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84445B1 - Chain block - Google Patents

Chain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445B1
KR102184445B1 KR1020190096805A KR20190096805A KR102184445B1 KR 102184445 B1 KR102184445 B1 KR 102184445B1 KR 1020190096805 A KR1020190096805 A KR 1020190096805A KR 20190096805 A KR20190096805 A KR 20190096805A KR 102184445 B1 KR102184445 B1 KR 102184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hole
boundary plate
plates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8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소병무
Original Assignee
소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병무 filed Critical 소병무
Priority to KR102019009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4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44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조하려는 경계 라인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경계판; 상기 경계판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관통홀을 갖는 제1돌기부재; 상기 경계판의 타측에 돌출되되 상기 제1돌기부재와는 비(非)동일수평선 상에 배치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대응관통홀을 갖는 제2돌기부재; 인접한 두 경계판에서 일측 경계판의 제2돌기부재와 타측 경계판의 제1돌기부재가 상호 암수 결합되어 상기 대응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이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응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게 되는 홀딩핀; 상기 경계판에서 이의 양 외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유통홀; 및 상기 유통홀을 막는 형태로 배치되며 공기와 수분의 유통이 가능한 구조의 네트(net);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으로써, 블록 양단이 암수 결합되되 핀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다양한 각도로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하로의 적층 시공은 물론, 계단 형태의 다단 시공 또한 가능한 조립식 체인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boundary plates disposed on the boundary line to be built; A first protruding member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boundary plate and having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therein; A second protrusion member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plate, being formed to be disposed on a non-same horizontal line with the first protruding member, and having a vertical corresponding through hole therein; In two adjacent boundary plates,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of one boundary plate and the first protrusion member of the other boundary plate are male and female to each other, so that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and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are arrang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 holding pin tha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 distribution hole formed in the boundary plate to penetrate both outer walls thereof; And a net having a structure that is arranged in the form of blocking the distribution hole and allows the circulation of air and moisture, so that both ends of the block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pin, so that adjustment of various angles is possible. ,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chain block capable of stacking up and down, as well as multi-stage construction in the form of stairs.

Description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CHAIN BLOCK}Assembly chain block for easy construction {CHAIN BLOCK}

본 발명은 일자형, 호형(弧形), ㄱ자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경계판을 선택적으로 연결 조립하여 다양한 구조로 축조가 가능함은 물론, 상하로의 적층식 연결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체인블록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chain block that can be constructed in a variety of structures by selectively connecting and assembling various types of boundary plates such as straight, arc, and a-shaped, as well as stacked up and down connection and assembly. to be.

일반적으로 경계블록은 도로의 중앙이나 갓길 운행선 또는 보도 분리선 등에 설치되어 도로의 구획을 결정하여 차량 및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석재 또는 콘크리트 성형물로 제조되고 있다.In general, a boundary block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a road, a running line on the shoulder, or a sidewalk separation line to determine the division of the road to safely protect vehicles and pedestrians, and is usually manufactured of stone or concrete moldings.

이와 같은 경계블록은 인도와 차도의 경계선 상에 설치하여 인도와 차도를 구분시킴과 동시에, 인도와 차도를 단차지게 형성하여서 주행차량 운전자의 운전미숙이나 부주위로 인한 차량탈선 및 돌발사고발생시 차량이 인도로 타오르지 못하도록 하는 방호벽 기능을 갖는다.Such a boundary block is installed on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sidewalk and the roadway to separate the sidewalk and the roadway, and at the same time, the sidewalk and the roadway are formed stepped so that the vehicle is delivered in case of a vehicle derailment or sudden accident due to inexperience or negligence of the driving vehicle driver. It has a protective barrier function to prevent burning.

한편 이러한 인도와 차도의 경계가 아닌 화단이나 정원과 산책로나 자전거길의 경계선 상에도 경계블록에 의해 구분하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not on the boundary between the sidewalk and the driveway, but on the boundary line between flower beds, gardens, trails, and bicycle paths, the boundary blocks are used to separate them.

이러한 경계블록에 관한 기술로는,As a technology for such boundary blocks,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02409호 (2000.08.29.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조립식 경계블럭』이 제시되어 있는바,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02409 (registered on August 29, 2000, hereinafter referred to as'document 1') 『Assembly-type boundary block』 is presented.

문헌 1은 고강도의 합성수지재로서 일정두께와 길이를 가진 블럭의 좌우측면에 입구가 좁고 내부가 확장된 요입홈을 바닥면과 개방되게 형성하고, 상기 블럭을 측면으로 다수 개 연접하여 이에 대접되는 요입홈에 삽지되는 연결핀을 고정하여 됨으로써, 가정의 정원이나 유원지 또는 행사장 등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로 된 화단의 경계블럭을 조립식으로 결합 또는 분해하여 간편하게 설치 및 이동이 가능하고 용도에 따라 조형물 또는 녹지공간이 형성되는 화단을 효율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조립식 경계블럭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1 is a high-strength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ed with narrow entrances and concave groov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 block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length to be opened with the bottom surface, and a plurality of the blocks are connected to the side to be treated. By fixing the connecting pin inserted into the mouth groove,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move easily by prefabricating or disassembling the boundary blocks of various types of flower beds installed in the garden, amusement park, or event hall, etc., depending on the purpose. This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prefabricated boundary block that can efficiently create a flower bed to be formed.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74329호 (2010.07.30.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경계블록』이 제시되어 있는바,As another technolog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74329 (registered on July 30, 2010, hereinafter referred to as'document 2') 『Border Block』 is suggested.

