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466B1 - Apparatus and methode for constructing boundary ston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e for constructing boundary st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6466B1 KR101756466B1 KR1020160058710A KR20160058710A KR101756466B1 KR 101756466 B1 KR101756466 B1 KR 101756466B1 KR 1020160058710 A KR1020160058710 A KR 1020160058710A KR 20160058710 A KR20160058710 A KR 20160058710A KR 101756466 B1 KR101756466 B1 KR 1017564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concrete
- boundary stone
- boundary
- mold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69 artificial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et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8 gra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2—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 E01C19/506—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for kerbs, gutters or similar structures, e.g. raised portions, median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경계석의 폭보다 넓게 평행 이격되는 한 쌍의 거푸집; 상기 한 쌍의 거푸집 상면에 각각 거치되는 한 쌍의 거치판과, 상면에 상기 경계석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거푸집 사이에 배치되되 길이방향 양단이 상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거치판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받침대; 상기 거치판에 형성된 체결공에 나사결합구조로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거푸집의 상면에 안착되는 높이조절나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방법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경계석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지면에 경계석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거푸집을 지면에 설치하는 제1 단계; 상기 한 쌍의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 단계; 상기 받침대를 상기 한 쌍의 거푸집에 둘 이상 설치하는 제3 단계; 상기 둘 이상의 받침대에 경계석을 안착시킨 후,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제4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콘크리트 외부로 돌출되는 받침대와,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formers vertically standing on a ground surface and spaced apart in parallel to a width of a boundary stone; A pair of mounting plates which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pair of the molds and a pair of mounting plates which ar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the molds so that the boundary seats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pedestal having a supporting base; A height adjusting screw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in a screwed connection structure and having an e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 A method of installing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installing a boundary stone on a ground using a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installing the pair of formwork on a ground; A second step of pouring concrete between the pair of molds; A third step of installing at least two pedestals on the pair of molds; A fourth step of curing the concrete after placing the barrier stones on the two or more pedestals; And a fifth step of removing the mold when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a pedestal protruding from the concrete, and a fifth step of removing the mold.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면에 경계석을 설치하기 위한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경계석을 동일한 높이로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계석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for installing a boundary stone on the ground,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plurality of boundary stones at the same heigh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화강암과 같은 자연석이나 콘크리트로 제작된 인조석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길이가 긴 블록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구획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되어 각 구역을 상호 구획하는 기능을 한다.Generally, boundary stone is made of various materials including artificial stone made of natural stone such as granite or concrete, and is formed by molding into a long block shape. It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a compartment is needed, d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경계석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method of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경계석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FIG. 1 sequentially shows a conventional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일반적으로 지면에 경계석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거푸집(3)을 설치하여 받침대의 역할을 하는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하고, 1차 타설된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굳으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1)을 콘크리트에 일렬로 올려놓은 후 각 경계석(1)의 높이가 서로 일치되도록 조절한다.Generally, in order to construct a boundary stones on the ground, first, as shown in FIG. 1 (a), a pair of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면, 도 1의 (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된 콘크리트 부분보다 높고 넓게 거푸집(3)을 재차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2차로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초(2)를 제작함으로써, 경계석(1)의 하단이 콘크리트 기초(2)에 매입되도록 하여 시공할 수 있다.When the concrete is completely cured, the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기초(2)에 경계석(1)을 고정하기 위해서 콘크리트를 2번 타설 및 양생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method, since the concrete must be placed and cured twice in order to fix the barrier block 1 to the
특히,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굳으면 경계석(1)을 올려놓고 1차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으면 추가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작업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이 번거롭고, 1차 타설된 콘크리트에 경계석(1)을 올려놓을 때에 경계석(1)의 무게에 의해 1차 타설된 콘크리트가 침하되어 경계석(1)의 높이가 서로 일치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In particular, if the concrete is hardened to a certain degree after the concrete is first hardened, it is troublesome to adjust the operation timing by placing the boundary stone (1) and placing the concrete additionally when the first laid concrete is completely harden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ights of the barrier stones 1 are not coincident with each other because the concrete laid primarily by the weight of the barrier stones 1 is settled when the barrier stones 1 are placed.
