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338B1 - Cutting device - Google Patents
Cut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4338B1 KR102194338B1 KR1020200125658A KR20200125658A KR102194338B1 KR 102194338 B1 KR102194338 B1 KR 102194338B1 KR 1020200125658 A KR1020200125658 A KR 1020200125658A KR 20200125658 A KR20200125658 A KR 20200125658A KR 102194338 B1 KR102194338 B1 KR 1021943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auxiliary
- pedestal
- frame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9/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ight reciprocating saw blades, e.g. hacksaws
- B23D49/007—Jig saws, i.e. machine saws with a vertically reciprocating narrow saw blade chucked at both ends for contour cut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tables
- B23D55/023—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tables of t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or clamping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 B23D57/0007—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using saw wi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 B23D57/003—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aw wir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7/003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aw wir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쏘를 이용하여 판형의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절단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피절단물을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ting device implemented so as to cut a plate-shaped cut object using a wire saw, comprising: a seat on which the cut object is seated; A fixing part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cut object seated on the seating part; And a cutting part for cutting the cut object fixed by the fixing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쏘를 이용하여 판형의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tting device implemented to cut a plate-shaped cut object using a wire saw.
일반적으로, 차량의 제작 공정에서 사용되는 비교적 얇은 철판(1.2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철판)을 곡선 절단할 경우에는 판금가위를 사용하고 있으며, 비교적 두꺼운 철판(1.2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철판)을 곡선 절단할 경우에는 띠톱 기계(band saw machine)를 사용하고 있다.Generally, when cutting a relatively thin steel plate (steel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2 mm or less) used in the vehicle manufacturing process, sheet metal scissors are used, and a relatively thick steel plate (steel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2 mm or more) is curved. When cutting, a band saw machine is used.
그런데, 철판의 곡선 절단작업시 판금가위의 경우에는 조작이 간편하지만, 절단부위에 가위날에 의해 변형된 굴곡부를 형성하게 되어 절단작업후에는 해머작업 등으로 면수정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in the case of sheet metal shears when cutting the curve of the steel plate, the operation is simpl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bent portion deformed by the scissors blade is formed at the cutting portion, so that after the cutting operation, a surface correction operation such as a hammer work is required.
또한, 띠톱 기계의 경우에는 동력에 의해 일정궤도로 이동하는 띠톱날을 통해 철판을 절단하게 되므로, 철판의 곡선절단이 어렵게 됨은 물론 곡선절단 후에는 절단부위를 줄작업(filing)을 통해 마무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band saw machine, since the steel plate is cut through a band saw blade that moves in a certain track by power, it becomes difficult to cut the steel plate, and after cutting the curve, the cut part must be finished through filing. There is a problem of hassle.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일측면은 와이어 쏘를 이용하여 판형의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절단 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tting device implemented to cut a plate-shaped cut object using a wire saw.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장치는, 피절단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피절단물을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A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ing portion on which an object to be cut is seated; A fixing part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cut object seated on the seating part; And a cutting part for cutting the cut object fixed by the fixing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는 절단기 케이스부; 상기 절단기 케이스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전휠부; 상기 제1 회전휠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절단기 케이스부의 다른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전휠부; 상기 제1 회전휠부와 상기 제2 회전휠부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휠부와 상기 제2 회전휠부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절단기 케이스부가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면서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와이어 쏘; 및 상기 절단기 케이스부의 승강 및 하강, 및 상기 제1 회전휠부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회전휠부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utting part, a cutter case part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part and driven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rotating wheel part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utter case part; A second rotating wheel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tating wheel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utter case part; The first rotating wheel part and the second rotating wheel part are engag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o rotate as the first rotating wheel part and the second rotating wheel part rotate, and are fixed by the fixing part while descending together as the cutter case part descends. A wire saw for cutting the cut object; And a driving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utter case unit, and a first driving unit driving the first rotating wheel unit and a second driving unit driving the second rotating wheel unit.