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15156B1 - 업무 지원 시스템 및 업무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업무 지원 시스템 및 업무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156B1
KR102215156B1 KR1020180163238A KR20180163238A KR102215156B1 KR 102215156 B1 KR102215156 B1 KR 102215156B1 KR 1020180163238 A KR1020180163238 A KR 1020180163238A KR 20180163238 A KR20180163238 A KR 20180163238A KR 102215156 B1 KR102215156 B1 KR 102215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ask
vehicle
information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522A (ko
Inventor
다카히로 무타
에이스케 안도
다카오 히시카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079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1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2Dispatching vehicles on the basis of a location, e.g. taxi dispatch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차량 (100) 에 탑재되는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사용한 사용자의 업무 수행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업무 지원 시스템은, 식별 정보와 잔존 업무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서버를 갖고, 서버는, 사용자에게 관련지어 설정된 소정의 목적지에 차량 (100) 이 도달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사용자가 차량 (100) 에 승차한 경우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에게 관련지어진 잔존 업무 정보를 취득하고, 잔존 업무 정보에 포함되는 잔존 업무 중에서, 소요 시간 내에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통해서 완료하는 것이 예측되는 소정 업무를 추출하고,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소정 장치에 대하여 추출된 소정 업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업무 지원 시스템 및 업무 지원 방법{TASK SUPPORT SYSTEM AND TASK SUPPORT METHOD}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를 갖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한 사용자의 업무 수행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거나, 짐을 원하는 배송지에 운반하거나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 차량 내의 공간을, 사용자가 소정의 작업을 실시하는 공간으로서 이용하는 형태도 생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83334 는, 사무용 비품을 사용 가능하게 차내에 배치하고 복수의 차량을 연결시켜 구성된 이동식 오피스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차량은, 차량의 접속을 목적으로 한 접속차와 연결됨으로서, 상기 접속차를 통해서 차량간의 왕래가 가능해지고, 필요에 따른 넓이의 오피스 공간이 제공된다. 나아가서는, 접속차에 대하여, 발전 장치, 공조 장치, 욕실, 변소, 부엌용 비품 중 적어도 1 개를 배치하는 차량이 접속됨으로써, 오피스의 거주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83334 의 이동식 오피스는, 소정의 장소에 복수의 차량이나 접속차가 모이고 거기서 서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업무를 소정의 장소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오피스나, 출장시 등에 잠정적으로 사용하는 오피스 등) 에서 수행한다. 만일, 사용자의 업무를 수행하는 장소가, 특정한 장소로 정해져 있지 않고 변동하는 경우이더라도, 사용자의 업무 수행을 위해서는 어떤 장소가 필요해진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업무를 소정의 장소에서 실시하면서도, 상기 소정의 장소로부터 차량으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장소 이외에서의 다른 사람과의 미팅을 실시할 때나, 소정의 장소 등으로부터 자택으로 귀가할 때 등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량에 의한 이동을 수반하는 경우, 상기 서술한 이동 시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차량 내에서 업무를 수행하고자 해도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 이동을 실시하는 차량의 내부 공간은 통상적인 업무를 실시하고 있는 공간과는 달라, 똑같이 업무를 수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현재는, 사용자의 업무 수행의 관점에서, 차량에 의한 이동시에 상기 서술한 이동 시간이 유효하게 이용되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에 의한 이동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상기 서술한 이동 시간을 상기 사용자의 업무 수행에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업무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차량으로 이동할 때에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 내에 수행 가능한, 상기 사용자의 잔존 업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안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시간적으로 제한이 있는 차량에서의 이동 중이더라도, 사용자는 끝내는 것이 가능한 사용자의 잔존 업무를 파악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차량에 탑재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한 사용자의 업무 수행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업무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업무 지원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잔존 업무에 관한 잔존 업무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서버를 갖는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관련지어 설정된 소정의 목적지에 상기 차량이 도달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승차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관련지어진 상기 잔존 업무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잔존 업무 정보에 포함되는 잔존 업무 중에서, 상기 소요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완료하는 것이 예측되는 소정 업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소정 장치에 대하여 상기 추출된 소정 업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업무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가 차량에 구비된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의한 이동 중에 사용자의 업무를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업무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차량에 승차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것이 예정되어 있으면 되고, 차량측의 구조물에 고정되어 배치되어도 되고, 차량 내부에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는, 사용자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인터페이스 장치도 포함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업무」 란, 사용자가 회사 등의 직장에서 수행이 요구되고 있는 일 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 사용자가 수행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는 사항이나, 사용자가 타인으로부터 수행하는 것을 의뢰, 요구 등 받고 있는 사항 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상기 업무에 관해서는, 사용자가 수행하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 사항이며, 수행하는 이유나 배경 등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여기서, 상기 업무 지원 시스템에서는, 서버에 의해 소요 시간이 산출된다. 상기 소요 시간은, 사용자에게 관련지어 설정된 소정의 목적지에, 사용자가 승차한 차량이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다.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목적지」 는, 차량 내에서 업무의 수행을 예정하고 있는 사용자가 차량을 내려 업무를 그 이상 차량 내에서 수행할 수 없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장소이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도중에 하나 또는 복수의 경유지를 거쳐 최종의 목적지로 차량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경유지에서 일시적으로 차량을 내렸다고 해도 실질적으로 최종의 목적지까지 연속해서 차량에 승차하는 경우에는, 상기 최종의 목적지가 소정의 목적지일 수 있다. 한편, 경유지라고 해도, 그곳에서 하차하는 시간이 비교적 길고 업무 수행의 연속성이 저해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유지 자체도 소정의 목적지일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소요 시간의 산출을 위해서, 차량으로부터 소정의 목적지까지의 거리나, 그곳까지 차량이 주행하는 루트에 있어서의 교통 상황 (정체의 유무나, 평균 주행 속도 등) 에 관한 정보를 이용해도 된다.
또, 서버는,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차량에 승차하는 사용자에 관하여, 상기 사용자가 차량에 승차한 경우에 완료하고 있지 않은 잔존 업무에 관한 정보 (이하, 간단히 「잔존 업무 정보」 라고 칭한다) 를 취득한다. 여기서 말하는 잔존 업무는, 사용자가 차량에 승차했을 때에는 아직 완료되어 있지 않은 업무이며, 사용자로서는 완료해야 할 업무를 가리킨다.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본 발명의 업무 지원 시스템이, 업무 지원 시스템의 구성 요건으로서 반드시 내포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어떠한 목적으로 업무 지원 시스템의 내외에 적절히 구축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업무 지원 시스템과는 다른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가 사용자의 업무 진척 등을 관리하기 위해서 상기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구축되어도 되고, 그 경우, 서버는, 업무 지원 시스템의 외부에 구축된 상기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잔존 업무 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그리고, 서버는, 상기 취득한 잔존 업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한 소요 시간 내에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완료 가능한 잔존 업무를 소정 업무로서 추출한다. 즉, 서버는, 사용자가 차량으로 소정의 목적지로 이동할 때까지, 그 이동 중의 차량 내에서 완료 가능한 잔존 업무를 추출한다. 상기 추출을 위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잔존 업무 정보에는, 잔존 업무의 완료에 상정되는 처리 시간이나 부하량, 차량에 구비된 정보 처리 장치의 이용 가부 등, 잔존 업무에 관한 여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과거에 완료해 온 업무 내용의 이력에 기초하여, 잔존 업무의 완료에 필요로 하는 처리 시간 등을 적합하게 산출해 두고, 상기 서술한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업무의 추출을 실시해도 된다. 또한, 추출되는 소정 업무는, 1 개여도 되고 복수여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소정 업무는,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소정 장치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해, 사용자는, 차량에서의 한정된 이동 시간 (소요 시간) 에 소정 업무로 여겨진 잔존 업무를, 높은 확률로 완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업무 수행이 중단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잔존 업무의 수행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업무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소정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시된 소정 업무를 받아들이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얻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 업무를 받아들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상기 소정 업무에 필요한 업무 정보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가하는 업무 가능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서버에 의해 업무 가능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가 차량에 승차하면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소정 업무의 수행에 착수할 수 있다. 상기 서술은, 한정된 차량에서의 이동 시간 (소요 시간) 의 효율적인 이용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업무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는 상이한 장치이고 또한 상기 차량 이외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소정 장치에 대하여 상기 소정 업무 제안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소정 장치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 업무를 받아들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승차할 때까지 상기 업무 가능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차량에 승차 전의 사용자에 대하여 소정 업무에 관한 제안을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자가 상기 제안을 받아들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차량에 승차할 때까지 업무 가능 상태가 되도록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의 소정 업무에 대한 수행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업무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소정 장치로서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소정 업무 제안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 업무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상기 업무 가능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차량에 승차한 사용자는, 차량에 구비된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제안의 수락 및 소정 업무의 수행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업무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잔존 업무 정보는, 상기 잔존 업무를 복수의 서브 업무로 분할했을 때의 상기 서브 업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서버는, 상기 분할된 상기 서브 업무 중에서, 상기 소요 시간 내에 사용자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완료하는 것이 예측되는 상기 서브 업무를 상기 소정 업무로서 추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소정 장치에 대하여, 상기 1 개의 서브 업무를 포함하는 상기 잔존 업무를, 상기 소정 업무로서 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서브 업무는, 예를 들어, 잔존 업무가 잔존 업무의 수행의 시간적인 흐름을 따라 분할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분할된 잔존 업무의 각각의 요소에 상당한다. 잔존 업무의 서브 업무로의 분할에 관해서는, 업무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해도 지장이 없는 등의, 사용자의 입장에서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잔존 업무를 서브 업무로 분할한 다음에 서버에 의한 제안이 실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차량에서의 한정된 이동 시간 (소요 시간) 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의 업무 수행을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업무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잔존 업무 정보는, 상기 잔존 업무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소요 시간 내에 사용자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완료하는 것이 예측되는 상기 잔존 업무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잔존 업무에 관한 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업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있어 우선도가 높은 처리를, 차량에서의 한정된 이동 시간 (소요 시간) 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업무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이 상기 소정의 목적지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소정 업무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소정 업무에 관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내에서 형성되어 있는 업무 상황에 관련된 소정 정보를 기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소정 정보는, 상기 소정의 목적지에 관련지어지고 또한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 내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내에서 형성되어 있는 업무 상황과 동일한 상황을 재현하도록 정해진 정보여도 된다.
