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8301B1 - 라이다 센서 조립체 - Google Patents

라이다 센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301B1
KR102208301B1 KR1020200057642A KR20200057642A KR102208301B1 KR 102208301 B1 KR102208301 B1 KR 102208301B1 KR 1020200057642 A KR1020200057642 A KR 1020200057642A KR 20200057642 A KR20200057642 A KR 20200057642A KR 102208301 B1 KR102208301 B1 KR 102208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unit
incident
refl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4935A (ko
Inventor
김원겸
김영신
김경린
조성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7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3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4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3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6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receivers alo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7/90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using synthetic aperture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4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transmitters alo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7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relating to scann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3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 G05D1/02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in combination with a la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라이다 센서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 의하면, 센싱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센싱광을 반사시키는 송광 반사경; 송광 반사경로부터 반사되는 센싱광을 타켓에 반사시키고, 타겟으로부터 반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스캐너부; 스캐너부로부터 반사되는 입사광이 투과되는 수광 렌즈; 수광 렌즈를 투과한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수광 반사경; 및 수광 반사경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이 입사되는 광검출부를 포함하되, 송광 반사경은, 광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입사광에 송광 반사경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가림영역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라이다 센서 조립체{Lidar Sensor Assembly}
본 발명은 라이다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림영역을 감소시킴에 따라 광수신 효율을 향상시키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라이다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의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자율주행뿐만 아니라 자율주차와 같은 기능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라이다 센서(LiDAR sensor)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라이다 센서는 보통 차량의 범퍼에 장착되어 차량의 전후방을 감지하여 사물이나 구조물 등을 감지한다. 라이다 센서는 글라스나 차체의 구조물 내부에 설치된다. 라이다 센서는 빛을 이용하여 타겟을 탐지한다.
라이다 센서는 광을 송신하는 송신광학계와, 입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신광학계를 포함한다. 송신광학계는 레이저 발생기, 송신경통, 송신렌즈 및 송신 반사경을 포함하고, 수신광학계는 수신렌즈, 반사미러 및 레이저 검출기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라이다 센서에서는 수신렌즈를 통과한 광이 반사미러에 의해 반사됨에 따라 검출기에 수신되는 초점거리(focal length)가 형성된다. 라이다 센서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광경로를 꺽어주는 반사미러가 설치되므로, 부품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신광학계의 수신영역의 일부가 송신광학계의 송신경통과 송신반사경 등에 의해 가려지는 가림영역이 발생되므로, 라이다 센서의 광수신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09177호(2015. 01. 26 등록, 발명의 명칭: 라이다 센서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림영역을 감소시킴에 따라 광수신 효율을 향상시키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라이다 센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 의하면, 센싱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센싱광을 반사시키는 송광 반사경; 송광 반사경로부터 반사되는 센싱광을 타켓에 반사시키고, 타겟으로부터 반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스캐너부; 스캐너부로부터 반사되는 입사광이 투과되는 수광 렌즈; 수광 렌즈를 투과한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수광 반사경; 및 수광 반사경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이 입사되는 광검출부를 포함하되, 송광 반사경은, 광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입사광에 송광 반사경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가림영역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광학계와 송신광학계의 일부가 하나의 광학모듈로 통합되므로,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광 렌즈에서 가림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광수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광수신 효율이 증가됨에 따라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최대 검출거리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에서 광원부, 수광 렌즈 및 수광 반사경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에서 광원부, 수광 렌즈 및 수광 반사경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에서 광원부, 수광 렌즈 및 수광 반사경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에서 광원부, 수광 렌즈 및 수광 반사경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라이다 센서 조립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에서 광원부(light source unit), 수광 렌즈(light receiving lens) 및 수광 반사경(received light reflector)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0), 송광 반사경(transmitted light reflector, 20), 스캐너부(scanner, 30), 수광 렌즈(light receiving lens, 40), 수광 반사경(light receiving reflector, 50) 및 광검출부(light detecting unit, 60)를 포함한다.
광원부(10)는 센싱광을 조사한다. 광원부(10)는 수광 렌즈(40)와 수광 반사경(50)의 광 통로를 벗어나도록 배치된다. 광원부(10)가 수광 렌즈(40)와 수광 반사경(50)의 광 통로 벗어나도록 배치되므로, 광원부(10)가 광 통로에서 입사광을 가리(차폐: blockage effect)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광 렌즈(40)의 광 통로에서 광원부(10)에 의한 수신 가림영역(blockage area, A)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광수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광수신 효율이 증가됨에 따라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최대 검출거리(maximum detection rage)를 증가시킬 수 있다.
