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6373B1 - Contents creating method and apparatus by handwriting input with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Contents creating method and apparatus by handwriting input with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373B1
KR102206373B1 KR1020140018525A KR20140018525A KR102206373B1 KR 102206373 B1 KR102206373 B1 KR 102206373B1 KR 1020140018525 A KR1020140018525 A KR 1020140018525A KR 20140018525 A KR20140018525 A KR 20140018525A KR 102206373 B1 KR102206373 B1 KR 102206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rrection
input
handwriting input
handwri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5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5385A (en
Inventor
김도현
안희범
장원석
황성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4155898.1A priority Critical patent/EP2770443B1/en
Priority to US14/186,805 priority patent/US9922014B2/en
Priority to CN201410163962.9A priority patent/CN104850254A/en
Publication of KR20140105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3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37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에 있어서; 필기 모드시에,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며, 미리 설정된 교정 모드 조작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교정 모드 조작이 있을 경우에, 교정 모드로 진입하여,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며, 필기 입력된 내용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를 확인하며, 해당 교정부호에 미리 설정된 편집 내용을 적용하여 필기 내용을 교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reating content through a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In the handwriting mode, displaying the handwriting input conten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and checking whether there is a preset correction mode operation; When there is a correction mode operation, it enters the correction mode, displays the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checks the preset correction code from the handwritten input contents, and applies the edited contents preset to the correction code. Carry out the process of correcting your handwriting.

Description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및 장치{CONTENTS CREATING METHOD AND APPARATUS BY HANDWRITING INPUT WITH TOUCH SCREEN} Content creation method and device through handwriting input on touch screen {CONTENTS CREATING METHOD AND APPARATUS BY HANDWRITING INPUT WITH TOUCH SCREE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 등)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전자 펜(electronic pen)의 터치 상태를 입력으로 감지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using a touch screen that senses a user's body (eg, a finger, etc.) or a touch state of an electronic pen such as a stylus pen as an input, In particular,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contents through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최근 들어, 스마트폰, 핸드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태블릿 PC, 개인용 네비게이션 기기, 휴대용 게임기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소지 가능하도록 제조되는 휴대 단말기는 그 제한된 크기로 인하여 상하좌우 이동을 조작받기 위한 사방향 버튼 등을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의 스크린 터치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즉, 터치스크린)를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널리 제공되고 있다. Recently, portable terminals manufactured to be possessed by users, such as smartphones, mobile phone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MP3 players, tablet PCs, personal navigation devices, and portable game consoles, can mov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due to their limited size.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by providing an input device (ie, a touch screen) capable of a user's screen touch input without having a four-way button for receiving manipulation has been widely provided.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전자펜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이때의 터치 입력 방식에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를 들어, 전자 펜)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 방식과, 호버링(hovering)과 같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 방식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터치 입력 방식은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전자펜을 이용한 터치 입력 방식은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 방식에 비해, 보다 정밀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므로, 필기 입력이나 스케치 등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시에 보다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method using a touch screen detects a touch input using a user's finger or an electronic pen. The touch input method at this time includes a touch input method by contacting a user's body or a touchable input means (eg, an electronic pen), and an input method in a non-contact state such as hovering. The touch input method provides a convenient user interface. Particularly, the touch input method using the electronic pen can be more precise than the touch input method using a finger, and thus can be more usefully applied when performing applications related to handwriting input or sketching.

한편,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예를 들어, 메모, 메시지, 일반 문서 등)의 작성 방식은 종래의 전통적인 자판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식과 비교하여 내용 작성의 자유도가 높으며, 보다 직관적이며 신속한 입력이 가능하고, 또한, 필기한 내용에 대한 문자 인식 기술의 향상으로 인해, 그 활용성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riting method of content (e.g., memo, message, general document, etc.) through handwriting input has a higher degree of freedom of content crea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writing contents through keyboard input, and is more intuitive and quick input. It is possible, and also, due to the improvement of character recognition technology for handwritten content, its utility is greatly increased.

그런데,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식에서 작성 중인(또는, 작성한) 컨텐츠는 통상 이미지 파일로 처리되거나, 문자 인식을 통한 텍스트 파일로 처리되고 있으며, 이러한 컨텐츠의 내용 편집에 대한 기술은 인식한 문자 위주의 간단한 첨삭 정도를 제공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However, the content being created (or created) in the content creation method through handwriting input is usually processed as an image file or as a text file through character recognition, and the technology for editing the content of such content is based on recognized characters. It stays at a level that provides a simple degree of corre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시에 사용자에게 보다 유용하며,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content through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in order to provide an editing function that is more useful to a user when creating content through handwriting input, and that the user can use more easily. In the offer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시에 필기 입력에 기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content through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to provide an editing function based on handwriting input when creating content through handwriting inpu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에 있어서; 필기 모드시에,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며, 미리 설정된 교정 모드 조작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교정 모드 조작이 있을 경우에, 교정 모드로 진입하여,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며, 필기 입력된 내용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를 확인하며, 해당 교정부호에 미리 설정된 편집 내용을 적용하여 필기 내용을 교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reating content through a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In the handwriting mode, displaying the handwriting input conten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and checking whether there is a preset correction mode operation; When there is a correction mode operation, it enters the correction mode, displays the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checks the preset correction code from the handwritten input contents, and applies the edited contents preset to the correction cod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cess of correcting the handwritten content.

상기에서, 상기 교정 모드로 진입하여 필기 내용을 교정하는 과정은,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필기 입력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들 중에서 매칭되는 교정부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된 교정부호 외의 필기 내용은 교정용 컨텐츠 내용으로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한 교정부호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교정 기능 및 상기 교정용 컨텐츠 내용에 따라 현재 필기 입력 내용을 교정하는 단계와; 상기 교정된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bove, the process of entering the correction mode and correcting the handwritten content may include displaying the handwriting input content according to detec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Checking whether there is a matching correction code among preset correction codes in the handwriting input, and checking handwriting contents other than the checked correction codes as contents for correction; Correcting a current handwriting input content according to a correction function preset according to the checked correction code and the contents for correction; And displaying the corrected handwriting input content.

상기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를 확인하는 것은, 교정모드 진입시에, 미리 설정된 초기 N개(예를 들어, 1개)의 획을 교정부호로 확인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bove, the checking of the preset calibration code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entering the calibration mode, the preset initial N (for example, 1) strokes are identified as the calibration code.

상기에서, 상기 교정부호는 내용 삽입을 가리키는 '삽입 교정부호'와, 내용 대체를 가리키는 '대체 교정부호'와, 필기 내용들 중에서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문자열에 해당하는 부위의 기울기를 교정하는 것을 가리키는 '기울기 교정부호'와, 문단 정렬을 가리키는 '문단 정렬 교정부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또는 대체 교정부호에 다른 교정 동작시, 삽입 또는 대체되는 교정 컨텐츠 내용의 크기 또는 기울기를 미리 입력된 필기 내용과 매칭되도록 상기 교정 컨텐츠 내용의 크기 또는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bove, the correction code is a'insertion correction code' indicating content insertion, a'replacement correction code' indicating content replacement, and correction of the inclination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among handwritten contents. It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tilt correction code' indicated and the'paragraph alignment correction code' indicating paragraph alignment, and the size or slope of the corrected content to be inserted or replaced in case of another correction operation in the insertion or replacement correction code At least one of a size or a slope of the corrected content content is converted to match the previously input handwriting content.

상기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교정 모드 조작은, 필기 입력을 위한 화면에 미리 설정되는 메뉴바에서 교정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미리 마련된 메뉴 항목의 선택이거나, 또는, 전자펜의 조작 버튼의 입력 또는 전자펜의 조작 버튼의 입력 유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preset correction mode operation is selection of a menu item prepared in advance to enter the correction mode from a menu bar preset on the screen for handwriting input, or input of an operation button of the electronic pen or the input of the electronic pe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of the operation button is maintain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안은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시에 사용자에게 보다 유용하며,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활용할 수 있으며, 필기 입력에 기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creating content through handwriting input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useful to the user when creating content through handwriting input, can be used more easily by the user, and provides an editing function based on handwriting input.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동작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 화면과 종래의 필기 입력 화면의 비교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시 필기 내용 편집을 위한 예시 화면들
도 6a, 도 6b 및 도 7은 도 5 중 필기 편집시 '삽입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
도 8a 및 도 8b는 도 5 중 필기 편집시 '대체(삭제 및 삽입)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
도 9a, 도 9b, 도 10a 및 도 10b는 도 5 중 필기 편집시 '기울기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
도 11a 및 도 11b는 도 5 중 '문단 정렬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
도 12는 도 5의 필기 내용 편집을 위한 상세 예시 화면들
도 13은 도 5 중 교정 영역 확대 동작을 수행한 예시 화면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시 교정 부호 정보가 기록된 테이블의 예시도
1 is a schematic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ontent creation device through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creation device through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flowchart of a content creation operation through a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a handwriting input screen and a conventional handwriting input screen in a touch screen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5 is an exemplary screen for editing handwriting content when writing content through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6B, and 7 are exemplary screens for'insertion correction' during handwriting editing in FIG. 5
8A and 8B are exemplary screens for'replacement (delete and insert) correction' during handwriting editing in FIG. 5
9A, 9B, 10A, and 10B are exemplary screens for'tilt correction' during handwriting editing in FIG. 5
11A and 11B are exemplary screens for'paragraph alignment correction' in FIG. 5
12 is a detailed example screens for editing handwriting content of FIG. 5
13 is an example of screens in which a correction area enlargement operation is performed in FIG. 5
1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table in which correction code information is recorded when content is created through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nstituent elements are shown, but these are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specific matters may be modified or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aid that it is self-evident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휴대 단말기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1 is a schematic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ontent creation device through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content creation device through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block diagram, for exampl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1)는 제어부(10), 무선통신부(11), 터치스크린(12), 키입력부(14), 저장부(15) 및 오디오 처리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and 2, a portable terminal 1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control unit 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a touch screen 12, a key input unit 14, and a storage unit 15. ) And an audio processing unit 16.