문헌 2는 상향 개방되면서 바닥으로부터는 일정 높이로 사고석 받침부를 형성하고, 외주면의 일측편 양측 모서리에는 일정 높이로 연결관을 형성하며, 타측편의 양측 모서리에는 상기 연결관에 맞춤 삽입되도록 하는 봉형상의 연결구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핀홀을 형성한 블록케이스와; 상기 블록 케이스의 상부로부터 상기 사고석 받침부에 얹혀지게 맞춤 삽입되고, 상부면은 상기 블록 케이스의 상단부 높이보다는 작지 않게 형상하며, 중앙에는 일정 직경으로 수직 관통되도록 한 핀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사고석; 및 상기 사고석 중앙의 핀 관통홀과 상기 블록 케이스의 핀홀을 통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핀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매우 쉽고 빠른 시공과 자유롭게 곡선을 연출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투수성이 매우 양호하고, 특히 내구력을 향상시켜 보다 오랜 사용을 제공하게 되는 경계블록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2 is a rod-shaped rod that forms an accident seat support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while opening upwards, forms a connection pipe at a certain height at both corners of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its into the connection pipe at both corners of the other side. A block case having a connector formed thereon and having a pin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ccident to be fitted and inserted from the top of the block case to be placed on the accident seat support, the upper surface is shaped not to be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block case, and a pin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o vertically penetrate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three; And a pin through hole in the center of the accident seat and a fixing pin that is fixed to the ground through a pin hole in the block case, so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a curve freely and easily and quickly, and has very good water permeability.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boundary blocks that improves durability and provides longer use.

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02409호 (2000.08.29.등록)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02409 (Registration on August 29, 2000)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74329호 (2010.07.30.등록)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74329 (registered on July 30, 2010)

본 발명은 도로 경계, 화단 조성, 텃밭 조성 등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여러 형태의 블록을 상호 조합하여 다양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sy-to-build prefabricated chain block that can be applied to and installed in various structures such as road boundary, flower bed composition, and garden composition, and in particular, various types of block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various structures. .

나아가 본 발명은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함은 물론, 상하로의 적층 시공이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embly-type chain block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separate, as well as easy to stack up and down, so that anyone can easily use it.

아울러 본 발명은 블록에 의한 경계 라인 내외 간의 공기 및 수분 유통이 가능하여 토양이 숨을 쉴 수 있고, 배수가 용이하며, 작물을 위한 온실 효과를 제공하도록 비닐하우스 등의 구현이 가능한 조립식 체인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fabricated chain block that can be implemented such as a green house so that the soil can breathe, drainage is easy, and provide a greenhouse effect for crops by allowing the circulation of air and moistur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the boundary line by the block. It has its purpos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철거가 어렵고 폐기 부산물이 많이 발생하는 기존의 고정식 블록에 비해 철거 및 분해, 이전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재사용이 가능하고 편리성이나 이동성, 공간 활용성에 대해 다양성을 갖는 조립식 체인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fabricated chain block that is difficult to dismantle and has a variety of convenience, mobility, and space utilization, as well as ease of removal, disassembly, and reloca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fixed blocks that generate a lot of waste by-products. It has its purpose to provide.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은,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ssembled chain block is easy to bui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축조하려는 경계 라인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경계판;A plurality of boundary plates disposed on the boundary line to be built;

상기 경계판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관통홀을 갖는 제1돌기부재;A first protrusion member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boundary plate and having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therein;

상기 경계판의 타측에 돌출되되 상기 제1돌기부재와는 비(非)동일수평선 상에 배치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대응관통홀을 갖는 제2돌기부재;A second protrusion member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plate, being formed to be disposed on a non-same horizontal line with the first protruding member, and having a vertical corresponding through hole therein;

인접한 두 경계판에서 일측 경계판의 제2돌기부재와 타측 경계판의 제1돌기부재가 상호 암수 결합되어 상기 대응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이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응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게 되는 홀딩핀;In two adjacent boundary plates,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of one boundary plate and the first protrusion member of the other boundary plate are male and female to each other, so that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and the through hole are arrang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 holding pin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상기 경계판에서 이의 양 외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유통홀; 및A distribution hole formed in the boundary plate to penetrate both outer walls thereof; And

상기 유통홀을 막는 형태로 배치되며 공기와 수분의 유통이 가능한 구조의 네트(net);A net having a structure that blocks the distribution hole and allows air and moisture to flow;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본 발명에 따른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은,The assembled chain block for easy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러 형태의 블록 양단이 암수 결합되되 핀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다양한 각도로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하로의 적층 시공은 물론, 계단 형태의 다단 시공 또한 가능하며, 핀을 지면에 박하 고정함으로써 견고한 설치 또한 가능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Both ends of various types of blocks are combined male and female, but they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by pins to allow adjustment in various angles, stacking up and down, as well as multi-stage construction in the form of stairs, and solid installation by fixing pins to the ground. It also has the greatest possible effect.

