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076B1 - cold water manufacturing system using waste heat - Google Patents
cold water manufacturing system using waste he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2076B1 KR102192076B1 KR1020200070424A KR20200070424A KR102192076B1 KR 102192076 B1 KR102192076 B1 KR 102192076B1 KR 1020200070424 A KR1020200070424 A KR 1020200070424A KR 20200070424 A KR20200070424 A KR 20200070424A KR 102192076 B1 KR102192076 B1 KR 1021920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pipe
- regenerator
- temperature
- heat mediu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79 crud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DGMKFQYCZXERLX-UHFFFAOYSA-N proglumide Chemical compound CCCN(CCC)C(=O)C(CCC(O)=O)NC(=O)C1=CC=CC=C1 DGMKFQYCZXERL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857 proglumide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1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 resor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32—Other features of fractionating columns ; Constructional details of fractionating colum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3/16 - B01D3/30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25B27/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using waste heat, e.g. from internal-combustion eng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orpt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5/00—Sorption refrigeration cycles or details thereof
- F25B2315/002—Generator absorber heat exchanger [GAX]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02A30/274—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using waste energy, e.g.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증류탑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폐열을 이용한 냉수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using waste heat of a new structure that is capable of improving economy by using waste heat discarded from a distillation column.
일반적으로, 용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산할 때 사용되는 냉수생산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냉매액이 저장된 재생기(10)와, 중간부에 압축기(22)가 구비된 제1 냉매관(21)을 통해 상기 재생기(10)에 연결된 응축기(20)와, 중간부에 팽창밸브(32)가 구비된 제2 냉매관(31)을 통해 상기 응축기(20)에 연결된 증발기(30)와, 제3 냉매관(41)을 통해 상기 증발기(30)에 연결된 흡수기(40)와, 상기 흡수기(40)와 재생기(10)를 연결하는 제4 및 제5 냉매관(51,52)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the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used to produce cold water by cooling water is a first refrigerant having a
상기 냉매액은 물과 흡수재가 혼합된 것으로, 상기 흡수재로는 암모니아나 리튬프로마이드 등이 주로 사용된다.The refrigerant liquid is a mixture of water and an absorbent, and ammonia or lithium promide is mainly used as the absorbent.
그리고, 상기 재생기(10)는 가열수단(A)이 구비되어, 가열수단(A)을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냉매액을 가열함으로써, 냉매액의 물이 증발하여 냉매액의 흡수재 농도가 상승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가열수단(A)은 전기히터 또는 가스히터를 이용한다.The heating means (A) uses an electric heater or a gas heater.
상기 응축기(20)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수관(23)이 구비되어, 상기 재생기(10)에서 냉매액을 가열하여 발생되는 증기가 상기 냉각수관(23)을 통과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각되어 응축되도록 한다.The
상기 증발기(30)는 상기 용수가 통과하는 용수관(33)이 구비되어, 증기가 상기 응축기(20)와 증발밸브를 통과하여 응축된 물이 내부에서 증발되면서 상기 냉각관을 통과하는 용수를 냉각시키도록 한다.The
상기 흡수기(40)는 흡수재의 농도가 높은 냉매액이 내부에 저장된 것으로, 상기 증발기(30)에서 물이 증발하면서 발생된 증기를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The absorber 40 stores a refrigerant liquid having a high concentration of the absorbent therein, and functions to absorb vapor generated when water evaporates in the
상기 제4 및 제5 냉매관(51,52)은 중간부에 순환펌프(53)가 구비되어, 상기 흡수기(40)에 저장된 냉매액을 상기 재생기(10)로 공급하고, 재생기(10)의 내부에서 가열되어 농도가 높아진 냉매액을 상기 흡수기(40)로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 및 제5 냉매관(51,52)의 중간부에는 열교환기(54)가 구비되어, 흡수기(40)에서 재생기(10)로 공급되는 냉매액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재생기(10)에서 흡수기(40)로 공급되는 냉매액의 온도를 낮추도록 구성된다.The fourth and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A)과 응축기(20)와 순환펌프(53)를 구동시키면, 상기 용수관(33)을 통해 순환되는 용수가 냉각되어 차가운 냉수를 얻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heating means (A), the
그런데, 이러한 냉수생산시스템은 상기 재생기(10)에 구비된 가열수단(A)이 전기나 가스를 이용하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히터를 이용함으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in such a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the heating means (A) provided in the
한편, 원유를 정유하거나, 기타 다양한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증류탑(60)이 구비된다.Meanwhile, a
상기 증류탑(60)은 정제할 액체혼합물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각각의 액체의 증발온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액체혼합물을 각각의 액체 또는 가스로 정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단에는 배출관(61)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61)에는 냉각장치(62)가 구비되어, 내부에서 발생된 고온의 물질이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면서 냉각장치(62)를 통과하여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이 응축되어 증류탑(60)으로 순환되거나, 별도의 저장탱크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은 130~170℃정도의 고온이며, 상기 냉각장치(62)는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을 충분히 낮은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됨으로,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At this time, the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류탑(60)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폐열을 이용한 냉수생산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using waste heat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by using waste heat discarded from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냉매액이 저장된 재생기(10)와, 중간부에 압축기(22)가 구비된 제1 냉매관(21)을 통해 상기 재생기(10)에 연결된 응축기(20)와, 중간부에 팽창밸브(32)가 구비된 제2 냉매관(31)을 통해 상기 응축기(20)에 연결된 증발기(30)와, 제3 냉매관(41)을 통해 상기 증발기(30)에 연결된 흡수기(40)와, 상기 흡수기(40)와 재생기(10)를 연결하는 제4 및 