부로 피드백 시켜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경로 제어부는 제 1 샘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로 제어부는 제 2 샘플러를 포함할 때, 상기 제 1 샘플러는 제 1 및 제 2 탭 임베디드 샘플러 및 제 1 다중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샘플러는 제 3 및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 및 제 2 다중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탭 임베디드 샘플러의 선택은 상기 제 2 다중화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의 선택은 상기 제 1 다중화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탭 임베디드 샘플러 각각은, 상기 n번째 데이터를 수신하되 서로 반전 레벨을 수신하는 제 1 및 제 2 탭 수신부 및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n번째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 수신부 외에 상기 제 1 및 제 2 탭 수신부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 3 및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 각각은, 상기 n번째 데이터를 수신하되 서로 반전 레벨을 수신하는 제 3 및 제 4 탭 수신부 및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n번째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 수신부 외에 상기 제 3 및 제 4 탭 수신부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정 피드백 이퀄라이저는 추가의 탭을 이퀄라이저 내부에 포함하여 데이터의 ISI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면서도 면적 효율 향상 및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송신단과 수신단의 관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신호의 주파수와 이득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수신단 이퀄라이저 중 하나인 룩 어헤드 결정 귀환 이퀄라이저의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제 2 비교 블록의 자세한 블록도,
도 5a는 도 4에 따른 제 1 비교부의 회로도,
도 5b는 도 4에 따른 제 2 비교부의 회로도,
도 6은 과거 데이터와 현재 데이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탭이 내장된 룩 어헤드 DFE의 블록도,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따른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2)의 회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탭 임베디드 룩 어헤드 DFE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블록도,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탭 임베디드 룩 어헤드 DFE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송신단(Tx)과 수신단(Rx)의 관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신단(Tx; 1)과 수신단(Rx; 3) 사이에는 전송 채널(2)이 구비된다.
송신단(1)에서 수신단(3)으로 데이터를 송신 시, 전송 채널(2)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적인 경우라면, 송신단(1)에서 수신단(3)으로의 데이터가 무손실 상태로서 전달되어야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그렇지 못하다. 전송 채널(2)의 비교적 긴 길이로 인한 전달 함수, 전송 채널(2)의 물질 특성 등으로 송신단(1)에서의 윤곽이 뚜렷했던(clear-out) 디지털 펄스 신호는 수신단(3)에 도달할 때는 가우시안 형태로 분산되거나 퍼질 수 있다.
예컨대, 송신단(1)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전송 채널(2)은 PCB 기판 상의 동선, 수신단(3)은 또 다른 프로세서 및 메모리 회로 일 수 있다.
도 2는 신호의 주파수와 이득(gain)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X축은 주파수(freq)를 나타내고 Y축은 이득(gain)을 나타낸다.
도 2에서와 같이, 고주파로 갈수록 신호의 이득이 현저히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DC 성분과 같은 저주파 신호는 전달 특성이 좋을 수 있으나 고주파의 신호는 전송 시 신호간 간섭(Inter Symbol Interference; ISI)현상에 의해 신호 감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수신 시스템에서 신호의 ISI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이퀄라이저(equalizer)를 이용하기도 한다.
도 3은 수신단 이퀄라이저 중 하나인 룩 어헤드 결정 귀환 이퀄라이저(Look-ahead Decision Feedback Equalizer; 이하, 룩 어헤드 DFE라 함)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룩 어헤드 DFE(10)는 제 1 경로 제어부(20) 및 제 2 경로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클럭 신호의 정 클럭 신호(CLK) 및 부 클럭 신호(CLKB)를 이용한 하프ㅡ 레이트 수신 방식을 예시하며, 이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경로 제어부(20) 및 제 2 경로 제어부(30)가 각각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1 경로 제어부(20)와 제 2 경로 제어부(30)의 동작 및 구성 원리는 유사하므로 제 1 경로 제어부(20) 및 제 2 경로 제어부(30) 중 어느 하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경로 제어부(20)는 제 1 비교 블록(21), 제 1 다중화부(MUX; 22), 제 1 래치 블록(23), 제 1 탭 블록(24) 및 제 1 가산기(adder; 25)를 포함한다.
제 1 비교 블록(21)은 정 클럭 신호(CLK)에 제어되고, 입력 신호(Vin)와 제 1 기준 전압(+H1, -H1)의 차를 각각 차동 증폭하고, 그 결과를 각각 래치한다.
하프 레이트 수신 방식이므로 짝수번째 데이터는 직전 홀수번째 데이터의 영향을 받을 것이고, 역으로 홀수번째 데이터는 직전 짝수번째 데이터의 영향을 받을 것이다. 따라서, 현재 데이터의 ISI 제거는 직전 짝수 및 홀수번째 데이터 상태(레벨)를 반영하여 이를 보상하는 방향으로 동작해야 한다.
그리하여, 제 1 다중화부(22)는 제 2 경로 제어부(30)의 제 2 다중화부(32)에서 선택된 값에 기초하여 제 1 비교 블록(21)의 결과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 1 래치 블록(23)은 복수의 래치부(23-1, 23-2, 23-3, 23-4, 23-5)를 포함한다.
복수의 래치부(23-1, 23-2, 23-3, 23-4, 23-5)는 각각 정 클럭 신호(CLK) 또는 부 클럭 신호(CLKB)에 제어되어 순차적으로 이전 데이터를 래치하며 전달하고 동시에 제 1 탭 블록(24)으로 피드백 전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DFE 짝수 데이터(DFE even data)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 1 탭 블록(24)은 복수의 탭 회로(24-1, 24-2, 24-3, 24-4)를 포함하며, 각각의 탭 회로는 커런트 DA 변환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각 탭 회로는 각각의 계수(H2, H3, H4, H5)를 포함한다. 제 1 탭 블록(24)은 현재 데이터의 신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과거 데이터에 대한 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복수의 래치부(23-1, 23-2, 23-3, 23-4, 23-5)에서 피드백된 데이터의 해당 위치를 탭으로서 인식하고 해당 계수를 제공한다.
