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80839B1 - 증가된 바이패스 유동을 가진 헬리콥터 엔진 공기 흡입구 - Google Patents

증가된 바이패스 유동을 가진 헬리콥터 엔진 공기 흡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839B1
KR102180839B1 KR1020157002008A KR20157002008A KR102180839B1 KR 102180839 B1 KR102180839 B1 KR 102180839B1 KR 1020157002008 A KR1020157002008 A KR 1020157002008A KR 20157002008 A KR20157002008 A KR 20157002008A KR 102180839 B1 KR102180839 B1 KR 102180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air inlet
air intake
air
ri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7894A (ko
Inventor
파울-에티엔느 재크텟
니콜라스 블롯
파스칼 레브루스큐
티에리 베르제즈
Original Assignee
사프란 헬리콥터 엔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프란 헬리콥터 엔진스 filed Critical 사프란 헬리콥터 엔진스
Publication of KR2015003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83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3/00Arrangement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33/02Arrangement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combustion air int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4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05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having provisions for obviating the penetration of damaging objects or particles
    • F02C7/055Air intakes for gas-turbine plants or jet-propulsion plants having provisions for obviating the penetration of damaging objects or particles with intake grids, screens or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3/00Arrangement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33/02Arrangement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combustion air intakes
    • B64D2033/022Arrangement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combustion air intakes comprising bird or foreign object prot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3/00Arrangement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33/02Arrangement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combustion air intakes
    • B64D2033/0233Arrangement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combustion air intakes comprising de-i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3/00Arrangement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33/02Arrangement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combustion air intakes
    • B64D2033/0253Arrangement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combustion air intak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airc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05D2220/329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in helicop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결빙이 일어나는 곳에서 큰 바이패스 유동을 제공하는 방빙 그리드를 구비한 헬리콥터 엔진 공기 흡입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공기 흡입구는 공기 흡입구 립(30, 32), 그리고 공기 흡입구 립(30, 32)의 외부 단부(30a, 32a)에 장착된 방빙 그리드(36)를 포함하고, 공기 흡입구(34)로 들어가는 공기 유동에 개재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30, 32)은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증가된 바이패스 유동을 가진 헬리콥터 엔진 공기 흡입구{A helicopter engine air intake with increased bypass flow}
본 발명은 헬리콥터 엔진을 위한 공기 흡입구에 관한 것으로, 흡입구는 결빙(icing)일 일어나는 곳에 다량의 바이패스 유동을 제공하는 방빙(防氷) 그리드(an anti-icing grid )가 제공된다.
결빙 조건 하에서 작동하는 동안에 공기 흡입구 및 엔진의 공기 공급 통로에서 얼음 형성의 위험성(the risk of ice form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 공기 흡입구는 엔진으로 통하는 공기 흡입구를 완전하게 덮는 방빙 그리드가 제공되고 있다. 이는 특히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보메카 TM-333(Turbomeca TM??333) 엔진에 적용한다. 그리드는 만약에 있다면, 결빙이 공기 흡입구 그 자체 또는 공기 공급 통로보다 그리드(92)의 외부 표면(92a)에 형성하는 것을 보장한다. 그리드(92)의 내부 부분(92)은 결빙되어질 때 그리드(92)의 외부 표면(92a) 주위를 바이패스 공기기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그때 제공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엔진에서, 방빙 그리드(92)가 장착되는 공기 흡입구 립(an air intake lips)(90)은 TM-333 엔진에서처럼, 일반적으로 고체 재료로 기계 가공되어 있고,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복합재료로 만들어지고, 따라서 특별히 부피가 크고; 공기 흡입구 주위의 주어진 공간 부족하여, 그리드(92)의 외부 표면(92a)이 결빙될 때 상용할 수 있는 바이패스 섹션(the bypass section)(Sc')이 작고, 결빙이 일어나는 곳에서 공기의 유량(flow rate)을 제한하는 것이 그때 발견된다.
더구나 고체 재료에서 기계 가공된 모델과 복합재료로부터 만들어진 모델 모두는 조립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복합 재료로, 그리드의 가장자리(margins)들은 차례차례 복합재료 립에 접착제로 접합되는 섹션 부재(a section member)에 접착제로 접합되어지고: 그런 조립 작업의 복잡성에 더하여, 복합 재료와 접착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현재는 어렵다.
