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3091B1 -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091B1
KR102203091B1 KR1020200125815A KR20200125815A KR102203091B1 KR 102203091 B1 KR102203091 B1 KR 102203091B1 KR 1020200125815 A KR1020200125815 A KR 1020200125815A KR 20200125815 A KR20200125815 A KR 20200125815A KR 102203091 B1 KR102203091 B1 KR 102203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tape
cutters
cutting
adhesive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김세혁
김대혁
Original Assignee
김동수
김세혁
김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김세혁, 김대혁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200125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0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65H35/00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using movable cu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65H2301/515326Multip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테이프에 별도로 비접착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비닐테이프의 커팅 과정에 의해 자연스럽게 소정 폭의 비접착부가 형성될 수 있는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는, 내측에 롤 형태의 비닐테이프가 삽입되어 일단으로 상기 비닐테이프의 일단이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소정 크기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면서 인출되는 상기 비닐테이프의 일단을 절단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팅유닛은, 절단되는 상기 비닐테이프의 선단이 반으로 접어지도록 유도한 다음 절단하여 상기 비닐테이프의 선단이 서로 소정 폭 접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Vinyl Tape Cutting Device of Forming Non-Adhesive Area}
본 발명은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테이프를 접착 대상물에 접착시킨 다음 커팅할 때에 자연스럽게 커팅단에 비접착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필요시 접착 대상물에 부착된 비닐테이프를 쉽게 뗄 수 있도록 하는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 박스 등을 폐기할 때에는 박스에 부착된 비닐테이프를 제거하여 분리 수거해야 하고, 이 때문에 비닐테이프를 쉽게 떼고 붙일 수 있도록 비접착면이 구비된 비닐테이프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7-0000212호의 일정한 간격의 부분 비접착으로 되어진 탈착이 용이한 두루마리식 비닐테이프(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비닐테이프는 두루마리(롤) 비닐테이프 밑면에 접착면과 비접착면을 지관에 작업하여 이탈과 개봉이 편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비닐테이프는 테이프의 양단에 길이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접착면과 비접착면이 교대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기존의 제조 장치를 교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또한,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가격이 상승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접착 대상물에 접착된 비닐테이프의 길이를 따라 일단에 비접착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박스 등의 접착 대상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접착된 비닐테이프가 비접착부를 통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비닐테이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사용시 적절한 크기의 비접착부를 형성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20-2007-0000121 U (2007. 01. 25) KR 10-1563850 B1 (2015. 10. 21.) KR 10-1119996 B1 (2015. 10. 21.) KR 10-0530633 B1 (2005. 11. 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접착식 비닐테이프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닐테이프에 별도로 비접착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비닐테이프의 커팅 과정에 의해 자연스럽게 소정 폭의 비접착부가 형성될 수 있는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는, 내측에 롤 형태의 비닐테이프가 삽입되어 일단으로 상기 비닐테이프의 일단이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소정 크기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면서 인출되는 상기 비닐테이프의 일단을 절단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팅유닛은, 절단되는 상기 비닐테이프의 선단이 반으로 접어지도록 유도한 다음 절단하여 상기 비닐테이프의 선단이 서로 소정 폭 접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커팅유닛이 상기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2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2 커터에는, 서로 마주하는 일측면에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비닐테이프가 관통되어 인출되도록 하는 유도홈; 상기 유도홈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되어 관통되는 상기 비닐테이프를 절단하는 소정 폭의 커팅날을 포함하고, 상기 커팅유닛의 절단 동작시 상기 제1, 2 커터가 서로 마주하여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유도홈을 관통하여 인출되는 상기 비닐테이프가 반으로 접어진 다음, 서로 밀착되는 상기 커팅날을 통해 절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2 커터 사이에 서로 마주하여 밀착된 다음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제1 탄성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제1, 2 커터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2 커터가 서로 마주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누름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누름부재는 하부가 개방된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는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2 커터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비닐테이프를 접착 대상물에 부착시킨 다음, 절단할 때 제1, 2 커터가 서로 마주하여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비닐테이프가 반으로 접어지도록 유도된 다음 커팅날을 통해 절단되게 되므로, 별도로 절단된 비닐테이프의 선단을 소정 폭 접착시키지 않고도 비닐테이프의 선단이 소정 폭 서로 부착된 상태가 되고, 그 결과 접착 대상물에 부착된 비닐테이프를 제거할 때에는 비닐테이프의 선단을 잡고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 커터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a, b) 및 도 9(a, 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2 커터가 서로 마주하여 이동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재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재를 통해 제1, 2 커터가 동작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다른 커팅장치를 통해 비닐테이프의 선단에 접착단이 형성된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닐테이프에 별도로 비접착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비닐테이프의 커팅 과정에 의해 자연스럽게 소정 폭의 비접착부가 형성될 수 있는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고정구(20), 커팅유닛 및 누름부재(4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롤 형태의 비닐테이프(2)가 내측에 삽입되어 필요에 따라 비닐테이프(2)의 선단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고, 후술되는 고정구(20)와 커팅유닛 및 누름부재(40)가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본체(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롤 형상의 비닐테이프(2)가 끼움 고정되는 소정 지름의 장착대(11A)가 구비되는 테이프삽입부(11)와, 상기 테이프삽입부(11)의 일측에 위치되면서 장착대(11A)에 설치된 비닐테이프(2)의 일단이 인출되도록 상면과 일측면이 개방되는 소정 크기의 커터설치부(12)와, 상기 커터설치부(12)의 양측면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누름부재 설치부(13)를 포함한다.
