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923B1 - Quick Connector - Google Patents
Quick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8923B1 KR101478923B1 KR20130138265A KR20130138265A KR101478923B1 KR 101478923 B1 KR101478923 B1 KR 101478923B1 KR 20130138265 A KR20130138265 A KR 20130138265A KR 20130138265 A KR20130138265 A KR 20130138265A KR 101478923 B1 KR101478923 B1 KR 1014789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connector housing
- male connector
- wire retainer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배관 등의 연결시 사용되는 퀵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퀵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하우징에 탄지되는 와이어 리테이너에 회전방지부를 형성하여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결합되는 숫 커넥터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공정수를 줄이고 그에 따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둘레면에 플랜지부(111)가 돌출,형성되고, 일부분에 끼움홈(112)이 형성되는 숫 커넥터(110)와; 상기 숫 커넥터(11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커넥터 하우징(120)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20)의 둘레면에 탄지되는 와이어 리테이너(130)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리테이너(130)는,
양쪽으로 연장되면서 커넥터 하우징(120)에 형성된 끼움공(121)에 각각 삽입되어 숫커넥터(110)에 형성된 삽입홈(113)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절곡부(131a)를 가지는 한쌍의 연결부(131)와; 상기 연결부(131)의 사이에 형성되면서 커넥터 하우징(120)의 안쪽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한쌍의 제 1연장편(132a)과, 상기 한쌍의 제 1연장편(132a)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다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2연장편(132b)과, 상기 제 2연장편(132b)이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 3연장편(132c)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20)의 끼움공(122)에 끼워져 내측으로 탄지되면서, 커넥터 하우징(120)안에 삽입되는 상기 숫 커넥터(110)의 끼움홈(112)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숫커넥터(110)의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132)를 포함하는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connector for use in connection of automobile piping and the like, in which a rotation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in a wire retainer that is resiliently mounted on a connector housing constituting a quick connector, So that the number of manufacturing steps can be reduced and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accordingly.
A male connector (110) having a flange (111) protruding from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fitting groove (112) formed in a part thereof; A connector housing 120 to which the male connector 110 is inserted; And a wire retainer (130) that is resiliently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120)
The wire retainer (130)
And a bent portion 131a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121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120 so as to protrud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insertion groove 113 formed in the male connector 110, A connection part 131; A pair of first extending pieces 132a which are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parts 131 so as to be bent so as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120 and a pair of second extending pieces 132b which are vertically extended from the pair of first extending pieces 132a And a third extension piece 132c formed by connecting the second extension piece 132b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insertion hole 132b of the connector housing 120 122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male connector 110 by engaging with the fitting groove 112 of the male connector 110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120 while being fitted to the inner side of the male connector 110, (132).
Description
본 발명은 퀵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배관 연결 등에 이용되는 퀵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quick connector used for connection to automobile piping.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여러 배관이 연결되는데, 예를 들어 터보차저와 에어호스의 연결시 퀵 커넥터가 마련된다. Generally, automobiles are connected to several pipes, for example, a quick connector is provided when a turbocharger is connected to an air hose.
이러한 퀵 커넥터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퀵 커넥터(10)는 숫 커넥터(20)와, 이 숫 커넥터(20)가 삽입되는 커넥터 하우징(30)으로 이루어진다.1, a conventional
상기 숫 커넥터(20)는 둘레면을 따라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21)가 돌출,형성되고, 일부분에는 끼움홈(22)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플랜지부(21)의 사이에 삽입홈(23)이 형성된다. The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30)은 선단부에 회전방지를 위한 회전방지수단으로서 키(key)(31)가 돌출,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면을 따라 와이어 리테이너(40)가 갖추어진다.A
상기 키(31)는 커넥터 하우징(30)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하우징(30)의 안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커넥터(20)의 끼움홈(22)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이다.The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리테이너(40)는, 커넥터 하우징(30)의 둘레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끼움공(32)(33)에 끼워져서, 하우징(30)의 내부로 삽입되는 숫 커넥터(20)를 탄지하면서 조립되는데,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는 연결부(41)와, 이 연결부(41)의 양쪽으로 연장되면서 커넥터 하우징(30)의 둘레면에 탄지되는 한쌍의 결합 아암부(42)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각 결합 아암부(42)는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는 절곡부(43)가 각각 형성되어서, 하우징(30)안에 삽입된 숫커넥터(20)의 삽입홈(23)에 끼워져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1 and 3, the
Each of the
또한, 상기 각 결합 아암부(42)의 끝단부(44)는 각각 절곡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선단부 둘레면에 조립된 상태에서 선단부 외부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2, the
이러한 종래의 퀵 커넥터(10)는 숫 커넥터(20)에 터보차저가 결합되고, 커넥터 하우징(30)에는 공기호스(또는 파이프)가 결합된다. In this conventional
여기서, 종래의 퀵 커넥터(10)는, 커넥터 하우징(30)에 삽입되는 숫 커넥터(2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키(31)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므로, 이러한 키(31)를 형성하기 위한 제작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Since the conventional
더욱이, 커넥터 하우징(30)의 일부를 절개하여 키(31)를 형성하여 숫 커넥터(20)의 끼움홈(22)내에서 축방향 회전의 멈춤역할을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숫 커넥터(20)에 보다 강한 회전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키(31)가 밀릴 가능성이 있어, 숫 커넥터(20)를 확실하게 정지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Since th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넥터 하우징의 둘레면에 키를 형성하지 않고 커넥터 하우징에 탄지되는 와이어 리테이너에 회전방지를 위한 방지부를 형성하여 숫 커넥터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퀵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 retainer which is resiliently mounted on a connector housing without forming a key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male connector by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male connector.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둘레면에 플랜지부가 돌출,형성되고, 일부분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숫 커넥터와;