제5 냉매관(51,52)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기(10)에는 내부에 저장된 냉매액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A)이 구비된 냉수생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A)은 증류탑(60)에 구비되어 증류탑(6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물질과 열교환하는 제1 열교환기(71)와, 상기 재생기(10)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과 열교환되는 제2 열교환기(72)와,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기(71,72)를 상호 연결하는 제1 및 제2 순환관(73,74,75)과, 상기 제1 순환관(73,74)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열매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76)와, 상기 제1 또는 제2 순환관(73,74,75)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76)에 저장된 열매체가 상기 제1 순환관(73,74)을 통해 상기 제1 열교환기(71)로 공급되어 가열되도록 한 후 상기 제2 순환관(75)을 통해 상기 제2 열교환기(72)로 공급되어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을 가열하고 상기 제1 순환관(73,74)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76)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생산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또한, 상기 가열수단(A)은 상기 제1 열교환기(71)의 전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류탑(60)에서 상기 제1 열교환기(71)로 열매체를 공급할 때, 설정된 양 이상의 열매체는 냉각장치(62)로 배출하는 바이패스 배관(7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생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means (A) is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rst heat exchanger (71), when supplying the heat medium from the distillation column (60) to the first heat exchanger (71), the heat medium above a set amount is cool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ypass pipe (79) discharged to the device (62).
또한, 상기 가열수단(A)은 상기 제2 순환관(75)에 설치되어, 재생기(10)로 배출되는 열매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상승하면 상기 바이패스 배관(79)으로 공급되고, 기 설정된 온도보다 하락하면 상기 제2 열교환기(72)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온도센서(T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생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means (A) is installed in the second circulation pipe (75),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medium discharged to the
또한, 열매체를 냉각시키는 상기 냉각장치(62)와 연결되어, 냉각장치(62)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컨트롤 시스템(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생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또한, 상기 열매체는 일반적인 물을 이용하며, 상기 순환펌프(77)는 상기 열매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제1 열교환기(71)를 통과한 열매체는 100℃로 가열되고, 상기 열매체가 상기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과 열교환하여 냉매액을 가열한 열매체는 70℃로 냉각되어 상기 저장탱크(76)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생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medium uses general water, and the
또한, 상기 응축기(20)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수관(23)이 구비되어, 상기 재생기(10)에서 냉매액을 가열하여 발생되는 증기가 상기 냉각수관(23)과 열교환되어 냉각되어 응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냉각수관(23)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27℃이며 상기 냉각수관(23)을 통과하면서 상기 응축기(20)를 통과하는 증기와 열교환하여 37℃로 가열되어 배출되도록 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생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증발기(30)는 상기 용수가 통과하는 용수관(33)이 구비되어 상기 증기가 상기 응축기(20)와 증발밸브를 통과하여 응축된 물이 내부에서 증발되면서 상기 용수관(33)을 통과하는 용수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수관(33)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는 12℃이며 상기 용수관(33)을 통과하면서 7℃로 냉각되어 배출되도록 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생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증류탑(60)의 상단에는 배출관(61)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61)에는 냉각장치(62)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탱크(76)에 구비되어 저장탱크(76)에 저장된 열매체를 냉각시키는 열매체냉각장치(78)와, 상기 저장탱크(76)에 구비되어 저장탱크(76)에 저장된 냉매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81)와, 상기 배출관(61)에 구비되어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82)와,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센서(8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열매체냉각장치(7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83)은 상기 제1 온도센서(81)에 측정된 냉매액의 온도가 70℃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열매체냉각장치(78)를 제어하여 저장탱크(76)에 저장된 냉매액의 온도가 70℃로 냉각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온도센서(82)에 의해 측정된 물질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열매체냉각장치(78)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탱크(76)에 저장된 냉매를 온도를 60~65℃로 냉각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생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본 발명에 따른 냉수생산시스템은, 상기 가열수단(A)이 증류탑(60)에 구비되어 증류탑(6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물질과 열교환하는 제1 열교환기(71)와, 상기 재생기(10)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과 열교환되는 제2 열교환기(72)와,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기(71,72)를 상호 연결하는 제1 및 제2 순환관(73,74,75)과, 상기 제1 순환관(73,74)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열매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76)와, 상기 제1 순환관(73,74)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76)에 저장된 열매체가 상기 제1 순환관(73,74)을 통해 상기 제1 열교환기(71)로 공급되어 가열되도록 한 후 상기 제2 순환관(75)을 통해 상기 제2 열교환기(72)로 공급되어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을 가열하고 상기 제1 순환관(73,74)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76)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77)로 구성되어, 상기 증류탑(6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물질의 열을 이용하여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을 가열한다.The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따라서, 전기히터나 가스히터를 이용하여 냉매액을 가열하는 종래의 냉수생산시스템과 달리, 별도의 전기나 가스를 이용하지 않음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unlike a conventional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that heats a refrigerant liquid using an electric heater or a gas heater,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by not using separate electricity or gas.