그러므로 결빙이 일어나는 곳에서 상당한 양의 바이패스 유동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에 기재된 선행기술의 공기 흡입구에 내재하는 결점들을 회피하는 헬리콥터 엔진 공기 흡입구에 대한 실질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압축기 및 압축기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가지고 있는 가스터빈 헬리콥터 엔진을 위한 공기 흡입구에 관한 것으로, 통로는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상부 단부에서 넓어지고, 공기 흡입구는 공기 흡입구 립을 포함하고, 그리고 공기 흡입구 입의 외부 단부에 장착된 방빙 그리드는 공기 흡입구로 들어가는 공기 유동에 개재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은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진다.
흡입구 립을 만들기 위해 얇은 금속판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흡입구 립은 매우 작은 두께로 사용 가능하게 만들어주고, 주어진 사용가능한 외부 공간을 위해, 큰 자유 부피(a large free volume)가 방빙 그리드 내에서 큰 바이패스 섹션을 제공하는데 사용가능하게 남아 있다. 그래서 결빙이 일어나는 그리드의 외부 표면에서, 그리드 부분은 공기 유량이 통상 작업 조건들과 비교하여 단지 약간 줄어드는 바이패스 유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크기로 사용 가능하게 남아 있다.
특히, 매우 좋은 형상 또는 성형 특성을 나타내는 얇은 금속판의 사용에 의해, 그러한 금속판은 매우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지고 특히 사용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하고 콤팩트한 형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공기 흡입구 립에 그리드를 조립하는 것이 더 쉽게 만들어지고; 특히 그리드와 립 사이에서 더 큰 근접성(greater proximity)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더 콤팩트하게 된다. 얇은 금속판의 사용은 또한 용접과 같이, 다른 재료와 가능하지 않는, 어떤 체결 기술(certain fastening techniques)들을 사용하는 것을 또한 가능하게 만든다.
또한, 얇은 금속판은 작은 무게의 이점들을 제공하고, 그것에 의해 엔진의 연료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 비용이 감소되어지게 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을 형성하는 상기 얇은 금속판은 1.5mm보다 작은 두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0.8mm보다 작은 두께를 소유한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의 외부 단부는 U-형상으로 바깥쪽으로 굽어져 있고, 그리고 방빙 그리드의 테두리는 이렇게 정의된 것처럼 U-형상 공간에 결합되어진다. 금속판의 성형 특성들 때문에 매우 좁고 그리드의 테두리의 치수에 아주 적합한 U-형상 공간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성형 특성들 때문에, 그런 U-형상 공간이 립 그 자체에 매우 가까이 형성되고, 그것에 의해 바이패스 섹션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다량의 횡 공간(a large amount of transverse space)을 해제한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방빙 그리드의 테두리는 흡입구 립에 의해 정의된 U-형상 공간의 벽들에 꼭 들어맞는다. 이는 특히 U-형상 공간에 그리드의 테두리를 크림프(crimp)하거나, 또는 스탬핑(stamping)에 의해 이들 부품을 함께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어떤 실시 예에서, 방빙 그리드의 테두리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에 체결되어지는 체결요소 탭(fastener tabs)들이 제공되어 있다. 콤팩트하게 만들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그들 자체의 근접성이 금속판의 성형 특성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가능한 이들 조립 해법은 단순성 및 신뢰성의 측면에서 이점들을 제공한다. 그런 체결요소 탭들은 공기 흡입구 립을 따라 내내 선택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된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방빙 그리드의 테두리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에 체결된 연속 체결요소 비드(a continuous fastener bead)가 제공되어 진다. 이 조립 해법은 립의 일부분 또는 전체 립을 따라 내내 제공되게 체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방빙 그리드의 테두리는 용접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에 체결되어진다. 이 체결은 신뢰성 및 내구성이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방빙 그리드의 테두리는 경납땜(brazing), 접착제의 부착(spots of adhesive), 주름내기(crimping), 또는 리벳에 의해 정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에 체결되어진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에 방빙 그리드의 체결은 접착제 접합이 없다. 접착제 기술을 사용하는 어려움들이 그래서 회피되어진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그리드의 테두리는 방빙 그리드의 본체로부터 분리되지는 부분이고, 그리드의 테두리는 그리드의 본체에 체결되어 있다. 이 해법은 방빙 그리드 위에 공기 흡입구 립에 체결되고 접착력을 제공하기 위해 특별하게 설계되고, 결빙을 피하도 큰 바이패스 섹션을 제공할 목적으로 그자체가 단지 형태로 있는 체결요소 인터페이스(a fastener interface)를 맞추기 쉽게 한다. 특히, 테두리의 재료는 그리드 본체의 재료와 다르고: 예를 들어, 테두리는 그리드 본체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동안에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그리드의 테두리는 경납땜에 의해 방빙 그리드의 본체에 체결되어진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공기 흡입구 립은 90° 이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80°와 동일한 각 섹터(an angular sector) 위에 단일 부품(a single piece)으로서 만들어진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공기 흡입구 립들 양쪽은 얇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진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공기 흡입구는 방사상 타입(the radial type)이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공기 흡입구는 축 방향 타입(the axial type)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된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른 공기 흡입구를 가지고 있는 가스터빈 헬리콥터 엔진을 또한 제공한다.
