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97888B1 - 무인 방범시스템 및 방범방법 - Google Patents

무인 방범시스템 및 방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888B1
KR102197888B1 KR1020190063185A KR20190063185A KR102197888B1 KR 102197888 B1 KR102197888 B1 KR 102197888B1 KR 1020190063185 A KR1020190063185 A KR 1020190063185A KR 20190063185 A KR20190063185 A KR 20190063185A KR 102197888 B1 KR102197888 B1 KR 102197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e
event
cctv
sig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215A (ko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용 filed Critical 이승용
Priority to KR102019006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88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8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soun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골목길, 공원, 학교앞 등에 설치되는 보안등주(1)에 설치되며 고유의 ID가 부여된 CCTV(3)를 포함하고, 상기 CCTV(3)는 지정된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2), 해당 영역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저장하기 위한 마이크(33), 제어부(35), 통신부(36) 및 범죄 이벤트의 영상과 음향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37)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32)는 지정된 영역에서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31)의 움직임 신호에 응답하여 지정된 영역을 촬영하고 마이크(33)에 의해 지정된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 정보를 수집한 정보로 부터 탑재된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부(38)에서 분석하여 범죄 모션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에 범죄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35)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35)에 의해 통신부(36)를 통해 방범서버(4)로 이벤트 발생시에 저장된 이벤트 영상과 음향 및 해당 CCTV(3)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범죄 이벤트 발생시에 스포트 라이트나 경보음을 발생하여 범죄 예방효과가 향상되고, 이벤트 발생 시간대에 인접 설치된 CCTV가 촬영하여 저장한 영상으로 범죄자를 추적하여 신속하게 검거할 수 있는 효과와, 신체 이상으로 쓰러진 이벤트 발생시에 신속한 구급조치를 받을 수 있게 하며, 쓰레기 불법 투기의 경우에 관할 구청으로 신고되어 불법 투기 근절 효과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인 방범시스템 및 방범방법{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무인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골목길에 설치된 CCTV에 의해 촬영된 모션들을 미리 설정된 모션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하고, 경보 신호를 발생하여 범죄 발생을 예방하고, 주변의 CCTV와 연계하여 범죄자를 신속하게 검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무인 방범시스템 및 방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목길에는 범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두운 골목길에서 납치, 추행과 같은 범죄가 발생되고 있고, 야간에 지정된 장소가 아닌 곳에서 쓰레기를 불법 투기하는 일이 자주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야간에 골목길에서 발생되는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자를 검거하기 위하여 영상 및 음성을 수집하는 다수의 CCTV를 골목길에 설치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대략 500만대의 CCTV가 설치되어 142미터 간격으로 55초에 한 번씩 주변 상황을 촬영하고 있다. 이처럼 다수 설치된 CCTV들이 촬영한 영상은 경찰서나 통합관제 센터와 같은 관제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범죄 발생시 범죄자 검거에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CCTV를 이용한 예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995569호(등록일자 2010년11월15일)에는 해당 지역의 범죄 발생 전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범 버튼을 포함하는 상황접수부; 상기 상황접수부의 정보에 반응하여 해당 지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상기 방범 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의 조준점을 상기 방범 버튼이 설치된 영역으로 변경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방범 서버 간의 신호를 서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접수된 영상 테이터를 방범 서버의 관리자가 모니터링한 후 용의자 정보표출이나 사고현장 영상표출 등 적절한 대응 영상을 해당 지역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예방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CCTV에 의한 범죄예방시스템에서는 주로 범죄발생시의 