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8502B1 -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502B1
KR102208502B1 KR1020190167400A KR20190167400A KR102208502B1 KR 102208502 B1 KR102208502 B1 KR 102208502B1 KR 1020190167400 A KR1020190167400 A KR 1020190167400A KR 20190167400 A KR20190167400 A KR 20190167400A KR 102208502 B1 KR102208502 B1 KR 102208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rail
section
wheels
meande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연
장혁수
최영철
Original Assignee
장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연 filed Critical 장재연
Priority to KR1020190167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5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05Y2201/692Rollers having vertical a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동체(200)의 한쪽에 설치된 제1 바퀴 그룹(210); 상기 가동체(200)의 다른 한쪽에 설치된 제2 바퀴 그룹(220); 및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이 주행하는 하나의 레일(100);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직선 구간과 사행 구간을 혼합하여 하나의 레일이 연속한 형상의 레일 웨이를 구성하고, 직선 구간을 침범해 형성된 사행 레일 웨이에 바퀴의 주행을 방해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배제함으로써, 가동체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가동체가 사행 구간을 통과하여 직선 구간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가동체가 레일의 끝까지 주행할 수 있고, 가동체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마지막 구간에서 가동체가 사행 주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Wheel and rail arrangements having a structure passing through a meandering section}
본 발명은 직선 구간과 사행 구간을 형성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가동체가 제1 직선 주행과 사행 주행과 제2 직선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퀴가 부착된 창문 문짝의 이동 방향은 바퀴의 구름 방향과 일치한다. 직선 주행에 적합한 구조를 지닌 종래 선행 바퀴는 직선 레일 선상에서 주행 되므로 창문 문짝은 직선 왕복 거동을 한다. 이러한 직선 주행 창문은 레일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특성상 닫힘 구간에서도 창문틀과 밀착되지 못함으로써 열림 구간과 같은 크기의 틈이 형성될 수 있고, 그 틈을 통하여 외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방법으로 특허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직선 구간과 사행 구간을 형성하여 닫힐 때 사행 구간에 의해 창문 문짝이 상대 창문 또는 창문틀과 밀착하도록 하여 외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후행 바퀴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사행 구간이 직선 구간을 가로질러 형성됨으로써 창문이 열릴 때 선행 바퀴의 주행에 방해함으로써 열림 범위에 한계가 있다.
한편으로, 직선 구간을 지닌 레일에 사행 구간을 형성시키는 경우 사행 거리에 따라 두 가지의 레일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첫째, 레일 형태는 사행 거리가 짧으면 사행 레일은 직선 구간을 일부 침범한 돌기 레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둘째, 레일 형태는 사행 거리를 확장하면 사행 레일이 어느 한쪽의 직선 레일을 완전히 가로지르는 형태의 사행 레일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사행 구간은 사행 구간을 지나서 직선 구간으로 이동하려는 바퀴 그룹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복수의 바퀴는 옆으로 구르도록 설치되고, 서로서로 간격이 유지되며,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된 한 쌍의 경사면 레일에서 발현되는 상반된 반력으로 복수의 바퀴가 한 쌍의 레일에서 탈락 없이 주행할 수 있다.
종래에 알려진 사행 주행을 구현하기 위한 사행 구간은, 직선 구간의 평행 구간을 침해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바퀴 그룹은 사행 구간에 막혀 직선 주행 범위가 제한된다.
특히, 종래에 알려진 사행 주행을 구현하기 위한 사행 구간은, 직선 구간을 가로질러 형성됨으로써, 직선 구간에 단절 구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다른 바퀴 그룹은 단절 구간 때문에 반력을 발생할 수 없어 일부 바퀴가 레일에서 탈락하는 문제가 있다.
