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965B1 -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8965B1 KR102208965B1 KR1020140135122A KR20140135122A KR102208965B1 KR 102208965 B1 KR102208965 B1 KR 102208965B1 KR 1020140135122 A KR1020140135122 A KR 1020140135122A KR 20140135122 A KR20140135122 A KR 20140135122A KR 102208965 B1 KR102208965 B1 KR 1022089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sensor
- unit
- sensor module
- shutter
- control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in combination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s for illuminating objec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1—Image signal generators wherein the generated image signals comprise depth maps or disparity map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96—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5—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involving internal camera communication with the image sensor, e.g. synchronising or multiplexing SSIS control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02—SSIS architectures characterised by non-identical, non-equidistant or non-planar pixel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광 셔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도 2의 광 셔터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구동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 구동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제1 제어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a의 셔터 구동부에 의한 전력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 구동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제어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도 11의 하프 브리지 회로를 제어하는 한 쌍의 제1 제어 신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와 같이 제어되는 셔터 구동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셔터 구동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셔터 구동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 도 22a 및 도 22b는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각각, 본 게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20: 광 셔터
140: 셔터 구동부
160: 영상 생성부
RLIT: 반사광
Vbias: 바이어스 전압
Vdrv: 구동 전압
MLIT#: 적어도 둘 이상의 광 변조 신호
IMG: 영상 데이터
D_inf: 깊이 정보
Claims (31)
- 손실이 보상된 재활용 에너지(recycling energy)로부터, 제1 바이어스 전압(bias voltage)으로 바이어싱(biasing) 된 정현파로,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셔터 구동부(shutter driver);
상기 구동 전압에 따라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투과 정도를 달리하여, 각각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광 변조 신호로 변조하는 광 셔터(optical shutter);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광 변조 신호의 위상 차이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깊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피사체에 대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광 셔터와의 에너지 교환을 통해 공진하여 상기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공진부;
상기 공진부가 상기 광 셔터와 에너지를 교환하는 중에 기생 저항에 의해 손실된 에너지를 상기 공진부로 인가하는 손실 보상부; 및
상기 구동 전압의 피크를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손실 보상부가 상기 공진부로 인가하는 에너지의 양 및 상기 손실 보상부가 상기 공진부로 에너지를 인가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3D image sensor module).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일 단이 상기 광 셔터의 일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손실 보상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inductor); 및
일 단이 상기 인덕터의 타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타 단이 상기 광 셔터의 타 단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 보상부는,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팅(gating)되고, 출력단이 상기 공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진부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버터(inverter)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은,
상기 인덕터와 상기 커패시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노드와 연결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은,
상기 광 셔터와 상기 공진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와 연결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의 피모스 트랜지스터(PMOS transistor) 및 앤모스 트랜지스터(NMOS transistor)의 게이트에 동시에 인가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광 셔터와 상기 공진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의 전압의 검출하여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는 활성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활성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이 하이 임피던스(high impedance)의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에 대한 환경 정보에 근거하여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는 활성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활성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이 하이 임피던스의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를 게이팅하는 신호와 상기 인버터의 앤모스 트랜지스터를 게이팅하는 신호인 한 쌍의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제어 신호는,
듀티비(duty ratio)가 상이한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 보상부는,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한 쌍의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팅되고, 출력단이 상기 공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진부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프 브리지 회로(half bridge circuit)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광 셔터와 상기 공진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의 전압의 검출하여 듀티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듀티비 제어부; 및
상기 듀티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제어 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1 제어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에 대한 환경 정보에 근거하여 듀티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듀티비 제어부; 및
