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8562B1 - 오븐 - Google Patents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562B1
KR102208562B1 KR1020140092556A KR20140092556A KR102208562B1 KR 102208562 B1 KR102208562 B1 KR 102208562B1 KR 1020140092556 A KR1020140092556 A KR 1020140092556A KR 20140092556 A KR20140092556 A KR 20140092556A KR 102208562 B1 KR102208562 B1 KR 102208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oking chamber
oven
air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455A (ko
Inventor
이동호
장성덕
최철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09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562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327,530 priority patent/US10495319B2/en
Priority to EP15825313.8A priority patent/EP3172493B1/en
Priority to PCT/KR2015/003336 priority patent/WO2016013752A1/en
Priority to CA2953928A priority patent/CA2953928C/en
Priority to CN201580038365.6A priority patent/CN106537047A/zh
Priority to AU2015293017A priority patent/AU2015293017B2/en
Publication of KR20160011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56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유체 이동 구조를 개선한 오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며 상부에 위치하는 제1조리실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2조리실을 포함하는 조리실,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제1조리실과 제2조리실 사이에 위치하는 디바이더, 각각의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각각의 조리실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1순환팬과 제2순환팬, 외부의 공기를 제1조리실과 제2조리실 중 적어도 하나에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오븐{Oven}
본 발명은 오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실이 복수개인 경우에 각각의 조리실의 온도 차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유체 이동 구조를 개선한 오븐에 관한 것이다.
오븐은 조리재료를 밀폐,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그 열원에 따라 전기식, 가스식,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 오븐은 전기 히터를 열원으로 이용하고, 가스 오븐과 전자레인지는 각각 가스에 의한 열과 고주파로 인한 물분자의 마찰열을 열원으로 이용한다.
근래에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1조리실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2조리실을 포함하는 트윈 오븐이 이용되어 각각의 조리실에서 서로 다른 조리를 진행할 수 있다. 제1조리실과 제2조리실 사이에는 디바이더가 위치하여 조리실을 분할한다.
다만, 디바이더만으로는 제1조리실과 제2조리실이 완전히 밀폐가 어렵기 때문에 제1조리실과 제2조리실 간에 열전달이 일어난다. 이에 따라 제1조리실과 제2조리실에서는 비슷한 온도대역에서 이루어지는 조리만이 가능하여 각각 조리를 동시에 진행하기에는 제한적이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조리실과 제2조리실 간에 온도 차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며 상부에 위치하는 제1조리실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2조리실을 포함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제1조리실과 상기 제2조리실 사이에 위치하는 디바이더, 상기 각각의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조리실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1순환팬과 제2순환팬,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1조리실과 상기 제2조리실 중 적어도 하나에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홀,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입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을 제공한다.
상기 유입 모터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 모터가 흡입한 공기를 상기 조리실 중 적어도 하나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브라켓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브라켓 내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1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조리실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는 연통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와 상응하는 양의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조리실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도어의 냉각을 유도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외측에 설치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은 상기 냉각팬으로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은 상기 조리실의 일면에 마련되는 배출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으로부터 상기 조리실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홀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홀은 상기 제2조리실에 근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홀은 상기 제1조리실에 근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홀은 상기 케이싱의 높이의 1/2지점과 같거나 낮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며 각각 다른 온도에서 조리 가능한 복수의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조리실 사이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디바이더, 상기 조리실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조리실 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유입부, 상기 조리실 내의 온도가 높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을 제공한다.
상기 유입부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입홀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유입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입 모터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조리실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연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홀과 상기 유입 모터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내부에는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여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밸브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배출홀과, 상기 배출홀을 통과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도어의 냉각을 유도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외측에 설치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은 상기 냉각팬으로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으로부터 상기 조리실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조리실,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복수의 조리실의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순환팬, 상기 조리실 내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입부, 상기 조리실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배출부,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조리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밸브, 상기 조리실에서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을 제공한다.