KR 10-1662995 B1 KR 10-2013-0024373 A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퀴가 주행 방해 없이 사행 구간을 지나 직선 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목적은, 바퀴와 레일 장치를 창문에 적용한다면, 창문을 닫을 때 닫히는 마지막 구간에서 창문 문짝이 사행 주행하여 닫히도록 하고, 창문을 열 때 창문 문짝의 주행에 방해되는 요소를 배제하여 창문 문짝이 사행 구간을 지나 직선 구간의 끝까지 활짝 열릴 수 있도록 하는,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가동체(200)의 한쪽에 설치된 제1 바퀴 그룹(210); 상기 가동체(200)의 다른 한쪽에 설치된 제2 바퀴 그룹(220); 및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이 주행하는 하나의 레일(100);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100)은, 계단 경사형을 이루며 상부에 배치되어 제1 직선 구간(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일부 바퀴가 주행하는 제1 레일 웨이(110);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와 마주 보게 형성되고, 제4 직선 구간(121)과 제3 사행 구간(122)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다른 일부 바퀴가 주행하는 제2 레일 웨이(120); 상기 제1 레일 웨이(110) 하부에 제8 직선 구간(131), 제5 사행 구간(132)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또 다른 일부 바퀴가 주행하는 제3 레일 웨이(130); 및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와 마주 보게 형성되고, 제10 직선 구간(1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또 다른 일부 바퀴가 주행하는 제4 레일 웨이(1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바퀴는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 중에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는 상기 바퀴와 접촉되는 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바퀴는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 중에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부분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는 상기 바퀴와 접촉되는 부분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제1, 2 바퀴(212, 214)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은 제4, 5 바퀴(222, 224)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에 상기 제5 바퀴(224)가 주행하고,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상기 제1 바퀴(212)가 주행하고,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에 상기 제2 바퀴(214)가 주행하고, 상기 제4 레일 웨이(140)에 상기 제4 바퀴(222)가 주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제1, 2, 3 바퀴(212, 214, 216)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은 제4, 5, 6 바퀴(222, 224, 226)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에 상기 제5 바퀴(224)가 주행하고,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상기 제1, 3 바퀴(212, 216)가 주행하고,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에 상기 제2 바퀴(214)가 주행하고, 상기 제4 레일 웨이(140)에 상기 제4, 6 바퀴(222, 226)가 주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가동체(200)의 한쪽에 설치된 제1 바퀴 그룹(210); 상기 가동체(200)의 다른 한쪽에 설치된 제2 바퀴 그룹(220); 및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이 주행하는 하나의 레일(100);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100)은, 계단 경사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측에 제1 직선 구간(111), 제1 사행 구간(112), 제2 직선 구간(113)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일부 바퀴가 주행하는 제1 레일 웨이(110);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와 마주 보게 형성되며, 제4 직선 구간(121), 제3 사행 구간(122), 제5 직선 구간(123), 제6 직선 구간(124), 제4 사행 구간(125), 제7 직선 구간(126)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다른 일부 바퀴가 주행하는 제2 레일 웨이(120); 및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8 직선 구간(131), 제5 사행 구간(132), 제9 직선 구간(133)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또 다른 일부 바퀴가 주행하는 제3 레일 웨이(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바퀴는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 중에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는 상기 바퀴와 접촉되는 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바퀴는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 중에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부분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는 상기 바퀴와 접촉되는 부분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제1, 2 바퀴(212, 214)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은 제4, 5, 6 바퀴(222, 224, 226)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에 상기 제5 바퀴(224)가 주행하고,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상기 제1, 4, 6 바퀴(224, 222, 226)가 주행하고,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에 상기 제2 바퀴(214)가 주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상기 제2 바퀴(214)와 상기 제1 바퀴(212)가 차례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상기 제1 레일 웨이(110)는, 제1 직선 구간(111), 제1 사행 구간(112), 제2 직선 구간(113), 제2 사행 구간(114), 제3 직선 구간(115)이 이어져 형성되고,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제1, 2 바퀴(212, 214)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은 제4, 5, 6 바퀴(222, 224, 226)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에 상기 제5 바퀴(224)가 주행하고,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상기 제1, 4, 6 바퀴(224, 222, 226)가 주행하고,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에 상기 제2 바퀴(214)가 주행하고, 상기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할 때, 상기 제6 바퀴(226)가 상기 제2 사행 구간(114)과 상기 제3 직선 구간(115)을 주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제1, 2, 3 바퀴(212, 214, 216)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제2 레일 웨이(120)는 상기 제5 직선 구간(123)과 평행하게 제5-1 직선 구간(123a)이 더 형성되어 상기 제5-1 직선 구간(123a)의 다른 한쪽이 상기 제6 직선 구간(124)과 이어지며,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상기 제1, 3, 4, 6 바퀴(224, 216, 222, 226)가 주행하고, 상기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할 때, 상기 제3 바퀴(216)가 상기 제5-1 직선 구간(123a)을 주행하고, 상기 제6 바퀴(226)가 상기 제2 사행 구간(114)과 상기 제3 직선 구간(115)을 주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직선 구간과 사행 구간을 혼합하여 하나의 레일이 연속한 형상의 레일 웨이를 구성하고, 직선 구간을 침범해 형성된 사행 레일 웨이에 바퀴의 주행을 방해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배제함으로써, 가동체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가동체가 사행 구간을 통과하여 직선 구간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가동체가 레일의 끝까지 주행할 수 있고, 가동체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마지막 구간에서 가동체가 사행 주행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에서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입체 도면과 평면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에서 가동체를 설명하기 위한 입체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에서 바퀴가 레일에 접촉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에서 바퀴가 레일에 접촉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부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에서 레일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창문, 미닫이문, 대차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물건을 운반하는 분야 등에서 이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창문 문짝, 미닫이문 문짝, 대차 등을 가동체(200)로 설명한다.