상기에 언급된 특징 및 이점들, 그리고 다른 것들이 제안된 공기 흡입구의 아래에 기술된 실시 예들의 설명을 읽으면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만들어진다.
매우 좋은 형상 또는 성형 특성을 나타내는 얇은 금속판의 사용에 의해, 그러한 금속판은 매우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지고 특히 사용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하고 콤팩트한 형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기 흡입구 립에 그리드를 조립하는 것이 더 쉽게 만들어지고, 특히 그리드와 립 사이에서 더 큰 근접성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더 콤팩트하게 되고, 얇은 금속판의 사용은 또한 용접과 같이, 다른 재료와 가능하지 않는, 어떤 체결기술들을 사용하는 것을 또한 가능하게 만든다.
첨부된 도면들은 도식적으로 있고,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하여 특히 추구하고 있다. 도면들에서, 하나의 도면에서 다른 도면으로, 동일하게 있는 구성요소(또는 구성요소의 부분들)는 같은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언급되어진다.
도 1은 헬리콥터 엔진의 도식적인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 흡입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 공기 흡입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공기 흡입구 및 방빙 그리드가 공기 흡입구의 립에 어떻게 체결되는지를 나타내는 보다 큰 크기의 개략도이다.
도 5a는 종래 기술의 공기 흡입구이다.
도 5b는 종래 기술의 공기 흡입구와 비교된 본 발명의 공기 흡입구에 의해 사용 가능한 바이패스 섹션에서 증가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요약도이다.
발명을 좀 더 명확하게 만들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 흡입구의 예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기술되어진다. 본 발명은 이들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하여야 한다.
도 1은 환형 공기 공급 통로(an annular air feed passage)(12)를 통하여 압축기(10)(a compressor stage)(예를 들어, 원심 압축기)를 가진 가스터빈 헬리콥터 엔진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그것의 상류 단부에서, 통로(12)는 엔진의 금속 케이싱(a metal casing)(14)에 의해 정의된 환형 외부 개구부(an annular outer opening)(12a)를 통하여 개방하여 있다. 케이싱(14)은 또한 통로(12)의 벽들을 정의한다. 환형 연소실(an annular combustion chamber)(16), 예를 들어, 역류 연소실(a reverse-flow combustion chamber)이, 연료 및 압축기(10)로부터 나오는 생성된 일차 공기 흐름(a stream of primary air)이 공급되는 연료분사장치들(injectors)(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되어 있다. 연소실(16)로부터 연소가스가 압축기(10)를 구동하는 터빈(1)으로 들어가고, 축(20)에 의해 터빈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출구 축(an outlet shaft)(24), 같은 축으로 있는 축(20) 및 축(23)에 기계적 통력을 전달하는 기어 장치에 축(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동력 터빈(a power turbine)(22)(예를 들어, 단일 단계(a single stage)를 가지고 있는)으로 들어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립(30, 32)(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은 통로(12)를 위한 공기 흡입구(an air intake)(34)를 정의한다. 두 개의 립(30, 32)은 개구부(12a)의 양측에, 그리고 내내 이것에 통로(12)의 상류 단부에 내부 단부를 연결하는 두 개의 각각의 얇은 환형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이 예에서, 립(30, 32)을 형성하는 금속판은 용접 가능한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그들은 약0.6mm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그들의 대향하는 단부, 또는 외부 단부에서, 립(30, 32)은 U-형상 공간(70)들을 형성하도록 U-형상으로 바깥쪽으로 굽어져 있는 각각의 림(rims)(30a, 32a)을 제시하고 있다. 그들의 내부 단부에서, 립(30, 32)은 케이싱(14)에 그들이 체결되어지게 실질적으로 90°에서 뒤로 접혀지는 탭 또는 칼라(30b, 32b)를 제시하고 있다.
