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11877B1 -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 - Google Patents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877B1
KR102211877B1 KR1020200075979A KR20200075979A KR102211877B1 KR 102211877 B1 KR102211877 B1 KR 102211877B1 KR 1020200075979 A KR1020200075979 A KR 1020200075979A KR 20200075979 A KR20200075979 A KR 20200075979A KR 102211877 B1 KR102211877 B1 KR 102211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agent
clinic
perm
was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조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호 filed Critical 조성호
Priority to KR102020007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8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45D7/06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combined chemical and therm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4Preparations for permanent waving or straighten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발에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도포하는 제1클리닉제도포단계, 상기 제1클리닉제도포단계를 통해 클리닉제가 도포된 모발에 약알칼리성 펌제를 도포하는 알칼리펌제도포단계, 상기 알칼리펌제도포단계를 통해 약알칼리성 펌제가 도포된 모발에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도포하는 제2클리닉제도포단계, 상기 제2클리닉제도포단계를 통해 클리닉제가 도포된 모발을 세척 및 건조하는 세척건조단계, 상기 세척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모발을 편후에 와인딩하는 모발고정단계, 상기 모발고정단계를 통해 고정된 모발을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 상기 열처리단계를 통해 열처리된 모발에 중화제를 도포하는 중화단계 및 상기 중화단계를 통해 중화된 모발을 세척하는 세척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펌 시술은 모발을 펴거나 다양한 컬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손상된 모발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 {TREATMENT METHOD OF PERM FOR DAMAGE HAIR USING A PROTEIN CONTAINING PERMANENT AGENTS}
본 발명은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발을 펴거나 다양한 컬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손상된 모발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발의 큐티클층은 케라틴이라 불리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성 시스테인간 이황화 다리결합(-S-S-)을 통해 모발의 탄력이 유지된다. 이러한 이황화 결합은 화학적 자극이나 물리적 자극 등에 의해 약화되거나 절단되어 모발의 강도는 상기의 자극이 지속되게 되면 약해진다.
상기와 같이 손상된 모발은 모발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의 결합이 끊어진 상태로서 윤기를 잃는 것은 물론이고, 엉킴현상이 쉽게 발생하여 빗질도 어려워지며, 보습이 되지 않아 푸석푸석한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손상된 모발 부분이 많아지면 염색 및 펌 시술을 할 경우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없게 되고, 펌 시술을 자주 할 수 없어 헤어 스타일 변화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게 된다.
한편, 펌은 웨이브 펌과 스트레이트 펌으로 구분되고, 다시 화학적 펌과 열펌으로 구분되는데, 최근 열펌은 펌 디자인이 오래 지속되고 만족도 높은 디자인을 얻을 수 있어 각광을 받고 있다.
통상적으로 열펌의 시술과정은 크게 나누어 모발에 환원제를 도포하고 소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환원단계와, 모발을 깨끗이 세척하는 단계와, 모발에 열을 가하여 원하는 형태로 머리 모양을 만드는 열처리 단계와, 모발에 중화제를 도포한 후 최종적으로 모발을 깨끗이 샴푸 세척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통상의 환원제는 알칼리성의 티오글리콜산과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화합물의 수용액이고, 중화에 사용되는 산화제는 묽은 과산화수소이다. 상기 환원제는 모발 가닥간에 형성되어 있던 이황화 결합을 해리시켜, 이황화 결합이 깨진 상태에서 머리카락을 롯드에 감거나 스트레이트기로 펴면 단백질 섬유 가닥들이 재배치되는데, 그 후, 모발에 중화제인 산화제를 가하면 새로운 이황화 다리 결합이 형성되면서 상기 재배치된 형태대로 고정되어 펌(perm)이 완료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 설명한 종래에 펌 시술은 시술과정에 사용되는 알칼리성 재제가 포함된 환원펌제로부터 잔류한 알칼리의 영향으로 인해 모발은 pH가 9.3 내지 9.6 정도의 알칼리성을 나타내게 되고, 상기의 잔류 알칼리 성분이 모발의 큐티클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펌 시술과정에서 사용되는 알칼리제 함유 환원펌제로부터 유발되는 모발손상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모발의 알칼리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알칼리 