범죄자를 검거하기 위한 것으로, 범죄 예방과 함께, 예를들어 일반적인 쓰레기 불법투기와 건강상 이유에 의해 구급조치가 필요한 사건 발생에 대한 신속한 처리도 할 수 있고, 범죄자의 도주를 효과적으로 추적하여 범죄 검거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다 다양한 추가 기능이 요구되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995569호(등록일자 2010년11월1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골목길에 설치된 CCTV에 의해 촬영된 모션들을 미리 설정된 모션 알고리즘에 의해 폭행, 납치, 강도 등과 같은 범죄 발생시의 모션인지, 신체 이상으로 쓰러진 모션인지, 쓰레기 불법 투기 모션인지, 또한 쓰레기 불법 투기와 같이 모션인지 등을 판별하여 이벤트 발생 경보 신호를 발생하여 범죄 발생을 예방하고, 해당 이벤트의 관할 관청의 서버에 저장하고, 이벤트 발생 시간에서 주변에 설치된 CCTV에서 촬영된 영상들을 저장하여 범죄자의 도주로를 신속하게 추적하여 범죄자를 신속하게 검거할 수 있으며, 환자 발생시 구급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무인 방범시스템 및 그 방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인 방범시스템은, 골목길, 공원, 학교앞 등에 설치되는 보안등주에 설치되며 고유의 ID가 부여된 CCTV를 포함하고, 상기 CCTV는 지정된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해당 영역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저장하기 위한 마이크, 제어부, 통신부 및 범죄 이벤트의 영상과 음향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지정된 영역에서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의 움직임 신호에 응답하여 지정된 영역을 촬영하고 마이크에 의해 지정된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 정보를 수집한 정보로부터 탑재된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부에서 분석하여 범죄 모션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에 범죄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통신부를 통해 방범서버로 이벤트 발생시에 저장된 이벤트 영상과 음향 및 해당 CCTV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석부로부터 범죄 이벤트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는 경보 신호 발생장치의 스포트라이트를 점등시켜 주변을 밝게 하고,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가 범죄 이벤트를 촬영한 시점에, 상기 카메라의 CCTV에 인접하여 설치된 다른 CCTV들에 범죄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고, 그 범죄 이벤트 신호에 응답하여 주변의 CCTV들에서는 카메라들에서 촬영한 영상 자체에서 범죄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았더라도 음향 정보와 함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해당 CCTV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되어 범죄자의 도주 경로를 추적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인 방범시스템에 의한 무인 방범방법으로서, 골목길, 공원, 학교 앞 등에 설치되는 보안등주에 설치되며 고유의 ID가 부여된 CCTV, 지정된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해당 영역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저장하기 위한 마이크, 제어부, 통신부 및 범죄 이벤트의 영상과 음향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무인 방범시스템에서,
상기 CCTV가 설치된 영역에서 움직임을 감지센서가 포착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S1),
CCTV의 제어부에 의해 카메라가 지정된 영역을 촬영하고 마이크에서 음향 정보를 얻는 단계(S2),
촬영된 영상과 음향 정보를 분석부에서 모션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범죄 모션이나 관련 음향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범죄 모션이나 음향 정보가 있는 경우 범죄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로 발생하는 단계(S3),
상기 단계(S3)에서 범죄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32)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음향 정보와 함께 이벤트 발생 신호를 방범 서버(4)로 제공하는 무인 방범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S3)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범죄 이벤트인 경우나 불법 투기로 분석부에서 분석된 경우에는, 이벤트 발생신호를 받은 제어부(35)는 경보 신호 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S3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S31)에서 경보 신호 발생장치는 스포트라이트를 점등시켜 주변을 밝게 하고 경보음을 발생하여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끌고 범죄자의 인상착의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게 하여 범죄 발생을 예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계(S3)에서, 제어부는 카메라가 범죄 이벤트를 촬영한 시점에, 상기 카메라의 CCTV에 인접하여 설치된 다른 CCTV들에 범죄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S4)와,
