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14857B1 - 단당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단당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857B1
KR102214857B1 KR1020157027781A KR20157027781A KR102214857B1 KR 102214857 B1 KR102214857 B1 KR 102214857B1 KR 1020157027781 A KR1020157027781 A KR 1020157027781A KR 20157027781 A KR20157027781 A KR 20157027781A KR 102214857 B1 KR102214857 B1 KR 102214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urfactants
tagatose
disease
pl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6666A (ko
Inventor
토시아키 오하라
키요코 타나카
슈지 이시자키
시게히로 카토
카즈야 아키미츠
켄 이즈모리
Original Assignee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징 카가와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징 카가와다이가쿠 filed Critical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6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8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aliphatically bound aldehyde or keto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01N43/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단당의 효력을 증강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단당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다만, 아세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제외한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다만, 리그닌설폰산염을 제외한다),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아미노산, 아미노당, 이당 알코올, 및 염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고, 농업용 방제 조성물로서 식물 병해, 특히 균류에 의한 병해, 세균에 의한 병해에 유효하다.

Description

단당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조성물{COMPOSITION FOR ENHANCING PLANT DISEASE CONTROL EFFECT OF MONOSACCHARIDE}
본 발명은, 단당(單糖)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조성물에, 특정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특정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아미노산, 아미노당, 이당(二糖) 알코올, 및 염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조제(助劑)를 배합함으로써, 유효 성분인 단당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가 증강된 조성물, 그 조성물을 사용한 식물 병해 방제 방법, 및 단당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업 생산에 있어서, 식물 병해 방제제, 즉 농약은, 살균제 등과 같이 병해의 방제를 목적으로 하여, 농사일의 절력화나, 농업 생산물의 품질이나 수확량을 안정시킬 목적으로 사용되고, 안심 안전한 농업 생산물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현재의 농업에는 불가결한 것이다. 종래, 식물 병해 방제제 중에서, 동일한 작용성을 가지는 수많은 액제를 특정의 식물 병해 방제 대상에, 빈번하면서 때로는 과잉으로 사용함으로써, 대상의 식물 병원균이, 그 작용성을 가지는 농약에 대하여 내성화(耐性化)하는 현상이 현저하게 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요즈음, 감농약(減農藥) 작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화학 합성된 식물 병해 방제제에 의한 환경 영향의 저감화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도 고조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 종래의 화학 합성된 식물 병해 방제제와 비교하여 환경에 대한 영향이 적고, 각종 병해에 대하여 넓은 스펙트럼을 가지고, 또한, 기존의 병해 방제제에 효과가 없는 내성균에 대하여도 효과가 높은 식물 병해 방제제 및 식물 병해 방제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단당은, 다당류나 소당류의 구성요소이고, 그 이상 가수분해되지 않는 당류로서, 일반적으로 그 화학 구조에 포함되는 관능기에 의하여, 알도오스, 케토오스, 당(糖)알코올(폴리올) 등으로 분류된다. 알도오스로서는,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탈로오스, 갈락토오스, 이도오스, 글로오스, 리보오스, 릭소오스, 자일로오스, 아라비노오스, 에리트로스, 트레오스, 글리세르알데하이드; 케토오스로서는, 프룩토오스, 프시코오스, 타가토오스, 소르보오스, 크실룰로오스, 리브로오스, 에리트룰로오스,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당 알코올로서는, 글루시톨, 만니톨, 알트리톨, 이디톨, 알리톨, 갈락티톨, 아라비톨, 자일리톨, 리비톨, 트레이톨, 에리트리톨, 글라이세린, 이노시톨, 쿠에르시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대부분에 D체(體), L체(體)의 광학 이성체가 있다.
일부의 단당에 관하여는, 식물에 투여한 경우, 식물의 병해 저항성을 증폭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2). 또한, 실제의 식물체에 대하여도 식물 병해 방제제로서 유효하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면, D-타가토오스는, 노균(露菌)병균(오이 노균병균, 포도 노균병균, 양배추 노균병균 등), 흰가루 병균(오이 흰가루 병균 등), 녹병균류(밀 붉은녹병 등) 등의 절대 기생균에 의한 병해, 토마토 역병균 및 피시움 병균 등의 난균류에 의한 병해에 대하여 방제(防除) 효과를 나타내고, 식물 병해 방제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특허문헌 3). 또한, D-탈로오스는 벼 도열병균, 오이 탄저병균, 양배추 검은 그을음 병균, 벼 깨씨무늬병균, 사과 검은별무늬병균, 보리 흰가루 병균, 오이 흰가루 병균, 벼 흰잎마름 병균, 오이 반점(斑点) 세균 병균, 토마토 풋마름 병균에 의한 식물 병해의 방제제로서, L-프룩토오스는 오이 탄저병균, 양배추 검은 그을음 병균, 오이 모잘록병을 일으키는 Pythium균, 오이 반점 세균 병균, 토마토 풋마름 병균에 의한 식물 병해의 방제제로서, D-알로오스는 벼 도열병균, 오이 탄저병균, 양배추 검은 그을음 병균, 오이 흰가루 병균, 토마토 역병균, 오이 노균병균, 오이 모잘록병을 일으키는 Pythium균에 의한 식물 병해의 방제제로서, D-프시코오스는 벼 도열병균, 오이 탄저병균, 보리 흰가루 병균, 오이 흰가루 병균, 오이 반점 세균 병균, 토마토 풋마름 병균에 의한 식물 병해의 방제제로서, D-갈락토오스는 벼 잎집무늬마름 병균, 오이 모잘록병을 일으키는 Pythium균, 토마토 풋마름 병균, 배추 무름병균에 의한 식물 병해의 방제제로서, D-소르보오스는 오이 반점 세균 병균, 토마토 풋마름 병균에 의한 식물 병해의 방제제로서, D-만노오스는 오이 반점 세균 병균에 의한 식물 병해의 방제제로서, D-만니톨은 벼 흰잎마름 병균, 오이 반점 세균 병균에 의한 식물 병해의 방제제로서 유효하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특허문헌 4, 5). 그러나, 이상의 단당의 식물 병해 방제제로서의 처리 농도가 비교적 고농도인 것, 또한, 단당을 산포액(散布液)에 용해하여 약액을 작성할 때의 희석성 및 분산성이 충분하지 않은 것이 문제점으로서 들고 있다.
단당과, 그 밖의 물질을 조합하는 것에 의한 상승적인 방제 효과에 관하여는, D-타가토오스와, 다른 당류 및 살균 및/또는 살곰팡이 작용을 가지는 물질을 조합하는 것이, 특허문헌 3에는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당류로서는 중성의 단당류에 대한 시험예가 나타내 있을 뿐이고, 이당류를 비롯한 그 밖의 당류의 효력의 기재는 없다.
또한, 농약으로서 사용되는 액제의 효력 증강을 위해서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농약은 통상 지용성(脂溶性)의 화합물이고, 선행기술은 이러한 화합물에 대한 효력 증강을 도모해 온 것으로, 실제로는 효력 증강이라는 것보다는 효력 안정화의 의미가 강했다.
한편, 단당은 수용성이 매우 높은 화합물이고, 수용액 중에서는 α-피라노오스, β-피라노오스, α-푸라노오스, β-푸라노오스, 및 직쇄 구조의 평형 상태로 존재하고 있고, 이와 같은 화합물에 대하여 종래의 농약 보조제가 어떤 효과가 있는지는 전혀 불분명했다. 단당이 식물 병해 방제제로서 유효한 것을 기재한 특허문헌 3, 4, 5에도 효력을 증강하기 위해서 보조제로서 여러 가지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의 보조제의 효력에 관한 시험예는 없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특개2004-30007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특개2006-8669호 공보 특허문헌 3: PCT/JP2009/003925(WO2010/021121) 특허문헌 4: 일본공개특허 특개2012-188367 특허문헌 5: 일본공개특허 특개2012-188368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기술 배경 하에 이루어진 것이고, 단당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사용한 식물 병해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현상을 감안하여, 농약 보조제나 천연물 등의 여러 가지의 유기 화합물을 단당에 첨가했을 때의 식물 병해 방제 시험을 실시한 결과, 놀랍게도, 단당과, 특정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특정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아미노산, 아미노당, 이당 알코올, 또는 염류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단당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현저하게 증강할 수 있고, 그 결과, 단당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 또한, 단당만의 효력으로부터는 예상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식물 병해에 대하여 효력이 증강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 1) 내지 (발명 10)의 조성물에 관련되는 것이다.
(발명 1) 단당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다만, 아세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제외한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다만, 리그닌설폰산염을 제외한다),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아미노산, 아미노당, 이당 알코올, 및 염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발명 2) 단당이, D-타가토오스, D-알로오스, D-프시코오스, D-탈로오스, D-소르보오스, D-갈락토오스, L-프룩토오스, D-만노오스, 및 D-만니톨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인, 상기 발명 1의 조성물.
(발명 3) 단당이 D-타가토오스인, 상기 발명 1 또는 2의 조성물.
(발명 4)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 알킬폴리글라이코시드,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 글라이세린지방산에스터, 폴리글라이세린지방산에스터, 프로필렌글라이콜지방산에스터, 솔비탄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터, 자당(sucrose)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알킬렌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비스페닐에터, 지방산다이에탄올아미드, 및 알킬이미다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이고;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α-올레핀설폰산염, 알킬설폰산염, 알킬다이페닐에터다이설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설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설포석신산하프에스터, 알킬황산염, 설포석신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아세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인산염, 알킬인산에스터, 메틸타우린산염, 폴리카복실산염, 및 지방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이고;
양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알킬아민염, 및 제4급 암모늄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이고;
양성 계면활성제가, 알킬베타인, 알킬글라이신, 아민옥사이드, 및 레시틴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이고;
수용성 고분자가, 폴리옥시알킬렌, 덱스트린, 알파화 전분, 에터화 전분, 크산탄감, 구아감, 및 폴리바이닐피롤리돈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이고;
아미노산이, L-아스파라긴산, L-글루타민산, 글라이신, β-알라닌, 및 L-피로글루타민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이고;
아미노당이, D-글루코사민염산염, 및 D-갈락토사민염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이고;
이당 알코올이, 말티톨, 아이소말티톨, 락티톨, 및 아이소말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이고;
염류에 있어서, 염을 형성하는 염기 유래의 양이온이 나트륨, 칼륨, 암모늄, 칼슘, 및 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이온인, 상기 발명 1∼3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
(발명 5)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 알킬폴리글라이코시드,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 글라이세린지방산에스터, 폴리글라이세린지방산에스터, 프로필렌글라이콜지방산에스터, 솔비탄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터, 지방산다이에탄올아미드, 및 알킬이미다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이고;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α-올레핀설폰산염, 알킬황산염, 설포석신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아세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인산염, 메틸타우린산염, 및 폴리카복실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이고;
염류에 있어서, 염을 형성하는 음이온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탄산, 또는 아세트산 유래로서, 염기 유래의 양이온이 나트륨, 칼륨, 암모늄, 칼슘, 및 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이온인, 상기 발명 1∼3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
(발명 6) 단당이, D-타가토오스이고;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알킬황산염, 아릴설폰산염, 및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인, 상기 발명 1∼5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
(발명 7) 상기 발명 1∼6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로서, 조성물 전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단당 1∼95질량부; 및 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발명 8) 상기 발명 7의 조성물로서, 조성물 전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 5∼95질량부; 및 알킬황산염 0.01∼5질량부, 아릴설폰산염 0.01∼5질량부, 및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0.01∼20질량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발명 9)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제인, 상기 발명 1∼8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
(발명 10) 식물 병해가, 균류에 의한 병해, 또는 세균에 의한 병해인, 상기 발명 9의 조성물.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발명 11) 내지 (발명 13의)의 식물 병해 방제 방법, 및 (발명 14) 내지 (발명 15)의 단당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방법에도 관련되는 것이다.