제 1 가산기(25)는 제 1 탭 블록(24)의 계수와 입력 신호(Vin)를 가산한다.
제 2 경로 제어부(30)는 제 2 비교 블록(31), 제 2 다중화부(MUX; 32), 제 2 래치 블록(33), 제 2 탭 블록(34) 및 제 2 가산기(adder; 35)를 포함한다.
제 2 비교 블록(31)은 부 클럭 신호(CLKB)에 제어되고, 입력 신호(Vin)와 제 1 기준 전압(+H1, -H1)의 차를 각각 차동 증폭하고, 그 결과를 각각 래치한다.
제 2 다중화부(32)는 제 1 경로 제어부(20)의 제 1 다중화부(22)에서 선택된 값에 기초하여 제 2 비교 블록(31)의 결과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 2 래치 블록(33)은 복수의 래치부(33-1, 33-2, 33-3, 33-4, 33-5)를 포함한다.
복수의 래치부(33-1, 33-2, 33-3, 33-4, 33-5)는 각각 정 클럭 신호(CLK) 또는 부 클럭 신호(CLKB)에 제어되어 순차적으로 이전 데이터를 래치하며 전달하여 최종적으로 DFE 홀수 데이터(DFE odd data)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래치부(33-1, 33-2, 33-3, 33-4, 33-5)의 출력 각각은 제 2 탭 블록(34)에 피드백 제공된다. 하프 레이트 수신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풀 레이트 수신 방식보다 피드백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제 2 탭 블록(34)은 복수의 탭 회로(34-1, 34-2, 34-3, 34-4)를 포함하며, 각각의 탭 회로는 커런트 DA 변환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각 탭 회로는 각각의 계수(H2, H3, H4, H5)를 포함한다. 제 2 탭 블록(34)은 현재 데이터의 신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과거 데이터에 대한 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복수의 래치부(33-1, 33-2, 33-3, 33-4, 33-5)에서 피드백된 데이터의 해당 위치를 탭으로서 인식하고 해당 계수를 제공한다.
제 2 가산기(35)는 제 2 탭 블록(34)의 계수와 입력 신호(Vin)를 가산한다.
자세한 동작 설명은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제 2 비교 블록(31)의 자세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비교 블록(31)은 제 1 비교부(31-1) 및 제 2 비교부(31-2)를 포함한다. 제 1 기준 전압(+H1, -H1)은 제 1 정 기준 전압(+H1) 및 제 1 부 기준 전압(-H1)을 포함한다.
제 1 비교부(31-1)는 입력 신호(Vin)와 제 1 정 기준 전압(+H1)을 비교한다.
제 2 비교부(31-2)는 입력 신호(Vin)와 제 1 부 기준 전압(-H1)을 비교한다.
제 2 비교 블록(31)은 부 클럭 신호(CLKB)에 제어되며, 제 2 비교 블록(31)은 입력 신호(Vin)와 각각의 제 1 정 기준 전압(+H1) 및 제 1 부 기준 전압(-H1)에 대해서 반 클럭(half-clock)마다 데이터 판별에 관한 두 결정들을 할 수 있다.
도 5a는 도 4에 따른 제 1 비교부(31-1)의 회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 1 비교부(31-1)는 차동 입력부(310), 증폭부(320) 및 래치부(330)를 포함한다.
차동 입력부(310)는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인 입력 신호(Vin)와 제 1 기준 전압(+H1, -H1)을 수신한다.
입력 신호(Vin)는 차동 신호의 정신호(INP)와 부신호(INN)로서 정의될 수 있고, 제 1 기준 전압(H1)은 실질적으로 전압값은 같으나 부호만 서로 다른 H1P, H1N(+H1, -H1)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차동 입력부(310)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N1)부터 제 6 NMOS 트랜지스터(N6)를 포함한다. 제 2 NMOS 트랜지스터 및 제 3 NMOS 트랜지스터(N2, N3)는 상보 신호, 차동 신호의 정신호(INP)와 부신호(INN)를 수신한다. 제 5 NMOS 트랜지스터 및 제 6 NMOS 트랜지스터(N5, N6)는 상보 신호, H1P, H1N를 수신한다.
제 2 NMOS 트랜지스터 및 제 5 NMOS 트랜지스터(N2, N5)의 드레인은 노드 a에 공통 연결된다. 제 3 NMOS 트랜지스터 및 제 6 NMOS 트랜지스터(N3, N6)의 드레인은 노드 b에 공통 연결된다.
차동 입력부(310)는 입력 신호(Vin)와 제 1 기준 전압(H1)의 크기를 비교하게 된다.
증폭부(320)는 제 7 NMOS 트랜지스터, 제 8 NMOS 트랜지스터(N7, N8) 및 두개의 인버터(I1, I2)를 포함한다.
증폭부(320)는 차동 입력부(310)의 비교 결과를 감지하여 그 레벨을 증폭한다.
래치부(330)는 증폭부(320)의 결과를 래치한다. 래치부(330)는 SR 래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제 1 내지 제 3 PMOS 트랜지스터들(P1-P3)은 각각 클럭 부 신호(CLKB)에 제어되며 공급 전원(VDD)을 제공한다.
제 1 비교부(31-1)의 동작을 설명하면, 입력 신호(Vin)가 제 1 기준 전압(H1)보다 큰지 여부를 비교한다. 그리하여, 입력 신호(Vin)가 제 1 기준 전압(H1)보다 크면, 증폭부(320)에 의해 하이 레벨로 증폭시키고 래치부(330)가 이를 래치한다.
입력 신호(Vin)가 제 1 기준 전압(H1)보다 작으면, 증폭부(320)에 의해 로우 레벨로 증폭시키고 래치부(330)가 이를 래치한다.
제 2 비교부(31-2)는 제 1 비교부(31-1)의 동작과 유사한 원리이나, 제 1 부 기준 전압(-H1)을 비교한다.
제 2 비교부(31-2)의 구성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 2 비교부(31-2)는 차동 입력부(340), 증폭부(350) 및 래치부(360)를 포함한다.