상기 유입부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입홀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유입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 모터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 모터가 흡입한 공기를 상기 조리실 중 적어도 하나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브라켓이 결합되며, 상기 제1밸브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 내의 유로를 개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배출홀과, 상기 배출홀을 통과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조리실과 제2조리실의 공간을 활용하여 다른 종류의 조리를 서로 다른 온도에서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케이싱의 일부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유입 모터와 제1밸브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1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1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케이싱의 일부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케이싱의 일부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케이싱의 일부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 내부에 위치하는 조리실(11)을 포함한다. 조리실(11)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리물의 출납을 위해 전면은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개방된 전면은 조리실(1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도어(1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12)에는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12)의 적어도 일부분은 조리실(11) 내부의 음식물의 조리 과정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등의 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11)의 상부에는 회로 기판 등의 각종 전장부품(미도시)이 배치되는 전장실(60)이 마련된다. 전장실(60)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5)에는 오븐(1)의 각종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와, 오븐(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11)의 내부에는 조리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랙(22)을 장착할 수 있는 복수의 지지대(21)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21)는 조리실(11)의 좌측벽과 우측벽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21)에는 조리실(11)을 분할할 수 있는 디바이더(23)가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디바이더(23)는 조리실(11)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조리실(11)을 상부에 위치하는 제1조리실(11a)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2조리실(11b)로 분할할 수 있다.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은 각각의 크기가 서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은 각각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디바이더(23)는 단열 재질을 가지고,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을 단열시킬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을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조리실만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각각의 조리실(11)의 후면에는 순환팬 유닛(3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조리실(11a)의 후방에는 제1순환팬 유닛(30a)이 결합되고, 제2조리실(11b)의 후방에는 제2순환팬 유닛(30b)이 결합된다. 제1순환팬 유닛(30a)의 제1순환팬(34a)은 제1조리실(11a)의 공기를 대류시킬 수 있고, 제2순환팬 유닛(30b)의 제2순환팬(34b)은 제2조리실(11b)의 공기를 대류시킬 수 있다.
각각의 순환팬 유닛(30)은 순환 모터(33)와 순환팬(34)을 구비한다. 순환팬(34)의 전방에는 판상의 부재로 형성되는 순환팬 커버(32)가 결합될 수 있다. 순환팬 커버(32)에는 통공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팬(34)을 지난 유체는 통공부(31)를 통해 조리실(11)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장실(60)의 내부에는 전장실(60)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 유닛(50)이 설치된다. 냉각팬 유닛(50)은 외부의 공기를 전장실(60) 내부로 흡입하여 오븐(1)의 전방으로 배출시킨다.
또한, 조리실(11)과 냉각팬 유닛(50)은 별도의 유로(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조리실(11) 내부의 적어도 일부의 유체는 유로(미도시)를 통해 냉각팬 유닛(50)으로 유입된 후, 오븐(1)의 전방으로 배출된다.