또 일반 경계블록의 축조에 있어 설치 후 이전 및 재축조가 어려운데 비해 분해 후 재축조가 용이하며 소모성 폐기물의 배출이 없어 친환경적 블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of a general boundary block, it is difficult to rebuild and relocate after installation, but it is easy to rebuild after disassembly and there is no discharge of consumable waste,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co-friendly blo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에서 제1 구현예의 경계판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제1 구현예의 경계판에서 제1 및 제2 돌기부재에 대한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3은 하나의 제1돌기부재와 한 쌍의 제2돌기부재가 형성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4는 경계판의 몸체 내부 두께가 양단에 비해 얇은 구조인 것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5는 도 1, 도 3 및 도 4의 경계판 각각에 대한 정면 구성도,
도 6은 제2 구현예의 경계판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7은 제3 구현예의 경계판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8은 제1 구현예의 경계판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9는 사각 경계 라인 상에 제1 구현예의 경계판이 시공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10은 제1 및 제2 구현예의 경계판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11은 제3 구현예의 경계판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12는 제1 및 제3 구현예의 경계판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13은 경계판이 수평으로 연결되고 상하로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시공 상태 도면,
도 14는 경계판의 상면에 폴대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
도 15는 마주한 두 경계판 사이에 폴대가 고정 기립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시공 상태 도면,
도 16은 경계판에 클립부재가 장착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17은 도 16의 일부 결합 단면 구성도,
도 18은 클립부재에 물 공급용 호스가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 구성도.
1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boundary plate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prefabricated chain block for easy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various shapes of first and second protruding members in the boundary plate of the first embodiment;
3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one first protruding member and a pair of second protruding members are formed;
4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that the inner thickness of the body of the boundary plate is thinner than that of both ends,
5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each of the boundary plates of FIGS. 1, 3 and 4;
6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boundary plate of the second embodiment,
7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boundary plate of a third embodiment;
8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undary plate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interconnected;
9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undary plate of the first embodiment is constructed on a rectangular boundary line,
10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undary plate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interconnected;
11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undary plates of the third embodiment are interconnected;
12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undary plates of the first and third embodiments are interconnected;
13 is a construc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undary plates are connected horizontally and stacked up and down;
14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at the receiving groove into which the end of the pole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plate,
15 is a construc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le is fixed and erected between two facing boundary plates,
16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that the clip member is mounted on the boundary plate,
1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6;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at the hose for water supply is installed on the clip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은,As shown in Figures 1 to 15, the assembly type chain block is easy to bui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경계판(10), 제1돌기부재(20), 제2돌기부재(30), 홀딩핀(40), 유통홀(50) 및 네트(60)로 이루어진다.It consists of a boundary plate 10, a first protrusion member 20, a second protrusion member 30, a holding pin 40, a distribution hole 50, and a net 60.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경계판(10)은The boundary plate (10)

축조하려는 경계 라인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It is disposed on the boundary line to be built, and can be made in various form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의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1 to 5, the boundary plate 10 of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돌기부재(20)는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 일측 상부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2돌기부재(30)는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 타측 하부 영역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수평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두 경계판(10)의 각 돌기부재(20, 30)가 상호 암수 결합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 the first protrusion member 20 is formed in an upper region of one side of the boundary plate 10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30 is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plate 10 of the first embodiment. Each of the protruding members 20 and 30 of the two boundary plates 10 disposed horizontally adjacent to each other is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formed in each region.

다른 예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돌기부재(20)는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 일측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2돌기부재(30)는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 타측 상하 영역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수평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두 경계판(10)의 각 돌기부재(20, 30)가 상호 암수 결합된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protrusion member 20 is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one side of the boundary plate 10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30 is the boundary plate 10 of the first embodiment. By being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other side, each of the protruding members 20 and 30 of the two boundary plates 10 disposed horizontally adjacent to each other is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제2 구현예의 경계판(10')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ㄱ자형을 갖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the boundary plate 1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made of a plate having a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이때 상기 제2 구현예의 경계판(10')은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재(20, 30)는 전술한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과 마찬가지로 일측에 하나의 제1돌기부재(20)가 배치되고 타측에 하나의 제2돌기부재(30)가 마련되거나, 또는 일측에 하나의 제1돌기부재(20)가 배치되고 타측에 한 쌍의 제2돌기부재(30)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boundary plate 10'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members 20 and 30 are one first protruding member 20 on one side, similar to the boundary plate 10 of the first embodiment. ) Is disposed and one second protruding member 3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r one first protruding member 20 is disposed on one side and a pair of second protruding members 30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There is.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호형(弧形)을 갖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the boundary plate 10 ″ of the third embodiment is made of a plate having an arc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이때 상기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은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재(20, 30)는 전술한 제1 및 제2 구현예의 경계판(10, 10')과 마찬가지로 일측에 하나의 제1돌기부재(20)가 배치되고 타측에 하나의 제2돌기부재(30)가 마련되거나, 또는 일측에 하나의 제1돌기부재(20)가 배치되고 타측에 한 쌍의 제2돌기부재(30)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boundary plate 10' of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members 20 and 30 are one side of the boundary plate 10, 10'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first protrusion member 20 is disposed and one second protrusion member 3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r one first protrusion member 20 is disposed on one side and a pair of second protrusion members ( 30) can be provided.

결국 상기 각 경계판 중 일부 또는 전부(全部)는 일자형 또는 ㄱ자형 또는 호형(弧形)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들 형태의 경계판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해 다양한 구조의 축조가 가능하다.As a result, some or all of the boundary plates are formed in a straight shape, a-shaped shape, or an arc shape, and thus various types of structures can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combining these types of boundary plates.

일예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을 이용해 사각의 경계 라인으로 축조가 가능하다. 나아가 각 코너 부분에 대한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연결할 경우 삼각, 오각, 육각 등 다각의 경계 라인으로 축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 and 9,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rectangular boundary line using the boundary plate 10 of the first embodiment. Furthermore, if the angle of each corner is properly adjusted and connecte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construct a multi-angle boundary line such as triangular, pentagonal, and hexagonal.