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단 장치는, 상기 안착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피절단물을 후단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eating portion,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cut object cut by the cutting unit to the rear end; may further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안착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바아; 상기 제1 슬라이딩 바아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바아와 대향하며 상기 안착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바아;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바아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대향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 바아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 프레임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피절단물을 상기 안착부로부터 전달받아 이송하는 이송 롤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1 수직 프레임;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2 수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fer unit, a first sliding bar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seating unit; A second sliding ba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liding bar to face the first sliding bar and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seating portion; A first support fram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first sliding bar so as to be rotatable and slidable; A second support frame facing the first support frame and extending in a front-rear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liding bar so as to be rotatable and slidable;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are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transfer the cut object cut by the cutting part from the seating part. ; A first vertical fram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ing a rea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a second vertical fram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이동을 위해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전면을 바라보는 제1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지지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대의 상기 제1 경사면을 바라보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접근하거나 멀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vertical frame, the frame body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vertically, the upper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A wheel installed under the frame body to move the frame body; A first support provided below the first support frame and forming a first inclined surface facing the front of the frame body; A second support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frame body and form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fac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And a frame support part install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o buffer vibration or shock generated as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pproach or move away from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경사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경사면을 지지하며,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제1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rame support includes: a first support formed in a "+" shape to support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support part supporti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supporting the first support part seated on the upper si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제1 받침대, 제2 받침대, 제3 받침대 및 제4 받침대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 보조 지지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2 보조 지지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3 보조 지지부;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4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4 보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the first support, the second support, the third support and the fourth support extending in four directions from the center so as to be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nd formed in a "+" shape; A first auxiliary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pedestal to support the first pedestal; A second auxiliary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pedestal to support the second pedestal; A third auxiliary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tip of the third pedestal to support the third pedestal; And a fourth auxiliary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ourth pedestal to support the fourth pedest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박스형 지지부; 상기 수평 지지부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상기 박스형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부; 상기 제1 보조 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안착홈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보조 지지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보조 안착홈부; 상기 제2 보조 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안착홈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보조 지지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보조 안착홈부; 상기 제3 보조 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안착홈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3 보조 지지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 보조 안착홈부; 및 상기 제4 보조 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안착홈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4 보조 지지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 보조 안착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e box-shaped support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al box; An upper seating groove formed on the box-shaped support portion in a "+"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A first auxiliary seating groove recessed in a down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auxiliary support from one end of the upper seating groove facing the front end of the first support so that the first auxiliary support can be inserted; A second auxiliary seating groove recessed in a down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auxiliary support from one end of the upper seating groove facing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upport so that the second auxiliary support can be inserted; A third auxiliary seating groove recessed in a down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hird auxiliary support from one end of the upper seating groove facing the front end of the third support so that the third auxiliary support can be inserted; And a fourth auxiliary seating groove recessed in a down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ourth auxiliary support from one end of the upper seating groove facing the front end of the fourth support so that the fourth auxiliary support can be inserted. It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보조 지지부는,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사각 기둥부; 상기 사각 기둥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보조 안착홈부에서 상기 사각 기둥부를 지지하는 제1 기둥 지지부; 및 상기 제1 기둥 지지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사각 기둥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보조 안착홈부에서 상기 사각 기둥부를 지지하는 제2 기둥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uxiliary support is formed to exten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so as to be rotatably installed; A first pillar support portion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square pillar portion to