상기 듀티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한 쌍의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1 제어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구동부는,
버스트 모드(burst mode)로 동작할 것을 지시하는 버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버스트 모드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버스트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논리 레벨로 유지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손실 보상부로 전송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공진부로부터 상기 광 셔터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 결과로 출력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손실 보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의 온도 정보 및 특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에 대응되는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손실 보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셔터는,
상기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및
각각,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서,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타입 반도체층, 다중 양자우물 및 제2 타입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셔터는,
상기 반사광을, 각각, 0도, 90도 180도 및 270도의 위상을 갖는, 네 개의 광 변조 신호로 변조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광 변조 신호를 각각, 전기 신호로 센싱하여, 프레임(frame)의 단위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image sesor);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광 변조 신호 각각에 대한 프레임 사이의 위상 차이로부터 상기 깊이 정보를 산출하는 이미지 프로세서(image processor)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로 입사광을 순차적으로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상기 입사광을 각각 서로 다른 위상으로 순차적으로 방출하도록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
상기 반사광을 포커싱(focusing)하는 렌즈(lens); 및
상기 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반사광을, 상기 입사광의 대역폭과 동일한 파장 대역으로 필터링(filtering)하여 상기 광 셔터로 인가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1항의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 바이어스 전압(bias voltage)으로 바이어싱(biasing) 된 정현파의 구동 전압에 따라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투과 정도를 달리하여, 각각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광 변조 신호로 변조하는 광 셔터(optical shutter);
LC 공진 회로와 상기 광 셔터 사이의 에너지 교환으로 상기 구동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광 셔터로 인가하는 셔터 구동부(shutter driver);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광 변조 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기 신호 각각을, 프레임 단위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LC 공진 회로가 상기 광 셔터와 에너지를 교환하는 중에 기생 저항에 의해 손실된 에너지를, 상기 LC 공진 회로로 인가하는 손실 보상부; 및
상기 구동 전압의 피크를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손실 보상부가 상기 LC 공진 회로로 인가하는 에너지의 양 및 상기 손실 보상부가 상기 LC 공진 회로로 에너지를 인가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3D image sensor module). - 삭제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 보상부는,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팅(gating)되어, 상기 LC 공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노드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버터(inverter)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광 셔터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을 검출하여 검출 결과로 출력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듀티비 및 상기 셔터 구동부의 전원 전압의 전압 레벨을 조절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의 환경 정보에 대응되는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듀티비 및 상기 셔터 구동부의 전원 전압의 전압 레벨을 조절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은,
버스트 모드(burst mode)로 동작할 것을 지시하는 버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버스트 모드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버스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레임 중 일부에 대응되는 구간에서 상기 구동 전압을 생성하지 아니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 제1 바이어스 전압(bias voltage)으로 바이어싱(biasing) 된 정현파의 구동 전압에 따라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투과 정도를 달리하여, 각각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광 변조 신호로 변조하는 광 셔터(optical shutter);
상기 광 셔터와 일 단이 연결되는 인덕터(inductor), 상기 인덕터의 타 단이 출력단과 연결되는 인버터(inverter), 상기 인버터를 게이팅(gating)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부 및 기생 커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구동 전압을 상기 광 셔터로 인가하는 셔터 구동부(shutter driver);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광 변조 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기 신호 각각을, 프레임 단위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구동 전압의 피크를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3D image sensor module). - 제1 바이어스 전압(bias voltage)으로 바이어싱(biasing) 된 정현파의 구동 전압에 따라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투과 정도를 달리하여, 각각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광 변조 신호로 변조하는 광 셔터(optical shutter);
상기 광 셔터와 일 단이 연결되는 인덕터(inductor), 상기 인덕터의 타 단이 출력단과 연결되고 빌트-인 다이오드로 구현된 트랜지스터(transistor)를 포함하는 인버터(inverter), 및 상기 인버터를 게이팅(gating)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구동 전압을 상기 광 셔터로 인가하는 셔터 구동부(shutter driver);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광 변조 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기 신호 각각을, 프레임 단위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구동 전압의 피크를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3D image sensor module). - 제1항의 3차원 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피사체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5122A KR102208965B1 (ko) | 2014-10-07 | 2014-10-07 |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US14/734,592 US9918071B2 (en) | 2014-10-07 | 2015-06-09 | 3D image sensor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EP15177276.1A EP3007359B1 (en) | 2014-10-07 | 2015-07-17 | Shutter driver |
CN201510507582.7A CN105516703B (zh) | 2014-10-07 | 2015-08-18 | 三维图像传感器设备和快门驱动器 |