다른 예로, 도 10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을 상호 연결하되 코너 부분에 제2 구현예의 경계판(10')이 개재(介在)되도록 연결함으로써, 경계 라인 상 중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변위(變位)되거나 뒤틀릴 수 있는 코너 부분을 제2 구현예의 경계판(10')으로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As another example, by connecting the boundary plate 10 of the first embodiment to each other, but connecting the boundary plate 10 ′ of the second embodiment to the corner portion as shown in FIG. 10, external impact on the boundary line Corner portions that can be easily displaced or distorted by the like can be reinforced with the boundary plate 10' of the second embodiment.

또 다른 예로, 도 11에서와 같이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을 상호 연결하여 타원형이나 원형의 경계 라인으로 축조가 가능하다. 나아가 도 12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경계판(10)을 상호 연결하되 코너 부분에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이 개재되도록 연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1, by interconnecting the boundary plates 10 ″ of the thir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oval or circular boundary line. Further, as shown in FIG. 12, the boundary plate 10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interconnected, but the boundary plate 10 ″ of the third embodiment may be connected to the corner portion.

이외에도 상기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 10', 10'')을 적절히 선택하여 조합할 경우 좀 더 다양한 형태의 경계 라인을 축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oundary plates 10, 10 ′, and 10 ″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re appropriately selected and combined, a more diverse type of boundary line can be constructed.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 10', 10'')에서 몸체는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중앙 양 외벽이 내측으로 움푹 들어감에 따라 몸체 양단에 비해 두께가 얇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boundary plates 10, 10 ′, 10 ″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body may have a certain thickness, but 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4, the outer walls of the center are recessed inward. Accordingly, the thickness may be made thinner than both ends of the body.

한편,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 10', 10'')의 상부면에는 아치(arc)형 폴대(1) 단부가 삽입되는 둘 이상의 수용홈(11)이 형성된다. 이때 아치형 폴대(1)는 비닐하우스 등을 시공할 때에 기둥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5에서와 같이 폴대(1)의 양단부 중 일측 단부가 상기 수용홈(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주하는 경계판의 수용홈(11)에 폴대(1)의 양단부 중 타측 단부가 삽입됨에 따라 아치형 폴대(1)가 고정 기립(起立)된다. 이 상태에서 비닐 등을 씌워 작물에 대한 온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4, two or more receiving grooves 11 into which the ends of the arc-shaped poles 1 are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s of the boundary plates 10, 10 ′, 10 ″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 Is formed. At this time, the arched pole (1) serves as a pillar when constructing a vinyl house, etc., and as shown in FIG. 15, a boundary plate facing one end of the pole (1)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 As the other end of the pole (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 of the arch-shaped pole (1) is fixedly standing (起立).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expect a greenhouse effect for crops by covering it with vinyl.

이렇게 고정 기립된 아치형 폴대(1)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5의 하부 측 원형 쇄선 내의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경계판에는 상기 수용홈(11)에 상기 폴대(1)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11)과 상기 폴대(1) 단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폴대(1)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핀(12)이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핀(1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은닉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외부로부터 간섭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노출 시 보행자에게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In order to be able to more firmly fix the arch-shaped pole (1) fixed in this way, the end of the pole (1) in the receiving groove (11) in the boundary plate as in the drawing in the lower side circular chain line of FIG. In the inserted state, a fixing pin 12 is provided that is inserted in a form crossing the end of the receiving groove 11 and the pole 1 to fix the end of the pole 1. This fixing pin 12 is preferably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s a length enough to be concealed, this is to prevent interference because it can act as a risk factor to pedestrians when exposed to the maximum and prevent interference from the outside.

다른 예로,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 10', 10'')에 결합되어 아치형 폴대(1) 단부를 지지하는 클립부재(7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6, a clip member 70 coupled to the boundary plates 10, 10 ′, 10 ″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o support the end of the arc-shaped pole 1 may be further provided. there is,

상기 클립부재(70)는The clip member 70 is

경계판(10, 10', 10'')에서 유통홀(50) 상부 측 상단을 감싸는 단면이 ┌┐자 형상을 이루는 제1서포트(71)와,A first support 71 having a ┌┐ shape in a cross section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distribution hole 50 in the boundary plates 10, 10', 10'',

상기 제1서포트(71)의 타측 외벽에서 일체로 수평 연장되되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서포트(72)와,A pair of second supports 72 that are integrally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other outer wall of the first support 71 and are arrang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상기 각 제2서포트(72)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홀(73)A pair of receiving holes 73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through each of the second supports 72

로 이루어진다.Consists of

결국 상기 경계판(10, 10', 10'')에 상기 제1서포트(71)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각 수용홀(73)에 폴대(1) 단부를 끼움으로써, 폴대(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함은 물론, 상기 경계판에서 상기 제1서포트(71)의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상기 클립부재(70)에 대한 위치 조정이 용이하여 폴대(1)와 폴대(1) 간의 간격 조정이 매우 용이하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간격 조정이 완료된 상기 클립부재(70)는 별도의 볼트나 클램프 등에 의해 상기 경계판에 고정 설치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Eventually, by inserting the end of the pole 1 into each of the receiving holes 73 while the first support 71 is seated on the boundary plates 10, 10', 10'', the pole 1 is stable. It is supported by and is easy to install and detach, and it is eas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lip member 70 through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first support 71 on the boundary plate, so that between the pole 1 and the pole 1 It is very easy to adjust the spacing.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lip member 70 whose spacing has been adjusted may be implemented to be fixedly installed on the boundary plate by a separate bolt or clamp.

