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229B1 - Device for fixing the torsion spring of cargo screen - Google Patents
Device for fixing the torsion spring of cargo scre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7229B1 KR102197229B1 KR1020200055715A KR20200055715A KR102197229B1 KR 102197229 B1 KR102197229 B1 KR 102197229B1 KR 1020200055715 A KR1020200055715 A KR 1020200055715A KR 20200055715 A KR20200055715 A KR 20200055715A KR 102197229 B1 KR102197229 B1 KR 1021972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rsion spring
- cover
- case
- clasp
- exten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16F1/16—Attachments or moun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ing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의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는, 카고 스크린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 상기 토션 스프링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는 스프링바; 및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결합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바가 상기 절개부와 대응되는 곳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은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프링바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A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for a cargo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orsion spring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cargo screen; A case accommodating the torsion spring and having at least one cutout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 spring ba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orsion spring and positioned inside the case; And a clip including a ring portion whose one side is open so as to be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nd an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inwardly of the ring portion, wherein the spring bar is position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utout portion, the clip It is possible to limit the position of the spring bar by being coupled to the case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Description
아래의 실시 예는 카고 스크린의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 relates to a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of a cargo screen.
SUV, 픽업트럭, 스테이션 왜건 등의 차량은 후미에 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러기지 룸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차량의 러기지 룸은 차량의 실내와 연결된 구조로서, 차량의 후방 창문 등을 통해 적재된 화물 등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적재된 화물 등이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으며 화물 도난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적재된 화물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러기지 룸을 가려주는 카고 스크린이 이용되고 있다.For vehicles such as SUVs, pickup trucks, and station wagons, luggage rooms are provided in the rear so that cargo can be loaded. The luggage room of such a vehicle i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cargo, etc. loaded through the rear window of the vehicl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f the loaded cargo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risk of privacy invasion and the risk of cargo theft increases. Accordingly, a cargo screen is used to cover the luggage room so that the loaded cargo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카고 스크린은 토션 스프링을 이용해 복원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은 하우징 내에서 고정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스크린바를 홀딩캡에 강제끼움 결합하여 토션 스프링을 고정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었다. 다만, 이러한 강제끼움 결합 방식은 조립성이 어려우며, A/S에 취약한 구조라는 점에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강제끼움 결합 방식의 고정 장치가 정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스크린바 빠짐 현상이 발생하여 작동 불량 및 주행시 떨림으로 인한 소음 발생 등의 품질 문제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조립성이 용이하면서 A/S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In general, the cargo screen has a structure that is restored using a torsion spring. The torsion spring needs to be fixed in the housing, but conventionally, a method of fixing the torsion spring by forcibly fitting the screen bar to the holding cap has been used. However, this forced-fitting coupling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assemble and is a structure that is vulnerable to A/S. In addition, when the fixing device of the force-fitting coupling method is out of the correct position, the screen bar is removed, causing quality problems such as poor operation and noise due to shaking during driving.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easy to A/S.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possessed or acquired by the inventor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disclosure cont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s not necessarily known as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present application.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조립성이 향상된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with improved assembly.
일 실시 예의 목적은, A/S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토션 스프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torsion spr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A/S.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토션 스프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torsion spr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weight and cost.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의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는, 카고 스크린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 상기 토션 스프링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는 스프링바; 및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결합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바가 상기 절개부와 대응되는 곳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은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프링바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A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for a cargo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orsion spring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cargo screen; A case accommodating the torsion spring and having at least one cutout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 spring ba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orsion spring and positioned inside the case; And a clip including a ring portion whose one side is open so as to be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nd an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inwardly of the ring portion, wherein the spring bar is position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utout portion, the clip It is possible to limit the position of the spring bar by being coupled to the case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상기 스프링바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ring bar may include a body portion and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상기 클립이 상기 케이스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부와 접촉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의 회전력을 지지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clip is coupled with the case, the protrusion may contact the insertion part to suppor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orsion spring.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은 상기 바디부의 중심에서 편심될 수 있다.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protrudes may be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art.