이하, 도1부터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에서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입체 도면과 평면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에서 가동체를 설명하기 위한 입체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에서 바퀴가 레일에 접촉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부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에서 레일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제1, 2 바퀴 그룹(210, 220) 및 하나의 레일(10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가동체(200)의 한쪽에 설치될 수 있고 바퀴 일부가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탄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은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동체(200)의 다른 한쪽에 설치될 수 있고, 바퀴 일부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가동체(200)의 한쪽에 설치될 수 있고 바퀴 일부가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은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동체(200)의 다른 한쪽에 설치될 수 있고, 바퀴 일부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체(200)가 제1 방향(OD)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이 선행 위치하고,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이 후행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OD)은 창문을 예로 들면, 창문이 열리는 방향일 수 있다. 반대로, 가동체(210)가 제1 방향(OD)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CD)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2 방향(CD)는 예컨대 창문이 닫히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레일(100)은 하나의 구성요소에 상기 제1 바퀴 그룹(210)과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이 주행할 수 있다.
상기 레일(100)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4 레일 웨이(110~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 웨이(110)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제1 직선 구간(111), 제1 사행 구간(112), 제2 직선 구간(113)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일부 바퀴가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행 구간(112)은 상기 가동체(200)가 제2 방향(CD)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2 직선 구간(113)은 가동체(200)가 닫힌 상태에서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2 직선 주행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 레일 웨이(120)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제4 직선 구간(121), 제3 사행 구간(122), 제5 직선 구간(123), 제6 직선 구간(124)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와 마주 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다른 일부 바퀴가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제3 사행 구간(122)은 상기 가동체(200)가 제2 방향(CD)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3 레일 웨이(130)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8 직선 구간(131), 제5 사행 구간(132), 제9 직선 구간(133)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와 높이 차이를 가지며,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또 다른 일부 바퀴가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제4 레일 웨이(130)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0 직선 구간(141), 제6 사행 구간(142), 제11 직선 구간(143)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와 같은 높이에서 마주 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또 다른 일부 바퀴가 주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레일(100)에서 제1, 2 레일 웨이(110, 120)가 양쪽으로 벌려져 일부 직선 구간이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3 레일 웨이(130) 또는 제4 레일 웨이(140)는 상기 제1, 2 레일 웨이(110, 120)와 높이 차이를 갖도록 2층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가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퀴와 접촉되는 부분이 평탄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가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퀴와 접촉되는 부분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바퀴와 레일이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으로 접촉할 수 있고, 바퀴의 접촉 부분이 볼록한 형상일 때 레일의 접촉 부분은 평탄한 형상일 수 있으며, 바퀴의 접촉 부분이 평탄한 형상일 때 레일의 접촉 부분은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직선 구간과 사행 구간을 혼합하여 하나의 레일이 연속한 형상의 레일 웨이를 구성하고, 직선 구간을 침범해 형성된 사행 레일 웨이에 바퀴의 주행을 방해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배제함으로써, 가동체(200)를 제1 방향(OD)으로 이동시킬 때 가동체(200)가 사행 구간을 통과하여 직선 구간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가동체(200)가 레일(100)의 끝까지 주행할 수 있고, 가동체(200)를 제1 