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81203B1 - 방화문 - Google Patents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203B1
KR102181203B1 KR1020200002626A KR20200002626A KR102181203B1 KR 102181203 B1 KR102181203 B1 KR 102181203B1 KR 1020200002626 A KR1020200002626 A KR 1020200002626A KR 20200002626 A KR20200002626 A KR 20200002626A KR 102181203 B1 KR102181203 B1 KR 102181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panel
pin hinge
door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규
Original Assignee
(주)제일방화문
제일이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방화문, 제일이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제일방화문
Priority to KR1020200002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20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 도어나 도어 틀의 패널 간 열전도를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화재 발생 시 도어 내부의 단열재 등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가스의 급속 및 다량 유출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화문 도어의 패널 간 열전도를 차단하기 위하여 도어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을 이격시킴과 더불어 그 사이에 단열재를 개재하는 한편, 방화문 도어 틀측에 이중 패킹 방식을 채택함과 더불어 차열 타공을 가지는 도어 틀 패널 형태를 갖운 새로운 이중 단열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방화문 도어 및 도어 틀의 패널 간 접촉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등 단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방화문의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상부 핀힌지의 둘레 영역을 커버로 마감하여 도구를 삽입하기 위해 뚫어 놓은 홀을 포함하는 상부 핀힌지 주변을 격리시키는 새로운 핀힌지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에 도어 내부의 단열재가 타면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도어 외부로 급속하게 다량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연성 가스의 폭발로 인한 2차 화재 피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등 화재의 조기 진화를 돕고 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화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화문{Fire door}
본 발명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 도어나 도어 틀의 패널 간 열전도를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화재 발생 시 도어 내부의 단열재 등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가스의 급속 및 다량 유출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防火門)은 사람의 통행이 가능하지만, 화재 시 화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화재 피해의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화문은 화재 시 화염의 전파를 최소화하고 피난 경로를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시설이며, 일정 기간마다 점검이 의무화되고 있다.
보통 방화문은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조립식 가설건물 등에 있어서 화재가 이면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현관 출입문 또는 비상문 등의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방화문은 대부분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도어 틀, 이러한 도어 틀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 측이 하나 이상의 힌지 등의 결합수단으로 도어 틀과 결합되는 도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돌출된 손잡이가 설치되어,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도어를 젖혀 열거나 닫게 된다.
이와 더불어, 도어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쪽에는 도어를 닫을 경우 이웃하는 도어 틀과의 사이 공간을 가릴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걸림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 시 연기나 열이 차단됨과 동시에 도어가 한쪽 방향으로만 젖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도어 틀과 도어를 포함하는 방화문은 화재에 의한 변형 또는 소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열에 강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방화문에는 화재 시가 아닐 경우 일반 창호와 같은 단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내부에 단열소재가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방화문은 열의 전도성이 높아 아무리 내부에 단열소재가 내장되어 있다 하더라도 패널 간의 접촉 경로를 타고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단열소재들은 고온에 취약하여 화재 시 소실 및 변형이 쉽게 일어나며, 이때 방화문도 단열소재들과 같이 변형이 생기면서 화염과 열기가 유입되어 방화문의 차열성을 반감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방화문 도어의 패널 간 열 전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별도의 프레임 공사를 실시해야 하고, 도어 및 도어 틀 전체를 완전 교체해야 하는 등 공사가 커지고 시공성 측면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평상 시에는 뛰어난 기밀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화재 시에는 고온에 강하고 차열성이 우수한 구조의 방화문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방화문의 도어를 설치하는 경우, 도어의 하측에 있는 하부 핀힌지를 도어 틀의 아래쪽 힌지홀에 끼운 다음, 도구를 사용하여 도어의 상측에 있는 스프링 타입의 상부 핀힌지를 아래로 젖혀놓은 상태에서 도어를 도어 틀에 맞추고 이와 동시에 도구를 제거하면, 상부 핀힌지가 스프링 힘으로 도어 틀의 윗쪽 힌지홀에 끼워지게 되므로서, 도어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방화문의 도어 내부에는 화염의 전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하니콤 등의 단열재가 우레탄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구조로 충전된다.