차동 입력부(340)는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인 입력 신호(Vin)와 제 1 기준 전압(H1)을 수신한다.
차동 입력부(340)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N1)부터 제 6 NMOS 트랜지스터(N6)를 포함한다. 제 2 NMOS 트랜지스터 및 제 3 NMOS 트랜지스터(N2, N3)는 상보 신호, 차동 신호의 정신호(INP)와 부신호(INN)를 수신한다. 제 5 NMOS 트랜지스터 및 제 6 NMOS 트랜지스터(N5, N6)는 상보 신호, H1P, H1N를 수신한다.
제 2 NMOS 트랜지스터 및 제 5 NMOS 트랜지스터(N2, N5)의 드레인은 노드 c에 공통 연결된다. 제 3 NMOS 트랜지스터 및 제 6 NMOS 트랜지스터(N3, N6)의 드레인은 노드 d에 공통 연결된다.
증폭부(350)는 제 7 NMOS 트랜지스터, 제 8 NMOS 트랜지스터(N7, N8) 및 두개의 인버터(I1, I2)를 포함한다.
증폭부(350)는 차동 입력부(340)의 비교 결과를 감지하여 그 레벨을 증폭한다.
래치부(360)는 증폭부(350)의 결과를 래치한다. 래치부(360)는 SR 래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비교부(31-2)의 동작을 설명하면, 입력 신호(Vin)이 음(-)의 제 1 기준 전압(-H1)보다 큰지 여부를 비교한다. 그리하여, 입력 신호(Vin)이 음의 제 1 기준 전압(-H1)보다 크면, 증폭부(320)에 의해 하이 레벨로 증폭시키고 래치부(330)가 이를 래치한다.
입력 신호(Vin)가 제 1 부 기준 전압(-H1)보다 작으면, 증폭부(320)에 의해 로우 레벨로 증폭시키고 래치부(330)가 이를 래치한다.
즉, 제 1 비교부(31-1) 및 제 2 비교부(31-2)는 각각 입력 신호(Vin)이 양(+)의 제 1 기준 전압(+H1)보다 높은지 여부와, 음의 제 1 기준 전압(-H1)보다 높은지 여부를 비교한다.
두 가지의 결정이 나와 있고,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직전 데이터의 레벨 값을 보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직전 짝수번째 데이터의 출력이 하이 레벨이라면, 현재 홀수번째 데이터는 제 1 비교부(31-1)의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 1 비교부(31-1)의 비교 결과가 양의 제 1 기준 전압(+H1)보다 높은지 여부에 따라 이후 제 2 다중화부(도 3의 32 참조)에서 선택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직전 짝수번째 데이터의 출력이 로우 레벨이라면, 현재 홀수번째 데이터는 제 2 비교부(31-2)의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 2 비교부(31-2)의 비교 결과가 음의 제 1 기준 전압(-H1)보다 높은지 여부에 따라 이후 제 2 다중화부(도 3의 32 참조)에서 선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룩 어헤드 DFE(10)는 현재 입력 신호(Vin)가 소정의 제 1 기준 전압(+H1, -H1)보다 높아졌는지 낮아졌는지를 비교한 후, 높아졌다면 과거 데이터의 영향으로 높아졌음을 감지하여 소정 낮추어 보상하고, 낮아졌다면 과거 데이터의 영향으로 낮아졌음을 감지하여 소정 높여 보상할 수 있다. 또한, 한 주기 이전의 과거의 여러 데이터들의 잔류 영향을 제거하도록 복수의 탭 회로를 이용하여 계수를 적용하고자 한다.
도 6은 이러한 과거 데이터와 현재 데이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X 축은 시간 축이고 Y 축은 데이터의 전압 레벨을 나타낸다.
샘플링 타임(sampling time)에 샘플링된 현재 데이터를 메인 커서(main cursor)라고 지칭할 수 있다. 하지만 과거의 데이터들의 롱 테일(long tail)로 인해 현재 데이터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이러한 과거 데이터들의 롱 테일을 포스트 커서(post cursor)라고 한다.
설명의 편의상, 현재 데이터 및 과거 데이터를 모두 하이 레벨로 예시하였는데, 이와 같이, 메인 커서에 포스트 커서의 영향을 ISI라고 한다.
일반적인 룩 어헤드 DFE(10)를 이용하여 신호 ISI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하여, 첫번째 직전 데이터의 위치에 해당하는 ISI는 룩 어헤드 DFE(10)를 이용하고, 나머지 과거 데이터의 위치에 해당하는 ISI는 탭 블록의 탭 회로들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에서 정교하게 신호를 교정하기 위해 탭을 추가해야 한다면 탭 블록에 커런트 변환 회로를 추가해야 하는데 이는 전체적인 회로의 면적뿐 아니라 전력 소모 측면에서도 불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탭이 내장된(tap-embedded) 룩 어헤드 DFE(100; 이하, 탭 임베디드 룩 어헤드 DFE라 함)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탭 임베디드 룩 어헤드 DFE(100)는 제 1 경로 제어부(110) 및 제 2 경로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탭 임베디드 룩 어헤드 DFE(100)는 클럭 신호의 정 클럭 신호(CLK) 및 부 클럭 신호(CLKB)를 이용한 하프ㅡ 레이트 수신 방식을 예시하며, 이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경로 제어부(110) 및 제 2 경로 제어부(120)가 각각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1 경로 제어부(110)와 제 2 경로 제어부(120)의 동작 및 구성 원리는 유사하므로 제 1 경로 제어부(110)와 제 2 경로 제어부(120) 중 어느 하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경로 제어부(110)는 제 1 샘플러(111), 제 1 래치 블록(112), 제 1 탭 블록(113) 및 제 1 가산기(114)를 포함한다.