림(30a, 32a)에 의해 정의된 공기 흡입구(34)의 단부(34a)는 성형가능하고 강하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그리고 립(30, 32)으로 굽어진 림을 가지고 있는 금속의 방빙 그리드(36)에 의해 덮여지고, 그래서 이들 림의 단부들은 림(30a) 및 림(32a)의 U-형상 공간(70)에서 결합한다. 그리드(36)의 목적은 그리드(36)의 외부 표면(36a)에 아마 형성하는 결빙을 가지고, 공기 흡입구(34) 및 이송 통로(12) 내측에 형성하는 결빙을 회피하는 것이다. 환형 바이패스 채널(38)이 그리드(36)의 외부 표면(36a)의 결빙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공기를 통로(12)d에 공급하도록 그때 제공되고 있다. 채널(38)은 보강 리브(stiffener ribs)(39)가 제공되고, 케이싱(14)에 고정되는 환형 벽 각진 가이드(an annular wall angled guide)(39) 또는 플리넘(plenum)에 의해 일 측면에 정의되어진다. 벽(39)은 채널(38)의 다른 측면을 정의하는, 예를 들어 립(32), 공기 흡입구의 립의 하나와 마주하게 위치되어 있다. 유사한 제2 바이패스 채널(40)이 다른 립(30) 옆에 또한 제공된다(그것의 플리넘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면들을 혼잡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았다). 방빙 그리드(36)의 굽어진 림들은 케이싱(14)으로 향하여 면하는, 공기 흡입구(34)의 양측면에 내부 바이패스 표면(36b)을 정의하고, 따라서 바이패스 채널(38) 또는 바이패스 채널(40)로 더 넓어지고, 그것에 의해 그리드(36)의 외부 표면(36a)이 결빙되어질 때 바이패스 공기의 흐름이 들어가지게 할 수 있다. 립(30, 32)과 방빙 그리드(36) 사이를 가로질러서 정의된 바이패스 섹션(Sc)은 이 바이패스 공기흐름에 대한 최대 유량을 결정한다.
도 3에, 각각의 립(30, 32)은 90°보다 전형적으로 더 차지하는, 더 큰 각 섹터(a large angular sector) 위에 일체적으로 만들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립이 360° 위에 공기 흡입구(34)를 형성하도록 서로 접촉하게, 각각 180°를 점유하는 두 개의 상류 립(30)을 가지고 있고; 유사한 방법으로, 공기 흡입구(34)는 유사하게 180° 위에 각각 연장하는 두 개의 하류 립(32)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 실시 예에서 립(30, 32)은 그들의 림(30a, 32a)과 그들의 탭 또는 칼라(30b, 32b) 사이에 실질적으로 장방형 단면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실시 예들에서, 이런 외형은 립(30, 32)의 일측 및/또는 다른 측에 대해 굽어져 있을 수 있다.
도 3 및 4는 그리드(36)가 립(30, 32)에 어떻게 조립되는지를 그려보는 것을 더 용이하게 만든다.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리드(36)의 측면 단부 가장자리(50)는 각각의 립(30, 32)의 U-형상 공간(70)으로 향하여 굽어져 있고; 테두리(a margin)(60)는 그리드(36)와 립(30, 32) 사이에서 체결 인터페이스로 제공하기 위하여 이들 가장자리(50)의 각각을 따라 장착되어진다.
이 테두리(60)는 립(30) 또는 립(32)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채널-섹션 부재(a channel-section member)의 형태이고, 그리드(36)의 가장자리(50) 주위를 원주둘레로 모두 연장하고, 따라서 그리드(36)의 측면 단부 가장자리(50)가 수용되어지는 홈(a groove)(61)을 형성하고: 경납땜(62)에 의해 거기에 체결되어진다.