소정 업무를 사용자가 받아들이고, 상기 소정 업무의 수행을 진행한 경우에도, 어떠한 이유로 (예를 들어, 산출된 소요 시간보다 빨리 차량이 소정의 목적지에 도착했거나, 사용자의 업무 수행 속도가 느렸던 등의 이유로), 차량이 소정의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소정 업무를 완료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정보 유지부가, 차량이 소정의 목적지 혹은 목적지의 근방에 도달한 시점에 있어서의 상기 업무 상황, 즉 「소정 업무에 관한 미완료의 상황」 에 관련된 소정 정보를 유지한다. 상기 소정 정보란, 차량에 구비된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전제로 했을 때에, 상기 소정 업무의 정보 처리 장치 내에서의 처리 진척에 관련된 정보이다. 따라서, 정보 유지부가 상기 소정 정보를 유지함으로써, 소정의 목적지에 도달하고 차량을 내린 사용자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상기 유지되고 있는 소정 정보에 액세스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미완료의 상황에 놓여져 있는 소정 업무의 업무 상황을 재차 형성하고, 상기 소정 업무를 계속해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업무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서버와 접속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목적지로의 이동 지령에 따라서 사용자가 조종하는 일 없이 상기 소정의 목적지를 향하여 자율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자율 이동 차량이어도 된다. 사용자가 자율 이동 차량으로 이동하는 경우, 만일 사용자가 단독으로 차량에 승차해도, 사용자가 차량을 조종할 필요가 없어져, 상기 이동 시간을 사용자의 업무 수행에 소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서술한 서버에 의한 소정 업무의 제안 처리는 보다 유용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업무 지원 시스템은, 1 또는 복수의, 컴퓨터 등의 처리 장치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업무 지원 시스템이 복수의 처리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업무 지원 시스템의 각 구성은 복수의 처리 장치에 분산하여 구비되고, 각각의 처리 장치가 협동하여 업무 지원 시스템으로서의 처리를 실현한다. 또,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업무 지원 시스템은, 상기 차량에 형성되어도 되고, 또는 상기 차량의 밖에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서버를 사용하여, 차량에 탑재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한 사용자의 업무 수행을 지원하는 업무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업무 지원 방법은,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있어서 완료해야 할 잔존 업무에 관한 잔존 업무 정보를 관련지어 상기 서버의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기억하는 것과,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관련지어 설정된 소정의 목적지에 상기 차량이 도달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것과,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차량에 승차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관련지어진 상기 잔존 업무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관련지어진 상기 잔존 업무 정보에 포함되는 잔존 업무 중에서, 상기 소요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완료하는 것이 예측되는 소정 업무를 추출하는 것과,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소정 장치에 대하여 상기 추출된 소정 업무를 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술까지의 업무 지원 시스템에 관해서 개시된 기술적 사상은, 기술적인 차질이 발생하는 않는 범위에서 상기 업무 지원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업무 지원 방법은, 또한,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소정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시된 상기 소정 업무를 받아들이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얻는 것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 업무를 받아들인 경우에,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상기 소정 업무에 필요한 업무 정보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가하는 업무 가능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차량에 의한 이동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상기 서술한 이동 시간을 상기 사용자의 업무 수행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및 산업적 중요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며, 첨부된 도면에서 유사 부호는 유사 요소를 나타내며, 그리고 여기서:
도 1 은, 본 발명의 업무 지원 시스템이 적용되는 이동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 센터 서버, 업무 관리 서버, 차량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센터 서버에 기억되는 차량 관리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4 는, 이동체 시스템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이다.
도 5 는, 차량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주행할 때의 주행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는, 업무 관리 서버에 기억되는 업무 관리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6b 는, 업무 관리 서버에 기억되는 서브 업무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7 은, 센터 서버로 실행되는 업무 지원 제어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8 은, 도 7 의 업무 지원 제어를 했을 때의, 사용자 단말, 센터 서버, 업무 관리 서버, 차량간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이다.
도 9 는, 센터 서버로 실행되는, 다른 업무 지원 제어의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은, 특별히 기재가 없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서술한 것에만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시스템 개요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업무 지원 시스템이 적용되는 이동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먼저, 이동체 시스템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이동체 시스템은, 부여된 지령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을 실시하는 복수의 자율 주행 차량 (이하, 간단히 「차량」 이라고 칭한다.) (100) 과, 상기 지령을 발행하는 센터 서버 (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업무 관리 서버 (500) 와, 상기 업무 관리 서버 (500) 에 대하여 오피스 내에서 접속되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50) 에 대해서는, 주로 업무 지원 시스템에 관련된 구성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차량 (100) 은,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 운전 차량이며, 센터 서버 (400) 는, 복수의 차량 (100) 을 관리하는 장치이다. 또한, 이동체 시스템에는 복수 대의 차량 (100) 이 포함된다. 업무 관리 서버 (500) 는, 하나의 오피스 내에서, 오피스 내에 소속된 사원 (이하, 간단히 「사용자」 라고 칭한다) 의 업무를 관리하는 장치이지만, 상기 사용자가 차량 (100) 을 업무 등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인의 사용자 단말 (50) 로부터 업무 관리 서버 (500) 를 통해서 센터 서버 (400) 에 대한 액세스가 실시된다. 또한, 도 1 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자택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차량 (100) 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목적지가 된다.) 에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60) 도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사용자 단말 (60) 은 이동체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 아니라, 제 1 실시형태의 업무 지원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차량 (100) 은, 개체마다 갖는 기능을 변경할 수 있는 다목적 이동체이며, 도로 상을 자율 주행하는 차량이다. 이동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차량 (100) 은, 사용자의 의뢰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소정의 목적지에 이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경우, 소정의 목적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지만, 목적지에 이를 때까지의 루트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지정해도 되고, 다른 방법으로서 이동체 시스템측에서 적절히 결정해도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업무 지원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 (100) 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 (150) 가 탑재되어 있을 필요가 있고, 상기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한에 있어서는 차량 (100) 의 다른 구성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차량 (100) 은, 반드시 무인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차량 (100) 에 승차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원이나 보안 요원 등이 승차하고 있어도 된다. 차량 (100) 은, 반드시 항상 자율 주행을 실시하는 차량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운전 내지 운전의 보조를 실시하는 차량이어도 된다.
도 1 의 예에서는, 이동체 시스템에서는, 센터 서버 (400), 차량 (100), 업무 관리 서버 (500) 가, 네트워크 (N1) 에 의해 상호 접속된다. 또한, 네트워크 (N1) 는, 예를 들어, 인터넷 등의 세계 규모의 공중 통신망이며 WAN (Wide Area Network) 이나 그 밖의 통신망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 네트워크 (N1) 는, 휴대 전화 등의 전화 통신망, WiFi 등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50) 은, 오피스 내에 구축된 인트라넷에 의해 업무 관리 서버 (500) 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인트라넷에도 휴대 전화 등의 전화 통신망, WiFi 등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해도 된다.
센터 서버 (400) 는, 이동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차량 (100) 의 이용 의뢰가 있었을 때에, 차량 (100) 에 대하여 운행을 지령하는 장치이다. 사용자로부터의 이용 의뢰를 받아, 사용자를 태우러 향하는 지점 (출발지) 및 사용자의 이동 목적지를 취득한다. 그 후, 사용자의 소재지 부근을 주행 중의 차량 (100) 중에서 한 대의 차량 (100) 을 선택하고, 한 대의 차량 (100) 에 대하여 「출발지 (태우는 지점) 에서 목적지까지 사용자를 수송하는」 취지의 운행 지령을 송신한다. 이에 따라, 차량 (100) 에 대하여, 소정의 경로를 따른 주행을 시킬 수 있다. 또한, 운행 지령에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잇는 주행을 지령하는 것 외에,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의사에 관계없이 소정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차량 (100) 에 대하여 실시되는 지령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센터 서버 (400) 는, 제 1 실시형태의 업무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100) 을 이용하여 소정의 목적지로 이동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업무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 장치이기도 하다. 이 경우, 센터 서버 (400) 는, 업무 관리 서버 (500) 로부터 사용자의 업무에 관련된 정보 (후술하는 「잔존 업무 정보」 에 상당하는 정보) 를 취득한 다음에, 사용자가 이동 중의 차량 (100) 내에서 사용자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소정의 처리는, 차량 (100) 에 대한 운행 지령의 송신 처리와는 독립적으로 실시되는 처리이지만, 차량 (100) 이 자율 운전에 의해 목적지로 이동하는 것을 고려한, 사용자에 대한 업무 지원을 위한 처리이다.
또, 업무 관리 서버 (500) 는, 본래적으로는, 하나의 오피스에 소속해 있는 사용자의 개개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의 관리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업무 관리 서버 (500) 는, 사용자의 업무 관리를 위해서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고, 업무 관리 서버 (500) 에서는, 각 사용자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 내용, 업무의 진척 등이 관리되고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50) 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업무를 수행함과 함께, 사용자가 업무의 진척을 상기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업무 수행의 과정에 있어서 상사로부터 상기 업무의 진척에 관한 결재 등을 단말 상에서 받은 경우에는, 상기 결재의 타이밍 등에서 자동적으로 상기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업무의 진척이 자동적으로 입력되거나 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업무 관리 서버 (500) 는, 본래적으로는, 하나의 오피스 내에서의 각 사용자의 업무 관리를 실시하기 위한 것이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센터 서버 (400) 가 사용자의 업무 수행을 지원할 때에, 업무 관리 서버 (500) 내에 기억되어 있는 필요한 정보를 센터 서버 (400) 에 제공하기 위해서, 센터 서버 (400) 와 협동한다.
시스템 구성
도 2 는, 이동체 시스템과 업무 지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터 서버 (400), 차량 (100), 업무 관리 서버 (500), 사용자 단말 (50 및 60) 의 각각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 에 기초하여, 센터 서버 (400), 차량 (100), 업무 관리 서버 (500), 사용자 단말 (50 및 60) 의 하드웨어 구성 및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 (100) 은, 센터 서버 (400) 로부터 취득한 운행 지령에 따라서 주행하는 차량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취득한 운행 지령에 기초하여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차량의 주위를 센싱 하면서 자율 주행으로서 적절한 방법으로 도로 상을 주행한다. 차량 (100) 은, 센서 (101), 위치 정보 취득부 (102), 제어부 (103), 구동부 (104), 통신부 (105),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 (100) 은, 배터리 (도시하지 않음) 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동작한다.
센서 (101) 는, 차량 (100) 의 자율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차량 (100) 의 주위의 센싱을 실시하는 수단이며, 전형적으로는 스테레오 카메라, 레이저 스캐너,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 레이더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 (101) 가 취득한 정보는, 제어부 (103) 에 송신되고, 차량 (100) 의 주위에 존재하는 장애물이나 주행 레인의 인식 등을 위해서 제어부 (103) 에 의해 이용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101) 는, 감시를 실시하기 위한 가시광 카메라를 포함한다. 또, 위치 정보 취득부 (102) 는, 차량 (100) 의 현재 위치를 취득하는 수단이며, 전형적으로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 정보 취득부 (102) 가 취득한 정보도 제어부 (103) 에 송신되고, 예를 들어, 차량 (100) 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차량 (100) 이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루트의 산출이나, 상기 목적지로의 도달에 필요로 하는 소요 시간의 산출 등의 소정 처리에 이용된다.
제어부 (103) 는, 센서 (101) 나 위치 정보 취득부 (102) 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100) 의 제어를 실시하는 컴퓨터이다. 제어부 (103) 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기억 수단 (ROM (Read Only Memory) 등이며 도시하지 않음) 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실행시킴으로써 상기한 각종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기능이 실현된다. 상기 각종 처리의 구체예로서, 제어부 (103) 는, 운행 계획 생성부 (1031), 환경 검출부 (1032), 주행 제어부 (1033) 의 기능 모듈을 가지고 있다.
운행 계획 생성부 (1031) 는, 센터 서버 (400) 로부터 운행 지령을 취득하고, 자차량의 운행 계획을 생성한다. 상기 운행 지령에는, 차량 (100) 에 부여되는 출발지 및 목적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운행 계획 생성부 (1031) 는, 센터 서버 (400) 로부터 부여된 목적지와, 위치 정보 취득부 (102) 에 의해 얻어진 자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 (100) 이 진행되어야 할 루트를 산출하고, 상기의 운행 계획을 생성한다. 운행 계획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산출된 차량 (100) 이 주행하는 경로에 관한 데이터와, 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차량 (100) 이 실시해야 할 처리를 규정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운행 계획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예로서, 예를 들어, 이하의 (1), (2) 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1) 자차량이 주행하는 경로를 도로 링크의 집합에 의해 나타낸 데이터 자차량이 주행하는 경로는, 예를 들어, 기억된 지도 데이터를 참조하여, 부여된 출발지와 목적지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생성해도 된다. 또한, 자차량이 주행하는 루트 산출은, 차량 (100) 내가 아니고,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센터 서버 (400)) 의 처리에 의지해도 된다. 이 경우, 센터 서버 (400) 는, 차량 (100) 으로부터 상기 서술한 자차량 위치를 취득하고, 상기 차량 (100) 이 진행되어야 할 경로를 산출함과 함께, 상기 산출한 경로 데이터를, 상기의 운행 지령에 포함시켜도 되고, 또는 따로 따로 차량 (100) 에 송신해도 된다. (2) 경로상의 지점에 있어서 자차량이 실시해야 할 처리를 나타낸 데이터 자차량이 실시해야 할 처리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를 승강시킨다」, 「잠시 들른다」 라고 한 것이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운행 계획 생성부 (1031) 가 생성한 운행 계획은, 후술하는 주행 제어부 (1033) 로 송신된다.