이때 상기 경계판에서 상기 제1서포트(71)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클립부재(70)는 상기 제1서포트(71)의 일측 하단에서 일체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유통홀(50)의 내부면에 걸리게 되는 후크부(7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경계판에 상기 클립부재(70) 장착 시 상기 후크부(74)가 상기 경계판의 전면(前面)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유통홀(50)을 만나게 되면 상기 유통홀(50)의 내부면으로 삽입되면서 걸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계판에서 상기 클립부재(70) 분리 시에는 상기 후크부(74)를 손이나 공구 등을 이용해 잡아당기면서 상방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support 71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boundary plate, the clip member 70 is integrally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71 so that the distribution hole 5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hook portion 74 that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Therefore, when the clip member 70 is mounted on the boundary plate, when the hook portion 74 moves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boundary plate and meets the distribution hole 50, the inner surface of the distribution hole 50 It is caught while being inserted. When the clip member 70 is separated from the boundary plate, the hook portion 74 can be easily separated by pulling it upward while pulling it using a hand or a tool.

그리고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클립부재(70)에는 상기 경계판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71, 72)가 배치된 반대편 측벽에 수평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3서포트(75)가 형성되고, 상기 제3서포트(75)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벽체에 내외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분사안내홀(7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서포트(65)에는 물 공급용 호스(1)가 안착되는데, 상기 호스(1)는 평상 시 납작하다가 공급된 물에 의해 부풀어 원형을 이루는 일명, 접착 호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분사홀(2a)이 형성됨으로써, 공급된 물이 상기 분사홀(2a)을 통해 분사된 후 상기 분사안내홀(76)을 지나 작물 등에 공급된다.And as shown in FIG. 18, the clip member 70 has a third support in a form bent upward after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undary plate to opposite sidewalls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71 and 72 are disposed. 75 is formed, and a spray guide hole 76 is formed to penetrate into and out of the wall vertically erected by the third support 75. At this time, a water supply hose 1 is mounted on the third support 65, and the hose 1 may be formed in a so-called adhesive hose structure, which is flat and inflated by the supplied water to form a circular shape. By forming a plurality of spray holes 2a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y, the supplied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spray hole 2a and then supplied to crops through the spray guide hole 76.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 10', 10'')은 고강도 합성수지나 콘크리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undary plates 10, 10 ′, and 10 ″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high strength synthetic resin or concrete.

제1돌기부재(20)는The first protrusion member 20 is

상기 경계판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관통홀(21)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boundary plate and has a structure having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21 therein.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기부재(20)는 상기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 10', 10'') 일측 상부 또는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rotrusion member 20 is disposed in an upper portion or a central region of one side of the boundary plates 10, 10 ′, 10 ″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이때 상기 제1돌기부재(20)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 형태일 수도 있으나, 경계판들을 상호 연결할 때에 서로 간의 각도 조절 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 2의 [가]에서와 같이 외벽 일부만 호형을 이루거나, 도 2의 [나]에서와 같이 외벽 전부(前部)가 호형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도 2의 [다]에서와 같이 외벽 단부가 일자 형태인 즉, 전체적으로 사각형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외벽 일부만 호형을 이루는 경우 도 8에서와 같이 인접한 두 경계판이 직선 타입으로 서로 연결될 때에 연결 부위의 제1 및 제2 돌기부재(20, 30)가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평탄한 면을 이루고 있어(단, 제2돌기부재(30) 또한 외벽 일부만 호형일 경우에 한함) 외관상 깔끔하고 틈새가 없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rotrusion member 20 may have a square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but in order to minimize interference when adjusting the angles between the boundary plates, only a part of the outer wall is arc-shaped as shown in [A] of FIG. Or, as in [B] of FIG. 2, the entire outer wall is formed in an arc shape, or as shown in [C] of FIG. Can be made of. In particular, when only a part of the outer wall is formed in an arc shape, as shown in FIG. 8, when two adjacent boundary plat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members 20 and 30 of the connecting portion form a flat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but ,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30 is also limited to the case that only part of the outer wall is arc-shaped) It is clean in appearance and there is no gap, so that foreign matter inflow can be prevented.

제2돌기부재(30)는The second protrusion member 30 is

상기 경계판의 타측에 돌출되되 상기 제1돌기부재(20)와는 비(非)동일수평선 상에 배치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대응관통홀(31)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plate,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 is formed to be disposed on a non-same horizontal line, and has a structure having upper and lower corresponding through holes 31 therein.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돌기부재(30)는 상기 제1 내지 제3 구현예의 경계판(10, 10', 10'') 타측 하부 또는 상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결국 상기 제1돌기부재(20)와는 상호 암수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30 is disposed in the lower or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plates 10, 10 ′, and 10 ″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s a result, the first protrusion member 20 is disposed to be displac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member 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제2돌기부재(30)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 형태일 수도 있으나, 경계판들을 상호 연결할 때에 서로 간의 각도 조절 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 2의 [가]에서와 같이 외벽 일부만 호형을 이루거나, 도 2의 [나]에서와 같이 외벽 전부(全部)가 호형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3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but in order to minimize interference when adjusting the angles between the boundary plates, only a part of the outer wall is arc-shaped as shown in [A] of FIG. Or, as shown in [B] of FIG. 2, the entire outer wall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그리고 상기 제2돌기부재(30)는 상기 경계판의 타측 상하 영역에 각각 배치되게 한 쌍이 구비되되, 이들 사이에 상기 제1돌기부재(20)의 입출입이 가능한 공간 크기를 갖는다.In addition, a pair of the second protrusion members 30 are provided so as to b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plate, and have a space size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member 20 can enter and exit between them.