일정 간격으로, 테두리(60)는 케이싱(14)으로 향하는 홈(61)의 내부 가장자리와 방사상으로 일치하게 연장하는 체결요소 탭(fastener tabs)(63)을 또한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하여, 그리드(36)의 가장자리(50)는 테두리(60)의 홈(61)에 체결되고, 그리고 테두리(60)는 립(30, 32)의 U-형상 공간(70)에 수용되고, 체결요소 탭(63)은 립(30, 32)의 외부 벽을 따라 연장한다. 체결요소 탭(63)은 스폿 용접(64)에 의해 립(30, 32)의 벽에 그때 체결된다. 체결요소 탭(63)은 립(30, 32)에 그리드(36)를 조립할 때 공구 세공(tooling)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방빙 그리드(36)의 내부 바이패스 표면(36b)의 레벨보다 더 낮은 레벨로 립(30, 32)을 내려가기에 충분한 길이로 있다.
얇은 금속판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립(30, 32)은 그들 자체가 매우 콤팩트하고, 그리고 립(30, 32)에 매우 콤팩트한 방법으로 그리드(36)가 조립되는 것이 가능하다. 주어진 전체 크기를 위해, 따라서 큰 바이패스 섹션(Sc)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b는 종래 기술의 종래 공기 흡입구와 비교된 그런 공기 흡입구에 가능하게 만들어진 증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공기 흡입구는 종래 기술의 공기 흡입구가 파선으로 그려져 있는 반면에 연속선으로 개략적으로 그려져 있다.
종래 기술의 공기 흡입구에서, 고체 재료로 기계 가공되거나 또는 복합재료로 만들어진 립(90)은 더 두껍다. 또한, 재료가 그리드(92)의 측면 단부 가장자리(93)가 수용되는 립(90)의 림에 의해 형성된 U-형상 공간(91)은 크고, 전형적으로 약5mm에서 약10mm의 범의에 놓여 있는 곡률(R')의 반경을 나타내도록 형성시키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종래 공기 흡입구에서, 립(90)과 그리드(92) 사이의 바이패스 섹션(Sc')은 더 작다.
그에 반하여, 본 발명의 공기 흡입구에서, 립(30, 32)은 더 정교하고, 그리고 금속판의 좋은 성형 특성들 때문에 훨씬 더 작은 곡률(R) 반경을 나타내는 U-형상 공간(70)을 형성한다. 그런 환경 하에서, 그리드(36)의 측면 단부 가장자리(50)는 립(30, 32)의 벽에 더 가깝게 립(30, 32)에, 예를 들어, 공기 흡입구의 중간면(midplane)에 더 가깝게, 장착되어질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공기 흡입구에서, 립(30, 32)과 그리드(36) 사이의 바이패스 섹션(Sc)은 종래 기술의 공기 흡입구 보다 더 크다.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들은 비-제한 예시의 방법으로 주어지고, 그리고 본 발명에 비추어 보면,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들 실시 예들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발명의 범위 내에 암아 있는 다른 것들을 예상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공기 흡입구 립은 엔진의 전체 주변 주위에 공기 공급 통로의 환형 개구부(12a)를 따라 연장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공기 공급 통로의 외부 개부부가 엔진 주변의 단지 일부분 위에서 연장할 때 또한 적용가능하다. 비스하게, 본 발명은 공기 공급 통로가 축 방향이고 방사상이 아닌 외부 개구부를 가질 때 또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명은 헬리콥터의 예를 사용하지만, 그러나 본 발명은 바이패스 장치를 가지고 있는 그리드가 제공된 공기 흡입구를 가진 다른 어떤 가스터빈으로도 당연히 바꿔질 수 있다.
또한, 이들 실시 예들의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사용되어지거나 또는 서로 결합되어진다. 그들이 연결될 때, 특징들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또는 다른 방법으로 결합되고, 본 발명은 현재 설명에 기술된 특정 조합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반대로 특정되지 않는 한, 어떤 하나의 특별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기술된 특징들은 어떤 다른 실시 예에 유사한 방법으로 적용되어진다.