또한, 콘크리트를 두 차례에 걸쳐 타설하기 위해서는 거푸집(3)의 설치를 반복해야 하므로, 작업이 더욱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콘크리트를 두 차례에 걸쳐 타설함에 따라서 콘크리트 기초(2)에 콜드 조인트가 발생되어, 강도나 내구성및 수밀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pour the concrete two times, the installation of the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 10-0953962호와 같이 경계석을 지면에서 들어올린 상태로 고정하여 한 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계석 시공장치가 개발된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boundary stone is lifted up from the ground as shown in Patent No. 10-0953962, and a boundary stone can be constructed by one concrete pour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경계석 시공장치는 지지프레임을 바닥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클램프를 이용하여 경계석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고정하므로, 경계석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barrier coating apparat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osition of the barrier can not be precisely adjusted since the barrier is fixed to be lifted upwards by using a clamp fixed to the support frame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frame is fixed to the floor.
또한 종래의 경계석 시공장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시간이 길어지므로 전체적인 시공기간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Also, the conventional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time is increased because the construction is very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 installation time is lo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특성에 상관없이 경계석을 동일한 높이로 설치할 수 있고, 경계석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boundary stone at the same height irrespective of the characteristics of a poured concret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경계석의 폭보다 넓게 평행 이격되는 한 쌍의 거푸집; 상기 한 쌍의 거푸집 상면에 각각 거치되는 한 쌍의 거치판과, 상면에 상기 경계석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거푸집 사이에 배치되되 길이방향 양단이 상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거치판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받침대; 상기 거치판에 형성된 체결공에 나사결합구조로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거푸집의 상면에 안착되는 높이조절나사; 를 포함하여, 상기 높이조절나사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거치판이 상기 거푸집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comprising: a pair of formworks vertically installed on a ground and spaced apart in parallel to a width of a boundary; A pair of mounting plates which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pair of the molds and a pair of mounting plates which ar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the molds so that the boundary seats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pedestal having a supporting base; A height adjusting screw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in a screwed connection structure and having an e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Wherein the mounting plate is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 when the height adjusting screw is rotated in one direction.
상기 지지대 중 상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양측은 상기 거푸집의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다.Both longitudinal sides extending upward from the support base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formwork by a certain distance.
하단이 지면에 박히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된다.Further comprising a pair of fixing members vertically erected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embedded in the ground, and the molding is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상기 거푸집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합판과, 상기 경계석과 길이방향이 나란하도록 수평으로 배열되어 상기 합판의 외측면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각재와, 상기 각재에 결합되는 고정못으로 구성되고,The formwork comprises a pair of vertically standing plywoods, a pair of slabs arranged horizontally so as to b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bs and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uter side of the plywood, And,
상기 고정못을 상기 고정부재에 결속시키는 결속선을 더 포함한다.And a binding wire for binding the fixing nail to the fixing member.
상기 거푸집은, 상측과 하측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 또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거푸집의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도록 장착된다.The mold is formed in a plate shape whose upper side and lower side are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rectangular tube shape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and the fixing member is mounted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molding.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방법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경계석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지면에 경계석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거푸집을 지면에 설치하는 제1 단계; 상기 한 쌍의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 단계; 상기 받침대를 상기 한 쌍의 거푸집에 둘 이상 설치하는 제3 단계; 상기 둘 이상의 받침대에 경계석을 안착시킨 후,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제4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콘크리트 외부로 돌출되는 받침대와,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installing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installing a boundary stone on a ground using a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installing the pair of formwork on a ground; A second step of pouring concrete between the pair of molds; A third step of installing at least two pedestals on the pair of molds; A fourth step of curing the concrete after placing the barrier stones on the two or more pedestals; And a fifth step of removing the mold when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a pedestal protruding from the concrete, and a fifth step of removing the mold.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둘 이상의 받침대에 경계석을 안착시킨 후 상기 높이조절나사를 회전시켜 상기 경계석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The fourth step further includes a step of placing the barrier stones on the two or more pedestals, and then rotating the height adjusting screw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arrier stones.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을 이용하면, 타설된 콘크리트의 특성에 상관없이 경계석을 동일한 높이로 설치할 수 있고, 경계석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By using the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boundary stones at the same height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ured concrete, finely adjust the height of the boundary stones, .