홀딩핀(40)은The holding pin 40

인접한 두 경계판에서 일측 경계판의 제2돌기부재(30)와 타측 경계판의 제1돌기부재(20)가 상호 암수 결합되어 상기 대응관통홀(31)과 상기 관통홀(21)이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응관통홀(31)과 상기 관통홀(21)에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In the two adjacent boundary plates,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30 of one boundary plate and the first protrusion member 20 of the other boundary plate are coupl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31 and the through hole 21 are equally vertical. It is to be fitted into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31 and the through hole 21 in the state arranged on the ship,

서로 연결된 경계판끼리의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홀딩핀(40)은 단면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재(20, 30)의 관통홀(21)과 대응관통홀(31) 또한 원형의 홀인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djust the angle of the boundary plates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pins 40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through holes 21 and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members 20 and 30 ( 31) It is also preferable to have a circular hole.

특히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홀딩핀(40)은 상기 경계판이 수직으로 적층될 때에 최상단의 경계판 대응관통홀(31)에서 최하단의 경계판 대응관통홀(31)까지 삽입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3, the holding pin 40 has a length such that when the boundary plate is vertically stacked, it is inserted from the uppermost boundary plate corresponding through hole 31 to the lowermost boundary plate corresponding through hole 31. Have.

일예로, 상하로 적층된 경계판이 3개일 경우 최상단에서 최하단에 이르기까지의 3개의 경계판에서 각 대응관통홀(31)에 삽입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다. 결국 적층되는 경계판의 수량에 맞게 길이가 각기 다른 홀딩핀(40)을 미리 마련한 상태에서 시공 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하 적층된 경계판은 상기 홀딩핀(40)에 의해 서로 고정됨에 따라 견고하게 기립(起立)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ree boundary plates are stacked up and down, three boundary plat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have a length that is inserted into each corresponding through hole 31. Eventually, holding pins 40 having different length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acked boundary plates are provided in advance and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during construction.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stacked boundary plates are secured to each other by the holding pins 40 to maintain a firmly standing state.

그리고 도 13의 하부 측 원형 쇄선 내에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홀딩핀(40)에는 이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박히게 되는 포스트(41)와, 상기 포스트(41)의 외주면을 둘레를 따라 요입되며 상기 포스트(41)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리세스(recess)(42)가 형성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the drawing in the lower side circular chain line of FIG. 13, the holding pin 40 has a post 4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it and being stuck in the ground,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st 41 is concave along the circumference. And a plurality of recesses 42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ost 41 are formed.

상기 포스트(41)의 하단은 첨단(尖端) 또는 이에 가까운 뾰쪽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nd of the post 41 is preferably a tip or a pointed shape close to it.

상기 포스트(41)가 지면에 박힌 상태에서 토양이나 자갈 등이 상기 리세스(42) 내로 유입되어 공간을 차지함에 따라 박힘 방향의 역방향으로 상기 포스트(41)가 빠지게 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세스(42)를 나선 형태의 홈 구조로 구현하여 상기 포스트(41)를 지면에 박을 때 나선 방향으로 회전시켜 박을 수 있고, 빼낼 때에도 역나선 방향으로 회전시켜 쉽게 제거할 수도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post 41 is embedded in the ground, soil or gravel is introduced into the recess 42 and occupies a space, thereby preventing the post 41 from being re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insertion direction as much as possible. At this time, the recess 42 is implemented in a spiral groove structure so that the post 41 can be rotated in a spiral direction when driving it into the ground, and can be easily removed by rotating it in an inverse spiral direction when pulling out. .

유통홀(50)은Distribution hall 50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6 and 7,

상기 경계판에서 이의 양 외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공간 구조로 이루어진다.It consists of a space structure formed in the boundary plate to penetrate both outer walls thereof.

이러한 구조의 상기 유통홀(50)은 경계 라인을 따라 상기 경계판이 축조된 상태에서 내부 측의 토양이 숨을 쉴 수 있도록 외기의 유통이 가능하고, 특히 우천 시 배수 기능을 하기도 한다.The distribution hole 50 having such a structure enables the circulation of outside air so that the soil inside the inner side can breathe while the boundary plate is constructed along the boundary line, and particularly functions as a drainage function in rainy weather.

네트(net)(60)는The net (60)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B] of FIG. 2,

상기 유통홀(50)을 막는 형태로 배치되며 공기와 수분의 유통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It is arranged in a form that blocks the distribution hole 5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ir and moisture can be distributed.

상기 네트(60)는 미세한 통공을 갖도록 직조된 격자형의 그물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60)의 둘레를 따라 감싸는 형태의 사각 프레임(61)에 의해 고정된 형태를 이룬다.The net 60 is made of a grid-like net structure woven to have fine through-holes, and is fixed by a rectangular frame 61 wrapped around the net 60.