제 1 샘플러(111)는 정 클럭 신호(CLK)에 제어되어, 입력 신호(Vin)와 제 1 기준 전압(+H1, -H1) 뿐 아니라, x 번째 데이터의 기준 전압(Hx)을 수신하여 현재 데이터의 오프셋 전압을 결정한다. 특히, 제 1 샘플러(111)는 X 번째 데이터(Dx)를 피드백 제공받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샘플러(111)는 종래와 달리, 현재 입력 데이터에 대해, 직전 데이터뿐 아니라 X 번째 데이터 상태를 반영하여 ISI 보상을 결정한다. 피드백된 X 번째 데이터(Dx)는 제 1 샘플러(111) 내부에 내장된 탭 수신부에 수신되고, 탭 회로와 같이 ISI 보상에 참여할 수 있다.
제 1 샘플러(111)는 제 1 탭 임베디드 샘플러(111-1), 제 2 탭 임베디드 샘플러(111-2) 및 제 1 다중화부(111-3)를 포함한다.
제 1 탭 임베디드 샘플러(111-1) 및 제 2 탭 임베디드 샘플러(111-2)는 각각, 양의 제 1 기준 전압(+H1)보다 높은지 여부와, 음의 제 1 기준 전압(-H1)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 때, X 번째 데이터의 상태에 따라 각각의 제 1 탭 임베디드 샘플러(111-1) 및 제 2 탭 임베디드 샘플러(111-2)의 회로 동작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물론, 이들 제 1 탭 임베디드 샘플러(111-1) 및 제 2 탭 임베디드 샘플러(111-2)의 선택은 상대 데이터, 예컨대 홀수번째 데이터 경로인 제 2 경로 제어부(120)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하프 레이트 수신 방식이므로 짝수번째 데이터는 직전 홀수번째 데이터의 영향을 받고, 역으로 홀수번째 데이터는 직전 짝수번째 데이터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현재 데이터의 ISI 제거는 직전 짝수 및 홀수번째 데이터를 반영하여 이를 보상하는 방향으로 동작해야 한다. 그리하여, 제 1 다중화부(111-3)는 제 2 경로 제어부(120)의 제 2 다중화부(121-3)에서 선택된 값에 기초하여 제 1 탭 임베디드 샘플러(111-1) 및 제 2 탭 임베디드 샘플러(111-2)의 결과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 1 래치 블록(112)은 복수의 래치부(112-1, 112-2, 112-3, 112-4, 112-5)를 포함한다.
복수의 래치부 (112-1, 112-2, 112-3, 112-4, 112-5)는 각각 정 클럭 신호(CLK) 또는 부 클럭 신호(CLKB)에 제어되어 순차적으로 이전 데이터를 래치하며 전달하고 피드백하면서 최종적으로 DFE 짝수 데이터(DFE even data)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 1 탭 블록(113)은 복수의 탭 회로(113-1, 113-2, 113-3, 113-4)를 포함하며, 각각의 탭 회로는 커런트 DA 변환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각 탭 회로는 각각의 계수(H2, H3, H4, H5)를 포함한다. 제 1 탭 블록(113)은 현재 데이터의 신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과거 데이터에 대한 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복수의 래치부(112-1, 112-2, 112-3, 112-4, 112-5)에서 피드백된 데이터의 해당 위치를 탭으로서 인식하고 해당 계수를 제공한다.
제 1 가산기(114)는 제 1 탭 블록(113)의 계수와 입력 신호(Vin)를 가산한다.
제 2 경로 제어부(120)는 제 2 샘플러(121), 제 2 래치 블록(122), 제 2 탭 블록(123) 및 제 2 가산기(124)를 포함한다.
제 2 샘플러(121)는 부 클럭 신호(CLKB)에 제어되어, 입력 신호(Vin)와 제 1 기준 전압(+H1, -H1) 뿐 아니라, x 번째 데이터의 기준 전압(Hx)을 수신하여 현재 데이터의 오프셋 전압을 결정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샘플러(121)는 종래와 달리, 현재 입력 데이터에 대해, 직전 데이터뿐 아니라 X 번째 데이터 상태를 반영하여 ISI 보상을 결정한다.
제 2 샘플러(121)는 제 3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1),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2) 및 제 1 다중화부(121-3)를 포함한다.
제 3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1) 및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2)는 각각, 제 1 부 기준 전압(-H1)보다 높은지 여부와, 제 1 정 기준 전압(+H1)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 때, X 번째 데이터의 상태에 따라 각각의 제 3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1) 및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2)의 회로 동작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제 2 다중화부(121-3)는 제 1 경로 제어부(110)의 제 1 다중화부(111-3)에서 선택된 값에 기초하여 제 3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1) 및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2)의 결과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 2 래치 블록(122)은 복수의 래치부(122-1, 122-2, 122-3, 122-4, 122-5)를 포함한다.
복수의 래치부(122-1, 122-2, 122-3, 122-4, 122-5)는 각각 정 클럭 신호(CLK) 또는 부 클럭 신호(CLKB)에 제어되어 순차적으로 이전 데이터를 래치하며 전달하여 최종적으로 DFE 홀수 데이터(DFE odd data)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 2 탭 블록(123)은 복수의 탭 회로(123-1, 123-2, 123-3, 123-4)를 포함하며, 각각의 탭 회로는 커런트 DA 변환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각 탭 회로는 각각의 계수(H2, H3, H4, H5)를 포함한다. 제 2 탭 블록(123)은 현재 데이터의 신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과거 데이터에 대한 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복수의 래치부(122-1, 122-2, 122-3, 122-4, 122-5)에서 피드백된 데이터의 해당 위치를 탭으로서 인식하고 해당 계수를 제공한다.
제 2 가산기(124)는 제 2 탭 블록(123)의 계수와 입력 신호(Vin)를 가산한다.
자세한 동작 설명은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따른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2)의 회로도이다.
도 8a는 X 번째 데이터(Dx)가 하이 레벨인 경우를, 도 8b는 X 번째 데이터(Dx)가 로우 레벨인 경우를 나타낸다.
우선, 도 8a를 참조하면,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2)는 차동 입력부(1210), 증폭부(1215) 및 래치부(1218)를 포함한다.
