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89791B1 -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791B1
KR102189791B1 KR1020187031773A KR20187031773A KR102189791B1 KR 102189791 B1 KR102189791 B1 KR 102189791B1 KR 1020187031773 A KR1020187031773 A KR 1020187031773A KR 20187031773 A KR20187031773 A KR 20187031773A KR 102189791 B1 KR102189791 B1 KR 102189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steel
dip galvanized
galvanized steel
h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6580A (ko
Inventor
씬옌 진
치 양
리 왕
구앙쿠이 후
Original Assignee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7588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897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filed Critical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Publication of KR20180126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7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 metal other than iron or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74Methods of treatment in inert gas, controlled atmosphere, vacuum or pulverulen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74Methods of treatment in inert gas, controlled atmosphere, vacuum or pulverulent material
    • C21D1/76Adjusting the composition of the atmosp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3/00Diffusion processes for extraction of non-metals; Furnaces therefor
    • C21D3/02Extraction of non-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involving a particular fabrication or treatment of ingot or slab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5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with diffusion of elements, e.g. decarburising, nitri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7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23C2/02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23C2/02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heating
    • C23C2/022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heating in a reactive atmosphere, e.g. oxidising or reducing atmosp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23C2/02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heating
    • C23C2/0224Two or more thermal pretrea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23C2/024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cleaning or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23C2/026Deposition of sublayers, e.g. adhesion layers or pre-applied alloying elements or corrosion prot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강철의 핵 부분에 위치한 강철 기판 (1) 및 그 표면에 위치한 피막 층 (3)을 포함하고; 계면 층이 상기 강철 기판 (1) 및 상기 피막 층 (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계면 층은 철 입자 층 (4)을 포함하고, 상기 강철 기판 (1) 상에 분산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강철 기판 (1)을 덮고 있는 철 입자가 상기 철 입자 층 (4)에 위치하며, 상기 철 입자는 제 1 억제 층 (5)으로 덮여있고; 3.0% 내지 7.0%의 질량 퍼센트의 원소 Al을 포함하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이 제공된다. 이에 상응하여,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은 저밀도, 높은 강도 및 높은 아연도금성 및 피막 층 부착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저밀도 강철, 및 더 구체적으로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관련되어 있다.
환경 규제와 에너지 절약 및 소비 감소에 대한 높아지는 요구에 따라, 경량화는 자동차의 발전 방향 중 하나이다. 소재 관점에서 경량 자동차를 달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강철 대신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과 같은 가벼운 합금을 사용하거나; 소재의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저강도 강철 대신 고강도 강철을 사용하거나; 강철의 밀도를 감소시킴으로써 강철의 비강도를 증가시키는 것, 즉 저밀도 강철을 개발하는 것이다.
알루미늄은 강철보다 훨씬 낮은 밀도를 갖기 때문에, 선행 기술에서, 소재 밀도의 감소는 강철에 일정량의 알루미늄을 첨가함으로써 달성되었다.
예를 들어, "고강도 극저탄소 저밀도 강철 및 상기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명명된 중국 특허 (공개 번호: CN104220609A, 공개일: 2014년 12월 17일)는 고강도 극저탄소 저밀도 강철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이때 상기 강철은 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중량 퍼센트 6 내지 9%의 Al 함량을 갖고 있다.
또한, "우수한 스탬핑 능력을 갖는 저밀도 강철"로 명명된 중국 특허 (공개 번호: CN101755057A, 공개일: 2010년 6월 23일)는 열간 압연 페라이트 강철 판을 개시하고, 이때 Al 함량은 6%≤Al≤10%이다.
연속적 용융도금 과정에서, 열처리된 띠강을 아연 배스에 담그고, 또한 금속 또는 합금 층 (예를 들어 Zn, Zn-Al, Zn-Al-Mg 등)을 띠강의 표면에 도금하여 띠강의 내식성을 개선한다. 일반적인 강종 (ordinary steel grades)의 용융 아연도금은 잘 알려진 기술이다. 그러나, 원소 Si 및 Mn의 함량이 높은 고강도 강철 및 진보된 고강도 강철의 용융 아연도금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아연도금성에 어려움을 갖는다: 용융도금 전의 열처리 대기환경은 Fe에 대하여 환원성이지만, Si 및 Mn에 대해서 산화성이고, 띠강의 표면 상에 형성된 원소 Si 및 Mn의 산화 막은 아연도금 되는 아연 (galvanized zinc)의 띠강에 대한 습윤성을 심각하게 저하시켜, 도포되지 않은 철 및 피막 층의 불량한 부착과 같은 품질 문제를 야기한다.
