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79294B1 - Transformable form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precast wall - Google Patents

Transformable form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precast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294B1
KR102179294B1 KR1020180156575A KR20180156575A KR102179294B1 KR 102179294 B1 KR102179294 B1 KR 102179294B1 KR 1020180156575 A KR1020180156575 A KR 1020180156575A KR 20180156575 A KR20180156575 A KR 20180156575A KR 102179294 B1 KR102179294 B1 KR 102179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horizontal
plate
precast concrete
concrete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5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9486A (en
Inventor
소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0156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294B1/en
Publication of KR20200069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4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294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the elements being stressed
    • B28B23/043Wire anchoring or tensioning means for the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A), 하판(B)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서 놓여져 상판을 지탱하는 트러스(T)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로서, 상부에 철근을 배근할 수 있는 직사각형 테이블(2), 상기 테이블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며 한 면이 판의 맞춤단부의 외형을 갖는 마구리(3), 횡방향 양쪽에는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H빔 기둥(4), 종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H빔 기둥(5)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횡방향 H빔 기둥(4)은 안쪽으로 돌출하며, 상기 횡방향 H빔 기둥(4)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받침대(41)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41)에는 수평빔(6)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수평빔(6) 사이에 상판이 놓여지고 상판과 수평빔(6)에 종방향으로 걸쳐 놓여진 브라켓(7)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두 개의 대칭적인 판을 가지는 벽체를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work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including an upper plate (A), a lower plate (B) and a truss (T) that is plac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support the upper plate, and reinforced a reinforcing bar at the top. A rectangular table (2) that can be used, a maguri (3) that is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table and has the outer shape of the matching end of the plate (3), H-beam columns (4) installed at appropriate intervals on both si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vertical It includes an H-beam column (5)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Each of the transverse H-beam pillars 4 protrudes inward and includes a pedestal 41 that is movable vertically along the transverse H-beam pillar 4, and the pedestal 41 includes a horizontal beam (6). ) Are installed in parallel, the top plate is placed between the horizontal beams 6, and includes a bracket 7 placed over the top plate and the horizontal beams 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a device makes it easier to manufacture a wall having two symmetrical plates.

Figure R1020180156575
Figure R1020180156575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및 벽체의 제작 방법{TRANSFORMABLE FORM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PRECAST WALL}Formwork device for manufacturing precast concrete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all {TRANSFORMABLE FORM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PRECAST WALL}

본 발명은 판 사이에 트러스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PC) 콘크리트 구조물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원판인 상판을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브라켓과 스토퍼를 포함하는 거푸집 장치와 벽체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device used to manufacture a concrete wall, which is a precast (PC)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a truss between the plates, and in more detail, it includes a bracket and a stopper that enables the left and right slides of the upper plate, which is a disc. It relates to a formwork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all.

일반적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은 콘크리트 벽을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제작하기 위한 수직형 거푸집이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 20-0242485호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벽체 콘크리트를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 설치구조를 개사하며, 여기서는 양측면에 합판을 수직으로 세우고 합판의 폭을 미세하게 볼트에 의해서 합판을 죄임하는 구조이다.In general, as a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a vertical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wall vertically erected is mainly used. For example,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242485 describes a formwork installation structure used to construct wall concrete, which is a concrete structure. Here, plywood is vert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and the width of the plywood is finely tightened by bolts. to be.

수직으로 벽체를 세워서 제작하는 것은 판 중간에 트러스를 포함하는 벽체에 이용하기 상당히 불편하다.It is very inconvenient to make the wall vertically and use it for a wall including a truss in the middle of the plate.

다음으로, 특허 등록 10-0621130(2006년08월30일)의 "거푸집 고정 및 간격조절장치"에서는 거푸집간 연결봉의 일단부에 결합된 일측 고정구의 외측에서 거푸집간 연결봉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잭 형태의 구동을 통해 거푸집간 연결봉을 당겨 거푸집의 간격을 조절한 후 거푸집간 연결봉으로부터 탈거되는 간격 조절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거푸집에서부터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를 용이하게 탈거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기어, 래크 등을 포함하는 다소 복잡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Next, in the patent registration 10-0621130 (August 30, 2006), in the "die fixing and spacing control device", the jack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between the dies from the outside of the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between the dies. It includes a gap adjusting device that is removed from the connecting rod between the forms after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formwork by pulling the connecting rod between the formwork,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and separate the cured concrete wall from the formwork. It takes a rather complex form, including, racks, etc.