상기 돌출부의 일면은 상기 바디부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may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body part.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리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may be formed by bending inward from the ring portion.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리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상기 고리부를 향하여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이 상기 케이스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일면은 상기 제1절곡부와 접촉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의 회전력을 지지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may include a first bent part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ring part; And a second bent part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bent part toward the ring part, and when the clip is coupled to the case,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par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ent part, and the torsion spring Can support the rotational force of
상기 스프링바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대응되는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pring bar may further include a hea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may have a radius corresponding to a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to an end portion of the protrusion portion.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서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연장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걸쇠부; 및 상기 걸쇠부의 단부에 상기 걸쇠부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되는 걸쇠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and to which the torsion spring is connected, the connection part comprising: an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A clasp protruding from the extension part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extension part; And a clasp head portion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clasp portion to have a larger radius than that of the clasp portion.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는 커버 바디; 상기 커버 바디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연장되는 커버 연장부; 상기 커버 연장부에서 상기 커버 연장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커버 걸쇠부; 및 상기 커버 걸쇠부의 단부에 상기 커버 걸쇠부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되는 커버 걸쇠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ov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se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wherein the cover includes: a cover bod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se; A cover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cover body to the inside of the case; A cover clasp protruding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ver extension from the cover extension; And a cover clasp head portion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cover clasp portion to have a larger radius than that of the cover clasp portion.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는, 클립 결합 구조를 가짐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되고, A/S가 용이해질 수 있다.The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 clip coupling structure, thereby improving assembleability and facilitating A/S.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는, 감소된 부품 수를 가짐으로써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The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can reduce weight and cost by having a reduced number of parts.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일시 예에 따른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의 부분 사시도로서, 스프링바 및 클립의 형상을 도시하기 위해 케이스를 제외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의 부분 사시도로서, 커버에 대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go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temporary example, illustrating the shape of a spring bar and a clip, excluding a cas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2.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view of a cover.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to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descriptions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go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카고 스크린은 차량의 적재 공간을 가리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카고 스크린의 하우징에 스크린이 권취되어 보관되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스크린을 당겨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이 완료되면, 스크린은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토션 스프링에 의하여 복원력을 제공받고, 하우징 내부로 다시 권취되면서 보관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은 이하에서 서술되는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는,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argo screen may be used to cover a loading space of a vehicle. The screen is wound and stored in the housing of the cargo screen, and the user can use it by pulling the screen as needed. When the use is complete, the screen is provided with a restoring force by a torsion spring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can be stored while being wound back into the housing. The torsion spring may be fixed inside the housing by means of a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described below. The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1.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일시 예에 따른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의 부분 사시도로서, 스프링바 및 클립의 형상을 도시하기 위해 케이스를 제외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의 부분 사시도로서, 커버에 대한 도면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temporary example, illustrating the shape of a spring bar and a clip, excluding a cas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2.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view of a cover.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1)는 카고 스크린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1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1)는 토션 스프링(11), 케이스(12), 커버(13), 스프링바(14) 및 클립(15)을 포함할 수 있다.2 to 5, the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ix the position of the