강철에 첨가된 합금 원소 중, 원소 Si의 표면 풍부함 (surface enrichment)은 아연도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용융도금이 필요한 강종를 설계할 때, 매트릭스의 Si 함량을 주로 조절하거나, 또는 Si를 다른 원소로 대체한다. 선행 기술에서 Al 및 Si는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하는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알려져있다. 따라서, Al 함량은 일반적으로 약 2%이지만, 띠강의 아연도금성을 개선하기 위해 용융 아연도금 변태 유도 가소성 강철 (hot dip galvanized 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steel; TRIP 강철)에서 Si 대신 주로 Al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저밀도, 고강도, 및 우수한 아연도금성의 장점을 갖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설명된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중 어느 하나를 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저밀도, 고강도, 및 우수한 아연도금성의 장점을 갖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철의 핵 부분에 위치한 강철 기판 및 강철 기판의 표면 상에 위치한 피막 층을 포함하고; 계면 층이 상기 강철 기판과 상기 피막 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계면 층은 철 입자 층을 포함하고, 상기 강철 기판 상에 분산되어 있고 또한 강철 기판을 덮고 있는 철 입자가 철 입자층에 위치하며, 상기 철 입자는 제 1 억제 층으로 덮여있고; 3.0% 내지 7.0%의 질량 퍼센트의 원소 Al을 포함하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서, 원소 Al의 설계 원칙은 원소 Al이 페라이트 형성 원소라는 것이다. 원소 Al의 첨가는 강철 판의 밀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의 원소 Al의 질량 퍼센트는 3.0% 이상이다. 그러나, 7.0%를 초과하는 질량 퍼센트를 갖는 원소 Al은 오스테나이트의 형성을 억제한다. 또한, 원소 Al은 강철 중의 오스테나이트의 적층 결함 에너지를 상당히 증가시킨다. 따라서, 7.0%를 초과하는 질량 퍼센트를 갖는 원소 Al은 강철 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residual austenite)가 변형 중에 마르텐사이트 변태 (martensitic transformation)를 일으키도록 유도되는 것을 억제하여, 강철 판의 우수한 강도 및 가소성 매칭 (plasticity matching)을 수득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소 Al의 질량 퍼센트를 3.0 내지 7.0%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의 표면은 철 입자 층을 갖고, 철 입자 층은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이 우수한 아연도금성 및 피막 층 부착성을 갖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강철 기판이 철 입자 층에 인접한 내부 산화 층을 갖고, 또한 상기 내부 산화층은 Al의 산화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내부 산화 층은 Mn 산화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내부 산화 층은 0.2 내지 10 μm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내부 산화 층의 두께가 0.2 μm 미만이면, 원소 Al의 외부 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 할 수 없고; 또한 내부 산화 층의 두께가 10 μm를 초과하면, 강철 기판의 내부 산화층의 성형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산화 층의 두께는 0.2 내지 10 μm로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내부 산화 층의 산화물은 그레인 경계 (grain boundary) 및 그레인 내부에 존재한다. 내부 산화 층의 산화물은 주로 Al 산화물 및 Mn 산화물이고, 이들은 내부 산화 층의 그레인 내부 및 그레인 경계에 동시에 분포되어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계면 층은 0.1 내지 5 μm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계면 층의 두께가 0.1 μm 미만이면, 피막 층의 부착성이 나쁘고; 또한 계면 층의 두께가 5 μm를 초과하면, 철 입자 층을 형성하기 위한 보다 긴 열처리 방치 시간 (annealing holding time)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계면 층의 두께는 0.1 내지 5 μm로 조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면 층의 두께는 0.3 내지 3 μm로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철 입자는 0.1 내지 5 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입자 크기가 0.1 μm 미만이면, 철 입자의 두께 및 커버리지 면적이 작고, 또한 피막 층의 부착성이 나쁘다; 또한 입자 크기가 5 μm를 초과하면, 철 입자 층이 지나치게 두꺼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철 입자는 강철 기판의 표면적의 30% 이상을 덮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인접한 철 입자 사이의 최대 공간은 철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의 10 배 이하이다.
상기 해결책에 있어, 인접한 철 입자 사이의 최대 공간이 철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의 10 배를 초과하는 경우, 용융 아연도금 처리 중에 아연도금 되는 아연이 철 입자 사이의 공간에 완전히 침투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아연도금 되는 아연의 습윤성 및 아연 층의 부착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인접한 철 입자 사이의 최대 공간이 철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의 10 배 이하가 되도록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강철 기판 표면 상의 철 입자로 덮혀있지 않은 부분은 제 2 억제 층으로 덮여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제 2 억제 층의 두께는 제 1 억제 층의 두께보다 얇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제 2 억제 층은 원소 Fe, Al, 및 Zn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제 1 억제 층은 원소 Fe, Al, 및 Zn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있어, 제 1 억제 층 및 제 2 억제 층은 Fe, Al, 및 Zn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 1 억제 층은 피막 층과 접촉하는 철 입자의 표면을 덮고, 또한 제 2 억제 층은 강철 기판의 표면이 철 입자에 의해 덮이지 않은 부분에 위치한다. 이것은, 강철 판을 아연 배스에 담그면, 아연 배스 중의 원소 Al 및 소량의 원소 Zn이 표면이 철 입자 층으로 덮여있는 강철 판의 Fe와 먼저 반응하여 제 1 억제 층을 형성하고; 또한 Fe, Al 및 Zn을 포함하는 소량의 제 2 억제 층이 강철 기판의 표면 중에서 철 입자에 의해 덮여있지 않은 부분 또는 철 입자 사이의 간격의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으나, 하지만 이의 두께는 철 입자 표면 상의 억제 층보다 얇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강철 기판의 미세구조는 페라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상 비율은 6 내지 3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원소 C의 질량 퍼센트는 0.8%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C는 오스테나이트 생성을 촉진시키는 중요한 고용체 강화 원소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lement)이다. 원소 Al이 풍부한 저밀도 강철에 있어,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C의 질량 퍼센트가 0.8% 미만이면,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함량 및 역학적 안정성이 비교적 낮아, 강철 판의 강도 및 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의 C 함량은 0.8%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의 밀도는 7500㎏/m3 보다 작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강철 기판의 화학 원소의 질량 퍼센트는 C: 0.25 내지 0.50%, Mn: 0.25 내지 4.0%, Al: 3.0 내지 7.0%이고, 또한 나머지는 Fe 및 다른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상기 언급된 불가피한 불순물은 주로 원소 S, P 및 N을 일컬으며, 또한 P≤0.02%,S≤0.01%,N≤0.01%이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중의 각각의 화학적 원소의 설계 원칙은 다음과 같다:
C: C는 오스테나이트 형성을 촉진하는 중요한 고용체 강화 원소이다. Al이 풍부한 저밀도 강철에 있어, C의 질량 퍼센트가 0.25 % 미만이면,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함량 및 역학적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강철 판의 낮은 강도 및 낮은 연성을 야기하고; C의 질량 퍼센트가 0.5%를 초과하면, 페라이트 그레인 경계에 분포하는 층상 카바이드 (lamellar carbide) 및 카바이드 입자가 거칠어져, 이로 인해 강철 판의 압연 변형 능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 C 질량 퍼센트는 0.25 내지 0.50%로 조절된다.
