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505B1 - A heating device of a solar cell module to remove snows and ices - Google Patents
A heating device of a solar cell module to remove snows and ic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9505B1 KR102179505B1 KR1020190172627A KR20190172627A KR102179505B1 KR 102179505 B1 KR102179505 B1 KR 102179505B1 KR 1020190172627 A KR1020190172627 A KR 1020190172627A KR 20190172627 A KR20190172627 A KR 20190172627A KR 102179505 B1 KR102179505 B1 KR 1021795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ar cell
- cell module
- module heating
- wire pattern
- heat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H02S40/12—Means for removing snow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태양전지 모듈이 겨울철에 눈이나 얼음으로 인해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태양전지 모듈 표면에 발생된 눈이나 얼음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module heating apparatus, and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module surface to prevent a decrease in power generation efficiency due to snow or ice in winter. It is an invention that automatically removes generated snow or ice.
또한,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는 필름 형태로 태양전지 모듈 표면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In addition, the solar cell module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that allows it to be easi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in the form of a film.
현대사회는 나날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도 편리하고 윤택해지고 있으며, 이에 비례하여 우리가 사용하는 전력량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modern society, as technology advances day by day, our lives are becoming more convenient and more prosperous, and the amount of electricity we use is increasing in proportion to this.
특히,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전력은 화력발전, 수력발전, 원자력발전, 신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을 통해 얻고 있으며, 수력발전과 신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은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비중이 낮은 편이고, 대부분의 전력은 화력발전과 원자력발전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electricity produced in Korea is obtained through thermal power generation, hydro power generation,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power generation by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despite the advantage of being eco-friendly, power generation by hydropower and renewable energy has a low proportion. The power of Korea is dependent on thermal power and nuclear power.
하지만,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감축 등의 친환경 정책 선언과 같은 환경 규제 제도의 시행과 함께 과거에 있었던 오일쇼크와 유가상승 및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하여 기존의 화석연료와 원자력에 의존하는 에너지 공급체계에서 벗어나고자 신재생에너지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태양광 발전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Howev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implemented environmental regulatory systems such as the declaration of eco-friendly policies such as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as well as the existing energy supply systems that depend on fossil fuels and nuclear power due to oil shocks, rising oil prices, and Japan's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As the necessit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s being emphasized to escape from this, interest in power generation using new and renewable energy including solar power generation is also increasing.
한편, 태양광 발전은 여름과 같이 일조량이 많은 계절이나 적도부근과 같이 일조량이 많은 지역에 발전효율이 좋은 반면에, 사막이나 시베리아 지역 같은 너무 덮거나 추운 지역에서는 발전효율이 떨어진다.On the other h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has good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n a season with high sunshine such as summer or a region with high sunshine such as near the equator, whil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decreases in overly covered or cold regions such as desert or Siberia.
특히,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렷하여 겨울철은 해가 짧아 일조량이 적은데다 눈이나 얼음으로 인해 태양광 전지에 발전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particular, Korea has four distinct seasons. In winter, the sun is short and the amount of sunlight is low.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solar cells is greatly reduced due to snow or ic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여 눈이 쌓이는 겨울철에도 태양광 전지의 발전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술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 that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does not decrease even in winter when snow is accumulated.
다음은 이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이다.The following is a prior art related to thi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태양전지 모듈이 겨울철에 눈이나 얼음으로 인해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태양전지 모듈 표면에 발생된 눈이나 얼음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remove snow or ic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a solar cell module in order to prevent the solar cell module generating power using sunlight from deteriorat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due to snow or ice in winter.
또한, 본 발명은 필름 형태로 태양전지 모듈 표면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easi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solar cell module in the form of a fil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olar cell module he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태양전지 모듈 표면에 부착되어 태양전지 모듈 표면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녹이기 위해 커넥터부(200)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이용해 열을 발생시키는 필름 형태의 모듈 가열부(100)와;A
외부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거나 다른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는 겨울철에 눈이나 얼음으로 인해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태양전지 모듈 표면에 발생된 눈이나 얼음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눈이나 얼음에 의해 태양광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겨울철에도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olar cell module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moves snow or ic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in order to prevent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rom deteriorating due to snow or ice in wint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even in winter when this falls.