이때 테이프삽입부(11)는 비닐테이프(2)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큰 지름을 가지는 원통 모양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장착대(11A)는 비닐테이프(2) 중앙의 종이심재(도면부호 없음)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게 형성된다.
또한, 커터설치부(12)는 비닐테이프(2)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커팅유닛의 제1, 2 커터(30A, 30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정 크기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이에 더해 누름부재 설치부(13)는 커터설치부(12)의 양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크기의 홈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누름부재(40)가 상하 승강 동작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누름부재 설치부(13)에는 커터설치부(12)의 측면을 관통하면서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공(13A)이 형성되고, 이러한 가이드공(13A)을 통해 후술되는 누름부재(40)의 가이드돌기(42A)가 삽입되어 상하 승강 동작이 안내되게 됨과 동시에 누름부재(40)가 누름부재 설치부(13) 상에 구속되도록 하여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고정구(20)는 테이프삽입부(11)의 장착대(11A)에 조립되어 비닐테이프(2)가 임의로 위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구(20)는 일단이 장착대(11A)의 내측에 억지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나사 결합되어 강건하게 고정되고, 이러한 고정구(20)의 일단에는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얇은 원판 모양의 플랜지(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되어 비닐테이프(2)의 측면이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커팅유닛은 본체(10)의 커터설치부(12)에 설치되어 본체(1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비닐테이프(2)를 절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커팅유닛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여 설치되는 제1, 2 커터(30A, 30B)로 이루어지고, 이때 제1, 2 커터(30A, 30B)는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커터본체(31)와, 상기 커터본체(31)의 상부 일측면(제1, 2 커터(30A, 30B)가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위치되어 서로 마주하여 수평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기(32)와, 상기 삽입돌기(32)에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삽입홈(33)과, 상기 커터본체(31)의 일측 가운데 부분을 따라 서로 마주하여 상하 수직으로 설치되는 소정 폭의 커팅날(34) 및 상기 커팅날(34)을 기준으로 양측에 소정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호 형상의 유도홈(35)을 포함한다.
이때 삽입돌기(32)와 삽입홈(33)은 제1, 2 커터(30A, 30B)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고, 이를 통해 제1, 2 커터(30A, 30B)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것에 의해 삽입돌기(32)가 삽입홈(33)에 삽입되면서 서로 밀착되거나 또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된다.
그리고 커터본체(31)의 일측 하부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삽입공(36)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36)에는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제1 탄성스프링(S1)의 일단이 삽입되며, 이에 의해 제1, 2 커터(30A, 30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밀착된 다음 제1 탄성스프링(S1)을 통해 당초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또한, 커터본체(31)의 타측면(삽입돌기(32)가 형성된 반대 측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이를 가지는 소정 폭의 가이드홈(31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31A)을 통해 후술되는 누름부재(40)의 경사돌기(43)가 소정 깊이 삽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2 커터(30A, 30B)는 도 8(a, b) 및 도 9(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후술되는 누름부재(4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고, 이에 의해 삽입돌기(32)와 삽입홈(33)에 삽입되면서 마주하는 일측면이 서로 밀착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2 커터(30A, 30B)가 서로 밀착되는 동안 유도홈(35)의 만곡진 면을 따라 비닐테이프(2)가 자연스럽게 반으로 접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커팅날(34)이 서로 밀착되게 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비닐테이프(2)가 절단되게 된다.