Mn: Mn은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칭 도중 강철의 임계 냉각 속도를 감소시키며 강철의 경화능 (harden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Mn은 또한 강철의 가공 경화 특성을 향상시켜, 이로 인해 강철 판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높은 Mn 함량은 슬래브 중에 Mn 편석 (segregation) 및 열간 압연 판 중에 현저한 띠 모양의 구조 (band-like structure) 분포를 발생시켜, 이로 인해 강철 판의 연성 및 굽힘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지나치게 높은 Mn 함량은 냉간 압연 변형 중에 열간 압연 판에 균열을 발생하게 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 Mn의 질량 퍼센트는 0.25 내지 4.0%로 조절된다.
원소 Al은 페라이트 형성 원소이다. 원소 Al을 첨가함으로써 강철 판의 밀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원소 Al의 질량 퍼센트는 3.0% 이상이다. 그러나, 7.0%를 초과하는 질량 퍼센트를 갖는 원소 Al은 오스테나이트의 형성을 억제한다. 추가적으로, 원소 Al은 강철 중의 오스테나이트의 적층 결함 에너지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7.0%를 초과하는 질량 퍼센트를 갖는 원소 Al은 변형 중에 강철 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일으키도록 유도되는 것을 억제하여, 강철 판이 우수한 강도 및 가소성 매칭을 수득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 원소 Al의 질량 퍼센트는 3.0 내지 7.0%로 정의된다.
P: P는 고용체 강화 원소이다. 그러나, P는 강철의 저온 취성 (cold brittleness)을 증가시키고, 강철의 가소성을 감소시키며 또한 냉간 굽힘 특성 (cold bending property) 및 용접성 (weldability)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 P의 질량 퍼센트는 0.02% 이하로 정의된다.
S: S는 강철을 고온 취성화 (hot brittle)시키며, 강철의 연성 및 인성을 감소시키고, 용접성을 저하 시키며 또한 강철의 내식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 S의 질량 퍼센트는 0.01% 이하로 정의된다.
N: N 및 Al은 AlN을 형성하고, 또한 경화 (solidification) 동안 주상 수지상정 (columnar dendrite)이 정제될 수 있다. 그러나, N 함량이 너무 높으면, 형성된 거친 AlN 입자가 강철 판의 연성에 영향을 미친다. 추가적으로, 과량의 AlN은 강철의 열가소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 N의 질량 퍼센트는 0.01% 이하로 정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은 원소 Si, Ti, Nb, V, Cr, Mo, Ni, Cu, B, Zr 및 Ca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은 25%를 초과하는 연신율 및 800 MPa를 초과하는 인장 강도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피막 층은 5 내지 200 μm의 두께를 갖는다. 용융 아연 배스에서 나온 띠강이 에어 나이프를 통과할 때, 에어 나이프의 유속 및 에어 나이프와 띠강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피막 층의 두께는 5 내지 200 μm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설명된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중 어느 하나를 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띠강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750 내지 950 °C의 균열 온도까지 가열하고 그후 30 내지 600 초 동안 방치하며, 이때 열처리 대기환경의 이슬점은 -15 °C 내지 -20 °C인, 띠강을 연속적 열처리하는 제 2 단계;
용융도금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기술적 해결방안에 있어, 제 2 단계에서의 연속적 열처리의 균열 온도 (soaking temperature) 및 방치 시간 (holding time)은 주로 연속적 열처리 후 강철 판의 표면에 철 입자 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정의된다. 균열 온도를 750 °C 내지 950 °C로 조절하고 또한 방치 시간을 30 내지 600 초로 조절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750 °C 미만의 균열 온도 또는 30 초 미만의 방치 시간에서,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의 강철 기판 (steel substrate)의 마르텐사이트는 오스테나이트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오스테나이트 역상 변태 (austenite reverse phase transformation)를 충분히 거치지 않고,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판의 강철 매트릭스 중의 카바이드가 오스테나이트 입자를 형성하기 위해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또한 띠형태의 고온 페라이트가 충분히 동적 재결정화되고 또한 정제되지 못하여, 열처리 후의 강철 판의 표면 상에 철 입자 층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고, 이는 아연 배스의 습윤성, 아연도금성 및 피막 층의 부착성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균열 온도가 950 °C를 초과하거나 방치 시간이 600 초를 초과하면, 균열 처리 후에 강철 판 기판 (steel sheet substrate)의 미세구조 내의 오스테나이트 그레인이 조대화되고, 강철 중의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이 저하되어, 열처리 후에 강철 판 매트릭스 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함량의 감소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의 저하를 야기한다. 결과적으로, 열처리 후 강철 판의 역학적 특성이 악화된다. 균열 온도가 950 °C를 초과하거나 방치 시간이 600 초를 초과하면, 열처리 후 강철 판 표면 상의 철 입자의 입자 크기가 너무 커지고 또한 내부 산화 층이 너무 두꺼워져서, 강철 판 표면의 성형 특성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은 열처리 대기환경의 이슬점을 -15 °C 내지 20 °C로 정의한다. 이러한 이슬점 범위 내에서, 열처리 대기환경은 Fe에 대하여 환원성이며, 따라서 철 산화물이 환원된다. 