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84445B1 -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 - Google Patents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445B1
KR102184445B1 KR1020190096805A KR20190096805A KR102184445B1 KR 102184445 B1 KR102184445 B1 KR 102184445B1 KR 1020190096805 A KR1020190096805 A KR 1020190096805A KR 20190096805 A KR20190096805 A KR 20190096805A KR 102184445 B1 KR102184445 B1 KR 102184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hole
boundary plate
plates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병무
Original Assignee
소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병무 filed Critical 소병무
Priority to KR102019009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4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조하려는 경계 라인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경계판; 상기 경계판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관통홀을 갖는 제1돌기부재; 상기 경계판의 타측에 돌출되되 상기 제1돌기부재와는 비(非)동일수평선 상에 배치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대응관통홀을 갖는 제2돌기부재; 인접한 두 경계판에서 일측 경계판의 제2돌기부재와 타측 경계판의 제1돌기부재가 상호 암수 결합되어 상기 대응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이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응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게 되는 홀딩핀; 상기 경계판에서 이의 양 외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유통홀; 및 상기 유통홀을 막는 형태로 배치되며 공기와 수분의 유통이 가능한 구조의 네트(net);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으로써, 블록 양단이 암수 결합되되 핀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다양한 각도로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하로의 적층 시공은 물론, 계단 형태의 다단 시공 또한 가능한 조립식 체인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CHAIN BLOCK}
본 발명은 일자형, 호형(弧形), ㄱ자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경계판을 선택적으로 연결 조립하여 다양한 구조로 축조가 가능함은 물론, 상하로의 적층식 연결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체인블록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경계블록은 도로의 중앙이나 갓길 운행선 또는 보도 분리선 등에 설치되어 도로의 구획을 결정하여 차량 및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석재 또는 콘크리트 성형물로 제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계블록은 인도와 차도의 경계선 상에 설치하여 인도와 차도를 구분시킴과 동시에, 인도와 차도를 단차지게 형성하여서 주행차량 운전자의 운전미숙이나 부주위로 인한 차량탈선 및 돌발사고발생시 차량이 인도로 타오르지 못하도록 하는 방호벽 기능을 갖는다.
한편 이러한 인도와 차도의 경계가 아닌 화단이나 정원과 산책로나 자전거길의 경계선 상에도 경계블록에 의해 구분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경계블록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02409호 (2000.08.29.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조립식 경계블럭』이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1은 고강도의 합성수지재로서 일정두께와 길이를 가진 블럭의 좌우측면에 입구가 좁고 내부가 확장된 요입홈을 바닥면과 개방되게 형성하고, 상기 블럭을 측면으로 다수 개 연접하여 이에 대접되는 요입홈에 삽지되는 연결핀을 고정하여 됨으로써, 가정의 정원이나 유원지 또는 행사장 등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로 된 화단의 경계블럭을 조립식으로 결합 또는 분해하여 간편하게 설치 및 이동이 가능하고 용도에 따라 조형물 또는 녹지공간이 형성되는 화단을 효율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조립식 경계블럭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74329호 (2010.07.30.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경계블록』이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2는 상향 개방되면서 바닥으로부터는 일정 높이로 사고석 받침부를 형성하고, 외주면의 일측편 양측 모서리에는 일정 높이로 연결관을 형성하며, 타측편의 양측 모서리에는 상기 연결관에 맞춤 삽입되도록 하는 봉형상의 연결구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핀홀을 형성한 블록케이스와; 상기 블록 케이스의 상부로부터 상기 사고석 받침부에 얹혀지게 맞춤 삽입되고, 상부면은 상기 블록 케이스의 상단부 높이보다는 작지 않게 형상하며, 중앙에는 일정 직경으로 수직 관통되도록 한 핀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사고석; 및 상기 사고석 중앙의 핀 관통홀과 상기 블록 케이스의 핀홀을 통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핀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매우 쉽고 빠른 시공과 자유롭게 곡선을 연출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투수성이 매우 양호하고, 특히 내구력을 향상시켜 보다 오랜 사용을 제공하게 되는 경계블록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02409호 (2000.08.29.등록)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74329호 (2010.07.30.등록)
본 발명은 도로 경계, 화단 조성, 텃밭 조성 등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여러 형태의 블록을 상호 조합하여 다양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함은 물론, 상하로의 적층 시공이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블록에 의한 경계 라인 내외 간의 공기 및 수분 유통이 가능하여 토양이 숨을 쉴 수 있고, 배수가 용이하며, 작물을 위한 온실 효과를 제공하도록 비닐하우스 등의 구현이 가능한 조립식 체인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거가 어렵고 폐기 부산물이 많이 발생하는 기존의 고정식 블록에 비해 철거 및 분해, 이전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재사용이 가능하고 편리성이나 이동성, 공간 활용성에 대해 다양성을 갖는 조립식 체인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은,
