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234B1 - Automatic Wearing Shoes - Google Patents
Automatic Wearing Sho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4234B1 KR102184234B1 KR1020180139453A KR20180139453A KR102184234B1 KR 102184234 B1 KR102184234 B1 KR 102184234B1 KR 1020180139453 A KR1020180139453 A KR 1020180139453A KR 20180139453 A KR20180139453 A KR 20180139453A KR 102184234 B1 KR102184234 B1 KR 1021842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member
- cover
- shoe
- bodies
- binding bodi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2—Fastenings using stretchable material attached to cuts in the upper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6—Snap-button fastening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착화 신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밑창과, 상부 후방에는 발이 내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부 전방에는 중심이 절개되어 발등을 지지하는 좌측덮개와 우측덮개가 형성되는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신발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수축되고 압력이 해제되면 팽창 복원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좌측에 위치되며, 하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좌측덮개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되면 상기 탄성부재와 함께 하부가 하강하면서 상부가 상기 좌측덮개를 하방으로 당겨 상기 좌측덮개를 통해 착용자의 발등을 밀착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좌측 결속체;와, 상기 탄성부재의 우측에 위치되며, 하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와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우측덮개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되면 상기 탄성부재와 함께 하부가 하강하면서 상부가 상기 우측덮개를 하방으로 당겨 상기 우측덮개를 통해 착용자의 발등을 밀착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우측 결속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신발을 신기 위해 넣은 발에 탄성부재가 가압되면, 그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 결속체가 하강하면서 좌측 및 우측 결속체와 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덮개가 착용자의 발등에 밀착 가압되는 방식으로 신발을 간편히 착용할 수 있고, 발을 통한 탄성부재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부재가 팽창 복원되면서 좌측 및 우측 결속체와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덮개를 통한 발의 결속을 해제하여 간편히 신발을 벗을 수 있어 신발의 매우 편리한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덮개를 통해 발을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제하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신발에 용이하게 적용 구현할 수 있어 신발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ignition shoe, the configuration of which is a shoe comprising a sole and an upper in which an inlet into which the foot is inserted is formed in an upper rear, and a center is cut in the upper front to support the instep of the left and right cover In,
An elastic member located inside the shoe, which contracts when pressure is applied and expands and restores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And,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elastic member,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upper part is the left cover and It is connected, and when the elastic member is contracted, the lower part with the elastic member is lowered while the upper part pulls the left cover downward, and at least one left binding body closely presses the instep of the wearer through the left cover; and, the elasticity It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member,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right cover. When the elastic member is contracted, the lower part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elastic member, and the upper part moves the right cover downward. A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t least one right binding body for tightly pressing the instep of the wearer through the pull to the right cover,
When the elastic member is pressed on the foot put on the shoe,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descend, and the left and right covers that are combined with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are pres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tep of the wearer. It can be easily worn,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elastic member through the foot is released, the elastic member expands and restores, and the bondage of the foot through the left and right cover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is released, allowing the shoe to be easily remov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duce convenient wearing.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binding or releasing the foot through the left and right covers is very simple, so it can be easily applied to shoes and implemented, thereby securing the generality of use of the sho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착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을 신기 위해 넣은 발에 탄성부재가 가압되면, 그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 결속체가 하강하면서 좌측 및 우측 결속체와 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덮개가 착용자의 발등에 밀착 가압되는 방식으로 신발을 간편히 착용할 수 있고, 발을 통한 탄성부재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부재가 팽창 복원되면서 좌측 및 우측 결속체와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덮개를 통한 발의 결속을 해제하여 간편히 신발을 벗을 수 있어 신발의 매우 편리한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자동 착화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ignition sho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n elastic member is pressed on the foot put to wear the shoe,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descend while being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Shoes can be easily worn in such a way that the right cover is pressed against the instep of the wearer,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elastic member through the foot is released, the elastic member expands and restores, and through the left and right cover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It relates to an automatic ignition shoe that can induce very convenient wearing of the shoe by releasing the bondage of the foot so that the shoe can be easily removed.
일반적으로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을 때 손을 사용하지 않고 착용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보통 신발을 신을 때 손을 사용하여 신발을 착용하게 되는 특성상, 신발의 착용이 다소 번거롭다는 불편함이 있다.In general, since it is not easy to wear shoes without using hands when putting on or taking off shoes,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wearing shoes is somewhat cumbersome due to the nature of wearing shoes using hands when wearing shoes.