열처리 대기환경의 이슬점이 -15 °C보다 낮으면, 상기 열처리 대기환경은 여전히 띠강 중의 원소 Al에 대하여 산화성이고, 또한 띠강 중의 Al은 띠강의 표면 상에 연속적인 치밀한 Al2O3 피막을 형성하며, 이는 용융 아연도금 도중에 강철 판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열처리 대기환경의 이슬점이 20 °C 보다 높으면, 열처리 대기환경 중의 산소 포텐셜이 너무 높아지고, 강철 매트릭스로의 O 원자의 확산 능력이 증가하며, 또한 강철 판 표면 상에 형성된 Al 및 Mn 등의 합금 원소로 형성된 내부 산화 층이 지나치게 두꺼워져, 강철 판 표면의 성형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하게는, 본 기술적 해결방안에 있어, 개선된 시행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열처리 대기환경의 이슬점은 -10 내지 0 °C로 조절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기술적 해결방안에 있어, 개선된 시행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균열 처리의 방치 시간은 30 내지 200초로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제 1 단계에 있어, 캐스팅 슬래브는 방치 시간 0.5 내지 3 시간으로 1000 내지 1250 °C에서 가열되고 또한 마무리 압연 온도는 800 내지 900 °C로 조절되고, 그후 열간 압연 판을 500 내지 750 °C에서 코일링하며, 열간 압연된 코일을 언코일하고 그후 산세척 및 냉간 압연 처리하며, 이때 냉간 압연 비율은 30 내지 90%이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 상기 제 1 단계의 가열 온도는 다음 이유들에 의하여 1000 내지 1250 °C로 정의된다: 가열 온도가 1250 °C를 초과하면, 강철 판의 슬래브가 과열되고 또한 슬래브의 그레인 구조가 거칠어져, 열간 가공성의 저하를 야기하고, 또한 초고온에 의해 슬래브의 표면 상에서 심한 탈탄이 발생한다; 가열 온도가 1000 °C 보다 낮으면, 고압 물 디스케일링 (high-pressure water descaling) 및 초기 압연 후의 슬래브의 마무리 압연 온도가 너무 낮아져, 슬래브의 지나친 변형 저항을 야기하고, 표면 결함이 없이 미리 정해진 두께를 갖는 강철 판을 제조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 다음 원인으로 인해 상기 제 1 단계의 방치 시간은 0.5 내지 3 시간으로 정의된다: 방치 시간이 3 시간을 초과하면, 강철 판의 슬래브의 그레인 구조가 거칠어지고 또한 슬래브의 표면 상의 탈탄이 심각해진다; 방치 시간이 0.5 시간 미만이면, 슬래브의 내부가 균일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 상기 제 1 단계의 마무리 압연 온도는 캐스팅 슬래브의 열간 압연을 완료하기 위하여 800 내지 900 °C로 정의된다. 마무리 압연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슬래브의 변형 저항이 지나치게 높아져, 표면 및 엣지 결함이 없이 요구되는 두께를 갖는 열간 압연 강철 판 및 냉간 압연 강철 판을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마무리 압연 온도가 800 °C 보다 낮으면, 슬래브 내부의 열간 압연된 띠형태의 고온 페라이트가 충분히 회복되지 않고 또한 재결정화 및 정제될 수 없다. 슬래브를 배출한 후 열간 압연 공정 도중에 슬래브 온도는 자연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마무리 압연 온도를 900 °C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 열간 압연 판을 500 내지 750 °C 에서 코일링하도록 정의된다. 코일링 온도가 750 °C보다 높으면, 열간 압연된 띠가 편평하게 코일링되는 것을 방지하기가 어렵고, 또한 열간 압연된 코일의 헤드, 미들 및 테일 소재의 미세구조의 불균일성이 증가하며; 코일링 온도가 500 °C보다 낮으면, 열간 압연된 코일의 높은 인장 강도가 냉간 압연에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 1 단계의 냉간 압연 비율은 다음 이유들에 의하여 정의된다: 열간 압연 강철 판은 산세척 후 미리 정해진 두께를 수득하기 위하여 냉간 압연 변형을 거치고, 30%를 초과하는 냉간 압연 비율은 후속 열처리 공정에서 오스테나이트 생성 속도를 증가시키며, 변형된 고온 페라이트의 형성에 기여하고 또한 열처리된 강철 판의 미세구조 균일성을 향상시켜, 이로 인해 열처리된 강철 판의 연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냉간 압연 비율이 90%를 초과하면, 가공 경화에 의한 소재의 변형 저항이 매우 높아져, 미리 정해진 두께 및 양호한 판 타입을 갖는 냉간 압연 강철 판을 제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의 냉간 압연 비율은 30 내지 90%로 조절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기술적 해결방안에 있어, 개선된 시행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냉간 압연 비율은 50 내지 8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제 2 단계에 있어, 가열 섹션 및 방치 섹션의 대기환경은 N2 및 H2의 혼합 기체이고, 이때 H2의 부피 함량은 0.5 내지 20%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기술적 해결방안에 있어, 개선된 시행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H2의 부피 함량은 1 내지 5%이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제 2 단계에 있어, 가열 섹션 및 균열 섹션의 대기환경은 N2와 H2의 혼합 기체이고, 이때 H2의 부피 함량은 0.5 내지 20%이다. H2를 첨가하는 목적은 띠강의 표면 상의 철 산화물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가열 속도는 1 내지 20 °C/s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제 3 단계에 있어, 연속적 열처리 후의 띠강은 용융 아연 배스에 들어가는 띠강의 온도까지 냉각되고, 이때 냉각 속도는 1 내지 150 °C/s이며, 또한 용융 아연 배스에 들어가는 띠강의 온도는 아연 배스의 온도보다 0 내지 20 °C 높고; 그후 띠강은 용융 아연 배스의 아연 배스에 용융 도금을 위하여 담가지며; 이때 아연 배스의 온도는 선택된 아연 배스의 성분의 녹는점보다 30 내지 60 °C 높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의 제조 방법에 있어, 냉각 도중에 강철 판의 오스테나이트 분해를 피하기 위하여 냉각 속도는 1 내지 150 °C/s로 제어된다. 본 기술적 해결방안에 있어, 용융 아연 배스에 들어가는 띠강의 온도는 아연 배스의 온도보다 0 내지 20 °C 높고, 이는 용융 아연 배스의 열적 균형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 용융 아연 배스에 들어가는 띠강의 지나치게 높은 온도는 띠강 중의 Fe의 아연 배스에 대한 용해 속도를 빠르게 하고, 찌꺼기의 양을 증가시키며, 또한 아연 배스 및 띠강 사이의 확산 속도를 증가시켜, 아연-철 합금 상을 형성할 위험이 생긴다. 용융 아연 배스에 들어가는 띠강의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 억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아연 배스 중에서의 Al 및 Fe의 반응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아연 층의 부착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때, 다음 이유에 의하여 아연 배스의 온도는 선택된 아연 배스의 성분의 녹는점보다 30 내지 60 °C 높다: 아연 배스의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 아연 배스 및 띠강 사이의 반응이 증가하여, 아연 배스의 Fe 함량의 증가를 야기하고; 아연 배스의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 아연 배스 중의 Al 및 기판 표면 상의 Fe 사이의 억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반응에 영향을 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기술적 해결방안에 있어, 개선된 시행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냉각 속도는 10 내지 50 °C/s로 조절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기술적 해결방안에 있어, 개선된 시행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용융 아연 배스에 들어가는 띠강의 온도는 아연 배스의 온도 보다 0 내지 10°C 높다.