또 다른 종래 기술인 특허 등록 10-1705270호(2017년02월03일)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용 가변형 보몰드"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용 가변형 보몰드는 마구리에 형성된 길이조절대를 통해 고정측면 게이트와 이동측면 게이트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홀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분리된 후 이동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과 이동측면 게이트에 일정한 간격으로 홀이 형성된 폭조절대가 상기 몰드 베이스에 형성된 결합구와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분리된 후 고정측면 게이트를 향해 이동하여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는 다양한 크기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작할 수 있도록 마구리의 폭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높이 조절대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에서는 판 중간에 트러스를 포함하는 벽체를 제조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따라서 이들을 상판과 하판의 정확한 위치 설정하기 위해서 이들을 그대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Variable Beam Mold for Precast Concrete Manufacturing" of Patent Registration No. 10-1705270 (February 3, 2017), which is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the variable beam mold for precast concrete manufacturing is fixed side gates through a length adjusting rod formed in a maguri. The length can be adjusted by moving after being fixed or separated by a hol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movable side gate, and a width adjustment base formed with hole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movable side gate is combined with the coupling hole formed on the mold base and fix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can be adjusted by moving toward the fixed side gate after being separated. Here, the width and length of the maguri can be adjusted so that precast concrete of various sizes can be produced. And it also includes a height adjuster. However, in this patent, it is not intended to manufacture a wall including a truss in the middle of the plate,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be applied and used as they are in order to accurately position the upper and lower plates.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거푸집으로 다양한 치수의 판 사이에 트러스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할 수 있는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rmwork apparatus capable of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including a truss between plates of various dimensions with one formwor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판과 하판의 치수와 형상에 맞추어 대칭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mwork device that can be positioned symmetrically according to the dimensions and shap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판의 높이에 따라서 수평빔을 상하 이동가능할 수 있는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mwork device capable of moving a horizontal beam up and down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dis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판을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mwork device capable of moving a dis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원판을 위치 설정하여 고정하는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mwork device for positioning and fixing a disc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벽체를 거푸집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mwork device capable of easily removing a concrete wall from a formwor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를 이용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using the form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판, 하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서 놓여져 상판을 지탱하는 트러스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로서, 상부에 철근을 배근할 수 있는 직사각형 테이블, 상기 테이블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며 한 면이 판의 맞춤단부의 외형을 갖는 마구리, 횡방향 양쪽에는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H빔 기둥, 종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H빔 기둥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s a formwork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including an upper plate, a lower plate and a truss that is plac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support the upper plate, a rectangular table capable of reinforcing reinforcement on the upper part , A maguri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table and having an outer shape of the fitting end of the plate on one side, an H beam pillar installed at appropriate intervals on both si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n H beam pillar installed spaced a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각각의 횡방향 H빔 기둥은 안쪽으로 돌출하며, 상기 횡방향 H빔 기둥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에는 수평빔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수평빔 사이에 상판이 놓여지고 상판과 수평빔에 종방향으로 걸쳐 놓여진 브라켓을 포함한다. Each of the transverse H-beam pillars protrudes inward and includes a pedestal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transverse H-beam pillars, and horizontal beams are installed in parallel on the pedestal, and a top plate is placed between the horizontal beams. It includes a bracket placed longitudinally across the top and horizontal beams.

양호한 실시 예에서, 상기 수평빔을 이동하기 위한 받침대를 지탱하고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은 상기 횡방향 H빔 기둥에 설치되어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ans for supporting the pedestal for moving the horizontal beam and for vertically moving it is provided on the transverse H-beam column.

양호한 실시 예에서, 상기 상판을 종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브라켓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보다 양호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고정 수단은 상판에 제공된 구멍과 상기 브라켓의 슬롯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볼트를 포함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it comprise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upper plate to the bracket by sliding 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fixing means includes a hole provided in the upper plate and a bolt that is movably installed along the slot of the bracket.

양호한 실시 예에서, 상기 상판을 횡방향으로 위치설정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상판과 수평빔 사이에서 거리 조절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as a means for positioning and fixing the upper plate in a transverse direction, a stopper capable of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horizontal beam is included.

양호한 실시 예에서, 상기 상판을 종방향으로 위치설정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상판과 종방향 H빔 기둥 사이에서 거리 조절가능한 추가의 스토퍼를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s a means for positioning and fixing the top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ncludes an additional stopper that is adjustable in distance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longitudinal H-beam pillar.

보다 양호한 실시 예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상판의 측면과 맞닿는 수직면과 수평면으로 ㄱ 자 형상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수평면에는 종방향으로 기다란 직사각형 홈을 포함한다.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stopper has an a-shaped shape in a vertical surface and a horizont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horizontal surface includes a longitudinally elongated rectangular groove.