또한, 본 발명은 필름 형태로 태양전지 모듈 표면에 쉽게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venience in use because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in the form of a film.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의 모듈 가열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의 모듈 가열부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터부(200)와 열선 패턴(121)의 전기적 연결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 설치 예시도1 is a solar cell module heating device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solar cell module heating devic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dule heating unit of the solar cell module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module heating unit of the solar cell module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of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of the solar cell module heating device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이하 '가열장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태양전지 모듈(20)이 겨울철에 쌓인 눈이나 얼음으로 인해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명으로서, 태양전지 모듈(20) 표면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열선을 이용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쌓인 눈이나 얼음 등으로 태양광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겨울철에도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solar cell module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heating device') is a
특히, 겨울철은 해가 짧아 일조량이 적은데다 눈이나 얼음으로 인해 태양광 발전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의 가열장치(10)를 통해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winter, the sun is short and there is little sunligh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due to snow or ice. However, the solar cell module is generated by removing snow or ice through the
따라서 본 발명의 가열장치(10)는, 도 2와 같이, 모듈 가열부(100), 커넥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refore,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는,Specifically, the solar cell module he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태양전지 모듈(20) 표면 일측에 부착되어 태양전지 모듈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녹이기 위해 커넥터부(200)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이용해 열을 발생시키는 필름 형태의 모듈 가열부(100)와;A film-type
외부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거나 다른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태양전지 모듈(20)은 태양광을 이용하는 발전장치로서 도 1과 같이, 다수의 태양 전지 셀(21)로 구성되며, 다수의 태양전지 모듈(20)을 결합시킨 발전 판넬을 구성하여 전기를 생산한다.The
본 발명의 모듈 가열부(1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태양전지 모듈(20) 표면 일측(태양전지 셀(21)이 없는 부분)에 부착되고, 커넥터부(200)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이용해 열을 발생시켜 태양전지 모듈(20) 표면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녹이는 구성이다.The
이때, 태양전지 모듈(20)의 사이즈(가로, 세로 길이)는 제조사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모듈 가열부(100)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iz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 of the
예를 들어, A사 태양전지 모듈(20) 사이즈의 1배, 2배, 3배....N배, B사 태양전지 모듈(20) 사이의 1배, 2배, 3배....N배 등과 같이 모듈 가열부(100)의 사이즈(길이)를 다양하게 제조하는 것이다.For example, 1 times, 2 times, 3 times ....N times the size of company A's
모듈 가열부(100)의 사이즈(길이)를 다양하게 제조하는 이유는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다수의 태양전지 모듈(20)로 구성된 발전 판넬에 다수의 모듈 가열부(100) 부착 시,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발전 판넬에 효과적으로 모듈 가열부(100)를 부착시키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manufacturing various sizes (lengths) of the
예를 들어, 도1, 6과 같이 다수의 가열장치(10)를 조합하여 태양전지 모듈 표면 일측에 부착 시, 모듈 가열부(100)의 사이즈(길이)가 다양할수록 다양한 형태의 발전 판넬에 가열장치(10)를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모듈 가열부(100)는 태양전지 모듈(20) 표면 일측(태양전지 셀(21)이 없는 부분)에 부착되어 발열함으로서,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거나 눈이나 얼음이 쌓이지 않게 하는 구성이다.2 to 4, the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 가열부(1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필름 형태로서,Specifically, the
금속 재질의 열선 패턴(121)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제2 PET층(120)과 접하도록 제2 PET층(120) 상부에 형성되는 PET 재질의 제1 PET층(110)과,The
전원 공급 시 열을 발생시키는 금속 재질의 열선 패턴(121)이 형성되는 PET 재질의 제2 PET층(120)과,A
모듈 가열부(100)를 태양전지 모듈 표면 일측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제2 PET층(120) 하부면에 형성되는 접착제층(130)과,An