그 범죄 이벤트 신호에 응답하여 주변의 CCTV들에서는 해당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한 감지센서의 신호에 응답하여 카메라들에서 촬영한 영상 자체에서는 범죄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았더라도 음향 정보와 함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해당 CCTV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S41)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계(S3)에서, 추출된 윤곽의 한 객체가 다른 객체에 접촉되고 다른 객체의 높이가 낮아져, 즉 지면에 쓰러져 범죄 모션으로 분석부가 판단하거나 긴급 구조를 요청하는 음향 정보가 있는 것으로 분석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방범서버로서 관할 경찰서 서버로 범죄 이벤트 발생 신호와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계(S3)에서, 분석부가 하나의 객체가 지면에 쓰러져 일어나지 못하는 경우에는 긴급 구급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방범서버로서 응급의료센터 서버로 이벤트 발생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단계(S3)에서, 단순히 하나의 객체에서 다른 객체가 분리되어 지면에 떨어지는 경우에는 불법 투기가 발생된 것으로 분석부가 판단하여 방범서버로서 관할 구청 서버로 이벤트 발생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인 방범시스템은, CCTV에 의해 촬영된 모션들을 모션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폭행, 납치, 강도 등과 같은 범죄 발생시의 모션인 경우 스포트 라이트나 경보음을 발생하여 범죄 예방효과가 향상되고, 이벤트 발생 시간대에 인접 설치된 CCTV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게 하여 범죄자의 도주로를 신속하게 추적하여 범죄자를 신속하게 검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신체 이상으로 쓰러진 이벤트 발생시에 신속한 구급조치를 받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고, 쓰레기 불법 투기의 경우에 관할 구청으로 증거와 함께 신고되어 불법 투기 근절 효과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인 방범시스템의 설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무인 방범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무인 방범시스템의 CCTV들에 의해 범죄자의 도주로를 추적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 방범시스템에 의한 무인 방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무인 방범시스템은, 골목길에 설치되는 보안등주(1)들 각각에 보안등(2)과 함께 설치되는 CCTV(3)를 포함한다. 상기 CCTV(3)는 고유의 ID가 부여되며, ID에는 위치 정보가 매칭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CCTV는 골목길의 보안등주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골목길 외에도 공원이나 학교나 유치원 앞, 기타 인적이 드문 곳에 CCTV가 단독으로 등주나 건물에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CCTV(3)는 지정된 영역에서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31), 상기 감지센서(31)의 움직임 신호에 응답하여 지정된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2), 해당 영역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저장하기 위한 마이크(33), 경보 신호 발생장치(34), 제어부(35), 통신부(36) 및 범죄 이벤트의 영상과 음향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37),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과 음향 정보를 탑재된 모션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하는 분석부(38)를 포함한다.
상기 CCTV(3)는 상기 분석부(38)에서 분석한 영상과 음향 정보로 부터 범죄 모션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에 범죄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35)로 전송하고, 그 제어부(35)의 제어하에 통신부(36)를 통해 방범서버(4)로 이벤트 발생시에 저장된 이벤트 영상과 음향 및 해당 CCTV(3)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영상과 음향 분석부(38)는 모션 알고리즘을 내장하며, 상기 모션 알고리즘은 기존의 폭행, 납치, 강도 등과 같은 범죄 영상들에서 모션들을 분석 및 학습하여 카메라(32)에서 찍힌 스냅 영상들로 부터 객체의 윤곽선을 추출하고 그 윤곽선의 변화로 부터 폭행, 납치, 강도 등과 같은 범죄 모션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한다.
폭력 및 범죄현장의 움직임을 윤곽선 추출방식으로 확보하되, 피사체 전체 영상의 윤곽선 또는 머리 등 피사체의 특정 부위의 윤곽을 추출한 후, 그 윤곽선이 차지하는 면적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영상을 분석하여 범죄 모션 유무를 판단한다. 영상에서 사람 또는 사람의 특정 부위의 윤곽선을 잡아내는 기술은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이와 함께 상기 분석부(38)에서는 지정된 영역에서 발생되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향 정보를 분석하여, 범죄와 관련된 음향인지를 분석하여 범죄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한 윤곽선 추출방식에 의한 범죄 모션분석 알고리즘의 예로서, 기존의 영상들로부터 피사체의 윤곽선을 추출하며, 추출된 윤곽선이 두 개의 객체들을 나타내고 그 두 개의 객체들 사이의 접촉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윤곽선 객체가 비정상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폭행과 같은 범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학습한다.