축조하려는 경계 라인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경계판;
상기 경계판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관통홀을 갖는 제1돌기부재;
상기 경계판의 타측에 돌출되되 상기 제1돌기부재와는 비(非)동일수평선 상에 배치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대응관통홀을 갖는 제2돌기부재;
인접한 두 경계판에서 일측 경계판의 제2돌기부재와 타측 경계판의 제1돌기부재가 상호 암수 결합되어 상기 대응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이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응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게 되는 홀딩핀;
상기 경계판에서 이의 양 외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유통홀; 및
상기 유통홀을 막는 형태로 배치되며 공기와 수분의 유통이 가능한 구조의 네트(net);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은,
여러 형태의 블록 양단이 암수 결합되되 핀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다양한 각도로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하로의 적층 시공은 물론, 계단 형태의 다단 시공 또한 가능하며, 핀을 지면에 박하 고정함으로써 견고한 설치 또한 가능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또 일반 경계블록의 축조에 있어 설치 후 이전 및 재축조가 어려운데 비해 분해 후 재축조가 용이하며 소모성 폐기물의 배출이 없어 친환경적 블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에서 제1 구현예의 경계판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제1 구현예의 경계판에서 제1 및 제2 돌기부재에 대한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3은 하나의 제1돌기부재와 한 쌍의 제2돌기부재가 형성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4는 경계판의 몸체 내부 두께가 양단에 비해 얇은 구조인 것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5는 도 1, 도 3 및 도 4의 경계판 각각에 대한 정면 구성도,
도 6은 제2 구현예의 경계판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7은 제3 구현예의 경계판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8은 제1 구현예의 경계판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9는 사각 경계 라인 상에 제1 구현예의 경계판이 시공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10은 제1 및 제2 구현예의 경계판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11은 제3 구현예의 경계판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12는 제1 및 제3 구현예의 경계판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13은 경계판이 수평으로 연결되고 상하로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시공 상태 도면,
도 14는 경계판의 상면에 폴대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
도 15는 마주한 두 경계판 사이에 폴대가 고정 기립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시공 상태 도면,
도 16은 경계판에 클립부재가 장착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17은 도 16의 일부 결합 단면 구성도,
도 18은 클립부재에 물 공급용 호스가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은,
경계판(10), 제1돌기부재(20), 제2돌기부재(30), 홀딩핀(40), 유통홀(50) 및 네트(6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경계판(10)은
축조하려는 경계 라인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의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돌기부재(20)는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 일측 상부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2돌기부재(30)는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 타측 하부 영역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수평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두 경계판(10)의 각 돌기부재(20, 30)가 상호 암수 결합된다.
다른 예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돌기부재(20)는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 일측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2돌기부재(30)는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 타측 상하 영역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수평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두 경계판(10)의 각 돌기부재(20, 30)가 상호 암수 결합된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제2 구현예의 경계판(10')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ㄱ자형을 갖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 구현예의 경계판(10')은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재(20, 30)는 전술한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과 마찬가지로 일측에 하나의 제1돌기부재(20)가 배치되고 타측에 하나의 제2돌기부재(30)가 마련되거나, 또는 일측에 하나의 제1돌기부재(20)가 배치되고 타측에 한 쌍의 제2돌기부재(30)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호형(弧形)을 갖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은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재(20, 30)는 전술한 제1 및 제2 구현예의 경계판(10, 10')과 마찬가지로 일측에 하나의 제1돌기부재(20)가 배치되고 타측에 하나의 제2돌기부재(30)가 마련되거나, 또는 일측에 하나의 제1돌기부재(20)가 배치되고 타측에 한 쌍의 제2돌기부재(30)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 각 경계판 중 일부 또는 전부(全部)는 일자형 또는 ㄱ자형 또는 호형(弧形)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들 형태의 경계판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해 다양한 구조의 축조가 가능하다.