(발명 11) 상기 발명 1∼10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식물체에 시용(施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
(발명 12) 식물체로의 시용이, 조성물을 식물체 또는 종자와 접촉시키고, 또는 재배 토양에 함유시킴으로써 식물의 뿌리 또는 땅속 줄기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한, 상기 발명 11의 식물 병해 방제 방법.
(발명 13) 재배 토양으로의 시용이, 조성물의 토양 표면으로의 처리, 토양으로의 관주(灌注), 또는 토양으로의 혼화(混和)인, 상기 발명 12의 식물 병해에 대한 식물 병해 방제 방법.
(발명 14) 단당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발명 1∼10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식물체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발명 15) 단당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방법으로서, 단당,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다만, 아세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제외한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다만, 리그닌설폰산염을 제외한다),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아미노산, 아미노당, 이당 알코올, 및 염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을, 동시, 또는 별개로, 식물체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단당에, 특정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특정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아미노산, 아미노당, 이당 알코올, 및 염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조제를 조합하여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당만과 비교하여, 다양한 식물 병해에 대하여 증강된 식물 병해 방제 효과, 및 개선된 안정성·희석성을 가진다. 그 때문에, 액제 내성균을 포함하는 균류, 세균류에 의한 각종 병해에 대하여, 단당의 사용량을 줄이고, 식물에 약해(藥害)를 부여하는 일 없이, 경엽(莖葉)산포제, 토양처리제, 또는 종자처리제 등으로서,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이들 효과는, 동업자이라도 예상할 수 없었던 사실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임의의 단당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D체, L체의 광학 이성체가 있는 단당으로서는,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탈로오스, 갈락토오스, 이도오스, 글로오스, 리보오스, 데옥시리보오스, 릭소오스, 자일로오스, 아라비노오스, 에리트로스, 트레오스, 글리세르알데하이드, 프룩토오스, 프시코오스, 타가토오스, 소르보오스, 크실룰로오스, 리브로오스, 에리트룰로오스, 글루시톨, 만니톨, 알트리톨, 이디톨, 아라비톨, 트레이톨, 람노오스, 및 푸코오스; 광학 이성체가 없는 단당으로서는,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알리톨, 갈락티톨, 자일리톨, 리비톨, 에리트리톨, 및 글라이세린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D-타가토오스, D-알로오스, D-프시코오스, D-탈로오스, D-소르보오스, D-갈락토오스, L-프룩토오스, D-만노오스 및 D-만니톨; 보다 바람직하게는 D-타가토오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아세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제외한 임의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에터,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에터 등),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아미드 등), 알킬폴리글라이코시드(데실폴리글루코시드 등),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놀, 폴리옥시알킬렌스티릴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벤질페닐에터, 폴리옥시알킬렌벤질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터포르말린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다이알킬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포르말린 축합물 등), 글라이세린지방산에스터(글라이세린모노팔미테이트, 글라이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글라이세린모노베헤네이트, 글라이세린모노12-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 글라이세린모노올레에이트, 글라이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라이세린모노카프레이트, 글라이세린모노라우레이트, 글라이세린모노 혹은 다이스테아레이트, 글라이세린모노 혹은 다이팔미테이트, 글라이세린모노 혹은 다이베헤네이트, 글라이세린모노 혹은 다이올레에이트, 글라이세린다이아세토모노라우레이트, 글라이세린다이아세토모노올레에이트 등의 지방산모노 혹은 다이글라이세리드; 아세트산지방산모노글라이세리드, 시트르산지방산모노글라이세리드, 석신산지방산모노글라이세리드, 락트산지방산모노글라이세리드, 다이아세틸주석산지방산모노글라이세리드 등의 글라이세린 유기산지방산에스터; 아세틸화모노글라이세리드; 중쇄(中鎖) 지방산트라이글라이세리드; 등), 폴리글라이세린지방산에스터(다이글라이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다이글라이세린모노라우레이트, 다이글라이세린모노미리스테이트, 다이글라이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다이글라이세린모노올레에이트, 테트라글라이세린스테아레이트, 데카글라이세린라우레이트, 폴리글라이세린폴리리시놀레이트 등), 프로필렌글라이콜지방산에스터(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팔미테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올레에이트 등), 솔비탄지방산에스터(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트라이스테아레이트, 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 등),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터(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트라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올레에이트 등), 자당지방산에스터(자당모노카프레이트, 자당모노라우레이트 등), 폴리옥시알킬렌지방산에스터(폴리옥시에틸렌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수지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다이에스터 등),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 알킬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에터, 알킬페닐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에터 등),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비스페닐에터, 지방산다이에탄올아미드, 및 알킬이미다졸린을 들 수 있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 알킬폴리글라이코시드,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 글라이세린지방산에스터, 폴리글라이세린지방산에스터, 프로필렌글라이콜지방산에스터, 솔비탄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터, 지방산다이에탄올아미드, 및 알킬이미다졸린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리그닌설폰산염을 제외한 임의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이고, 아릴설폰산염(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등의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모노알킬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혹은 다이알킬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등의 알킬나프탈렌설폰산염; 등),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나프탈렌설폰산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염 등의 나프탈렌설폰산포르말린 축합물 염; 알킬나프탈렌설폰산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염 등의 알킬나프탈렌설폰산포르말린 축합물 염; 페놀설폰산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염 등의 페놀설폰산포르말린 축합물 염; 등), α-올레핀설폰산염(α-올레핀설폰산나트륨 등), 알킬설폰산염(알킬설폰산나트륨 등), 알킬다이페닐에터다이설폰산염(알킬다이페닐에터다이설폰산나트륨 등),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설폰산염(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설폰산나트륨 등),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설포석신산하프에스터, 알킬황산염(라우릴황산나트륨 등), 설포석신산염(다이알킬설포석신산염 등),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황산염(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터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터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벤질페닐에터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스티릴페닐에터황산염 등),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황산염(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터황산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황산염; 등),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황산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황산나트륨 등),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아세트산염(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터아세트산나트륨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아세트산염; 등),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인산염(폴리옥시에틸렌스틸렌화페닐에터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터인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벤질페닐에터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인산염 등),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인산염(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터인산모노에탄올아민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터인산 에스터 등),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인산염(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인산나트륨 등), 알킬인산에스터(알킬인산, 알킬인산나트륨 등), 메틸타우린산염(올레일메틸타우리드나트륨 등), 폴리카복실산염(알킬렌말레산공중합체나트륨, 말레산아이소뷰틸렌코폴리머, 아크릴산말레산공중합체나트륨, 폴리카복실산나트륨·다이스티릴페닐에터황산염암모늄염 등), 및 지방산염(반경화우지(牛脂)지방산 소다 비누 등)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α-올레핀설폰산염, 알킬황산염, 설포석신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아세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인산염, 메틸타우린산염, 및 폴리카복실산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임의의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킬아민염(코코넛아민아세테이트, 스테아릴아민아세테이트 등), 및 제4급 암모늄염(염화다이데실다이메틸암모늄, 염화올레일비스(2-하이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 알킬트라이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메틸폴리옥시에틸렌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N-메틸피리듐브로마이드, 알킬메틸화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펜타메틸프로필렌다이아민다이클로라이드알킬다이메틸벤잘코늄클로라이드, 벤제토늄클로라이드, 및 염화세틸피리듐 등)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임의의 양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킬베타인(라우릴베타인, 다이알킬다이아미노에틸베타인, 알킬다이메틸벤질베타인 등), 알킬글라이신(다이알킬다이아미노에틸글라이신, 알킬다이메틸벤질글라이신 등), 아민옥사이드(라우릴다이메틸아민옥사이드 등), 및 레시틴류(대두 레시틴, 난황(卵黃) 레시틴 등의 글리세롤린 지방질; 등)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킬베타인, 및 아민옥사이드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임의의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고분자(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메타크릴산나트륨, 부분검화아세트산바이닐과 바이닐에터의 공중합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및 그 에스터 또는 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 등),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옥시에틸렌,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 셀룰로오스 유도체(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 가공 전분(덱스트린, 알파화 전분, 가용성 전분, 에터화 전분, 에스터화 전분 등), 천연 고분자(크산탄감, 구아감, 알긴산나트륨 등), 합성계 고분자(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바이닐피롤리돈 등) 등 각종의 수용성 천연 고분자, 수용성 반합성 고분자,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알킬렌, 덱스트린, 알파화 전분, 에터화 전분, 크산탄감, 구아감, 및 폴리바이닐피롤리돈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터화 전분, 및 크산탄감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임의의 아미노산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D체, L체의 광학 이성체를 가지는 아미노산으로서, 알라닌, 바린, 루신, 아이소루신,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프롤린, 아스파라긴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산, 글루타민, 히스티딘, 아르기닌, 리신, 노르발린, 호모세린, 호모시스테인, 하이드록시프롤린, 오르니틴, 시트룰린, 3,4-다이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 테아닌, 피로글루타민산, 및 카르니틴을 들 수 있다. 광학 이성체를 가지지 않는 아미노산으로서는, 글라이신, 사르코신, 글라이신베타인, 구아니디노아세트산, β-알라닌, γ-아미노뷰티르산, 타우린, 크레아틴, 및 2-아미노아이소뷰티르산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아스파라긴산, L-글루타민산, 글라이신, β-알라닌 및 L-피로글루타민산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임의의 아미노당 또는 그 염을 사용할 수 있다. 