모듈 가열부(100)를 태양전지 모듈 표면 일측에 부착 시 탈착할 수 있도록 접착제층(130) 하부에 형성되어 접착제층(130)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층(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제1 PET층(110)과 제2 PET층(120)은 폴리에스테르(PET : polyester) 재질이 적용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재질은 석유화학 원료인 TPA(테레프탈 산)를 가공해 만든 재질로서, 산업용, 포장재용, 태양전지 소재용, 광학 디스플레이용으로 폭넓게 쓰이며 음료수병과 비닐봉투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재질이다.The
도 3,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PET층(110)은 모듈 가열부(100)의 최상층에 형성되는 층으로서, 하부에 형성된 제2 PET층(120)에 형성된 금속 재질의 열선 패턴(121)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일종의 열선 패턴(121) 보호층이다.3 and 4, the
상기 제2 PET층(120)은 전원 공급 시 열을 발생시키는 금속 재질의 열선 패턴(121)이 형성되는 층으로서, 제1 PET층(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2 PET층(120)에 형성된 열선 패턴(121)은 제1 PET층(110)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고, 상기 열선 패턴(121)은 커넥터부(200)의 커넥팅 단자(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된다.The
따라서 제2 PET층(120)상에 형성된 열선 패턴(121)은 커넥터부(200)를 통해 공급된 외부 전원에 의해 발열하여 태양전지 모듈 표면(20)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녹여 눈이나 얼음이 쌓이지 않게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이때, 상기 열선 패턴(121)의 재질은 전도성과 발열성이 우수한 금, 은, 구리, 텅스텐, 몰리브덴, 탄소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고, 열선 패턴(121)의 폭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또한, 상기 열선 패턴(1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PET층(120)상에서 허니콤(벌집 구조) 형태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열선 패턴(121)을 허니콤 형태로 하는 이유는 첫째, 발열량을 높이기 위함이고, 둘째는 열선 패턴(121)이 절단되는 경우에도 전기적 회로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특정 경우(모듈 가열부(100)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태양전지 모듈에 모듈 가열부 부착 시)에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모듈 가열부(100)는 절단하여 태양전지 모듈 표면 일측에 부착시키게 된다. 이 경우 열선 패턴(121)이 일반적인 배선 형태(직선 형태)인 경우 모듈 가열부(100)를 절단하게 되면 열선 패턴(121)도 절단되어 전기적 회로가 형성되지 않아 발열할 수 없게 되는데, 본 발명처럼 열선 패턴(121)을 허니콤 형태로 하면 일부가 절단되어도 허니콤 형태의 열선 패턴(121)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전기적 회로가 형성되어 발열에 전혀 지장이 없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 specific case (when attaching the module heating unit to a solar cell module having a length smaller than that of the module heating unit 100), the
상기 접착제층(130)은 모듈 가열부(100)를 태양전지 모듈(20) 표면 일측(태양 전지 셀이 없는 부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제2 PET층(120) 하부면에 형성되는 일종의 접착층이다.The
즉, 상기 모듈 가열부(100)는 PET 재질의 제1 PET층(110)과 제2 PET층(120)만으로는 태양전지 모듈(20) 표면에 부착되지 못하기 때문에, 접착제층(130)을 제2 PET층(120) 하부면에 구성하여 모듈 가열부(100)를 태양전지 모듈(20) 표면 일측에 부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상기 보호필름층(140)은 모듈 가열부(100)를 태양전지 모듈(20) 표면 일측에 부착 시, 탈리시킬 수 있도록 접착제층(130) 하부에 형성되는 구성이다.The
즉, 보호필름층(140)은 모듈 가열부(100)를 태양전지 모듈(20) 표면 일측에 부착 시, 접착제층(130)에서 분리된다.That is, the
상기 보호필름층(140)은 접착제층(130)을 보호하는 구성으로서, 외부 이물질로 인한 접착제층(130)의 접착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일종의 이형지이다.The
도 1, 2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부(200)는 외부의 배터리(3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거나 다른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서, 복수의 커넥팅 단자(210)를 포함한다.1 and 2, the
상기 복수의 커넥팅 단자(210)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모듈 가열부(100)의 열선 패턴(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connecting
커넥터부(200)에 구성된 복수의 커넥팅 단자(210)들은 전원 단자 또는 전기적 연결 단자로서 기능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31)이 결합되는 커넥팅 단자(210)는 전원 단자로서 기능하고, 연결 케이블(32)이 결합되는 커넥팅 단자(210)는 전기적 연결 단자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The plurality of connecting
눈이나 얼음이 쌓이지 않게 하거나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다수의 태양전지 모듈(20)로 구성된 발전 판넬에는 도 1,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다수의 가열장치(10)가 부착된다.As shown in Figs. 1 and 6, a plurality of
이때, 어느 한 가열장치(10)의 커넥팅 단자(210)에는 전원 케이블(31)이 결합되고, 나머지 가열장치(10)의 커넥팅 단자(210)들에는 연결 케이블(32)이 결합되어 모든 가열장치(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전원 케이블(31)을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모든 가열장치(10)의 열선 패턴(121)에 전류가 흘러 발열됨으로서 태양전지 모듈(20)에 눈이나 얼음이 쌓이지 않게 되거나 쌓인 눈이나 얼음이 제거되어 눈이나 얼음에 의해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by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또한, 커넥터부(200)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 단자(21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단자덮개(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복수의 커텍팅 단자(210) 중에는 사용하지 않는 단자가 있을 수 있으며, 사용되지 않는 단자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전기적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An unused terminal may be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 커텍팅 단자(210)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단자덮개(220)를 구성하는 것이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illustrativ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a clear fact that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perform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가열장치