환경 검출부 (1032) 는, 센서 (101) 가 취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에 필요한 차량 (100) 의 주위의 환경을 검출한다. 검출의 대상은, 예를 들어, 차선의 수나 위치, 자차량의 주위에 존재하는 차량의 수나 위치, 자차량의 주위에 존재하는 장애물 (예를 들어, 보행자, 자전거, 구조물, 건축물 등) 의 수나 위치, 도로의 구조, 도로 표지 등이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율적인 주행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면, 검출의 대상은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센서 (101) 가 스테레오 카메라인 경우에는,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함으로써 차량 (100) 주위의 물체 검출이 실시된다. 또, 환경 검출부 (1032) 는, 단순히 차량 (100) 주위의 물체를 검출할 뿐만 아니라, 검출한 물체를 트래킹 (검출한 대상물을 계속 검출하는 것) 해도 된다. 예를 들어, 1 스텝 전에 검출한 물체의 좌표와, 현재의 물체의 좌표의 차분으로부터, 상기 물체의 상대 속도를 구할 수 있다. 환경 검출부 (1032) 가 검출한, 차량 (100) 의 주위 환경에 관한 데이터 (이하, 간단히 「환경 데이터」 라고 칭한다) 는, 후술하는 주행 제어부 (1033) 로 송신된다.
주행 제어부 (1033) 는, 운행 계획 생성부 (1031) 가 생성한 운행 계획과, 환경 검출부 (1032) 가 생성한 환경 데이터, 그리고, 위치 정보 취득부 (102) 가 취득한 자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자차량의 자율적인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지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주행 제어부 (1033) 는, 소정의 경로를 따라 주행하고, 또한, 자차량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안전 영역 내에 장애물이 진입하지 않도록 자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해서 제어 지령을 생성한다. 생성된 제어 지령은, 후술하는 구동부 (104) 로 송신된다. 차량을 자율 주행시키기 위한 제어 지령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동부 (104) 는, 주행 제어부 (1033) 가 생성한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차량 (100) 을 주행시키는 수단이다. 구동부 (104) 는, 예를 들어, 차륜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나 인버터, 브레이크, 스티어링 기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 지령에 따라서 모터나 브레이크 등이 구동됨으로써, 차량 (100) 의 자율 주행이 실현된다. 또, 통신부 (105) 는, 차량 (100) 을 네트워크 (N1) 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부 (105) 는, 3G (3rd Generation) 나 LTE (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N1) 경유로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센터 서버 (400)) 와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100) 에는 정보 처리 장치 (150) 가 구비되어 있다. 정보 처리 장치 (150) 는, 차량 (100) 에 승차한 사용자가, 업무를 수행 가능할 정도로 소정의 기능을 갖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처리 장치 본체로서의 PC (퍼스널 컴퓨터), 출력 장치로서의 디스플레이나 프린터, 입력 장치로서의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정보 처리 장치 (150) 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를 겸하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 (150)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업무 수행에 이바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량 (100) 의 자율 주행에는 원칙으로는 관여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 (150) 는, 원칙으로서 제어부 (103) 에 대해서는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단, 정보 처리 장치 (150) 는 통신부 (105) 를 통해서 센터 서버 (400) 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고, 사용자의 업무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가, 정보 처리 장치 (150) 와 센터 서버 (400) 의 사이에서 수수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센터 서버 (400) 에 대해서 설명한다. 센터 서버 (400) 는, 복수의 차량 (100) 의 자율 주행을 관리하고, 운행 지령을 송신하는 장치이다. 센터 서버 (400) 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차량 (100) 의 이용 의뢰를 받은 경우에, 출발지 (사용자의 승차 위치) 및 목적지를 취득한 다음에, 출발지 부근을 주행 중인 차량 (100) 에 대하여 운행 지령을 송신한다. 또한, 센터 서버 (400) 는, 차량 (100) 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이동 중에 차량 (100) 내에서 사용자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처리를 실시하는 장치이기도 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센터 서버 (400) 는, 차량 (100) 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업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 다음에,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차량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업무의 제안을 도모한다.
그리고, 센터 서버 (400) 는, 일반적인 컴퓨터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센터 서버 (400) 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나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의 프로세서 (도시하지 않음), RAM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등의 주기억부 (도시하지 않음),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HDD (Hard Disk Drive), 리무버블 미디어 등의 보조 기억부 (도시하지 않음) 를 갖는 컴퓨터이다. 또한, 리무버블 미디어는, 예를 들어, USB (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혹은, CD (Compact Disc) 나 DVD (Digital Versatile Disc) 와 같은 디스크 기록 매체이다. 보조 기억부에는, OS (Operating System), 각종 프로그램, 각종 테이블 등이 격납되고, 보조 기억부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주기억부의 작업 영역에 로드하여 실행하고,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서 각 구성부 등이 제어됨으로써, 소정의 목적에 합치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센터 서버 (400) 는, 통신부 (401) 를 갖는다. 통신부 (401) 는, 네트워크 (N1) 를 통해서 다른 장치와 접속하고, 차량 (100) 이나 업무 관리 서버 (500) 등과의 사이의 통신을 실시한다. 통신부 (401) 는, 예를 들어, LAN (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 보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회로이다. LAN 인터페이스 보드나 무선 통신 회로는, 공중 통신망인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N1) 에 접속된다.
또한, 센터 서버 (400) 는, 센터 서버 (400) 의 보조 기억부에, 자율 주행을 실시하는 복수의 차량 (100) 에 관한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차량 관리 DB (Data Base) (403) 를 가지고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DB) 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DBMS (Data base Management System) 의 프로그램이, 보조 기억부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구축된다. 차량 관리 DB (403) 는, 예를 들어, RDB 이다.
여기서, 차량 관리 DB (403) 에 기억되는 차량 관리 정보의 구성에 대해서, 도 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차량 관리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차량 관리 정보 테이블은, 차량 ID, 현재 위치, 이동 서비스, 예약의 각 필드를 갖는다. 차량 ID 필드에는, 이동체 시스템에 있어서 센터 서버 (400) 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모든 차량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입력된다. 현재 위치 필드에는, 각 차량 (100) 이 현시점에서 위치하고 있는 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100) 의 현재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위도 및 경도에 관련된 정보이며, 차량 (100) 에 있어서 위치 정보 취득부 (102) 에 의해 취득된 정보가, 상기 차량 (100) 으로부터 센터 서버 (400) 에 송신될 때마다, 차량 관리 DB (403) 에 있어서의 상기 차량 (100) 에 대응하는 현재 위치 필드가 갱신된다. 이동 서비스 필드는, 차량 (100) 이 자율 주행에 의한 사용자의 이동 서비스를 한창 제공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차량 (100) 이 상기 이동 서비스를 제공 중인 경우에는, 이동 서비스 필드에는 「서비스 중」 이라고 입력되고, 상기 이동 서비스를 제공 중이 아닌 경우에는, 이동 서비스 필드에는 「비서비스 중」 이라고 입력된다. 예약 필드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의뢰에 의해, 차량 (100) 의 자율 주행에 의한 사용자의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예약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이동 서비스의 제공이 예약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약 필드에는 서비스 제공이 예정되는 시간대가 입력되고, 이동 서비스의 제공이 예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예약 필드에는 「없음」 이라고 입력된다. 또한, 상기 예약은, 현시점 이후에 있어서의 이동 서비스의 예약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한 명의 사용자에 대하여 이동 서비스를 제공 중의 차량 (100) 이더라도, 상기 서비스 종료 후에 있어서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서비스 제공이 예정되는 경우에는, 예약 필드에는 상기 예정되는 시간대가 입력되게 된다.
또한, 차량 관리 정보는, 차량 (100) 에 구비되는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관련된 처리 장치 사양 필드 및 출력 장치 사양 필드도 갖는다. 처리 장치 사양 필드에는, 정보 처리 장치 (150) 의 처리 장치 본체의 사양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업무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처리 장치 본체의 처리 능력 (OS (Operating System) 의 종류, 메모리 용량, CPU 성능 등) 에 관한 정보가, 상기 필드에는 입력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처리 장치 사양 필드에는, 정보 처리 장치 (150) 의 처리 장치 본체의 사양에 대응하여 S01 과 S02 의 2 개의 값이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또, 출력 장치 사양 필드에는, 정보 처리 장치 (150) 의 출력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업무에 필요한 출력 장치로서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나 수, 프린터의 유무 등에 관한 정보가, 상기 필드에는 입력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출력 장치 사양 필드에는, 정보 처리 장치 (150) 의 출력 장치의 사양에 대응하여 D01 과 D02 의 2 개의 값이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또, 센터 서버 (400) 에서는, 상기 서술한 프로세서에 의한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기능부로서 제어부 (402) 가 형성된다. 제어부 (402)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량 (100) 의 자율 주행에 관한 처리, 및 이동 중의 차량 (100) 내에서의 사용자의 업무 수행 지원에 관한 처리를 실시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 (402) 는, 기능부로서 위치 정보 관리부 (4021), 운행 지령 생성부 (4022), 산출부 (4023), 취득부 (4024), 제안부 (4025), 형성부 (4026), 정보 유지부 (4027) 를 포함한다. 이 중 위치 정보 관리부 (4021) 와 운행 지령 생성부 (4022) 가, 차량 (100) 의 자율 주행에 관한 처리에 관련된 기능부이며, 산출부 (4023), 취득부 (4024), 제안부 (4025), 형성부 (4026), 정보 유지부 (4027) 가 사용자의 업무 수행 지원에 관한 처리에 관련된 기능부이다.
먼저, 위치 정보 관리부 (4021) 와 운행 지령 생성부 (4022) 에 대해서 설명한다. 위치 정보 관리부 (4021) 는, 센터 서버 (400) 의 관리하에 있는 복수의 차량 (100) 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주기마다 그 시점에 있어서의 복수의 차량 (100) 으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 관리 DB (403) 에 기억한다.
운행 지령 생성부 (4022) 는, 사용자로부터 차량 (100) 의 이용 의뢰를 받은 경우에, 상기 사용자에게 배차하는 차량 (100) 을 결정하고, 이용 의뢰에 따른 운행 지령을 생성한다. 이용 의뢰에는, 사용자가 차량 (100) 에 승차하는 출발지 및 차량 (100) 을 하차하는 목적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이용 의뢰에는, 출발지에서 목적지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 경유하는 경유지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용 의뢰에 경유지를 포함시키는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경유지에서 차량 (100) 을 소정 시간 정차시키고 싶을 때는, 정차시키고 싶다는 것을 이용 의뢰에 포함시켜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이용 의뢰를 받음으로써, 운행 지령 생성부 (4022) 는, 지정된 경유지를 경유하고, 경유지에서 소정 시간 정차하는 것을 전제로 한 운행 지령을 생성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이용 의뢰에 기초하여, 운행 지령 생성부 (4022) 가 운행 지령을 생성하고, 차량 (100) 이 자율 주행에 의한 사용자의 이동 서비스를 개시할 때까지의 처리 플로우를, 도 4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5 에 나타낸 도로 네트워크를 차량 (100) 이 운행하는 예에 기초하여 설명을 실시한다.
