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1721B1 - 필러 기립장치 - Google Patents

필러 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721B1
KR102221721B1 KR1020177010389A KR20177010389A KR102221721B1 KR 102221721 B1 KR102221721 B1 KR 102221721B1 KR 1020177010389 A KR1020177010389 A KR 1020177010389A KR 20177010389 A KR20177010389 A KR 20177010389A KR 102221721 B1 KR102221721 B1 KR 102221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filler
air
piston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731A (ko
Inventor
시게아키 노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3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7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29D2030/0044Handling tyre beads, e.g., storing, transporting, transferring and supplying to the toroidal support or to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2030/481Fillers or ape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2030/482Applying fillers or apexes to bead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Toy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필러 기립장치(30)는 비드 코어(60)와 필러(70)를 조립하기 위하여 필러(70)를 기립시키는 것에 사용되며, 필러(70)를 비드 코어(60)를 향하여 기립시키는 벌룬(50)과, 벌룬(50) 내로의 공기의 공급, 및 벌룬(50) 내의 공기의 흡인을 행하는 공기제어장치(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필러 기립장치{FILLER-RAISING DEVICE}
본 발명은 필러의 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필러와 비드 코어의 조립체인 비드 유닛을 조립하는 조립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조립장치는 비드 코어의 옆에서 쓰러진 상태의 필러를 기립시키는 필러의 조립장치를 사용하여 비드 유닛을 조립한다. 이 필러 조립장치는 쓰러진 상태의 필러의 저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벌룬에 공기를 공급하여 팽창시킴으로써 필러를 기립시킨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1990-62232호 공보
상기 필러 조립장치는 가압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벌룬을 팽창시킨다. 한편, 벌룬을 수축시킬 때에는 자연배기에 의해 벌룬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한다. 조립된 필러 및 비드 코어는 벌룬이 자연배기에 의해 수축할 때까지 다음 공정으로 이행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작업효율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러 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필러 조립장치는, 비드 코어와 필러와의 조립을 위하여 필러를 기립시키는 기립장치로서, 상기 필러를 상기 비드 코어를 행하여 기립시키는 벌룬, 상기 벌룬 내로의 공기의 공급 및 상기 벌룬 내의 공기를 흡인을 행하는 공기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공기제어장치가 벌룬 내 공기의 흡인을 행한다. 이 때문에, 벌룬을 자연배기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벌룬의 수축이 빠르다. 이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인 필러 기립장치는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필러 기립장치를 구비하는 비드 유닛 조립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성형 드럼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도 1의 3-3 선에 따른 공기제어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비드 유닛 조립장치를 사용한 비드 유닛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제1공정도.
도 5는, 비드 유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제2공정도.
도 6은, 비드 유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제3공정도.
도 7은, 비드 유닛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제4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드 유닛 조립장치(1)는, 성형 드럼(10), 성형 드럼(10)에 필러(70)(도 4 참조)를 권취하기 위한 누름장치(20), 및 필러(70)(도 4 참조)를 기립시키기 위한 필러 기립장치(30)를 구비한다.
성형 드럼(10)은 외주에 제1장착부(11) 및 제2장착부(12)를 구비한다. 제1장착부(11)는 성형 드럼(10)의 외주의 축방향의 일단에 형성되는 소직경부이다. 제2장착부(12)는 성형 드럼(10)의 외주에서 제1장착부(11)와 성형 드럼(10)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대직경부이다. 성형 드럼(10)은 제1장착부(11)를 축경 및 확경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장착부(12)의 외주에는 벌룬(50)이 배치된다. 성형 드럼(10)의 내부에는 벌룬(50)으로의 공기를 공급, 및 벌룬(50)으로부터 공기의 흡인을 행하기 위한 통로(13)가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장치(20)는 누름부재(21), 및 누름부재(21)를 이동시키는 구동부(22)를 구비한다. 구동부(22)는 누름부재(21)를 제2장착부(12)로부터 이격된 대기위치(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와, 제2장착부(12) 상에서 대기위치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누름위치(도 1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필러 기립장치(30)는 공기제어장치(40) 및 벌룬(50)을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제어장치(40)는 실린더 케이스(41), 실린더 케이스(41) 내의 공기를 벌룬(50)(도 2 참조)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피스톤(42), 피스톤(42)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인 에어 실린더(43), 피스톤(4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부(45)(도 1 참조), 및 실린더 케이스(41)와 통로(13)(도 2 참조)를 접속하는 튜브(46)를 구비한다.