그러나, 화재 발생 시 화염과 접하는 도어가 가열되면서 그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단열재가 연소되는데, 이때 함께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는 도어에 있는 틈새, 예를 들면 상부 핀힌지를 젖히기 위한 도구를 삽입하기 위해 뚫어 놓은 홀을 통해 급속하게 많은 양이 한꺼번에 분출되고, 이렇게 분출되는 가연성 가스가 불꽃에 의해 폭발을 일으키면서 화재를 더욱 증폭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7-0022344호 한국 등록특허 10-1705626호 한국 공개특허 10-2013-0123530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31733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방화문 도어의 패널 간 열전도를 차단하기 위하여 도어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을 이격시킴과 더불어 그 사이에 단열재를 개재하는 한편, 방화문 도어 틀측에 이중 패킹 방식을 채택함과 더불어 차열 타공을 가지는 도어 틀 패널 형태를 갖운 새로운 이중 단열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방화문 도어 및 도어 틀의 패널 간 접촉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등 단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단열 구조의 방화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문의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상부 핀힌지의 둘레 영역을 커버로 마감하여 도구를 삽입하기 위해 뚫어 놓은 홀을 포함하는 상부 핀힌지 주변을 격리시키는 새로운 핀힌지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에 도어 내부의 단열재가 타면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도어 외부로 급속하게 다량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연성 가스의 폭발로 인한 2차 화재 피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등 화재의 조기 진화를 돕고 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핀힌지 타입 도어를 갖춘 방화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중 단열 구조의 방화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이중 단열 구조의 방화문은 구조물 벽체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도어 틀과, 상기 도어 틀의 내측에 설치되고 개폐 조작을 위한 도어 록을 가지고 있으며 도어 힌지를 지지점으로 회전하면서 개폐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는 하는 한편, 특히 상기 도어는 내측의 단열재를 수용하는 도어 내측 패널과 도어 외측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내측 패널의 단부 패널과 도어 외측 패널의 단부 패널은 도어 테두리 부위에서 이격 배치됨과 더불어 단부 패널 사이에는 단열 부재가 개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이중 단열 구조의 방화문은 도어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고, 도어 외측 패널의 단부 패널에 제1절곡부를 통해 지지되는 동시에 도어 내측 패널의 단부 패널과 단열 부재를 사이에 두고 도어 전후 두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내측 패널의 단부 패널과 도어 외측 패널의 단부 패널은 서로 간에 갭을 유지하면서 도어 좌우 폭 방향과 도어 전후 두께 방향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도어 내측 패널과 보강대의 제2절곡부 사이에는 서브 단열 부재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틀의 도어 틀 패널에는 도어 테두리 부위와 인접한 내측면에 2곳의 패킹장착용 홈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각 패킹장착용 홈부에는 도어 내측 패널측과 도어 외측 패널측에 각각 접하는 패킹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패킹이 장착되어 있는 패킹장착용 홈부의 바닥에는 열이 전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다수의 열타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핀힌지 타입 도어를 갖춘 방화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핀힌지 타입 도어를 갖춘 방화문은 구조물 벽체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도어 틀과, 개폐 조작을 위한 도어 록을 가지면서 도어 틀의 내측에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내측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핀힌지 및 하부 핀힌지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상부 핀힌지의 주변을 둘러싸면서 도어 외측 패널측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한편, 특히 상기 커버는 상부 핀힌지를 젖히기 위한 도구를 삽입하기 위해 뚫어 놓은 홀에 의해 외부와 통하는 상부 핀힌지 주변 공간부를 도어 내부 공간과 격리시켜줄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커버는 서로 한쪽 변을 맞대면서 90°각도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제1수직판 및 제2수직판과, 상기 제1수직판 및 제2수직판의 각 하단에 접하여 결합되는 수평의 바닥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도어 외측 패널의 내부 코너 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됨과 더불어 제1수직판, 제2수직판 및 바닥판의 각 단부를 통해 패널면에 접하면서 패널 코너 부위와 함께 사각 단면의 공간부를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중 단열 구조의 방화문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방화문 도어의 도어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을 이격 배치함과 더불어 내외측 패널 사이에 단열재를 개재한 새로운 형태의 이중 단열 구조의 방화문을 채택함으로써,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방화문 도어의 패널 간 접촉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등 우수한 단열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방화문의 도어 틀측에 내외측 이중의 패킹을 적용하고, 또 차열 타공 구조를 