도 1은 종래의 경계석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경계석을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다수 개의 경계석이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시공된 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높이조절나사를 이용하여 받침대 높이를 조절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에 포함되는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이다.FIG. 1 sequentially shows a conventional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process of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by using the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equence.
5 is a side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boundary stones are successively appli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 6 shows a shap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using a height adjusting screw.
FIGS. 7 and 8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mwork included in the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and a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방법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경계석을 설치하기 위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경계석 하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경화되지 아니하더라도 상기 경계석이 아래로 처지지 아니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The method of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ruction method for installing a boundary stone at a height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round, and it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boundary stone is not sagged down even if the concrete placed under the boundary stone is not cured There is a great feature in.
즉,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거푸집을 지면에 설치하는 제1 단계(S10)와, 상기 한 쌍의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 단계(S20)와, 경계석이 안착 가능한 받침대를 상기 한 쌍의 거푸집에 둘 이상 설치하는 제3 단계(S30)와, 상기 둘 이상의 받침대에 경계석을 안착시킨 후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제4 단계(S40)와,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이후 상기 콘크리트 외부로 돌출되는 받침대와 거푸집을 제거하는 제5 단계(S50)로 이루어진다.That is, as shown in FIG. 2, a method of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S10) of installing a pair of parallel spaced dies on the ground, a step of placing a concrete between the pair of dies A third step S30 of installing at least two pedestals capable of placing a boundary stone on the pair of dies, a fourth step of curing the concrete after placing the boundary stones on the two or more pedestals, S40), and a fifth step (S50) of removing the mold and th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concrete after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방법은 한 쌍의 거푸집 사이에 거치되는 경계석이 콘크리트 상면에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한 쌍의 거푸집 사이에 설치된 받침대에 안착되는바, 한 쌍의 거푸집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되지 아니하더라도 아래로 처지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stones placed between the pair of formwork are not seated on the upper face of the concrete but are seated on the pedestal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formworks. It is advantageous that it does not fall down even if it is not cur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경계석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푸집 및 받침대로 구성되는 경계석 시공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order to construct a boundary stone in this manner, a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composed of a form and a pedestal is essentially required. Hereinafter, a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경계석(20)의 폭보다 넓게 평행 이격되는 한 쌍의 거푸집(100)과, 상기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에 설치되어 경계석(20)이 거치되는 받침대(200)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200)는, 한 쌍의 거푸집(100) 상면에 각각 거치되는 한 쌍의 거치판(220)과, 상면에 상기 경계석(20)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에 배치되되 길이방향 양단이 상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거치판(220)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대(210)로 구성된다.Th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계석 시공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받침대(200)가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경계석(20)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고정되는바,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0)(도 4 참조)가 양생되는 동안 경계석(20)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In the case of using the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는, 경계석(20)이 안착되는 받침대(200)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판(220)에 형성된 체결공(222)에 나사결합구조로 결합되어 끝단이 상기 거푸집(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높이조절나사(230)를 구비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나사(230)가 더 깊게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나사(230)를 회전시켰을 때, 상기 높이조절나사(230)의 끝단은 거치판(220)의 저면으로부터 더 많이 돌출되는바, 상기 거푸집(100)의 상면에는 높이조절나사(230)의 끝단만이 안착되고 거치판(220)의 저면은 상향 이격된다는 효과 즉, 거치판(220) 및 이에 연결된 지지대(210)가 상승하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threaded engagement with a