support the square pillar portion in the first auxiliary seating groove portion; And a second pillar support portion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square pillar portion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pillar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square pillar portion in the first auxiliary seating groove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둥 지지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사각 기둥부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상기 사각 기둥부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플레이트부; 상기 제1 회동 플레이트부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회동 플레이트부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사각 기둥부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상기 사각 기둥부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회동 플레이트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과 상기 제2 회동 플레이트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하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와 상기 상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에 의해 거치되는 밀착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pillar support portion, a first rotation plate portion which is inclined in a shear direction away from the rectangular pillar portion toward a lower side, and has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front end of the rectangular pillar portion; The first rotation plate part is inclined in a shear direction away from the square column part toward an upper side opposite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otation plate part so as to be symmetric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rotation plate part,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front end of the square column part. A second rotating plate portion to be installed; And a first mounting bar and the upper mounting respectively mounted in a lower mounting groove formed under the first rotating plate part and an upper mounting groove formed in an upper side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part, and installed across the lower mounting groove. It may include; a close contact rotating portion mounted by a second mounting bar installed across the gro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 회전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원판부; 상기 원판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베어링부; 상기 베어링부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원판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밀착 바퀴부; 상기 제1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판부를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원판부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원판부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안착홈부; 상기 제1 안착홈부에 안착된 상기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안착홈부에서 상기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지지 탄성체; 상기 제2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판부를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제1 안착홈부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원판부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원판부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안착홈부; 및 상기 제2 안착홈부에 안착된 상기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안착홈부에서 상기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lose rotation portion, a disk portion formed in a disk shape; A bearing part installed outside the disk part; A close contact wheel unit install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bearing unit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disc unit; A first mounting groove formed through the disk portion so that the first mounting bar can penetrate and be seated therethrough, and extending from a lower front end of the disk portion to an inclined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disk portion; A first support elastic body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mounting bar seated in the first mounting groove portion to support the first mounting bar in the first mounting groove portion by using an elastic force; A second formed through the disk portion so that the second mounting bar penetrates and is seated, forms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the first mounting groove, and extends from a lower end of the disk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disk portion. Seating groove; And a second support elastic body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bar seat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portion to support the second mounting bar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portion by using an elastic for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보조 안착홈부는, 상기 사각 기둥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사각 기둥부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홈; 상기 제1 기둥 지지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홈의 전단에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사각 기둥부가 상기 수직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밀착 회전부가 벽면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아치홈; 및 상기 제1 아치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홈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아치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auxiliary seating groove includes a vertical groov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quare pillar so that the square pillar can be seated; It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vertical groove so that the first column support part can be seated, and as the square column par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vertical groove by an external force, the close rotation part draws an arc along the wall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irst arch groove formed in an arch shape to be movable; And a second arch groove formed at a rear end of the vertical groove and forming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the first arch groove.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와이어 쏘를 이용하여 판형의 피절단물을 절단함으로써, 철재 피절단물을 미려하게 절단하여 절단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절단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cutting the plate-shaped cutting object using a wire saw, the steel cutting object is beautifully cut,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cutting process as well as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utting object. Can provid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프레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지지부와 및 제2 지지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보조 지지부와 제1 보조 안착홈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기둥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밀착 회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ut portion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transfer unit of FIG. 3.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rame support of FIG. 4.
