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12149B1 -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149B1
KR102212149B1 KR1020190036171A KR20190036171A KR102212149B1 KR 102212149 B1 KR102212149 B1 KR 102212149B1 KR 1020190036171 A KR1020190036171 A KR 1020190036171A KR 20190036171 A KR20190036171 A KR 20190036171A KR 102212149 B1 KR102212149 B1 KR 10221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aptamer
stem cells
cells
cancer 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885A (ko
Inventor
김재호
김대경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149B1/ko
Priority to PCT/KR2020/004329 priority patent/WO2020197352A1/ko
Priority to CN202080031891.0A priority patent/CN114072504B/zh
Priority to EP20776943.1A priority patent/EP3950946A4/en
Priority to US17/593,951 priority patent/US20220251571A1/en
Publication of KR20200115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1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12N15/1138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against receptors or cell surface prote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Nucle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49Sugars, nucleosides, nucleotides or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1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61K9/4825Proteins, e.g.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6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5Aptamers, i.e. nucleic acids binding a target molecule specifically and with high affinity without hybridising therewith ; Nucleic acids binding to non-nucleic acids, e.g. apta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analyt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nucleic acids, uric acid, worms, mi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G01N33/57492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involving compounds localized on the membrane of tumor or cancer cel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4Type of nucleic acid interfering nucleic acids [N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6Apta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5/00Reactions involving modified oligonucleotides, nucleic acids, or nucleotides
    • C12Q2525/10Modifications characterised by
    • C12Q2525/205Aptam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0596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G01N2333/70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On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nt Pat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타머는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암 줄기세포의 특성인 세포 부착능, 세포 증식, 항암제 내성 및 세포 이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우수한 항암 효과를 가지고 있는바, 암의 진단, 예후 예측 및 치료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및 이의 용도{Aptamer specifically binding to cancer stem cell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에 관한 것이다.
암 조직에도 일반 장기처럼 암 조직을 유지하고 재생하는 암 줄기세포가 존재한다. 상기 암 줄기세포는 시험관 내(in vitro)에서 부유 배양 시 스피어(sphere)를 형성하고, 스피어 배양으로 얻은 세포는 원 세포주에 비해 강력한 암 형성능력을 가진다고 보고된 바 있다(A. Dubrovska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106, 268-273(2009)). 또한 암 줄기세포는 암의 발생은 물론 기존의 암 치료법이 적용된 후 줄어든 암세포를 재생함으로써 암의 시작, 재발이나 전이는 물론 항암제 내성에도 관여하므로 암 줄기세포의 증식을 막는 것은 암 치료에 있어서 중요하다(BB Zhou et al.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8, 806-823(2009)).
현재, 선진국에서는 유방암(M. Al-Hajj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100(7), 3983-3988(2003)), 간암(ZF Yang et al., Cancer cell; 13, 153-166(2008)), 대장암(P. Dalerba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104(24), 10158-63(2007)), 췌장암(C. Li et al. Cancer Res: 67(3) 1030-1037(2007))등의 분야의 암 줄기세포에 대한 정보들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선진국의 방향과는 차별화할 수 있는 장기 및 조직의 암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암의 경우 하나의 조직 내에서도 이질성이 매우 강하여, 항암치료 시 항암제 저항성을 가진 암조직의 발현으로 항암치료가 실패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암 줄기세포는 이러한 이질성 특징을 나타내는 가장 상위 단계의 세포로 알려져 있으며, 항암제 내성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항암치료에 의해 암 조직은 비교적 쉽게 제거되는 반면, 조직 내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고 있거나, 항암제 치료 후 획득된 암 줄기세포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표적치료기술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발현되는 암세포의 약물 저항성으로 인해, 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반드시 극복해야할 최근 화두로 부각되고 있다. 암 줄기세포를 표적으로 한 항암치료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암 줄기세포에 발현되는 표지마커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나 압타머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CD166은 활성화된 백혈구 세포 접착 분자(Activated leukocyte cell adhesion molecule-ALCAM)로 처음 보고되었으며(Swart GW et al., Eur J Cell Biol; 81,313-321(2002)), 현재까지 갑상선암(Chaker S et al., Thyroid; 23, 201-208 (2013)), 목암(Yan M et al., Mol Cell Proteomics; 12, 3271-3284 (2013)), 폐암(Su J et al., Mol Carcinog; 55, 1822-1832 (2016)), 간암(Ma L et al., J Biol Chem; 289, 6921-6933 (2014))에서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특히, CD166의 발현은 전립선암의 전이능(Hansen AG et al., Cancer Res; 74, 1404-1415 (2014)), 담관암의 침윤성(Adisakwattana P et al., Asian Pac J Cancer Prev; 16, 3849-3856 (2015).), 유방암의 세포사멸의 회피(Jezierska A et al., Med Sci Monit; 12, BR263-273 (2006))에 작용한고 보고되었으며, 최근 들어 암 줄기세포의 표지마커로써의 가능성이 보고되어지고 있다. 또한, CD166은 CD40, CD90, CD105와 더불어 정상 줄기세포인 중간엽 줄기세포에서도 발현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압타머(Aptamer)는 안정된 삼차 구조를 가지는 단일 가닥 핵산(DNA, RNA 또는 변형 핵산) 물질로써, 표적 분자에 높은 친화성과 특이성으로 결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압타머는 일반적으로 40 내지 120 mer로 구성되며, 고유의 높은 친화성(보통 pM 수준)과 특이성으로 표적 분자에 결합할 수 있다. 압타머는 임상 암 진단 분야와 암 치료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생체내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2) 매우 작은 크기로 인해 생체내 이동 및 결합이 효율적이다.
3) 압타머는 화학적 합성 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적은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4) 압타머는 항체에 비해 안정성이 매우 높다. 압타머는 실온에서 보관이나 운반이 가능하며,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특히 장시간 또 반복 사용이 요구되는 진단 분야에서의 응용이 매우 용이하다.