염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염산염, 황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D-글루코사민, D-글루코사민염산염, N-아세틸-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D-갈락토사민염산염, N-아세틸-D-갈락토사민, D-만노사민, D-만노사민염산염, 및 N-아세틸-D-만노사민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D-글루코사민염산염, 및 D-갈락토사민염산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임의의 이당 알코올을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말티톨, 아이소말티톨, 락티톨, 및 아이소말토(파라티닛토)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임의의 산 및 염기 유래의 이온이 이온 결합된 염류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을 형성하는 염기 유래의 양이온이 나트륨, 칼륨, 암모늄, 칼슘, 또는 마그네슘 각각의 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을 형성하는 음이온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탄산, 또는 아세트산 유래이며, 정염(正鹽), 산성염, 염기성염 중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NaCl, NaHSO4, Na2SO4, NaHCO3, Na2CO3, NaNO3, NaH2PO4, Na2HPO4, Na3PO4, CH3CO2Na, KCl, KHCO3, K2CO3, KHSO4, K2SO4, KNO3, KH2PO4, K2HPO4, K3PO4, CH3CO2K, CaCl2, Ca(OH)Cl, Ca(NO3)2, CaSO4, CaHPO4, Ca(H2PO4)2, Ca3(PO4)2, CaCO3, MgCl2, Mg(OH)Cl, Mg(NO3)2, MgSO4, MgHPO4, Mg(H2PO4)2, Mg3(PO4)2, MgCO3, NH4Cl, NH4NO3, (NH4)2SO4, NH4H2PO4, (NH4)2HPO4, CH3CO2NH4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단당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다만, 아세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제외한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다만, 리그닌설폰산염을 제외한다),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아미노산, 아미노당, 이당 알코올, 및 염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조제를, 단당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를 증강할 수 있는 배합비로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당 1질량부에 대하여, 조제 0.001∼40질량부의 배합비, 바람직하게는 단당 1질량부에 대하여, 조제 0.0025∼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당 1질량부에 대하여, 조제 0.005∼1질량부의 배합비로 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제로서 상기 특정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상기 특정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또는 수용성 고분자를 배합하는 경우는, 단당 1질량부에 대하여, 조제 0.0001∼40질량부의 배합비, 바람직하게는 단당 1질량부에 대하여, 조제 0.001∼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당 1질량부에 대하여, 조제 0.0025∼1질량부의 배합비로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조제로서 아미노산, 아미노당, 이당 알코올, 또는 염류를 배합하는 경우는, 단당 1질량부에 대하여, 조제 0.1∼5질량부의 배합비, 바람직하게는 단당 1질량부에 대하여, 조제 0.5∼1질량부의 배합비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배합예로서는, 단당으로서 D-타가토오스; 및 알킬황산염, 아릴설폰산염, 및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조제를 포함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배합예의 일 태양(態樣)으로서는, 조성물 전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단당 1∼95질량부; 및 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또한, 단당으로서 D-타가토오스 5∼95질량부; 및 알킬황산염 0.01∼5질량부, 아릴설폰산염 0.01∼5질량부, 및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0.01∼20질량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보다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의 성분을 상기의 비율로 배합하고, 원하는 제형(劑型)으로 제제화(製劑化)할 수 있다. 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분제(粉劑), 수화제(水和劑), 과립 수화제, 수용제(水溶劑), 과립수용제, 입제(粒劑) 등의 고형제제; 유제(乳劑), 액제, 마이크로에멀젼제, 수성 현탁제제, 수성 유탁(乳濁)제제, 사스포에멀젼 제제 등의 액상 제제 중 어느 제형이어도 되고, 폭넓은 제제의 종류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예시한 구체적인 제형 이외의 제형이라도, 직접 또는 희석한 후에, 식물체 또는 종자와 접촉시키는, 또는 재배 토양에 함유시키는 임의의 제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제 형태인 고형 제제에는, 고형 제제 전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의 단당을 유효 성분으로서 통상 1∼9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40∼9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60∼85질량부 배합할 수 있고, 잔부(殘部)는, 상기 조제와,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는 그 밖의 각종 보조 성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제 형태인 액상 제제에는, 액상 제제 전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의 단당을 유효 성분으로서 통상 1∼8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3∼5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4∼20질량부 배합할 수 있고, 잔부는, 상기 조제와,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는 그 밖의 각종 보조 성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의 단당 및 조제의 원체(原體)만을 함유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농업용 제제에 통상 배합되는 그 밖의 계면활성제, 고체 담체, 액체 담체, 결합제, 용제(溶劑), 산화방지제, 자외선방지제 등의 안정화제, 구연산, 탄산마그네슘 등의 pH조정제, 벤조산나트륨, 소르빈산칼륨, 1,2-벤즈아이소싸이아졸린-3-온, 에틸파라벤 등의 방균방미제, 색소 등의 그 밖의 각종 보조 성분을 더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더 사용할 수 있는 그 밖의 계면활성제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아세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리그닌설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담체는, 유효 성분 화합물의 식물으로의 도달성의 도움 또는 유효 성분의 저장, 수송 혹은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조성물 중에 혼합되는, 합성 또는 천연의 무기 또는 유기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고체 담체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진흙, 규석, 탈크, 벤토나이트,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경석(輕石), 규조토, 버뮤큘라이트, 펄라이트, 아타펄자이트, 화이트 카본, 요소(尿素), 염화칼륨, 황산암모늄, 황산나트륨, 포도당, 자당, 유당, 및 파라핀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통상 농약 분제나 입제(粒劑)에 이용되는, 소위 증량제나 담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액체 담체로서는, 물, 탄화수소 용제, 탄화수소 용제 이외의 그 밖의 용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결합제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덱스트린, 전분, 가용성 전분, α전분, 알긴산나트륨,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젤라틴, 카세인,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바이닐피롤리돈, 아크릴산 공중합체, 말레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용제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사이클로헥산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렌글라이콜, 다이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류; 사이클로헥사논, γ-뷰티로락톤 등의 케톤류, 지방산메틸에스터, 이염기산메틸에스터 등의 에스터류; N-알킬피롤리돈 등의 함질소 담체류; 야자유, 대두유, 유채유 등의 유지류; 노말 파라핀, 나프텐, 아이소파라핀, 자일렌, 알킬벤젠, 알킬나프탈렌, 케로신 등의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이상의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종 식물 병해의 방제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식물 병해란, 병원체에 의해 농작물, 화훼, 화목(花木), 수목(樹木) 등의 식물에 위조(萎凋), 입고(立枯), 황화(黃化), 위축(萎縮), 도장(徒長) 등의 전신적인 이상(異常)한 병적 증상, 또는 반점, 잎마름, 모자이크, 잎말이, 가지마름, 뿌리썩음, 뿌리혹, 혹 등의 부분적인 병적 증상이 야기되는 것, 즉, 식물이 병이 드는 것이다. 식물 병해를 일으키는 병원체로서, 주로, 균류, 세균, 스피로플라즈마, 파이토플라즈마,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기생성 고등식물, 선충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균류, 세균에 의한 식물 병해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균류에 의해 야기되는 병해란 균류병(菌類病)이며, 식물 병해를 일으키는 병원체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균류병을 일으키는 균류(병원체)로서, 플라스모디오포라균류, 난균(卵菌)류, 접합균류, 자낭균류, 담자균류 및 불완전균류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라스모디오포라균류로서, 뿌리혹병균, 감자분상(粉狀) 창가병균, 사탕무 초근병균(草根病菌), 난균류로서 역병균(疫病菌), 노균병균, Pythium속균, Aphanomyces속균, 접합균류로서 Rhizopus속균, 자낭균류로서 복숭아 잎오갈병균(縮葉病菌), 옥수수참깨 엽고병균(葉枯病菌), 벼 도열병균, 흰가루병균, 탄저병균, 붉은 곰팡이병균, 모키다리병균, 균핵병균, 담자균류로서 녹병균류, 깜부기병균류, 자문우병균, 떡병균, 문고병균, 불완전균류로서 회색곰팡이병균, Alternaria속균, Fusarium속균, Penicillium속균, Rhizoctonia속균, 백견병균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균에 의해 야기되는 병해란 세균병이며, 식물 병해를 일으키는 병원체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 세균해(細菌害)를 야기하는 세균(병원체)으로서, 그람음성세균을 포함하는 프로테오박테리아문, 그람양성세균을 포함하는 액티노박테리아문 및 퍼미큐테스문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테오박테리아문 중, α-프로테오박테리아로서 Rhizobium속균, Ca . Liberibacter속균, β-프로테오박테리아로서 Acidovarax속균, Burkholderia속균, Ralstonia속균, γ-프로테오박테리아로서 Pseudomonas속균, Xanthomonas속균, Erwinia속균, 액티노박테리아문으로서 Streptomyces속균, Clavibacter속균, Curtobacterium속균, 퍼미큐테스문으로서 Bacillus속균, Clostridium속균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 종류의 식물 병해에 대하여 유효하다. 이하에 구체적 병해 및 그 병원균을 나타내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벼의 도열병(Magnaporthe   grisea), 문고병(Thanatephorus   cucumeris), 갈색균핵병(Ceratobasidium   setariae), 갈색소립균핵병(Waitea   circinata), 갈색문고병(Thanatephorus   cucumeris), 구상(球狀)균핵병(Sclerotium  hydrophilum), 적색균핵병(Wairea   circinata), 흑종병(Entyloma   dactylidis), 소구(小球)균핵병(Magnaporthe   salvinii), 회색균핵병(Ceratobasidium   cornigerum), 참깨엽고병(Cochliobolus   miyabeanus), 조엽고병(條葉枯病)(Sphaerulina oryzina), 모키다리병(Gibberella   fujikuroi), 모잘록병(Pythium spp., Fusarium spp., Trichoderma spp., Rhizopus spp., Rhizoctonia solani, Mucor sp.), 모썩음병(Pythium spp., Achlya spp., Dictyuchus spp.), 벼누룩병(Claviceps virens), 먹깜부기병(Tilletia barclayana), 이삭마름병(Curvularia spp., Alternaria spp.), 누른오갈병(黃化萎縮病)(Sclerophthora macrospora), 백엽고병(Xanthomonas oryzae pv. oryzae), 갈조병(褐條病)(Acidovorax avenae subsp. avenae), 내영갈변병(Erwinia ananas), 모입고세균병(Burkholderia plantarii), 세균성벼알마름병(Burkholderia glumae), 엽초갈변병(Pseudomonas fuscovaginae), 달무리무늬병(Pseudomonas syringae pv. oryzae), 그루썩음병(Erwinia chrysanthemi), 황위병(黃萎病)(Phytoplasma oryzae), 줄무늬잎마름병(Rice stripe tenuivirus), 오갈병(Rice dwarf reovirus);