반대로 높이조절나사(230)가 거치판(220)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높이조절나사(230)를 회전시키면, 상기 거푸집(100)의 상면에는 거치판(220)이 직접 안착되는바, 거치판(220) 및 이에 연결된 지지대(210)가 하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를 이용하면, 높이조절나사(230)를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받침대(200)에 안착된 경계석(20)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수 개의 경계석(20)을 일렬로 시공할 때 각 경계석(20)의 높이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나사(230)를 회전시켜 받침대(200)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height of the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경계석(20)을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며, 도 5는 다수 개의 경계석(20)이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시공된 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높이조절나사(230)를 이용하여 받침대(200) 높이를 조절하는 형상을 도시한다.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경계석(20)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거푸집(100)을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한 후,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로 콘크리트(10)를 타설한다. 이때,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0)는 거푸집(100) 외측으로 넘치지 아니하도록 상기 거푸집(100)의 상면이 낮게 타설되어야 할 것이다.When the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로 콘크리트(10)를 타설한 이후,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10)가 경화되기 이전에 둘 이상의 받침대(200)를 상기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에 설치한다. 받침대(200) 설치가 완료되면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둘 이상의 받침대(200)에 경계석(20)을 안착시킨 후, 상기 콘크리트(10)를 양생하는 과정을 거친다.After pouring the
한편, 다수 개의 경계석(20)을 일렬로 시공하는 경우, 각 경계석(20)이 안착되는 받침대(200)와 거푸집(100)에 약간의 규격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 각 경계석(20)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를 이루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지면의 각 부위별 평탄도가 일정하지 아니하면, 받침대(200)와 거푸집(100)의 규격 오차가 전혀 없더라도 각 경계석(20)의 상면 높이가 동일하게 설정되지 못하게 된다.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따라서 받침대(200) 상에 경계석(20)을 안착시킨 이후에는, 각각의 거치판(220)에 나사결합된 높이조절나사(23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받침대(200) 및 이에 안착된 경계석(20)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Therefore, after the
경계석(20)의 높이조절 및 콘크리트(10)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콘크리트(10) 외부로 돌출되는 받침대(200)와, 상기 거푸집(100)을 제거함으로써,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10)와 경계석(20)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When the height of the
이때,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는 지지대(210)의 양측이 거푸집(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면, 상기 거푸집(100)을 제거하였을 때 지지대(210)의 양측이 콘크리트(10)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이 좋지 아니할 수 있는바, 상기 지지대(210)의 길이방향 양측은 거푸집(100)의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대(210)의 길이방향 양측은 거푸집(100)의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면 지지대(210)의 길이방향 양측과 거푸집(100) 사이에 콘크리트(10)가 채워지므로, 상기 지지대(210)의 길이방향 양측이 콘크리트(10)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게 된다.When the
이때, 상기 경계석(20)과 거푸집(100) 간의 거리, 거푸집(100)과 지지대(210) 양측 간의 거리, 지지대(210) 양측과 거푸집(100) 간의 거리는 경계석을 시공하는 장소의 특성이나 용도,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물리적 특성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콘크리트(10)의 깊이나 경계석(20)의 규격 역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한편, 다수 개의 경계석(20)을 일렬로 시공할 때에는, 이웃하는 두 개의 경계석(20) 사이에 줄눈밴드(30)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줄눈밴드(30)는 종래에도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제안되어 있는바, 상기 줄눈밴드(30)의 구조 및 시공방법,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a plurality of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경계석 시공장치에 포함되는 거푸집(100)의 다른 실시예이다.FIGS. 7 and 8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본 발명에 포함되는 한 쌍의 거푸집(100)은, 상호 간의 이격공간에 다량의 콘크리트(10)가 타설되었을 때 상기 콘크리트(10)의 압력에 의해 넘어지지 아니하도록 지면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거푸집(100)이 자력으로 지면에 고정되기 어려운 경우, 상기 거푸집(10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하단이 지면에 박히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철근이나 한봉 등이 될 수 있다.The pair of dies 1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fixed to the ground so as not to fall due to the pressure of the concrete 10 when a large amount of
한편, 본 발명에 포함되는 한 쌍의 거푸집(100)은, 상호 간의 이격공간 사이에 콘크리트(10)가 타설될 수 있으면서, 타설된 콘크리트(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받침대(200)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 및 구조로도 적용될 수 있다.The pair of dies 1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ort the concrete 10 while allowing the concrete 10 to be laid between the spacing spaces between the dies 100, Can be applied to any shape and structure as long as it can be stably mounted.