본 발명의 방법 실시 예는 상술한 거푸집 장치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제작 방법으로서, 상기 받침대를 조절하여 수평빔의 높이를 상판과 거의 수평하게 맞추는 단계, 상기 브라켓을 조절하여 고정된 마구리의 횡방향 프레임 및 종방향 프레임에 맞게 상판을 슬라이드시키고 상판과 마구리의 횡방향 프레임 및 종방향 프레임이 맞으면 브라켓과 상판을 볼트로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상판과 수평빔 사이에 있는 스토퍼를 조정하여 상판의 횡방향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판과 종방향 H빔 기둥 사이의 스토퍼를 조정하여 상판의 종방향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tho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using the above-described formwork device, the step of aligning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beam almost horizontally with the upper plate by adjusting the support, and adjusting the bracket to adjust the width of the fixed maguri Slide the top plate to fit the directional frame and the longitudinal frame, and if the lateral frame and the longitudinal frame of the top plate and Maguri fit, fixing the bracket and the top plate with bolts, and adjusting the stopper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horizontal beam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fixing the position in the direction and adjusting a stopper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ngitudinal H-beam pillar.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마구리의 횡방향 및 종방향 프레임중 각각 하나만 고정하고 나머지는 추후에 고정하는 방식에서는, 상기 마구리의 횡방향 위치를 고정된 상판의 횡방향 측면을 기준으로 마구리의 나머지 횡방향 프레임을 고정시키고, 마구리의 종방향 위치를 고정된 상판의 종방향 측면을 기준으로 마구리의 나머지 종방향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fixing only one of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frames of the maguri and fixing the rest later,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guri is fixed bas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fixed upper plate. Fixing the transverse frame, and fixing the remaining longitudinal frame of the maguri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fixed upper plate in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maguri.

본 발명은 하나의 거푸집으로 다양한 치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판의 형상과 치수와 정밀하게 일치하는 대칭형 복제 하판을 제작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콘크리트 벽체를 서로 이음할 때 상판과 하판의 맞물림 면에서의 형상이 일치하여 현장에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조립시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판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치수 및 대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는 두 개의 대칭적인 판을 가지는 벽체를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precast concrete walls of various dimensions with one formwork. In addition, it is easy to manufacture a symmetrical replica lower plate that precisely matches the shape and dimensions of the upper plate. Therefore, when the concrete wal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hape at the mating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matched, so that it does not cause a problem when assembling the precast concrete wall at the site. An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dimension and symmetry by sliding the upper plate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Consequently, the form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more easily manufacture a wall having two symmetrical plates.

도 1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분들을 확대한 도면으로 하나의 수직기둥과 스토퍼 및 브라켓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에서 상판이 놓여져 있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3의 일부분들을 확대한 도면으로 다른 하나의 수직기둥과 스토퍼 및 받침대를 도시하고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의 한 단계인 리프트로 상판을 거푸집에 배치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8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서 하판이 양생중에 있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cast concrete wall.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mwork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precast concret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s of FIG. 3 and shows one vertical column, a stopper, and a bracket.
5 show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 top plate is placed in a formwork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s of FIG. 3 and shows another vertical column, a stopper, and a pedestal.
7 shows a step of arranging a top plate on a formwork with a lift, which is one step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ecast concret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ower plate is being cured in the precast concret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거푸집 장치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Matters concerning the operational effects, includ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cast concrete wall formwor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whic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의 거푸집 장치에는 필수적 요소이나 본원 발명의 특징 구성과 관련없는 구성요소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구조상 대칭인 경우에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다른 쪽의 구조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at is,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essential to the precast concrete wall formwork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not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And in the case of structural symmetry, only one will be described. The other side of the structure will be applied equal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거푸집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들이다. 1 to 8 are views for helping understanding the formwork of the precast concret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지금 도 1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판(A), 하판(B)와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놓여져 상판을 지탱하는 트러스(T)를 포함한다. 상판과 하판은 서로 대칭적으로 놓여 있다. 상판과 하판은 각각 횡단면을 따라서 연장하는 맞춤단부(E)를 갖는다. 콘크리트 벽체를 현장에 설치할 때 판의 맞춤단부를 정확하게 맞추어서 판들을 서로 연결한다. 콘크리트 벽체는 수로에 이용될 수 있다.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cast concret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front view of FIG. 1. 1 and 2, it includes an upper plate (A), a lower plate (B) and a truss (T) that is plac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support the upper plate.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symmetrically placed.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has a fitting end (E) extending along a cross section. When installing the concrete wall on the site, connect the plates together by accurately fitting the fitting ends of the plates. Concrete walls can be used in waterways.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구조에 관한 것이며,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벽체를 수평으로 양생하기 위한 거푸집은 상부에 철근을 배근할 수 있는 직사각형 테이블(2), 상기 테이블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며 한 면이 판의 맞춤단부의 외형을 갖는 마구리(3)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판을 제작함에 있어서, 마구리 내측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과 양생하여 제작한다. 판의 제작시 판에 인서트를 삽입하고 필요한 구멍을 설치할 수 있다. 양생과정이 완료된 후에 마구리를 모두 해체해서 완성된 콘크리트 판을 테이블로부터 들어올려서 이동시킨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structure for manufacturing the precast concrete wall shown in FIG. 1, and the formwork for horizontally curing the concrete wall is a rectangular table (2) capable of reinforcing reinforcing bars on the top, the table It is installed along the edge and includes a maguri 3 having an outer shape of the fitting end of the plate on one side. Therefore, in manufacturing a single plate, reinforcement is placed inside the maguri and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to produce it. When making a plate, inserts can be inserted into the plate and necessary holes can be installed. After the curing process is completed, all the maguri are disassembled and the finished concrete plate is lifted from the table and moved.