5) 압타머는 핵산 물질로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연구 및 실험에 적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압타머의 장점으로 인해, 압타머는 임상 암 진단 분야와 암 치료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첫 번째로 개발된 압타머 관련 약물은 2005년 미국 식약청에서 승인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암 줄기세포에서 발현되는 CD16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개발하고, 상기 압타머가 암 줄기세포의 특성을 감소시키고, CD166을 발현하는 정상 줄기세포인 중간엽 줄기세포의 증식 및 기능에는 상기 압타머가 영향이 없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 내지 6으로 표시되는 핵산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핵산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6으로 표시되는 핵산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핵산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암 진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암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와 생물학적 시료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진단에 대한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포함하는 항암보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포함하는 암 특이적 약물전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타머는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암 줄기세포의 특성인 세포 부착능, 세포 증식, 항암제 내성 및 세포 이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우수한 항암 효과를 가지고 있는바, 암의 진단, 예후 예측 및 치료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RT-PCR을 통해 A2780 난소암 세포주를 일반적인 세포배양 방법인 cell culture dish에 붙여 배양한 세포(A2780-AD) 및 이를 3차원 배양함으로써 암 줄기세포를 선택적으로 증폭, 배양한 A2780-SP 난소암 줄기세포주에서 CD166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유세포 분석을 통해 난소암 세포주 A2780 및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 세포에서 CD166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 및 4는 난소암 세포주 A2780에서 분리된 CD166 발현 세포 및 비 발현 세포에서 암 줄기세포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난소암 세포주 A2780에서 분리된 CD166 발현 세포 및 비 발현 세포에서 세포 증식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난소암 세포주 A2780에서 분리된 CD166 발현 세포 및 비 발현 세포의 3D 세포배양 시 암세포의 증식을 통한 구형 암덩어리 (cancer sphere) 형성 능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난소암 세포주 A2780에서 분리된 CD166 발현 세포 및 비 발현 세포에서 항암제 감수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난소암 세포주 A2780에서 분리된 CD166 발현 세포 및 비 발현 세포에서 세포의 이동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CD166의 발현을 억제시킨 난소암 세포주 A2780에서 암 줄기세포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 내지 13은 CD166의 발현을 억제시킨 난소암 세포주 A2780에서 세포 증식능, 항암제 내성, 암 sphere 형성능 및 세포 이동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CD166 발현 저해 세포에서 국소 접착 신호전달 경로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 내지 17은 CD166의 발현이 종양 형성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 및 19는 CD166 압타머와 난소암 세포주 A2780 및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와 친화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에서 CD166 압타머 및 항체의 친화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 내지 24는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가 세포 증식능, 항암제 내성, 암 sphere 형성능 및 세포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가 국소 접착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 내지 28은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가 종양 형성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9는 유세포 분석을 통해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0은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의 발현을 저해가 국소 접착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1 내지 35는 CD166의 발현을 억제시킨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세포 증식능, 항암제 내성, 암 sphere 형성능, 세포 이동성 및 세포 부착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6 내지 38은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가 세포 부착능, 항암제 내성, 세포 증식능 및 세포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9는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가 국소 접착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0은 정상 줄기세포인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 및 항체의 친화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1 내지 43은 정상 줄기세포인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가 세포 증식능, 세포 이동성 및 세포 부착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4는 정상 줄기세포인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 및 CD166발현저해가 국소 접착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6으로 표시되는 핵산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핵산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압타머(aptamer)”는 높은 친화성으로 타겟 물질을 특이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작은 단일가닥 올리고핵산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압타머가 RNA인 경우에는, 염기서열에 있어서 T는 U로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는 서열번호 1 내지 6과 80% 이상의 상동성을 가진 핵산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열번호 1 내지 6으로 표시되는 핵산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핵산 서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80%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핵산서열”이란 일 내지 수개의 뉴클레오티드가 추가, 결실 또는 치환되어 80% 이상 100% 미만의 서열에 공통성이 있는 것으로 유사한 CD166 결합능을 보이는 핵산서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뉴클레오타이드(nucleotide)”는 핵산을 이루는 단위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뉴클레오타이드 A, T(U), G 및 C는 각각 2’-데옥시아데노신( 2’-deoxyAdenosine), 2’-데옥시티미딘(2’-deoxyThymidine)(또는 2’-데옥시유리딘), 2’-데옥시구아노신(2’-deoxyGuanosine) 및 2’-데옥시시티딘(2’-deoxyCytidine)으로 정의된다. 또한 ‘N’은 5-(N-naphthylcarboxyamide)-2’-deoxyuridine(NapdU)으로 정의되며, 이는 다음의 화학식 1로 표시된다.