특히, 신발 끈을 이용하는 신발의 경우에는 착용자가 신발 끈을 조이거나 푸는 방식을 통해 신발을 착용하게 되므로 더욱 신발의 착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hoes using shoelaces, since the wearer wears the shoes through a method of tightening or loosening the shoelace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more inconvenient to wear the shoe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여 신발을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는 신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shoes that can be worn conveniently by solving the above inconvenienc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신발을 신기 위해 넣은 발에 탄성부재가 가압되면, 그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 결속체가 하강하면서 좌측 및 우측 결속체와 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덮개가 착용자의 발등에 밀착 가압되는 방식으로 신발을 간편히 착용할 수 있고, 발을 통한 탄성부재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부재가 팽창 복원되면서 좌측 및 우측 결속체와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덮개를 통한 발의 결속을 해제하여 간편히 신발을 벗을 수 있어 신발의 매우 편리한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자동 착화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s object is to bind the left and right sides while lowering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when an elastic member is pressed against the foot put on the shoe. Shoes can be easily worn in such a way that the left and right covers that are combined with the body are pressed against the instep of the wearer,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elastic member through the foot is released, the elastic member expands and restores and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ignition shoe that can induce very convenient wearing of the shoe by removing the bondage of the foot through the left and right covers.
또한, 좌측 및 우측덮개를 통해 발을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제하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신발에 용이하게 적용 구현할 수 있어 신발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 착화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binding or releasing the foot through the left and right covers is very simple, so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shoe and implemented, thereby providing an automatic ignition shoe that can secure the versatility of the sho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착화 신발은 밑창과, 상부 후방에는 발이 내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부 전방에는 중심이 절개되어 발등을 지지하는 좌측덮개와 우측덮개가 형성되는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The automatic ignition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sole and an upper in which an inlet through which the foot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upper and rear, and a center is cut in the upper front to support the instep and the upper is formed. In the shoe comprising,
신발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수축되고 압력이 해제되면 팽창 복원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좌측에 위치되며, 하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좌측덮개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되면 상기 탄성부재와 함께 하부가 하강하면서 상부가 상기 좌측덮개를 하방으로 당겨 상기 좌측덮개를 통해 착용자의 발등을 밀착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좌측 결속체;와, 상기 탄성부재의 우측에 위치되며, 하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와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우측덮개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되면 상기 탄성부재와 함께 하부가 하강하면서 상부가 상기 우측덮개를 하방으로 당겨 상기 우측덮개를 통해 착용자의 발등을 밀착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우측 결속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는 "C"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의 하부는 상기 탄성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가 노출되게 감싸 보호하되, 양측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가 하강시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와 접촉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의 하부가 회동되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의 상부가 오므려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신발 내부 바닥과 마찰되는 거칠기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astic member located inside the shoe, which contracts when pressure is applied and expands and restores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And,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elastic member,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upper part is the left cover and It is connected, and when the elastic member is contracted, the lower part with the elastic member is lowered while the upper part pulls the left cover downward, and at least one left binding body closely presses the instep of the wearer through the left cover; and, the elasticity It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member,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right cover. When the elastic member is contracted, the lower part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elastic member, and the upper part moves the right cover downward. Consists of including; one or more right binding bodies for tightly pressing the instep of the wearer through the pull to the right cover,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are formed in a "C" shape, and the low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member is exposed and protected, but on both sides,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are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when descending, and the low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rotate while the upp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are rota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bent portion that guides the bent portion to be folded, and a case in which a roughness that rubs against the inner floor of the shoe to prevent slipping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안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함께 승·하강하되, 상기 탄성부재를 대신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승강체를 보호하는 동시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lift body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member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elastic member,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in place of the elastic member; and, stack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 body. And a cushion pad that protects the elevator and provides a cushioning feeling.