일예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을 이용해 사각의 경계 라인으로 축조가 가능하다. 나아가 각 코너 부분에 대한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연결할 경우 삼각, 오각, 육각 등 다각의 경계 라인으로 축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 도 10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을 상호 연결하되 코너 부분에 제2 구현예의 경계판(10')이 개재(介在)되도록 연결함으로써, 경계 라인 상 중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변위(變位)되거나 뒤틀릴 수 있는 코너 부분을 제2 구현예의 경계판(10')으로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도 11에서와 같이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을 상호 연결하여 타원형이나 원형의 경계 라인으로 축조가 가능하다. 나아가 도 12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을 상호 연결하되 코너 부분에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이 개재되도록 연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상기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 10', 10'')을 적절히 선택하여 조합할 경우 좀 더 다양한 형태의 경계 라인을 축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 10', 10'')에서 몸체는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중앙 양 외벽이 내측으로 움푹 들어감에 따라 몸체 양단에 비해 두께가 얇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 10', 10'')의 상부면에는 아치(arc)형 폴대(1) 단부가 삽입되는 둘 이상의 수용홈(11)이 형성된다. 이때 아치형 폴대(1)는 비닐하우스 등을 시공할 때에 기둥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5에서와 같이 폴대(1)의 양단부 중 일측 단부가 상기 수용홈(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주하는 경계판의 수용홈(11)에 폴대(1)의 양단부 중 타측 단부가 삽입됨에 따라 아치형 폴대(1)가 고정 기립(起立)된다. 이 상태에서 비닐 등을 씌워 작물에 대한 온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렇게 고정 기립된 아치형 폴대(1)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5의 하부 측 원형 쇄선 내의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경계판에는 상기 수용홈(11)에 상기 폴대(1)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11)과 상기 폴대(1) 단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폴대(1)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핀(12)이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핀(1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은닉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외부로부터 간섭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노출 시 보행자에게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른 예로,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 10', 10'')에 결합되어 아치형 폴대(1) 단부를 지지하는 클립부재(7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클립부재(70)는
경계판(10, 10', 10'')에서 유통홀(50) 상부 측 상단을 감싸는 단면이 ┌┐자 형상을 이루는 제1서포트(71)와,
상기 제1서포트(71)의 타측 외벽에서 일체로 수평 연장되되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서포트(72)와,
상기 각 제2서포트(72)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홀(73)
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경계판(10, 10', 10'')에 상기 제1서포트(71)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각 수용홀(73)에 폴대(1) 단부를 끼움으로써, 폴대(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함은 물론, 상기 경계판에서 상기 제1서포트(71)의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상기 클립부재(70)에 대한 위치 조정이 용이하여 폴대(1)와 폴대(1) 간의 간격 조정이 매우 용이하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간격 조정이 완료된 상기 클립부재(70)는 별도의 볼트나 클램프 등에 의해 상기 경계판에 고정 설치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경계판에서 상기 제1서포트(71)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클립부재(70)는 상기 제1서포트(71)의 일측 하단에서 일체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유통홀(50)의 내부면에 걸리게 되는 후크부(7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경계판에 상기 클립부재(70) 장착 시 상기 후크부(74)가 상기 경계판의 전면(前面)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유통홀(50)을 만나게 되면 상기 유통홀(50)의 내부면으로 삽입되면서 걸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계판에서 상기 클립부재(70) 분리 시에는 상기 후크부(74)를 손이나 공구 등을 이용해 잡아당기면서 상방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클립부재(70)에는 상기 경계판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71, 72)가 배치된 반대편 측벽에 