바람직하게는, 본 기술적 해결방안에 있어, 개선된 시행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아연 배스의 온도는 420 내지 480 °C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 이때, 제 3 단계에 있어, 아연 배스 중의 성분의 질량 퍼센트는 0.10≤Al≤6%, 0<Mg≤5%, 및 나머지는 Zn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 0.1 내지 6% Al을 아연 배스에 첨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띠강이 용융 아연 배스에 담가지면, 아연 배스의 Al는 먼저 띠강과 반응하여 억제 층을 형성하며, 이로 인해 Zn 및 Fe 사이의 확산을 억제하고, 또한 피막 층의 성형 특성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아연-철 합금 상의 형성을 방지한다. 아연 배스에 대한 Mg의 첨가는 피막 층의 내식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리하다. 그러나, Mg 함유량이 5%를 초과하면, 표면 산화가 증가하고, 이는 제조 상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에 있어, Mg는 0 내지 5%로 정의된다. 또한, Al 및 Mg의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 피막 층의 경도가 상승하고 또한 피막 층의 성형 특성이 악화된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의 이로운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열처리 대기환경의 이슬점을 조절함으로써, 저밀도 강철의 표면 상의 Al2O3 외부 산화의 형성이 억제되고 또한 기판의 표면 층의 내부 산화로 전환되고, 또한 철 입자가 기판의 표면 층 상에 형성되며, 이로 인해 띠강의 아연도금성 및 피막 층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은 25%를 초과하는 연신율, 800MPa를 초과하는 인장 강도, 7500 ㎏/m3 미만의 밀도를 갖는다.
상기 이점 외에도,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큰 조정없이 종래의 고강도 강철을 위한 연속적 용융 도금 생산 라인에서 시행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홍보 및 적용 전망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의 단면 금속조직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비교예 B1 및 실시예 A4의, 경질 압연 (hard-rolled) 강철에서 열처리 후 용융 도금 전 강철 표면의 0 내지 5 μm 범위에서의 원소 Al의 깊이 분포 곡선 (depth distribution curv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비교예 B1 및 실시예 A4의, 경질 압연 (hard-rolled) 강철에서 열처리 후 용융 도금 전 강철 표면의 0 내지 5 μm 범위의 원소 Fe의 깊이 분포 곡선 (depth distribution curv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Zn-0.2%Al의 용융 도금 후 비교예 B1 및 실시예 A4의 Al, Fe 및 Zn의 세 원소의 깊이 분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및 이의 제조 방법을 도면 및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설명하고 예시할 것이다. 그러나, 설명 및 예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의 부당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은 강철 기판 1 및 그 표면 상에 피막 층 3을 포함하고, 이때 계면 층은 강철 기판 1 및 피막 층 3 사이에 위치하고, 계면 층은 철 입자층 4를 포함한다. 이때, 철 입자는 제 1 억제 층 5로 덮이고, 제 2 억제 층 6은 철 입자를 덮지 않는다. 강철 기판 1은 철 입자층 4에 인접한 내부 산화 층 2를 더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의 단면 금속조직 구조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에 있어, Al2O3의 표면 상에 철 입자 층 4의 외부 산화의 형성은 열처리 대기환경의 이슬점을 조절함으로써 억제되고 또한 내부 산화 층 2의 내부 산화로 전환되며; 제 1 억제 층 및 제 2 억제 층은 Fe, Al 및 Zn으로 구성되고; 제 1 억제 층은 피막 층과 접촉하는 철 입자의 표면을 덮고, 또한 제 2 억제 층은 강철 기판의 표면이 철 입자에 의해 덮이지 않은 부분이다. 이것은 강철 판을 아연 배스에 담글 때, 아연 배스 중의 원소 Al 및 소량의 원소 Zn이 먼저 철 입자 층으로 덮인 강철 판 Fe와 반응하여 제 1 억제 층을 형성하고; Fe, Al 및 Zn을 포함하는 소량의 제 2 억제 층이 기판 표면 상의 철 입자에 의해 덮이지 않은 부분 또는 철 입자 사이의 간격의 위치에 형성 될 수 있으나, 이의 두께는 철 입자의 표면 상의 제 1 억제 층보다 얇다. 이때, 내부 산화 층 2의 두께는 0.2 내지 10 μm이고, 또한 내부 산화 층 2의 산화물은 그레인 경계 및 그레인 내부에 존재하며, 계면 층의 두께는 0.1 내지 5 μm이다.
실시예 A1-A16 및 비교예 B1-B6
표 1은 실시예 A1 내지 A16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및 비교예 B1 내지 B6의 종래의 강철 판의 성분 중의 화학적 원소의 질량 퍼센트를 열거한다.
(wt%, 나머지는 Fe)
C Mn Al Si N S P
성분 I 0.37 1.1 4.1 0.31 0.0025 0.002 0.004
성분 II 0.45 2 6.1 - 0.0040 0.003 0.007
성분 III 0.34 2.8 5.2 - 0.0027 0.003 0.007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성분 I, II, 및 III 중의 화학적 원소의 질량 퍼센트 범위는 다음과 같이 조절된다: C: 0.25~0.50%, Mn: 0.25~4.0%, Al: 3.0~7.0%, P≤0.02%, S≤0.01%, N≤0.01%, 또한 성분 I에는 Si가 첨가된다.실시예 A1 내지 A16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및 비교예 B1 내지 B6의 종래의 강철 판은 다음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1) 띠강의 제조: 강철을 표 1의 조성에 따라 용융하고, 캐스팅 슬래브를 방치 시간 0.5 내지 3 시간으로 1000 내지 1250 °C에서 가열하고, 또한 마무리 압연 온도를 800 내지 900 °C로 조절하고, 그후 열간 압연된 판을 500 내지 750 °C에서 코일링하고, 또한 열간 압연된 코일을 언코일하고 그후 산세척 및 냉간 압연 처리하며, 이때 냉간 압연 비율은 30 내지 90%였다.