Figure 112019032107221-pat00001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는 암 줄기세포에서 발현되는 CD16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의 크기는 70 내지 80 mer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74 내지 78 mer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6 m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암”은 세포가 정상적인 성장 한계를 무시하고 분열 및 성장하는 공격적(aggressive) 특성, 주위 조직에 침투하는 침투적(invasive) 특성, 및 체내의 다른 부위로 퍼지는 전이적(metastatic) 특성을 갖는 세포에 의한 질병을 총칭하는 의미이다. 상기 암은 위암(gastric cancer), 유방암(breast cancer), 폐암(lung cancer), 간암(liver cancer), 혈액암(blood cancer), 뼈암(bone cancer), 췌장암(pancreatic cancer), 피부암(skin cancer), 머리 또는 목암(head or neck cancer), 피부 또는 안구 흑색종(cutaneous or intraocular melanoma), 자궁육종(uterine sarcoma), 난소암(ovarian cancer), 직장암(rectal cancer), 항문암(anal cancer), 대장암(colon cancer), 난관암(fallopian tube carcinoma),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rcinoma), 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 소장암(small intestine cancer), 내분비암(endocrine cancer), 갑상선암(thyroid cancer), 부갑상선암(parathyroid cancer), 신장암(adrenal cancer), 연조직종양(soft tissue tumor), 요도암(urethral cancer), 전립선암(prostate cancer), 기관지암(bronchogenic cancer) 및 골수암(bone marrow tumo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암 줄기세포”는 종양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세포를 의미한다. 암 줄기세포는 정상적인 줄기세포와 같은 특징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특정 암 샘플에서 발견되는 모든 세포형을 생기게 하는 능력을 지닌다. 즉, 암 줄기세포는 종양을 형성하지 않은 암세포와 다르게 종양형성(tumorigenic)한다. 암 줄기세포는 다양한 세포형에서 줄기세포의 특성인 자기재생과 분화능력을 통해 종양을 발생시킨다. 또한 종양에서 다른 집단과 구별되어 새로운 종양을 발생시킴으로써 재발과 전이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암 줄기세포를 타겟으로 하여 특이적 치료방법의 발달은 암환자의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는 암 줄기세포의 특성인 세포 부착능, 세포 증식, 항암제 내성 및 세포 이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바, 암의 진단, 예후 예측 및 치료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 및 암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진단”은 병리 상태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진단은 발병 여부뿐만 아니라 예후, 암의 경과, 병기 등을 확인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암 진단용 조성물 및 암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에서 암 줄기세포, 즉, CD166이 과발현되는 세포를 검출하여 암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암의 존재 여부 뿐만 아니라 예후, 경과, 병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물학적 시료”란 본 발명의 상기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이 검출될 수 있는 개체로부터 얻어지는 모든 시료를 의미한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전혈, 혈청, 혈장, 세포, 객담, 조직, 타액(saliva), 생검(biopsy), 액체 배양물, 분변 및 소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처리하여 준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암 진단용 키트는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키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CR 키트, DNA 칩 키트, 단백질 칩 키트 또는 마이크로어레이 키트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암 진단용 키트에는 상기 유전자의 발현; 또는 상기 이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 뿐만 아니라, 면역학적 분석에 사용되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구, 시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구 또는 시약의 일 예로, 적합한 담체, 검출 가능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표지 물질, 발색단(chromophores), 용해제, 세정제, 완충제, 안정화제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지물질이 효소인 경우에는 효소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질 및 반응 정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담체는 가용성 담체, 불용성 담체가 있고, 가용성 담체의 일 예로 당 분야에서 공지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액, 예를 들어 PBS가 있고, 불용성 담체의 예로는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불소 수지, 가교 덱스트란, 폴리사카라이드, 라텍스에 금속을 도금한 자성 미립자와 같은 고분자, 기타 종이, 유리, 금속, 아가로오스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트는 상술한 조성물을 구성으로 포함하므로, 중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와 생물학적 시료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진단에 대한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와 생물학적 시료를 반응시키고, 반응 정도(즉, 발현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암의 진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와 함께 암에 대하여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 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또한,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각각 독립적일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포함하는 항암보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암보조제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암 약학적 보조제 또는 항암 식품보조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암보조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암치료제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제를 말하며, 본 발명에 의한 보조제를 사용함으로써 암 치료제 또는 항암치료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암 및 암으로 인해 발병하는 질병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장기적으로 복용하였을 때 인체에 무해해야 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첨가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첨가물은 상기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음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외에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1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포함하는 암 특이적 약물전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는 암 줄기세포에서 과발현되는 CD166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이를 이용하여, 암이 발병한 부위에 항암제와 같은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난소암 세포 및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발현 확인