방향(OD)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CD)으로 이동시킬 때 마지막 구간에서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가동체(200)의 직선 주행 범위가 가동체(200)의 길이와 같거나 크더라도 거침없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에 제1, 2 바퀴(212, 214)를 차례로 설치하고,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은 제4, 5 바퀴(222, 224)를 차례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상기 제1 바퀴(212)가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주행하고, 상기 제2 바퀴(214)가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에 주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바퀴(212)와 상기 제2 바퀴(214)는 서로 반력을 형성하여 각 바퀴가 레일(100)에서 이탈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상기 제5 바퀴(224)가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에 주행하고, 상기 제4 바퀴(222)가 상기 제4 레일 웨이(140)에 주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4 바퀴(222)와 상기 제5 바퀴(224)는 서로 반력을 형성하여 각 바퀴가 레일(100)에서 이탈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제1, 2, 3 바퀴(212, 214, 216)가 차례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은 제4, 5, 6 바퀴(222, 224, 226)가 차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상기 제1, 3 바퀴(212, 216)가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주행할 수 있고,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에 상기 제2 바퀴(214)가 주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바퀴(214)와 상기 제1 바퀴(212) 또는 상기 제3 바퀴(216)는 서로 반력을 형성하여 각 바퀴가 레일(100)에서 이탈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상기 제5 바퀴(224)가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에 주행하고, 상기 제4 레일 웨이(140)에 상기 제4, 6 바퀴(222, 226)가 주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5 바퀴(224)와 상기 제4 바퀴(222) 또는 상기 제6 바퀴(226)는 서로 반력을 형성하여 각 바퀴가 레일(100)에서 이탈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상기 제3 바퀴(216)와 상기 제6 바퀴(226)를 갖춤으로써 가동체(200)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담할 수 있고, 이로써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제1, 2 바퀴 그룹(210, 220) 및 하나의 레일(10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내용과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레일(100)은, 제1, 2, 3 레일 웨이(110, 120, 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 웨이(110)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제1 직선 구간(111), 제1 사행 구간(112), 제2 직선 구간(113)이 이어져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일부 바퀴가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행 구간(112)은 상기 가동체(200)가 제2 방향(CD)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2 레일 웨이(120)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제4 직선 구간(121), 제3 사행 구간(122), 제5 직선 구간(123), 제6 직선 구간(124), 제4 사행 구간(125), 제7 직선 구간(126)이 이어져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와 마주 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다른 일부 바퀴가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사행 구간(122)은 상기 가동체(200)가 제1 방향(OD)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4 사행 구간(125)은 상기 가동체(200)가 제1 방향(OD)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3 레일 웨이(130)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8 직선 구간(131), 제5 사행 구간(132), 제9 직선 구간(133)이 이어져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와 높이 차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또 다른 일부 바퀴가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제5 사행 구간(132)은 상기 가동체(200)가 제2 방향(CD)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제1 바퀴(212)와 상기 제2 바퀴(214)는 서로 반력을 형성하여 각 바퀴가 레일(100)에서 이탈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바퀴(224)와 상기 제4 바퀴(222) 또는 상기 제6 바퀴(226)는 서로 반력을 형성하여 각 바퀴가 레일(100)에서 이탈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