또한, 상기 좌측덮개에 재봉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좌측 결속체의 상부가 내입 고정되게 하여 상기 좌측 결속체와 상기 좌측덮개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는 좌측 마감재와, 상기 우측덮개에 재봉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우측 결속체의 상부가 내입 고정되게 하여 상기 우측 결속체와 상기 우측덮개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는 우측 마감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sewing-coupled to the left cover, and a left finishing material that induces a firm coupling between the left binding body and the left cover by internally fixing the upper part of the left binding body inside, and sewing-coupled to the right cover, in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ight finishing material to induce a solid coupling of the right binding body and the right cover by internally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ight binding body.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착화 신발에 의하면, 신발을 신기 위해 넣은 발에 탄성부재가 가압되면, 그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 결속체가 하강하면서 좌측 및 우측 결속체와 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덮개가 착용자의 발등에 밀착 가압되는 방식으로 신발을 간편히 착용할 수 있고, 발을 통한 탄성부재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부재가 팽창 복원되면서 좌측 및 우측 결속체와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덮개를 통한 발의 결속을 해제하여 간편히 신발을 벗을 수 있어 신발의 매우 편리한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ignition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astic member is pressed on the foot put in to wear the shoe,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are lowered and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Shoes can be easily worn in such a way that the right cover is pressed against the instep of the wearer,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elastic member through the foot is released, the elastic member expands and restores, and through the left and right cover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It has the effect of inducing very convenient wearing of shoes since it is possible to easily take off shoes by releasing the bond of the feet.
또한, 좌측 및 우측덮개를 통해 발을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제하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신발에 용이하게 적용 구현할 수 있어 신발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binding or releasing the foot through the left and right covers is very simple, so it can be easily applied to shoes and implemented, thereby securing the generality of use of the sho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착화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착화 신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착화 신발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착화 신발의 사용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ignition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ignition shoe shown in Figure 1
3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ignition shoe shown in FIG. 1
Figure 4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automatic ignition shoe shown in Figure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착화 신발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An automatic ignition sho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착화 신발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착화 신발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착화 신발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착화 신발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착화 신발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1 to 4 are diagrams showing automatic ignition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ignition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of the automatic ignition shoe shown in FI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 3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ignition shoe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automatic ignition shoe shown in FIG. 1, respectively.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착화 신발(100)은 밑창(1)과, 상부 후방에는 발이 내입되는 입구(2a)가 형성되고 상부 전방에는 중심이 절개되어 발등을 지지하는 좌측덮개(2b)와 우측덮개(2c)가 형성되는 갑피(2)를 포함하는 신발(S)에 있어서,As shown in the drawing, the
탄성부재(10)와, 좌측 결속체(20)와, 우측 결속체(30)를 더 포함하고 있다.It further includes a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0)는 신발(S)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수축되고 압력이 해제되면 팽창 복원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0)는 사용자의 발에 눌러져 수축하거나 눌러짐이 해제되면 팽창 복원되면서 후설될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를 통해 신발 착용자의 발을 가압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제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본 발명의 자동 착화 신발(100)에서 탄성부재(10)로는 메모리폼이나 라텍스 재질로 제작되지만, 이러한 재질로 한정하여 제작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In the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결속체(20)는 상기 탄성부재(10)의 좌측에 하나 이상 위치되며, 하부는 상기 탄성부재(10)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좌측덮개(2b)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10)가 수축되면 상기 탄성부재(10)와 함께 하부가 하강하면서 상부가 상기 좌측덮개(2b)를 하방으로 당겨 상기 좌측덮개(2b)를 통해 착용자의 발등을 밀착 가압하도록 한다.2 and 3, the left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결속체(30)는 상기 탄성부재(10)의 우측에 하나 이상 위치되며, 하부는 상기 탄성부재(10)의 상부와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우측덮개(2c)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10)가 수축되면 상기 탄성부재(10)와 함께 하부가 하강하면서 상부가 상기 우측덮개(2c)를 하방으로 당겨 상기 우측덮개(2c)를 통해 착용자의 발등을 밀착 가압하도록 한다.2 and 3, one or more right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착화 신발(100)은 사용자가 신발(S)을 신으면 상기 탄성부재(10)가 착용자의 발에 눌러져 수축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부재(10)의 상부와 연결되는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의 하부가 하강되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의 상부와 연결되는 상기 좌측 및 우측덮개(2b,2c)가 하부로 당겨져 자연스럽게 착용자의 발등에 가압 밀착되어 착용자의 발을 자동으로 견고히 결속하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4A, in the
반대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발을 통한 상기 탄성부재(10)의 누름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부재(10)가 팽창 복원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부재(10)와 연결되는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의 하부가 승강되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가 상기 좌측 및 우측덮개(2b,2c)를 당기는 힘이 자연스럽게 해제되므로 상기 좌측 및 우측덮개(2b,2c)를 통한 발의 결속이 해제되어 착용자는 간편히 신발을 벗을 수 있도록 한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4C, when the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는 "C"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의 하부는 상기 탄성부재(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left and right