예를 들어 상기 거푸집(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합판(110)과, 상기 경계석(20)과 길이방향이 나란하도록 수평으로 배열되어 상기 합판(110)의 외측면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각재(120)와, 상기 각재(120)에 결합되는 고정못(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각재(120)에 접하도록 고정부재(300)를 설치한 후, 결속선(400)을 이용하여 고정못(122)을 고정부재(300)에 결속시킴으로서, 거푸집(100)을 고정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7, the
또한 상기 거푸집(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고정부재(300)는 하단이 상기 거푸집(100)의 상측과 하측을 관통한 후 지면에 박힘으로서, 거푸집(100)을 고정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8, the
한편, 상기 거푸집(100)은, 합판 등과 같은 목재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플라스틱 등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면 어떠한 재료로도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100)이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경우, 초기 제작비용은 다소 많이 들지만 큰 내구성을 가지는바, 수 회에 걸쳐 반복 사용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에는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 콘크리트 20 : 경계석
30 : 줄눈밴드 100 : 거푸집
110 : 합판 120 : 각재
122 : 고정못 200 : 받침대
210 : 지지대 220 : 거치판
222 : 체결공 230 : 높이조절나사
300 : 고정부재 400 : 결속선10: concrete 20:
30: joint band 100: formwork
110: plywood 120:
122: Fixed nail 200: Base
210: support member 220: mounting plate
222: fastening hole 230: height adjusting screw
300: fixing member 400: binding wire
Claims (7)
상기 한 쌍의 거푸집(100) 상면에 각각 거치되는 한 쌍의 거치판(220)과, 상면에 상기 경계석(20)이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에 배치되되 길이방향 양단이 상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거치판(220)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대(210)는 상기 거푸집(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하는 받침대(200);
상기 거치판(220)에 형성된 체결공(222)에 나사결합구조로 결합되며, 끝단이 상기 거푸집(100)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거치판(220)을 상기 거푸집(1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하는 높이조절나사(230);
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장치.
A pair of dies (100) fixedly coupled to the ground by a pair of fixing members (30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groun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observer (20) and bottomed vertically on the ground;
A pair of mounting plates 220 resp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pair of molds 100 and a pair of molds 100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molds 100 so that the boundary 20 can be seated, A pedestal 200 extending upwardly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mounting plates 220 so as to be spac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orm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xing plate 220 is coupled to the fixing hole 222 formed in the fixing plate 220 in a screwed manner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ing 100. When the fixing plate 220 rotates in one direction, A height adjusting screw 230 which is upwardly spaced from the upper surface;
Wherein the boundary block construction device includ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00)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합판(110)과,
상기 경계석(20)과 길이방향이 나란하도록 수평으로 배열되어 상기 합판(110)의 외측면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각재(120)와,
상기 각재(120)에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부재(300)의 상단에서 결속선(400)을 이용하여 결속되는 고정못(122)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장치.
[Claim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ld (100)
A vertically erected plywood 110,
A pair of slabs 120 arranged horizontally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labs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lywood 110,
And a fixing nail (122)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300) using the binding wire (400) while being coupled to the plate material (120).
상기 거푸집(100)은, 상측과 하측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 또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거푸집(100)의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ld 1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whose upper and lower sides are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rectangular tube shape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Wherein the fixing member (300)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mold (100).
한 쌍의 거푸집(100)을 고정부재(300)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 설치하는 제1 단계;
상기 한 쌍의 거푸집(100) 사이로 콘크리트(10)를 타설하는 제2 단계;
받침대(200)를 상기 한 쌍의 거푸집(100)에 둘 이상 설치하는 제3 단계;
상기 둘 이상의 받침대(200)에 경계석(20)을 안착시킨 후, 높이조절나사(230)를 회전시켜 상기 경계석(2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콘크리트(10)를 양생하는 제4 단계;
상기 콘크리트(10)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콘크리트(10) 외부로 돌출되는 받침대(200)와, 상기 거푸집(100)을 제거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경계석 시공방법.By using the boundary stone construction apparatus of claim 1
A first step of fixing a pair of dies (100) to the ground using a fixing member (300);
Placing a concrete (10) between the pair of dies (100);
A third step of installing two or more pedestals (200) on the pair of molds (100);
A fourth step of curing the concrete (10) while restricting the height of the boundary block (20) by rotating the height adjusting screw (230) after seating the barrier block (20) on the two or more pedestals (200);