냉각팬(50)으로 인해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60)의 하부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전방 유로(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조리실(11a)과 전장실(60)의 사이에는 차폐 프레임(62)이 마련되어 제1조리실(11a)과 전장실(60) 사이의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차폐한다. 제1조리실(11a) 상부와 전장실(60)의 하부 및 차폐 프레임(62) 사이의 공간에는 제1단열재(71)가 위치할 수 있다. 제1단열재(71)는 제1조리실(11a) 내부의 열이 전장실(6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순환팬 유닛(30)의 후방과 케이싱(10)의 사이에는 제2단열재(72)가 위치할 수 있다. 제2단열재(72)는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 내부의 열이 케이싱(10)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븐(1)이 작동되면, 조리실(11) 내부의 공기가 히터(24)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가 조리실(11) 내부를 순환하면서 음식물이 조리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조리실(11) 내부의 온도는 매우 높아지고, 조리실(11)의 열기가 전면에 위치한 도어(12)에 전달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팬 유닛(50)이 작동하여 도어(12)의 냉각을 위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한다. 냉각팬 유닛(50)은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다시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냉각팬 유닛(5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전방 유로(51)를 통해 오븐(1)의 전면을 향해 흐를 수 있다. 전방 유로(51)를 통해 오븐(1)의 전면으로 유입된 공기는 도어(12)에 인접하도록 마련되는 전방 토출구(51a)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공기가 토출되는 도어(12)의 상부는 압력이 낮아져 주변의 공기가 도어(12)의 상부로 모이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12)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유로(12a, 12b, 12c)를 통해 도어(12)의 하단에서 유입된 공기가 도어 유로(12a, 12b, 12c)를 통해 도어(12)의 상단으로 이동하여 전방 토출구(51a)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오븐(1)의 냉각팬 유닛(50)의 작동으로 인하여 전방 하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는 오븐(1)의 쿨링을 위하여 케이싱(10) 내부를 이동한 후 전방 토출구(51a)를 통하여 토출된다.
케이싱(10)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 케이싱(10a)에는 외부의 공기를 조리실(11) 중 적어도 하나에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부는 유입홀(41)과 유입 모터(4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홀(41)은 후면 케이싱(10a)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홀(41)은 제2조리실(11b)에 근접하도록 마련되어 제2조리실(11b)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유입홀(41)로의 공기의 유입은 유입 모터(42)의 작동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유입홀(41)로 유입된 공기는 유입 모터(42)에 결합되는 가이드 브라켓(45)을 통해 제2조리실(11b) 내부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11)로 유입된 유체의 양에 상응하는 유체가 조리실(11)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후면 케이싱(10a)에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홀(미도시)과 관의 형태로 마련된 배출관(52)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케이싱(10a)에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유로인 배출관(52)이 별도로 결합될 수 있다. 배출관(52)은 케이싱(10)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하는 배출홀(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홀(미도시)은 후면 케이싱(10a)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하며, 배출홀(미도시)로 유출된 유체는 배출관(52)을 따라 이동한다. 배출관(52)을 통해 이동한 공기는 전방 토출구(51a)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케이싱의 일부를 제거한 도면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유입 모터와 제1밸브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모터(42)는 순환팬 유닛(30)에 근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 모터(42)는 제2조리실(11b)에 결합되는 제2순환팬 유닛(30b)에 근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 브라켓(45)의 일단이 유입팬 하우징(43)에 결합되기 때문이다. 즉, 유입홀(41)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가이드 브라켓(45)을 지나 순환팬 유닛(30)의 순환팬 커버(32)를 지나 조리실(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케이싱(10)의 내측 후면에는 후면 패널(35)이 위치할 수 있다. 후면 패널(35)에는 순환팬 유닛(30)과 유입팬(44)이 결합될 수 있다.