6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of FIG. 5.
7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uxiliary support and the first auxiliary seating groove.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column support of FIG. 7.
9 is a view showing the close contact rotation of FIG. 8.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장치(10)는, 안착부(100), 고정부(200) 및 절단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안착부(100)는, 피절단물(500)이 안착되며, 상측에 절단부(300)가 설치된다.In the
고정부(200)는, 안착부(100)에 안착되어 있는 피절단물(500)을 체결하여 고정한다.The fixing
절단부(300)는, 고정부(200)에 의해 고정된 피절단물(500)을 절단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장치(10)는, 와이어 쏘를 이용하여 판형의 피절단물을 절단함으로써, 철재 피절단물을 미려하게 절단하여 절단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절단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도 2는 도 1의 절단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ut portion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절단부(300)는, 절단기 케이스부(310), 제1 회전휠부(320), 제2 회전휠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와이어 쏘(340) 및 구동 제어부(3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절단기 케이스부(310)는, 안착부(100)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며, 하측을 지지하는 승강 피스톤(36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구동된다.The
제1 회전휠부(320)는, 절단기 케이스부(3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와이어 쏘(340)의 일측을 지지한다.The first rotating
제2 회전휠부는, 제1 회전휠로부터 이격되어 절단기 케이스부(310)의 다른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와이어 쏘(340)의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The second rotating wheel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tating wheel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와이어 쏘(340)는, 제1 회전휠부(320)와 제2 회전휠부(3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제1 회전휠부(320)와 제2 회전휠부(33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며, 절단기 케이스부(310)가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면서 고정부(200)에 의해 고정된 피절단물(500)을 절단한다.The
구동 제어부(350)는, 절단기 케이스부(310)의 승강 및 하강, 즉 승강 피스톤(360)의 신장 또는 수축, 및 제1 회전휠부(320)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제2 회전휠부(330)를 회전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한다.The
여기서,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35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 요청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스텝 모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may be formed of a step motor or the like driven according to a driv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단 장치(20)는, 안착부(100), 고정부(200), 절단부(300) 및 이송부(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a cutting
여기서, 안착부(100), 고정부(200) 및 절단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 the
이송부(400)는, 안착부(100)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절단부(300)에 의해 절단된 피절단물(500)을 후단으로 이송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단 장치(20)는, 절단 공정이 마무리된 피절단물(500)을 이송부(400)를 통해 전달받아 다음 공정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이송시킴으로써 피절단물(500)의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utting
도 4는 도 3의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transfer unit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이송부(400)는, 제1 슬라이딩 바아(410), 제2 슬라이딩 바아(420), 제1 지지 프레임(430), 제2 지지 프레임(440), 이송 롤러(450), 제1 수직 프레임(460) 및 제2 수직 프레임(47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제1 슬라이딩 바아(410)는, 제2 슬라이딩 바아(420)와 대향하며 안착부(10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The first sliding
제2 슬라이딩 바아(420)는, 제1 슬라이딩 바아(410)로부터 이격되어 제1 슬라이딩 바아(410)와 대향하며 안착부(10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The second sliding
제1 지지 프레임(43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슬라이딩 바아(410)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프레임(430)은,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연결편(431), 및 제1 슬라이딩 바아(410)에 안착되어 제1 슬라이딩 바아(4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연결편(431)에 연결핀(433)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더(432)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제2 지지 프레임(440)은, 제1 지지 프레임(430)과 대향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슬라이딩 바아(420)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일 실시예에서, 제2 지지 프레임(440) 역시 제1 지지 프레임(430)의 연결편(431), 슬라이더(432) 및 연결핀(433)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이송 롤러(450)는, 제1 지지 프레임(430)과 제2 지지 프레임(440)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절단부(300)에 의해 절단된 피절단물(500)을 안착부(100)로부터 전달받아 이송한다.The
제1 수직 프레임(460)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지지 프레임(430)의 후단을 지지한다.The first
일 실시예에서, 제1 수직 프레임(460)은, 프레임 본체(461), 바퀴(462), 제1 지지대(463), 제2 지지대(464) 및 프레임 지지부(465)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프레임 본체(461)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1 지지 프레임(430)의 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프레임(430)의 전단을 지지한다.The
바퀴(462)는, 프레임 본체(461)의 이동을 위해 프레임 본체(461)의 하측에 설치된다.The
제1 지지대(463)는, 제1 지지 프레임(430)의 하측에 설치되며, 프레임 본체(461)의 전면을 바라보는 제1 경사면(4631)을 형성한다.The
제2 지지대(464)는, 프레임 본체(461)의 전면에 설치되며, 제1 지지대(463)의 제1 경사면(4631)을 바라보는 제2 경사면(4641)을 형성한다.The
프레임 지지부(465)는, 제1 경사면(4631)과 제2 경사면(4641)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경사면(4631)과 제2 경사면(4641)이 접근하거나 멀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한다.The
제2 수직 프레임(470)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지지 프레임(440)의 후단을 지지한다.The second
일 실시예에서, 제2 수직 프레임(470) 역시 제1 수직 프레임(460)의 프레임 본체(461), 바퀴(462), 제1 지지대(463), 제2 지지대(464) 및 프레임 지지부(465)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송부(400)는, 피절단물(500)을 안정적으로 이송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안착부(100)로부터 신장되는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상측을 따라 이동되는 피절단물(50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도 5는 도 4의 프레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rame support of FIG. 4.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600)는, 제1 지지부(610) 및 제2 지지부(6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a
제1 지지부(610)는, "+"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경사면(4631)을 지지하며, 제2 지지부(62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다.The
제2 지지부(620)는, 제2 경사면(4641)을 지지하며, 상부에 안착되는 제1 지지부(610)를 지지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다른 프레임 지지부(600)는, 제1 지지대(463)와 제2 지지대(464) 사이에 설치되어 피절단물(50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도 6은 도 5의 제1 지지부와 및 제2 지지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of FIG. 5.