광원부(10)는 경통(barrel, 11), 광원(light source, 13) 및 송광 렌즈부(light transmitting lens unit, 15)를 포함한다.
경통(11)은 수광 렌즈(40)의 광 통로를 벗어나도록 배치된다. 경통(11)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13)은 경통(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송광 렌즈부(15)는 광원(13)에서 조사되는 센싱광을 시준(collimate)하도록 광원(13)의 출력측에 설치된다. 송광 렌즈부(15)가 센싱광을 평행한 광선으로 시준하므로, 센싱광의 출력이 향상될 수 있다.
송광 렌즈부(15)는 제1 송광 렌즈(15a)와 제2 송광 렌즈(15b)를 포함한다. 제1 송광 렌즈(15a)는 경통(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2 송광 렌즈(15b)는 경통(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2 송광 렌즈(15b)에는 제1 송광 렌즈(15a)를 투과하는 센싱광이 입사된다. 제1 송광 렌즈(15a)와 제2 송광 렌즈(15b)가 경통(11)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제1 송광 렌즈(15a)와 제2 송광 렌즈(15b)가 수광 렌즈(40)의 수신 가림영역(A)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송광 반사경(20)은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센싱광을 반사시킨다. 송광 반사경(20)에는 광반사 효율을 개선하도록 금속 반사층(미도시)이 코팅될 수 있다.
송광 반사경(20)은 수광 렌즈(40)의 광 통로에 배치된다. 이때, 송광 반사경(20)이 수광 렌즈(40)의 광 통로에 배치되므로, 송광 반사경(20)의 폭만큼 수신 가림영역(A)이 된다. 따라서, 수광 렌즈(40)에서 수신 가림영역(A)을 감소시키므로, 광수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광수신 효율이 증가됨에 따라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최대 검출거리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스캐너부(30)는 송광 반사경(20)에서 반사되는 센싱광을 타켓에 반사시키고, 타겟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시킨다. 스캐너부(30)에도 광반사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반사층이 형성된다.
스캐너부(30)는 스캐너 반사경(31)과 스캐너 구동부(33)를 포함한다. 스캐너 반사경(31)은 송광 반사경(20)에서 반사되는 센싱광을 타겟 측으로 반사시키고, 타겟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을 수광 렌즈(40)로 반사시킨다. 스캐너 구동부(33)는 스캐너 반사경(31)을 회전시키도록 스캐너 반사경(31)에 연결된다. 스캐너 구동부(33)가 스캐너 반사경(31)을 회전시키므로, 스캐너 반사경(31)의 각도에 따라 센싱광과 입사광의 반사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스캐너 구동부(33)로는 모터부가 적용될 수 있다. 모터부에는 인코더(encoder, 미도시)가 포함되거나 인코더와 연결될 수 있다. 인코더가 모터부의 회전수, 회전속도, 회전각도 등을 측정하여 제어부에 제공한다.
수광 렌즈(40)에는 스캐너부(30)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이 투과되고, 수광 렌즈(40)는 송광 반사경(20)과 일체로 형성된다. 수광 렌즈(40)와 송광 반사경(20)은 크리스탈, 유리, 투명한 합성수지 등의 동일한 광학재료로 가공될 수 있다. 수광 렌즈(40)는 입사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무반사 코팅층(anti-reflective coating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 수광 렌즈(40)와 송광 반사경(20)이 하나의 광학모듈로 통합되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경통(11)에 의해 수신 가림영역(A)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광 반사경(50)은 수광 렌즈(40)를 투과한 입사광을 반사시킨다. 스캐너부(30)에도 광반사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반사층(미도시)이 형성된다.
광검출부(60)에는 수광 반사경(50)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이 입사된다. 광검출부(60)에서는 입사광이 입사됨에 따라 타겟의 위치 및 거리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 센서 조립체는 수광 반사경(50)과 광검출부(60) 사이에 설치되는 간섭 필터(63)를 더 포함한다. 간섭 필터(63)는 특정 파장의 광을 걸러준다. 간섭 필터(63)가 광검출부(60)에 일정한 파장대의 광을 입사시키므로, 광검출부(60)에서 타겟의 위치 및 거리 등이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에 관해 설명한다. 제2 실시예는 광원부를 제외하고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에서 광원부, 수광 렌즈 및 수광 반사경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0)는 경통(11), 광원(13) 및 송광 렌즈부(15)를 포함한다.
경통(11)은 수광 렌즈(40)의 광 통로를 벗어나도록 배치된다. 경통(11)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13)은 경통(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송광 렌즈부(15)는 광원(13)에서 조사되는 센싱광을 시준하도록 광원(13)의 출력측에 설치된다. 송광 렌즈부(15)가 센싱광을 평행한 광선으로 시준하므로, 센싱광의 출력이 향상될 수 있다.