차동 입력부(1210)는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인 입력 신호(Vin), 제 1 정 기준 전압(+H1), 및 X 번째 기준 전압(DX)을 수신한다.
입력 신호(Vin)는 차동 신호의 정신호(INP)와 부신호(INN)로서 정의될 수 있고, 제 1 기준 전압(H1)은 실질적으로 전압 값은 같으나 부호만 서로 다른 H1P, H1N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X 번째 데이터(Dx)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로서 수신된다.
차동 입력부(1210)는 제 1 수신부(1211), 제 2 수신부(1212) 및 제 3 수신부(12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수신부(1211) 및 제 3 수신부(1213)는 일종의 탭 수신부로서 동작하나, 다만 서로 수신하는 데이터의 레벨이 다를 뿐이다. 제 2 수신부(1212)는 입력 신호(Vin) 수신부로서 이해 가능하다.
제 1 수신부(1211)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N1)부터 제 4 NMOS 트랜지스터(N4)를 포함한다.
제 1 NMOS 트랜지스터(N1)는 부 클럭 신호(CLKB)를 수신하며, 제 2 NMOS 트랜지스터(N2)는 X번째 데이터(Dx)를 수신하고, 제 3 및 제 4 NMOS 트랜지스터(N3, N4)는 상보 신호로서 각각, H1N-Hx, H1P+Hx 로 연산된 전압을 수신한다. 이는 미리 설계자에 의해 설정된 레벨로서 X 번째 데이터의 위치 및 레벨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따라서, Hx는 X 번째 데이터에 해당하는 기준 전압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제 2 수신부(1212)는 제 5 NMOS 트랜지스터(N5)부터 제 8 NMOS 트랜지스터(N8)를 포함한다.
제 5 NMOS 트랜지스터(N5)는 부 클럭 신호(CLKB)를 수신하며, 제 6 NMOS 트랜지스터(N6)는 전원 전압(VDD)을 수신하고, 제 7 및 제 8 NMOS 트랜지스터(N7, N8)는 상보 신호로서 차동 신호의 정신호(INP)와 부신호(INN)를 수신한다.
제 3 수신부(1213)는 제 9 NMOS 트랜지스터(N9)부터 제 12 NMOS 트랜지스터(N12)를 포함한다.
제 9 NMOS 트랜지스터(N9)는 부 클럭 신호(CLKB)를 수신하며, 제 10 NMOS 트랜지스터(N10)는 X번째 기준 전압의 반전 레벨(/DX)을 수신하고, 제 11 및 제 12 NMOS 트랜지스터(N11, N12)는 상보 신호로서 H1N+Hx, H1P-Hx를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미리 설계자에 의해 설정된 레벨로서 X 번째 데이터의 위치 및 레벨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따라서, Hx는 X 번째 데이터에 해당하는 기준 전압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제 3 NMOS 트랜지스터(N3), 제 7 NMOS 트랜지스터(N7) 및 제 11 NMOS 트랜지스터(N11)의 드레인은 공통 노드 c에 연결된다.
제 4 NMOS 트랜지스터(N4), 제 8 NMOS 트랜지스터(N8) 및 제 12 NMOS 트랜지스터(N12)의 드레인은 공통 노드 d에 연결된다.
차동 입력부(1210)는 X 번째 데이터(Dx)의 레벨에 따라 입력 신호(Vin)와 제 1 기준 전압(H1) 및 X 번째 기준 전압(Hx)의 크기를 비교하는 동작 경로를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즉, X 번째 기준 전압(DX)의 레벨이 하이 레벨이면, 제 3 수신부(1213)는 턴 오프되고, 제 1 수신부(1211) 및 제 2 수신부(1212)가 동작한다.
증폭부(1215)는 제 13 NMOS 트랜지스터, 제 14 NMOS 트랜지스터(N13, N14) 및 두개의 인버터(I1, I2)를 포함한다.
증폭부(1215)는 차동 입력부(1210)의 비교 결과를 감지하여 그 레벨을 증폭한다.
래치부(1218)는 증폭부(1215)의 결과를 래치한다. 래치부(1218)는 SR 래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제 1 내지 제 3 PMOS 트랜지스터들(P1-P3)은 각각 클럭 부 신호(CLKB)에 제어되며 공급 전원(VDD)을 제공한다.
X 번째 기준 전압(DX)의 레벨이 하이 레벨이고, 입력 신호(Vin)가 제 1 수신부(1211)에 인가된 전압보다 크면, 증폭부(1215)에 의해 하이 레벨로 증폭시키고 래치부(1218)가 이를 래치한다.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2)의 동작을 수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식 1]
(INP-INN)-((H1N-Hx)-(H1P+Hx))>0, (Dx=H 일 때)
(Vin=INP-INN, V1=H1P-H1N 으로서 정의됨)
이를 간단히 정리하면,
[수식 2]
Vin-V1-2Hx>0
2Hx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Vx라고 하자.
따라서, Vin-V1-Vx>0이면 증폭부(1215) 및 래치부(1218)를 통해 하이 레벨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직전 데이터인 even data가 하이 레벨이면,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2)가 동작하고, X 번째 데이터(Dx)의 레벨이 하이 레벨이면,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2)의 제 1 및 제 2 수신부(1211, 1212)가 동작한다.
도 8b는 도 8a와 달리, X 번째 데이터(Dx)의 레벨이 로우 레벨인 경우를 설명한다.
도 8b는 X 번째 데이터(Dx)의 레벨이 로우 레벨이면, 제 1 수신부(1211)는 턴 오프되고 제 3 수신부(1213)가 동작한다.