이러한 형태의 상기 네트(60)는 상기 유통홀(50) 내부를 따라 형성된 홈에 사각 프레임(61)이 끼워짐에 따라 고정 배치된다. 이때 사각 프레임(61)을 탄성 재질로 구현하여 쉽게 구부리거나 휘는 등의 변형을 통해 상기 유통홀(50) 내부의 홈에 억지 끼움되게 한 후, 상기 네트(60)가 곧게 펼쳐질 수 있도록 결합시킬 수도 있다. 결국 상기 네트(60)는 공기와 수분은 통과하되, 토양이나 자갈 등이 쉽게 통과되지 않을 정도의 통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et 60 of this type is fixedly disposed as the square frame 6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along the inside of the distribution hole 50. At this time, the square frame 61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it is forcibly fitted into the groove inside the distribution hole 50 through deformation such as easily bent or bent, and then the net 60 may be combined so that it can be straightened. have. Eventually, the net 60 passes through air and moisture, but preferably has a through hole such that soil or gravel does not pass easily.

다른 예로, 상기 네트(6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고정 형태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면이나 외면을 덮는 형태로 부착되는 별도의 부직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60)가 전후로 한 쌍이 구비되어 그 사이에 부직포가 배치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net 6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to have a fixed structure, and a separate nonwoven fabric attached in a form covering an inner surface or an outer surface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net 6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front and rear, and a nonwoven fabric may be disposed therebetween.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has been mainly described a "assembly-type chain block that is easy to buil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10', 10'' : 경계판
11 : 수용홈
12 : 고정핀
20 : 제1돌기부재
21 : 관통홀
30 : 제2돌기부재
31 : 대응관통홀
40 : 홀딩핀
41 : 포스트
42 : 리세스
50 : 유통홀
60 : 네트
61 : 사각 프레임
70 : 클립부재
71 : 제1서포트
72 : 제2서포트
73 : 수용홀
74 : 후크부
75 : 제3서포트
76 : 분사안내홀
10, 10', 10'': border plate
11: receiving groove
12: fixing pin
20: first protrusion member
21: through hole
30: second protrusion member
31: corresponding through hole
40: holding pin
41: post
42: recess
50: distribution hall
60: net
61: square frame
70: clip member
71: 1st support
72: 2nd support
73: accommodation hall
74: hook portion
75: 3rd support
76: injection guide hole

Claims (7)

축조하려는 경계 라인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경계판(10, 10', 10'');
상기 경계판(10, 10', 10'')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관통홀(21)을 갖는 제1돌기부재(20);
상기 경계판(10, 10', 10'')의 타측에 돌출되되 상기 제1돌기부재(20)와는 비(非)동일수평선 상에 배치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 대응관통홀(31)을 갖는 제2돌기부재(30);
인접한 두 경계판(10, 10', 10'')에서 일측 경계판(10, 10', 10'')의 제2돌기부재(30)와 타측 경계판(10, 10', 10'')의 제1돌기부재(20)가 상호 암수 결합되어 상기 대응관통홀(31)과 상기 관통홀(21)이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응관통홀(31)과 상기 관통홀(21)에 끼워지게 되는 홀딩핀(40);
상기 경계판(10, 10', 10'')에서 이의 양 외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유통홀(50); 및
상기 유통홀(50)을 막는 형태로 배치되며 공기와 수분의 유통이 가능한 구조의 네트(net)(6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돌기부재(20)는 상기 경계판(10, 10', 10'')의 일측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돌기부재(30)는 상기 경계판(10, 10', 10'')의 타측 상하 영역에 각각 배치되게 한 쌍이 구비되되, 이들 사이에 상기 제1돌기부재(20)의 입출입이 가능한 공간 크기를 갖고,
상기 각 경계판(10, 10', 10'') 중 일부 또는 전부(全部)는 ㄱ자형 또는 호형(弧形)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들 형태의 경계판(10, 10', 10'')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해 다양한 구조의 축조가 가능하고,
상기 홀딩핀(40)은 상기 경계판(10, 10', 10'')이 수직으로 적층될 때에
최상단의 경계판(10, 10', 10'') 대응관통홀(31)에서 최하단의 경계판(10, 10', 10'') 대응관통홀(31)까지 삽입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고,
상기 홀딩핀(40)에는 이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박히게 되는 포스트(41)와, 상기 포스트(4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요입되며 상기 포스트(41)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나선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 리세스(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
A plurality of boundary plates 10, 10', 10'' disposed on the boundary line to be built;
A first protrusion member 20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boundary plates 10, 10', and 10' and having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21 therein;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plate (10, 10', 10''), it is formed to be dispos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 and has a vertical corresponding through hole (31) therein. A second protruding member 30;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30 of one boundary plate 10, 10', 10'' and the other boundary plate 10, 10', 10'' in two adjacent boundary plates 10, 10', 10''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31 and the through hole 21 ar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member 20 of the male and female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31 and the through hole 21 are arrang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 holding pin 40 to be fitted in;
A distribution hole 50 formed in the boundary plate 10, 10 ′, and 10 ″ to penetrate both outer walls thereof; And
Consisting of; a net (60) having a structure that is arranged to block the distribution hole 50 and allows the circulation of air and moisture,
The first protrusion member 20 is disposed in a central region of one side of the boundary plates 10, 10', 10'',
The second protrusion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pair so as to b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plate (10, 10 ′, 10 ``), and the first protrusion member 20 can enter and exit between them. Have a space size,
As part or all of the boundary plates 10, 10', 10'' are formed in an a-shaped or arc shape, these types of boundary plates 10, 10', 10'' It is possible to construct various structures by selectively combining,
The holding pin 40 is when the boundary plates 10, 10', 10'' are vertically stacked
It has a length such that it is inserted from the uppermost boundary plate (10, 10', 10'') corresponding through hole 31 to the lowermost boundary plate (10, 10', 10'') corresponding through hole 31,
The holding pin 40 has a post 41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thereof and is stuck on the ground, and is concav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 4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ost 41. An easy-to-build prefabricated chai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s 42 formed of a plurality of spiral-shaped grooves that are disposed thereon are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판(10, 10', 10'')의 상부면에는 아치(arc)형 폴대(1) 단부가 삽입되는 둘 이상의 수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판(10, 10', 10'')에는 상기 수용홈(11)에 상기 폴대(1)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11)과 상기 폴대(1) 단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폴대(1)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핀(1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wo or more receiving grooves 11 into which the ends of the arc-shaped poles 1 are inserted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plates 10, 10', 10'',
The boundary plate (10, 10', 10'') is in the form of crossing the receiving groove (11) and the end of the pole (1) with the end of the pole (1)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 An assembly-type chain block that is easy to buil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and provided with a fixing pin (12) for fixing the end of the pole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판(10, 10', 10'')에 결합되어 아치형 폴대(1) 단부를 지지하는 클립부재(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클립부재(70)는
경계판(10, 10', 10'')에서 유통홀(50) 상부 측 상단을 감싸는 단면이 ┌┐자 형상을 이루는 제1서포트(71)와,
상기 제1서포트(71)의 타측 외벽에서 일체로 수평 연장되되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서포트(72)와,
상기 각 제2서포트(72)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홀(73)과,
상기 제1서포트(71)의 일측 하단에서 일체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유통홀(50)의 내부면에 걸리게 되는 후크부(7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가 용이한 조립식 체인블록.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lip member 70 coupled to the boundary plate (10, 10', 10'') to support the end of the arched pole (1),
The clip member 70 is
A first support 71 having a ┌┐ shape in a cross section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distribution hole 50 in the boundary plates 10, 10', 10'',
A pair of second supports 72 that are integrally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other outer wall of the first support 71 and are arrang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A pair of receiving holes 73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through each of the second supports 72,
An assembly-type chain block for easy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hook portion 74 that is integrally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and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tribution hole 50.
KR1020190096805A 2019-08-08 2019-08-08 Chain block Active KR1021844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805A KR102184445B1 (en) 2019-08-08 2019-08-08 Chain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805A KR102184445B1 (en) 2019-08-08 2019-08-08 Chain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445B1 true KR102184445B1 (en) 2020-11-30