보리류의 흰가룻병(Blumeria graminis f. sp. hordei;  f. sp. tritici), 녹병(Puccinia striiformis, Puccinia graminis, Puccinia recondita, Puccinia hordei), 줄무늬병(Pyrenophora graminea), 그물무늬병(Pyrenophora teres), 붉은 곰팡이병(Gibberella zeae, Fusarium culmorum, Fusarium avenaceum, Monographella nivalis), 설부병(雪腐病)(Typhula incarnata, Typhula ishikariensis, Monographella nivalis), 겉깜부기병(Ustilago nuda), 비린깜부기병(Tilletia caries, Tilletia controversa), 안문병(眼紋病)(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 그루썩음병(Ceratobasidium gramineum), 운형병(雲形病)(Rhynchosporium secalis), 엽고병(Septoria tritici), 부고병(Phaeosphaeria nodorum), 모잘록병(Fusarium spp., Pythium spp., Rhizoctonia spp., Septoria spp., Pyrenophora spp.), 입고병(Gaeumannomyces graminis), 탄저병(Colletotrichum graminicola), 맥각병(麥角病)(Claviceps purpurea), 반점병(Cochliobolus sativus), 흑절병(黑節病)(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옥수수의 붉은 곰팡이병(Gibberella zeae 등), 모잘록병(Fusarium avenaceum, Penicillium spp, Pythium spp., Rhizoctonia spp.), 녹병(Puccinia sorghi), 참깨엽고병(Cochliobolus heterostrophus), 깜부기병(Ustilago maydis), 탄저병(Colletotrichum graminicola), 북방반점병(Cochliobolus carbonum), 갈조병(Acidovorax avenae subsp. avenae), 조반세균병(Burkholderia andropogonis), 도복세균병(Erwinia chrysanthemi pv. zeae), 위조세균병(Erwinia stewartii); 포도의 노균병(Plasmopara viticola), 녹병(Physopella ampelopsidis), 흰가룻병(Uncinula necator), 흑당병(Elsinoe ampelina), 만부병(Glomerella cingulata ,  Colletotrichum   acutatum), 흑부병(Guignardia bidwellii), 시들음병(Phomopsis viticola), 매점병(Zygophiala jamaicensis), 회색 곰팡이병(Botrytis cinerea), 아고병(Diaporthe  medusaea), 자문우병(Helicobasidium   mompa), 백문우병(Rosellinia necatrix),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vitis);
사과의 흰가룻병(Podosphaera leucotricha), 검은별무늬병(Venturia inaequalis), 반점 낙엽병(Alternaria mali), 붉은별무늬병(Gymnosporangium yamadae), 모닐리아병(Monilinia mali), 갈색종양(Valsa ceratosperma), 륜문병(Botryosphaeria berengeriana), 탄저병(Colletotrichum acutatum, Glomerella cingulata), 매점병(Zygophiala jamaicensis), 매반병(Gloeodes pomigena), 흑점병(Mycosphaerella pomi), 자문우병(Helicobasidium mompa), 백문우병(Rosellinia necatrix), 동고병(Phomopsis mali, Diaporthe tanakae), 갈반병(Diplocarpon mali), 사과의 화상병(Erwinia amylovora),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모근병(Agrobacterium rhizogenes); 배의 흑반병(Alternaria kikuchiana), 검은별무늬병(Venturia nashicola), 붉은별무늬병(Gymnosporangium asiaticum), 륜문병(Botryosphaeria berengeriana  f. sp . piricola), 동고병(Phomopsis fukushii), 지고세균병(Erwinia sp.),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적갈색 동고병(Erwinia chrysanthemi pv. chrysanthemi), 화부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서양배의 역병(Phytophthora cactorum, Phytophthora syringae), 지고세균병(Erwinia sp.); 복숭아의 검은별무늬병(Cladosporium carpophilum), 호모프시스 부패병(Phomopsis sp.), 역병(Phytophthora sp.),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축엽병(Taphrina deformans), 천공 세균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pruni),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앵두의 탄저병(Glomerella cingulata), 유과균핵병(Monilinia kusaoi), 회성병(Monilinia fructicola),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수지 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감의 탄저병(Glomerella cingulata), 낙엽병(Cercospora kaki;  Mycosphaerella nawae), 흰가룻병(Phyllactinia kakikora),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감귤의 흑점병(Diaporthe citri), 초록 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 푸른 곰팡이병(Penicillium italicum), 창가병(Elsinoe fawcettii), 갈색부패병(Phytophthora citrophthora), 궤양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citri), 갈반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그리닝병(Liberibactor asiaticus),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토마토, 오이, 두류, 딸기, 감자, 양배추, 가지, 양상추 등의 회색 곰팡이병(Botrytis cinerea); 토마토, 오이, 두류, 딸기, 감자, 유채씨(菜種), 양배추, 가지, 양상추 등의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토마토, 오이, 두류, 무우, 수박, 가지, 유채씨, 피망, 시금치, 사탕무 등 각종 야채의 모잘록병(Rhizoctonia spp., Pythium spp., Fusarium spp., Phythophthora spp., Sclerotinia sclerotiorum 등); 가지과 식물의 풋마름병(Ralstonia solanacearum); 참외류의 노균병(Pseudoperonospora cubensis), 흰가룻병(Sphaerotheca fuliginea), 탄저병(Colletotrichum orbiculare), 덩굴마름병(Didymella bryoniae),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역병(Phytophthora parasitica, Phytophthora melonis, Phytophthora nicotianae, Phytophthora drechsleri, Phytophthora capsici 등), 갈반세균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cucurbitae),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반점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lachrymans), 연고세균병(Pse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 암종병(Streptomyces sp.), 모근병(Agrobacterium rhizogenes),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토마토의 륜문병(Alternaria solani), 잎곰팡이병(Fulvia fulva),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위조병(Fusarium oxysporum), 근부병(Pythium myriotylum, Pythium dissotocum),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궤양병(Clavibacter michiganensis), 줄기세균병(Pseudomonas corrugata), 흑반세균병(Pseudomonas viridiflava),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잎혹병(Crynebacterium sp.), 위황병(Phytoplasma asteris), 누른오갈병(Tabaco leaf curl subgroup III geminivirus); 가지의 흰가룻병(Sphaerotheca fuliginea 등), 그을음곰팡이병(Mycovellosiella nattrassii),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갈색부패병(Phytophthora capsici), 갈반세균병(Pseudomonas cichorii), 줄기세균병(Pseudomonas corrugata), 경부세균병(Erwinia chrysanthemi),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반점세균병(Pseudomonas sp.);
유채씨의 흑반병(Alternaria brassicae), 흑부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흑반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maculicola), 연부병(Erwinia carotovora); 십자화과 야채의 흑반병(Alternaria brassicae 등), 백반병(Cercosporella brassicae), 근후병(Phoma   lingam), 뿌리혹병(Plasmodiophora brassicae), 노균병(Peronospora parasitica), 흑부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흑반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maculicola),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양배추의 그루썩음병(Thanatephorus   cucumeris), 위황병(Fusarium oxysporum); 배추의 고부병(Rhizoctonia solani), 황화병(Verticillium dahliae); 파의 녹병(Puccinia allii), 흑반병(Alternaria porri), 백견병(Sclerotium rolfsii), 백색역병(Phytophthora porri), 흑부균핵병(Sclerotium cepivorum); 양파의 궤양병(Curtobacterium flaccumfaciens),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반점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부패병(Erwinia rhapontici), 인편(鱗片)부패병(Burkholderia gladioli), 위황병(Phytoplasma asteris); 마늘의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춘부병(Pse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 대두의 자반병(Cercospora kikuchii), 흑당병(Elsinoe glycines), 흑점병(Diaporthe phaseolorum), 리족토니아 근부병(Rhizoctonia solani), 줄기역병(Phytophthora sojae), 노균병(Peronospora manshurica), 녹병(Phakopsora pachyrhizi), 탄저병(Colletotrichum truncatum 등), 엽소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glycines), 반점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glycinea);
강남콩의 탄저병(Colletotrichum lindemuthianum), 풋마름병(Ralstonia solanacearum), 달무리무늬병(Pseudomonas syringae pv. phaseolicola), 갈반세균병(Pseudomonas viridiflava), 엽소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phaseoli); 땅콩의 흑삽병(Mycosphaerella berkeleyi), 갈반병(Mycosphaerella arachidis), 풋마름병(Ralstonia solanacearum); 완두의 흰가룻병(Erysiphe pisi), 노균병(Peronospora pisi), 덩굴마름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pisi), 덩굴썩음세균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pisi); 잠두의 노균병(Peronospora viciae), 역병(Phytophthora nicotianae); 감자의 하역병(Alternaria solani), 흑반점병(Thanatephorus cucumeris), 역병(Phytophthor infestans), 은빛비듬병(Helminthosporium solani), 건부병(Fusarium oxysporum, Fusarium solani), 분상창가병(Spongospora subterranea), 풋마름병(Ralstonia solanacearum), 흑각병(Erwinia carotovora subsp. atroseptica), 창가병(Streptomyces scabies, Streptomyces acidiscabies),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점성부패병(Crostridium spp.), 륜부병(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sepedonicus); 고구마의 입고병(Streptomyces ipomoeae); 사탕무의 갈반병(Cercospora beticola), 노균병(Peronospora schachtii), 흑근병(Aphanomyces cochioides), 뱀눈병(Phoma betae),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창가병(Streptomyces scabies), 반점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aptata);
당근의 흑엽고병(Alternaria dauci), 혹병(Rhizobacter dauci),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스트렙토미세스 창가병(Streptomyces spp.),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딸기의 흰가룻병(Sphaerotheca aphanis var. aphanis), 역병(Phytophthora nicotianae 등), 탄저병(Glomerella cingulata 등), 과실부패병(Pythium ultimum), 풋마름병(Ralstonia solanacearum), 각반세균병(Xhanthomonas campestris), 아고세균병(Pse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 차의 망병병(Exobasidium reticulatum), 흰별무늬병(Elsinoe leucospila), 탄저병(Colletotrichum theae - sinensis), 륜반병(Pestalotiopsis longiseta), 적소병(Pseudomonas syringae pv. theae), 궤양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theicola), 빗자루병(Pseudomonas sp.); 담배의 붉은별무늬병(Alternaria alterata), 흰가룻병(Erysiphe cichoracearum),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역병(Phytophthora nicotianae), 야화병(Pseudomonas syringae pv. tabaci), 노란무리 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mellea), 공동(空洞)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입고병(Ralstonia solanacearum),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obaco mosaic virus); 목화의 입고병(Fusarium oxysporum); 해바라기의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각점병(Xhanthomonas campestris pv. malvacearum), 공동병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반점세균병(Pseudomonas syringae pv. helianthi); 장미의 검은별무늬병(Diplocarpon rosae), 흰가룻병(Sphaerotheca pannosa 등), 역병(Phytophthora megasperma), 노균병(Peronospora sparsa),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국화의 갈반병(Septoria obesa), 백녹병(Puccinia horiana), 역병(Phytophthora cactorum), 반점세균병(Pseudomonas cichorii), 연부병(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 모근병(Agrobacterium rhizogenes), 녹화병(Phytoplasma aurantifolia); 잔디의 브라운 패치병(Rhizoctonia solai), 달라스팟병(Sclerotinia homoeocarpa), 커브라리아 엽고병(Curvularia sp.), 녹병(Puccinia zoysiae), 헬민토스포리움 엽고병(Cochliobolus sp.), 운형병(Rhynchosporium secalis), 입고병(Gaeumannomyces graminis), 탄저병(Colletotrichum sp.), 설부갈색소립균핵병(Typhula incarnata), 설부흑색소립균핵병(Typhula ishikariensis), 설부대립균핵병(Myriosclerotinia borealis), 페어리링병(Marasmius oreades 등), 피시움병(Pythium aphanidermatum 등), 도열병(Pyricularia grisea).