그리하여, X 번째 기준 전압(DX)의 레벨이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제 2 및 제 3 수신부(1212, 1213)가 동작하고 이들 수신부의 전압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입력 신호(Vin)가 제 3 수신부(1213)의 인가 전압보다 크면, 증폭부(1215)에 의해 로우 레벨로 증폭시키고 래치부(1218)가 이를 래치한다.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2)의 동작을 수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식 3]
(INP-INN)-((H1N+Hx)-(H1P-Hx))>0, (Dx=L 일 때)
(Vin=INP-INN, V1=H1P-H1N 으로서 정의됨)
이를 간단히 정리하면,
[수식 4]
Vin-V1+Vx>0
즉,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2)는 무조건 입력 전압(Vin)이 V1보다 큰지 여부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X 번째 데이터의 레벨에 따른 기준 전압까지 고려하여 이를 포함한 값과 비교하게 된다.
설명되지 않았지만, 제 3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1)도 유사한 구성 및 동작 원리를 포함한다.
물론, 제 1 탭 임베디드 샘플러(111-1) 및 제 2 탭 임베디드 샘플러(111-2)도 유사한 구성 및 동작 원리를 포함한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 4 탭 임베디드 샘플러(121-2)를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추가의 탭을 사용하기에 보다 미세하고 정교하게 데이터의 ISI를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추가의 탭을 이용 시, 커런트 DA 변환 회로를 이용하는 제 1 탭 블록(113) 또는 제 2 탭 블록(123)에 추가하는 대신, 룩 어헤드 샘플러 내에 탭을 내장시키는 것으로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이라면, 첫번째 직전 데이터의 위치에 해당하는 ISI는 제 1 샘플러(111)를 이용하고, 나머지 과거 데이터에 대해서는 제 1 탭 블록(113)을 이용하여 제거해야 했다. 추가의 탭을 고려하려면, 제 1 탭 블록(113)에 탭 회로를 추가할 수 밖에 없었다. 탭 회로는 커런트 변환 회로로서 그 면적 및 전력 소모가 크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과거 데이터 중 소정 데이터의 위치에 해당하는 ISI는 제 1 탭 블록(113)의 탭 회로들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의 탭을 고려할 때, 제 1 샘플러(111)로 피드백 시켜 ISI 보상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써, 회로의 많은 면적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많은 전류를 소비하지 않도록 하여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탭 임베디드 룩 어헤드 DFE(100)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200)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송신단(Tx; 201)과 수신단(Rx; 203) 사이에는 전송 채널(202)이 구비된다.
송신단(201)에서 수신단(203)으로 데이터를 송신 시, 전송 채널(202)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단(203) 내부에는 탭 임베디드 룩 어헤드 DFE(100)를 포함하며, 이는 X 번째 데이터의 추가 탭을 내장된 샘플러 회로에 피드백시킴으로써, 수신된 신호의 ISI의 미세한 제거 및 보상이 가능하여 신호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탭 임베디드 룩 어헤드 DFE(100)는 도 7에 도시된 탭 임베디드 룩 어헤드 DFE(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탭 임베디드 룩 어헤드 DFE(100)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21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10)는 스마트 폰(smart-phone), 테블릿(tablet) PC,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또는 MP4 플레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10)는 메모리 장치(211), 메모리 장치(211)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2), 모뎀(213), 안테나(214), 디스플레이 장치(215) 및 이미지 센서(216)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213)은 안테나(214)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예컨대, 모뎀(213)은 안테나(214)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2)에서 처리될 수 있는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예에 있어서, 모뎀(213)은 LTE(long term evolution) 송수신기, HSDPA/WCDM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송수신기,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송수신기일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2)는 모뎀(213)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15)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뎀(213)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2)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경하고 변경된 무선 신호를 안테나(214)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16)는 렌즈를 통하여 영상을 수신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이미지 센서(216)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를 영상 처리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탭 임베디드 룩 어헤드 DFE(100)를 포함한다. 탭 임베디드 룩 어헤드 DFE(100)는 수신된 신호의 ISI의 미세한 제거 및 보상이 가능하여 신호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탭 임베디드 룩 어헤드 DFE(100)는 도 7에 도시된 탭 임베디드 룩 어헤드 DFE(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DFE 샘플러, 특히 인터페이스 회로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제 1 경로 제어부
111: 제 1 샘플러
112: 제 1 래치 블록
113: 제 1 탭 블록
114: 제 1 가산기
120: 제 2 경로 제어부
121: 제 2 샘플러
122: 제 2 래치 블록
123: 제 2 탭 블록
124: 제 2 가산기

Claims (10)

  1. 제 1 기준 전압 및 입력 전압 간의 제 1 차이를 증폭하고, 제 2 기준 전압 및 상기 입력 전압 간의 제 2 차이를 증폭하고, 홀수 데이터를 사용하여 짝수 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차이 및 상기 제 2 차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1 경로 제어기; 및
    상기 제 1 기준 전압 및 상기 입력 전압 간의 제 3 차이를 증폭하고, 상기 제 2 기준 전압 및 상기 입력 전압 간의 제 4 차이를 증폭하고, 짝수 데이터를 사용하여 홀수 데이터로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 3 차이 및 상기 제 4 차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경로 제어기는 메인 클럭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고,
    상기 제 2 경로 제어기는 상기 메인 클럭 신호의 역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데이터 수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제어기 및 상기 제 2 경로 제어기 각각은:
    상기 제 1 기준 전압 및 상기 제 2 기준 전압 간의 차이를 수신하는 제 1 트랜지스터 쌍;
    상기 입력 전압의 차이를 수신하는 제 2 트랜지스터 쌍; 및
    상기 제 1 기준 전압 및 상기 제 2 기준 전압 간의 차이를 수신하는 제 3 트랜지스터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쌍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 쌍은 상기 제 2 기준 전압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서로 교번 동작하는 데이터 수신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제어기 및 상기 제 2 경로 제어기 각각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쌍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 쌍 각각의 비교 결과를 검출하는 증폭기; 및
    래치 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 및 복수의 인버터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유닛은 SR 래치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기.