한편으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제1, 2 바퀴(212, 214)가 차례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은 제4, 5, 6 바퀴(222, 224, 226)가 차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에 상기 제5 바퀴(224)가 주행할 수 있고,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상기 제1, 4, 6 바퀴(224, 222, 226)가 주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에 상기 제2 바퀴(214)가 주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바퀴(212)와 상기 제2 바퀴(214)는 서로 반력을 형성하여 각 바퀴가 레일(100)에서 이탈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바퀴(224)와 상기 제4 바퀴(222) 또는 상기 제6 바퀴(226)는 서로 반력을 형성하여 각 바퀴가 레일(100)에서 이탈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상기 제2 바퀴(214)와 상기 제1 바퀴(212)가 차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바퀴(212)와 상기 제2 바퀴(214)는 서로 반력을 형성하여 각 바퀴가 레일(100)에서 이탈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1 레일 웨이(11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제1 직선 구간(111), 제1 사행 구간(112), 제2 직선 구간(113), 제2 사행 구간(114), 제3 직선 구간(115)이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사행 구간(114)은 상기 가동체(200)가 상기 제2 직선 구간(113)을 지나 2차 사행 주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상기 제3 직선 구간(115)은 2차 사행 주행하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제1, 2 바퀴(212, 214)가 차례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은 제4, 5, 6 바퀴(222, 224, 226)가 차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에 상기 제5 바퀴(224)가 주행할 수 있고,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상기 제1, 4, 6 바퀴(224, 222, 226)가 주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에 상기 제2 바퀴(214)가 주행할 수 있고, 상기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할 때, 상기 제6 바퀴(226)가 상기 제2 사행 구간(114)과 상기 제3 직선 구간(115)을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행 구간(114)은 상기 가동체(200)가 상기 제2 직선 구간(113)을 지나 2차 사행 주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상기 제3 직선 구간(115)은 2차 사행 주행하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한편, 상기 가동체(200)가 제3 사행 구간(122)을 거쳐서 직선 주행할 때, 제2 바퀴 그룹(220)의 바퀴가 제3 사행 구간(122)을 지날 때, 제2 레일 웨이(120)의 직선 구간 일부에 단절 구간이 형성될 수 있지만,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4 바퀴(222)와 상기 제6 바퀴(226) 중에 어느 하나는 항상 제2 레일 웨이(120)에 접점 하여 주행함으로써 가동체(200)를 안정되게 주행시킬 수 있다.
특히,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이 제3 사행 구간(122)의 근처를 지날 때, 방해되는 장애물이 없이 통과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제4 바퀴(222)와 상기 제6 바퀴(226) 중에 어느 하나는 항상 제2 레일 웨이(120)에 접점 함으로써 가동체(200)의 무게를 지속해서 지탱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제1, 2, 3 바퀴(212, 214, 216)가 차례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레일 웨이(120)는 상기 제5 직선 구간(123)과 평행하게 제5-1 직선 구간(123a)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5-1 직선 구간(123a)의 다른 한쪽이 상기 제6 직선 구간(124)과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상기 제1, 3, 4, 6 바퀴(224, 216, 222, 226)가 주행할 수 있고, 상기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할 때, 상기 제3 바퀴(216)가 상기 제5-1 직선 구간(123a)을 주행하고, 상기 제6 바퀴(226)가 상기 제2 사행 구간(114)과 상기 제3 직선 구간(115)을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제5 직선 구간(123), 상기 제5-1 직선 구간(123a), 상기 제9 직선 구간(133), 제7 직선 구간(126) 및 상기 제3 직선 구간(115)은 상기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으로 전환하여 "c"로 표시한 바와 같이 직선 주행하는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직선 구간(123), 상기 제5-1 직선 구간(123a), 상기 제9 직선 구간(133), 제7 직선 구간(126) 및 상기 제3 직선 구간(115)이 길수록 가동체(200)의 사행 주행 전환 후 직선 주행 거리가 늘어날 수 있으며, 이로써 가동체(200)를 이송시키는 범위를 현저하게 늘릴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직선 구간과 사행 구간을 혼합하여 하나의 레일이 연속한 형상의 레일 웨이를 구성한 것이고, 특히 제1~4 레일 웨이의 중간에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주행을 방해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배제함으로써 가동체(200)의 제1~4 레일 웨이(110~140) 전체 구간에서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창문을 닫을 때 닫히는 구간에서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하여 외기 유입 경로를 차단하면서 닫히도록 하고, 창문을 열 때 가동체(200)가 끝까지 최대한 활짝 열릴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제1~6 사행 구간(112, 114, 122, 125, 132, 142)은, 어느 하나의 직선 구간과 다른 하나의 직선 구간을 곡선 형태 또는 사선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즉,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할 때, 상기 제1~6 사행 구간(112, 114, 122, 125, 132, 142)의 형상에 따라 사행 경로를 특색있게 구현할 수 있고, 가동체(200)가 직선으로 이동하는 제1 변위와 측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변위를 섬세하고 특색있게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종래기술을 이용한 비교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의 (a)는 실시예에서 가동체(200)가 제2 방향(CD)으로 이동 완료한 상태로서, 가동체(200)는 사행 주행함으로써 고정체(300)에 밀착된 것을 알 수 있고, 제2 직선 주행함으로써 닫힌 상태에서 임의로 열리지 않을 수 있다.