상기 숫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둘레면에 탄지되는 와이어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리테이너는,
양쪽으로 연장되면서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끼움공에 각각 삽입되어 숫커넥터에 형성된 삽입홈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한쌍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형성되면서 커넥터 하우징의 안쪽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한쌍의 제 1연장편과, 상기 한쌍의 제 1연장편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다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2연장편과, 상기 제 2연장편이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 3연장편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끼움공에 끼워져 내측으로 탄지되면서, 커넥터 하우징안에 삽입되는 상기 숫 커넥터의 끼움홈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숫커넥터의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comprising: a male connector having a flange portion protruding from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at a portion thereof;
A connector housing into which the male connector is inserted; And a wire retainer that is resiliently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The wire retainer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each having a bent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and extends so as to protrud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male connector;
A pair of first extension pieces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and bent so as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a second extension piece bent and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pair of first extension pieces, And a third extension formed by horizontally connecting the two elongated pieces. The third elongated piece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is inwardly resiliently engaged with the fitting groove of the male connector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And a rotation preventing part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rotor.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배관에 연결시 사용되는 퀵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에는 별도의 회전방지수단을 강구하지 않고 커넥터 하우징에 탄지되는 와이어 리테이너에 회전방지부를 형성하여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는 숫커넥터의 결합시, 숫커넥터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커넥터 하우징에 회전방지수단을 제작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제작공수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quick connector used for connecting to various piping, 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wire retainer that is resiliently mounted on the connector housing, The rotation of the male connector can be prevent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rotation preventing means in the connector housing can be omit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cost.
도 1은 종래의 퀵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퀵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퀵 커넥터를 이루는 와이어 리테이너의 삽입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quick connector.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of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quick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6 is an end view of the connection of Fig.
7A to 7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steps of inserting a wire retainer constituting a quick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퀵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퀵 커넥터(100)는, 숫 커넥터(110)와, 이 숫 커넥터(110)가 삽입,결합되는 커넥터 하우징(120)과, 이 커넥터 하우징(120)의 둘레면에 탄지되는 와이어 리테이너(130)를 포함한 구조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quick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
상기 숫 커넥터(11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둘레면에 플랜지부(111)가 돌출,형성되고, 둘레면의 일부분에는 끼움홈(11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숫커넥터(1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11)의 사이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원주방향을 따라 삽입홈(113)이 형성된다. The
Between the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120)의 둘레면에는 와이어 리테이너(130)가 탄지되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의 끼움공(121)(12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Th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퀵 커넥터(100)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리테이너(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연결부(131)와, 이 연결부(131)의 사이에서 돌출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회전방지수단으로서 회전방지부(132)를 포함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한쌍의 연결부(131)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방향 즉, 커넥터 하우징(120)의 안쪽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절곡부(131a)가 형성되어서 커넥터 하우징(120)의 선단부 둘레면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공(121)에 각각 삽입되고, 그런 다음에, 커넥터 하우징(120)안에 삽입되는 숫커넥터(110)의 플랜지부(111)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113)에 끼워져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 리테이너(13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탄성력을 가지는 와이어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4, the
4 and 6, a
The
삭제delete
상기 회전방지부(132)는, 안쪽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한쌍의 제 1연장편(132a)과, 상기 제 1연장편(132a)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다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2연장편(132b)과, 상기 제 2연장편(132b)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 3연장편(132c)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커넥터 하우징(120)의 끼움공(122)에 끼워져서 내측으로 탄지된 구조를 가진다.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터(100)를 구성하는 숫 커넥터(11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터보차저(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고, 커넥터 하우징(120)은 에어호스(또는 파이프)(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퀵 커넥터(100)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리테이너(130)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는데,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리테이너(130)의 중앙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132)의 돌출된 부분인 제 3연장편(132c)쪽을 커넥터 하우징(120)의 끼움공(122)에 삽입가능하도록 위치시키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지부(132)의 제 3연장편(132c)을 끼움공(122)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해서 제 3연장편(132c)을 커넥터 하우징(120)의 끼움공(122) 안쪽으로 더욱 삽입하여 제 2연장편(132b)까지 삽입되도록 회전시키면, 제 2연장편(132b)과 제 3연장편(132c)이 커넥터 하우징(120)의 선단부 안쪽면에 위치되어 제 2연장편(132b)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런 다음에, 커넥터 하우징(120)의 끼움공(122) 안쪽으로 더욱 밀어서 제 1연장편(132a)이 끼움공(122)안에 삽입되게 한다.