터치스크린(12)은 휴대 단말기(1)에서 출력되는 출력 정보에 대한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 패널(120)과, 사용자에 의한 각종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 감지 패널(1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120)은 통상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입력 감지 패널(130)과 구조적으로 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20)은 해당 휴대 단말기(1)의 각종 동작 상태, 메뉴 상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 등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12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20 that performs a display function for outpu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1 and an input detection panel 130 that performs various input functions by a user. . In this case, the display panel 120 may be generally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 PMOLED or AMOLED a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screen, and may be structurally integrated with the input sensing panel 130. The display panel 120 may display various screens according to various operation states, menu states, application execution and services of the corresponding portable terminal 1.

한편, 입력 감지 패널(130)은 손가락, 전자펜(2; 이하 동일한 의미로서 '펜'으로도 약칭함) 등의 각종 물체를 이용한 사용자의 싱글 또는 멀티 터치 입력, 드래그 입력, 필기 입력, 드로잉 입력 등의 각종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로 구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 패널(130)은 손가락 입력 감지 및 전자펜 입력 감지가 모두 가능한 하나의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손가락 입력 감지가 가능한 손 감지 패널(134)과 전자펜 입력 감지가 가능한 펜 감지 패널(132)과 같이 두 개의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put detection panel 130 is a single or multi-touch input, drag input, handwriting input, drawing input by a user using various objects such as a finger, an electronic pen (2; hereinafter, abbreviated as'pen'). It may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or more panels capable of detecting various inputs such as. For example, the input detection panel 130 may be implemented using a single panel capable of detecting both a finger input and an electronic pen input, or the hand detection panel 134 capable of detecting a finger input and an electronic pen input detection. 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panels, such as the pen sensing panel 132 as possible.

손 감지 패널(134)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손 감지 패널(134)은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손 감지 패널(134)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한다. 이때, 감지된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 패널(1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손 감지 패널(134)은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한 조작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손 감지 패널(134)은 사용자의 인체(예를 들어, 손가락)를 비롯하여 물리적인 도구 등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 감지 패널(134)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로 구성된 경우 손 감지 패널(134)은 유리의 양면에 얇은 금속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산화 인듐주석) 막 등)을 코팅하여 유리표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유전체로 코팅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손 감지 패널(134)에 물체에 의해 표면이 터치되면 정전기에 의해 일정량의 전하가 접촉 위치로 이동하고, 손 감지 패널(134)은 전하의 이동에 따른 전류의 변화량을 인식해서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게 되고 터치 이벤트를 추적한다. 여기서 손 감지 패널(134)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는 주로 사람의 손가락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나, 정전용량변화를 가할 수 있는 다른 물체 예를 들면, 정전 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The hand detection panel 134 may detect a user's touch input. The hand detection panel 134 may have a shape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nd a touch pad. The hand detection panel 134 detects a touch input and outputs a touch event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touch signal. In this ca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touch signal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20. The hand detection panel 134 may receive a manipulation signal by a user's touch input through various input means. For example, the hand detection panel 134 may detect a touch input including a user's human body (eg, a finger) as well as a physical tool. Specifically, the hand detection panel 134 may be configured as a capacitive touch panel. In the case of a capacitive touch panel, the hand detection panel 134 is coated with a thin metal conductive material (eg, ITO (Indium Tin Oxide) film) on both sides of the glass to allow current to flow on the glass surface. It is composed of a dielectric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store electrical charges. When the surface of the hand detection panel 134 is touched by an object, a certain amount of electric charge is moved to the contact position by static electricity, and the hand detection panel 134 recognizes the amount of change in current due to the movement of electric charge and determines the touched position. It detects and tracks touch events. Here, the touch event occurring in the hand detection panel 134 may be mainly generated by a human finger, but other objects capable of applying capacitance change, for example, an object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apable of applying capacitance change. Can be created.

펜 감지 패널(132)은 전자펜(2)(예컨대, 스타일러스 펜, 디지타이저 펜)의 운용에 따른 전자펜의 근접 입력 또는 접촉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자펜 근접 이벤트 또는 전자펜 접촉 이벤트를 출력한다. 이러한 펜 감지 패널(132)은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전자기 공명)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펜 감지 패널(132)은 복수의 루프 코일이 미리 정해진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감지 패널(132)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전자펜(2)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전자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전자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감지 패널(132)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된다. 펜 감지 패널(132)을 통해서는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체라면 접근 및 터치의 감지가 가능하다. 이러한 펜 감지 패널(132)은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또는 디폴트로 활성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펜 감지 패널(132)은 표시 패널(120)의 하부에 일정 면적, 예를 들면 표시 패널(132)의 표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The pen detection panel 132 senses a proximity input or a touch input of the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2 (eg, a stylus pen, a digitizer pen), and outputs the detected electronic pen proximity event or electronic pen contact event. . The pen sensing panel 132 may be implemented in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method, and may sense a touch or proximity input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en or a change in the strength of an electromagnetic field due to the touch. Specifically, the pen detection panel 132 include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sensor (not shown) an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sensor having a gri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oop coils are disposed in a predetermined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unit (not shown) for sequentially providing an A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to each of the loop coil. When the electronic pen 2 having a resonant circuit in the vicinity of the loop coil of the pen sensing panel 132 is present, a magnetic field transmitted from the loop coil generates a current based on mutual electromagnetic induction in the resonant circuit in the electronic pen. Based on this current, an induced magnetic field is generated from the coil constituting the resonance circuit in the electronic pen, and the pen detection panel 132 detects this induced magnetic field from the loop coil in the signal reception state, and the approach position of the pen Or the touch position is detected. Through the pen detection panel 132, any object capable of generating a current based on electromagnetic induction can detect proximity and touch. The pen detection panel 132 may have an activated state according to occurrence of a specific event or by default. In addition, the pen sensing panel 132 may be provided under the display panel 120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for example, an area capable of covering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132.

EMR 방식에 따른 전자펜(2)의 구성의 일 예시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자펜(2)은 터치스크린 상의 접촉 또는 호버링 상태에 따라 다른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기준 공진 신호를 발생하는 메인 공진 회로 및, 메인 공진 회로와 연결되어, 메인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가변하는 접촉 가변 공진 회로가 구비된다. 접촉 가변 공진 회로는 전자 펜(2)에서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전자 펜의 끝 부분(tip)이 터치스크린과 접촉시 등과 같이, 접촉 압력에 따라 가변되는 인덕턴스 값을 가지는 가변 인덕터 성분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접촉 압력에 따라 가변되는 커패시턴스 값을 가지는 가변 커패시터 성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An exemplary structur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pen 2 according to the EMR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generate a different signal according to a contact or hovering state on the touch screen, the electronic pen 2 is a main source that generates a reference resonance signal. A resonant circuit and a contact variable resonant circuit connected to the main resonant circuit to vary a resonant frequency of the main resonant circuit are provided. The variable contact resonance circuit is implemented as a variable inductor component having an inductance value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contact pressure, such as when the tip of the electronic pen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n the electronic pen 2 contacts the touch screen, or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with a variable capacitor component having a capacitance value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contact pressure.

이러한 접촉 가변 공진 회로에 의해서, 전자 펜(2)과 터치스크린(12) 상의 접촉 또는 호버링 상태에 따라 메인 공진 회로에서 발생되는 공진 주파수는 얼마간의 차이가 있게 되며, 펜 감지 패널(132)에서 이러한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감지하여 전자 펜(2)이 터치스크린(12)과 접촉 상태인지 또는 호버링 상태인지 구별할 수 있게 된다.By such a variable contact resonance circuit, the resonance frequency generated in the main resonance circuit is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tact or hovering state on the electronic pen 2 and the touch screen 12, and the pen sensing panel 132 By detecting the difference in resonance frequency,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the electronic pen 2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12 or in a hovering state.