가지는 도어 틀 패널을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이중 단열 구조의 방화문을 채택함으로써,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방화문 도어 틀의 패널을 따라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등 단열 기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방화문의 도어 및 도어 틀의 간단한 자체 구조 개선을 통해 이중으로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방화문 단열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부담없이 단열 성능이 우수한 방화문을 제작 및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핀힌지 타입 도어를 갖춘 방화문은 방화문의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상부 핀힌지의 둘레에 커버를 설치하여, 화재 발생 시 도어 내부의 단열재가 타면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가 상부 핀힌지 젖힘용 도구를 삽입하기 위해 뚫어 놓은 홀을 통해 분출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연성 가스의 폭발로 인한 2차 화재 피해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따라서 화재의 조기 진화를 돕고 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단열 구조의 방화문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및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B 선 단면도 및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단열 구조의 방화문에서 도어 및 도어 틀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힌지 타입 도어를 갖춘 방화문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 선 단면도 및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B 선 단면도 및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힌지 타입 도어를 갖춘 방화문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단열 구조의 방화문을 나타내는 정면도, 단면도 및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단열 구조의 방화문에서 도어 및 도어 틀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화문은 도어측 패널 간의 열전도는 물론 도어 틀 패널을 통한 열전도를 차단하여 우수한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중 단열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방화문은 구조물 벽체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도어 틀(10), 상기 도어 틀(10)의 내측에 설치되고 개폐 조작을 위한 도어 록(11)을 가지고 있으며 도어 힌지(12)를 지지점으로 회전하면서 개폐 가능한 도어(13) 등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 틀(10)은 건축물 등의 구조물 벽체에 설치되는 사각의 틀 구조로서, 박스형 단면의 도어 틀 패널(25)의 내부에 단열재(14b)가 충전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도어 틀 전면부 내측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1단 또는 2단의 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때의 단차 구조 내에 도어(13)가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13)는 도어 틀(10) 내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판체 구조물로서, 도어 내측 패널(15)과 도어 외측 패널(16)의 내부에 단열재(14a)를 충전시킨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도어(13)의 가장자리 둘레는 도어 내외측 패널(15,16)의 단부 패널(17a,17b)이 만들어내는 단차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 틀(10)의 내측에 도어(13)의 설치 시 도어측 단차 구조와 도어 틀(10)에 있는 단차 구조가 매칭되면서 도어(13)와 도어 틀(10) 간의 긴밀한 결속 구조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열재(14a,14b)와 후술하는 단열 부재(18) 및 서브 단열 부재(21)는 미네랄 울, 글라스 울, 세라크 울, PIR, 페놀폼, 바소폼 등과 같은 불연 단열재를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13)의 도어 내측 패널(15)과 도어 외측 패널(16)은 서로의 단부가 이격되어 있어서 패널 간에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 내측 패널(15)과 도어 외측 패널(16)의 단부 패널(17a,17b), 즉 도어 테두리 부위 위치에서 2겹의 패널이 겹쳐진 형태로 되어 있는 단부 패널(17a,15b)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 내측 패널(15)의 단부 패널(17a)과 도어 외측 패널(16)의 단부 패널(17b)은 각각 도어 좌우 폭 방향과 도어 전후 두께 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서로 간에 90°배치관계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배치관계를 이루는 패널 단부(17a,17b) 사이에는 갭(20)이 조성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 단부(17a,17b) 사이에 조성되는 갭(20)은 도어(13)의 전체 테두리 둘레를 따라 조성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갭(20)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는 도어 내측 패널(15)과 도어 외측 패널(16) 간에는 직접적인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 외측 패널(15)의 패널 단부(17b)의 끝부분은 도어 내측 패널(15)의 패널 단부(17a)가 있는 위치보다 도어 좌우 폭 방향 및 도어 상하 길이방향으로 좀더 바깥쪽으로 연장위치되면서 후술하는 도어 틀측의 패킹(23b)과 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13)와 도어 틀(10) 간의 틈새를 공구 진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내측 패널(15)의 단부 패널(17a)측과 도어 외측 패널(16)의 단부 패널(17b)측 간에는 패널 간의 열전도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각 띠 모양의 판재로 이루어진 단열 부재(18)가 개재된다.