그리고 추출된 윤곽선에 의한 객체들의 접촉이 없었던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윤곽선 객체가 비정상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변화가 있으면 보행중 뇌졸증, 심장마비 발생과 같은 신체의 이상에 의해 보행자가 갑자기 쓰러져 긴급한 구급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학습한다.
또한, 다른 예로서, 추출된 윤곽선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서 다른 객체가 분리되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쓰레기의 투기로 판단토록 학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션분석 알고리즘은 기존 범죄 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음향 신호, 예를들어 비명이나 욕, "살려주세요"와 같은 긴급 구조 음성들에 대한 범죄 이벤트 데이타로부터, 마이크(33)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가 미리 설정된 범죄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3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나 음향으로 부터 분석부(38)의 모션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되어 범죄 이벤트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해당 촬영 영상과 음향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35)의 제어하에 통신부(36)를 통해 방범서버(4)로 이벤트 발생 신호와 함께 이벤트 영상/음향 정보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는 범죄 이벤트 신호가 입력될 때,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에 설치된 CCTV(3',3",3'")들에 범죄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며, 이때 범죄 이벤트 신호를 받은 주변의 CCTV(3',3",3'")들에서는 해당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한 감지센서의 신호에 응답하여 카메라(32',32",32'")들에서 촬영한 영상 자체에서는 범죄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았더라도 음향 정보와 함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해당 CCTV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35)에서는 경보 신호 발생장치(34)를 구동하여 스포트라이트를 점등시키고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여 주위의 시선을 끌어 범죄발생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여 범죄 발생을 예방하도록 한다.
상기 방범서버(4)는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경찰서 서버(41), 응급의료센터 서버(42), 및 불법 쓰레기 투기 단속 관할 구청 서버(4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무인 방범시스템에 의한 범죄 발생 방지, 불법 투기 행위 방지 및 긴급 구급 조치를 위한 무인 방범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의 CCTV(3)가 설치된 영역에서 움직임을 감지센서(31)가 포착하여 신호를 발생하면(단계 S1), CCTV(3)의 제어부(35)에 의해 카메라(32)가 지정된 영역을 촬영하고 마이크에서 음향 정보를 얻는다(단계 S2), 촬영된 영상과 음향 정보를 분석부(38)에서 모션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범죄 모션이나 음향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범죄 모션이나 음향 정보가 있는 경우 범죄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35)로 발생한다(단계 S3).
상기 단계(S3)에서 이벤트 발생 신호가 제어부(35)로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35)는 카메라(32)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음향 정보를 이벤트 발생 신호와 함께 방범 서버(4)로 제공한다.
상기 단계(S3)에서 분석부(38)에서는, 예를들어 추출된 윤곽의 한 객체가 다른 객체에 접촉되고 다른 객체의 높이가 낮아져, 즉 지면에 쓸어져 범죄 모션으로 판단되거나 긴급 구조를 요청하는 음향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에 의해 방범서버(4)로서 관할 경찰서 서버(41)로 이벤트 발생 신호와 정보가 제공된다(단계 S31).