또한, 전자 펜(2)에는 별도로 외부에 사용자 입력 조작이 가능하게 마련된 조작 버튼(2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작 버튼(21)의 입력 상태에 따라 메인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추가적으로 더 가변하는 버튼 입력 가변 공진 회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입력 가변 공진 회로는 버튼 입력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 인덕터 성분 또는 가변 커패시터 성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pen 2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21 separately provided to allow user input operation to the outside, and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main resonance circuit is additionally further variable according to the input state of the operation button 21 A button input variable resonance circuit may be further provided. The button input variable resonance circuit may be implemented with a variable inductor component or a variable capacitor component that varies according to a button input.

이와 같은 버튼 입력 가변 공진 회로에 의해, 펜 감지 패널(132)(또는 별도의 센서)은 전자 펜(2) 조작 버튼(21)의 입력 상태를 파악하게 되고, 조작 버튼(21)의 입력에 따른 미리 설정된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작 버튼(21)의 입력 상태는 전자 펜(2)과 터치스크린(12) 상의 접촉 또는 호버링 상태에 따라 구분되게 파악할 수도 있다.By such a button input variable resonance circuit, the pen detection panel 132 (or a separate sensor) grasps the input state of the electronic pen 2 operation button 21, an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operation button 21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reset additional operation. In this case, the input state of the manipulation button 21 may be identified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act or hovering state of the electronic pen 2 and the touch screen 12.

다음으로, 무선통신부(11)는 해당 휴대 단말기(1)가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포함될 수 있는 구성이다. 특히 휴대 단말기(1)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무선통신부(11)는 이동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 기능을 위한 무선 신호 송수신 및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테나와,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는 통신 기능이 요구되는 휴대 단말기(1)의 특정 기능 예를 들면 채팅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통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Nex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is a component that may be included when the mobile terminal 1 support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 particular, when the mobile terminal 1 supports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may be configured a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Specifically, in order to perform radio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and processing operations for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s, an antenna, an RF unit, and a modem (MODEM) may be included. The RF unit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noise amplifying a received signal and down-converting a frequency. The modem includes a transmitter that encodes and modulates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 receiver that demodulates and decodes a signal received from the RF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may perform specific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 requir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example, a chat function, 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function, a call function, and the like.

키입력부(14)는 해당 휴대 단말기(1)의 외관 하우징 등에 기구적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동작 조작을 위한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키로서는, 사이드 키나 별도로 마련된 터치 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4)는 휴대 단말기(1)의 턴-온 또는 턴-오프 수행을 위한 버튼 키, 휴대 단말기(1)가 지원하는 기본 화면으로의 복귀를 지원하는 홈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key input unit 14 is provided with keys for a plurality of operation manipulations that are mechanically provided on the exterior housing of the mobile terminal 1 or the like to receive a user's manipulation. As such a key, it may be composed of a side key or a separately provided touch pad.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4 may include a button key for performing turn-on or turn-off of the portable terminal 1, a home key for supporting return to a basic screen supported by the portable terminal 1, and the like. have.

오디오 처리부(130)는 휴대 단말기(1)의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스피커 및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한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 마이크 및 스피커와 마이크를 통해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코덱(codec), 등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기능에 따른 전화 통화 수행시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거나 사용자에게 가청음을 출력하며, 또한 각종 동작에 대응되는 처리음이나, 각종 디지털 오디오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한다. The audio processing unit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a microphone for collecting an audio signal. The audio processing unit 130 includes a speaker, a microphone, and a voice codec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input/output through the speaker and microphone, and inputs a user's voice when performing a phone call accord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It receives or outputs an audible sound to the user, and also outputs a processing sound corresponding to various operations, various digital audio contents, and sound corresponding to video contents.

저장부(15)는 휴대 단말기(1)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15)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및 관련 컨텐츠와, 동작 처리와 관련된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저장부(15)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을 위한 동작 프로그램인 필기 어플리케이션(150)이 추가로 더 저장됨이 도시되고 있다. 필기 어플리케이션(150)에는 필기 내용 편집을 위해 사용되는 후술할 교정부호 테이블(152)이 미리 저장된다. The storage unit 15 is a component for storing various programs and data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5 may be composed of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for stori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nd related contents, data related to operation processing, and the like. The program memory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general opera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shown that the storage unit 15 further stores a writing application 150, which is an operation program for writing content through a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riting application 150, a correction code table 15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used for editing handwriting content is stored in advance.

제어부(10)는 상기 각 기능부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터치스크린(12)이나 키입력부(1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 단말기(1)의 동작을 전환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어부(10)는 전자펜(2)을 이용하여 필기 이미지를 입력 받아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관련 동작들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필기 입력 기반의 내용 편집을 위해 필기 입력 내용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를 확인하고, 해당 교정부호에 미리 설정된 편집 내용을 적용하여 필기 내용을 교정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의 상세한 동작은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 by collectively controlling each of the functional units, and according to a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12 or the key input unit 14, the mobile terminal 1 You can switch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Further,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0 controls various related operations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 handwritten image using the electronic pen 2. Particularly, the control unit 10 checks a preset correction code in the handwriting input content for editing content based on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rrects the handwriting content by applying the preset edit content to the corresponding correction code. Control. Detailed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동작의 흐름도로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을 위하여 미리 설정된 메뉴 선택 항목의 입력 조작 등을 확인함으로써, 필기 모드 동작이 시작되면, 먼저, 300단계에서는, 펜 감지에 따른 일반 모드에서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이러한 일반 모드의 동작은 펜 감지에 따라 펜 감지 위치의 궤적에 따른 적절한 필기 이미지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론 이 경우에, 필기 이미지에서 각 획의 굵기, 색상 등도 별도의 메뉴 환경 등에서 조정될 수 있다. 3 is a flowchart of a content creation operation through a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illustrated in FIG. 2. Referring to FIG. 3, when the handwriting mode operation is started by confirming the input operation of a menu selection item set in advance for content creation through handwriting input, first, in step 300, the handwriting input content in the normal mode according to pen detection Perform the operation to display. That is, in the general mode operation, an appropriate handwriting image according to the trajectory of the pen detection position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en detection. Of course, in this case, the thickness and color of each stroke in the handwritten image may also be adjusted in a separate menu environment.

이러한 300단계의 일반 모드에서 필기 입력 내용 표시 동작을 수행 중에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교정 모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조작이 있으면 이를 302단계에서 확인하여, 이후 310단계로 진행한다. 교정 모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조작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필기 입력을 위한 화면의 상단에 적절히 설정되는 메뉴바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정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일명 '교정 모드'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메뉴바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설치되는 교정 모드 메뉴 항목을 비롯하여, 다양한 필기 환경 설정을 위한 다수의 메뉴 항목들의 나열되게 구성될 수 있다. If there is a preset operation in order to perform the correction mode oper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performing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content in the 300-step normal mode, it is checked in step 302 and then proceeds to step 310. The preset operation for performing the calibration mode operation is, for example, in a menu bar properly set at the top of the screen for handwriting inpu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lib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set in advance by selecting a menu item called'calibration mode' for entering. The menu bar may be configured to list a plurality of menu items for setting various writing environments, including a calibration mode menu item installe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302단계에서, 교정 모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조작은,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인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필기 모드 중에서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시에는 교정 모드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이외에도,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교정 모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조작은,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 상태가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필기 모드 중에서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필기 입력이 있을 경우에 해당 필기 입력을 교정부호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의 동작은 상기 일 실시예의 동작과 병행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302, a preset operation for performing the calibration mode operation may be preset as an input of the operation button 21 of the electronic pen 2. That is, in the handwriting mode, when the operation button 21 of the electronic pen 2 is inpu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enters the calibration mode.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vance for performing the calibration mode operation The set operation can be set in advance as the input state of the operation button 21 of the electronic pen 2 is continuously maintained.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input of the operation button 21 of the electronic pen 2 is maintained in the handwriting mode, when there is a handwriting input, the corresponding handwriting input may be regarded as a correction code. The operation of th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ope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310단계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필기 기반의 교정 동작을 수행하는 교정 모드 동작으로서, 필기 입력 내용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또는 교정부호들)를 확인하고, 해당 교정부호에 미리 설정된 편집 내용을 적용하여 필기 내용을 교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310단계의 교정 모드 동작은 311단계 내지 319단계의 상세 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먼저, 311단계에서는 펜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을 표시하며, 이후 313단계에서는 필기 입력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들 중에서 매칭되는 교정부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경우에 확인된 교정부호 외의 필기 내용은 추가 또는 변경되는 컨텐츠 내용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313단계에서, 매칭되는 교정부호가 없을 경우에는, 해당 필기 내용은 삭제하고 상기 311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교정부호 입력과, 표시 및 확인 동작을 재수행 할 수도 있다. Step 310 is a correction mode operation for performing a handwriting-based corr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andwriting input content, preset correction codes (or correction codes) are checked, and preset edits are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correction codes. To correct the handwriting. The calibration mode operation in step 310 can be divided into detailed steps of steps 311 to 319. First, in step 311, a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pen detection is displayed, and in step 313, from among the preset correction codes in the handwriting input. Check whether there is a matching correction code. In this case, the handwritten content other than the confirmed correction code can be confirmed as the content content to be added or changed. Alternative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313, if there is no matching correction code, the corresponding handwritten content is deleted,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311 to repeat the above process to input, display, and You can also perform the verification operation again.