(2) 띠강의 연속적 열처리: 750 내지 950 °C의 균열 온도까지 가열한 후 30 내지 600 초를 방치하고, 이때 가열 속도는 1 내지 20 °C/s였으며, 가열 섹션 및 방치 섹션의 대기환경은 N2와 H2의 혼합 기체였고, 이때 H2의 부피 함량은 0.5 내지 20%이고, 열처리 대기환경의 이슬점은 -15 내지 20 °C였다.
(3) 용융 도금: 연속적 열처리 후의 띠강을 용융 아연 배스에 들어가는 띠강의 온도까지 냉각시키고, 이때 냉각 속도는 1 내지 150 °C/s이며, 또한 용융 아연 배스로 들어가는 띠강의 온도는 아연 배스의 온도보다 0 내지 20 °C 높았고; 그후 띠강을 용융 도금하기 위하여 용융 아연 배스의 아연 배스에 담그며; 이때 아연 배스의 온도는 선택된 아연 배스의 성분의 녹는점보다 30 내지 60 °C 높다. 이때, 아연 배스 중의 성분의 질량 퍼센트는 0.10≤Al≤6%, 0<Mg≤5%, 또한 나머지는 Zn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표 2는 실시예 A1 내지 A16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및 비교예 B1 내지 B6의 종래의 강철 판의 특정 공정 파라미터를 열거한다.
Figure 112018108216382-pct00001
도 3은 비교예 B1 및 실시예 A4의, 경질 압연 강철에서 열처리 후 용융 도금 전 강철 표면의 0 내지 5 μm 범위에서의 원소 Al의 깊이 분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B1의 띠 표면은 Al이 풍부하고, 이는 열처리 후에 띠강 표면 상의 Al2O3 피막에 대응하며; 실시예 A4의 띠강 표면에서의 Al의 풍부함은 사라지고, 원소 Al의 풍부함은 내부 산화 층에 존재하며, 이는 외부 산화가 내부 산화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낸다.
도 4는 비교예 B1 및 실시예 A4의, 경질 압연 강철에서 열처리 후 용융 도금 전 강철 표면의 0 내지 5 μm 범위의 원소 Fe의 깊이 분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이때 비교예 B1의 띠강 표면은 낮은 Fe 함량을 가지며, 실시예의 철 입자 층은 날카로운 Fe 피크를 갖는다.
도 5는 Zn-0.2%Al 아연 배스의 용융 도금 후 비교예 B1 및 실시예 A4의 Al, Fe 및 Zn의 세 원소의 깊이 분포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이때, 비교예 B1에 있어, 피막 층/기판 계면 중의 원소 Al은 피크 변화 없이 자연스럽게 전환되나, 반면에 실시예 A4에 있어, 피막 층/기판 계면 중의 원소 Al는 피크를 나타내며, 이는 비교예 B1이 피막 층/기판 계면 상에 제 1 억제 층 및 제 2 억제 층을 형성하지 않았고, 반면 실시예 A4는 피막 층/기판 계면 상에 유효한 제 1 억제 층 및 제 2 억제 층을 형성하였음을 보여주고, 이는 비교예 B1의 불량한 아연도금성 및 피막 층 부착성을 야기한다.
표 3은 실시예 A1 내지 A16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및 비교예 B1 내지 B6의 종래의 강철 판의 성능 파라미터를 열거한다.
이때, 아연도금성은 피복한 후의 띠강의 외관을 육안으로 직접 관찰함으로써 결정된다. 표면이 명백히 도포되지 않은 철을 갖지 않는 경우, 아연도금성은 양호하고 (O로 표시); 표면이 명백히 도피되지 않은 철을 갖는 경우, 아연도금성은 불량하다 (X로 표시).
피막 층의 부착성은 다음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다: 띠강으로부터 200mm의 길이 및 100mm의 폭을 갖는 샘플을 수득하고, 이를 180도 굽히고, 이후 평탄하게 하고, 또한 굽힘 위치를 테이프로 붙인다. 테이프 상에 아연 층이 부착되지 않거나 또는 테이프에 의해 부착된 굴곡 면 상의 피막 층의 표면이 부풀지 (fluffed) 않는 경우, 피막 층의 부착성이 양호하다 (O로 표시); 피막 층이 테이프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테이프에 의해 부착된 굴곡 면 상의 피막 층의 표면이 부푸는 경우, 피막 층의 부착성은 불량하다 (X로 표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강철 판의 성능 파라미터
밀도 (kg/m3) 연신율 (%) 인장강도(MPa) 아연도금성 피막 층 부착성
A1 7340 25 838
A2 7340 32 831
A3 7340 33 844
A4 7340 25 823
A5 7340 28 858
A6 7340 34 852
A7 7340 29 843
A8 7340 33 828
A9 7340 29 830
A10 7340 27 851
A11 7340 27 821
A12 7340 26 848
A13 7150 27 839
A14 7150 28 850
A15 7280 33 850
A16 7280 26 836
B1 7340 28 825 X X
B2 7340 27 851 X X
B3 7340 32 848 X X
B4 7340 35 849 X
B5 7340 30 836 X X
B6 7280 27 836 X X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A1 내지 A16 전체는 7500 kg/m3보다 작은 밀도, 25%보다 높은 연신율 및 800 Mpa보다 높은 인장 강도를 갖고, 또한 실시예 A1 내지 A16의 아연도금성 및 피막 층 부착성은 비교예 B1 내지 B6 보다 우수하다.이유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에 있어 기판의 표면은 철 입자 층을 가지기 때문에, 띠강을 아연 배스에 담글 때, 피막 층 중의 Al 및 Fe가 먼저 반응하여 억제 층을 형성하고; 반대로, 비교예에 있어 기판의 표면은 유효한 철 입자의 층을 형성하지 않으나 연속적인 치밀한 Al2O3 산화물 피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는 아연 배스 중의 Al과 기판의 Fe의 반응을 저해하고, 이로 인해 유효한 억제 층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유사한 변형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개시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유도되거나 고안된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Claims (25)

  1. 강철의 핵 부분에 위치한 강철 기판 및 상기 강철 기판의 표면에 위치한 피막 층을 포함하고; 이때:
    계면 층이 상기 강철 기판 및 상기 피막 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계면 층은 철 입자 층을 포함하고, 상기 강철 기판 상에 분산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강철 기판을 덮고 있는 철 입자가 상기 철 입자 층에 위치하며, 상기 철 입자는 제 1 억제 층으로 덮여있고;