그 결과 비닐테이프(2)가 커팅날(34)에 의해 절단되게 됨과 동시에 절단된 선단 부분이 반으로 접어진채 서로 소정 폭 접착되어 자연스럽게 접착 대상물에 접착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누름부재(40)는 본체(10)의 누름부재 설치부(13)에 설치되어 커팅유닛의 제1, 2 커터(30A, 30B)를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누름부재(4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누름부(41)와, 일단이 상기 누름부(4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타단이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하향 돌출되는 한 쌍의 측면가이드부(42) 및 상기 한 쌍의 측면가이드부(42)의 일측면(제1, 2 커터(30A, 30B)와 마주하는 측면)과 상기 누름부(41)의 저면을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하는 소정 두께의 경사돌기(43)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하부가 개방된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측면가이드부(42)의 타측면(누름부재 설치부(13)와 마주하는 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가이드돌기(42A)가 돌출 형성되고, 이에 의해 누름부재 설치부(13)에 형성되는 가이드공(13A)에 삽입되어 누름부재(40)의 상하 방향으로의 승강 동작이 안내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측면가이드(42)의 저면에는 소정 지름의 삽입공(42B)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42B)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제2 탄성스프링(S2)의 일단이 삽입 설치된다.
이에 의해 누름부재(40)가 누름부재 설치부(13)에 설치되면, 제2 탄성스프링(S2)의 하단이 커터설치부(12)의 바닥에 닿으면서 누름부재(40)가 소정 높이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부(41)를 누르면 제2 탄성스프링(S2)이 압축되면서 누름부재(40)가 소정 높이로 하강되며, 이후 누름부(41)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제2 탄성스프링(S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누름부재(40)가 당초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한편, 경사돌기(43)는 제1, 2 커터(30A, 30B)의 가이드홈(31A)에 소정 깊이 삽입되어 누름부재(4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제1, 2 커터(30A, 30B)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전체적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진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부 일정 부분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돌기가 형성된 다음 상부 쪽만이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진 돌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일정 부분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부의 경사진 돌기 부분과 만곡지게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돌기(43)의 구성에 의해 누름부재(40)가 소정 높이로 하강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돌기(43)가 제1, 2 커터(30A, 30B)의 측면을 가압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제1, 2 커터(30A, 30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된다.
그리고 제1, 2 커터(30A, 30B)가 서로 밀착되는 것에 의해 제1, 2 커터(30A, 30B) 사이를 통과하는 비닐테이프(2)의 양측면이 유도홈(35)의 곡면을 따라 반으로 접어지도록 유도되고, 이에 의해 절단되는 소정 폭이 커팅날(34)에 의해 눌리면서 서로 접착된 다음 절단되게 되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테이프(2)의 선단에 소정 폭의 접착단(2A)이 형성되게 되며, 이에 의해 필요시 접착단(2A)을 이용하여 접착 대상물에 부착된 비닐테이프(2)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제1, 2 커터(30A, 30B)가 상부에 위치된 누름부재(40)의 승강 동작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누름부재(40)의 구성 대신, 제1, 2 커터(30A, 30B)를 사용자가 양측에서 직접 가압하여 제1, 2 커터(30A, 30B)를 슬라이딩 동작시키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2 커터(30A, 30B)에는 사용자가 양측에서 직접 누를 수 있도록 누름부재 설치부(13)를 관통하여 양측으로 소정 폭 돌출되는 누름돌기(도시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비닐테이프를 접착 대상물에 부착시킨 다음, 절단할 때 제1, 2 커터가 서로 마주하여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비닐테이프가 반으로 접어지도록 유도된 다음 커팅날을 통해 절단되게 되므로, 별도로 절단된 비닐테이프의 선단을 소정 폭 접착시키지 않고도 비닐테이프의 선단이 소정 폭 서로 부착된 상태가 되고, 그 결과 접착 대상물에 부착된 비닐테이프를 제거할 때에는 비닐테이프의 선단을 잡고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커팅장치 2: 비닐테이프
2A: 접착단 10: 본체
11: 테이프삽입부 11A: 장착대
12: 커터설치부 13: 누름부재 설치부
13A: 가이드공 20: 고정구
30A: 제1 커터 30B: 제1 커터
31: 커터본체 31A: 가이드홈
32: 삽입돌기 33: 삽입홈
34: 커팅날 35: 유도홈
36: 삽입공 40: 누름부재
41: 누름부 42: 측면가이드부
42A: 가이드돌기 42B: 삽입공
43: 경사돌기 S1: 제1 탄성스프링
S2: 제2 탄성스프링

Claims (5)

  1. 내측에 롤 형태의 비닐테이프(2)가 삽입되어 일단으로 상기 비닐테이프(2)의 일단이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소정 크기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설치되면서 인출되는 상기 비닐테이프(2)의 일단을 절단하는 커팅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커팅유닛은,