유입 모터(42)는 유입팬(44)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입팬(44)에는 유입팬 하우징(43)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입팬 하우징(43)의 일측은 가이드 브라켓(45)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45)은 순환팬 유닛(30)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연통홀(48)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 모터(42)의 작동으로 유입팬(44)으로 유입된 외부의 유체는 가이드 브라켓(45)을 통해 제2조리실(11b)로 유입되어 제2조리실(11b)의 온도를 낮추어 줄 수 있다. 즉, 유체가 유입되는 유로는 가이드 브라켓(45)의 내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1)은 가이드 브라켓(45)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밸브(46)는 가이드 브라켓(45)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가이드 브라켓(4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유입홀(41)을 통해 제2조리실(11b)로 유입된 유체의 양에 상응하는 양의 유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후면 패널(35)에는 배출관(52)이 결합될 수 있다. 배출관(52)은 냉각팬(50)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팬(50)의 작동으로 인해 조리실(11)내의 유체가 배출관(52)을 통해 냉각팬(50)으로 이동하고 냉각팬(50)에서 전방 유로(51, 도 2 참고)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관(52)은 후면 패널(35)의 적어도 일부분에 마련되는 배출홀(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배출홀(미도시)을 통해 조리실(11) 내부의 유체는 배출관(52)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관(52)은 순환팬 유닛(3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유입 모터(42)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에서 보았을 때, 유입 모터(42)는 순환팬 유닛(30)의 좌측에 위치하는 바, 배출관(52)은 순환팬 유닛(30)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유입 모터(42)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조리실(11) 내부의 온도를 낮추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출관(52)의 내측에는 배출관(52) 내측에 형성되는 배출 유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밸브(49)가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냉각팬(50)으로부터 조리실(11)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조리실(11)에서 공기가 배출될 때에는 제2밸브(49)가 개방된 상태이며,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제2밸브(49)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홀(41)은 제2조리실(11b)에 근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 모터(42) 또한 제2조리실(11b)에 근접하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입홀(41)은 케이싱(10)의 전체 높이에 대해 1/2의 지점과 같거나 낮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조리실(11b)에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기 때문에 제2조리실(11b)은 제1조리실(11a)보다 낮은 온도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을 조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1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1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46)는 가이드 브라켓(45) 내부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밸브(46)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가 통하는 경우 제1밸브(46)는 열리고, 전기가 차단되면 제1밸브(46)가 닫힌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밸브(46)는 유로를 차단하는 개폐부(47)와, 개폐부를 이동시키는 플랜저(46a)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유로의 개방 시에는 개폐부(47)가 가이드 브라켓(45)의 벽면에 위치하여 유체가 연통홀(48)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반대로 유로의 폐쇄 시에는 플랜저(46a)가 이동하여 개폐부(47)에 압력을 가해 개폐부(47)가 유로를 차단하도록 이동하여 유체의 이동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제2조리실(11b)의 온도가 사용자가 정한 소정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1밸브(46)가 개방되어 외부의 유체가 제2조리실(11b) 내부로 유입되어 제2조리실(11b)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는 가이드 브라켓(45)과 결합되는 연통홀(48)을 통해 제2조리실(11b)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다만, 이외의 경우에는 제2조리실(11b)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홀(41)을 통해 유출되어 오븐(1) 주변의 가구에 열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밸브(46)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가 제1밸브(46)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유체는 연통홀(48)을 통해 제2조리실(11b)로 유입될 수 없다.
제1밸브(46)의 작동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조리모드의 선택 또는 설정에 따라 제어부는 제2조리실(11b)의 적정 온도를 고려하여 제2조리실(11b)의 온도를 낮추도록 유체의 유입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제2조리실(11b)의 온도를 제1조리실(11a)의 온도와 차이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제1조리실(11a)의 온도가 250℃로 세팅되는 경우에 제2조리실(11b)에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아도 제2조리실(11b)의 온도가 170℃ 이상으로 올라갔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조건에서 제1조리실(11a)의 온도를 250℃로 세팅하고 제2조리실(11b)의 온도를 100℃이하로 세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오븐(1)에서 조리 가능한 조리 온도의 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소비자가 오븐(1)의 조리 모드를 입력하면,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을 가동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온도를 낮게 유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조리실인 제2조리실(11b)에 대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제1밸브(46)를 개방하고 제2밸브(49)는 제1밸브(46)가 개방될 때 개방된다. 또한, 제1밸브(46)가 폐쇄될 때 제2밸브(49)도 함께 폐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진행 중이나 조리가 끝난 이후에 제1밸브(46)와 제2밸브(49)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 좀 더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물에 대한 조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원하는 시점에 전면 패널(13)의 조작부(14)를 조작하여 제1밸브(46)와 제2밸브(49)를 개방시켜 조리실(11) 내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고 조리실(11)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 중 하나에 대해서만 조리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제1밸브(46)와 제2밸브(49) 중 하나의 밸브를 개방하여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 중 하나의 조리실에 대해서만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조리실 내부를 환기를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케이싱의 일부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모터(142a, 142b)는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입홀(미도시)는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에 각각 연통되도록 후면 케이싱(10a)에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유입 모터(142a, 142b)에는 유입팬 커버(143a, 143b)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가 유입되는 유로인 가이드 브라켓(145a, 145b) 또한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의 후방에 각각 결합되며, 각각의 가이드 브라켓(145a, 145b)에 제1밸브(146a, 146b)가 각각 결합된다.