  6.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에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채널을 포함하되,
    상기 수신기는:
    메인 클럭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 1 샘플러를 포함하는 제 1 경로 제어기; 및
    상기 메인 클럭 신호의 역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 2 샘플러를 포함하는 제 2 경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샘플러는 n번째 데이터의 n번째 기준 전압, 입력 신호 및 현재 데이터의 오프셋 전압을 결정하기 위한 제 1 기준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샘플러는 상기 n번째 기준 전압,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오프셋 전압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제 1 기준 전압을 수신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제어기는 짝수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경로 제어기는 홀수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1 샘플러의 출력을 래치하고 전달하는 제 1 래치 블록;
    피드백 신호로 상기 제 1 래치 블록의 출력을 수신하고, 각 데이터의 위치에 따른 계수를 포함하는 제 1 탭 블록; 및
    상기 제 1 탭 블록의 모든 출력을 합산하는 제 1 합산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로 제어기는:
    상기 제 2 샘플러의 출력을 래치하고 전달하는 제 2 래치 블록;
    피드백 신호로 상기 제 2 래치 블록의 출력을 수신하고, 각 데이터의 위치에 따른 계수를 포함하는 제 2 탭 블록; 및
    상기 제 2 탭 블록의 모든 출력을 합산하는 제 2 합산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샘플러는:
    상기 제 2 경로 제어기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고 선택되는 제 1 탭 임베디드 샘플러 및 제 2 탭 임베디드 샘플러; 및
    상기 제 1 탭 임베디드 샘플러의 출력 및 상기 제 2 탭 임베디드 샘플러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1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0150023584A 2015-02-16 2015-02-16 탭이 내장된 데이터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Active KR102222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584A KR102222449B1 (ko) 2015-02-16 2015-02-16 탭이 내장된 데이터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US14/979,784 US9787505B2 (en) 2015-02-16 2015-12-28 Tap embedded data receiver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584A KR102222449B1 (ko) 2015-02-16 2015-02-16 탭이 내장된 데이터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722A KR20160100722A (ko) 2016-08-24
KR102222449B1 true KR102222449B1 (ko) 2021-03-03

Family

ID=5662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584A Active KR102222449B1 (ko) 2015-02-16 2015-02-16 탭이 내장된 데이터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87505B2 (ko)
KR (1) KR102222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449B1 (ko) * 2015-02-16 2021-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탭이 내장된 데이터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529187B1 (ko) * 2016-03-31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통신 규격들을 지원하는 수신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US20170295039A1 (en) * 2016-04-11 2017-10-12 Fujitsu Limited Decision feedback equalizer
KR102558044B1 (ko) * 2016-06-14 2023-07-2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비교회로 및 반도체장치
KR102271075B1 (ko) * 2017-05-24 2021-07-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신호 수신 회로 및 보상기의 가중치 조절 방법
US10454723B1 (en) * 2018-07-12 2019-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cision feedback equalizer
TWI681651B (zh) * 2019-03-13 2020-01-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決策回授等化器
CN112217529B (zh) * 2019-07-09 2023-07-2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降低无线传输数字信号干扰的方法和装置
US11240073B2 (en) * 2019-10-31 2022-02-0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Adapative receiver with pre-cursor cancelation
TWI773966B (zh) * 2020-02-20 2022-08-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運作方法以及接收裝置
CN112422461B (zh) 2020-11-05 2022-04-19 硅谷数模(苏州)半导体有限公司 判决反馈均衡器以及数据的采集与校正方法
US11888656B2 (en) * 2021-06-11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qualizer, operating method of equalizer and system including equalizer
US11677593B1 (en) * 2022-05-24 2023-06-13 Cadence Design Systems, Inc. Sampler with built-in DFE and offset cancellation
US11770274B1 (en) * 2022-05-24 2023-09-26 Apple Inc. Receiver with half-rate sampler circuits
US12113651B2 (en) * 2022-07-18 2024-10-08 Cisco Technology, Inc. Transmitter equalization optimization for ethernet chip-to-module (C2M) compliance
CN117997684A (zh) * 2022-10-27 2024-05-07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数据接收电路以及半导体装置
KR102774854B1 (ko) * 2023-01-02 2025-02-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증폭 덧셈기를 구비하는 등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신기
TWI842371B (zh) * 2023-02-03 2024-05-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決策回授等化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7258A1 (en) * 2006-12-21 2010-04-2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comprising frequency selective circuit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0233B1 (en) * 1997-10-02 2002-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NTSC co-channel interference detectors responsive to received Q-channel signals in digital TV signal receivers
US6363112B1 (en) * 1998-12-07 2002-03-26 Agere Systems Guardian Corp. Parallel processing decision feedback equalizer
US7245638B2 (en) * 2000-07-21 2007-07-17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DSP-based receivers
US7106794B2 (en) * 2000-08-11 2006-09-12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uffman shaping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CN1461524A (zh) * 2001-02-12 2003-12-10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可调谐正交移相器
WO2003017563A2 (en) * 2001-08-16 2003-02-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ata and clock recovery circuit and an arrangement comprising a plurality of such circuits
KR100416617B1 (ko) * 2002-03-25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tDQSS 윈도우를 개선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방법 및데이터 입력버퍼
US6661271B1 (en) * 2002-05-30 2003-12-09 Lsi Logic Corporation Multi-phase edge rate control for SCSI LVD
US7292629B2 (en) * 2002-07-12 2007-11-06 Rambus Inc. Selectable-tap equalizer
EP1527515A1 (en) * 2002-08-01 2005-05-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hase detector with selection of differences between input signals
KR100460207B1 (ko) * 2002-10-16 2004-12-08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룩어헤드 디시젼 피드백 이퀄라이징 기법을 이용한 수신기
CN1711691B (zh) * 2002-11-05 2010-06-02 Nxp股份有限公司 具有均衡自动调节相位线路的锁相环
EP1561279A1 (en) * 2002-11-05 2005-08-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ll using unbalanced quadricorrelator
JP2006522540A (ja) * 2003-03-28 2006-09-2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多重送信用ラッチ付き線形位相検出器
EP1611583B1 (en) * 2003-03-28 2006-12-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ircuit for use in frequency or phase detector