이후 315단계에서는, 상기 확인한 교정부호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교정 기능을 확인하여 현재 필기 입력 내용을 교정하고, 이후 317단계에서는 교정된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한다. Thereafter, in step 315, a correction function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checked correction code is checked to correct the current handwriting input content, and in step 317, the corrected handwriting input content is displayed.

이후 319단계에서는 미리 설정된 교정 모드 종료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교정 모드 종료 조작이 없으면, 상기 311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교정 모드 동작을 반복 수행하며, 교정 모드 종료 조작이 있을 경우에는 교정 모드 동작을 종료하고 이후 320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교정 모드 종료 조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뉴바의 교정 모드 메뉴 항목이 재차 입력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교정 모드 메뉴 항목의 입력 및 재입력을 통해 교정 모드의 진입 및 해제 조작이 수행될 수 있다. Subsequently, in step 319,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pre-set calibration mode end operation. If there is no calibration mode end operatio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311 and the above calibration mode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If there is a calibration mode end operation, the calibration mode After the operation end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20. In this case, the calibration mode termination operation may be preset to input the calibration mode menu item of the menu bar agai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operation of entering and releasing the calibration mode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input and re-input of the calibration mode menu item.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319단계에서 교정 모드 종료 조작은,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재입력인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교정 모드 중에서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시에는 이를 교정 모드 종료 조작인 것으로 간주하여, 필기 모드로 다시 진입할 수 있다.Alternative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ibration mode termination operation in step 319 may be preset to be a re-input of the operation button 21 of the electronic pen 2. That is, in the calibration mode, when the operation button 21 of the electronic pen 2 is input, it is regarded as a calibration mode termination operation, and the user may reenter the writing mode.

이외에도,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교정 모드 종료 조작은,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 상태가 해제된 것으로, 즉, 조작 버튼(21)이 입력되지 않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교정 모드 중에서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이 유지되지 않고 해제되면, 곧바로 필기 모드로 다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필기 모드시에 교정부호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 버튼(21)을 누른 상태에서 교정부호를 입력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ibration mode termination operation is that the input state of the operation button 21 of the electronic pen 2 is released, that is, the operation button 21 is not input. have. That is, in the calibration mode, if the input of the operation button 21 of the electronic pen 2 is not maintained and is released, the handwriting mode may be immediately re-entered. Looking at this operation,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user wants to input the correction code in the handwriting mode, the user inputs the correction code while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21.

상기와 같이, 310단계에서의 교정 모드 동작이 종료되면, 이후 320단계에서는 미리 설정된 필기 모드 종료 조작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필기 모드 종료 조작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300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 진행하며, 필기모드 종료 조작이 있을 경우에는 필기 모드를 종료한다. 상기 필기 모드 종료 조작은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동작을 종료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메뉴 선택 항목의 입력 조작 등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작성된 컨텐츠의 저장이나, 메시지 전송 등과 같은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작업 수행 조작일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libration mode operation in step 310 is terminated, in step 320,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preset writing mode end operation, and if there is no writing mode end operatio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300 and the above process. Repeatedly proceeds, and if there is a handwriting mode end operation, the handwriting mode is terminated. The handwriting mode termination operation may be an input operation of a preset menu selection item in order to terminate the content creation operation through handwriting input, and in addition, the operation date of performing a linkage operation with other applications such as saving the created content or sending a message. May b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 화면과 종래의 필기 입력 화면의 비교 예시도로서, 도 4의 (a)에는 예를 들어, 메시지 작성시, 종래의 필기 입력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4의 (b)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필기 입력 화면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필기 입력 방식의 일 예에 따르면, 전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필기 입력 영역(400)에 필기 입력을 할 경우에 이를 문자 인식하여, 인식된 문자를 메시지 표시 영역(420)에 표시한다. 이때, 필기 입력 영역(400)의 상단에는 다수의 메뉴 항목이 구비된 메뉴바(410)가 마련되는데, 메뉴 항목에는 입력 내용의 교정 동작을 위하여 일명 '사이띄기' 메뉴 항목(410a)과, '행바꾸기' 메뉴 항목(410b) 등이 있을 수 있다. 필기 입력시 이러한 교정 동작을 위한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이는 메시지 표시 영역(420)에 인식된 문자들에서 다음 문자의 입력 위치가 변경된다.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handwriting input screen and a conventional handwriting input screen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shows, for example, when writing a message. An example is shown, and FIG. 4B shows an example of a handwriting input scree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Referring to FIG. 4A, according to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handwriting input method, when a handwriting input is performed in a preset handwriting input area 400 on the full screen, the text is recognized and the recognized text is displayed as a message. It is displayed in the area 420. At this time, a menu bar 410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menu items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handwriting input area 400, and the menu items include a so-called'offset' menu item 410a and ' There may be a'change row' menu item 410b. When a menu item for this correction operation is selected during handwriting input, the input position of the next character in the characters recognized in the message display area 420 is changed.

이와 같이, 도 4의 (a)에 도시된 방식은 다양한 교정 항목들을 적용하는 것이 어려우며, 적용된 교정 항목들을 사용자가 활용하는 방식도 불편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로이 (다수의 행들에 해당하는 비교적 많은 분량의) 필기 입력을 수행하면서도, 간단히 교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As such, it can be see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various correction items in the method shown in FIG. 4A, and a method in which a user utilizes the applied correction items is also inconvenien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b) of FIG. 4, while freely performing a handwriting input (a relatively large amount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ows), it provides a method for simply performing a correction oper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시 필기 내용 편집을 위한 예시 화면으로서, 도 5의 (a)에는 상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기 내용과 동일한 필기 입력을 받은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5의 (b)에서는 해당 필기 내용에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교정부호 및 추가 또는 변경되는 컨텐츠 내용이 입력된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5의 (c)에서는 교정이 완료된 상태의 필기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터치스크린의 필기 입력 화면에 컨텐츠 입력 방식과 마찬가지로 교정부호를 자유로이 필기할 수 있도록 하며, 필기된 교정부호에 따라 필기 내용이 교정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5의 (b)에서는 마치, 다수의 교정부호들 및 교정될 내용이 모두 입력된 후에 교정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이러한 동작도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교정부호의 입력에 따른 교정 동작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각 교정부호에 따른 교정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FIG. 5 is an exemplary screen for editing handwriting content when writing content through a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a), handwriting as shown in FIG. 4(b)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the same handwriting input as the content is received is shown, and FIG. 5B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correction code and contents added or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put to the corresponding handwritten content. In FIG. 5C,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the handwriting content in a state in which the calibration is completed is displayed is shown. As shown in FIG. 5, it can be seen that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rrection code can be freely written on the handwriting input screen of a touch screen, similar to the content input method, and the handwritten content is corrected according to the handwritten correction code. At this time, in (b) of FIG. 5, it is shown that the corr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all of the plurality of correction codes and the contents to be corrected are input, but (of course, this operation is also possib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orrection code of is performed sequentially. Hereinafter, the calibration operation according to each calibration c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a, 도 6b는 도 5 중 필기 편집시 일명 '삽입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로서, 도 6a의 (a)에는 입력된 필기 내용에 '삽입 교정'을 위한 교정부호 및 교정될 컨텐츠 내용이 입력된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6a의 (b)는 해당 삽입 교정부호에 따른 교정이 완료된 상태의 필기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6b의 (a), (b)에는 각각 상기 도 6a의 (a), (b)의 화면 중 필기 입력 화면 영역이 도시되고 있으며, 도 6b의 (c), (d)에는 각각 도6b의 (a), (b) 중 교정할 필기 내용 및 교정된 필기 내용의 확대 영상이 도시되고 있다. 6A and 6B are exemplary screens for'insertion correction' during handwriting editing in FIG. 5, and a correction code for'insertion correction' and contents to be corrected are input to the input handwriting content in (a) of FIG. An example of a screen in a state in which the correction has been completed is shown, and FIG. 6A(b)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the handwriting content in a state in which th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inserted correction code is completed. Figure 6b (a), (b) shows a handwriting input screen area among the screens of (a) and (b) of Figure 6a, respectively, and (c) and (d) of Figure 6b, respectively. Among (a) and (b), the handwritten content to be corrected and an enlarged image of the corrected handwritten content are shown.