차량 (100) 은, 센터 서버 (400) 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통지한다 (스텝 S10). 센터 서버 (400) 에서는, 수취한 현재 위치 정보를, 차량 관리 DB (403) 에 있어서의 상기 차량 (100) 에 대응하는 현재 위치 필드에 입력한다. 스텝 S10 의 처리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실행된다.
사용자가,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 (50) 로부터 업무 관리 서버 (500) 를 통해서 센터 서버 (400) 에 대하여 차량 (100) 의 배차를 요구하는 이용 의뢰를 송신하면 (스텝 S11), 센터 서버 (400) 의 운행 지령 생성부 (4022) 가, 이용 의뢰에 따라 운행 지령을 생성한다 (스텝 S12). 운행 지령은, 출발지와 목적지를 적어도 지정한다. 또, 운행 지령은, 차량 (100) 이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도달하는 주행 경로를 지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경로상에서 실시해야 할 처리나, 제공해야 할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는, 노드 (B) 로부터 노드 (D) 까지의 사용자의 이동을 의뢰받은 것으로 한다.
스텝 S13 에서는, 운행 지령 생성부 (4022) 가, 사용자에게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100) 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운행 지령 생성부 (4022) 는, 차량 관리 DB (403) 에 기억된 차량 (100) 의 현재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이용을 희망하는 차량 (100) 의 이용 시간을 고려하여, 이용 의뢰받은 이동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차량 (100) 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즉시 이용을 희망하는 이용 의뢰인 경우에는, 차량 관리 DB (403) 에 기억되어 있는 차량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그 시점에서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고, 또한, 사용자가 희망하는 이용 시간과 예약 시간이 중복하고 있지 않은 차량 (100) 중, 상기 사용자의 출발지에 가장 가깝거나, 상기 사용자의 출발지에 가장 빨리 도달할 수 있는 차량을, 이용 의뢰에 대응하는 차량 (100) 으로서 결정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5 에 나타낸 노드 (A) 에 위치하는 차량 (100) 으로 결정된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센터 서버 (400) 로부터, 상기 차량 (100) 으로 운행 지령이 송신된다 (스텝 S14).
다음으로 스텝 S15 에서는, 차량 (100) 에 있어서 운행 계획 생성부 (1031) 가, 수신한 센터 서버 (400) 로부터의 운행 지령에 기초하여 운행 계획을 생성한다. 제 1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도 5 의 실선으로 나타낸 경로를 주행하고, 노드 (B) 에서 사용자를 승차시키고 또한 노드 (D) 에서 사용자를 하차시키는 취지의 운행 계획을 생성한다. 생성된 운행 계획은 주행 제어부 (1033) 에 송신되고, 운행이 개시된다 (스텝 S16). 또한, 운행 중에 있어서도, 센터 서버 (400) 에 대한 차량 (100) 의 현재 위치 정보의 송신은 주기적으로 실시된다.
또한, 여기서는 이용 의뢰에 기초하여 차량 (100) 이 운행 계획을 생성하는 예를 들었지만, 운행 계획의 생성은 센터 서버 (400) 로 실시해도 되고, 그 경우는, 센터 서버 (400) 로 생성된 운행 계획이, 스텝 S13 에서 결정된 차량 (100) 에 대하여 송신되게 된다.
다음으로, 업무 지원 시스템에 관련된 산출부 (4023), 취득부 (4024), 제안부 (4025), 형성부 (4026), 정보 유지부 (4027) 에 대해서 설명한다. 산출부 (4023) 는, 사용자가 출발지에서 차량 (100) 에 승차하고 나서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 (이하, 간단히 「소요 시간」 이라고 칭한다) 을 산출한다. 또한,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예에서는, 차량 (100) 의 주행 경로는 차량 (100) 의 운행 계획 생성부 (1031) 에 의해 생성된다. 그래서, 산출부 (4023) 가 소요 시간을 산출함에 있어서는, 운행 계획 생성부 (1031) 에 의해 운행 계획이 생성된 후에, 산출부 (4023) 는 생성된 운행 계획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운행 계획에 포함되는 차량 (100) 의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예에 기초하면, 산출부 (4023) 는, 운행 계획에 따른 주행 경로를 따른, 출발지인 노드 (B) 로부터 목적지인 노드 (D) 까지의 거리와, 차량 (100) 의 평균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 상기 산출에 있어서, 노드 (B) 로부터 노드 (D) 까지의 주행 경로상의 교통 상황에 관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교통 상황이 반영된 차량 (100) 의 상정 속도에 기초하여 소요 시간을 산출해도 된다. 또, 사용자로부터의 차량 (100) 의 이용 의뢰시에, 노드 (B) 로부터 노드 (D) 에 이를 때까지의 도중에 있는 노드 (C) 를 경유하여, 노드 (C) 에서 차량 (100) 을 일시적으로 하차하고자 하는 취지를 사용자가 센터 서버 (400) 에 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노드 (C) 에서의 하차 시간 (차량 (100) 을 하차하고, 차량 (100) 내에서 실시하고 있던 업무를 실시할 수 없는 시간) 은, 상기 소요 시간에는 포함시키지 않는다.
또, 취득부 (4024) 는, 업무 관리 서버 (500) 가 갖는 업무 관리 DB (데이터베이스) (503) 로부터, 사용자가 차량 (100) 을 이용하는 시점, 즉 오피스를 나와 차량 (100) 에 승차하는 시점에서, 아직 완료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의 수행이 요구되고 있는 잔존 업무에 관한 잔존 업무 정보를 네트워크 (N1) 를 통해서 취득한다. 업무 관리 DB (503) 는, 차량 (100) 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오피스에서 실시하고 있는 업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업무 관리 DB (503) 는, 상기 잔존 업무 정보를 포함하는 업무 관리 정보 (도 6a 및 도 6b 를 참조) 를 기억하고 있지만, 상기 잔존 업무 정보 및 업무 관리 정보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 후술한다.
다음으로, 제안부 (4025) 는, 취득부 (4024) 에 의해 취득된 잔존 업무 정보에 포함되는 잔존 업무 중에서, 산출부 (4023) 에 의해 산출된 소요 시간 내에, 사용자가 이용하는 차량 (1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이용하여 수행이 완료 가능한 업무를 소정 업무로서 추출한다. 상기 서술한 추출 처리에 있어서는, 잔존 업무의 업무 부하 (완료에 필요로 하는 시간) 와 소요 시간이 비교되어도 된다. 상기 추출 처리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안부 (4025) 는, 상기 추출된 소정 업무에 관한 제안 정보를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소정 장치에 송신하고, 사용자에게 제안함으로써, 이동 중의 차량 (100) 내에서 사용자에 의한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 장치로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차량의 정보 처리 장치 (150) 여도 되고, 또는, 사용자 단말 (50) 이나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휴대하고 있는 휴대 단말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제안부 (4025) 에 의한 소정 업무의 제안에 대하여, 사용자는 상기 소정 업무의 존재를 인식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안을 받아들이는 처리를 제안부 (4025) (센터 서버 (400)) 에 대하여 실시함으로써, 형성부 (4026) 에 의한 처리가 실시되게 된다. 형성부 (4026) 는, 사용자가 제안부 (4025) 에 의한 제안을 받아들임으로써,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사용하여 제안된 소정 업무에 필요한 업무 정보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업무 가능 상태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형성한다. 즉, 형성부 (4026) 에 의해 업무 가능 상태가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형성되면, 사용자는 차량 (100) 에 승차하면,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사용하여 소정 업무를 즉시 수행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소정 업무에 필요한 업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업무 관리 DB (503) 에 기억되어 있고, 형성부 (4026) 는 상기 업무 관리 DB (503) 에 액세스 함으로써 업무 가능 상태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상기 형성 처리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정보 유지부 (4027) 는, 차량 (100) 이 목적지에 도달했을 때에, 사용자가, 제안부 (4025) 에 의해 제안된 소정 업무를 이동 중의 차량 (100) 내에서 완료할 수 없었을 경우에, 아직 미완료 상태에 있는 상기 소정 업무를 다른 장소에서 계속할 수 있도록 처리를 실시한다. 즉, 정보 유지부 (4027) 는, 차량 (100) 의 목적지 도달시에, 미완료 상태에 있는 소정 업무에 관해서 정보 처리 장치 (150) 내에서 형성되어 있는 업무 상황과 동일한 상황을, 목적지에 관련지어지고 또한 상기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업무 상황에 관련된 소정 정보를 유지한다. 소정 업무에 관한 업무 상황이란, 업무의 수행에 수반하여 수시 갱신되어 온, 상기 소정 업무에 필요한 업무 정보가 놓여져 있는 최신의 상황이다. 또, 목적지에 관련지어진 다른 정보 처리 장치란, 사용자가 도달한 목적지 또는 목적지의 근처에서 액세스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장치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목적지 내에 배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60) 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상당한다. 따라서, 정보 유지부 (4027) 는, 최신의 상황에 있는 소정 업무의 업무 정보를, 차량 (100) 의 정보 처리 장치 (150) 로부터 취득하고, 센터 서버 (400) 내에 유지해 둔다. 목적지에 도달한 사용자는, 정보 유지부 (4027) 가 유지하고 있는 상기 업무 정보에 사용자 단말 (60) 을 통해서 액세스 함으로써, 또한 계속해서 소정 업무의 수행을 도모하고, 소정 업무의 수행의 완료를 목표로 할 수 있다.
센터 서버 (400) 의 각 기능 구성 요소 중 어느 것, 또는 센터 서버 (400) 의 처리의 일부는, 네트워크 (N1) 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또, 센터 서버 (400) 에서 실행되는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업무 관리 서버 (500) 에 대해서 설명한다. 업무 관리 서버 (500) 는, 일반적인 컴퓨터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업무 관리 서버 (500) 는, 기본적으로는 오피스에 소속하는 복수의 사용자의 각각의 업무 진척을 관리한다. 그 때문에,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50) 은, 오피스 내의 인트라넷을 통해서 업무 관리 서버 (500) 에 액세스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50) 로부터 업무 관리 서버 (500) 를 통해서 센터 서버 (400) 에 액세스하고, 차량 (100) 의 이용 의뢰를 실시할 수 있다. 이 때, 업무 관리 서버 (500) 는, 사용자 단말 (50) 과 센터 서버 (400) 의 중계 처리를 실시한다.
상세하게는, 업무 관리 서버 (500) 는, 센터 서버 (400) 와 마찬가지로, CPU나 DSP 등의 프로세서 (도시하지 않음), RAM, ROM 등의 주기억부 (도시하지 않음), EPRO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리무버블 미디어 등의 보조 기억부 (도시하지 않음) 를 갖는 컴퓨터이다. 보조 기억부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각종 프로그램, 각종 테이블 등이 격납되고, 보조 기억부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주기억부의 작업 영역에 로드하여 실행하고,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서 각 구성부 등이 제어됨으로써, 소정의 목적에 합치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업무 관리 서버 (500) 는, 통신부 (501) 를 갖는다. 상기 통신부 (501) 는, 센터 서버 (400) 의 통신부 (401) 와 마찬가지로, 다른 장치와 접속하고, 업무 관리 서버 (500) 와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센터 서버 (400)) 의 사이의 통신을 실시한다. 통신부 (501) 는, 예를 들어, LAN 인터페이스 보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회로이다. AN 인터페이스 보드나 무선 통신 회로는, 공중 통신망인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N1) 에 접속된다.