유체가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유체의 배출 또한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배출관(150)은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에 결합되며, 배출홀(미도시) 또한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관(150)은 하나의 메인 배출관(151)에서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의 배출홀(미도시)로 분기되도록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배출관이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관(150)은 메인 배출관(151)과, 메인 배출관(151)에서 분기되어 배출홀(미도시)에 결합되는 제1분기 배출관(152a)과 제2분기 배출관(152b)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홀(미도시)을 통해 제1분기 배출관(152a)과 제2분기 배출관(152b)으로 이동한 공기는 메인 배출관(151)을 지나 냉각팬 유닛(50)을 거쳐 오븐(1)의 외부로 토출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모드에 따라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 각각에 대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넓은 온도 영역의 조리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케이싱의 일부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모터(242)는 제2조리실(11b)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유입 모터(242)에는 유입 팬커버(243)가 결합될 수 있다. 유체가 유입되는 유로인 가이드 브라켓(245, 248)은 제1가이드 브라켓(248)과 제2가이드 브라켓(2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브라켓(248)은 제1조리실(11a)의 후면에 결합되며 제2가이드 브라켓(245)은 제2조리실(11b)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브라켓(245)은 제1가이드 브라켓(248)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조리실(11a)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분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유입 모터(242)를 이용하여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가이드 브라켓(248)과 제2가이드 브라켓(245)에는 각각 제1가이드 브라켓(248)과 제2가이드 브라켓(245) 내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1밸브(246a, 246b)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밸브(246a, 246b)의 개폐를 조절하여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 중 하나에 대해서만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출관(250)은 하나의 메인 배출관(251)에서 제1조리실(11a)과 제2조리실(11b)의 배출홀(미도시)로 분기되도록 제1분기 배출관(252a)과 제2분기 배출관(252b)을 포함하도록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배출관이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케이싱의 일부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351a, 315b)은 조리실(11)의 후면이 아닌 다른 일면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관(351a, 351b)은 조리실(11)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배출관(351a, 351b)은 반드시 유입 모터(342)의 근방에 결합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조리실(11)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결합되면 된다.
유입 모터(34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 팬커버(343)가 결합될 수 있으며, 유입 팬커버(343)에는 가이드 브라켓(345)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브라켓(345) 내측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1밸브(346)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팬(50)의 양 측에 제1배출관(351a)과 제2배출관(351b)이 결합될 수 있다. 제1배출관(351a)과 제2배출관(351b)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2조리실(11b)의 양 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조리실(11b) 내부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배출관(351a)과 제2배출관(351b)의 내측에는 내부의 공기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2밸브(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배출관(351a)과 제2배출관(351b) 내측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가 조리모드를 입력하는 단계(S100) 이후 제1조리실과 제2조리실이 가동된다(S200). 소비자는 전면 패널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조리모드를 입력할 수 있다(S100). 소비자가 조리모드를 입력하는 단계(S100)에서 제1조리실의 가동 최대 온도(T1)와 제2조리실의 가동 최대 온도(T2)가 결정된다.