크리닉제, 산성펌제, 알칼리 펌제 등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시술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시술방법 역시 알칼리성분이 함유된 펌제를 사용하는 바, 실질적으로 잔류 알칼리염의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없고, 모발 손상을 다소 낮출 수는 있다고 하더라도 잔류 알칼리염이 완전히 빠진 후에야 헤어 펌을 재시술할 수 있는 등 여전히 잔류 알칼리염으로 인한 모발 관리의 한계가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511156호(2015.04.06) 한국특허등록 제10-1576490호(2015.12.04)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을 펴거나 다양한 컬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손상된 모발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에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도포하는 제1클리닉제도포단계, 상기 제1클리닉제도포단계를 통해 클리닉제가 도포된 모발에 약알칼리성 펌제를 도포하는 알칼리펌제도포단계, 상기 알칼리펌제도포단계를 통해 약알칼리성 펌제가 도포된 모발에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도포하는 제2클리닉제도포단계, 상기 제2클리닉제도포단계를 통해 클리닉제가 도포된 모발을 세척 및 건조하는 세척건조단계, 상기 세척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모발을 편후에 와인딩하는 모발고정단계, 상기 모발고정단계를 통해 고정된 모발을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 상기 열처리단계를 통해 열처리된 모발에 중화제를 도포하는 중화단계 및 상기 중화단계를 통해 중화된 모발을 세척하는 세척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클리닉제는 단백질 성분 100 중량부 헤어 케어용 조성물 5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백질 성분은 케라틴, 대두, 실크, 콜라겐, 난백, 우유, 양모 및 소맥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헤어 케어용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 해양심층수 1 내지 2 중량부 및 천연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연 추출물은 모자반 추출물, 참미역 추출물 및 곤포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약알칼리성 펌제는 pH가 7.5 내지 8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열처리단계는 60 내지 140℃의 온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화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 과산화수소 5 내지 20 중량부 및 모발보호제 0.1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발보호제는 홍삼, 당약, 천궁, 목단피 및 범부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은 모발을 펴거나 다양한 컬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손상된 모발을 개선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은 모발에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도포하는 제1클리닉제도포단계(S101), 상기 제1클리닉제도포단계(S101)를 통해 클리닉제가 도포된 모발에 약알칼리성 펌제를 도포하는 알칼리펌제도포단계(S103), 상기 알칼리펌제도포단계(S103)를 통해 약알칼리성 펌제가 도포된 모발에 클리닉제를 도포하는 제2클리닉제도포단계(S105), 상기 제2클리닉제도포단계(S105)를 통해 클리닉제가 도포된 모발을 세척 및 건조하는 세척건조단계(S107), 상기 세척건조단계(S107)를 통해 건조된 모발을 편후에 와인딩하는 모발고정단계(S109), 상기 모발고정단계(S109)를 통해 고정된 모발을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S111), 상기 열처리단계(S111)를 통해 열처리된 모발에 중화제를 도포하는 중화단계(S113) 및 상기 중화단계(S113)를 통해 중화된 모발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클리닉제도포단계(S101)는 모발에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도포하는 단계로, 모발에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도포하게 되면 손상부위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알칼리펌제도포단계(S103)를 통해 도포되는 약알칼리성 펌제로 인해 모발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리닉제는 단백질 성분 100 중량부 헤어 케어용 조성물 5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단백질 성분은 모발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손상된 모발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데, 케라틴, 대두, 실크, 콜라겐, 난백, 우유, 양모 및 소맥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헤어 케어용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 해양심층수 1 내지 2 중량부 및 천연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해양심층수는 1 내지 2 중량부가 함유되며,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심해 1500 내지 2000m의 저온 고압의 청정 숙성된 천연 해양심층수를 일컷는 것으로, 이러한 해양 심층수는 각종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어, 