이를 위하여, 폭 방향 단부에 90°절곡 성형된 형상의 제1절곡부(19a)와 제2절곡부(19b)를 가지는 막대형 판재 형태의 보강대(19)가 구비되고, 이러한 보강대(19)는 도어(13)의 내측 가장자리 단부 위치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제1절곡부(19a)를 이용하여 도어 외측 패널(16)의 단부 패널(17b)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상기 보강대(19)의 제1절곡부(19a)가 도어 외측 패널(16)의 단부 패널(17b)의 패널 겹침 부위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므로서, 보강대(19)는 제1절곡부(19a)를 통해 도어 외측 패널(16)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보강대(19)와 후술하는 단열 부재(18) 및 서브 단열 부재(21)는 도어(13)의 전체 테두리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보강대(19)는 도어 내측 패널(15)의 단부 패널(17a)과 일정 간격을 두고 도어 전후 두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때의 보강대(19)와 도어 내측 패널(15)의 단부 패널(17a) 사이에 길다란 띠 형상의 판 부재로 이루어진 단열 부재(18)가 나란하게 삽입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도어 내측 패널(15)의 내측면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보강대(19)의 제2절곡부(19b) 사이에는 길다란 띠 형상의 판 부재로 이루어진 서브 단열 부재(21)가 단열 부재(18)와는 90°각도를 이루며 나란하게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내측 패널(15)의 단부 패널(17a)과 도어 외측 패널(16)의 단부 패널(17b)이 갭(20)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고, 이와 더불어 도어(13)의 내측 테두리 부위에 인접 설치되는 보강대(19)를 매개로 하여 단열 부재(18)와 서브 단열 부재(21)가 설치되므로서, 도어 내측 패널(15)과 도어 외측 패널(16) 간의 열전도, 특히 도어 내외측 패널(15,16) 간의 결속이 이루어지는 패널 단부에서의 패널 간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결국 방화문 도어의 뛰어난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어측 열전도 차단 구조와 함께 도어 틀측에서도 열전도를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내부에 단열재(14b)가 채워져 있는 박스형 단면의 도어 틀 패널(25)을 포함하는 도어 틀(10)이 마련되고, 상기 도어 틀(10)의 안쪽면, 즉 도어(13)의 테두리 부위에 인접한 도어 틀 패널(25)의 내측면에는 서로 거리를 두고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2곳의 패킹장착용 홈부(22a,2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패킹장착용 홈부(22a,22b)에는 러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띠 모양의 패킹(23a,23b)이 장착되고, 이렇게 장착되는 각 패킹(23a,23b)은 각각 도어 외측 패널(16)의 패널 단부(17b)와 도어 내측 패널(15)의 패널 단부(17a)에 접촉되어 도어(13)와 도어 틀(10) 간의 틈새를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도어(13)를 닫게 되면 각각의 패킹(23a,23b)은 도어 외측 패널(16)의 패널 단부(17b)와 도어 내측 패널(15)의 패널 단부(17a)에 눌려지면서 밀착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 외측에서 한번, 도어 내측에서 또 한번 이렇게 두번에 걸쳐 도어(13)와 도어 틀(10) 사이에 조성되는 틈새를 완벽하게 막아줌으로써, 화재 시 연기나 가스, 화염 등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게 되고, 또 평상 시에도 내외기의 출입을 막아 냉난방 손실을 막을 수 있는 등 완벽한 기밀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도어 틀(10)의 도어 틀 패널(25)의 경우, 금속 재질의 패널을 통한 열전도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는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 틀 패널(25)의 일측, 예를 들면 패킹(23a,23b)이 장착되는 패킹장착용 홈부(22a,22b)의 바닥에는 차열타공(24)이 형성되고, 이때의 차열 타공(24)은 홈부 바닥의 길이 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타열 타공(24)은 적어도 1열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2열 