도 1은 종래의 냉수생산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증류탑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생산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생산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생산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생산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생산시스템의 제3 실시예의 회로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distillation colum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ircuit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a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생산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12℃의 용수를 7℃로 냉각시켜 배출하도록 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that water at 12° C. is cooled to 7° C. and discharged.
이에 따르면, 상기 냉수생산시스템은 내부에 냉매액이 저장된 재생기(10)와, 중간부에 압축기(22)가 구비된 제1 냉매관(21)을 통해 상기 재생기(10)에 연결된 응축기(20)와, 중간부에 팽창밸브(32)가 구비된 제2 냉매관(31)을 통해 상기 응축기(20)에 연결된 증발기(30)와, 제3 냉매관(41)을 통해 상기 증발기(30)에 연결된 흡수기(40)와, 상기 흡수기(40)와 재생기(10)를 연결하는 제4 및 제5 냉매관(51,52)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According to this, the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includes a
이때, 상기 재생기(10)에는 내부에 저장된 냉매액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A)이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응축기(20)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수관(23)이 구비되어, 상기 재생기(10)에서 냉매액을 가열하여 발생되는 증기가 상기 냉각수관(23)을 통과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각되어 응축되도록 하고, 상기 증발기(30)는 상기 용수가 통과하는 용수관(33)이 구비되어, 상기 응축기(20)와 증발밸브를 통과하여 응축된 물이 내부에서 증발되면서 상기 냉각관을 통과하는 용수를 냉각시키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4 및 제5 냉매관(51,52)은 중간부에 순환펌프(53)가 구비되어, 상기 흡수기(40)에 저장된 냉매액을 상기 재생기(10)로 공급하고, 재생기(10)의 내부에서 가열되어 농도가 높아진 냉매액을 상기 흡수기(40)로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 및 제5 냉매관(51,52)의 중간부에는 열교환기(54)가 구비되어, 흡수기(40)에서 재생기(10)로 공급되는 냉매액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재생기(10)에서 흡수기(40)로 공급되는 냉매액의 온도를 낮추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ourth an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열수단(A)은 증류탑(60)에 구비되어 증류탑(6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물질과 열교환하는 제1 열교환기(71)와, 상기 재생기(10)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과 열교환되는 제2 열교환기(72)와,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기(71,72)를 상호 연결하는 제1 및 제2 순환관(73,74,75)과, 상기 제1 순환관(73,74)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열매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76)와, 상기 제1 순환관(73,74)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76)에 저장된 열매체가 상기 제1 순환관(73,74)을 통해 상기 제1 열교환기(71)로 공급되어 가열되도록 한 후 상기 제2 순환관(75)을 통해 상기 제2 열교환기(72)로 공급되어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을 가열하고 상기 제1 순환관(73,74)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76)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77)로 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means (A) is provided in the distillation column (60), the first heat exchanger (71)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hot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distillation column (60), and the regenerator (10). A
이때, 상기 증류탑(60)의 상단에는 배출관(61)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61)에는 냉각장치(62)가 구비되어, 내부에서 발생된 고온의 물질이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면서 냉각장치(62)를 통과하여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이 응축되어 증류탑(60)으로 순환되거나, 별도의 저장탱크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a
상기 제1 열교환기(71)는 상기 배출관(61)의 중간부에 상기 냉각장치(62)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물질과 열교환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제2 열교환기(72)는 상기 재생기(10)의 내부에,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에 잠기도록 설치된다.The
상기 제1 순환관(73,74)은 상기 제1 열교환기(71)와 저장탱크(76)를 연결하는 제1 순환관부(73)와, 상기 저장탱크(76)와 제2 열교환기(72)를 연결하는 제2 순환관부(74)로 구성된다.The first circulation pipe (73, 74) includes a first circulation pipe portion (73) connecting the first heat exchanger (71) and the storage tank (76), and the storage tank (76)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72). ) Is composed of a second
상기 열매체는 일반적인 물을 이용한다.The heating medium uses general water.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77)는 상기 제2 순환관부(74)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순환펌프(77)는 상기 열매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제1 열교환기(71)를 통과한 열매체는 100℃로 가열되고, 상기 열매체가 상기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과 열교환하여 냉매액을 가열한 열매체는 70℃로 냉각되어 상기 저장탱크(76)로 배출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이를 위해, 상기 냉각수관(23)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27℃이며 상기 냉각수관(23)을 통과하면서 상기 응축기(20)를 통과하는 증기와 열교환하여 37℃로 가열되어 배출되도록 유량이 조절된다.To this end, the cool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cooling