수평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3서포트(75)가 형성되고, 상기 제3서포트(75)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벽체에 내외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분사안내홀(7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서포트(65)에는 물 공급용 호스(1)가 안착되는데, 상기 호스(1)는 평상 시 납작하다가 공급된 물에 의해 부풀어 원형을 이루는 일명, 접착 호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분사홀(2a)이 형성됨으로써, 공급된 물이 상기 분사홀(2a)을 통해 분사된 후 상기 분사안내홀(76)을 지나 작물 등에 공급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 10', 10'')은 고강도 합성수지나 콘크리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돌기부재(20)는
상기 경계판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관통홀(21)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기부재(20)는 상기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 10', 10'') 일측 상부 또는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돌기부재(20)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 형태일 수도 있으나, 경계판들을 상호 연결할 때에 서로 간의 각도 조절 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 2의 [가]에서와 같이 외벽 일부만 호형을 이루거나, 도 2의 [나]에서와 같이 외벽 전부(前部)가 호형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도 2의 [다]에서와 같이 외벽 단부가 일자 형태인 즉, 전체적으로 사각형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외벽 일부만 호형을 이루는 경우 도 8에서와 같이 인접한 두 경계판이 직선 타입으로 서로 연결될 때에 연결 부위의 제1 및 제2 돌기부재(20, 30)가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평탄한 면을 이루고 있어(단, 제2돌기부재(30) 또한 외벽 일부만 호형일 경우에 한함) 외관상 깔끔하고 틈새가 없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돌기부재(30)는
상기 경계판의 타측에 돌출되되 상기 제1돌기부재(20)와는 비(非)동일수평선 상에 배치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대응관통홀(31)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돌기부재(30)는 상기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 10', 10'') 타측 하부 또는 상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결국 상기 제1돌기부재(20)와는 상호 암수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돌기부재(30)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 형태일 수도 있으나, 경계판들을 상호 연결할 때에 서로 간의 각도 조절 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 2의 [가]에서와 같이 외벽 일부만 호형을 이루거나, 도 2의 [나]에서와 같이 외벽 전부(全部)가 호형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돌기부재(30)는 상기 경계판의 타측 상하 영역에 각각 배치되게 한 쌍이 구비되되, 이들 사이에 상기 제1돌기부재(20)의 입출입이 가능한 공간 크기를 갖는다.
홀딩핀(40)은
인접한 두 경계판에서 일측 경계판의 제2돌기부재(30)와 타측 경계판의 제1돌기부재(20)가 상호 암수 결합되어 상기 대응관통홀(31)과 상기 관통홀(21)이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응관통홀(31)과 상기 관통홀(21)에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
서로 연결된 경계판끼리의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홀딩핀(40)은 단면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재(20, 30)의 관통홀(21)과 대응관통홀(31) 또한 원형의 홀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홀딩핀(40)은 상기 경계판이 수직으로 적층될 때에 최상단의 경계판 대응관통홀(31)에서 최하단의 경계판 대응관통홀(31)까지 삽입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일예로, 상하로 적층된 경계판이 3개일 경우 최상단에서 최하단에 이르기까지의 3개의 경계판에서 각 대응관통홀(31)에 삽입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다. 결국 적층되는 경계판의 수량에 맞게 길이가 각기 다른 홀딩핀(40)을 미리 마련한 상태에서 시공 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하 적층된 경계판은 상기 홀딩핀(40)에 의해 서로 고정됨에 따라 견고하게 기립(起立)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3의 하부 측 원형 쇄선 내에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홀딩핀(40)에는 이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박히게 되는 포스트(41)와, 상기 포스트(41)의 외주면을 둘레를 따라 요입되며 상기 포스트(41)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리세스(recess)(42)가 형성된다.
상기 포스트(41)의 하단은 첨단(尖端) 또는 이에 가까운 뾰쪽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스트(41)가 지면에 박힌 상태에서 토양이나 자갈 등이 상기 리세스(42) 내로 유입되어 공간을 차지함에 따라 박힘 방향의 역방향으로 상기 포스트(41)가 빠지게 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세스(42)를 나선 형태의 홈 구조로 구현하여 상기 포스트(41)를 지면에 박을 때 나선 방향으로 회전시켜 박을 수 있고, 빼낼 때에도 역나선 방향으로 회전시켜 쉽게 제거할 수도 있다.
