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832B1 - 유기성 폐기물 및 폐액 균질화 고도전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 및 폐액 균질화 고도전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7832B1 KR102207832B1 KR1020200029820A KR20200029820A KR102207832B1 KR 102207832 B1 KR102207832 B1 KR 102207832B1 KR 1020200029820 A KR1020200029820 A KR 1020200029820A KR 20200029820 A KR20200029820 A KR 20200029820A KR 102207832 B1 KR102207832 B1 KR 1022078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eatment
- decomposition
- liquid
- organic
- organic was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oagul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oxid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5—Combined electrochemical biological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원분뇨처리시 털이나 기계가동에 부적합한 협착물질을 제거하는 유기성폐기물처리장치(100)와, 유기성폐기물 안정화 및 가용화를 통한 부유물질 분리화유도하는 활성라디칼 가압 가용화장치(200)와, 무응집 방식의 탈수장치로 슬러지와 탈리액을 분리하는 탈수슬러지 처리장치(300)와, 탈리액의 유기성 폐수와 접촉 자유라디칼 반응으로 산화분해유도하는 활성분해순환장치(400)와, 가압분해 부상분리처리로 용존되어 있는 복합산화물질을 분해부상처리하는 분해부상처리장치(500)와, 가압분해 부상분리 처리 후 전기분해 산화응집침전 부상처리하는 전기분해 산화응집 부상처리장치(600);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오염농도가 높은 유기성 폐기물과 폐수로 분리되기 전에 각종 오염원 농도, 병원균, 바이러스 및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융·복합 고도전처리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고도전처리 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유기성 폐기물 및 폐액 균질화 고도전처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 유기성 폐기물 처리대상물질을 처리하는 사진.
도 4 는 본 발명 집수조(혐기조운영)에서 가용화처리하는 사진.
도 5 의 (a)는 본 발명 가용화처리된 분뇨 무약주(응집제를 주입하지 않음)(무응집) 방식의 탈수슬러
리 처리사진이고,
(b)는 본 발명 가용화처리된 분뇨 무약주(응집제를 주입하지 않음)(무응집) 방식의 탈수액 처
리사진이다.
도 6 은 본 발명 탈리액(폐수) 오존장치를 통한 활성라디칼처리 사진.
도 7 은 본 발명 활성라디칼조를 거쳐 낙후되어 있는 통상적인 생물반응조를
통과 후 가압분해부상분리처리하는 사진.
도 8 은 본 발명 가압분해부상처리 후 전기분해 산화응집부상처리 사진.
100: 유기성폐기물처리장치
200: 활성라디칼 가압 가용화장치
300: 탈수슬러지 처리장치
400: 활성분해순환장치
500: 분해부상처리장치
600: 전기분해 산화응집 부상처리장치
Claims (5)
- 오염농도가 높은 유기성 폐기물과 폐수로 분리되기 전에 각종 오염원 농도, 병원균, 바이러스 및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융·복합 고도전처리 기술인 유기성 폐기물 및 폐액 균질화 고도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기성 폐기물 및 폐액 균질화 고도전처리 장치는, 원분뇨처리시 털이나 기계가동에 부적합한 협착물질을 제거하는 유기성폐기물처리장치(100)와, 유기성폐기물 안정화 및 가용화를 통한 부유물질 분리화유도하는 활성라디칼 가압 가용화장치(200)와, 무응집 방식의 탈수장치로 슬러지와 탈리액을 분리하는 탈수슬러지 처리장치(300)와, 탈리액의 유기성 폐수와 접촉 자유라디칼 반응으로 산화분해유도하는 활성분해순환장치(400)와, 가압분해 부상분리처리로 용존되어 있는 복합산화물질을 분해부상처리하는 분해부상처리장치(500)와, 가압분해 부상분리 처리 후 전기분해 산화응집침전 상등수를 마이크로버블로 부상처리하는 전기분해 산화응집침전 부상처리장치(600);가 순차적으로 연결 포함되되,