정해진 조리모드에 따라 제1조리실과 제2조리실이 가동된다(S200). 제1조리실과 제2조리실은 각각의 가동 최대 온도(T1, T2)까지 온도를 올리면서 작동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조리실의 가동 최대 온도(T2)가 제1조리실의 가동 최대 온도(T1)보다 낮게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공기가 제1조리실과 제2조리실에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조리실의 가동 최대 온도(T1)가 제2조리실의 가동 최대 온도(T2)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종래에는 제1조리실의 가동 최대 온도(T1)로 인해 제2조리실의 측정 온도(t2A, t2B)가 가동 최대 온도(T2)를 넘어섰으며, 이에 따라 제2조리실의 조리가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였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조리실과 제2조리실의 가동(S200) 후에 제어부가 제2조리실의 온도(t2A)를 측정한다(S300). 이에 따라 제2조리실의 현재 온도(t2A)와 제2조리실의 가동 최대 온도(T2) 사이의 관계를 판단한다(S301). 제2조리실의 온도(t2A)가 제2조리실의 가동 최대 온도(T2) 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1밸브와 제2밸브를 개방하여(S401) 제2조리실의 온도(t2A)를 낮출 수 있다. 제2조리실의 현재 온도(t2A)가 제2조리실의 가동 최대 온도(T2)보다 낮은 경우에는 조리를 진행한다(S500).
제1밸브와 제2밸브를 개방하고(S401) 제어부는 제2조리실의 온도(t2B)를 재측정한다(S302). 제2조리실의 온도(t2B)가 제2조리실의 가동 최대 온도(T2)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1밸브와 제2밸브의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S401). 제2조리실의 온도(t2B)가 제2조리실의 가동 최대 온도(T2)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1밸브와 제2밸브를 폐쇄한다(S402).
이후, 조리를 진행한다(S500). 조리가 진행되고(S500), 조리가 완료(S600)되기 이전에 추가적으로 제어부가 제2조리실의 온도(t2C)를 재측정할 수 있다(S304). 이는 조리 완료 시(S600)까지 제2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체크하기 위함이다. 제2조리실의 온도(t2C)가 제2조리실의 가동 최대 온도(T2)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1밸브와 제2밸브를 개방한다(S401). 제2조리실의 온도(t2B)가 제2조리실의 가동 최대 온도(T2)보다 낮은 경우에는 조리를 진행하여 조리를 완료한다(S6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제2조리실의 온도(t2A, t2B, t2C)가 조리모드에 따라 설정된 가동 최대 온도(T2)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제2조리실과 연통되는 제1밸브와 제2밸브를 개폐할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조리실과 제2조리실에 대해 각각 다른 온도 범위를 가지는 조리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a)은 제1조리실(17), 제2조리실(18)과 제3조리실(19)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싱(10c)의 내부에는 제1디바이더(25)와 제2디바이더(27)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조리실(17)과 제2조리실(18)은 제1디바이더(25)에 의해 구획되고, 제2조리실(18)과 제3조리실(19)은 제2디바이더(27)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오븐(1a)은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37)(38)(39)을 포함한다. 도 11에서는 각 조리실에 대응하도록 가열유닛이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일부 조리실에만 가열유닛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11에서는 가열유닛(37)(38)(39)이 각 조리실의 외부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조리실 내부에 가열유닛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열유닛(37)(38)(39)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가열유닛(37)(38)(39)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팬모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오븐(1a)은 외부 공기를 제3조리실(19)에 공급하기 위한 유입부를 가진다. 조리 중에 유입부를 통해 외부 공기가 제3조리실(19)에 공급됨으로써 제3조리실(19)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유입부는 제3조리실(19)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부는 유입홀(410)과 송풍기(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420)는 유입모터(422)와 유입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유입팬(424)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는 제3조리실(19)에 연통되도록 위치되는 연통홀(430)을 가진다. 송풍기(420)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연통홀(430)을 통해 제3조리실(19)의 내부로 공급된다.