토션 스프링(11)은 스크린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토션 스프링(11)은, 스크린이 당겨진 후에 하우징 내부로 다시 권취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11)은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토션 스프링(11)은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고리(1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케이스(12)는 토션 스프링(11)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토션 스프링(11)은 케이스(1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2)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2)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12)는 절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121)는 케이스(12)의 외주면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방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절개부(121)는 케이스(12)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부(121)는 3개 형성되고, 서로 등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절개부(121)에는 후술하는 클립(15)의 삽입부(152)가 삽입될 수 있다. 절개부(121)는 삽입부(1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52)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부(121)는 케이스(12)의 외주면을 따라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21)가 형성되는 위치는 토션 스프링(11)의 길이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부(121)는 카고 스프린의 하우징을 기준으로 중앙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2 and 4, the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13)는 케이스(12)의 일측 및/또는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13)는 케이스(12)의 양측에 연결되어, 케이스(12)를 지지할 수 있다. 케이스(12)의 일측에 연결되는 커버(13)에는 스프링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1 and 5, the
커버(13)는 커버 바디(131), 커버 연장부(132), 커버 걸쇠부(133) 및 커버 걸쇠헤드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커버 바디(131)는 커버(13)의 몸체를 의미할 수 있다. 커버 바디(131)는 케이스(12)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 연장부(132)는 커버 바디(131)에서 케이스(12)의 내부로 연장할 수 있다. 커버 연장부(132)는 케이스(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커버 바디(131)와 케이스(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 연장부(132)는 케이스(1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커버 걸쇠부(133)는 커버 연장부(132)에서 커버 연장부(13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즉, 커버 걸쇠부(133)의 돌출 방향은 커버 연장부(13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할 수 있다. 커버 걸쇠헤드부(134)는 커버 걸쇠부(133)의 단부에 커버 걸쇠부(133)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11)의 타측에 형성되는 결합고리(111b)는 커버 걸쇠부(133)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 걸쇠헤드부(134)는 결합고리(111b)가 커버 걸쇠부(133)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프링바(14)는 토션 스프링(11)의 일측에 연결되고, 케이스(1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스프링바(14)는 토션 스프링(11)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토션 스프링(11)은 일측이 커버(13)에 연결되고 타측이 스프링바(14)에 연결되어, 케이스(1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2 to 4, the
스프링바(14)는 바디부(141), 돌출부(142), 헤드부(143) 및 연결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바디부(141)는 스프링바(14)의 몸체를 구성할 수 있다. 바디부(141)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돌출부(142)는 바디부(141)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42)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42)는 3개 형성되고, 서로 등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2개의 돌출부(142) 사이에는 삽입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한 2개의 돌출부(142)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 공간에는 클립(15)의 삽입부(152)가 삽입될 수 있다.The
돌출부(142)가 돌출되는 방향은 바디부(141)의 중심에서 편심될 수 있다. 즉, 도 4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돌출부(142)가 바디부(141)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의 연장선은, 바디부(141)의 중심점을 지나지 않을 수 있다. 동시에, 돌출부(142)는 일면(142a)이 바디부(141)의 중심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42)는 일면(142a)의 연장 평면 상에 바디부(141)의 중심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헤드부(143)는 바디부(14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43)는 바디부(141)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부(142)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대응되는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헤드부(143)는 인접한 2개의 돌출부(142)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 공간의 일측을 폐쇄시킬 수 있다.The
연결부(144)는 바디부(14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44)에는 토션 스프링(11)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44)는 연장부(144a), 걸쇠부(144b) 및 걸쇠헤드부(144c)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연결부(144a)는 바디부(141)의 타측에서 바디부(14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쇠부(144b)는 연장부(144a)에서 연장부(144a)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즉, 걸쇠부(144b)의 돌출 방향은 연장부(144a)의 길이 방향에 수직할 수 있다. 걸쇠헤드부(144c)는 걸쇠부(144b)의 단부에 걸쇠부(144b)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11)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고리(111a)는 걸쇠부(144b)에 연결될 수 있다. 걸쇠헤드부(144c)는 결합고리(111a)가 걸쇠부(144b)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클립(15)은 케이스(12)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클립(15)은 케이스(1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스프링바(14)의 위치를 제한시킴으로써, 토션 스프링(11)을 고정시킬 수 있다. 클립(15)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 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15)은 고리부(151) 및 삽입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the
고리부(151)는 케이스(12)의 외주면에 결합 및 탈착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고리부(151)는 개방된 일측을 통해 케이스(12)에 결합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The