모발재생에 필요한 간충물질을 충진할 수 있게하여 모발의 심층부부터 재생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특히, 해양 심층수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원소가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조성비가 인체의 조성비와 매우 유사하며 영양염형 원소, 특히 질산염, 인산염, 규산염 등의 무기 영양염류가 풍부하기 때문에, 모발성장의 촉진, 모발변색과 조기탈모의 예방 및 모발 노화의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해양심층수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해양심층수의 함량이 2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이 지나치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천연 추출물은 0.1 내지 0.5 중량부가 함유되며, 모자반 추출물, 참미역 추출물 및 곤포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자반 추출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모자반은 모자반목 모자반과에 속하는 대형조류로 난류지역에 널리 퍼져 있으며, 상기 참미역 추출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참미역은 다시마목 미역과에 속하는 1년생 대형 조류로 한국과 일본에서만 주로 서식하며, 상기 곤포 추출물은 조류인 참다시마로부터 얻은 추출물로, 상기의 모자반 추출물, 참미역 추출물 및 곤포 추출물은 열수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모자반 추출물, 참미역 추출물 및 곤포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5 내지 20 중량부 혼합하고 80 내지 95℃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모자반, 참미역 및 곤포 등으로 부터 제조되는 추출물은 히아루론산과 견줄만한 우수한 보습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모발성분과 유사한 구성의 미네랄 구성인 요오드,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과 같은 필수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다량의 마이너스 전자를 가지고 있어 모발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며 모발 유연성에 도움을 주는 다기능 보습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천연 추출물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천연 추출물의 함량이 0.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이 지나치게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펌제도포단계(S103)는 상기 제1클리닉제도포단계(S101)를 통해 클리닉제가 도포된 모발에 약알칼리성 펌제를 도포하는 단계로, 상기 제1클리닉제도포단계(S101)를 통해 클리닉제가 도포된 모발에 pH가 7.5 내지 8인 약알칼리성 펌제를 도포하여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펌 시술과정에서 모발에 알칼리성 펌제가 처리되면 모발은 pH가 9.3 내지 9.6 정도의 알칼리성을 나타내게 되고, 상기의 pH에서는 모발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pH가 7.5 내지 8인 약알칼리성 펌제를 도포하여 모발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알칼리성 펌제는 pH가 7.5 내지 8 범위의 통상적은 펌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제품화된 것으로는 시세이도의 컬크리에이터(상품명) 등이 있으며, 상기 약알칼리성 펌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알칼리성 펌제의 사용량과 유사한 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클리닉제도포단계(S105)는 상기 알칼리펌제도포단계(S103)를 통해 약알칼리성 펌제가 도포된 모발에 클리닉제를 도포하는 단계로, 상기 알칼리펌제도포단계(S103)를 통해 약알칼리성 펌제가 도포된 모발에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도포하여 이루어지는데, 모발에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도포하게 되면 손상부위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알칼리펌제도포단계(S103)를 통해 도포되는 약알칼리성 펌제로 인해 모발의 손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는 상기 제1클리닉제도포단계(S101)에서 사용된 성분 및 역할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세척건조단계(S107)는 상기 제2클리닉제도포단계(S105)를 통해 클리닉제가 도포된 모발을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로, 상기 제2클리닉제도포단계(S105)를 통해 클리닉제가 도포된 모발을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에 헤어 드라이기 등을 통해 건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발고정단계(S109)는 상기 세척건조단계(S107)를 통해 건조된 모발을 편후에 와인딩하는 단계로, 상기 세척건조단계(S107)를 통해 건조된 모발을 아이롱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곧게 편 후에, 곧게 펴진 모발을 롯드에 말아서 와인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아이롱기를 이용하여 모발을 곧게 현 후에 롯드에 말이 와인딩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모발을 롯드에 바로 와인딩하는 경우에 비해 컬의 형성비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컬이 자연스럽고 멋스럽게 형성된다.