상기 탄성부재(10)의 상부가 노출되게 감싸 보호하되, 양측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가 하강시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와 접촉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의 하부가 회동되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의 상부가 오므려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절곡부(4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신발(S) 내부 바닥과 마찰되는 거칠기(42)가 형성되는 케이스(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The upper part of the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신발(S)을 신어 상기 탄성부재(10)가 수축되면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가 하강하면서 상기 케이스(40)의 절곡부(41)에 접촉되고, 이러한 접촉으로 인해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의 상부는 오므려지면서 하강함으로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기 좌측 및 우측덮개(2b,2c)를 통해 착용자의 발이 감싸면서 견고히 가압 결속되어 매우 편안하고 정밀한 결속을 유도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B, when the
여기서, 상기 케이스(40)는 상기 탄성부재(10)를 보호함과 동시에, 신발(S)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10)가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상기 거칠기(42)를 통해 보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스(40)와 함께 상기 탄성부재(10)의 움직임(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 상기 탄성부재(10)와 연결되는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를 통해 신발(S) 착용자의 발이 안정적으로 결속 유지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Here, the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0)의 상부에 안치되어 상기 탄성부재(10)와 함께 승·하강하되, 상기 탄성부재(10)를 대신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체(50);와, 상기 승강체(50)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승강체(50)를 보호하는 동시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패드(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 and 3, it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즉, 상기 탄성부재(1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와 구조적으로 견고한 결합이 곤란함으로, 상기 탄성부재(10)를 대신하여 상기 승강체(50)와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를 결합시켜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함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승강체(50)는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소정의 경도를 갖는 수지재질이나 금속으로 제작하는 특성상, 착용자의 발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상기 승강체(50)의 딱딱함에 의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상기 승강체(50)를 보호함과 동시에 발과 접촉시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쿠션감이 확보되는 상기 쿠션패드(60)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lifting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덮개(2b)에 재봉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좌측 결속체(20)의 상부가 내입 고정되게 하여 상기 좌측 결속체(20)와 상기 좌측덮개(2b)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는 좌측 마감재(71)와, 상기 우측덮개(2c)에 재봉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우측 결속체(30)의 상부가 내입 고정되게 하여 상기 우측 결속체(30)와 상기 우측덮개(2c)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는 우측 마감재(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즉, 상기 좌측 및 우측 마감재(71,72)를 통해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의 상부의 노출을 방지하여 미관상 수려하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와 상기 좌측 및 우측덮개(2b,2c)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유도한다.That is, by preventing the exposure of the upp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binding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동 착화 신발(100)은 신발(S)을 신기 위해 넣은 발에 상기 탄성부재(10)가 가압되면, 그 탄성부재(10)와 연결되는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가 하강하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와 결합되는 상기 좌측 및 우측덮개(2b,2c)가 착용자의 발등에 밀착 가압되는 방식으로 신발을 간편히 착용할 수 있고, 발을 통한 상기 탄성부재(10)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부재(10)가 팽창 복원되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와 연결되는 상기 좌측 및 우측덮개(2b,2c)를 통한 발의 결속을 해제하여 간편히 신발(S)을 벗을 수 있어 신발의 매우 편리한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또한, 상기 좌측 및 우측덮개(2b,2c)를 통해 발을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제하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신발에 용이하게 적용 구현할 수 있어 신발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binding or releasing the foot through the left an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착화 신발(100)은 다음과 같이 간편히 착용한다.The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착화 신발(100)을 착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신발(S) 내부로 발을 내입시키면 착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는 발에 탄성부재(10)가 가압되면서 수축되므로, 상기 탄성부재(10)와 연결되는 승강체(50)에 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가 함께 하강된다.First, as shown in FIG. 4A, when the user inserts his foot into the shoe S in order to wear the
그러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가 하강하면서 케이스(40)의 절곡부(41)에 접촉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의 상부가 자연스럽게 오므려지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와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덮개(2b,2c)에 착용자의 발이 견고히 감싸지면서 밀착 가압되어 간편히 신발의 안정적인 착용이 완료된다.Then, as shown in FIG. 4B, the left and right binding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착화 신발(100)을 벗기 위해서 착용자의 발을 통한 상기 탄성부재(10)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부재(10)가 팽창 복원되어 상기 탄성부재(10)와 연결되는 상기 승강체(50)에 결합되는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가 승강 복원되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와 연결되는 상기 좌측 및 우측덮개(2b,2c)의 상부가 자연스럽게 승강되면서 벌어져 상기 좌측 및 우측덮개(2b,2c)를 통한 발의 결속이 해제되므로 착용자는 간편히 신발을 벗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c, when the pressure of th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se are illustrative an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You can understand the point.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claiming the right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fined within the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will be limited by the claims and the technical spirit thereof to be described later.