삽입부(152)는 고리부(151)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152)는 고리부(151)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52)는 제1절곡부(152a) 및 제2절곡부(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절곡부(152a)는 고리부(151)의 중심을 향하는 직경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2절곡부(152b)는 제1절곡부(152a)로부터 고리부(151)의 원주를 향하여 소정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부는, 고리부의 내측면이 상술한 형상으로 내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부(152)는 돌출부(142) 및 절개부(121)와 서로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152)는 3개 형성되고, 서로 등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토션 스프링(11)의 구체적인 고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pecific method of fixing the
먼저 토션 스프링(11)의 일측은 스프링바(14)에 연결되고, 타측은 커버(13)에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바(14)에 토션 스프링(11)이 연결된 상태에서 스프링바(14)를 케이스(12) 내에서 일정 위치까지 당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바(14)를 절개부(121)가 형성된 곳과 대응되는 위치까지 당길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클립(15)의 삽입부(152)가 절개부(121)에 삽입되도록, 클립(15)을 케이스(12)와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하면, 삽입부(152)는 서로 인접한 2개의 돌출부(14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 다음, 일정 회전수로 토션 스프링(11)을 감아서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 4를 기준으로, 토션 스프링(11)이 감기거나(시계방향) 풀리더라도(반시계 방향), 돌출부(142)와 삽입부(152)가 서로 접촉되어 스프링바(14)의 위치를 제한하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1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즉, 클립(15)이 케이스(12)와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142)는 삽입부(152)와 접촉되어 토션 스프링(11)의 회전력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42)의 일면(142a)과 삽입부(152)의 제1절곡부(152a)가 서로 접촉되어 토션 스프링(11)의 회전력을 지지할 수 있다. 돌출(142)의 일면(142a)과 삽입부(152)의 제1절곡부(152a)는 바디부(141)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 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11)의 회전력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바(14)의 헤드부(143)가 삽입부(152)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위치가 제한되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11)의 길이 방향 위치도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스크린바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종래 기술에 비하여 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클립 체결이라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스프링이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 구조가 단순화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며, A/S 용이성도 함께 향상될 수 있다.First, one side of th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drawings,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a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described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claims and equival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
11: 토션 스프링
12: 케이스
13: 커버
14: 스프링바
15: 클립1: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11: Torsion spring
12: case
13: cover
14: spring bar
15: clip
Claims (10)
상기 토션 스프링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는 스프링바; 및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결합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바가 상기 절개부와 대응되는 곳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은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프링바의 위치를 제한하고,
상기 스프링바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클립이 상기 케이스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와 접촉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의 회전력을 지지하며, 일면의 연장 평면 상에 상기 바디부의 중심이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카고 스크린의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A torsion spring providing restoring force to the cargo screen;
A case accommodating the torsion spring and having at least one cutout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spring ba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orsion spring and positioned inside the case; And
I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includes a clip including a ring portion opened at one side to b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and an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into the inside of the r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pring bar is locat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utout, the clip is coupled to the case so that the inser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cutout, thereby limiting the position of the spring bar,
The spring bar,
Body part; And
At least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being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lip is coupled to the case to suppor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orsion spring, and forming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on an extension plane of one surface A device for securing a torsion spring of a cargo screen comprising one or more protrusions.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은 상기 바디부의 중심에서 편심되는, 카고 스크린의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protrudes is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art, a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for a cargo screen.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리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카고 스크린의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inward in the ring portion, the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of the cargo screen.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리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상기 고리부를 향하여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이 상기 케이스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일면은 상기 제1절곡부와 접촉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의 회전력을 지지하는, 카고 스크린의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The method of claim 6,
The insertion part,
A first bent portion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ring portion; And
And a second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bent portion toward the r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lip is coupled to the case,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ent portion to suppor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orsion spring.