철제 거푸집인 경우에는 일정형상의 콘크리트 판을 계속 타설하여 여러 번 사용할 수 있고 마감면이 매끈하고, 시공하기 편하다. 이러한 이유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에는 철제 거푸집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In the case of a steel formwork, a concrete plate of a certain shape can be continuously poured and used several times, and the finished surface is smooth and easy to construct. For this reason, steel forms are mostly used for precast concrete products.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시 서로 대칭인 정확한 치수를 갖는 상판과 하판을 제작해야 한다. 이에 필요한 거푸집의 구조와 필요한 장치를 하기에 설명하겠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manufacturing the precast concrete wall shown in FIG. 1,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having correct dimens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should be manufactured. The structure of the formwork required for this and the necessary device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용 거푸집 구조의 사시도이며, 바닥에는 횡방향으로 길고 종방향으로 짧은 테이블이 놓여 있고 테이블 가장자리에 마구리가 설치되어 있다. 횡방향 양쪽에는 2개가 적절한 각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4개의 H빔 기둥(4)과 종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H빔 기둥(5)을 포함한다. 각각의 횡방향 H빔 기둥(4)은 안쪽으로 돌출하며, 횡방향 H빔 기둥(4)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받침대(41)를 포함한다. 받침대(41)에는 수평빔(6)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수평빔(6)은 미리 제작된 상판의 높이에 맞추어 받침대(41)의 이동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종방향 H빔 기둥(5)에도 안쪽으로 돌출하며, 종방향 H빔 기둥(5)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받침대(51)를 포함한다. H빔 기둥 대신에 다양한 형상의 기둥을 사용할 수 있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mwork structure for a precast concret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ble having a long transverse direction and a short longitudinal direction is placed on the floor, and a maguri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table. On both sides of the transverse direction, two H-beam pillars 4 are installed at appropriate intervals, and H-beam pillars 5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transverse H-beam column 4 protrudes inward and includes a pedestal 41 that is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transverse H-beam column 4. Horizontal beams 6 are installed in parallel on the pedestal 41. The horizontal beam 6 is movabl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edestal 41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reviously manufactured upper plate. It protrudes inward to the longitudinal H-beam pillar 5 as well, and includes a pedestal 51 that is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H-beam pillar 5. Instead of H-beam pillars, various shapes of pillars can be used.

받침대(4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은 도 4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4)은 수직으로 설치된 나사봉(42)을 포함한다. 따라서 받침대(41)는 나사봉(42)을 따라서 수직으로 상하 이동가능하다. 받침대(4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은 리프트와 같은 다양한 기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Means for moving the pedestal 41 up and down are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4. As shown in Figure 4, the column 4 includes a threaded rod 42 installed vertically. Accordingly, the pedestal 41 is vertically movable along the threaded rod 42. The means for moving the pedestal 41 up and down may include various mechanisms such as a lift.

다음으로, 도 5은 본 발명의 거푸집을 위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빔(6) 사이에 상판이 놓여지고 상판과 수평빔(6)에 종방향으로 걸쳐 놓여진 브라켓(7)을 포함한다. 브라켓(7)은 상판의 위치를 설정하여 고정한다. 상판을 종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브라켓(7)으로 위치 설정 및 고정하는 수단에 대해서 도 4를 다시 참고로 설명하겠다.Nex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obliquely from above. As shown in Fig. 5, the upper plate is placed between the horizontal beams 6, and includes a bracket 7 placed over the upper plate and the horizontal beam 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racket 7 is fixed b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A means for positioning and fixing the upper plate with the bracket 7 by sliding the upp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gain.

도 4의 좌측도면은 상판 위에 놓여진 브라켓(7)의 확대도이며, 브라켓(7)은 중앙으로 길다란 슬롯(71)이 형성되어 있고 양 끝단에는 이를 크레인등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고리(72)가 설치되어 있다. 슬롯(71)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볼트(73)를 포함한다. 볼트(73)는 슬롯(71)의 폭보다 큰 머리부를 가지며, 볼트의 끝단부는 상판에 미리 설치된 구멍(도시 생략)에 결합되어진다. 따라서 상판은 양 수평빔(6) 사이의 공간에서 수평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고, 위치가 설정되며 볼트(73)를 상판의 구멍에 고정하여 브라켓(7)을 상판에 확고하게 고정한다. The left view of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bracket 7 placed on the upper plate, and the bracket 7 has an elongated slot 71 formed in the center, and a hook 72 that can move it by a crane or the like is installed at both ends. Has been. It includes a bolt 73 movable along the slot 71. The bolt 73 has a head that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lot 71, and the end of the bolt is coupled to a hole (not shown) previously installed in the upper plate. Therefore, the upper plate can slide horizontally in the space between both horizontal beams 6, the position is set, and the bracket 7 is firmly fixed to the upper plate by fixing the bolt 73 to the hole in the upper plate.