송광 렌즈부(15)는 제1 송광 렌즈(15a)와 제2 송광 렌즈(15b)를 포함한다.
제1 송광 렌즈(15a)는 경통(11)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제1 송광 렌즈(15a)는 크리스탈, 유리, 투명한 합성수지와 같은 광학물질로 제조된다.
제2 송광 렌즈(15b)는 수광 렌즈(40)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 송광 렌즈(15a)를 투과한 센싱광이 입사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또한, 수광 렌즈(40)와 송신 반사경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2 송광 렌즈(15b), 수광 렌즈(40) 및 송광 반사경(20)은 크리스탈, 유리, 투명한 합성수지 등의 동일한 광학재료로 가공될 수 있다. 제2 송광 렌즈(15b), 수광 렌즈(40) 및 송광 반사경(20)이 하나의 광학모듈로 통합되므로,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경통(11)에 의해 수신 가림영역(A)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에서 광원부, 수광 렌즈 및 수광 반사경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0), 스캐너부(30), 수광 렌즈(40), 수광 반사경(50) 및 광검출부(60)를 포함한다.
광원부(10)는 센싱광을 조사한다. 광원부(10)는 수광 렌즈(40)와 수광 반사경(50)의 광 통로에 배치된다. 따라서, 광원부(10)가 수광 렌즈(40)와 수광 반사경(50)의 수신 가림영역(A)을 형성하므로, 수신 가림영역(A)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광 렌즈(40)에서 수신 가림영역(A)을 감소시키므로, 광수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광수신 효율이 증가됨에 따라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최대 검출거리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광원부(10)가 수광 렌즈(40)의 광 통로 상에 배치되므로,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센싱광을 스캐너부(30) 측으로 반사시키는 송광 반사경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광원부(10)는 경통(11), 광원(13) 및 송광 렌즈부(15)를 포함한다.
경통(11)은 수광 렌즈(40)와 수광 반사경(50)의 광 통로에 배치된다. 경통(11)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13)은 경통(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송광 렌즈부(15)는 광원(13)에서 조사되는 센싱광을 시준하도록 광원(13)의 출력측에 설치되고, 수광 렌즈(40)와 일체로 형성된다. 송광 렌즈부(15)가 센싱광을 평행한 광선으로 시준하므로, 센싱광의 출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송광 렌즈부(15)와 수광 렌즈(40)가 일체로 통합되고, 송광 반사경의 설치가 생략되므로,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부품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송광 렌즈부(15)는 제1 송광 렌즈(15a)와 제2 송광 렌즈(15b)를 포함한다. 제1 송광 렌즈(15a)는 경통(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2 송광 렌즈(15b)는 수광 렌즈(40)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 송광 렌즈(15b)에는 제1 송광 렌즈(15a)를 투과하는 센싱광이 입사된다. 제2 송광 렌즈(15b)가 수광 렌즈(4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스캐너부(30)는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센싱광을 타켓에 반사시키고, 타겟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시킨다. 스캐너부(30)에도 광반사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반사층이 형성된다.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센싱광이 스캐너부(30)에 입사되므로, 센싱광을 스캐너부(30)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송광 반사경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스캐너부(30)는 스캐너 반사경(31)과 스캐너 구동부(33)를 포함한다. 스캐너 반사경(31)은 광원부(10)에서 조사되는 센싱광을 타겟 측으로 반사시키고, 타겟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을 수광 렌즈(40)로 반사시킨다. 스캐너 구동부(33)는 스캐너 반사경(31)을 회전시키도록 스캐너 반사경(31)에 연결된다. 스캐너 구동부(33)가 스캐너 반사경(31)을 회전시키므로, 스캐너 반사경(31)의 각도에 따라 센싱광과 입사광의 반사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스캐너 구동부(33)로는 모터부가 적용될 수 있다. 모터부에는 인코더가 포함되거나 인코더와 연결될 수 있다. 인코더가 모터부의 회전수, 회전속도, 회전각도 등을 측정하여 제어부에 제공한다.
수광 렌즈(40)는 스캐너부(30)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이 투과되고, 광원부(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수광 렌즈(40)는 크리스탈, 유리, 투명한 합성수지 등의 광학재료로 가공될 수 있다. 수광 렌즈(40)는 입사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무반사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수광 렌즈(40)와 광원부(10)가 하나의 광학모듈로 통합되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수신 가림영역(A)이 감소될 수 있다.
수광 반사경(50)은 수광 렌즈(40)를 투과한 입사광을 반사시킨다. 스캐너부(30)에도 광반사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반사층이 형성된다.