상기 유기성폐기물처리장치(100)는, 원분뇨 침전 방지용 순환교반장치(111)와 연결되는 협착물제거용 스크린(112)과, 상기 스크린(112)으로 털이나 이물질만 분리하여 집수조(113)로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원분뇨 침전 방지용 순환교반장치(111)는 PH 6.5이하의 밀폐된 공간의 혐기성화 순환으로 공기를 차단하고 외부로 악취유출을 억제하되, 교반펌프와 수중펌프로 반송하여 유기태질소(organonitrogen) 즉 유기성 물질중 질소가 유기 화합물로 존재하는 단백질과 화합물이 산소 및 부패성 물질로 전환되어 암모니아성 질소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시키고, 상기 협착물제거용 스크린(112)은 원분뇨처리시 털이나 기계가동에 부적합한 협착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20~30톤 원분뇨 스크린형 장치로 털털이장치 및 드럼스크린장치로 협착물을 제거하고,
상기 활성라디칼 가압 가용화장치(200)는, 유기성폐기물처리장치(100)와 연결되며, HI-COS장치(211)를 이용하여 유기성폐기물 안정화 및 가용화를 통한 부유물질 분리화유도 및 축산분뇨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가용화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HI-COS장치(211)는 원분뇨 저류조 가용화 교반 라디칼 접촉 산화장치로, 가용화 순환처리와 가용화처리수를 거쳐 400~600톤 원분뇨 악취저감 2단계 설비로 이루어지고,
상기 탈수슬러지 처리장치(300)는, 활성라디칼 가압 가용화장치(200)와 연결되며, 탈수장치(311)와 부유물질 분리장치(312)를 이용하여 가축분뇨의 탈수슬러지와 탈리액을 분리하여 탈수슬러지는 퇴비화 처리를 하도록 연계처리하며, 탈리액은 액비나 정화처리를 하도록 연계처리 구성되고,
상기 활성분해순환장치(400)는, 탈수슬러지 처리장치(300)와 연결되며, 오존(O3)발생장치(411)와 활성라디칼산화장치(412)를 이용하여 탈리액의 유기성폐수와 접촉 자유라디칼 반응으로 산화분해 유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해부상처리장치(500)는, 활성분해순환장치(400)와 연결되며, 생물학적처리장치(511)와 가압분해 부상분리처리로 용존되어 있는 복합산화물질을 부상분리처리장치(512)를 이용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기분해 산화응집침전 부상처리장치(600)는, 분해부상처리장치(500)와 연결되며, 용해성 콜로이드입자 전과 후 처리로 오존산화 미세버블 및 전기분해 산화응집침전 상등수를 부상 마이크로 버블처리로 난분해성 물질과 색도분해를 유도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및 폐액 균질화 고도전처리 장치.
- 삭제
- 청구항 1 의 오염농도가 높은 유기성 폐기물과 폐수로 분리되기 전에 각종 오염원 농도, 병원균, 바이러스 및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융·복합 고도전처리 기술인 유기성 폐기물 및 폐액 균질화 고도전처리 장치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및 폐액 균질화 고도전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기성 폐기물 처리대상물질을 협착물제거용 스크린(112)을 이용하여 털이나 이물질만을 분리하여 집수조(113)로 공급하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는 원분뇨침전방지용 순환교반장치(111)가 혐기성 순환으로 공기를 차단하고 외부로 악취유출을 억제하여 교반펌프를 이용하여 스크린(112)으로 이송하면 스크린(112)은 축산분뇨의 이물질을 협착물 제거용으로 폐기물을 처리함에 있어, 파쇄, 파봉, 협착물제거는 기본설비로 축산분뇨를 처리하고, 털이나 이물질만 분리하여 집수조(113)로 보내지는 것으로, 축산분뇨를 원활하게 펌프로 이송하고,
이후 축산분뇨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가용화하는 활성라디칼 가압 가용화장치(200)를 이용하여 유기성폐기물 안정화 및 가용화를 통한 부유물질 분리화유도하는 단계(S20);
이어서 가용화처리된 분뇨 무약주(무응집: 응집제를 주입하지 않음) 탈수슬러지 처리장치(300)를 이용하여 슬러지와 탈리액을 분리하는 단계(S30);
이후 오존발생장치(411)가 포함된 활성분해순환장치(400)를 이용하여 탈리액의 유기성 폐수와 접촉 자유라디칼 반응으로 산화분해유도하는 단계(S40);
이어서 분해부상처리장치(500)를 이용하여 가압분해 부상분리처리로 용존되어 있는 복합산화물질을 분해부상처리하는 단계(S50);
이후 전기분해 산화응집침전 부상처리장치(600)를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 특성에 따라 복합 또는 개별장치로 용해성 콜로이드입자 전과 후처리로 오존산화 미세버블 및 전기분해 산화 응집부상 마이크로 버블처리로 난분해성 물질과 색도분해유도하는 단계(S6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유기성 폐기물 및 폐액 균질화 고도전처리 방법.
-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와 탈리액을 분리하는 단계(S30)는,
가축분뇨의 탈수슬러지와 탈리액을 분리하여 탈수슬러지는 퇴비화처리를 하도록 연계처리하며, 탈리액은 액비나 정화처리를 하도록 연계처리를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및 폐액 균질화 고도전처리 방법.