1: 가스터빈
10 : 압추기
12: (환형 공기 공급) 통로(an annular air feed passage))
12a: 개구부
16: 연소실
20, 23: 축
24: 출구 축
30, 32: 공기 흡입구 립
30a, 32a: 림(rim)
34: 공기 흡입구
36: 방빙 그리드
38, 40: 바이패스 채널
60: 테두리
63: 체결요소 탭
70: U-형상 공간
Sc:바이패스 섹션

Claims (10)

  1. 압축기(10) 및 공기를 압축기(10)로 공급하기 위한 통로(12)를 가지고 있는 가스터빈 헬리콥터 엔진을 위한 공기 흡입구에서,
    통로는 공기 흡입구(34)를 통하여 그것의 상류 단부에서 넓어지며,
    상기 공기 흡입구는:
    - 공기 흡입구 립(30, 32); 그리고
    - 공기 흡입구(34)로 들어가는 공기 유동에 개재되어 있는, 공기 흡입구 립(30, 32)의 외부 단부 (30a, 32a)에 장착된 방빙 그리드(36)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구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30, 32)이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30, 32)을 형성하는 상기 얇은 금속판은 1.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30, 32)의 외부 단부(30a, 32a)는 U-형상 커브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방빙 그리드(36)의 테두리(60)는 이런 방법으로 정의된 U-형상 공간(7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구.
  4. 제 1 항에 있어서,
    방빙 그리드(36)의 테두리(6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30, 32)에 체결되는 체결요소 탭(6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구.
  5. 제 1 항에 있어서,
    방빙 그리드(36)의 테두리(6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30, 32)에 체결된 연속 체결요소 비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구.
  6. 제 1 항에 있어서,
    방빙 그리드(36)의 테두리(60)는 용접(64)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30, 32)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흡입구 립(30, 32)에 방빙 그리드(36)를 체결하는 것은 접착제 접합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구.
  8. 제 1 항에 있어서,
    방빙 그리드의 테두리(60)는 방빙 그리드(36)의 본체로 분리되는 부분이고, 그리드의 테두리(60)는 그리드(36)의 본체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구.
  9. 제 8 항에 있어서,
    그리드의 테두리(60)는 경납땜(62)에 의해 방빙 그리드(36)의 본체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공기 흡입구(34)를 갖는 가스터빈 헬리콥터 엔진.
KR1020157002008A 2012-07-30 2013-07-26 증가된 바이패스 유동을 가진 헬리콥터 엔진 공기 흡입구 Expired - Fee Related KR102180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7385A FR2993862B1 (fr) 2012-07-30 2012-07-30 Entree d'air pour moteur d'helicoptere a circulation de contournement augmentee
FR1257385 2012-07-30
PCT/FR2013/051809 WO2014020267A1 (fr) 2012-07-30 2013-07-26 Entree d'air pour moteur d'helicoptere a circulation de contournement augment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894A KR20150037894A (ko) 2015-04-08
KR102180839B1 true KR102180839B1 (ko) 2020-11-19

Family

ID=4717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008A Expired - Fee Related KR102180839B1 (ko) 2012-07-30 2013-07-26 증가된 바이패스 유동을 가진 헬리콥터 엔진 공기 흡입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071813B2 (ko)
EP (1) EP2879955B1 (ko)
JP (1) JP6295252B2 (ko)
KR (1) KR102180839B1 (ko)
CN (1) CN104507810B (ko)
CA (1) CA2879517C (ko)
FR (1) FR2993862B1 (ko)
IN (1) IN2015DN00616A (ko)
PL (1) PL2879955T3 (ko)
RU (1) RU2638055C2 (ko)
WO (1) WO2014020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6320B2 (en) 2015-11-20 2018-07-31 Bell Helicopter Textron Inc. Passive internal ice protection systems for engine inlets
CN107120193B (zh) * 2017-06-28 2024-05-03 李兵长 一种直升机用发动机进气装置及直升机
KR20220146163A (ko) 2021-04-23 2022-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에어모빌리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3412A1 (en) * 2003-07-29 2005-02-03 Baptist Praba Kharan Nacelle inlet lip anti-icing with engine oil
US20100101206A1 (en) * 2007-03-19 2010-04-29 Turbomeca Device for de-icing the air intake of a gas turbin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4307A (en) * 1972-08-04 1973-10-09 Gen Electric Ni au base brazing alloy
US3871844A (en) * 1973-09-28 1975-03-18 Sr Frank F Calvin Screen apparatus for air inlet
GB1474390A (en) * 1974-09-27 1977-05-25 Secr Defence Debris guard
US4006999A (en) * 1975-07-17 1977-02-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Leading edge protection for composite blades
JPS5330006U (ko) * 1977-08-02 1978-03-15