피스톤(42)은 실린더 케이스(41) 내의 일부 공간을 저류구획(41A)으로서 구획한다. 에어 실린더(43)는, 에어 실린더(43)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는 로드(44)를 구비한다. 로드(44)의 선단은 피스톤(42)의 정상면에 설치된다.
피스톤(42)은 에어 실린더(43)의 구동에 따라 실린더 케이스(41)의 저류구획(41A)의 용적이 최대가 되는 위치(도 3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와 실린더 케이스(41)의 저류구획(41A)의 용적이 최소가 되는 위치(도 3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의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저류구획(41A)의 최대 용적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룬(50)이 최대로 팽창한 때의 벌룬(50)의 용적보다 크다.
가이드부(45)는 로드(44)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로드(45A), 및 실린더 케이스(41)의 정상부(41B)에 고정되는 가이드 통(45B)을 구비한다. 가이드 로드(45A)는 선단이 피스톤(42)의 정상면에 설치되고, 중간부분이 가이드 통(45B)에 삽입된다. 가이드 로드(45A)는 로드(44) 및 피스톤(42)와 함게 이동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가이드부(45)가 로드(44)의 주위에 배치되기 때문에, 피스톤(42)이 이동할 때에 피스톤(42)이 로드(44)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이 억제된다.
도 1, 및 도 4~도 7을 참조하여, 비드 코어(60)와 필러(70)를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드 유닛 조립장치(1)는 비드 코어(60)를 제1장착부(11)에 장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축경된 상태의 제1장착부(11)에 비드 코어(60)를 배치시킨 후, 제1장착부(11)를 확경시킴으로써 비드 코어(60)가 제1장착부(11)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도시하지 않은 필러 공급장치에 의해 필러(70)의 선단이 제2장착부(12)(도 1 참조) 상에 배치된다. 다음, 구동부(22)가 누름부재(21)를 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낸 대기위치로부터 도 1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누름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부재(21)가 필러(70)의 선단을 벌룬(50)으로 밀어붙인다. 이 상태에서, 성형 드럼(10)이 회전함으로써 필러(70)가 성형 드럼(10)의 외주에 권취된다. 성형 드럼(10)이 1회전할 때, 필러(70)의 선단으로부터 소정거리의 위치에서 도시하지 않은 절단장치에 의해 필러(70)가 절단된다. 절단된 필러(70)의 말단은 도시하지 않은 압착장치에 의해 공기제어장치(40)의 선단에 압착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정을 경과한 때, 필러(70)는 비드 코어(60)의 옆에서 쓰러진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제어장치(40)가 에어 실린더(43)를 구동함으로써, 피스톤(42)이 실린더 케이스(41) 내를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저류구획(41A) 내의 공기가 튜브(46) 및 통로(13)을 통하여 벌룬(50)에 공급된다. 이로써, 벌룬(50)이 팽창하고, 그 결과 필러(70)의 비드 코어(60) 측의 단부가 비드 코어(60) 상으로 올라가며 필러가 기립한다. 즉, 필러(70)는 비드 코어(60) 상에서 기립한다. 이로 인해, 비드 코어(60)와 필러(70)가 조립되어 비드 유닛(8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내 바와 같이, 공기제어장치(40)가 에어 실린더(43)를 구동함으로써, 피스톤(42)이 실린더 케이스(41) 내를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실린더 케이스(41)의 저류구획(41A)이 부압이 되기 때문에, 벌룬(50)으로부터 공기가 흡인되어 벌룬(50)이 수축한다. 이후, 조립된 비드 유닛(80)은 성형 드럼(10)으로부터 떨어져 다음 가공이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필러 기립장치(30)의 공기제어장치(40)는 벌룬(50) 내 공기의 흡인을 행한다. 이 때문에, 벌룬(50)을 자연배기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벌룬(50)의 수축이 빠르다. 이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2) 공기제어장치(40)는 벌룬(50) 내로 공기의 공급 및 벌룬(50) 내로부터 공기의 흡인을 1개의 에어 실린더(43)에 의해 행한다. 이 때문에, 벌룬(50)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벌룬(50) 내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장치를 별개로 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공기제어장치(40)의 구성이 간편해진다.