상기 열처리단계(S111)는 상기 모발고정단계(S109)를 통해 고정된 모발을 열처리하는 단계로, 상기 모발고정단계(S109)를 통해 고정된 모발을 60 내지 14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이루어지는데, 열처리 온도는 모발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일 예로, 열처리 대상 모발이 일반 모발일 경우 140℃, 120℃, 80℃ 및 60℃에 해당하는 열을 순차적으로 5 내지 15분 동안 적용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모이거나 컬의 형성이 어려운 모발일 경우 140℃, 100℃, 120℃ 및 80℃에 해당하는 열을 순차적으로 5 내지 15분 동안 적용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처리 대상 모발이 극손상모발일 경우에는 120℃, 80℃, 100℃ 및 60℃에 해당하는 열을 5 내지 15분 동안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화단계(S113)는 상기 열처리단계(S111)를 통해 열처리된 모발에 중화제를 도포하는 단계로, 상기 열처리단계(S111)를 통해 열처리된 모발에 중화제를 도포하여 모발을 중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중화단계(S113)를 거치면 상기 모발고정단계(S109)와 상기 열처리단계(S111)를 통해 모발에 부여된 컬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화제는 상기와 같이 모발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게 하면서도 모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제수 100 중량부, 과산화수소 5 내지 20 중량부 및 모발보호제 0.1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알칼리성 펌제가 적용되는 경우 중화제는 과산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액을 적용하게 되는데, 과산화수소는 모발을 손상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성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산화수소로 인해 모발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발보호제가 함유된 중화제를 적용하는데, 상기 모발보호제는 홍삼, 당약, 천궁, 목단피 및 범부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홍삼( Panax ginseng C.A Meyer)은 뿌리 부분에 배당체, 정유, 기름, 아미노산, 알카로이드, 탄수화물, 비타민, 수지 및 미량원소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홍삼의 배당체 성분 중에는 파나쿠일론, 파낙식, 파낙솔, 긴세닌 등의 배당체 혼합물 또는 파낙사디올-2-글루코시드 등이 함유되며, 파낙콘, 파낙신 등의 파낙사디올-3-글루코시드도 존재한다.
또한, 상기 당약( Swertia japonica Makino, Gentianaceae)은 전초 부분에 쓴맛이 있는 결정성 배당체인 스웨르티아마린, 스웨르시드, 겐티오피크로시드, 아마로겐틴, 아로마스웨린을 함유하는데, 스웨르티아마린은 에리타우린과 포도당으로 가수분해된다. 당약은 이외에도 올레아놀산(약 2%)과 겐티신, 겐티아닌(0.75%), 크산톤 유도체인 노르스웨르티아닌, 스웨르티아닌, 메틸스웨르티아닌, 벨리디폴린,메틸벨리디폴린 등을 함유한다.
또한, 상기 천궁( Cnidium Officinale Makino)은 뿌리 줄기에 1 내지 2%의 정유를 비롯하여 키니딜라이드, 리거스틸라이드, 네오키니딜라이드, 부틸페랄라이드, 세도닉엑시드 및 세큐놀라이드를 함유한다.
또한, 상기 목단피( Paeonia suffruticosa Andrews)는 뿌리껍질과 목심에 페오놀 배당체인 페오노시드, 페오놀리드, 페오니플로린, 안식향산, 페오놀 등을 함유한다.
또한, 상기 범부채( Belamcanda chinensis De Candolle, Iridaceae)는 뿌리 줄기에 이소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인 벨람칸딘, 이리딘 1.5%, 테토리딘을 함유한다.
따라서,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모발보호제가 함유된 중화제는 모발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데, 상기 모발보호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능이 미미하며, 상기 모발보호제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세척단계(S115)는 상기 중화단계(S113)를 통해 중화된 모발을 세척하는 단계로, 상기 중화단계(S113)를 통해 중화된 모발을 흐르는 물에 세척하여 중화제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세척단계(S115)를 통해 세척된 모발은 별도의 세척제를 적용하지 않고, 물기를 제거한 후에 건조하고, 건조상태를 20 내지 30시간 유지하여 컬이 형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 및 그 시술방법을 통해 시술된 모발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의 제조
단백질 성분(케라틴) 100 중량부 헤어 케어용 조성물{정제수 100 중량부, 해양심층수 1 내지 2 중량부 및 천연 추출물(모자반 추출물) 0.3 중량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천연 추출물로 참미역 추출물을 사용하여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천연 추출물로 곤포 추출물을 사용하여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중화제의 제조
정제수 100 중량부, 과산화수소 12 중량부 및 모발보호제(홍삼 추출물)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중화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중화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4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모발보호제로 당약 추출물을 사용하여 중화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중화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4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모발보호제로 천궁 추출물을 사용하여 중화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중화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4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모발보호제로 목단피 추출물을 사용하여 중화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8> 중화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4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모발보호제로 범부채 추출물을 사용하여 중화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손상모발에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도포하고, 상기 클리닉제가 도포된 모발에 약알칼리성 펌제(시세이도의 컬크리에이터)를 도포하고, 약알칼리성 펌제가 도포된 모발에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도포하고, 클리닉제가 도포된 모발을 세척 및 건조하고, 건조된 모발을 아이롱기로 곧게 편 후에 롯드에 말아서 와인딩하여 고정하고, 고정된 모발에 140℃, 120℃, 80℃ 및 60℃의 열을 10분 동안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열처리하고, 열처리된 모발에 상기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중화제를 도포하여 중화하고, 중화된 모발을 세척하여 손상모발을 펌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이용하여 손상모발을 펌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이용하여 손상모발을 펌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조예 5을 통해 제조된 중화제를 이용하여 손상모발을 펌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조예 6을 통해 제조된 중화제를 이용하여 손상모발을 펌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조예 7을 통해 제조된 중화제를 이용하여 손상모발을 펌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조예 8을 통해 제조된 중화제를 이용하여 손상모발을 펌하였다.