이상의 타열 타공(24)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각 열의 타열 타공(24)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므로서, 패널 상의 열전도 경로가 끊어질 수 있게 되는 등 열전도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더불어 타공 형성으로 인해 약해질 수 있는 패널이 강성 또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도어 틀(10)의 도어 틀 패널(25)에 전달되는 열은 패널을 따라 전해지다가 차열 타공(24)이 있는 부위에서 단절되어 열전도가 차단되고, 이렇게 2곳의 차열 타공(24)을 거치는 동안에 열전도가 상당부분 단절되면서 도어 틀 패널(25)을 통한 열전도 현상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등 뛰어난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도어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의 이격 구조 및 패널 사이의 단열재 삽입 구조를 채택함과 더불어 이중 패킹 구조 및 차열 타공 패널 구조를 채택한 새로운 이중 단열 구조의 방화문을 제공함으로써,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방화문 도어 및 도어 틀의 패널 간 접촉경로를 따라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등 방화문의 우수한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힌지 타입 도어를 갖춘 방화문을 나타내는 정면도, 단면도 및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핀힌지 타입 도어를 갖춘 방화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핀힌지 타입 도어를 갖춘 방화문은 도어의 상부 핀힌지 주변 공간과 도어 내부 공간을 커버로 격리시켜서 상부 핀힌지를 젖히기 위한 도구를 삽입하기 위해 뚫어 놓은 홀을 통해 화재 발생 시의 도어 내부 가연성 가스가 외부로 분출되는 막을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방화문은 구조물 벽체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도어 틀(100), 상기 도어 틀(100)의 내측에 설치되고 개폐 조작을 위한 도어 록(110)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 핀힌지(130)와 하부 핀힌지(140)를 지지점으로 회전하면서 개폐 가능한 도어(12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 틀(100)은 건축물 등의 구조물 벽체에 설치되는 사각의 틀 구조로서, 박스형 단면의 패널 내부에 단열재(220b)가 충전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도어 틀 전면부 내측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1단 또는 2단의 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때의 단차 구조 내에 도어(120)가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틀(100)의 내측 단차 구조에는 고무 재질 등의 패킹(2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의 패킹(240)은 도어 닫힘 시 도어 내측 패널(210)에 눌려짐과 더불어 밀착되면서 도어 내외측 간의 기밀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도어(120)는 도어 틀(100) 내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판체 구조물로서, 도어 내측 패널(210)과 도어 외측 패널(150)의 내부에 단열재(220a)를 충전시킨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도어(120)의 가장자리 둘레 단면에는 도어 내외측 패널(210,150)과 결착되는 보강 패널(230)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보강 패널(230)에 의해 도어 가장자리 둘레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열재(220a,220b)는 하니콤, 미네랄 울, 글라스 울, 세라크 울, PIR, 페놀폼, 바소폼 등과 같은 불연 단열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우레탄 접착제 등과 함께 패널 내측에 접착되는 형태로 충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20)의 내부에는 도어 좌우 폭 방향으로 한쪽 단부 위치에 도어 개폐 시 회전축 역할을 하는 상부 핀힌지(130)와 하부 핀힌지(140)가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상부 핀힌지(130)와 하부 핀힌지(140)는 