또한, 상기 용수관(33)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는 12℃이며 상기 용수관(33)을 통과하면서 7℃로 냉각되어 배출되도록 유량이 조절된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따라서, 상기 순환펌프(77)를 구동시키면, 상기 저장탱크(76)에 저장된 열매체가 상기 제1 순환관(73,74)을 통해 상기 제1 열교환기(71)로 공급되어 100℃로 가열되도록 한 후 상기 제2 순환관(75)을 통해 상기 제2 열교환기(72)로 공급되어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을 가열하면서 70℃로 냉각된다.Therefore, when the
그리고, 이와 같이 냉각된 열매체는 상기 제1 순환관(73,74)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76)로 순환되어 저장된다.In addition, the heat medium cooled in this way is circulated and stored i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냉수생산시스템은, 상기 가열수단(A)이 증류탑(60)에 구비되어 증류탑(6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물질과 열교환하는 제1 열교환기(71)와, 상기 재생기(10)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과 열교환되는 제2 열교환기(72)와, 상기 제1및 제2 열교환기(71,72)를 상호 연결하는 제1 및 제2 순환관(73,74,75)과, 상기 제1 순환관(73,74)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열매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76)와, 상기 제1 순환관(73,74)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76)에 저장된 열매체가 상기 제1 순환관(73,74)을 통해 상기 제1 열교환기(71)로 공급되어 가열되도록 한 후 상기 제2 순환관(75)을 통해 상기 제2 열교환기(72)로 공급되어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을 가열하고 상기 제1 순환관(73,74)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76)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77)로 구성되어, 상기 증류탑(6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물질의 열을 이용하여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을 가열한다.The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따라서, 전기히터나 가스히터를 이용하여 냉매액을 가열하는 종래의 냉수생산시스템과 달리, 별도의 전기나 가스를 이용하지 않음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unlike a conventional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that heats a refrigerant liquid using an electric heater or a gas heater,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by not using separate electricity or gas.
특히, 상기 증류탑(6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물질과 열교환하여 열매체를 가열함으로, 열매체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증류탑(60)에 연결되는 냉각장치(62)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냉각장치(62)를 이용하여 증류탑(6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물질을 냉각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by heating the heat medium by heat exchange with the high-temperature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그리고, 상기 열매체는 일반적인 물을 이용하며, 상기 순환펌프(77)는 상기 제1 열교환기(71)를 통과한 열매체가 100℃로 가열되고, 상기 열매체가 상기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과 열교환하여 냉매액을 가열한 열매체는 70℃로 냉각되어 상기 저장탱크(76)로 배출되도록 유량이 조절됨으로, 열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을 가열하는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eat medium uses general water, and the
특히, 상기 냉각수관(23)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27℃이며 상기 냉각수관(23)을 통과하면서 상기 응축기(20)를 통과하는 증기와 열교환하여 37℃로 가열되어 배출되도록 유량이 조절되고, 상기 용수관(33)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는 12℃이며 상기 용수관(33)을 통과하면서 7℃로 냉각되어 배출되도록 유량이 조절됨으로,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재생기(10)에서 냉매액을 가열하여 발생되는 증기를 냉각시키는 효율과 용수의 냉각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cool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cooling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저장탱크(76)에 구비되어 저장탱크(76)에 저장된 열매체를 냉각시키는 열매체냉각장치(78)와, 상기 저장탱크(76)에 구비되어 저장탱크(76)에 저장된 냉매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81)와, 상기 배출관(61)에 구비되어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82)와,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센서(8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열매체냉각장치(7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3)이 더 구비된다.4 and 5 show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상기 열매체냉각장치(78)는 양단이 상기 저장탱크(76)에 연결되며 중간부에 순환펌프(78b)가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76)에 저장된 열매체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된 순환관(78a)과, 상기 순환관(78a)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순환관(78a)을 통과하는 열매체가 공냉되도록 하는 방열기(78c)로 구성된다.The heat
이때, 상기 방열기(78c)의 일측에는 환기팬(78d)이 구비되어, 상기 방열기(78c)로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a