도 8의 (b)는 실시예에서 가동체(200)가 제1 방향(OD)으로 이동 완료한 상태로서,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은 제1~4 레일 웨이(110~140)에서 주행하고 특히, 각 바퀴가 주행하는 동안에 방해 요소가 없음으로써 최대한 끝까지 주행할 수 있고, 이로써 가동체(200)는 최대한 끝까지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동체(200)의 끝부분과 고정체(300)의 끝부분이 일치될 수 있는 것으로 가동체(200)는 최대한 이동할 수 있다.
반면에, 종래기술이 적용된 비교예는 가동체(202)가 최대한 열리지 못할 수 있다. 이는 도 8의 (c, 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비교예는 제1 레일(102)과 제2 레일(104)이 직선 행태로 배치되어 하나의 레일을 구성하고, 제1, 2 레일(102, 104)은 제1 직선 구간(106), 사행 구간(107) 및 제2 직선 구간(10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제1 레일(102)의 레일 끝부분(109)은 제2 레일(104)과 접하고, 이로써 제2 레일(104)의 레일 웨이를 가로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의 (c)는 비교예에서 가동체(202)가 제2 방향(CD)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이고,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행 주행과 잠금위치 주행함으로써 창문 문짝(202)은 사행 주행함으로써 고정체(300)에 밀착된 것을 알 수 있고, 제2 직선 주행함으로써 닫힌 상태에서 임의로 열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8의 (d)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의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가동체(202)가 활짝 열리지 못할 수 있다.
도 8의 (d)는 비교예에서 가동체(202)가 제1 방향(OD)으로 최대한 열린 상태이고,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바퀴 그룹(232)은 제1 레일(102)에서 주행하고, 제2 바퀴 그룹(234)은 제2 레일(104)에서 주행하는데, 제2 바퀴 그룹(234)은 제1 레일(102)의 레일 끝부분(109)에 가로막혀서 더 주행할 수 없다.
즉, 비교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도 13의 (d)에서 "b"로 표시한 범위만큼 열리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가동체(200)를 주행하도록 하는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모든 바퀴가 레일(100)에서 주행할 때, 주행에 방해되는 요소가 없으므로 최대한 활짝 열릴 수 있는 독특한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는 가동체가 직선 주행, 사행 주행, 잠금위치 주행 등을 복합적으로 구현하고, 가동체가 열릴 때, 레일은 바퀴의 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여 최대한 활짝 열릴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레일
102, 104: 제1, 2 레일
106, 108: 제1, 2 직선 구간
107: 사행 구간
109: 레일 끝부분
110, 120, 130, 140: 제1~4 레일 웨이
111, 113, 115, 121, 123, 124, 126, 131, 133, 141, 143: 제1~11 직선 구간
112, 114, 122, 125, 132, 142: 제1~6 사행 구간
200, 202: 가동체
210, 220: 제1, 2 바퀴 그룹
212, 214, 216, 222, 224, 226: 제1~6 바퀴
213, 215, 217, 223, 225, 227: 제1~6 경사면
232, 234: 제1, 2 바퀴 그룹
300: 고정체

Claims (14)

  1. 가동체(200)의 한쪽에 설치된 제1 바퀴 그룹(210);
    상기 가동체(200)의 다른 한쪽에 설치된 제2 바퀴 그룹(220); 및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이 주행하는 하나의 레일(100);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100)은,
    계단 경사형을 이루며 상부에 배치되어 제1 직선 구간(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일부 바퀴가 주행하는 제1 레일 웨이(110);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와 마주 보게 형성되고, 제4 직선 구간(121)과 제3 사행 구간(122)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다른 일부 바퀴가 주행하는 제2 레일 웨이(120);
    상기 제1 레일 웨이(110) 하부에 제8 직선 구간(131), 제5 사행 구간(132)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또 다른 일부 바퀴가 주행하는 제3 레일 웨이(130); 및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와 마주 보게 형성되고, 제10 직선 구간(1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또 다른 일부 바퀴가 주행하는 제4 레일 웨이(140)를 포함하고,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제1, 2 바퀴(212, 214)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은 제4, 5 바퀴(222, 224)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에 상기 제5 바퀴(224)가 주행하고,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상기 제1 바퀴(212)가 주행하고,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에 상기 제2 바퀴(214)가 주행하고,