수직 자세를 취하면서 도어 외측 패널(150)의 내벽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상부 핀힌지(130)와 하부 핀힌지(140)의 각 핀(190a,190b)은 도어 틀(100)에 형성되어 있는 위아래의 각 핀 홀(200a,200b)에 각각 끼워지게 되므로서, 도어(120) 전체는 상하부 핀힌지(130,140)를 통해 도어 틀(100)에 지지되면서 회전 개폐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상부 핀힌지(130)와 하부 핀힌지(140)의 몸체 부분은 보강 패널(230)과의 연접 부위에 도포되는 방화 실란트(250)에 의해 보강 패널(230)측에 긴밀하게 결속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핀힌지(130)의 경우에는 스프링 힘을 이용하여 핀(190a)을 체결위치로 동작시키는 통상의 핀힌지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부 핀힌지(130)의 체결 시, 즉 도어 설치 시 상부 핀힌지(130)의 핀(190a)을 도어 틀(10)의 핀 홀(200a)에 끼울 때, 도어 외측 패널(150)에 형성되어 있는 홀(170)을 통해 드라이버 등과 같은 도구(미도시)를 삽입하여 상부 핀힌지(130)의 핀 하단부 턱 부분을 아래로 젖힌 다음, 도어(120)의 위치를 잡은 상태에서 도구를 홀(170)로부터 빼내게 되면, 스프링 힘을 받은 핀(190a)이 위로 상승하면서 도어 틀(100)의 핀 홀(200a)에 끼워지게 되므로서, 도어(120)의 상부 핀힌지(130)측 설치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핀힌지 타입 도어를 갖춘 방화문은 도어(120)의 내부에 상부 핀힌지(130)의 주변을 둘러싸면서 도어 외측 패널(150)측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커버(16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60)는 상부 핀힌지(130)를 젖히기 위한 도구를 삽입하기 위해 뚫어 놓은 홀(170)에 의해 외부와 통하는 상부 핀힌지 주변 공간부(180)와 도어(120)의 내부 공간을 격리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 내부에서 단열재가 타면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는 차단벽 역할을 하는 커버(160)에 의해 공간부(18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고, 결국 가연성 가스가 도어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커버(160)는 3개의 판재를 용접 등으로 결합하여 조합시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서로 한쪽 변을 맞대면서 90°각도를 이루며 나란하게 배치되어 결합되는 제1수직판(160a) 및 제2수직판(160b)과, 상기 제1수직판(160a) 및 제2수직판(160b)의 각 하단에 접하면서 결합되는 수평의 바닥판(160c)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60)는 도어 외측 패널(150)의 내부 코너 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되고, 제1수직판(160a), 제2수직판(160b) 및 바닥판(160c)의 각 단부를 이용하여 패널면에 접하면서 패널 코너 부위와 함께 사각 단면의 공간부(180)를 조성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수직판(160a)과 제2수직판(160b)의 각 측단부, 그리고 상기 바닥판(160c)의 2곳의 단부는 도어 외측 패널(150)의 코너 부위 내벽면에 접하면서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제1수직판(160a)과 제2수직판(160b)의 각 상단부는 보강 패널(230)의 저면(안쪽면)에 접하면서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160)가 설치되는 상부 핀힌지 주변은 제1수직판(160a)과 제2수직판(160b), 바닥판(160c), 도어 외측 패널(150), 보강 패널(230)에 의해 둘러싸인 사각 단면의 박스형 공간부(180)가 조성되면서, 이때의 공간부(180)는 도어 내부 공간과 격리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커버(160)를 이용하여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 핀힌지(130)의 주변을 격리시켜줌으로써, 홀(170)을 통해 종전과 같이 상부 핀힌지(130)를 조작할 수 있으면서도 이때의 홀(170)을 통해 외부로 통해 있는 상부 핀힌지(130)의 주변 공간, 즉 공간부(180)를 도어 내부와 완전히 격리시켜줌으로써, 홀(170)을 통한 가연성 가스의 외부 분출이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가연성 가스 분출에 의한 화재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방화문의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상부 핀힌지의 둘레 영역을 커버로 마감하여 도어 내부 공간과 격리시킨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에 도어 내부의 단열재가 타면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도어 외부로 급속하게 다량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등 가연성 가스의 폭발로 인한 2차 화재 피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10 : 도어 틀