US15/883,437 US10511826B2 (en) | 2014-10-07 | 2018-01-30 | 3D image sensor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5122A KR102208965B1 (ko) | 2014-10-07 | 2014-10-07 |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1379A KR20160041379A (ko) | 2016-04-18 |
KR102208965B1 true KR102208965B1 (ko) | 2021-01-28 |
Family
ID=5378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5122A Active KR102208965B1 (ko) | 2014-10-07 | 2014-10-07 |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9918071B2 (ko) |
EP (1) | EP3007359B1 (ko) |
KR (1) | KR102208965B1 (ko) |
CN (1) | CN10551670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74951B2 (en) * | 2013-09-09 | 2017-02-21 |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 Image sensor including temperature sensor and electronic shutter function |
US9581696B2 (en) * | 2014-12-22 | 2017-02-28 | Google Inc. | Image sensor and light source driver integrated in a same semiconductor package |
KR102601055B1 (ko) | 2016-05-10 | 2023-11-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 소자,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
KR102605375B1 (ko) | 2016-06-29 | 2023-11-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EP3282305B1 (en) | 2016-08-10 | 2020-05-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ptical modulator using phase change material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
US11145822B2 (en) | 2017-10-20 | 2021-10-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mpound and photoelectric device,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102561532B1 (ko) * | 2018-09-28 | 2023-07-3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및 그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
US12349592B2 (en) | 2020-01-13 | 2025-07-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mpound and photoelectric device,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220028957A (ko) | 2020-08-31 | 2022-03-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전 소자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및 전자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34412B2 (ja) | 1998-03-17 | 2008-01-16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電子的撮像装置 |
KR101082049B1 (ko) | 2009-12-07 | 2011-11-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101624233B1 (ko) | 2009-12-21 | 2016-05-2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DE102011078338A1 (de) | 2011-06-29 | 2013-01-03 | Ifm Electronic Gmbh | Beleuchtung für eine Lichtlaufzeitkamera |
CN103096115A (zh) * | 2011-10-27 | 2013-05-08 | 三星电子株式会社 | 显示装置的多视图设备及其控制方法、以及显示系统 |
CN104041025B (zh) * | 2011-12-19 | 2017-03-29 |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 显示装置 |
KR101951318B1 (ko) | 2012-08-27 | 2019-04-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컬러 영상과 깊이 영상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3차원 영상 획득 장치 및 3차원 영상 획득 방법 |
KR101977711B1 (ko) * | 2012-10-12 | 2019-05-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깊이 센서, 이의 이미지 캡쳐 방법, 및 상기 깊이 센서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
KR101433508B1 (ko) * | 2013-02-04 | 2014-08-22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직류링크전압에 대응하는 계통 연계형 인버터 제어 장치 |
-
2014
- 2014-10-07 KR KR1020140135122A patent/KR102208965B1/ko active Active
-
2015
- 2015-06-09 US US14/734,592 patent/US9918071B2/en active Active
- 2015-07-17 EP EP15177276.1A patent/EP3007359B1/en active Active
- 2015-08-18 CN CN201510507582.7A patent/CN105516703B/zh active Active
-
2018
- 2018-01-30 US US15/883,437 patent/US10511826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100153A1 (en) | 2016-04-07 |
KR20160041379A (ko) | 2016-04-18 |
CN105516703B (zh) | 2019-02-01 |
EP3007359A1 (en) | 2016-04-13 |
US9918071B2 (en) | 2018-03-13 |
CN105516703A (zh) | 2016-04-20 |
EP3007359B1 (en) | 2020-09-09 |
US20180176540A1 (en) | 2018-06-21 |
US10511826B2 (en) | 2019-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8965B1 (ko) |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 및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277900B1 (ko) | 3차원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JP4898948B1 (ja) | データ伝送装置、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データ伝送装置制御プログラム | |
CN106253988B (zh) | 光模块及其工作温度调节方法 | |
JP4341708B2 (ja) | 半導体レーザ駆動装置、半導体レーザ駆動方法、光送信装置、光配線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 |
CN105372667B (zh) | 飞行时间装置和照明源 | |
US20130230314A1 (en) | Method for controlling optical power and extinction ratio over entire temperature range | |
US10727942B2 (en) | Optical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per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 |
US10090922B2 (en) | Loss of signal detector | |
CN103236644B (zh) | 调节小封装可热插拔光模块工作温度的方法及装置 | |
JP7511061B2 (ja) | 光送信サブアセンブリ | |
CN203760838U (zh) | 一种可用于突发模式的激光驱动器双闭环控制电路 | |
CN109510667B (zh) | 激光源产生电路及均衡方法 | |
US9148129B2 (en) | Driver circuit with asymmetric boost | |
KR102098700B1 (ko) | 개선된 동적 범위와 노이즈 특성을 가지는 포토 센싱 장치 | |
JP6155513B2 (ja) | 発光モジュールの制御方法 | |
JP4712669B2 (ja) | 光半導体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光モジュール | |
JP2009141448A (ja) | 光伝送システム | |
JP2009188758A (ja) | 光送信機 | |
TWI234357B (en) | Optical detection device | |
JP2006005763A (ja) | 光データリンク | |
TW201735480A (zh) | 雷射二極體的驅動電路 | |
Shaojin et al. | Design of laser carrier communication transmitter based on combined modulation | |
JP2017212684A (ja) | 光送信装置及び光送信装置の駆動調整方法 | |
JP2009259858A (ja) | 光トランシー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0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0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