20 : 태양전지 모듈
30 : 배터리
100 : 모듈 가열부
200 : 커넥터부10: heating device
20: solar cell module
30: battery
100: module heating part
200: connector part
Claims (7)
태양전지 모듈 표면 일측에 부착되어 태양전지 모듈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녹이기 위해 커넥터부(200)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이용해 열을 발생시키는 필름 형태의 모듈 가열부(100)와;
외부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거나 다른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가열부(1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필름 형태로서,
금속 재질의 열선 패턴(121)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제2 PET층(120)과 접하도록 제2 PET층(120) 상부에 형성되는 PET 재질의 제1 PET층(110)과,
전원 공급 시 열을 발생시키는 금속 재질의 열선 패턴(121)이 형성되는 PET 재질의 제2 PET층(120)과,
모듈 가열부(100)를 태양전지 모듈 표면 일측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제2 PET층(120) 하부면에 형성되는 접착제층(130)과,
모듈 가열부(100)를 태양전지 모듈 표면 일측에 부착 시 탈착할 수 있도록 접착제층(130) 하부에 형성되어 접착제층(130)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층(140)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200)는,
필름 형태의 모듈 가열부(100)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고, 외부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거나 다른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커넥팅 단자(21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팅 단자(210)들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모듈 가열부(100)의 열선 패턴(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커넥팅 단자(210)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열선 패턴(121)은 모듈 가열부(100)의 제2 PET층(120) 상에서 허니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
In the solar cell module heating device for melting snow or ice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A film-type module heating unit 100 that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and generates heat by using power applied through the connector unit 200 to melt snow or ice accumulated on the solar cell module;
It includes a connector part 200 for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battery or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nother solar cell module heating device,
The module heating unit 100 is in the form of a film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first PET layer 110 made of PET material formed on the second PET layer 120 so as to contact the second PET layer 120 in order to protect the metal hot wire pattern 121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 second PET layer 120 made of PET material on which a hot wire pattern 121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generates heat when power is supplied is formed,
An adhesive layer 13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ET layer 120 so that the module heating unit 100 can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Includes a protective film layer 140 formed under the adhesive layer 130 to protect the adhesive layer 130 so as to be detachable when the module heating unit 10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The connector part 200,
Each of the film-shaped module heating units 100 is formed at both end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terminals 210 for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battery or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other solar cell module heating devices, and the plurality of The connecting terminals 2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ing wire pattern 121 of the module heating unit 100,
The heating wire pattern 12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ng terminals 210 is formed in a honeycomb shape on the second PET layer 120 of the module heating unit 100. .
상기 열선 패턴(121)의 재질은 금, 은, 구리, 텅스텐, 몰리브덴, 탄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lar cell module heating apparatus, wherein the material of the hot wire pattern 121 is any one of gold, silver, copper, tungsten, molybdenum, and carbon.
상기 열선 패턴(121)의 폭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olar cell module he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heating wire pattern 121 is 3 ~ 5㎛.