11 : 도어 록
12 : 도어 힌지
13 : 도어
14a,14b : 단열재
15 : 도어 내측 패널
16 : 도어 외측 패널
17a,17b : 단부 패널
18 : 단열 부재
19 : 보강대
19a : 제1절곡부
19b : 제2절곡부
20 : 갭(Gap)
21 : 서브 단열 부재
22a,22b : 패킹장착용 홈부
23a,23b : 패킹
24 : 차열타공
25 : 도어 틀 패널
100 : 도어 틀
110 : 도어 록
120 : 도어
130 : 상부 핀힌지
140 : 하부 핀힌지
150 : 도어 외측 패널
160 : 커버
160a : 제1수직판
160b : 제2수직판
160c : 바닥판
170 : 홀
180 : 공간부
190a,190b : 핀
200a,200b : 핀 홀
210 : 도어 내측 패널
220a,220b : 단열재
230 : 보강 패널
240 : 패킹
250 : 방화 실란트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구조물 벽체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도어 틀(100)과, 개폐 조작을 위한 도어 록(110)을 가지면서 도어 틀(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도어(120)와, 상기 도어(120)의 내측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핀힌지(130) 및 하부 핀힌지(140)를 포함하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도어(120)의 내부에 상부 핀힌지(130)의 주변을 둘러싸면서 도어 외측 패널(150)측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커버(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160)는 상부 핀힌지(130)를 젖히기 위한 도구를 삽입하기 위해 도어 외측 패널(150)에 뚫어 놓은 홀(170)에 의해 외부와 통하는 상부 핀힌지 주변 공간부(180)를 도어 내부 공간과 격리시켜줌으로써, 도어 내부에서 단열재가 타면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가 도어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160)는 서로 한쪽 변을 맞대면서 90°각도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제1수직판(160a) 및 제2수직판(160b)과, 상기 제1수직판(160a) 및 제2수직판(160b)의 각 하단에 접하여 결합되는 수평의 바닥판(160c)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160)는 도어 외측 패널(150)의 내부 코너 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됨과 더불어 제1수직판(160a), 제2수직판(160b) 및 바닥판(160c)의 각 단부를 통해 패널면에 접하면서 패널 코너 부위와 함께 사각 단면의 공간부(180)를 조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8. 삭제
  9. 삭제
KR1020200002626A 2020-01-08 2020-01-08 방화문 Active KR102181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26A KR102181203B1 (ko) 2020-01-08 2020-01-08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26A KR102181203B1 (ko) 2020-01-08 2020-01-08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203B1 true KR102181203B1 (ko) 2020-11-20

Family

ID=73697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626A Active KR102181203B1 (ko) 2020-01-08 2020-01-08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2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392B1 (ko) * 2020-12-04 2021-09-01 박문규 지진 발생 시 탈출구조를 갖는 방화문
KR102332695B1 (ko) * 2020-12-04 2021-12-01 박문규 히터 설치형 결로방지 방화문
KR102379871B1 (ko) 2021-07-14 2022-04-01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방화문