WO2005022819A1 (en) * 2003-08-29 2005-03-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hase detector
US6882208B1 (en) * 2003-10-22 2005-04-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djustment of amplitude and DC offsets in a digital receiver
KR100615597B1 (ko) * 2004-05-27 200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입력회로 및 방법
JP4604627B2 (ja) * 2004-09-22 2011-01-05 ソニー株式会社 エンコーダ装置およびデコーダ装置
US7697603B1 (en) 2004-10-18 2010-04-13 Alter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equalization in high-speed backplane data communication
GB2422989A (en) * 2005-02-03 2006-08-09 Agilent Technologies Inc Correlating a received data signal with a time delayed version of the signal to obtain a measurement of inter-symbol interference
DE102005005326A1 (de) * 2005-02-04 2006-08-10 Infineon Technologies Ag Synchronisations- und Datenrückgewinnungseinrichtung
KR100674953B1 (ko) * 2005-02-05 2007-01-26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반도체 메모리의 등화 수신기
KR100614241B1 (ko) * 2005-02-07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형 등화기의 초기값 설정 방법 및 장치
US8223904B2 (en) * 2005-08-22 2012-07-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hypothesis decoding
US8064556B2 (en) * 2005-09-15 2011-11-22 Qualcomm Incorporated Fractionally-spaced equalizers for spread spectrum wireless communication
KR100782305B1 (ko) * 2006-01-09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3개의 전송선의 차동신호화에 의한 데이터 신호 송수신장치 및 송수신 방법
KR20080012655A (ko) * 2006-08-04 200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 검출 장치 및 방법, 위상 동기 루프 회로 및 그 제어방법과 신호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301698B1 (ko) * 2006-08-24 2013-08-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형 위상검출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클럭 데이터 복원회로
US7826549B1 (en) * 2006-11-02 2010-11-02 Sudhir Aggarwal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tter and system having the same
US20080186407A1 (en) * 2007-02-01 2008-08-07 Magenta Research Signal Equalizer for Balanced Transmission Line-Based Video Switching
US20080212666A1 (en) * 2007-03-01 2008-09-04 Nokia Corporation Interference rejection in radio receiver
WO2008142486A1 (en) * 2007-05-18 2008-11-27 Nokia Corporation Analogue-to-digital converter
US7822114B2 (en) * 2007-06-12 2010-10-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cision feedback equalizer using soft decisions
KR20090105630A (ko) * 2008-04-03 200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723588B2 (en) * 2009-11-11 2014-05-13 Nec Corporation Mixer circuit and variation suppressing method
US8675714B2 (en) * 2010-10-12 2014-03-18 Pericom Semiconductor Corporation Trace canceller with equalizer adjusted for trace length driving variable-gain amplifier with automatic gain control loop
US8619848B2 (en) * 2010-11-19 2013-12-31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o compensate inter-symbol interference
KR20120058716A (ko) * 2010-11-30 201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8837652B2 (en) * 2010-12-31 2014-09-16 Raytheon Company Receiver synchroniz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employing transmit diversity
US8588726B2 (en) * 2011-02-03 2013-11-19 Futurewei Technologies, Inc. Low noise mixer
US9105432B2 (en) * 2011-03-31 2015-08-11 Ictk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value
EP2611031B1 (en) * 2011-12-29 2016-09-28 ST-Ericsson SA Signal filtering
US8995594B2 (en) * 2012-08-22 2015-03-31 Intel Corporation Baseband cancellation of platform radio interference
US8958504B2 (en) * 2012-09-07 2015-02-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arrier recovery in amplitude and phase modulated systems
JP5776657B2 (ja) * 2012-09-18 2015-09-09 株式会社デンソー 受信回路
JP6032247B2 (ja) * 2013-10-09 2016-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歪み補償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US9385695B2 (en) * 2014-06-06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Offset calibration for low power and high performance receiver
KR102250062B1 (ko) * 2014-07-04 2021-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장치
US20160065394A1 (en) * 2014-08-26 2016-03-03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erializer/deserializer with independent equalization adaptation for reducing even/odd eye disparity
US9237041B1 (en) * 2015-01-21 2016-01-12 Xilinx, Inc. Data reception with feedback equalization for high and low data rates
KR102222449B1 (ko) * 2015-02-16 2021-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탭이 내장된 데이터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JP2016167781A (ja) * 2015-03-10 2016-09-1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US9379920B1 (en) * 2015-05-08 2016-06-28 Xilinx, Inc. Decision feedback equalization with precursor inter-symbol interference redu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7258A1 (en) * 2006-12-21 2010-04-2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comprising frequency selective circuit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722A (ko) 2016-08-24
US20160241421A1 (en) 2016-08-18
US9787505B2 (en)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449B1 (ko) 탭이 내장된 데이터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US9973357B2 (en) Decision feedback equalizer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CN107210982B (zh) 具有减少的决策反馈均衡器采样器的低功率高速接收器
JP6968697B2 (ja) 1ホット決定フィードバック等化器を備える高速受信機
US9236869B2 (en) Semiconductor device
US9215108B2 (en) Decision feedback equalizer
CN108259156B (zh) 用于时钟与数据恢复电路的相位调整电路
Shibasaki et al. A 56-Gb/s receiver front-end with a CTLE and 1-tap DFE in 20-nm CMOS
US9564863B1 (en) Circuits and methods for variable gain amplifiers
JP6697990B2 (ja) 半導体装置
JP5561282B2 (ja) 判定帰還型波形等化器
US9288087B2 (en) Data receiver circuit and method of adaptively controlling equaliz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ame
TW201545511A (zh) 傳輸單元、接收單元及通信系統
US9215105B2 (en) Equalizer and signal receiver thereof
US20150256360A1 (en) Adaptive pade filter and transceiver
US8634500B2 (en) Direct feedback equalization with dynamic referencing
US9722818B2 (en) Decision feedback equalizer summation circuit
US9455846B2 (en) Decision feedback equalization
US20220376958A1 (en) Adaptive non-speculative dfe with extended time constraint for pam-4 receiver
US9203352B1 (en) Techniques for noise reduction during calib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9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2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