도 6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610)는, 수평 지지부(611), 제1 보조 지지부(612), 제2 보조 지지부(613), 제3 보조 지지부(614) 및 제4 보조 지지부(615)를 포함한다.6, the
수평 지지부(611)는, 상부 안착홈부(622)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받침대(6111), 제2 받침대(6112), 제3 받침대(6113) 및 제4 받침대(6114)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며, 각 받침대의 선단부에 제1 보조 지지부(612), 제2 보조 지지부(613), 제3 보조 지지부(614) 및 제4 보조 지지부(615)의 각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제1 보조 지지부(612)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1 받침대(6111)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보조 안착홈부(623)에 안착되어 제1 받침대(6111)를 지지한다.The first
즉, 제1 보조 지지부(612)는, 후술하는 제1 보조 안착홈부(623)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제1 받침대(611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제1 받침대(6111)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받침대(611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킬 수 있다.That is, the first
제2 보조 지지부(613)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2 받침대(6112)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보조 안착홈부에 안착되어 제2 받침대(6112)를 지지한다.The second
제3 보조 지지부(614)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3 받침대(6113)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3 보조 안착홈부에 안착되어 제3 받침대(6113)를 지지한다.The third
제4 보조 지지부(615)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4 받침대(6114)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4 보조 안착홈부에 안착되어 제4 받침대(6114)를 지지한다.The fourth
여기서, 제2 보조 지지부(613), 제3 보조 지지부(614) 및 제4 보조 지지부(615)는, 제1 보조 지지부(612)와 설치되는 위치만 다른 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second
그리고, 제2 지지부(620)는, 박스형 지지부(621), 상부 안착홈부(622), 제1 보조 안착홈부(623), 제2 보조 안착홈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제3 보조 안착홈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제4 보조 안착홈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And, the
박스형 지지부(621)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부 안착홈부(622)가 형성된다.The box-shaped
상부 안착홈부(622)는, 수평 지지부(611)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박스형 지지부(621)의 상부에 형성된다.The
제1 보조 안착홈부(623)는, 제1 보조 지지부(6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받침대(6111)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부 안착홈부(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1 보조 지지부(612)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The first
일 실시예에서, 제1 보조 안착홈부(6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홈(6231), 제1 아치홈(6232) 및 제2 아치홈(6233)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수직홈(6231)은, 사각 기둥부(612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사각 기둥부(6121)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단에 제1 아치홈(6232)이 형성되고, 후단에 제2 아치홈(6233)이 형성된다.The
제1 아치홈(6232)은, 제1 기둥 지지부(612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수직홈(6231)의 전단에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사각 기둥부(6121)이 수직홈(6231)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후술하는 밀착 회전부(730)가 벽면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된다.The first arch groove 6322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vertical groove 631 so that the first
제2 아치홈(6233)은, 제1 아치홈(6232)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수직홈(6231)의 후단에 형성된다.The second
일 실시예에서, 제1 보조 지지부(612)는, 사각 기둥부(6121), 제1 기둥 지지부(6122) 및 제2 기둥 지지부(6123)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사각 기둥부(6121)는,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1 받침대(6111)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에 제1 기둥 지지부(6122)가 연결 설치되고, 후단에 제2 기둥 지지부(6123)가 연결 설치된다.The
제1 기둥 지지부(6122)는, 사각 기둥부(6121)의 전단에 설치되며, 제1 아치홈(6232)의 벽면에 밀착되어 제1 보조 안착홈부(623)에서 사각 기둥부(6121)를 지지한다.The first
제2 기둥 지지부(6123)는, 제1 기둥 지지부(6122)와 대칭되도록 사각 기둥부(6121)의 후단에 설치되며, 제2 아치홈(6233)의 벽면에 밀착되어 제1 보조 안착홈부(623)에서 사각 기둥부(6121)를 지지한다.The
제2 보조 안착홈부는, 제2 보조 지지부(6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받침대(6112)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부 안착홈부(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2 보조 지지부(613)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The second auxiliary seating groove is from one end of the
제3 보조 안착홈부는, 제3 보조 지지부(6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3 받침대(6113)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부 안착홈부(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3 보조 지지부(614)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The third auxiliary seating groove is from one end of the
제4 보조 안착홈부는, 제4 보조 지지부(6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4 받침대(6114)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부 안착홈부(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4 보조 지지부(615)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The fourth auxiliary seating groove is from one end of the
여기서, 제2 보조 안착홈부, 제3 보조 안착홈부, 및 제4 보조 안착홈부는, 제1 보조 안착홈부(623)와 방향만을 달리하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second auxiliary seating groove portion, the third auxiliary seating groove portion, and the fourth auxiliary seating groove portion are made of the same configuration that differs only in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auxiliar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사각 기둥부(6121)는, 제1 보조 안착홈부(623)의 바닥면까지 하강되지 아니하고 제1 기둥 지지부(6122)와 제2 기둥 지지부(6123)에 의해 제1 보조 안착홈부(623)에서 부양된 상태로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제1 기둥 지지부(6122)와 제2 기둥 지지부(6123)가 제1 아치홈(6232) 및 제2 아치홈(6233)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전달되는 외력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The
도 8은 도 7의 제1 기둥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column support of FIG. 7.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둥 지지부(700)는, 제1 회동 플레이트부(710), 제2 회동 플레이트부(720) 및 밀착 회전부(7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제1 회동 플레이트부(710)는, 제2 회동 플레이트부(720)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하측으로 갈수록 사각 기둥부(6121)으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사각 기둥부(612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에 밀착 회전부(7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first
제2 회동 플레이트부(720)는, 제1 회동 플레이트부(710)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제1 회동 플레이트부(710)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사각 기둥부(6121)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사각 기둥부(612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에 밀착 회전부(7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second
밀착 회전부(730)는, 제1 회동 플레이트부(71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711)과 제2 회동 플레이트부(7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721)에 각각 안착되며, 하부 안착홈(71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712)와 상부 안착홈(72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722)에 의해 거치되며, 제1 아치홈(6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전달되는 외력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The clos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둥 지지부(700)는, 밀착 회전부(730)가 제1 아치홈(6232)의 벽면을 따라 안착된 뒤, 사각 기둥부(6121)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전달되면 밀착 회전부(730)가 제1 아치홈(6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The
도 9는 도 8의 지지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support roller of FIG. 8.