<비교예 1>
손상모발에 약알칼리성 펌제(시세이도의 컬크리에이터)를 도포하고, 약알칼리성 펌제가 도포된 모발을 세척 및 건조하고, 건조된 모발을 아이롱기로 곧게 편 후에 롯드에 말아서 와인딩하여 고정하고, 고정된 모발에 80℃의 열을 10분 동안 적용하여 열처리하고, 열처리된 모발에 상기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진 중화제를 도포하여 중화하고, 중화된 모발을 세척하여 손상모발을 펌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약알칼리성 펌제 대신 산성 펌제(마지아 경화펌제)를 사용하고,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진 중화제 대신 브롬산계 중화제를 사용하여 손상모발을 펌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펌이 완료된 손상모발의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손상모발의 물성은 모발 윤기, 모발탄력, 모발 보습, 컬의 형성 및 시술 만족도를 잦은 펌으로 인해 모발 손상이 있는 20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하여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고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5점;매우 개선, 4점;개선, 3점;개선 없음, 2점;나빠짐, 1점;매우 나빠짐)
<표 1>
Figure 112020064132518-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을 통해 이루어진 펌 시술방법은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와 모발보호제가 함유된 중화제가 사용되어 모발의 윤기, 탄력 및 보습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컬의 형성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비자의 시술 만족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은 모발을 펴거나 다양한 컬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손상된 모발을 개선한다.
S101 ; 제1클리닉제도포단계
S103 ; 알칼리펌제도포단계
S105 ; 제2클리닉제도포단계
S107 ; 세척건조단계
S109 ; 모발고정단계
S111 ; 열처리단계
S113 ; 중화단계
S115 ; 세척단계

Claims (8)

  1. 모발에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도포하는 제1클리닉제도포단계;
    상기 제1클리닉제도포단계를 통해 클리닉제가 도포된 모발에 약알칼리성 펌제를 도포하는 알칼리펌제도포단계;
    상기 알칼리펌제도포단계를 통해 약알칼리성 펌제가 도포된 모발에 단백질이 함유된 클리닉제를 도포하는 제2클리닉제도포단계;
    상기 제2클리닉제도포단계를 통해 클리닉제가 도포된 모발을 세척 및 건조하는 세척건조단계;
    상기 세척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모발을 편후에 와인딩하는 모발고정단계;
    상기 모발고정단계를 통해 고정된 모발을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
    상기 열처리단계를 통해 열처리된 모발에 중화제를 도포하는 중화단계; 및
    상기 중화단계를 통해 중화된 모발을 세척하는 세척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발고정단계는 상기 세척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모발을 아이롱기를 이용하여 곧게 편 후에, 롯드에 말아서 와인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처리단계는 140℃, 120℃, 80℃ 및 60℃에 해당하는 열을 순차적으로 5 내지 15분 동안 적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클리닉제는 단백질 성분 100 중량부 헤어 케어용 조성물 5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백질 성분은 케라틴, 대두, 실크, 콜라겐, 난백, 우유, 양모 및 소맥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어 케어용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 해양심층수 2 중량부 및 천연 추출물 0.5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연 추출물은 모자반 추출물, 참미역 추출물 및 곤포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약알칼리성 펌제는 pH가 7.5 내지 8이고,
    상기 중화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 과산화수소 20 중량부 및 모발보호제 5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발보호제는 홍삼, 당약, 천궁, 목단피 및 범부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75979A 2020-06-22 2020-06-22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 Active KR102211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79A KR102211877B1 (ko) 2020-06-22 2020-06-22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79A KR102211877B1 (ko) 2020-06-22 2020-06-22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877B1 true KR102211877B1 (ko) 2021-02-03