-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탈리액의 유기성 폐수와 접촉 자유라디칼 반응으로 산화분해유도하는 단계(S40)는,
오존발생장치(411)와 활성라디칼산화장치(412)를 이용하여 활성라디칼을 1차, 2차 분해하여 탈리액의 유기성폐수와 접촉 자유라디칼 반응으로 산화분해유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및 폐액 균질화 고도전처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9820A KR102207832B1 (ko) | 2020-03-10 | 2020-03-10 | 유기성 폐기물 및 폐액 균질화 고도전처리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9820A KR102207832B1 (ko) | 2020-03-10 | 2020-03-10 | 유기성 폐기물 및 폐액 균질화 고도전처리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7832B1 true KR102207832B1 (ko) | 2021-02-10 |
Family
ID=7456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9820A Active KR102207832B1 (ko) | 2020-03-10 | 2020-03-10 | 유기성 폐기물 및 폐액 균질화 고도전처리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783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738161A (zh) * | 2022-11-14 | 2023-03-07 |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 一种火灾残留物有毒有害物质降解方法 |
CN115947504A (zh) * | 2023-02-20 | 2023-04-11 | 武汉市政环境工程建设有限公司 | 一种污水分析处理系统及方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8008B1 (ko) | 2003-07-25 | 2005-03-23 | 주식회사 무한기술 | 축폐수.분뇨 및 정화조 오니 고도 전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KR100903062B1 (ko) | 2008-08-29 | 2009-06-18 | 주식회사 부강테크 | 유기성 폐액 처리 장치 및 유기성 폐액 처리 방법 |
KR101051798B1 (ko) * | 2010-11-25 | 2011-07-25 | (주) 엔티스 |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난분해성 악성 폐수처리장치 |
KR101092017B1 (ko) | 2008-12-08 | 2011-12-09 | 주식회사 이지바이오시스템 | 축산분뇨와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연속 고온 단상 혐기 발효시스템 |
KR101267054B1 (ko) * | 2013-04-10 | 2013-05-27 | 김완수 |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방법 |
KR101323277B1 (ko) | 2012-05-21 | 2013-10-29 | (주)동화이앤씨 | 유기성 폐수의 병합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
KR102046833B1 (ko) | 2018-04-25 | 2019-11-21 | (주)정수 | 사계절 다목적 중수도 정화장치 |
-
2020
- 2020-03-10 KR KR1020200029820A patent/KR10220783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8008B1 (ko) | 2003-07-25 | 2005-03-23 | 주식회사 무한기술 | 축폐수.분뇨 및 정화조 오니 고도 전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KR100903062B1 (ko) | 2008-08-29 | 2009-06-18 | 주식회사 부강테크 | 유기성 폐액 처리 장치 및 유기성 폐액 처리 방법 |
KR101092017B1 (ko) | 2008-12-08 | 2011-12-09 | 주식회사 이지바이오시스템 | 축산분뇨와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연속 고온 단상 혐기 발효시스템 |
KR101051798B1 (ko) * | 2010-11-25 | 2011-07-25 | (주) 엔티스 |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난분해성 악성 폐수처리장치 |
KR101323277B1 (ko) | 2012-05-21 | 2013-10-29 | (주)동화이앤씨 | 유기성 폐수의 병합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
KR101267054B1 (ko) * | 2013-04-10 | 2013-05-27 | 김완수 |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방법 |
KR102046833B1 (ko) | 2018-04-25 | 2019-11-21 | (주)정수 | 사계절 다목적 중수도 정화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738161A (zh) * | 2022-11-14 | 2023-03-07 |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 一种火灾残留物有毒有害物质降解方法 |
CN115947504A (zh) * | 2023-02-20 | 2023-04-11 | 武汉市政环境工程建设有限公司 | 一种污水分析处理系统及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9201599A (ja) | 有機性廃棄物からの有用物質の回収と資源化方法 | |
JP2001512046A (ja) | オゾン処理による付加的な汚泥処理を備えた廃水の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 |
KR102207832B1 (ko) | 유기성 폐기물 및 폐액 균질화 고도전처리 장치 및 방법 | |
JPH11221541A (ja) | 有機性廃棄物の再資源化方法 | |
KR20140140140A (ko) | 수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 |
KR100407554B1 (ko) | 돈분뇨 처리방법 | |
KR101267054B1 (ko) |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방법 | |
KR100413593B1 (ko) | 오존 처리에 의한 슬러지 감량화 및 재활용 시스템과 그방법 | |
JPH11197636A (ja) |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 | |
JP6670192B2 (ja) | 有機汚泥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 |
JP4807966B2 (ja) | 有機性廃水処理方法及び該システム | |
JP2005193146A (ja) |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該処理システム | |
JP2000015230A (ja) | アンモニア除去方法 | |
KR102153490B1 (ko) | 소화가스를 활용한 소화액 폐수의 탈질처리 및 소화슬러지의 차(char) 제조를 통한 고효율 유기성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 공정 | |
JPH10337594A (ja) | 廃棄物処理装置 | |
KR20020075635A (ko) | 슬러지 무배출형 하폐수의 처리 공정 및 그 장치 | |
KR100995096B1 (ko) | 슬러지 감량을 위한 슬러지 개질 방법 및 그 장치 | |
JP7169067B2 (ja) |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 |
JP3303906B2 (ja) | 生ごみと有機性廃水の生物学的処理法 | |
KR100464872B1 (ko) | 가압부상분리시스템과 전기 반응장치를 모듈화한 음식물 쓰레기 탈리액 폐수처리시스템 | |
JP2007000734A (ja) |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及び該システム | |
KR101075592B1 (ko) | 자원화설비장과 하수처리장이 연계된 음폐수처리방법 | |
JP2005270862A (ja) | 嫌気性処理装置 | |
JP2007061773A (ja) | 有機性汚泥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 |
JP3906323B2 (ja) | 高濃度廃液の処理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3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