또한 도 4에는 상판과 수평빔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스토퍼(8)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8)는 상판을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스토퍼(8)는 상판의 넓이에 따라서 상판과 수평빔(6)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상판을 고정시킨다. 스토퍼(8)는 상판의 측면과 맞닿는 수직면(81)과 이와 수직으로 수평빔(6)의 상부에 놓이는 수평면(82)으로 ㄱ 자 형상으로 하고 있다. 수평면(82)에는 종방향으로 기다란 직사각형 홈(83)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빔(6)에 고정된 볼트는 직사각형 홈(83)에 삽입되어 있다. 상판의 위치가 설정되면 직사각형 홈(83)에 볼트 너트를 죄어서 스토퍼(8)를 확고하게 고정한다.In addition, a stopper 8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horizontal beam is shown in FIG. 4. As shown in Fig. 4, the stopper 8 is a component capable of moving the upp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stopper 8 fixes the upper plat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horizontal beam 6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upper plate. The stopper 8 has a vertical surface 81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a horizontal surface 82 placed on the horizontal beam 6 vertically thereto. In the horizontal plane 82, a rectangular groove 83 that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The bolt fixed to the horizontal beam 6 is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groove 83. When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is set, the stopper (8) is firmly fixed by tightening the bolt nut to the rectangular groove (83).

도 7는 상판과 종방향 H빔 기둥(5)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스토퍼(8')가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8')는 상판을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스토퍼(8')는 상판의 길이에 따라서 상판과 종방향 H빔 기둥(5)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상판을 고정시킨다. 스토퍼(8')는 상판의 측면과 맞닿는 수직면(81')과 이와 수직으로 받침대(51)의 상부에 놓이는 수평면(82')으로 ㄱ 자 형상으로 하고 있다. 수평면(82')에는 횡방향으로 기다란 직사각형 홈(83')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51)에 고정된 볼트는 직사각형 홈(83')에 삽입되어 있다. 상판의 위치가 설정되면 직사각형 홈(83')에 볼트 너트를 죄어서 스토퍼(8')를 확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받침대(51)는 기둥에 수직으로 설치된 나사봉을 따라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7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 stopper 8'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ngitudinal H-beam column 5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7, the stopper 8'is a component capable of moving the upper pl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t is, the stopper 8'fixes the upper plat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ngitudinal H-beam column 5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upper plate. The stopper (8') is a vertical surface (81')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upper plate and a horizontal surface (82')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pedestal 51 perpendicular thereto, and has a shape of a letter. The horizontal plane 82'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groove 83' that is elong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bolt fixed to the pedestal 51 is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groove 83'. When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is set, the stopper (8') is firmly fixed by tightening the bolt nut to the rectangular groove (83'). In addition, the pedestal 51 is vertically movable along a threaded rod vertically installed on the column.

상술한 장치 구성을 갖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제작 방법에 대해서 후술하겠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having the above-described devic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상술한 거푸집에 직사각형 테이블(2)에 원하는 크기의 벽체 사이즈에 맞게 테이블 가장자리를 따라서 미리설정한 위치에 횡방향 프레임과 종방향 프레임을 갖는 마구리(3)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마구리(3)에 철근을 배근하고 그 위에 트러스와 인서트를 설치한다. 마구리(3)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다. 마구리(3)를 분리해체하여 양생된 콘크리트판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리서 뒤집어 배치한다(도 7참조). 이때 뒤집어 놓으면 트러스(T)가 아래로 놓이고 콘크리트 판은 상판(A)로서 언급되는 원판을 이루고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uri 3 having a transverse frame and a longitudinal fram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long the edge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wall size of a desired size on the rectangular table 2. Next, reinforcement is placed on the maguri (3), and trusses and inserts are installed on it. Concrete is poured into the maguri (3) and cured. The maguri 3 is separated and the cured concrete plate is lifted with a crane and placed upside down (see Fig. 7). At this time, when turned upside down, the truss (T) is put down, and the concrete plate forms a disc, referred to as the top plate (A).