    상기 강철 기판의 화학적 원소의 질량 퍼센트가 C: 0.25 내지 0.50%, Mn: 0.25 내지 4.0%, Al: 3.0 내지 7.0%, 또한 나머지는 Fe 및 다른 불가피한 불순물인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철 기판은 상기 철 입자 층에 인접한 부분에 내부 산화 층을 갖고, 상기 내부 산화 층은 Al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산화 층은 부가적으로 Mn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산화 층은 0.2 내지 10 μm의 두께를 갖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산화 층의 산화물은 그레인 경계 및 그레인 내부에 존재하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층은 0.1 내지 5 μm의 두께를 갖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 입자는 0.1 내지 5 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 입자는 상기 강철 기판의 30% 내지 100%를 덮고 있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9.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한 철 입자 사이의 최대 공간은 상기 철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의 10 배 이하인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철 기판의 표면 상에 철 입자로 덮이지 않은 부분이 제 2 억제 층으로 덮여있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억제 층의 두께는 제 1 억제 층의 두께보다 얇은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억제 층은 원소 Fe, Al, 및 Zn을 포함하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억제 층은 원소 Fe, Al, 및 Zn을 포함하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철 기판의 미세구조는 페라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인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상 비율은 6 내지 30%인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의 밀도는 7500 kg/m3 보다 작은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18. 삭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은 25% 내지 35%의 연신율 및 800 MPa 내지 858 MPa의 인장 강도를 갖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 층은 5 내지 200 μm의 두께를 갖는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21. 띠강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750 내지 950 °C의 균열 온도까지 가열하고 그후 30 내지 600 초 동안 방치하며, 이때 열처리 대기환경의 이슬점은 -15 °C 내지 -20 °C인, 띠강을 연속적 열처리하는 제 2 단계;
    용융도금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제 1 내지 15, 17, 19, 및 20 항 중 어느 하나의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 있어, 캐스팅 슬래브를 1000 내지 1250 °C에서 0.5 내지 3 시간의 방치 시간을 두고 가열하고 또한 마무리 압연 온도는 800 내지 900 °C이며, 그후 열간 압연된 판을 500 내지 750 °C에서 코일링하고, 또한 상기 열간 압연된 코일을 언코일하며 그후 산세척 및 냉간 압연 처리하고, 이때 냉간 압연 비율은 30 내지 90%인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 가열 섹션 및 방치 섹션의 대기환경은 N2 및 H2의 혼합 기체이고, 이때 H2의 부피 함량은 0.5 내지 20%인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 있어, 연속적 열처리 후 상기 띠강을 용융 아연 배스에 들어가는 띠강의 온도까지 냉각시키고, 이때 냉각 속도는 1 내지 150 °C/s이며, 또한 상기 용융 아연 배스에 들어가는 띠강의 온도는 아연 배스의 온도 보다 0 내지 20 °C 높고; 그후 상기 띠강을 용융도금하기 위하여 용융 아연 배스의 아연 배스에 담그고; 이때, 상기 아연 배스의 온도는 선택된 아연 배스의 성분들의 녹는점 보다 30 내지 60 °C 높은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 있어, 상기 아연 배스의 성분들의 질량 퍼센트는 0.10≤Al≤6%, 0<Mg≤5%이고, 또한 나머지는 Zn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인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187031773A 2016-06-28 2017-06-14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및 이의 제조 방법 Active KR102189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486476.XA CN105908089B (zh) 2016-06-28 2016-06-28 一种热浸镀低密度钢及其制造方法
CN201610486476.X 2016-06-28
PCT/CN2017/088262 WO2018001098A1 (zh) 2016-06-28 2017-06-14 一种热浸镀低密度钢及其制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580A KR20180126580A (ko) 2018-11-27
KR102189791B1 true KR102189791B1 (ko) 2020-12-11

Family

ID=5675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773A Active KR102189791B1 (ko) 2016-06-28 2017-06-14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26243B2 (ko)
EP (1) EP3476968B1 (ko)
JP (1) JP6765511B2 (ko)
KR (1) KR102189791B1 (ko)
CN (1) CN105908089B (ko)
WO (1) WO20180010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8089B (zh) * 2016-06-28 2019-11-2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热浸镀低密度钢及其制造方法
CN106756569A (zh) * 2016-11-18 2017-05-31 扶绥县科学技术情报研究所 提高钢铁材料强度的生产方法
CN106756571A (zh) * 2016-11-18 2017-05-31 扶绥县科学技术情报研究所 超细晶粒的高强度钢铁材料生产方法
CN106636915A (zh) * 2016-11-18 2017-05-10 扶绥县科学技术情报研究所 改善钢铁材料力学性质的生产方法
CN106756570A (zh) * 2016-11-18 2017-05-31 扶绥县科学技术情报研究所 超细晶粒的高韧性钢铁材料生产方法
CN106399841B (zh) * 2016-11-18 2018-07-03 扶绥县科学技术情报研究所 超细晶粒的强耐蚀钢铁材料生产方法
CN108929991B (zh) * 2017-05-26 2020-08-2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热浸镀高锰钢及其制造方法
CN108929992B (zh) * 2017-05-26 2020-08-2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热浸镀中锰钢及其制造方法
US11274356B2 (en) * 2017-12-15 2022-03-15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sheet,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galvannealed steel sheet
MX2020006497A (es) * 2017-12-22 2020-09-17 Jfe Steel Corp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lamina de acero galvanizada por inmersion en caliente y aparato de galvanizacion por inmersion en caliente continua.