KR20230040387A (ko) 2021-09-13 2023-03-23 주식회사 대건에프앤씨 단열성능이 우수한 가스켓 매립형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34873A (ko)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대건에프앤씨 스마트 방화 매립 도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333Y1 (ko) 2003-03-24 2003-06-25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방화문용 힌지 결합장치
KR101155154B1 (ko) * 2012-01-26 2012-06-11 김지명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KR20130123530A (ko) 2012-05-03 2013-11-13 김송기 방화문(防火門)의 힌지장치
JP2014025214A (ja) * 2012-07-25 2014-02-06 Sanwa Shutter Corp ドア装置
KR101384768B1 (ko) * 2012-02-27 2014-04-14 (주)금강이엠씨 결로 방지 도어 프레임
KR101705626B1 (ko) 2016-07-29 2017-02-22 이명현 단열 방화문
KR20170022344A (ko) 2015-08-20 2017-03-02 원태연 방화문
KR101998675B1 (ko) * 2018-07-11 2019-07-10 대림산업 주식회사 방화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333Y1 (ko) 2003-03-24 2003-06-25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방화문용 힌지 결합장치
KR101155154B1 (ko) * 2012-01-26 2012-06-11 김지명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KR101384768B1 (ko) * 2012-02-27 2014-04-14 (주)금강이엠씨 결로 방지 도어 프레임
KR20130123530A (ko) 2012-05-03 2013-11-13 김송기 방화문(防火門)의 힌지장치
JP2014025214A (ja) * 2012-07-25 2014-02-06 Sanwa Shutter Corp ドア装置
KR20170022344A (ko) 2015-08-20 2017-03-02 원태연 방화문
KR101705626B1 (ko) 2016-07-29 2017-02-22 이명현 단열 방화문
KR101998675B1 (ko) * 2018-07-11 2019-07-10 대림산업 주식회사 방화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392B1 (ko) * 2020-12-04 2021-09-01 박문규 지진 발생 시 탈출구조를 갖는 방화문
KR102332695B1 (ko) * 2020-12-04 2021-12-01 박문규 히터 설치형 결로방지 방화문
KR102379871B1 (ko) 2021-07-14 2022-04-01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방화문
KR20230040387A (ko) 2021-09-13 2023-03-23 주식회사 대건에프앤씨 단열성능이 우수한 가스켓 매립형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34873A (ko)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대건에프앤씨 스마트 방화 매립 도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203B1 (ko) 방화문
CA2083320C (en) Wood-cased glass door assembly
JP2012140785A (ja) 複層ガラス窓の防火構造
JP6240546B2 (ja) サッシ窓用の換気装置及びサッシ窓
JP6700967B2 (ja) 建具
KR102175746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외벽용 단열패널
JP6385661B2 (ja) ドア
KR102219234B1 (ko) 보강재를 갖춘 방화문
KR200497704Y1 (ko) 확인창이 형성된 방화셔터
JP6001251B2 (ja) 開口部装置、防火部材
KR20190012440A (ko) 철제 방화문
JP6433358B2 (ja) 耐火扉
KR20220013883A (ko) 이중 단열 방화 유리문
KR102332695B1 (ko) 히터 설치형 결로방지 방화문
JP2014141836A (ja) 錠補強材、錠装置、戸体及び開口部装置
KR101560768B1 (ko) 목재 방화도어
EP4446509A1 (en) Sandwich panel
KR20200045060A (ko) 차열 및 차연 성능이 우수한 방화문과 그 제조방법
JP7623239B2 (ja) 扉構造
JP7229087B2 (ja) 防火戸用の開閉体
JP6317231B2 (ja) 防火ドア
KR100711066B1 (ko) 방화문의 방화구조
JP7267902B2 (ja) 防火改装窓構造
KR20090005451U (ko) 차열문
KR20060136167A (ko) 방화문의 방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