본 발명의 조성물의 시용 방법으로서는, 조성물을 식물체 또는 종자와 접촉시키고, 또는 재배 토양에 함유시킴으로써 식물의 뿌리 또는 땅속 줄기에 접촉시키는, 즉 구체적으로는 조성물의 식물 개체로의 경엽(莖葉) 산포 처리, 묘상(苗箱) 처리, 토양 표면으로의 산포 처리, 토양 표면으로의 산포 처리 후의 토양 혼화, 토양 중으로의 주입 처리, 토양 중에서의 주입 처리 후의 토양 혼화, 토양 관주 처리, 토양 관주 처리 후의 토양 혼화, 식물 종자에의 분사 처리, 식물 종자로의 도말(塗沫) 처리, 식물 종자에 대한 침지(浸漬) 처리 또는 식물 종자에 대한 분의(粉衣) 처리 등을 들 수 있지만, 통상 당업자가 이용하는 어떤 시용 방법으로도 충분한 효력을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은, 조성물을 식물체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 해당 방법으로서, 식물체로의 시용이, 조성물을 식물체 또는 종자와 접촉시키고, 또는 재배 토양에 함유시킴으로써 식물의 뿌리 또는 땅속 줄기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한 방법; 해당 방법으로서, 재배 토양으로의 시용이, 조성물의 토양 표면으로의 처리, 토양으로의 관주, 또는 토양으로의 혼화인, 식물 병해에 대한 식물 병해 방제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시용량 및 시용 농도는, 대상 작물, 대상 병해, 병해의 발생 정도, 화합물의 제형, 시용 방법 및 각종 환경조건 등에 따라 변동되지만, 산포 또는 관주(灌注)하는 경우에는 유효 성분량(단당)으로서 헥타르 당 50∼1,000,000g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헥타르당 100∼500,000g이다. 또한, 종자 처리의 경우의 사용량은, 유효 성분량(단당)으로서 종자 1kg 당 0.001∼50g, 바람직하게는 0.01∼10g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물 개체로의 경엽 산포 처리, 토양 표면으로의 산포 처리, 토양 중으로의 주입 처리, 토양 관주 처리하는 경우는, 적당한 담체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한 후,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물 종자에 접촉시키는 경우는, 적당한 농도로 희석한 후, 식물 종자에 침지, 분의, 분사, 도말 처리하여 사용해도 된다. 분의·분사·도말 처리하는 경우의 조성물 사용량은, 통상, 유효 성분량(단당)으로서, 건조 식물 종자 중량의 0.05∼50%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0%가 적당하지만, 이와 같은 사용량은, 이들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성물의 형태나 처리 대상이 되는 식물 종자의 종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식물체」란, 광합성을 하며 운동하지 않고 생활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벼, 밀, 보리, 옥수수, 포도, 사과, 배, 복숭아, 앵두, 감, 감귤, 콩, 강남콩, 딸기, 감자, 양배추, 양상추, 토마토, 오이, 가지, 수박, 사탕무, 시금치, 청대완두, 호박, 사탕수수, 담배, 피망, 고구마, 토란, 곤약, 면, 해바라기, 튤립, 국화, 잔디 등의 농원예 작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식물체」란, 상기 식물 개체를 구성하는 모든 부위를 총칭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줄기, 잎, 뿌리, 종자, 꽃, 과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종자」란, 어린 식물이 발아(發芽)하기 위한 영양분을 비축하고 농업상 번식에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옥수수, 콩, 면, 벼, 사탕무, 밀, 보리, 해바라기, 토마토, 오이, 가지, 시금치, 청대완두, 호박, 사탕수수, 담배, 피망 및 유채 등의 종자나 토란, 감자, 고구마, 곤약 등의 종우(種芋), 식용백합, 튤립 등의 구근(球根)이나 염교 등의 종구(種球) 등, 또한 유전자 등을 인공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만들어진 식물이고 자연계에 원래 존재하는 것이 아닌 유전자 조작 작물, 예를 들면 제초제 내성을 부여한 콩, 옥수수, 면 등, 한랭지 적응한 벼, 담배 등, 살충 물질 생산능을 부여한 옥수수, 면 등의 종자, 감자의 덩이줄기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다른 농약, 예를 들면, 살균제,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 제초제 및 식물 성장 조절제 등의 농약, 토양 개량제 또는 비효(肥效)물질과 혼용 또는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단당 및 조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외에, 단당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상기 조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동시에 또는 별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별개로 사용하는 경우, 단당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상기 조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중 어느 쪽을 먼저 사용한 후에, 다른 한쪽의 조성물을 사용해도 되고, 어느 쪽을 먼저 사용할지는 임의이다. 즉, 본 발명은, 단당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방법으로서, 단당,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다만, 아세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제외한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다만, 리그닌설폰산염을 제외한다),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아미노산, 아미노당, 이당 알코올, 및 염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을, 동시, 또는 별개로, 식물체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성물의 상세(詳細)를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아무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시험예에 있어서, HLB란, 계면활성제의 물과 기름에 대한 친화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HLB값은 0에서 20까지의 값을 취하고, 0에 가까울수록 친유성이 높고 20에 가까울수록 친수성이 높아진다. 또한, nt란, 미(未)실시를 의미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있어서, 「부」는, 「질량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수용제의 시제(試製)
D-타가토오스 80부, 네오페렉스 No.6F 파우더(카오(주) 제, 아릴설폰산염) 20부를 혼합하고, 해머밀로 분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인 수용제를 얻었다. 또한, 네오페렉스 No.6F 파우더의 부분을 뉴콜2614(니폰뉴카자이(주) 제,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 또는 아미콜 No.1(니치덴가가쿠(주) 제, 덱스트린)로 변경하고,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인 수용제를 얻어, 시험예 1에 사용했다.
[실시예 2] 액제의 시제
D-타가토오스 4부, 네오페렉스 No.6F 파우더 1부, 물 95부를 첨가하고 혼합 용해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인 액제를 얻었다. 또한, 네오페렉스 No.6F 파우더의 부분을 뉴콜2614, 아세타민24(카오(주) 제, 알킬아민염), 안히톨24B(카오(주) 제, 알킬베타인) 또는 아미콜 No.1로 변경하고,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인 액제를 얻어, 시험예 2에 사용했다.
[실시예 3] 과립 수용제(압출 조립형)의 시제
D-타가토오스 80부, 네오페렉스 No.6F 파우더 20부를 혼합하고, 물 2부를 첨가하여 혼련했다. 다음으로 이 가수(加水) 혼련물을 구경 1.0mm의 스크린을 장착한 압출 조립기(造粒機)로 조립(造粒)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유동층 건조기로 건조한 후, 500㎛∼1410㎛로 체질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인 과립 수용제를 얻었다. 또한, 네오페렉스 No.6F 파우더를 아미콜 No.1로 변경하고,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인 과립 수용제를 얻어, 시험예 3에 사용했다.
[실시예 4] 과립 수용제(교반 조립형)의 시제
D-타가토오스 80부, 네오페렉스 No.6F 파우더 20부를 혼합하고, 물 2부를 첨가하여 교반 조립(造粒)했다. 얻어진 조립물(造粒物)을 선반형(棚型) 건조기로 건조한 후, 500㎛∼2000㎛로 체질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인 과립 수용제를 얻었다. 또한, 네오페렉스 No.6F 파우더를 아미콜 No.1로 변경하고,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인 과립 수용제를 얻어, 시험예 4에 사용했다.
[실시예 5]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용제의 시제
실시예 1의 네오페렉스 No.6F 파우더의 부분을 각종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 변경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인 수용제를 얻어, 시험예 5에 사용했다.
[실시예 6] 음이온계, 양이온계,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용제의 시제
실시예 1의 네오페렉스 No.6F 파우더의 부분을 각종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각종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또는 각종 양성 계면활성제로 변경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인 수용제를 얻어, 시험예 6에 사용했다.
[실시예 7]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용제의 시제
실시예 1의 네오페렉스 No.6F 파우더의 부분을 각종 수용성 고분자로 변경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인 수용제를 얻어, 시험예 7에 사용했다.
[실시예 8] 아미노산, 아미노당 또는 이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액제의 시제
D-타가토오스 5부, 아이소말토(파라치니트) 5부, 물 90부를 첨가하고 혼합 용해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인 액제를 얻었다. 또한, 아이소말토를 이당 알코올, 아미노당을 포함하는 각종 당류, 아미노산, 핵산 염기, 뉴클레오티드, 또는 유기산으로 변경하고,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인 액제를 얻어, 시험예 8에 사용했다.
[실시예 9] D-타가토오스 이외의 각종 단당과 각종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액제의 시제
D-프시코오스, D-소르보오스, D-알로오스, D-탈로오스, D-갈락토오스, L-프룩토오스, 또는 D-만노오스를 10부, 각종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0.25∼0.5부, 물을 89.5∼89.75부 첨가하고 혼합 용해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인 액제를 얻어, 시험예 9에 사용했다.
[실시예 10] 복수종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용제의 시제
D-타가토오스 80부, 복수종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7.5∼19부, 락토스를 1∼12.5부 혼합하고, 해머밀로 분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인 수용제를 얻었다(처방 1∼11). 또한, 각종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7.5∼19부, 락토스를 81∼92.5부를 혼합하고, 해머밀로 분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인 수용제를 얻었다(처방 12∼22). 또한 D-타가토오스만을 해머밀로 분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인 수용제를 얻었다(처방 23∼24). 이와 같은 조성물을 시험예 10에 사용했다.
[실시예 11]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용제의 시제
D-타가토오스 80부, 각종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20부를 혼합하고, 또한 주제 (主劑)가 없는 경우는, 락토스 80부, 각종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20부를 혼합하고, 또한 D-타가토오스뿐인 경우는, D-타가토오스 80부, 락토스 20부를 혼합하고, 해머밀로 분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의 수용제를 얻어, 시험예 11에 사용했다.
[실시예 12] 당류, 아미노산, 염류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액제의 시제
D-타가토오스 5부, 각종 당류 5부, 물 90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인 액제를 얻었다(주제+조제 1). 또한, D-타가토오스 5부, 각종 당류 5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알킬벤젠설폰산염 0.016부, 알킬황산염 0.3부, 알킬나프탈렌설폰산염 0.3부, 물 89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인 액제를 얻었다(주제+조제 1+조제 2). 또한, 당류를 아미노산 또는 염류로 변경하고,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인 액제를 얻어, 시험예 12에 사용했다.
또한, 주제뿐인 경우는, D-타가토오스 5부와 물 95부를, 주제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뿐인 경우는, D-타가토오스 5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알킬벤젠설폰산염 0.016부, 알킬황산염 0.3부, 알킬나프탈렌설폰산염 0.3부, 물 94부를,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뿐인 경우는, 알킬벤젠설폰산염 0.016부, 알킬황산염 0.3부, 알킬나프탈렌설폰산염 0.3부, 물 99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인 액제를 얻어, 시험예 12에 사용했다.
[실시예 13] 각종 당류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용제의 시제
D-타가토오스 20∼80부, D-글루코오스, D-프룩토오스, D-갈락토오스, D-만노오스, D-탈로오스, D-소르보오스, D-프시코오스, 또는 락토스를 2.5∼30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해머밀로 분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인 수용제를 얻었다(화합물 1+화합물 2+화합물 3). 또한, D-타가토오스 20∼80부, D-글루코오스, D-프룩토오스, D-갈락토오스, D-만노오스, D-탈로오스, D-소르보오스, D-프시코오스, 또는 락토스를 2.5∼30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알킬벤젠설폰산염 0.25부, 알킬황산염으로서 5부, 알킬나프탈렌설폰산염 5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해머밀로 분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인 수용제를 얻었다(화합물 1+화합물 2+화합물 3+조제). 또한, 각종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0.25∼5부, 락토스 90부를 혼합하고, 해머밀로 분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인 수용제를 얻었다(조제뿐). 이들 조성물을 시험예 13에 사용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평가방법([시험예 1∼10, 12, 및 13])
본 시험예에서는, 오이 노균병(CDM), 포도 노균병(VDM), 오이 흰가룻병(CPM), 밀 붉은녹병(WR), 토마토 역병(LB), 보리 흰가룻병(BPM), 포도 녹병(VR), 대두 녹병(SR),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GM), 벼 도열병(B), 오이 탄저병(CA), 사과 검은별무늬병(AS), 밀 잎마름병(SLB), 벼 잎집무늬마름병(SB), 오이 반점세균병(CBS), 배추 무름병(CSR), 토마토 풋마름병(TBW)에 대한 방제 시험을 실시했다. 이하에 시험 방법의 상세를 나타냈다.