도 6a에서는, 전체 화면 중에서 필기 입력 화면 영역(600)과 더불어, 필기 입력 화면 영역(600)의 상단에는 다수의 메뉴 항목들이 구비되는 메뉴바(610)가 마련되는데, 메뉴 항목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교정모드로 진입/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메뉴 항목(610a)과, 각각 다른 필기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펜 종류 중에서 특정 펜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항목(610b) 및 필기 입력을 지우기 위한 지우기 메뉴 항목(610c) 등을 비롯하여, 필기 입력을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메뉴 항목이나, 이전 필기 입력 상태로 되돌려진 상태를 되살리기 위한 메뉴 항목이나, 그림파일 삽입 메뉴 항목 등이 추가로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FIG. 6A, in addition to the handwriting input screen area 600 of the entire screen, a menu bar 610 including a plurality of menu items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handwriting input screen area 600, and the menu items includ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menu item 610a for manipulating the entry/exit of the correction mode, the menu item 610b for selecting a specific pen from among a plurality of pen types each having different writing characteristics, and the erase menu item for erasing the handwriting input In addition to 610c, a menu item for returning the handwriting input to a previous state, a menu item for restoring a state returned to the previous handwriting input state, a picture file insertion menu item, and the like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 또는 입력 유지 상태를 확인하여 교정모드로 진입/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그럴 경우에는, 상기 교정모드로 진입/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메뉴 항목(610a)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그럴 경우에도 사용자의 조작을 돕기 위하여 상기 교정모드로 진입/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메뉴 항목(610a)이 구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enter/release the calibration mode by checking the input or input holding state of the operation button 21 of the electronic pen 2, and in that case, the calibration The menu item 610a for manipulating entry/exit to the mode may not be provided. Alternatively, even in such a case, a menu item 610a for manipulating the entry/exit of the calibration mode may be provided to assist the user's manipulation.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필기 입력한 N개 획으로 교정부호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교정부호를 정의한 제스처 획 개수를 의미하며, N은 1로 설정하여, 교정 모드에서 처음 입력되는 첫번째 획은 교정부호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 미리 설정되는 모든 교정부호는 1개의 획만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첫번째 획이 교정부호인 것으로 간주하여 첫번째 입력된 획의 형상과 미리 설정된 다수의 교정부호에 해당하는 형상을 비교하여 어떠한 교정부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게 된다. 물론 이 외에도 획 입력 순서 등의 구분 없이, 문자 인식 방식만으로 미리 설정된 형상의 교정부호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6A and 6B, in the calibr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libration code may be recognized by using N strokes input by a user. Here, N denotes the number of gesture strokes defining the correction code, and N is set to 1, so that the first stroke input in the correction mode can be recognized as a correction code. That is, in this case, all of the preset correction codes can be configured to be formed with only one stroke. In this way, the first stroke is regarded as a correction code, and the shape of the first input stroke is compared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reset correction codes to check which correction code has been input. Of course, in addition to this, it may be possible to recognize a correction code of a preset shape only by a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without distinction of the stroke input order.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태의 교정부호는 일명 '삽입' 교정부호(601)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삽입 교정부호(601)를 인식할 경우에, 삽입 교정부호(601)의 변곡점(601a)을 확인하여, 도 6a 및 도 6b의 예에서는, '영통구'로 표시된 바와 같은 추가 내용(602)을 삽입할 위치를 확인한다. 이후, N+1획부터 필기된 입력 글자들을 삽입할 추가 내용(602)으로 간주하여, 상기 삽입 위치에 삽입한다. 물론 이 경우에 삽입될 위치의 기존 필기된 내용들(예를 들어, 우측 위치의 내용, 도 6a 및 도 6b의 예에서는 '영통동')은 상기 삽입할 추가 내용(602)과 겹쳐지지 않도록 이동(예를 들어, 우측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6A and 6B, the'v'-shaped correction code is preset as a so-called'insert' correction code 601, and when the insertion correction code 601 is recognized, the insertion correction The inflection point 601a of the reference numeral 601 is checked, and in the examples of Figs. 6A and 6B, a position to insert the additional content 602 as indicated by'perpetual sphere' is confirmed. Thereafter, the input characters written from the N+1 stroke are regarded as additional content 602 to be inserted, and are inserted at the insertion position. Of course, in this case, the existing handwritten contents at the position to be inserted (for example, the contents at the right position,'Youngtong-dong' in the examples of Figs. 6A and 6B) are moved so that they do not overlap with the additional contents 602 to be inserted ( For example, to the right) to display.

이때, 이때 기존 필기된 글자들의 크기가 삽입될 글자들의 크기와 다를 수 있으므로, 설정 여부에 따라, 삽입할 위치 주변의 문자들에 대한 기준 높이(l)와 기준 라인을 추출한 다음, 상기 삽입할 추가 내용(602)을 상기 기준 높이(l)와 기준 라인을 바탕으로 삽입 위치에 동일한 비율로 확대/축소하여 삽입한다. 도 6a 및 도 6b의 예에서는, '영통구'의 내용이 주변 문자들의 높이와 맞도록 보다 확대되어 삽입되는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이때, 문자들의 폭이나 간격을 좁히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size of the existing handwritten characters may be different from the size of the characters to be inser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ize of the characters to be inserted, the reference height (l) and the reference line for the characters around the insertion location are extracted, The content 602 is enlarged/reduced at the same ratio at the insertion position based on the reference height l and the reference line and inserted. In the examples of FIGS. 6A and 6B, a state in which the content of'Yeongtonggu' is expanded and inserted so as to match the height of the surrounding characters is shown. In this case, an operation of narrowing the width or spacing of the characters may be performed.

한편, 삽입할 위치 주변의 글자들은 그 자체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으므로, 기준 라인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입력 글자들의 기울기를 맞추어 삽입할 수도 있다. Meanwhile, since the characters around the location to be inserted may have their own inclination, the input characters may be inserted at the same angle as the reference line.

도 7은 도 5 중 필기 편집시 일명 '삽입 교정'을 위한 또다른 예시 화면들로서, 삽입할 필기 내용을 주변 글자들의 기준 라인의 기울기와 맞추어 삽입하는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7의 (a), (b)에는 각각 교정부호 및 교정될 컨텐츠 내용이 입력된 상태 및 교정이 완료된 상태의 필기 입력 화면 영역이 도시되고 있다. FIG. 7 is another example screen for a so-called “insertion correction” during handwriting editing in FIG. 5, and shows an example of inserting the handwritten content to be inserted in accordance with the slope of the reference line of surrounding characters. 7A and 7B illustrate a handwriting input screen area in a state in which a correction code and content to be corrected are input, and a state in which the correction is completed, respectively.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태의 '삽입' 교정부호(701)를 인식할 경우에, 삽입 교정부호(701)의 변곡점(701a)을 확인하여, '031)'로 표시된 바와 같은 추가 내용(702)을 삽입한다. 이때, 삽입할 위치 주변의 문자들에 대한 기준 높이(l)와 기준 라인을 추출한 다음, 상기 삽입할 추가 내용(702)을 상기 기준 높이(l)와 기준 라인을 바탕으로 삽입 위치에 동일한 비율로 확대/축소하여 삽입함과 아울러, 삽입할 위치 주변의 글자들은 그 자체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으므로, 기준 라인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입력 글자들의 기울기를 맞추어 삽입한다. As shown in FIG. 7, in the case of recognizing the'inserted' correction code 701 in the form of a'v', the inflection point 701a of the inserted correction code 701 is checked, as indicated by '031)'. The same additional content 702 is inserted. At this time, after extracting a reference height (l) and a reference line for characters around the insertion position, the additional content 702 to be inserted is added to the insertion position at the same ratio based on the reference height (l) and the reference line. In addition to expanding/reducing the insertion, the characters around the location to be inserted may have their own inclination, so that the input characters are inserted at the same angle as the reference line.