도 9를 참조하면, 밀착 회전부(730)는, 원판부(731), 베어링부(732), 밀착 바퀴부(733), 제1 안착홈부(734), 제1 지지 탄성체(735-1, 735-2), 제2 안착홈부(736) 및 제2 지지 탄성체(737-1, 737-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close
원판부(73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에 베어링부(732)이 연결 설치된다.The
베어링부(732)는, 원판부(731)의 외측에 설치되고, 외측에 밀착 바퀴부(733)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밀착 바퀴부(733)는, 베어링부(732)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원판부(73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close
제1 안착홈부(734)는, 제1 거치 바아(712)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원판부(731)를 관통하고 형성되되, 원판부(731)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원판부(731)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The
제1 지지 탄성체(735-1, 735-2)는, 제1 안착홈부(734)에 안착된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제1 안착홈부(734)에서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The first support elastic bodies 735-1 and 735-2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mounting bar seated in the first mounting
제2 안착홈부(736)는, 제2 거치 바아(722)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원판부(731)를 관통하고 형성되되, 제1 안착홈부(734)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원판부(731)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원판부(731)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The
제2 지지 탄성체(737-1, 737-2)는, 제2 안착홈부(736)에 안착된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제2 안착홈부(736)에서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The second support elastic bodies 737-1 and 737-2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bar seated in the second mounting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밀착 회전부(730)는, 제1 거치 바아(712)와 제2 거치 바아(722)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치홈(6232)의 중심 부위에 안착되어 있다가, 사각 기둥부(6121)를 통해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전달되면 제1 거치 바아(712) 또는 제2 거치 바아(722)를 지지하고 있는 제1 지지 탄성체(735-1, 735-2) 또는 제2 지지 탄성체(737-1, 737-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제1 아치홈(6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사각 기둥부(612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The close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
10, 20: 절단 장치
100: 안착부
200: 고정부
300: 절단부
400: 이송부10, 20: cutting device
100: seat
200: fixed part
300: cut
400: transfer unit
Claims (2)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피절단물을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는 절단기 케이스부; 상기 절단기 케이스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전휠부; 상기 제1 회전휠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절단기 케이스부의 다른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전휠부; 상기 제1 회전휠부와 상기 제2 회전휠부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휠부와 상기 제2 회전휠부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절단기 케이스부가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면서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와이어 쏘; 및 상기 절단기 케이스부의 승강 및 하강, 및 상기 제1 회전휠부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회전휠부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피절단물을 후단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안착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바아; 상기 제1 슬라이딩 바아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바아와 대향하며 상기 안착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바아;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바아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대향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 바아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 프레임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피절단물을 상기 안착부로부터 전달받아 이송하는 이송 롤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1 수직 프레임;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2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후단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이동을 위해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전면을 바라보는 제1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지지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대의 상기 제1 경사면을 바라보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접근하거나 멀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경사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경사면을 지지하며,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제1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제1 받침대, 제2 받침대, 제3 받침대 및 제4 받침대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 보조 지지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2 보조 지지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3 보조 지지부;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4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4 보조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박스형 지지부; 상기 수평 지지부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상기 박스형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부; 상기 제1 보조 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안착홈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보조 지지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보조 안착홈부; 상기 제2 보조 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안착홈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보조 지지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보조 안착홈부; 상기 제3 보조 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안착홈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3 보조 지지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 보조 안착홈부; 및 상기 제4 보조 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안착홈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4 보조 지지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 보조 안착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조 지지부는,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사각 기둥부; 상기 사각 기둥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보조 안착홈부에서 상기 사각 기둥부를 지지하는 제1 기둥 지지부; 및 상기 제1 기둥 지지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사각 기둥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보조 안착홈부에서 상기 사각 기둥부를 지지하는 제2 기둥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둥 지지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사각 기둥부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상기 사각 기둥부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플레이트부; 상기 제1 회동 플레이트부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회동 플레이트부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사각 기둥부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상기 사각 기둥부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회동 플레이트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과 상기 제2 회동 플레이트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하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와 상기 상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에 의해 거치되는 밀착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 회전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원판부; 상기 원판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베어링부; 상기 베어링부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원판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밀착 바퀴부; 상기 제1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판부를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원판부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원판부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안착홈부; 상기 제1 안착홈부에 안착된 상기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안착홈부에서 상기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지지 탄성체; 상기 제2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판부를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제1 안착홈부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원판부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원판부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안착홈부; 및 상기 제2 안착홈부에 안착된 상기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안착홈부에서 상기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는, 절단 장치.