대신에, 단계(S3)에서 분석부(38)가 하나의 객체가 지면에 쓰러져 일어나지 못하는 경우에는 긴급 구급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방범서버(4)로서 응급의료센터 서버(42)로 이벤트 발생신호가 출력되며(단계 S32), 단순히 하나의 객체에서 다른 객체가 분리되어 지면에 떨어지는 경우에는 불법 투기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관할 구청 서버(43)로 이벤트 발생신호가 출력된다(단계 S33). 필요에 따라서는 경찰서 서버와 응급의료센터 서버 두 곳으로 동시에 이벤트 신호가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S3)에서, 상기 카메라(3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범죄 이벤트인 경우나 불법 투기 또는 긴급 구조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부(38)에서 분석된 경우에는, 이벤트 발생신호를 받은 제어부(35)에 의해 경보 신호 발생장치(34)가 작동되며(단계 S311, S321, S331), 상기 경보 신호 발생장치(34)는 스포트라이트를 점등시키고 경보음을 발생하여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끌게 하여 범죄 행위 또는 불법 투기 행위를 중지되게 하여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긴급 구조가 필요한 경우에는 주변 사람들에 의해 할 수 있는 긴급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어느 한 CCTV(3)의 카메라(32)에서 촬영한 영상이 범죄 이벤트인 경우에는, 그 범죄자를 검거하기 위하여 범죄자가 도주하는 경로를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35)는 카메라(32)가 범죄 이벤트를 촬영한 시점에, 상기 카메라의 CCTV(3)에 인접하여 설치된 다른 CCTV(3',3",3'")들에 범죄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고(단계 S4), 그 범죄 이벤트 신호에 응답하여 주변의 CCTV(3',3",3'")들에서는 해당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한 감지센서의 신호에 응답하여 카메라(32',32",32'")들에서 촬영한 영상 자체에서는 범죄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았더라도 음향 정보와 함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해당 CCTV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한다(단계 S41).
범죄 이벤트 발생신호가 관할 경찰서 서버(41)에 입력되면, 모니터링 요원은 입력된 이벤트 발생신호와 함께 제공되는 해당 CCTV(3)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보고 범죄 발생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하고, 범죄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주변에서 순회하는 순찰차에 범죄 발생을 알리고 해당 위치로 출동하도록 한다(단계 S5).
이때, 범죄 이벤트 신호를 발생한 CCTV(3)에 대한 위치는 상기 범죄 이벤트 신호와 함게 발생된 고유의 ID에 매칭되는 위치 정보로 부터 쉽게 알 수 있으며, 해당 범죄 이벤트 영상과 함께, 인접한 CCTV(3',3",3'")들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 정보들에서 전술한 윤곽선 추출방식으로 범죄자 윤곽과 유사한 윤곽을 검색하여 범죄자의 도주로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죄자를 신속하게 검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불법 투기가 발생된 경우에도 상기한 범죄 이벤트 발생시 범죄자를 주변의 CCTV(3',3",3'")들에 의해 추적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불법 투기자를 색출하여 합당한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무인 방범시스템에서 영상에서 범죄 모션을 추출하는 방법은 기존의 윤곽선 추출방법을 포함하여 다른 방법도 이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골목길이나 공원 등과 같은 곳에 설치되는 보안등에 CCTV를 설치하여 범죄나 긴급한 구급조치가 필요한 경우 또는 불법 투기와 같은 행위들을 적발하고 예방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1 : 보안등주 2 : 보안등
3, 3',3",3'" : CCTV 4 : 방범서버
31 : 감지센서 32 : 카메라
33 : 마이크 34 : 경보 신호 발생장치
35 : 제어부 36 : 통신부
37 : 메모리부 38 : 분석부
41 : 경찰서 서버 42 : 응급의료센터 서버
43 : 관할 구청 서버

Claims (8)

  1. 골목길, 공원, 학교앞 등에 설치되는 보안등주(1)에 설치되며 고유의 ID가 부여된 CCTV(3)를 포함하고, 상기 CCTV(3)는 지정된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2), 해당 영역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저장하기 위한 마이크(33), 제어부(35), 통신부(36) 및 범죄 이벤트의 영상과 음향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37)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32)는 지정된 영역에서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31)의 움직임 신호에 응답하여 지정된 영역을 촬영하고 마이크(33)에 의해 지정된 영역에서 발생된 음향 정보를 수집한 정보로부터 탑재된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부(38)에서 분석하여 범죄 모션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에 범죄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35)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35)에 의해 통신부(36)를 통해 방범서버(4)로 이벤트 발생시에 저장된 이벤트 영상과 음향 및 해당 CCTV(3)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분석부(38)는 영상들로부터 피사체의 윤곽선을 추출하며, 추출된 윤곽선이 두 개의 객체들을 나타내고 그 두 개의 객체들 사이의 접촉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윤곽선 객체가 비정상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폭행 범죄가 발생한 것으로 학습하며,