    상기 제4 레일 웨이(140)에 상기 제4 바퀴(222)가 주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바퀴는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 중에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는 상기 바퀴와 접촉되는 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바퀴는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 중에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부분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는 상기 바퀴와 접촉되는 부분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제1, 2, 3 바퀴(212, 214, 216)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은 제4, 5, 6 바퀴(222, 224, 226)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에 상기 제5 바퀴(224)가 주행하고,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상기 제1, 3 바퀴(212, 216)가 주행하고,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에 상기 제2 바퀴(214)가 주행하고,
    상기 제4 레일 웨이(140)에 상기 제4, 6 바퀴(222, 226)가 주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7. 가동체(200)의 한쪽에 설치된 제1 바퀴 그룹(210);
    상기 가동체(200)의 다른 한쪽에 설치된 제2 바퀴 그룹(220); 및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이 주행하는 하나의 레일(100);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100)은,
    계단 경사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측에 제1 직선 구간(111), 제1 사행 구간(112), 제2 직선 구간(113)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일부 바퀴가 주행하는 제1 레일 웨이(110);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와 마주 보게 형성되며, 제4 직선 구간(121), 제3 사행 구간(122), 제5 직선 구간(123), 제6 직선 구간(124), 제4 사행 구간(125), 제7 직선 구간(126)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다른 일부 바퀴가 주행하는 제2 레일 웨이(120); 및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8 직선 구간(131), 제5 사행 구간(132), 제9 직선 구간(133)이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또 다른 일부 바퀴가 주행하는 제3 레일 웨이(130)를 포함하고,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제1, 2 바퀴(212, 214)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은 제4, 5 바퀴(222, 224)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에 상기 제5 바퀴(224)가 주행하고,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상기 제1 바퀴(212)가 주행하고,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에 상기 제2 바퀴(214)가 주행하고,
    상기 제4 레일 웨이(140)에 상기 제4 바퀴(222)가 주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바퀴는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 중에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는 상기 바퀴와 접촉되는 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바퀴 그룹(210, 220)의 바퀴는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 중에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부분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4 레일 웨이(110, 120, 130, 140)는 상기 바퀴와 접촉되는 부분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제1, 2 바퀴(212, 214)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은 제4, 5, 6 바퀴(222, 224, 226)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에 상기 제5 바퀴(224)가 주행하고,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상기 제1, 4, 6 바퀴(224, 222, 226)가 주행하고,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에 상기 제2 바퀴(214)가 주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상기 제2 바퀴(214)와 상기 제1 바퀴(212)가 차례로 설치되는 것;
    을 포함하는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 웨이(110)는,
    제1 직선 구간(111), 제1 사행 구간(112), 제2 직선 구간(113), 제2 사행 구간(114), 제3 직선 구간(115)이 이어져 형성되고,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제1, 2 바퀴(212, 214)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제2 바퀴 그룹(220)은 제4, 5, 6 바퀴(222, 224, 226)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레일 웨이(110)에 상기 제5 바퀴(224)가 주행하고,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상기 제1, 4, 6 바퀴(224, 222, 226)가 주행하고,
    상기 제3 레일 웨이(130)에 상기 제2 바퀴(214)가 주행하고,
    상기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할 때, 상기 제6 바퀴(226)가 상기 제2 사행 구간(114)과 상기 제3 직선 구간(115)을 주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퀴 그룹(210)은 제1, 2, 3 바퀴(212, 214, 216)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제2 레일 웨이(120)는 상기 제5 직선 구간(123)과 평행하게 제5-1 직선 구간(123a)이 더 형성되어 상기 제5-1 직선 구간(123a)의 다른 한쪽이 상기 제6 직선 구간(124)과 이어지며,