A seating portion on which an object to be cut is seated;
A fixing part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cut object seated on the seating part; And
Including; a cutting portion for cutting the object to be cut fixed by the fixing portion,
The cutting unit may include a cutter case unit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seating unit and driven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rotating wheel part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utter case part; A second rotating wheel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tating wheel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utter case part; The first rotating wheel part and the second rotating wheel part are engag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o rotate as the first rotating wheel part and the second rotating wheel part rotate, and are fixed by the fixing part while descending together as the cutter case part descends. A wire saw for cutting the cut object; And a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utter case unit, and a first driving unit driving the first rotating wheel unit and a second driving unit driving the second rotating wheel unit,
It further comprises a transport unit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eating unit and configured to transfer the cut object cut by the cutting unit to the rear end,
The transfer unit may include a first sliding bar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seating unit; A second sliding ba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liding bar, facing the first sliding bar, and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seating portion; A first support fram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first sliding bar so as to be rotatable and slidable; A second support frame facing the first support frame and extending in a front-rear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liding bar so as to be rotatable and slidable;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are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transfer the cut object cut by the cutting part from the seating part. ; A first vertical fram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ing a rea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a second vertical fram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The first vertical frame may include a frame body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a rear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A wheel installed under the frame body to move the frame body; A first support provided below the first support frame and forming a first inclined surface facing the front of the frame body; A second support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frame body and form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fac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And a frame support provid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o buffer vibration or shock generated as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pproach or move away from each other, and
The frame support includes: a first support formed in a "+" shape to support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support part supporti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supporting the first support part seated on the upper part,
The first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four directions from the center so that the first pedestal, the second pedestal, the third pedestal, and the fourth pedestal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formed in a "+"shape; A first auxiliary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pedestal to support the first pedestal; A second auxiliary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pedestal to support the second pedestal; A third auxiliary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tip of the third pedestal to support the third pedestal; And a fourth auxiliary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ourth pedestal to support the fourth pedestal,
The second support portion, a box-shaped support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al box; An upper seating groove formed on the box-shaped support portion in a "+"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A first auxiliary seating groove recessed in a down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auxiliary support from one end of the upper seating groove facing the front end of the first support so that the first auxiliary support can be inserted; A second auxiliary seating groove recessed in a down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auxiliary support from one end of the upper seating groove facing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upport so that the second auxiliary support can be inserted; A third auxiliary seating groove recessed in a down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hird auxiliary support from one end of the upper seating groove facing the front end of the third support so that the third auxiliary support can be inserted; And a fourth auxiliary seating groove recessed in a down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ourth auxiliary support from one end of the upper seating groove facing the front end of the fourth support so that the fourth auxiliary support can be inserted. Including,
The first auxiliary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pedestal; A first pillar support portion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square pillar portion to support the square pillar portion in the first auxiliary seating groove portion; And a second column support part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square column part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column support part to support the square column part in the first auxiliary seating groove part,