도 8a 및 도 8b는 도 5 중 필기 편집시 일명 '대체(삭제 및 삽입)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로서, 도 8a의 (a)에는 입력된 필기 내용에 '대체 교정'을 위한 교정부호 및 교정될 컨텐츠 내용이 입력된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8a의 (b)는 해당 교정부호에 따른 교정이 완료된 상태의 필기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8b의 (a), (b)에는 각각 상기 도 8a의 (a), (b)의 화면 중 필기 입력 화면 영역이 도시되고 있으며, 도 8b의 (c)에는 교정할 필기 내용 및 교정된 필기 내용의 확대 영상이 도시되고 있다. 8A and 8B are exemplary screens for'substitute (delete and insert) correction' during handwriting editing in FIG. 5, and in (a) of FIG. 8A, correction codes and corrections for'substitute correction' in the input handwriting content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the content to be processed is input is shown, and FIG. 8A(b)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the handwriting content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orrection code is completed is displayed. Figure 8b (a), (b) shows a handwriting input screen area among the screens (a) and (b) of Figure 8a, respectively, and Figure 8b (c) shows the handwriting content to be corrected and the corrected handwriting. An enlarged image of the content is shown.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원('ㅇ') 형태의 교정부호는 일명 '대체' 교정부호(801)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대체 교정부호(801)를 인식할 경우에, 대체 교정부호(801)의 점유 영역을 확인하여, 도 8a 및 도 8b의 예에서는, 점유 영역 내의 '영통동'으로 표시된 필기 내용을 '매탄동'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대체 내용(802)으로 대체한다. 8A and 8B, the correction code in the form of a circle ('ㅇ') is preset as a so-called'substitute' correction code 801, and when the replacement correction code 801 is recognized, the replacement correction code The occupied area of 801 is checked, and in the examples of Figs. 8A and 8B, the handwritten content indicated by'Yeongtong-dong' in the occupied area is replaced with the substitute content 802 indicated by'Maetan-dong'.

이때, 삽입 교정 방식과 유사하게, 대체되는 문자들에 대한 기준 높이(l)와 기준 라인을 추출한 다음, 상기 대체 내용(802)을 상기 기준 높이(l)와 기준 라인을 바탕으로 삽입 위치에 동일한 비율로 확대/축소하여 삽입한다. At this time, similar to the insertion correction method, after extracting the reference height (l) and the reference line for the characters to be replaced, the replacement content 802 is equal to the insertion position based on the reference height (l) and the reference line. Insert by expanding/reducing ratio.

도 9a 및 도 9b는 도 5 중 필기 편집시 일명 '기울기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이다. '기울기 교정은' 필기 내용들 중에서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문자열에 해당하는 부위의 기울기를 교정하는 것이다. 이때, 도 9a 및 도 9b에서는, 기울기 교정 중에서, 특히, 문자열의 기울기가 '0'을 향하도록 하는, 일명 '수평면 정렬' 방식으로 기울기를 교정하는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된다. 9A and 9B are exemplary screens for so-called'tilt correction' during handwriting editing in FIG. 5. The'tilt correction' is to correct the inclination of a portion of the handwritten contents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multiple characters. In this case, in FIGS. 9A and 9B,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the inclination is corrected in a so-called'horizontal alignment' method in which the inclination of the character string faces '0' is shown.

도 9a의 (a)에는 입력된 필기 내용에 '기울기 교정'을 위한 교정부호가 입력된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9a의 (b)는 해당 교정부호에 따른 교정이 완료된 상태의 필기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9b의 (a) 내지 (g)에는 기울기 교정을 위한 각각의 세부 변환 단계들의 상태에 대한 예들이 도시되고 있다. Fig. 9a(a)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correction code for'tilt correction' is input to the input handwriting content, and Fig. 9a(b) shows the handwriting contents in a state in which th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orrection code is completed An example of the displayed screen is shown. 9B (a) to (g) illustrate examples of states of each of the detailed conversion steps for tilt correction.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필기 내용에서 교정부호의 확인시에,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하는 형태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기울기 교정부호로 인식한다. 이때 해당 교정부호의 획을 가이드 라인으로 하여 기울기가 0도가 되는 방향으로 각 문자들을 이동 및 회전 변환한다. 9A and 9B, when checking the correction code in the handwritten content,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form in which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is connected by a single line, and this is recognized as a tilt correction code. At this time, each character is moved and rotated in a direction where the inclination is 0 degrees using the stroke of the correction code as a guide line.

이때, 가이드라인에 대응되는 문자들의 무게 중심값들을 이용하여 근사 곡선을 추출한다. 문자들의 무게 중심값은 각 문자별로 해당 문자의 획에 해당하는 픽셀 값들의 평균한 값에 해당한다. In this case, an approximate curve is extracted using the center of gravity values of th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guidelin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haracters corresponds to the average value of the pixel values corresponding to the stroke of the character for each character.

각 문자들이 이동 회전 변환하는 방안은 각 문자들의 중심 위치 x 좌표와 대응되는 근사곡선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각도로 산정하여 이동 및 회전 변환한다. 근사 곡선이 여러 개의 획 좌표들의 조합이라고 가정한다면 문자들의 중심 위치 x좌표에 대응되는 획 좌표에 그 이웃한 점들로부터 기울기 각도를 산정할 수 있다. In the method of converting each character's movement and rotation, the tilt of the tangent line in the approximate curve corresponding to the x-coordinate of the center position of each character is calculated as an angle to move and rotate. Assuming that the approximate curve is a combination of several stroke coordinates, the tilt angle can be calculated from the neighboring points to the stroke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x-coordinate of the center position of the characters.

도 9b의 (a)에서는 기울기 교정할 문자열이 도시되며, 도 9b의 (b)에서는 문자열들의 각 문자의 무게 중심값을 표시한 상태가 도시되며, 도 9b의 (c)에서는 이러한 무게 중심값들 간의 근사 곡선을 추출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도 9b의(d)에서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가 0인 기준 라인을 추출한 상태가 도시되며, 도 9b의 (e)에서는 기준 라인에 맞추어 각 문자들의 위치를 이동하며, 회전 변환을 수행한 최종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In Figure 9b (a), a character string to be tilted is shown, in (b) of FIG. 9b, the center of gravity of each character of the character strings is displayed, and in (c) of FIG. 9b, these centers of gravity values The state in which the approximate curve of the liver is extracted is shown. In Fig. 9b(d), a reference line with a slope of 0 is extracted as shown by a dotted line, and in Fig. 9b(e), the position of each character is moved according to the reference line, and rotation conversion is performed. The final state is shown.

이외에도, 도 9b의 (d) 및 (e)에서는 기준 라인이 문자열의 아래쪽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상태의 예가 도시되고 있는데, 대응되는 상태인 도 9b의 (f) 및 (g)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라인이 문자열의 중앙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d) and (e) of FIG. 9B,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reference line is set ba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haracter string is shown, as shown in (f) and (g) of FIG. 9B, which are corresponding states. , The reference line may be set based on the center of the character string.

한편, 상기 도 9b에 도시된 근사 곡선이나, 무게 중심값, 기준 라인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으로서, 실제 화면 상에 표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Meanwhil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approximate curve,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reference line shown in FIG. 9B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re not displayed on an actual screen.

도 10a 및 도 10b는 도 5 중 필기 편집시 일명 '기울기 교정'을 위한 또다른 예시 화면들로서, 기울기 교정 중에서, 특히, 문자열의 기울기가 해당 문자열의 평균적인 근사 기울기를 향하도록 하는, 일명 '근사 기울기 정렬' 방식으로 기울기를 교정하는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된다. 10A and 10B are still other exemplary screens for a so-called'tilt correction' during handwriting editing in FIG. 5, in particular, in tilt correc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of the string faces the average approximate slope of the corresponding string, so-called'approximate.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the tilt is corrected in the'tilt alignment' method is shown.

도 10a의 (a)에는 입력된 필기 내용에 '기울기 교정'을 위한 교정부호가 입력된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10a의 (b)는 해당 교정부호에 따른 교정이 완료된 상태의 필기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10b의 (a) 내지 (e)에는 기울기 교정을 위한 각각의 세부 변환 단계들의 상태에 대한 예들이 도시되고 있다. Fig. 10a(a)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correction code for'tilt correction' is input to the input handwriting content, and Fig. 10a(b) shows the handwriting contents in a state in which correc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orrection code is completed. An example of the displayed screen is shown. In FIGS. 10B (a) to (e), examples of the state of each of the detailed conversion steps for tilt correction are shown.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필기 내용에서 교정부호의 확인시에,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하는 형태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기울기 교정부호로 인식한다. 이때 해당 교정부호의 획을 가이드 라인으로 하여 가이드라인의 근사 기울기에 맞추도록 각 문자들을 이동 및 회전 변환한다. Referring to FIGS. 10A and 10B, when checking the correction code in the handwritten content,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form in which a character strin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is connected by a single line, and this is recognized as a tilt correction code. At this time, each character is moved and rotated to match the approximate slope of the guideline using the stroke of the correction code as a guide line.

이때, 가이드라인에 대응되는 문자들의 무게 중심값들을 이용하여 근사 곡선을 추출하고, 근사 곡선의 끝점을 기준으로 근사 직선을 추출한다. 이후, 각 문자들의 중심 위치 x 좌표와 대응되는 근사 곡선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각도로 산정하여 이동 및 회전 변환한다. 이때의 이동 변환은 상기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기울기 보정 방식과는 달리, 문자들의 중심 위치 x를 기준으로 대응되는 근사 곡선과 근사 직선의 위치만큼 이동한다. At this time, an approximate curve is extracted by using the center of gravity values of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guideline, and an approximate straight line is extracted based on the end point of the approximate curve. Thereafter, the inclination of the tangent line in the approximate curve corresponding to the x-coordinate of the center position of each character is calculated as an angle to move and rotate. Unlike the inclination correction method illustrated in FIGS. 9A and 9B, the movement transformation at this time moves by the corresponding approximate curve and the approximate straight line based on the center position x of the characters.