    상기 제어부(35)는 카메라(32)가 범죄 이벤트를 촬영한 시점에, 상기 카메라의 CCTV(3)에 인접하여 설치된 다른 CCTV(3',3",3'")들에 범죄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고, 그 범죄 이벤트 신호에 응답하여 주변의 CCTV(3',3",3'")들에서는 카메라(32',32",32'")들에서 촬영한 영상 자체에서 범죄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았더라도 음향 정보와 함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해당 CCTV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되어 범죄자의 도주 경로를 추적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범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38)로 부터 범죄 이벤트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35)는 경보 신호 발생장치(34)의 스포트라이트를 점등하고,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범시스템.
  3. 삭제
  4. 골목길, 공원, 학교앞 등에 설치되는 보안등주(1)에 설치되며 고유의 ID가 부여된 CCTV(3), 지정된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2), 해당 영역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저장하기 위한 마이크(33), 제어부(35), 통신부(36) 및 범죄 이벤트의 영상과 음향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37)를 포함하는 무인 방범시스템에서,
    상기 CCTV(3)가 설치된 영역에서 움직임을 감지센서(31)가 포착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S1),
    CCTV(3)의 제어부(35)에 의해 카메라(32)가 지정된 영역을 촬영하고 마이크에서 음향 정보를 얻는 단계(S2),
    촬영된 영상과 음향 정보를 분석부(38)에서 모션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범죄 모션이나 관련 음향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범죄 모션이나 음향 정보가 있는 경우 범죄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35)로 발생하는 단계(S3),
    상기 단계(S3)에서 범죄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35)는 카메라(32)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음향 정보와 함께 이벤트 발생 신호를 방범 서버(4)로 제공하는 무인 방범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S3)에서, 상기 카메라(3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범죄 이벤트인 경우나 불법 투기로 분석부(38)에서 분석된 경우에는, 이벤트 발생신호를 받은 제어부(35)는 경보 신호 발생장치(34)를 작동시키는 단계(S3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S31)에서 경보 신호 발생장치(34)는 스포트라이트를 점등시키고 경보음을 발생하여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끌게 하여 범죄 발생을 예방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S3)에서, 제어부(35)는 카메라(32)가 범죄 이벤트를 촬영한 시점에, 상기 카메라의 CCTV(3)에 인접하여 설치된 다른 CCTV(3',3",3'")들에 범죄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S4)와,
    그 범죄 이벤트 신호에 응답하여 주변의 CCTV(3',3",3'")들에서는 해당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한 감지센서의 신호에 응답하여 카메라(32',32",32'")들에서 촬영한 영상 자체에서는 범죄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았더라도 음향 정보와 함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해당 CCTV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S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S3)에서, 분석부(38)가 추출된 윤곽의 한 객체가 다른 객체에 접촉되고 다른 객체의 높이가 낮아지면 범죄 모션으로 판단하거나 긴급 구조를 요청하는 음향 정보가 있는 것으로 분석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35)는 방범서버(4)로서 관할 경찰서 서버(41)로 범죄 이벤트 발생 신호와 정보를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범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에서, 분석부(38)가 하나의 객체가 지면에 쓰러져 일어나지 못하는 경우에는 긴급 구급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방범서버(4)로서 응급의료센터 서버(42)로 이벤트 발생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범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에서, 분석부(38)가 단순히 하나의 객체에서 다른 객체가 분리되어 지면에 떨어지는 경우에는 불법 투기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방범서버(4)로서 관할 구청 서버(43)로 이벤트 발생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범방법.