    상기 제2 레일 웨이(120)에 상기 제1, 3, 4, 6 바퀴(224, 216, 222, 226)가 주행하고,
    상기 가동체(200)가 사행 주행할 때, 상기 제3 바퀴(216)가 상기 제5-1 직선 구간(123a)을 주행하고, 상기 제6 바퀴(226)가 상기 제2 사행 구간(114)과 상기 제3 직선 구간(115)을 주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KR1020190167400A 2019-12-16 2019-12-16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Active KR102208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400A KR102208502B1 (ko) 2019-12-16 2019-12-16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400A KR102208502B1 (ko) 2019-12-16 2019-12-16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502B1 true KR102208502B1 (ko) 2021-01-26

Family

ID=7431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400A Active KR102208502B1 (ko) 2019-12-16 2019-12-16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5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0396B1 (ko) 2023-02-20 2024-07-30 장재연 창문짝의 측면방향 이동 장치
KR102742129B1 (ko) * 2023-07-21 2024-12-11 장재연 창문용 바퀴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315B1 (ko) * 2001-02-12 2004-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자형 미세기 창호
JP2006125147A (ja) * 2004-11-01 2006-05-18 Panahome Corp 引戸装置
KR20120124172A (ko) * 2011-05-03 2012-11-13 장혁수 창호의 창문 거동 장치
KR20130024373A (ko) 2011-08-31 2013-03-08 장혁수 창호 시스템의 레일과 호차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창문 거동 장치
KR101246409B1 (ko) * 2011-11-17 2013-03-21 장혁수 수평 회전형 구름휠의 편심 방지 구조를 가지는 창호용 호차
KR20140048919A (ko) * 2014-03-27 2014-04-24 장혁수 창호의 창문 거동 장치
KR101662995B1 (ko) 2014-12-18 2016-10-14 장혁수 창호의 레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315B1 (ko) * 2001-02-12 2004-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자형 미세기 창호
JP2006125147A (ja) * 2004-11-01 2006-05-18 Panahome Corp 引戸装置
KR20120124172A (ko) * 2011-05-03 2012-11-13 장혁수 창호의 창문 거동 장치
KR20130024373A (ko) 2011-08-31 2013-03-08 장혁수 창호 시스템의 레일과 호차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창문 거동 장치
KR101246409B1 (ko) * 2011-11-17 2013-03-21 장혁수 수평 회전형 구름휠의 편심 방지 구조를 가지는 창호용 호차
KR20140048919A (ko) * 2014-03-27 2014-04-24 장혁수 창호의 창문 거동 장치
KR101662995B1 (ko) 2014-12-18 2016-10-14 장혁수 창호의 레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0396B1 (ko) 2023-02-20 2024-07-30 장재연 창문짝의 측면방향 이동 장치
KR102742129B1 (ko) * 2023-07-21 2024-12-11 장재연 창문용 바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502B1 (ko)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EP2673867B1 (de) Sorter
CN109989300B (zh) 渡线道岔和具有其的轨道交通系统
US7093543B2 (en) Carriage type conveyor
JP2017504738A5 (ko)
US20150303665A1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long travel distances having a guide channel
CN101190748A (zh) 自动化物料传送系统
CN109989305B (zh) 单轨内导向式道岔、渡线道岔和轨道交通系统
US4516504A (en) Cross-over track structure for wheeled pallets
CN209162538U (zh) 一种内导向式渡线道岔和具有其的轨道交通系统
US1245882A (en) Elevator-door-operating device.
FR2909403B1 (fr) Dispositif pour le passage d&#39;une position fermee a une position ouverte et inversement d&#39;un panneau coulissant et ensemble comprenant au moins un panneau et au moins un dispositif du type precite
CN216827273U (zh) 一种分拣小车及分拣设备
US908199A (en) Car-end construction.
KR102590925B1 (ko)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DE10333938B3 (de) Fördereinrichtung, insbesondere Hängefördereinrichtung
US20160024721A1 (en) Rail junction assembly
CN213013713U (zh) 一种平移式道岔
US6370734B1 (en) Shoe insert for rail car sliding doors
US7506727B2 (en) Door with sliding door leaf and with guide means
US20190345003A1 (en) Elevator brake assembly
DE502008000688D1 (de) Separator und damit ausgestattete hängefördereinrichtung
CN117188220A (zh) 道岔、渡线道岔和轨道交通系统
US969192A (en) Sliding door.
JP3991111B2 (ja) 連動引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