    절단되는 상기 비닐테이프(2)의 선단을 반으로 접어지도록 유도한 다음 절단하여 상기 비닐테이프(2)의 선단이 서로 소정 폭 접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설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2커터(30A, 3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2 커터(30A, 30B)에는,
    서로 마주하는 일측면에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비닐테이프(2)가 관통되어 인출되도록 하는 유도홈(35);
    상기 유도홈(35)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되어 관통되는 상기 비닐테이프(2)를 절단하는 소정 폭의 커팅날(34);
    을 포함하고,
    상기 커팅유닛의 절단 동작시 상기 제1, 2 커터(30A, 30B)가 서로 마주하여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유도홈(35)을 관통하여 인출되는 상기 비닐테이프(2)가 반으로 접어진 다음, 서로 밀착되는 상기 커팅날(34)을 통해 절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 커터(30A, 30B) 사이에는,
    서로 마주하여 밀착된 다음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제1 탄성스프링(S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2 커터(30A, 30B)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2 커터(30A, 30B)가 서로 마주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누름부재(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40)는,
    하부가 개방된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는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2 커터(30A, 30B)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돌기(4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
KR1020200125815A 2020-09-28 2020-09-28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 Active KR102203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815A KR102203091B1 (ko) 2020-09-28 2020-09-28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815A KR102203091B1 (ko) 2020-09-28 2020-09-28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091B1 true KR102203091B1 (ko) 2021-01-14

Family

ID=7414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815A Active KR102203091B1 (ko) 2020-09-28 2020-09-28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09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633B1 (ko) 2003-10-27 2005-11-22 선길섭 도장 작업용 커버
KR20070000121U (ko) 2006-12-27 2007-01-25 연재경 일정한 간격의 부분 비접착으로 되어진 탈착이 용이한두루마리식 비닐테이프
KR20090073899A (ko) *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속플레이트의 양방향 컬링장치
KR101119996B1 (ko) 2009-11-02 2012-03-16 (주)케이비어드히시브스 비점착부분을 포함하는 존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2831A (ko) * 2013-06-05 2014-12-15 김영문 롤 테이프 디스펜서
KR101563850B1 (ko) 2015-08-10 2015-10-27 주영희 도장용 부분 비점착 테이프
KR20200072749A (ko) * 2018-12-13 2020-06-23 김상진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633B1 (ko) 2003-10-27 2005-11-22 선길섭 도장 작업용 커버
KR20070000121U (ko) 2006-12-27 2007-01-25 연재경 일정한 간격의 부분 비접착으로 되어진 탈착이 용이한두루마리식 비닐테이프
KR20090073899A (ko) *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속플레이트의 양방향 컬링장치
KR101119996B1 (ko) 2009-11-02 2012-03-16 (주)케이비어드히시브스 비점착부분을 포함하는 존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2831A (ko) * 2013-06-05 2014-12-15 김영문 롤 테이프 디스펜서
KR101563850B1 (ko) 2015-08-10 2015-10-27 주영희 도장용 부분 비점착 테이프
KR20200072749A (ko) * 2018-12-13 2020-06-23 김상진 손잡이 형성용 접합유닛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3313A (en) Corner cutter
US7347132B2 (en) Sheet cutter
CN1062214C (zh) 机械装订文件的装置
JPH0749193B2 (ja) 果物、野菜などを薄切りにする装置
KR102203091B1 (ko) 비접착부 성형이 가능한 비닐테이프 커팅장치
US20030037657A1 (en) Puncher for decorative sheet
TWI245696B (en) Hole punch
CN106426323A (zh) 一种家具保护胶膜的剪裁器具
CN214081558U (zh) 一种账本夹具
JPH0461937A (ja) 簡易シュレッダ
KR101859490B1 (ko) 펀칭핀에 낀 칩 제거장치
CN210282548U (zh) 一种档案管理打孔装置
JPH07242092A (ja) 用紙綴り具
KR200473478Y1 (ko) 랩 포장기
WO2001012399A1 (fr) Dispositif de perforation
CN100528500C (zh) 穿孔用具
AU674356B2 (en) A paper binder
CN221716996U (zh) 一种传统艺术剪纸用裁剪装置
GB2252525A (en) Perforating and securing together sheets
CN212219705U (zh) 一种装订机打孔限位装置
CN209987607U (zh) 一种滑动式手动装订机
CN218875619U (zh) 一种档案打孔装置
JPS582632Y2 (ja) 書類保持用フアイル
JP5953772B2 (ja) 綴じ機
JP2703190B2 (ja) 刃板片引き抜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