난소암 세포주 A2780 세포; 및 A2780 세포를 3차원 배양하여 분리 및 확립한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 세포에서 CD166 발현 여부를 확인하고자 RT-PCR을 실시하였다. A2780 및 A2780-SP 세포에서 mRNA를 추출한 후 RT-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난소암 세포주 A2780 및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 세포에서 전체 RNA를 분리하였다. RT-PCR을 위해 전체 RNA 2 μg 및 역전사 cDNA 합성 키트(NanoHelix Co.)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제 1가닥-cDNA를 합성하였다. 이후, Ready 2×Go pre-mix PCR 키트(NanoHelix Co.) 및 10 pM의 CD166 특이 프라이머 (CD166: 5′-CAGAACACGATGAGGCAGAC-3′, 5′-AGCAAGGAGGAGACCAACAA-3′)가 함유된 20 μl의 반응 용액을 이용하여 동량의 cDNA를 증폭시킨 후, CD166발현을 확인하였다. RT-PCR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2780 세포는 CD166을 발현하지 않는 반면, A2780-SP 세포는 CD166을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난소암 세포주 A2780 세포; 및 A2780 세포를 3차원 배양하여 분리 및 확립한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 세포;에서 CD166 발현 여부를 확인하고자 유세포 분석(FACS)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CD166 FACS 항체(PE Mouse Anti-Human CD166, Cat:559263, BD Pharminggen)를 이용하여, 난소암 세포주 A2780 세포; 및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 세포;를 염색하였으며, FACS Canto Ⅱ (BD Bioscience)를 이용하여 유세포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세포 분석을 통해 A2780 및 A2780-SP 세포에서 CD166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인 A2780-SP 세포에서 CD166의 발현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난소암 세포주에서 CD166을 이용한 유세포 분리 및 암 줄기세포 주요 유전자 발현 확인
난소암 세포주 A2780에서 유세포 분리기(ARIA3)를 이용하여 CD166 발현 세포와 비 발현 세포를 분리하였고, RT-PCR을 통해 분리된 CD166 발현 세포에서 다양한 암 줄기세포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난소암 세포주 A2780 및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 세포에서 RNA를 분리하여 항암제 내성 유전자인 ABC-트랜스포터(ABCB1, ABCG2, ABCC6), 암 줄기세포의 마커로 알려진 ALDH 및 줄기세포능 관련 유전자(OCT4, SOX2)의 발현의 발현정도를 RT-PCR로 확인하였다. RT-PCR을 위해 전체 RNA 2 μg 및 역전사 cDNA 합성 키트(NanoHelix Co.)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제 1가닥-cDNA를 합성하였다. Ready 2×Go pre-mix PCR 키트(NanoHelix Co.) 및 각각의 10 pM 프라이머(GAPDH: 5′-TCCATGACAACTTTGGTATCG-3′, 5′-TGTAGCCAAATTCGTTGTCA-3′; OCT4A: 5′-GATCGGATCCATGGCGGGACACCTGGCT-3′, 5′-CCTTCCCAAATAGAACCC-3′; SOX2: 5’-CAACATGATGGAGACGGAGC-3’, 5’-GTGCATCTTGGGGTTCTCCT-3’; ALDH1: 5’-CTCGAAATTA AGTACACCAA-3’, 5’-TCAGTAGA CCCTGTGAATGC-3'; ABCB1: 5’-CCATCAGTCCT GTTCTTG-3’, 5’-C TGCTCCTCTTGCATTT-3’; ABCG2: 5’-TTCAGCCGTGGAACTCTTTG-3’, 5’-CCACACTCTGACCTGCTGCT-3’; ABCC6: 5’-AGACAGACGCTGGGACCC-3’, 5’-ACCATCTTGGCTTTGAAGAGTG-3’)가 함유된 20μl의 반응 용액을 이용하여 동량의 cDNA를 증폭시킨 후, CD166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CD166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는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 줄기세포의 항암제 내성 유전자인 ABC-트랜스포터(ABCB1, ABCG2, ABCC6), 암 줄기세포의 마커로 알려진 ALDH 및 줄기세포능 관련 유전자(OCT4, SOX2)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CD166의 발현이 세포 증식, 항암제 내성, 스피어 형성능 및 세포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3-1. CD166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확인
CD166 발현이 세포의 증식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CD166 발현 세포 및 비 발현 세포를 각각 1×104개씩 24웰-플레이트에 부착시킨 후, 2 일 동안 매 1 일 마다 일정시간에 세포를 0.25% 트립신 EDTA로 분리하고 세포 계수기(hematocytometer)에서 세포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 발현 세포가 비 발현 세포보다 증식 속도가 빠른 것을 확인하였다.
3-2. CD166이 스피어 형성능에 미치는 영향 확인
스피어 형성 실험을 통하여 난소암 세포주에서 분리한 CD166 발현 세포의 자가 재생 능력을 확인하였다. CD166 발현에 따른 스피어 형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CD166 FACS 항체(PE Mouse Anti-Human CD166, Cat:559263, BD Pharminggen)를 이용하여 A2780 세포에서 CD166 발현세포 및 비 발현세포를 분리하였다. 그 후, 24웰-Ultra-Low Attachment 배양 플레이트에 100 내지 10,000개의 세포를 각각 시딩하여 7일 동안 배양하였다. 스피어 형성 실험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 발현 세포가 비 발현 세포보다 더 많은 스피어를 형성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상기 결과는 CD166 발현 세포가 줄기세포의 가장 중요한 특성인 자가 재생 및 비 부착 증식 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3-3. CD166이 항암제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항암제 감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CD166 발현 세포 및 비 발현 세포를 각각 1×104개씩 96웰-플레이트에 부착시켰다. 부착된 세포에 항암제인 파크리탁셀을 0, 0.01, 0.1 및 1 uM 의 농도로 처리하여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MTT 용액(Sigma-Aldrich, Inc. St. Louis, MO)을 넣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을 마친 세포에 DMSO(sigma-Aldrich)를 처리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암세 감수성을 분석하였다. 항암제 감수성을 분석한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 발현 세포는 항암제 파크리탁셀에 대해 내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CD166 발현 세포가 암 줄기세포임을 의미한다.
3-4. CD166이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CD166의 발현이 세포의 이동성을 촉진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의 이동 정도를 시험관 내(in vitro)에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의 이동성을 확인하기 위해, CD166 FACS 항체(PE Mouse Anti-Human CD166, Cat:559263, BD Pharminggen)를 이용하여 A2780 세포에서 CD166 발현세포 및 비 발현세포를 분리하였다. 그 후, 96웰-주화성 챔버(chemotaxis chamber, Neuro Probe, Gaithersburg, MD)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세포의 이동성을 측정하였다. 세포의 이동성을 확인한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을 발현하는 세포는 비 발현 세포보다 이동능이 높은 것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4.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의 발현 저해가 줄기세포 관련 유전자의 발현, 세포 증식, 항암제 내성, 스피어 형성능 및 세포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에서 CD166 발현을 siRNA를 이용하여 저해하였고, 실시예 1 및 2의 RT-PCR 방법을 통해 CD166 발현 저해 세포에서 다양한 암 줄기세포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D166의 발현을 저해하기 위하여, 대조군(si Contro)(5’-UUC UCC GAA CGU GUC ACG UTT-3‘; 5’-ACG UGA CAC GUU CGG AGA ATT-3’)과 si CD166(5’-AAG CCC GAU GGC UCC CCA GUA UU-3‘; 5’-AAU ACU GGG GAG CCA UCG GGC UU-3’)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siRNA와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 세포와 반응시켜 CD166의 발현을 저해시켰다. 