유통홀(50)은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계판에서 이의 양 외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공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상기 유통홀(50)은 경계 라인을 따라 상기 경계판이 축조된 상태에서 내부 측의 토양이 숨을 쉴 수 있도록 외기의 유통이 가능하고, 특히 우천 시 배수 기능을 하기도 한다.
네트(net)(60)는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통홀(50)을 막는 형태로 배치되며 공기와 수분의 유통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네트(60)는 미세한 통공을 갖도록 직조된 격자형의 그물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60)의 둘레를 따라 감싸는 형태의 사각 프레임(61)에 의해 고정된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형태의 상기 네트(60)는 상기 유통홀(50) 내부를 따라 형성된 홈에 사각 프레임(61)이 끼워짐에 따라 고정 배치된다. 이때 사각 프레임(61)을 탄성 재질로 구현하여 쉽게 구부리거나 휘는 등의 변형을 통해 상기 유통홀(50) 내부의 홈에 억지 끼움되게 한 후, 상기 네트(60)가 곧게 펼쳐질 수 있도록 결합시킬 수도 있다. 결국 상기 네트(60)는 공기와 수분은 통과하되, 토양이나 자갈 등이 쉽게 통과되지 않을 정도의 통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상기 네트(6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고정 형태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면이나 외면을 덮는 형태로 부착되는 별도의 부직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60)가 전후로 한 쌍이 구비되어 그 사이에 부직포가 배치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 10'' : 경계판
11 : 수용홈
12 : 고정핀
20 : 제1돌기부재
21 : 관통홀
30 : 제2돌기부재
31 : 대응관통홀
40 : 홀딩핀
41 : 포스트
42 : 리세스
50 : 유통홀
60 : 네트
61 : 사각 프레임
70 : 클립부재
71 : 제1서포트
72 : 제2서포트
73 : 수용홀
74 : 후크부
75 : 제3서포트
76 : 분사안내홀

Claims (7)

  1. 축조하려는 경계 라인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경계판(10, 10', 10'');
    상기 경계판(10, 10', 10'')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관통홀(21)을 갖는 제1돌기부재(20);
    상기 경계판(10, 10', 10'')의 타측에 돌출되되 상기 제1돌기부재(20)와는 비(非)동일수평선 상에 배치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대응관통홀(31)을 갖는 제2돌기부재(30);
    인접한 두 경계판(10, 10', 10'')에서 일측 경계판(10, 10', 10'')의 제2돌기부재(30)와 타측 경계판(10, 10', 10'')의 제1돌기부재(20)가 상호 암수 결합되어 상기 대응관통홀(31)과 상기 관통홀(21)이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응관통홀(31)과 상기 관통홀(21)에 끼워지게 되는 홀딩핀(40);
    상기 경계판(10, 10', 10'')에서 이의 양 외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유통홀(50); 및
    상기 유통홀(50)을 막는 형태로 배치되며 공기와 수분의 유통이 가능한 구조의 네트(net)(6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돌기부재(20)는 상기 경계판(10, 10', 10'')의 일측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돌기부재(30)는 상기 경계판(10, 10', 10'')의 타측 상하 영역에 각각 배치되게 한 쌍이 구비되되, 이들 사이에 상기 제1돌기부재(20)의 입출입이 가능한 공간 크기를 갖고,
    상기 각 경계판(10, 10', 10'') 중 일부 또는 전부(全部)는 ㄱ자형 또는 호형(弧形)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들 형태의 경계판(10, 10', 10'')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해 다양한 구조의 축조가 가능하고,
    상기 홀딩핀(40)은 상기 경계판(10, 10', 10'')이 수직으로 적층될 때에
    최상단의 경계판(10, 10', 10'') 대응관통홀(31)에서 최하단의 경계판(10, 10', 10'') 대응관통홀(31)까지 삽입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고,
    상기 홀딩핀(40)에는 이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박히게 되는 포스트(41)와, 상기 포스트(4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요입되며 상기 포스트(41)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나선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 리세스(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판(10, 10', 10'')의 상부면에는 아치(arc)형 폴대(1) 단부가 삽입되는 둘 이상의 수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판(10, 10', 10'')에는 상기 수용홈(11)에 상기 폴대(1)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11)과 상기 폴대(1) 단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폴대(1)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핀(1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판(10, 10', 10'')에 결합되어 아치형 폴대(1) 단부를 지지하는 클립부재(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클립부재(70)는