Family

ID=74571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979A Active KR102211877B1 (ko) 2020-06-22 2020-06-22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258B1 (ko) 2022-06-13 2022-09-27 신명철 손상모발 개선용 펌제를 이용한 펌 시술방법
KR102836317B1 (ko) * 2024-10-16 2025-07-21 배기연 천연 잔류 물질 제거제를 이용한 펌 시술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784B1 (ko) * 2004-06-04 2006-09-20 소망화장품주식회사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퍼머넌트용 조성물
KR101511156B1 (ko) 2015-02-09 2015-04-10 조길수 손상모를 회복시켜 주는 펌 시술방법
KR101576490B1 (ko) 2015-05-21 2015-12-10 조길수 모발 손상이 없는 펌 조성물 및 그 시술방법
KR101739338B1 (ko) * 2016-07-04 2017-05-24 이범석 모발 손상이 없는 펌 시술방법
KR20170092817A (ko) * 2016-02-04 2017-08-14 주식회사 헤어레시피 손상모 재생 및 모발 보호 기능이 우수한 헤어 케어 트리트먼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784B1 (ko) * 2004-06-04 2006-09-20 소망화장품주식회사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퍼머넌트용 조성물
KR101511156B1 (ko) 2015-02-09 2015-04-10 조길수 손상모를 회복시켜 주는 펌 시술방법
KR101576490B1 (ko) 2015-05-21 2015-12-10 조길수 모발 손상이 없는 펌 조성물 및 그 시술방법
KR20170092817A (ko) * 2016-02-04 2017-08-14 주식회사 헤어레시피 손상모 재생 및 모발 보호 기능이 우수한 헤어 케어 트리트먼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39338B1 (ko) * 2016-07-04 2017-05-24 이범석 모발 손상이 없는 펌 시술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258B1 (ko) 2022-06-13 2022-09-27 신명철 손상모발 개선용 펌제를 이용한 펌 시술방법
KR102836317B1 (ko) * 2024-10-16 2025-07-21 배기연 천연 잔류 물질 제거제를 이용한 펌 시술 방법
KR102836313B1 (ko) * 2024-10-16 2025-07-21 배기연 컬의 고정력과 지속성을 향상시킨 펌 시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0580A (en) Process for the permanent shaping of the regrowth of hair and composition therefore
JP5919267B2 (ja) カーリーヘア、癖毛又は縮れ毛の半永久矯正方法
US5635168A (en)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JP6371631B2 (ja) メチオニル−メチオニンの立体異性体および化粧品におけるその使用
KR101952430B1 (ko) 헤어 펌제용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방법
US20030099605A1 (en) Hair clarifying treatment
JP2019123701A (ja) 毛髪処理剤
KR101135271B1 (ko) 모발손상 없는 퍼머넌트 웨이브 방법
JP2022168056A (ja) 毛髪強化剤
KR102211877B1 (ko) 단백질이 함유된 펌제를 이용한 손상모발용 펌 시술방법
KR102106852B1 (ko) 모발 손상을 최소화하는 펌 시술방법
JP6346399B2 (ja) 毛髪変形用処理剤および毛髪変形処理方法
KR20200023871A (ko) L-아르기닌을 이용한 펌 시술용 모발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방법
JPS5867613A (ja)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加工剤用希釈剤
WO2020162543A1 (ja) 毛髪処理方法
KR101958993B1 (ko) 일액형의 퍼머넌트 웨이브 조성물
KR101728306B1 (ko)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KR101443122B1 (ko) 퍼머액 조성물 및 퍼머넌트 성형 방법
JP2009161519A (ja) 化粧品基材および毛髪化粧料
JP5049758B2 (ja) 毛髪処理剤
US5182110A (en) Natural extract based hair reshaping composition
JP7560912B1 (ja) 毛髪処理剤
KR101664333B1 (ko) 환원성 성분 및 마린콜라겐펩타이드를 이용한 모발 스타일링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836313B1 (ko) 컬의 고정력과 지속성을 향상시킨 펌 시술 방법
JP7515794B2 (ja) 酸性縮毛矯正、酸性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及び酸性加熱式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用第2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9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9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12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9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