암 줄기세포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는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RNA를 이용한 CD166 발현 억제에 의해 암 줄기세포의 항암제 내성 유전자인 ABC-트랜스포터(ABCB1, ABCG2, ABCC6), 암 줄기세포의 마커로 알려진 ALDH 활성(ALDH) 및 줄기세포능 관련 유전자(OCT4, SOX2)의 발현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CD166의 발현이 저해된 세포의 증식, 항암제 내성, 스피어 형성능 및 세포 이동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0 내지 13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0 내지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16의 발현이 저해된 세포는 세포의 증식능이 감소하고, 항암제 감수성이 증가하며, 스피어 형성능 및 이동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CD166의 발현은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줄기세포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5.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의 발현 저해가 암 줄기세포의 특성을 저해하는 과정에서 국소 접착 신호전달 경로의 저해 확인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에서 CD166 발현을 siRNA를 이용하여 저해하였고,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CD166 발현 저해 세포에서 국소 접착(Focal adhesion)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D166의 발현저해를 위하여, 대조군(si Control)(5’-UUC UCC GAA CGU GUC ACG UTT-3‘; 5’-ACG UGA CAC GUU CGG AGA ATT-3’)과 si CD166(5’-AAG CCC GAU GGC UCC CCA GUA UU-3‘; 5’-AAU ACU GGG GAG CCA UCG GGC UU-3’)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siRNA를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 세포와 반응시켜 CD166의 발현을 저해시켰으며, 발현 저해 후 배양하였다. 배양 48 후 상기 세포를 수집하고, 웨스턴블롯팅을 통해 국소 접착 신호전달 경로의 주요 유전자로 알려진 FAK, SRC, Paxillin 및 CD44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항체는 CD166(ab109215, Abcam), CD44 (5640S, Cell Signaling Technology), p-PAXILLIN(2541S, Cell Signaling Technology), p-SRC(2101S, Cell Signaling Technology), p-FAK(3284S, Cell Signaling Technology), FAK(3285S, Cell Signaling Technology) 및 GAPDH(MAB374, EMD Milliore Corp, Billerica, MA)에 대한 1차 항체를 사용하였다. CD166 발현 저해 세포에서 국소 접착 신호전달 경로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는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의 발현이 저해된 A2780-SP 세포에서 세포 부착성에 관여하는 p-PAXILLIN, p-SRC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세포에서 FAX의 인산화 부위 중 부착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p-FAK Y925 사이트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CD166의 발현이 종양 형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CD166의 발현이 종양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유세포 분석기(ARIA3)를 이용하여, 난소암 세포주 A2780로부터 CD166 발현 세포와 비 발현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를 각각 1x105개씩 누드 마우스의 피하에 접종하였다. 이 때 누드 마우스의 왼쪽에는 CD166 발현 세포를, 오른쪽에는 CD166 비 발현 세포를 각각 접종하였다. 접종 후, 18일차부터 종양 형성 크기를 측정하였다. 접종 38일차에 누드 마우스를 안락사시켰다. 누드 마우스로부터 종양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종양의 무게 및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5 내지 17에 나타내었다.
도 15 내지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 발현세포에서 종양이 더 빠르게 형성되었으며, 그 크기 또한 비 발현 종양보다 큰 것을 확인하였다. 마찬가지로, 종양의 무게도 CD166 발현 세포가 더 무거운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암 줄기세포에서 발현되는 CD16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제작
암 줄기세포에서 발현되는 CD16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제작하였다. CD166 압타머(CD166 AT)는 ㈜ 압타머사이언스 (Aptamer Sciences Inc., 포항, 한국)에서 합성하였다. 제작된 CD16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의 서열은 표 1에 나타내었다.
명칭 서열 정보 길이
AT1, clone 1
(서열번호 1)
TCAGCCGCCAGCCAGTTCCNNCAGCCNNGNAGAGNCANGANCGNNANCGGANCNGAGGGACCAGAGCACCACAGAG 76mer
AT2, clone 2
(서열번호 2)
TCAGCCGCCAGCCAGTTCANNGANAAGGNNAGGACNCNNNCNGNNGGNANCCNCACNGGACCAGAGCACCACAGAG 76mer
AT3, clone 3
(서열번호 3)
TCAGCCGCCAGCCAGTTCGCGCNCGNNNCGGAGGGGANGCAGACCCCNCNCGCNNNGCGACCAGAGCACCACAGAG 76mer
AT4, clone 4
(서열번호 4)
TCAGCCGCCAGCCAGTTCCNNCNAGAGNCANGCACGNNANCGGACCNGNCGGCGAANGGACCANANCACCACAGAG 76mer
AT5, clone 5
(서열번호 5)
TCAGCCGCCAGCCAGTTCANNNGANAAAGCNCCGNNANCGGGCCCCNNGNAGAGNCANGACCAGAGCACCACAGAG 76mer
AT6, clone 6
(서열번호 6)
TCAGCCGCCAGCCAGTTCNCGCNNNCGGNCANCANGAACGGCNCGNNNCGGAACNGNCGACCAGAGCACCACAGAG 76mer
여기서, A, T(U), G 및 C는 각각 2’-데옥시아데노신( 2’-deoxyAdenosine), 2’-데옥시티미딘(2’-deoxyThymidine)(또는 2’-데옥시유리딘), 2’-데옥시구아노신(2’-deoxyGuanosine) 및 2’-시티딘(2’-deoxyCytidine)으로 정의된다. 상기 ‘N’은 5-(N-naphthylcarboxyamide)-2’-deoxyuridine(NapdU)를 의미하며, 이는 다음의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32107221-pat00002
제작된 압타머는 멸균된 3차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95℃로 5분 동안 가열했다. 가열된 압타머를 25 ℃로 냉각시켜 후술되는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8. 난소암 세포와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의 친화도 확인
8-1. 난소암 세포와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의 친화도 확인
상기 실시예 7에서 제작한 CD166 압타머가 난소암 세포 및 난소암 암 줄기세포를 인지하는지 확인하였다. CD166 압타머와 난소암 세포주 A2780 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각각의 CD166 압타머(AT-1, AT-2, AT-3, AT-4, AT-5 및 AT-6)를 멸균된 삼차수에 용해시킨 다음 95 ℃에서 5 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한 후 25 ℃로 냉각시켰다. 상기의 압타머를 500nM 농도로 난소암 세포주 A2780 세포에 넣어준 후 실온에서 배양하여 염색하였다. 이후, 유세포분석기(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을 통해 CD166 압타머와 반응한 세포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8에 나타내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 압타머는 A2780 세포와의 상호작용을 나타내지만 신호 강도는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난소암 세포주 A2780에서 CD166의 발현이 낮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 세포에 CD166 압타머를 반응시킨 후 FACS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9에 나타내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 압타머는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 세포와 상호작용을 하며, 신호 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CD166 압타머 중 AT-5가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 가장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8-2.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 및 CD166 항체의 친화도 비교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 세포에서 CD166 압타머 AT-5 및 대조군인 CD166 FACS 항체(PE Mouse Anti-Human CD166, Cat:559263, BD Pharminggen)의 친화도를 비교하였다. 