광검출부(60)에는 수광 반사경(50)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이 입사된다. 광검출부(60)에서는 입사광이 입사됨에 따라 타겟의 위치 및 거리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 센서 조립체는 수광 반사경(50)과 광검출부(60) 사이에 설치되는 간섭 필터(63)를 더 포함한다. 간섭 필터(63)는 특정 파장의 광을 걸러준다. 간섭 필터(63)가 광검출부(60)에 일정한 파장대의 광을 입사시키므로, 광검출부(60)에서 타겟의 위치 및 거리 등이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에 관해 설명한다. 제4 실시예는 송광 렌즈부와 수광 렌즈를 제외하고 제3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센서 조립체에서 광원부, 수광 렌즈 및 수광 반사경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0)는 경통(11), 광원(13) 및 송광 렌즈부(15)를 포함한다.
경통(11)은 수광 렌즈(40)와 수광 반사경(50)의의 광 통로 상에 배치된다. 경통(11)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13)은 경통(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송광 렌즈부(15)는 광원(13)에서 조사되는 센싱광을 시준(collimate)하도록 광원(13)의 출력측에 배치되고, 수광 렌즈(40)와 일체로 형성된다. 송광 렌즈부(15)가 센싱광을 평행한 광선으로 시준하므로, 센싱광의 출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송광 렌즈부(15)와 수광 렌즈(40)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송광 렌즈부(15)는 제1 송광 렌즈(15a)와 제2 송광 렌즈(15b)를 포함한다.
제1 송광 렌즈(15a)는 수광 렌즈(40)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송광 렌즈(15a)는 크리스탈, 유리, 투명한 합성수지와 같은 광학물질로 제조된다. 제1 송광 렌즈(15a)가 수광 렌즈(4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송광 렌즈(15b)는 제1 송광 렌즈(15a)를 투과한 센싱광이 입사되고, 수광 렌즈(40)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송광 렌즈(15b), 제1 송광 렌즈(15a) 및 수광 렌즈(40)는 크리스탈, 유리, 투명한 합성수지 등의 동일한 광학재료로 가공될 수 있다. 수광 렌즈(40), 제1 송광 렌즈(15a) 및 제2 송광 렌즈(15b)가 하나의 광학모듈로 통합되므로,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수신 가림영역(A)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신광학계와 송신광학계의 일부가 하나의 광학모듈로 통합되므로,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수광 렌즈(40)에서 가림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광수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광수신 효율이 증가됨에 따라 라이다 센서 조립체의 최대 검출거리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광원부 11: 경통
13: 광원 15: 송광 렌즈부
15a: 제1 송광 렌즈 15b: 제2 송광 렌즈
20: 송광 반사경 30: 스캐너부
31: 스캐너 반사경 33: 스캐너 구동부
40: 수광 렌즈 50: 수광 반사경
60: 광검출부 63: 간섭 필터
A: 수신 가림영역

Claims (6)

  1. 센싱광(sensing light)을 조사하는 센싱 광원부(sensing light source unit);
    상기 센싱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센싱광을 반사시키는 송광 반사경(light transmitting reflector);
    상기 송광 반사경로부터 반사되는 센싱광을 타켓에 반사시키고, 타겟으로부터 반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스캐너부(scanner unit);
    상기 스캐너부로부터 반사되는 입사광이 투과되는 수광 렌즈(light receiving lens);
    상기 수광 렌즈를 투과한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수광 반사경(light receiving reflector); 및
    상기 수광 반사경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이 입사되는 광검출부(light detecting unit)를 포함하되,
    상기 광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입사광에 상기 송광 반사경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가림영역(blockage area)이 형성되고,
    상기 송광 반사경은 상기 수광 렌즈와 일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센싱 광원부는, 경통, 상기 경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센싱광을 시준하도록 상기 광원의 출력측에 설치되는 송광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광 렌즈부는 상기 경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송광 렌즈 및 상기 제1 송광 렌즈를 투과한 센싱광이 입사되는 제2 송광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송광 렌즈는 상기 수광 렌즈와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캐너부로부터 반사된 입사광의 진행방향에 수직한 송광 반사경의 폭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영역의 크기는 상기 광원부의 형상과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조립체.