다음으로 원판인 상판(A)과 동일한 형상의 하판을 형성하기 위해서, 먼저 테이블(3)상에 상판을 제작할 때와 동일한 장소인 미리 설정한 위치에 마구리(3)의 횡방향 프레임 및 종방향 프레임을 각각 고정한다. 상판과 동일하게 테이블(3)상에 철근을 배근하고 그 위에 상판을 뒤집어 놓는다. 이 때 트러스(T)는 상판 아래에 놓여진다. 받침대(41)를 조절하여 수평빔(6)의 높이를 상판과 거의 수평하게 맞춘다. 다음으로 브라켓(7)을 조절하여 고정된 마구리(3)의 횡방향 프레임 및 종방향 프레임에 맞게 상판을 슬라이드시키고 상판과 마구리(3)의 횡방향 프레임 및 종방향 프레임이 맞으면 브라켓(7)과 상판을 볼트(73)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판과 수평빔(6) 사이에 있는 스토퍼(8)를 조정하여 상판의 횡방향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판과 종방향 H빔 기둥(5) 사이의 스토퍼(8')를 조정하여 상판의 종방향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때 상판과 빔기둥사이의 거리를 자로 재어서 마구리 프레임을 위치설정 해서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상판에서 수직으로 추를 내려서 마구리 프레임을 위치설정 해서 고정할 수 있다.Next, in order to form the lower plate of the same shape as the upper plate (A), which is the original plate, first, the transverse frame and the longitudinal frame of the maguri 3 are placed at the same place as when the upper plate was manufactured on the table (3). Fix each. Reinforcement is placed on the table (3) in the same way as the top plate, and the top plate is turned over. At this time, the truss (T) is placed under the top plate. By adjusting the pedestal 41,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beam 6 is aligned almost horizontally with the top plate. Next, adjust the bracket (7) to slide the top plate to fit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frames of the fixed maguri (3), and if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frames of the top and maguri (3) fit, the bracket (7) and Fix the top plate with bolts (73). And by adjusting the stopper (8)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horizontal beam (6) to fix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by adjusting the stopper (8')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ngitudinal H-beam column (5) Fix the longitudinal position. At this time, the maguri frame can be positioned and fix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eam column, and the maguri frame can be positioned and fixed by lowering the weight vertically from the top plate.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원판인 상판(A)과 동일한 형상의 하판을 형성하기 위해서, 먼저 테이블(3)상에 마구리(3)의 횡방향 프레임 및 종방향 프레임중 각각 하나를 고정한다. 상판과 동일하게 테이블(3)상에 철근을 배근하고 그 위에 상판을 뒤집어 놓는다. 이 때 트러스(T)는 상판 아래에 놓여진다. 받침대(41)를 조절하여 수평빔(6)의 높이를 상판과 거의 수평하게 맞춘다. 다음으로 브라켓(7)을 조절하여 고정된 마구리(3)의 횡방향 프레임 및 종방향 프레임에 맞게 상판을 슬라이드시키고 상판과 마구리(3)의 횡방향 프레임 및 종방향 프레임이 맞으면 브라켓(7)과 상판을 볼트(73)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판과 수평빔(6) 사이에 있는 스토퍼(8)를 조정하여 상판의 횡방향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판과 종방향 H빔 기둥(5) 사이의 스토퍼(8')를 조정하여 상판의 종방향의 위치를 고정한다. 마구리(3)의 횡방향 위치를 고정된 상판의 횡방향 측면을 기준으로 마구리(3)의 나머지 횡방향 프레임을 고정시키고, 마구리(3)의 종방향 위치를 고정된 상판의 종방향 측면을 기준으로 마구리(3)의 나머지 종방향 프레임을 고정시킨다. 이때 상판과 빔기둥사이의 거리를 자로 재어서 마구리 프레임을 위치설정 해서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상판에서 수직으로 추를 내려서 마구리 프레임을 위치설정 해서 고정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orm the lower plat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upper plate A, which is the original plate, first, one of the transverse frame and the longitudinal frame of the maguri 3 are fixed on the table 3 do. Reinforcement is placed on the table (3) in the same way as the top plate, and the top plate is turned upside down. At this time, the truss (T) is placed under the top plate. By adjusting the pedestal 41,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beam 6 is aligned almost horizontally with the top plate. Next, adjust the bracket (7) to slide the top plate to fit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frames of the fixed maguri (3), and if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frames of the top and maguri (3) fit, the bracket (7) and Fix the top plate with bolts (73). And by adjusting the stopper (8)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horizontal beam (6) to fix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by adjusting the stopper (8')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ngitudinal H-beam column (5) Fix the longitudinal position. The lateral position of Maguri (3)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ide of the top plate, and the remaining lateral frame of Maguri (3) is fixed, and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Maguri (3) is based on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fixed top Fix the rest of the longitudinal frame of the maguri (3). At this time, the maguri frame can be positioned and fix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eam column, and the maguri frame can be positioned and fixed by lowering the weight vertically from the top plate.

이렇게 하면 상판의 치수와 동일한 치수의 모형틀이 만들어진다.This creates a model frame with the same dimensions as the top plate.

그후로는 상판과 동일한 방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해서 양생하는 과정을 거쳐서 도 1에 도시한 최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한다. After that, the final precast concrete wall shown in Fig. 1 is produced through the process of pouring and curing concrete in the same way as the top plate.