그러면, 와이어 리테이너(130)의 양측의 연결부(131)는 도 4에 도시된 와이어 리테이너(130)와 같은 자세로 커넥터 하우징(120)의 끼움공(122)안에 위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연결부(131)를 커넥터 하우징(120)의 끼움공(122)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공(121)에 각각 끼우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어서 회전방지부(132)가 커넥터 하우징(120)의 안쪽면에서 돌출되어서 숫커넥터(110)의 끼움홈(112)에 삽입된다.
또한, 와이어 리테이너(130)의 양쪽에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131)를 끼움공(121)에 삽입시, 와이어 리테이너(130) 자체가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측의 연결부(131)를 약간 벌린 다음, 양쪽의 끼움홈(122)에 연결부(131)의 절곡부(131a)를 삽입하면서 놓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1)의 절곡부(131a) 부분이 끼움공(121)에 각각 삽입되어서 숫커넥터(110)의 플랜지부(111)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113)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결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숫 커넥터(110)가 커넥터 하우징(120)안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면, 숫 커넥터(110)의 끼움홈(112)에 커넥터 하우징(120)에 탄지된 와이어 리테이너(130)의 회전방지부(132)가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숫 커넥터(110)의 회전(축방향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When the
Thereafter, the
The connecting
Since the
When the
다시 말해서, 와이어 리테이너(130)의 제작시, 숫커넥터(110)의 회전방지를 위한 회전방지수단으로서 회전방지부(132)를 절곡,형성하여 커넥터 하우징(120)의 둘레면에 탄지되도록 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120)에는 종래와 같이 키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제작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퀵 커넥터(100)는 매우 신속하게 퀵 커넥터(100)의 접속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접속된 상태에서, 탄지되는 와이어 리테이너(130)의 회전방지부(132)에 의해 숫 커넥터(110)가 커넥터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더욱이, 와이어 리테이너(130)에 일체로 회전방지부(132)가 형성되어서 커넥터 하우징(120)의 끼움공(122)을 통해 삽입되어서 커넥터 하우징(120)의 내측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숫 커넥터(110)의 끼움홈(112)에 자연스럽게 끼워지므로, 강한 회전력이 작용하더라도 숫 커넥터(110)가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Bu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퀵 커넥터
20 : 숫커넥터
21 : 플랜지부
22 : 끼움홈
23 : 삽입홈
30 : 커넥터 하우징
31 : 키(key)
32 : 끼움공
40 : 와이어 리테이너
41 : 연결부
42 : 결합 아암부
43 : 절곡부
44 : 끝단부
100 : 퀵 커넥터
110 : 숫커넥터
111 : 플랜지부
112 : 끼움홈
113 : 삽입홈
120 : 숫커넥터
121,122 : 끼움공
130 : 와이어 리테이너
131 : 연결부
131a : 절곡부
132 : 회전방지부
132a : 제 1연장편
132b : 제 2연장편
132c : 제 3연장편10: Quick connector
20: male connector
21: flange portion
22: Fitting groove
23: insertion groove
30: Connector housing
31: key
32: insert ball
40: wire retainer
41:
42: Combined arm portion
43:
44:
100: Quick connector
110: male connector
111: flange portion
112: Fitting groove
113: insertion groove
120: male connector
121, 122:
130: Wire retainer
131:
131a:
132:
132a: first extension
132b:
132c: third extension
Claims (1)
상기 숫 커넥터(11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커넥터 하우징(120)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20)의 둘레면에 탄지되는 와이어 리테이너(130)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리테이너(130)는,
양쪽으로 연장되면서 커넥터 하우징(120)에 형성된 끼움공(121)에 각각 삽입되어 숫커넥터(110)에 형성된 삽입홈(113)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절곡부(131a)를 가지는 한쌍의 연결부(131)와;
상기 연결부(131)의 사이에 형성되면서 커넥터 하우징(120)의 안쪽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한쌍의 제 1연장편(132a)과, 상기 한쌍의 제 1연장편(132a)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다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2연장편(132b)과, 상기 제 2연장편(132b)이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 3연장편(132c)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20)의 끼움공(122)에 끼워져 내측으로 탄지되면서, 커넥터 하우징(120)안에 삽입되는 상기 숫 커넥터(110)의 끼움홈(112)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숫커넥터(110)의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1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A male connector 110 in which a flange portion 111 is protruded and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fitting groove 112 is formed in a part of the male connector 110;
A connector housing 120 to which the male connector 110 is inserted;
And a wire retainer (130) that is resiliently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120)
The wire retainer (130)
And a bent portion 131a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121 formed in the connector housing 120 so as to protrud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insertion groove 113 formed in the male connector 110, A connection part 131;