상기 스프링바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대응되는 반경으로 형성되는, 카고 스크린의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pring bar,
Further comprising a hea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head portion is formed with a radius corresponding to a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to the end of the protrusion portion, the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of the cargo screen.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서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연장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걸쇠부; 및
상기 걸쇠부의 단부에 상기 걸쇠부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되는 걸쇠헤드부를 포함하는, 카고 스크린의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torsion spring is connected,
The connection part,
An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A clasp protruding from the extension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A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for a cargo screen comprising a clasp head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clasp portion with a larger radius than the clasp portion.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는 커버 바디;
상기 커버 바디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연장되는 커버 연장부;
상기 커버 연장부에서 상기 커버 연장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커버 걸쇠부; 및
상기 커버 걸쇠부의 단부에 상기 커버 걸쇠부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되는 커버 걸쇠헤드부를 포함하는, 카고 스크린의 토션 스프링 고정 장치.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v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se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The cover,
A cover bod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se;
A cover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cover body to the inside of the case;
A cover clasp protruding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ver extension from the cover extension; And
A torsion spring fixing device of a cargo screen comprising a cover clasp head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cover clasp portion to have a larger radius than the cover clasp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715A KR102197229B1 (en) | 2020-05-11 | 2020-05-11 | Device for fixing the torsion spring of cargo scre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715A KR102197229B1 (en) | 2020-05-11 | 2020-05-11 | Device for fixing the torsion spring of cargo scree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7229B1 true KR102197229B1 (en) | 2020-12-31 |
Family
ID=7408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5715A Active KR102197229B1 (en) | 2020-05-11 | 2020-05-11 | Device for fixing the torsion spring of cargo scree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7229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640846A1 (en) * | 1996-10-03 | 1998-04-09 | Baumeister & Ostler Gmbh Co | Roller shaft for rolling out and rolling up flexible flat cover for vehicle |
JP2002174085A (en) * | 2000-12-05 | 2002-06-21 | Suncall Corp | Sheet take-up device and tonneau cover device |
KR101478923B1 (en) * | 2013-11-14 | 2014-12-31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Quick Connector |
-
2020
- 2020-05-11 KR KR1020200055715A patent/KR10219722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640846A1 (en) * | 1996-10-03 | 1998-04-09 | Baumeister & Ostler Gmbh Co | Roller shaft for rolling out and rolling up flexible flat cover for vehicle |
JP2002174085A (en) * | 2000-12-05 | 2002-06-21 | Suncall Corp | Sheet take-up device and tonneau cover device |
KR101478923B1 (en) * | 2013-11-14 | 2014-12-31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Quick Connec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19102B2 (en) | Cargo net device | |
US6719345B2 (en) | Structure for extending bed of pickup truck | |
CN102582693B (en) | Tonneau cover apparatus | |
US9702188B2 (en) | Fixed motor spring shade | |
KR102197229B1 (en) | Device for fixing the torsion spring of cargo screen | |
US11072514B2 (en) | Flat cable winding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 |
JP2001048064A (en) | Spare tire carrier for automobile | |
KR101701520B1 (en) | Window Covering Having a Winding Function | |
KR200395361Y1 (en) | Cargo screen of car | |
JPH1041139A (en) | Noise absorber | |
US8770256B2 (en) | Fixed motor spring shade | |
JP3922879B2 (en) | Sheet winding device and tonneau cover device | |
JP6368665B2 (en) | Sheet winding device | |
US20160305604A1 (en) | Retainer member for noise reduction member | |
JPH08183394A (en) | Cover winding device | |
JP2000282767A (en) | Sun shade | |
JP4216053B2 (en) | Winding device and tonneau cover device | |
KR102596281B1 (en) | Cargo screen of vehicle | |
KR102596282B1 (en) | Cargo screen of vehicle | |
WO2024101448A1 (en) | Device for winding up sheet-like member | |
KR200170301Y1 (en) | Outdoor rearview mirror assembly structure for automobile | |
JP2001008347A (en) | Wire harness winding device | |
WO2016117365A1 (en) | Harness protector | |
JP6531215B2 (en) | Handle device of board for vehicle | |
JP2010153731A (en) | Noise absorb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5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