The first pillar support portion, a first rotation plate portion inclined in a shear direction away from the rectangular pillar portion toward a lower side, and connected and installed so that an upper portion thereof rotates to the front end of the rectangular pillar portion; The first rotation plate part is inclined in a shear direction away from the square column part toward an upper side opposite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otation plate part so as to be symmetric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rotation plate part,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be rotatable to the front end of the square column part A second rotating plate portion installed; And a first mounting bar and the upper mounting respectively mounted in a lower mounting groove formed under the first rotating plate part and an upper mounting groove formed in an upper side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part, and installed across the lower mounting groove. Including; a close contact rotating portion mounted by a second mounting bar installed across the groove,
The close rotation part, a disk portion formed in a disk shape; A bearing part installed outside the disk part; A close contact wheel unit install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bearing unit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side of the disc unit; A first mounting groove formed through the disk portion so that the first mounting bar can penetrate and be seated therethrough, and extending from a lower front end of the disk portion to an inclined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disk portion; A first support elastic body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mounting bar seated in the first mounting groove portion to support the first mounting bar in the first mounting groove portion by using an elastic force; A second formed through the disk portion so that the second mounting bar penetrates and is seated, forms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the first mounting groove, and extends from a lower end of the disk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disk portion. Seating groove; And a second support elastic body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bar seat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portion and supporting the second mounting bar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portion by using an elastic force;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5658A KR102194338B1 (en) | 2020-09-28 | 2020-09-28 | Cut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5658A KR102194338B1 (en) | 2020-09-28 | 2020-09-28 | Cutt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4338B1 true KR102194338B1 (en) | 2020-12-22 |
Family
ID=7408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5658A Active KR102194338B1 (en) | 2020-09-28 | 2020-09-28 | Cut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4338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5715A (en) * | 1984-07-11 | 1986-02-04 | Daito Seiki Kk | Sway type band saw machine |
KR950003226U (en) * | 1993-07-29 | 1995-02-16 |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 Automatic cutting control device |
KR20070000027U (en) * | 2006-11-23 | 2007-01-05 | (주)훼미리종합상사 | Insert guide device for guiding and supporting band saw blade |
JP2010194656A (en) * | 2009-02-24 | 2010-09-09 | Hitachi Koki Co Ltd | Cutting device |
KR102096846B1 (en) | 2019-09-30 | 2020-04-03 | 주식회사 세경에스씨 | Steel sheet cutting apparatus |
KR102107166B1 (en) | 2020-02-25 | 2020-05-07 | 김용배 | Iron plate laser cutting device |
-
2020
- 2020-09-28 KR KR1020200125658A patent/KR10219433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5715A (en) * | 1984-07-11 | 1986-02-04 | Daito Seiki Kk | Sway type band saw machine |
KR950003226U (en) * | 1993-07-29 | 1995-02-16 |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 Automatic cutting control device |
KR20070000027U (en) * | 2006-11-23 | 2007-01-05 | (주)훼미리종합상사 | Insert guide device for guiding and supporting band saw blade |
JP2010194656A (en) * | 2009-02-24 | 2010-09-09 | Hitachi Koki Co Ltd | Cutting device |
KR102096846B1 (en) | 2019-09-30 | 2020-04-03 | 주식회사 세경에스씨 | Steel sheet cutting apparatus |
KR102107166B1 (en) | 2020-02-25 | 2020-05-07 | 김용배 | Iron plate laser cutt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4338B1 (en) | Cutting device | |
CN105314833B (en) | Scribing head and scribing device | |
CN104271296A (en) | Band saw machine | |
KR102248883B1 (en) | Bending apparatus | |
KR102083018B1 (en) | Steel pipe rotating device | |
JPH0821747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flat glass | |
KR20190128990A (en) | Apparatus for dividing substrate | |
JP2009057183A (en) | Stacker crane | |
KR102034452B1 (en) | Cutting device | |
KR20190016848A (en) | Tractor harvester | |
JP2002276731A (en) | Fall prevention device | |
JP4431788B2 (en) | Machine Tools | |
KR102213287B1 (en) | High place worktable wheel | |
JP7365920B2 (en) | Follower for bending machines | |
JP7365921B2 (en) | Follower for bending machines | |
KR102064383B1 (en) | Cutting device | |
JP2665234B2 (en) | Shearing machine | |
JP2012012237A (en) | Tool for setting distance between wheels | |
KR102809516B1 (en) | Automatic laser cutting device exclusively for wood cutting tools to prevent soot | |
CN222790761U (en) | Steel cold cutting edge device | |
JP4723304B2 (en) | Cross rail type machine tool | |
KR101797309B1 (en) | Appratus for cutting material | |
KR20190016847A (en) | Tractor harvester | |
KR10217268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reaking brittle material substrate | |
KR102198967B1 (en) | Replacing method of high place worktable whe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9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