(오이 노균병: CDM/Cucumber Downy Mildew)
공시(供試)식물(오이 품종: 사가미 반백(相模半白))을 파종 후, 본잎(本葉)이 1매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1×103개/ml의 오이 노균병균(Pseudoperonospora cubensis)의 유주자(遊走子) 농(濃)현탁액을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0℃인 접종실(接種室)에 약 24시간 방치하여, 발병을 재촉했다. 접종 7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포도 노균병: VDM/Vine Downy Mildew)
공시식물(포도 품종: 네오마스커트)을 파종 후, 본잎이 3∼4매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1×103개/ml의 포도 노균병균(Plasmopara viticola)의 유주자 농현탁액을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0℃인 접종실에 약 24시간 방치하여, 발병을 재촉했다. 접종 10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오이 흰가룻병: CPM/Cucumber Powdery Mildew)
공시식물(오이 품종: 사가미 반백)을 파종 후, 본잎이 1매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1×107개/ml의 오이 흰가루 병균(Sphaerotheca cucurbitae)의 분생포자(分生胞子)를 분무 접종한 후, 7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밀 붉은녹병: WR/Wheat Rust)
공시식물(밀 품종: 농림 61호)을 파종 후, 제2 잎이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1×107개/ml의 밀 붉은녹병균(Puccinia recondita)의 하포자(夏胞子)를 분무 접종한 후, 10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토마토 역병: LB/Late Blight)
공시식물(토마토 품종: 대형 후쿠쥬(福壽))을 파종 후, 본잎이 5매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1×103개/ml의 토마토 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의 유주자 농현탁액을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0℃인 접종실에 약 24시간 방치하여, 발병을 재촉했다. 접종 7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보리 흰가룻병: BPM/Barley Powdery Mildew)
공시식물(보리 품종: 아까신리끼(赤神力))을 파종 후, 제2 잎이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보리 흰가루 병균(Blumeria graminis f. sp. hordei)의 분생포자를 두드려 떨어뜨려 접종한 후, 7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포도 녹병: VR/Vine Rust)
공시식물(포도 품종: 네오마스커트)을 파종 후, 본잎이 3∼4매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1×107개/ml의 포도 녹병균(Phakopsora ampelopsidis)의 하포자를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0∼23℃인 접종실에 약 24시간 방치하여, 발병을 재촉했다. 접종 12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대두 녹병: SR/Soybean Rust)
공시식물(다이스 품종: 엔레이)을 파종 후, 본잎이 2매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1×107개/ml의 대두 녹병균(Phakopsora pachyrhizi)의 하포자를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0∼23℃인 접종실에 약 24시간 방치하여, 발병을 재촉했다. 접종 12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 GM/Gray Mold)
공시식물(토마토 품종: 대형 후쿠쥬)을 파종 후, 본잎이 3매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1×107개/ml의 회색 곰팡이 병균(Botrytis cinerea)의 분생포자를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0∼23℃인 접종실에 약 48시간 방치하여, 발병을 재촉했다. 접종 2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벼 도열병: B/Blast)
공시식물(벼 품종: 고우후우(幸風))을 파종 후, 제2 잎이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1×105개/ml의 벼 도열병균(Magnaporthe grisea)의 분생포자를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0∼23℃인 접종실에 약 24시간 방치하여, 발병을 재촉했다. 접종 10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오이 탄저병: CA/Cucumber Anthracnose)
공시식물(오이 품종: 사가미 반백)을 파종 후, 본잎이 1매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1×107개/ml의 오이 탄저병균(Colletotrichum orbiculare)의 분생포자를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0∼23℃인 접종실에 약 24시간 방치하여, 발병을 재촉했다. 접종 10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사과 검은별무늬병: AS/Apple Scab)
공시식물(사과 품종: 오우린(王林))을 파종 후, 본잎이 4매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1×105개/ml의 사과 검은별무늬병균(Venturia inaequalis)의 분생포자를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18∼20℃인 접종실에 약 24시간 방치하여, 발병을 재촉했다. 접종 10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밀 잎마름병: SLB/Speckled Leaf Blotch)
공시식물(밀 품종: 노린(農林) 61호)을 파종 후, 제2 잎이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1×107개/ml의 밀 잎마름병균(Septoria tritici)의 분생포자를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18℃인 접종실에 약 24시간 방치하여, 발병을 재촉했다. 접종 14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벼 잎집무늬마름병: SB/Sheath Blight)
공시식물(벼 품종: 고우후우)을 파종 후, 제3 잎이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엔바크 배양지에서 14일간 배양한 벼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의 균괴(菌塊)를 접종한 후, 실온이 28℃인 접종실에 약 24시간 방치하여, 발병을 재촉했다. 접종 14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오이 반점세균병: CBS/Cucumber Bacterial Spot)
공시식물(오이 품종: 사가미 반백)을 파종 후, 본잎이 1매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1×106개/ml의 오이 반점 세균 병균(Pseudomonas syringae pv. lachrymans)를 분무 접종한 후, 실온이 25℃인 접종실에 약 24시간 방치하여, 발병을 재촉했다. 접종 10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배추 무름병: CSR/Cabbage Soft Rot)
공시식물(배추 품종: 무소우(無雙))을 파종 후, 본잎이 2매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1×105개/ml의 배추 무름병균(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를 상처 접종한 후, 실온이 23℃인 접종실에 약 24시간 방치하여, 발병을 재촉했다. 접종 1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토마토 풋마름병: TBW/Tomato Bacterial Wilt)
공시식물(토마토 품종: 대형 후쿠쥬)을 파종 후, 본잎이 3매 전개될 때까지 재배했다. 시험에서는, 각 처방이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5ml/포트)을 산포했다. 산포 1일 후의 모종에, 1×105개/ml의 토마토 풋마름 병균(Ralstonia solanacearum)를 상처 접종한 후, 실온이 25℃인 접종실에 약 24시간 방치하여, 발병을 재촉했다. 접종 10일 후의 발병 정도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했다.
이상의 방법으로 평가한 병해 방제 시험에 관하여, 이하를 지표로 하여 발병 정도를 평가했다. 또한, 방제가(防除價)는 발병 정도로부터 산출했다.
[발병 정도]
0  : 무(無)발병
0.1 : 발병 면적이 3% 정도
0.3 : 발병 면적이 10% 정도
0.8 : 발병 면적이 25% 정도
1.5 : 발병 면적이 50% 정도
2  : 발병 면적이 70% 정도
3  : 발병 면적이 95% 이상
[방제가]
방제가=100{1-(n/N)}
N=무(無)처리 구(區)의 발병 정도, n=각 구(區)의 발병 정도
[시험예 1] 조성물(수용제)의 평가
실시예 1에서 조제한 D-타가토오스 수용제의 오이 노균병에 대한 효과를 평가했다. 또한,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본 발명의 처방에 의한 방제가의 향상의 정도를 이하의 지수를 지표로 하여 평가했다. 또한, 오이 노균병에 대하여 200배 희석(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0.4%+조제 0.1%)의 방제 효과를 지표로, 효력의 향상을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0 :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비하여, 방제가가 동등, 또는 저하
1 : 방제가의 향상이 1 이상 10 미만
2 : 방제가의 향상이 10 이상 20 미만
3 : 방제가의 향상이 20 이상 30 미만
4 : 방제가의 향상이 30 이상 40 미만
5 : 방제가의 향상이 40 이상
또한,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의 오이 노균병에 대한 방제가는, 처리 농도 0.4%에서 50(40∼60) 정도였다.
오이 노균병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용제로,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5096824863-pct00001
[시험예 2] 조성물(액제)의 평가
시험예 1과 동일한 시험 방법 및 평가방법으로, 실시예 2에서 조제한 D-타가토오스 액제의 오이 노균병에 대한 효과를 평가했다. 또한,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본 발명의 처방에 의한 방제가의 향상의 정도를 시험예 1과 동일한 지수를 지표로 하여 평가했다. 또한, 오이 노균병에 대하여 10배 희석(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0.4% + 조제 0.1%)의 방제 효과를 지표로 효력의 향상을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오이 노균병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제로,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5096824863-pct00002
[시험예 3] 조성물(과립 수용제(압출형))의 평가
시험예 1과 동일한 시험 방법 및 평가방법으로, 실시예 3에서 조제한 D-타가토오스 과립 수용제의 오이 노균병에 대한 효과를 평가했다(200배 희석, 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0.4% + 조제 0.1%). 또한,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본 발명의 처방에 의한 방제가의 향상의 정도를 시험예 1과 동일한 지수를 지표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오이 노균병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과립 수용제로,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5096824863-pct00003
[시험예 4] 조성물(과립 수용제(교반형))의 평가
시험예 1과 동일한 시험 방법 및 평가방법으로, 실시예 4에서 조제한 D-타가토오스 과립 수용제의 오이 노균병에 대한 효과를 평가했다(200배 희석, 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0.4% + 조제 0.1%). 또한,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본 발명의 처방에 의한 방제가의 향상의 정도를 시험예 1과 동일한 지수를 지표로 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오이 노균병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과립 수용제로,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5096824863-pct00004
[시험예 5]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수용제)의 평가
시험예 1과 동일한 시험 방법 및 평가방법으로, 실시예 5에서 조제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D-타가토오스 수용제의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오이 흰가룻병, 밀 붉은녹병에 대한 효과를 평가했다. 또한,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본 발명의 처방에 의한 방제가의 향상의 정도를 시험예 1과 동일한 지수를 지표로 하여 평가했다. 또한, 오이 노균병에 대하여는 200배 희석(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0.4% + 조제 0.1%)의 방제 효과를 지표로, 그 밖의 병해에서는 100배 희석(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0.8% + 조제 0.2%)의 방제 효과를 지표로 효력의 향상을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또한,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의 오이 노균병에 대한 방제가는, 처리 농도 0.4%에서 50(40∼60) 정도, 포도 노균병에 대한 방제가는 0.8%에서 40(30∼50) 정도, 오이 흰가룻병에 대한 방제가는 0.8%에서 50(40∼60) 정도, 밀 붉은녹병에 대한 방제가는 0.8%에서 방제가 5(0∼10) 정도였다.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오이 흰가룻병, 밀 붉은녹병에 대하여, 단당으로서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조제로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 알킬폴리글라이코시드,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 글라이세린지방산에스터, 폴리글라이세린지방산에스터, 프로필렌글라이콜지방산에스터, 솔비탄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터, 지방산다이에탄올아민, 알킬이미다졸리논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처방에서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한편, 불소계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아세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처방에서는,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Figure 112015096824863-pct00005
[시험예 6] 음이온계, 양이온계, 양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수용제)의 평가
시험예 1과 동일한 시험 방법 및 평가방법으로, 실시예 6에서 조제한 음이온계, 양이온계, 양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D-타가토오스 수용제의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오이 흰가룻병, 밀 붉은녹병에 대한 효과를 평가했다. 또한, 오이 노균병에 대하여는 200배 희석(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0.4% + 조제 0.1%)의 방제 효과를 지표로, 그 밖의 병해에서는 100배 희석(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0.8% + 조제 0.2%)의 방제 효과를 지표로 효력의 향상을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오이 흰가룻병, 밀 붉은녹병에 대하여, 단당으로서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조제로서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α-올레핀설폰산염, 알킬황산염, 설포석신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아세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인산염, 메틸타우린산염, 폴리카복실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알킬아민염, 제4급 암모늄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알킬베타인, 아민옥사이드, 레시틴류로부터 선택되는 양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처방에서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한편, 리그닌설폰산염계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처방에서는,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Figure 112015096824863-pct00006
[시험예 7]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수용제)의 평가
시험예 1과 동일한 시험 방법 및 평가방법으로, 실시예 7에서 조제한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D-타가토오스 수용제의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오이 흰가룻병, 밀 붉은녹병에 대한 효과를 평가했다. 또한, 오이 노균병에 대하여는 200배 희석(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0.4% + 조제 0.1%)의 방제 효과를 지표로, 포도 노균병, 오이 흰가룻병, 밀 붉은녹병에 대하여 100배 희석(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0.8% + 조제 0.2%)의 방제 효과를 지표로 효력의 향상을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오이 흰가룻병에 대하여, 단당으로서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조제로서, 폴리옥시알킬렌, 덱스트린, 알파화 전분, 에터화 전분, 크산탄감, 구아감, 폴리바이닐피롤리돈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처방에서 특히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5096824863-pct00007
[시험예 8] 당류, 아미노산류를 포함하는 조성물(액제)의 평가
시험예 1과 동일한 시험 방법 및 평가방법으로, 실시예 8에서 조제한 아미노산, 아미노당 또는 이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D-타가토오스 액제의 오이 노균병에 대한 효력 증강을, 10배 희석(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0.5% + 조제 0.5%)의 방제 효과를 지표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냈다.