도 8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서 하판이 양생중에 있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에는 테이블이 놓여 있고 테이블 가장자리에 마구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판은 브라켓(7), 스토퍼(8,8')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마구리내에 철근이 배근되어 있고 그 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있어 하판을 양생하고 있다. 하판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트러스가 놓여 있다. 8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ower plate is being cured in the precast concret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a table is placed on the floor and a maguri is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table. And the upper plate is fixed to the bracket (7) and stoppers (8, 8'). Reinforcing bars are laid in the maguri, and concrete is poured on top of them to cure the lower plate. A truss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examples, but these are only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원판인 상판
B: 하판
T: 트러스
E: 맞춤 단부
2: 테이블
3: 마구리
4, 5: 수직 기둥
6: 수평빔
7: 브라켓
8, 8': 스토퍼
A: The top plate, which is the original plate
B: lower plate
T: truss
E: Fit end
2: table
3: Maguri
4, 5: vertical column
6: horizontal beam
7: bracket
8, 8': stopper

Claims (9)

각각 횡단면을 따라서 연장하는 맞춤단부(E)를 갖는 상판, 하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서 놓여져 상판을 지탱하는 트러스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로서,
상부에 철근을 배근할 수 있는 직사각형 테이블, 상기 테이블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며 한 면이 판의 맞춤단부의 외형을 갖는 마구리, 횡방향 양쪽에는 2개씩 이격되어 설치된 4개의 H빔 기둥, 종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H빔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횡방향 H빔 기둥은 안쪽으로 돌출하며, 상기 횡방향 H빔 기둥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에는 수평빔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수평빔 사이에 상판이 놓여지고 상판과 수평빔에 종방향으로 걸쳐 놓여진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4개의 H빔 기둥과 받침대 및 상기 수평빔은 상판의 수평을 맞추는데 사용되고 상기 브라켓은 수평상태의 상판을 고정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As a formwork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including an upper plate having a fitting end (E) extending along a cross-section, and a truss that is plac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support the upper plate,
A rectangular table that can reinforce reinforcement at the top, a maguri that is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table and has the outer shape of the matching end of the plate, and four H-beam columns are installed two at each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epa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ncludes a H-beam column installed so that,
Each of the transverse H-beam pillars protrudes inward and includes a pedestal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transverse H-beam pillars, and horizontal beams are installed in parallel on the pedestal, and a top plate is placed between the horizontal beams. It includes a bracket placed over the top plate and the horizontal 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our H-beam columns, the support and the horizontal beam are used to level the upper plate, and the bracket is a formwork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fixing the horizontal upp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빔을 이동하기 위한 받침대를 지탱하고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은 상기 횡방향 H빔 기둥에 설치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ns for supporting the support for moving the horizontal beam and moving vertically is a formwork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installed on the transverse H-beam colum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종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브라켓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ormwork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comprising a fixing means for fixing to the bracket by sliding the upp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판에 제공된 구멍과 상기 브라켓의 슬롯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볼트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xing means is a formwork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comprising a hole provided in the upper plate and a bolt that can be installed movably along the slot of the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횡방향으로 위치설정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상판과 수평빔 사이에서 거리 조절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ormwork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comprising a stopper capable of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horizontal beam as a means for fixing the upper pl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종방향으로 위치설정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상판과 종방향 H빔 기둥 사이에서 거리 조절가능한 추가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ormwork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comprising an additional stopper capable of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ngitudinal H-beam column as a means for positioning and fixing the upp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상판의 측면과 맞닿는 수직면과 수평면으로 ㄱ 자 형상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수평면에는 종방향으로 기다란 직사각형 홈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topper is a formwork device for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including a vertical surface and a horizont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plate in an a-shape, and the horizontal surface includes a longitudinally elongated rectangular groove.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거푸집 장치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제작 방법으로서,
상기 받침대를 각각을 조절하여 수평빔의 높이로 상판을 수평하게 맞추는 단계,
상기 브라켓을 조절하여 고정된 마구리의 횡방향 프레임 및 종방향 프레임에 맞게 상판을 슬라이드시키고 상판과 마구리의 횡방향 프레임 및 종방향 프레임이 맞으면 브라켓과 상판을 볼트로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상판과 수평빔 사이에 있는 스토퍼를 조정하여 상판의 횡방향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판과 종방향 H빔 기둥 사이의 스토퍼를 조정하여 상판의 종방향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제작 방법.
As a method for producing a precast concrete wall using the formwork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djusting each of the pedestal to horizontally align the top plate with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beam,
Adjusting the bracket to slide the upper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of the fixed Maguri, and fixing the bracket and the upper plate with bolts wh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of the upper plate and Maguri match,
Precast compris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stopper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horizontal beam to fix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djusting the stopper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ngitudinal H-beam column to fix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w to make concrete wall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의 횡방향 위치를 고정된 상판의 횡방향 측면을 기준으로 마구리의 나머지 횡방향 프레임을 고정시키고, 마구리의 종방향 위치를 고정된 상판의 종방향 측면을 기준으로 마구리의 나머지 종방향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remaining lateral frames of the maguri are fixed with respect to the lateral side of the top plate in which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guri is fixed, and the remaining longitudinal frames of the maguri are set based on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fixed top plate.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cast concrete wall comprising the step of fixing.
KR1020180156575A 2018-12-07 2018-12-07 Transformable form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precast wall Expired - Fee Related KR1021792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575A KR102179294B1 (en) 2018-12-07 2018-12-07 Transformable form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precast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575A KR102179294B1 (en) 2018-12-07 2018-12-07 Transformable form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precast w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486A KR20200069486A (en) 2020-06-17
KR102179294B1 true KR102179294B1 (en) 2020-11-16