KR102031454B1 (ko) 2017-12-24 2019-10-11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밀착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0007459A1 (de) * 2018-07-04 2020-01-09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Verzinktes kaltfeinblech mit homogenen werkstoffeigenschaften
KR102330604B1 (ko) 2019-12-03 2021-11-24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저항 점용접부의 피로강도가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9757A (ko) 2019-12-03 2021-06-14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과 점 용접성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0670A (ko) 2019-12-20 2021-07-01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과 전기저항 점 용접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19479B1 (ko) * 2020-12-10 2021-10-2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페라이트계 경량 철강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페라이트계 경량 철강
CN113025937B (zh) * 2021-02-07 2023-03-17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热浸镀锌钢板及其制备方法
CN113481455A (zh) * 2021-07-08 2021-10-08 攀钢集团攀枝花钢钒有限公司 利用空气气刀生产高表面质量锌铝镁镀层钢带/板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7820A1 (ja) * 2011-09-30 2013-04-0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87314A (ja) * 2011-10-14 2013-05-13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めっき密着性に優れた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27421A (zh) 2004-06-29 2007-08-29 克里斯塔尔公司 具有热浸镀锌合金镀层的钢片及其制备方法
EP1995336A1 (fr) 2007-05-16 2008-11-26 ArcelorMittal France Acier à faible densité présentant une bonne aptitude à l'emboutissage
EP2009127A1 (en) * 2007-06-29 2008-12-31 ArcelorMittal France Process for manufacturing a galvanized or a galvannealed steel sheet by DFF regulation
JP5417797B2 (ja) * 2008-08-12 2014-02-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系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545069A (zh) * 2009-02-13 2009-09-30 常熟华冶薄板有限公司 热浸镀锌铝硅镁稀土钢板
JP5651964B2 (ja) * 2010-02-16 2015-01-1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延性及び穴広げ性並びに耐食性に優れた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1051731B4 (de) * 2011-07-11 2013-01-24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urch Schmelztauchbeschichten mit einer metallischen Schutzschicht versehenen Stahlflachprodukts
KR101329925B1 (ko) * 2011-08-26 2013-11-14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고망간강 및 이로부터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제조하는 방법
KR20130076589A (ko) * 2011-12-28 2013-07-08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표면 품질 및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3805840B (zh) * 2012-11-15 2016-12-2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成形性热镀锌超高强度钢板及其制造方法
JP5626324B2 (ja) * 2012-12-11 2014-11-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CN104903485B (zh) * 2012-12-25 2017-05-03 新日铁住金株式会社 合金化热浸镀锌钢板及其制造方法
ES2691960T3 (es) 2013-05-01 2018-11-29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Chapa de acero de baja densidad relativa y alta resistencia que tiene una soldabilidad por puntos superior
WO2015001367A1 (en) * 2013-07-04 2015-01-08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Cold rolled steel sheet, method of manufacturing and vehicle
JP5799996B2 (ja) * 2013-09-12 2015-10-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外観性とめっき密着性に優れる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WO2015087549A1 (ja) * 2013-12-13 2015-06-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6052270B2 (ja) * 2013-12-13 2016-12-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200441A (zh) * 2014-05-30 2015-12-30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带氧化物层的热镀产品、其制造方法及其应用
WO2015185956A1 (en) * 2014-06-06 2015-12-10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High strength multiphase galvanized steel sheet, production method and use
MX2017005507A (es) * 2014-11-05 2017-06-20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Hoja de acero galvanizad por inmersion en caliente.
CN104928568B (zh) * 2015-06-30 2017-07-2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铁素体低密度高强钢及其制造方法
CN105908089B (zh) 2016-06-28 2019-11-2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热浸镀低密度钢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7820A1 (ja) * 2011-09-30 2013-04-0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87314A (ja) * 2011-10-14 2013-05-13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めっき密着性に優れた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1098A1 (zh) 2018-01-04
US11326243B2 (en) 2022-05-10
CN105908089A (zh) 2016-08-31
KR20180126580A (ko) 2018-11-27
JP2019521257A (ja) 2019-07-25
US20200325568A1 (en) 2020-10-15
CN105908089B (zh) 2019-11-22
EP3476968A4 (en) 2019-12-25
EP3476968A1 (en) 2019-05-01
EP3476968B1 (en) 2021-05-19
JP6765511B2 (ja)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791B1 (ko) 저밀도 용융 아연도금 강철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433380B (zh) 高强度镀锌钢板及其制造方法
JP6763023B2 (ja) 表面品質及び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936650B (zh) 高强度镀锌钢板、高强度部件和它们的制造方法
EP3647444B1 (en) Hot-pressed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cold-rolled steel sheet for hot pres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679796B1 (ko) 강판, 용융 도금 강판 및 합금화 용융 도금 강판과 이들의제조 방법
JP5471837B2 (ja) 焼付硬化性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63179B1 (ko) 우수한 인수용성을 갖는 냉간 압연 저밀도 강철 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603263B (zh) 高屈服比型高强度镀锌钢板及其制造方法
CN105026600B (zh) 高强度钢板及其制造方法以及高强度热镀锌钢板及其制造方法
TW201303040A (zh) 材質穩定性、加工性以及鍍敷外觀優異之高強度熔融鍍鋅鋼板之製造方法
EP3636790B1 (en) Hot dipped high manganese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6648525A (zh) 镀覆性优异的高强度热浸镀锌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428151B1 (ko) 고망간 열연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3633061B1 (en) Hot dipped medium manganese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606996B1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632877B1 (ko) 우수한 표면 특성을 가지는 초고강도 용융아연도금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99680B1 (ko) 표면품질과 도금밀착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36640B1 (ko) 도금성 및 점용접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3494133B2 (ja) 溶融めっき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JP3896892B2 (ja) 歪み時効硬化特性に優れる溶融亜鉛めっき熱延鋼板の製造方法
CN116529414A (zh) 抗粉化性优异的高强度合金化热浸镀锌钢板及其制造方法
JP5092858B2 (ja) 溶融亜鉛めっき用鋼板及び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
KR101149202B1 (ko) 용융아연 도금 특성이 우수한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JP2005023348A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