상기 친화도 비교는 실시예 8-1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0에 나타내었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A2780-SP 세포에서의 CD166 압타머 및 CD166 항체의 결합은 유사한 결합 특이성 및 친화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CD166 압타머가 CD166를 발현하는 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이 압타머가 CD166 항체와 유사한 결합 친화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9.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가 세포 부착능 , 세포 증식, 항암제 내성 그리고 세포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CD166 압타머 AT3, AT4 및 AT5를 이용하여, CD166 압타머가 세포 부착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발현 세포를 CD166 FACS 항체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를 이용하여 CD166 압타머의 세포 부착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96 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1x105개씩 분주한 후 20 ug/ml의 콜라겐으로 1 시간 동안 블로킹하였다. 블로킹 후, 비 특이적 결합을 제한하기 위하여 0.1% BSA(bovine serum albumin)를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분리된 세포를 각각 CD166 압타머(500nM)에 1 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4% 포르알데하이드로 고정하였다. 고정된 세포를 hoest33342로 염색하였다. 염색된 세포를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 및 계수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1에 나타내었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친화력이 높은 CD166 압타머 AT4 및 AT5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세포 부착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D166 압타머 AT5를 이용하여, CD166 압타머가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D166 발현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각각 1×104개씩 부착시킨 후, CD166 압타머 AT-5 처리군 및 미처리군으로 나누어 각각 처리하였다. 압타머 처리 0, 24, 48 및 72 시간 후의 세포에 MTT 용액(Sigma-Aldrich, Inc. St. Louis, MO)을 첨가하여 4 시간 반응시켰다. MTT 용액과 반응한 세포에 DMSO(sigma-Aldrich)를 처리한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D166 압타머가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는 도 22에 나타내었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 압타머를 처리한 암 줄기세포의 세포 증식이 억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D166 압타머 AT5를 이용하여, CD166 압타머가 항암제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D166 발현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각각 1×104개씩 부착시킨 후, 항암제인 파크리탁셀 0.1 μM 및 CD166 압타머 AT-5를 처리하였다. 대조군은 파크리탁셀 0.1 μM를 단독으로 처리하였다. 압타머 처리 0, 24, 48 및 72 시간 후의 세포에 MTT 용액을 첨가하여 4 시간 반응시켰다. MTT 용액과 반응한 세포에 DMSO를 처리한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D166 압타머가 항암제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는 도 23에 나타내었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 압타머를 처리한 세포는 암 줄기세포의 특징인 항암제 내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D166 압타머 AT5를 이용하여, CD166 압타머가 세포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D166 발현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각각 1×104개씩 부착시킨 후, CD166 압타머 AT-5를 미처리군과 처리군으로 나누어 각각 처리하였다. 압타머를 처리한 세포의 이동 정도를 시험관 내(in vitro)에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4에 나타내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 압타머를 처리한 암 줄기세포는 세포의 이동성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CD166 발현 세포에 CD16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처리하였을 때, 난소암 암 줄기세포의 주요 특징인 세포 부착성, 세포 증식성, 항암제 내성 및 세포 이동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난소암 암 줄기세포의 특성을 저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0.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가 세포 부착능을 저해하는 과정에서 국소접착 신호전달 경로의 저해 확인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에서 CD166 발현이 높은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와 CD166 압타머 AT-5를 각각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CD166 발현 저해 세포에서 국소 접착(Focal adhesion)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하였다. 상기 웨스턴 블롯팅은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CD166 발현 저해 세포에서 국소 접착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한 결과는 도 25에 나타내었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의 발현이 저해된 A2780-SP 세포에서 세포 부착성에 관여하는 p-PAXILLIN, p-SRC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세포에서 FAX의 인산화 부위 중 부착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p-FAK Y925 사이트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CD166 압타머가 종양 형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CD166 압타머 AT-5가 종양 형성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세포 분석기(ARIA3)를 이용하여, 난소암 암 줄기세포주 A2780-SP에서 CD166 발현이 높은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에 CD166 압타머 AT-5를 각각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압타머와 반응한 세포( 1x105개)를 누드 마우스의 피하에 접종하였다. 이 때 누드 마우스의 왼쪽에는 압타머 미처리한 세포를, 오른쪽에는 CD166 압타머 AT-5를 처리한 세포를 접종하였다. 접종 후, 18일차부터 종양 형성 크기를 측정하였다. 접종 38일차에 누드 마우스를 안락사시켰다. 누드 마우스로 부터 종양을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종양의 무게 및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6 내지 28에 나타내었다.
도 26 내지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 압타머 AT-5를 처리한 세포를 접종한 부위에서 종양 형성이 억제되었으며, 압타머 미처리군의 경우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D166 압타머 AT-5를 처리한 세포를 접종한 부위의 종양의 무게가 대조군보다 현저히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암 줄기세포에서 발현되는 CD16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개발하고, 상기 압타머가 암 줄기세포의 특성인 세포 부착능, 세포 증식, 항암제 내성 및 세포 이동을 감소시킴으로써 항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한바, 본 발명의 압타머는 암의 진단, 예후 예측 및 치료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 12.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발현 확인
난소암 환자로부터 암 줄기세포를 분리하여 CD166 발현 여부를 확인하고자 유세포 분석(FACS)을 실시하였다. 환자 유래 난소암 세포의 분리는 STEM CELLS 2016;34:551-564에 게제한 방법으로 분리하였다.보다 구체적으로 유세포 분석은 CD166 FACS 항체 (PE Mouse Anti-Human CD166, Cat:559263, BD Pharminggen)를 이용하였고, 환자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를 염색하였다. 그 후, FACS Canto Ⅱ (BD Bioscience)를 이용하여 유세포 분석하였다.