따라서, 상기 순환펌프(78b)와 방열기(78c)의 환기팬(78d)을 작동시키면, 상기 저장탱크(76)에 저장된 고온의 열매체가 상기 방열기(78c)를 통과하면서 공냉되어, 저장탱크(76)에 저장된 열매체를 빠르게 냉각시킨다.Therefore, when the
상기 제어수단(83)은 상기 제1 온도센서(81)의 신호를 감시하여, 측정된 냉매액의 온도가 70℃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열매체냉각장치(78)를 제어하여 저장탱크(76)에 저장된 냉매액의 온도가 70℃로 냉각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means 83 monitors the signal of the
즉, 의도하지 않은 원인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76)에 저장된 냉매액의 온도가 70℃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냉매액과 상기 배출관(61)으로 배출되는 물질을 열교환시킬 때, 배출관(61)으로 배출되는 물질의 온도를 정해진 온도로 낮추지 못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liquid stored in the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83)은 상기 저장탱크(76)에 저장된 냉매액의 온도가 70℃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열매체냉각장치(78)를 작동시켜 강제로 저장탱크(76)에 저장된 냉매액의 온도를 70℃로 낮춤으로써, 배출관(61)으로 배출되는 물질을 적절한 온도로 낮출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liquid stored in the
또한, 상기 제어수단(83)은 상기 제2 온도센서(82)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본 실시예의 경우, 180℃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열매체냉각장치(78)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탱크(76)에 저장된 냉매를 온도를 60~65℃로 냉각시키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83 detects the signal of the
즉,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의 온도는 130~170℃인데, 어떠한 원인에 의해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의 온도가 180℃으로 상승될 경우, 상기 배출관(61)에 구비된 냉각장치(62)를 이용하여 물질의 온도를 충분히 냉각시키지 못하게 되며, 심할 경우, 냉각장치(62)에 부하가 걸려 냉각장치(62)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이러한 경우, 상기 열매체냉각장치(78)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탱크(76)에 저장된 열매체의 온도를 통상의 70℃보다 낮은 60~65℃로 냉각시키면, 열매체가 상기 제1 열교환기(71)를 통과하면서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의 열을 더욱 많이 흡수함으로써,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냉각장치(62)로 공급되는 물질의 온도를 통상적인 온도로 낮출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medium stored in the
따라서, 상기 냉각장치(62)가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의 온도를 충분히 냉각시키지 못하거나, 냉각장치(62)에 부하가 걸려 냉각장치(6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생산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냉수생산시스템은 바이패스 배관(79), 제1 온도센서(T1), 제2 온도센서(T2), 제1 조절밸브(V1), 제2 조절밸브(V2), 제3 조절밸브(V3) 및 컨트롤 시스템(90)을 포함할 수 있다.6 and 7 are configuration diagram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includes a bypass pipe (79), a first temperature sensor (T1), a second temperature sensor (T2), a first control valve (V1), a second control valve (V2), and a third control valve (V3). And a
바이스패스 배관(79)은 제1 열교환기(21)의 전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이패스 배관(79)의 일 단은 배출관(61)과 제1 열교환기(71) 사이에 연결되고, 바이패스 배관(79)의 타 단은 제1 열교환기(71)와 냉각장치(6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The
증류탑(60) 상부에서 배출되는 열매체가 배출관(61)을 통해 제1 열교환기(71)에 연결되는데, 이때, 열매체는 재생기(10)에 필요한 열량의 열매체만 제1 열교환기(71)로 보내고, 나머지는 바이패스 배관(79)을 통해 냉각장치(62)로 보낼 수 있다.The heat medium discharged from the top of the
배출관(61)과 제1 열교환기(71) 사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배관(79)에 제1 조절밸브(V1)가 설치되고, 배출관(61)과 제1 열교환기(71)를 연결하는 배관에 제2 조절밸브(V2)가 설치되어, 제1 열교환기(71)로의 공급 또는 바이패스 배관(79)으로 공급되는 열매체의 이동이 조절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valve (V1) is installed in the bypass pipe (79) connected between the discharge pipe (61)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71), and a pipe that connects the discharge pipe (61)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71) A second control valve (V2) is installed in th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heat medium supplied to the
제1 온도센서(T1)는 제2 순환관(75)에 설치되어, 재생기(10)로 배출되는 열매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온도센서(T1)는 재생기(10)에 열을 공급하는 열매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열교환기(72)와 연결되는 제2 순환관(75)에 설치되어 열매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sensor T1 is installed in the
제1 온도센서(T1)에서 감지된 열매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상승하면 제2 조절밸브(V2)가 차폐되어 바이패스 배관(79)으로 공급되고, 제1 온도센서(T1)에서 감지된 열매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하락하면 제2 조절밸브(V2)가 개방되어 제2 열교환기(72)로 열매체가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온도센서(T1)가 열매체의 온도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제1 온도센서(T1)와 제2 온도센서(T2)가 차폐 및 개방됨에 따라 온도가 일정하게 열매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medium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T1 rises above a preset temperature, the second control valve V2 is shielded and supplied to the