3) 전동펌프를 사용하여 벌룬(50)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경우, 벌룬(50) 내의 압력이 저하되면 공기의 흡인효율이 저하된다. 이에 반해, 공기제어장치(40)는 피스톤(42)에 의해 벌룬(50) 내의 공기를 흡인하기 때문에, 전동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공기의 흡인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저류구획(41A)과 벌룬(50)의 사이에 전동펌프를 구비하고, 전동펌프에 의해 벌룬(50)에 저류구획(41A)의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저류구획(41A) 내의 압력이 저하되면, 공기의 공급효율이 저하된다. 이에 반해, 공기제어장치(40)는 피스톤(42)에 의해 벌룬(50) 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전동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공기의 공급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5) 저류구획(41A)의 최대 용적은 최대로 팽창한 때의 벌룬(50)의 용적보다 크다. 이 때문에, 저류구획(41A) 내의 공기만을 사용하여 벌룬(50)을 최대까지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ㆍ 벌룬(50)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벌룬(50) 내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제어장치를 공기제어장치(40)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장치는, 예를 들면 전동펌프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흡인장치는 공급장치와는 다른 전동펌프를 채용할 수 있다.
ㆍ 공기제어장치(40)는 피스톤(42)을 실린더 케이스(41) 내에서 회전시키는 로터리형의 에어실린더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ㆍ 피스톤(42)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로서 전동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동모터와 로드(44)의 사이에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 예를 들면 볼 나사가 구비된다.
30: 필러 기립장치
40: 공기제어장치
41: 실린더 케이스
42: 피스톤
43: 에어 실린더(액츄에이터)
50: 벌룬
60: 비드 코어
70: 필러

Claims (3)

  1. 비드 코어와 필러를 조립하기 위하여 필러를 기립시키는 필러 기립장치로서,
    상기 필러를 상기 비드 코어를 향하여 기립시키는 벌룬; 및
    상기 벌룬 내로의 공기의 공급, 및 상기 벌룬 내의 공기의 흡인을 행하는 공기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제어장치는, 실린더 케이스, 상기 실린더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 케이스 내에 공기의 저류구획을 형성하고,
    상기 저류구획의 용적은, 상기 피스톤이 이동함으로써 변화하며,
    상기 저류구획의 최대 용적은, 상기 벌룬이 최대로 팽창한 때의 상기 벌룬의 용적보다 큰,
    필러 기립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7010389A 2014-10-03 2014-10-03 필러 기립장치 Active KR102221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6555 WO2016051590A1 (ja) 2014-10-03 2014-10-03 フィラーの起立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731A KR20170063731A (ko) 2017-06-08
KR102221721B1 true KR102221721B1 (ko) 2021-03-02

Family

ID=5562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389A Active KR102221721B1 (ko) 2014-10-03 2014-10-03 필러 기립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42148B2 (ko)
JP (1) JPWO2016051590A1 (ko)
KR (1) KR102221721B1 (ko)
CN (1) CN106715105A (ko)
DE (1) DE112014007025B4 (ko)
PH (1) PH12017500521A1 (ko)
RU (1) RU2672736C2 (ko)
WO (1) WO20160515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11161A (fr) * 1961-06-15 1962-12-07 Dunlop Sa Procédé et appareil pour poser des bandes de tissus ou matières analogues autour de tringles pour enveloppes de bandages pneumatiques
FR1510912A (fr) * 1966-11-15 1968-01-26 Tambour de galbage pour la confection d'enveloppes de pneumatiques
US3560301A (en) * 1967-05-29 1971-02-02 Nrm Corp Tire building machine
US4087298A (en) 1976-07-01 1978-05-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ead core-apex assembly