또한, 업무 관리 서버 (500) 는, 상기 서술한 업무 관리 DB (데이터베이스) (503) 를 가지고 있다. 업무 관리 DB (503) 는, 상기의 보조 기억부에 각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업무에 관한 업무 관리 정보가 격납되어 형성되어 있고, 보조 기억부에서는 각 사용자와 대응하는 업무 관리 정보의 결합이 실시되어 있다. 업무 관리 DB (503) 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프로그램이, 보조 기억부에 기억되는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구축된다. 업무 관리 DB (503) 는, 예를 들어, RDB 이다.
여기서, 업무 관리 DB (503) 에 격납되는 업무 관리 정보의 구성에 대해서, 도 6a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a 는 업무 관리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하고, 업무 관리 정보 테이블은, 사용자 ID, 업무 ID, 사용 파일, 필요 환경, 업무 부하, 서브 업무 등록, 우선도, 완료 기한, 완료 플래그의 각 필드를 갖는다. 사용자 ID 필드에는,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입력된다. 업무 ID 필드에는,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업무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입력된다. 사용 파일 필드에는, 업무 ID 로 특정되는 각 업무의 수행시에 사용되는 전자 파일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보는, 대응하는 업무에 있어서 사용되고 또한 정보 처리 장치 (150) 에서 처리 가능한 전자 파일이다. 도 6a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업무 ID 가 W003 으로 특정되는 업무에 대해서는, X031 과 X032 의 2 개의 전자 파일이 필요해지고, 그 밖의 업무에 대해서는, 각각 1 개의 전자 파일이 필요해진다. 또한, 필요 환경 필드에는, 사용 파일 필드에 입력되어 있는 전자 파일을 정보 처리 장치 (150) 로 처리하기 위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요구되는 처리 장치 본체의 사양과, 출력 장치의 사양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사양에 관한 정보는, 도 3 에 나타내는 차량 관리 정보의, 처리 장치 사양 필드와 출력 장치 사양 필드에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처리 장치 사양 필드에 입력되는 정보 (S01 또는 S02) 와 출력 장치 사양 필드에 입력되는 정보 (D01 또는 D02) 의 조합이, 필요 환경 필드에 입력된다. 도 6a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업무 ID 가 W003 으로 특정되는 업무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업무 수행에는, 즉 전자 파일 X031 과 X032 의 처리를 위해서는, 처리 장치 사양이 S01 이고 출력 장치 사양이 D01 인 정보 처리 장치 (150) 가 필요하게 되게 된다.
다음으로, 업무 부하 필드에는, 업무 ID 로 특정되는 각 업무를 완료시키는 부하의 크기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입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하의 크기로서, 상기 업무를 완료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의 값이 입력되어 있다. 도 6a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업무 ID 가 W003 으로 특정되는 업무에 대해서는, 부하량이 2.0 시간 (H) 분으로서 입력되고, W005 로 특정되는 업무에 대해서는, 부하량이 5.0 시간 (H) 분으로서 입력되어 있다. 상기 부하량으로서의 시간의 값은, 사용자 단말 (50) 을 통해서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어도 되고, 다른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과거에 수행한 업무에 관하여 업무의 완료에 필요로 한 시간의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업무 관리 서버 (500) 가 추측한 값이어도 된다.
또, 서브 업무 등록 필드에는, 업무 ID 로 특정되는 각 업무에 관하여, 업무 부하가 원래의 부하량 (업무 부하 필드에 입력되어 있는 값의 부하량) 보다 작아지도록 분할된 서브 업무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서브 업무는, 사용자의 하나의 업무가, 예를 들어, 처리 a 를 실시한 후에 처리 b 를 실시함으로써 완료하는 것으로서, 상기 처리 a 를 실시하는 업무와 처리 b 를 실시하는 업무로 시간적으로 분할할 수 있는 경우, 각각의 처리를 실시하는 업무가 서브 업무가 될 수 있다. 사용자의 업무의 서브 업무로의 분할은, 업무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해도 지장이 없는 등의, 사용자에 의한 업무 수행의 관점에서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업무 ID 로 특정되는 각 업무에 관해서 서브 업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브 업무 등록 필드에는 「등록」 이 입력되고, 업무 ID 로 특정되는 각 업무에 관해서 서브 업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브 업무 등록 필드에는 「미등록」 이 입력된다. 도 6a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업무 ID 가 W003, W005 로 특정되는 업무에 대해서, 서브 업무가 등록되어 있다.
또, 서브 업무 등록 필드에 「등록」 이 입력되어 있는 업무에 대해서는,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떠한 부하량의 서브 업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서브 업무 정보가 업무 관리 DB (503) 내에 기억되어 있다. 도 6b 는 서브 업무 정보의 테이블 구성을 예시하고, 서브 업무 정보 테이블에는, 최대 3 개까지의 서브 업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서브 업무 정보 테이블에는, 서브 업무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 (서브 업무 1 ID 필드등에 입력되는 정보) 와, 대응하는 서브 업무의 업무 부하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서브 업무 1 부하 필드 등에 입력되는 정보) 의 조합이 3 개 포함된다. 도 6b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업무 ID 가 W003 으로 특정되는 업무에 대해서는, 2 개의 서브 업무가 등록되어 있고, 부하량이 2.0 H 인 원래의 업무가, 1.5 H 인 서브 업무 1 과 0.5 H 인 서브 업무 2 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 업무 ID 가 W005 로 특정되는 업무에 대해서는, 부하량이 2.5 H 분인 1 개의 서브 업무만이 등록되어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원래의 업무의 부하량이 5.0 H 인 것을 근거로 하면, 나머지 2.5 H 의 부하량에 상당하는 서브 업무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다.
여기서, 다시 도 6a 로 되돌아와, 업무 관리 정보의 설명을 계속한다. 업무 관리 정보에 있어서의 우선도 필드, 완료 기한 필드, 완료 플래그 필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도 필드에는, 업무 ID 로 특정되는 각 업무에 관하여, 각 업무의 수행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업무 수행의 우선도는 2 단계로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우선적으로 수행되는 업무에 대해서는 「고」 라고 입력되고, 우선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업무에 대해서는 「저」 라고 입력된다. 또한, 우선도 필드에 입력되는 우선도의 정보는, 3 단계 이상으로 구분된 정보여도 된다. 다음으로, 완료 기한 필드에는, 업무 ID 로 특정되는 각 업무에 관하여, 각 업무의 수행의 시기적 기한이 입력된다. 따라서, 각 업무에 대해서는, 사용자는, 완료 기한 필드에 입력되어 있는 기한일까지 완료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완료 플래그 필드에는, 업무 ID 로 특정되는 각 업무에 관하여, 사용자에 의한 수행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의미하는 정보가 입력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완료된 업무에 대해서는 「완료」 라고 입력되고, 아직 완료되어 있지 않은 업무에 대해서는 「미완료」 라고 입력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6a 에 나타내는 업무 관리 정보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 완료된 업무와, 아직 완료되어 있지 않은 업무가 혼재하여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업무 관리 정보 중, 완료 플래그가 「미완료」 인 업무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있어서 완료해야 할 잔존 업무에 관한 잔존 업무 정보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업무 관리 DB (503) 가 갖는 업무 관리 정보 일부에 잔존 업무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업무 관리 서버 (500) 에서는, 상기 서술한 프로세서에 의한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기능부로서 제어부 (502) 가 형성된다. 제어부 (502) 는, 업무 관리 DB (503) 에 대한 사용자의 업무에 관련된 정보의 등록이나 갱신 등의 관리 제어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50) 을 통해서 사용자의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업무가 신규이면,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신규 업무의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 파일 등의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업무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업무 관리 DB (503) 에 격납한다. 또, 업무 관리 DB (503) 에 등록 후의 업무에 관해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50) 을 통해서 입력을 실시하면, 상기 서술한 입력 내용에 따라 등록되어 있는 업무에 관련된 정보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서브 업무의 등록이나 완료 플래그의 갱신). 또, 제어부 (502) 는, 사용자가 차량 (100) 의 이용 의뢰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통신부 (501) 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 (50) 과 센터 서버 (400) 의 통신의 중계를 실시한다.
업무 관리 서버 (500) 의 각 기능 구성 요소 중 어느 것, 또는 업무 관리 서버 (500) 의 처리의 일부는, 네트워크 (N1) 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또, 업무 관리 서버 (500) 에서 실행되는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50) 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 단말 (50) 은 주로 사용자가 오피스 내에서 사용자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장치이지만, 그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자 단말 (50) 을 이용해도 된다. 사용자 단말 (50) 은, 오피스 내의 인트라넷에 의해 업무 관리 서버 (500) 에 접속되는 PC (Personal Computer) 이지만, 사용자의 업무에 사용하는 스마트 폰, 휴대 전화, 태블릿 단말, 개인 정보 단말, 웨어러블 컴퓨터 (스마트 워치 등) 와 같은 소형 컴퓨터여도 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50) 로부터 업무 관리 서버 (500) 를 통해서 네트워크 (N1) 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50) 은, 통신부 (51), 제어부 (52), 입출력부 (53) 를 가지고 구성된다.
통신부 (51) 는, 인트라넷을 통한 업무 관리 서버 (500) 로의 접속을 위한 통신 수단이다. 제어부 (52) 는, 사용자 단말 (50) 의 제어를 맡는 컴퓨터이다. 제어부 (52) 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기억 수단 (ROM 등) 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 (모두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실행시킴으로써 각종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기능이 실현된다. 또, 제어부 (52) 는, 입출력부 (53) 를 통해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실시한다. 입출력부 (53) 는, 사용자가 실시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고, 사용자에 대하여 정보를 제시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패널과 터치 패널의 제어 수단, 액정 디스플레이와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다. 터치 패널 및 액정 디스플레이는,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실시하는 입력 조작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통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스위치 등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 (52) 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입출력부 (53) 를 통해서 사용자의 업무에 관한 정보의, 업무 관리 DB (503) 에 대한 입출력을, 업무 관리 서버 (500) 에 대하여 실시한다. 또, 제어부 (52) 는, 사용자가 차량 (100) 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입출력부 (53) 를 통한 사용자의 이용 의뢰를 센터 서버 (400) 에 보내고, 상기 이용 의뢰에 기초하여 센터 서버 (400) 의 운행 지령 생성부 (4022) 에 운행 지령의 생성 처리를 실행시킨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60) 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 단말 (60) 은 사용자가, 오피스로부터의 이동지인 목적지 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자택에 형성된 사용자의 정보 처리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 (60) 은,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 폰, 휴대 전화, 태블릿 단말, 개인 정보 단말, 웨어러블 컴퓨터 (스마트 워치등) 여도 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60) 로부터 네트워크 (N1) 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 (60) 은, 통신부 (61), 제어부 (62), 입출력부 (63) 를 가지고 구성된다. 통신부 (61) 는, 네트워크 (N1) 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또, 입출력부 (63) 는, 상기의 입출력부 (53) 와 동일하다. 그리고, 제어부 (62) 는, 입출력부 (63) 를 통해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실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62) 는, 입출력부 (63) 를 통해서 사용자가 소정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입력 정보에 기초한 소정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소정 처리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차량 (100) 의 내부에서 수행하고 있었지만 차량 (100) 의 이동 중에 완료시킬 수 없었던 소정 업무를 계속해서 수행하는 처리도 포함된다.