오이 노균병에 대하여, 단당으로서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조제로서 아미노산류, 또는 당류를 포함하는 처방에서 방제 효과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아미노산류에서는, L-아스파라긴산, L-글루타민산, 글라이신, β-알라닌, L-피로글루타민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처방에서 방제 효과의 향상이 특히 현저했다. 또한 당류로는, D-글루코사민염산염, 및 D-갈락토사민염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당, 또는 아이소말토, 말티톨, 락티톨로부터 선택되는 이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처방에서 다른 당류를 포함하는 처방에 비해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한편, 핵산 염기, 뉴클레오티드, 유기산을 포함하는 처방에서는,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Figure 112015096824863-pct00008
[시험예 9] D-타가토오스 이외의 각종 단당과 각종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액제)의 평가
시험예 1과 동일한 시험 방법 및 평가방법으로, 실시예 9에서 조제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D-프시코오스, D-소르보오스, D-알로오스, D-탈로오스, D-갈락토오스, D-만노오스 또는 L-프룩토오스 액제의 포도 노균병, 토마토 역병, 사과 검은별무늬병,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 오이 흰가룻병, 및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한 효력 증강을, 10배 희석(처리 농도: 단당 1% + 조제 0.025∼0.05%)의 방제 효과를 지표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냈다.
포도 노균병, 토마토 역병, 사과 검은별무늬병,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 오이 흰가룻병, 및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하여, 단당으로서 D-프시코오스, D-소르보오스, D-알로오스, D-탈로오스, D-갈락토오스, D-만노오스, L-프룩토오스를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조제로서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알킬황산염, 폴리카복실산염, 설포석신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처방에서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5096824863-pct00009
[시험예 10] D-타가토오스 및 복수종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수용제)의 평가(조제의 혼합)
시험예 1과 동일한 시험 방법으로,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 실시예 10에서 조제한 D-타가토오스와 복수종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처방; 복수종의 계면활성제만을 포함하는 처방의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토마토 역병, 오이 흰가룻병, 보리 흰가룻병, 밀 붉은녹병, 포도 녹병, 대두 녹병,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 벼 도열병, 오이 탄저병, 사과 검은별무늬병, 밀 잎마름병, 오이 반점세균병, 배추 무름병에 대한 효과를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냈다.
발병 정도로부터 산출한 방제가에 관하여는, 이하의 지수(방제가 지수)로 표기했다. 또한, D-타가토오스와 조제를 포함하는 처방, 조제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관하여는, 100배 희석(D-타가토오스 0.8% + 조제, 또는 조제만)의 방제 효과를,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는 125배 희석(D-타가토오스 0.8%)과 20배 희석(D-타가토오스 5%)의 방제 효과를 지표로 평가했다.
 0 : 방제가 30 미만
 1 : 방제가 30 이상 60 미만
 2 : 방제가 60 이상 80 미만
 3 : 방제가 80 이상 90 미만
 4 : 방제가 90 이상 95 미만
 5 : 방제가 95이상 98 미만
 6 : 방제가 98이상 100 미만
 7 : 방제가 100
각종 병해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은, 5%의 처리 농도에서,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오이 흰가룻병, 보리 흰가룻병에 대하여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냈지만, 0.8%의 처리 농도에서는, 그 효과는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토마토 역병, 밀 붉은녹병, 포도 녹병, 대두 녹병,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 벼 도열병, 오이 탄저병, 사과 검은별무늬병, 밀 잎마름병에 대하여도, 5%의 처리 농도에서 효과는 나타났지만, 그 효과는 충분하지 않았다.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조제로서,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알킬황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처방에서,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토마토 역병, 오이 흰가룻병, 보리 흰가룻병, 밀 붉은녹병, 포도 녹병, 대두 녹병, 토마토 회색 곰팡이병, 벼 도열병, 오이 탄저병, 사과 검은별무늬병, 밀 잎마름병 등의 균류병에 대하여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서는 방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오이 반점세균병, 배추 무름병 등의 세균병에 대하여도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조제만을 포함하는 처방에서는, 각종 병해에 대하여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Figure 112015096824863-pct00010
[시험예 11] D-타가토오스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수용제)의 토양 병해에 대한 평가
(잔디 적소병)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D-타가토오스 수용제의 잔디 적소병에 대한 효과를 평가했다. 공시식물(시바 품종: 벤트글라스(bentgrass))을 파종 3주일 후에, 키 1cm로 가지치고, 시험에 공시(供試)했다. 시험에서는, 미리 밀기울 배지(培地)에서 배양한 잔디 적소병균(Pythium aphanidermatum)을 접종한 후, 각 처방 모두 정수(井水)로 100배로 희석한 희석액을, 3L/m2가 되도록 관주 처리했다(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0.8% + 조제 0.2%). 접종 5일 후에 발병 면적을 조사하여, 발병 면적으로부터 방제가을 산출했다. 또한, 시험예 10과 동일한 평가 방법으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1-1에 나타냈다.
잔디 적소병에 대하여, 공시한 조제는 어느 것도 단독으로는 방제 효과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지만, D-타가토오스와, 아릴설폰산염, 알킬황산염, 설포석신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처방은, 모두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비해,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을 나타냈다.
(양배추 모잘록병)
실시예 11에서 조제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D-타가토오스 수용제의 양배추 모잘록병에 대한 효과를 평가했다. 미리 밀기울 배지에서 배양한 양배추 모잘록병균(Pythium ultimum)을 공시 토양에 혼화 접종하고, 그곳에 공시 식물(양배추 품종: 사계확(四季穫))을 파종했다. 각 처방 모두, 정수로 80배로 희석하여, 3L/m2가 되도록 관주 처리했다(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1% + 조제 0.25%). 접종 14일 후에, 불출아(不出芽)와 출아(出芽) 후 말라 죽은 모종을 발병 모종으로 하여 발병모율(發病苗率)로부터 방제가을 산출했다. 또한, 시험예 1과 동일한 평가방법으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1-2에 나타냈다.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의 양배추 모잘록병에 대한 방제가는, 29.9였다.
양배추 모잘록병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와,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알킬황산염, 폴리카복실산염, 설포석신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처방은, 어느 것도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비해,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을 나타냈다.
Figure 112015096824863-pct00011
[시험예 12] D-타가토오스와 당류, 아미노산류, 염류 및 복수종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액제)의 평가(조제의 혼합)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오이 흰가룻병에 대하여 시험예 10과 동일한 평가방법으로, 실시예 12에서 조제한 1)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 2) D-타가토오스와 당류, 아미노산류, 및 염류(조제 1)만을 포함하는 처방; 3) D-타가토오스와 당류, 아미노산류, 및 염류(조제 1)와,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알킬황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조제 2)를 포함하는 처방; 4) D-타가토오스를 포함하지 않고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알킬황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조제 2)만을 포함하는 처방; 5) D-타가토오스와,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알킬황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조제 2)를 포함하는 처방;의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오이 흰가룻병에 대한 효력 증강을, 10배 희석(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0.5% + 조제 1; 0.5%, 및 D-타가토오스 0.5% + 조제 1; 0.5% + 조제 2; 아릴설폰산염 0.0016%,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0.03%, 알킬황산염 0.03%)의 방제 효과를 지표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각종 병해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대하여, 조제 1로서, 특정의 당류(단당류, 이당류, 삼당류, 단당 알코올, 이당 알코올, 아미노당), 아미노산, 염류(Na염, K염, Ca염, Mg염, NH4염)를 포함하는 처방에서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오이 흰가룻병에 대하여 방제 효과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D-타가토오스와 특정의 당류(단당류, 이당류, 삼당류, 단당 알코올, 이당 알코올, 아미노당), 아미노산, 염류로부터 선택되는 조제 1에 더하여, 조제 2로서,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알킬황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미량 첨가함으로써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그 향상의 정도는, 조제 2를 D-타가토오스만을 포함하는 처방에 더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보다 현저하고, 조제 1과 조제 2의 양쪽을 사용함으로써 D-타가토오스의 병해 방제 효과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한편, 조제 2만을 포함하는 처방에서는, 각종 병해에 대하여 거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Figure 112019032554845-pct00014
[시험예 13] 단당류와 복수종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수용제)의 평가(조제의 혼합)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오이 흰가룻병, 밀 붉은녹병에 대하여 시험예 10과 동일한 평가방법으로, 실시예 13에서 조제한 1) D-타가토오스를 20% 또는 60%와 D-프룩토오스, D-글루코오스, D-갈락토오스, D-만노오스, D-탈로오스, D-소르보오스, D-프시코오스, 락토스로부터 선택되는 당류를 포함하는 처방; 2) D-타가토오스를 20% 또는 60%와 D-프룩토오스, D-글루코오스, D-갈락토오스, D-만노오스, D-탈로오스, D-소르보오스, D-프시코오스, 락토스로부터 선택되는 당류에 더하여,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알킬황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를 각각 0.25%, 5%, 5% 포함하는 처방; 3)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알킬황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를 각각 0.25%, 5%, 5% 포함하는 처방; 4) D-타가토오스를 20%, 60% 또는 80% 포함하는 처방의,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오이 흰가룻병, 밀 붉은녹병에 대한 효과를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또한, 오이 노균병, 포도 노균병, 오이 흰가룻병, 밀 붉은녹병에 대하여는 200배 희석(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0.1∼0.4%, 조제 0.00125%∼0.025%)의 방제 효과를 지표로, 밀 붉은녹병에 대하여 100배 희석(처리 농도: D-타가토오스 0.8%, 조제 0.0025%∼0.05%)의 방제 효과를 지표로 효력의 향상을 평가했다.
각종 병해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를 20% 또는 60%과 D-프룩토오스, D-글루코오스, D-갈락토오스, D-만노오스, D-탈로오스, D-소르보오스, D-프시코오스, 락토스로부터 선택되는 당류를 포함하는 처방은, D-타가토오스를 80% 포함하는 처방과 같은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D-타가토오스와 상기의 각종 당류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더하여, 조제(助劑)로서,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알킬황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미량 첨가함으로써 현저한 방제 효과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그 향상의 정도는, D-타가토오스에 각종 당류를 첨가했을 때와 비교하여, 더욱 현저하고, 조제를 사용함으로써 D-타가토오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병해 방제 효과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Figure 112015096824863-pct00013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특정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특정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아미노산, 아미노당, 이당 알코올, 혹은 염류를 함유하는, 단당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가 증강된 조성물, 그 조성물을 사용한 식물 병해 방제 방법, 및 단당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조성물은, 경엽 산포제, 토양 처리제, 혹은 종자 처리제로서 사용할 수 있고, 숙주 식물에 약해를 부여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의 식물 병해를 방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D-타가토오스를 유효 성분으로 하고,
    조제(助劑) Ⅰ로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다만, 아세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제외한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다만, 리그닌설폰산염을 제외한다),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조제 Ⅱ로서, 아미노산, 및 염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
    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조제 I가 복수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 알킬폴리글라이코시드,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 글라이세린지방산에스터, 폴리글라이세린지방산에스터, 프로필렌글라이콜지방산에스터, 솔비탄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터, 지방산다이에탄올아미드, 및 알킬이미다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이고;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α-올레핀설폰산염, 알킬황산염, 설포석신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아세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인산염, 메틸타우린산염, 및 폴리카복실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이고;
    염류에 있어서, 염을 형성하는 음이온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탄산, 또는 아세트산 유래로서, 염기 유래의 양이온이 나트륨, 칼륨, 암모늄, 칼슘, 및 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이온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이, 글리신, β-알라닌, L-글루타민산, L-아스파라긴산, L-알라닌, L-히스티딘, L-로이신, L-발린, L-오르니틴, L-페닐알라닌, L-시스테인, L-알기닌, L-아스파라긴, 및 L-글루타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인, 조성물.