KR1020190063185A 2019-05-29 2019-05-29 무인 방범시스템 및 방범방법 Active KR102197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185A KR102197888B1 (ko) 2019-05-29 2019-05-29 무인 방범시스템 및 방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185A KR102197888B1 (ko) 2019-05-29 2019-05-29 무인 방범시스템 및 방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215A KR20200137215A (ko) 2020-12-09
KR102197888B1 true KR102197888B1 (ko) 2021-01-04

Family

ID=7378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185A Active KR102197888B1 (ko) 2019-05-29 2019-05-29 무인 방범시스템 및 방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8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250A (ko) 2021-03-16 2022-09-23 이후동 Ai기반의 드론과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 무인 방범 시스템
KR20250082451A (ko) 2023-11-30 2025-06-09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드론스테이션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안취약지구 감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21620A (ja) * 2022-02-21 2023-08-31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検知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614B1 (ko) * 2014-07-11 2015-01-26 주식회사 다누시스 모션감지를 이용한 실외 방범 장치
KR101841882B1 (ko) * 2017-10-12 2018-05-04 유가현 무인방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569B1 (ko) 2010-03-24 2010-11-19 주식회사 시큐인포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8648A (ko) * 2016-05-12 2017-11-23 주식회사 협성엠티 쓰레기 무단투기 감시장치
KR20190054593A (ko) * 2017-11-14 2019-05-22 전자부품연구원 다중 cctv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614B1 (ko) * 2014-07-11 2015-01-26 주식회사 다누시스 모션감지를 이용한 실외 방범 장치
KR101841882B1 (ko) * 2017-10-12 2018-05-04 유가현 무인방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250A (ko) 2021-03-16 2022-09-23 이후동 Ai기반의 드론과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 무인 방범 시스템
KR20250082451A (ko) 2023-11-30 2025-06-09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드론스테이션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안취약지구 감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215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888B1 (ko) 무인 방범시스템 및 방범방법
KR101872313B1 (ko) 적외선 카메라와 객체 추적이 가능한 성범죄자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는 지능형 비상벨 시스템
KR101610026B1 (ko) 하이브리드형 방범용 가로등시스템
KR101543542B1 (ko) 지능형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방법
KR101602753B1 (ko) 음성인식 비상 호출 시스템
CN109326073A (zh) 一种基于多点定位的无线传感器网络安防监控系统
KR20100106049A (ko) 방범시스템
KR101467352B1 (ko) 위치기반 통합관제시스템
KR101326707B1 (ko) 방범 및 차량번호인식 일체형 카메라 시스템
KR101442669B1 (ko) 지능형 객체감지를 통한 범죄행위 판별방법 및 그 장치
JP2014194686A (ja) 防犯システム
KR101903615B1 (ko) 영상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
KR101483614B1 (ko) 모션감지를 이용한 실외 방범 장치
KR101615824B1 (ko) 위급상황 cctv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108789A (ko) 영상 감시 장치 및 영상 감시 방법
KR101874630B1 (ko)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KR20230087008A (ko) 스마트 폴을 이용한 위험상황 정보 처리장치
KR102156241B1 (ko) 안전 블록을 구비한 위험상황 알림 시스템
KR20140076184A (ko) 차량 및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스쿨존 방범장치
KR101314721B1 (ko) 방범 시스템
KR20170064918A (ko) 비콘과 스마트cctv를 이용한 전자수갑착용 범법자 도주방지시스템 및 도주자 위치추적 및 영상감시시스템
KR101131469B1 (ko) 지역방범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102410061B1 (ko) 자동 위급상황 알림 기능을 갖는 보안등
CN113920665A (zh) 包含安防设备的安防管理方法及系统
JP4875313B2 (ja) 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