처리의 흐름
도 7 은, 센터 서버 (400) 에서 소정 간격으로 반복 실행되는 업무 지원 제어의 플로우이다. 상기 업무 지원 제어는, 사용자가 차량 (100) 을 이용하여 목적지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이동 중의 차량 (100) 내에서 사용자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이다. 먼저, 스텝 S101 에서는, 제어부 (402) 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차량 (100) 의 이용 의뢰가 있는지 여부, 즉 차량 (100) 이 출발지에서 상기 사용자를 픽업하고, 목적지를 향하여 이동하기 위한 배차를 사용자가 요구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50) 을 통해서 차량 (100) 의 이용 의뢰에 관한 지시를 센터 서버 (400) 에 보내지만, 상기 지시에는, 상기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됨과 함께, 이용 의뢰를 실시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업무 관리 DB (503) 에 기억되는 업무 관리 정보의 사용자 ID 필드에 입력되는 정보와 동등한 정보이며, 이하, 간단히 「사용자 식별 정보」 라고 칭한다) 도 포함된다. 스텝 S101 에서 긍정 판정되면 스텝 S102 로 진행되고, 스텝 S101 에서 부정 판정되면 본 제어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02 이후의 처리에서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한 사용자에 관한 처리가 실시되게 된다.
다음으로, 스텝 S102 에서는, 운행 지령 생성부 (4022) 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이용 의뢰에 기초하여 배차해야 할 차량 (100) 이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차량 (100) 에 대하여 운행 지령이 나와 상기 차량 (100) 의 운행 계획 생성부 (1031) 에 의해 운행 계획이 생성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즉, 도 4 에 나타내는 스텝 S13 ∼ 스텝 S15 의 처리가 완료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판정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산출부 (4023) 에 의한 소요 시간의 산출에 있어서, 차량 (100) 측에서 생성된 운행 계획에 포함되는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스텝 S102 에서 긍정 판정되면 스텝 S103 으로 진행되고, 스텝 S102 에서 부정 판정되면 다시 스텝 S102 의 판정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센터 서버 (400) 측이 차량 (100) 의 운행 계획 생성부 (1031) 와 동등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면, 산출부 (4023) 는, 소요 시간의 산출에 있어서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차량 (100) 으로부터 취득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경우에는, 상기의 스텝 S102 의 처리 대신에, 사용자의 이용 의뢰로부터 얻은 출발지와 목적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100) 이 주행해야 할 경로를 산출하는 처리를 실시하면 된다.
그리고 스텝 S103 에서는, 산출부 (4023) 에 의해, 차량 (100) 이 출발지에서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소요 시간이 산출된다. 상기 서술한 산출 처리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산출부 (4023) 는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차량 (100) 으로부터 취득한다. 다음으로, 스텝 S104 에서는, 취득부 (4024) 에 의해, 업무 관리 서버 (500) 가 갖는 업무 관리 DB (503) 로부터, 사용자가 차량 (100) 에 승차하는 시점에서, 아직 완료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의 수행이 요구되고 있는 잔존 업무에 관한 잔존 업무 정보가 취득된다. 상기 잔존 업무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관해서 업무 관리 DB (503) 에 기억되어 있는 업무 관리 정보 (도 6a 를 참조) 중, 완료 플래그가 「미완료」 인 업무에 관한 정보이다.
다음으로, 스텝 S105 에서는, 제안부 (4025) 에 의해 먼저 소정 업무의 추출이 실시된다. 상기 서술한 추출 처리에서는, 잔존 업무 정보에 포함되는 업무 (잔존 업무) 중, 차량 (100) 에 구비된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이용하여, 스텝 S103 에서 산출된 소요 시간 내에 완료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업무가 소정 업무로서 추출되게 된다. 상기 서술은, 차량 (100) 이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사용자가 이동 중의 차량 (100) 내에서, 잔존 업무를 완료할 수 있는 것은, 사용자에게 있어 업무를 중단시키는 일 없이 완료시키게 되어, 상기 서술한 업무 수행의 효율화가 기대되는 것을 의미한다. 소정 업무의 추출 처리에 관하여,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조건 1 및 조건 2 를 충족한 잔존 업무가, 소정 업무로서 추출된다. (조건 1) 잔존 업무 정보에 포함되는 잔존 업무 중, 업무 부하가 스텝 S103 에서 산출된 소요 시간 이내인 것을 필요로 한다. 즉, 소요 시간 이내에 완료가 기대되는 잔존 업무가, 소정 업무의 후보가 된다. (조건 2) 잔존 업무 정보에 포함되는 잔존 업무 중, 업무 수행에 사용되는 전자 파일 (사용 파일 필드에 입력되는 정보) 을 처리 가능한 필요 환경을, 차량 (100) 에 구비된 정보 처리 장치 (150) 가 갖는 것을 필요로 한다. 즉, 전자 파일의 처리의 관점에서 차량 (100) 에 구비된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의해 대응 가능한 잔존 업무가, 소정 업무의 후보가 된다.
여기서, 상기의 추출 처리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사용자 앞으로 보내져 오는 차량 (100) (즉, 스텝 S13 에서 결정된 차량 (100)) 은, 도 3 의 차량 관리 정보에 나타내는 차량 ID 가 V004 인 차량으로 하고, 스텝 S103 에서 산출된 소요 시간은 3 시간 (3.0 H) 으로 한다. 또, 도 6a 의 업무 관리 정보에 의하면, 잔존 업무로는, W002 ∼ W005 의 4 개의 업무가 존재하고 있다. 이 경우, 조건 1 을 고려하면, 업무 부하가 3.0 H 이하인 W002, W003, W004 의 잔존 업무가, 소정 업무의 후보로서 남는다. 또한, 조건 2 를 고려하면, V004 로 특정되는 차량 (100) 의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대해서는, 처리 장치 사양이 S01 이고 출력 장치 사양 D01 이기 때문에, 소정 업무가 W003 인 잔존 업무로 좁혀지게 된다.
추출 처리의 다른 방법 1
여기서, 소정 업무의 추출 처리의 다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건 1 의 변형예로서, 잔존 업무 정보에 포함되는 잔존 업무 중 서브 업무가 등록되어 있는 잔존 업무의 경우, 잔존 업무에 포함되는 서브 업무의 부하 (도 6b 의 서브 업무 정보에 있어서의, 각 서브 업무의 부하 필드에 입력되어 있는 부하) 가, 스텝 S103 에서 산출된 소요 시간 이내인 것을 대체 조건으로 해도 된다. 즉, 소요 시간 이내에 완료가 기대되는 서브 업무를 포함하는 잔존 업무가, 소정 업무의 후보가 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잔존 업무 전체를 완료할 수 없을 가능성은 있기는 하지만, 상기 잔존 업무를 구성하는 서브 업무를 완료할 가능성은 높기 때문에, 적지않게 사용자의 업무 수행의 효율화에 이바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조건의 경우, W005 의 잔존 업무는, 3.0 H 보다 짧은 부하의 서브 업무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W005 의 잔존 업무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정보 처리 장치 (150) 의 사양은 S01 및 D01 이기 때문에, W003 인 잔존 업무에 더하여 W005 의 잔존 업무도 소정 업무로서 추출되게 된다.
추출 처리의 다른 방법 2
또한, 소정 업무의 추출 처리의 다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소정 업무의 추출을 위한 조건으로서, 추가로 잔존 업무의 우선도에 기초하는 조건을 설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조건 1 (또는 다른 방법 1 에서 나타낸 대체 조건) 및 조건 2 에 의해 복수의 잔존 업무가 추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또한, 소정 업무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잔존 업무, 즉 우선도 필드에 「고」 가 입력되어 있는 잔존 업무로 좁혀져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의 다른 방법 1 에 의해 소정 업무의 후보로서 W003 의 잔존 업무와 W005 의 잔존 업무가 추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우선도 필드에 「고」 가 입력되어 있는, W003 의 잔존 업무가 최종적으로 소정 업무로 되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할 잔존 업무가 적합하게 추출된다.
추출 처리의 다른 방법 3
또한, 소정 업무의 추출 처리의 다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소정 업무의 추출을 위한 조건으로서, 추가로 완료해야 할 기한까지 남겨진 기간에 기초하는 조건을 설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조건 1 (또는 다른 방법 1 에서 나타낸 대체 조건) 및 조건 2 에 의해 복수의 잔존 업무가 추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또한, 소정 업무는, 완료해야 할 기한까지 남겨진 기간이 가장 짧은 잔존 업무로 좁혀져도 된다. 완료해야 할 기한까지 남겨진 기간은, 완료 기한 필드에 입력되어 있는 기한 일시와 현시점의 차분으로 산출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사용자가 완료 기한까지 수행해야 할 잔존 업무가 적합하게 추출되고, 이로써 완료 기한을 도과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 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스텝 S105 에서의 소정 업무의 추출 후에는, 추출된 소정 업무가 스텝 S106 에서 사용자에게 제안된다. 상기 서술한 제안 처리도 제안부 (4025) 에 의해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안부 (4025) 는, 사용자가 승차하는 차량 (100) 의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포함되는 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에, 소정 업무를 차량 (100) 내에서 수행하는 것을 제안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정보가 송신된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안의 내용이 표시된다. 또한, 추출된 소정 업무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소정 업무를 모두 디스플레이에 표시해도 된다. 또,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제안을 받아들일지 여부의 문의도 표시된다. 따라서, 차량 (100) 이 출발지에 도착하고 사용자가 차량 (100) 에 올라탔을 때에, 상기 사용자는, 정보 처리 장치 (150) 의 입력 장치 (마우스나 키보드 등) 를 통해서 상기 문의에 사용자의 회답을 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의로서, 디스플레이에 「수락」 과「거부」 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느 것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문의에 대한 회답이 가능하다.
그리고, 스텝 S107 에서는, 상기 문의에 대한 회답이, 제안부 (4025) 에 의한 제안의 수락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판정이 긍정 판정인 경우에는 스텝 S108 로 진행되고, 상기 판정이 부정 판정인 경우에는 스텝 S109 로 진행된다. 스텝 S108 에서는, 형성부 (4026) 에 의해, 사용자가, 스텝 S106 에서 제안된 소정 업무의 수행에 필요한 전자 파일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업무 가능 상태가,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안된 업무 정보가 W003 의 잔존 업무였던 경우에는, 사용자가 W003 의 잔존 업무의 수행에 사용하는 X031 과 X032 의 전자 파일을 정보 처리 장치 (150) 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업무 가능 상태가 형성된다. 상기 업무 가능 상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 (150) 가, 업무 관리 서버 (500) 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전자 파일에 액세스 가능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형성부 (4026) 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 (150) 로부터 업무 관리 서버 (500) 에 요청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대하여 상기 전자 파일에 대한 액세스권이 설정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 (100) 에 승차하면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사용하여 소정 업무를 즉시 수행할 수 있도록 된다. 또, 스텝 S109 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 업무의 제안이 거부된 것을 근거로 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업무 제안의 종료를 통지한다. 상기 통지는, 제안부 (4025) 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 (150) 의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실시된다.