1. 밑창 2. 갑피
2a. 입구 2b. 좌측덮개
2c. 우측덮개 S. 신발
10. 탄성부재 20. 좌측 결속체
30. 우측 결속체 40. 케이스
41. 절곡부 42. 거칠기
50. 승강체 60. 쿠션패드
71. 좌측 마감재 72. 우측 마감재
100. 자동 착화 신발1.
2a.
2c. Right Cover S. Shoes
10.
30. Right binding
41. Bend
50. Lifting
71.
100. Automatic ignition shoes
Claims (4)
신발(S)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수축되고 압력이 해제되면 팽창 복원되는 탄성부재(10);
상기 탄성부재(10)의 좌측에 위치되며, 하부는 상기 탄성부재(10)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좌측덮개(2b)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10)가 수축되면 상기 탄성부재(10)와 함께 하부가 하강하면서 상부가 상기 좌측덮개(2b)를 하방으로 당겨 상기 좌측덮개(2b)를 통해 착용자의 발등을 밀착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좌측 결속체(20); 및
상기 탄성부재(10)의 우측에 위치되며, 하부는 상기 탄성부재(10)의 상부와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우측덮개(2c)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10)가 수축되면 상기 탄성부재(10)와 함께 하부가 하강하면서 상부가 상기 우측덮개(2c)를 하방으로 당겨 상기 우측덮개(2c)를 통해 착용자의 발등을 밀착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우측 결속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는 "C"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의 하부는 상기 탄성부재(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10)의 상부가 노출되게 감싸 보호하되, 양측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가 하강시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와 접촉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의 하부가 회동되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의 상부가 오므려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절곡부(4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신발(S) 내부 바닥과 마찰되는 거칠기(42)가 형성되는 케이스(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착화 신발.
Including a sole (1) and an upper (2a) in which the foot is inserted in the upper rear and the upper (2b) and a right cover (2c) to support the instep by cutting the center in the upper front. In the shoe (S),
An elastic member 10 which is located inside the shoe S, which contracts when pressure is applied and expands and restores when pressure is released;
It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elastic member 10,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member 10 and th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left cover 2b. When the elastic member 10 is contracted, the elastic member (10) at least one left binding body 20 for pressing the instep of the wearer through the left cover (2b) by pulling the upper left cover (2b) downward while the lower portion is lowered; And
It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elastic member 10,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member 10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right cover 2c. When the elastic member 10 is contracted, the elastic member (10) As the lower portion descends, the upper portion pulls the right cover (2c) downward and presses the wearer's instep through the right cover (2c) in close contact with one or more right binding bodies (30); ,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20 and 30 are formed in a "C" shape, and the low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20 and 30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10,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member 10 is exposed and protected, but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20 and 30 are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20 and 30 on both sides when descending to bind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As the lower part of the sieves 20 and 30 is rotated, a bent part 41 is formed to induce the upper part of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20 and 30 to be closed, and the lower part is formed with a shoe (S ) A case 40 in which the roughness 42 rubbing against the inner floor is formed; an automatic ignition sho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탄성부재(10)의 상부에 안치되어 상기 탄성부재(10)와 함께 승·하강하되, 상기 탄성부재(10)를 대신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결속체(20,3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체(50);와,
상기 승강체(50)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승강체(50)를 보호하는 동시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패드(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착화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It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10 and is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elastic member 10, bu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binding bodies 20 and 30 in place of the elastic member 10. Lifting body 50; and,