컨트롤 시스템(90)은 냉각장치(62)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증류탑(60) 상부에서 배출되는 열매체가 제1 열교환기(71)에서 충분히 냉각되지 못하거나, 제1 조절밸브(V1)를 통해 바이패스 배관(79)으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열매체가 완전히 냉각될 수 있도록, 냉각장치(62)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컨트롤 시스템(90)과 냉각장치(62) 사이에 제3 조절밸브(V3)를 설치하여, 컨트롤 시스템(90)에서 냉각장치(62)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Specifically, by installing a third control valve (V3) between the
또한, 냉각장치(62) 후단에 제2 온도센서(T2)를 설치하여, 냉각장치(62)가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의 온도를 충분히 냉각시키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T2 at the rear end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 재생기
20. 응축기
30. 증발기
40. 흡수기
51,52. 제4 및 제5 냉매관
60. 증류탑10. Regenerator
20. Condenser
30. Evaporator
40. Absorber
51,52. 4th and 5th refrigerant pipes
60. Distillation column
Claims (8)
중간부에 압축기(22)가 구비된 제1 냉매관(21)을 통해 상기 재생기(10)에 연결된 응축기(20)와,
중간부에 팽창밸브(32)가 구비된 제2 냉매관(31)을 통해 상기 응축기(20)에 연결된 증발기(30)와,
제3 냉매관(41)을 통해 상기 증발기(30)에 연결된 흡수기(40)와,
상기 흡수기(40)와 재생기(10)를 연결하는 제4 및 제5 냉매관(51,52)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기(10)에는 내부에 저장된 냉매액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A)이 구비된 냉수생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A)은
증류탑(60)에 구비되어 증류탑(6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물질과 열교환하는 제1 열교환기(71)와,
상기 재생기(10)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과 열교환되는 제2 열교환기(72)와,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기(71,72)를 상호 연결하는 제1 및 제2 순환관(73,74,75)과,
상기 제1 순환관(73,74)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열매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76)와,
상기 제1 또는 제2 순환관(73,74,75)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76)에 저장된 열매체가 상기 제1 순환관(73,74)을 통해 상기 제1 열교환기(71)로 공급되어 가열되도록 한 후 상기 제2 순환관(75)을 통해 상기 제2 열교환기(72)로 공급되어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을 가열하고, 상기 제1 순환관(73,74)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76)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77)와,
상기 제1 열교환기(71)의 전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류탑(60)에서 상기 제1 열교환기(71)로 열매체를 공급할 때, 설정된 양 이상의 열매체는 냉각장치(62)로 배출하는 바이패스 배관(7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생산시스템.
A regenerator 10 in which the refrigerant liquid is stored,
A condenser 20 connected to the regenerator 10 through a first refrigerant pipe 21 having a compressor 22 in the middle,
An evaporator 30 connected to the condenser 20 through a second refrigerant pipe 31 provided with an expansion valve 32 in the middle,
An absorber 40 connected to the evaporator 30 through a third refrigerant pipe 41,
It includes fourth and fifth refrigerant pipes 51 and 52 connecting the absorber 40 and the regenerator 10,
In the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in which the regenerator 10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A) for heating the refrigerant liquid stored therein,
The heating means (A) is
A first heat exchanger 71 provided in the distillation column 60 to exchange heat with a high-temperature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distillation column 60,
A second heat exchanger 72 provided in the regenerator 10 and heat-exchanging with the refrigerant liquid stored in the regenerator 10,
First and second circulation pipes (73,74,75) inter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71,72),
A storage tank 76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circulation pipe 73 and 74 and storing a heat medium therein,
The heat medium provided in the first or second circulation pipe (73,74,75) and stored in the storage tank (76) is supplied to the first heat exchanger (71)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pipe (73,74) And heated, and then suppli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72 through the second circulation pipe 75 to heat the refrigerant liquid stored in the regenerator 10, and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pipes 73 and 74 A circulation pump 77 to be circulated to the storage tank 76,
A bypass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rst heat exchanger 71 to discharge the heat medium more than a set amount to the cooling device 62 when supplying the heat medium from the distillation column 60 to the first heat exchanger 71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ipe (79).