  5. 제1항 기재의 조성물로서, D-타가토오스 1질량부에 대하여 조제 I를 0.0001~40질량부, 조제 II를 0.1~5질량부의 배합비로 배합된 조성물.
  6. 제5항 기재의 조성물로서, 조성물 전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D-타가토오스 1∼95질량부; 및 알킬황산염 0.01∼5질량부, 아릴설폰산염 0.01∼5질량부, 및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0.01∼20질량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제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식물 병해가, 균류에 의한 병해, 또는 세균에 의한 병해인, 조성물.
  9. 제1항 기재의 조성물을 식물체에 시용(施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병해 방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식물체로의 시용이, 조성물을 식물체 또는 종자와 접촉시키고, 또는 재배 토양에 함유시킴으로써 식물의 뿌리 또는 땅속 줄기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한, 식물 병해 방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재배 토양으로의 시용이, 조성물의 토양 표면으로의 처리, 토양으로의 관주(灌注), 또는 토양으로의 혼화(混和)인, 식물 병해에 대한 식물 병해 방제 방법.
  12. D-타가토오스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 기재의 조성물을 식물체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D-타가토오스의 식물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방법으로서,
    D-타가토오스, 및
    조제 Ⅰ로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다만, 아세틸렌글라이콜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제외한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다만, 리그닌설폰산염을 제외한다),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조제 Ⅱ로서, 아미노산, 및 염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
    을, 동시, 또는 별개로, 식물체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 알킬폴리글라이코시드,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 글라이세린지방산에스터, 폴리글라이세린지방산에스터, 프로필렌글라이콜지방산에스터, 솔비탄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터, 지방산다이에탄올아미드, 및 알킬이미다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이고;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아릴설폰산염, 아릴설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α-올레핀설폰산염, 알킬황산염, 설포석신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황산염, 폴리옥시 알킬렌알킬에터아세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아릴에터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터인산염, 메틸타우린산염, 및 폴리카복실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이고;
    염류에 있어서, 염을 형성하는 음이온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탄산, 또는 아세트산 유래로서, 염기 유래의 양이온이 나트륨, 칼륨, 암모늄, 칼슘, 및 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이온인, 제13항에 기재된 D-타가토오스의 식물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식물 병해가 균류에 의한 병해, 또는 세균에 의한 병해인 방법.
KR1020157027781A 2013-03-13 2014-03-10 단당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조성물 Active KR102214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0518 2013-03-13
JPJP-P-2013-050518 2013-03-13
PCT/JP2014/056181 WO2014142074A1 (ja) 2013-03-13 2014-03-10 単糖の植物病害防除効果を増強する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666A KR20150126666A (ko) 2015-11-12
KR102214857B1 true KR102214857B1 (ko) 2021-02-09

Family

ID=5153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781A Active KR102214857B1 (ko) 2013-03-13 2014-03-10 단당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861099B2 (ko)
EP (1) EP2974598A4 (ko)
JP (2) JPWO2014142074A1 (ko)
KR (1) KR102214857B1 (ko)
CN (1) CN105188362A (ko)
AU (2) AU2014231788A1 (ko)
BR (1) BR112015022920B1 (ko)
WO (1) WO20141420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4031B2 (en) 2016-03-03 2022-03-15 Verdesian Life Sciences U.S., Llc Inoculant direct injection system
CN106093430A (zh) * 2016-06-06 2016-11-09 上海阿趣生物科技有限公司 可用于检测糖尿病的标志物及其用途
EP3634130A4 (en) * 2017-06-05 2021-03-17 Verdesian Life Sciences U.S., LLC COMBINATION OF PYROGLUTAMIC ACID AND STROBILURIN FUNGICIDE FOR IMPROVED PLANT HEALTH EFFECT
WO2019053748A1 (en) * 2017-09-18 2019-03-21 Fertis India Pvt. Ltd. BIOPESTICIDE COMPOSITION
CN108118019A (zh) * 2018-03-09 2018-06-05 易虹 枯草芽孢杆菌菌株及其应用
US20210195894A1 (en) * 2018-09-07 2021-07-01 Rhodia Operations Surfactant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2241641B1 (ko) * 2018-12-21 2021-04-1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프리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유용 균주의 생장 증진 및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12041938B2 (en) 2018-12-21 2024-07-23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mposition for promoting growth of effective microorganism and controlling plant disease using prebiotics, and use thereof
CN110074112B (zh) * 2019-04-15 2021-05-28 广西大学 小分子化合物在抑制黑腐病菌hrp III型分泌系统中的应用
CN110679408A (zh) * 2019-10-18 2020-01-14 南京农业大学 一种降低番茄青枯病发病率的根际益生元组合物及其应用
JP2023089318A (ja) * 2020-05-12 2023-06-28 国立大学法人東海国立大学機構 青枯病防除剤及び青枯病の防除方法
CN112379711B (zh) * 2020-11-12 2021-09-03 浙江宜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草莓灰霉病预报系统
CN112868753A (zh) * 2021-02-18 2021-06-01 沈阳农业大学 一种精氨酸在抗果蔬链格孢腐烂病中的用途
CN113040148B (zh) * 2021-03-23 2022-03-25 四川百事东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包含葡聚烯糖的农用组合物
WO2022255398A1 (ja) * 2021-06-02 2022-12-08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D-タガトースの植物病害防除効果及び耐雨性が増強された組成物
US20250185651A1 (en) * 2021-08-06 2025-06-12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esticide phytotoxicity reduction comprising amino acid
KR102517405B1 (ko) * 2021-08-06 2023-04-03 씨제이제일제당 (주)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농약 약해 경감용 조성물
KR102518494B1 (ko) * 2022-02-18 2023-04-04 한국화학연구원 식물 엽면살포용 당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CN115104617A (zh) * 2022-07-27 2022-09-27 淮阴师范学院 一种防治黄瓜枯萎病的组合物
CN116286850B (zh) * 2022-08-19 2024-08-06 中国农业大学 一种水稻稻曲病抗性负调控基因及其用途
WO2024236043A1 (de) 2023-05-15 2024-11-21 Annikki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talitol, d-tagatose und d-psicose
EP4464785A1 (de) 2023-05-15 2024-11-20 Annikki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talitol, d-tagatose und d-psico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669A (ja) 2004-05-24 2006-01-12 Kagawa Univ 植物または微生物への希少糖の使用
US20110281807A1 (en) * 2008-08-18 2011-11-17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agawa University Plant disease control agent comprising d-tagatose as active ingredient, and plant disease control method
JP2012153643A (ja) 2011-01-26 2012-08-16 Nissan Chem Ind Ltd 農薬固型製剤
JP2012188368A (ja) 2011-03-09 2012-10-04 Mitsui Chemicals Agro Inc 植物の細菌病害防除剤および細菌病害防除方法
JP2012188367A (ja) 2011-03-09 2012-10-04 Mitsui Chemicals Agro Inc 植物の菌類病害防除剤および菌類病害防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2702A (en) * 1987-05-29 1989-02-28 Tomo Green Chem Kk Agricultural chemical composition
JP2773204B2 (ja) * 1989-03-29 1998-07-0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発根促進剤組成物
DE69119752T2 (de) * 1990-03-06 1997-01-23 Tate Fungizide zusammensetzungen zur anwendung bei pflanzen
JPH06145003A (ja) 1992-11-10 1994-05-24 Kao Corp 農園芸用殺生剤効力増強剤
JPH07258007A (ja) * 1994-03-23 1995-10-09 Nippon Steel Corp 糖類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植物病害防除剤
JP2000041621A (ja) * 1998-07-28 2000-02-15 Osaka Kagaku Gokin Kk 可食性発色フィルム
US6884754B1 (en) * 2001-09-28 2005-04-26 Syngenta Crop Protection, Inc. Aqueous compositions for seed treatment
US7189351B2 (en) * 2001-10-25 2007-03-13 Spherix Incorporated D-tagatose as an anti-biofilm agent
JP4009720B2 (ja) 2003-03-31 2007-11-21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希少糖による植物病害抵抗性増幅剤
EP1759584A4 (en) * 2004-05-24 2012-12-12 Univ Kagawa Nat Univ Corp USE OF RARE SUGARS IN PLANTS OR MICROORGANISMS
US20060199739A1 (en) * 2005-03-02 2006-09-07 Olav Messerschmidt Limonene-containing herbicide compositions, herbicide concentrate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JP2007099639A (ja) * 2005-09-30 2007-04-19 Towa Chem Ind Co Ltd 除菌洗浄剤
CN101243799A (zh) * 2007-02-16 2008-08-20 么向和 高效广谱农用抗生素杀菌剂
JP5935976B2 (ja) * 2011-01-26 2016-06-15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安定化される農薬固型製剤
PE20140881A1 (es) * 2011-02-28 2014-07-20 Basf Se Composicion que comprende un pesticida, un surfactante y un alcoxilato de 2-propilheptilamin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669A (ja) 2004-05-24 2006-01-12 Kagawa Univ 植物または微生物への希少糖の使用
US20110281807A1 (en) * 2008-08-18 2011-11-17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agawa University Plant disease control agent comprising d-tagatose as active ingredient, and plant disease control method
JP2012153643A (ja) 2011-01-26 2012-08-16 Nissan Chem Ind Ltd 農薬固型製剤
JP2012188368A (ja) 2011-03-09 2012-10-04 Mitsui Chemicals Agro Inc 植物の細菌病害防除剤および細菌病害防除方法
JP2012188367A (ja) 2011-03-09 2012-10-04 Mitsui Chemicals Agro Inc 植物の菌類病害防除剤および菌類病害防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22920A2 (pt) 2017-07-18
BR112015022920B1 (pt) 2020-09-15
JPWO2014142074A1 (ja) 2017-02-16
US20180116215A1 (en) 2018-05-03
JP6699030B2 (ja) 2020-05-27
AU2017276245A1 (en) 2018-01-18
JP2018150352A (ja) 2018-09-27
AU2014231788A1 (en) 2015-10-08
US9861099B2 (en) 2018-01-09
EP2974598A4 (en) 2016-08-24
CN105188362A (zh) 2015-12-23
US10638752B2 (en) 2020-05-05
EP2974598A1 (en) 2016-01-20
US20160037768A1 (en) 2016-02-11
AU2017276245B2 (en) 2019-09-19
WO2014142074A1 (ja) 2014-09-18
AU2017276245B9 (en) 2019-10-24
KR20150126666A (ko)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857B1 (ko) 단당의 식물 병해 방제 효과를 증강하는 조성물
US11623944B2 (en) Paenibacillus strain, antifungal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ir use
EP2967052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immunity in plants
JP2017521369A (ja) 植物における菌類病及び細菌病を防除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20090117639A (ko) 살균제 조성물
KR20220091475A (ko) 2,6-디옥소-3,6-디하이드로피리미딘 화합물 그리고 농원예용 살균제, 살선충제, 및 의료용·동물용 항진균제
CN108349895A (zh) 取代的2-二氟甲基-烟碱(硫代)甲酰苯胺衍生物及其作为杀真菌剂的用途
JP7038776B2 (ja) 植物病害防除組成物およびそれを施用する植物病害の防除方法
JP5719644B2 (ja) 植物の細菌病害防除剤および細菌病害防除方法
JP5719643B2 (ja) 植物の菌類病害防除剤および菌類病害防除方法
CN106922706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06922698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20282714A (zh) 混悬液浓缩物酰腙腺苷三磷酸双磷酸酶抑制剂制剂
CN106922699A (zh) 一种杀菌组合物
AU2023366976A1 (en) Water dispersible granule acylhydrazone apyrase inhibitor formulation
WO2015170752A1 (ja) 殺菌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3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