도 10b의 (a)에서는 기울기 교정할 문자열이 도시되며, 도 10b의 (b)에서는 문자열들의 각 문자의 무게 중심값을 표시한 상태가 도시되며, 도 10b의 (c)에서는 이러한 무게 중심값들 간의 근사 곡선을 추출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도 10b의 (d)에서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근사 직선을 추출한 상태가 도시되며, 도 10b의 (e)에서는 근사 직선의 기울기에 맞추어 각 문자들의 위치를 이동하며, 회전 변환을 수행한 최종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In (a) of FIG. 10b, a character string to be tilted is shown, in (b) of FIG. 10b, the center of gravity of each character of the character strings is displayed, and in (c) of FIG. 10b, these centers of gravity values are shown. The state in which the approximate curve of the liver is extracted is shown. In Fig. 10b(d), the state in which the approximate straight line is extracted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s shown, and in Fig. 10b(e), the position of each character is moved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approximate straight line, and the final state in which rotation transformation is performed Is being shown.

한편, 상기 도 10b에 도시된 근사 곡선이나, 무게 중심값, 근사 직선 등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으로서, 실제 화면 상에 표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Meanwhil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pproximate curve,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approximate straight line shown in FIG. 10B are also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re not displayed on an actual screen.

도 11a 및 도 11b는 도 5 중 일명 '문단 정렬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로서,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문단 정열 교정 중에서, 특히, '내어 쓰기' 방식으로 문단을 정렬하는 상태의 화면의 예들이 도시된다. 도 11a의 (a)에는 입력된 필기 내용에 '문단 정렬 교정'을 위한 교정부호가 입력된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11a의 (b)는 해당 교정부호에 따른 교정이 완료된 상태의 필기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11b의 (a) 내지 (d)에는 문단 정렬 교정을 위한 각각의 세부 변환 단계들의 상태에 대한 예들이 도시되고 있다. 11A and 11B are exemplary screens for a so-called'paragraph alignment correction' in FIG. 5, and in FIGS. 11A and 11B, an example of a screen in a state in which paragraphs are arranged in a'outdented writing' method among paragraph alignment correction. Are shown. Figure 11a (a)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correction code for'paragraph alignment correction' is input to the input handwriting content, and FIG. 11a (b) is a handwriting in a state in which correc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orrection code is completed.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content is displayed is shown. In (a) to (d) of FIG. 11B, examples of the state of each of the detailed conversion steps for correcting paragraph alignment are shown.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필기 내용에서 교정부호의 확인시에, 미리 설정된 문단 정렬에 해당하는 형태를 확인하고, 이를 문단 정렬 교정부호(1101)로 인식하여 해당 문단(줄)을 확인하여 위치를 정렬하게 된다. 세부적으로 문단 정렬을 위한 교정부호(1101)를 구성하는 획으로부터 변곡점들을 추출하고, 변곡점들의 가로 위치(x)를 기준으로 정렬할 문단(줄) 영역을 탐지한 후 문단별로 가로 위치를 조정한다. Referring to FIGS. 11A and 11B, when checking the correction code in the handwritten content, a form corresponding to a preset paragraph alignment is checked, and this is recognized as a paragraph alignment correction code 1101 to confirm the corresponding paragraph (line). Align the position. In detail, the inflection points are extracted from the stroke constituting the correction code 1101 for paragraph alignment, the area of the paragraph (line) to be aligned based on the horizontal position (x) of the inflection points is detected, and then the horizontal position is adjusted for each paragraph.

도 11b의 (a)에서는 문단 정렬 교정 부호(1101)를 확인한 상태가 도시되며, 도 11b의 (b)에서는 문단 정렬 교정 부호(1101)에서 변곡점들을 추출한 상태가 도시되며, 도 11b의 (c)에서는 해당 추출한 변곡점들에 따라 정렬할 문단(줄)에 해당하는 영역을 추출한 상태가 도시되며, 도 11b의 (d)에서는 해당 영역의 위치를 보정한 최종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In (a) of FIG. 11B, the state of confirming the paragraph alignment correction code 1101 is shown, and in (b) of FIG. 11B, the state of extracting the inflection points from the paragraph alignment correction code 1101 is shown, and (c) of FIG. In Fig. 11B, (d) shows a state in which an area corresponding to a paragraph (line) to be aligned is extracted according to the extracted inflection points, and a final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is corrected is shown.

상기 도 6a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교정부호들의 입력 및 이에 따른 교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2에는 (a) 내지 (k)에서는 이러한 다수의 교정부호들의 입력 및 이에 따른 교정 동작의 각 단계들에 순차적으로 수행될 경우에 각각의 단계들에 해당하는 상세 예시 화면들이 순차적으로 도시되고 있다. As shown in FIGS. 6A to 11B, each of the correction codes may be input and a corr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may be performed. In (a) to (k), in (a) to (k), detailed example screens corresponding to each step are sequentially shown in the case where the input of a plurality of correction codes and the respective steps of the correction operation accordingly are sequentially performed. .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content cre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done without deviating.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교정 모드의 동작시에, 교정부호가 검출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교정부호 주변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교정영역(1200a)으로 설정하여, 해당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교정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a calibration code is detected during operation of the calibration mod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3, a preset area around the detected calibration code is set as the calibration area 1200a, and the corresponding area is By enlarged and displayed, the user may be configured to make correction work easier.

도 13의 (a)에는 교정 모드시에 교정부호가 입력된 상태의 교정영역(1200a) 설정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13의 (b)에는 해당 교정영역(1200a)이 전체 필기 입력 영역으로 확대하여 출력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13의 (c)에는 해당 확대된 교정영역에서 교정할 추가 필기 내용을 입력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13의 (d)에서는 교정 작업이 완료되어 화면 크기가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온 예가 도시되고 있다. 13A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the calibration area 1200a is set in a state in which the calibration code is input in the calibration mode, and FIG. 13B shows the corresponding calibration area 1200a as the entire handwriting input area. An example of a screen to be enlarged and output is shown, and in (c) of FIG. 13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inputting additional handwriting to be corrected in the enlarged correction area, and in (d) of FIG. An example in which the size ha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is shown.

또한, 이외에도, 상기의 설명에서는 교정부호 및 관련된 교정 기능에 대해, '삽입 교정', '대체 교정', '기울기 교정', '문단 정렬 교정'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교정부호 및 관련된 교정 기능들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4에는 교정 부호 정보가 기록된 테이블의 예가 도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교정부호 및 관련된 교정 기능으로서, 일명 '사이붙이기', '사이띄기', '행바꾸기' 등이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rrection codes and related correction functions have been described with examples such as'insertion correction','alternative correction','tilt correction', and'paragraph alignment correction', but in addition, various correction codes and Related calibration functions can be set in various ways as needed. 14 shows an example of a table in which correction code information is recorded. For example, as a correction code and related correction functions, so-called'spacing','spacing','changing lines', and the like may be set.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 및 교정 동작이 전자펜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동작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현재에도 손가락 등을 이용한 필기 입력 동작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손가락을 이용한 필기 입력 동작시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handwriting input and correction ope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during a touch screen input operation using an electronic pen, but in addition, a handwriting input operation using a finger or the like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Needless to sa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when a handwriting input operation using is performed.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필기 입력 모드에서 필기 입력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교정 작업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문자 인식된 텍스트나 자판 입력 방식에 따라 입력된 텍스트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문서에서도 해당 문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필기 기반의 교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orr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handwriting is input in the handwriting input mode, but it is also applicable to various documents including text recognized as text or text input according to a keyboard input method. While displaying the document on the screen, it may be possible to perform the handwriting-based correctio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휴대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In addi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the form of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ny such software, for example, whether erasable or rewritable, may be a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device such as a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or a memory device such as a RAM, memory chip, device or integrated circuit Or, for example, it may be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able, such as a CD, DVD, magnetic disk or magnetic tape, and stored in a machine (eg,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memory that may b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an example of a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itable for storing program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including code for implementing the apparatus or method described in any claim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such a program.