상기 가열수단(A)은
상기 제2 순환관(75)에 설치되어, 재생기(10)로 배출되는 열매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상승하면 상기 바이패스 배관(79)으로 공급되고, 기 설정된 온도보다 하락하면 상기 제2 열교환기(72)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온도센서(T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생산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ing means (A) is
It is installed in the second circulation pipe 75 and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 medium discharged to the regenerator 10, and when the sensed temperature rises above a preset temperature, it is supplied to the bypass pipe 79, and a preset temperature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T1) to be suppli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72) when it falls.
열매체를 냉각시키는 상기 냉각장치(62)와 연결되어, 냉각장치(62)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컨트롤 시스템(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생산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comprising a control system (90) connected to the cooling device (62) for cooling the heat medium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cooling device (62).
상기 열매체는 일반적인 물을 이용하며,
상기 순환펌프(77)는 상기 열매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제1 열교환기(71)를 통과한 열매체는 100℃로 가열되고, 상기 열매체가 상기 재생기(10)에 저장된 냉매액과 열교환하여 냉매액을 가열한 열매체는 70℃로 냉각되어 상기 저장탱크(76)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생산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ing medium uses general water,
The circulation pump 77 adjusts the flow rate of the heat medium, so that the heat medium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71 is heated to 100°C, and the heat medium heat exchanges with the refrigerant liquid stored in the regenerator 10 to A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medium heated by the liquid is cooled to 70° C. and discharged to the storage tank (76).
상기 응축기(20)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수관(23)이 구비되어, 상기 재생기(10)에서 냉매액을 가열하여 발생되는 증기가 상기 냉각수관(23)과 열교환되어 냉각되어 응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냉각수관(23)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27℃이며 상기 냉각수관(23)을 통과하면서 상기 응축기(20)를 통과하는 증기와 열교환하여 37℃로 가열되어 배출되도록 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생산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denser 20 is provided with a cooling water pipe 23 through which cooling water passes, and the steam generated by heating the refrigerant liquid in the regenerator 10 is heat-exchanged with the cooling water pipe 23 to cool and condense, The cool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cooling water pipe 23 is 27°C, and the flow rate is adjusted to be heated to 37°C by heat exchange with the steam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20 while passing through the cooling water pipe 23 and discharged.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상기 증발기(30)는 용수가 통과하는 용수관(33)이 구비되어 상기 증기가 상기 응축기(20)와 증발밸브를 통과하여 응축된 물이 내부에서 증발되면서 상기 용수관(33)을 통과하는 용수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수관(33)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는 12℃이며 상기 용수관(33)을 통과하면서 7℃로 냉각되어 배출되도록 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생산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evaporator 30 is provided with a water pipe 33 through which the water passes, so that the steam passes through the condenser 20 and the evaporation valve, and the condensed water is evaporated from the inside, and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water pipe 33 The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rate is adjusted to be cooled to 7°C while passing through the water pipe (33) and discharged, an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pipe (33) is 12°C.