유세포 분석을 통해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는 도 29에 나타내었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의 발현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3.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의 발현 저해가 국소접착 신호전달 경로, 세포 증식, 항암제 내성, 스피어 형성능 및 세포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발현을 siRNA를 이용하여 저해하였고,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CD166 발현 저해 세포에서 국소 접착(Focal adhesion)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하였다. 상기 CD166 발현저해와 웨스턴 블롯팅은 실시예 4, 실시예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CD166 발현 저해 세포에서 국소 접착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한 결과는 도 30에 나타내었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의 발현이 저해된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세포 부착성에 관여하는 p-PAXILLIN, p-SRC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세포에서 FAX의 인산화 부위 중 부착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p-FAK Y925 사이트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암 줄기세포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CD166의 발현이 저해된 세포의 증식, 항암제 내성, 스피어 형성능, 세포 이동성 및 세포 부착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1 내지 35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31 내지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의 발현이 저해된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는 세포의 증식능이 감소하고, 항암제 감수성이 증가하며, 스피어 형성능, 세포 이동성 및 세포 부착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CD166의 발현은 환자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줄기세포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4.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의 친화도 확인
상기 실시예 8에서 높은 친화도를 나타낸 CD166 압타머 AT5가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를 인지하는지 확인하였다. 상기 친화도 확인은 실시예8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 압타머 AT5는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와 상호작용을 하며, 신호 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5.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가 세포 부착능 , 항암제 내성 그리고 세포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CD166 압타머 AT3 및 AT5를 이용하여, CD166 압타머가 세포 부착능, 항암제 내성 그리고 세포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포 부착능, 항암제 내성 및 세포 이동성은 실시예9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도 37 내지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 CD16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처리하였을 때, 암 줄기세포의 주요 특징인 세포 부착성, 항암제 내성 및 세포 이동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의 특성을 저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6.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가 세포 부착능을 저해하는 과정에서 국소접착 신호전달 경로의 저해 확인
환자 유래 난소암 암 줄기세포에 CD166 압타머 AT-3 및 AT-5를 각각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CD166 발현 저해 세포에서 국소 접착(Focal adhesion)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하였다. 상기 웨스턴 블롯팅은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CD166 발현 저해 세포에서 국소 접착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한 결과는 도 39에 나타내었다.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166 압타머 AT-5에 의해, 세포 부착성에 관여하는 p-PAXILLIN, p-SRC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세포에서 FAX의 인산화 부위 중 부착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p-FAK Y925 사이트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례 17.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 및 CD166 항체의 친화도 비교
정상 줄기세포인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 AT-5 및 대조군인 CD166 FACS 항체 (PE Mouse Anti-Human CD166, Cat:559263, BD Pharminggen)의 친화도를 비교하였다. 상기 친화도 비교는 실시예 8-1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0에 나타내었다.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엽 줄기세포에서의 CD166 압타머 및 CD166 항체의 결합은 유사한 결합 특이성 및 친화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CD166 압타머가 CD166를 발현하는 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이 압타머가 CD166 항체와 유사한 결합 친화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8.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가 세포 증식능 , 세포 이동성 그리고 세포 부착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CD166 압타머 AT5를 이용하여, CD166 압타머가 세포 증식능, 세포 이동성 그리고 세포 부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포 증식능, 세포 이동성 및 부가성은 실시예9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도 41 내지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 줄기세포인 중간엽 줄기세포에 CD16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증식능, 세포 이동성 및 세포 부착성에 변화가 없음을 확인함으로써, 정상 줄기세포의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9.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CD166 압타머 및 CD166의 발현저해에 의한 국소접착 신호전달 경로 확인
중간엽 줄기세포에 CD166 압타머 AT-5를 각각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CD166 발현 저해 세포에서 국소 접착(Focal adhesion)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하였다. 상기 웨스턴 블롯팅은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CD166 발현 저해에 의한 국소 접착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하였고, 확인한 결과는 도 44에 나타내었다.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 줄기세포에서는 CD166 압타머 AT-5 처리 및 CD166 발현저해에 의한, 세포 부착성에 관여하는 p-PAXILLIN, p-SRC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세포에서 FAX의 인산화 부위 중 부착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p-FAK Y925 사이트의 발현에도 영향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암 줄기세포에서 발현되는 CD16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개발하고, 상기 압타머가 암 줄기세포의 특성인 세포 부착능, 세포 증식, 항암제 내성 및 세포 이동을 감소시킴으로써 항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한바, 본 발명의 압타머는 암의 진단, 예후 예측 및 치료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제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제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제예 1.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1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1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캡슐제의 제조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1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1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1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120> Aptamer specifically binding to cancer stem cell and uses thereof <130> 1-385P <160> 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7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T1, clone 1 <400> 1 tcagccgcca gccagttccn ncagccnngn agagncanga ncgnnancgg ancngaggga 60 ccagagcacc acagag 76 <210> 2 <211> 7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T2, clone 2 <400> 2 tcagccgcca gccagttcan nganaaggnn aggacncnnn cngnnggnan ccncacngga 60 ccagagcacc acagag 76 <210> 3 <211> 7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T3, clone 3 <400> 3 tcagccgcca gccagttcgc gcncgnnncg gaggggangc agaccccncn cgcnnngcga 60 ccagagcacc acagag 76 <210> 4 <211> 7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T4, clone 4 <400> 4 tcagccgcca gccagttccn ncnagagnca ngcacgnnan cggaccngnc ggcgaangga 60 ccanancacc acagag 76 <210> 5 <211> 7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T5, clone 5 <400> 5 tcagccgcca gccagttcan nnganaaagc nccgnnancg ggccccnngn agagncanga 60 ccagagcacc acagag 76 <210> 6 <211> 7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T6, clone 6 <400> 6 tcagccgcca gccagttcnc gcnnncggnc ancangaacg gcncgnnncg gaacngncga 60 ccagagcacc acagag 76

Claims (12)

  1.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로,
    상기 압타머는 서열번호 4 또는 5의 핵산서열로 표시되고,
    상기 암은 난소암, 유방암, 폐암 및 대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압타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타머는 CD16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인,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포함하는, 난소암, 유방암, 폐암 및 대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암 진단용 조성물.