다음으로, 상기 업무 지원 제어가 실시되었을 때의, 센터 서버 (400), 차량 (100), 업무 관리 서버 (500), 및 사용자 단말 (50) 간의 정보의 흐름에 대해서, 도 8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도 4 에 나타내는 정보의 흐름은, 이동체 시스템의 측면에 기초하는 것이다. 한편, 도 8 에 나타내는 정보의 흐름은 업무 지원 시스템의 측면에 기초하는 것이다. 또한, 도 8 에 있어서의 스텝 S10 ∼ 스텝 S13 의 처리에 대해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각 처리와 동일하지만, 그 이후 (도 8 에 있어서의 스텝 S21 이후) 의 처리는 사용자의 업무 지원에 관한 처리이며, 도 4 에 나타내는 스텝 S14 이후의 처리와 병렬로 실시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텝 S21 ∼ 스텝 S23 의 처리는, 산출부 (4023) 에 의한 소요 시간의 산출 처리 (도 7 의 스텝 S103 의 처리에 상당) 에 관련된다. 상세하게는, 스텝 S21 에서 센터 서버 (400) 로부터 차량 (100) 에 대하여 운행 계획에 포함되는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의 요구가 나오고,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스텝 S22 에서, 차량 (100) 으로부터 센터 서버 (400) 에 해당하는 정보가 제공된다. 그리고, 스텝 S23 에서는 상기 주행 경로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부 (4023) 에 의해 소요 시간의 산출이 실시된다. 그 후, 스텝 S24 에서 센터 서버 (400) 로부터 업무 관리 서버 (500) 에 대하여, 차량 (100) 의 이용 의뢰를 한 사용자에 관한 잔존 업무 정보의 요구가 송신된다. 그리고, 상기 요구에 응하여, 스텝 S25 에서 업무 관리 서버 (500) 로부터 잔존 업무 정보가 제공된다. 상기 스텝 S24 와 스텝 S25 의 처리가, 도 7 의 스텝 S104 에 있어서의 취득부 (4024) 에 의한 처리에 상당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스텝 S26 에서, 제공된 잔존 업무 정보로부터 소정 업무가 추출된다 (도 7 의 스텝 S105 에 있어서의 제안부 (4025) 에 의한 처리에 상당).
그 후, 스텝 S27 에서 센터 서버 (400) 로부터 차량 (100) 의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대하여 소정 업무의 제안 처리가 실시된다 (도 7 의 스텝 S106 에 있어서의 제안부 (4025) 에 의한 처리에 상당).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 (150) 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술한 제안이 받아들여지면, 수입 신호가 차량 (100) 으로부터 센터 서버 (400) 로 보내진다 (스텝 S28).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수락을 근거로 하여, 스텝 S29 에서, 센터 서버 (400) 로부터 차량 (100) 의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대하여 업무 가능 상태의 형성이 지시된다 (도 7 의 스텝 S107 에 있어서의 형성부 (4026) 에 의한 처리에 상당). 이 결과, 차량 (100) 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업무 가능 상태가 형성된다 (스텝 S30).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7 에 나타내는 업무 지원 제어가 실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100) 을 이용하는 경우에, 차량의 이동 중에 적합하게 완료할 수 있는 잔존 업무를 사용자에 대하여 제안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자율 주행하고 있는 차량 내에서 사용자의 잔존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완료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용 의뢰를 하여 출발지에 차량 (100) 이 도달했을 때에 차량 (100) 에 올라타지만, 승차시에 상기 제안을 받음과 함께, 상기 제안을 받아들이면 즉시 사용자의 업무를 수행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서술은, 차량 (100) 에 의한 이동 시간의 효율적인 이용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 (100) 의 이동 중에 정보 처리 장치 (150) 로 완료된 소정 업무에 관한 전자 파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완료에 수반하여 업무 관리 서버 (500) 측으로 옮겨짐과 함께 정보 처리 장치 (150) 로부터는 소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1
상기 스텝 S106 에서의 소정 업무의 사용자에 대한 제안에 관하여,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안부 (4025) 는 제안 정보를 차량 (100) 의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송신하고, 정보 처리 장치 (150) 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고 있지만, 그 양태 대신에, 변형예 1 에서는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인 사용자 단말 (50) 에 상기 제안 정보를 표시한다. 즉, 사용자가 이용 의뢰를 내고, 배차되는 차량 (100) 이 결정되면, 상기 차량 (100) 은 사용자 앞 (즉, 출발지) 을 향하는 것이 되지만, 차량 (100) 이 출발지에 도달할 때까지 제안 정보가 생성되면, 제안부 (4025) 는, 상기 제안 정보를 사용자 단말 (50) 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차량 (100) 에 승차하기 전에, 제안부 (4025) 에 의한 소정 업무의 제안을 받고, 제안의 수락 가부의 회답을 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의 회답이 제안을 받아들이는 취지의 것이면 (도 7 의 스텝 S107 에 있어서의 긍정 판정), 형성부 (4026) 가, 즉시 차량 (100) 의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업무 가능 상태를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차량 (100) 에 승차하기 전에 상기 업무 가능 상태가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출발지에서 차량 (100) 에 승차하면, 즉시 소정 업무의 수행에 착수할 수 있다. 또한, 제안 정보의 송신지로서, 사용자 단말 이외에,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휴대 단말이어도 된다.
변형예 2
상기 스텝 S105 에서의 소정 업무의 추출 처리에 관하여,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안부 (4025) 는, 상기의 조건 2 를 설정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 (150) 가 사용자의 업무에서 사용하는 전자 파일을 처리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을 한 다음에, 즉 잔존 업무의 필요 환경에 관한 정보에 기초한 판단을 한 다음에, 소정 업무를 추출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 (100) 에 구비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 (150) 전부가, 사용자의 업무에서 사용하는 전자 파일 전부에 대응하고 그것을 처리 가능한 경우, 상기 소정 업무의 추출 처리에 있어서는, 상기의 조건 1 에만 따라서 소정 업무를 추출해도 된다. 즉, 제안부 (4025) 는, 조건 2 를 생략하고, 조건 1 에서 나타낸, 산출된 소요 시간과 잔존 업무의 업무 부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 업무를 추출할 수 있다.
변형예 3
변형예 3 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이용 의뢰에, 출발지와 목적지의 정보에 더하여, 중계지 (차량 (100) 이 들러,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차량 (100) 을 내리는 장소) 의 정보 (예를 들어, 중계지의 위치 정보 및 중계지에서의 하차 시간) 가 포함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경우, 상기 이용 의뢰를 수취한 센터 서버 (400) 는, 중계지에 관한 정보를 운행 지령에 포함시켜 차량 (100) 에 상기 운행 지령을 보내고, 상기 차량 (100) 은, 운행 계획 중에서, 지정된 중계지를 포함하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중계지인 노드 (C) 를 통과하는, 노드 (B) 로부터 노드 (D) 까지의 주행 경로가 설정된다. 또한, 중계지에서는, 사용자는 차량 (100) 을 일시적으로 내려, 차 밖에서 소정의 작업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그 사이, 차량 (100) 은 상기 중계지에 정차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경우, 산출부 (4023) 는, 중계지인 노드 (C) 에서의 사용자의 하차 시간을 포함하지 않는 형태로,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산출된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제안부 (4025) 에 의한 소정 업무의 추출이 실시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중계지에서 일시적으로 하차하면 차량 (100) 내에서의 업무 수행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기 때문에, 주행 경로를 중계지에서 복수의 구간 (노드 (B) ∼ 노드 (C) 의 구간과 노드 (C) ∼ 노드 (D) 의 구간) 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구간마다 산출부 (4023) 이 소요 시간을 산출한 다음에, 각 분할 구간에서 수행 가능한 잔존 업무를 소정 업무로서 추출해도 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노드 (B) ∼ 노드 (C) 의 구간에서 실시하는 소정 업무와, 노드 (C) ∼ 노드 (D) 의 구간에서 실시하는 소정 업무의 2 개의 소정 업무를, 제안부 (4025) 가 제안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9 에 기초하여, 제 2 실시형태의 업무 지원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업무 지원 제어는, 도 7 에 나타내는 업무 지원 제어와는 별도로, 센터 서버 (400) 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 실행된다. 먼저, 스텝 S201 에서는, 사용자가 승차하고 있는 차량 (100) 이 목적지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차량 (100) 의 현재 위치 정보는 센터 서버 (400) 에 보내진다 (도 8 의 스텝 S10 의 처리). 그래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100) 이 목적지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S201 에서 긍정 판정되면 스텝 S202 로 진행되고, 스텝 S201 에서 부정 판정되면 본 제어는 종료한다.
다음으로, 차량 (100) 내에서 사용자가 제안된 소정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을 경우, 스텝 S202 에서는, 상기 소정 업무가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또한, 사용자는, 차량 (100) 의 정보 처리 장치 (150) 로부터 센터 서버 (400) 를 통해서 업무 관리 서버 (500) 에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 (100) 내에서 소정 업무를 완료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업무 관리 서버 (500) 의 업무 관리 DB (503) 에 액세스하고, 상기 소정 업무에 대응하는, 업무 관리 정보의 완료 플래그 필드의 값을 「미완료」 에서 「완료」 로 변경한다. 그래서, 스텝 S202 에서는, 제안된 소정 업무에 대응하는, 업무 관리 정보의 완료 플래그 필드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소정 업무의 완료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 S202 에서 긍정 판정되면 본 제어를 종료하고, 스텝 S202 에서 부정 판정되면 스텝 S203 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스텝 S203 에서는, 제안된 소정 업무가 미완료 상태인 것을 근거로 하여, 정보 유지부 (4027) 에 의해, 상기 미완료 상태의 소정 업무의 최신의 수행 상황이 반영된, 상기 소정 업무에 관련된 소정의 업무 정보가, 센터 서버 (400) 내의 메모리 (기억부:도시하지 않음) 에 유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100) 내에서의 사용자의 업무 수행에 의해 수시 갱신되어 온, 소정 업무에 관련된 최신의 전자 파일 그 자체가 소정의 업무 정보로서 유지된다. 정보 유지부 (4027) 는, 소정의 업무 정보의 유지에 있어서는, 차량 (100) 의 정보 처리 장치 (150) 내에 유지되어 있는 최신의 상기 전자 파일을 차량 (100) 으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서술한 취득된 전자 파일을 센터 서버 (400) 내에 유지한다.
또, 소정의 업무 정보의 유지에 관해서는, 정보 유지부 (4027) 는,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달하고 나서 상기 목적지에서 사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 (60) 이, 센터 서버 (400) 내의 소정의 업무 정보에 액세스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정보 유지부 (4027) 는 상기 소정의 업무 정보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업무 정보를 유지하는 것이 된 경우에 당상기정의 업무 정보가 유지되는 센터 서버 (400) 내의 소정의 폴더에 대한, 사용자 단말 (60) 의 액세스권을 설정한다. 또한, 사용자는 이용 의뢰시에, 출발지 및 목적지에 관한 정보에 더하여 사용자 단말 (60) 을 식별하는 정보를 센터 서버 (400) 에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 (60) 의 액세스권의 설정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9 에 나타내는 업무 지원 제어가 실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하는 차량 (100) 내에서 제안된 소정 업무를 만일 완료할 수 없어도, 도달한 목적지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60) 을 통해서 소정의 업무 정보에 액세스 함으로써, 또한 계속해서 소정 업무의 수행을 도모하고, 소정 업무의 완료를 목표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60) 에서 완료된 소정 업무에 관한 전자 파일은, 완료에 수반하여 업무 관리 서버 (500) 측으로 옮겨짐과 함께 사용자 단말 (60) 로부터는 소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서술까지의 업무 지원 시스템은, 차량 (100) 내에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산출부 (4023) 등은 차량 (100) 내에 형성된다. 센터 서버 (400) 로부터 운행 지령을 받은 차량 (100) 은 운행 계획 생성부 (1031) 에 의해 운행 계획을 생성함과 함께, 사용자의 업무 지원을 위해서 업무 지원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이 때 운행 계획이 차량 (100) 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산출부 (4023) 에 의한 소요 시간의 산출 처리는 차량 (100) 내에서 완결하게 된다. 한편, 취득부 (4024) 는, 센터 서버 (400) 를 통해서 업무 관리 서버 (500) 에 액세스하고, 잔존 업무 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제안부 (4025) 는, 차량 (100) 의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제안해도 되고, 센터 서버 (400) 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 (50) 에 제안해도 된다. 형성부 (4026) 는, 차량 (100) 의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업무 가능 상태를 형성한다. 또, 정보 유지부 (4027) 는, 미완료 상태의 소정 업무에 관련된 소정의 업무 정보를 차량 (100) 내의 기억부 (도시하지 않음) 에 유지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 (60) 로부터의 액세스를 고려하여, 센터 서버 (400) 에 유지시켜도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서술까지의 업무 지원 시스템이, 차량 (100) 과 센터 서버 (400) 에 걸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산출부 (4023) 등의 각 구성은, 차량 (100) 과 센터 서버 (400) 중 어느 것에 배치되고, 각 구성이 적절히 협동하고, 적합하게 사용자의 업무 수행의 지원 처리를 실현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차량 (100) 은 자율 주행을 실시하는 차량이 아니라, 이용 의뢰를 실시하는 사용자와는 다른 운전 기사가 조종하는 차량이어도 된다.