상기 커넥터부(200)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커넥팅 단자(21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단자덮개(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가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part 200,
Solar cell module he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erminal cover (220)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terminal (210)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from the out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2627A KR102179505B1 (en) | 2019-12-23 | 2019-12-23 | A heating device of a solar cell module to remove snows and i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2627A KR102179505B1 (en) | 2019-12-23 | 2019-12-23 | A heating device of a solar cell module to remove snows and ic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9505B1 true KR102179505B1 (en) | 2020-11-16 |
Family
ID=7367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2627A Active KR102179505B1 (en) | 2019-12-23 | 2019-12-23 | A heating device of a solar cell module to remove snows and ic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9505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0037A (en) * | 2002-01-05 | 2003-07-12 | 김보현 | Film heat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KR20080046072A (en) * | 2006-11-21 | 2008-05-26 | 김영선 | Panel heating device using planar heating element |
KR101038345B1 (en) | 2011-03-07 | 2011-05-31 | 주식회사 정우엔지니어링 | Solar power generation module with heating film |
KR101592544B1 (en) | 2014-03-24 | 2016-02-11 | 주식회사 탑선 | Solar cell module with snow melting function |
KR20160061944A (en) * | 2013-11-29 | 2016-06-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Heating elem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KR101669884B1 (en) | 2015-04-03 | 2016-10-27 | 동진전자 주식회사 |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module with heating function |
JP2018137936A (en) * | 2017-02-23 | 2018-08-30 |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 Snow melting structure of solar power generation panel |
-
2019
- 2019-12-23 KR KR1020190172627A patent/KR10217950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0037A (en) * | 2002-01-05 | 2003-07-12 | 김보현 | Film heat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KR20080046072A (en) * | 2006-11-21 | 2008-05-26 | 김영선 | Panel heating device using planar heating element |
KR101038345B1 (en) | 2011-03-07 | 2011-05-31 | 주식회사 정우엔지니어링 | Solar power generation module with heating film |
KR20160061944A (en) * | 2013-11-29 | 2016-06-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Heating elem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KR101592544B1 (en) | 2014-03-24 | 2016-02-11 | 주식회사 탑선 | Solar cell module with snow melting function |
KR101669884B1 (en) | 2015-04-03 | 2016-10-27 | 동진전자 주식회사 |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module with heating function |
JP2018137936A (en) * | 2017-02-23 | 2018-08-30 |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 Snow melting structure of solar power generation pane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17520B1 (en) | Solar cell assembly | |
CN1947255B (en) | Optoelectronic components with electrical components | |
US20130206203A1 (en) | Photovoltaic module with integrated solar cell diodes | |
KR101985053B1 (en) | Photovoltaic modules comprising light directing mediu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
US20160155873A1 (en) | Flexible photovoltaic module | |
US2008005351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Photovoltaic Device | |
KR20120018369A (en) | Photovoltaic module string arrangement and shading protection therefor | |
JP2008135655A (en) | Solar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solar battery cell | |
WO2009032850A1 (en) | Notch structure for concentrat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ing photovoltaic strips | |
CN107946392A (en) | A kind of intelligence heat resistanceheat resistant spot photovoltaic module | |
TW201042770A (en) | Photovoltaic module string arrangement and shading protection therefor | |
ITVI20090122A1 (en) | STRUCTURAL MODULE FOR PHOTOVOLTAIC GENERATION WITH HIGH CONCENTRATION | |
KR102179505B1 (en) | A heating device of a solar cell module to remove snows and ices | |
KR200489603Y1 (en) | solar cell modules | |
KR102419880B1 (en) |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olar Cell Module With Designable Shingled String Structure | |
Abou Jieb et al. | Fabrication of Solar Cell | |
CN208062079U (en) | A kind of electrode of solar battery and the solar cell using the electrode of solar battery structure | |
US20130008481A1 (en) | Electrically connecting element and photovoltaic module | |
JP7670791B1 (en) | Solar cell module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ice melting function | |
JP7089828B2 (en) | Solar cell module with built-in heat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CN217849350U (en) | Portable photovoltaic module | |
KR102621290B1 (en) | Shingled Module For High Efficiency Bifacial Generating Pow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KR102186560B1 (en) | Solar cell module for road block am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70016138A (en) | PV modules with electrical devices | |
JP2025078241A (en) |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snow melting method thereof, snow power generation panel, and snow melt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003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3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3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7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1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10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7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