Claims (14)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에 있어서,
필기 모드시에,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며, 미리 설정된 교정 모드 조작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교정 모드 조작이 있을 경우에, 교정 모드로 진입하여,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며, 필기 입력된 내용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를 확인하며, 해당 교정부호에 미리 설정된 편집 내용을 적용하여 필기 내용을 교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교정부호는 필기 내용들 중에서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문자열에 해당하는 부위의 기울기를 교정하는 것을 가리키는 ‘기울기 교정부호’를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 교정부호에 따른 교정 동작은,
필기 내용에서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하는 형태를 상기 기울기 교정부호로 인식하며, 상기 인식한 기울기 교정부호의 획을 가이드 라인으로 하여 상기 문자열의 전체 기울기가 가이드 라인의 근사 기울기에 맞추도록 각 문자들을 이동 및 회전 변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In the method of creating content through handwriting input on a touch screen,
In the handwriting mode,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handwriting input content according to the handwriting input detection and checking whether there is a preset correction mode operation, and
When there is a correction mode operation, it enters the correction mode, displays the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checks the preset correction code from the handwritten input contents, and applies the edited contents preset to the correction code. It includes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handwritten content,
The correction code includes a'tilt correction code' indicating correcting the inclination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st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among handwritten contents,
Corr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lope correction code,
In the handwritten content, the form of connecting a strin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haracters with a single line is recognized as the slope correction code, and the entire slope of the character string is approximation of the guide line using the stroke of the recognized slope correction code as a guide line. Content creation method through handwriting input,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and rotation of each character to match the inclin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모드로 진입하여 필기 내용을 교정하는 과정은,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필기 입력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들 중에서 매칭되는 교정부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한 교정부호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교정 기능 및 교정용 컨텐츠 내용에 따라 현재 필기 입력 내용을 교정하는 단계와,
상기 교정된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handwritten content by entering the proofing mode comprises:
Displaying handwriting input content according to detection of handwriting input;
Checking whether there is a matching correction code among preset correction codes in the handwriting input;
Correcting the current handwriting input content according to the correction function and contents for correction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checked correction code,
And displaying the corrected handwriting input cont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를 확인하는 것은,
교정모드 진입시에, 미리 설정된 초기 N개의 획을 교정부호로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checking the preset calibration code,
Content creation method through handwriting input, characterized in that when entering the correction mode, the initial N strokes set in advance are checked as correction cod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은 1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N is 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호는 내용 삽입을 가리키는 '삽입 교정부호'와, 내용 대체를 가리키는 '대체 교정부호'와, 문단 정렬을 가리키는 '문단 정렬 교정부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rrection cod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insertion correction code' indicating content insertion, a'replacement correction code' indicating content replacement, and a'paragraph alignment correction code' indicating paragraph alignment. Content creation method through handwriting input,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교정부호에 다른 교정 동작시, 삽입되는 교정 컨텐츠 내용의 크기 또는 기울기를 미리 입력된 필기 내용과 매칭되도록 상기 교정 컨텐츠 내용의 크기 또는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n case of a correction operation different from the insertion correction code, at least one of the size or slope of the correction content content is converted to match the size or slope of the inserted correction content content with the previously input handwriting content. How to write cont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교정부호에 다른 교정 동작시, 대체되는 교정 컨텐츠 내용의 크기 또는 기울기를 미리 입력된 필기 내용과 매칭되도록 상기 교정 컨텐츠 내용의 크기 또는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n case of a correction operation different from the replacement correction code, at least one of the size or slope of the correction content content is converted to match the size or slope of the replacement correction content content with the previously input handwriting content. How to write cont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들 중에서 매칭되는 교정부호가 있는지 여부의 확인시 확인된 교정부호 주변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교정영역을 설정하여 확대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The content creation method through handwriting input, characterized in that when checking whether there is a matching correction code among preset correction codes in the handwriting input, a preset area around the checked correction code is set and enlarged and displayed.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교정 모드 조작은, 필기 입력을 위한 화면에 미리 설정되는 메뉴바에서 교정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미리 마련된 메뉴 항목의 선택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wherein the preset correction mode operation is a selection of a menu item prepared in advance to enter the correction mode from a menu bar preset on a screen for handwriting input. How to write content through handwriting.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교정 모드 조작은, 전자펜의 조작 버튼의 입력 또는 전자펜의 조작 버튼의 입력 유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wherein the preset correction mode operation is input of an operation button of an electronic pen or an input maintenance of an operation button of the electronic pen.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에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저장 매체.
A machine-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on in the content creation method through handwriting input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제13항의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machine-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of claim 13.
KR1020140018525A 2013-02-22 2014-02-18 Contents creating method and apparatus by handwriting input with touch screen Active KR1022063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55898.1A EP2770443B1 (en) 2013-02-22 2014-02-20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tents through writing input on touch screen
US14/186,805 US9922014B2 (en) 2013-02-22 2014-02-21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tents through writing input on touch screen
CN201410163962.9A CN104850254A (en) 2013-02-22 2014-04-23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tents through writing input on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9338 2013-02-22
KR1020130019338 2013-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385A KR20140105385A (en) 2014-09-01
KR102206373B1 true KR102206373B1 (en) 2021-01-22

Family

ID=5136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525A Active KR102206373B1 (en) 2013-02-22 2014-02-18 Contents creating method and apparatus by handwriting input with touch scree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6373B1 (en)
CN (1) CN10400792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0443B1 (en) 2013-02-22 2023-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tents through writing input on touch screen
KR102393295B1 (en) * 2014-09-18 2022-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tyling a content
KR102253676B1 (en) * 2014-11-03 2021-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169648B2 (en) * 2015-01-28 2019-01-0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handwriting character
CN108008845A (en) * 2017-11-13 2018-05-08 上海雷塔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revision method that document is realized in electronic ink screen and electromagnetism notebook
CN108628455B (en) * 2018-05-14 2021-10-15 中北大学 Virtual sand painting drawing method based on touch screen gesture recognition
CN111142985A (en) * 2019-11-28 2020-05-12 南京艾凯特光电科技有限公司 Optical writing text out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17231A (en)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handwriting input thereof
KR20220086896A (en) 2020-12-17 2022-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handwriting inpu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WO2024195898A1 (en) * 2023-03-17 2024-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correcting stroke by using electronic p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438A (en) * 2000-10-27 2002-05-10 Sharp Corp Handwriting input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handwriting input program recorded thereon
JP2007316754A (en) * 2006-05-23 2007-12-06 Canon Inc Handwritten character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20080019591A1 (en) * 2006-07-19 2008-01-24 Fujitsu Limited Freehand input method, freehand input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0073185A (en) * 2008-09-16 2010-04-02 Sharp Corp Input apparatus,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7588A (en) * 1988-01-04 1989-05-09 Williams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turbine nozzle
US5481278A (en) * 1992-10-21 1996-01-02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408518B1 (en) * 2001-04-12 200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Pen input device and Measuring method of coordinate
US7382358B2 (en) * 2003-01-16 2008-06-03 Forword Inpu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stroke word-based text input
KR100823083B1 (en) * 2006-02-09 2008-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Document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ocument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CN101082836A (en) * 2007-06-29 2007-12-05 华中科技大学 Chinese characters input system integrating voice input and hand-written input function
EP2053497A1 (en) * 2007-10-26 2009-04-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Text selection using a touch sensitive screen of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1751174B (en) * 2008-12-12 2011-10-12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Writing pen obliquity correcting method
KR101623213B1 (en) * 2009-12-24 2016-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of pen
KR101180973B1 (en) * 2011-03-15 2012-09-07 주식회사 솔라리스 The writing apparatus with the touch pen function
US8094941B1 (en) * 2011-06-13 2012-01-10 Google Inc. Character recognition for overlapping textual user inpu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438A (en) * 2000-10-27 2002-05-10 Sharp Corp Handwriting input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handwriting input program recorded thereon
JP2007316754A (en) * 2006-05-23 2007-12-06 Canon Inc Handwritten character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20080019591A1 (en) * 2006-07-19 2008-01-24 Fujitsu Limited Freehand input method, freehand input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0073185A (en) * 2008-09-16 2010-04-02 Sharp Corp Input apparatus,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07925B (en) 2021-01-01
KR20140105385A (en) 2014-09-01
CN104007925A (en)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373B1 (en) Contents creating method and apparatus by handwriting input with touch screen
US99220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tents through writing input on touch screen
KR102184288B1 (en)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haptic effect with an input unit and method therefor
KR10217884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US9977497B2 (en)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set by a user in a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US9898186B2 (e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pen and handwriting input method using the same
KR102189787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creen and input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50068330A (en) A Device for operating according to pressure state of touch input and method thereof
KR102155836B1 (en)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objects display on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for
EP2770422A2 (en) Method for providing a feedback in response to a user input and a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EP2575009A2 (en) User interface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KR20140115836A (en)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haptic effect and method therefor
KR20130034765A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of mobile terminal using a pen
JP2019514097A (en) Method for inserting characters in a string and corresponding digital device
KR20140136356A (en) user terminal device and interaction method thereof
KR20160049455A (en)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by using a scroll bar and apparatus thereof
KR1021026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portable terminal
EP286361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display
US100194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electronic document in mobile terminal
KR1020730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memo in a user terminal
KR20150007577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bination
KR20160018269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55552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memo
JP7036862B2 (en) Electronics, control methods, and programs
KR101901234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of mobile terminal using a p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