기록 매체
컴퓨터 그 밖의 기계, 장치 (이하, 간단히 「컴퓨터 등」 이라고 칭한다) 에 상기의 업무 지원 제어를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컴퓨터 등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컴퓨터 등에, 상기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을 읽어들이게 하여 실행시킴으로써, 상기 컴퓨터가 상기의 센터 서버 (400) 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컴퓨터 등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기계적,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축적하고, 컴퓨터 등으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를 말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기록 매체 중 컴퓨터 등으로부터 떼어내기 가능한 것으로는, 예를 들어, 플렉시블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W (Compact Disc-Re Writable), DVD, 블루 레이 디스크, DAT (Digital Audio Tape), 8 ㎜ 테이프, 플래쉬 메모리 등의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또, 컴퓨터 등에 고정된 기록 매체로서 하드 디스크, ROM (리드 온리 메모리) 등이 있다. 또한, SSD (Solid State Drive) 는, 컴퓨터 등으로부터 떼어내기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도, 컴퓨터 등에 고정된 기록 매체로서도 이용 가능하다.

Claims (10)

  1. 업무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업무 지원 시스템은 차량 (100) 에 탑재되는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사용한 사용자의 업무 수행을 지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업무 지원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잔존 업무에 관한 잔존 업무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관련지어 설정된 소정의 목적지에 상기 차량 (100) 이 도달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 (100) 에 승차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관련지어진 상기 잔존 업무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잔존 업무 정보에 포함되는 잔존 업무 중에서, 상기 소요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통해서 완료하는 것이 예측되는 소정 업무를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소정 장치에 대하여 상기 추출된 소정 업무를 제시하도록 구성되는, 업무 지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소정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시된 소정 업무를 받아들이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얻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 업무를 받아들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통해서 상기 소정 업무에 필요한 업무 정보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가하는 업무 가능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업무 지원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와는 상이한 장치이고 또한 상기 차량 (100) 이외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소정 장치에 대하여 상기 소정 업무의 제안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소정 장치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 업무를 받아들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 (100) 에 승차할 때까지 상기 업무 가능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업무 지원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소정 장치로서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대하여, 상기 소정 업무의 제안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 업무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상기 업무 가능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업무 지원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 업무 정보는, 상기 잔존 업무를 복수의 서브 업무로 분할했을 때의 상기 서브 업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분할된 상기 서브 업무 중에서, 상기 소요 시간 내에 사용자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통해서 완료하는 것이 예측되는 상기 서브 업무를 상기 소정 업무로서 추출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소정 장치에 대하여, 추출된 상기 서브 업무를 포함하는 상기 잔존 업무를, 상기 소정 업무로서 제시하도록 구성되는, 업무 지원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 업무 정보는, 상기 잔존 업무의 우선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소요 시간 내에 사용자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통해서 완료하는 것이 예측되는 상기 잔존 업무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잔존 업무에 관한 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업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업무 지원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 (100) 이 상기 소정의 목적지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소정 업무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소정 업무에 관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내에서 형성되어 있는 업무 상황에 관련된 소정 정보를 기록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소정 정보는, 상기 소정의 목적지에 관련지어지고 또한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 (150) 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내에서 형성되어 있는 업무 상황과 동일한 상황을 재현하도록 정해진 정보인, 업무 지원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100) 은,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서버와 접속되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목적지로의 이동 지령에 따라서 사용자가 조종하는 일 없이 상기 소정의 목적지를 향하여 자율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자율 이동 차량인, 업무 지원 시스템.
  9. 업무 지원 방법으로서,
    상기 업무 지원 방법은, 서버를 사용하여, 차량 (100) 에 탑재되는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사용한 사용자의 업무 수행을 지원하는 업무 지원 방법이며,
    상기 업무 지원 방법은: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있어서 완료해야 할 잔존 업무에 관한 잔존 업무 정보를 관련지어 상기 서버의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기억하는 것;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관련지어 설정된 소정의 목적지에 상기 차량 (100) 이 도달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것;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차량 (100) 에 승차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무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관련지어진 상기 잔존 업무 정보를 취득하는 것;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관련지어진 상기 잔존 업무 정보에 포함되는 잔존 업무 중에서, 상기 소요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통해서 완료하는 것이 예측되는 소정 업무를 추출하는 것;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소정 장치에 대하여 상기 추출된 소정 업무를 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업무 지원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소정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시된 상기 소정 업무를 받아들이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얻는 것;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 업무를 받아들인 경우에,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통해서 상기 소정 업무에 필요한 업무 정보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가하는 업무 가능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정보 처리 장치 (150) 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업무 지원 방법.
KR1020180163238A 2017-12-27 2018-12-17 업무 지원 시스템 및 업무 지원 방법 Active KR102215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1197A JP6635107B2 (ja) 2017-12-27 2017-12-27 業務支援システム、及び業務支援方法
JPJP-P-2017-251197 2017-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522A KR20190079522A (ko) 2019-07-05
KR102215156B1 true KR102215156B1 (ko) 2021-02-10

Family

ID=6500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238A Active KR102215156B1 (ko) 2017-12-27 2018-12-17 업무 지원 시스템 및 업무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197454A1 (ko)
EP (1) EP3506178A1 (ko)
JP (1) JP6635107B2 (ko)
KR (1) KR102215156B1 (ko)
CN (1) CN109978194A (ko)
BR (1) BR102018075912A2 (ko)
RU (1) RU2700239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8026B1 (en) 2015-05-26 2016-06-14 Google Inc. Fallback requests for autonomous vehicles
US10901415B1 (en) * 2015-05-26 2021-01-26 Waymo Llc Non-passenger requests for autonomous vehicles
JP7500923B2 (ja) * 2019-07-04 2024-06-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7243533B2 (ja) * 2019-09-03 2023-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363248B2 (ja) * 2019-09-17 2023-10-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008073A (zh) * 2019-11-22 2020-04-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JP7276109B2 (ja) * 2019-12-16 2023-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CN111045429A (zh) * 2019-12-30 2020-04-21 北京小马慧行科技有限公司 运载工具的控制方法、控制装置、存储介质和处理器
JP7448419B2 (ja) * 2020-06-01 2024-03-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体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438851B2 (ja) 2020-06-01 2024-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体制御装置、移動体、移動体管理システム、移動体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18610B2 (ja) * 2020-08-07 2023-08-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バ、車両運行管理方法、車両及び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CN112085378B (zh) * 2020-09-04 2023-02-03 中国平安财产保险股份有限公司 资源分配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2022081355A (ja) * 2020-11-19 2022-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4162141B (zh) * 2021-12-09 2024-04-16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3334A (ja) * 1995-12-28 1997-07-15 Fujita Corp 移動式オフィス
JP2000029945A (ja) * 1998-07-08 2000-01-28 Nec Corp 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149932A (ja) * 2000-11-10 2002-05-24 Konica Corp データアクセス方法、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ジョブ管理システム
US20040236704A1 (en) * 2003-05-22 2004-11-25 Gotfried Bradley L.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ompensation opportunity to a task candidate
JP2006146530A (ja) * 2004-11-19 2006-06-08 Hitachi Ltd スケジューリング支援システム
US20160027307A1 (en) * 2005-12-23 2016-01-28 Raj V. Abhyanker Short-term automobile rentals in a geo-spatial environment
US8645182B2 (en) * 2007-10-02 2014-0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ted calendar and task scheduler
JP5007663B2 (ja) * 2007-11-30 2012-08-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業務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RU2011118397A (ru) * 2008-10-08 2012-11-20 Томтом Интернэшнл Б.В. (Nl) Навиг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ерв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данных о точках интереса
JP2010262337A (ja) * 2009-04-30 2010-11-18 Cf Net's:Kk 賃貸不動産管理方法
US8386177B2 (en) * 2009-05-13 2013-02-26 Taiwan Mobile Communication Vehicle-dispatching method and vehicle-dispatching system
US20150224998A1 (en) * 2010-07-29 2015-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Driver Interface Tasks Based On Driver Workload
RU2442220C1 (ru) * 2010-11-01 2012-02-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атнефть" им. В.Д. Шашина Система для контро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и передвижения персонала
US9323232B2 (en) * 2012-03-13 2016-04-26 Nokia Technologies Oy Transportion remote call system based on passenger geo-routines
JP2014215162A (ja) * 2013-04-25 2014-11-17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
US20150242944A1 (en) * 2013-09-20 2015-08-27 Eugene S. Willard Time dependent inventory asset management system for industries having perishable assets
JP6220711B2 (ja) * 2014-03-26 2017-10-25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車両状態診断システム、及び移動体の車両状態診断方法
US20150276412A1 (en) * 2014-03-31 2015-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lobal Positioning System Routing Based On Altering Arrival Time
US20150379455A1 (en) * 2014-06-30 2015-12-31 Authoria, Inc. Project planning and implementing
US10055726B2 (en) * 2014-07-14 2018-08-21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mobile banking resources
KR20170041237A (ko) * 2014-08-04 2017-04-14 우버 테크놀로지스, 인크. 미리 결정된 위치 데이터 포인트를 결정하고,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US20170167882A1 (en) * 2014-08-04 2017-06-15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vailable ride-share paths in a transportation network
JP2016197337A (ja) * 2015-04-03 2016-11-24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利用者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20160379175A1 (en) * 2015-06-23 2016-12-29 Mayukh Bhattachary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Optimized Personal Task Scheduling and Targeted Advertising
JP6392734B2 (ja) * 2015-11-27 2018-09-19 株式会社Subaru 情報処理装置、車両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車両の情報処理方法
JP6742125B2 (ja) * 2016-03-30 2020-08-19 アマノ株式会社 業務管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業務管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35107B2 (ja) 2020-01-22
JP2019117526A (ja) 2019-07-18
EP3506178A1 (en) 2019-07-03
BR102018075912A2 (pt) 2019-07-16
CN109978194A (zh) 2019-07-05
RU2700239C1 (ru) 2019-09-13
KR20190079522A (ko) 2019-07-05
US20190197454A1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156B1 (ko) 업무 지원 시스템 및 업무 지원 방법
JP2021193578A (ja) アクティブ迎車システムにおける迎車制御サーバ、車載端末、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10007668B (zh) 移动体系统及移动体系统的控制方法
JP2019139264A (ja) 情報処理装置、集配システム、集配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77163B2 (ja) 駐車管理装置、駐車管理システムおよび駐車管理方法
CN115440077A (zh) 自动代客泊车管理系统以及自动代客泊车管理方法
JP7251467B2 (ja) 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10120966A (zh) 业务支援系统及业务支援方法
CN110154869B (zh) 移动体系统及运行控制方法
CN113178065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存储介质、车辆
CN111612389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非瞬时性存储介质
CN113283615A (zh) 信息处理装置、非暂时性存储介质以及信息处理方法
CN113253634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车辆
CN112863227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存储程序的非瞬时性存储介质
JP729409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7616790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24861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755263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移動体
JP727610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CN117387637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移动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