A pair of first extending pieces 132a which are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parts 131 so as to be bent so as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120 and a pair of second extending pieces 132b which are vertically extended from the pair of first extending pieces 132a And a third extension piece 132c formed by connecting the second extension piece 132b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insertion hole 132b of the connector housing 120 122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male connector 110 by engaging with the fitting groove 112 of the male connector 110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120 while being fitted to the inner side of the male connector 110, (132);
And a fast connec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38265A KR101478923B1 (en) | 2013-11-14 | 2013-11-14 | Quick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38265A KR101478923B1 (en) | 2013-11-14 | 2013-11-14 | Quick Conn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8923B1 true KR101478923B1 (en) | 2014-12-31 |
Family
ID=5268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38265A Active KR101478923B1 (en) | 2013-11-14 | 2013-11-14 | Quick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892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1979B1 (en) | 2016-04-28 | 2017-08-29 | 주식회사 제이피씨오토모티브 | manufacturing method of quick connector and quick connector manufactured by the same |
KR102197229B1 (en) * | 2020-05-11 | 2020-12-31 | 광성기업 주식회사 | Device for fixing the torsion spring of cargo scre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89381A (en) * | 2000-04-05 | 2001-10-19 | Togo Seisakusho Corp | Connector |
JP2006189156A (en) * | 2004-12-30 | 2006-07-20 | Itt Mfg Enterp Inc | Fluid quick connector having wire retainer |
JP2009024800A (en) * | 2007-07-20 | 2009-02-05 | Sanoh Industrial Co Ltd | Quick connector |
-
2013
- 2013-11-14 KR KR20130138265A patent/KR10147892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89381A (en) * | 2000-04-05 | 2001-10-19 | Togo Seisakusho Corp | Connector |
JP2006189156A (en) * | 2004-12-30 | 2006-07-20 | Itt Mfg Enterp Inc | Fluid quick connector having wire retainer |
JP2009024800A (en) * | 2007-07-20 | 2009-02-05 | Sanoh Industrial Co Ltd | Quick connecto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1979B1 (en) | 2016-04-28 | 2017-08-29 | 주식회사 제이피씨오토모티브 | manufacturing method of quick connector and quick connector manufactured by the same |
KR102197229B1 (en) * | 2020-05-11 | 2020-12-31 | 광성기업 주식회사 | Device for fixing the torsion spring of cargo scree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04118B2 (en) | Wiper connector and bolt-stabilizing sleeve adaptor | |
US10465827B2 (en) | Plug-in connector for fluid lines with inner adapter sleeve | |
JP5801705B2 (en) | Waterproof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 |
JP5766979B2 (en) | connector | |
US20140042704A1 (en) | Seal aligning and retaining assembly and method of retaining a seal | |
US20060172576A1 (en) | Environmentally sealed connector with blind mating capability | |
JP6329071B2 (en) | Coaxial circular plug connector | |
JP4950017B2 (en) | Connector and circuit board mounting case with connector | |
JP2021034153A5 (en) | Seal structure for connector and connector | |
RU2017134040A (en) | PLUG CONNECTOR ASSEMBLY FOR LINK CONNECTIONS | |
JP2011241944A (en) | Screw fall preventing structure | |
JP6139126B2 (en) | Pipe connector | |
JP5926144B2 (en) | Electric wire routing device | |
CN105703117A (en) | electrical connecting module | |
KR101478923B1 (en) | Quick Connector | |
JP2012164520A (en) | Relay connector | |
JP2015076296A (en) | Terminal 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 |
JP4781220B2 (en) | Pipe fitting and backup ring used for it | |
CN105703118B (en) | Bonder terminal | |
US9537255B2 (en) | Connector fitting structure | |
US8506329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 connector alignment insert | |
JP2015033219A (en) | Grommet and wire harness with the grommet | |
KR101637991B1 (en) | Pipe fixing element | |
KR200220127Y1 (en) | Combination confirmation structure of hose | |
JP2025054215A (en) | Connector housing assembly,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