US4163683A (en) * 1977-12-27 1979-08-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Forming a tire bead assembly
US4214939A (en) * 1978-03-15 1980-07-29 Nrm Corporation Tire building machine
US4243451A (en) * 1979-02-21 1981-01-0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Building and shaping a tire
SU885603A1 (ru) * 1979-09-07 1981-11-30 Ом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Поршневой компрессор
JPS601981U (ja) * 1983-06-17 1985-01-09 日立工機株式会社 真空圧縮兼用ポンプ切換装置
JPH0262232A (ja) 1988-08-29 1990-03-02 Toyo Tire & Rubber Co Ltd 自動車タイヤのビード部複合構造体の組立方法、その組立装置およびビードフィラー貼合せ装置
JPH075724U (ja) * 1993-06-30 1995-01-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成型機
JP2635505B2 (ja) * 1993-09-24 1997-07-3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エラストマー物品の加硫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加硫装置
JP3223042B2 (ja) 1994-06-23 2001-10-29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コードレスハンドピース及び根管長測定機能付き歯科治療装置
JP2001096640A (ja) * 1999-09-30 2001-04-10 Bridgestone Corp ビードフィラー・ビード製造方法
IT1320456B1 (it) * 2000-06-27 2003-11-26 Bridgestone Firestone Tech Tamburo per la formatura di pneumatici.
US6955531B2 (en) * 2003-03-24 2005-10-18 Scott Wu Pump for inflating and deflating an inflatable object with a rotatable nozzle assembly
DE10344587A1 (de) 2003-09-25 2005-04-2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und/oder Regelung eines Druckniveaus
US9630369B2 (en) * 2007-02-15 2017-04-25 Pirelli Tyre S.P.A.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yres
EP2288490B1 (en) * 2008-05-28 2013-01-16 Pirelli Tyre S.P.A. Process and apparatus for building ty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7025T5 (de) 2017-07-20
CN106715105A (zh) 2017-05-24
JPWO2016051590A1 (ja) 2017-07-20
DE112014007025B4 (de) 2023-06-01
WO2016051590A1 (ja) 2016-04-07
US10442148B2 (en) 2019-10-15
PH12017500521B1 (en) 2017-08-07
KR20170063731A (ko) 2017-06-08
RU2017114658A (ru) 2018-11-06
RU2017114658A3 (ko) 2018-11-06
PH12017500521A1 (en) 2017-08-07
RU2672736C2 (ru) 2018-11-19
US20170291378A1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508617A (ja) 異形曲面カバープレートとフレキシブルスクリーンとの貼合装置及び貼合方法
EP3315260B1 (en) Nailing machine
CN110900589B (zh) 一种基于内外芯颗粒阻塞变刚度的蛇形臂机器人
CN103732357A (zh) 紧固工具
EP2719896A3 (en)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619765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KR102221721B1 (ko) 필러 기립장치
JP5361477B2 (ja) 軸受け装置、軸受け装置の製造システム、並びに軸受け装置の製造方法
KR20170128695A (ko) 고무 호스 절단장치
JP2016050526A (ja) 空気圧縮機
KR20150090228A (ko) 공기압축기 구조
CN208950817U (zh) 一种新型空压机
CN215282127U (zh) 一种橡胶圈环切设备
JP5161678B2 (ja) 剥離装置
CN105437581A (zh) 轮胎反包装置
KR101603417B1 (ko) 공기 구획부를 구비한 공기 조형물
CN109162900A (zh) 一种新型空压机
JP6294462B2 (ja) ビードユニット組立て装置
JP6261322B2 (ja) エア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CN107826751A (zh) 接线盒贴片生产中的导电片移动装置
CN206932134U (zh) 分度定位机构
JP6390318B2 (ja) 空気圧縮機
CN104100490A (zh) 一种单活塞式空气压缩机
CN104847622A (zh) 气泵
CN205771909U (zh) 隔层纸入盒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9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