    경계판(10, 10', 10'')에서 유통홀(50) 상부 측 상단을 감싸는 단면이 ┌┐자 형상을 이루는 제1서포트(71)와,
    상기 제1서포트(71)의 타측 외벽에서 일체로 수평 연장되되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서포트(72)와,
    상기 각 제2서포트(72)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홀(73)과,
    상기 제1서포트(71)의 일측 하단에서 일체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유통홀(50)의 내부면에 걸리게 되는 후크부(7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
KR1020190096805A 2019-08-08 2019-08-08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 Active KR102184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805A KR102184445B1 (ko) 2019-08-08 2019-08-08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805A KR102184445B1 (ko) 2019-08-08 2019-08-08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445B1 true KR102184445B1 (ko) 2020-11-30

Family

ID=7364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805A Active KR102184445B1 (ko) 2019-08-08 2019-08-08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4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5625A (ja) * 1992-12-16 1995-06-06 Nakamura Kensetsu Kk 土留擁壁作製方法
KR200202409Y1 (ko) 2000-06-09 2000-11-15 황선주 조립식 경계블럭
KR100376094B1 (ko) * 2000-08-23 2003-03-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이피에스를 이용한 배수용 블록
KR100679736B1 (ko) * 2004-01-26 2007-02-07 (주)레코기술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KR100974329B1 (ko) 2010-04-23 2010-08-06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경계블록
KR20110087608A (ko) * 2010-01-26 2011-08-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및 작업대 설치를 위한 구속 치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5625A (ja) * 1992-12-16 1995-06-06 Nakamura Kensetsu Kk 土留擁壁作製方法
KR200202409Y1 (ko) 2000-06-09 2000-11-15 황선주 조립식 경계블럭
KR100376094B1 (ko) * 2000-08-23 2003-03-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이피에스를 이용한 배수용 블록
KR100679736B1 (ko) * 2004-01-26 2007-02-07 (주)레코기술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KR20110087608A (ko) * 2010-01-26 2011-08-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및 작업대 설치를 위한 구속 치구
KR100974329B1 (ko) 2010-04-23 2010-08-06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경계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774B1 (ko) 가로 목의 각도설치가 용이한 휀스용 지주
PL70588Y1 (pl) Uniwersalny element budowlany
KR100915976B1 (ko) 정자 조립체
KR101437121B1 (ko) 가로수용 급수 및 급양 및 통기관 장치
KR20110115049A (ko) 철망 지지 프레임 및 그를 이용한 철망 울타리
KR102339094B1 (ko) 칸막이 시공성이 향상된 펜스 조립체
KR101333467B1 (ko) 조립식 보도 블럭 케이스
KR102184445B1 (ko)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
KR20130015926A (ko) 평판형 원형 수로관
CA2456336A1 (en) Interlocking conformable retainer wall system
KR200463521Y1 (ko) 매입형 배수로 부재
JP5661392B2 (ja) 貯水施設の施工法及び貯水ユニット
KR101003478B1 (ko) 철망 울타리 설치용 지지대
KR101631566B1 (ko)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428489Y1 (ko) 조경용 조립식 펜스.
KR101072007B1 (ko) 정자와 파고라를 포함하는 조경 시설물용 기둥
KR101122412B1 (ko) 잔디블럭
KR100885651B1 (ko) 조립형 펜스
KR20120005351U (ko) 화분타입의 보차도 경계 펜스
KR101224137B1 (ko) 잔디블럭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52380B1 (ko) 인조잔디식재 및 조립이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KR100754977B1 (ko)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KR200459661Y1 (ko) 산책로 경계 구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100892256B1 (ko) 가로수 조경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