  6. 제5항의 암 진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소암, 유방암, 폐암 및 대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암 진단 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 진단 키트는 PCR 키트, DNA 칩 키트, 단백질 칩 키트 또는 마이크로어레이 키트인, 암 진단 키트.
  8. 제1항의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와 생물학적 시료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소암, 유방암, 폐암 및 대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암 진단에 대한 정보제공 방법.
  9. 제1항의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포함하는, 난소암, 유방암, 폐암 및 대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의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포함하는, 난소암, 유방암, 폐암 및 대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암에 대한 항암보조제 조성물.
  11. 제1항의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포함하는, 난소암, 유방암, 폐암 및 대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제1항의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를 포함하는, 난소암, 유방암, 폐암 및 대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암 특이적 약물전달용 조성물.
KR1020190036171A 2019-03-28 2019-03-28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및 이의 용도 Active KR10221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71A KR102212149B1 (ko) 2019-03-28 2019-03-28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및 이의 용도
PCT/KR2020/004329 WO2020197352A1 (ko) 2019-03-28 2020-03-30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및 이의 용도
CN202080031891.0A CN114072504B (zh) 2019-03-28 2020-03-30 与癌干细胞特异性结合的适体及其用途
EP20776943.1A EP3950946A4 (en) 2019-03-28 2020-03-30 APTAMER SPECIFICALLY BINDING TO CANCER STEM CELLS AND ITS USE
US17/593,951 US20220251571A1 (en) 2019-03-28 2020-03-30 Aptamer specifically binding to cancer stem cells, and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71A KR102212149B1 (ko) 2019-03-28 2019-03-28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885A KR20200115885A (ko) 2020-10-08
KR102212149B1 true KR102212149B1 (ko) 2021-02-04

Family

ID=7261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171A Active KR102212149B1 (ko) 2019-03-28 2019-03-28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51571A1 (ko)
EP (1) EP3950946A4 (ko)
KR (1) KR102212149B1 (ko)
CN (1) CN114072504B (ko)
WO (1) WO20201973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8978A2 (fr) * 2005-10-28 2007-05-03 Biomerieux Sa Procede de detection du cancer
EP2880163B1 (en) * 2012-08-02 2018-11-21 Deakin University Epcam aptamer for detection of cancer stem cells
SG11201500666TA (en) * 2012-08-02 2015-02-27 Univ Deakin Cd133 aptamers for detection of cancer stem cells
KR101568400B1 (ko) * 2012-08-09 2015-11-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핵산 앱타머 및 이의 용도
AU2013340414B2 (en) * 2012-10-23 2019-05-02 Caris Science, Inc. Aptamers and uses thereof
KR101641920B1 (ko) * 2014-09-05 2016-07-2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EpCAM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핵산 앱타머 및 이의 용도
WO2016179285A1 (en) * 2015-05-04 2016-11-10 Cytomx Therapeutics, Inc. Anti-cd166 antibodies, activatable anti-cd166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7015227A1 (en) * 2015-07-17 2017-01-26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of treating cd166-expressing canc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N YA-LI, 'Development of CD166 aptamer for targeting ovarian cancer stem-like cells',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0946A4 (en) 2023-10-25
CN114072504A (zh) 2022-02-18
EP3950946A1 (en) 2022-02-09
CN114072504B (zh) 2025-03-11
KR20200115885A (ko) 2020-10-08
US20220251571A1 (en) 2022-08-11
WO2020197352A1 (ko)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h et al. Down-regulation of HER2/neu expression induces apoptosis in human cancer cells that overexpress HER2/neu
Zhang et al. The histone deacetylase SIRT6 inhibits ovarian cancer cell proliferation via down-regulation of Notch 3 expression.
CN103907022A (zh) 用于治疗和诊断结直肠癌的方法和组合物
US9650638B2 (en) Aptamer for periostin and anti-cancer composition including same
CN104582727B (zh) 利用Slit-Robo系统用于预防或治疗骨折或骨质疏松症的组合物
WO2000027340A2 (en) USE OF t-RNA AND FRAGMENTS FOR INHIBITING ANGIOGENESIS AND COMPOSITIONS THEREOF
CN105779598B (zh) 一种诊治垂体瘤的分子标志物
US8389711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cancer and asthma
KR102154683B1 (ko) 글리피칸-3 특이적 변형 압타머 및 이의 용도
KR102212149B1 (ko) 암 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및 이의 용도
CN102325547A (zh) 含有抗癌剂和对l1cam的活性和表达具有抑制作用的物质的抗癌组合物
CN105792853B (zh) 用于预防和治疗癌症的含有cyb5R3基因或蛋白作为活性成分的药物组合物
KR101883142B1 (ko) Sdf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색소 형성 조절용 조성물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05624325A (zh) 肺腺癌的诊治标记物
US20220403395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growth of cancer stem cells, containing wdr34 inhibitor, and use thereof
JP2020055759A (ja) Foxk1阻害剤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foxk1阻害作用を有する候補物質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Xu et al. Effect of isofebrifugine on the proliferation and invasion of human gastric cancer cells via MMP
KR102104478B1 (ko) miR-133a-3p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KR102129532B1 (ko) Pten 억제제에 대한 췌장암 치료 반응성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Li et al. Virulizin®, a novel immunotherapy agent, stimulates TNFα expression in monocytes/macrophages in vitro and in vivo
KR20200115883A (ko) 테트라스파닌-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29585A (ko) Mage-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및 이의 용도
KR20200083318A (ko) Mal이 발현된 줄기세포 유사 기억 t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또는 항암활성 증진용 조성물
KR20200022187A (ko) Nono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KR102087044B1 (ko) Mmp-10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