도 11과 같이, 유입부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가열유닛(39)이 설치되는 공간(39s)을 통과하여 제3조리실(19)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부에 의한 기류가 제3조리실(19)에 직접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조리실(19)에는 배출관(440)이 연결될 수 있다. 제3조리실(19) 내의 공기는 배출관(4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3조리실(19)에 유입부가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제1조리실(17) 또는 제2조리실(18)에 유입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3개의 조리실 중 두 조리실에 유입부를 설치하거나 모든 조리실에 유입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4개 이상의 구획된 조리실을 가지는 오븐에 대해서도 적어도 어느 한 조리실에 유입부를 설치하여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100, 200, 300: 오븐 10: 케이싱
11a: 제1조리실 11b: 제2조리실
12: 도어 30: 순환팬 유닛
31: 통공 32: 순환팬 커버
33: 순환팬 모터 34: 순환팬
41: 유입홀
42, 142a, 142b, 242, 342: 유입 모터
43, 143a, 143b, 243, 343: 유입팬 커버
44: 유입팬
45, 145a, 145b, 245, 248, 345: 가이드 브라켓
46, 146a, 146b, 246a, 246b, 346 : 제1밸브
48: 연통홀 49: 제2밸브
50: 냉각팬 52, 150, 250: 배출관
151, 251: 메인 배출관 152a, 252a: 제1분기 배출관
152b, 252b: 제2분기 배출관 351a: 제1배출관
351b: 제2배출관

Claims (24)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며 상부에 위치하는 제1조리실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2조리실을 포함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제1조리실과 상기 제2조리실 사이에 위치하는 디바이더;
    상기 각각의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조리실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1순환팬과 제2순환팬;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1조리실과 상기 제2조리실 중 적어도 하나에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조리실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에 결합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입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모터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 모터가 흡입한 공기를 상기 조리실 중 적어도 하나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브라켓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브라켓 내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1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조리실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는 연통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와 상응하는 양의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도어의 냉각을 유도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냉각팬으로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조리실의 일면에 마련되는 배출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으로부터 상기 조리실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홀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케이싱의 높이의 1/2지점과 같거나 낮은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모터는 복수개 마련되며, 각각의 조리실의 후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메인 배출관과, 상기 메인 배출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조리실과 상기 제2조리실에 각각 결합되는 제1분기 배출관과 제2분기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4.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며 각각 다른 온도에서 조리 가능한 복수의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조리실 사이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디바이더;
    상기 조리실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조리실 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유입부;
    상기 조리실 내의 온도가 높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냉각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입홀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유입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입 모터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조리실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는 연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과 상기 유입 모터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내부에는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여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밸브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배출홀과, 상기 배출홀을 통과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도어의 냉각을 유도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은 상기 냉각팬으로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으로부터 상기 조리실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조리실;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복수의 조리실의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순환팬;
    상기 조리실 내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입부;
    상기 조리실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배출부;
    상기 유입부에서 상기 조리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밸브;
    상기 조리실에서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밸브; 및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냉각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입홀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유입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모터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 모터가 흡입한 공기를 상기 조리실 중 적어도 하나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브라켓이 결합되며,