A cage (200) protruding from the concrete (10) when curing of the concrete (10) is completed, and a fifth step of removing the cage (100);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8710A KR101756466B1 (en) | 2016-05-13 | 2016-05-13 | Apparatus and methode for constructing boundary st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8710A KR101756466B1 (en) | 2016-05-13 | 2016-05-13 | Apparatus and methode for constructing boundary sto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6466B1 true KR101756466B1 (en) | 2017-07-10 |
Family
ID=5935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8710A Active KR101756466B1 (en) | 2016-05-13 | 2016-05-13 | Apparatus and methode for constructing boundary st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6466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0527B1 (en) | 2017-10-31 | 2019-01-21 | 김년수 | Method for Constructing Boundary Stone |
CN109577149A (en) * | 2018-12-03 | 2019-04-05 | 周峻宇 | A kind of kerbstone Paving Techniques and paver |
KR102270935B1 (en) * | 2020-07-06 | 2021-07-05 | 공진숙 | Luminous boundary stone, sidewalk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having the same |
KR20240119371A (en) * | 2023-01-30 | 2024-08-06 | 김두식 | Construction Method for Easy-to-Construct Deck Structures |
KR102754897B1 (en) | 2023-08-01 | 2025-01-21 | 한길아이엔씨 주식회사 | Construction Method of Boundary Ston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8356B1 (en) * | 2006-09-27 | 2007-09-14 | 전형식 | Road boundary stone installation structure and method using form rail and jig |
KR101339140B1 (en) * | 2010-12-06 | 2013-12-09 | 기경학 | Boundary stone install device and method with space control bolt |
-
2016
- 2016-05-13 KR KR1020160058710A patent/KR10175646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8356B1 (en) * | 2006-09-27 | 2007-09-14 | 전형식 | Road boundary stone installation structure and method using form rail and jig |
KR101339140B1 (en) * | 2010-12-06 | 2013-12-09 | 기경학 | Boundary stone install device and method with space control bolt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0527B1 (en) | 2017-10-31 | 2019-01-21 | 김년수 | Method for Constructing Boundary Stone |
CN109577149A (en) * | 2018-12-03 | 2019-04-05 | 周峻宇 | A kind of kerbstone Paving Techniques and paver |
CN109577149B (en) * | 2018-12-03 | 2021-01-26 | 滁州市宏图建设有限公司 | Curb paver |
KR102270935B1 (en) * | 2020-07-06 | 2021-07-05 | 공진숙 | Luminous boundary stone, sidewalk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having the same |
KR20240119371A (en) * | 2023-01-30 | 2024-08-06 | 김두식 | Construction Method for Easy-to-Construct Deck Structures |
KR102701943B1 (en) * | 2023-01-30 | 2024-09-02 | 김두식 | Construction Method for Easy-to-Construct Deck Structures |
KR102754897B1 (en) | 2023-08-01 | 2025-01-21 | 한길아이엔씨 주식회사 | Construction Method of Boundary Sto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6466B1 (en) | Apparatus and methode for constructing boundary stone | |
KR102179294B1 (en) | Transformable form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precast wall | |
KR101849766B1 (en) | Apparatus for assembling form using euro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strip foundation of house using the same | |
US7770866B2 (en) | Device for the alignment of modular forms in concrete walls | |
KR101668521B1 (en) | A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 |
KR102186470B1 (en) | Dowel Bar steel form | |
KR102028945B1 (en) | Sliding Stand and Prestressed Concrete Beam Manufacturing Method | |
JP2009281106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staircase, and form device | |
JP2006322215A (en) | Equipment foundation | |
KR20170012906A (en) | Concrete placing equipment, construction method of outlet and boundary stone using this | |
KR101513257B1 (en) | Foundation pad for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461355Y1 (en) | boundary stone support | |
KR100320153B1 (en) | A Constructing Method for a Public Stadium with Precast Seat Blocks | |
JP2013170420A (en) | Foundation forming method of architectural structure and foundation of architectural structure | |
JP4211537B2 (en) | Concrete block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jig | |
KR100559149B1 (en) | Stepping Block for Stair Construction | |
JP2007217871A (en) | Dry found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110101996A (en) | Prefabricated formwork for roa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 |
JPH10245937A (en) | Slab reinforcement spacer with level adjustment function | |
KR200205908Y1 (en) | Structure for supporting for a wall mould of the cement concrete building | |
JP2001032523A (en) | Fitting for supporting form | |
KR200491604Y1 (en) | Precast Concrete Block Formwork Spacing Device | |
JP6392533B2 (en) | Foundation member support device and foundation member installation method | |
KR102543584B1 (en) | Waffle form system capable of removing with supporting | |
KR102257960B1 (en) | Device for float and float method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7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40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