JPS5948298A (ja) * 1982-09-11 1984-03-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空気取入口の異物吸込み防止網
DE4340951A1 (de) * 1992-12-04 1994-06-09 Grumman Aerospace Corp Einstückiges Triebwerkeinlaß-Schallrohr
RU2059963C1 (ru) * 1993-07-05 1996-05-10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риборостроения Управляемая ракета
US5433070A (en) * 1993-09-08 1995-07-18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lexible engine inlet duct mounting system
FR2723761B1 (fr) * 1994-08-18 1996-09-20 Snecma Turboreacteur equipe d'un systeme de degivrage sur le carter d'entree
FR2757823B1 (fr) * 1996-12-26 1999-03-12 Aerospatiale Nacelle de turboreacteur a ecoulement laminaire
DE10000418A1 (de) * 2000-01-07 2001-08-09 Abb Turbo Systems Ag Baden Verdichter eines Abgasturboladers
US6595742B2 (en) * 2000-10-02 2003-07-22 Westar Corporation Aircraft engine air filter and method
FR2905983B1 (fr) * 2006-09-20 2013-03-15 Turbomeca Dispositif d'insonorisation d'un moteur d'helicoptere a turbine a gaz, et moteur ainsi obtenu
RU2348570C1 (ru) * 2007-09-04 2009-03-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пециаль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оздухозаборника двигателя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из слоист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воздухозаборник двигателя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из слоист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FR2936777B1 (fr) * 2008-10-08 2010-10-22 Aircelle Sa Structure d'entree d'air pour une nacelle pour turboreacteur
EP2282031B1 (en) * 2009-07-02 2012-06-06 Eurocopter Deutschland GmbH Filtering device with integrated bypass for an air inl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3412A1 (en) * 2003-07-29 2005-02-03 Baptist Praba Kharan Nacelle inlet lip anti-icing with engine oil
US20100101206A1 (en) * 2007-03-19 2010-04-29 Turbomeca Device for de-icing the air intake of a gas turbine
JP2010522296A (ja) * 2007-03-19 2010-07-01 ターボメカ ガスタービンの空気取入口を除氷するため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79955A1 (fr) 2015-06-10
EP2879955B1 (fr) 2020-02-26
FR2993862A1 (fr) 2014-01-31
CN104507810A (zh) 2015-04-08
JP2015527525A (ja) 2015-09-17
US10071813B2 (en) 2018-09-11
CA2879517A1 (fr) 2014-02-06
CA2879517C (fr) 2020-04-07
PL2879955T3 (pl) 2020-08-24
US20150166194A1 (en) 2015-06-18
KR20150037894A (ko) 2015-04-08
RU2638055C2 (ru) 2017-12-11
FR2993862B1 (fr) 2015-08-21
CN104507810B (zh) 2020-04-28
WO2014020267A1 (fr) 2014-02-06
RU2015106685A (ru) 2016-09-20
IN2015DN00616A (ko) 2015-08-21
JP6295252B2 (ja)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2229B2 (en) Leaf seal support for inner band of a turbine nozzle in a gas turbine engine
CN104285050B (zh) 可变喷嘴单元以及可变容量式增压器
US8821122B2 (en) Integrally bladed rotor disk for a turbine
JP5338991B1 (ja) タービンハウジング及び排気タービン過給機
US20120023936A1 (en) Nozzled turbocharger turbine
KR102180839B1 (ko) 증가된 바이패스 유동을 가진 헬리콥터 엔진 공기 흡입구
US20170058764A1 (en) Variable nozzle unit and variable geometry turbocharger
GB2287509A (en) Air turbine
US9951782B2 (en) Centrifugal fan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6687673A (zh) 可变喷嘴单元及可变容量型增压器
US9874140B2 (en) Turbocharger
US10612469B2 (en) Diffuser case mixing chamber for a turbine engine
RU2527932C2 (ru) Камера сгорания турбомашины, содержащая улучшенные средства питания воздухом
US11339716B2 (en) Inertial particle separator for aircraft engine
US8757540B2 (en) Nacelle inlet lip
EP1910686B1 (en) Variabale geometry nozzle device
US20150330255A1 (en) Anti-torsion assembly with wedge-shaped torque block
US9988935B2 (en) Gas turbine engine with axial compressor with internal cooling pathways
JP5357293B2 (ja) 内燃機関の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2014126018A (ja) ラジアルタービン及び過給機
WO2011015908A1 (en) Variable geometry turbine
US9963987B2 (en) Fully integrated air guide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6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