상기 증류탑(60)의 상단에는 배출관(61)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61)에는 냉각장치(62)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탱크(76)에 구비되어 저장탱크(76)에 저장된 열매체를 냉각시키는 열매체냉각장치(78)와,
상기 저장탱크(76)에 구비되어 저장탱크(76)에 저장된 냉매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81)와,
상기 배출관(61)에 구비되어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82)와,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센서(8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열매체냉각장치(7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83)은 상기 제1 온도센서(81)에 측정된 냉매액의 온도가 70℃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열매체냉각장치(78)를 제어하여 저장탱크(76)에 저장된 냉매액의 온도가 70℃로 냉각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온도센서(82)에 의해 측정된 물질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열매체냉각장치(78)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탱크(76)에 저장된 냉매를 온도를 60~65℃로 냉각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생산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A discharge pipe 61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distillation column 60,
The discharge pipe 61 is provided with a cooling device 62,
A heat medium cooling device 78 provided in the storage tank 76 to cool the heat medium stored in the storage tank 76,
A first temperature sensor 81 provided in the storage tank 76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liquid stored in the storage tank 76,
A second temperature sensor 82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61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6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means (83)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82)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medium cooling device (78),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liquid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81 rises above 70° C., the control means 83 controls the heat medium cooling device 78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liquid stored in the storage tank 76. Is cooled to 70° C.,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material measur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82 rises above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heat medium cooling device 78 is controlled and the refrigerant stored in the storage tank 76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cool the temperature to 60 ~ 65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0697 | 2019-12-19 | ||
KR20190170697 | 2019-12-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2076B1 true KR102192076B1 (en) | 2020-12-16 |
Family
ID=74042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0424A Active KR102192076B1 (en) | 2019-12-19 | 2020-06-10 | cold water manufacturing system using waste hea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207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036626A (en) * | 2022-11-22 | 2023-05-02 | 安徽海华科技集团有限公司 | Quick high-efficient dewatering system of reaction raw material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8644A (en) * | 1999-09-22 | 2001-04-06 | 구자홍 | puvging device in ammonia absorption heat pump |
JP2003269815A (en) * | 2002-03-13 | 2003-09-25 | Takuma Co Ltd | Exhaust heat recovery type absorption refrigerator |
KR100676894B1 (en) * | 2000-12-30 | 2007-01-31 | 한라공조주식회사 | Refrigeration system using waste heat of electricity generator for fuel cell |
KR101071409B1 (en) | 2011-05-11 | 2011-10-07 | 문감사 | Hot and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using two-stage heat pump cycle |
KR101218547B1 (en) * | 2011-09-07 | 2013-01-09 | 진주환 | Composion refrigerator |
JP2018141564A (en) * | 2017-02-27 | 2018-09-13 |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 Waste heat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and absorption chiller |
-
2020
- 2020-06-10 KR KR1020200070424A patent/KR1021920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8644A (en) * | 1999-09-22 | 2001-04-06 | 구자홍 | puvging device in ammonia absorption heat pump |
KR100676894B1 (en) * | 2000-12-30 | 2007-01-31 | 한라공조주식회사 | Refrigeration system using waste heat of electricity generator for fuel cell |
JP2003269815A (en) * | 2002-03-13 | 2003-09-25 | Takuma Co Ltd | Exhaust heat recovery type absorption refrigerator |
KR101071409B1 (en) | 2011-05-11 | 2011-10-07 | 문감사 | Hot and cold water production system using two-stage heat pump cycle |
KR101218547B1 (en) * | 2011-09-07 | 2013-01-09 | 진주환 | Composion refrigerator |
JP2018141564A (en) * | 2017-02-27 | 2018-09-13 |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 Waste heat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and absorption chill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036626A (en) * | 2022-11-22 | 2023-05-02 | 安徽海华科技集团有限公司 | Quick high-efficient dewatering system of reaction raw materials |
CN116036626B (en) * | 2022-11-22 | 2023-09-29 | 安徽海华科技集团有限公司 | Quick high-efficient dewatering system of reaction raw material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11157B2 (en) | Gas vaporizer with cold energy recovery function and cold energy recovery device | |
JP4981589B2 (en) | Solar power generation / heat collection combined use device | |
CN106765760A (en) | A kind of heating system for reclaiming computer room liquid-cooling heat radiation amount | |
JP6415378B2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JP6689801B2 (en) | Solar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2192076B1 (en) | cold water manufacturing system using waste heat | |
KR860002042B1 (en) | Control method of hop type cold and hot water system | |
KR100193333B1 (en) | Absorption Chiller | |
KR100711788B1 (en) | High Efficiency Cogeneration System | |
KR20100054288A (en) | Cooling and heating system of greenhouse using heat pump | |
CN101545695B (en) | Absorption type water cooling and warming machine | |
EP0042434B1 (en) | Method of amplifying heat | |
CN214249761U (en) | Waste heat recycling system | |
KR101684669B1 (en) | Cooling and heating system using solar heat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CN101545696A (en) | Absorption type water cooling and warming machine | |
JP4842717B2 (en) | Absorption chiller operation method and absorption chiller operation system | |
JP2007333342A (en) | Multi-effect absorption refrigerating machine | |
CN211848158U (en) |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Chlor-Alkali Plants | |
KR101137582B1 (en) | Single and double effect absorption refrigerat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1255955B1 (en) | Exhaust gas heat recovery device and absorption refrigerator | |
CA2612787A1 (en) | Heating apparatus | |
JP4315855B2 (en) | Absorption refrigerator | |
JPH09318188A (en) | Method of controlling absorption cold/hot water generator | |
KR20200109657A (en) | Air Radiator Cooler package system for onshore generating plant | |
JP6132821B2 (en) |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6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10414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1041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