    상기 제1밸브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 내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배출홀과, 상기 배출홀을 통과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KR1020140092556A 2014-07-22 2014-07-22 오븐 Expired - Fee Related KR102208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556A KR102208562B1 (ko) 2014-07-22 2014-07-22 오븐
EP15825313.8A EP3172493B1 (en) 2014-07-22 2015-04-02 Oven
PCT/KR2015/003336 WO2016013752A1 (en) 2014-07-22 2015-04-02 Oven
CA2953928A CA2953928C (en) 2014-07-22 2015-04-02 Oven
US15/327,530 US10495319B2 (en) 2014-07-22 2015-04-02 Oven
CN201580038365.6A CN106537047A (zh) 2014-07-22 2015-04-02 烤箱
AU2015293017A AU2015293017B2 (en) 2014-07-22 2015-04-02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556A KR102208562B1 (ko) 2014-07-22 2014-07-22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455A KR20160011455A (ko) 2016-02-01
KR102208562B1 true KR102208562B1 (ko) 2021-01-28

Family

ID=5516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556A Expired - Fee Related KR102208562B1 (ko) 2014-07-22 2014-07-22 오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95319B2 (ko)
EP (1) EP3172493B1 (ko)
KR (1) KR102208562B1 (ko)
CN (1) CN106537047A (ko)
AU (1) AU2015293017B2 (ko)
CA (1) CA2953928C (ko)
WO (1) WO20160137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7116B2 (en) 2018-06-26 2020-04-21 Whirlpool Corporation Ventilation system for cooking appliance
US10976054B2 (en) 2019-05-29 2021-04-1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ulti-cavity oven appliance with natural and forced convection
US20220408966A1 (en) 2019-07-15 2022-12-29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EP3772621A1 (en) * 2019-08-09 2021-02-1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Convection oven
US12137838B2 (en) 2020-12-30 2024-11-1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571594B2 (en) * 2021-02-11 2023-02-07 Raheem Furson Fire extinguishing range assembly
EP4372285A1 (en) * 2022-11-16 2024-05-22 Arçelik Anonim Sirketi An oven with two compartments
WO2024261519A1 (en) * 2023-06-22 2024-12-26 Gorenje Gospodinjski Aparati, D.O.O. An ov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0592A1 (en) * 2007-10-29 2009-04-30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with deodorization
US20140174426A1 (en) * 2012-12-21 2014-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Gas ov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9305B1 (en) * 1998-05-22 2004-08-11 Unox S.p.A. Improved hot air recirculation oven
US6716467B2 (en) * 2001-04-13 2004-04-06 Gas Research Institute Food oven with even heat distribution
KR101110634B1 (ko) 2004-08-04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1106636B1 (ko) * 2005-06-10 201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KR100734361B1 (ko) * 2005-12-02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레인지
DE102007015273A1 (de) * 2007-03-29 2008-10-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Mehrfachbackofen
KR101474494B1 (ko) 2010-03-02 2014-1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븐
KR20130142281A (ko) * 2012-06-19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0592A1 (en) * 2007-10-29 2009-04-30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with deodorization
US20140174426A1 (en) * 2012-12-21 2014-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Gas ov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72493B1 (en) 2021-01-20
CA2953928C (en) 2019-06-11
EP3172493A1 (en) 2017-05-31
AU2015293017B2 (en) 2018-05-10
US10495319B2 (en) 2019-12-03
CN106537047A (zh) 2017-03-22
US20170146247A1 (en) 2017-05-25
KR20160011455A (ko) 2016-02-01
AU2015293017A1 (en) 2017-02-02
EP3172493A4 (en) 2018-08-15
CA2953928A1 (en) 2016-01-28
WO2016013752A1 (en)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562B1 (ko) 오븐
KR102211731B1 (ko) 오븐
EP3309463B1 (en) Oven
CN100380053C (zh) 保持烹饪装置的腔室中的温度的方法和设备
KR102219929B1 (ko) 오븐 및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KR20180080062A (ko) 조리기기
AU2016200086B2 (en) Cooking appliance
EP3438552B1 (en) Oven
KR20150141797A (ko) 오븐
KR20190046002A (ko) 오븐
EP3030048B1 (en) Over-the-range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047692B1 (ko) 오븐
KR20220136027A (ko) 조리기기
KR20180028856A (ko) 도어 및 이를 갖는 오븐
KR20060127690A (ko) 전기오븐렌지
KR100889077B1 (ko) 벽걸이형 전자레인지
KR101702667B1 (ko) 조리기기
KR100500726B1 (ko) 전자렌지
KR100635909B1 (ko) 전기오븐
KR20080022795A (ko) 덕트장치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KR20070054463A (ko) 전자레인지
KR20080049225A (ko) 벽걸이형 전자레인지
KR20090104244A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20040005178A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7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