Family

ID=7364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805A Active KR102184445B1 (en) 2019-08-08 2019-08-08 Chain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44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5625A (en) * 1992-12-16 1995-06-06 Nakamura Kensetsu Kk Method of constructing earth retaining wall
KR200202409Y1 (en) 2000-06-09 2000-11-15 황선주 A built-up type boundary block
KR100376094B1 (en) * 2000-08-23 2003-03-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draining block using EPS
KR100679736B1 (en) * 2004-01-26 2007-02-07 (주)레코기술 Panel block and retaining wall with it
KR100974329B1 (en) 2010-04-23 2010-08-06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A boundary block
KR20110087608A (en) * 2010-01-26 2011-08-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Restraint fixtures for installing patriarchs and work bench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5625A (en) * 1992-12-16 1995-06-06 Nakamura Kensetsu Kk Method of constructing earth retaining wall
KR200202409Y1 (en) 2000-06-09 2000-11-15 황선주 A built-up type boundary block
KR100376094B1 (en) * 2000-08-23 2003-03-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draining block using EPS
KR100679736B1 (en) * 2004-01-26 2007-02-07 (주)레코기술 Panel block and retaining wall with it
KR20110087608A (en) * 2010-01-26 2011-08-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Restraint fixtures for installing patriarchs and work benches
KR100974329B1 (en) 2010-04-23 2010-08-06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A boundary b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774B1 (en) Angle assemblying of width bar is post for easy fence
PL70588Y1 (en) Universal building element
KR100915976B1 (en) Sperm assembly
KR101437121B1 (en) Water and nutrient supply apparatus for street tree
KR20110115049A (en) Wire mesh support frame and wire mesh fence using him
KR102339094B1 (en) fence assembly enhanced constructability of partition
KR101333467B1 (en) Assemble Footpath Block Case
KR102184445B1 (en) Chain block
KR20130015926A (en) Plate-type circular drain ditch
CA2456336A1 (en) Interlocking conformable retainer wall system
KR200463521Y1 (en) Parts for drainageway
JP5661392B2 (en) Water storage facility construction method and water storage unit
KR101003478B1 (en) Support for installing wire mesh fence
KR101631566B1 (en) Crossbar coupling device of handrail and the installation method
KR200428489Y1 (en) Prefabricated fence for landscaping.
KR101072007B1 (en) Columns for landscaping facilities including sperm and pagora
KR101122412B1 (en) Lawn Block
KR100885651B1 (en) Prefabricated fence
KR20120005351U (en) The boundary fence for rode and footpath of flowerpot type
KR101224137B1 (en) Lawn Block Uni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152380B1 (en) Lawn grass protection mat with artificial turf planting and improved assembly structure
KR100754977B1 (en) Prefabricated Stone Fixed Structure
KR200459661Y1 (en) Walk road boundary instrument
KR100662028B1 (en) Vegetation block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KR100892256B1 (en) Block for landsca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