  4. 센싱광을 조사하는 센싱 광원부;
    상기 센싱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센싱광을 타켓에 반사시키고, 타겟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스캐너부;
    상기 스캐너부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이 투과되는 수광 렌즈;
    상기 수광 렌즈에서 투과되는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수광 반사경; 및
    상기 수광 반사경에서 반사되는 입사광이 입사되는 광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검출부에 검출되는 입사광에 상기 센싱 광원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가림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센싱 광원부는, 경통, 상기 경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센싱광을 시준하도록 상기 광원의 출력측에 배치되는 송광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광 렌즈부는 제1 송광 렌즈 및 상기 제1 송광 렌즈를 투과한 센싱광이 입사되는 제2 송광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광 렌즈 및 상기 제2 송광 렌즈는 상기 수광 렌즈와 일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경통 및 상기 광원은 상기 수광 렌즈와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영역의 크기는 상기 스캐너부로부터 반사된 입사광의 진행방향에 수직한 광원부의 폭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수광 반사경 및 상기 수광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상기 스캐너부로부터 반사된 입사광의 진행방향에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다 센서 조립체.
KR1020200057642A 2020-05-14 2020-05-14 라이다 센서 조립체 Active KR102208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42A KR102208301B1 (ko) 2020-05-14 2020-05-14 라이다 센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42A KR102208301B1 (ko) 2020-05-14 2020-05-14 라이다 센서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440A Division KR102637175B1 (ko) 2018-07-02 2018-07-02 라이다 센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935A KR20200054935A (ko) 2020-05-20
KR102208301B1 true KR102208301B1 (ko) 2021-01-28

Family

ID=7091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642A Active KR102208301B1 (ko) 2020-05-14 2020-05-14 라이다 센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30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6238A (ja) * 2007-02-06 2008-09-18 Denso Wave Inc レーザレーダ装置
JP2010203820A (ja) * 2009-03-02 2010-09-16 Denso Wave Inc レーザ距離測定装置
JP2012073216A (ja) * 2009-11-30 2012-04-12 Denso Wave Inc レーザ測定装置
JP2012208058A (ja) * 2011-03-30 2012-10-25 Denso Wave Inc レーザレーダ装置
JP2015078941A (ja) * 2013-10-18 2015-04-23 増田 麻言 レーザ光を用いた距離測定装置
JP2017009524A (ja) * 2015-06-25 2017-01-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レーザ距離測定モジュール及びレーザ距離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253B1 (ko) * 2015-03-20 2017-10-16 주식회사 엠쏘텍 라이다 장치
KR102235710B1 (ko) * 2016-05-31 2021-04-0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송수광 단일렌즈 광학계 구조를 가지는 스캐닝 라이다
KR101861433B1 (ko) * 2016-06-30 2018-05-25 광주과학기술원 라이다 장비의 광학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6238A (ja) * 2007-02-06 2008-09-18 Denso Wave Inc レーザレーダ装置
JP2010203820A (ja) * 2009-03-02 2010-09-16 Denso Wave Inc レーザ距離測定装置
JP2012073216A (ja) * 2009-11-30 2012-04-12 Denso Wave Inc レーザ測定装置
JP2012208058A (ja) * 2011-03-30 2012-10-25 Denso Wave Inc レーザレーダ装置
JP2015078941A (ja) * 2013-10-18 2015-04-23 増田 麻言 レーザ光を用いた距離測定装置
JP2017009524A (ja) * 2015-06-25 2017-01-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レーザ距離測定モジュール及びレーザ距離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935A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8838B1 (ko) 라이다 센서의 광 정렬 보정 장치 및 방법
JP6737296B2 (ja) 対象物検出装置
KR102407344B1 (ko) 확장된 수평 시야각을 가지는 스캐닝 라이다 장치
KR101885954B1 (ko) 오목 반사 미러를 가지는 스캐닝 라이다
KR102508988B1 (ko) 라이다 센싱장치
KR102208301B1 (ko) 라이다 센서 조립체
US12092762B2 (en) LiDAR sensing device
KR102280497B1 (ko) 라이다 센서 조립체
KR102531931B1 (ko) 라이다 센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1770A (ko) 광 센서 장치
KR102492857B1 (ko) 광수신모듈
KR100255173B1 (ko) 스케닝 레이져 레이더
KR102189503B1 (ko) 내부반사 차단구조를 갖는 라이다
JP7450614B2 (ja) 自動車用の移動可能な偏向装置を有する周囲センサー
KR102695558B1 (ko) 라이다 센싱장치 및 방법
KR102677663B1 (ko) 라이다 센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89352A (ko) 오목 반사 미러를 가지는 스캐닝 라이다
KR102680353B1 (ko) 라이다 센서의 입사 광량 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102252277B1 (ko) 라이다 센서 안정화 장치
KR20200117387A (ko) 라이다 센서의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25012264A (ja) 雨検出装置
KR20190086420A (ko) 오목 반사 미러를 가지는 스캐닝 라이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51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0702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07644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