A cushion pad (60) that is stack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50) to protect the elevator (50) while providing a cushioning feeling; automatic footwear sho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좌측덮개(2b)에 재봉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좌측 결속체(20)의 상부가 내입 고정되게 하여 상기 좌측 결속체(20)와 상기 좌측덮개(2b)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는 좌측 마감재(71)와,
상기 우측덮개(2c)에 재봉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우측 결속체(30)의 상부가 내입 고정되게 하여 상기 우측 결속체(30)와 상기 우측덮개(2c)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는 우측 마감재(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착화 신발.The method of claim 1,
It is sewn to the left cover (2b), the upper part of the left binding body (20) is fixed inside to induce a solid coupling of the left binding body (20) and the left cover (2b) ( 71) and,
Doedoe sewing to the right cover (2c), the upper part of the right binding body 30 is fixed inside the right end material to induce a solid coupling of the right binding body 30 and the right cover (2c) ( 72) automatic ignition sho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9453A KR102184234B1 (en) | 2018-11-13 | 2018-11-13 | Automatic Wearing Sho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9453A KR102184234B1 (en) | 2018-11-13 | 2018-11-13 | Automatic Wearing Sho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5619A KR20200055619A (en) | 2020-05-21 |
KR102184234B1 true KR102184234B1 (en) | 2020-11-30 |
Family
ID=7091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9453A Expired - Fee Related KR102184234B1 (en) | 2018-11-13 | 2018-11-13 | Automatic Wearing Sho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423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14410A (en) | 1998-06-30 | 2000-01-18 | Ryuko Shu | Shoes having automatically string tightening and untightening functions |
JP3088778B2 (en) | 1991-06-18 | 2000-09-18 |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 Measuring method of winding temperature of DC motor |
KR101504269B1 (en) | 2013-05-07 | 2015-03-20 | 강병도 | Automatic Wearing Shoes |
US20160345681A1 (en) | 2015-05-28 | 2016-12-01 | Nike, Inc. | Automated Tens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482829Y (en) * | 2001-03-22 | 2002-03-27 | 周龙交 | Improved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putting on and taking off shoes |
FR3024022B1 (en) * | 2014-07-22 | 2017-04-28 | Salomon Sas | FOOTWEAR WITH IMPROVED STRUCTURE |
RO132185A2 (en) * | 2016-04-26 | 2017-10-30 | Sorin Raia | Automatic device for fixing shoes and preserving hygienic conditions of enclosures |
-
2018
- 2018-11-13 KR KR1020180139453A patent/KR10218423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88778B2 (en) | 1991-06-18 | 2000-09-18 |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 Measuring method of winding temperature of DC motor |
JP2000014410A (en) | 1998-06-30 | 2000-01-18 | Ryuko Shu | Shoes having automatically string tightening and untightening functions |
KR101504269B1 (en) | 2013-05-07 | 2015-03-20 | 강병도 | Automatic Wearing Shoes |
US20160345681A1 (en) | 2015-05-28 | 2016-12-01 | Nike, Inc. | Automated Tens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5619A (en) | 2020-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1085B1 (en) | A Free wearing construction shoes structure | |
US3905135A (en) | Boot for a foot cast | |
US20160150852A1 (en) | High heel shoes with integrated cushioning | |
JP2019048145A (en) | Foot protector and insole therefor | |
JP3195071U (en) | Shoes with shoehorn function | |
KR102184234B1 (en) | Automatic Wearing Shoes | |
JP2015047266A (en) | Shoe | |
US20150201701A1 (en) | Foot Protection Device for Insertion into a Sandal to Minimize Pressure and Irritations on the Top and Front Portions of the Foot | |
KR101979998B1 (en) | The sole of sho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 |
KR101080873B1 (en) | Shoes with a pattern integrated lower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3056216B1 (en) | Adjustable shoes | |
JP3801560B2 (en) | shoes | |
CN219962066U (en) | Wear-resistant foot leisure shoes | |
KR101240050B1 (en) | Height pads for shoe | |
JP2021079060A (en) | Upper foot safety protector | |
JP4850462B2 (en) | Footwear compatible footwear | |
JP2006101983A (en) | Footwear | |
JP7417770B2 (en) | beach sandal strap clasp | |
KR100832882B1 (en) | Anti-injury device for wearing shoes | |
KR200475925Y1 (en) | Shoee for gips patient | |
KR101067487B1 (en) | Hiking boots | |
US20150196090A1 (en) | Cast Sole Insert | |
JP5307998B2 (en) | slipper | |
KR20170130913A (en) | Safety shoes | |
JP5451288B2 (en) | Wheelchair shoes and bottom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02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