Family

ID=7140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575A Expired - Fee Related KR102179294B1 (en) 2018-12-07 2018-12-07 Transformable form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precast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2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4371A (en) 2022-04-29 2023-11-08 주식회사 바른비아이엠스틸 Chair base integrated casting mold and integrated casting method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7752B (en) * 2020-07-08 2024-08-09 泰州职业技术学院 Manufacturing model capable of being used for practical training of prefabricated shear wall reinforcement arrangement
CN113459258B (en) * 2021-08-05 2025-03-25 沈阳建筑大学 Prefabricated component manufacturing mold and method
CN115179398B (en) * 2022-07-23 2023-11-28 江苏远瀚建筑设计有限公司 Adjustable manufacturing template for concrete prefabricated part
CN115446975B (en) * 2022-10-11 2024-03-08 泸州临港工业化建筑科技有限公司 Anti-deformation laminated plate production device and method with adjustable size
CN115847601A (en) * 2022-12-05 2023-03-28 中建三局科创产业发展有限公司 Height control tool for truss ribs of laminated slab
KR102763750B1 (en) * 2023-02-10 2025-02-07 비앤씨글로벌 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of a structure including a hollow double wall and a hollow double wall manufactured by a rotary manufacturing method
CN117601251B (en) * 2023-11-28 2025-03-28 浙江省建材集团浙西建筑产业化有限公司 Ultra-thin prestressed ribbed composite plate forming device and process thereof
CN118342639B (en) * 2024-05-13 2024-12-13 盐城市方桩预制构件有限公司 Mould is used in processing of precast cement square pile
CN119615684B (en) * 2025-02-14 2025-06-20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A complete set of equipment for high-precision pouring of self-compacting concre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055B1 (en) 2005-05-06 2007-03-12 삼성물산 주식회사 Mobile formwork for large concrete structures and multi-stage casting method
KR200465392Y1 (en) * 2012-12-14 2013-02-15 정문영 The boundary stone moul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253A (en) * 1981-07-15 1983-01-22 株式会社竹中工務店 Hollow precast concrete board for construction of reinforced concrete wal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055B1 (en) 2005-05-06 2007-03-12 삼성물산 주식회사 Mobile formwork for large concrete structures and multi-stage casting method
KR200465392Y1 (en) * 2012-12-14 2013-02-15 정문영 The boundary stone moul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4371A (en) 2022-04-29 2023-11-08 주식회사 바른비아이엠스틸 Chair base integrated casting mold and integrated casting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486A (en)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294B1 (en) Transformable form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precast wall
KR101081791B1 (en) Beam manufacturing equipment using side formwork jack device and end formwork rotating device
KR101539447B1 (en) Beam form easy to remova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745242B1 (en) Bariable beam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05805B1 (en) Atypical mold module
KR101776113B1 (en) Slab Form System
US2874442A (en) Apparatus for making concrete structural shapes
US20060180736A1 (en) Pre-cast concrete panels f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KR101756466B1 (en) Apparatus and methode for constructing boundary stone
CN112064665B (en) Embedded screw positioning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US20020000506A1 (en) Pre-cast concrete panels f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KR101396434B1 (en) Movable mold device
KR101451877B1 (en) Execution structure for concrete slab
KR20180107404A (en) Prop head guide and Placement method
CN207846228U (en) Prestressed concrete simply supported box girder face pre-buried sleeve positioning die
CN203939238U (en) For a flask board of epirelief concrete member formwork device
KR101531329B1 (en) Strechable steel forms
KR101124692B1 (en) Beam making apparatus using prefabricated moulding frame and beam mak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93498A (en) Supporting device for formation beam
ZA200302764B (en) Formwork for precast concrete panels.
JPH07279417A (en) Beam form device and execution method of beam
CN215660892U (en) Vertical die assembly
KR101634934B1 (en) Prestressed Concrete Beam For connection Cross Beam Construction Apparatus
CN107972159A (en) A kind of support device and prefabricated components production method for side form
KR101461084B1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boundary st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